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4961A - 다공성 마그네시아 클링커, 그의 제조 방법 및 제강 슬래그를 처리하기 위한 플럭스로서의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다공성 마그네시아 클링커, 그의 제조 방법 및 제강 슬래그를 처리하기 위한 플럭스로서의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4961A
KR20110084961A KR20117011319A KR20117011319A KR20110084961A KR 20110084961 A KR20110084961 A KR 20110084961A KR 20117011319 A KR20117011319 A KR 20117011319A KR 20117011319 A KR20117011319 A KR 20117011319A KR 20110084961 A KR20110084961 A KR 20110084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nker
weight
mgo
phase
flu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7011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빈 귀샤르
에르베 프리다
크리스토프 보르메이어
레미 졸리
엔리케 엘로르자
Original Assignee
케르네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르네오스 filed Critical 케르네오스
Publication of KR20110084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496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1Treating the molten metal
    • B22D11/111Treating the molten metal by using protecting pow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32Aluminous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3/00Gener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pig-iron
    • C21B3/04Recovery of by-products, e.g. slag
    • C21B3/06Treatment of liquid sla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36Processes yielding slags of special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52Manufacture of steel in electric furnaces
    • C21C5/54Processes yielding slags of special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087Treatment of slags covering the steel bath, e.g. for separating slag from the molten m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C21C7/064Dephosphorising; Desulfuri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C21C7/076Use of slags or fluxes as treat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400/00Treatment of slags originating from iron or steel processes
    • C21B2400/02Physical or chemical treatment of slags
    • C21B2400/022Methods of cooling or quenching molten sla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 Ceramic Products (AREA)
  • Porous Artificial Stone Or Porous Ceramic Products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Abstract

제목
다공성 마그네시아-함유 클링커 , 그의 제조 방법 및 강 슬래그를 처리하기 위한 플럭스로서의 그의 용도
본 발명은 클링커 총 중량에 대해:
Figure pct00040
30 내지 85% Al2O3
Figure pct00041
3 내지 45% CaO
9 내지 45% MgO를 포함하고,
변형된 NF B40-312 표준에 따른 겉보기 다공도 수중 측정에 의해 측정된바 4% 내지 60% 범위의 겉보기 다공도를 갖는 클링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공성 마그네시아 클링커, 그의 제조 방법 및 제강 슬래그를 처리하기 위한 플럭스로서의 그의 용도{Porous Magnesia Clinker, Manufacturing Method And Use Thereof As Flux For Treating Steelmaking Slag}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제강용 레이들(ladles)로 부터의 슬래그를 처리하기 위한 플럭스로서 특히 유용한 마그네시아-풍부(magnesia-rich) 클링커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클링커(clinker)"는 대부분 CaO 공급원 및 Al2O3 공급원으로 구성된 인접 결합된 물질(intimately combined materials)의 고온 가공(>1200℃)으로 부터 생기는 임의의 생성물을 의미할 것이다.
플럭스(flux)는 제강 레이들로부터의 슬래그에 그의 유동화(fluidization)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광물(mineral) 조성물이다. 이들 슬래그는 특히 2차 야금에서 사용되고, 강을 정련하는 것을, 특히 강을 탈황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플럭스의 주 기능은 정말로 슬래그를 유동화시켜(fluidify) 이어서 강 용융물과의 상호교환을 개선하는 용제(fluxing agent)로서 작용하는 것이다. 주요 결점으로서는 이들 슬래그는 레이들 내화 라이닝(ladle refractory linings)을 부식시키는데, 그 이유는 레이들 내화 라이닝이 슬래그 용융물에 용해되는 MgO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전통적인 플럭스는 대부분 Al2O3 및 CaO로 구성되는 광물 조성물(특히 알루미늄산 칼슘 형태로)을 포함하고, 전형적으로 알루미나와 석회(lime) 또는 이러한 화합물들의 전구체들을 용융시켜 얻어진다.
