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5873A - 구조요소를 인접 구조물에 록킹하는 록킹 장치, 상기 장치를 구비하는 항공기, 및 상기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발출 방법 - Google Patents

구조요소를 인접 구조물에 록킹하는 록킹 장치, 상기 장치를 구비하는 항공기, 및 상기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발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5873A
KR20110085873A KR1020100138177A KR20100138177A KR20110085873A KR 20110085873 A KR20110085873 A KR 20110085873A KR 1020100138177 A KR1020100138177 A KR 1020100138177A KR 20100138177 A KR20100138177 A KR 20100138177A KR 20110085873 A KR20110085873 A KR 20110085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locking
locking device
structural element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8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9978B1 (ko
Inventor
알렉산더 로우벗
세드릭 크리스티아노
자비에 코에첼
Original Assignee
유로꼽떼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로꼽떼르 filed Critical 유로꼽떼르
Publication of KR20110085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07Securing, deadlocking or "dogg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3Securing, deadlocking or "dogg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not following the movement of the bolt
    • E05B17/2038Securing, deadlocking or "dogg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not following the movement of the bolt moving rectilinear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25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 E05B17/0033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for opening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0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 E05C19/12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pivotally mounted around an axis
    • E05C19/14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pivotally mounted around an axis with toggle action
    • E05C19/145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pivotally mounted around an axis with toggle action flu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9/00Power-plant nacelles, fairings, or cowlings
    • B64D29/06Attaching of nacelles, fairings or cowl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11Hooked e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59Manually releaseable latch type
    • Y10T403/591Manually releaseable latch type having operating mechanism
    • Y10T403/595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lide Fastener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래치(10) 및 유지핀(100)을 구비하는 록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래치(10)는 핸들(11) 및 피봇핀(13)에 의해 상기 핸들(11)에 힌지 결합된 록킹 아암(20)을 갖는다. 유지핀(100)은 공간(103)에 의해 분리된 제 1 횡단 분기부(101) 및 제 2 횡단 분기부(102)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 아암(20)의 제 2 단부(22)는 제 1 표면(24) 및 상기 제 1 표면(24)의 반대측의 제 2 표면(25)을 구비한 접촉 핑거(23)를 가지며, 상기 제 1 표면(24)은 상기 횡단 분기부(101)와 상호 작용하는 밀폐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표면(25)은 상기 제 2 횡단 분기부와 상호 작용하는 상기 래치(10)의 발출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구조요소를 인접 구조물에 록킹하는 록킹 장치, 상기 장치를 구비하는 항공기, 및 상기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발출 방법{A locking device for locking a structural element against an adjacent structure, an aircraft provided with said device, and an extraction method implemented by said device}
본 발명은 구조요소를 인접한 구조물에 록킹시키기 위한 록킹 장치, 상기 장치를 구비한 항공기, 및 상기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발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요소를 록킹하고 발출하기 위한 수단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회전날개항공기 타입의 항공기의 슬라이딩 커버를 록킹 및 발출하기 위한 수단의 분야에 비한정적으로 관한 것이다.
종래, 회전날개항공기 그리고 특히 헬리콥터는 록킹 장치에 의해 인접 구조물에 고정되는 커버를 구비한 동체를 갖는데, 각 커버는 조작자가 회전날개항공기의 내부 부재에 접근할 수 있도록 이동되는데 적합하다. 개방되기 위해서 커버는 고정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거나 평행 이동한다. 예를 들어, 조작자는 커버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엔진실에 접근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은 록킹 장치를 설명한다.
특허문헌 3은 특히 인접한 구조물에 대하여 고정하기 위해 커버에 배치된 래치를 갖는 록킹 장치를 개시한다.
이 래치에는 파스너핀을 중심으로 힌지 결합된 핸들이 마련되어있다. 핸들에는 둥근 후크 형태의 자유 단부를 갖는 록킹 아암이 피봇핀에 의해 연결된다. 핸들과 록킹 아암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즉 동일 레벨의 위치에 있을 때, 핸들과 록킹 아암은 기울어질 수 있는 해제 캐치에 의해 연결되는데, 해제 캐치는 핸들상에 배치되며 록킹 아암의 캐치 스터드와 상호 작용한다.
록킹 장치는 또한 커버가 고정될 인접 구조물에 배치된 유지핀을 포함한다.
폐쇄 위치에서, 록킹 아암의 후크는 유지핀의 단일 횡방향 분기부와 상호 작용한다.
조작자가 커버를 개방하고자 할 때, 조작자는 해제 캐치를 기울여서 핸들이 록킹 아암으로부터 해제된다. 그리고 조작자는 핸들을 기울여서 핸들을 파스너 핀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서 록킹 아암 후크가 회전 운동하여 유지핀으로부터 직접 나오게 된다. 이때 록킹 장치는 개방 위치에 있게 되며, 조작자는 커버를 움직일 수 있다.
변형예에서, 파스너 핀은 핸들의 타원형 구멍 내부에 배치되며, 단일 압축 링크가 상기 파스너 핀을 피봇핀에 연결한다.
따라서, 해제 캐치가 비행중에 우연히 개방된다면, 핸들이 최소 거리만큼 회전하여 후크가 유지핀의 단일 횡방향 분기부로부터 분리되지 못하게 된다.
