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2502A - 이동식 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수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2502A
KR20170072502A KR1020150180732A KR20150180732A KR20170072502A KR 20170072502 A KR20170072502 A KR 20170072502A KR 1020150180732 A KR1020150180732 A KR 1020150180732A KR 20150180732 A KR20150180732 A KR 20150180732A KR 20170072502 A KR20170072502 A KR 20170072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aminated water
water
space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0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2913B1 (ko
Inventor
김수홍
김가람
Original Assignee
(주)에스지알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지알테크 filed Critical (주)에스지알테크
Priority to KR1020150180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913B1/ko
Publication of KR20170072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02F9/00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01D21/2438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provided with scrapers on the liquid surface for removing floating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34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industrial activ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2F2103/12 - C02F2103/32
    • C02F2103/36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industrial activ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2F2103/12 - C02F2103/32 from the manufacture of organic compounds
    • C02F2103/365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industrial activ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2F2103/12 - C02F2103/32 from the manufacture of organic compounds from petrochemical industry (e.g. refine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8Mobile apparatus and plants, e.g. mounted on a vehic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성을 가지며 수처리 효율이 향상된 이동식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수처리 장치는 차량, 전처리부, 분리부 그리고 흡착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차량은 내부에 제1공간이 형성되는 설치부를 가진다. 전처리부는 제1공간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오염수를 유입하고 유입되는 오염수에 공기가 혼합되도록 처리한다. 분리부는 제1공간에 설치되고, 전처리부를 거쳐 유입되는 오염수로부터 오일 및 슬러지를 분리한다. 그리고 흡착부는 제1공간에 설치되고, 분리부를 거쳐 유입되는 오염수로부터 난분해성 물질을 흡착, 제거한다.

Description

이동식 수처리 장치{MOBILE APPARATUS FOR WATER TREATMENT}
본 발명은 이동식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성을 가지며 수처리 효율이 향상된 이동식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분해성 물질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석유 화학 산업의 폐수는 다양한 공정에서 발생하게 되며, 주로 탄화수소 형태의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폐수 내에 존재하는 난분해성 물질은 수십 종 이상의 방향족류 물질이 검출 가능 농도로 존재하고 있으며, 폐수처리 공정의 방류수에 색도 물질이나 유분 에멀젼 형태로 존재하고 있어 생물체에 장기 농축되어 생물 독성을 야기하기도 한다.
이러한 난분해성 물질을 처리하기 위해 역삼투압(R/O)을 이용한 분리, 활성탄 흡착, 펜톤(Fenton) 등과 같은 산화제를 이용한 제거방법 등이 제안되어 적용되었으나, 각각 농축수 재처리, 낮은 흡착제거 속도, 철염 슬러지 발생 등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처리비용이 고가이기 때문에 냉각수 계통에서 발생하는 대량의 폐수로 희석하여 배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 현장에서는 경제성 및 처리 효율을 고려하여 전처리, 생물학적 처리, 후처리 등의 공정을 거쳐 난분해성 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하고 있으나, 주로 유분에 오염된 폐수는 미생물의 활성도를 감소시키므로 활성슬러지와 같은 생물학적 처리 방법을 적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제거 효율이 높다고 알려진 활성탄 흡착의 경우, 흡착 속도가 느려 체류 시간을 길게 유지하게 되므로 흡착탑의 과대 설계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흡착이 끝난 활성탄의 경우 열처리를 이용하여 처리장 외부에서 재생처리를 하거나, 증기 역류 세척 및 이소프로판올 등을 이용한 화학 재생을 통해 현장에서 재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재생 과정 중에 질량 손실이 발생하게 되며, 초기 흡착량 대비 70~85% 정도의 낮은 재생 수율을 나타내므로 반복적 사용이 거의 불가능하다.
그리고, 화학적 재생과정을 거치는 동안 발생한 폐액을 별도로 처분해야 하므로 추가적인 폐기물 처리비용이 발생 할 수 있다.