US 특허 제 4,795,491 호에는 제강 레이들에서 액체 강을 탈황시키기 위한 알루미늄산 칼슘계 플럭스가 기술되어 있다. 이 플럭스는 9 내지 20중량%의 MgO를 포함한다. 이러한 합성 플럭스는 성분들을 그들의 용융점 이상으로 용융시켜 얻어지는데, 이는 매우 낮은 겉보기 다공도(apparent porosity)를 갖는(전형적으로 하기에서 정의된 다음 정량, "겉보기 다공도 수중(underwater) 측정"하에서 측정된바 1% 미만) 생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특허는 상기 합성 플럭스에 산화 마그네슘(MgO)을 사용함으로써 레이들 내화 라이닝에 대한 손상이 감소되며, 이는 라이닝 자체가 또한 슬래그 용융물에 용해되는 MgO를 포함하기 때문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따라서 MgO를 플럭스를 통해 슬래그 용융물에 첨가함으로써 내화 라이닝의 부식을 통한 MgO의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US 특허 제 4,795,491 호의 합성 플럭스는 그의 낮은 다공도 및 제한된 교환 표면 때문에 슬래그 용융물에 서서히 용해되거나 분산되는 결점을 가질 수 있고, 이는 MgO가 슬래그 용융물에 서서히 방출되게 한다.
더구나, 용융 공정에 의해 20중량%이하의 마그네시아 함량을 갖는 플럭스를 제조하는 것은 매우 고온하에서의 작업을 요구하고, 이는 에너지 소모, 이산화 탄소 생성, 로(furnace)의 사용 수명 등에 해롭다.
결국, 용융에 의해 얻어진 플럭스와 같은 밀집(dense) 합성 플럭스는 추가의 결점으로서 "분진화(dusting)"되기 쉬어, 즉, 시간이 흐름에 따라 분해되기 쉽고 이들 과립 플럭스의 취급을 방해하는 미세 입자(크기에 있어 1 mm 미만)를 형성하여 위생 및 산업적 안전 문제들을 일으킨다.
US 특허 출원 제 2007/0,000,350 호에는 야금학에서 사용하는데에 요구되는 화학적 및 광물학적인 조성을 갖고, 슬래그 용융물 및 적절한 입자(grain) 다공도 때문에 그에 침착되는 용융물상의 열 장벽 층(thermal barrier layer)을 형성하는 입자 형태의 피복제(covering agent)가 기술되어 있다. 다공성으로 제조된 이러한 피복제는 0.25 내지 4 범위의 CaO/Al2O3 비를 갖는 알루미늄산 칼슘을 기본으로 하고, 15중량%이하의 임의의 보조 상(phases), 특히 MgO 및/또는 MgOSi2 및/또는 TiO2 및/또는 Fe2O3 및/또는 알칼리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다공도는 5 내지 70 부피%로 변할 수 있다. 이 피복제의 주요 목적은 용융물 위에 열 차폐를 제공하는 고체 과립 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강 공정 동안 플럭스로서 사용하기 위한 클링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유용한 클링커는 상기 선행 기술에서의 플럭스의 결점을 개선한다. 매우 특히는, 이들은 플럭스가 높은 함량(>20중량%)의 MgO를 포함한다 할지라도 슬래그 용융물에 빠르게 용해되거나 분산되어 슬래그의 적어도 부분적인 MgO 포화를 빠르게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양의 분진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고 그러므로 실질적으로 위생 및 산업 환경에서 다룰 때 안전 조건들의 개선에 기여하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클링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특히 소결에 의해 클링커를 제조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특히 제강 레이들 슬래그를 제조하기 위한 플럭스로서의 그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클링커의 분쇄/스크리닝(crushing/screening)으로 부터 생기는 생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플럭스로서의 클링커-유도된 생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이는 강의 정련, 특히 탈황을 위해서 또는 강 연속 분배기(distributor)에 대한 피복제(a covering)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2차 야금(metallurgy) 슬래그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언급된 목적들은 클링커 총 중량에 대해:
그의 화학적 조성과 관련하여
Figure pct00001
30 내지 85% Al2O3
Figure pct00002
3 내지 45% CaO
Figure pct00003
9 내지 45% MgO을 포함하고,
그의 광물학적 조성과 관련하여
Figure pct00004
15 내지 65% Q 상(phase)
Figure pct00005
5 내지 40% MgAl2O4 상을 포함하며,
하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변형된 NF B40-312 표준에 따른 겉보기 다공도 수중 측정 정량에 의해 측정된바 4%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5% 범위의 겉보기 다공도를 갖는 클링커에 의해 목표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클링커의 화학적 조성이 클링커 총중량에 대해
Figure pct00006
30 내지 85% Al2O3
Figure pct00007
3 내지 45% CaO
Figure pct00008
9 내지 45% MgO
