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847Y1 - 무대소품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무대소품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847Y1
KR200386847Y1 KR20-2005-0007719U KR20050007719U KR200386847Y1 KR 200386847 Y1 KR200386847 Y1 KR 200386847Y1 KR 20050007719 U KR20050007719 U KR 20050007719U KR 200386847 Y1 KR200386847 Y1 KR 2003868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inner case
case
drive uni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7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채
Original Assignee
조영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채 filed Critical 조영채
Priority to KR20-2005-00077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8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8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8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대소품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무대소품 승강장치는 상부지지판과 하부지지판 사이에 설치된 신축파이프의 구조가 복잡하고, 신축파이프의 길이만큼 외부케이스의 크기를 크게 해야 함으로 천장 마감판과 천장슬라브 사이의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등 설치하는데 제한을 받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무대소품을 상승시킬 때 상승되는 길이를 제어하는 수단이 없어 구동부에 순간적으로 부하가 걸리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예시도 2 내지 예시도 6 에 표현된 바와 같이, 구동부(100)에 권취수단(110)을 설치하고, 구동부(100)의 일측으로 지지부(120)를 설치하며, 외부케이스(200)의 내면(210)과 일치하는 외면(310)을 갖춘 내부케이스(300)를 설치하고, 내부케이스(300)와 지지부(120) 사이에 수직상방향의 제어봉(410)과 리미트스위치(420)로 이루어진 제어수단(400)을 설치하여 구동부(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내부케이스(200)를 상승시킬 때 제어수단(400)에 의해 구동부(100)에 부하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내부케이스(300)의 외면(310)이 외부케이스(200)의 내면(210)과 접하는 상태로 승강되어 횡방향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은 신축파이프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외부케이스(200)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무대소품 승강장치{Lifting equipment for stage properties}
본 고안은 무대소품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천장에 설치하는 영사기기 또는 조명기기 등의 무대소품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내외부케이스로 구성하여 그 부피를 최소화 하면서 승강시 횡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 무대소품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사기나 조명기 등의 무대소품은 그 무게가 많이 나가므로 수동으로 올리거나 내릴 수 없어 전동모우터와 와이어를 이용한 승강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무대소품은 단순히 와이어를 이용한 승강방식을 채용하고 있어 승강시 전후좌우로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천장에 고정설치한 상부지지판과 무대소품을 설치한 하부지지판 사이에 신축실린더를 설치하여 흔들림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무대소품 승강장치는 예시도 1에 표현된 바와 같이, 박스형 외부케이스(10)의 상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박판형 로프(11)의 일단부가 접합되어 감겨진 구동부(12)가 중앙에 설치된 상부지지판(13)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지지판(13)의 관통홀에 안테나식으로 그 길이가 가변되는 신축파이프(20)의 상단부가 설치되며, 상기 신축파이프(20)의 하단부에 무대소품(1)이 설치되는 하부지지판(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신축파이프(20)는 외측파이프(21)와 제1·2내측파이프(22)(23)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파이프(21)의 상단과 제2내측파이프(23)의 하단에는 각각 상부고정프렌지(24)와 하부고정프렌지(2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파이프(21)는 내측으로 가이드돌기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내측파이프(22)는 내측으로 길이방향의 제1가이드돌기가 외측으로는 길이방향의 제1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내측파이프(23)는 외측으로 길이방향의 제2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고정프렌지(25)의 하단부에는 박판형 로프(11)의 단부가 접합된 걸림핀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지지판(30)은 그 중앙에 하부고정프렌지(25)의 하단부가 끼워지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다수의 연결보울트(31)에 의해 받침판(32)이 설치되며 그 사이에 무대소품(1)이 설치되어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구동부(12)는 동종업계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구조이므로 도면은 생략했으며, 기본적으로 그 구조는 모우터본체와 회전파이프로 이루어져 있고, 모우터본체의 양측에 각각 회전축이 형성되어 공회전부싱과 연결구가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모우터본체는 회전파이프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무대소품 승강장치는 박판형 로프(11)의 일단부가 구동부(12)의 회전파이프에 부착되어 일체를 이루고, 박판형 로프(11)의 타단부는 신축파이프(20)의 하단부에 걸려있는 걸림핀과 일체를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구동부(12)가 정회전(시계방향으로 회전) 되면 박판(11)은 구동부(12)의 회전파이프에 감기면서 신축파이프(20)의 제1·2내측파이프(22)(23)를 끌어 올리게 됨으로 신축파이프(20)는 수축되어 무대소품(1)(영사기기나 조명기기)이 상승되면서 외부케이스(10)의 내부에 위치되고, 연결보울트(31)에 의해 일체를 이루고 있는 받침판(32)이 외부케이스(10)의 밑면을 밀폐시켜 외관이 깨끗하게 처리된다.
