KR20110087534A - 지중화 케이블 복합 파워 풀링장치 - Google Patents

지중화 케이블 복합 파워 풀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7534A
KR20110087534A KR1020100006999A KR20100006999A KR20110087534A KR 20110087534 A KR20110087534 A KR 20110087534A KR 1020100006999 A KR1020100006999 A KR 1020100006999A KR 20100006999 A KR20100006999 A KR 20100006999A KR 20110087534 A KR20110087534 A KR 20110087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drum
main
rope
under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7597B1 (ko
Inventor
임용호
임희일
Original Assignee
임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용호 filed Critical 임용호
Priority to KR1020100006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597B1/ko
Publication of KR20110087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의 주위에 별도의 로프 권취용 윈치를 도로변에 직접 설치하지 않고도 메인드럼이 탑재된 메인차량의 이동 주차만으로 로프을 권취하는 장치의 설치를 완료하여 신규로 케이블을 지중에 매설할 경우에 좁은 공간에서 신속히 신규 케이블 매설할 수 있고, 노후된 전선 케이블을 신속히 회수하면서 일정간격으로 자동 절단하여 차량에 탑재할 수도 있으며, 기존에 매설된 양질의 케이블을 재사용을 위해 회수할 경우에 별도의 케이블 회수트럭을 통해 하나의 전선은 물론, 3상의 전선 케이블을 신속히 전선드럼에 권취시키면서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지중 전선 케이블 다기능 파워 드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지중화 케이블 복합 파워 드럼장치는 메인트럭의 적재함에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 후방에 구비되어 출력축을 포함하는 엔진과 메인감속기 상기 출력축에 연결되어 케이블 가설용 로프나 전선 케이블을 권취하여 감는 메인 파워 드럼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중화 케이블 복합 파워 풀링장치{The complex power pulling apparatus of cable for underground}
본 발명은 지중화 케이블 복합 파워 풀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맨홀의 주위에 메인 파워 드럼장치가 구비된 메인트럭의 이동 주차만으로 지중화 케이블을 권취하는 장치의 설치를 완료하여 신규로 케이블을 지중에 매설할 경우에 좁은 공간에서 신속히 신규 케이블을 매설할 수 있고, 노후된 지중화 케이블을 신속히 회수하면서 일정간격으로 케이블을 자동 절단하여 폐전선을 차량에 탑재할 수도 있으며, 기존에 매설된 양질의 케이블을 재사용하기 위해 회수할 경우에 별도의 케이블 회수 드럼장치를 통해 A, B, C 3상의 양품 케이블을 신속히 드럼에 권취시켜 드럼을 탈부착 함으로서 양품의 지중용 케이블을 가장 빠른 시간 안에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지중화 케이블 복합 파워 풀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공장지대로 전력을 공급할 경우에는 도로변에 전주를 세워 장주간의 전선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도로변에 전주를 설치하여 전력을 공급함에 있어서 도로변에 전주의 설치로 인하여 미관상 추할 뿐 아니라 고압선의 혼촉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전주가 설치된 곳이 사유지인 경우 토지소유자와의 갈등으로 인한 민원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근래에는 전주를 세워 전력을 공급하는 지상 전선 가설공법보다는, 전선을 지중에 묻어 설치하는 지중화 배전공법이 날로 활성화되고 있다.
즉 종래에 지중화 배전공법을 사용하여 지중 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해서는, 지중용 케이블 드럼을 운반차량에 상차한 후, 작업 현장으로 이동하여 맨홀의 주위에 케이블 드럼을 하차하여 크레인을 이용하여 케이블 드럼을 전선드럼다이에 장착한다.
다음 케이블 드럼이 설치된 맨홀의 반대편 맨홀에 지중케이블 권취용 지중 윈치를 설치하고 맨홀의 안 파형관 입구에는 케이블의 권취시 케이블의 각도를 90도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롤러장치를 설치한다.
