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9449A - 위치 조정이 자유로운 바튼 승강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위치 조정이 자유로운 바튼 승강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9449A
KR20230149449A KR1020220048674A KR20220048674A KR20230149449A KR 20230149449 A KR20230149449 A KR 20230149449A KR 1020220048674 A KR1020220048674 A KR 1020220048674A KR 20220048674 A KR20220048674 A KR 20220048674A KR 20230149449 A KR20230149449 A KR 20230149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ection
section steel
fixed
guide rollers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무광
이광현
김학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진스테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진스테이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진스테이지
Priority to KR1020220048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9449A/ko
Publication of KR20230149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944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06Power actuated devices operating on ropes, cables, or chains for hauling in a mainly horizont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8Power-operated hoists
    • B66D3/24Applications of limit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8Power-operated hoists
    • B66D3/26Other details, e.g.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63J2001/02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wound up when not in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조정이 자유로운 바튼 승강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바튼 승강 구동장치는, 한정된 무대 공간에 대하여 동력장치 및 안내 롤러들을 포함한 무대 장비들이 상부 트러스 구조물이나 천장, 또는 측면의 지지 트러스 구조물 등 적절한 위치에 선정되어 고정되며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위치 조정되어 고정될 수 있는 바튼 승강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위치 조정이 자유로운 바튼 승강 구동장치 {Batten Lifting Drive with Free Positioning}
본 발명은 무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대 배경 현수막, 조명등이 설치된 바튼을 승강하기 위한 동력장치 및 안내 롤러들의 위치 선정과 조정이 자유로운 바튼 승강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대 장치는, 공연, 콘서트, 연극, 무용 등 각종 무대 공연에서 무대 조명, 현수막, 커튼 등과 같은 무대 세트물을 승강하기 위한 구동장치 등을 포함한다. 기존의 바튼 승강 구동장치는 천장에 고정하는 고정식 또는 바튼에 장착된 이동식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바튼 승강 구동장치는 바튼에 고정된 다수의 와이어 로프를 드럼에 감고 풀면서 바튼을 승강시켜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게 한다.
바튼 승강 구동장치를 위한 장비들은 무대의 크기와 공연내용 등에 따라 설치될 규모가 결정된다. 그러나, 무대용 장비들을 고정하는 무대장치는 이미 그 크기가 결정되어 제작되므로, 장비들을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이 한정될 수 밖에 없다. 결국, 무대용 장비의 규모에 따라 무대장치를 교체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수고를 감수해야 하는 불편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한정된 무대에 맞게 바튼 승강 구동장치를 위한 동력장치 및 안내 롤러들의 위치 선정과 조정이 자유로운 바튼 승강 구동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관련 문헌으로서, 특허출원번호 제10-2008-0131426호 (2008.12.22.) 등이 참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한정된 무대 공간에 대하여 동력장치 및 안내 롤러들을 포함한 무대 장비들이 상부 트러스 구조물이나 천장, 또는 측면의 지지 트러스 구조물 등 적절한 위치에 선정되어 고정되며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위치 조정되어 고정될 수 있는 바튼 승강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승강 구동장치는, 양측에 삽입 홈과 안내 공간을 가지며, 각 측에서, T볼트 머리의 좁은 폭이 삽입 가능하도록 삽입 방향의 상기 삽입 홈을 가지며,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된 상기 T볼트가 상기 T볼트 머리의 넓은 폭에 의해 상기 삽입 홈에 걸려 빠지지 않으면서 상기 삽입 방향에 수직한 이동 방향으로 안내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 방향으로 상기 안내 공간을 갖는, 하나 이상의 레일 형강; 복수의 안내 롤러로서, 각각이, 제1 양측 지지판 사이에 마련되고 하나 이상의 와이어 로프 수용홈을 갖는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 형강의 복수의 위치 각각에서 상기 제1 양측 지지판의 구멍에 상기 T볼트를 결합하여 상기 레일 형강 양측에서 고정가능한 상기 복수의 안내 롤러; 및 제2 양측 지지판 사이에 구비된, 와이어 드럼 및 상기 와이어 드럼과 정렬되어 고정된 