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3996A - 이중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이중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3996A
KR20110083996A KR1020100004010A KR20100004010A KR20110083996A KR 20110083996 A KR20110083996 A KR 20110083996A KR 1020100004010 A KR1020100004010 A KR 1020100004010A KR 20100004010 A KR20100004010 A KR 20100004010A KR 20110083996 A KR20110083996 A KR 20110083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fluid
tube
heat
p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0106B1 (ko
Inventor
김홍성
이상열
사용철
이한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4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106B1/ko
Priority to US12/987,496 priority patent/US20110174469A1/en
Priority to EP11150467A priority patent/EP2354743A3/en
Priority to CN2011100224865A priority patent/CN102128554A/zh
Publication of KR20110083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 F28D7/10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consisting of two coaxial conduits or modules of two coaxial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08Tubular elements crimped or corrugated in longitudinal 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4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both outside and in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424Means comprising outside portions integral with inside portions
    • F28F1/426Means comprising outside portions integral with inside portions the outside portions and the inside portions forming parts of complementary shape, e.g. concave and conve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10/00Heat exchange conduits
    • F28F2210/06Heat exchange conduits having walls comprising obliquely extending corrugations, e.g. in the form of th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이중 열교환기는 제1 중공을 갖는 제1 열교환관; 및 제2 중공 및 상기 제1 열교환관 내에 상기 제1 열교환관과 동심으로 배치되며 내측면에 복수개의 산 및 골들이 나사 형상으로 형성된 스파이럴부를 갖는 제2 열교환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열교환관의 인접한 두 개의 상기 골들 사이의 길이인 피치(W) 및 상기 피치(W)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산의 정상 사이의 거리(A)의 비(A/W)는 0.15 이하이다.

Description

이중 열교환기{DOUBLE-PIPED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스파이럴부의 피치 및 높이를 최적화하여 전열 특성을 향상시킨 이중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는 고온의 유체가 가진 열에너지를 상대적으로 저온의 유체로 전달하여 고온의 유체 온도는 하강시키고 저온의 유체 온도는 상승시키는 장치이다. 열 교환기는 가열기, 냉각기, 증발기 및 응축기 등에 주로 사용된다.
열교환기는 가열하고자 하는 유체에 열을 주기 위해 사용되는 전열 매체를 열매라고 하고, 이와는 반대로 열을 뺏는 데 사용되는 것을 냉매라고 한다. 냉매 또는 열매는 기체나 액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열교환기의 하나인 이중관 열교환기(double-pipe heat exchanger)는, 제 1 유체가 흐르는 내관, 상기 내관을 감싸며 제 2 유체가 흐르는 외관을 포함하며, 내관의 측벽을 전열벽으로 하여 유체간의 열 교환이 수행된다.
이와 같은, 이중관 열교환기는 내관의 외벽과 제 2 유체가 접촉되는 전열면적이 작기 때문에 열교환 효율이 낮은데,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중관 열교환의 크기를 증가시키거나, 이중관의 길이를 길게 해야 한다.
그러나, 이중관 열교환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이중관 열교환기의 크기를 크게 하는 것은 부피의 문제로 인하여 구현이 어려운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열교환을 위해 상대적으로 내측에 배치된 열교환관을 산과 골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나선형상으로 형성하고 산과 골의 피치 및 높이를 최적화하여 전열 성능을 보다 향상시킨 이중 열교환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로서, 이중 열교환기는 제1 중공을 갖는 제1 열교환관; 및 제2 중공 및 상기 제1 열교환관 내에 상기 제1 열교환관과 동심으로 배치되며 내측면에 복수개의 산 및 골들이 나사 형상으로 형성된 스파이럴부를 갖는 제2 열교환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열교환관의 인접한 두 개의 상기 골들 사이의 길이인 피치(W) 및 상기 피치(W)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산의 정상 사이의 거리(A)의 비(A/W)는 0.15 이하이다.
