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3443B1 - 슬라이드 도어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443B1
KR101003443B1 KR1020080068055A KR20080068055A KR101003443B1 KR 101003443 B1 KR101003443 B1 KR 101003443B1 KR 1020080068055 A KR1020080068055 A KR 1020080068055A KR 20080068055 A KR20080068055 A KR 20080068055A KR 101003443 B1 KR101003443 B1 KR 101003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anel
opening
sliding door
sliding
sliding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8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422A (ko
Inventor
고진성
Original Assignee
고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진성 filed Critical 고진성
Priority to KR1020080068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443B1/ko
Publication of KR20100007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86Special type
    • B60J5/0491Special type lid, e.g. for luggage compartment accessible at vehicle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86Specia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60J5/06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for utility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나 컨테이너 측부에 설치한 개구에 대하여 상기 측부의 외측면을 따라서 슬라이딩 도어패널을 전후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부착한 슬라이드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컨테이너측 개구의 상부에 부착되고 상부 롤러 수용부가 하측 개방형으로 형성된 상부 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상부 슬라이딩 레일에 형성된 상기 상부 롤러 수용부에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수용되는 한쌍의 상부롤러를 매개로 일단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의 우측 상측부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체결고정된 상부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부 스윙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스윙플레이트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의 좌측 상측부에 복수의 축지지부재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을 상기 개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키도록 하측의 핸들 회전에 연동하여 회동개폐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에 세로방향으로 결합된 개폐축부재와, 상기 개폐축부재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의 우측 하측부에 일단측이 고정되고, 타단은 내측으로 절곡되어 외측방향으로 일측면이 개방된 하부 슬라이딩 레일의 내측 상부에 고정된 하부 롤러 지지수용레일과 상기 하부 슬라이딩 레일의 내측 하면에 각각 상호 직교하여 지지되는 복수의 하부 롤러를 매개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하부 지지부재와, 상기 개폐축부재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의 우측 하측부에 일단측이 고정되고, 타단은 내측으로 절곡되어 외측방향으로 일측면이 개방된 하부 슬라이딩 레일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열된 복수의 하부 롤러를 갖는 하부 지지부재와,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의 개방 시 펼침 동작되는 상부 스윙플레이트에 경사 배향된 한쌍의 상부롤러의 내측이 접촉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이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기 한쌍의 상부롤러가 미끄럼 이동되는 것을 규제하도록, 상기 상부 슬라이딩 레일에 형성된 상기 상부 롤러 수용부의 내측 수직면에 고착된 외향 경사진 사면을 갖는 가이드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 도어{Sliding Door System}
본 발명은 탑차용 슬라이드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외관이 미려하고 또 도어가 보다 안정감있고 유연하게 개폐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인으로, 탑차용 슬라이드 도어를 개폐하는 개폐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으로서는 실용신안등록 제45036호를 예로 들 수 있으며, 그 구조를 살펴보면 철판을 이용하여 상부개방형으로 프레싱 가공형성된 콘테이너 본체의 상하슬라이딩 레일에 이 역시 철판으로 프레싱 가공형성되고 또 일면 양측에 롤러를 갖는 슬라이드를 설치하고 상기 슬라이드는 도어의 전면 양측에 설치되는 개폐축부재의 상하스윙플레이트와 핀으로 회전가능케 연결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탑차용 슬라이드 도어개폐장치는 슬라이딩 레일이 상부개방형으로서 슬라이드가 갖는 직경이 작은 안내롤러는 슬라이딩 레일로부터 상시 이탈우려가 있고 또 철판으로 프레싱 가공된 슬라이딩 레일과 슬라이드는 강도가 약해 외부로부터 약한 충격이나 힘에도 쉽게 변형될 우려가 있고 이러한 변형시 도어의 이탈가능성은 더욱 커지게 되므로 도어이탈로 인한 잦은 안전사고를 유발시키게 된다.
또한 상부개방형 슬라이딩 레일은 눈비에 의한 습기나 각종 이물질들이 쉽게 침투하게 되고 이는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에 의한 변형과 함께 도어의 슬라이딩 작동에 방해를 주어 유연한 슬라이딩 작동을 기대할 수가 없다.