타원형 구멍과 압축 링크가 존재함에 의해 피봇핀과, 파스너핀과, 후크와 유지핀의 단일 횡방향 분기부 사이의 접촉지점이 일직선상의 정렬상태에서 벗어나게 된다. 그 결과 재밍현상이 일어나서 록킹 장치가 완전히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안전 특징에 관한 추가의 정보를 얻기 위해 상기 문헌을 참조할 수 있다.
이들 록킹 장치는 효과적이며 오랜 기간동안 항공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슬라이드 커버는 종종 큰 치수를 나타내어 충분히 견고하게 고정될 필요가 있으므로 이들이 비행중에 받는 공기역학적인 힘의 영향으로 개방되지 않는다. 이런 상황에서 비행중에 폐쇄 위치에 고정되기 위해서는, 슬라이딩 커버가 래치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슬라이딩 커버의 주위로 배치된 "센터링" 핑거로서도 알려진 홀딩 핑거도 포함한다.
변형예에서, 센터링 핑거들은 커버가 고정될 필요가 있는 인접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으며, 커버는 상기 센터링 핑거를 수용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다.
불행히도, 제작 공차에 의해 각 센터링 핑거와 대응 수용 수단 사이에는 높은 정도의 마찰이 자주 발생한다.
이런 상황에서, 록킹 장치가 개방되었을 때, 조작자는 커버를 슬라이드시키는데 큰 어려움을 갖는다. 따라서 조작자가 커버를 잡고서 열 수 있게 하도록 커버에는 그립 수단이 마련되었다. 이런 그립 수단에도 불구하고 커버를 센터링 핑거를 따라서 슬라이드시키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냉장고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도어 개방 문제에 직면함을 알아야 하는데, 이는 냉장고의 도어가 도어틀에 부착된 채로 유지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이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힌지 연결부를 통해 도어에 연결되며 간섭하는 형상에 의해 제 1 단부를 통해 도어틀의 일 구간과 상호 작용하는 핸들이 알려져 있다. 게다가, 핸들은 푸셔에 의해 연장된다.
조작자가 핸들을 움직일 때, 핸들은 푸셔가 도어틀을 지지하는 벽과 접촉할 때까지 상기 도어틀 구간과 함께 연결구역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서 조작자가 도어에서 떨어질 수 있게 하는 상당한 레버 아암이 주어진다.
그리고 제 1 단부가 도어틀로부터 분리되고 조작자는 어려움 없이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흥미는 있지만 냉장고용 도어의 기술 분야는 본 발명과는 거리가 있으며 커버 특히 슬라이딩 커버에 쉽게 적용되지 않는다. 이런 관찰은 특히 명백한 공기역학적 이유 때문에 래치가 동일 레벨에 있도록 실시되어야 하며, 즉 커버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항공기 커버의 경우에 그렇다.
특허문헌 1 : 프랑스 특허 제 1 591 218호
특허문헌 2 : 프랑스 특허 제 2 475 104호
특허문헌 3 : 프랑스 특허 제 2 458 656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해주며 또한 센터링 핑거를 발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록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 같은 구조 요소를 인접 구조물에 록크하기 위한 록킹 장치에는 구조 요소상에 배치되는데 적합한 래치와 인접 구조물상에 배치되는데 적합한 유지핀이 마련되며, 래치는 핸들을 구조 요소에 고정하는 파스너 슬리브가 삽입되는 타원형 개구부를 갖는 핸들과 피봇핀을 통하여 핸들에 힌지 결합된 제 1 단부를 갖는 록킹 아암을 포함하며, 핸들은 핸들이 록킹 아암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적합한 해제 캐치를 포함한다. 구조 요소는 슬라이딩 커버 같은 슬라이드형 구조 요소일 수 있다.
이 장치는, 유지핀이 공간에 의해 분리된 제 1 및 제 2 횡단 분기부를 가지며, 록킹 아암의 제 2 단부는 제 1 단부와 대향하는 제 1 표면과 제 1 표면의 반대측의 제 2 표면을 양측에 가지므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향하며, 제 1 표면은 래치의 제 1 폐쇄 위치에서 제 1 횡단 분기부와 상호 작용하여 록킹 장치를 록크시키는 밀폐 수단을 구성하며, 제 2 표면은 래치 발출 위치에서 제 2 횡단 분기부와 상호 작용하여 래치를 유지핀으로부터 종방향으로 움직이는 래치 발출 수단을 구성하며, 접촉 핑거는 록킹 장치를 록크 해제하기 위해 래치 개방 위치에서 공간의 외부에 있다는 점에서 놀랄만하다.
따라서, 현재 기술 상태와는 대조적으로 래치에 밀폐 수단과 발출 수단이 마련된다.
예를 들어, 상기 특허문헌 3의 후크의 제 1 표면은 장치를 록크시키기 위해 단일 횡단 분기부와 상호 작용한다. 대조적으로, 유지핀은 래치를 발출하기 위하여 후크의 제 2 표면과 상호 작용하는 제 2 횡단 분기부를 갖지 않는다.
