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0055A - 공간 최소화 호이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공간 최소화 호이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0055A
KR20240030055A KR1020220108597A KR20220108597A KR20240030055A KR 20240030055 A KR20240030055 A KR 20240030055A KR 1020220108597 A KR1020220108597 A KR 1020220108597A KR 20220108597 A KR20220108597 A KR 20220108597A KR 20240030055 A KR20240030055 A KR 20240030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able
hook
support bar
pair
hois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8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무광
이광현
김학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진스테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진스테이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진스테이지
Priority to KR1020220108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0055A/ko
Publication of KR20240030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005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50Applications of limit circuits or of limit-switch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 최소화 호이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호이스트 장치는, 하중 로프 지지바의 적재 공간과 제어 케이블 적재 공간이 공유되며 하중 로프 지지바의 적재 방향과 제어 케이블의 적재 방향은 서로 교차하도록 구성되어 하중 로프 지지바의 상하 적재와 제어 케이블의 접힘 적재가 최적화되어 적재됨으로써, 한정된 설치 공간에서도 설치물의 승강을 위하여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다.

Description

공간 최소화 호이스트 장치{Space Minimized Hoist Device}
본 발명은 호이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협소한 공간에도 쉽게 설치 가능한 공간 최소화 호이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대나 스튜디오 또는 건축 등의 현장에서 설치물들을 승강하기 위한 종래의 호이스트 장치는, 상단부의 구동 장치를 이용해 하단부의 후크와 함께 와이어 로프를 드럼에 감고 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호이스트 장치는 설치 공간의 최소화에 대한 고려 없이 설계되어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문헌으로서, 특허출원번호 제10-2008-0131443호 (2008.12.22.) 등이 참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한정된 설치 공간에 설치물의 승강을 위하여 용이하게 설치 가능한 공간 최소화 호이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호이스트 장치는, 동력 장치가 회전시키는 회전축의 좌우에 하나씩 결합된 한쌍의 와이어 드럼 및 상기 한쌍의 와이어 드럼과 정렬되어 고정된 한쌍의 도입 롤러를 포함하는 구동부; 몸체를 가지며, 상기 몸체의 바닥측에 설치물과 연결되기 위한 후크가 설치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몸체의 바닥측으로부터 연장된 양측 플레이트 사이가 종방향 적재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양측 플레이트의 상단에서 소정의 깊이까지 마주보는 개구가 횡방향 적재공간을 형성하는 후크부; 상기 구동부와 상기 후크부 사이에 연결된 한쌍의 하중 로프, 및 복수의 신호선들을 포함하는 제어 케이블; 및 상기 제어 케이블의 지그재그 접힘을 위한 접힘부들 사이에 하나씩 결합된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의 양단 각각이 상기 한쌍의 하중 로프에 결합된 복수의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 장치의 구동에 따라, 상기 도입 롤러를 통해 상기 와이어 드럼에 상기 하중 로프를 감거나, 감긴 상기 하중 로프를 상기 와이어 드럼으로부터 풀어 주는 동안, 상기 제어 케이블을 상기 종방향 적재 공간에 지그재그 접어 적재하고, 상기 지지바를 상기 횡방향 적재공간에 적재할 수 있다.
