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2790B1 - 카메라용 셔터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용 셔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2790B1
KR101272790B1 KR1020110128629A KR20110128629A KR101272790B1 KR 101272790 B1 KR101272790 B1 KR 101272790B1 KR 1020110128629 A KR1020110128629 A KR 1020110128629A KR 20110128629 A KR20110128629 A KR 20110128629A KR 101272790 B1 KR101272790 B1 KR 101272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hutter
mover
camer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승
방지영
김경원
강일규
Original Assignee
자화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화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자화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8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27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3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exposure tim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hutters For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용 셔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조립부품의 감소에 따른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광축 방향의 두께를 줄여 셔터장치의 슬림화를 구현할 수 있는 카메라용 셔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제어하기 위한 셔터부와; 상기 셔터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면에 상기 셔터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하부에 결합되는 바텀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와 바텀커버 사이에는 상기 구동부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수납공간에는, 평면방향(X-Y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자; 및 상기 이동자를 평면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이동자 구동부;가 설치되며, 상기 이동자 구동부는 상기 이동자를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정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메라용 셔터장치{SHUTTER APPARATUS FOR A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용 셔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부품의 감소에 따른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광축 방향의 두께를 줄여 셔터장치의 슬림화를 구현할 수 있는 카메라용 셔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용 셔터에는, 촬영 렌즈의 근접 위치에 배치되는 렌즈 셔터와, 필름이나 촬영소자(CCD) 등의 직전 위치에 배치되는 포컬 플레인 셔터(focal plane shutter)가 있다.
그 중에서 렌즈 셔터는 원형의 노광 통로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지만, 통상은 복수 개의 셔터 블레이드가 노광 통로의 중심으로부터 열리거나 닫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셔터 블레이드가 1매만 설치되어 노광 통로의 주변부로부터 열려 전개되거나, 전개 후 그 노광통로의 주연부를 향해 닫히도록 된 형태도 있다.
한편, 카메라에는 통상적으로 촬영 렌즈의 근접 위치에 광량 제어 기구가 배치된다. 이러한 광량 제어 기구로서 통상적으로 채용되고 있는 것은 조리개가 있는데, 이러한 조리개는 2가지의 형태가 있다. 그 중의 하나는 복수 매의 셔터 블레이드를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동시에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의 협동에 의해 광축을 중심으로 하여 통로 구경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다른 방식은 노광 통로보다 직경이 작은 적어도 하나의 원형의 개구부를 갖는 조리개 부재가 설치되거나, 상기 개구부를 하나만 갖는 복수의 조리개 부재를 설치하여 그 개구부를 촬영 광로 내에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광량 제어 기구로는, 위에 언급한 조리개 외에, ND(Neutral Density) 필터를 이용한 것이 있다. 이러한 ND필터를 이용한 광량 제어 기구는, 소정의 농도를 가지는 하나의 ND필터를 노광 통로에 진퇴 시키도록 구성한 형태와, 농도가 다른 복수의 ND필터를 노광 통로에 선택적으로 진퇴 시키도록 한 형태가 있다. 또한, 상기 ND필터를 이용하는 것 중에서는 위의 두 개 타입의 조리개 중에서, 후자의 타입의 조리개와 조합된 것도 있다. 그리고, 그 일례로서는, 노광 통로보다 직경이 작은 원형의 개구부를 ND필터로 가리도록 하여, 그 ND필터로 덮인 개구부를 노광 통로에 진퇴시키도록 한 형태가 있다. 이와 같은 광량 제어 기구는, 개구부를 작게 하지 않아도 피사체 광량을 크게 줄일 수가 있으므로, 회절의 영향을 받지 않게 하고 싶은 경우에 적절하게 사용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렌즈 셔터 기구와 광량 제어 기구는 모두 필름이나 촬영소자의 직전 위치에는 배치되지 않고, 촬영 렌즈의 근방 위치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위와 같은 렌즈 셔터 기구와 광량 제어 기구의 2 개의 기구를 마련하는 카메라에 있어서는, 이것들을 하나의 유니트(unit)로서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택한 일례는 일본 특허공개 제2001-117135호나 한국 공개특허 제2009-0012497호의 공보에도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한편, 카메라의 촬영시 촬영자의 손떨림이나 주변 진동에 의한 흔들림 등이 촬영된 이미지 내에 그대로 반영되면 영상이 번지거나 흐려지는 등의 화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카메라의 흔들림을 자동으로 보정해주는 다양한 영상 안정화(Optical Image Stabilization)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의 흔들림에 상응하는 적정의 이동량만큼 광학렌즈를 구동 제어함으로써 이미지 센서 상의 결상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의 흔들림으로부터 광학렌즈의 목표위치를 산출해내고, 광학렌즈의 현 위치와의 차이신호를 이용하여 피드백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보정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카메라의 흔들림을 자동으로 보정해 주는 보정장치의 일 예는 한국 공개특허 제2011-0047541호에서도 잘 나타나 있다. 