따라서, 흡착탑에서 직접 흡착제의 재생이 가능하면서도 흡착제 재생에 따라 폐수 처리 공정의 단절이 없고, 일부 흡착탑에서의 흡착제 재생이 이루어지더라도 다른 흡착탑을 통해 연속적인 폐수 처리 공정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수처리 시설은 고정된 장소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오염수의 발생은 하천을 예를 들더라도, 특정 장소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오염수가 발생하게 되더라도 신속한 수처리가 어렵다. 따라서, 오염수 발생 시 신속한 수처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004142호(2011.01.13) 일본공개특허공보 제1994-178987호(1994.06.28)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동성을 가지며 수처리 효율이 향상된 이동식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내부에 제1공간이 형성되는 설치부를 가지는 차량; 상기 제1공간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오염수를 유입하고 유입되는 오염수에 공기가 혼합되도록 처리하는 전처리부; 상기 제1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전처리부를 거쳐 유입되는 오염수로부터 오일 및 슬러지를 분리하는 분리부; 그리고 상기 제1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분리부를 거쳐 유입되는 오염수로부터 난분해성 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흡착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수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오염수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거쳐 유입된 오염수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가압하여 혼합하는 혼합탱크와, 상기 혼합탱크로부터 유입되는 오염수에 기포를 발생시키는 용존 공기 부상부와, 오염수가 상기 필터, 혼합탱크 및 용존 공기 부상부를 거쳐 흐르도록 압력을 제공하는 펌프와, 상기 혼합탱크 및 상기 펌프에 선택적으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압축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내측에 제2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2공간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전처리부로부터 배출되는 오염수가 유입되며, 유입된 오염수의 이물질을 1차 분리하는 제1처리부와, 상기 제2공간에 제1스크린부재에 의해 상기 제1처리부와 구획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1스크린부재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오염수에서 이물질을 2차 분리하는 제1분리팩이 구비되는 제2처리부와, 상기 제2공간에 제2스크린부재에 의해 상기 제2처리부와 구획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2스크린부재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오염수에서 이물질을 3차 분리하는 제2분리팩이 구비되는 제3처리부와, 상기 제2공간에 격벽에 의해 상기 제3처리부와 구획되어 마련되고, 상기 격벽을 월류하여 유입되는 오염수에서 이물질이 흡착되어 분리되도록 하는 제1흡착제가 구비되는 제4처리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처리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일단부는 상기 전처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처리부로부터 배출되는 오염수가 상기 제2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제2공간에서 상기 안내부의 타단부와 연결되고, 하부가 개방되는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내부를 통해 배출되는 오염수가 하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내측에 축 방향으로 구비되고 나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와류를 발생하는 와류발생부로 구성되는 분리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처리부는 상측으로 오목하게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단부에 제1통공이 형성되는 제1산부와, 하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되는 형상을 가지고 하단부에 제2통공이 형성되는 제1골부가 수평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수직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면서 적층되는 복수의 제1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오염수의 오일 및 슬러지를 분리하는 제1분리팩과, 상기 오염수의 수면 높이에 상기 하우징을 가로지르도록 마련되어 상기 오염수의 수면에 부상된 오일을 걷어내는 제1스키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처리부는 상측으로 오목하게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단부에 제3통공이 형성되는 제2산부와, 하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되는 형상을 가지고 하단부에 제4통공이 형성되는 제2골부가 수평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수직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면서 적층되는 복수의 제2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오염수의 오일 및 슬러지를 분리하는 제2분리팩과, 상기 오염수의 수면 높이에 상기 하우징을 가로지르도록 마련되어 상기 오염수의 수면에 부상된 오일을 걷어내는 제2스키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4처리부는 상기 격벽과 연결되어 상기 격벽을 월류하여 유입되는 오염수가 수용되는 받이부, 상기 받이부와 연결되고 수평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받이부에서 넘치는 오염수가 복수의 경로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분기유로를 가지는 분기부와, 상기 분기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분기유로에서 넘쳐 낙하되는 오염수에서 이물질이 흡착되어 분리되도록 하는 제1흡착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오염수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상기 제1처리부에 해당되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위한 제1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3처리부에 해당되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제2배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처리부 및 상기 제3처리부에 해당되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제2공간으로 고압의 기체를 공급하여 상기 제1분리팩 및 제2분리팩을 청소하기 위한 폭기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는 상기 제2처리부에 구비되는 제1스키머 및 상기 제3처리부에 구비되는 제2스키머를 통해 운반되는 오염수 및 오일을 분리하는 재분리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재분리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마련되는 챔버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제1스키머 및 제2스키머에서 배출되는 오염수 및 오일을 상기 챔버로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관과, 상기 챔버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고, 하단부가 상기 챔버의 바닥면과 연결되는 원통형상의 차단부, 상기 차단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챔버 내부의 오염수가 상기 차단부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공, 상기 차단부의 상부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차단부의 상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구획부로 구성되는 댐부와, 상기 챔버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차단부의 내부와 연결되어 상기 차단부의 내측의 처리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제3배출구와, 상기 수용 공간과 연결되도록 상기 챔버의 전면에 구비되고, 상기 차단부를 월류하여 유입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오일이 배출되도록 하는 제4배출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상부가 개방 형성되고, 하측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분리부를 거친 오염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오염수가 배출되는 유출구를 가지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탈착되는 덮개부와, 상기 용기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오염수의 난분해성 물질이 흡착되도록 하는 흡착모듈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가지고 반경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길이로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을 가지고, 상기 용기부는 상기 용기부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슬릿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지지부를 가지는 제1플랜지와,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는 결합축, 일단부가 상기 결합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슬릿에 삽입되는 회전바, 및 상기 회전바의 타단부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회전바가 상기 슬릿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를 가압하여 상기 덮개부를 상기 용기부에 고정시키는 조임부로 구성되는 결합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착모듈은 제2흡착제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부의 내부에 돌출 구비되는 결합리브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플랜지와, 상기 수용부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되고, 오염수가 이동하도록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타공 