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4604B1 - 축산폐수 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축산폐수 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4604B1
KR102154604B1 KR1020200013438A KR20200013438A KR102154604B1 KR 102154604 B1 KR102154604 B1 KR 102154604B1 KR 1020200013438 A KR1020200013438 A KR 1020200013438A KR 20200013438 A KR20200013438 A KR 20200013438A KR 102154604 B1 KR102154604 B1 KR 102154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ification module
purification
container
purified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동식
Original Assignee
(주)쓰리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쓰리에스 filed Critical (주)쓰리에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5Combinations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with precipitation, flocculation, coagulation and separation of 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21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comprising treatment of the recirculated slud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은 액상분뇨 및 고상분뇨가 혼합된 축산폐수를 정화하여 배출하는 축산폐수 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축산폐수 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PURIFYING AND UNCYCLING SYSTEM FOR LIVESTOCK WASTEWATER}
본 발명은 축산폐수 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액상분뇨 및 고상분뇨가 혼합된 축산폐수, 특히 양돈분뇨를 정화하여 배출하는 축산폐수 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내 축산환경은 축산물 시장개방의 압박과 지속적인 생산기반 시설의 투자에 힘입어 축산농가의 규모화 및 전업화가 급속히 진행되었으며, 이에 따른 결과로 가축분뇨의 발생량이 급증함으로써 수질 및 토양의 오염 및 악취가 발생하였다.
이로 인하여 축산업은 환경오염원이라는 사회적 인식과 나아가 축산물에 대한 불신을 낳게 되어 축산업 발전에 장애가 될 수 있는 상황에 도달하였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축산분뇨 처리에 대한 여러 법령들이 마련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양돈 농가에서 발생되는 폐액은 정화처리를 할 경우 농도가 높아 큰 비용이 소요되어 개별 농가에서 처리하기에 어려움을 겪어 왔으며, 최근 환경법규가 강화되면서 앞으로 더욱 어려움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편, 하기선행기술문헌에는 본 발명은 고액분리와 발전과 미세기포 생성이 동시에 가능한 미세기포 생성기에 관한 내용만 개시하고 있을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개시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0360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축산폐수 정화를 위한 각 구성들을 모듈화함으로써 제작공정을 규격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제작기간 및 설치기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 및 설치 비용의 감소 및 유지/보수의 용이함을 담보할 수 있는 축산폐수 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컨테이너 내에 모듈화된 정화 구성들을 배치함으로써 정화과정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축산폐수 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은 액상분뇨 및 고상분뇨가 혼합된 축산폐수를 정화하여 배출하는 축산폐수 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하여 상기 축산폐수의 고상분뇨를 부상시켜 상기 액상분뇨 및 고상분뇨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가압부상조와, 상기 가압부상조에서 배출된 액상분뇨를 생물학적 정화처리하는 혐기조와, 상기 가압부상조에서 질산화된 액상분뇨를 탈질화하고 상기 액상분뇨의 슬러지를 침전시키는 제1 침전조를 포함하는 제1 정화모듈; 상기 제1 정화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제1 정화수를 고도산화처리(Advanced Oxidation Process)하는 제2 정화모듈; 상기 제2 정화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제2 정화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중공사막필터를 포함하는 제3 정화모듈; 상기 제3 정화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제3 정화수를 여과시키기 위한 여과막을 포함하는 제4 정화모듈; 상기 제4 정화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제4 정화수에 포함된 미분해 유기물, 색도 및 냄새 중 적어도 하나를 흡착하기 위한 활성탄 필터; 상기 활성탄 필터로부터 전달받은 제5 정화수를 저장하는 방류수저장조; 및 상기 제1 정화모듈, 제2 정화모듈, 제3 정화모듈, 제4 정화모듈, 활성탄 필터 및 방류수저장조를 수용하는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정화모듈, 제2 정화모듈 및 제3 정화모듈은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4 