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085B1 - 이동식 방음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방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085B1
KR101903085B1 KR1020170019807A KR20170019807A KR101903085B1 KR 101903085 B1 KR101903085 B1 KR 101903085B1 KR 1020170019807 A KR1020170019807 A KR 1020170019807A KR 20170019807 A KR20170019807 A KR 20170019807A KR 101903085 B1 KR101903085 B1 KR 101903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curtain
post
soundproof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3548A (ko
Inventor
박노준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주)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주)
Priority to KR1020170019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085B1/ko
Publication of KR20180093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F16B2001/003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3Use of a magnetic materi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18Panels, e.g. active sound-absorption panels or noise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이동식 방음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방음 장치는 기둥 형상으로 제공되고, 바닥면 상에 지지되어 직립되며, 이동식으로 마련되는 제1 기둥부; 기둥 형상으로 제공되고, 바닥면 상에 지지되어 직립되며, 이동식으로 마련되는 제2 기둥부; 제1 기둥부의 상단과 제2 기둥부의 상단을 경유하여 제1 기둥부와 제2 기둥부 간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단부에 형성된 삽입공에 와이어가 삽입되어 제1 기둥부와 제2 기둥부의 사이에 설치되고, 소음 차단용 소재를 포함하는 방음 커튼; 및 제2 기둥부에 형성되고,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식 방음 장치{MOVABLE SOUND INSUL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이동식 방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과 설치가 용이한 이동식 방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양 플랜트의 경우, 원유나 가스 등의 시추를 위해 다양한 장비가 설치된다.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작업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해양 플랜트에 엄격한 소음 기준이 적용되고 있으나, 일부 장비들의 경우 불가피하게 큰 소음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큰 소음이 발생하는 장비의 경우, 정상적인 동작시 혹은 장비의 유지/보수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장비 주변에 철제 격벽을 만들어 분리시키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음책이지만, 해양 플랜트의 공간이나 하중 등의 여러 제약으로 인해, 모든 소음원에 대하여 격벽으로 분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작업자가 특정 장비의 유지/보수시 주변의 다른 장비들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장비 사이에 방음벽을 세워야 하나, 여러 장비들이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경우 방음벽을 설치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소음이 많이 발생하는 장비들 사이에 방음 커튼을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데크 천정부에 방음 커튼의 설치를 위한 프레임, 레일 등의 구조물을 추가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방음 커튼의 설치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손쉽게 이동시켜 설치할 수 있는 이동식 방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음원의 위치나 크기에 따라 방음 커튼의 폭과 높이를 조절하여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이동식 방음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식 방음 장치는 기둥 형상으로 제공되고, 바닥면 상에 지지되어 직립되며, 이동식으로 마련되는 제1 기둥부; 기둥 형상으로 제공되고, 바닥면 상에 지지되어 직립되며, 이동식으로 마련되는 제2 기둥부; 상기 제1 기둥부의 상단과 상기 제2 기둥부의 상단을 경유하여 상기 제1 기둥부와 상기 제2 기둥부 간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단부에 형성된 삽입공에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어 상기 제1 기둥부와 상기 제2 기둥부의 사이에 설치되고, 소음 차단용 소재를 포함하는 방음 커튼; 및 상기 제2 기둥부에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기둥부 및 상기 제2 기둥부는, 각각의 저부에 상기 제1 기둥부 및 상기 제2 기둥부의 이동을 위한 이동휠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이동식 방음 장치는 상기 제1 기둥부 및 상기 제2 기둥부의 하단부의 둘레를 따라 접이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1 기둥부 및 상기 제2 기둥부로부터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 기둥부 및 상기 제2 기둥부를 바닥면 상에 지지하는 서포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식 방음 장치는 상기 서포트부가 상기 제1 기둥부 및 상기 제2 기둥부에 접히면, 상기 이동휠이 상기 바닥면에 접촉되고, 상기 서포트부가 상기 제1 기둥부 및 상기 제2 기둥부에서 펼쳐지면, 상기 이동휠이 상기 바닥면에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부는 상기 제1 기둥부 및 상기 제2 기둥부에서 펼쳐진 상태에서 바닥면에 접촉되는 부분에 전자석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둥부 및 상기 제2 기둥부는, 각각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둥부 및 상기 제2 기둥부는, 제1 기둥; 상기 제1 기둥의 상부 측에 결합되는 제2 