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0182B1 - 하수관 감시카메라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관 감시카메라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0182B1
KR100760182B1 KR1020060112137A KR20060112137A KR100760182B1 KR 100760182 B1 KR100760182 B1 KR 100760182B1 KR 1020060112137 A KR1020060112137 A KR 1020060112137A KR 20060112137 A KR20060112137 A KR 20060112137A KR 100760182 B1 KR100760182 B1 KR 100760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ewer pipe
surveillance camera
monitoring camera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2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기화
Original Assignee
에스씨종합건설(주)
주식회사 지.피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씨종합건설(주), 주식회사 지.피 코리아 filed Critical 에스씨종합건설(주)
Priority to KR1020060112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01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F16L55/28Constructional aspects
    • F16L55/30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opulsion means, e.g. towed by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1/00Uses or applications of pigs or moles
    • F16L2101/30Inspecting, measuring 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 내부를 감시하기 위한 감시카메라를 하수관 내부 상측으로 운행시킬 수 있는 하수관 감시카메라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하수관(1) 내부 상측면에 부착된 와이어걸이(100)와; 상기 하수관(1) 포설 작업시 상기 와이어걸이(100)에 걸린 상태로 하수관(1) 내부를 관통하며 설치되는 와이어(200)와; 상기 와이어(200)의 양끝단을 하수관 맨홀(3, 3') 내에 고정시키는 와이어 고정부재(300)와; 상기 하수관(1) 내부에서 인출되는 와이어(200)를 상기 와이어 고정부재(300)로 방향 전환하는 와이어 롤러(310)와; 감시카메라(500)를 장착한 상태로 상기 와이어(200)를 타고 이동하는 감시카메라 캐리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하수관(1) 바닥면의 장애물에 구애받음 없이 상기 감시카메라(500)로 하수관(1) 내부의 촬영 영상을 얻을 수 있다.
하수관, 감시카메라, 이동장치, 와이어

Description

하수관 감시카메라 이동장치{Dvice Carring Guard Camera in the Sewer Pip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수관 감시카메라 이동장치에서, 감시카메라(500)를 투입하기 전의 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걸이(100)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수관 감시카메라 이동장치에서, 감시카메라를(500) 투입한 후의 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캐리지(400)의 측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캐리지(400)의 정면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하수관 2 : 하수관 접합부
3, 3' : 하수관 맨홀
100 : 와이어걸이
200 : 와이어
300 : 와이어 고정부재 310 : 와이어 롤러
400 : 감시카메라 캐리지
500 : 감시카메라
본 발명은 하수관 내부 상측에 설치된 와이어를 따라 하수관 감시카메라를 이동시켜 하수관 내부를 촬영 및 검사하기 위한 하수관 감시카메라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에 매설된 공공 하수관은 주택의 생활하수나 공장의 오수 등을 하수처리시설로 유입시키는 경로로서, 우수나 지하수가 하수관을 통하여 흐르지는 않는다. 그러나, 상기 하수관에는 타공사 작업으로 인한 파손, 상기 하수관 매설시 시공불량으로 인한 오접 또는 부등침하로 인한 균열 등의 이유로 누수 틈새가 발생하여, 누수된 하수에 의해 주위 토양이 오염된다. 또한 우수나 지하수가 상기 누수 틈새로 유입될 경우에는 유입되는 하수량의 증가로 인하여 하수처리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생긴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감시카메라가 장착된 자주차를 하수관 내부에 투입시켜 촬영된 영상으로 감시하고, 누수 틈새가 발생한 구간을 찾아 보수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의 감시카메라가 장착된 자주차는 바퀴를 이용하여 하수관 바닥을 이동하며 촬영된 영상을 케이블을 통해 지상의 감시자에게 전송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자주차를 이용한 방법에서는, 하수관 바닥에 턱이 지거나 장애물 또는 오물이 쌓여 있으면 상기 자주차가 더 이상 진행을 하지 못하므로, 감시범위에 제한이 따른다. 이에 대한 해결 방법으로 감시카메라를 와이어에 걸어 띄우는 방법과 하수관 천정에 고정 설치된 레일에 거는 방법이 제기되었다.