정화모듈, 활성탄 필터 및 방류수저장조는 상기 제3 정화모듈과 상기 컨테이너 내부 타측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정화모듈은 상호 직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가압부상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정화모듈은, 상기 가압부상조에서 분리된 고상분뇨를 회수하는 집수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정화모듈은 상호 직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고도산화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 정화모듈은, 상기 제3 정화수를 1차 여과하는 한외여과막(Ultrafiltration Membrane); 상기 한외여과막에서 여과된 제3 정화수를 2차 여과하는 역삼투막(Reverse Osmosis Membrane); 상기 제3 정화수를 상기 한외여과막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는 저압모터; 및 상기 한외여과막에서 여과된 제3 정화수를 상기 역삼투막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는 고압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류수저장조는, 상기 제5 정화수를 수용한 후 외부로 배출하는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5 정화수를 수용한 후 상기 제3 정화모듈 및 제4 정화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수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제2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은 정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들을 모듈로 구성하여 규격화함으로써 제작 및 설치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제작 및 설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한 맞춤형 제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축산폐수에 대한 생물학적 처리, 화학적 처리 및 물리적 처리를 모두 수행함으로써 고도의 정화능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정화모듈들을 컨테이너 내부에 모두 수용시킴으로써 정화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에서의 각 정화모듈들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의 구성들 중 제1 정화모듈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의 구성들 중 제2 정화모듈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의 구성들 중 제3 정화모듈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의 구성들 중 제4 정화모듈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의 구성들 중 방류수저장조를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에서 컨테이너 상부의 슬라이딩 도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 중 "A"부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의 컨테이너 전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정화모듈(100), 제2 정화모듈(200), 제3 정화모듈(300), 제4 정화모듈(400), 활성탄 필터(500) 및 방류수저장조(600)로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정화모듈(100), 제2 정화모듈(200), 제3 정화모듈(300), 제4 정화모듈(400), 활성탄 필터(500) 및 방류수저장조(600)가 모두 컨테이너(700) 내부에 수용되도록 배치된다.
즉, 하나의 컨테이너(700) 내부에 각 정화기능별로 모듈화된 구성들이 효율적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700) 내부의 일측을 따라 제1 정화모듈(100), 제2 정화모듈(200) 및 제3 정화모듈(300)이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제4 정화모듈(400), 활성탄 필터(500) 및 방류수저장조(600)는 제3 정화모듈(300)과 컨테이너(700) 내부의 타측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제1 정화모듈(100) 등의 정화를 위한 구성들이 컨테이너(700) 내부에 배치가 완료되면, 컨테이너(700)를 밀폐시키며, 이를 통하여 축산 폐수의 정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악취의 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700)의 전면에는 각 정화모듈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패널이 형성될 수 있으며, 컨테이너(700)의 상면 중 상기 각 정화모듈들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도어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는 특정 정화모듈의 고장으로 인한 수리 또는 교체가 필요할 경우 해당 정화모듈을 외부로 추출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특히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당 정화모듈을 컨테이너 외부로 추출하기 위하여 각 정화모듈의 상부에는 견고한 고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700)의 상부는 복수 개의 노출부(720)가 형성된 프레임(71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프레임(710)의 양측 상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이송레일(711)이 배치된다.