를 포함하는 클링커의 1 mm 미만의 크기를 갖는 분진을 형성하는 경향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클링커에 변형된 NF B 40-312 표준에 따라 4%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4 내지 45%,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0%, 및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 범위의 겉보기 다공도를 제공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 "겉보기 다공도(apparent porosity)"는 고체 물질중의 모든 기공이 고체 물질을 통해 직접적으로 또는 상호 연결을 통해 밖으로 뻗치는 것을 의미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클링커는 그들의 화학적 조성으로서 클링커 총중량의 30 내지 8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65중량% 및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55중량%의 알루미나(Al2O3)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클링커는 그들의 화학적 조성으로서 10 내지 4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중량%의 CaO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클링커는 그들의 화학적 조성으로서 9중량% 이상, 전형적으로는 15중량% 이상 및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초과 내지 45중량%의 MgO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나(Al2O3), 석회(CaO) 및 마그네시아(MgO) 모두 클링커 총중량의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을 차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클링커는 적어도 요구되는 Q 상 최소량을 얻을 정도의 양으로 적어도 실리카(SiO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클링커는 클링커 총중량에 대해 전형적으로 0.5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상의 실리카(SiO2)를 포함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클링커는 또한 다른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ct00009

사용되는 원료는 전형적으로 보크사이트, 알루미나, 방해석, 돌로마이트(dolomite), 마그네시아 또는 어떤 다른 원료 및 상기 언급된 산화물을 함유하는 부산물이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클링커는 그들의 화학적 조성으로서 1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중량%, 및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초과의 MgO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클링커는 클링커 총 중량에 대해서 5 내지 25%의 유리(free) MgO(페리클레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클링커의 주요 특징중 하나는 특히 하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겉보기 다공도 측정 정량으로 측정된바 4% 이상을 차지하는 그들의 실질적인 겉보기 다공도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클링커는 하기 수중 측정 분석에 의해 측정된바 4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4 내지 45%,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0% 및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 범위의 겉보기 다공도를 갖는다.
대체로, 본 발명의 클링커에서, 모든 광물학적 상 Ca12Al14O33, (C12A7), Ca20Al32-2xMgxSixO68(2.5≤x≤3.5, 상 Q), MgAl2O4(첨정석(spinel)) 및 MgO(페리클레이스)는 클링커 총 중량의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40%이상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을 차지한다.
Q 및 MgAl2O4 광물학적 상들은 클링커 총 중량에 대해 각각 Q 상 경우 15 내지 65% 및 MgAl2O4 경우 5 내지 40%를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Q 상은 클링커의 20 내지 65 중량%를 차지하고, MgAl2O4 상은 클링커의 5 내지 30중량%를 차지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클링커는 또한 클링커 총 중량에 대해 2 내지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2%의 Ca12Al14O33(C12A7) 상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산 칼슘 클링커중의 MgO의 존재는 클링커 용융 온도를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클링커의 광물학적 조성은 비교적 낮은 전체적인(global) 용융 온도, 즉, 전형적으로 1300 내지 1800℃(DIN 51730 표준) 범위의 온도를 갖는 클링커를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클링커는 전형적으로 시멘트 제조시 사용된 것과 같은 회전 로에서 1200 내지 1500℃에서 15분 내지 1시간 동안 기본 성분들을 소결하고, 필요하다면 얻어진 소결된 생성물을 예상되는 크기 등급으로 분쇄하여(milling) 얻어질 수 있다. 2차 야금에서 사용하기 위해서, 보통 스크리닝/분쇄(crushing)로 얻어진 생성물을 25 mm 미만의 크기-분획(size-fraction)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소결은 액체 상을 형성하는 것보다 낮은 온도에서 고체 상태에서 분말 물질들을 반응시키는 결합 공정이다.