상기 와이어를 이용한 종래 기술로서 특허등록 제0454159호에서는, 공압이 공급되는 역추진 진행부재를 이용하여 하수관 맨홀 사이에 견인와이어 및 안내와이어를 설치하는 방법과, 설치된 상기의 견인와이어 및 안내와이어에 감시카메라를 결합하여 하수관 내부를 촬영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실용신안등록 제0307935호에서는 와이어에 결합된 감시카메라가 처지거나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감시카메라에 설치되는 지지대를 고안하였다.
하지만, 상기의 방법에서는, 상기 역추진 진행부재를 입구측 하수관 맨홀에서 출구측 하수관 맨홀로 진행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지지대와 공압 공급 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관로 내의 장애물로 인하여 상기의 진행단계가 수행되지 못하면 와이어 설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견인와이어 및 안내와이어의 양끝단이 입구측 및 출구측 하수관 개방부에서 윈치로 고정설치되기 때문에, 비록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0307935호의 방법으로 보완하더라도 운행중인 감시카메라가 처지거나 흔들리는 것을 막기는 어렵다.
또 다른 방법으로, 하수관 천정에 고정설치된 레일 위로 호이스트 롤러를 이동시키는 종래 기술로서, 실용신안등록 제0157120호에서는 콘크리트 재질의 하수박스 천정면에 설치되는 모노레일과, 상기 호이스트 롤러와 결합된 하수관 보수 장비 와, 감시카메라를 운행하는 장비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은 상기 레일을 설치하기 위한 충분한 작업공간이 확보되는 하수관에서만 제한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하수관 바닥면의 장애물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감시카메라로 하수관 내부를 촬영할 수 있는 하수관 감시카메라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감시카메라를 쉽게 장착할 수 있으며, 흔들림이 없는 깨끗한 촬영 영상을 얻는 하수관 감시카메라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하수관의 크기에 상관 없이 설치할 수 있는 하수관 감시카메라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수관(1) 내부의 상측면에 부착되는 와이어걸이(100)와; 상기 와이어걸이(100)에 걸쳐지며, 상기 하수관(1) 내부를 관통하여 하수관 맨홀 사이에 설치되는 와이어(200)와; 상기 와이어(200)의 양끝단을 하수관 맨홀(3, 3') 내에 고정시키는 와이어 고정부재(300)와; 상기 와이어(200)를 타고 이동하는 감시카메라 캐리지(400)와; 상기 감시카메라 캐리지(400)에 장착되는 감시카메라(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수관 감시카메라 이동장치에서, 감시카메라(500)를 투입하기 전의 상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걸이(100)가 하수관(1) 내부 상측 면에 부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에 매설되는 하수 관로는 하수관(1), 하수관 접합부(2) 및 하수관 맨홀(3. 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수관(1)은 보통 굵은 관일 경우 6M 길이로 제작되어 상기 하수관 접합부(2)로 연결되고, 상기 하수관 맨홀(3, 3')은 하수관의 점검구 역할을 하며 평상시에는 맨홀 뚜껑으로 씌워져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수관 감시카메라 이동장치 중에 상기 하수 관(1)을 지하에 포설하는 단계에서 설치되는 이동장치는, 하수관(1) 내부의 상측면에 부착되는 와이어걸이(100)와; 상기 하수관(1)을 하수관 접합부(2)로 연결하는 단계에서 상기 와이어걸이(100)에 걸쳐지며, 하수관 맨홀(3)에서 다음 하수관 맨홀(3')까지 설치되는 와이어(200)와; 상기 하수관 맨홀(3, 3')내 상부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200)의 양쪽 끝단을 고정하고, 상기 와이어(200)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정하는 와이어 고정부재(300)와; 상기 하수관 맨홀(3, 3')내 하부 벽면에 설치되고, 하수관(1)에서 인출되는 상기 와이어(200)를 상기 와이어 고정부재(300)로 방향을 전환하는 와이어 롤러(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와이어(200)는 두가닥이 일조를 이루고, 대칭형의 상기 와이어걸이(100)에 걸쳐지는 형태로 설치되고, 이탈방지턱(130)에 의해 상기 와이어걸이(100) 밑으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걸이(100)는 하수관 내부 상부면에 부착되는 