컨테이너(700) 상부에는 노출부(720)를 폐쇄하기 위한 슬라이딩 도어(730)가 배치되며, 이러한 슬라이딩 도어(730)는 이송레일(711)을 따라 컨테이너(700) 상부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축산폐수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을 가동하는 평상시에는 정화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 및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부(720)를 폐쇄하도록 슬라이딩 도어(730)를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컨테이너(700) 내부에 수용된 정화모듈들의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거나, 수리가 필요한 정화모듈을 외부로 추출하는 것이 필요할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부(720)가 노출되도록 슬라이딩 도어(7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상술한 슬라이딩 도어(7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731), 브라켓(732) 및 이송바퀴(733)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플레이트(731)는 노출부(720)를 덮도록 노출부(720)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구성이며, 브라켓(732)은 플레이트(731)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구성이고, 이송바퀴(733)는 브라켓(732)과 결합되어 이송레일(711)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구성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700)의 전면부에는 제어패널이 형성될 수 있는데, 제어패널은 컨테이너(700)의 전면부 외측에 노출되지 않고 전면부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테이너(700)의 전면부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전면부 도어(7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이를 통하여 제어패널 고장시 사용자가 제어패널을 용이하게 외부로 추출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사용자가 전면부 도어(750)를 열지 않은 채로 제어패널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전면부 도어(750) 중 제어패널과 대응되는 영역에는 투명창(75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우천시 사용자가 제어패널을 안정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700)의 전면부 상단에는 컨테이너(700)의 상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비가림막(740)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비가림막(740)은 컨테이너(700)의 상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필요에 따라 비가림막(740)을 접거나 펼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에 축산폐수가 유입되는 경우 축산폐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정화모듈(100), 제2 정화모듈(200), 제3 정화모듈(300), 제4 정화모듈(400) 및 활성탄 필터(500)를 거치면서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정화가 이루어지고, 이러한 정화과정을 거친 최종 정화수는 방류수저장조(600)에 저장된 후 컨테이너(700)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각 정화모듈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의 제1 정화모듈(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상조(110), 혐기조(120), 제1 침전조(130) 및 집수조(1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가압부상조(110)는 액상분뇨 및 고상분뇨가 혼합된 축산폐수에서 액상분뇨와 고상분뇨를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가압부상조(110)는 마이크로 버블 생성기 및 스크래퍼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마이크로 버블 생성기에서 생성된 마이크로 버블에 의하여 고상분뇨를 수면 위로 부상시킨 후,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고상분뇨를 긁어내어 집수조(140)로 전달함으로써 축산폐수 중 고상분뇨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가압부상조(110), 즉 제1 가압부상조(110a), 제2 가압부상조(110b), 제3 가압부상조(110c) 및 제4 가압부상조(110d)를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좀 더 확실하게 축산분뇨 중 고상분뇨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압부상조(110)를 통하여 고상분뇨가 제거된 액상분뇨는 혐기조(120) 및 제1 침전조(130)를 거쳐서 생물학적 정화 처리가 진행된다.
먼저 가압부상조(110)는 호기조의 역할도 함께 수행하며, 따라서 가압부상조(110)에서 액상분뇨를 질산화하게 되며, 가압부상조(110)에서 배출된 액상분뇨는 혐기조(120)로 전달되어 액상분뇨 내의 질소가스를 방출하게 된다.
이후 혐기조(120)를 거친 액상분뇨는 제1 침전조(130)로 이동하는데, 제1 침전조(130)는 액상분뇨에 남아있는 슬러지를 침전시키는 기능 뿐만 아니라 무산소조의 역할도 수행하므로 결국 제1 침전조(130)에서 질산화된 액상분뇨의 탈질화가 수행된다.
한편, 혐기조(120) 및 제1 침전조(130)에서 수행되는 생물학적 정화 처리 과정에서 탱크 하부에 침전된 슬러지는 가압부상조(110)로 다시 반송되는 과정이 수행되고, 상기의 과정을 거쳐서 정화된 제1 정화수는 제2 정화모듈(200)로 전달된다.
제2 정화모듈(200)은 제1 정화모듈(100)로부터 전달받은 제1 정화수를 고도산화처리(Advanced Oxidation Process: AOP)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고도산화공정은 난분해성 유기화합물을 산화 분해시키는 기술로써 산화공정에서 사용되는 일반 산화제보다 훨씬 강력한 산화력을 가진 수산화 래디컬(Hydroxyl radical: OH-)을 수중에 생성시켜 수중에 오염되어 있는 각종 독성, 난분해성 유기물질을 최종적으로 물과 이산화탄소(CO2 + H2O)로 산화, 분해시키는 기술이다.
