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3631A - 점착테이프 - Google Patents

점착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3631A
KR20110083631A KR1020117009302A KR20117009302A KR20110083631A KR 20110083631 A KR20110083631 A KR 20110083631A KR 1020117009302 A KR1020117009302 A KR 1020117009302A KR 20117009302 A KR20117009302 A KR 20117009302A KR 20110083631 A KR20110083631 A KR 20110083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dhesive
base material
pressure
adhesive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9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7699B1 (ko
Inventor
가즈마사 시바타
요시나리 사토다
다카시 니시카와
다카히사 오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Publication of KR20110083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6Porous or cellular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5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process specific features
    • C09J2301/5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process specific features process for debonding adher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가정용 점착테이프의 점착제로서 수팽윤성 점착제를 사용함에 있어서, 보다 떼어내기 쉬운 개량을 실시한 점착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물을 함유하면 팽윤하는 수팽윤 점착제가 배합된 점착제층(3)이 형성된 점착테이프(1)의 기재(2)에 수팽윤 점착제에 물을 함유하기 쉽게 하기 위해 투수성을 가지는 소재를 사용한다.

Description

점착테이프{ADHESIVE TAPE}
본 발명은, 물에 의해 팽윤하는 수팽윤(水膨潤) 점착제가 배합된 점착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 말하면, 일반적인 가정용 점착테이프의 점착제로서 수팽윤 점착제를 사용한 점착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일반적인 점착테이프의 대부분은, 상시 감압 접착성을 가지는 점착제를 시트 형상 기재(基材)의 편면 또는 양면에 도포한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점착테이프는, 점착테이프를 떼어낼 때에 벽에 풀 찌꺼기가 생기거나, 열화(劣化)에 의해 기재가 끊어지거나 하여, 벽면에서 완전히 떼어내는 것은 곤란했다.
다른 한편에 있어서, 물을 이용하여 박리할 수 있는 감압 점착제가 일부에 알려져 있다. 이 물을 이용하는 감압 점착제에는, 수용성인 것, 수분산성인 것, 그리고 수팽윤성인 것의 3종류가 있다. 수용성과 수분산성의 점착제는, 물에 완전히 용해(또는 분산)하는 데, 대량의 물과 시간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제지용 라이너 테이프 등 일부의 공업 용도로 밖에 사용되지 않는다.
이에 반해, 수팽윤성 점착제는, 물을 부여함으로써 폴리머 사이에 물이 받아들여져, 점착제가 팽윤하고, 그 결과, 체적 변화(접착 면적의 변화)와 접착 계면으로의 물의 침입 등에 의해 접착력이 저하하여, 점착제를 간단히 피접착면에서 떼어낼 수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일반적인 점착테이프 용도로서 수팽윤성 점착제를 사용한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점착테이프는, 기재가,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등의 수지 필름을 사용하고 있고, 이들 기재에 수팽윤성 점착제를 사용한 경우, 부착한 상태에서 점착제에 물을 함유시키기 위해서는, 기재의 주연(周緣)으로부터 물을 서서히 스며들어가게 해야 하기 때문에, 점착제가 팽윤하여 점착력이 떨어질 때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
일본국 특개평7-173445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일반 가정용 점착테이프의 점착제로서 수팽윤성 점착제를 사용함에 있어서, 보다 떼어내기 쉬운 개량을 실시한 점착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서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몇 가지 특징을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시트 형상 기재의 일방의 면에 물을 함유하면 팽윤하여 점착력이 저하되는 수팽윤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이 형성된 점착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기재에는, 투수성을 구비하는 소재가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시트 형상 기재의 일방의 면에 물을 함유하면 팽윤하여 점착력이 저하되는 수팽윤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이 형성된 점착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줄무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줄무늬 형상의 점착제층의 사이에 물을 유도하기 위한 도수로(導水路)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시트 형상 기재의 일방의 면에 물을 함유하면 팽윤하여 점착력이 저하되는 수팽윤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이 형성된 