도입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양측 지지판 중 일측 지지판이 동력 장치의 몸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 드럼은 상기 동력 장치의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레일 형강의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제2 양측 지지판의 구멍에 상기 T볼트를 결합하여 상기 레일 형강 양측에서 고정가능한 구동부를 포함하고, 바튼에 연결된 복수의 와이어 로프 각각을, 상기 동력 장치의 구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안내 롤러 각각을 거쳐 상기 도입 롤러를 통해 상기 와이어 드럼의 복수의 와이어 로프 수용홈 각각에 감거나, 감긴 상기 복수의 와이어 로프를 상기 와이어 드럼으로부터 풀어 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레일 형강은, 서로 분리된 제1 레일 형강 및 제2 레일 형강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안내 롤러 및 상기 구동부를 상기 제1 레일 형강 및 제2 레일 형강 각각에 서로 분리시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를 고정하는 상기 제2 레일 형강이 상기 복수의 안내 롤러를 고정하는 상기 제1 레일 형강의 연장선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를 고정하는 상기 제2 레일 형강이 상기 복수의 안내 롤러를 고정하는 상기 제1 레일 형강의 연장선과 수직한 연장선 상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레일 형강은, 양측에 상기 삽입 홈과 안내 공간을 2단으로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안내 롤러의 제1 양측 지지판 및 상기 구동부의 제2 양측 지지판에 구비되는 2단의 대응 구멍들을 통하여, 상기 레일 형강 양측에서 해당 T볼트들을 이용해 상기 복수의 안내 롤러 및 상기 구동부를 각각 2단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승강 구동장치는, 상기 동력 장치의 회전축에 연결된 기어 구조물을 이용하여 상기 와이어 드럼에 감기는 와이어 로프들의 하한 및 상한 위치를 감지해 상기 동력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튼 승강 구동장치에 따르면, 한정된 무대 공간에 대하여 동력장치 및 안내 롤러들을 포함한 무대 장비들이 상부 트러스 구조물이나 천장, 또는 측면의 지지 트러스 구조물 등 적절한 위치에 선정되어 고정되며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위치 조정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설치할 장비들의 개수와 배치 위치에 따라 무대 장치를 교체할 필요가 없으며 무대 환경에 적응적으로 무대 장비들을 설치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튼 승강 구동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튼 승강 구동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레일 형강에 고정된 안내 롤러와 구동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레일 형강에 고정된 구동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동부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레일 형강에 고정된 안내 롤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예시적인 T볼트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이때, 각각의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또한, 이미 공지된 기능 및/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개시된 내용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그 설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각각의 도면에 그려진 구성요소들의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여기에 기재되는 내용들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튼 승강 구동장치(1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튼 승강 구동장치(2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튼 승강 구동장치(100/200)는, 하나 이상의 레일 형강(10), 복수의 안내 롤러(20) 및 구동부(40)를 포함한다.
도 1은 하나의 레일 형강(10)을 사용한 구조를 나타내고, 도 2는 2개의 레일 형강(10, 15)을 사용한 구조를 나타낸다.
도 2와 같이, 서로 분리된 제1 레일 형강(10) 및 제2 레일 형강(15)을 사용하는 경우에, 복수의 안내 롤러(20) 및 구동부(40)를 제1 레일 형강(10) 및 제2 레일 형강(15) 각각에 서로 분리시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서로 분리된 제1 레일 형강(10) 및 제2 레일 형강(15)은 서로 수직 연장선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즉, 구동부(40)를 고정하는 제2 레일 형강(15)이 복수의 안내 롤러(20)를 고정하는 제1 레일 형강(10)의 연장선과 수직한 연장선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수직한 연장선 상의 제2 레일 형강(15)에 구동부(40) 외에 안내 롤러(20)가 하나 이상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2개의 레일 형강(10, 15)을 도 1과 같이 하나의 연장선 상에 배치할 수도 있으며, 즉, 구동부(40)를 고정하는 제2 레일 형강(15)이 복수의 안내 롤러(20)를 고정하는 제1 레일 형강(20)의 연장선 상에 고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승강 구동장치(100/200)는, 공연, 콘서트, 연극, 무용 등 각종 무대 공연에서 무대 조명, 현수막, 커튼 등과 같은 무대 세트물(1)을 승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긴 바 형태의 바튼(2)에 고정된 다수의 와이어 로프(30)를 구동부(40)의 와이어 드럼(45)에 감고 풀면서 바튼(2)을 승강시켜 다양한 연출을 가능하게 한다.