즉, 이러한 고도산화공정(AOP)은 강력한 산화제에서 생성되는 수산화 래디컬을 중간생성물(intermediate)로 이용하여 수중에 잔류하는 유기물을 제거하는 것이며, 난분해성 유기물, 냄새 및 색도 제거 등에 활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 수행을 위하여 제2 정화모듈(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도산화조(210) 및 침전조(2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고도산화조(210)는 제1 정화모듈(100)로부터 제1 정화수를 전달받은 후 이를 고도산화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이다.
특히, 고도산화처리의 처리시간을 늘리기 위하여 복수 개의 고도산화조(210)를 직렬로 연결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도산화조(210a), 제2 고도산화조(210b) 및 제3 고도산화조(210c)의 3개의 고도산화조를 직렬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침전조(220)는 고도산화조(210)에서 고도산화처리된 제1 정화수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방치함으로써 아직까지 남아있는 잔여 슬러지를 침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침전된 슬러지는 제1 정화모듈(100)의 가압부상조(110)로 전달된다.
제3 정화모듈(300)은 제2 정화모듈(200)로부터 전달받은 제2 정화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중공사막필터(310)를 포함하는데, 중공사막필터(310)를 복수 개를 배치함으로써 좀 더 확실한 정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5와 같이 5개의 중공사막필터(310a, 310b, 310c, 310d, 310e)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아울러, 제3 정화모듈(300)은 블로워(3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블로워(320)에 의하여 제3 정화모듈(300) 내부에 인입된 제2 정화수에 유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중공사막필터(310)를 통한 정화를 좀 더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제3 정화모듈(300)의 중공사막필터(310)를 통하여 정화된 제3 정화수는 저장조(330)로 전달되고, 정화 과정에서 발생된 농축수는 제1 정화모듈(100)의 가압부상조(110)로 전달된다.
제4 정화모듈(400)은 제3 정화모듈(300)의 저장조(330)로부터 전달받은 제3 정화수를 여과시키기 위한 여과막을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4 정화모듈(4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외여과막(Ultrafiltration Membrane)(420), 역삼투막(Reverse Osmosis Membrane)(440), 저압펌프(410) 및 고압펌프(4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한외여과막(420)은 세균, 콜로이드, 단백질, 고분자 유기물과, 무기성 이온류, 저분자 유기물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여과막이다.
먼저 저압펌프(410)의 구동에 의하여 제3 정화모듈(300)로부터 전달받은 제3 정화수를 일측 방향, 즉 한외여과막(420) 방향으로 가압하고, 이로 인하여 제3 정화수는 한외여과막(420)에 의하여 제3 정화수를 1차적으로 여과하게 된다.
이때 한외여과막(4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한외여과막(420)을 직렬로 연결할 수 있으며, 나아가 병렬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고압펌프(430)를 이용하여 한외여과막(420)에서 여과된 제3 정화수를 역삼투막(440) 방향으로 가압하는데, 이는 역삼투막(440)의 조작압력이 한외여과막(420)의 조작압력보다 훨씬 높기 때문이며, 이를 통하여 1차 여과된 제3 정화수는 역삼투막(440)에 의하여 제3 정화수를 2차적으로 여과하게 된다.
이때 역삼투막(44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역삼투막(440)을 병렬로 연결할 수도 있으나, 직렬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역삼투막(440)을 통과한 제4 정화수는 활성탄 필터(500)로 전달되고, 정화 과정에서 발생된 농축수는 다시 제3 정화모듈(300)의 저장조(330)로 전달된다.
활성탄 필터(500)는 제4 정화모듈(400)로부터 전달받은 제4 정화수에 포함된 미분해 유기물, 색도 및 냄새 중 적어도 하나를 흡착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활성탄 필터(500)를 거친 제5 정화수는 방류수저장조(600)에 유입된다.
방류수저장조(6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저장부(610) 및 제2 저장부(620)로 구성되는데, 제1 저장부(610)는 제5 정화수를 수용한 후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2 저장부(620)는 제5 정화수를 수용한 후 제3 정화모듈(300) 및 제4 정화모듈(400) 중 적어도 하나를 세정하는 세정수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세정수를 이용하여 제5 정화수에 중공사막필터(310), 한외여과막(420) 및 역삼투막(440) 등을 세정한다.
