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4422A - 지지 벨트 - Google Patents

지지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4422A
KR20110084422A KR1020117011206A KR20117011206A KR20110084422A KR 20110084422 A KR20110084422 A KR 20110084422A KR 1020117011206 A KR1020117011206 A KR 1020117011206A KR 20117011206 A KR20117011206 A KR 20117011206A KR 20110084422 A KR20110084422 A KR 20110084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elt
contact
strand
casing
stra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1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르코 아넨
슈테판 얀스
한스 코허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110084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44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ons to contact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62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64Power supply or signal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8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connection to the cars or cages, e.g. couplings
    • B66B7/085Belt termina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12Checking, lubricating, or cleaning means for ropes, cables or guides
    • B66B7/1207Checking means
    • B66B7/1215Check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opes or cables
    • B66B7/1223Check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opes or cables by analysing electric variabl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22Flat or flat-sided ropes; Sets of ropes consisting of a series of parallel rop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501/00Application field
    • D07B2501/20Application field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501/2007Elev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Belt Conveyors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운반 장치용의,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지지 벨트(1)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지지 벨트는 지지 벨트가 받는 힘을 흡수하기 위한, 바람직하게는 전기 전도성 재료, 예를 들어, 강(steel)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스트랜드 형상의 와이어(2)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랜드 형상의 와이어(2)를 둘러싸는, 바람직하게는 절연성의 재킷(3)을 포함한다. 상기 스트랜드 형상의 와이어(2)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하여, 지지 벨트(1)의 상기 와이어(2)는 접촉 요소(5)와 정확한 방식으로 견고하면서도 신뢰성 있게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을 달성하기 위하여, 재킷(3)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제거되어 지지 벨트(1)에 개구(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스트랜드 형상의 와이어(2)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개구(12)의 영역을 통해 노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트랜드 형상의 와이어(2)는 그 단면의 중심 지점에 의해 형성되는 종방향 축선(31)과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는 재킷(3)에 의해 둘러싸여 있지 않다. 상기 접촉 요소(5)는 재킷(3)을 관통하지 않고서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랜드 형상의 와이어(2)와 접촉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지 벨트{SUPPORTING BELT}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지지 벨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청구항 7의 전제부에 따른 지지 벨트와 접촉하기 위한 연결 장치 및 청구항 13의 전제부에 따른 지지 벨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15의 전제부에 따른 승강 설비에 관한 것이다.
운반 장치, 예를 들어, 승강 설비, 에스컬레이터, 무빙 워크웨이(moving walkway), 호이스트 또는 크레인에는 지지 벨트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지 벨트는 일반적으로, 강선(steel wire)으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스트랜드(strand)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스트랜드가 지지 벨트가 받는 인장력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트랜드는 통상, 합성 재료로 만들어진 케이싱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지지 벨트가 편향 지점, 특히 롤러 상으로 안내되는 일이 빈번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케이싱이, 예를 들어, 기계적 마모로부터 스트랜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 벨트의 고장 또는 파손은 화물의 낙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운반 장비 내부에 사용되고 있는 지지 벨트는 안전상 핵심 성분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벨트의 고장 또는 파손은 심각한 자산 손실 및 인명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운반 장비에는, 특히, 스트랜드의 기계적 상태를 점검하는 점검 유닛이 사용되고 있다. 지지 벨트가 손상된 경우에는 손상 지지 벨트를 교체하여 운반 장비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힘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스트랜드의 손상을 조기에 파악하는 일이 중요하다.
스트랜드는 합성 재료로 이루어진 절연성 케이싱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이러한 스트랜드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통상, 소정의 접촉 요소를 스트랜드에 접촉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접촉 요소의 사용을 통해 스트랜드를 통해 전류가 흘러 스트랜드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점검 전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는 별도로, 예를 들어, 초음파와 같이, 전류를 사용하지 않는 기타 다른 점검 방법 또한 고려 가능하다.
DE 39 34 654 A1 에는 본 발명의 범주에 따른 지지 벨트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바에 따르면, 지지 벨트의 스트랜드들이 직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스트랜드의 단부가 쌍을 이루며 브리지 부재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 벨트의 스트랜드는, 스트랜드간의 직렬 전기 연결 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모든 스트랜드를 통해 점검 전류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스트랜드의 상태가 점검될 수 있도록, 전류계를 사용하여 전압원에 연결되어 있다.
DE 2 330 038 에는 플랫 케이블(flat cable)과 접촉하기 위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예시된 플랫 케이블의 경우, 복수 개의 스트랜드가 동일 평면 내에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케이싱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이들 스트랜드와의 전기 접촉을 위해, 플랫 케이블은 상부 및 하부 클램핑 부재를 사용하여 적소에 클램핑 고정된다. 이 경우, 하부 클램핑 부재에는 리세스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들 리세스를 통해 접촉 캐리어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 프롱(prong)이 안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삽입 프롱이 플랫 케이블의 케이싱을 관통하여 스트랜드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삽입 프롱을 이용한 스트랜드와의 접촉 방법은 스트랜드의 접촉을 달성하기 위해 삽입 프롱이 지지 벨트의 케이싱을 관통하도록 하야만 하는 방법은 문제가 있다. 삽입 프롱이 케이싱을 관통하도록 하는 방법은 삽입 프롱이 케이블을 관통하는 과정에서 의도한 삽입 방향을 벗어나게 되어 결과적으로 스트랜드와 접촉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삽입 프롱이 의도하지 않은 기타 다른 스트랜드와 접촉하는 일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또는 심지어 케이싱을 관통하는 동안 스트랜드와의 접촉에 실패할 수도 있다.
WO 2005/094249 A2 및 WO 2006/127059 A2 에는, 접촉 요소가 우선 스트랜드의 종방향 축선과 수직 방향으로 지지 벨트의 케이싱을 관통한 다음 스트랜드를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지지 벨트와 접촉하기 위한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접촉 요소가 케이싱을 관통하도록 하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해당 접촉 요소가 스트랜드를 놓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WO 2005/095251 A1 에는 스트랜드가 스트랜드의 종방향 축선과 수직 방향으로 접촉 요소와 접촉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지지 벨트와 접촉하기 위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시스템의 경우, 접촉 요소는 지지 벨트의 케이싱을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 벨트와 접촉하여 고정하기 위한 연결 장치가 사용되어 하중을 지탱하기 위한 구성 요소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 벨트를 구성하는 스트랜드가 스트랜드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접촉 요소와 정확한 방식으로 확실하면서도 신뢰성 있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 벨트, 지지 벨트와 접촉하기 위한 연결 장치, 지지 벨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뿐만 아니라 운반 장비 또는 승강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 벨트 및 연결 장치는 취급이 간단하며 신뢰성이 높고 또한 생산비가 저렴하다.
해당 지지 벨트는 지지 벨트가 받는 힘을 흡수하기 위한, 바람직하게는 전기 전도성 재료, 예를 들어, 강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랜드와, 이 적어도 하나의 스트랜드를 둘러싸는, 바람직하게는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이러한 지지 벨트의 전체 길이는, 예를 들어, 승강 설비의 케이지와 균형추를 연결하여 지지 및 구동시킬 수 있는 치수로 결정되고, 또한, 지지 벨트는 그 단면도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은 폭을 갖추고 있다. 지지 벨트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지지 벨트의 한정된, 비교적 짧은 길이의 섹션을 따라 지지 벨트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리세스가 마련되어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스트랜드가 실질적으로 상기 리세스의 영역에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지지 벨트의 적어도 일 측면 상의 상기 리세스의 영역에서는 지지 벨트의 케이싱이 제거되어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스트랜드는 그 단면의 중심 지점에 의해 형성되는 종방향 축선과 수직 방향으로는 케이싱에 의해 둘러싸여 있지 않다.