면(110)과 역티자형 지지틀(120)과 상기 이탈방지턱(1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200)가 걸쳐지는 부분(140)을 중심으로 바닥면(150)과 측면(160)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하수관(1)은 6M 길이로 제작되므로, 일편의 하수관(1) 내부 상측면에 하나 이상의 상기 와이어걸이(100)가 상기 하수관(1)의 제작과정에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200)가 하수관(1) 내부에 설치되는 과정은, 상기 와이어걸이(100)가 지상면에 대하여 위쪽을 향하도록 맞춰진 상기 하수관(1)을 하수관 접합부(2)로 연결하면서 상기 와이어(200)를 상기 와이어걸이(100)에 걸치는 단계와, 상기 와이어(200)를 하수관 맨홀(3, 3')내 하부 측면에 설치된 와이어 롤러(310)를 거쳐 상기 하수관 맨홀(3, 3')내 상부 측면에 설치된 와이어 고정부재(300)에 고정 시키는 단계를 수행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와이어(200)가 하수관(1) 내에서 처지지 않으며 하수관(1)의 파손, 부등침하로 인하여 끊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 고정부재(300)를 이용하여 적절한 장력으로 조절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와이어 고정부재(300)는 상기 와이어(200)을 감을 수 있는 드럼과 상기 와이어(200)를 감은 상태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걸림쇄를 갖는 일반적인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200)의 한쪽 끝단에 상기 와이어(200)보다 긴 로프 또는 다른 와이어(200)를 묶어 반대편 끝단에서 당김으로서, 상기 와이어(200)를 용이하게 교체 및 청결 유지를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수관 감시카메라 이동장치에서, 감시카메라(500)를 투입한 후의 상태 단면도이다.
도 3에 따르면, 상기 도 1에 따라 설치된 하수관 감시카메라 이동장치는, 상기 와이어(200)를 타고 이동 가능한 감시카메라 캐리지(4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감시카메라 캐리지(400)에는 감시카메라(500) 및 조명등(510)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감시카메라 캐리지(400)는 지상의 감시제어장치(530)와 케이블(520)로 연결되어 상기 감시카메라 캐리지(400)의 구동장치 및 상기 조명등(510)의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감시카메라(500)의 영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이용한 하수관 감시 방법은, 상기 감시카메라(500)가 장착된 상기 감시카메라 캐리지(400)를 하수관 맨홀(3) 상부에서 와이어(200)에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감시카메라 캐리지(400)을 상기 와이어(200)를 따라 상기 하수관 맨홀(3) 하부로 하강시키는 단계와, 상기 감시카메라 캐리지(400)을 상기 와이어 롤러(610)를 통과시킴으로서 하수관(1) 내부로 투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감시카메라 캐리지(400)를 상기 와이어(200)을 따라 이동시키며 감시카메라(500)로 상기 하수관(1) 내부를 촬상하며 감시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와이어(200)에 강한 장력이 가해지면, 상기 감시카메라 캐리지(400)가 상기 와이어 롤러(310)를 통과하기 어려우므로, 와이어 고정부재(300)로 상기 와이어(200)의 장력을 조절하고, 상기 감시카메라 캐리지(400)가 상기 하수관(1) 내부로 투입된 이후에는 상기 와이어(200)의 장력을 강하게 조절하여 상기 감시카메라 캐리지(400)가 쳐지거나 흔들리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감시카메라를 이용한 하수관(1) 감시방법에 의하면, 복잡한 장치를 요하지 않고, 설치된 와이어(200)를 이용하여 적은 인력으로 용이하게 감시카메라를 하수관에 투입시킬 수 있고, 강한 장력으로 고정된 상기 와이어(200)를 따라 흔들림이 없이 감시카메라를 이동시키며 상기 하수관(1) 내부를 촬영 감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감시제어장치(530)와 상기 케이블(520)과 상기 케이블(520) 투입을 위한 케이블드럼 등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본 설명에서는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캐리지(400)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캐리지(400)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감시카메라 