본 발명의 이중 열교환기에 따르면, 이중 열교환기를 이루는 제1 열교환관 및 제2 열교환관 중 내부에 배치된 제2 열교환관의 표면에 스파이럴부를 형성하고, 스파이럴부의 피치 및 높이를 최적화하여 이중 열교환기의 전열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열교환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관 열교환기의 스파이럴부의 피치(W)에 따른 전열 성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열교환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중 열교환기(300)는 제1 열교환관(100) 및 제2 열교환관(200)을 포함한다.
제1 열교환관(100)은 제1 중공(110)을 갖는 파이프 형상을 갖는다. 제1 열교환관(100)은, 예를 들어, 제1 직경(D1)을 갖는다.
제1 열교환관(100)은 제1 열교환관(100)과 연통된 제1 유체 유입부(120) 및 제1 열교환관(100)과 연통된 제1 유체 배출부(130)를 포함한다.
제1 유체 유입부(120)로는 제1 유체가 제공되고, 제1 유체 배출부(130)로는 열교환된 상기 제1 유체가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유체 유입부(120)로 제공 및 제1 유체 배출부(130)로 배출되는 제1 유체는, 예를 들어, 제1 열교환관(100) 내에서 상 변화가 발생 되지 않는 단상(single-phase) 유체일 수 있다.
제1 유체 유입부(120)로 제공되는 제1 유체의 예로서는 냉각수를 들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제1 유체 유입부(120)로 제공되는 제1 유체는 제1 온도를 갖는다.
제2 열교환관(200)은 제1 열교환관(100) 내에 배치되며, 제2 열교환관(200) 및 제1 열교환관(100)은 각각 동심축을 갖는다. 제2 열교환관(200)은, 예를 들어, 제1 열교환관(100)의 제1 직경(D1) 보다 작은 제2 직경(D2)을 갖고, 이로 인해 제1 및 제2 열교환관(100,200)들 사이에는 갭(G)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열교환관(100,200)들 사이의 갭(G)으로는 상기 제1 유체가 통과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열교환관(200)의 제2 직경(D2)은, 예를 들어, 약 19.05mm일 수 있다.
제1 열교환관(100) 내에 배치된 제2 열교환관(200)은 스파이럴부(210)를 포함한다.
스파이럴부(210)는 제2 열교환관(200)의 표면에 나사 형상으로 형성되고, 나사 형상으로 형성된 스파이럴부(210)는 연속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산(212)들 및 골(214)들을 포함한다.
스파이럴부(210)는 제1 열교환관(100)의 외측면 및 내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스파이럴부(210)의 산(212) 및 골(214)은 가공 롤러 등에 의하여 성형 될 수 있다.
제2 열교환관(200)의 일측 단부에는 제2 유체 유입부(202)가 형성되고, 제2 열교환관(200)의 상기 일측 단부와 대향 하는 타측 단부에는 제2 유체 배출부(204)가 형성된다.
제2 유체 유입부(202)로는 제2 유체가 제공되고, 제2 유체 배출부(204)로는 열교환된 상기 제2 유체가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열교환관(200)의 내부로 제공되는 상기 제2 유체는 제2 열교환관(200) 내에서 상 변화하는 상변화(two-phase) 유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유체는 제2 열교환관(200) 내에서 액체에서 기체로 상변화하는 냉매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2 열교환관(200) 내부로 제공되는 상기 제2 유체는 단상 유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유체는 제1 유체의 제1 온도와 다른 제2 온도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유체의 제1 온도는 제2 유체의 제2 온도보다 높을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유체의 제1 온도는 제2 유체의 제2 온도보다 낮을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제2 열교환관(200)의 스파이럴부(210)의 피치(W), 스파이럴부(210)에 의하여 형성된 인접한 산(212) 및 골(214)의 높이차(Hc)는 제1 및 제2 열교환관(100,200)의 전열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며, 스파이럴부(210)의 피치(W), 높이차(Hc)가 최적화되지 않을 경우 전열 성능이 감소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관 열교환기의 스파이럴부의 피치(W)에 따른 전열 성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의 그래프의 X축은 도 2에 도시된 스파이럴부(210)의 피치(W)이고, 도 3의 그래프의 Y축은 스파이럴부(210)의 전열 성능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파이럴부(210)의 피치(W)를 연속적으로 증가시킬 경우, 도 1에 도시된 이중 열교환기(300)의 전열 성능은 스파이럴부(210)의 피치(W) 증가에 따라 점차 감소 되며, 스파이럴부(210)의 피치(W)가 약 4mm 내지 약 10mm일 경우, 이중 열 교환기(300)의 전열 특성은 허용 범위 내에 포함된다.