상기 스트랜드는 금속, 특히, 강 또는 강선으로 구성되며, 합성 재료로 이루어진 케이싱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접촉 요소가 케이싱을 관통하지 않고 스트랜드와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리세스의 영역에서 스트랜드는 외장의 일부 영역이 없는 상태로 마련된다. 따라서, 지지 벨트의 접촉면 또는 제 1 측면에서 스트랜드는 케이싱에 의해 둘러싸여 있지 않다. 즉, 스트랜드의 종방향 축선과 수직한 방향으로 케이싱이 존재하지 않긴 하지만, 상기 제 1 측면에 대향하는 지지 벨트의 다른 제 2 측면에는 케이싱이 여전히 존재한다. 유리하게는, 접촉 요소가 케이싱이 존재하지 않는 스트랜드의 부분(접촉면)에 맞대어 배치되거나 노출 스트랜드와 접촉할 수 있으며, 스트랜드의 타측면은 여전히 절연성의 보호 케이싱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구성 요소는 이러한 리세스의 영역에서, 특히, 케이싱이 완전히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서브 섹션 사이의 일부 영역에서만 종방향 축선의 방향으로 케이싱을 구비하지 않으며, 또는 지지 벨트의 케이싱은 특히, 케이싱이 완전히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서브 섹션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만 종방향 축선의 방향으로 제거되어 있다. 리세스는 일 단부 영역에 또는 특히, 지지 벨트의 양 단부의 각각에 마련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 경우, 지지 벨트의 실질적인 전체 길이의 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케이싱이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있는 리세스는 지지 벨트의 일 단부 또는 지지 수단의 두 개의 단부 각각에 배치된다.
특히, 지지 벨트는, 리세스의 영역에서, 스트랜드를 실질적으로 접선 방향으로 분할하며 종방향 축선을 따라 연장하는 평면의 제 1 측면 상에는 케이싱을 구비하지 않으며, 평면의 상기 제 1 측면에 대향하는 제 2 측면 상에는 케이싱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은 본질적으로, 스트랜드의 평면과 중심선 또는 종방향 축선 사이의 간극이 제로 값과 스트랜드의 반경 사이의 값을 가짐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벨트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스트랜드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스트랜드가 평평한 밴드 또는 지지 벨트를 형성한다. 특히, 적어도 두 개의 스트랜드는 이들 스트랜드를 적어도 접선 방향으로 분할하며 종방향 축선을 따라 또는 평행하게 연장하는 평면 위 또는 아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케이싱을 구비하지 않으며 평면의 반대쪽 아래 또는 위에는 케이싱을 구비하고 있다. 스트랜드의 평면과 중심선 또는 종방향 축선 사이의 간극은 영의 값과 스트랜드의 반경 사이의 값을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구성되는 지지 벨트의 외장에는 모든 스트랜드에 걸쳐 연장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스트랜드를 노출시키는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다. 노출 스트랜드는 간단한 방식으로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스트랜드가 접촉을 위해 노출되어 있긴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케이싱 내부에 끼워진 상태로 남아 있음으로써, 여전히 상호 상대적인 위치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트랜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금속, 예를 들어, 철 또는 강으로 구성되며,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싱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절연 재료, 예를 들어, 방직 섬유, 폴리우레탄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 또는 고무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싱은 다중층, 적어도 복층 구조이며, 케이싱의 후면측 부분은 실질적으로 스트랜드(들)의 위치 설정 및 유지를 위해 사용되며 케이싱의 전면측 부분은 스트랜드의 사이사이 공간을 채우며 동시에 요건에 부합하는 구조,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홈을 형성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리세스는 케이싱의 후면측 부분 뿐만 아니라 케이싱의 전면측 부분에도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벨트와 접촉하기 위한 연결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은 지지 벨트와 연관되어 있다. 지지 벨트는 지지 벨트가 받는 힘을 흡수하기 위한, 바람직하게는 전기 전도성 재료, 예를 들어, 강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랜드와, 적어도 하나의 스트랜드를 둘러싸는 바람직하게는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지지 벨트와 접촉하기 위한 연결 장치는 지지 벨트의 적어도 하나의 스트랜드와 접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벨트의 스트랜드는 케이싱을 관통하지 않고 리세스의 영역에서 상기 접촉 요소와 접촉 가능하다. 이러한 연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가 케이싱을 관통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스트랜드의 종방향 축선과 수직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종방향 축선은 단면의 중심 지점에 의해 형성되는 축선이다. 이러한 연결 장치의 특히 유리한 구성 방식에 따르면, 접촉 요소는 필요한 경우 케이싱을 관통하지 않고 스트랜드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 요소와 스트랜드의 특히 정확한 배향 상태, 점검 및 신뢰성 있는 접촉이 가능하다.
또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는 실질적으로 로드(rod)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랜드와 접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의 일 단부는 뾰족한 또는 무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 접촉 요소가 탄성 접촉부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탄성 접촉부에도 뾰족한 또는 무딘 형태의 단부가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며, 이러한 접촉 단부는 탄성 접촉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탄성 접촉부 상에 접촉 헤드(head)의 형태로 장착된다.
뾰족한 형태의 단부를 구비한 접촉 요소의 경우, 뾰족한 단부는 일반적으로 노출 스트랜드를 관통할 목적으로 채용된 것이다. 또한, 무딘 형태의 단부를 구비한 접촉 요소의 경우, 이러한 접촉 요소는 일반적으로 스트랜드를 관통하지 않고 케이싱이 제거되어 있는 스트랜드의 표면과 접촉만 하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스트랜드의 표면에 놓여지는 방식으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스트랜드를 관통하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스트랜드와 접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스트랜드와 탄성력을 받아 접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탄성 구성 요소, 특히 스프링을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에 가압력이 인가될 수 있다. 탄성 구성 요소를 사용하여 접촉 요소에 가압력을 인가하는 방식은 탄성 구성 요소를 사용하여 지지 벨트 또는 연결 장치의 생산 과정에서 발생할 수도 있는 부정확성 또는 변형을 보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매 경우마다 접촉 요소가 스트랜드와 접촉하거나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충분한 가압력이 제공됨에 따라 신뢰성 있는 확고한 접촉이 보장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는 플러그 연결부 또는 플러그 스트립과 연결된다. 이러한 플러그 연결부 또는 플러그 스트립은 연결 장치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대방 플러그 연결부가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이러한 종류의 플러그 연결부 또는 플러그 스트립을 사용함으로써, 실제로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전류 전도체를 통한 점검 유닛과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복잡한 전선 연결 과정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며, 전기적 연결을 달성하기 위해 플러그 연결부 내로 상대방 플러그 연결부가 끼워지기만 하면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점검 유닛이 승강 설비에서 지지 벨트를 영구적(정적)으로 감시할 목적으로 채용될 수도 있으며, 또는 선택된 제한된 시간 동안만(일시적) 사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접촉 요소는 지지 벨트의 일 단부에서 노출 스트랜드를 함께 전기적으로 단락시켜 점검 유닛 및 지지 벨트와 공통으로 연결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일 예로서, 유럽 특허 출원 EP 1275605 에서 설명되고 있는 바와 같이 지지 벨트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스트랜드 또는 스트랜드의 일부가 케이싱을 뚫고 나오거나 케이싱이 마모되는 경우 지지 벨트의 마모가 발생하였음이 검출된다. 이러한 마모는,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스트랜드가, 예를 들어, 편향 롤러와 같은 접촉 부재와 접촉하는 경우 검출되며 이에 따라 점검 유닛은 적어도 간단한 방식으로 접지부를 검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는 종방향 축선과 수직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개선된 형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벨트는 연결 장치에 의해 기계적으로 확고하게 유지되며 및/또는 마찰력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지지 벨트는 연결 장치의 구성 요소, 예를 들어, 베이스부 및 커버부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 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부품에 의해 형합 및 구속 결합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접촉 요소, 특히 접촉 핀은, 스트랜드와 접촉하기 위해 연결 장치 내에서, 예를 들어, 나사를 이용하거나 유압식 또는 공압식 구동부를 사용하여 수동적으로 또는 자동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지지 벨트, 특히 승강 설비용 지지 벨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전기 전도성의 스트랜드를 제공하는 단계,
- 바람직하게는 절연성의 케이싱을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랜드를 둘러싸는 단계, 및
- 지지 벨트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하여 지지 벨트의 적어도 일 측면 상의 리세스의 영역에서 스트랜드를 노출시키는 리세스가 지지 벨트에 형성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스트랜드의 단면의 중심 지점에 의해 형성되는 종방향 축선과 수직 방향으로 특히 부분적으로만 케이싱을 적어도 하나의 스트랜드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스트랜드로부터 케이싱을 이와 같이 나중에 제거하는 방식은 지지 벨트가 통상적인 모드 및 방식으로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와 같이 나중에 제거하는 방식의 경우에만 접촉 요소를 스트랜드와 접촉시키기 위해 지지 벨트의 필요한 국소 섹션에서 케이싱을 부분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케이싱은 스트랜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접선 방향으로 위치하거나 스트랜드를 분할하는 평면 위 또는 아래에서 부분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스트랜드로부터 제거된다.