본 발명은 록킹 아암이 새로운 방식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함으로써 이런 기능을 수행한다. 그 결과로서의 발출에 의해 커버 슬라이드를 제작하려고 하는 조작자의 작업을 용이하게 위해 커버가 센터링 핑거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록킹 장치를 록크하기 위해서는, 접촉 핑거를 공간 속으로 안내하고 제 1 표면은 제 1 횡단 분기부에 대하여 가압하기 위해 핸들이 움직인다. 처음에는 래치를 유지핀에 근접시키기 위해 제 1 표면이 제 1 횡단 분기부에 힘을 가한 다음 제 1 표면이 폐쇄 위치에서 록킹 장치를 록크시킨다.
또한 록킹 장치는 다음 특징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표면은 선택적으로 제 2 횡단 분기부와 접촉하는데 적합한 평면부를 갖는다.
예로서, 접촉 핑거는 바이며, 제 1 및 제 2 표면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 1 구조물은 제 1 횡단 분기부와의 상호 작용을 최적화하기 위해 둥글게 될 수 있다.
또한, 이 록킹 장치는 장치가 록크되어 있는 동안에 접촉 핑거를 공간 쪽으로 안내하는데 적합한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록킹 아암은 록킹 장치가 록크되었을 때 래치의 전체 사이즈를 제한하기 위해 파스너 슬리브와 상호 작용하는 홈을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서, 래치는 슬리브를 피봇핀에 연결하는 압축 링크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록킹 아암은 록킹 아암의 제 1 단부와 제 2 단부 사이에 캐치 스터드를 포함하며, 해제 캐치는 록킹 장치가 록크되었을 때 록킹 아암의 캐치핀과 상호 작용하여 핸들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록킹 장치를 사용하여 인접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 요소를 구비하는 항공기를 제공한다. 구조 요소는 슬라이딩 커버 같은 슬라이딩 구조 요소일 수 있다. 록킹 장치에는 구조 요소에 배치된 래치와 인접 구조물상에 배치된 유지핀이 마련되며, 래치는 핸들을 구조 요소에 고정하는 파스너 슬리브가 삽입되는 타원형 개구부를 갖는 핸들과, 피봇핀을 통해 핸들에 힌지 결합된 제 1 단부를 갖는 록킹 아암을 포함하며, 핸들은 핸들이 록킹 아암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적합한 해제 캐치를 포함한다. 항공기는 록킹 장치가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라는 점에서 놀랄만하다.
록킹 장치와 이런 록킹 장치가 결합된 항공기 외에도, 본 발명은 록킹 장치를 실현하는 록킹 해제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록킹 장치에 의해 인접 구조물에 고정된 구조 요소를 록크 해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구조 요소에는 래치가 배치되고 상기 인접 구조물에는 유지핀이 배치되며, 상기 래치는 핸들을 상기 구조 요소에 고정하는 파스너 슬리브가 삽입된 타원형 개구부를 갖는 핸들, 및 피봇핀을 통하여 상기 핸들에 힌지 결합된 제 1 단부를 갖는 록킹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핸들은 상기 핸들이 상기 록킹 아암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적합한 해제 캐치를 포함하며, 상기 유지핀은 공간에 의해 분리된 제 1 및 제 2 횡단 분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 아암의 제 2 단부는 일측에서 상기 제 1 단부와 대향하는 제 1 표면 및 상기 제 1 표면의 반대측의 제 2 표면을 갖는 접촉 핑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표면은 상기 제 1 횡단 분기부와 상호 작용하여 상기 록킹 장치를 록크시키는 밀폐 수단을 구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특히,
상기 해제 캐치를 이동시켜서 상기 핸들을 상기 록킹 아암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
상기 핸들을 제 1 각도 영역만큼 움직여서 상기 제 2 표면을 상기 제 2 횡단 분기부에 대하여 가압하는 단계;
상기 핸들을 제 2 각도 영역만큼 움직여서 상기 제 2 표면이 상기 제 2 횡단 분기부에 힘을 가하여 상기 구조 요소를 상기 인접 구조물로부터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핸들을 제 3 각도 영역만큼 움직여서 상기 접촉 핑거를 상기 공간에서 발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놀랄만하다.
구조 요소는 슬라이딩 커버 같은 슬라이딩 구조 요소일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과 그 이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는 예시에 의해 주어지는 실시 형태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상세하게 나타난다.
도 1은 본 발명의 록킹 장치를 구비한 항공기의 개략도.
도 2는 록킹 장치의 유지핀의 평면도.
도 3 내지 도 8은 록킹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록킹 해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면 중에서 하나 이상의 도면에 제시된 요소들에게는 각 도면에 동일한 참조 부호가 주어진다.
도 1은 항공기(1),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접 구조물(3)의 옆에 놓여진 구조 요소(2)의 개략도다.
예로서, 구조 요소(2)는 도 1을 포함하는 도면 용지의 제 1 면(P1)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엔진실 같은 회전날개항공기의 격실을 분할하는 기능을 하는 커버(2")다. 마찬가지로, 인접한 구조물은 상기 도면 용지의 제 1 면(P1)에 수직한 고정 패널(3")을 포함한다. 이 격실을 폐쇄하기 위해, 구조 요소(2)는 인접 구조물(3)에 대하여 가압된다.
커버(2)는 인접 구조물(3)의 옆에 놓이기 위해 종축선(X)을 따라서 슬라이드하도록 장착된다.
제 위치에 고정되기 위해서, 항공기는 구조 요소(2)를 인접 구조물(3)에 대하여 제 위치에 록킹시키는데 적합한 록킹 장치(4)를 포함한다.