다음 지상의 지중 윈치 케이블 드럼에 감긴 로프를 풀어내어 맨홀안 파형관 입구에 설치된 90도 방향 전환용 롤러를 통과하여 맨홀과 맨홀사이 50 ~ 400m 사이에 매설된 파형관 내부에 심부름바를 지중 케이블 권취용 와이어 케이블과 꼬임 방지용 쉐이블을 연결시키거나 꼬임 방지용 댕기머리 로프를 이용하여 지상의 전선 드럼다이에 설치된 신규 지중 케이블 끝단에 풀링그립으로 취부 시킨 후 지중 케이블 윈치의 드럼을 회전시켜 로프를 감음으로써, 파형관의 내부에 신규 전선 케이블을 매설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신규 케이블을 지중에 매설할 경우에는 맨홀의 주위에 케이블 권취용 윈치를 설치하고 반대편 전선드럼 다이에서 전선을 풀어주는 장소에서는 3상의 전선드럼다이를 설치할 때 도로변에 직접 설치하다 보면 작업 장소를 넓게 차지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전선 케이블의 사용 중 노후화로 인해 지중화 전선의 교체가 필요할 경우에는, 지중에 묻힌 파형관내의 전선 케이블을 회수하여야 한다. 그런데 기존에 노후된 케이블을 회수할 경우에는 인력의 수동적인 방법으로 노후 케이블을 굴삭기를 이용하여 지상으로 지중케이블을 끌어당겨 회수하는 방법이 사용됨에 따라 노후 케이블을 회수할 경우에는 지중에 묻힌 케이블의 기장이 50m ~ 400m로 긴 노후 케이블을 지상으로 굴삭기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끌어당기면서 2m씩 수동으로 절단하여 전선을 회수함에 따라, 많은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이고 도로변의 작업 장소를 많이 차지하여 교통의 흐름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크게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기존 지중화 케이블의 주변에 신규 아파트나 공장이 생겨 전력 수용가가 신규로 생겼을 때 전력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맨홀과 맨홀 사이에서 전선을 인출해야 하는데, 이때 기존 케이블은 양질의 케이블이므로 재사용을 해야 한다. 따라서, 지중 케이블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케이블을 회수하기 위하여 맨홀 도로 주변에 50m ~ 400m 간격으로 케이블을 도로면에 깔아서 작업을 진행해야 함에 따라, 양질의 지중 케이블을 회수하여 재사용할 경우에는 전선의 피복 손상이 우려되었으며 교통통제가 불가피한 점과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비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맨홀의 주위에 별도의 전선이선기구 공법의 배전선로용 가선장치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선드럼다이를 지상의 맨땅에 설치하거나 전선이선기구 공법의 전선드럼다이를 차량에 탑재하여 이동 주차 하였으며 일축에는 파워 드럼장치가 탑재된 차량의 맨홀 후미에 설치되어 파워 드럼장치의 보조 윈치 드럼에서 로프를 풀어 파워 드럼에 3 ~ 5회 감은 후 맨홀 속 파형관에 심부름바인 댕기머리 로프와 연결하여 지중화 케이블을 파형관에 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노후화된 지중의 전선 케이블을 교체하기 위하여 노후된 지중화 케이블을 회수할 경우에는, 노후된 전선 케이블을 신속히 회수하면서 케이블을 2m의 간격으로 자동 절단하여 트럭에 탑재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목적도 있다.
또한 기존 지중화 케이블의 주변에 신규 아파트나 공장이 생겨 고압 전력 수용가가 신규로 생겼을 때, 기존에 매설된 양질의 케이블을 재사용을 위해 회수할 경우에는 별도의 지중케이블 회수장치를 통해 A, B, C 3상용 전선 드럼에 케이블을 신속히 권취시킨 후 케이블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목적도 있다.