유리하게는, 케이싱은 기계적, 화학적 또는 열적 방식으로 제거된다. 케이싱의 기계적, 화학적 또는 열적 제거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싱의 제거가 스크래핑(scraping), 플래닝(planning), 필링(filling), 드릴링(drilling), 소잉(sawing), 그라인딩(grinding), 컷팅(cutting) 또는 밀링(milling)을 사용하여 기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화학적 제거의 경우, 케이싱은 예를 들어, 적절한 용제 또는 산성 물질을 사용하여 용해 또는 에칭된다. 케이싱의 열적 제거의 경우, 케이싱은 액상으로 바뀌어 유동할 수 있도록 녹는점 이상으로 국부적으로 가열된다. 또한, 예를 들어, 화학적 또는 열적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싱의 휘발 작용 또한 가능하다.
변형예에 따른 지지 벨트와 접촉하기 위한 시스템은 지지 벨트가 받는 힘을 흡수하기 위한, 바람직하게는 전기 전도성 재료, 예를 들어, 강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랜드와, 적어도 하나의 스트랜드를 둘러싸는 바람직하게는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케이싱을 포함하는 지지 벨트를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접촉 요소를 사용하여 지지 벨트를 고정하기 위한 연결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는 지지 벨트의 일 단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트랜드의 단면의 중심 지점에 의해 형성되는 종방향 축선의 방향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랜드와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랜드의 단면의 중심 지점에 의해 형성되는 종방향 축선과 직교하는 제 1 방향으로의 길이가 이 제 1 방향 및 종방향 축선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긴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어, 제 1 방향으로의 접촉 요소의 길이는 제 2 방향으로의 접촉 요소의 길이와 같거나 12배 이내의 범위에 있다. 따라서, 접촉 요소는 평평한 구조를 갖는 접촉 블레이드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1 방향으로의 블레이드의 길이가 길어 스트랜드를 덮고 있는 범위가 넓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평평한 접촉 블레이드가 그 제 1 방향으로 지지 벨트의 단부를 관통하는 동안에는 스트랜드와 접촉 요소와의 접촉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접촉 요소의 제 2 방향의 단부 또는 지지 벨트에 대한 접촉 블레이드의 방위는 스트랜드에 대하여 접촉 블레이드를 정확하게 배향시키기 위해 본질적으로 중요하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랜드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 블레이드, 바람직하게는 뾰족한 첨단부의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접촉 블레이드는 보다 좁은 측면 상으로 뾰적한 첨단부 또는 절삭 가장자리를 구비한다. 접촉 블레이드는 이러한 뾰적한 첨단부 또는 절삭 가장자리에서 지지 벨트의 단부 내로 도입된다. 평평한 밴드 형태로 구성되는 지지 벨트와 접촉 블레이드가 채용되는 경우, 접촉 블레이드의 평면은 일반적으로 평평한 밴드 형태로 구성되는 지지 벨트의 평면과 직교한다. 따라서, 지지 벨트의 평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접촉 블레이드를 배향하는 것은 지지 벨트와 접촉 블레이드 형태로 구성되는 접촉 요소의 정확한 접촉을 위해 중요하다. 다시 말해, 접촉 요소를 사용하여 스트랜드의 접촉을 달성하는데 있어서 접촉 블레이드의 평면 방향 자체는 중요하지 않다.
승강 설비는 전술한 바와 같은 지지 벨트 그리고 이러한 지지 벨트와 접촉하기 위한 전술한 바와 같은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다수의 실시예 및 승강 설비 관련 용례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동일한 기능을 갖춘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되고 있다.
도 1 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지 벨트와 접촉하기 위한 시스템의 분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따른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따른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플러그 스트립을 구비한, 도 1 에 따른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5 의 A 는 제 1 접촉 핀의 사시도이다.
도 5 의 B 는 제 2 접촉 핀의 사시도이다.
도 5 의 C 는 다른 작동 위치에서의 도 5 의 C 의 접촉 핀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지지 벨트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는 지지 벨트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지지 벨트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c 는 다중층 지지 벨트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은 변형예에 따른 지지 벨트와 접촉하기 위한 시스템의 분해도이다.
도 8 은 도 7 에 따른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9 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벨트와 접촉하기 위한 시스템의 분해도이다.
도 10 은 도 9 에 따른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1 은 도 9 에 따른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12 는 점검 유닛을 사용하여 지지 벨트와 접촉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은 점검 유닛을 사용하여 지지 벨트의 양 단부와 접촉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비한 승강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는 점검 유닛을 사용하여 지지 벨트의 일 단부와 접촉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비한 승강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는 단락 스트랜드를 구비한 지지 벨트와 접촉하기 위한 시스템의 분해도이다.
도 16 은 도 15 에 따른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지지 벨트(1)와 접촉하기 위한 제 1 시스템(8)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접촉 대상인 지지 벨트(1)는 열두 가닥의 스트랜드(2)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스트랜드는 강으로 만들어지고 케이싱(3)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도 1 내지 도 3). 상기 케이싱(3)은 절연성 합성 재료로 만들어져 있으며, 상측면에 스트랜드(2)의 종방향 축선(31)의 방향으로 종방향 홈(30)을 구비한다. 지지 벨트(1)는 길이(L)에 걸쳐 연장한다. 도 13 및 도 14에 일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길이(L)는 균형추와 승강 설비의 케이지(cage)를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케이지와 균형추를 지지하여 구동시킬 수 있는 치수로 결정된다. 이러한 지지 벨트의 길이(L)는 승강 케이지의 주행 경로 및 그 현수 모드를 고려하여 측정한 길이이다. 지지 벨트의 통상적인 길이는 15 m 내지 200 m의 범위에 있으며, 건물의 높이 및 대응 주행 경로에 따라 보다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 벨트는 단면도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은 폭(b)을 갖는다. 지지 벨트의 통상적인 폭(b)은 20 mm 내지 120 mm의 범위에 있으며, 기타 다른 치수가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지지 벨트는 또한,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또는 일 단부 부근의 단부 영역에, 리세스(12)를 구비한다. 상기 리세스(12)는 지지 벨트(1)의 한정된, 비교적 짧은 길이의 섹션(I)에서 지지 벨트의 전체 폭(b)에 걸쳐 연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섹션(I)의 길이는 대략 5 mm 내지 20 mm이다. 리세스(12)는 평면(7)(도 3) 상방의 지지 벨트의 제 1 측면(7.1) 상에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평면(7)은 스트랜드(2)의 단면에서 보아 중간 지점을 이어 형성되는 직선 상에 위치하거나 스트랜드(2)와 접선 방향으로 접촉하거나 분할하는 평면이다. 따라서, 케이싱(3)은 스트랜드(2)의 단면에서 보아 중심 지점에 의해 형성되는 직선과 수직 방향의 일부 섹션에만 존재하지 않는다. 스트랜드(2)의 타측면, 즉 상기 평면(7)의 하방으로 상기 제 1 측면(7.1)에 대향하는 제 2 측면(7.2)에는 케이싱(3)이 존재하여, 이 영역에서는 스트랜드(2)가 케이싱(3)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있다.
지지 벨트(1)는 연결 장치(4)를 통해 접촉 요소(5)와 접촉하며, 이러한 접촉 요소는 이동 가능한 것이 유리하다(도 3). 상기 연결 장치(4)는 베이스부(13)와 커버부(14)를 포함한다(도 1 내지 도 3). 베이스부(13)에는 종방향 홈(25)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종방향 홈의 폭은 지지 벨트(1)의 폭(b)과 일치한다. 따라서, 지지 벨트(1)는 베이스부(13)의 종방향 홈(25)에 횡방향으로 기계적으로 확고한 방식으로 유지될 수 있다. 커버부(14)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 세라믹 재료 등과 같은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이에 따라, 커버부(14) 내로 삽입 가능한 접촉 요소(5) 사이의 절연이 가능하다. 접촉 핀 자체에도 외부 절연 케이싱이 제공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커버부(14)가 전기 전도성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커버부(14)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나사 체결 보어(2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부(14)의 하측면에는 지지 벨트(1)의 상측면의 종방향 홈과 상보형으로 형성되는 종방향 홈(30')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커버부(14)가 베이스부(13) 상에 배치되거나 베이스부(13)와 함께 연결되면, 지지 벨트(1)의 하측면은 베이스부(13)의 종방향 홈(25)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또한 지지 벨트(1)의 상측면에서는 커버부(14)와 지지 벨트(1)의 상보형의 상호 정렬된 종방향 홈(30', 30)이 상호 정합된다(도 2 및 도 3).