레일 형강들(10, 15)은 무대를 위해 설치된 트러스 구조물(50)의 상부측이나 측부에 고정 수단을 통해 적절히 고정될 수 있으며, 기타 임시로 설치된 가설물이나 건물의 천장 또는 벽면 등에 적절한 고정 수단을 통해 적절히 고정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레일 형강(10/15)에 고정된 안내 롤러(2)와 구동부(40)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레일 형강(10/15)에 고정된 구동부(40)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동부(40)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레일 형강(10/15)에 고정된 안내 롤러(20)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레일 형강(10/15)은,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T볼트(26)(도 7 참조)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홈(11,12)과 T볼트(26)가 삽입 홈(11,12)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안내 공간(내부에 빈 공간)을 포함하는 레일(들)을 가진다. 레일 형강(10/15)은,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삽입 홈(11,12)과 안내 공간을 포함하는 레일을 2단으로 구비한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는 안내 롤러(20) 및 구동부(40)를 2단에서 충분히 고정 결합하여 튼튼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경우에 따라서는 1단의 레일로 충분히 고정하는 힘을 발휘하는 경우에는 1단의 레일을 갖는 것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도 6과 같이, 2단의 레일을 갖는 레일 형강(10/15)을 사용하더라고 그 중 하나의 삽입 홈(11/12)과 해당 안내 공간의 레일만을 이용할 수도 있다.
레일 형강(10/15)의 삽입 홈(11/12)은,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 벽 양측 각각에서, 어느 위치에서나 T볼트(26)(도 6 참조) 머리의 좁은 폭이 삽입 가능하도록 한 삽입 방향으로의 홈들이며, 상기 중앙 벽에 의해 삽입 깊이가 제한된다.
레일 형강(10/15)은 상면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T볼트(26)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홈(13)과 T볼트(26)가 삽입 홈(13)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안내 공간(내부에 빈 공간)을 포함하는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레일 형강들(10, 15)이 무대를 위해 설치된 트러스 구조물(50)의 상부측이나 측부에 해당 T볼트(26)를 통해 너트와의 결합으로 적절히 고정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일 형강(10/15)의 삽입 홈(11/12/13)에 삽입된 T볼트(26)는, T볼트(26) 머리의 넓은 폭(직사각형 단면 중 넓은 폭)에 의해 삽입 홈(11/12/13)에 걸려 빠지지 않으면서 삽입 방향에 수직한 내측의 안내 공간을 따라 이동 방향으로 안내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상기 이동 방향으로의 상기 안내 공간을 갖는다. 삽입 홈(11/12/13)에 삽입된 T볼트(26)를 비틀면 T볼트(26)는 머리의 넓은 폭(직사각형 단면 중 넓은 폭)에 의해 삽입 홈(11/12/13)에 걸려 빠지지 않게 되며, 너트(27,28,29)에 의해 안내 롤러(20), 구동부(40) 등이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안내 롤러들(20) 각각은, 도 6과 같이 양측 지지판(21, 22) 사이에 마련되고 하나 이상의 와이어 로프(30) 수용홈을 갖는 롤러(25)를 포함한다. 롤러(25)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 홈들은 와이어 로프(30)를 수용하기 위한 와이어 로프(30) 수용홈으로서, 그 중 하나의 홈이 바튼(2)에 연결된 와이어 로프(30)를 지지하고, 고정 설치된 위치에 따라 와이어 드럼(45)의 대응되는 와이어 로프(30) 수용홈(451)에 감기게 된다.
안내 롤러들(20) 각각은, 레일 형강(10/15)의 복수의 위치 각각에서 양측 지지판(21, 22)의 구멍에, 레일 형강(10/15)의 삽입 홈(11/12/13)에 삽입된 상기 T볼트(26)를 결합하여 레일 형강(10/15) 양측에서 움직이지 않게 고정가능하다. T볼트(26)는 너트(27)에 의해 체결되어 안내 롤러들(20)이 레일 형강(10/15)에서 움직이지 않게 고정될 수 있다.