상기 호이스트 장치는, 상기 동력 장치의 회전축에 연결된 기어 구조물을 이용하여 상기 와이어 드럼에 감기는 상기 하중 로프의 하한 및 상한 위치를 감지해 상기 동력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어 케이블의 일단에 대한 제1 터미널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제어 케이블의 타단에 대한 제2 터미널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케이블은 전원 케이블 및 상기 후크에 장착된 설치물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신호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의 양단 각각이 상기 하중 로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최소화 호이스트 장치에 따르면, 하중 로프 지지바의 적재 공간과 제어 케이블 적재 공간이 공유되며 하중 로프 지지바의 적재 방향과 제어 케이블의 적재 방향은 서로 교차하도록 구성되어 하중 로프 지지바의 상하 적재와 제어 케이블의 접힘 적재가 최적화되어 적재됨으로써, 한정된 설치 공간에서도 설치물의 승강을 위하여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장치(10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동부(110) 주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후크부(120) 주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하중 로프(20)에 결합된 지지바(140) 주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후크부(120)에 제어 케이블이 종방향 적재 공간(124)에 적재되고 지지바(140)를 횡방향 적재공간(123)에 적재된 모습을 보여준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이때, 각각의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또한, 이미 공지된 기능 및/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개시된 내용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그 설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각각의 도면에 그려진 구성요소들의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여기에 기재되는 내용들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장치(10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동부(110) 주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후크부(120) 주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장치(100)는, 구동부(110), 후크부(120), 제어 케이블(130), 하중 로프(20)에 결합된 복수의 지지바(140)를 포함한다. 한쌍의 하중 로프(20)가 구동부(110)와 후크부(120)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복수의 신호선들을 포함하는 제어 케이블(130)도 구동부(110)와 후크부(120)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호이스트 장치(100)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장착되어 무대나 스튜디오 세트물(예, 조명, 현수막, 커튼 등) 뿐만 아니라 건축 상의 트러스, LED 전광판 등 각종 설치물들의 설치나 하자 보수 등 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설치물들을 승강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의 호이스트 장치(100)는, 후크부(120)의 후크(121)(예, 스위블 후크)에 대상 설치물을 고정하거나 매달고, 구동부(110)의 와이어 드럼(111)과 후크부(120)의 체결부(128) 사이에 연결된 한쌍의 하중 로프(20)를 구동부(110)의 와이어 드럼(111)에 감고 풀면서 후크부(120)를 승강시켜 무대나 스튜디오에서의 다양한 연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기타 현장에서 설치나 보수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보조할 수 있다. 각 하중 로프(20)의 일단은 각 와이어 드럼(111)에 고정될 수 있으며 각 하중 로프(20)의 타단은 후크부(120)의 각 체결부(128)에 결속된다. 후크부(120)의 각 체결부(128)는 각 하중 로프(20)의 승강에 따라 후크부(120)의 몸체(129) 전체를 안정감 있게 끌어 올리고 내리기에 적절한 위치로 선정될 수 있다.
구동부(110)는 구동 모터와 감속기를 포함하는 동력 장치(미도시)가 회전시키는 회전축(미도시)의 좌우에 하나씩 결합된 한쌍의 와이어 드럼(111)을 포함하며, 한쌍의 와이어 드럼(111)과 정렬되어 고정된 한쌍의 도입 롤러(112)를 포함한다. 구동부(110)의 상단에는 고정 부재(10)를 포함하며, 고정 부재(10)를 무대나 스튜디오 또는 작업 현장에서 천장 또는 트러스 등의 구조물에 고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호이스트 장치(100)가 대상 설치물을 승강하는데 사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10)는 리미트 스위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리미트 스위치(미도시)는 상기 동력 장치의 회전축에 연결된 기어 구조물(기어와 체인 등)을 이용하여 그 회전수를 감지하는 방법 등으로 와이어 드럼(111)에 감기는 각 하중 로프(20)의 하한 및 상한 위치를 감지해 더 이상 후크부(120)가 승강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동력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미트 스위치(미도시)는 하중 로프(20)의 하한 및 상한 위치의 감지에 따라 소정의 스위치 또는 버튼을 작동시켜 구동 모터(미도시)가 정지되도록 제어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동부(110)의 모터 등 동력 장치(미도시)의 전원 및 리미트 스위치(미도시) 등의 설정 제어 등을 제공하기 위한 케이블들은 모터 단자(116)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모터 단자(116)는 커넥터 또는 잭 형태의 접속 단자일 수 있으며, 구동부(110) 몸체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10)는 제어 케이블(130)의 일단, 즉, 구동부(110) 측 단부에 대한 제1 터미널블록(1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터미널블록(115)은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커넥터 또는 잭 형태의 접속 단자일 수 있고, 구동부(110) 몸체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내측에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외부에서 보이는 외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어 케이블(130)은 전원 케이블 및 후크(121)에 장착된 대상 설치물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신호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대상 설치물에 따라 달라질 있으나, 예를 들어, 대상 설치물이 조명 기구 등인 경우, 상기 제1 터미널블록(115)는 조명 전원 판넬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기 위한 2가닥/3가닥 전원 케이블에 대한 단자들 및 상기 조명 기구의 조도, 색상 등의 변경이나 자동 조명 연출 등을 위해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장치 또는 콘솔 박스와 접속되기 위한 복수의 제어 신호선들에 대한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후크부(120)는 몸체(129)를 가지며, 몸체(120)의 바닥측에 그 하부로 대상 설치물과 연결되기 위해 설치된 후크(121)를 포함한다. 후크(121)는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스위블(swibel) 후크일 수 있다.
