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6307A -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6307A
KR20110086307A KR1020100005967A KR20100005967A KR20110086307A KR 20110086307 A KR20110086307 A KR 20110086307A KR 1020100005967 A KR1020100005967 A KR 1020100005967A KR 20100005967 A KR20100005967 A KR 20100005967A KR 20110086307 A KR20110086307 A KR 20110086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yoke
assembly
camera lens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4761B1 (ko
Inventor
김희승
방지영
김경원
강일규
Original Assignee
자화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화전자(주) filed Critical 자화전자(주)
Priority to KR1020100005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761B1/ko
Publication of KR20110086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6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5Neutral density fil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hutters For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개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셔터 어셈블리; 및 셔터 어셈블리와 조립되는 자동 초점 어셈블리로 구성된다. 셔터 어셈블리는 셔터 베이스; 상기 셔터 베이스 상면에 조립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 상면에 적층되게 조립되는 셔터부; 구동코일이 직접 삽입되어 조립되는 L형 요크와, 상기 L형 요크와 대향으로 상기 셔터 베이스 저면에 안착되는 S형 요크와, 상기 L형 요크와 S형 요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코일과 함께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로터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 및 상기 셔터부의 개폐힘을 제공하는 구동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CAMERA LENS ASSEMBLY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셀룰러 폰, 스마트 폰, 노트북 등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 단말기에 채용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 셔터를 구동시키는 자기회로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보편화된 셀룰러 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는 소형 및 경량화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등장하여, 휴대 단말기에 채용되어져 왔다. 더욱이, 휴대 단말기에 채용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고용량 고성능을 유저가 요구하고 있는 추세에 있어서, 보다 디지털 카메라급에 준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개발이 활발한 추세에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에 채용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고성능 고용량이면서도, 소형화 및 경량화에 유리한 방향으로 개발되는 추세에 있다.
보편화된 휴대 단말기에 채용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자동 초점 기능, 셔터 기능 및 줌기능이 기본적으로 탑재되고, 카메라 기능에 충실하도록 손떨림 보정기능까지 구비되고 있다.
종래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채용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대한민국 등록번호 10-884962호에 개시되었다.
본 출원인에 기출원되어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번호 10-884962호는 요크와 구동코일 간의 조립성이 저하되어 제조원가 상승에 기여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조립성이 향상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ND 필터를 채용하여 카메라 모드에서 다양한 피사체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셔터 어셈블리; 및 상기 셔터 어셈블리와 조립되는 자동 초점 어셈블리로 구성되고,
상기 셔터 어셈블리는
셔터 베이스; 및 구동 코일이 직접 삽입된 L형 요크와, 상기 L형 요크와 대향으로 상기 셔터 베이스에 안착되는 S형 요크와, 상기 L형 요크와 S형 요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코일과 함께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로터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구동부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L형 요크는 일단이 곡형부이고, 타단이 상기 곡형부에서 연장된 선형 연장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선형부로 구성되며, 상기 S형 요크는 일단이 곡형부이고, 타단이 상기 곡형부에서 연장된 선형 연결부로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선형부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 코일이 상기 L형 요크의 선형부에 직접 삽입되어 조립된다.