이와는 반대로 구동부(12)가 역회전하게 되면 무대소품(1)이 설치된 하부지지판(30)의 하중에 의해 신축파이프(20)를 이루고 있는 각각의 제1·2내측파이프(22)(23)는 수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되어 무대소품(1)은 외부케이스(10)로부터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외부케이스(10)는 도면상 천장 마감판이나 천장 슬라브에 앵커보울트를 이용하여 상부지지판(13)이 고정 설치되며, 이것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설치방법이므로 도면상 생략되었다.
그러나, 상기 무대소품 승강장치는 상부지지판(13)과 하부지지판(30) 사이에 설치된 신축파이프(20)의 구조가 복잡하고, 신축파이프(20)의 길이만큼 외부케이스(10)의 크기를 크게 해야 함으로 천장 마감판과 천장슬라브 사이의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등 설치하는데 제한을 받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무대소품(1)을 상승시킬 때 상승되는 길이를 제어하는 수단이 없어 구동부에 순간적으로 부하가 걸리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무대소품 승강장치가 지닌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구동부에 로프의 권취수단을 설치하고, 외부케이스 내에서 승강하는 내부케이스를 설치하여 승강장치의 부피를 최소화시킴으로서 설치작업을 용이하면서 승강작용시 횡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구동부의 일측으로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설치하여 상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무대소품 승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부지지판과 일체를 이루며 무대소품이 설치된 받침판과 구동부가 설치된 상부지지판 사이에 로프를 설치하여 받침판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 무대소품 승강장치에 있어서, 구동부에 권취수단을 설치하고, 구동부의 일측으로 지지부를 설치하며, 외부케이스의 내면과 일치하는 외면을 갖춘 내부케이스를 설치하고, 내부케이스와 지지부 사이에 수직상방향의 제어봉과 리미트스위치로 이루어진 제어수단을 설치하여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내부케이스의 상면 중앙에 일단이 고정된 로프는 구동부의 권취수단에 적층식으로 권취되어 무대소품이 설치된 받침판이 상승하게 되고, 이때 받침판과 일체를 이루는 내부케이스는 외부케이스의 내면과 접하는 상태도 상승되어 횡방향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무대소품이 설치된 받침판과 일체를 이루는 내부케이스를 끌어 올릴 때 구동부 제어수단에 의해 일정위치에서 제어함으로서 구동부에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무대소품 승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예시도 3 의 (a)(b)는 본 고안에 따른 무대소품 승강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예시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무대소품 승강장치의 구동부 분해사시도이고, 예시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구동부에 설치된 권취풀리의 단면도이고, 예시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구동부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부지지판(30)과 일체를 이루며 무대소품(1)이 설치된 받침판(32)과 구동부(12)가 설치된 상부지지판(13) 사이에 박판형 로프(11)를 설치하여 받침판(32)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 무대소품 승강장치에 있어서, 구동부(100)는 양측단에 지지브라켓(125)(126)을 설치하여 상부지지판(13)에 설치되어 지되, 상기 구동부(100)에 권취수단(110)을 설치하고, 일측으로 사각돌기(122)가 갖춰진 지지부(120)를 설치하며, 상기 지지부(120)의 사각돌기(122)를 사각홀(124)이 갖춰진 지지브라켓(126)에 끼워 지지부(120)를 고정시키고, 외부케이스(200)의 내부에는 외부케이스(200)의 내면과 일치하는 외면(310)을 갖춘 내부케이스(300)를 설치하고, 내부케이스(300)와 지지부(120) 사이에 수직상방향의 제어봉(410)과 리미트스위치(420)로 이루어진 제어수단(400)을 설치하여 구동부(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제어봉(410)은 