캐리지(400)는 와이어(200)가 관통되는 가이드케이스(410)와, 구동장치와 감시카메라(500)와 조명등(510)이 장착되는 본체(420)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케이스(410)의 내부에는 와이어(200)를 상하에서 잡아주는 구동롤러(430)와 가이드롤러(440, 450)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420)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롤러(430)에 부착된 구동축(431)과 롤러(432)와 구동모터(470)와 동력을 전달하는 롤러(460)와 벨트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420)에는 감시카메라(500)와 조명등(510)과 케이블이 부착되는 부분이 하부에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동모터(470)는 정역운전이 가능하며, 상기 구동모터(470)의 동력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상기 구동롤러(430)는 상기 가이드롤러(440)에 의해 하부가 받쳐지는 상기 와이어(200)를 위에서 누르면서 상기 감시카메라 캐리지(400)를 상기 와이어(200)를 따라 이동시킨다. 상기 가이드케이스(410)에서 상기 와이어(200)가 관통하여 들어가는 부분과 나오는 부분은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감시카메라 캐리지(400)가 와이어걸이(100)에 걸리지 않고 지나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케이스(410)의 상부면 중앙이 하부로 패여 있으므로 상기 감시카메라 캐리지(400)는 와이어롤러(310)를 원활하게 지나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 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수관 바닥면의 장애물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감시카메라로 하수관 내부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시카메라를 쉽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수관을 포설할 때에, 감시카메라를 장착할 수 있는 이동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Claims (4)

  1. 하수관 감시카메라를 하수관(1) 내부에 투입시켜 하수관(1) 내부를 촬영 및 감시하게 하는 하수관 감시카메라 이동장치에 있어서,
    하수관(1) 내부면에 부착되는 면(110)과, 역티자형의 지지틀(120)과, 이탈방지턱(130)과, 상기 역티자형의 지지틀(120)과 상기 이탈방지턱(130)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경사면(150, 160)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걸이(100);와
    상기 와이어걸이(100)에 걸쳐지며 설치되는 와이어(200);와
    하수관 맨홀(3, 3')내 상부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200)의 양쪽 끝단을 고정하고, 상기 와이어(200)의 장력을 조정하는 와이어 고정부재(300);와
    하수관(1)과 하수관 맨홀(3, 3')의 접합부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200)를 상기 와이어 고정부재(300)로 방향 전환하는 와이어롤러(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수관 감시카메라 이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200)를 타고 이동하며 감시카메라(500)가 장착되는 감시카메라 캐리지(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시카메라 캐리지(400)는
    상기 와이어(200)가 관통되는 가이드케이스(410)와,
    구동장치와 감시카메라(500)와 조명등(510)이 장착되는 본체(42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감시카메라 이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케이스(410)는,
    상기 와이어(200)를 상하에서 잡아주는 구동롤러(430)와 가이드롤러(440)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롤러(430)의 회전으로 상기 와이어(200)를 타고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감시카메라 이동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케이스(410)는,
    상기 와이어(200)가 관통하여 들어오고 나가는 부분은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감시카메라 이동장치.