플레이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분리부를 거친 처리수의 이동을 안내하는 메인라인과 연결되고 복수의 흡착부의 유출구와 연결되는 제1배관라인과, 상기 메인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흡착부 중 어느 하나의 흡착부의 유입구와 연결되는 제2배관라인과, 다른 하나의 흡착부의 유출구와 연결되는 제1배관라인 부분에서 분기되어 상기 다른 하나의 흡착부의 유입구와 연결되는 제3배관라인을 포함하여 직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직렬 배치되는 흡착부는 복수로 마련되고, 각각의 상기 직렬 배치되는 흡착부는 상기 메인라인이 분기되어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염수를 수처리하는 전처리부, 분리부 및 흡착부가 차량에 구비되기 때문에, 오염수가 발생한 지역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신속한 오염수의 수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흡착부는 복수로 직렬 배치될 수 있으며, 이렇게 직렬 배치되는 흡착부는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흡착부가 직렬 및 병렬 배치됨으로써, 파과점에 다다른 일부 흡착부의 흡착제의 재생을 실시하면서 다른 흡착부를 통해 난분해성 물질을 계속해서 처리하여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수처리 장치를 나타낸 정면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수처리 장치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수처리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수처리 장치의 전처리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수처리 장치의 분리부를 나타낸 정면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수처리 장치의 분리부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수처리 장치의 분리부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A-A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수처리 장치의 분리부를 나타낸 측면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수처리 장치의 재분리부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수처리 장치의 흡착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수처리 장치의 흡착부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수처리 장치의 흡착부를 나타낸 분해 단면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수처리 장치의 흡착부의 배치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설명되는 수처리부를 기준으로 상기 수처리부로 유입되는 물은 ‘오염수’로 표현되고, 상기 수처리부에서 수처리되어 배출되는 물은 ‘처리수’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수처리 공정 상, 앞의 수처리부에서 수처리된 처리수는 다음의 수처리부에 유입될 때는 오염수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수처리 장치를 나타낸 정면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수처리 장치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수처리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수처리 장치(100)는 차량(110), 전처리부(200), 분리부(300) 그리고 흡착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110)은 내부에 제1공간(121)이 형성되는 설치부(120)를 가질 수 있다. 설치부(120)는 내부의 제1공간(121)에 전처리부(200), 분리부(300) 및 흡착부(800)를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설치부(120)는 차량(110)의 일부로써 차량(110)에 직접 설치되는 구조물이거나, 컨테이너(Container) 등과 같이 별도로 제작된 후 차량(110)에 장착되는 형태의 것이거나, 또는 트레일러(Trailer) 등과 같이 차량(110)에 연결되는 형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염수를 수처리하는 전처리부(200), 분리부(300) 및 흡착부(800)가 차량에 구비되기 때문에, 오염수가 발생한 지역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신속한 오염수의 수처리가 가능하다.
그리고, 전처리부(200)는 설치부(120)의 제1공간(121)에 설치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오염수를 유입하고 유입되는 오염수에 공기가 혼합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분리부(300)는 설치부(120)의 제1공간(121)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전처리부(200)를 거쳐 유입되는 오염수로부터 오일 및 슬러지를 분리할 수 있다. 분리부(300)는 오염수에서 분리된 오일 및 슬러지를 각각 다른 경로로 이송할 수 있다.
흡착부(800)는 설치부(120)의 제1공간(121)에 설치될 수 있으며, 분리부(300)를 거쳐 유입되는 오염수로부터 난분해성 물질을 흡착, 제거할 수 있다. 흡착부(800)는 복수개가 직렬 배치될 수 있으며, 흡착부(800)는 이러한 직렬 배치를 통해 난분해성 물질의 처리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각각 직렬 배치된 흡착부(800)는 병렬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병렬 배치를 통해 파과점에 다다른 일부 흡착부(800)의 흡착제의 재생을 실시하면서 다른 흡착부(800)를 통해 난분해성 물질을 계속해서 처리하여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분리부(300)와 흡착부(800)의 사이에는 클린탱크(710) 및 필터펌프(7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클린탱크(710)는 분리부(300)를 거친 처리수를 수용할 수 있으며, 유입되는 처리수의 수용량을 조절하기 위한 레벨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펌프(720)는 클린탱크(710)에 수용된 오염수가 흡착부(800)로 이송되도록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필터펌프(720)는 유입되는 오염수로부터 제거하고자 하는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식 수처리 장치(100)는 제어부(7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730)는 전처리부(200), 분리부(300), 클린탱크(710), 필터펌프(720) 및 흡착부(8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수처리 장치의 전처리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를 포함하여 보는 바와 같이, 전처리부(200)는 필터(210), 혼합탱크(220), 용존 공기 부상부(230), 펌프(240) 및 공기압축기(25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210)는 호스(201)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오염수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필터(210)는 오염수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스크린부재(211)를 가질 수 있으며, 스크린부재(211)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크린부재(211)는 타공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혼합탱크(220)는 필터(210)를 거쳐 유입되는 오염수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가압하여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용존 공기 부상부(230)는 혼합탱크(220)로부터 유입되는 오염수에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용존 공기 부상부(230)는 용존 공기 부상(DAF: Dissolved Air Flotation)법을 이용하여 오염수에 다량의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펌프(240)는 오염수가 필터(210), 혼합탱크(220) 및 용존 공기 부상부(230)를 거쳐 흐르도록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펌프(240)는 필터(210)와 혼합탱크(22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공기압축기(250)는 펌프(240) 및 혼합탱크(220)에 선택적으로 압축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혼합탱크(220)는 공기압축기(250)에서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오염수에 다량의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전처리부(200)는 제1지지부(130)에 의해 설치부(120)에 결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수처리 장치의 분리부를 나타낸 정면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수처리 장치의 분리부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수처리 장치의 분리부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A-A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수처리 장치의 분리부를 나타낸 측면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수처리 장치의 재분리부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리부(300)는 하우징(301), 제1처리부(310), 제2처리부(320), 제3처리부(340) 및 제4처리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하우징(301)은 분리부(30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2지지부(140)에 의해 설치부(120, 도 1 참조)에 결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301)의 내측에는 제2공간(30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공간(302)은 하우징(301)의 내부 공간 전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제2공간(302)이 용도에 따라 나뉘어지면서 제1처리부(310) 내지 제4처리부(35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처리부(310)는 제2공간(302)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전처리부(200)로부터 오염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오염수의 이물질을 1차 분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처리부(310)는 안내부(311) 및 분리유닛(312)을 가질 수 있다.