또한 폐전선과 양질의 케이블을 회수할 경우에 맨홀 안에 파형관과 지상의 윈치에 연결되는 별도의 90도의 방향 전환용 가이드관을 개발하여 맨홀의 입구와 파형관의 사이에 장착함으로써 폐전선 케이블과 양질의 전선 케이블의 인출시에는 와이어용인 90도 방향 전환용 롤러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폐전선 및 양품의 케이블 회수에는 피복이 벗겨지거나 전선이 급격히 절곡되어 발생되는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완만하게 굴곡된 90도 전환용 가이드관을 신규로 개발하여 제공하는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메인트럭의 적재함에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 후방에 엔진과 연결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메인 감속기와 상기 출력축의 클러치장치에 연결되어 케이블 가설용 심부름바인 로프를 감거나 전선 케이블을 회수하는 메인 파워 드럼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파워 드럼장치의 타측에 구비되며, 로프를 권취하는 로프 보조 윈치장치 및 케이블의 슬립을 방지하면서 타측으로 이동시켜 회수하는 상,하롤을 포함하는 텐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맨홀의 주위에 별도의 로프 권취용 윈치를 도로변 위에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도 메인 파워 드럼장치가 탑재된 메인차량의 이동 주차만으로 케이블을 권취하는 장치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규로 케이블을 지중에 매설함에 있어서 좁은 공간에서 신속히 신규 케이블을 적은 인력으로 매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노후화된 지중화 전선 케이블을 교체하기 위하여 전선 케이블을 회수할 경우에는, 노후된 전선 케이블을 신속히 회수하면서 2m 의 간격으로 폐전선을 자동 절단하여 차량에 탑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후된 폐전선 케이블을 좁은 공간에서도 신속히 회수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기존에 매설된 양질의 케이블을 재사용을 위해 회수할 경우에는 별도의 케이블 회수 드럼장치용 트럭을 통해 하나의 전선은 물론, 3상의 전선 케이블을 신속히 드럼에 권취시키면서 드럼에 감긴채 케이블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품의 케이블이 재사용 가능한 지중화 전선케이블을 회수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폐전선과 양질의 케이블을 회수할 경우에 별도의 가이드관을 맨홀의 입구와 파형관의 사이에 장착함에 따라, 폐전선과 양질의 전선 케이블의 인출시 지상의 메인 파워 드럼에 90도 방향 전환이 가능하여 피복이 벗겨지거나 전선이 급격히 절곡되어 발생되는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폐전선을 쉽게 회수할 수 있고, 양질의 전선 케이블을 손상없이 재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장비로 지중화 케이블을 신규로 설치 및 폐전선을 회수하여 절단하고 양품의 케이블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복합적으로 사용됨으로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 파워드럼 장치가 구비된 메인트럭을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정면도이고,
도 1b는 평면도이며,
도 1c는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파워 드럼장치가 구비된 메인트럭을 통해 전선 케이블을 매설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 파워 드럼장치가 구비된 메인트럭을 통해 노후된 케이블을 회수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정면도이고,
도 3b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폐전선을 자동 절단시키는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파워 드럼장치가 구비된 메인트럭의 타측에 케이블 회수 드럼장치 트럭을 더 구비하여 양질의 전선 케이블을 회수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정면도이고,
도 5b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관의 장착상태를 확대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 파워 드럼장치가 구비된 메인트럭을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정면도이고, 도 1b는 평면도이며, 도 1c는 좌측면도이다.
이에 본 발명의 케이블 시공장치는, 맨홀(M)의 주위에 주차시켜 신규 전선 케이블(C)과 연결된 로프(R)를 권취하여 신규 전선 케이블(C)을 지중의 파형관(P)에 매설하거나, 또한 지중의 파형관(P)에 기 매설된 전선 케이블(C)을 회수할 수 있는 메인 파워 드럼장치(1)가 구비된 메인트럭(10)을 포함한다.
즉 상기 메인 파워 드럼장치(1)는, 적재함의 일측 후방에 구비되고 출력축을 포함하고 적재함에 구비된 엔진과 연결되어 엔진의 구동에 의해 출력축이 감속 회전되는 메인 감속기(11)와, 상기 출력축 클러치장치(111)에 연결되어 케이블 가설용 로프(R)나 전선 케이블(C)을 권취하여 감는 메인 파워 드럼(12)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파워 드럼(12)은 로프(R)나 전선 케이블(C)을 권취하기 위하여 다수의 전,후방의 폭을 달리하는 테이퍼롤부(121)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상기 테이퍼롤부(121)를 통해 로프(R)나 케이블(C)이 편중되게 적층되어 권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 파워 드럼장치(1)의 타측에는 상기 로프(R)를 권취하는 로프 보조 윈치장치(16)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로프 보조 윈치장치(16)는, 유압모터(161)와 감속기(162) 및 감속기(162)로부터 클러치(163)로 연결되어 로프(R)를 권취하는 로프드럼(164)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 메인 파워 드럼장치(1)가 구비된 메인트럭(10)을 이용하여 맨홀(M)과 맨홀(M) 사이에 전선 케이블(C)을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파워 드럼장치를 통해 전선 케이블을 매설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에 신규 전선 케이블(C)을 맨홀(M)과 맨홀(M)의 사이인 지중의 파형관(P)에 매설할 경우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지중용 케이블 드럼(D)을 전선드럼다이에 상차한 다음, 운반 차량에 상차한 후에 작업 현장으로 이동하여 맨홀(M)의 주위에 전선 드럼상차 차량을 주차시킨다.