기둥; 및 상기 제2 기둥을 상기 제1 기둥에 대해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식 방음 장치는 상기 제1 기둥부 및 상기 제2 기둥부의 상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를 상기 제1 기둥부 및 상기 제2 기둥부의 측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풀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음 커튼은,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의 고정부가 형성되는 제1 방음 커튼; 및 상기 다수의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방음 커튼과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는 제2 방음 커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작업자가 손쉽게 이동시켜 설치할 수 있는 이동식 방음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소음원의 위치나 크기에 따라 방음 커튼의 폭과 높이를 조절하여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방음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B'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C'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D'부 확대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방음 장치가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방음 장치를 구성하는 방음 커튼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공지된 구성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서 일부 구성은 다소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방음 장치는 이동식으로 마련되는 한 쌍의 기둥부와, 한 쌍의 기둥부 사이에 연결되는 와이어; 와이어에 의해 한 쌍의 기둥부 사이에 배치되는 방음 커튼; 한 쌍의 기둥부 간의 거리에 따라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한 쌍의 기둥부를 소음원 주변으로 이동시킨 후, 소음원의 폭에 따라 한 쌍의 기둥부를 배치시킨 다음,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여 방음 커튼을 수평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소음원의 폭과 높이에 따라 한 쌍의 기둥부 간의 거리나 기둥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소음 차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방음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의 'B'부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방음 장치(100)는 제1 기둥부(110), 제2 기둥부(120), 와이어(130), 풀리(132), 방음 커튼(140), 장력 조절부(150), 승강부(160), 및 서포트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기둥부(110)와 제2 기둥부(120)는 각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좁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며, 장비들(소음원)이 인접하여 배치된 영역에서도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다.
제1 기둥부(110)와 제2 기둥부(120)는 이동식으로 마련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기둥부(110)와 제2 기둥부(120)는 각각 저부에 이동휠(112a, 122a)이 장착된다.
이동휠(112a, 122a)은 제1 기둥부(110)와 제2 기둥부(120)의 저면에 수평 방향으로 360°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동휠(112a, 122a)은 아이들휠로 구성되거나, 혹은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여 제1 기둥부(110)와 제2 기둥부(12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기둥부(110)와 제2 기둥부(120)는 각각 서포트부(170)에 의해 바닥면 상에 직립 상태(수직)로 지지될 수 있다. 제1 기둥부(110)와 제2 기둥부(120)는 각각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기둥부(110)와 제2 기둥부(120)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1 기둥(112, 122)과 제2 기둥(114, 124) 및 승강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기둥(112, 122)은 원통 형상으로 제공되며,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홈에 제2 기둥(114, 124)이 삽입될 수 있다. 제2 기둥(114, 124)은 제1 기둥(112, 122)의 상부 측에 결합되며, 제1 기둥(112, 122)에 삽입되어 제1 기둥(112, 122)에 대해 승강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C'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기둥(114)은 외면에 랙기어(114a)가 형성될 수 있다. 승강부(160)는 제2 기둥(114)의 랙기어(114a)에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162)와, 피니언 기어(162)를 제1 기둥(112)에 고정시키는 고정대(164)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가 제1 기둥(112)의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손잡이의 회전축과 결합된 피니언 기어(162)가 회전하여, 손잡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2 기둥(114)이 승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소음원의 높이에 따라 제1 기둥부(110)와 제2 기둥부(120)의 상단 높이를 조절하여, 소음 차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기둥부(110)와 제2 기둥부(120)에 각각 승강부(160)가 형성되어 있어, 각 기둥부(110, 120)의 높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승강부(160)를 이용해 두 기둥부(110, 120)의 상단 높이를 일치시킴으로써 바닥면이 평탄하지 않은 경우에도 방음 커튼(140)을 수평으로 설치할 수 있다.
풀리(132)는 제1 기둥부(110) 및 제2 기둥부(120)의 제2 기둥(114, 124) 상단에 각각 설치되며, 와이어(130)의 방향을 제1 기둥부(110) 및 제2 기둥부(120)의 측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전환한다.
