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0550A - 크레인의 고소작업용 호이스트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의 고소작업용 호이스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0550A
KR20090060550A KR1020070127417A KR20070127417A KR20090060550A KR 20090060550 A KR20090060550 A KR 20090060550A KR 1020070127417 A KR1020070127417 A KR 1020070127417A KR 20070127417 A KR20070127417 A KR 20070127417A KR 20090060550 A KR20090060550 A KR 20090060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work
crane
operating arm
hois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7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9431B1 (ko
Inventor
손창근
Original Assignee
손창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창근 filed Critical 손창근
Priority to KR1020070127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431B1/ko
Publication of KR20090060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0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68Jibs foldable or otherwise adjustable in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의 고소작업용 호이스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크레인의 붐대에 마련된 고소작업용 작업대에서 중량물, 작업물, 작업도구 등(이하 '작업물'이라 함)을 인양할 수 있는 호이스트를 설치하여 고소에서도 보다 용이하고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크레인의 고소작업용 작업대(3)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3)의 일측부에 직립하는 기둥(10)과, 회동축(15)과; 상기 회동축(15)의 상단에 횡설되고 인양로프(42)를 안내하는 안내롤러(36)가 구비된 작동아암(30)과; 상기 작동아암(30)에 장착하여 인양로프(42)를 인양하는 윈치(40)와; 상기 작동아암(30)을 수평으로 작동하기 위한 회전수단과; 상기 작동아암(30)을 상/하로 기울일 수 있는 경사조절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크레인, 작업대, 기둥, 작동아암, 윈치, 인양로프.