그러나, 소결 경우, 고체 상이 여전히 우세하다면,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70중량%의 최소 비율로 존재한다면 액체 상의 소량의 생성물이 소결 공정 동안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결 방법은 물론 모든 성분들을 생성물의 완전한 용융을 보장하도록 가열하여 반응이 액체 상에서 일어나는 전통적인 용융 방법과는 매우 다르다.
본 발명의 클링커는 1mm 초과 및 50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25 mm 이하의 입자 크기를 갖는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클링커는 선행 기술의 클링커 및 플럭스, 특히 용융 방법에 의해 얻어진 밀집 플럭스보다 덜 분진화 하는 경향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바, "분진화 경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및/또는 특별한 조건하에서, 특히 하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고압반응용기(autoclave)에서 안정성 분석후, 크기가 1mm 미만의 입자들의 분율(fraction)이 상당히 증가하는 것을 의미하고자 하는데, 이는 전형적으로 용융 방법에 의해 얻어진 낮은 겉보기 다공도를 갖는 마그네시아-풍부 플럭스 경우이다. 대체로, 본 발명의 클링커는 안전성 시험후 <1mm 입자의 1중량% 미만의 분율을 갖는다.
어떤 특별한 이론에 얽매이고자 함이 없이, 본 출원인은 겉보기 다공도가 마그네시아-풍부 플럭스의 분진화와 관련하여 중요한 변수라고 믿는다. 정말로 유리(free) 마그네시아(페리클레이스)는 물과 반응하여 수활석(brucite)을 형성하는데, 이는 팽창 현상을 만든다.
마그네시아-풍부 클링커는 무엇이든지, 유리 마그네시아는 주위 물과 반응하여 수활석을 형성할 것이다. 밀집 클링커(저 겉보기 다공도) 경우, 수활석 형성은 클링커의 팽창- 및 분쇄-유도된 파열(bursting)에 이르러, 따라서, 클링커의 특정 표면을 증가시키고, 결말은 MgO가 반응하게 하고, 따라서 분진화에 이른다.
본 발명의 다공성 클링커 경우, 기공들이 있다는 사실은 클링커의 파열없이 수활석 형성에 적합하게 되는 것이 가능하여, 따라서 분진화의 위험을 상당히 최소화 한다.
수중 다공도 측정(변형된 NFB 40-312 표준에 따라)
Figure pct00010
5 mm 초과의 크기 등급을 갖는 약 50 g의 클링커를 수집하고;
Figure pct00011
상기 클링커를 보다 작은 메시(mesh) 크기를 갖는 체에 도입하며, 거기에 압축 공기를 사용하여 서서히 바람이 취련하여(blowing) 그로부터 임의의 미세 입자를 제거하며;
Figure pct00012
건조 클링커 샘플을 중량을 재어 중량 Ps를 기록하고;
Figure pct00013
클링커 샘플을 회분 접시(cupel)에 위치시키며, 회분 접시를 진공 펌프에 연결된 진공 챔버 벨(bell) 자(jar)에 넣고, 물 공급원을 장착시키며;
Figure pct00014
진공 펌프를 가동하여 200 밀리바의 진공 값에 도달할 때까지 약 15분 동안 진공 상태가 되게 하고;
Figure pct00015
진공 펌프가 작동하는 동안 물 밸브를 서서히 열어 물 수준이 클링커 샘플 위로 1 cm가 될 때까지 물로 채우며;
Figure pct00016
표면으로 더 이상의 기포가 빠져나오지 않을 때까지 200 밀리바-진공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한 시간 이상 진공 펌프를 가동시키고;
Figure pct00017
진공 펌프를 멈추게 하며 진공 챔버 벨 자를 열어;
Figure pct00018
샘플을 미리 타르가 칠해진 정수학의(hydrostatic) 저울 스크린(screen)에 위치시키고 중량을 재고, 샘플을 수중에 침지시키며 그리고 중량 PL을 기록하고;
Figure pct00019
일단 기공들이 물로 채워지면 서서히 클링커 샘플을 회수하고 샘플을 약하게 스폰지로 닦으며;
Figure pct00020
클링커 샘플을 빠르게 중량을 재고 중량 PH를 기록한다.