커버부(14)는 네 개의 나사(15)를 사용하여 베이스부(13)에 체결된다. 나사(15)는 나사산이 없는 나사 체결 보어(28) 내로 삽입된 다음 나사(15)의 단부가 베이스부(13)의 나사산이 형성된 각각의 나사 체결 보어(32) 내로 도입되어 나사 체결된다. 이에 따라, 지지 벨트(1)는 베이스부(13) 및 커버부(14)와 형합 및 구속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어 지지 벨트(1)의 상측면 및 커버부(14)의 종방향 홈(30, 30') 뿐만 아니라 종방향 홈(25)을 사용하여 고정된다. 합성 재료로 이루어진 케이싱은 탄성을 갖추고 있다. 커버부(14)의 종방향 홈(30')과 종방향 홈(25)에 의해 형성되는 공동의 단면적은 지지 벨트(1)의 단면적보다 작다. 이에 따라, 지지 벨트(1)와 베이스부(13) 및 커버부(14) 사이의 마찰력을 이용한 연결이 또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케이싱(3)이 탄성적으로 압축된다.
연결 장치(4) 또는 접촉 요소(5)는 지지 벨트(1)의 종방향 홈(30) 및 커버부(14)의 종방향 홈(30')을 사용하여 지지 벨트(1) 또는 지지 벨트 내에 끼워 넣어져 있는 스트랜드(2)에 대하여 정확하게 정렬된다.
케이싱(3)의 탄성 압축으로 인해 실제 접촉 지점의 밀봉이 또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접촉 지점에서의 수분 침투 우려가 없다.
커버부(14)에는, 접촉 요소(5)의 삽입을 위한, 사용되고 있는 강재 스트랜드(2)의 개수에 대응하는 열두 개의 나사산이 형성된 보어(16)가 마련되어 있다. 접촉 핀(10)의 역할을 하는 접촉 요소(5)에는 뾰족한 첨단부(11)가 형성되어 있다(도 5). 접촉 핀(10)의 외측면에는 또한, 예를 들어, 나사산(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접촉 핀(10)이 커버부(14)의 나사산이 형성된 보어(16) 내로 나사 체결되어 지지 벨트(1)의 스트랜드(2)와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접촉 핀(10)의 뾰족한 첨단부(11)가 스트랜드(2)의 표면 또는 접촉면에만 접촉함으로써 접촉 핀(10)과 스트랜드(2) 사이의 접촉 및 이에 따른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열두 개의 접촉 핀(10)과 열두 가닥의 스트랜드(2)와의 접촉이 수행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보어(16) 내로 접촉 핀(10)을 보다 더 나사 체결하는 경우, 접촉 핀(10)의 뾰족한 첨단부(11)가 스트랜드(2) 내로 가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뾰족한 첨단부 대신에, 예를 들어, 평평한 지지부와 같은 상이한 형상의 단부가 마련될 수도 있다.
접촉 핀(10) 자체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접촉 핀(10)은 완전체 유형의 금속 로드 형태로 형성되며 평평한 첨단부(11)를 형성하는 일 단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접촉 핀(10)은 서로 다른 여러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로드(33)가 원통형 관(6)의 내부에 변위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로드(33)의 일 단부에는 뾰족한 첨단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6)과 로드(33)의 사이에 스프링(9)이 배치된다. 이 경우, 스프링(9)은 관(6)과 뾰족한 첨단부(11)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가압력을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그 결과, 전술한 바와 같은 접촉 핀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나사산(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부(14)의 나사산이 형성된 보어(16) 내에 배치되는 관(6)은, 도 5C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9)에 의해 인가되는 탄성 가압력을 받아 스트랜드(2) 상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가압력은 지지 벨트(1)의 스트랜드(2)와 뾰족한 첨단부(11) 사이의 접촉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형태의 접촉 요소(5) 또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접촉 핀이 접촉 블레이드 또는 접촉 절삭 가장자리와 같은 평평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핀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스트랜드를 개별적으로 또는 모두 다 함께 전기적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경우에 따라, 접촉 요소(5)가 공통 접촉면으로서 모든 또는 일부 스트랜드(2)와 접촉할 수도 있다.
지지 벨트(1)와 접촉하기 위한 연결 장치에는 또한, 도 4에 도시된 플러그 스트립(38;plug strip)이 마련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플러그 스트립(38)은 커버부(14) 상에 장착되어 개개의 접촉 핀(5, 10)(도 2)과 통전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점검 유닛(23)(도 12 및 도 13)과의 연결이 간단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12)는 지지 벨트(1)의 종방향과 직각의 횡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변형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12)가 각도(α)를 이루며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접촉 핀이, 예를 들어, 보다 긴 길이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리세스의 배열 위치는 가변적이다. 따라서, 리세스(12)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섹션에 걸쳐 분산 배치될 수도 있으며, 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벨트(1)의 일 단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트랜드(2)를 분할하고 있는 평면(7) 상방의 지지 벨트(1)의 제 1 측면(7.1) 상으로 리세스(12)의 영역에는 케이싱(3)이 존재하지 않지만, 상기 평면(7) 하방의 대향하는 제 2 측면(7.2) 상에는 케이싱이 존재한다. 이와 관련하여, 리세스(12)는 지지 수단의 일 단부 부근에 배치되거나(도 6 및 도 6b), 지지 수단의 단부에 직접 배치된다(도 6a).
지지 벨트(1) 또는 스트랜드(2) 또는 지지 벨트의 스트랜드는 일체형 케이싱(3)에 의해 둘러싸여 있을 수도 있다. 변형예로서, 지지 벨트(1)의 케이싱(3)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다중층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된 케이싱(3)은 복층 구조이다. 이러한 케이싱의 후면측 부분(3.1)은 실질적으로 스트랜드(들)(2)의 위치 설정 및 유지를 위해 사용되며, 케이싱의 전면측 부분(3.2)은 스트랜드 사이사이의 공간을 채워 스트랜드(2)를 서로 절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동시에, 케이싱의 전면측 부분(3.2)은 필요에 따라 적절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케이싱의 전면측 부분에 종방향 홈(30)이 형성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는 지지 벨트(1)와 접촉하기 위한 연결 장치(4)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스트랜드(2)와 접촉하기 위한 연결 장치(4)는 실질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26)와, 커버 플레이트(27), 그리고 두 개의 횡방향 부품(29)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 벨트(1)에 형성된 케이싱(3)의 리세스(12)는 제 1 실시예에서와 유사하다. 리세스(12)는 지지 벨트의 일 단부 부근에 배치되며 지지 벨트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 연장한다. 본 실시예에서, 리세스(12)는 두 개의 섹션으로 추가로 분할되며, 이에 따라 두 개의 리세스(12)가 형성된다. 두 개의 횡방향 부품(29)의 두 개의 단부에는 각각 두 개의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 체결 보어(32)가 형성되어 있다. 횡방향 부품(29)의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 체결 보어(32)는 커버 플레이트(27)를 횡방향 부품(29)에 고정하기 위해 네 개의 나사(15)가 각각 나사 체결되는 용도로 사용되며, 또한 이들 네 개의 나사(15)를 사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26)가 두 개의 횡방향 부품(29)과 나사 체결된다. 이를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26)와 커버 플레이트(27)에는 각각 네 개의 나사 체결 보어(28)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두 개의 횡방향 부품(29)은 두 개의 리세스(12) 사이의 간격과 일치하는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있다.
커버 플레이트(27)의 종방향 단면 형상은 실질적으로 U-자형이며 또는 다리부(limb)가 각을 이루며 형성된 형상이다. 제 1 실시예의 커버부(14)와 유사한 방식으로 U-자형 단면을 형성하는 다리부의 단부에 종방향 홈(30')이 형성되어 있다(도 9). 이 경우, 상기 종방향 홈(30')은 지지 벨트의 상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보형의 종방향 홈(30)과 맞물린다(도 10 및 도 11). 이에 따라, 지지 벨트(1)가 전술한 바와 같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장치(4)에 기계적으로 확고하게 유지된다. 이에 추가하여, 제 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베이스 플레이트(16)와 종방향 홈(30') 사이의 자유 공간의 단면적이 지지 벨트(1)의 단면적보다 작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도 또한 지지 벨트(1)가 마찰력을 이용하여 클램핑 고정된다.