다음 메인 파워 드럼장치(1)가 구비된 메인트럭(10)을 맨홀(M)의 반대편 맨홀(M)의 작업현장으로 이동시켜 주차시킨다.
다음 맨홀(M)과 맨홀(M) 사이의 지중에 매설된 파형관(P)의 내부에 메인트럭 보조 윈치의 심부바인 로프(R)를 풀어 로프(R)의 한쪽 끝단과 케이블 드럼(D)에 신규 전선 케이블(C)의 끝단을 연결하고, 로프(R)의 다른 한쪽 끝단을 메인 파워 드럼장치(1)에 구비된 메인 파워 드럼(12)의 하나의 테이퍼롤부(121)에 3 ~ 5회 감아서 로프 보조 윈치장치(16)에 연결시킨다.
그리고 엔진과 연결된 메인 감속기(11)의 작동에 의해 메인 파워 드럼(12)을 회전시키고 로프 보조 윈치장치(16)의 로프드럼(164)을 회전시켜 로프를 권취하는 과정에 따라 파형관(P)의 내부에 신규 전선 케이블(C)을 매설하는 것이다.
또한 3상의 전선 케이블(C)을 하나의 지중 파형관(P)에 매설할 경우에도 상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로프(R)를 감음으로써 시공을 완료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맨홀(M)의 주위에 메인 파워 드럼장치(1)이 구비된 메인트럭(10)의 이동 주차만으로 로프(R)를 권취하는 장치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규로 전선 케이블(C)을 매설함에 있어서 지상의 좁은 공간에서 신속히 적은 인력으로 매설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 파워 드럼장치가 구비된 메인트럭을 통해 노후된 케이블을 회수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정면도이고, 도 3b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화 케이블 복합 파워 풀링장치는, 메인 파워 드럼장치(1)의 적재함 타측에 폭 2m 기장 3m 50cm의 정도의 좌우폭을 가지는 케이블 적재공간(13)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메인 파워 드럼장치(1)의 타측에는 케이블(C)의 슬립을 방지하면서 케이블(C)을 타측으로 이동시켜 회수하는 상,하롤(151)(152)을 포함하는 텐션장치(15)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케이블 적재공간(13)과 텐션장치(15)의 사이에는 메인 파워 드럼(12)으로 권취되어 텐션장치(15)에서 배출되는 노후 케이블(C)을 2m로 절단하여 케이블 적재공간(13)에 적재하는 케이블 자동 절단장치(17)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파워 드럼장치(1)의 타측에는 로프 보조윈치 장치(16)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텐션장치(15)는, 케이블(C)이 상,하롤러(151)(152)의 사이를 통과하게 구비되어 있고, 하롤러(152)는 클러치(154)를 통해 메인감속기(11)의 회전력이 균일하게 선택적으로 전달되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상롤러(151)는 수직 실린더(153)에 의해 승강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즉 하롤러(152)의 회전축은 메인감속기(11)의 출력축(111)과 동력 전달수단인 체인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하롤러(152)의 회전축에는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 장치(154)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로프 보조윈치 장치(16)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압모터(161)와 감속기(16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신규케이블 설치와 폐전선 회수시에 드럼의 로프를 풀어 메인 파워 드럼장치(1)에 3 ~ 5회 감은 후 맨홀 가이드관을 통하여 맨홀속의 회수할 폐전선에 와이어 클립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그리고 메인 파워 드럼(12)이 회전할 때 보조윈치 장치(16)는 메인 파워 드럼(12)의 슬립 현상을 막아주고 텐션 기능인 텐션장치(15)의 상,하롤러(151)(152)가 있는 곳까지 케이블(C)을 권취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상기 케이블 자동 절단장치(14)는, 전,후방 수직대(172)와 상부 수평대(173)를 포함하는 프레임(171)과, 프레임(171)의 중간에 설치되어 케이블(C)이 밀착되게 이동되는 고정커터(174)와, 상기 상부 수평대(173)의 하부에 유압 실린더(175)에 의해 승강되게 장착되어 케이블(C)을 절단하는 상부 승강커터(176)와, 상기 케이블의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상부 승강커터(176)의 승강을 제어부(미도시됨)를 통해 제어하는 센서(미도시됨)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상기 센서의 감지에 따른 케이블(C)의 이동거리마다 제어부에서는 상부 승강커터(176)의 승강 신호를 출력하여 케이블(C)를 2m씩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센서는 케이블에 밀착되어 길이를 측정하는 롤러와 롤러에 연결되어 회전량을 검출하는 엔코더 등으로 구성된 센서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센서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것으로 이하 설명함에 있어서 센서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상기 메인 파워 드럼장치를 이용하여 지중에 기 매설된 노후된 전선 케이블(C)을 회수한 후, 메인트럭(10)의 케이블 적재공간(13)에 일정간격으로 절단하여 적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후화된 지중의 전선 케이블을 교체하기 위하여 전선 케이블을 회수하면서 일정간격으로 절단하여 메인트럭에 적재할 경우에는, 먼저 전선 케이블을 회수하기 위한 맨홀(M)의 주위에 메인 파워 드럼장치(1)가 구비된 메인트럭(10)을 이동시켜 주차시킨다.