또한 상부개방형의 슬라이딩 레일과 슬라이드 및 도어의 정상적인 슬라이딩시 스윙플레이트를 결합고정하기 위한 유도판과 스토퍼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외관상 보기 흉하고 또 도어의 정상적인 슬라이딩 시 유도판으로부터 이탈된 스토퍼는 자중에 의해 스윙플레이트와 결합고정되게 함으로써, 슬라이딩 레일들의 변형 및 각종 이물질들의 침투로 제대로 작동하지 못해 개패 시 증가되는 변위에 대해서 는 큰 효과를 보기 힘들다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이탈로 인한 안전사고의 우려가 없고 슬라이딩 레일에 눈비에 의한 습기나 각종 이물질들의 침투우려가 없어 상기 유연한 개폐작동을 기대할 수가 있으며 스토퍼에 의한 오작동 우려가 없고 외관이 매끈하고 미려한 냉동콘테이너의 슬라이드 도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는,
차체나 컨테이너 측부에 설치한 개구에 대하여 상기 측부의 외측면을 따라서 슬라이딩 도어패널을 전후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부착한 슬라이드 도어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상부에 부착되고 상부 롤러 수용부를 하측에 갖는 외측방향으로 일측이 개방된 상부 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상부 슬라이딩 레일의 외측에 상기 상부 롤러 수용부에 수용되는 복수의 상부 롤러를 매개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상부 슬라이딩 캐리어와,
상기 상부 슬라이딩 캐리어의 하부에 다수의 상부 스윙플레이트를 매개로 상 기 슬라이딩 도어패널의 양 상측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양측의 상부 스윙플레이트의 일단측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상부 스윙플레이트 중에서 중앙측 상부 스윙플레이트의 일단측이 고정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을 상기 개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키도록 하측의 핸들 회전에 연동하여 회동개폐하도록 복수의 축지지부재를 매개로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의 세로방향 중앙에 결합된 개폐축부재와,
상기 개폐축부재의 하단면에 일단측이 고정되고, 타단은 측방향으로 일측면이 개방된 하부 슬라이딩 레일의 상측에 형성된 하부 롤러 지지수용부에 수용되는 복수의 하부 롤러를 매개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하부 슬라이딩 캐리어에 좌우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하부 스윙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도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장비는 슬라이드 도어로서, 차체나 컨테이너 측부에 설치한 개구에 대하 여 상기 측부의 외측면을 따라서 슬라이딩 도어패널(20)을 전후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부착한 반자동 도어장비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는, 일예로 컨테이너(10)측 개구(11)의 상부에 부착되고 상부 롤러 수용부(111)가 하측 개방형으로 형성된 상부 슬라이딩 레일(110)과,
상기 상부 슬라이딩 레일(110)에 형성된 상기 상부 롤러 수용부(111)에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20)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수용되는 한쌍의 상부롤러(R1, R1)을 매개로 일단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20)의 우측 상측부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체결고정된 상부 지지부재(14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부 스윙플레이트(133)와,
상기 상부 스윙플레이트(133)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의 좌측 상하부에 복수의 축지지부재(135, 135)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20)을 상기 개구(11)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키도록 하측의 핸들(30) 회전에 연동하여 회동개폐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20)에 세로방향으로 결합된 개폐축부재(131)와,
상기 개폐축부재(131)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20)의 우측 하측부에 일단측이 고정되고, 타단은 내측으로 절곡되어 외측방향으로 일측면이 개방된 하부 슬라이딩 레일(150)의 내측 상부에 고정된 하부 롤러 지지수용레일(151)과 상기 하부 슬라이딩 레일의 내측 하면에 각각 상호 직교하여 지지되는 복수의 하부 롤러(R2, R2)를 매개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하부 지지부 재(160)와,
상기 개폐축부재(131)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20)의 우측 하측부에 일단측이 고정되고, 타단은 내측으로 절곡되어 외측방향으로 일측면이 개방된 하부 슬라이딩 레일(150)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열된 복수의 하부 롤러(R2, R2)를 갖는 하부 지지부재(160)와,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20)의 개방 시 펼침 동작되는 상부 스윙플레이트(133)에 경사 배향된 한쌍의 상부롤러(R1, R1)의 내측이 접촉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20)이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기 한쌍의 상부롤러(R1, R1)이 미끄럼 이동되는 것을 규제하도록, 상기 상부 슬라이딩 레일(110)에 형성된 상기 상부 롤러 수용부(111)의 내측 수직면에 고착된 외향 경사진 사면을 갖는 가이드블록(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부 슬라이딩 레일(150)의 내측 상부에는 고정된 하부 롤러 지지수용레일(151)이 고착되어 상기 하부 슬라이딩 레일(150)의 내측 하면에 하부 롤러(R2)와 