이에 따르면, 종래의 카메라의 흔들림 자동 보정장치는 보정렌즈와, 보정렌즈가 장착되는 렌즈 지지판과, 렌즈 지지판이 지지되는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렌즈 지지판의 양편으로는 마그네트가 조립되고, 마그네트와 마주하도록 베이스의 상하면으로는 구동코일과 요크가 조립된다. 그리고, 상부에는 커버를 덮어 베이스 상에 조립하게 되고, 상기 커버에는 보정렌즈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홀 센서가 조립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최근 들어서는 위와 같은 흔들림 보정장치를 카메라에 렌즈 셔터 기구와 광량 조절 기구를 동시에 채택하고 있는 카메라의 셔터장치에 접목시켜 함께 구성하는 형태가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카메라 셔터장치는 광량 조절 기능을 갖는 하나의 셔터 조립체와, 흔들림 보정 기능을 갖는 흔들림 보정(OIS) 조립체가 단순한 기구적 형태로 결합되기 때문에, 중복되는 부품에 따른 구성부품 증가는 물론 구조가 복잡해지고, 그로 인한 조립공정의 복잡화, 제조비용의 증가 및 셔터장치 사이즈가 대형화되어, 근래의 디지털 카메라 및 카메라폰이 추구하고자 하는 슬림화 및 소형화에 적합한 제품 구현이 어려워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량조절 기능을 갖는 셔터부와 흔들림 보정(OIS) 기능을 갖는 흔들림 보정부가 구비된 카메라용 셔터장치에 있어서, 셔터부의 베이스와 흔들림 보정부의 바텀커버 사이에 셔터부의 셔터 블레이드와 광량조절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흔들림 보정부의 이동자를 구동시킬 수 있는 이동자 구동부를 설치하여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흔들림 보정부에 구비되던 조립부품을 감소시키는 효과와 함께 기구적으로 효울적인 배치구조를 갖도록 셔터장치를 구현할 수 있고, 조립부품의 감소에 따른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광축 방향의 두께를 줄여 셔터장치의 슬림화를 구현할 수 있는 카메라용 셔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카메라용 셔터장치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제어하기 위한 셔터부와; 상기 셔터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면에 상기 셔터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하부에 결합되는 바텀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와 바텀커버 사이에는 상기 구동부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수납공간에는, 평면방향(X-Y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자; 및 상기 이동자를 평면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이동자 구동부;가 설치되며, 상기 이동자 구동부는 상기 이동자를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정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자 구동부는, 상기 바텀커버에 X,Y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코일과; 상기 코일과 대응하도록 상기 이동자에 설치되는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과 대응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요크와; 상기 바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자의 이동 위치를 검출하는 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와 이동자의 사이에는 구름 마찰을 위한 복수의 볼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탑커버는 상기 베이스에 볼트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터부는,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입사되는 광을 개폐하는 셔터 블레이드; 및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광량조절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카메라용 셔터장치는, 셔터 조립체의 하부 구성부품인 베이스와 흔들림 보정(OIS) 조립체의 하부 구성부품인 바텀커버의 사이 위치에 셔터 블레이드와 광량조절부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이동자를 구동시킬 수 있는 이동자 구동부를 설치하여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흔들림 보정 조립체의 상부에 구비되던 커버 부품을 감소시켜 한층 효율적인 기구적 배치구조로 카메라 셔터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조립부품의 감소에 따른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카메라 셔터장치의 광축 방향의 두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 셔터장치의 슬림화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탑커버의 저면부에 셔터 블레이드와 광량조절부의 작동공간을 구획하는 두 개의 플레이트에 동시에 안착 및 지지될 수 있는 복수의 지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셔터 블레이드와 광량조절부의 작동공간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탑커버의 조립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립에 따른 기구적인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용 셔터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2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탑커버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탑커버의 저면부 구조를 보여주는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의 저면부에 구동부가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상세도.