와이어(130)는 풀리(132)에 의해 제1 기둥부(110)의 상단과 제2 기둥부(120)의 상단을 경유하여 제1 기둥부(110)와 제2 기둥부(120) 간에 연결되어, 방음 커튼(140)을 지지한다.
와이어(130)의 일단은 제1 기둥부(110)의 제1 기둥(112)에 고정된 와이어 고정부(134)에 고정된다. 와이어(130)의 타단은 제2 기둥부(120)의 제1 기둥(122)에 형성된 장력 조절부(150)에 결합된다.
방음 커튼(140)은 상단부에 와이어(130)가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공(142)이 형성된다. 방음 커튼(140)은 삽입공(142)에 와이어(130)가 삽입되어 제1 기둥부(110)와 제2 기둥부(120)의 사이에 설치된다. 방음 커튼(140)은 소음 차단용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력 조절부(150)는 제2 기둥부(120)의 제1 기둥(122)에 형성되며, 와이어(130)를 감거나 풀어 와이어(130)의 장력을 조절한다. 일 실시예에서, 장력 조절부(150)는 래칫(ratchet)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소음원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제1 기둥부(110)와 제2 기둥부(120)를 각각 배치시킨 후, 장력 조절부(150)에 의해 와이어(130)와 이에 의해 지지되는 방음 커튼(140)이 수평으로 펼쳐지도록 와이어(130)를 팽팽하게 감아, 차음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래칫을 이용하면, 래칫의 회전손잡이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와이어를 감을 수 있으며, 와이어가 풀리는 것을 레버에 의하여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래칫의 레버를 해제시킨 상태에서 회전손잡이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와이어를 풀 수 있다.
서포트부(170)는 제1 기둥부(110)와 제2 기둥부(120) 각각의 제1 기둥(112, 122)의 하단부 둘레를 따라 접이식으로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서포트부(170)는 제1 기둥(112, 122)의 둘레를 따라 힌지 결합되는 지지대(172)와, 지지대(172)의 말단부에 결합되는 전자석 부재(174)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부(170)는 제1 기둥부(110)와 제2 기둥부(120)에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서포트부(170)는 제1 기둥부(110)와 제2 기둥부(120)로부터 펼쳐진 상태에서 제1 기둥부(110)와 제2 기둥부(120)를 바닥면 상에 지지한다.
도 5는 도 1의 'D'부 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석 부재(174)는 바닥면에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되며, 바닥면과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제1 기둥부(110)와 제2 기둥부(120)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전자석 부재(174)는 지지대(172)의 말단부에 형성된 힌지(174a)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자석 부재(174)에는 온/오프(On/Off)를 위하여 작동버튼(174b)이 마련될 수 있다.
선박이나 해양플랜트는 선체가 철제로 되어 있어, 전자석 부재(174)를 작동시켜 철제 바닥면에 제1 기둥부(110)와 제2 기둥부(120)를 자력에 의해 부착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서포트부(170)가 제1 기둥부(110)와 제2 기둥부(120)에 접히면, 이동휠(112a, 122a)이 바닥면에 접촉되고, 서포트부(170)가 제1 기둥부(110)와 제2 기둥부(120)에서 펼쳐지면, 이동휠(112a, 122a)이 바닥면에서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식 방음 장치를 소음원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서포트부(170)를 제1 기둥부(110)와 제2 기둥부(120)에 접은 상태에서, 이동휠(112a, 122a)을 이용하여 제1 기둥부(110)와 제2 기둥부(12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기둥부(110)와 제2 기둥부(120)가 이동되면, 서포트부(170)를 제1 기둥부(110)와 제2 기둥부(120)에서 펼친 후, 전자석 부재(174)를 작동시켜, 제1 기둥부(110)와 제2 기둥부(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방음 장치의 설치 방법 및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방음 장치가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서, 도면부호 10은 소음이 발생하는 장비(제1 장비)이고, 도면부호 20은 유지/보수해야하는 장비(제2 장비)이다.
