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3063A - 이동식 가설 방음벽 - Google Patents

이동식 가설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3063A
KR20110083063A KR1020100003077A KR20100003077A KR20110083063A KR 20110083063 A KR20110083063 A KR 20110083063A KR 1020100003077 A KR1020100003077 A KR 1020100003077A KR 20100003077 A KR20100003077 A KR 20100003077A KR 20110083063 A KR20110083063 A KR 20110083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coupled
main frame
jaw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5786B1 (ko
Inventor
오보환
임정빈
정진연
Original Assignee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주)대우건설
Priority to KR1020100003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786B1/ko
Publication of KR20110083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가설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직사각형태로 형성되고, 폭방향 상면 양측에 제 1힌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 1힌지턱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다단의 고정턱이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과; "디귿자" 형태로 형성되고, 양단 저면에 제 1힌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제 1힌지턱이 체결되어 절첩되며, 양단 배면에 제 2힌지턱이 형성되는 수직 프레임과;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저면에 상기 메인 프레임의 고정턱에 결합되도록 제 2힌지가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수직 프레임의 제 2힌지턱이 결합되도록 제 3힌지가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방에서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 샤프트와; 상기 수직 프레임에서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 샤프트;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 샤프트에 고정된 와이어와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샤프트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직 프레임에서 승하강되는 흡차음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분해 조립 및 절첩이 가능하여 이동이 용이하고, 작업장 바닥 경사면에 따라 틸팅이 가능하여 작업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작업이 가능할 수 있고, 또한 롤 블라인드 방식으로 흡차음판을 설치 및 해제하고, 작업 환경에 따라 흡차음판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여 흡차음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가설 방음벽{MOVABLE TEMPORARY SOUNDPROOFING WALLS}
본 발명은 이동식 가설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분해 조립 및 절첩이 가능하여 이동이 용이하고, 작업장 바닥 경사면에 따라 틸팅이 가능하며, 흡차음 성능을 가변시키도록 하는 이동식 가설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신, 개축 공사나 도로변 등의 각종 장소 및 건설현장에서는 공사시 사용되는 자재가 널려져있어 주위 환경의 미관을 해치고 공사로 인해 발생되는 먼지와 각종 기계음 등의 소음이 심하게 발생되는 것이며, 이러한 먼지와 소음은 공사 현장 주변에 위치한 주택이나 사무실, 학교 등의 심각한 환경 및 소음공해를 유발하게 되는 것이고, 먼지와 소음으로 인해 행인이나 건물의 입주자들에 건강을 해칠 뿐만 아니라 엄청난 스트레스를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사시 발생되는 주위 환경을 해치는 미관적인 부분과 먼지, 소음 등을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건설현장의 주변을 따라 담형태의 가설방음벽이 설치되는 것이고 이러한 방음벽체에는 대부분 흡음재가 장착되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담형태의 가설방음벽과는 별개로 지반 정지나 기초 공사를 수행하는 경우 브레이커, 항타기 등의 장비로 소음이 많이 발생되는 데, 이를 차단하기 위해 장비의 주변에 별도의 간이 가설방음벽을 설치한다.