안내부(311)는 하우징(301)의 일측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하우징(301)의 외측에 위치되는 안내부(311)의 일단부는 용존 공기 부상부(230, 도 4 참조)와 연결될 수 있다. 안내부(311)와 용존 공기 부상부(230)는 파이프(235)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유닛(312)은 안내부(311)의 타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커버부(313) 및 와류발생부(314)로 구성될 수 있다.
커버부(313)는 하부가 개방되는 용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안내부(311)의 타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존 공기 부상부(230)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는 안내부(311)를 통해 커버부(313)의 내측에 유입될 수 있으며, 커버부(313)의 하부로 배출되어 제2공간(30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와류발생부(314)는 커버부(313)의 내측에 커버부(313)의 축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나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와류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분리유닛(312)에서 토출되는 오염수는 와류 형태로 배출되고, 이때 원심력에 의해 무거운 이물질은 제1처리부(310)의 바닥으로 가라앉고, 공기방울, 거품, 가벼운 이물질, 오일 등은 부상하면서 1차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처리부(320)는 제1스크린부재(321), 제1분리팩(323) 및 제1스키머(331)를 가질 수 있다.
제1스크린부재(321)는 제2공간(302)에 오염수의 흐름 방향과 수직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스크린부재(321)는 다수의 타공(322)이 형성되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처리부(320)는 제1스크린부재(321)에 의해 제1처리부(310)와 구획되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분리팩(323)은 수직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루면서 적층되는 복수의 제1플레이트(32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플레이트(324)는 상측으로 오목하게 돌출되는 형상의 제1산부(325)와, 하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되는 제1골부(326)를 가질 수 있으며, 제1산부(325) 및 제1골부(326)는 수평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산부(325)의 상단부에는 제1통공(327)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골부(326)에는 제2통공(328)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염수가 제1분리팩(323)를 지나갈 때, 오염수의 오일은 제1통공(327)을 통해 수면으로 떠오르게 되고, 슬러지는 제2통공(328)을 통해 침강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면서 2차 분리될 수 있다. 제2통공(328)을 통해 침강하는 슬러지는 하우징(301)의 바닥면에 쌓일 수 있다.
제1스키머(331)는 하우징(301)을 가로지르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오염수의 수면 높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스키머(331)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제1개방부(332)가 형성될 수 있다. 수면에 부상된 오일은 제1개방부(332)를 통해 제1스키머(331)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스키머(331)는 수면에 부상된 오일을 걷어낼 수 있다.
그리고, 제3처리부(340)는 제2스크린부재(341), 제2분리팩(342) 및 제2스키머(335)를 가질 수 있다.
제2스크린부재(341)는 제2공간(302)에 오염수의 흐름 방향과 수직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스크린부재(341)는 다수의 타공(미도시)이 형성되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스크린부재(321)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3처리부(340)는 제2스크린부재(341)에 의해 제2처리부(320)와 구획되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분리팩(342)은 수직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루면서 적층되는 복수의 제2플레이트(34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플레이트(343)는 상측으로 오목하게 돌출되는 형상의 제2산부(344)와, 하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되는 제2골부(345)를 가질 수 있으며, 제2산부(344) 및 제2골부(345)는 수평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산부(344)의 상단부에는 제3통공(34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골부(345)에는 제4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염수가 제2분리팩(342)를 지나갈 때, 오염수의 오일은 제3통공(346)을 통해 수면으로 떠오르게 되고, 슬러지는 제4통공(347)을 통해 침강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면서 3차 분리될 수 있다. 제4통공(347)을 통해 침강하는 슬러지는 하우징(301)의 바닥면에 쌓일 수 있다.
제2플레이트(343)는 제1플레이트(324)보다 넓은 면적으로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1플레이트(324)의 적층 간격보다 촘촘한 간격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분리팩(323)에서는 상대적으로 포함된 오일 및 슬러지가 많은 오염수의 유동 저항을 낮추면서 이물질의 1차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분리팩(342)은 더욱 넓은 면적의 제2플레이트(343)가 마련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인 이물질의 2차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스키머(335)는 하우징(301)을 가로지르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오염수의 수면 높이에, 보다 바람직하게는 오염수의 수면 높이보다 조금 낮게 구비될 수 있다. 제2스키머(335)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제2개방부(336)가 형성될 수 있다. 수면에 부상된 오일은 제2개방부(336)를 통해 제2스키머(335)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스키머(335)는 수면에 부상된 오일을 걷어낼 수 있다.
제4처리부(350)는 제2공간(302)에 격벽(351)에 의해 제3처리부(340)와 구획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제4처리부(350)는 분기부(352) 및 제1흡착제(358)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분기부(352)는 받이부(353) 및 분기유로(354)를 가질 수 있다.