본 발명에 따른 S형 요크와 상기 L형 요크는 간극을 가지게 마주보게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L형 및 S형 요크의 곡형부는 상기 로터 마그네트의 외주면을 감싸는 방향으로 휘어지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셔터 어셈블리; 및 상기 셔터 어셈블리와 조립되는 자동 초점 어셈블리로 구성되고,
상기 셔터 어셈블리는
셔터 베이스; 및 상기 셔터 베이스 상면에 조립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 상면에 적층되게 조립되는 셔터부; 구동코일이 직접 삽입되어 조립되는 L형 요크와, 상기 L형 요크와 대향으로 상기 셔터 베이스 저면에 안착되는 S형 요크와, 상기 L형 요크와 S형 요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코일과 함께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로터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 및 상기 셔터부의 개폐힘을 제공하는 구동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는 ND 필터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는 상하 ND 가이드; 및 상기 상하 ND가이드 사이에 개재되는 ND 필터가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는 마그네트 커버가 더 구비되어 보호되고, 상기 마그네트 커버는 상기 로터 마그네트의 회전핀이 삽입되는 제1개구; 및 상기 구동코일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2개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셔터부 상면에 탑 커버와 보호 커버가 순차적으로 더 조립되어 상기 셔터부와 필터부를 가압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셔터 어셈블리; 및 상기 셔터 어셈블리와 조립되는 자동 초점 어셈블리로 구성되고,
상기 셔터 어셈블리는 셔터 베이스; 및 제1요크와, 상기 제1요크와 대향으로 상기 셔터 베이스에 안착되며, 구동코일이 직접적으로 삽입되는 제2요크와, 상기 제1,2요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 코일과 함께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로터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구동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요크는 L형으로 구성되고, 제2요크는 S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셔터 어셈블리; 및 상기 셔터 어셈블리와 조립되는 자동 초점 어셈블리로 구성되고,
상기 셔터 어셈블리는 셔터 베이스; 상기 셔터 베이스 상면에 조립되는 ND 필터부; 상기 필터부 상면에 적층되게 조립되는 셔터부; 및 구동코일이 직접 삽입되는 제1요크와, 상기 제1요크와 대향으로 상기 셔터 베이스 저면에 안착되는 제2요크와, 상기 제1,2요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코일과 함께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로터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와 함께 상기 셔터부의 개폐힘을 제공하는 구동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요크는 L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요크는 S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요크와 대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2요크는 함께 상기 로터 마그네트를 감싸는 방향으로 휘어지는 곡형부를 각각 구비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요크와 구동 코일 조립 공정 시에 조립성이 향상되어서 제작 원가를 절감하는데 기여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ND 필터를 채용하여서 보다 카메라 기능성을 확장하여, 카메라 모드에서 유저에게 보다 다양한 피사체 촬영을 가능하는 이점을 달성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셔터 어셈블리의 자기회로 구동부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가 셔터 베이스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자기회로 구동부 어셈블리에 연성 회로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채용된 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의 L형 요크와 구동 코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의 S형 요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채용된 마그네트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셔터 어셈블리의 필터부와 셔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의 동작에 따른 4가지 모드를 각각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는 모듈화된 자동 초점 어셈블리(2)(auto focus assembly)와, 모듈화된 셔터 어셈블리(3)(shutter assembly)로 구성되며, 상기 셔터 어셈블리(3)는 광축을 중심으로 자동 초점 어셈블리(2)에 하방으로 이동하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 조립이 완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셔터 어셈블리(3)는 셔터 베이스(322)를 중심으로 셔터 베이스(322) 저면에 조립되는 자기회로 구동부 어셈블리(30)와, 상기 셔터 베이스 상면에 조립되는 필터부 및 셔텨부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부 및 셔터부는 도 10,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기회로 구동부 어셈블리(30)는 셔터 베이스(31)와, 상기 셔터 베이스(31) 저면에 조립되는 제1,2구동부(32,33)를 포함하고, 상기 제1,2구동부(32,33)를 감싸게 조립되는 마그네트 커버(34)를 더 포함한다. 참조부호 FPCB은 상기 제1,2구동부(32,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성 회로를 지칭한다.
도 4, 도 5에는 상기 셔터 베이스(31) 저면에 제1,2 구동부(32,33)가 장착된 상태가 보여진다. 상기 제1,2구동부(32,33)는 상기 셔터 베이스(31) 저면 양측 모서리 영역에 대향으로 대칭으로 각각 장착된다. 상기 제1,2구동부(32,33)는 후술하는 셔터부와 필터부의 개폐힘, 즉 회전력을 제공한다. 도 6은 완전히 조립된 자기회로 구동부 어셈블리(30)를 나타낸다. 상기 셔터 베이스(31)에 조립된 제1,2구동부는 마그네트 커버(도 9에 도시됨)에 의해 보호되고, 최종적으로 연성 회로(FPCB)가 조립된다.