다음 로프 보조 윈치장치(16)에 감긴 로프(R)를 풀어 회수하고자 하는 노후된 전선 케이블(C)의 단부를 취부한다. 그리고 로프(R)를 메인 파워 드럼장치(1)에 구비된 메인 파워 드럼(12)의 하나의 테이퍼롤부(121)에 3~5회 감은 후 텐션장치(151)까지 연결시켜 보조 드럼장치(16)에 권취한다.
다음 엔진과 연결된 메인 감속기(11)의 작동에 의해 메인 파워 드럼(12)을 회전시켜 케이블(C)을 4회 내지 5회 감은 상태에서 케이블(C)을 후방으로 배출하여, 케이블(C)를 텐션장치(15)의 상,하롤러(151)(152)의 사이에 끼우고 수직 실린더(153)로 케이블(C)을 압축시킴으로써, 메인 파워 드럼(12)이 회전할 때 케이블(C)의 슬립을 막기위하여 텐션기능을 가진 상,하롤러(151)(152)를 통해 케이블(C)를 붙잡아 놓는다. 그리고 로프(R)와 케이블(C)을 상호 연결하는 와이어 크립을 해체 시킨다.
다음 엔진과 연결된 메인 감속기(11)를 작동시켜 메인 파워 드럼(12)과 텐션장치(15)의 하롤러(151)를 회전시키면, 메인 파워 드럼(12)에서 케이블(C)이 슬립현상 없이 통과되고 텐션장치(15)의 압축 권취력에 의하여 케이블(C)이 케이블 절단장치(14)로 공급된다.
그리고 케이블 절단장치(14)에서는 케이블이 통과하면서 감지되는 센서의 신호에 의하여 유압실린더(175)의 작동을 통해 상부 승강커터를 하강 및 상승시켜 케이블(C)을 2m의 간격으로 절단한다. 그러면 절단된 전선들은 메인트럭의 적재함의 타측에 구비된 케이블 적재공간(13)에 적재되면서 회수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노후화된 지중의 전선 케이블을 교체하기 위하여 전선 케이블을 회수할 경우에는, 노후된 전선 케이블을 신속히 회수하면서 2m의 간격으로 자동 절단하여 차량에 탑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노후된 폐전선 케이블을 좁은 공간에서도 신속히 회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파워 드럼장치가 구비된 메인트럭의 타측에 케이블 회수 드럼장치 트럭을 더 구비하여 양질의 전선 케이블을 회수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정면도이고, 도 5b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관의 장착상태를 확대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화 케이블 복합 파워 풀링장치는, 상기 메인트럭(10)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파워 드럼장치(12)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케이블(C)을 가이드부(21)에 통과시켜 다수의 회수드럼부(22)에 권취하여 회수하는 케이블 회수 드럼장치 트럭(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가이드부(21)는 전,후방의 수직대(211)에 의해 수평으로 장착된 수평축(212)과 수평축(212)에 회전되게 구비되어 케이블(C)을 각 회수드럼부(22)로 안내하는 안내 가이드롤(213)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회수 드럼부(22)는 3상의 전선을 동시에 권취하여 회수할 수 있도록 3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수드럼부(22)는, 유압모터(211)와 감속기(221a)를 포함하고, 감속기(221a)와 메인 클러치장치(224)에 의해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탈부착용 드럼축(223)과, 상기 탈부착용 드럼축(223)에 장착되어 케이블(C)을 회수하는 탈부착용 드럼(222)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속 90도 방향전환용 가이드관(3)은 폐전선을 회수할 때와 양질의 전선 케이블을 회수할 경우에 반드시 있어야하며 전선 케이블(C)을 90도 방향으로 전환시킴으로서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중 파형관과 지상의 파워 드럼장치에 연결하기 위하여 90도 방향 전환 장치로서 케이블이 회수되는 맨홀(M)의 파형관(P)의 단부와 맨홀(M)에 입구 사이에 다수의 하부 고정용 볼트(31)와 다수의 길이 조정식 고정바(32) 및 맨홀 상단 고정바(33)에 의해 고정되는 완만하게 90도로 밴딩된 가이드관(3)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맨홀 상단 고정바(33)는 다수의 볼트나 용접 등으로 가이드관(3)의 상부를 맨홀(M)의 상부의 입구에 강력하게 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관(3)의 굴곡부의 내측에는 로프(R)나 케이블(C)의 마찰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다수의 롤러부(34)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롤러부(34)들은 로프(R)나 