받이부(353)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격벽(351)의 일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격벽(351)의 일측면에는 경사판(355)이 구비될 수 있으며, 경사판(355)은 하단부가 받이부(353)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격벽(351)을 월류하는 오염수는 경사판(355)을 따라 흘러 받이부(353)에 유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분기유로(354)는 받이부(353)와 연결되고 수평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분기유로(354)는 측벽(356)을 가질 수 있으며, 측벽(356)에는 일정 간격으로 홈(357)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받이부(353)에 수용되는 오염수의 수위가 증가하게 되면 받이부(353)의 오염수는 분기유로(354)를 통해 이동하게 되고, 측벽(356)의 홈(357)으로 넘쳐 낙하하게 된다. 여기서, 분기유로(354)는 수평 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되기 때문에, 오염수는 분기유로(354)에 의한 복수의 경로로 이동하도록 안내되며, 홈(357)에서 넘치는 오염수는 제4처리부(350)의 공간에 고르고 넓게 분포되어 낙하할 수 있다.
제1흡착제(358)는 분기부(352)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오염수로부터 오일 등을 포함하는 여러 이물질을 흡착할 수 있다.
하우징(301)의 타측면에는 출구(30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4처리부(350)를 거치면서 수처리된 처리수는 출구(30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제1처리부(310)에 해당되는 하우징(301)의 하부에는 제1배출구(30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배출구(304)를 통해서 제1처리부(310)에 침전된 이물질은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3처리부(340)에 해당되는 하우징(301)의 하부에는 제2배출구(30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2배출구(305)를 통해서 제3처리부(340)에 침전된 이물질은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제2처리부(320) 및 제3처리부(340)에 해당되는 하우징(301)의 하부에는 폭기구(306,307)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폭기구(306,307)로는 고압의 기체가 공급될 수 있으며, 공급되는 고압의 기쳬가 제1분리팩(323) 및 제2분리팩(342)을 통과하도록 하여 제1분리팩(323) 및 제2분리팩(342)이 청소되도록 할 수 있다.
폭기구(306,307)로 유입된 고압의 기쳬에 의해 제1분리팩(323) 및 제2분리팩(342)에서 떨어져 나온 슬러지는 제2처리부(320) 및 제3처리부(340)의 바닥면에 쌓이게 되고, 이렇게 쌓인 슬러지는 제1배출구(304) 및 제2배출구(305)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301)의 외부에는 재분리부(36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재분리부(360)는 챔버(361), 안내관(362), 댐부(363), 제3배출구(368) 및 제4배출구(370)를 가질 수 있다.
챔버(361)는 하우징(301)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으며, 하우징(301)의 외부에 마련될 수 있다.
안내관(362)은 챔버(361)의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안내관(362)은 일단부가 각각 제1스키머(331) 및 제2스키머(335)와 연결될 수 있으며, 타단부는 챔버(361)에 연결될 수 있다. 안내관(362)은 챔버(361)와 연결되는 부분이 스키머(331,335)에 연결되는 부분보다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각 스키머(331,335)로 유입된 오일 및 오염수는 안내관(362)을 통해 챔버(361)의 내측으로 운반될 수 있다.
그리고, 댐부(363)는 차단부(364), 유입공(365) 및 구획부(366)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차단부(364)는 챔버(361)의 내측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차단부(364)는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개방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부는 챔버(361)의 바닥면(367)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유입공(365)은 차단부(364)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챔버(361)로 유입된 오염수는 유입공(365)을 통해 차단부(364)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챔버(361)로 유입된 오일은 오염수의 수면에 떠있기 때문에 유입공(365)을 통한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제3배출구(368)는 챔버(361)의 하부에 구비되고 차단부(364)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유입공(365)을 통해 차단부(364)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처리수는 제3배출구(368)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구획부(366)는 차단부(364)의 상부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차단부(364)의 상부에 수용 공간(369)을 형성할 수 있다. 챔버(361)로 유입된 처리수의 수위가 증가하게 되면 수면의 오일이 차단부(364)를 월류하여 유입될 수 있는데, 이렇게 유입되는 오일은 구획부(366)에 의해 차단부(364)의 상부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369)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4배출구(370)는 수용 공간(369)과 연결되도록 챔버(361)의 전면(371)에 구비될 수 있으며, 수용 공간(369)에 수용되는 오일은 제4배출구(37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수처리 장치의 흡착부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수처리 장치의 흡착부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수처리 장치의 흡착부를 나타낸 분해 단면예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흡착부(800)는 용기부(810), 덮개부(830) 및 흡착모듈(850)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용기부(810)는 상부가 개방 형성되는 탱크일 수 있으며, 용기부(810)는 유입구(811), 유출구(812), 제1플랜지(813), 결합부(820) 및 결합리브(815)를 가질 수 있다.
유입구(811)는 용기부(810)의 하측에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유입구(811)를 통해서는 분리부(300, 도 3 참조)를 거친 처리수가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유출구(812)는 용기부(810)의 상측에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용기부(810) 내측의 오염수는 유출구(81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제1플랜지(813)는 용기부(810)의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덮개부(830)는 용기부(810)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탈착될 수 있으며, 제1플랜지(813)에 대응되는 외측 지름을 가질 수 있다. 덮개부(830)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슬릿(8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슬릿(831)은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가지고 반경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플랜지(813)는 원주 방향을 따라 슬릿(831)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지지부(814)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820)는 결합축(821), 회전바(822) 및 조임부(823)를 가질 수 있다.
결합축(821)은 지지부(814)에 구비될 수 있으며, 회전바(822)는 일단부가 결합축(821)에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회전바(822)는 결합축(82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슬릿(831)에 삽입될 수 있다. 조임부(823)는 회전바(822)의 타단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회전바(822)가 슬릿(831)에 삽입된 상태에서 나사 조임되어 덮개부(830)를 가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덮개부(830)는 용기부(8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결합리브(815)는 용기부(810)의 내부에 돌출 구비될 수 있는데, 결합리브(815)는 용기부(810)의 내주면에 수평하게 구비될 수 있다. 결합리브(815)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결합공(316)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흡착모듈(850)은 수용부(851), 제2플랜지(852) 및 타공 플레이트(853)를 가질 수 있다.