이러한 간이 가설방음벽은 "디귿자"형태의 프레임에 금속 재질의 차음벽체를 부착한 형태를 이룬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간이 가설방음벽은 분해 조립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동을 위해서는 장비를 이용하여 이동해야만 하고, 중량이 많이 나가기 때문에 작업자가 정위치에 놓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음벽체가 부착되기 때문에 차음은 가능하나 흡음이 불가능하고, 차음벽체로 인해 브레이커, 항타기 등 장비의 소음이 반사가 되는 다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해 조립 및 절첩이 가능하여 이동이 용이하고, 작업장 바닥 경사면에 따라 틸팅이 가능하여 작업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식 가설 방음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롤 블라인드 방식으로 흡차음판을 설치 및 해제하고, 작업 환경에 따라 흡차음판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여 흡차음 효과를 극대화시키도록 하는 이동식 가설 방음벽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직사각형태로 형성되고, 폭방향 상면 양측에 제 1힌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 1힌지턱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다단의 고정턱이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과; "디귿자" 형태로 형성되고, 양단 저면에 제 1힌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제 1힌지턱이 체결되어 절첩되며, 양단 배면에 제 2힌지턱이 형성되는 수직 프레임과;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저면에 상기 메인 프레임의 고정턱에 결합되도록 제 2힌지가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수직 프레임의 제 2힌지턱이 결합되도록 제 3힌지가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방에서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 샤프트와; 상기 수직 프레임에서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 샤프트;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 샤프트에 고정된 와이어와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샤프트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직 프레임에서 승하강되는 흡차음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회전 샤프트가 결합되도록 전방 양단에 제 1체결턱이 형성되고, 상기 흡차음 부재가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턱의 후단 양단에 제 2체결턱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전후방 양단에 앵커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도록 앵커홀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수직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샤프트가 결합되도록 양단 하측 전면 및 배면인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제 3체결턱이 형성되고, 양단 내측면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제 4체결턱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수직 프레임은 인양 장비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면에 인양 고리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회전 샤프트는 작업자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져 상기 흡차음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회전 손잡이가 착탈되도록 일끝단에 제 1착탈홈이 형성되고, 중앙에 상기 와이어가 권선되는 제 1풀리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가이드 샤프트는 상기 수직 프레임의 제 3체결턱에 결합되는 제 1, 2가이드 샤프트와, 상기 제 4체턱에 결합되는 제 3가이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중앙에 각각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도록 제 2풀리가 구비되고, 각각의 양단에 상기 흡차음 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흡차음 부재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직사각형태로 이루어지는 차음막과; 흡음 재질로 직사각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차음막의 전면 또는 양측면에 부착되는 흡음막과; "디귿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차음막과 흡음막의 상단에 압입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가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제 2체결턱에 베어링에 의해 양단이 결합되고, 상기 흡음막이 부착된 상기 차음막이 감겨지는 흡차음 부재용 샤프트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 상기 흡차음 부재용 샤프트는 작업자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져 상기 흡차음 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일끝단에 제 2착탈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손잡이가 착탈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이동식 가설 방음벽에 따르면, 분해 조립 및 절첩이 가능하여 이동이 용이하고, 작업장 바닥 경사면에 따라 틸팅이 가능하여 작업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작업이 가능할 수 있고, 또한 롤 블라인드 방식으로 흡차음판을 설치 및 해제하고, 작업 환경에 따라 흡차음판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여 흡차음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가설 방음벽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가설 방음벽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가설 방음벽중 흡차음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가설 방음벽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가설 방음벽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가설 방음벽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가설 방음벽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가설 방음벽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가설 방음벽중 흡차음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가설 방음벽(100)은, 메인 프레임(110)과, 수직 프레임(120)과, 지지 프레임(130)과, 회전 샤프트(140)와, 가이드 샤프트(150)와, 흡차음 부재(160)로 이루어진다.
먼저, 메인 프레임(110)은 금속 재질로 직사각형태로 형성되고, 폭방향 상면 양측에 제 1힌지턱(111)이 형성되며, 제 1힌지턱(111)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다단의 고정턱(113)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고정턱(113)은 하기에서 설명할 수직 프레임의 경사도를 제어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또한, 메인 프레임(110)은 하기에서 설명할 회전 샤프트(140)가 결합되도록 전방 양단에 제 1체결턱(115)이 형성되고, 하기에서 설명할 흡차음 부재(160)가 결합되도록 고정턱(113)의 후단 양단에 제 2체결턱(117)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 메인 프레임(110)은 전후방 양단에 앵커(101)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도록 앵커홀(119)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수직 프레임(120)은 금속 재질로 "디귿자" 형태로 형성되고, 양단 저면에 제 1힌지(121)가 돌출 형성되어 메인 프레임(110)의 제 1힌지턱(111)이 체결되어 절첩되며, 양단 배면에 제 2힌지턱(123)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수직 프레임(120)은 하기에서 설명할 가이드 샤프트(150)가 결합되도록 양단 하측 전면 및 배면인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제 3체결턱(125)이 형성되고, 양단 내측면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제 4체결턱(127)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한, 수직 프레임(120)은 인양 장비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면에 인양 고리(129)가 구비된다.