록킹 장치(4)에는 먼저 구조 요소(2)의 파스너 플레이트(2')에 고정된 래치(10)가 마련되어 있다. 예로서, 파스너 플레이트(2')는 커버(2")에 수직하며 따라서 상기 제 1 면(P1) 내에 포함된다. 다음으로 록킹 장치(4)에는 인접 구조물(3)의 파스너 부재(3')에 고정된, 예를 들어 고정 패널(3")에 수직한 유지핀(100)이 마련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유지핀(100)은 빈 공간(103)에 의해 분리된 제 1 횡단 분기부(101) 및 제 2 횡단 분기부(102)를 포함한다. 또한, 유지핀은 패널(3)에 수직한 인접 구조물의 평면(3')으로 조정될 수 있는 파스너 수단(104)을 포함한다. 예로서, 이런 파스너 수단의 실시 형태를 얻기 위해 상기 특허문헌 3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래치(10)는 구조 요소(2), 보다 구체적으로 커버(2")와 동일 면상에 놓이기에 적합한 제 1 평면 요소(11'), 및 제 1 평면 요소(11')에 수직한 제 2 평면 요소(11")가 마련된 핸들(11)을 포함한다.
이런 상황에서, 래치(10)의 핸들(11)에는 기다란 개구부(12)가 마련되는데, 이 개구부에는 커버(2")에 수직하고 제 2 평면 요소(11")에 평행한 구조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2')에 고정하기 위한 파스너 슬리브(5)가 있다. 선택에 따라서, 래치(10)가 두 개의지지 부재(2') 사이에 끼어질 수 있으며, 파스너 슬리브(5)는 두 개가 지지 부재(2')에 수직하게 고정된다. 핸들(11)은 파스너 슬리브(5)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래치(10)는 또한 제 1 단부(21)로부터 제 2 단부(22) 쪽으로 종방향(X)을 따라서 연장되는 굴곡 록킹 아암(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단부(21)는 피봇핀(13)에 의해 핸들(11)의 제 1 단부 구역(Z1)에 힌지 결합된다. 스프링 타입의 제 1 탄성 부재(51)는 핸들(11)이 록킹 아암(20)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록킹 아암(20)의 제 2 단부(22)가 핸들(11)의 제 2 단부 구역(Z2)으로부터 멀어지게 작용한다.
또한 핸들(11)은 핸들(11)의 제 1 단부 구역(Z1)과 제 2 단부 구역(Z2) 사이에 배치된 해제 캐치(14)와 결합하여 제 2 단부 구역(Z2)이 탄성 부재(51)로부터의 구동에 의해 또는 공기역학적 힘의 결과에 의해 제 2 단부(22)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해제 캐치(14)에는 록킹 아암(2)의 캐치 스터드(27)와 상호 작용하는 해제 후크(16)가 마련되는데, 이 캐치 스터드(27)는 록킹 아암의 제 1 단부(21)와 제 2 단부(22) 사이의 파스너 슬리브(5)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해제 캐치(14)는 파스너 슬리브(5)와 캐치 스터드(27)에 평행한 회전축선(15)을 통하여 핸들의 제 2 평면 요소(11")에 고정된다.
마지막으로, 스프링 타입의 제 2 탄성 부재(52)는 회전축선(15)의 주위로 배치되므로 해제 캐치(15)는 핸들(11)의 제 1 평면 요소(11')로부터 돌출하지 않는다.
래치(10)가 폐쇄되었을 때, 해제 후크(16)는 캐치 스터드(27)와 맞물려서 핸들(11)이 록킹 아암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역으로, 조작자가 해제 캐치(14)를 가압하였을 때, 해제 캐치(14)는 회전축선(15)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해제 후크(16)는 더 이상 캐치 스터드(27)와 맞물리지 않으며, 따라서 핸들(11)과 록킹 아암(20) 사이에서 상대 운동이 일어나게 한다.
록킹 아암(20)은 제 1 단부(21)와 제 2 단부(22) 사이에 홈(26)을 제공함으로써 해제 후크(16)가 캐치 스터드(27)와 맞물릴 때 파스너 슬리브(5)와 간섭하는 것을 피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파스너 슬리브(5)의 형상과 일치하는 흠(26)은 래치(10)의 컴팩트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록킹 아암(20)의 제 2 단부(22)는 종방향(X)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횡방향(Y)을 따라서 연장되는 접촉 핑거(23)를 갖는데, 록킹 아암은 제 1 단부(21)로부터 제 2 단부(22) 쪽으로 상기 종축선(X)을 따라서 연장된다.
접촉 핑거(23)는 록킹 아암(2), 보다 구체적으로 록킹 아암의 제 1 단부(21)와 대향하는 제 1 표면(24)을 갖는다. 따라서, 제 1 표면(24)은 구조 요소(2)의 커버(2")가 연장되는 제 1 방향(S1)으로 연장된다.
또한, 접촉 핑거는 인접한 구조물의 평면(3')과 대향하는 제 2 표면(25)을 갖는다. 따라서, 제 2 표면(25)은 인접 구조물(3)의 고정 패널(3")이 연장되는 제 2 방향(S2)을 따라서 향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 1 표면(24)은 제 2 표면(25)의 반대측에 있으며, 상기 제 1 표면(24)과 상기 제 2 표면(25)은 접촉 핑거(23)의 양측에 위치한다. 이런 상황에서, 제 1 표면(24) 및 제 2 표면(25)은 접촉 핑거(23)의 양측면을 구성한다.