이러한 기능의 수행을 위하여, 세정수가 중공사막필터(410), 한외여과막(420) 및 역삼투막(440)에 공급될 수 있도록 정화 유로와는 별도로 구성된 세정 유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1 정화모듈
200: 제2 정화모듈
300: 제3 정화모듈
400: 제4 정화모듈
500: 활성탄 필터
600: 방류수저장조
700: 컨테이너

Claims (4)

  1. 액상분뇨 및 고상분뇨가 혼합된 축산폐수를 정화하여 배출하는 축산폐수 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에 있어서,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하여 상기 축산폐수의 고상분뇨를 부상시킨 후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고상분뇨를 긁어내어 집수조로 전달하고, 고상분뇨가 제거된 액상분뇨를 배출하도록 마이크로 버블 생성기 및 스크래퍼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가압부상조로 이루어진 가압부상조와, 상기 가압부상조에서 배출된 액상분뇨를 생물학적 정화처리하는 혐기조와, 상기 가압부상조에서 질산화된 액상분뇨를 탈질화하고 상기 액상분뇨의 슬러지를 침전시키는 제1 침전조를 포함하는 제1 정화모듈;
    상기 제1 정화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제1 정화수를 고도산화처리(Advanced Oxidation Process)하는 복수개의 고도산화조 및 침전조로 이루어진 제2 정화모듈;
    상기 제2 정화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제2 정화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여과하기 위해 복수개로 배치된 중공사막필터와 제2 정화수에 유동을 발생시키는 블로워로 이루어진 제3 정화모듈;
    상기 제3 정화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제3 정화수를 여과시키기 위해 상호 직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한외여과막과 제3 정화수를 한외여과막 방향으로 가압하는 저압펌프 및 상호 병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역삼투막과 한외여과막을 통과한 제3 정화수를 역삼투막 방향으로 가압하는 고압펌프를 포함하는 제4 정화모듈;
    상기 제4 정화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제4 정화수에 포함된 미분해 유기물, 색도 및 냄새 중 적어도 하나를 흡착하기 위한 활성탄 필터;
    상기 활성탄 필터로부터 전달받은 제5 정화수를 저장하고 외부로 방출하는 제1 저장부 및 제5 정화수를 저장하고, 제3 정화모듈 및 제4 정화모듈의 세정수로 배출하는 제2 저장부로 이루어진 방류수저장조; 및
    상기 제1 정화모듈, 제2 정화모듈, 제3 정화모듈, 제4 정화모듈, 활성탄 필터 및 방류수저장조를 수용하는 컨테이너;
    를 포함하고,
    특정 정화모듈의 수리나 교체가 필요할 경우 크레인으로 해당 정화모듈을 컨테이너 외부로 추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정화모듈, 제2 정화모듈, 제3 정화모듈, 제4 정화모듈, 활성탄 필터 및 방류수저장조의 상부에는 크레인에 체결될 수 있는 고리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제1 정화모듈, 제2 정화모듈, 제3 정화모듈, 제4 정화모듈, 활성탄 필터 및 방류수저장조 중 어느 하나의 정화모듈의 외부 추출이 필요할 경우, 해당되는 정화모듈과 대응되는 노출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컨테이너의 상부에는 상기 컨테이너 상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노출부를 개폐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도어가 배치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전면부 상단에는 상기 컨테이너의 상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비가림막이 배치되는 축산폐수 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전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정화모듈, 제2 정화모듈, 제3 정화모듈, 제4 정화모듈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의 전면부에는 전면부 도어가 배치되되 상기 전면부 도어 중 상기 제어패널과 대응되는 영역에는 투명창이 형성되는 축산폐수 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상부 양측에는 두 개의 이송레일이 상호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는, 상기 노출부를 덮도록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되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이송바퀴를 포함하는 축산폐수 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
KR1020200013438A 2019-08-05 2020-02-05 축산폐수 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 KR1021546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788 2019-08-05