상호 직교하여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개구(11)의 외측 중앙측부에는 중앙 슬라이딩 레일(160)이 부착되고, 이 중앙 슬라이딩 레일(160)에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20)을 상기 개구(11)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력 부여수단(200)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탄성력 부여수단(200)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20)의 일측 중 앙부에 고정된 고정브라켓(210)과, 상기 고정브라켓(210)과, 탄성부재(230)를 매개로 탄성력이 상호 인가되어 상기 핸들(30)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20)이 상기 개구(1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이격될 시, 개방력이 작용하도록 힌지결합된 가이드브라켓(220)과, 상기 가이드브라켓(220)의 타단이 힌지결합되며, 그의 일단은 상기 중앙 슬라이딩 레일(160) 내에 구름운동 가능하면서도 3축방향으로의 이탈을 규제하도록 핀결합된 좌우상하의 4축과 중앙의 1축에서 다수의 중앙 롤러(R3, ‥)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되, 상기 중앙 롤러로서, 상기 중앙 슬라이딩 레일(160)의 측방 개방부로 이탈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상기 중앙 슬라이딩 레일(160)에 형성된 중앙 롤러 지지수용부(161)에 구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다수의 중앙 롤러(R3, ‥)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가이드 캐리어(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기존의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방식을 대체하는 새로운 반자동 개폐 방식으로 도어 개방공간이 작은 곳에서 사용되는 도어 분야에의 이용이 기대된다.
물론, 상기 슬라이딩 레일(110, 150, 160)들의 단부에는 미끄럼 이동 제어용 스토퍼(S)가 도시하지 않은 체결부재를 매개로 체결고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치방법에 따라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어개방 시 상기 개폐축부재(131)에 상하 힌지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핸들(30)을 핸들리테이너(31)로부터 이탈시켜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주게 되면,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20)은 상부 스윙플레이트(133)가 축핀과 롤러를 축으로 상부 슬라이딩 레일(110)로부터 이격되는 이격량에 따라 폐쇄하고 있던 콘테이너 본체의 개구(11)로부터 회전 개방되고, 이때 핸들(3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20)은 개방방향인 차량 후부 쪽으로 상부 슬라이딩 레일(110)과 하부 슬라이딩 레일(150)을 따라 서서히 미끄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20)의 위치체커플레이트(41)가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20)의 회동 슬라이딩으로 일측의 위치설정구(43)의 영향권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탄성력부여수단은 탄성부재(230)의 탄발력에 의해 힌지결합부를 축으로 측방향 회전하게 되고, 계속되는 개폐축부재(131)의 회전으로 중앙측 상부 스윙플레이트(133)가 상하부 슬라이딩 레일(150)과 직교하는 위치에 설정되게 되면, 상기 탄성력부여수단의 가이드브라켓(220)이 상기 가이드 캐리어(240)에 대하여 상기 직교하는 위치에서 회동고정되고 이후 개폐축부재(131)는 스토퍼(S)에 의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상기 탄성력부여수단의 가이드 캐리어(240)는 핸들(3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중앙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20)을 상기 개구(11)로부터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20)의 닫힘 시에는 핸들(30)을 잡고 개방방향의 반대측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면 상기 도어패널(20)은 상기 슬라이딩 레일들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닫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도어패널(20)이 닫힘 직전에 이르게 되면 상기 위치설정구(43)에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20)의 일단측에 고정된 위치 체커플레이트(41)가 내부 접속하면서 고정설정되게 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20)의 일단측 닫힘을 사전 조력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핸들(30)에 닫힘방향으로 가해지는 추가 힘에 의해 닫힘이 진행되게 되고, 도어패널(20)은 이동 중 개폐축부재(131)의 추가 회전에 의해 닫힘상태 걸림작동이 기존과 마찬가지로 진행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 스윙플레이트(133)가 도어의 닫힘방향으로 최대한 이동시 일측 스토퍼(S)에 제지되고 계속되는 개폐축부재(131)의 회전으로 상부 스윙플레이트(133)가 상부 슬라이딩 레일(150)과 나란하게 되면 도어패널(20)은 상기 개구(11) 내에 완전히 진입하여 닫히게 되고 핸들(30)과 핸들리테이너(31)와의 걸림 작동이 이루어지게 하면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20)의 닫힘상태가 유지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20)의 폐쇄 작동의 경우, 좌측부는, 상기 개폐축부재(131)의 통상의 잠금장치(180)에 의한 걸림 작동이 수행되고, 좌측부는 하부 지지부재(160)가 상기 개폐축부재(131)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20)의 