한편, 제2 열교환관(200)의 스파이럴부(210)의 피치(W)가 약 4mm 이하일 경우 전열 특성은 증가 되지만 제2 열교환관(200)의 스파이럴부(210)의 피치(W)를 4mm 이하로 제작 및 가공하기 어렵고, 제2 열교환관(2000의 스파이럴부(210)의 피치(W)가 약 10mm이상일 경우, 전열 성능이 크게 감소된다. 따라서, 스파이럴부(210)의 피치(W)는 가공 특성 및 전열 특성을 고려하여 약 4mm 내지 약 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열교환관(200)의 스파이럴부(210)의 산(212) 및 골(214) 사이의 높이차(Hc)는 약 1mm 내지 약 3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산(212) 및 골(214)의 높이차(Hc)가 약 1mm 보다 작을 경우, 제2 유체 및 제1 유체의 전열 효과가 크게 감소 되며, 높이차(Hc)가 약 3mm 이상일 경우, 전열 효과가 증가 되지만 높이차(Hc)를 약 3mm 이상으로 제작하기 사실상 어렵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가공 특성 및 충분한 전열 효과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스파이럴부(210)의 산(212) 및 골(214)의 높이차(Hc)는 약 1mm 내지 약 3mm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열교환관(200)의 스파이럴부(210)의 산(212) 및 골(214)을 제작하기 위해서 피치(W)를 이등분한 지점(W/2)으로부터 산(212)의 정상(P) 위치까지의 거리(A)를 피치(W)로 나눈 비율(A/W)은 약 0.15 이하인 것이 가공 특성상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열교환관(200) 내로 액상에서 기상으로 상변화하는 액상 냉매와 같은 제2 유체를 제공할 경우, 제2 유체는 제2 열교환관(200)의 스파이럴부(210)에 의하여 고속으로 회전하기 시작하고, 기체 상태의 제2 유체 및 액체 상태의 제2 유체 중 밀도가 높은 액체 상태의 제2 유체는 스파이럴부(210)의 내측면에서 주로 분포되고,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기체 상태의 제2 유체는 스파이럴부(210)의 중앙 부분에 주로 배치된다.
따라서, 스파이럴부(210)에 의하여 액체 상태의 제2 유체 및 기체 상태의 제2 유체는 싸이클론 효과에 의하여 분리되고 스파이럴부(210)의 내측면에 밀집된 액체 상태의 제2 유체는 제1 열교환관(100)으로 제공된 제1 유체에 의하여 보다 활발한 열교환이 이루어짐으로써 제1 및 제2 유체 사이의 열교환 특성은 보다 향상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이중 열교환기를 이루는 제1 열교환관 및 제2 열교환관 중 내부에 배치된 제2 열교환관의 표면에 스파이럴부를 형성하고, 스파이럴부의 피치 및 높이를 최적화하여 이중 열교환기의 전열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중 열교환기...300 제1 열교환관...100
제2 열교환관...200 산...212
골...214

Claims (4)

  1. 제1 중공을 갖는 제1 열교환관; 및
    제2 중공 및 상기 제1 열교환관 내에 상기 제1 열교환관과 동심으로 배치되며 내측면에 복수개의 산 및 골들이 나사 형상으로 형성된 스파이럴부를 갖는 제2 열교환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열교환관의 인접한 두 개의 상기 골들 사이의 길이인 피치(W) 및 상기 피치(W)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산의 정상 사이의 거리(A)의 비(A/W)는 0.15 이하인 이중 열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치(W)는 4mm<W<10mm이고, 상기 산 및 상기 산과 인접한 상기 골 사이의 높이차(H)는 1mm<H<3mm인 이중 열교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열교환관들 사이로 제공되는 제1 유체 및 상기 제2 열교환관의 내부로 제공된 제2 유체는 서로 다른 온도를 갖는 냉매를 포함하는 이중 열교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교환관 내부로 제공된 상기 제2 유체는 단상 유체 및 상변화 유체 중 어느 하나인 이중 열교환기.