상기 두 개의 횡방향 부품(29)의 하측면에는 클램핑 홈(34)이 마련되어 있다. 접촉 요소(5)는 U-자형의 탄성 접점부(35)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탄성 접점부(35)의 상부 다리부가 횡방향 부품(29)의 클램핑 홈(34)에 클램핑 고정되어 연결 배치된다.
각각의 탄성 접점부(35)의 하부 다리부의 단부에는 접촉 비드(bead)(36)가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접촉 비드(36)가 지지 벨트(1)의 스트랜드(2)와 접촉된다(도 11). 연결 장치(4)는 지지 벨트(1)의 열두 가닥의 스트랜드(2)에 대응하는 열두 개의 탄성 접점부(35)를 구비한다. 따라서, 탄성 접점부(35)가 지지 벨트의 각각의 스트랜드(2)와 연관된다. 이러한 탄성 접점부(35)에 의해 접촉 비드(36)에 탄성력이 인가됨에 따라, 스트랜드(2)가 탄성 가압력을 받아 접촉 비드(36)와 접촉된다. 횡방향 부품(29)에는 또한 전선 및 접점부(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클램핑 홈(34)에 끼워진 탄성 접점품(35)와 이웃한 전도체와의 전기적 연결을 달성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촉 요소(5) 또는 탄성 접점부(35)는 또한, 공통의 또는 여러 개의 별개의 접촉 플레이트 상에서 안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모든 스트랜드(2)의 전기적 연결이 또는 스트랜드(2)의 그룹별 전기적 연결이 간단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추가하여,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27)에는 플러그 연결부 또는 플러그 스트립(38)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러그 연결부는 각각의 예에서 각각의 개별 탄성 접점부(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연결 장치(4)가 점검 유닛(23)과 연결되는 경우, 전기적 연결(도시하지 않음)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단지 상대방 플러그 연결부가 상기 플러그 연결부 내로 도입되면 된다.
탄성 접점부(35)가 횡방향 부품(29)의 상측으로 커버 플레이트(27)에 배치된다. 그 후, 커버 플레이트(27)가 종방향 홈(30')을 통해 지지 벨트(1)의 종방향 홈(30)과 정확하게 정렬되며, 접촉이 이루어질 대상물인 스트랜드(2)가 마찬가지로 지지 벨트(1) 또는 연관된 외장의 내부에서 지지 벨트(1)의 종방향 홈(30)과 정확하게 정렬된다. 결과적으로, 전체 구성을 보면, 탄성 접점부(35)가 스트랜드(2)와 억지로 정렬됨에 따라 스트랜드(2)와 간단한 방식으로 접촉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된 탄성 접점부(35)에는 접촉 비드(36)가 마련되어 있다. 접촉 비드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접촉 단부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 접점부(35)에 직접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 이러한 접촉 단부가 뾰족한 형태 또는 무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종류의 접촉 단부는 또한, 탄성 접점부(35)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탄성 접점부(35) 상의 접촉 비드의 형태로 장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장착은, 예를 들어, 리벳팅(riveting)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는 연결 장치(4)의 제 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스트랜드(2)와 접촉하기 위한 연결 장치(4)는 베이스 플레이트(20)와 클램핑 플레이트(21)를 포함한다. 클램핑 플레이트(21)에는 종방향 홈(30')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들 종방향 홈은 지지 수단(1)의 종방향 홈(30)과 일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클램핑 플레이트(21)는 클램핑 나사(18)를 사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20)와 연결되며, 단부 영역에서 지지 벨트(1)와 견고하게 클램핑 고정된다. 지지 수단(1)의 내부에 일체화되어 있는 스트랜드(2)는 지지 수단(1)의 종방향 홈(30)과 연관된 고정된 기하학적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베이스 플레이트는 접촉 가이드(17)를 구비한다. 클램핑 플레이트(21)가 종방향 홈(30')에 의해 지지 벨트의 종방향 홈(30)과 정확히 정렬되며 이어서 베이스 플레이트(20)가 클램핑 나사(18)의 설치를 통해 클램핑 플레이트(21)와 정렬되므로, 결과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접촉 가이드(17)가 지지 벨트(1)에 배치된 스트랜드(2)와 정확하게 정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촉 블레이드(49)가 접촉 요소(5)이다. 접촉 블레이드(49)는 평평한 접촉 요소(5)이다. 이러한 접촉 블레이드(49)의 개수는 사용되고 있는 스트랜드(2)의 개수에 좌우된다. 접촉 블레이드(49)는 이들의 상호 마주하는 평평한 측면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태로 배향되어 있다. 이러한 접촉 블레이드(49)가 접촉 가이드(17)를 통과하여 밀어 넣어짐에 따라 블레이드의 뾰족한 첨단부 또는 절삭 가장자리가 케이싱(3)의 인접한 영역 및 스트랜드(2)의 단부 내로 가압되는 방식으로 스트랜드(2)와의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촉 블레이드(49)가 밀어 넣어진 위치에서 접촉 캐리어(19)가 접촉 블레이드(49)를 둘러싸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접촉 캐리어(29)는 유지 나사(22)를 사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체결된다. 접촉 캐리어(19) 뿐만 아니라 접촉 가이드(17)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 또는 세라믹 재료와 같은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예로서, 상기 접촉 블레이드(49)가 또한, 절연 재료(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형성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접촉 블레이드(49)에는, 예를 들어, 절연 세라믹 코팅이 제공될 수도 있으며, 플러그 스트립 또는 케이블과 연결되기 위한 또는 스트랜드(2)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 블레이드(49)의 단부 영역만 전술한 바와 같은 종류의 코팅 없이 구성될 수도 있다.
접촉 캐리어(19)가 직접 플러그 연결부(38)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예를 들어, 땜납 연결부와 전선(도시하지 않음)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점검 유닛(23)과 같은 다른 유닛과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부는 또한,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접촉 캐리어(19)에 배치되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플러그 연결부(38)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단지 상대방 플러그 연결부를 플러그 연결부(38) 내로 체결하기만 하면 된다.
접촉 요소(5)는 일렬 또는 복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9 내지 도 11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이열로 배치된 접촉 요소(5)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각각의 예에서 두 개의 인접한 스트랜드(2)가 서로 다른 접촉 열의 접촉 요소(5)와 접촉하도록 접촉 요소(5)가 서로 이격 배치되는 상태로 열을 지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개개의 접촉 요소(5) 사이의 중간 공간 또는 거리가 보다 증가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이열로 배치된 접촉 요소(5)가 하나의 리세스(12)와 결합되어 있으며, 도 9 내지 도 11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이열로 배치된 접촉 요소(5)가 두 개의 리세스(12)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는 상호 교환 가능하다.
전문가라면 구성의 변경 및 도시된 실시예들의 조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전문가라면, 예를 들어, 접촉 가이드(17)를 직접 클램핑 플레이트(21)에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또는 모든 실시예에서 접촉 핀(5)을 스트랜드 내로 가압되는 평평한 절삭 가장자리 형상의 접촉 블레이드(49)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또는 모든 실시예에서 접촉 핀(5)을 스트랜드 내로 가압되는 원형 접촉 핀(10)의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접촉 가이드(17) 및 마찬가지로 접촉 캐리어(19)의 형상이 접촉 핀(5, 10, 49)의 형태에 맞춰 개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평평한 접촉 블레이드(49)가 사용되는 경우,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블레이드에 탄성 구성 요소가 마련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클램핑 플레이트(21)에는 또한, 지지 벨트(1)의 클램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추가 횡방향 홈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9 내지 도 11에 따른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접촉 요소(5)가 그룹을 지어 형성되어 특정 그룹의 스트랜드(2)와 또는 모든 스트랜드(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음이 분명하다.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벨트(1)를 대응 연결 장치 및 지지 벨트 주변부와 접촉시키기 위한 시스템(8)은 방수 기능을 갖춘 캡슐(도시하지 않음) 또는 보호 물질의 내부에 동봉되며, 이러한 보호 물질의 일 예로서 시스템을 둘러싸는 실리콘을 들 수 있다.