우측 하측부에 일단측이 고정되고, 타단은 내측으로 절곡되어 외측방향으로 일측면이 개방된 하부 슬라이딩 레일(150)의 내측 상부에 고정된 하부 롤러 지지수용레일(151)의 곡선구간(151a)와 직선구간(151b)에 걸쳐 상기 하부 슬라이딩 레일(151)의 내측 하면에 각각 상호 직교하여 지지되는 복수의 하부 롤러(R2, R2)를 매개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직선구간(151b)에서 직선이동되면서 폐쇄 작동시에는 곡선구간(151a)를 따라 이동하여 내측향으로 이동하면서 개 구(11)의 폐쇄를 위한 밀착 걸림 작동이 수행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20)의 우측 걸림작동은, 상기 상부 슬라이딩 레일(110)의 외향 내측면에 상부 롤러(R1)가 밀착됨으로써 개구(11)의 폐쇄작동이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20)의 개방시에는 상기 상부 롤러(R1, R1) 쌍이 상기 가이드블록(170)의 사면(171)을 기점으로 피벗회전방식으로 상기 상부 스윙플레이트(133)의 회전이 발생하면서, 볼 때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20)의 개방 시 개구(11)와의 이격 동작이 개시되게 됨과 동시에, 상기 도어패널(20)의 폐쇄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됨으로써, 상기 도어패널(20)의 개방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작동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 롤러(R2, R2)는 상기 하부 롤러 지지수용부(155)에 접속하는 하부 롤러(R2)와 상기 하부 슬라이딩 레일(150의 내측 하면에 지지되는 하부 롤러(R2)와 직교하여 배치됨으로써, 하부 롤러(R2)의 외향 이탈을 규제함과 동시에 원활한 주행이 가능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하부 슬라이딩 레일(150)을 알루미늄 자재 등으로 압출성형하여 상부 스윙 플레이트(133)와 하부 지지부재(160)을 매개로 도어 패널(20)이 회동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하면서, 하부 슬라이딩 레일(150)과 중앙 슬라이딩 레일(160)을 따라 상부, 중앙부 및 하부가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에 의한 슬라이딩 레일의 변형우려 및 도어패널(20)의 이탈우려 없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가 있고 상기 및 하부 롤러 지지수용레일(151)을 매 개로 한 유연한 곡선 주행을 기대할 수가 있고 매끈하고 미려한 외관을 갖게 되는 등과 같은 장점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의 정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의 도어 닫힘 시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의 도어 개방 시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의 상부 스윙 회동을 위한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의 반자동 개방을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탄성력부여수단을 나타낸 평면 및 배면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의 도어 닫힘 시의 탄성력부여수단을 나타낸 횡단면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의 도어 개방 시의 탄성력부여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횡단면 구조도,
도 9는 도 3의 선 A-A에 따른 종단면 구조도, 및
도 10 도 8의 B방향에서 바라보아 도시한 중앙 슬라이드 레일 관련 구성요소를 도시한 종단면 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컨테이너
11 : 개구
20 : 슬라이드 도어패널
110 : 상부 슬라이딩 레일
삭제
131 : 개폐축부재
133 : 상부 스윙 플레이트
135 : 축지지부재
140 : 상부 지지부재
150 : 하부 슬라이딩 레일
151 : 하부 롤러 지지수용레일
160 : 중앙 슬라이딩 레일
200 : 탄성력부여수단

Claims (4)

  1. 차체나 컨테이너 측부에 설치한 개구에 대하여 상기 측부의 외측면을 따라서 슬라이딩 도어패널을 전후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부착한 슬라이드 도어에 있어서,
    컨테이너측 개구의 상부에 부착되고 상부 롤러 수용부가 하측 개방형으로 형성된 상부 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상부 슬라이딩 레일에 형성된 상기 상부 롤러 수용부에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수용되는 한쌍의 상부롤러를 매개로 일단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의 우측 상측부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체결고정된 상부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부 스윙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스윙플레이트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의 좌측 상측부에 복수의 축지지부재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을 상기 개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키도록 하측의 핸들 회전에 연동하여 회동개폐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에 세로방향으로 결합된 개폐축부재와,
    상기 개폐축부재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의 우측 하측부에 일단측이 고정되고, 타단은 내측으로 절곡되어 외측방향으로 일측면이 개방된 하부 슬라이딩 레일의 내측 상부에 고정된 하부 롤러 지지수용레일과 상기 하부 슬라이딩 레일의 내측 하면에 각각 상호 직교하여 지지되는 복수의 하부 롤러를 매개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하부 지지부재와,