또한, 후크부(120)는 몸체(129)의 바닥측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된 양측 플레이트(126, 127)를 포함하며, 양측 플레이트(126, 127) 사이가 종방향 적재 공간(124)을 형성한다. 또한, 후크부(120)는 양측 플레이트의 상단에서 소정의 깊이까지(예, 바닥까지) 마주보도록 형성된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가 횡방향 적재공간(123)을 형성한다.
또한, 도 1과 같이, 한쌍의 하중 로프(20)가 구동부(110)와 후크부(120) 사이에 평행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한쌍의 하중 로프(20) 사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어 케이블(130)이 구비된다. 또한, 후크부(120)는 제어 케이블(130)의 타단, 즉, 후크부(120) 측 단부에 대한 제2 터미널블록(1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터미널블록(125)는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커넥터 또는 잭 형태의 접속 단자일 수 있고, 후크부(120) 몸체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내측에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외부에서 보이는 외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어 케이블(130)은 전원 케이블 및 후크(121)에 장착된 대상 설치물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신호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대상 설치물에 따라 달라질 있으나, 예를 들어, 대상 설치물이 조명 기구 등인 경우, 상기 제2 터미널블록(125)는 해당 조명 기구로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2가닥/3가닥 전원 케이블에 대한 단자들 및 상기 조명 기구의 조도, 색상 등의 변경이나 자동 조명 연출 등을 위해 상기 조명 기구와 접속되기 위한 복수의 제어 신호선들에 대한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케이블(130)은 소정의 길이마다 지그재그 접힘을 위한 접힘부들(131)을 포함한다. 한쌍의 하중 로프(20)가 승강함에 따라 제어 케이블(130)은 접힘부들(131)에서 펴지거나 접혀질 수 있다. 즉, 한쌍의 하중 로프(20)가 상승하면 제어 케이블(130)은 접힘부들(131)에서 자연스럽게 접힘이 이루어져 지그재그로 접혀질 수 있으며, 한쌍의 하중 로프(20)가 하강하면 제어 케이블(130)은 접힘부들(131)에서 자연스럽게 펴지면서 한쌍의 하중 로프(20)를 따라 구동부(110)와 후크부(120) 사이에 복수의 신호선들이 연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접힘부들(131)은 복수의 신호선들의 소정의 길이마다 연장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한 후 그 단부에 케이블 타이 등 바인딩 부재를 결속하여 지그재그 접힘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상기 바인딩 부재 부분일 수 있으며, 또는, 접힘부들(131)은 복수의 신호선들의 소정의 길이마다 연장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한 후 그 단부를 접착재 등으로 접착시켜 놓은 부분일 수도 있고, 접힘부들(131)은 복수의 신호선들의 소정의 길이마다 연장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한 후 그 단부 피복에 압력을 가하여 접힘 형상(예, 형상 변형이 유지되는 피복 접힘)이 생기게 한 부분일 수도 있다.