KR1020060112137A 2006-11-14 2006-11-14 하수관 감시카메라 이동장치 KR100760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137A KR100760182B1 (ko) 2006-11-14 2006-11-14 하수관 감시카메라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137A KR100760182B1 (ko) 2006-11-14 2006-11-14 하수관 감시카메라 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0182B1 true KR100760182B1 (ko) 2007-09-20

Family

ID=38738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2137A KR100760182B1 (ko) 2006-11-14 2006-11-14 하수관 감시카메라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01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6415A1 (ko) * 2016-02-23 2017-08-31 주식회사 영국전자 감시 카메라의 배향 조절 장치
KR102234033B1 (ko) * 2020-10-07 2021-03-30 유한회사 장강 하수관 내부 촬영 시스템 및 방법
KR102242571B1 (ko) * 2020-10-07 2021-04-20 유한회사 장강 하수관 내부 촬영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0678A (ja) * 1987-11-17 1989-05-23 Kafuro Kk 撮像装置
KR200157120Y1 (ko) 1997-05-20 1999-09-15 이진하 하수박스 내부 유지관리용 장비
KR200230684Y1 (ko) 2001-02-02 2001-07-19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콘크리트 하수 박스 내부의 퇴적물 제거 장비
KR200308973Y1 (ko) 2002-12-11 2003-03-31 주식회사 한국지중정보 하수관로의 내부 촬영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0678A (ja) * 1987-11-17 1989-05-23 Kafuro Kk 撮像装置
KR200157120Y1 (ko) 1997-05-20 1999-09-15 이진하 하수박스 내부 유지관리용 장비
KR200230684Y1 (ko) 2001-02-02 2001-07-19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콘크리트 하수 박스 내부의 퇴적물 제거 장비
KR200308973Y1 (ko) 2002-12-11 2003-03-31 주식회사 한국지중정보 하수관로의 내부 촬영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6415A1 (ko) * 2016-02-23 2017-08-31 주식회사 영국전자 감시 카메라의 배향 조절 장치
KR102234033B1 (ko) * 2020-10-07 2021-03-30 유한회사 장강 하수관 내부 촬영 시스템 및 방법
KR102242571B1 (ko) * 2020-10-07 2021-04-20 유한회사 장강 하수관 내부 촬영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41382A (ko) 승강식 지주대
KR100760182B1 (ko) 하수관 감시카메라 이동장치
KR101275117B1 (ko) 유체 이송관의 관로 탐사 원격 모니터링 장치
CN111894115A (zh) 一种市政工程用污水管道疏通装置及其实施方法
CN112448327B (zh) 一种管线施工方法及施工辅助装置
KR100784328B1 (ko) 하수관 감시 시스템
KR101147597B1 (ko) 지중화 케이블 복합 파워 풀링장치
JP3692409B2 (ja) 架線の移線工法及び移線装置
CN102155627A (zh) 一种地下管道摄像检测装置
CN108644531B (zh) 轨道式排水管道检测设备及使用其检测排水管道的方法
JP2000350322A (ja) ロボ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下水管路内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敷設工法
KR101749072B1 (ko) 케이블 포설장치
JP3746681B2 (ja) 下水道管内光ケーブル敷設方法
JP5324366B2 (ja) 下水路系内作業安全装置
KR100454159B1 (ko) 하수관로의 내부 촬영방법 및 그 장치
JP4256972B2 (ja) 管内ケーブルの敷設方法とその敷設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ヒューム管
KR200234549Y1 (ko) 콘크리트 하수박스 내부 퇴적물 제거용 장비
KR200310124Y1 (ko) 하수관로의 맨홀 받침틀에 부착되는 윈치 지지장치
CN214402492U (zh) 安装于大型吊物孔的室内可移动式雨棚
JP4149800B2 (ja) 地中管路への通信ケーブル敷設用管内作業装置及び通信ケーブル敷設方法
KR100793827B1 (ko) 케이블 홀더와 케이블의 부설 장치 및 그 이동 방법
KR102410534B1 (ko) 방향전환 및 장력을 최소화 한 상ㆍ하수관 관로점검장치
KR100842379B1 (ko) 관거 탐사장치
CN212078247U (zh) 一种室外管道安装施工辅助装置
KR20190019424A (ko) 지중케이블 철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케이블 철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