접촉 핑거(23)가 유지핀(100)의 공간(103) 내에 배치되었을 때, 따라서 제 1 표면(24)은 제 1 횡단 분기부(101)와 상호 작용하는 밀폐 수단을 구성할 수 있도록 제 1 횡단 분기부(101)와 대향하는 반면, 제 2 표면(25)은 상기 제 2 횡단 분기부(102)와 상호 작용하는 발출 수단을 구성할 수 있도록 제 2 횡단 분기부(102)와 대향한다.
접촉 핑거(23)와 제 1 횡단 분기부(101) 사이의 상호 작용을 최적화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서 제 1 표면(24)은 적어도 일부가 제 1 횡단 분기부(101)의 형상과 일치하게 형성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선택적으로 오목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접촉 핑거(23)와 제 2 횡단 분기부(102) 사이의 상호 작용을 최적화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서 제 2 표면(25)은 평면부(25')를 포함한다.
변형예에서, 제 2 표면(25)은 적어도 일부가 제 2 횡단 분기부(102)와 일치하는 형상이 되도록 선택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목하게 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록킹 장치(4)에는 록킹 장치(4)가 록크되어 있는 동안 접촉 핑거(23)를 공간(103) 쪽으로 안내하는데 적합한 경사면(30)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은 래치(10)에는 파스너 슬리브(5)를 피봇핀(13)에 연결하는 단일 압축 링크(40)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해제 후크(16)가 캐치 스터드(27)와 맞물렸을 때, 래치의 부하선(load line)은 피봇핀을 지나고 그리고 접촉 핑거와 유지핀의 제 1 횡단 분기부 사이의 접촉지점을 지나지만 파스너 슬리브(5)는 지나지 않는다. 역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핸들(11)이 해제 캐치(14)를 사용하여 해제된 후, 래치는 래치의 부하선이 피봇핀, 파스너 슬리브(5) 및 접촉 지점을 지나는 중간 위치에 있게 된다. 이 위치는 사람의 개입 없이 래치가 완전히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비행중에 해제 캐치(14)가 원치 않게 개방되더라도 래치가 완전히 개방되게 되는 위험이 없다.
도 3 내지 도 8은 모두 본 발명의 록킹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록킹 해제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커버가 폐쇄되었을 때, 즉 구조 요소(2)가 인접 구조물(3)에 대하여 가압되었을 때, 래치(10)의 핸들(11)은 해제 캐치에 의해 록킹 아암(2)에 고정된다. 핸들(11)은 "폐쇄" 위치라고 부르는 위치에 있게 된다.
핑거(23)의 제 1 표면(24)은 구조 요소(2)가 인접 구조물(3)에 대하여 평행 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지핀의 제 1 횡단 분기부(101)와 상호 작용한다. 구조 요소(2)를 인접 구조물(3)에 대하여 고정할 수 있는 능력 때문에, 제 1 표면(24)은 밀폐 수단을 구성한다.
이 구조 요소를 평행 이동시키기 위해, 도 4에 도시한 제 1 단계 중에 조작자는 해제 캐치(14)에 작용하여 캐치가 회전축선(15)을 중심으로 피봇동작하게 한다. 후크(16)는 더 이상 캐치 스터드(27)와 상호 작용하지 않으므로 핸들(11)이 록킹 아암(20)으로부터 분리된다.
파스너 슬리브(5)는 핸들(11)에 형성된 타원형 구멍(12)의 제 1 단부(12')에 있으며, 이 타원형 구멍은 핸들(11)의 제 1 평면 요소(11')에 가깝게 위치하는 제 1 단부(12')로부터 상기 제 1 평면 요소(11')에 대하여 말단측에 위치하는 제 2 단부(12") 쪽으로 연장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핸들(11)을 해제하면 상기 핸들(11)이 파스너 슬리브(11)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파스너 슬리브(5)는 이동하여 타원형 개구부(12)의 제 2 단부(12")와 접촉하게 된다. 래치(10)의 부하선은 피봇핀, 파스너 슬리브(5), 그리고 접촉핑거(23)와 제 1 횡단 분기부(101) 사이의 접촉 지점(200)을 지난다.
이때 핸들(11)의 회전 운동은 인간의 개입이 없는 한 중단된다.
따라서, 제 2 단계 중에, 조작자는 핸들(11)을 움직여서 핸들이 점선으로 그려진 래치(10)의 폐쇄된 제 1 위치(POS1)에 대하여 제 1 각도 영역(θ1)을 그리게 한다.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위치(POS1)는 록킹 장치(4)가 록크되었을 때 도달한다는 것이 생각난다.
이 제 1 각도 영역(θ1)을 통한 이동 후에, 제 1 표면(25)은 더 이상 제 1 횡단 분기부(101)와 접촉하지 않는다. 대조적으로, 핑거(23)의 제 2 표면은 제 2 횡단 분기부(102)와 접촉하고 있다. 이때 핸들은 제 2 위치(POS2)에 있으며, 파스너 슬리브(5)의 중심은 기준면(AXREF)에 위치한다.