작업자가 제2 장비(20)를 유지/보수하는 동안, 제1 장비(10)에서 발생하는 소음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제1 장비(10)와 제2 장비(20) 사이에 이동식 방음 장치(10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작업자가 이동휠(112a, 122a)을 이용하여, 소음원인 제1 장비(10)의 주변으로 이동식 방음 장치(100)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식 방음 장치(100)가 이동되면, 서포트부(170)를 펼친 후 전자석 부재(174)를 작동시켜 제1 기둥부(110)와 제2 기둥부(120)를 바닥면 상에 수직으로 견고히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와이어(130)를 방음 커튼(140)의 삽입공(142)에 삽입시킨 후 풀리(132)에 감아 제1 기둥부(110)의 와이어 고정부(134)에 고정시키고, 장력 조절부(150)에 의해 와이어(130)가 팽팽해질 때까지 감아, 방음 커튼(140)을 쳐짐 없이 제1 기둥부(110)와 제2 기둥부(120) 사이에 배치시키고, 도 7의 도시와 같이, 소음원에 따라 제1 기둥부와 제2 기둥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방음 커튼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후, 작업자는 이동식 방음 장치(100)에 의해 제1 장비(10)로부터 소음을 차단한 상태로 제2 장비(20)를 유지/보수할 수 있다. 제2 장비(20)의 유지/보수가 완료되면, 와이어(130)를 와이어 고정부(134)에서 분리시키고, 전자석 부재(174)를 오프시킨 후, 서포트부(170)를 접어, 이동휠(112a, 122a)에 의해 다음 유지/보수 위치나 이동식 방음 장치(100)의 보관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방음 장치는 장비의 유지 보수 작업시 작업자 보호를 위한 소음 기준을 만족하도록 방음 커튼을 필요시에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평상시에는 사용 편의와 공간 사용 극대화를 위하여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방음 장치를 구성하는 방음 커튼의 정면도이다. 도 8 및 도 9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의 실시예는 방음 커튼(140)이 제1 방음 커튼(144)과 제2 방음 커튼(146)으로 이루어지고, 제1 방음 커튼(144)과 제2 방음 커튼(146)에 다수의 고정부(144a, 146a)가 형성된 점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제1 방음 커튼(144)과 제2 방음 커튼(146)은 상하 방향으로 소음 차단의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마련된다. 고정부(144a, 146a)는 제1 방음 커튼(144)과 제2 방음 커튼(146)에 상하(높이) 방향 및 좌우(수평) 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제2 방음 커튼(146)은 제1 방음 커튼(144)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부(144a)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제1 방음 커튼(144)과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막아 제1 방음 커튼(144)의 하부로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부(144a, 146a)는 결합단추나, 지퍼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1 방음 커튼(144)에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 고정부(144a) 중 제2 방음 커튼(146)이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방음 커튼(140)의 상하 폭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 방음 커튼(146)의 고정부(146a)에 다른 방음 커튼을 추가로 달아 3단 이상의 방음 커튼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가능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문언적 기재 그 자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는 기술적 가치가 균등한 범주의 발명에 대하여까지 미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제1 장비 20: 제2 장비
100: 이동식 방음 장치 110: 제1 기둥부
112a, 122a: 이동휠 112, 122: 제1 기둥
114, 124: 제2 기둥 120: 제2 기둥부
130: 와이어 132: 풀리
140: 방음 커튼 142: 삽입공
144: 제1 방음 커튼 144a, 146a: 고정부
146: 제2 방음 커튼 150: 장력 조절부
160: 승강부 162: 피니언 기어
170: 서포트부 172: 지지대
174: 전자석 부재

Claims (9)

  1. 선체가 철제로 이루어지는 선박 또는 해양플랜트에서 소음을 차단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이동식 방음 장치에 있어서,
    기둥 형상으로 제공되고, 바닥면 상에 지지되어 직립되며, 저부에 제1 이동휠이 장착되어 이동식으로 마련되는 제1 기둥부;
    기둥 형상으로 제공되고, 바닥면 상에 지지되어 직립되며, 저부에 제2 이동휠이 장착되어 이동식으로 마련되는 제2 기둥부;
    상기 제1 기둥부의 상단과 상기 제2 기둥부의 상단을 경유하여 상기 제1 기둥부와 상기 제2 기둥부 간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단부에 형성된 삽입공에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어 상기 제1 기둥부와 상기 제2 기둥부의 사이에 설치되고, 소음 차단용 소재를 포함하는 방음 커튼;
    상기 제2 기둥부에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 및