수용부(851)는 내측에 제2흡착제(854)를 수용할 수 있으며, 제2플랜지(852)는 수용부(851)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2플랜지(852)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제2결합공(855)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결합공(855)은 제1결합공(316)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타공 플레이트(853)는 수용부(851)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타공 플레이트(853)에는 복수의 관통홀(857)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용부(851)의 상부에 구비되는 타공 플레이트(853)에는 제2결합공(855)에 대응되는 제3결합공(858)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2플랜지(852)가 결합리브(815)의 상부에 올려진 상태에서 제3결합공(858), 제2결합공(855) 및 제1결합공(316)으로 체결부재(856)가 결합됨에 따라 수용부(851)는 용기부(810)의 내측에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입구(811)로 유입된 오염수는 수용부(851)의 하부에 구비되는 타공 플레이트(853)를 통해 수용부(851)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수용부(851)에 수용되는 제2흡착제(854)를 거치면서 오염수의 난분해성 물질이 제2흡착제(854)에 흡착될 수 있다. 제2흡착제(854)는 다공성 탄소나노소재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팽창 흑연일 수 있다.
이후, 수용부(851)의 상부에 구비되는 타공 플레이트(853)를 통해 배출되는 처리수는 수용부(851)의 유출구(81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용기부(810)의 하부에는 오존수 주입구(817)가 구비될 수 있다. 오존수 주입구(817)로는 오존수가 주입될 수 있으며, 주입된 오존수가 흡착모듈(850)을 통과하면서 제2흡착제(854)에 흡착된 난분해성 물질은 산화 및 제거될 수 있다. 흡착모듈(850)을 통과한 오존수는 덮개부(830)에 형성되는 오존수 배수구(832)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수처리 장치의 흡착부의 배치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흡착부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흡착부가 2개인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흡착부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1배관라인(910), 제2배관라인(920) 및 제3배관라인(930)을 포함하여 직렬 배치(D1)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배관라인(910)은 분리부(300, 도 3 참조)를 거친 처리수의 이동을 안내하는 메인라인(ML)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제1흡착부(950)의 유출구(951) 및 제2흡착부(960)의 유출구(961)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배관라인(920)은 메인라인(ML)과 제1흡착부(950)의 유입구(952)를 연결할 수 있으며, 제2배관라인(920)에는 제2배관라인(920)을 개폐하는 제1밸브(921)가 구비될 수 있다.
제1배관라인(910)에는 제1흡착부(950)의 유출구(951)를 중심으로 제2밸브(911), 제3밸브(912) 및 제4밸브(91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2흡착부(960)의 유출구(961)를 중심으로 제5밸브(914), 제6밸브(915) 및 제7밸브(916)가 구비될 수 있다.
제3배관라인(930)은 제2흡착부(960)의 유출구(961)와 연결되는 제1배관라인(910) 부분에서 분기될 수 있으며, 제2흡착부(960)의 유입구(962)와 연결될 수 있다. 제3배관라인(930)에는 제8밸브(93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8밸브(931)는 제1밸브(921)와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다.
제2밸브(911) 및 제5밸브(914)가 밀폐되고 제1밸브(921) 및 제8밸브(931)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메인라인(ML)을 통해 이동하는 오염수는 제2배관라인(920)을 통해 제1흡착부(950)의 유입구(952)로 유입될 수 있으며, 난분해성 오염물질이 흡착된 후 유출구(95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제3밸브(912) 및 제4밸브(913)는 개방된 상태가 되어 배출되는 처리수는 제1배관라인(910)을 통해 제2흡착부(960)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그리고, 제1배관라인(910)을 통해 이동하는 처리수는 개방된 제8밸브(931)를 통해 제3배관라인(930)을 따라 이동하여 제2흡착부(960)의 유입구(962)로 유입되고, 난분해성 오염물질이 흡착된 후 유출구(961)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제6밸브(915) 및 제7밸브(916)는 개방된 상태가 되어 처리수는 제1배관라인(910)을 통해 이동한 후 제1배관라인(910)과 연결되는 호스(970)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제1흡착부(950)의 흡착제가 파과점에 다다르고, 제2흡착부(960)의 흡착제는 파과점에 다다르지 않은 경우, 제1밸브(921) 및 제3밸브(912)를 밀폐하고, 제2밸브(911) 및 제4밸브(913)를 개방하여 메인라인(ML)을 통한 처리수가 바로 제1배관라인(910)을 통해 제2흡착부(960)의 유입구(962)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제2흡착부(960)의 흡착제가 파과점에 다다르고, 제1흡착부(950)의 흡착제는 파과점에 다다르지 않은 경우, 제2밸브(911), 제6밸브(915) 및 제8밸브(931)를 밀폐하여 제1흡착부(950)에서 수처리된 처리수가 제5밸브(914) 및 제7밸브(916)를 거쳐 제1배관라인(910)을 통해 호스(970)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르면, 흡착부를 복수로 마련하고 각 흡착부를 직렬 배치하여 파과점에 다다른 흡착제를 가지는 흡착부만을 선택적으로 재생하고, 파과점에 다다르지 않은 흡착부는 계속해서 수처리 공정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직렬 배치되는 흡착부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즉, 흡착부는 복수로 직렬 배치(D1,D2)될 수 있으며, 각각의 직렬 배치(D1,D2)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직렬 배치(D1,D2)되는 흡착부는 메인라인(ML)이 분기되어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메인라인(ML)은 각각의 직렬 배치(D1,D2)되는 흡착부로 처리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분기(ML1,ML2)될 수 있다. 이처럼 흡착부가 병렬 배치됨으로써, 직렬 배치 단위로 흡착부를 운영하거나, 파과점에 다다르지 않은 흡착제를 가지는 흡착부를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앞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직렬 배치가 두 개의 흡착제를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흡착제의 개수는 3개, 4개 등으로 늘어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전술한 운용예가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이동식 수처리 장치
110: 차량
120: 설치부
200: 전처리부
300: 분리부
800: 흡착부

Claims (16)

  1. 내부에 제1공간이 형성되는 설치부를 가지는 차량;
    상기 제1공간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오염수를 유입하고 유입되는 오염수에 공기가 혼합되도록 처리하는 전처리부;
    상기 제1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전처리부를 거쳐 유입되는 오염수로부터 오일 및 슬러지를 분리하는 분리부; 그리고