구조 요소(2)를 발출하기 위하여, 도 7에 점선으로 도시한 도 6의 제 2 위치(POS2)로부터 시작하여 제 3 단계 동안에 조작자는 핸들(11)을 제 2 각도 영역(θ2)만큼 계속 움직인다. 핸들(11)을 계속하여 회전시키면 록킹 아암(20)이 종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결과적으로, 핑거(23)의 제 2 표면(25)은 제 2 횡단 분기부(102)를 가압한다.
유지핀(100)에 고정된 인접 구조물(3)은 고정 상태이기 때문에, 래치(10)는 유지핀(100)으로부터 멀리 움직인다. 따라서 파스너 슬리브(5)는 기준면(AXREF)으로부터 거리(L)만큼, 예를 들어 구조 요소(20의 센터링 핑거의 길이와 동일한 거리만큼 움직인다.
제 2 각도 영역의 끝에서, 핸들(11)은 제 3 위치(POS3)에 있다. 구조 요소(2)를 인접 구조물(3)로부터 움직일 수 있는 능력 때문에, 제 2 표면(25)은 발출 수단을 구성한다. 편의상 "발출 위치"라는 용어는 제 2 위치(POS2)로부터 제 2 표면이 제 2 횡단 분기부와 접촉하고 있는 제 3 위치(POS3)까지 진행하는 핸들의 위치를 지정하는데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제 4 단계 동안에 조작자는 핸들을 점선으로 도시된 제 3 위치(POS3)에 대하여 제 3 각도 영역(θ3)만큼 회전시키기 위해 핸들(11)을 움직인다.
이 마지막 이동 중에, 래치(10)에 의해 구성된 연동장치는 록킹 아암이 분리 운동하게 하여 핑거(23)를 공간(103)으로부터 발출하도록 한다.
제 3 위치(POS3)에서 시작하여 록킹 아암은 핸들(11)의 제 1 표면 요소(11')를 지탱한다. 결과적으로, 핸들(11)을 회전시키면 그에 따라서 록킹 아암(20)이 회전되므로 접촉 핑거(23)가 공간(103)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한다.
이때 록킹 장치(4)가 록크 해제되는데, 핸들은 "개방 위치라고 말하는 위치에 있게 된다.
록킹 장치(4)를 록크시키기 위해서 상기 단계들은 4단계로부터 제 1 단계 쪽으로 거꾸로 진행하게 실시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핑거(23)를 공간(103) 속에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해서, 록킹 장치는 핑거(23)의 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당연히 본 발명은 그 실현에 대한 많은 변형을 받을 수 있다.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모든 가능한 실시 형태를 전부 확인하는 것은 상상할 수 없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당연히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함 없이 전술한 어떤 수단이라도 동등한 수단으로 교체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한 바와 같은 커버(2)는 구조물(3) 옆에 오도록 하기 위해 종축선(X)을 따라서 슬라이드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커버(2)는 다르게 배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함 없이 파스너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Claims (8)

  1. 구조 요소(2)를 인접 구조물(3)에 록크하기 위한 록킹 장치(4)로서, 이 장치에는 상기 구조 요소(2)에 배치되기에 적합한 래치(10)와 상기 인접 구조물(3)에 배치되기에 적합한 유지핀(100)이 마련되며, 상기 래치(10)는 핸들(11)을 상기 구조 요소(2)에 고정하는 파스너 슬리브(5)가 삽입된 타원형 개구부(12)를 갖는 핸들(11), 및 피봇핀(13)을 통해 상기 핸들(11)에 힌지 결합된 제 1 단부(21)를 갖는 록킹 아암(20)을 포함하며, 상기 핸들(11)은 상기 핸들(11)이 상기 록킹 아암(20)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적합한 해제 캐치(14)를 포함하며, 상기 유지핀(100)은 공간(103)에 의해 서로 분리된 제 1 및 제 2 횡단 분기부(101 및 102)를 가지며, 상기 록킹 아암(20)의 제 2 단부(22)는 일측에서 상기 제 1 단부(21)와 대향하는 제 1 표면(24)과 상기 제 1 표면(24)의 반대측의 제 2 표면(25)을 갖는 접촉 핑거(23)를 가지며, 상기 제 1 표면은 상기 제 1 횡단 분기부(101)와 상호 작용하여 상기 록킹 장치(4)를 록크시키는 밀폐 수단을 구성하며, 상기 제 2 표면(25)은 상기 제 2 횡단 분기부(102)와 상호 작용하여 래치(10)를 유지핀(100)으로부터 종방향으로 움직이는 상기 래치(10)를 발출하기 위한 발출 수단을 구성하며, 상기 접촉 핑거는 상기 록킹 장치(4)를 록크 해제하기 위해 상기 공간(103) 외부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면(25)은 상기 제 2 횡단 분기부(102)와 접촉하기 적합한 평면부(25')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장치가 록크되어 있는 동안에 상기 접촉 핑거(23)를 상기 공간(103) 쪽으로 안내하는데 적합한 경사면(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아암(20)은 상기 파스너 슬리브(5)와 상호 작용하는 홈(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10)는 상기 슬리브(5)를 상기 피봇핀(13)에 연결하는 압축 링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아암(20)은 상기 록킹 아암(20)의 제 1 단부(21)와 제 2 단부(22) 사이에 캐치 스터드(27)를 포함하며, 상기 해제 캐치(14)는 상기 록킹 아암(20)의 캐치 핀(27)과 상호 작용하여, 상기 록킹 장치(4)가 록크되어 있을 때 핸들(11)이 기우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7. 적어도 하나의 록킹 장치(4)를 이용하여 인접 구조물(3)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 요소(2)를 구비하는 항공기(1)로서, 상기 록킹 장치(4)에는 상기 구조 요소(2)에 배치된 래치(10)와 상기 인접 구조물(3)에 배치된 유지핀(100)이 마련되며, 상기 래치(10)는 핸들(11)을 상기 구조 요소(2)에 고정하는 파스너 슬리브(5)가 삽입되는 타원형 개구부(12)를 갖는 핸들(11), 및 피봇핀(13)을 통해 상기 핸들(11)에 힌지 결합된 제 1 단부(21)를 갖는 록킹 아암(20)을 포함하며, 상기 핸들(11)은 상기 핸들(11)이 상기 록킹 아암(20)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적합한 해제 캐치(14)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 장치(4)는 청구항 1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8. 