도 7은 도 3의 A-A섹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용 셔터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탑커버의 구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상세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탑커버의 저면부 구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상세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의 저면부에 구동부가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상세도이고, 도 7은 도 3의 A-A섹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용 셔터장치(300)는, 카메라의 셔터(shutter) 기능을 수행하는 셔터 조립체(100)와, 자동 이미지 보정 기능을 수행하는 OIS(Optical Image Stabilisation) 조립체(200)로 구성된다.
상기 셔터 조립체(100)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제어하기 위한 셔터부와, 상기 셔터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170)와, 상면에 상기 셔터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베이스(160)와, 상기 베이스(160)의 하부에 결합되는 바텀커버(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셔터 조립체(100)는 상기 베이스(160)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1플레이트(140)와, 상기 제1플레이트(14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플레이트(120)와, 상기 베이스(160)에 결합되는 탑커버(1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셔터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14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16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구동부(170)에 의해 회전작동되며 입사되는 광을 개폐하는 셔터 블레이드(150)와, 상기 제2플레이트(1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16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구동부(170)에 의해 회전작동되며 입사되는 광의 양을 조절하는 광량조절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60)는 상부에 셔터 블레이드(150) 및 광량조절부(130)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마련되고, 중심부에는 광이 입사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삭제
그리고, 상기 베이스(160)의 하부에는 상기 셔터 블레이드(150) 및 광량조절부(13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170)가 설치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170)는 상기 셔터 조립체(100)의 하부 구성부품인 베이스(160)와 상기 OIS 조립체(200)의 하부 구성부품인 후술되는 바텀커버(220) 사이에 형성된 수납공간상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부(170)는 셔터 블레이드(150)를 구동하기 위한 제1구동부(170a)와, 광량조절부(130)를 구동하기 위한 제2구동부(170b)로 구성된다.
상기 제1구동부(170a)와 제2구동부(170b)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이스(160)의 저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166)에 부분적으로 수납된다. 그리고, 후술되는 OIS 조립체(200)의 바텀커버(220)를 상기 베이스(160)의 저면부에 결합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바텀커버(220)의 상면에는 상기 제1구동부(170a)와 제2구동부(170b)의 일부분이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들(170a)(170b)의 외형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별도의 홈부(22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구동부(170a)(170b)는 구동코일(171)이 삽입되어 조립되는 요크(172)와, 상기 요크(172)와 대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구동코일(171)과 함께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로터 마그네트(1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1 및 제2구동부(170a)(170b)는 구동코일(171)에 전류를 인가하여 자기회로를 구성한 후 발생되는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로터 마그네트(173)의 회전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셔터 블레이드(150) 및 광량조절부(130)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구동부(170)는 한국 특허공개 제2011-0088925호에 기재된 셔터 구동장치의 구성 및 구동원리를 동일하게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플레이트(140)는 베이스(160)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베이스(160) 내에 수납된다. 그리고, 상기 제1플레이트(140)의 상부에는 한 쌍의 블레이드(152)(154)로 구성된 셔터 블레이드(150)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152)(154)는 일부분이 겹쳐진 상태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데, 상기 각 블레이드(152)(154)의 일 부분은 베이스(160)의 상면 일측에 돌출된 2개의 지지축(16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서로 겹쳐진 다른 부분은 제1구동부(170a)의 로터 마그네트(173)에 형성된 핀축(174)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로터 마그네트(173)의 회전시 상기 핀축(174)에 결합된 2개의 블레이드(152)(154)가 각각의 지지축(161)을 중심으로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입사되는 광을 개폐하게 된다.