    상기 제1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분리부를 거쳐 유입되는 오염수로부터 난분해성 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흡착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수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오염수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거쳐 유입된 오염수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가압하여 혼합하는 혼합탱크와,
    상기 혼합탱크로부터 유입되는 오염수에 기포를 발생시키는 용존 공기 부상부와,
    오염수가 상기 필터, 혼합탱크 및 용존 공기 부상부를 거쳐 흐르도록 압력을 제공하는 펌프와,
    상기 혼합탱크 및 상기 펌프에 선택적으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압축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내측에 제2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2공간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전처리부로부터 배출되는 오염수가 유입되며, 유입된 오염수의 이물질을 1차 분리하는 제1처리부와,
    상기 제2공간에 제1스크린부재에 의해 상기 제1처리부와 구획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1스크린부재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오염수에서 이물질을 2차 분리하는 제1분리팩이 구비되는 제2처리부와,
    상기 제2공간에 제2스크린부재에 의해 상기 제2처리부와 구획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2스크린부재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오염수에서 이물질을 3차 분리하는 제2분리팩이 구비되는 제3처리부와,
    상기 제2공간에 격벽에 의해 상기 제3처리부와 구획되어 마련되고, 상기 격벽을 월류하여 유입되는 오염수에서 이물질이 흡착되어 분리되도록 하는 제1흡착제가 구비되는 제4처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처리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일단부는 상기 전처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처리부로부터 배출되는 오염수가 상기 제2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제2공간에서 상기 안내부의 타단부와 연결되고, 하부가 개방되는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내부를 통해 배출되는 오염수가 하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내측에 축 방향으로 구비되고 나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와류를 발생하는 와류발생부로 구성되는 분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처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처리부는
    상측으로 오목하게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단부에 제1통공이 형성되는 제1산부와, 하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되는 형상을 가지고 하단부에 제2통공이 형성되는 제1골부가 수평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수직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면서 적층되는 복수의 제1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오염수의 오일 및 슬러지를 분리하는 제1분리팩과,
    상기 오염수의 수면 높이에 상기 하우징을 가로지르도록 마련되어 상기 오염수의 수면에 부상된 오일을 걷어내는 제1스키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처리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처리부는
    상측으로 오목하게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단부에 제3통공이 형성되는 제2산부와, 하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되는 형상을 가지고 하단부에 제4통공이 형성되는 제2골부가 수평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수직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면서 적층되는 복수의 제2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오염수의 오일 및 슬러지를 분리하는 제2분리팩과,
    상기 오염수의 수면 높이에 상기 하우징을 가로지르도록 마련되어 상기 오염수의 수면에 부상된 오일을 걷어내는 제2스키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처리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4처리부는
    상기 격벽과 연결되어 상기 격벽을 월류하여 유입되는 오염수가 수용되는 받이부, 상기 받이부와 연결되고 수평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받이부에서 넘치는 오염수가 복수의 경로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분기유로를 가지는 분기부와,
    상기 분기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분기유로에서 넘쳐 낙하되는 오염수에서 이물질이 흡착되어 분리되도록 하는 제1흡착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처리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오염수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상기 제1처리부에 해당되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위한 제1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3처리부에 해당되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제2배출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처리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처리부 및 상기 제3처리부에 해당되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제2공간으로 고압의 기체를 공급하여 상기 제1분리팩 및 제2분리팩을 청소하기 위한 폭기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처리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는
    상기 제2처리부에 구비되는 제1스키머 및 상기 제3처리부에 구비되는 제2스키머를 통해 운반되는 오염수 및 오일을 분리하는 재분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처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재분리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마련되는 챔버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제1스키머 및 제2스키머에서 배출되는 오염수 및 오일을 상기 챔버로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관과,
    상기 챔버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고, 하단부가 상기 챔버의 바닥면과 연결되는 원통형상의 차단부, 상기 차단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챔버 내부의 오염수가 상기 차단부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공, 상기 차단부의 상부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차단부의 상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구획부로 구성되는 댐부와,
    상기 챔버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차단부의 내부와 연결되어 상기 차단부의 내측의 처리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제3배출구와,
    상기 수용 공간과 연결되도록 상기 챔버의 전면에 구비되고, 상기 차단부를 월류하여 유입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오일이 배출되도록 하는 제4배출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처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상부가 개방 형성되고, 하측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분리부를 거친 오염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오염수가 배출되는 유출구를 가지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탈착되는 덮개부와,