Description

크레인의 고소작업용 호이스트장치{APPARATUS OF HOIST CRANE}
본 발명은 크레인의 고소작업용 호이스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크레인의 붐대에 마련된 고소작업용 작업대에서 중량물, 작업물, 작업도구 등(이하 '작업물'이라 함)을 인양할 수 있는 호이스트를 설치하여 고소에서도 보다 용이하고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크레인의 고소작업용 호이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고소작업용 크레인은 붐대의 종단에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작업용 바스켓이 구비되고, 상기 붐대를 펼쳐서 고소의 장소로 이동 고정 후, 바스켓에 탑승한 작업자로 하여금 시설물을 설치, 보수, 점검하는 등의 고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인해, 종래에는 크레인의 바스켓에 탑승한 작업자는 작업을 수행중에 작업을 위한 작업물 등을 고소의 작업장소로 올리기 위해서는 로프를 아래로 내려 묶은 후, 인력으로 들어올리는 불편함이 있었고, 또는 다소 무거운 중량물일 경우, 부득이하게 붐대를 지상으로 내린 다음, 바스켓에 작업물을 올린 후 다시 고소의 작업장소로 올려야 하는 불편함은 물론 작업시간을 지연하는 작업성의 현저한 저하와, 장비의 불필요한 작동으로 인한 노후화 및 연료비의 증가로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바스켓에 탑승한 작업자 외에 지상에서 작업물을 준비하거나 조달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자가 필요로 하여 인력의 낭비와 인건비가 가중되는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작업물을 올리는 과정에서 로프의 매듭이 풀려 작업물이 추락하거나 작업물이 흔들리면서 주변의 구조물과 충돌하여 파손되는 단점과, 추락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가중되며,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크레인의 고소작업용 호이스트장치는, 크레인의 고소작업용 작업대(3)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3)의 일측부에 직립하는 기둥(10)과, 회동축(15)과; 상기 회동축(15)의 상단에 횡설되고 인양로프(42)를 안내하는 안내롤러(36)가 구비된 작동아암(30)과; 상기 작동아암(30)에 장착하여 인양로프(42)를 인양하는 윈치(40)와; 상기 작동아암(30)을 수평으로 작동하기 위한 회전수단과; 상기 작동아암(30)을 상/하로 기울일 수 있는 경사조절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의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회동축(15)과 결합된 회전대(16)가 상기 기둥(10)의 회전조절대(12)에 조립하여 상기 작동아암(30)이 기둥(10)을 중심으로 선회하며, 고정구(18)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 구성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의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작동아암(30)에 조립된 경사대(26)가 상기 회동축(15)의 상단 경사조절대(20)와 힌지(24) 결합하여 상기 작동아암(30)이 힌지(24)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이며, 고정구(28)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 구성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의 상기 작동아암(30)은 아암지지대(32)로부터 축방향으로 신축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크레인의 고소작업용 호이스트장치는 종래에 2인 1조로 작업이 이루어지는 비효율적인 작업성을 해소하고, 신속하게 작업물을 인양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으며, 동시에 작업효율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붐대가 고소의 장소에서 정지한 상태에서 작업대 즉, 기둥을 중심으로 좌/우, 상/하, 전/후 등의 원하는 위치에서 안전하게 작업물의 인양이 가능함은 물론, 광범위하게 작업공간을 확장하여 작업효율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크레인 붐대의 불필요한 작동에 따른 장비의 손상을 경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가 수반된다.
본 발명의 크레인의 고소작업용 호이스트장치는, 고소작업을 위한 크레인의 붐대(1)의 종단에 작업용 바스켓(3)이 구비되어져 있고 상기 바스켓(3)의 플랫폼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바스켓(3)의 일측에 직립하는 기둥(10)에 회동축(15)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동축(15)의 상단에는 윈치(winch; 40)가 장착된 작동작동아암(30)이 결합된다. 상기 작동아암(30)은 수평 회전수단과 경사조절수단에 의해 회동하거나 상/하의 일정각도로 기울일 수 있으며, 상기 윈치(40)에 의한 인양로프(42)를 아래로 연장하여 말단에 작업물(W)을 결속하여 인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크레인의 고소작업용 호이스트장치를 다음과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과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고소작업용 호이스트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와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고소작업용 호이스트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기둥(10)은 바스켓(3)의 플랫폼에 직립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수단은 기둥의 상부에서 회전조절대(12)를 관통하여 내측으로 삽입된 회동축(15)이 설치되고, 상기 회동축(15)은 상부에 회전대(16)가 결합되어 측방으로 연장하여서 고정구멍(13)과 일치하면서 상기 회동축(15)을 고정한다. 상기 회전수단은 기둥(10) 및 회동축(15)의 조립부에 회전마찰을 감소하기 위한 베어링 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조절대(12)에는 회동축(15)을 중심으로 다수개의 고정구멍(13)들이 분할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회전대(16)는 타측에 통공을 형성하여 회동축과 연동하면서 고정구(18)에 의해 택일된 고정구멍(13)과 고정이 가능하도록 된다.
상기 회동축(15)의 상단에는 받침대(22)가 설치되고 경사조절수단을 통해 상기 작동아암(30)을 지지되며, 상기 작동아암(30)은 힌지(24)를 중심으로 상/하 일정한 각도로 기울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경사조절수단은 받침대(22)의 양측으로 경사조절대(20)가 입설되고 상기 경사조절대의 사이로 아암지지대(32)가 횡설되는데, 상기 아암지지대(32)는 하부 양측으로 경사대(26)를 설치하고 상기 경사대(26)의 일측이 경사조절대(20)와 힌지 결합함으로서 상기 힌지(28)를 중심으로 상/하로 기울임이 가능하도록 된다.
상기 경사조절대(20)에는 다수개의 각도조절구멍(21)이 분할 형성되고, 상기 경사대(26)는 타측이 각도조절구멍(21)과 맞물리도록 통공을 형성하여서 고정구(28)에 의해 작동아암을 비스듬히 경사지게 조절 및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작동아암(30)은 아암지지대(32)를 관통하여 양측으로 연장하여 축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고정구(39)로 고정한다. 그리고 일측 단부에는 안내롤 러(36)를 장착하여 인양로프(42)가 걸쳐져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한다. 또는 상기 작동아암(30)은 일측 단부에 아래로 비스듬한 보조아암(34)을 연장 설치하고, 상기 보조아암(34)의 양단에 안내롤러(36a)를 장착하여서 상기 인양로프(42)가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며, 작업대나 주변의 구조물과의 간섭 등을 방지한다.
상기 작동아암(30)은 소정의 각도로 회전 및 기울일 수 있음은 물론, 축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여서 상기 붐대(1)가 정지한 상태에서 작업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윈치(winch)는 아암지지대(32)의 타측부에 설치하여 인양로프(42)를 내리거나 인양하기 위한 것으로, 크레인의 유압장치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모터가 가장 바람직하며, 또는 전기로 작동하는 구동모터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아암지지대(32)와 안내롤러(36,36a)에는 인양로프(42)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38,38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아암지지대(32)에는 손잡이를 설치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작동아암(30)의 조작을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크레인의 고소작업용 호이스트장치는 다음과 같이 첨부된 작동상태도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고소작업용 호이스트장치의 작동아암이 회전하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상기 작동아암(30)을 회전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구(18)를 회전조절대 및 회전대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작동아암을 소정의 위치로 선회시킨 후, 상기 회전대(16)를 고정구멍(13)과 일치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18)를 다시 체결함으로서 작동아암이 임의대로 회전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고소작업용 호이스트장치의 작동아암이 상/하로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상기 작동아암(30)을 상/하로 비스듬히 기울일 때에는 상기 고정구(28)를 분리한 후, 상기 힌지(24)를 중심으로 작동한 다음, 상기 경사대(26)와 각도조절구멍(21)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다시 상기 고정구(28)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상기 작동아암(30)은 아암지지대(32)로부터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상기 기둥(1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좌/우, 상/하, 전/후 전체적인 작업공간을 확장함은 물론 작업효율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같이 원하는 작업위치로 작동아암(30)을 이동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윈치(40)로서 인양로프(42)를 아래로 내려 작업물(W)을 고소의 작업대로 용이하게 인양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들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당업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려는 것이며, 치환, 변경, 개량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고소작업용 호이스트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고소작업용 호이스트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용 호이스트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고소작업용 호이스트장치의 작동아암이 회전하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고소작업용 호이스트장치의 작동아암이 상/하로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Claims (4)