상기 제2플레이트(120)는 베이스(160)의 내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턱(162)에 안착되어 상기 베이스(160) 내에 수납된다. 이때, 상기 턱(162)은 베이스(160)의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2플레이트(120)를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는 최소한의 설치 개수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량조절부(130)는 ND(Neutral Density)블레이드(132)와, 입사되는 광량을 필터링할 수 있도록 상기 ND블레이드(134)의 일부분에 형성되는 ND필터(13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ND블레이드(132)의 일측은 베이스(160)의 상면에 돌출된 지지축(165)에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타측은 제2구동부(170b)의 로터 마그네트(163)에 형성된 핀축(174)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로터 마그네트(173)의 회전시 상기 핀축(174)에 결합된 ND블레이드(132)가 지지축(165)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DN필터(134)를 통해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탑커버(110)는 베이스(160) 내에 셔터 블레이드(150) 및 광량조절부(130)를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16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탑커버(110)는 베이스(160)의 내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턱(163)에 안착된 상태에서 볼트(180)를 체결하여 결합하게 되는데, 상기 베이스(160)의 상면에는 상기 볼트(180)가 체결될 수 있도록 암나사부가 형성된 보스(164)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140)와 제2플레이트(120)에는 상기 볼트(180)가 관통되거나 지나갈 수 있도록 적절한 형태의 개구(142)(122)가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탑커버(110)는 볼트(180)를 통해 베이스(160)에 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베이스의 내측 둘레에 형성된 턱에 안착시킨 후 접착제로 붙여 결합되던 기존의 탑커버 고정구조와 비교하여 베이스(160)와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고, 특히 베이스 내측 둘레에 걸쳐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조립이 간편하고 조립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접착제가 베이스 안쪽으로 이탈되어 발생되는 셔터장치의 작동성능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트(180)의 체결 개수와 설치위치는 셔터 블레이드(150)와 광량조절부(130)의 작동이 저해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변경하여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탑커버(110)를 볼트(180)를 이용하여 베이스(160)에 결합할 경우, 탑커버(110)의 결합력이 증대되는 장점을 갖지만, 반면, 상기 볼트(180)가 체결되는 탑커버(110)의 내측 부분은 별도로 지지해주는 구조가 없기 때문에 기구적인 보완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탑커버(110)를 베이스(160) 상부에 결합함에 있어, 셔터 블레이드(150) 및 광량조절부(130)의 원활한 작동공간을 마련함과 동시에 베이스(160)에 대한 탑커버(110)의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탑커버(110)의 저면부에 복수의 제1지지부(112) 및 제2지지부(114)를 형성하였다.
즉, 상기 탑커버(110)의 저면부에는 셔터 블레이드(150)가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는 높이로 복수의 제1지지부(112)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제1지지부(112)가 제1플레이트(140)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광량조절부(130)가 원활히 작동될 수 있는 높이로 복수의 제2지지부(114)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제2지지부(114)가 제2플레이트(120)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제1지지부(112)는 탑커버(110)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부(112)의 좌우에는 일정 폭의 절개홈(113)이 형성되어, 탑커버(110)에 제1지지부(112)를 형성하는 가공공정이나 탑커버(110)의 조립과정에서 상기 절개홈(113)이 형성된 부분에 클램핑 수단을 물린 후 제1지지부(112)의 가공작업을 수행하거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지지부(112)는 탑커버(110)의 가장자리에 서로 등간격을 이루며 배치되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3개의 제1지지부(112)를 탑커버(11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호 120도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하였다. 아울러, 상기 제1지지부(112)의 설치 위치를 베이스(160)의 두꺼운 측벽 부분에 배치되도록 설계하게 되면, 상기 제1지지부(112)에 의한 탑커버(110)의 지지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114)는 탑커버(110)의 저면부에 반구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플레이트(120) 상면과 접촉하여 지지되는 상기 제2지지부(114)의 하단부는 평면형태로 가공됨으로써 상기 제2플레이트(120)와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기 때문에 지지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지지부(114)는 셔터 블레이드(150)와 광량조절부(130)의 원활한 작동에 지장을 주지 않는 탑커버(110)의 적절한 위치에 복수 개를 랜덤(random)하게 설치하여 지지강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손떨림에 의한 자동 이미지 보정 기능을 수행하는 OIS 조립체(200)는 셔터 조립체(100)의 하부에 결합된다.