%로 표현되는 겉보기 다공도는 다음과 같다:
[(PH-PS)/(PH-PL)] x 100
고압반응용기( autoclave )에서 안정성 분석
이러한 분석은 클링커의 분진화 경향을 측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Figure pct00021
1 내지 3.15 mm(체로 쳐 측정된바) 범위의 크기 등급을 얻기 위하여 재료를 분쇄하고;
Figure pct00022
50 g의 분쇄된 클링커 샘플을 중량을 재며;
Figure pct00023
샘플을 비이커에 위치시키고 비이커는 1ml 물을 함유하는 회치 접시가 또한 도입되는 고압반응용기(대략 60 cm3)에 위치시키며;
Figure pct00024
고압반응용기를 밀폐하고 고압반응용기를 오븐에서 150℃에서 24 시간동안 위치시키고;
Figure pct00025
고압반응용기를 오븐에서 꺼내어, 냉각시키고, 열어, 샘플을 회수하며(비이커안에서의 분진화의 발생을 시각적으로 체크하며);
Figure pct00026
샘플을 중량을 재어 중량 P1을 기록하고;
Figure pct00027
샘플을 <1mm 메시(1 mm 이상은 너무 큰; 1 mm 미만의 재료를 통과시킴)로 스크리닝하며, 미세물(fines)을 회수하고, 미세물을 중량을 재어 중량 P2를 기록하며;
분진화 비(%)=P2/P1 x 100를 계산한다.
실시예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난 화학적 및 광물학적인 조성을 갖는 클링커를 제조하였다.
화학적 조성(중량%)
Al2O3 CaO SiO2 MgO 다른 산화물
클링커 No.1(소결됨) 44.9 36.6 3.8 10.4 100까지 잔량(balance)
클링커 No.2(소결됨) 39.7 32.1 3.8 20.7 100까지 잔량
클링커 No.3(소결됨) 38.9 26.6 3.6 27.4 100까지 잔량
클링커 A(용융됨) 39.6 31.9 3.8 20.6 100까지 잔량
클링커 B(용융됨) 39.2 26.0 3.4 27.1 100까지 잔량
광물학적 조성(중량%)
CA C12A7 Q 상 MgAl2O4 MgO 기타
클링커
1 10 11 43 8 7 21
2 0 4 64 6 17 9
3 12 10 26 11 24 17
A 1 5 58 8 18 10
B 1 7 38 21 21 12
클링커 1 내지 3은 소결에 의해 얻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마그네시아-풍부 클링커이고, 클링커 A 및 B는 비교예로서 주어진 용융에 의해 얻어진 밀집 마그네시아-풍부 클링커이다.
클링커를 예상되는 화학적 및 광물학적 조성들을 얻기 위하여 원하는 양으로 미세 원료들을 과립화시켜 조(raw)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조 혼합물을 백금 도가니(crucibles)에 위치시켜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도가니를 실험실 로에 도입하고, 로 온도를 20℃/분의 속도로 900℃에서 일시 정지(hold)까지 상승시키며, 이어서 전체 석회가 결합 되도록 작업 온도까지 상승시키고, 이어서 도가니를 이 온도에서 한 시간 동안 유지시킨다. 예상되는 조성에 따라, 작업 온도는 원하는 범위 내로 다공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1250 내지 1500℃ 범위내로 설정된다.