지지바들(140)은 제어 케이블(130)의 접힘부들(131) 사이에 하나씩 결합된 각각의 지지바를 포함한다. 지지바들(140) 각각은 양단 각각이 한쌍의 하중 로프(20)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지지바들(140)은 양단 각각이 하중 로프(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도 1의 하중 로프(20)에 결합된 지지바(140) 주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바(140)는 상판과 하판을 구비하여 그 사이에 제어 케이블(130)이 지나가도록 결합될 수 있디. 지지바(140)는 한쌍의 하중 로프(20)가 소정의 이격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바(140)의 상판과 하판은 그 사이에 제어 케이블(130)을 배치하고 볼트 및/또는 너트 등 체결 수단이 제어 케이블(130)을 사이에 둔 대향 위치에 위치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바들(140)은 양단 각각이 하중 로프(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지지바(140)의 하판에서 연장된 양측 접힘부분에 결합 구멍이 존재하고, 하중 로프(20)에 관통 구멍이 끼워진 결합 부재(143)의 나사산(145)이 상기 결합 구멍에 삽입되어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제어 케이블(130)을 지지하되, 상기 볼티의 조임을 적절히 조절하여 지지바들(140)은 양단 각각이 하중 로프(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바들(140)이 횡방향 적재공간(123)에 적재되는 동안 적재가 용이하고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하중 로프(20)에 관통 구멍이 끼워진 상기 결합 부재(143)에는 거기에 접하도록 고무 등 탄성 부재(141)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 부재(141)는 하중 로프(20)에 관통 구멍이 끼워진 형태일 수 있고, 상기 결합 부재(143) 상에 접착되거나 소정의 체결 수단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튼 호이스트 장치(100)는, 구동부(110)의 동력 장치를 구동하여 전달되는 동력으로 한 쌍의 와이어 드럼(111)을 회전시키면서, 후크부(120)에 연결된 한 쌍의 하중 로프(20) 각각을, 도입 롤러(112)를 통해 와이어 드럼(111) 각각에 감아서 후크부(120)를 올리거나, 와이어 드럼(111)에 감긴 하중 로프(20)를 와이어 드럼(111)으로부터 역방향으로 풀어 후크부(120)를 내려 주도록 작동할 수 있다. 후크부(120)의 승강 방향의 선택, 승강 속도의 선택, 정지 등은 동력 장치(미도시)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미도시)에 구비된 인터페이스(예, 스위치, 버튼, 터치스크린, 무선 통신 장치 등)를 통해 전기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호이스트 장치(100)는, 상기 동력 장치의 구동에 따라, 도입 롤러(112)를 통해 와이어 드럼(111)에 하중 로프(20)를 감거나, 감긴 하중 로프(20)를 와이어 드럼(111)으로부터 풀어 주는 동안, 도 5와 같이 제어 케이블(130)을 종방향 적재 공간(124)에 지그재그 접어 적재하고, 지지바(140)를 횡방향 적재공간(123)에 순서대로 적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종래의 호이스트 장치는 이러한 하중 로프(20) 관련 부재의 적재 공간과 이러한 제어 케이블(130)의 적재 공간에 대한 최적화 고려 없이 설계되어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의 호이스트 장치(100)는, 하중 로프(20)의 승강 동안에, 최소 공간에 제어 케이블(130)의 엉킴 없이 종방향 적재 공간(124)에 지그재그 적재될 수 있으며, 지지바(140)를 횡방향 적재공간(123)에 하중 로프(20)의 엉킴 없이 무소음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 장치(100)에 따르면, 하중 로프(20) 지지바(140)의 적재 공간과 제어 케이블 적재 공간이 공유되며 하중 로프(20) 지지바(140)의 적재 방향과 제어 케이블(130)의 적재 방향은 서로 교차하도록 구성되어 하중 로프(20) 지지바(140)의 상하 적재와 제어 케이블(130)의 접힘 적재가 최적화되어 적재됨으로써, 한정된 설치 공간에서도 설치물의 승강을 위하여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하중 로프(20)
구동부(110)
제1 터미널블록(115)
모터 단자(116)
후크부(120)
제2 터미널블록(125)
제어 케이블(130)
접힘부들(131)
지지바(140)
종방향 적재 공간(124)
횡방향 적재공간(123)

Claims (5)

  1. 동력 장치가 회전시키는 회전축의 좌우에 하나씩 결합된 한쌍의 와이어 드럼 및 상기 한쌍의 와이어 드럼과 정렬되어 고정된 한쌍의 도입 롤러를 포함하는 구동부;