또한, 지지 프레임(130)은 금속 재질로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저면에 메인 프레임(110)의 고정턱(113)에 결합되도록 제 2힌지(131)가 형성되고, 상면에 수직 프레임(120)의 제 2힌지턱(123)이 결합되도록 제 3힌지(133)가 형성된다.
또, 회전 샤프트(14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양단에 베어링(103)이 고정되고, 메인 프레임(110)의 제 1체결턱(115)에 양단의 베어링(103)이 결합 고정된다. 여기에서, 회전 샤프트(140)는 작업자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져 흡차음 부재(160)를 이동시키도록 회전 손잡이(105)가 착탈되도록 일끝단에 제 1착탈홈(141)이 형성되고, 중앙에 와이어(107)가 권선되는 제 1풀리(143)가 형성된다.
한편, 가이드 샤프트(150)는 수직 프레임(120)의 제 3체결턱(125)에 결합되는 제 1, 2가이드 샤프트(150a, 150b)와, 수직 프레임(120)의 제 4체결턱(127)에 결합되는 제 3가이드 플레이트(150c)로 이루어지되, 각각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양단에 각각 베어링(103)이 고정되고, 중앙에 각각 와이어(107)를 안내하도록 제 2풀리(151)가 구비되고, 양단에 흡차음 부재(160)를 가이드하도록 가이드 롤러(153)가 구비된다.
그리고, 흡차음 부재(160)는 메인 프레임(110)의 제 2체결턱(117)에 결합되고, 끝단에 와이어(107)가 연결되고, 와이어(107)가 가이드 샤프트(150)를 통해 안내되어 회전 샤프트(140)의 회전에 따라 수직 프레임(120)에서 승하강된다. 여기에서, 흡차음 부재(160)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직사각형태로 이루어지는 차음막(161)과, 흡음 재질로 직사각형태로 이루어져 차음막(161)의 전면 또는 양측면에 부착되는 흡음막(163)과, "디귿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차음막(161)과 흡음막(163)의 상단에 압입 고정되고, 와이어(107)가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165)과,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양단에 베어링(103)이 고정되고, 메인 프레임(110)의 제 2체결턱(117)에 양단이 결합되어 흡음막(163)이 부착된 차음막(161)이 감겨지는 흡차음 부재용 샤프트(167)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흡차음 부재용 샤프트(167)는 작업자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져 흡차음 부재(16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일끝단에 제 2착탈홈(165a)이 형성되고, 회전 손잡이(105)가 착탈된다. 여기에서 또한, 흡차음 부재(160)는 작업 환경 및 흡차음 조건에 따라 차음막(161)만 형성할 수 있고, 차음막(161)과 흡음막(163)을 순차적으로 다층으로 적층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가설 방음벽의 조립 과정 및 설치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가설 방음벽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가설 방음벽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먼저, 메인 프레임(110)의 제 1힌지턱(111)에 수직 프레임(120)의 제 1힌지(121)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지지 프레임(130)의 제 2힌지(131)를 메인 프레임(110)의 고정턱(113)에 결합시키고, 제 3힌지(133)를 수직 프레임(120)의 제 2힌지턱(123)이 결합시켜 수직 프레임(120)을 수직으로 유지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 샤프트(140)를 메인 프레임(110)의 제 1체결턱(115)에 결합시키고, 가이드 샤프트(150)의 제 1, 2가이드 샤프트(150a, 150b)를 수직 프레임(120)의 제 3체결턱(125)에 결합시키고, 제 3가이드 플레이트(150c)를 수직 프레임(120)의 제 4체결턱(127)에 결합시킨다.