작업 온도는 하기에 주어진다.
Figure pct00028

상이한 클링커들의 수중(underwater) 겉보기 다공도를 앞서 기술된 시험 프로토콜에 따라 측정하였다.
결과가 하기 표에 주어진다.
Figure pct00029

본 발명에 따른 클링커 No.1, 2 및 3 및 비교 클링커 A 및 B에 대해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이 고압반응용기내에서의 안정성 시험을 하였다. 시험전 클링커상에는 어떤 분말도 없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결과가 하기 표에 나타난다.
크기 등급(스크리닝)
Figure pct00030
ND: 측정되지 않음
이들 시험은 본 발명의 다공성 클링커가 같은 밀집 클링커보다 상당히 덜 미세 분진화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고압반응용기에서의 시험후 1mm 보다 낮은 및/또는 1mm 초과의 크기 등급을 갖는 생성물의 광물학적 분석이 하기 표에 나타난다.
고압반응용기에서 시험후 광물학적 조성(중량%)
Figure pct00031

높은 다공도 생성물에서 높은 양의 수화물(특히 매우 팽창하기 쉬운 수활석의)에도 불구하고, 분진화가 없었다. 동시에 낮은 다공도 생성물은 높은 양의 분진 및 매우 적은 수화물(본질적으로 <1mm의 미세물로부터 생기는)을 생성하였다. 다공성 클링커경우, 기공들의 존재는 클링커의 파열(bursting)을 방지하는 수활석의 형성을 수용하고, 이는 분진화의 위험을 상당히 최소화시킨다.

Claims (13)

  1. 클링커 총 중량에 대해:
    클링커의 화학적 조성과 관련하여
    Figure pct00032
    30 내지 85% Al2O3
    Figure pct00033
    3 내지 45% CaO
    Figure pct00034
    9 내지 45% MgO를 포함하고,
    클링커의 광물학적 조성과 관련하여
    Figure pct00035
    15 내지 65% Q 상
    Figure pct00036
    5 내지 40% MgAl2O4 상을 포함하며,
    변형된 NF B40-312 표준에 따른 겉보기 다공도 수중 측정 정량에 의해 측정된바 4% 내지 60% 범위의 겉보기 다공도를 갖는 클링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겉보기 다공도는 4 내지 45%인 클링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클링커의 화학적 조성과 관련하여 15중량% 이상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상의 MgO를 포함하는 클링커.
  4.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35 내지 6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55중량%의 Al2O3를 포함하는 클링커.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링커의 광물학적 조성과 관련하여, 20 내지 65 중량%의 Q 상 및 5 내지 30중량%의 MgAl2O4 상을 포함하는 클링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링커의 광물학적 조성과 관련하여, 2 내지 15중량%,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2중량%의 C12A7상을 포함하는 클링커.
  7. 예상되는 Al2O3, CaO 및 MgO 함량을 얻기에 적절한 양으로 Al2O3, CaO 및 MgO 또는 이들의 전구체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소결하는 단계
    들을 포함하는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클링커를 제조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은 1200℃ 내지 150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클링커의 분쇄(crushing)/스크리닝(screening)으로부터 생성되는 생성물.
  10. 강 정련, 특히 강 탈황화를 위해 사용되는 2차 야금 슬래그를 제조하기 위한 플럭스로서 제 9 항에 따른 클링커로 부터 유래되는 생성물의 용도.
  11. 강 연속 분배기용 피복제를 제조하기 위한 제 9 항에 따른 클링커로부터 유래된 생성물의 용도.
  12. 클링커 총중량에 대해
    Figure pct00037
    30 내지 85% Al2O3
    Figure pct00038
    3 내지 45% CaO
    Figure pct00039
    9% 이상,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이상 내지 45%의 MgO를 포함하는 클링커의 1 mm 미만의 크기를 갖는 분진을 형성하는 경향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클링커에 변형된 NF B 40-312 표준에 따라 4%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4 내지 45%,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0%, 및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 범위의 겉보기 다공도를 제공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링커는 화학적 조성과 관련하여 클링커 총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45%의 MgO를 포함하는 방법.