KR20190094788 2019-08-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4604B1 true KR102154604B1 (ko) 2020-09-11

Family

ID=72472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438A KR102154604B1 (ko) 2019-08-05 2020-02-05 축산폐수 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46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20868A (zh) * 2020-11-11 2021-03-19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利用沸石处理畜禽养殖场粪便污水的方法及处理池
CN114735893A (zh) * 2022-04-19 2022-07-12 中国科学院生态环境研究中心 一种微气泡改良生物活性炭水质提升的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5718A (ko) * 1997-04-01 1998-11-16 김윤 고농도 폐수의 고도처리방법
KR20090054151A (ko) * 2007-11-26 2009-05-29 주식회사 미래엔지니어링 하/폐수 처리를 통한 음용수 생산 시스템 및 방법
KR101003443B1 (ko) * 2008-07-14 2010-12-28 고진성 슬라이드 도어
KR20170072502A (ko) * 2015-12-17 2017-06-27 (주)에스지알테크 이동식 수처리 장치
KR101890360B1 (ko) 2018-03-13 2018-08-22 인워터솔루션 주식회사 고액분리와 발전이 가능한 미세기포 생성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5718A (ko) * 1997-04-01 1998-11-16 김윤 고농도 폐수의 고도처리방법
KR20090054151A (ko) * 2007-11-26 2009-05-29 주식회사 미래엔지니어링 하/폐수 처리를 통한 음용수 생산 시스템 및 방법
KR101003443B1 (ko) * 2008-07-14 2010-12-28 고진성 슬라이드 도어
KR20170072502A (ko) * 2015-12-17 2017-06-27 (주)에스지알테크 이동식 수처리 장치
KR101890360B1 (ko) 2018-03-13 2018-08-22 인워터솔루션 주식회사 고액분리와 발전이 가능한 미세기포 생성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20868A (zh) * 2020-11-11 2021-03-19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利用沸石处理畜禽养殖场粪便污水的方法及处理池
CN114735893A (zh) * 2022-04-19 2022-07-12 中国科学院生态环境研究中心 一种微气泡改良生物活性炭水质提升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7456B2 (en) Method for treating landfill leachate
KR102154604B1 (ko) 축산폐수 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
US20070119779A1 (en) Method for treating raw water containing hardly decomposable substance
KR101662521B1 (ko) 전착도장의 수세폐수 재활용 장치
KR100751233B1 (ko) 한외여과식 중수 처리 장치
KR100945722B1 (ko) 가축분뇨 및 분뇨 등의 유기성 고농도 폐수 고도처리 및 자원재활용 공법 및 이를 위한 처리장치
US20050051470A1 (en) Water filtration system for food processing line
CN101397179A (zh) 双膜脱磷系统及脱磷方法
JPH10109095A (ja) 浄水処理装置
KR20060111126A (ko) 물리화학적 폐수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211004886U (zh) 一种垃圾渗滤液处理系统
CN102060417B (zh) Clt酸生产废水的处理工艺及装置
EP1041044B1 (de) Verfahren zur Reinigung von Phenole enthaltendem Abwasser
KR20210129285A (ko) 고액분리필터를 구비한 축산폐수 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
RU2096342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питьевой вод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0758380B1 (ko) 역삼투압을 이용한 농축수 재활용 처리장치
CN210915750U (zh) 一种市政工程环保型生活废水多级处理装置
KR101646590B1 (ko) 하수처리 과정에서 발생한 반류수 처리방법
JPH0857273A (ja) 浸漬型膜分離装置
KR20060005023A (ko) 전기응집 활성탄 여과장치
WO2021255541A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100434745B1 (ko) 오폐수 처리시스템
KR200434458Y1 (ko) 역삼투압을 이용한 농축수 재활용 처리시스템
KR100453024B1 (ko) 휴대용 고도 정수기
KR100656562B1 (ko) 수처리 재활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