상기 제1구동부(32)는 절연 재질의 제1,2요크(320,322)와, 상기 제1요크(320)에 구비된 구동 코일(c1)과, 상기 제1,2요크(320,322) 사이에 대향으로 배치되는 자성체 재질의 단일 로터 마그네트(M1)를 포함한다. 상기 제1요크(320)는 영문 알파벳 L형으로 구성(이하 'L형 요크'라 한다)되고, 상기 제2요크(322)는 영문 알파벳 S형으로 구성(이하 'S형 요크'라 한다)된다. 상기 L형 요크(320)는 상기 S형 요크(322)와 대향으로 상기 셔터 베이스(31) 저면 소정 위치에 안전하게 조립된다. 상기 로터 마그네트(M1)는 상기 L형 요크(3246)와 S형 요크(3240) 및 상기 구동 코일에 의해 둘러 쌓이게 배치되어서, 자기회로를 구성한다.
상기 제2구동부(33)는 절연 재질의 제1,2요크(330,332)와, 상기 제1요크(330)에 구비된 구동 코일(c2)과, 상기 제1,2요크(330,332) 사이에 대향으로 배치되는 자성체 재질의 단일 로터 마그네트(M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요크(330)는 영문 알파벳 L형으로 구성(이하 'L형 요크'라 한다)되고, 상기 제2요크(332)는 영문 알파벳 S형으로 구성(이하 'S형 요크'라 한다)된다. 상기 L형 요크(330)는 상기 S형 요크(332)와 대향으로 상기 셔터 베이스(31) 저면 소정 위치에 안전하게 조립된다. 상기 로터 마그네트(M2)는 상기 L형 요크(330)와 S형 요크(332) 및 상기 구동 코일(c2)에 의해 둘러 쌓이게 배치되어서, 자기회로를 구성한다.
상기 제1,2구동부(32,33)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셔터 베이스(31)에 대향으로 대칭으로 장착되기 때문에 제1구동부(32)의 구성만을 설명하고, 제2구동부(33)의 구성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L형 요크(320)는 일단이 곡형부(3201)이고, 타단이 선형부(3203)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L형 요크(320)는 곡형부(3201)와 일체형인 선형 연결부(3202)에서 상기 선형부(3203)가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구동 코일(c1)은 다수 번 권선된 상태에서 상기 선형부(3203)에 직접적으로 삽입되어 조립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S형 요크(322)는 일단이 곡형부(3221)이고, 타단이 선형부(3223)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S형 요크(322)는 상기 곡형부(3221)와 일체형으로 선형 연결부(3222)에서 상기 선형부(3223)가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L형 요크의 선형부의 단(3204)과, 상기 S형 요크의 선형 연결부(3222)와 선형부(3223) 사이의 면 간은 서로 간극을 가지게 배치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L형 요크 및 S형 요크의 각각의 곡형부(3201,3221)는 상기 로터 마그네트(M1)의 외주면을 감싸는 방향으로 각각 휘어지게 구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그네트 커버(34)는 셔터 베이스에 조립된 제1,2구동부(32,33)를 보호하기 위해서 셔터 베이스(31)에 조립된다. 상기 마그네트 커버(34)는 상기 제1,2구동부(32,33)의 각각의 구동 코일(c1,c2)이 삽입되는 제1개구(340,341)와, 각각의 로터 마그네트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제2개구(342,343)를 포함한다.
도 10,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셔터 어셈불리의 필터부(35)와 셔터부(36)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1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셔터 어셈블리는 상기 셔터 베이스(31) 상에 필터부(35)와, 셔터부(36)가 적층구조로 조립되고, 탑 커버(37)와 보호 커버(38)에 의해 가압상태로 보호된다.
상기 필터부(35)는 ND(neutral density) 필터부로서, ND 플레이트(350)와, ND 플레이트(350) 상면에 조립되는 ND 가이드(351) 및 상기 ND 가이드(351)에 구비된 ND 필터(352)를 포함한다. 상기 ND 필터부(35)는 상하의 ND 가이드(351) 사이에 ND 필터(352)가 개재되어 제작된다. 언급된 ND 필터(352)의 광량을 감소시키는 기능은 당해분야에서 당업자에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ND 플레이트(350)는 두개의 가이드 구멍(350a,350b)이 대향으로 대칭으로 구비되고, 다수개의 조립 구멍(350c)이 구비되어서 상기 셔터 베이스(31)에 안전하게 조립된다. 상기 ND 가이드(351)는 한 개의 가이드 구멍(351a)과 로터 마그네트 회전핀에 삽입되는 한 개의 축구멍(351b)이 구비된다.