점착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 및/또는 상기 기재에는, 투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시트 형상 기재의 일방의 면에 물을 함유하면 팽윤하여 점착력이 저하되는 수팽윤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이 형성된 점착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연속 기포로 발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자체가 물을 함유하면 팽윤하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층간 파괴 강도가 상기 점착제의 점착 강도보다 약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타방의 면에도, 점착제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타방의 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에도, 상기 수팽윤 점착제가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기재에 투수성을 가지는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기재에 빠르게 물을 함유시켜, 거기에서 수팽윤성 점착제에 직접 물을 공급하여, 신속하게 팽윤시켜서 박리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점착제층을 줄무늬 형상으로 형성하고, 줄무늬 형상의 점착제층의 사이에 물을 유도하기 위한 도수로를 설치함으로써, 도수로에 물을 충족시켜, 신속하게 점착제를 팽윤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점착제층 및/또는 기재에 투수 구멍을 형성함으로써도, 점착제층에 직접 물을 공급하여 신속하게 팽윤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점착제층이 연속 기포가 되도록 발포되어 있음으로써, 점착제층의 기포 내에 물이 축적되어, 수팽윤성 점착제를 신속하게 팽윤시켜서 점착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기재 자체에 물을 함유하면 팽윤하는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기재가 물을 함유하여, 점착제로의 물의 공급이 더 신속하게 행하여질 뿐만 아니라, 남은 물을 흡수함으로써, 피접착면에 물이 접촉하는 것을 가능한 한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기재의 층간 파괴 강도가 상기 점착제의 점착 강도보다 약화되어 있기 때문에, 점착테이프를 잡아떼어내면, 기재가 반으로 갈라지듯이 파괴되어서 피접촉면 측에 남는다. 그래서, 파괴된 기재 위에서 물을 뿌림으로써, 점착제층을 빠르게 팽윤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층간 파괴 강도란, 기재의 두께 방향의 파괴강도를 말한다.
청구항 7 및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기재의 타방의 면에도 점착제층이 설치되어 있는, 이른바 양면 점착식 점착테이프이어도 된다. 편면 또는 양면의 점착제층을 수팽윤성 점착제를 사용하여 구성함으로써, 물을 함유시키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떼어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와 관련된 점착테이프 롤의 주요부 단면도,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a) 배면도 및 (b) A-A선 단면도,
도 3은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a) 배면도 및 (b) B-B선 단면도,
도 4(a), 도 4(b)는, 기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5는 기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와 관련된 점착테이프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7은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8은 제2 실시형태의 점착테이프의 박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와 관련된 점착테이프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고, 도 2는, 그 변형예를 나타내는 (a) 배면도 및 (b)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a) 배면도 및 (b) B-B선 단면도이다. 도 4(a), 도 4(b)는, 기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기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와 관련된 점착테이프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고, 도 7은, 그 변형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의 점착테이프의 박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점착테이프(1)는, 시트 형상 기재(2)의 일방의 면(도 1에서는 좌측면)에 점착제층(3)이 형성된 편면 점착테이프이고, 점착테이프(1)의 타방의 면(도 1에서는 우측면)에는, 훅(F)이 점착부(Fa)를 거쳐 부착되어 있다.
이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점착테이프(1)는, 훅(F)을 벽면에 부착할 때에, 직접, 훅을 부착하지 않아도 되는 벽면 보호 테이프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벽면에 포스터 등을 부착할 때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사무용 점착테이프이어도 된다.
기재(2)는, 종이나 수지 필름 등의 임의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시트체로 이루어져도 되나, 기재(2)는, 점착제층(3)에 포함되는 수팽윤 점착제에 물을 함유시키기 쉽게 하기 위하여 투수성을 구비한 소재로 구성되어 있다.