구동부(4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구동 모터(47) 및 감속기(48)를 구비하는 동력 장치, 리미트 스위치(49)를 포함하며, 양측 지지판(41, 42) 사이에 구비된 와이어 드럼(45) 및 도입 롤러(46)를 포함한다. 도입 롤러(46)는 그 와이어 로프(30) 수용홈들(예, 4개)이 양측 지지판(41, 42) 사이에서 와이어 드럼(45)의 와이어 로프(30) 수용홈들(451)(예, 4개)과 정렬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양측 지지판(41, 42) 중 일측 지지판(예, 42)이 동력 장치(47, 48)의 몸체(예, 감속기를 감싸는 하우징/프레임, 또는 모터와 감속기를 모두 감싸는 하우징/프레임 등)에 고정되어 있다. 와이어 드럼(45)은 일측 지지판(예, 42)의 구멍을 통해 나와 있는 동력 장치(예, 갑속기 회전축)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동부(4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레일 형강(10/15)의 소정의 위치에서 양측 지지판(41, 42)의 구멍에 T볼트(26)를 결합하여 레일 형강(10/15) 양측에서 움직이지 않게 고정가능하다. T볼트(26)는 너트(28,29)에 의해 체결되어 구동부(40)가 레일 형강(10/15)에서 움직이지 않게 고정될 수 있다.
위에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레일 형강(10/15)은, 양측에 삽입 홈(11/12)과 안내 공간을 2단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이때, 복수의 안내 롤러(20)의 제1 양측 지지판(21,22) 및 구동부(40)의 제2 양측 지지판(41,42)에 구비되는 2단의 대응 구멍들을 통하여, 레일 형강(10/15) 양측에서 해당 T볼트들(26)를 이용해 복수의 안내 롤러(20) 및 구동부(40)를 각각 2단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튼 승강 구동장치(100/200)는, 구동 모터(47)와 감속기(48)를 구동시켜서 동력 장치(47,48)가 전달하는 동력으로 와이어 드럼(45)을 회전시키면서, 바튼(2)에 연결된 복수의 와이어 로프(30) 각각을, 복수의 안내 롤러(20) 각각을 거쳐 도입 롤러(46)를 통해 와이어 드럼(45)의 복수의 와이어 로프 수용홈(451) 각각에 감아서 바튼(2)을 올리거나, 와이어 드럼(45)에 감긴 복수의 와이어 로프(30)를 와이어 드럼(45)으로부터 역방향으로 풀어 바튼(2)을 내려 주도록 작동할 수 있다. 바튼(2)의 승강 방향의 선택, 승강 속도의 선택, 정지 등은 동력 장치(47,48)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미도시)에 구비된 인터페이스(예, 스위치, 버튼, 터치스크린, 무선 통신 장치 등)를 통해 전기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튼 승강 구동장치(100)는, 리미트 스위치(49)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리미트 스위치(49)는 동력 장치(47,48)의 회전축에 연결된 기어 구조물(기어와 체인 등)을 이용하여 그 회전수를 감지하는 방법 등으로 와이어 로프들(30)의 하한 및 상한 위치를 감지해 더 이상 바튼(2)이 승강 이동하지 않도록 동력 장치(47,48)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미트 스위치(49)는 와이어 로프들(30)의 하한 및 상한 위치의 감지에 따라 스위치 또는 버튼을 작동시켜 구동 모터(47)가 정지되도록 제어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튼 승강 구동장치(100/200)에 따르면, 한정된 무대 공간에 대하여 동력장치(47,48) 및 안내 롤러들(20)을 포함한 무대 장비들이 상부 트러스 구조물이나 천장, 또는 측면의 지지 트러스 구조물 등 적절한 위치에 선정되어 고정되며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위치 조정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설치할 장비들의 개수와 배치 위치에 따라 무대 장치를 교체할 필요가 없으며 무대 환경에 적응적으로 포함한 무대 장비들을 설치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바튼(2)
레일 형강(10, 15)
삽입 홈(11,12,13)
안내 롤러(20)
T볼트(26)
너트(27,28,29)
와이어 로프(30)
구동부(40)
와이어 드럼(45)
도입 롤러(46)
동력 장치(47,48)

Claims (6)

  1. 양측에 삽입 홈과 안내 공간을 가지며, 각 측에서, T볼트 머리의 좁은 폭이 삽입 가능하도록 삽입 방향의 상기 삽입 홈을 가지며,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된 상기 T볼트가 상기 T볼트 머리의 넓은 폭에 의해 상기 삽입 홈에 걸려 빠지지 않으면서 상기 삽입 방향에 수직한 이동 방향으로 안내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 방향으로 상기 안내 공간을 갖는, 하나 이상의 레일 형강;
    복수의 안내 롤러로서, 각각이, 제1 양측 지지판 사이에 마련되고 하나 이상의 와이어 로프 수용홈을 갖는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 형강의 복수의 위치 각각에서 상기 제1 양측 지지판의 구멍에 상기 T볼트를 결합하여 상기 레일 형강 양측에서 고정가능한 상기 복수의 안내 롤러; 및