그런 다음, 지지 프레임(130)의 제 2힌지(131)의 연결을 메인 프레임(110)의 고정턱(113)과 분리시켜 수직 프레임(120)을 절첩시킨 상태로 고정시킨다. 이때, 별도의 와이어나 로프 등을 이용하여 메인 프레임(110)과 수직 프레임(120)을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되면, 해당 현장으로 운반한 후 다시 지지 프레임(130)의 제 2힌지(131)를 메인 프레임(110)의 고정턱(113)에 연결시켜 수직 프레임(120)을 수직으로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인양 고리(129)에 인양 장비를 연결하여 설치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설치 위치의 지반 경사도에 따라 지지 프레임(130)의 제 2힌지(131)를 메인 프레임(110)의 고정턱(113)에 연결시켜 수직 프레임(120)의 경사도를 조절한 후, 메인 프레임(110)의 앵커홀(119)에 앵커(101)를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메인 프레임(110)의 고정이 완료되면, 작업 환경 및 흡차음 조건에 따라 해당 조건의 흡차음 성능에 맞는 흡차음 부재(160)를 선택한 후 흡차음 부재용 샤프트(167)를 메인 프레임(110)의 제 2체결턱(117)에 양단이 결합시킨 후 와이어(107)를 연결시킨다. 이때, 와이어(107)는 일끝단이 회전 샤프트(140)의 제 1풀리(143)에 권취되어 있는 상태이고, 와이어(107)를 인출하여 제 2가이드 샤프트(150b)의 제 2풀리(151)를 통해 상단에 위치한 제 3가이드 샤프트(150c)의 제 2풀리(151)를 거쳐 제 1가이드 샤프트(150a)의 제 2풀리(151)에 의해 안내된다.
그런 다음, 와이어(107)의 타끝단이 흡차음 부재(160)의 상부 프레임(165)의 중앙에 연결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흡차음 부재(160)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회전 샤프트(140)의 제 1착탈홈(141)에 회전 손잡이(105)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와이어(107)가 권취되고, 이로 인해 와이어(107)와 연결된 흡차음 부재(160)의 상부 프레임(165)이 전방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차음막(161)과 흡음막(163)도 동일하게 이동되고, 결국 제 1가이드 샤프트(150a)와 제 3가이드 샤프트(150c) 및 제 2가이드 샤프트(150b)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수직 프레임(120)을 덮개되어 발생되는 소음을 흡차음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가설 방음벽(100)은 브레이커, 항타기 등 장비의 전면에서 세 개가 한 조를 이루어 "디귿자"형태로 배치된다.
또한, 차음막(161)과 흡음막(163)을 수직 프레임(120)의 일면에 배치하거나 양면에 모두 배치하여 흡차음 성능을 가변시킬 수도 있는 데, 차음막(161)과 흡음막(163)을 수직 프레임(120)의 일면에 배치하는 경우 회전 샤프트(140)에 레치와 같은 잠금장치(미도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0 : 메인 프레임 120 : 수직 프레임
130 : 지지 프레임 140 : 회전 샤프트
150 : 가이드 샤프트 160 : 흡차음 부재

Claims (9)

  1. 직사각형태로 형성되고, 폭방향 상면 양측에 제 1힌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 1힌지턱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다단의 고정턱이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과;
    "디귿자" 형태로 형성되고, 양단 저면에 제 1힌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제 1힌지턱이 체결되어 절첩되며, 양단 배면에 제 2힌지턱이 형성되는 수직 프레임과;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저면에 상기 메인 프레임의 고정턱에 결합되도록 제 2힌지가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수직 프레임의 제 2힌지턱이 결합되도록 제 3힌지가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방에서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 샤프트와;
    상기 수직 프레임에서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 샤프트;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 샤프트에 고정된 와이어와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샤프트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직 프레임에서 승하강되는 흡차음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가설 방음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회전 샤프트가 결합되도록 전방 양단에 제 1체결턱이 형성되고, 상기 흡차음 부재가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턱의 후단 양단에 제 2체결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가설 방음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전후방 양단에 앵커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도록 앵커홀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가설 방음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샤프트가 결합되도록 양단 하측 전면 및 배면인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제 3체결턱이 형성되고, 양단 내측면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제 4체결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가설 방음벽.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은,