상기 셔터부(36)는 셔터 플레이트(360)와 한 쌍의 셔터 블레이드(361)를 포함한다. 상기 셔터 플레이트(360)는 두 개의 가이드 구멍(360a,360b)이 구비되고, 상기 두 개의 가이드 구멍(360a,360b)은 대향으로 대칭으로 배치되며, 상기 ND 플레이트에 구비된 가이드 구멍(350a,350b)과 대응하며, 광축으로 배열된다. 상기 셔터 플레이트(360)는 다수개의 조립구멍(360c)이 구비되어서 상기 셔터 베이스(31)에 안전하게 조립된다. 상기 셔터 블레이드(361)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바, 각각 한 개의 가이드 구멍(361a)과, 모터 마그네트의 회전핀에 삽입되는 축구멍(361b)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필터 플레이트 및 셔터 플레이트에 구비된 소정 형상의 가이드 구멍의 하나(350a,360a)는 하나의 로터 마그네트의 회전핀이 조립되어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고, 다른 하나의 가이드 구멍(350b,360b)도 다른 하나의 로터 마그네트의 회전핀이 조립되어 이경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탑 커버(37)는 상기 필터 플레이트의 가이드 구멍(350a,350b)과, 셔터 플레이트의 가이드 구멍(360a,360b)에 대응하는 두개의 가이드 구멍(370a,370b)이 형성되고, 다수개의 조립 구멍(370c)이 제공되어 셔터 베이스에 안전하게 조립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서, 동작원리를 설명하면, 구동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구동 코일과 로터 마그네트 간에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서 로터 마그네트의 회전핀은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핀의 회전력은 상기 ND 가이드와 셔터 블레이트를 회전시키는 바, 제1,2구동부와 필터부 및 셔터부가 제공되어서, 본 발명에 따른 셔터 어셈블리는 4가지의 모드 상태를 제공한다. 4가지 모드는 하기 도면에 도시되었다.
도 12a는 ND 필터가 '온'인 셔터 어셈블리(3)의 평면 상태를 나타내고, 도 12b는 ND 필터가 '오프'인 셔터 어셈블리(3)의 평면 상태를 나타내며, 도 12c는 셔터가 '온'인 셔터 어셈블리(3)의 평면 상태를 나타내고, 도 12d는 셔터가 '오프'인 셔터 어셈블리(3)의 평면 상태를 나타낸다.

Claims (14)

  1.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셔터 어셈블리; 및
    상기 셔터 어셈블리와 조립되는 자동 초점 어셈블리로 구성되고,
    상기 셔터 어셈블리는
    셔터 베이스; 및
    구동 코일이 직접 삽입된 L형 요크와, 상기 L형 요크와 대향으로 상기 셔터 베이스에 안착되는 S형 요크와, 상기 L형 요크와 S형 요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코일과 함께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로터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구동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형 요크는 일단이 곡형부이고, 타단이 상기 곡형부에서 연장된 선형 연장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선형부로 구성되며, 상기 S형 요크는 일단이 곡형부이고, 타단이 상기 곡형부에서 연장된 선형 연결부로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선형부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 코일이 상기 L형 요크의 선형부에 직접 삽입되어 조립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형 요크와 상기 L형 요크는 간극을 가지게 마주보게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L형 및 S형 요크의 곡형부는 상기 로터 마그네트의 외주면을 감싸는 방향으로 휘어지게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5.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셔터 어셈블리; 및
    상기 셔터 어셈블리와 조립되는 자동 초점 어셈블리로 구성되고,
    상기 셔터 어셈블리는
    셔터 베이스;
    상기 셔터 베이스 상면에 조립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 상면에 적층되게 조립되는 셔터부;
    구동코일이 직접 삽입되어 조립되는 L형 요크와, 상기 L형 요크와 대향으로 상기 셔터 베이스 저면에 안착되는 S형 요크와, 상기 L형 요크와 S형 요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코일과 함께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로터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 및 상기 셔터부의 개폐힘을 제공하는 구동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ND 필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하 ND 가이드; 및
    상기 상하 ND가이드 사이에 개재되는 ND 필터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마그네트 커버가 더 구비되어 보호되고,
    상기 마그네트 커버는 상기 로터 마그네트의 회전핀이 삽입되는 제1개구; 및 상기 구동코일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2개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L형 요크는 일단이 곡형부이고, 타단이 상기 곡형부에서 연장된 선형 연장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선형부로 구성되며, 상기 S형 요크는 일단이 곡형부이고, 타단이 상기 곡형부에서 연장된 선형 연결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선형부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 코일이 상기 L형 요크의 선형부에 직접적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 상면에 탑 커버와 보호 커버가 순차적으로 더 조립되어 상기 셔터부와 필터부를 가압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11.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셔터 어셈블리; 및
    상기 셔터 어셈블리와 조립되는 자동 초점 어셈블리로 구성되고,
    상기 셔터 어셈블리는
    셔터 베이스; 및