KR20117011319A 2008-11-19 2009-11-17 다공성 마그네시아 클링커, 그의 제조 방법 및 제강 슬래그를 처리하기 위한 플럭스로서의 그의 용도 KR201100849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857847 2008-11-19
FR0857847A FR2938530B1 (fr) 2008-11-19 2008-11-19 Clinker magnesien poreux, procede de fabrication et utilisation comme flux pour le traitement des laitiers d'acieri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961A true KR20110084961A (ko) 2011-07-26

Family

ID=40637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7011319A KR20110084961A (ko) 2008-11-19 2009-11-17 다공성 마그네시아 클링커, 그의 제조 방법 및 제강 슬래그를 처리하기 위한 플럭스로서의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110220248A1 (ko)
EP (1) EP2355945B1 (ko)
JP (1) JP2012509243A (ko)
KR (1) KR20110084961A (ko)
CN (1) CN102216001B (ko)
BR (1) BRPI0921302A2 (ko)
CA (1) CA2743755A1 (ko)
ES (1) ES2609297T3 (ko)
FR (1) FR2938530B1 (ko)
MX (1) MX2011004658A (ko)
PT (1) PT2355945T (ko)
RU (1) RU2548845C2 (ko)
TW (1) TW201022449A (ko)
WO (1) WO2010058122A1 (ko)
ZA (1) ZA20110346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625B1 (ko) 2014-08-25 2016-03-04 김현철 연속성형 에어로젤판넬 및 그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에어로젤슬러리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57077A (zh) * 2014-12-05 2015-04-29 瑞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水泥窑分解带及过渡带冷端用改性高铝砖及其制备方法
CN106082724B (zh) * 2016-06-08 2018-06-08 武汉理工大学 一种高早强、高抗蚀硅酸盐水泥及其制备方法
BE1023884B1 (fr) * 2016-07-08 2017-09-04 Lhoist Rech Et Developpement Sa Procédé de fabricatrion de briquettes contenant de l'oxyde de fer actif, et briquettes ainsi obtenues
CN107721406B (zh) * 2017-10-12 2020-11-10 中国科学院上海硅酸盐研究所 一种制备高透光性镁铝尖晶石透明陶瓷的方法
CN113979665B (zh) * 2021-11-29 2022-06-14 武汉理工大学 一种处理高氯离子含量脱硫石膏的功能外加剂和制备方法及其应用
CN115159873A (zh) * 2022-06-15 2022-10-11 武汉理工大学 高铁相-改性钙铝黄长石高活性水泥熟料及其制备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81102A1 (ru) * 1949-08-20 1949-11-30 Д.И. Кивин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магнезиально-доломитовых синтетических водоустойчивых огнеупорных клинкеров
JPS61106706A (ja) * 1984-10-29 1986-05-24 Nippon Steel Corp 溶鋼の脱硫方法
US4853034A (en) * 1987-04-13 1989-08-01 Quigley Joseph R Method of ladle desulfurizing molten steel
US4795491A (en) * 1987-04-13 1989-01-03 Quigley Joseph R Premelted synthetic slag for ladle desulfurizing molten steel
JP3896709B2 (ja) * 1998-10-30 2007-03-2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清浄度鋼の溶製方法
JP3437153B2 (ja) * 2000-08-08 2003-08-18 日本磁力選鉱株式会社 カルシウムアルミネート系脱硫剤
CN1157486C (zh) * 2002-01-17 2004-07-14 刘跃 一种降低钢液中氧、硫含量的合成渣及其造渣方法
DE10259335B4 (de) * 2002-12-18 2005-04-14 Refratechnik Holding Gmbh Abdeckmittel für eine Topschlacke,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s Abdeckmittels
RU2237628C1 (ru) * 2003-03-31 2004-10-10 Юдович Борис Эммануилович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белитового портландцементного клинкера с пылеподавлением при его обжиге и цемент на основе этого клинкера