KR1020100004010A 2010-01-15 2010-01-15 이중 열교환기 KR101620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010A KR101620106B1 (ko) 2010-01-15 2010-01-15 이중 열교환기
US12/987,496 US20110174469A1 (en) 2010-01-15 2011-01-10 Double-pipe heat exchanger
EP11150467A EP2354743A3 (en) 2010-01-15 2011-01-10 Double-pipe heat exchanger
CN2011100224865A CN102128554A (zh) 2010-01-15 2011-01-17 套管换热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010A KR101620106B1 (ko) 2010-01-15 2010-01-15 이중 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996A true KR20110083996A (ko) 2011-07-21
KR101620106B1 KR101620106B1 (ko) 2016-05-13

Family

ID=43859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010A KR101620106B1 (ko) 2010-01-15 2010-01-15 이중 열교환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174469A1 (ko)
EP (1) EP2354743A3 (ko)
KR (1) KR101620106B1 (ko)
CN (1) CN1021285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38308A (zh) * 2017-07-25 2017-10-10 陕西路圣里德太阳能研究院有限公司 导热油‑水翅片管换热管组及储能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68024A (zh) * 2011-09-19 2012-03-07 福兴织造(苏州)有限公司 纺织厂余热回收装置
KR101354814B1 (ko) * 2011-12-14 2014-01-27 삼성전기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US20150159964A1 (en) * 2012-05-07 2015-06-11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Tubular heat exchanger
US10132538B2 (en) * 2012-05-25 2018-11-20 Hussmann Corporation Heat exchanger with integrated subcooler
CN102831941B (zh) * 2012-06-11 2015-04-15 华北电力大学 一种0型铅铋换热装置
FR3016689B1 (fr) * 2014-01-20 2016-01-15 Vallourec Heat Exchanger Tubes Tube ameliore pour echangeur thermique
JP6223298B2 (ja) * 2014-07-31 2017-11-01 株式会社コベルコ マテリアル銅管 管内単相流用伝熱管
CN104578977A (zh) * 2015-01-05 2015-04-29 武汉理工大学 一种汽车尾气热电发电装置
CN105202794B (zh) * 2015-09-29 2018-01-19 美的集团武汉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CN105515447B (zh) * 2016-01-05 2017-12-29 武汉理工大学 一种汽车尾气温差发电热交换装置
CN106403659A (zh) * 2016-11-17 2017-02-15 北京蓝爱迪电力技术有限公司 一种套管式气固高速两相流高效加热设备
GB2569306A (en) * 2017-12-12 2019-06-19 Rolls Royce Plc Thermal management device
CN108225057A (zh) * 2018-02-11 2018-06-29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凹面换热管套管式换热器
US11221182B2 (en) * 2018-07-31 2022-01-11 Applied Materials, Inc. Apparatus with multistaged cooling
CN109578806B (zh) * 2018-12-07 2024-01-23 江苏中圣压力容器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lng闪蒸汽(bog)增压冷凝回收的工艺装置
CN112413916B (zh) * 2020-11-16 2022-01-07 中科赛凌(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冷热气喷射装置
CN113432458B (zh) * 2021-07-12 2022-04-01 湖北中油科昊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压裂车冷却装置