    몸체를 가지며, 상기 몸체의 바닥측에 설치물과 연결되기 위한 후크가 설치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몸체의 바닥측으로부터 연장된 양측 플레이트 사이가 종방향 적재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양측 플레이트의 상단에서 소정의 깊이까지 마주보는 개구가 횡방향 적재공간을 형성하는 후크부;
    상기 구동부와 상기 후크부 사이에 연결된 한쌍의 하중 로프, 및 복수의 신호선들을 포함하는 제어 케이블; 및
    상기 제어 케이블의 지그재그 접힘을 위한 접힘부들 사이에 하나씩 결합된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의 양단 각각이 상기 한쌍의 하중 로프에 결합된 복수의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 장치의 구동에 따라, 상기 도입 롤러를 통해 상기 와이어 드럼에 상기 하중 로프를 감거나, 감긴 상기 하중 로프를 상기 와이어 드럼으로부터 풀어 주는 동안, 상기 제어 케이블을 상기 종방향 적재 공간에 지그재그 접어 적재하고, 상기 지지바를 상기 횡방향 적재공간에 적재하는 호이스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장치의 회전축에 연결된 기어 구조물을 이용하여 상기 와이어 드럼에 감기는 상기 하중 로프의 하한 및 상한 위치를 감지해 상기 동력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호이스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어 케이블의 일단에 대한 제1 터미널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제어 케이블의 타단에 대한 제2 터미널블록을 포함하는 호이스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케이블은 전원 케이블 및 상기 후크에 장착된 설치물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신호 케이블을 포함하는 호이스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의 양단 각각이 상기 하중 로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호이스트 장치.
KR1020220108597A 2022-08-29 2022-08-29 공간 최소화 호이스트 장치 KR202400300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597A KR20240030055A (ko) 2022-08-29 2022-08-29 공간 최소화 호이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597A KR20240030055A (ko) 2022-08-29 2022-08-29 공간 최소화 호이스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0055A true KR20240030055A (ko) 2024-03-07

Family

ID=90272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8597A KR20240030055A (ko) 2022-08-29 2022-08-29 공간 최소화 호이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00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42982B2 (ja) ワイヤー及びケーブル方式で連結されて昇降自在であり、空気清浄機が取り付けられた灯器具装置
EP3071507B1 (en) Lift assembly with load cells
EP3071506B1 (en) Lift assembly with tapered drums
KR20240030055A (ko) 공간 최소화 호이스트 장치
KR101713633B1 (ko) 리깅장치
EP0574817A1 (en) Device for suspending a working cage
CN200940423Y (zh) 叠升式卷帘
KR101566326B1 (ko)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
KR100905039B1 (ko) 일체형 무대장치
JP6910853B2 (ja) 室内揚重装置
KR101020838B1 (ko) 와이어의 드럼 이탈을 방지하는 무대장치
JP5098389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ケーブル吊手装置
JPH07206379A (ja) ジブクレーンの巻上げ索調整方法とその装置
CN114197736A (zh) 一种电动升降吊顶板结构及安装方法
KR20230149449A (ko) 위치 조정이 자유로운 바튼 승강 구동장치
JPH0761773A (ja) ジブクレーン
JP4956286B2 (ja) クレーン設置時におけるウインチドラムワイヤ巻取方法
JP2012012866A (ja) 横型ブラインド
KR200184385Y1 (ko) 세탁물 건조대
KR101177562B1 (ko) 무대장치
KR200398537Y1 (ko) 무대장치설비 승하강 장치
CN1888367B (zh) 叠升式卷帘
KR200443626Y1 (ko) 착탈되는 자동와이어 드럼을 갖는 곤돌라 지지대
KR200362745Y1 (ko) 3-방향 이동이 가능한 무대 설비 이송용 호이스트
KR200386847Y1 (ko) 무대소품 승강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