케이블(C)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내측 굴곡부에서 억지끼워맞춤이나 용접등으로 관통되게 장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탈부착용 드럼(222)은 케이블(C)이 일정하게 감기도록 케이블을 안내하는 테이퍼 드럼부(222a)를 포함하는 것으로, 케이블(C)을 권취할 경우에 테이퍼 드럼부(222a)를 통해 케이블(C)이 중첩되지 않고 일정하게 권취되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이하, 기존 지중에 매설된 케이블의 주변에 신규 아파트나 공장이 생겨 전력 수용가가 신규로 생겼을 때, 기존에 매설된 양질의 전선 케이블의 재사용을 위해 회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질의 전선 케이블의 재사용을 위하여 회수할 경우에는, 먼저 회수용 전선 드럼장치를 회수하기 위한 맨홀(M)의 주위에 메인 파워 드럼장치(1)가 구비된 메인트럭(10)과 케이블 회수용 드럼장치 트럭(2)을 일,타측에 주차한다.
다음 케이블 회수용 드럼장치의 드럼에서 로프를 풀어 가이드관을 통과하여 메인 파워 드럼장치에 감기는 순번에 따라 3 ~ 5회 감은 후 맨홀(M) 속 가이드관(3)을 통과하여 파형관을 지나 맨홀 안에 있는 케이블(C)에 풀링그립을 이용하여 접속시킨 후 메인 파워 드럼장치(12)를 회전 시키고 회수드럼부(22)의 탈부착용 드럼(222)도 회전을 시켜서 양품의 케이블을 탈부착용 드럼(222)에 회수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회수되는 양질의 케이블(C)를 메인 파워 드럼장치(1)를 통과하여 텐션장치 삽입시켜 상,하롤러(151)(152)로 압축시킨 후, 양품 케이블을 회수용 탈부착용 드럼(222)에 케이블(C)을 도달시켜 계속 감을 수 있도록 신호에 의하여 메인 파워 드럼장치(1)와 텐션장치(15)의 하롤러(152) 및 회수용 탈부착용 드럼(222)도 회전시키고, 이때 가이드부(21)를 이용하게 되면 양품 케이블이 탈부착용 드럼(222)에 골고루 감기게 되는 것이다, 한편 탈부착용 드럼(222)에 케이블(C)이 감긴 상태에서 케이블 회수 드럼장치 트럭(2)을 케이블(C)의 재사용 현장에 옮겨 다시 사용하면 작업은 종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에 매설된 양질의 케이블을 재사용을 위해 회수할 경우에는 별도의 케이블 회수용 드럼장치를 통해 3상용 3개의 전선 케이블을 신속히 드럼에 권취시킨 후 드럼을 탈부착하여 회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속이 재사용이 가능한 지중의 전선케이블을 회수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폐전선과 양질의 케이블을 회수할 경우에 반드시 90도 각도의 전환용 가이드관을 맨홀의 입구와 파형관의 사이에 장착함에 따라, 양질의 전선 케이블의 인출시 피복이 벗겨지거나 전선이 급격히 절곡되어 발생되는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양질의 전선 케이블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1 : 메인 파워 드럼장치
11 : 메인 감속기
111 : 출력축 클러치 장치
12 : 메인 파워 드럼
121 : 테이퍼롤부
13 : 케이블 적재공간
15 : 케이블 인출 텐션너
151 : 상롤러, 152 : 하롤러, 153 : 수직 실린더, 154 : 클러치
16 : 로프 보조 윈치장치
161 : 유압모터, 162 : 감속기, 163 : 클러치, 162 : 로프드럼
17 : 케이블 절단기
171 : 프레임, 172 : 수직대, 173 : 상부 수평대,
174 : 하부 고정커터, 175 : 유압실린더, 176 : 상부 승강커터
2 : 케이블 회수 드럼장치 트럭
21 : 가이드부
211 : 수직대, 212 : 수평축, 213 : 안내 가이드롤
22 : 회수드럼부
221 : 유압모터, 221a : 감속기, 222 : 탈부착용 드럼,
223 : 탈부착용 드럼축, 224 : 메인 클러치 장치
3 : 가이드관
31 : 하부 고정용 볼트 32 : 길이 조정식 고정바
33 : 맨홀 상단 고정바
R : 로프
C : 케이블
M : 맨홀
P : 파형관

Claims (9)

  1. 메인트럭(1)의 적재함에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 후방에 엔진과 연결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메인 감속기(11)와 상기 출력축의 클러치장치(111)에 연결되어 케이블 가설용 심부름바인 로프(R)를 감거나 전선 케이블(C)을 회수하는 메인 파워 드럼장치(12)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파워 드럼장치(12)의 타측에 구비되며, 로프를 권취하는 로프 보조 윈치장치(16) 및 케이블(C)의 슬립을 방지하면서 타측으로 이동시켜 회수하는 상,하롤(151)(152)을 포함하는 텐션장치(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화 케이블 복합 파워 풀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트럭(10)의 적재함 타측인 텐션장치(15)의 배출측에는 케이블 적재공간(13)이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텐션장치(15)와 케이블 적재공간(13)의 사이에는 회수되는 전선 케이블을 2m씩 자동으로 절단하는 케이블 자동 절단장치(1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화 케이블 복합 파워 풀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자동 절단장치(14)는,