내부케이스(300)의 밑면(320)에 설치하고, 리미트스위치(420)는 제어봉(410)의 상단부와 접하는 지지부(120)의 외주면에 설치하여 내부케이스(300)가 상승할 때 제어봉(410)의 상단부가 리미트스위치(42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권취수단(110)은 구동부(100)에 권취풀리(112)를 설치하여 로프(114)를 적층식으로 권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권취수단(110)은 구동부(100)의 외면에 나선형의 홈부(116)를 형성하여 로프(114)가 일정한 위치에 권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50은 구동부(100)의 양측에 설치된 지지브라켓(125)(126)을 상부지지판(13)과 결합시켜 주는 결합비스이고, 52는 상부지지판(13)과 외부케이스(200)를 일체를 이루게 하는 결합보울트이며, 54는 로프(114)의 하단부를 내부케이스(300)의 밑면(320)에 결합시켜 주는 브라켓이고, 56은 천장 슬라브이며, 58은 천장 슬라브(56)에 설치된 앵커보울트이고, 60은 천장 마감판 이며, 62는 구동부(100)의 모우터본체이고, 64는 모우터본체(62)와 결합되는 회전파이프이며, 66은 모우터본체(62)와 회전파이프(64)를 결합시켜 주는 한 쌍의 연결구이고, 이하 본 고안의 설명 중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종래기술에서 사용한 부호와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구동부(100)에 전원이 공급되어 구동부(10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구동부(100)의 권취수단(110)에 권취되어 있는 로프(114)가 감기거나 풀리게 되어 무대소품(1)은 승강하게 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시도 2와 예시도 3의 (a)(b)에 표현된 바와 같이, 구동부(100)에는 로프(1)의 일단이 일체를 이루는 권취수단(110)이 설치되어 있고, 구동부(100)의 일측에는 사각돌기(122)가 형성된 지지부(120)가 힌지을 이루면서 상기 지지부(120)의 사각돌기(122)는 지지브라켓(126)의 사각홀(124)에 끼워져 구동부(100)가 회전되더라도 지지부(120)는 정지된 상태를 이루게 되며, 구동부(100)의 다른 일측에는 구동부(100)의 회전축을 잡아주는 지지브라켓(125)에 의해 지지되어 결과적으로 구동부(100)는 양측의 지지브라켓(125)(126)에 의해 상부지지판(13)에 부착되어 안정된 상태로 작동하게 된다.
상기 권취수단(110)에 일단이 일체를 이루고 있는 로프(114)의 다른 일단은 내부케이스(300)의 밑면(320) 중앙에 브라켓(54)에 의해 일체를 이루고 있어 구동부(100)가 작동함에 따라 내부케이스(300)는 외부케이스(200) 내에서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외부케이스(200)의 내면(210)과 내부케이스(300)의 외면(310)이 서로 접하는 상태로 승강되어 내부케이스(300)와 연결보울트(31)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무대소품(1)을 포함한 받침판(32)은 흔들리거나 회전됨이 없이 안정된 상태로 승강하게 되는데, 이것은 사각육면체를 이루는 외부케이스(200)의 내면(210)을 따라 내부케이스(300)의 외면(310)이 접하는 상태로 승강됨으로 결과적으로 외부케이스(200)가 내부케이스(300)의 승강작용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가이드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외부케이스(200)는 천장 슬라브(56)에 설치된 앵커보울트(58)와 결합되어 안정된 상태를 이루게 되며, 상기 천장 슬라브(56)에 설치된 앵커보울트(58)의 길이를 조정하여 외부케이스(200)의 하단이 천장 마감판(60)과 일치되도록 설치되어 외부케이스(200)의 상하단은 천장에 안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부(100)에 전원이 정방향으로 공급되면 구동부(100)의 회전이 정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권취수단(110)에 로프(114)가 감기게 되면서 내부케이스(300)는 외부케이스(200)의 내면(210)을 따라 안정적으로 상승하게 되어 내부케이스(200)와 연결보울트(31)에 의해 일체를 이루고 있는 받침판(32)이 외부케이스(200)의 하단부까지 상승하게 되고, 이때 내부케이스(300)의 상승위치는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내부케이스(300)의 밑면(320)에 설치된 제어봉(410)의 상단부가 상부지지판(13)의 관통홀을 통해 구동부(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부(120)의 리미트스위치(420)에 접촉되어 구동부(100)의 전원을 차단시킴으로서 상승되던 내부케이스(300)는 일정한 위치에서 정지된다.(예시도 3의 a 참조)