CA2536766C (en) * 2003-08-25 2013-02-12 Kenneth A. Mcgowan Calcium aluminate clinker as a refractory aggregate with and without barium addition and use thereof
CN1239726C (zh) * 2004-03-12 2006-02-01 大连汇金泰高科技有限责任公司 提高镍基超合金高温强度及热加工塑性的微合金化方法
CN1266068C (zh) * 2004-10-22 2006-07-26 济南大学 一种含q相矿物的铝酸盐水泥材料
JP4079190B2 (ja) * 2005-12-27 2008-04-23 吉澤石灰工業株式会社 低窒素、低酸素および低イオウの鋼を製錬するためのフラックス
JP4683427B2 (ja) * 2006-04-10 2011-05-18 大阪鋼灰株式会社 石灰系精錬用フラック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625B1 (ko) 2014-08-25 2016-03-04 김현철 연속성형 에어로젤판넬 및 그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에어로젤슬러리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609297T3 (es) 2017-04-19
CA2743755A1 (fr) 2010-05-27
RU2548845C2 (ru) 2015-04-20
EP2355945B1 (fr) 2016-10-05
FR2938530B1 (fr) 2011-07-29
US20110220248A1 (en) 2011-09-15
EP2355945A1 (fr) 2011-08-17
WO2010058122A1 (fr) 2010-05-27
BRPI0921302A2 (pt) 2015-12-29
MX2011004658A (es) 2011-05-30
ZA201103461B (en) 2012-01-25
JP2012509243A (ja) 2012-04-19
FR2938530A1 (fr) 2010-05-21
RU2011124940A (ru) 2012-12-27
CN102216001B (zh) 2015-04-15
PT2355945T (pt) 2017-01-03
TW201022449A (en) 2010-06-16
CN102216001A (zh) 201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42607C (en) Coarse-ceramic refractory batch and refractory product made therefrom
KR20110084961A (ko) 다공성 마그네시아 클링커, 그의 제조 방법 및 제강 슬래그를 처리하기 위한 플럭스로서의 그의 용도
Sarpoolaky et al. Influence of in situ phase formation on microstructural evolution and properties of castable refractories
CN107500747A (zh) 一种致密的六铝酸钙浇注料及其制备方法
KR20130093609A (ko) 크롬 옥사이드 파우더
RU2638671C2 (ru) Огнестойкий продукт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TWI677579B (zh) 在精煉程序期間之熔融金屬的脫磷方法
EP3397411A1 (en) Castable refractory compositions comprising zeolithic microstructures and uses thereof
Yilmaz Corrosion of high alumina spinel castables by steel ladle slag
JPS59169971A (ja) 耐火組成物
CN102971274A (zh) 氧化镁质耐火材料
CA2130330C (en) Preparation of refractory materials from asbestos tailings
US4476234A (en) Refractory cement
US20230312418A1 (en) Dry material mixture for a backfill, preferably a refractory concrete backfill, for producing a heavy-clay refractory non-basic product, refractory concrete backfill and such a product, method for producing same, lining, and industrial furnace, channel transport system or mobile transport vessel
EP0437483A4 (en) Low cement refractory
US20190185378A1 (en) Spinel refractory granulates which are suitable for elasticizing heavy-clay refractory products, method for their production and use thereof
JP2002234776A (ja) 溶鋼取鍋用不定形耐火組成物
JP2005008496A (ja) 不定形耐火物
JP2009096658A (ja) アルミナセメント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不定形耐火物
JPH0794343B2 (ja) マグネシアクリンカ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40774A (ja) 流し込み施工耐火物
JPH1025167A (ja) マグネシア質粗粒を用いた流し込み施工用耐火物
JP2005067930A (ja) アルミナセメント、アルミナセメント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不定形耐火物
EP4194424A1 (en) Castable refractory compositions
AU622727B2 (en) Low cement refract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