    인양 장비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면에 인양 고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가설 방음벽.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샤프트는,
    작업자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져 상기 흡차음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회전 손잡이가 착탈되도록 일끝단에 제 1착탈홈이 형성되고, 중앙에 상기 와이어가 권선되는 제 1풀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가설 방음벽.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샤프트는,
    상기 수직 프레임의 제 3체결턱에 결합되는 제 1, 2가이드 샤프트와, 상기 제 4체턱에 결합되는 제 3가이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중앙에 각각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도록 제 2풀리가 구비되고, 각각의 양단에 상기 흡차음 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가설 방음벽.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차음 부재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직사각형태로 이루어지는 차음막과;
    흡음 재질로 직사각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차음막의 전면 또는 양측면에 부착되는 흡음막과;
    "디귿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차음막과 흡음막의 상단에 압입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가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제 2체결턱에 베어링에 의해 양단이 결합되고, 상기 흡음막이 부착된 상기 차음막이 감겨지는 흡차음 부재용 샤프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가설 방음벽.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차음 부재용 샤프트는,
    작업자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져 상기 흡차음 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일끝단에 제 2착탈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손잡이가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가설 방음벽.
KR1020100003077A 2010-01-13 2010-01-13 이동식 가설 방음벽 KR101165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077A KR101165786B1 (ko) 2010-01-13 2010-01-13 이동식 가설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077A KR101165786B1 (ko) 2010-01-13 2010-01-13 이동식 가설 방음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063A true KR20110083063A (ko) 2011-07-20
KR101165786B1 KR101165786B1 (ko) 2012-07-16

Family

ID=44920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077A KR101165786B1 (ko) 2010-01-13 2010-01-13 이동식 가설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57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2457U (ko) * 2012-10-19 2014-04-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설비용 개폐형 방음벽 구조물
KR101401800B1 (ko) * 2012-08-16 2014-05-29 이진구 건설현장용 조립식 이동방음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800B1 (ko) * 2012-08-16 2014-05-29 이진구 건설현장용 조립식 이동방음벽
KR20140002457U (ko) * 2012-10-19 2014-04-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설비용 개폐형 방음벽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5786B1 (ko) 2012-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4363B1 (ko) 확장이 가능한 이동식 경비초소
KR101165786B1 (ko) 이동식 가설 방음벽
CA2497203C (en) Ceiling mounted lift
KR100723342B1 (ko) 공동주택용 확장용 창문틀 구조
JP5140535B2 (ja) 建具
KR101199990B1 (ko) 무동력 변각장치를 구비한 천정 음향반사판
JP2008196144A (ja) 住宅
JP4190452B2 (ja) 可搬式作業台の手摺
KR101700871B1 (ko) 피난기구 지붕 크레인 장치
KR101169025B1 (ko) 탈부착형 흡음 패널
JP5150836B2 (ja) 建物の屋外用給電設備
JP2010229782A (ja) 防音壁装置
JP2010242457A (ja) ベランダの手摺り装置
KR101903085B1 (ko) 이동식 방음 장치
JP6853694B2 (ja) 間口照明移動装置及び間口調整装置
JP4044858B2 (ja) 免震建物
KR101239842B1 (ko) 가설방음벽용 연결장치
KR102371967B1 (ko) 견고함과 시공성이 개선된 이동식 주택 시공 시스템
KR101397752B1 (ko) 공간 확장형 컨테이너
KR101187184B1 (ko) 프론트로딩 타입 투명 방음벽 장치
JP2024057200A (ja) 撓み抑制構造
JP2022039927A (ja) 建築用シャッター装置におけるシャッターカーテンの補強装置
JP6257233B2 (ja) 防水板装置
KR20230149449A (ko) 위치 조정이 자유로운 바튼 승강 구동장치
KR100993619B1 (ko) 공동구 환기구의 커버 삼각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