상기와는 반대로 구동부(100)에 전원이 역방향으로 공급되면 구동부(100)의 회전이 역방향(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권취수단(110)에 감겨져 있던 로프(114)가 풀리면서 내부케이스(300)는 외부케이스(200)의 내면(210)을 따라 안정적으로 하강하게 되어 연결보울트(31)에 의해 일체를 이루고 있는 무대소품(1)이 설치된 받침판(32)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이때 내부케이스(300)의 외면(310)은 외부케이스(200)의 내면(210)과 일부 중첩된 상태를 이루고 있어 외부에 노출된 무대소품(1)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예시도 3의 b 참조)
상기 구동부(100)에 설치된 권취수단(11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시도 4 내지 예시도 6에 표현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100)는 동종업계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그 구조는 모우터본체(62)와 회전파이프(64)로 이루어져 있고, 모우터본체(62)의 양측에 각각 회전축이 형성되어 연결구(66)가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모우터본체(62)는 회전파이프(64)의 내부에 설치된다.(예시도 4 참조)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구동부(100)의 외주면에 설치되거나 형성되는 권취수단(110)은 예시도 5에 표현된 바와 같이 풀리형상의 권취풀리(112)가 구동부(100)에 설치되어 로프(114)를 권취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권취되는 로프(114)는 적층식으로 권취되어 승강되는 무대소품(1)을 포함한 내부케이스(200)는 일정하게 안정된 상태로 승강된다.
또한, 권취수단(110)의 다른 일예로서 예시도 6에 표현된 바와 같이 구동부(100)의 외주면에 나선형의 홈부(116)를 형성하여 로프(114)를 권취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권취되는 로프(114)는 나선형의 홈부(116)를 따라 순차적으로 권취되어 승강되는 무대소품(1)을 포함한 내부케이스(200)는 일정하게 안정된 상태로 승강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구동부(100)에 권취수단(110)을 설치하고, 구동부(100)의 일측으로 지지부(120)를 설치하며, 외부케이스(200)의 내면(210)과 일치하는 외면(310)을 갖춘 내부케이스(300)를 설치하고, 내부케이스(300)와 지지부(120) 사이에 수직상방향의 제어봉(410)과 리미트스위치(420)로 이루어진 제어수단(400)을 설치하여 구동부(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내부케이스(200)를 상승시킬 때 제어수단(400)에 의해 구동부(100)에 부하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내부케이스(300)의 외면(310)이 외부케이스(200)의 내면(210)과 접하는 상태로 승강되어 횡방향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은 신축파이프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외부케이스(200)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설치작업이 용이 한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 무대소품 승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무대소품 승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 의 (a)(b)는 본 고안에 따른 무대소품 승강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은 본 고안에 따른 무대소품 승강장치의 구동부 분해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구동부에 설치된 권취풀리의 단면도,
도 6 는 본 고안에 따른 구동부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구동부, 110 - 권취수단,
112 - 권취풀리, 114 - 로프,
116 - 홈부,
120 - 지지부, 122 - 사각돌기,
124 - 사각홀, 125·126 - 지지브라켓,
200 - 외부케이스, 210 - 내면,
300 - 내부케이스, 310 - 외면,
320 - 밑면,
400 - 제어수단, 410 - 제어봉,
420 - 리미트스위치.