점착제층(3)은, 물에 의해 팽윤하는 수팽윤성 점착제가 배합된 점착제를, 기재(2)의 일방의 면에 소정의 두께가 되도록 균일하게 도포하여 형성되어 있다. 수팽윤성 점착제의 일례로서는, 수용성 폴리머를 주성분으로 하고, 그곳에 수용성 가소제(可塑劑)(예를 들면, 산요가세이공업사제 산닉스 SP750 등)와 가교제(예를 들면, 나가세켐텍스사제 데나콜 B-830 등)를 소정량 배합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수팽윤성 점착제의 세부 조성은, 사양에 따라 임의로 변경 가능하나, 물을 함유시킴으로써, 적어도 2000 중량% 이상 팽윤하도록 설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예에 있어서, 점착제층(3)은, 17000 중량%의 팽윤성을 가진 점착제를 중량 50g/㎡이고 두께 50㎛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 있어서, 기재(2)는, 중량 45g/㎡이고 두께 230㎛의 투수가 쉬운 성질의 펄프제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물을 함유시킴으로써, 점착제층(3)에 물을 공급하여 신속하게 점착제층(3)에 포함되는 수팽윤성 점착제를 팽윤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기재(2)를 부직포로 구성한 경우, 기재가 약하기 때문에 기재(2)가 간단히 파괴된다. 그래서, 기재(2)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2)의 주연을 히트 시일(22)에 의해 미리 고착해 두고, 강도를 높이도록 하여도 된다.
이 예에 있어서, 기재(2)는 물을 함유하기 쉬운 펄프 부직포로 이루어지나, 기재(2)를 투수성이 없는 수지 필름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에 있어서는,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2)에 투수 구멍(21)을 다수 설치하여 투수성을 확보한다. 이러한 양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것에 의하면, 수지 시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재(2)를 사용했다고 해도, 기재(2)의 표면(반점착면)에 분무기 등으로 물을 뿜음으로써, 투수 구멍(21)을 통해 점착제층(3)으로 직접 물을 보낼 수 있어, 신속하게 수팽윤성 점착제를 팽윤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수단으로서는, 도 3(a),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테이프(1)의 점착제층(3)을 줄무늬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줄무늬 형상의 점착제층(3)의 사이에 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도수로(31)를 설치해도 된다.
이 예에 있어서, 점착제층(3)은 기재(2)의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줄무늬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사이에 도수로(31)가 형성되어 있으나, 기재(2)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줄무늬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 줄무늬 형상 이외에 선 형상이나 물결 형상 등이어도 되고, 점착제층(3) 사이에 직접 물을 도입하는 도수로(31)를 설치할 수 있으면, 이들 변형예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더 바람직한 양태로서, 기재(2)는, 층간 파괴 강도[기재(2)의 두께 방향의 강도]가 점착제의 점착 강도보다 약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테이프(1)를 잡아떼어 가면, 점착제층(3)이 피점착면으로부터 떨어지기 전에 기재(2)가 파괴되어서 피접촉면 측에 남는다. 파괴된 기재(2) 위에서 물을 뿌림으로써, 점착제층(3)을 빠르게 팽윤시킬 수 있다.
또,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억지로 점착제층(3)의 응집력을 약화시켜 두고, 박리할 때에 점착제층(3)을 파괴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즉, 피점착면(W)에 점착제층(3)의 일부가 남음으로써(풀 찌꺼기가 남음으로써), 남은 점착제에 직접 물을 뿜어 팽윤시켜서 제거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 다른 수단으로서는, 기재(2)를 연속 기포 발포시켜 두고, 물을 뿌림으로써, 그 연속 기포 내에 물을 축적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연속 발포의 방법으로서는, 마이크로 버블 등을 배합해 두고, 가열하거나 하여, 기재(2)를 발포시키거나 하면 된다. 또는, 기재(2)와 함께 점착제(3)도 연속 발포시켜도 된다.
더 바람직한 양태로서는, 기재(2) 자체에 물을 흡수함으로써 팽윤하는 소재가 사용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2) 자체에 수팽윤성을 구비하는 소재로서는, 예를 들면, 고흡수 수지를 사용한 연속 기포 발포체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이것은, 흡수에 의한 팽윤으로 시트 자체가 팽창하여, 피착면과의 접촉 면적을 감소하는 움직임이 생긴다.