도 12에는 지지 벨트의 양 단부에서 지지 벨트(1)와 접촉하기 위한 연결 장치(4) 또는 시스템(8)(간단한 형태로 도시됨)과 전선(24)을 사용하여 연결되어 있는 점검 유닛(23)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연결 장치는 지지 벨트의 양 단부에 배치된다. 점검 유닛(23)은 전자 회로이며, 개개의 시스템(8)이 지지 벨트(1)의 양 단부 각각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스트랜드(2)를 통하여 전도되는 점검 전류의 차단 시에, 예를 들어, 광학 또는 음향 신호와 같은 경고 신호를 발생시킨다. 개개의 스트랜드(2)는 배선 형태에 따라 개별적으로 연결 및 평가될 수 있으며, 또는 복수 가닥의 스트랜드를 점검 전류를 사용하여 점검 및 감시할 수 있도록 지지 벨트(1)의 개개의 스트랜드(2)를 직렬로 연결할 수 있다.
점검 전류는, 예를 들어, 점검 유닛(23)의 전자 회로 내부에서 평가될 수 있다. 이러한 점검 유닛으로부터 기타 다른 다양한 스위칭 단계가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스트랜드(2)의 손상이 검출되는 경우, 승강 설비가 자동적으로 스위칭 오프될 수 있으며 또는 승강 설비의 사용자에게 경고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점검 유닛(23)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전류 대신, 초음파 또는 광과 같은 다른 신호가 스트랜드(2)의 형태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점검 유닛은 재료의 두께 및 위치 결정을 가능하게 하며 이에 따라 스트랜드(2)에서 발생하는 마모 정도, 오류 발생 위치 또는 균열부의 검출이 가능하다. 더욱이, 유리한 일 용례에 있어서는, 스트랜드(2)의 개수, 크기 및 균열부의 분포 상태가 또한 검출될 수도 있다.
도 13에서, 지지 벨트(1)와 접촉하기 위한 연결 장치(4) 또는 시스템(8) 및 해당 지지 벨트(1)는 승강 설비(4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승강 설비(40)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 케이지(41)와, 균형추(42) 및 지지 벨트(1) 뿐만 아니라 구동 모터(44)와 연계된 구동 풀리(43)를 포함한다. 구동 풀리(43)는 지지 수단(1)을 구동시키며 이에 따라 승강 케이지(41)와 균형추(42)를 정반대 방식으로 이동시킨다. 구동 모터(44)는 승강 제어부(45)에 의해 활성화된다. 케이지(41)는 사람 및/또는 물품을 수용하여 이를 건물의 층에서 층으로 수송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케이지(41)와 균형추(42)는 가이드를 따라 안내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지(41)와 균형추(42)는 구동 풀리(43)로부터 현수되는 방식으로 구동 풀리(43)에 연결되어 있다. 이것은 지지 벨트(1)가 현수 비율에 따라 구동부(43, 44) 위에서 보다 빠른 속도로 주행하게 됨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현수 비율은 2:1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지지 벨트(1)의 길이(L)는 케이지의 최대 주행 경로와 구성적으로 필요한 추가 길이를 더한 값의 대략 두 배에 해당한다.
이와 관련하여, 지지 수단 또는 지지 벨트(1)가 건물에 제 1 지지 수단 체결부(47)를 사용하여 체결된다. 또한, 지지 벨트는 케이지(41)의 지지 롤러(46)를 거쳐 구동 풀리(43)로 안내되며 다시 구동 풀리로부터 균형추(42)로 연장된 다음, 균형추에서 지지 롤러(46)에 의해 편향되어 제 2 지지 수단 체결부(48)로 안내된다. 지지 수단 체결부(47, 48)는 지지 벨트(1)의 지지력을 건물 내로 전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지 벨트(1)의 자유 단부(1.1)에 지지 벨트(1)와 접촉하기 위한 연결 장치(4) 또는 시스템(8)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종류의 시스템(8) 또는 연결 장치(4)가 지지 벨트(1)의 양 단부에 체결된다. 이러한 연결 장치(4)는 지지 수단의 단부(1.1)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 수단의 단부 영역에는 더 이상 지지 벨트(1)에 지지력이 인가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지지력이 이미 이전에 건물에 전달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2 지지 수단 체결부(48)의 연결 장치(4)에는 플러그 연결부(38)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 연결부(38) 상에는 지지 벨트(1)의 스트랜드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브리지 요소(39)가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 수단(1)의 타단에 배치되는 제 1 지지 수단 체결부(47)의 연결 장치(4)는 전선(24)을 사용하여 점검 유닛(23)과 연결되며, 점검 유닛(23)은 필요한 감시 작동을 수행하여 직접 승강 제어부(45)에 가능한 조처를 취하거나 대응 서비스 요구 명령을 발생시킨다. 제 1 지지 수단 체결부(47)의 연결 장치(4)에는 또한, 도 4에 일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장치(4)의 커버부(14)에 직접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한 플러그 연결부(38)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점검 유닛(23)이 해당 플러그를 사용하여 직접 상기 연결 장치(4)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점검 유닛(23)을 임시 점검 유닛 또는 영구 점검 유닛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도시된 승강 설비(40)는 일 예로서 주어진 것이다. 기타 다른 현수 비율 및 장치 또한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지지 벨트(1)와 접촉하기 위한 연결 장치(4) 또는 시스템(8)은 지지 수단 체결부(47, 48)의 배치에 따라 배열된다. 또한, 도 1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 유닛(23)이 지지 벨트(1)의 양 단부와 접촉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도 14에는 승강 설비 내부에 마련되는 지지 벨트(1)와 접촉하기 위한 다른 연결 장치(4) 또는 시스템(8) 및 해당 지지 벨트(1)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승강 설비(40)는 기본적으로 도 13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도 13에서와는 대조적으로, 지지 벨트(1)의 하나의 자유 단부(1.1)에만 지지 벨트(1)와 접촉하기 위한 연결 장치(4) 또는 시스템(8)이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 장치(4)가 지지 벨트(1)의 모든 스트랜드와 연계된다. 점검 유닛(23)은 지지 벨트(1) 또는 그 전기 전도성 스트랜드 중 하나가 편향 롤러(46) 또는 구동 풀리(43)와 통전 가능한 상태로 접촉하고 있는지 여부를 점검한다. 이를 위해, 편향 롤러 및 구동 풀리 중 일부가 접지점(E)에 연결되어 있다. 분명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필요하다면, 지지 벨트(1)를 따라 접촉 브러쉬 등과 같은 또 다른 접점이 배치될 수 있다. 점검 유닛이 접점 또는 롤러(46, 43) 중 하나와 스트랜드(2) 사이의 접촉이 발생하였음을 검출하면, 본 출원인의 특허 출원 EP 1275605 에서 설명되고 있는 바와 같이 접촉 기간을 기반으로 마모 형태가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 벨트의 대향하는 제 2 단부는 접촉 요소 가 없는 상태로 남아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지지 벨트의 제 2 단부는 주변 승강 또는 접지 부품과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단지 체결용으로만 소용된다.
도 15 및 도 16에는 도 14에 따른 승강 설비에 사용되고 있는 바와 같은 연결 장치(4)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지지 벨트(1)의 일 단부에는 지지 벨트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 지지 벨트(1)의 일측에서 연장하는 리세스(12)가 마련되어 있다. 연결 장치(4)는 커버부(14)와, 베이스부(13) 그리고 접촉 요소(5)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3)는 베이스부에서의 접촉 요소(5)의 정확한 위치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 설정 보조부(13.2)를 포함한다. 베이스부와 커버부는 체결 요소에 의해 함께 유지된다. 이러한 체결 요소는 하우징 부품에 직접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나사 연결부, 탄성 클립 또는 자가 멈춤 연결부 중에서 선택된다. 조립 상태(도 16 참조)에서, 예를 들어, 베이스부에 배치되어 있는 가압부(13.3)가 접촉 요소(5)에서 함께 연장되는 접촉 텅(tongue)(5.3)을 지지 벨트(1)의 리세스(12)의 영역에 위치한 스트랜드(2)에 맞대어 가압한다. 커버부(14)는 베이스부(12) 및 접촉 요소(5) 뿐만 아니라 지지 벨트(1)와 협력하여 스트랜드(2)와 접촉 텅(5.3)의 접촉을 이루기에 적당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가압부(13.3)가 개개의 접촉 텅(5.3)을 두 개의 스트랜드(2) 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접촉 텅(5.3)의 단부에는 절곡부가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접촉 텅(5.3)이 증가된 힘으로 스트랜드(2) 내로 가압되며, 접촉 텅 또는 베이스부의 형상에 의해 스트랜드(2)와 탄성 접촉하는 상태로 접촉 텅을 유지하는 탄성 작용이 이루어진다. 필요하다면, 접촉 텅과 개개의 스트랜드 별로 하나의 가압부만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특히, 스트랜드의 크기에 좌우된다.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랜드의 직경은 대략 1.5 mm 내지 2.0 mm이다. 이러한 종류의 두 개의 스트랜드(2) 대신에 적절한 보다 큰 직경을 갖는 단일 스트랜드(2')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도 16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동일한 구성의 연결 장치(4)가 사용될 수 있다.