  1. 크레인의 고소작업용 작업대(3)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3)의 일측부에 직립하는 기둥(10)과, 회동축(15)과;
    상기 회동축(15)의 상단에 횡설되고 인양로프(42)를 안내하는 안내롤러(36)가 구비된 작동아암(30)과;
    상기 작동아암(30)에 장착하여 인양로프(42)를 인양하는 윈치(40)와;
    상기 작동아암(30)을 수평으로 작동하기 위한 회전수단과;
    상기 작동아암(30)을 상/하로 기울일 수 있는 경사조절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고소작업용 호이스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회동축(15)과 결합된 회전대(16)가 상기 기둥(10)의 회전조절대(12)에 조립하여 상기 작동아암(30)이 기둥(10)을 중심으로 선회하며, 고정구(18)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고소작업용 호이스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작동아암(30)에 조립된 경사대(26)가 상기 회동축(15)의 상단 경사조절 대(20)와 힌지(24) 결합하여 상기 작동아암(30)이 힌지(24)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이며, 고정구(28)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고소작업용 호이스트장치.
  4. 제 1항 내지는 제 3항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아암(30)은 아암지지대(32)로부터 축방향으로 신축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고소작업용 호이스트장치.
KR1020070127417A 2007-12-10 2007-12-10 크레인의 고소작업용 호이스트장치 KR100949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7417A KR100949431B1 (ko) 2007-12-10 2007-12-10 크레인의 고소작업용 호이스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7417A KR100949431B1 (ko) 2007-12-10 2007-12-10 크레인의 고소작업용 호이스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0550A true KR20090060550A (ko) 2009-06-15
KR100949431B1 KR100949431B1 (ko) 2010-03-24

Family

ID=40990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7417A KR100949431B1 (ko) 2007-12-10 2007-12-10 크레인의 고소작업용 호이스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4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036Y1 (ko) * 2013-07-12 2015-05-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장비 틸팅 장치
KR102370783B1 (ko) * 2021-08-24 2022-03-07 (주)쌍용리프트 차량 장착용 크레인
KR20220108987A (ko) 2021-01-28 2022-08-04 김종국 고소작업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955B1 (ko) * 2014-06-11 2016-02-05 주식회사 반도산업개발 회전방지형 지브크레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0800U (ja) * 1983-06-03 1984-12-18 株式会社タダノ 高所作業車の副ブ−ム支持装置
JPH0625503Y2 (ja) * 1988-07-23 1994-07-06 株式会社アイチコーポレーション バケットに対するウインチ取付構造
JP2002284493A (ja) * 2001-03-26 2002-10-03 Aichi Corp 高所作業車のサブブーム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036Y1 (ko) * 2013-07-12 2015-05-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장비 틸팅 장치
KR20220108987A (ko) 2021-01-28 2022-08-04 김종국 고소작업용 장치
KR102370783B1 (ko) * 2021-08-24 2022-03-07 (주)쌍용리프트 차량 장착용 크레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9431B1 (ko) 201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27222A (ja) 建築物の建築に使用される装置
KR100949431B1 (ko) 크레인의 고소작업용 호이스트장치
US10655345B2 (en) Height accessible working platform with horizontally displaceable cradle
GB2520939A (en) A Platform
KR20150081503A (ko) 고소 안전 작업대
US20090166131A1 (en) Elevating Workshop Pit Platform
JP3178279U (ja) スライドダウン装置
JP2669381B2 (ja) 移動作業床のせり上げ拡張床装置
CN210888003U (zh) 一种移动式可升降钢管架操作平台装置
US7942243B1 (en) Intermediate cable fairlead
KR102396527B1 (ko) 작업발판 인양장치
JP2003272435A (ja) 昇降式照明装置
KR20110001477A (ko) 지붕작업용 발판 승강장치
JP2008214062A (ja) リフト装置および構造材取り付け方法
KR101800622B1 (ko) 다단 승강형 족장
JPH08132307A (ja) 姿勢調整機構付旋回架台
AU201841375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recting a post
CN114232963B (zh) 一种钢结构建筑墙体安装平台
JP2002349080A (ja) 塔状構造物解体装置とそれによる解体工法
CN217458584U (zh) 一种移动式助力机械臂
JP3222132U (ja) 杭打機リーダースライド式組立足場
EP3533750B1 (en) Girder beam installation and removal system and method
JP6309483B2 (ja) 建物の解体重機とこの解体重機を使用する建物の解体方法
JP4706973B2 (ja) 開口養生付き工事用仮設エレベータ
KR200407513Y1 (ko) 상소둔 설비의 유지보수용 고소작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