이것에 의하면, 시트 자체가 수팽윤과 같은 기능을 가짐으로써, 점착제로의 물의 공급을 더 신속하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남은 물을 기재(2)에서 흡수함으로써, 피점착면에 물이 스며드는 것을 가능한 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점착테이프(1)는, 기재(2)의 편면에만 점착제층(3)이 형성된 편면 점착테이프이나, 본 발명의 점착테이프 구조는, 기재(2)의 양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된, 이른바 양면 점착테이프에 적용되어도 된다.
즉,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점착테이프(1a)는, 기재(2)의 일방의 면(도 6에서는 좌측면)에 형성된 제1 점착제층(3)과, 기재(2)의 타방의 면(도 6에서는 우측면)에 형성된 제2 점착제층(4)을 가지는 양면 점착식의 점착테이프다.
기재(2)는, 상기 서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중량 45g/㎡이고 두께 230㎛의 펄프제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물을 함유시킴으로써, 점착제층(3)에 물을 공급하여 신속하게 점착제층(3)에 포함되는 수팽윤성 점착제를 팽윤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 점착제층(3)은,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수팽윤성 점착제가 배합된 점착제를 사용하여, 이 점착제를 기재(2)의 일방의 면을 따라 중량 50g/㎡이고 두께 50㎛가 되도록 균일하게 도포되어 있다.
제2 점착제층(4)은, 통상의 점착테이프에 사용되는 점착제가 사용되고 있고, 이 예에서는 재박리 가능한 약점착 우레탄 점착제가 사용되고 있다. 제2 점착제층(4)은, 중량 50g/㎡이고 두께 50㎛가 되도록 기재(2)의 타방의 면을 따라 균일하게 도포되어 있다.
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재(2)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나,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수지 필름이어도 된다. 그 경우,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2)와, 제2 점착제층(4)에 각각 연통하는 투수 구멍(21)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타방의 제2 점착제층(4)은, 수팽윤성 점착제를 포함하지 않는 통상의 점착제가 사용되고 있으나, 제2 점착제(4)에도 수팽윤성 점착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면에 수팽윤성 점착제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기재(2)를 억지로 파괴시키면서 점착테이프(1a)를 분리한 후, 그 각각의 기재(2)에 물을 뿜음으로써, 제1 점착제층(3)과 제2 점착제층(4)에 물을 함유시켜서, 간단히 점착테이프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서는, 기재(2)가 두께 방향으로 분리되어 파괴되는 것에 대하여 예시하였는데, 실제로는 기재(2)는 두께 방향뿐만 아니라, 세로방향으로 찢어지거나, 파괴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어떤 위치에서 파괴가 진행하여도, 물을 신속하게 흡수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제2 실시형태의 양면 점착테이프(1a)에, 상기 서술한 도 3(a) 및 도 3(b)에 기재된 도수로(31)를 설치해도 되고, 이러한 양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 점착제층(3, 4)을 연속 발포시켜서 물을 함유시키기 쉽게 하여도 된다.
1, 1a : 점착테이프 2 : 기재
3 : 제1 점착제층 4 : 제2 점착제층

Claims (8)

  1. 시트 형상 기재의 일방의 면에 물을 함유하면 팽윤하여 점착력이 저하되는 수팽윤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이 형성된 점착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기재에는, 투수성을 구비하는 소재가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테이프.
  2. 시트 형상 기재의 일방의 면에 물을 함유하면 팽윤하여 점착력이 저하되는 수팽윤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이 형성된 점착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줄무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줄무늬 형상의 점착제층의 사이에 물을 유도하기 위한 도수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테이프.
  3. 시트 형상 기재의 일방의 면에 물을 함유하면 팽윤하여 점착력이 저하되는 수팽윤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이 형성된 점착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 및/또는 상기 기재에는, 투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테이프.
  4. 시트 형상 기재의 일방의 면에 물을 함유하면 팽윤하여 점착력이 저하되는 수팽윤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이 형성된 점착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연속 기포로 발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테이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자체가 물을 함유하면 팽윤하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점착테이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층간 파괴 강도가, 상기 점착제의 점착 강도보다 약화되어 있는 점착테이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타방의 면에도, 점착제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테이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타방의 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에도, 상기 수팽윤 점착제가 배합되어 있는 점착테이프.