OIS 조립체(200)는 셔터 조립체(100)의 베이스(160) 하부에 결합되는 바텀커버(220)와, 상기 바텀커버(220)의 상부에 평면방향(X-Y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자(210)와, 상기 이동자(210)를 평면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이동자 구동부와, 전류가 인가되는 PCB(242)를 구비하며 상기 바텀커버(220)의 하부에 결합되는 바텀프레임(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자(210)는 셔터 조립체(100)의 베이스(160)와 OIS 조립체(200)의 바텀커버(220) 사이에 형성된 수납공간상에 평면방향(X-Y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개재되어 이동자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평면방향으로 이동되며 손떨림보정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160)와 이동자(210)의 사이에는 구름 마찰부재인 복수의 볼(270)이 설치되어 상기 이동자(210)의 평면이동시 상기 볼(270)을 통해 구름마찰되도록 하여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이동자 구동부는 바텀커버(220)의 상면에 X,Y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코일(230)과, 상기 코일(230)과 대응하도록 이동자(210)에 설치되는 영구자석(250)과, 상기 영구자석(250)과 대응하도록 베이스(160)에 설치되는 요크(260)와, 바텀프레임(240)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자(210)의 이동 위치를 검출하는 홀센서(24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동자 구동부를 구성하는 상기 코일(230), 영구자석(250), 요크(260), 홀센서(244)는 평면방향(X-Y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이동자(210)를 기준으로 수직방향(Z방향, 또는 광축방향)으로 정렬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자 구동부의 코일들(230)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발생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영구자석들(250)이 유동하여 결국 이동자(210)가 평면방향으로 유동하게 되고, 카메라 소자에 피사체 상이 입사되는 방향으로 이동자(210)가 유동하는 것은 상기 요크(260)와 영구자석(250)과의 인력에 의해 제한됨으로써, 손떨림 보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이동자 구동부에 의한 손떨림 보정원리는 한국 공개특허 제10-2007-0070145호에도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용 셔터장치는 셔터 조립체(100)의 하부 구성부품인 베이스(160)와 OIS 조립체(200)의 하부 구성부품인 바텀커버(220) 사이에 형성된 수납공간상에 셔터 블레이드(150)와 광량조절부(130)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부(170)와, 이동자(210), 및 상기 이동자(210)를 구동시킬 수 있는 이동자 구동부를 설치하여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흔들림 보정 조립체의 상부에 구비되던 커버 부품을 감소시켜 한층 효율적인 기구적 배치구조로 카메라 셔터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조립부품의 감소에 따른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카메라 셔터장치의 광축 방향의 두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 셔터장치의 슬림화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용 셔터장치는, 베이스의 내측 둘레에 걸쳐 형성된 턱에 안착시킨 후 접착제로 붙여 결합하던 기존의 탑커버 결합구조와는 달리 탑커버(110)를 볼트(180)를 통해 베이스(160)에 체결하는 결합구조를 채택함으로써, 탑커버(110)와 베이스(160)와의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고, 기존과 같이 베이스 내측 가장자리 전체에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고서도 탑커버를 간단하고 견고한 구조로 결합시킬 수 있어서, 조립이 간편하고 조립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기존처럼 접착제의 도포시 접착제가 베이스 안쪽으로 탈락되어 발생되는 셔터장치의 작동성능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볼트(180) 체결로 인한 탑커버(110)의 변형을 보완해 줄 수 있도록 탑커버(110)의 저면부에 제1지지부(112) 및 제2지지부(114)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112)(114)를 통해 셔터 블레이드(150) 및 광량조절부(130)의 작동공간을 효과적으로 구획하는 동시에 제1플레이트(140) 및 제2플레이트(120)의 위치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해줄 수 있기 때문에 기구적인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0 : 셔터 조립체 110 : 탑커버
112 : 제1지지부 114 : 제2지지부
120 : 제2플레이트 130 : 광량조절부
140 : 제1플레이트 150 : 셔터 블레이드
160 : 베이스 170 : 구동부
180 : 볼트 200 : OIS조립체
210 : 이동자 220 : 바텀커버

Claims (5)

  1.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제어하기 위한 셔터부와;
    상기 셔터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면에 상기 셔터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하부에 결합되는 바텀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와 바텀커버 사이에는 상기 구동부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수납공간에는,
    평면방향(X-Y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자; 및
    상기 이동자를 평면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이동자 구동부;가 설치되며,
    상기 이동자 구동부는 상기 이동자를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정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셔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자 구동부는,
    상기 바텀커버에 X,Y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코일과;
    상기 코일과 대응하도록 상기 이동자에 설치되는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과 대응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요크와;
    상기 바텀커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자의 이동 위치를 검출하는 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셔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이동자의 사이에는 구름 마찰을 위한 복수의 볼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셔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를 수납하는 탑커버는 상기 베이스에 볼트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셔터장치.