    상기 용기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오염수의 난분해성 물질이 흡착되도록 하는 흡착모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처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가지고 반경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길이로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을 가지고,
    상기 용기부는
    상기 용기부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슬릿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지지부를 가지는 제1플랜지와,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는 결합축, 일단부가 상기 결합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슬릿에 삽입되는 회전바, 및 상기 회전바의 타단부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회전바가 상기 슬릿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를 가압하여 상기 덮개부를 상기 용기부에 고정시키는 조임부로 구성되는 결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처리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모듈은 제2흡착제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부의 내부에 돌출 구비되는 결합리브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플랜지와,
    상기 수용부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되고, 오염수가 이동하도록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타공 플레이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처리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분리부를 거친 처리수의 이동을 안내하는 메인라인과 연결되고 복수의 흡착부의 유출구와 연결되는 제1배관라인과,
    상기 메인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흡착부 중 어느 하나의 흡착부의 유입구와 연결되는 제2배관라인과,
    다른 하나의 흡착부의 유출구와 연결되는 제1배관라인 부분에서 분기되어 상기 다른 하나의 흡착부의 유입구와 연결되는 제3배관라인을 포함하여 직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처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배치되는 흡착부는 복수로 마련되고, 각각의 상기 직렬 배치되는 흡착부는 상기 메인라인이 분기되어 병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처리 장치.
KR1020150180732A 2015-12-17 2015-12-17 이동식 수처리 장치 KR101772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732A KR101772913B1 (ko) 2015-12-17 2015-12-17 이동식 수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732A KR101772913B1 (ko) 2015-12-17 2015-12-17 이동식 수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502A true KR20170072502A (ko) 2017-06-27
KR101772913B1 KR101772913B1 (ko) 2017-08-31

Family

ID=59514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732A KR101772913B1 (ko) 2015-12-17 2015-12-17 이동식 수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91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3771A (ko) * 2017-10-31 2020-01-10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이동식 고도산화처리장치
KR102154604B1 (ko) * 2019-08-05 2020-09-11 (주)쓰리에스 축산폐수 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
KR102593316B1 (ko) * 2022-10-26 2023-10-26 (주)동명엔터프라이즈 화학사고 오염수를 긴급 정화하기 위한 이동식 방제시스템
KR102643348B1 (ko) * 2022-10-26 2024-03-08 (주)동명엔터프라이즈 화학사고 오염수를 긴급 정화하기 위한 이동식 자동운전 방제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5066B2 (ja) * 1996-03-14 2000-05-22 日本電気株式会社 圧縮映像編集装置
JP3532108B2 (ja) * 1998-12-18 2004-05-31 株式会社クボタ 吸着塔の運転管理方法および装置
KR100301650B1 (ko) * 1999-04-17 2001-09-22 김규홍 원추형경사판을 이용한 폐수 정화 처리장치
KR200303682Y1 (ko) * 1999-05-29 2003-02-14 원종암 욕탕물 여과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3771A (ko) * 2017-10-31 2020-01-10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이동식 고도산화처리장치
KR102154604B1 (ko) * 2019-08-05 2020-09-11 (주)쓰리에스 축산폐수 정화 업사이클링 시스템
KR102593316B1 (ko) * 2022-10-26 2023-10-26 (주)동명엔터프라이즈 화학사고 오염수를 긴급 정화하기 위한 이동식 방제시스템
KR102643348B1 (ko) * 2022-10-26 2024-03-08 (주)동명엔터프라이즈 화학사고 오염수를 긴급 정화하기 위한 이동식 자동운전 방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2913B1 (ko) 201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2913B1 (ko) 이동식 수처리 장치
US52562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quid treatment
KR101728525B1 (ko) 하수 처리 장치
CN111170394B (zh) 含油污水清洁处理中挥发性有机物减排方法和装置
KR101527005B1 (ko) 오염수 정화장치
JP2012130844A (ja) 気液分離装置および油水分離装置
KR101608864B1 (ko) 유수 분리장치
KR102397619B1 (ko) 침전물 및 부유물의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RU1836301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100882452B1 (ko) 오존접촉식 여과흡착장치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장치
JP2007125507A (ja) ビルジ廃水等の含油廃水処理方法及び装置
KR101213396B1 (ko) 폐수 정화장치
KR101217869B1 (ko) 월류수 처리장치
KR100713846B1 (ko) 오염수정화장치
RU2524601C1 (ru) Установка безреагентной очистки и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воды
US20080093278A1 (en) Fluid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KR20210002060A (ko) 스컴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1758155B1 (ko) 와류방지 및 여과역세박스를 이용한 자동화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623039B1 (ko) 다중 여과 장치
KR101796774B1 (ko) 잡배수 및 빗물 처리시스템
KR102643348B1 (ko) 화학사고 오염수를 긴급 정화하기 위한 이동식 자동운전 방제시스템
KR101277729B1 (ko) 유체처리 실험 장치
KR101108932B1 (ko) 오염물질 정화장치
KR20120028697A (ko) 모래여과장치
KR100967057B1 (ko) 다공성 여재를 사용한 수중 오염물질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