KR1020117009302A 2008-10-22 2009-09-28 점착테이프 KR1016176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71539A JP5408956B2 (ja) 2008-10-22 2008-10-22 粘着テープ
JPJP-P-2008-271539 2008-10-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631A true KR20110083631A (ko) 2011-07-20
KR101617699B1 KR101617699B1 (ko) 2016-05-03

Family

ID=42119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9302A KR101617699B1 (ko) 2008-10-22 2009-09-28 점착테이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408956B2 (ko)
KR (1) KR101617699B1 (ko)
CN (1) CN102197104B (ko)
WO (1) WO20100470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27508B2 (ja) * 2016-01-08 2018-11-21 株式会社ニトムズ 壁紙用物品支持具および物品取付け用のアンカーシート
JP6986381B2 (ja) 2017-07-07 2021-12-22 株式会社ニトムズ 壁面取付物品セット
CN108913052A (zh) * 2018-07-05 2018-11-30 马可足 一种快速剥离型临时固定粘合片及其制备方法
CN112300718B (zh) * 2019-08-02 2022-10-28 德莎欧洲股份公司 胶带及其应用、和胶带粘接组件的处理方法
CN113755113A (zh) * 2021-09-15 2021-12-07 苏州德佑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重工胶带及其剥离方法
CN113755114A (zh) * 2021-09-15 2021-12-07 苏州德佑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重工胶带及其剥离方法
CN115513549B (zh) * 2022-09-15 2024-01-26 厦门海辰储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极极片的回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98274A (ja) * 1987-05-29 1988-12-06 株式会社日本触媒 水剥離性粘着ラベル及び粘着テ−プ
JPH07173445A (ja) * 1993-10-29 1995-07-11 Nitto Denko Corp 水膨潤性の感圧接着剤組成物
JP3745019B2 (ja) * 1995-04-26 2006-02-15 株式会社日本触媒 フィルムおよびその用途
WO2001075844A1 (fr) * 2000-04-04 2001-10-11 Kotobukiseihaninsatu Kabushikikaisha Etiquette
JP2002206078A (ja) * 2001-01-11 2002-07-26 Keiwa Inc 粘着シート
JP2008214594A (ja) * 2007-03-08 2008-09-18 Oji Paper Co Ltd 粘着シートおよび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47041A1 (ja) 2010-04-29
KR101617699B1 (ko) 2016-05-03
CN102197104B (zh) 2014-05-07
JP5408956B2 (ja) 2014-02-05
JP2010100688A (ja) 2010-05-06
CN102197104A (zh) 201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3631A (ko) 점착테이프
JP6104170B2 (ja) 粘着テープ及びマスカー
US6858285B1 (en) High bond strength, repositionable adherent sheet
KR101023190B1 (ko) 점착 씨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123595A (ko) 점착 시트
KR19990044152A (ko) 수활성형 중합체 및 접착성 이미지 전사 기술
US20100092730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2222170B1 (ko)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점착 테이프
JP2005200499A (ja) 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00080945A1 (en) Adhesive layer for a bubble-free adhesive bond
JP6935861B2 (ja) 貼着部材
JP4836568B2 (ja) 生分解性シート連結・固定用粘着テープ
TW201132731A (en) Film for protecting coating film
DE10060531A1 (de) Transferklebeband
JP2008024922A (ja) セパレータ付き片面粘着発泡体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317156A (ja) 両面テープ
CA2583954C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r sheet, and process for produc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r sheet
JP3142132U (ja) 片面粘着テープ巻物製品
JP2003147292A (ja) 両面粘着テープ
JP2009167368A (ja) 接着シート
JP2007151865A (ja) 粘着テープロール
JP2003025280A (ja) 粘着シートの切断加工方法
JP2004067875A (ja) 両面粘着テープおよび粘着テープ積層体
JP4885625B2 (ja) 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JP7377534B2 (ja) シーリング材の三面接着防止用粘着テ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