Claims (3)

  1. 하부지지판(30)과 일체를 이루며 무대소품(1)이 설치된 받침판(32)과 구동부(12)가 설치된 상부지지판(13) 사이에 박판형 로프(11)를 설치하여 받침판(32)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 무대소품 승강장치에 있어서, 구동부(100)는 양측단에 지지브라켓(125)(126)을 설치하여 상부지지판(13)에 설치되어 지되, 상기 구동부(100)에 권취수단(110)을 설치하고, 일측으로 사각돌기(122)가 갖춰진 지지부(120)를 설치하며, 상기 지지부(120)의 사각돌기(122)를 사각홀(124)이 갖춰진 지지브라켓(126)에 끼워 지지부(120)를 고정시키고, 외부케이스(200)의 내부에는 외부케이스(200)의 내면과 일치하는 외면(310)을 갖춘 내부케이스(300)를 설치하고, 내부케이스(300)와 지지부(120) 사이에 수직상방향의 제어봉(410)과 리미트스위치(420)로 이루어진 제어수단(400)을 설치하여 구동부(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제어봉(410)은 내부케이스(300)의 밑면(320)에 설치하고, 리미트스위치(420)는 제어봉(410)의 상단부와 접하는 지지부(120)의 외주면에 설치하여 내부케이스(300)가 상승할 때 제어봉(410)의 상단부가 리미트스위치(42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소품 승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권취수단(110)은 구동부(100)에 권취풀리(112)를 설치하여 로프(114)를 적층식으로 권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소품 승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권취수단(110)은 구동부(100)의 외면에 나선형의 홈부(116)를 형성하여 로프(114)가 일정한 위치에 권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소품 승강장치.
KR20-2005-0007719U 2005-03-22 2005-03-22 무대소품 승강장치 KR2003868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719U KR200386847Y1 (ko) 2005-03-22 2005-03-22 무대소품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719U KR200386847Y1 (ko) 2005-03-22 2005-03-22 무대소품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847Y1 true KR200386847Y1 (ko) 2005-06-16

Family

ID=43688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719U KR200386847Y1 (ko) 2005-03-22 2005-03-22 무대소품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8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370B1 (ko) * 2011-04-29 2013-03-18 주식회사 일진하이텍 무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370B1 (ko) * 2011-04-29 2013-03-18 주식회사 일진하이텍 무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6791B1 (ko) 등기구 고정장치 및 천장설치기구 고정장치
KR200386847Y1 (ko) 무대소품 승강장치
KR100433712B1 (ko) 무대소품 승강장치
KR100905039B1 (ko) 일체형 무대장치
KR20100013472A (ko) 드럼 좌우측에 안내롤러를 갖는 그릴 승하강장치
JP2007327221A (ja) 作業用足場
KR100748042B1 (ko) 프로젝션 리프트
JP3087894B1 (ja) 幕昇降装置
KR200276805Y1 (ko) 무대소품 승강장치
JP2001184935A (ja) 昇降形照明装置
KR200365042Y1 (ko) 프로젝터 리프터
KR200398537Y1 (ko) 무대장치설비 승하강 장치
JP2007076854A (ja) マンコンベア用制御装置の持ち出し装置
KR200442254Y1 (ko) 무대소품을 동일한 속도로 승강토록 하는 배튼 승강장치
JP6545965B2 (ja) クライミングクレーン
KR100480457B1 (ko) 무대의 바튼 승강장치
CN215326564U (zh) 支架吊装装置
KR20060119000A (ko) 2단 주차 시스템
KR200302101Y1 (ko) 조명등 승강장치
CN219885626U (zh) 一种模具翻转平台
KR200171010Y1 (ko) 커텐 권취부의 드럼 연결장치
JP2005251536A (ja) 昇降式照明装置
KR200424458Y1 (ko) 프로젝터 리프터
JPH11333197A (ja) 天井物干し装置
JPH1077198A (ja) 荷揚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