연결 장치(4)는 모든 스트랜드(2)를 전기적으로 조합할 수 있으며, 연결 텅(5.4)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 유닛(23)과 접촉 요소(5)의 간단한 연결을 허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접촉 요소(5)는 또한, 예를 들어, 모든 스트랜드를 단락시키는 대신 스트랜드를 그룹 별로 함께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이 분명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모든 중요한 장점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 벨트(1) 및 이 지지 벨트(1)와 접촉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8) 또는 연결 장치(4)와 연관되어 있다. 접촉 요소(5)와 스트랜드(2)와의 접촉 성능이 실질적으로 개선되었다. 스트랜드의 종방향 축선(31)과 수직 방향으로 스트랜드(2)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경우, 접촉 요소가 더 이상 지지 벨트(1)의 케이싱(3)을 관통하도록 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접촉의 결과, 유리하게는, 접촉 요소(5)가 케이싱(3)을 관통하도록 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바람직하지 못한 현상들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들의 세부 구성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탄성 접촉부(35)가 도 1 내지 도 3, 도 7 및 도 8 그리고 도 15 및 도 16의 변형예에서 도시된 접촉 핀(10) 대신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이외에도, 도 6,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리세스가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전문가라면 지지 벨트의 상측면과 하측면이 상호 뒤바뀔 수 있음을 분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두 개의 단부(1.1) 사이의 길이(L)와 단면을 통해 알 수 있는 폭(b)을 가지며, 제 1 측면(7.1) 그리고 이 제 1 측면(7.1)에 대향하는 제 2 측면(7.2)을 구비하고, 상기 측면(7.1, 7.2)은 상기 폭(b)에 걸쳐 연장하는, 승강 설비용 지지 벨트(1)로서,
    - 지지 벨트가 받는 하중의 일부를 흡수하며 지지 벨트의 전체 길이(L)에 걸쳐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랜드(2), 및
    - 전기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트랜드(2)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케이싱(3)을 포함하는 지지 벨트에 있어서,
    상기 지지 벨트(1)의 두 개의 단부(1.1)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는, 지지 벨트(1)의 한정된 길이 방향 섹션(l)을 따라 전체 폭(b)에 걸쳐 상기 제 1 측면(7.1) 상에서 연장하는 리세스(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세스(12)의 영역에서 상기 케이싱(3)은 제거되어 있고,
    상기 스트랜드(2)는 지지 벨트의 적어도 제 1 측면(7.1) 상의 리세스(12)의 영역에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벨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12)의 영역에서 지지 벨트(1)는 스트랜드(2)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접선 방향으로 존재하거나 스트랜드(2)를 분할하는 위치의 평면(7)의 제 1 측면(7.1) 상에는 케이싱(3)을 구비하지 않지만, 평면(7)의 제 2 측면(7.2) 상에는 케이싱(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벨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랜드(2)는 주로 전기 전도성 재료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강선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기 절연 케이싱(3)은 방직 섬유, 플라스틱 재료 및/또는 고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벨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스트랜드(2)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케이싱(3)은 적어도 두 개의 스트랜드(2)를 공통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되어 이들 스트랜드를 상호 전기 절연시키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스트랜드(2)는 리세스(12)의 영역에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벨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3)은 적어도 복층 구조이며,
    케이싱의 후면측 부분(3.1)은 실질적으로 제조 과정에서 스트랜드(들)(2)의 위치 설정을 위해 사용되며 케이싱의 전면측 부분(3.2)은 스트랜드의 사이사이 공간을 채우며 동시에 요건에 부합하는 구조,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홈(30)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측면(7.1)은 케이싱의 전면측 부분(3.2) 또는 케이싱의 후면측 부분(3.1)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벨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3)이 제거되어 있는 영역인 리세스(12)는 케이싱(3)이 완전하게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서브 섹션 사이에 종방향 축선(31)의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지지 벨트(1)의 일 단부에 종방향 축선(31)의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벨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구성되는 지지 벨트(1)와 접촉하기 위한 연결 장치(4)로서,
    지지 벨트(1)의 적어도 하나의 스트랜드(2)와 접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5)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 요소(5)는 케이싱(3)을 관통하는 일 없이 리세스(12)의 영역에서 상기 지지 벨트(1)의 스트랜드(2)와 접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4).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랜드(2)와 접촉 가능한 접촉 요소(5)는 뾰족한 또는 무딘 형태의 접촉 단부를 구비한 실질적으로 로드 형상의 구조로 형성되거나, 뾰족한 또는 무딘 형태의 접촉 단부를 구비한 탄성 접촉부(35)의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접촉 단부(35)는 탄성 접촉부(35)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탄성 접촉부(35) 상의 접촉 헤드(head)의 형태로 장착되며,
    상기 접촉 요소(5)는 스트랜드(2)의 표면과 단지 접촉만 하도록 구성되거나 스트랜드(2)를 부분적으로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4).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5)가 각각의 스트랜드(2)와 연관되고, 이들 접촉 요소(5)가 연결 장치 내부에 한 줄 이상으로 배치되거나, 하나의 접촉 요소(5)가 모든 스트랜드(2)에 걸쳐 공통으로 연장되어 리세스(12)의 영역에서 이들 스트랜드를 전기적으로 단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4).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9)을 사용하여 접촉 요소(5)에 가압력이 인가될 수 있거나, 또는 접촉 요소(5) 자체가 탄성적인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4).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4)에는 위치 설정 구조,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홈(30')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위치 설정 구조는, 지지 벨트와 연결 장치의 정렬을 위해, 지지 벨트의 요건에 적절한 구조,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홈(30)과 상호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4).
  12. 제 7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요소(5)는 연결 장치(4)에 배치되는 플러그 스트립(38)과 연결되거나 플러그(38.1)와 연결되며,
    상기 접촉 요소(5)와 플러그 스트립(38) 또는 플러그(38.1)는, 바람직하게는, 회로 기판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이 회로 기판은 요건에 따라 전도체 트랙 및/또는 전자 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4).
  13. 승강 설비용 지지 벨트(1)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적어도 하나의 스트랜드(2)를 제공하는 단계,
    - 케이싱(3)을 사용하여 상기 스트랜드(2)를 둘러싸는 단계, 및
    - 스트랜드(2)가 지지 벨트의 적어도 제 1 측면(7.1)의 리세스(12)의 영역에서 노출되도록 지지 벨트의 전체 폭(b)에 걸쳐 리세스(12)의 영역에서 케이싱(3)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3)은 리세스(12)의 영역에서 기계적, 화학적 또는 열적 방식으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지지 벨트(1)에 연결되어 지지 및 구동되는 승강 케이지(41) 및 균형추(42)를 구비한 승강 설비로서,
    상기 지지 벨트(1)는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구성되며,
    지지 벨트(1)와 접촉하기 위한 제 7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결 장치(4)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설비.