청구항 1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록킹 장치(4)에 의해 인접 구조물(3)에 고정된 구조 요소(2)를 록크 해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구조 요소(2)에는 래치(10)가 배치되고 상기 인접 구조물(3)에는 유지핀(100)이 배치되며, 상기 래치(10)는 핸들(11)을 상기 구조 요소(2)에 고정하는 파스너 슬리브(5)가 삽입된 타원형 개구부(12)를 갖는 핸들(11), 및 피봇핀(13)을 통하여 상기 핸들(11)에 힌지 결합된 제 1 단부(21)를 갖는 록킹 아암(20)을 포함하며, 상기 핸들(11)은 상기 핸들(11)이 상기 록킹 아암(20)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적합한 해제 캐치(14)를 포함하며, 상기 유지핀(100)은 공간(103)에 의해 분리된 제 1 및 제 2 횡단 분기부(101 및 102)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 아암(20)의 제 2 단부(22)는 일측에서 상기 제 1 단부(21)와 대향하는 제 1 표면(24) 및 상기 제 1 표면(24)의 반대측의 제 2 표면(25)을 갖는 접촉 핑거(23)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표면(24)은 상기 제 1 횡단 분기부(101)와 상호 작용하여 상기 록킹 장치(4)를 록크시키는 밀폐 수단을 구성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해제 캐치(14)를 이동시켜서 상기 핸들(11)을 상기 록킹 아암(2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
    상기 핸들(11)을 제 1 각도 영역(θ1)만큼 움직여서 상기 제 2 표면(25)을 상기 제 2 횡단 분기부(102)에 대하여 가압하는 단계;
    상기 핸들(11)을 제 2 각도 영역(θ2)만큼 움직여서 상기 제 2 표면(25)이 상기 제 2 횡단 분기부(102)에 힘을 가하여 상기 구조 요소(2)를 상기 인접 구조물(3)로부터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핸들(11)을 제 3 각도 영역(θ3)만큼 움직여서 상기 접촉 핑거(23)를 상기 공간(103)에서 발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00138177A 2010-01-21 2010-12-29 구조요소를 인접 구조물에 록킹하는 록킹 장치, 상기 장치를 구비하는 항공기, 및 상기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발출 방법 KR1013199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000223 2010-01-21
FR1000223A FR2955347B1 (fr) 2010-01-21 2010-01-21 Dispositif de verrouillage d'un element contre une structure adjacente, aeronef muni dudit dispositif et procede d'extraction mis en oeuvre par ledit dispositi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873A true KR20110085873A (ko) 2011-07-27
KR101319978B1 KR101319978B1 (ko) 2013-10-18

Family

ID=42752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8177A KR101319978B1 (ko) 2010-01-21 2010-12-29 구조요소를 인접 구조물에 록킹하는 록킹 장치, 상기 장치를 구비하는 항공기, 및 상기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발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14602B2 (ko)
EP (1) EP2348171B1 (ko)
KR (1) KR101319978B1 (ko)
CN (1) CN102140873B (ko)
FR (1) FR29553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69127T3 (es) * 2011-10-27 2016-05-06 Airbus Defence And Space Sa Cierre de seguridad para la capota de la góndola de una unidad de potencia de una aeronave
CN103204235B (zh) * 2013-04-24 2015-07-01 哈尔滨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整流罩的锁闭机构
CN103603554B (zh) * 2013-08-23 2016-12-28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西安飞机设计研究所 一种锁紧机构
FR3015952B1 (fr) * 2014-01-02 2018-01-26 Airbus Operations Systeme de verrouillage de capots
FR3032424B1 (fr) * 2015-02-06 2018-05-04 Airbus Operations Dispositif de manoeuvre d'au moins une trappe d'un aeronef comprenant une poignee de commande
US9689345B2 (en) * 2015-06-10 2017-06-27 Woodward, Inc. Electric track lock
EP3344834B1 (en) 2015-09-01 2021-04-07 Hartwell Corporation Single link hook latch
EP3426870B1 (en) 2016-03-10 2020-05-06 Hartwell Corporation High offset hook latch
CN106672247B (zh) * 2016-12-26 2019-05-10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西安飞机设计研究所 一种随动小口盖
US10875656B2 (en) * 2017-09-15 2020-12-29 Bell Helicopter Textron Inc. Bi-folding engine cowl having a plurality of open positions to provide access
US10875657B2 (en) 2017-09-15 2020-12-29 Bell Helicopter Textron Inc. Hold open j-track locking mechanism for cowling
CN108287050B (zh) * 2017-12-27 2020-11-10 北京空间机电研究所 一种刚性机械锁定机构及锁定或解锁方法