    전,후방 수직대(172)와 상부 수평대(173)를 포함하는 프레임(171)과,
    프레임(171)의 중간에 설치되어 케이블(C)이 밀착되게 이동되는 고정커터(174)와,
    상기 상부 수평대(173)의 하부에 유압 실린더(175)에 의해 승강되게 장착되어 케이블(C)을 절단하는 상부 승강커터(176)와,
    상기 케이블의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상부 승강커터(176)의 승강을 제어부를 통해 제어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화 케이블 복합 파워 풀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파워 드럼장치(12)는,
    심부름바인 로프(R)나 전선 케이블(C)을 강력한 힘으로 권취하기 위하여 다수의 전,후방의 폭을 달리하는 테이퍼롤부(121)를 포함하며,
    메인 감속기(11)로부터 출력되어 나오는 동력을 전달시키는 클러치(11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화 케이블 복합 파워 풀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장치(15)는,
    메인 파워 드럼장치(12)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케이블(C)의 배출속도와 케이블(C)의 회수속도를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하롤러(152)가 메인 감속기(11)와 동률 회전수를 이루며 회전되게 구성되고 케이블(C)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롤러(151)가 수직 실린더(153)에 의해 승강 구동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화 케이블 복합 파워 풀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보조 윈치장치(16)는, 유압모터(161)와 감속기(162) 및 감속기(162)로부터 클러치(163)로 연결되어 로프(R)를 권취하는 로프드럼(16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화 케이블 복합 파워 풀링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케이블(C)이 회수되는 맨홀(M)의 파형관(P)의 단부와 맨홀(M)의 입구 사이에는, 하부 고정용 볼트(31)와 다수의 길이 조정식 고정바(32) 및 맨홀 상단 고정바(33)에 의해 고정되는 완만하게 90도로 밴딩되어 로프(R)나 케이블(C)을 손상없이 회수하는 방향 전환용 가이드관(3)이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관(3)의 굴곡부의 내측에는 로프(R)나 케이블(C)의 마찰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다수의 롤러부(34)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화 케이블 복합 파워 풀링장치.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트럭(10)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파워 드럼장치(1)와 텐션장치(15)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C)을 가이드부(21)에 통과시켜 케이블 자동 절단 장치와 다수의 회수드럼부(22)에 권취하여 회수하는 케이블 회수 드럼장치 트럭(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화 케이블 복합 파워 풀링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드럼부(22)는 3상의 전선을 동시에 권취하여 회수 할 수 있도록 3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회수드럼부(22)는, 유압모터(221)와 감속기(221a)를 포함하고, 감속기(221a)와 메인 클러치장치(224)에 의해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메인축에 탈부착용 드럼축(223)과, 상기 탈부착용 드럼축(223)에 장착되어 케이블(C)를 회수하는 탈부착용 드럼(2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화 케이블 복합 파워 풀링장치.