    상기 제1 기둥부 및 상기 제2 기둥부의 하단부의 둘레를 따라 접이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1 기둥부 및 상기 제2 기둥부로부터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 기둥부 및 상기 제2 기둥부를 바닥면 상에 지지하는 서포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부가 상기 제1 기둥부 및 상기 제2 기둥부에 접히면 상기 제1 이동휠 및 상기 제2 이동휠이 상기 바닥면에 접촉되고,
    상기 서포트부가 상기 제1 기둥부 및 상기 제2 기둥부에서 펼쳐지면 상기 제1 이동휠 및 상기 제2 이동휠이 상기 바닥면에서 이격되고,
    상기 서포트부는 상기 제1 기둥부 및 상기 제2 기둥부에서 펼쳐진 상태에서 바닥면에 접촉되는 부분에 작동버튼에 의해 작동되는 전자석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방음 커튼은 상하 방향으로 겹쳐지게 결합되는 제1 방음 커튼과, 제2 방음 커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음 커튼은 상기 제2 방음 커튼과 결합을 위한 다수의 고정부가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방음 커튼은 상기 다수의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방음 커튼과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고,
    상기 다수의 고정부 중 상기 제2 방음 커튼이 결합되는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방음 커튼의 상하 폭의 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방음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둥부 및 상기 제2 기둥부는, 각각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제공되는 이동식 방음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둥부 및 상기 제2 기둥부는,
    제1 기둥;
    상기 제1 기둥의 상부 측에 결합되는 제2 기둥; 및
    상기 제2 기둥을 상기 제1 기둥에 대해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방음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둥부 및 상기 제2 기둥부의 상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를 상기 제1 기둥부 및 상기 제2 기둥부의 측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풀리;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방음 장치.
  9. 삭제
KR1020170019807A 2017-02-14 2017-02-14 이동식 방음 장치 KR101903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807A KR101903085B1 (ko) 2017-02-14 2017-02-14 이동식 방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807A KR101903085B1 (ko) 2017-02-14 2017-02-14 이동식 방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548A KR20180093548A (ko) 2018-08-22
KR101903085B1 true KR101903085B1 (ko) 2018-10-02

Family

ID=63452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807A KR101903085B1 (ko) 2017-02-14 2017-02-14 이동식 방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0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1486B1 (ko) * 2021-11-23 2023-12-07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자재 인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재 인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4946A (ja) * 2006-04-14 2007-11-01 Kajima Corp 移動式防音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4946A (ja) * 2006-04-14 2007-11-01 Kajima Corp 移動式防音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548A (ko) 2018-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600B1 (ko) 멀티비전 스탠드 설치장치
KR101903085B1 (ko) 이동식 방음 장치
US20180029854A1 (en) Lift assembly with load cells
KR101825615B1 (ko) 레그 작업용 플랫폼
JP4040993B2 (ja) 開閉装置構造
JP2013083128A (ja) 昇降式足場装置
KR102217840B1 (ko) 건축용 서포트 파이프의 홀 가공장치
KR200429777Y1 (ko) 승강식 무대장치의 케이블 지지구조
JP2010229782A (ja) 防音壁装置
KR101752828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전기케이블 트레이 고정대
US20190135602A1 (en) Remote-controlled shingle installation jack
KR20090060550A (ko) 크레인의 고소작업용 호이스트장치
KR101503428B1 (ko) 가동형 그물망 휀스
JP2009201289A (ja) ケーブルの揚重装置及び揚重方法
KR102026912B1 (ko) 수직구 방음 장치 및 시공 방법
KR102056629B1 (ko) 창호/방충방진망 설치용 이동식 작업 장치
CN110203756B (zh) 一种可移动的电缆敷设装置
KR101822833B1 (ko) 가림장치
JP2010180557A (ja) 昇塔防止装置
JP5799546B2 (ja) エレベーター及びその設置方法並びに昇降機の設置方法
KR101165786B1 (ko) 이동식 가설 방음벽
JP2017101424A (ja) パネルゲートの転倒防止治具
JP2009018901A (ja) 引掛かり防止装置
JP2020105881A (ja) アンカーボルト支持装置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CN111780267B (zh) 一种空调可拆卸安装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