    상기 개폐축부재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의 우측 하측부에 일단측이 고정되고, 타단은 내측으로 절곡되어 외측방향으로 일측면이 개방된 하부 슬라이딩 레일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열된 복수의 하부 롤러를 갖는 하부 지지부재와,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의 개방 시 펼침 동작되는 상부 스윙플레이트에 경사 배향된 한쌍의 상부롤러의 내측이 접촉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이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기 한쌍의 상부롤러가 미끄럼 이동되는 것을 규제하도록, 상기 상부 슬라이딩 레일에 형성된 상기 상부 롤러 수용부의 내측 수직면에 고착된 외향 경사진 사면을 갖는 가이드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의 외측 중앙측부에는 중앙 슬라이딩 레일이 부착되고, 이 중앙 슬라이딩 레일에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을 상기 개구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력 부여수단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탄성력 부여수단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의 일측 중앙부에 고정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과, 탄성부재를 매개로 탄성력이 상호 인가되어 상기 핸들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이 상기 개구로부터 개방방향으로 이격될 시, 개방력이 작용하도록 힌지결합된 가이드브라켓과,
    상기 가이드브라켓의 타단이 힌지결합되며, 그의 일단은 상기 중앙 슬라이딩 레일 내에 구름운동 가능하면서도 3축방향으로의 이탈을 규제하도록 핀결합된 좌우상하의 4축과 중앙의 1축에서 다수의 중앙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되, 상기 중앙 롤러로서, 상기 중앙 슬라이딩 레일의 측방 개방부로 이탈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상기 중앙 슬라이딩 레일에 형성된 중앙 롤러 지지수용부에 구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다수의 중앙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가이드 캐리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슬라이딩 레일의 내측 상부에는 고정된 하부 롤러 지지수용레일이 고착되어 상기 하부 슬라이딩 레일의 내측 하면에 하부 롤러와 상호 직교하여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
  3. 삭제
  4. 삭제
KR1020080068055A 2008-07-14 2008-07-14 슬라이드 도어 KR101003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055A KR101003443B1 (ko) 2008-07-14 2008-07-14 슬라이드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055A KR101003443B1 (ko) 2008-07-14 2008-07-14 슬라이드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422A KR20100007422A (ko) 2010-01-22
KR101003443B1 true KR101003443B1 (ko) 2010-12-28

Family

ID=41816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8055A KR101003443B1 (ko) 2008-07-14 2008-07-14 슬라이드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34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604B1 (ko) * 2019-08-05 2020-09-11 (주)쓰리에스 축산폐수 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604B1 (ko) * 2019-08-05 2020-09-11 (주)쓰리에스 축산폐수 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422A (ko) 201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82616B (zh) 用于引导门扇的引导系统、组件以及家具
US11702876B2 (en) Sliding door system with mono-track assemblies
US9506282B2 (en) Tumble-home extending sliding door system
EP3072719B1 (en) Vehicle door structure
KR101673338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
CA2791713A1 (en) Sliding door with large opening
CN110386070B (zh) 可动式踏板装置
US11959321B2 (en) Sliding door system with dual track assemblies
WO2009145513A3 (ko) 개방형 미닫이식 도어 장치
EP2412906B1 (en) Coplanar closure sliding mechanism for two or three wing wardrobes and the like
CN104727671A (zh) 车门外把手
KR101006127B1 (ko) 슬라이드 도어
CN101239501B (zh) 注模机的安全门装置
KR101003443B1 (ko) 슬라이드 도어
US8235454B2 (en) Vehicle with a sliding door
RU242832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ксации откидной крыши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оснащенное соответствующей системой
KR101605784B1 (ko) 트럭용 윙도어 잠금장치
US20180170158A1 (en) Locking device having a locking hook and a movable slide
JP2006517626A (ja) スライド式壁
JP6619727B2 (ja) トラックの荷台扉開閉機構
KR20150018189A (ko) 차량용 도어 체커
KR20100001951U (ko) 슬라이드 도어
JP2010255258A (ja) 窓開閉装置
JP3143777U (ja) フラット引戸
KR101415649B1 (ko) 컨테이너용 슬라이드 도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