KR1020117011206A 2008-11-19 2009-11-09 지지 벨트 KR201100844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169452 2008-11-19
EP08169452.3 2008-11-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422A true KR20110084422A (ko) 2011-07-22

Family

ID=40475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1206A KR20110084422A (ko) 2008-11-19 2009-11-09 지지 벨트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640828B2 (ko)
EP (1) EP2346768B1 (ko)
KR (1) KR20110084422A (ko)
CN (1) CN102216193B (ko)
AU (1) AU2009317388B2 (ko)
BR (1) BRPI0922055A2 (ko)
ES (1) ES2402542T3 (ko)
HK (1) HK1157718A1 (ko)
MX (1) MX2011005070A (ko)
MY (1) MY154186A (ko)
RU (1) RU2518399C2 (ko)
WO (1) WO20100577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51734B1 (de) * 2009-07-06 2014-03-26 Inventio AG Kontaktierungsvorrichtung
WO2011098847A1 (en) * 2010-02-10 2011-08-1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belt having connecting devices attached thereto
WO2013087418A1 (de) * 2011-12-16 2013-06-20 Inventio Ag System zur elektrischen kontaktierung von zugträgern in tragmitteln
US10023433B2 (en) 2012-10-22 2018-07-17 Inventio Ag Monitoring of support in elevator installations
EP2909124B1 (de) * 2012-10-22 2016-12-14 Inventio AG Tragmittel für eine aufzugsanlage
FI124543B (en) 2012-12-30 2014-10-15 Kone Corp Rope clamp assembly and elevator
CN103887623B (zh) * 2013-04-22 2016-09-21 洛阳威尔若普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电梯承载复合带的电接插器
EP2851325B1 (en) * 2013-09-24 2016-09-14 KONE Corporation A rope terminal assembly and an elevator
ES2599259T3 (es) * 2013-10-10 2017-01-31 Kone Corporation Un conjunto de terminal de cable y un ascensor
EP2878563B1 (en) * 2013-11-29 2017-03-22 KONE Corporation A rope terminal assembly and an elevator
EP3152146B1 (en) 2014-06-06 2018-01-31 ThyssenKrupp Elevator AG Terminal for toothed belts
EP3053867A1 (en) * 2015-02-03 2016-08-10 KONE Corporation Rope terminal arrangement, arrangement for condition monitoring of an elevator rope and elevator
EP3070042A1 (en) * 2015-03-16 2016-09-21 Kone Corporation A rope terminal arrangement and an elevator
CA2978508C (en) * 2015-04-30 2023-10-10 Inventio Ag Elevator suspension means
CN109071173B (zh) * 2016-03-23 2020-10-02 因温特奥股份公司 电梯设备以及用于电梯设备的转向滚轮结构
EP3309105A1 (en) * 2016-10-14 2018-04-18 Inventio AG Method and control device system for monitoring the suspension traction means of an elevator and elevator system comprising an elevator and a control device system
EP3339231A1 (en) * 2016-12-23 2018-06-27 KONE Corporation Connector for a hoisting rope of a hoisting apparatus
CA3071484A1 (en) * 2017-09-15 2019-03-21 Inventio Ag Method for electrical attachment of a connecting element to a belt for a lift system and corresponding belt assembly
CN107855047B (zh) * 2017-11-24 2020-08-04 重庆市远翔食品有限公司 一种搅拌装置
EP3543194A1 (en) 2018-03-23 2019-09-25 Otis Elevator Company Drive belt for a people conveyor
CN109573785B (zh) * 2019-01-02 2020-03-03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电梯曳引钢带断绳检测装置、检测系统及检测方法
EP3851403B1 (en) * 2020-01-15 2022-09-28 Otis Elevator Company Support member for a drive belt of a passenger conveyor
WO2023194630A1 (es) * 2022-04-06 2023-10-12 Dinacell Electrónica, S.L. Conector electrico
DE102022208243A1 (de) * 2022-08-08 2024-02-08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Antriebsriemen mit Leitungselementen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1299935A1 (ru) * 1985-04-02 1987-03-30 Новочеркасски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Серго Орджоникидзе Дефектоскоп дл проверки прочности стального каната
US4992778A (en) * 1989-12-22 1991-02-12 The University Of New Mexico Pre-failure tension warning device
SU1745662A1 (ru) * 1990-01-16 1992-07-07 Ленинградский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й институт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износа стальных тросов
GB9210648D0 (en) * 1992-05-19 1992-07-01 Amp Holland Connecting a drain wire to an electrical connector shield
US6422624B1 (en) * 2001-03-20 2002-07-23 Lift-All Company, Inc. Wire rope roundsling with inspection window
US20020194935A1 (en) * 2001-06-26 2002-12-26 Arthur Clarke Tensile load sensing belt
US7670240B2 (en) * 2001-10-04 2010-03-0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belt assembly with noise reducing groove arrangement
JP4215464B2 (ja) * 2002-08-09 2009-01-2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昇降路配線
EP1530040B1 (de) 2003-11-04 2012-09-12 Inventio AG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Kontrolle von Tragmitteln
JP2005139001A (ja) * 2003-11-04 2005-06-02 Inventio Ag 支持手段を点検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7201688B2 (en) * 2004-03-09 2007-04-10 The Gates Corporation Power transmission belt
ES2365516T3 (es) * 2004-03-16 2011-10-06 Otis Elevator Company Concector eléctrico y dispositivo de contención para utilizar con correas de elevadores.
CN100564215C (zh) * 2004-03-16 2009-12-02 奥蒂斯电梯公司 一种监测电梯承载构件的状况的方法及其装置
JP4597190B2 (ja) * 2004-03-16 2010-12-15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エレベータ荷重支持部材の摩耗および破損検出
US7506728B2 (en) * 2004-03-16 2009-03-24 Otis Elevator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device for use with elevator load bearing members
US7540359B2 (en) * 2004-03-16 2009-06-02 Otis Elevator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device for use with elevator load bearing members
DE602005018383D1 (de) * 2004-11-02 2010-01-28 Toray Internat Inc Faserlastschlinge und verfahren zur bewertung ihrer leistungsfähigkeit
JP2006182566A (ja) * 2004-12-24 2006-07-13 Inventio Ag ベルト状の駆動手段をもつ装置、およびその装置における電気エネルギーまたは信号を伝達する方法
WO2006077092A1 (fr) * 2005-01-19 2006-07-27 Fci Connecteur électrique pour câble en nappe ayant des moyens d' étanchéitê améliorés
WO2006127059A2 (en) * 2005-05-20 2006-11-30 Otis Elevator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for piercing a conductive member
US7424996B2 (en) * 2006-11-29 2008-09-16 Stuart Larsen Wire rope pre-failure indicator and method of using same
WO2009024452A1 (de) * 2007-08-17 2009-02-26 Inventio Ag Aufzugsystem mit tragmittelzustanderfassungs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erfassen eines zustandes eines tragmittels
ES2541709T3 (es) * 2009-12-21 2015-07-23 Inventio Ag Vigilancia de un medio de suspensión e impulsión de una instalación de asc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57718A1 (en) 2012-07-06
MY154186A (en) 2015-05-15
BRPI0922055A2 (pt) 2015-12-22
EP2346768A1 (de) 2011-07-27
RU2518399C2 (ru) 2014-06-10
CN102216193B (zh) 2013-05-08
EP2346768B1 (de) 2013-01-09
RU2011124920A (ru) 2012-12-27
AU2009317388B2 (en) 2016-07-07
US20110220438A1 (en) 2011-09-15
ES2402542T3 (es) 2013-05-06
WO2010057797A1 (de) 2010-05-27
US8640828B2 (en) 2014-02-04
MX2011005070A (es) 2011-05-25
AU2009317388A1 (en) 2010-05-27
CN102216193A (zh) 201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4422A (ko) 지지 벨트
EP3124420B1 (en) Elevator arrangement with an electric isolation in an stm fixation arrangement and method for modernizing an existing elevator arrangement
US9385447B2 (en) Electrical contacting of tensile carriers in support components
EP2534082B1 (en) Elevator system belt having connecting devices attached thereto
US9840397B2 (en) Elevator installation
US8991562B2 (en) Electrical contacting device for elevator support tensile carriers
KR20090016399A (ko) 설비를 자동 정지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기계 리프트설비의 공중 로프를 안내하는 장치
US10023433B2 (en) Monitoring of support in elevator installations
KR101911192B1 (ko) 로프 파단 검출 장치
EP3577474B1 (en) Suspension member arrangement for an elevator and monitoring arrangement for monitoring a suspension member
CA2978508C (en) Elevator suspension means
CA2884913C (en) Support means for a lift installation
AU2015352498B2 (en) Elevator system
CA3048367A1 (en) Suspension member arrangement for an elevator and monitoring arrangement for monitoring a suspension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