    제2 양측 지지판 사이에 구비된, 와이어 드럼 및 상기 와이어 드럼과 정렬되어 고정된 도입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양측 지지판 중 일측 지지판이 동력 장치의 몸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 드럼은 상기 동력 장치의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레일 형강의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제2 양측 지지판의 구멍에 상기 T볼트를 결합하여 상기 레일 형강 양측에서 고정가능한 구동부를 포함하고,
    바튼에 연결된 복수의 와이어 로프 각각을, 상기 동력 장치의 구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안내 롤러 각각을 거쳐 상기 도입 롤러를 통해 상기 와이어 드럼의 복수의 와이어 로프 수용홈 각각에 감거나, 감긴 상기 복수의 와이어 로프를 상기 와이어 드럼으로부터 풀어 주기 위한, 승강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형강은, 서로 분리된 제1 레일 형강 및 제2 레일 형강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안내 롤러 및 상기 구동부를 상기 제1 레일 형강 및 제2 레일 형강 각각에 서로 분리시켜 고정하는 승강 구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를 고정하는 상기 제2 레일 형강이 상기 복수의 안내 롤러를 고정하는 상기 제1 레일 형강의 연장선 상에 고정되는 승강 구동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를 고정하는 상기 제2 레일 형강이 상기 복수의 안내 롤러를 고정하는 상기 제1 레일 형강의 연장선과 수직한 연장선 상에 고정되는 승강 구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형강은, 양측에 상기 삽입 홈과 안내 공간을 2단으로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안내 롤러의 제1 양측 지지판 및 상기 구동부의 제2 양측 지지판에 구비되는 2단의 대응 구멍들을 통하여, 상기 레일 형강 양측에서 해당 T볼트들을 이용해 상기 복수의 안내 롤러 및 상기 구동부를 각각 2단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승강 구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장치의 회전축에 연결된 기어 구조물을 이용하여 상기 와이어 드럼에 감기는 와이어 로프들의 하한 및 상한 위치를 감지해 상기 동력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승강 구동장치.
KR1020220048674A 2022-04-20 2022-04-20 위치 조정이 자유로운 바튼 승강 구동장치 KR202301494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674A KR20230149449A (ko) 2022-04-20 2022-04-20 위치 조정이 자유로운 바튼 승강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674A KR20230149449A (ko) 2022-04-20 2022-04-20 위치 조정이 자유로운 바튼 승강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9449A true KR20230149449A (ko) 2023-10-27

Family

ID=88514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674A KR20230149449A (ko) 2022-04-20 2022-04-20 위치 조정이 자유로운 바튼 승강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94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8400B1 (ko) 무대설비 승하강용 이동성 구동장치
KR101872409B1 (ko) 무대장치 승강와이어 안내용 활차
EP3071507B1 (en) Lift assembly with load cells
KR102069661B1 (ko) 활차와 구동부 일체형 슬라이딩 무대장치
KR20230149449A (ko) 위치 조정이 자유로운 바튼 승강 구동장치
CN200940423Y (zh) 叠升式卷帘
EP0574817A1 (en) Device for suspending a working cage
JP5888603B2 (ja) 屋内の空間部へのネットの吊り張り移動方法及び屋内の空間部へのネットの吊り張り移動装置
KR20090126875A (ko) 플래카드 배튼의 승강장치
KR101871245B1 (ko)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움직이는 무대구동장치
KR101566326B1 (ko)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
JP6910853B2 (ja) 室内揚重装置
KR100888768B1 (ko) 배튼 승하강 장치
KR200435379Y1 (ko) 무대설비의 승하강장치
JP2914630B2 (ja) 支柱式昇降装置
KR102297928B1 (ko) 바튼 승강 구동 장치
JP2011122338A (ja) シャッター装置
KR200370951Y1 (ko) 와이어 권취 장치
JP3087894B1 (ja) 幕昇降装置
KR20180067995A (ko) 식물공장형 시설 하우스의 환기 장치
JP2003182954A (ja) ケーブルの案内装置
CN1888367B (zh) 叠升式卷帘
KR20240030055A (ko) 공간 최소화 호이스트 장치
KR200442254Y1 (ko) 무대소품을 동일한 속도로 승강토록 하는 배튼 승강장치
KR102474209B1 (ko) 트러스형 바튼 승강 구동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