  5. 삭제
KR1020110128629A 2011-12-02 2011-12-02 카메라용 셔터장치 KR101272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629A KR101272790B1 (ko) 2011-12-02 2011-12-02 카메라용 셔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629A KR101272790B1 (ko) 2011-12-02 2011-12-02 카메라용 셔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2790B1 true KR101272790B1 (ko) 2013-06-10

Family

ID=48866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629A KR101272790B1 (ko) 2011-12-02 2011-12-02 카메라용 셔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279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95525A (ja) * 2016-01-05 2016-05-26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CN106933002A (zh) * 2015-12-30 2017-07-07 信泰光学(深圳)有限公司 镜头装置
CN108181775A (zh) * 2016-12-08 2018-06-19 三星电子株式会社 相机装置和电子设备
US10523850B2 (en) 2015-12-30 2019-12-31 Sintai Optical (Shenzhen) Co., Ltd. Camera device with adjustable aperture
WO2022173183A1 (ko) * 2021-02-09 2022-08-18 주식회사 파트론 셔터 구동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3810A (ko) * 2007-03-13 2008-09-19 자화전자(주) 카메라용 셔터장치
JP2010085447A (ja) 2008-09-29 2010-04-15 Nidec Copal Corp 像振れ補正装置、撮像レンズユニット、及び光量制御装置
JP2010164925A (ja) 2009-01-19 2010-07-29 Canon Inc ブレ補正機構、撮像装置
KR20110086307A (ko) * 2010-01-22 2011-07-28 자화전자(주)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3810A (ko) * 2007-03-13 2008-09-19 자화전자(주) 카메라용 셔터장치
JP2010085447A (ja) 2008-09-29 2010-04-15 Nidec Copal Corp 像振れ補正装置、撮像レンズユニット、及び光量制御装置
JP2010164925A (ja) 2009-01-19 2010-07-29 Canon Inc ブレ補正機構、撮像装置
KR20110086307A (ko) * 2010-01-22 2011-07-28 자화전자(주)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33002A (zh) * 2015-12-30 2017-07-07 信泰光学(深圳)有限公司 镜头装置
US10523850B2 (en) 2015-12-30 2019-12-31 Sintai Optical (Shenzhen) Co., Ltd. Camera device with adjustable aperture
JP2016095525A (ja) * 2016-01-05 2016-05-26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CN108181775A (zh) * 2016-12-08 2018-06-19 三星电子株式会社 相机装置和电子设备
CN108181775B (zh) * 2016-12-08 2021-10-08 三星电子株式会社 相机装置和电子设备
US11215787B2 (en) 2016-12-08 2022-0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mera device including aper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22173183A1 (ko) * 2021-02-09 2022-08-18 주식회사 파트론 셔터 구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2790B1 (ko) 카메라용 셔터장치
US10901172B2 (en) Camera lens assembly
US7154682B2 (en) Optical apparatus
US7156564B2 (en) Blade driving device for use in cameras
KR101041473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20170096124A (ko) 액추에이터,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장치
KR101259026B1 (ko) 카메라용 셔터장치
KR20140142053A (ko) 손떨림 보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KR102139766B1 (ko) 조리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30071000A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JP2008040188A (ja) 支持装置、支持駆動装置、レンズ駆動モジュール、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JP2013031136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20120013595A (ko) 셔터 장치 및 그를 구비한 이미지 캡쳐 장치
JP2014071434A (ja) フィルタ切り替え装置、絞り装置およびカメラ
JP2010191130A (ja) 撮像装置
US9041857B2 (en) Imaging apparatus
JP2008026784A (ja) レンズ駆動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並びに電子機器
KR101643615B1 (ko) 광학 시스템
JP6785640B2 (ja) 撮像用光学装置
JP4584662B2 (ja) 像ぶれ補正機構
JP2019020536A (ja) 撮像装置
JP5460171B2 (ja) 光学装置
JP2015203751A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KR102610809B1 (ko) 렌즈 조립체
JP2017003934A (ja) 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