US11441514B2 (en) 2018-10-02 2022-09-13 Woodward, Inc. Tertiary lock
US11268406B2 (en) * 2019-08-12 2022-03-08 The Boeing Company Movement-limiting device for a turbine engine and associate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12955A (en) * 1952-09-15 1955-07-12 Clark Hartwell Draw-in type flush latch
US2894777A (en) * 1956-12-03 1959-07-14 Clark Hartwell Preload latch
US3259411A (en) * 1963-12-17 1966-07-05 Camloc Fastener Corp Drawhook toggle latch
US3515422A (en) 1968-03-26 1970-06-02 Hartwell Corp Double lever flush latch
US4053177A (en) * 1976-06-08 1977-10-11 Tridair Industries Adjustable latch
FR2458656A1 (fr) * 1979-06-13 1981-01-02 Hartwell Corp Dispositif accessible de l'exterieur et destine au reglage du mentonnet d'un verrou encastre
US4320912A (en) * 1979-09-10 1982-03-23 Rohr Industries, Inc. Cowl door latch adjustment fitting assembly
US4318557A (en) * 1979-10-09 1982-03-09 Hartwell Corporation Latching mechanism
US4538843A (en) * 1983-03-04 1985-09-03 The Boeing Company Preloaded latch
JPH0640229B2 (ja) * 1984-08-07 1994-05-25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静電写真用液体現像剤
US4743052A (en) * 1986-01-24 1988-05-10 Rexnord Inc. Tension latch assembly
US4768815A (en) * 1986-04-23 1988-09-06 Rexnord Inc. Supplemental locking mechanism for a tension latch assembly
US4858970A (en) * 1987-12-18 1989-08-22 Rexnord Holdings Inc. Low profile latch
US5445422A (en) * 1993-05-21 1995-08-29 The Eastern Company Handle operated draw latch with safety catch
US5620212A (en) * 1995-08-28 1997-04-15 Hartwell Corporation Low profile hook latch assembly
DK66696A (da) * 1996-06-17 1997-12-18 Asbro Aps Fabriken Lukketøj især til postcontainere og lignende
US5984382A (en) * 1998-03-13 1999-11-16 Hartwell Corporation Extended reach latch
US6343815B1 (en) * 2000-10-04 2002-02-05 Hartwell Corporation Cinch-up latch
JP4285729B2 (ja) * 2002-12-03 2009-06-24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ロック機構付き締付装置
FR2857400B1 (fr) * 2003-07-10 2005-10-21 Hurel Hispano Verrou destine a relier deux panneaux d'une structure d'aeroplane
US8567828B2 (en) * 2005-02-07 2013-10-29 Kapman Ab Snap-type lock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14602B2 (en) 2014-05-06
EP2348171B1 (fr) 2012-05-30
US20110174929A1 (en) 2011-07-21
FR2955347B1 (fr) 2012-01-27
KR101319978B1 (ko) 2013-10-18
EP2348171A1 (fr) 2011-07-27
CN102140873B (zh) 2013-10-09
FR2955347A1 (fr) 2011-07-22
CN102140873A (zh)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9978B1 (ko) 구조요소를 인접 구조물에 록킹하는 록킹 장치, 상기 장치를 구비하는 항공기, 및 상기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발출 방법
EP3763904B1 (en) Door handle device for vehicles
US9677306B2 (en) Hook latch
RU2673579C1 (ru) Багажник с замком
EP3118400B1 (en) Vehicle door handle
FR3015952A1 (fr) Systeme de verrouillage de capots
US20110113837A1 (en) Locking device
CN105863374A (zh) 用于操作航空器的至少一个门的操作装置
US9273501B2 (en) Triple-detection double-locking paddle
JP5709291B2 (ja) 航空機のギャレイ内の加熱装置のドアを施錠する装置
CN108291412A (zh) 锁止装置
US11920386B2 (en) Aircraft door with vertical control mechanism
JP6614804B2 (ja) 塵芥収集車の後部扉のロック装置および塵芥収集車
US20140239005A1 (en) Removable Gripping Device for a Cooking Vessel with an Anti-Return Mechanism Consisting of a Rotating Tightening Arm
KR101605784B1 (ko) 트럭용 윙도어 잠금장치
KR101006127B1 (ko) 슬라이드 도어
BE1020264A3 (nl) Inrichting voor het ontgrendelen van een deur.
KR101003443B1 (ko) 슬라이드 도어
JP4145687B2 (ja) 遊技機の施錠装置
KR100713219B1 (ko) 중장비 차량의 록킹장치
JP5647207B2 (ja) 扉開閉用ハンドルの掛金装置とそのカバー部材
JP2000265722A (ja) 防犯扉のロック機構
KR20060079990A (ko) 특수차량용 개폐장치
KR20000025379A (ko) 카고트럭용 적재함의 게이트록킹장치
CA2530074A1 (en) Helicopter locking system k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