    구동코일이 직접적으로 삽입되는 제1요크와, 상기 제1요크와 대향으로 상기 셔터 베이스에 안착되는 제2요크와, 상기 제1,2요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 코일과 함께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로터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구동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요크는 L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요크는 S형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13.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셔터 어셈블리; 및
    상기 셔터 어셈블리와 조립되는 자동 초점 어셈블리로 구성되고,
    상기 셔터 어셈블리는
    셔터 베이스;
    상기 셔터 베이스 상면에 조립되는 ND 필터부;
    상기 필터부 상면에 적층되게 조립되는 셔터부;
    구동코일이 직접 삽입되는 제1요크와, 상기 제1요크와 대향으로 상기 셔터 베이스 저면에 안착되는 제2요크와, 상기 제1,2요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코일과 함께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로터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와 함께 상기 셔터부의 개폐힘을 제공하는 구동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요크는 L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요크는 S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요크와 대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2요크는 함께 상기 로터 마그네트를 감싸는 방향으로 휘어지는 곡형부를 각각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20100005967A 2010-01-22 2010-01-22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1104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967A KR101104761B1 (ko) 2010-01-22 2010-01-22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967A KR101104761B1 (ko) 2010-01-22 2010-01-22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307A true KR20110086307A (ko) 2011-07-28
KR101104761B1 KR101104761B1 (ko) 2012-01-12

Family

ID=44922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967A KR101104761B1 (ko) 2010-01-22 2010-01-22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7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790B1 (ko) * 2011-12-02 2013-06-10 자화전자 주식회사 카메라용 셔터장치
KR20150075848A (ko) * 2013-12-26 2015-07-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9629268B2 (en) 2014-05-19 2017-04-1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125A (ja) 1997-06-30 1999-01-29 Canon Inc 光学機器
JP2004095703A (ja) 2002-08-30 2004-03-25 Nidec Copal Corp 電磁アクチュエータ及びカメラ用シャッタ装置
KR100459352B1 (ko) 2003-10-07 2004-12-03 주식회사 씨티전자 소형 카메라용 셔터장치
KR100948503B1 (ko) * 2008-05-29 2010-03-23 동인하이텍주식회사 영상촬영장치의 셔터모듈용 액추에이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790B1 (ko) * 2011-12-02 2013-06-10 자화전자 주식회사 카메라용 셔터장치
KR20150075848A (ko) * 2013-12-26 2015-07-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9629268B2 (en) 2014-05-19 2017-04-1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4761B1 (ko)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7389B2 (en) Voice coil motor
US20200083793A1 (en) Voice coil motor
US8247931B2 (en) Voice coil motor with rotation stopping means
CN114326265B (zh) 透镜驱动装置、摄像装置模块以及光学设备
KR101170714B1 (ko) 자동 초점 엑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721263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JP2012032778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20110008714U (ko) 렌즈 초점 조절장치
US20220206362A1 (en) Lens module
KR101743292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104761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JP5146951B2 (ja) レンズ駆動装置
CN107533209B (zh) 透镜驱动装置
CN101933216B (zh) 马达
CN110073287A (zh) 叶片驱动装置
KR20180105970A (ko) 조리개장치
KR20040078164A (ko) 편평형 스텝핑 모터
KR20110097280A (ko) 렌즈 초점 구동장치
KR102258860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조립 방법 및 이를 갖는 카메라 모듈
KR101321799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WO2009022777A1 (en) Shutter device for camera
JP2004341393A (ja) レンズ駆動機構および電子機器
JP2006087211A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及び電子機器
KR20110088925A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셔터 구동장치
KR102220797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