KR1020100006999A 2010-01-26 2010-01-26 지중화 케이블 복합 파워 풀링장치 KR101147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999A KR101147597B1 (ko) 2010-01-26 2010-01-26 지중화 케이블 복합 파워 풀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999A KR101147597B1 (ko) 2010-01-26 2010-01-26 지중화 케이블 복합 파워 풀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534A true KR20110087534A (ko) 2011-08-03
KR101147597B1 KR101147597B1 (ko) 2012-05-21

Family

ID=44926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999A KR101147597B1 (ko) 2010-01-26 2010-01-26 지중화 케이블 복합 파워 풀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5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017B1 (ko) * 2014-07-16 2014-12-10 승리전력기술(주) 케이블 멀티 풀링장치
KR20150007224A (ko) * 2013-07-10 2015-01-20 임용호 지중관로내 케이블지중하 포설방법 및 장치
KR102038248B1 (ko) * 2019-02-28 2019-10-29 윤세원 케이블 복합체의 지하 매설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945B1 (ko) * 2020-04-16 2022-01-12 (주)디피엔지니어링 트랙터 일체형 지중케이블 견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25123U (ko) * 1981-01-27 1982-08-04
KR100204922B1 (ko) * 1995-02-07 1999-06-15 윤종질 지중케이블의 인출 절단장치
KR200269628Y1 (ko) * 2001-12-19 2002-03-25 한국전력공사 배전맨홀용 지중케이블의 손상 방지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7224A (ko) * 2013-07-10 2015-01-20 임용호 지중관로내 케이블지중하 포설방법 및 장치
KR101471017B1 (ko) * 2014-07-16 2014-12-10 승리전력기술(주) 케이블 멀티 풀링장치
WO2016010314A1 (ko) * 2014-07-16 2016-01-21 승리전력기술(주) 케이블 멀티 풀링장치
KR102038248B1 (ko) * 2019-02-28 2019-10-29 윤세원 케이블 복합체의 지하 매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7597B1 (ko) 2012-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9170B1 (ko) 지중관로내 케이블지중하 포설방법 및 장치
KR101810077B1 (ko) 지중 전력 케이블의 철거 및 신설장치
CN109797833B (zh) 一种市政道路下水道管道施工设备及方法
KR101023291B1 (ko) 케이블 견인장치
KR101147597B1 (ko) 지중화 케이블 복합 파워 풀링장치
KR101117490B1 (ko) 다회선 케이블 선출장치
KR101930403B1 (ko) 지중 전력 케이블의 철거 및 신설방법
KR20070112594A (ko) 활선 전선로의 보수 및 교체작업을 위한 보조 가지지장치의설치공법 및 활선전선로의 보조가지지장치
CN108930324B (zh) 一种市政道路下水道管道施工设备及方法
KR101261457B1 (ko) 다수의 케이블 선출장치
KR101261458B1 (ko) 지중케이블 다회선 풀링장치
KR100932524B1 (ko) 지중관로용 케이블 인입 및 인출 장치
CN210201333U (zh) 一种地下电缆敷设结构
KR20160001105A (ko) 지중관로내 케이블 지중하 포설방법 및 장치
KR100921984B1 (ko) 전선 회수용 권취장치
CN114439262B (zh) 一种孔洞自动安全网防护装置
KR100760182B1 (ko) 하수관 감시카메라 이동장치
KR102077532B1 (ko) 역회전용 브레이크 텐셔너
KR102658487B1 (ko) 지중전력케이블의 철거절단 풀링장치를 이용한 지중송전케이블 철거신설 시공방법
KR102658486B1 (ko) 2회선 지중전력케이블의 철거절단풀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2회선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신설시공방법
KR100784328B1 (ko) 하수관 감시 시스템
KR20080100036A (ko) 토목섬유매트권취기를 이용한 토목섬유포설방법
KR102559106B1 (ko) 지중전력 케이블의 철거절단 풀링장치
KR200436064Y1 (ko) 케이블 권취드럼용 회전장치
KR101059415B1 (ko) 지중매설 케이블 수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