CN115127371A (zh) * 2021-12-14 2022-09-30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管内旋流式耐粘附性介质蒸发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11299A (en) * 1925-09-03 1926-12-21 Zona E Wilka Combined vaporizer and air-inlet device
US3779312A (en) * 1972-03-07 1973-12-18 Universal Oil Prod Co Internally ridged heat transfer tube
EP0108525A1 (en) 1982-11-03 1984-05-16 Thermodynetics, Inc. Heat exchanger
DE3317986A1 (de) * 1983-05-18 1984-11-22 kabelmetal electro GmbH, 3000 Hannover Rohrfoermiger waermetauscher zur rueckgewinnung von waermeenergie aus abgasen
US5655599A (en) * 1995-06-21 1997-08-12 Gas Research Institute Radiant tubes having internal fins
CN2715085Y (zh) * 2004-06-02 2005-08-03 黄忠勇 变温式冷凝器
JP4698417B2 (ja) 2005-12-28 2011-06-08 株式会社デンソー 二重管の製造方法
JP2007218486A (ja) * 2006-02-15 2007-08-30 Hitachi Cable Ltd 熱交換器用伝熱管及びこれを用いた熱交換器
JP2008157506A (ja) * 2006-12-21 2008-07-10 Calsonic Kansei Corp 熱交換器
JP2008190787A (ja) 2007-02-05 2008-08-2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スパイラル管およびこれを用いた熱交換器
US20090159248A1 (en) * 2007-12-21 2009-06-25 Mimitz Sr Timothy E Heat exchanger, heat exchanger tub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CN201181172Y (zh) * 2008-02-21 2009-01-14 广州泰菱科技研发有限公司 内管螺旋加强型套管式换热器
CN201322563Y (zh) * 2008-12-15 2009-10-07 刘福贵 螺旋消音换热器
CN201377999Y (zh) * 2009-02-06 2010-01-06 李癸源 流体热能高效快速传导装置
CN101625207B (zh) * 2009-07-27 2012-05-02 北京鹤华安吉电子技术研究所 一种基于螺旋结构的液冷式热交换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38308A (zh) * 2017-07-25 2017-10-10 陕西路圣里德太阳能研究院有限公司 导热油‑水翅片管换热管组及储能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54743A3 (en) 2012-10-31
CN102128554A (zh) 2011-07-20
EP2354743A2 (en) 2011-08-10
KR101620106B1 (ko) 2016-05-13
US20110174469A1 (en) 201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3996A (ko) 이중 열교환기
CN107388861B (zh) 热壁式换热器
WO2017101235A1 (zh) 一种加强型螺旋管高效换热器
CN101490494A (zh) 螺旋扁平管式换热器
CN103411454A (zh) 一种外凸式波节管错位布置的管式换热器
CN105276865A (zh) 同轴螺纹管内插芯体式换热器
CN205090836U (zh) 具有强化换热面的套管式换热器
CN205090859U (zh) 套管换热器用棱锥形翅片冷凝管
CN102022933A (zh) 绕管式换热器
CN208012424U (zh) 换热器
CN214426496U (zh) 一种新型套管式换热器及其换热管
KR20150092210A (ko) 열교환기 수단용 배관 요소
CN209495488U (zh) 螺旋形换热器
KR101620107B1 (ko) 열 교환기
CN207649173U (zh) 一种微通道管道换热器
CN209279737U (zh) 一种三流道螺旋绕管式换热器
CN113137883A (zh) 一种直线均温板夹角高度变化的重力热管
KR102010156B1 (ko) 쉘앤플레이트 열교환기용 쉘 및 이를 구비한 쉘앤플레이트 열교환기
KR20130117898A (ko) 열교환 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열교환기
JP2010255857A (ja) 熱交換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ヒートポンプ給湯機
US20240093944A1 (en) Spiral heat exchanger and heat exchange device
JP2013088045A (ja) 熱交換器及びそれを用いた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
CN114440675B (zh) 一种多放热端连通的重力热管
CN219841673U (zh) 一种用于蒸发式冷凝器的盘管
CN114440676B (zh) 一种多三角壁速度场引流重力热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