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9000A - 2단 주차 시스템 - Google Patents
2단 주차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119000A KR20060119000A KR1020050041496A KR20050041496A KR20060119000A KR 20060119000 A KR20060119000 A KR 20060119000A KR 1020050041496 A KR1020050041496 A KR 1020050041496A KR 20050041496 A KR20050041496 A KR 20050041496A KR 20060119000 A KR20060119000 A KR 200601190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nk
- parking
- plate
- coupled
- vehic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2—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 E04H6/06—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with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065—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with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using tiltable floors or ramp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 2단으로 주차할 수 있는 2단 주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단에 차량이 주차된 상태에서도 상단에 차량을 주차하거나 또는 주차된 차량을 출차할 수 있는 2단 주차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차판과; 상기 주차판의 길이방향 일측면 중도부에 견고히 결합되는 삼각 지지판과; 일측은 상기 삼각 지지판의 끝단에 힌지 결합되며, 타측은 바닥의 고정판에 힌지 결합되는 제 1링크와; 상기 제 1링크와 나란하게 구비되어 일측은 상기 삼각 지지판의 중도부에 힌지 결합되며, 타측은 주차장 바닥의 고정판에 힌지 결합되는 제 2링크와; 일측은 상기 제 2링크의 중도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바닥의 고정판에 결합되는 승하강 장치와; 상기 실린더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공간이 협소한 장소에 차량을 2단으로 주차하여 공간의 활용을 높이는 것은 물론, 하단에 차량의 유무에 상관없이 상단의 주차판에 차량을 주차 또는 출차할 수 있으므로 활용도가 높아 매우 경제적인 2단 주차 시스템이다.
주차 시스템, 링크, 수평, 회전, 실린더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단 주차 시스템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2단 주차 시스템의 측면을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2단 주차 시스템의 삼각 지지대를 분리하여 도시한 예시도
도 4a는 일렬주차된 차량이 있는 상태에서 본 발명의 2단 주차 시스템에 주차를 하기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b는 일렬주차된 차량이 있는 상태에서 본 발명의 2단 주차 시스템에 2단으로 주차를 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5a는 직각주차된 차량이 있는 상태에서 본 발명의 2단 주차 시스템에 주차를 하기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5b는 직각주차된 차량이 있는 상태에서 본 발명의 2단 주차 시스템에 2단으로 주차를 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2단 주차 시스템이 승하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단 주차 시스템의 측면을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단 주차 시스템이 승하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주차판 20 : 제 1링크
21,22,31,32,63,81 : 힌지 30 : 제 2링크
40 : 삼각 지지판 50 : 고정판
60 : 승하강 장치부 61 : 실린더
62 : 피스톤 64 : 로프
65 : 윈치 70 : 작동부
80 : 중간 체결판
본 발명은 상,하 2단으로 주차할 수 있는 2단 주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단에 차량이 주차된 상태에서도 상단에 차량을 주차하거나 또는 주차된 차량을 출차할 수 있는 2단 주차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에는 거의 대부분의 가정에서 자동차를 보유하고 있으나, 주차를 할 수 있는 공간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대형 빌딩이 밀집해 있는 곳에서는 공간의 효 율성 확보를 위해 행거에 의해 지지된 파레트를 다단으로 구비하여 현가장치에 의해 상기 파레트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순환시키면서 주차 또는 출차를 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주차 시스템은 수직으로 높게 탑재 공간을 확보하여야 함에 따라, 외관상 혐오감을 줄 수 있고 안전상 위험에 노출되기 때문에 외벽이 구비된 별도의 건물을 구축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주차 시스템은 협소한 공간에 많은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소형 빌딩이나 주택가에서는 적용하기에는 설치비가 많이 소요되고 주변 건물과의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소형 빌딩이나 주택가 등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2단 주차 시스템을 많이 설치하고 있는 바, 이러한 주차 시스템은 바닥에서 바로 주차를 할 수 있는 하단 주차판과, 상기 하단 주차판의 상면에 대략 X자 형태로 교차되는 지지대에 의해 연결되는 상단 주차판의 복층으로 이루어져, 두 대의 차량을 동시에 주차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2단 주차 시스템도 하단 주차판에 차량이 있는 경우에는 상단 주차판을 하강시킬 수가 없으므로, 하단 주차판의 차량이 없는 상태에서 상단 주차판에 차량을 주차하거나 출차시켜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하단 주차판에 차량이 있는 경우에는 상단 주차판에 차량을 주차할 수가 없으며, 상단 주차판의 차량을 출차하고자 할 시에 하단 주차판의 차량을 출차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상단 주차판의 차량을 출차할 수가 없기 때문에, 상단 주차판은 거의 사용을 하지 않아 고가의 장비를 활용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로 인해 경제적인 낭비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2단 주차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발명으로서, 협소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차량을 2단으로 주차할 수 있도록 함에 그 기본 목적이 있으며, 하단의 차량 유무에 상관없이 상단 주차판에 차량을 주차하거나 출차할 수 있는 2단 주차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차판의 승하강 작동 시 항상 평형을 유지하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주차판과; 상기 주차판의 길이방향 일측면 중도부에 견고히 결합되는 삼각 지지판과; 일측은 상기 삼각 지지판의 끝단에 힌지 결합되며, 타측은 바닥의 고정판에 힌지 결합되는 제 1링크와; 상기 제 1링크와 나란하게 구비되어 일측은 상기 삼각 지지판의 중도부에 힌지 결합되며, 타측은 주차장 바닥의 고정판에 힌지 결합되는 제 2링크와; 일측은 상기 링크 중 하나와 결합되고, 타측은 주차장 바닥의 고정판에 결합되어 상기 주차판을 승하 강시키는 승하강 장치부와; 상기 실린더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삼각 지지판의 밑변과 높이와의 사이각은 120 ~ 140˚인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링크와 제 2링크는 길이가 동일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하강 장치부는 유압/공압의 실린더로서, 일측이 제 2링크와 결합되거나, 또는, 윈치로서 일측이 제 1링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차판이 바닥에 완전히 내려져 닿았을 때, 제 2링크와 결합된 실린더의 끝단이 고정판에 결합된 끝단 보다 다소 높게 위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실린더의 작동 시 제 2링크가 상승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단 주차 시스템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2단 주차 시스템의 측면을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2단 주차 시스템의 삼각 지지대를 분리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다.
또한, 도 4는 일렬주차된 차량이 있는 상태에서 본 발명의 2단 주차 시스템에 주차를 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5는 직각주차된 차량이 있는 상태에서 본 발명의 2단 주차 시스템에 주차를 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2단 주차 시스템이 승하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차량(1)을 주차할 수 있는 강도와 면적을 가진 장방형으로 되는 공지의 주차판(10)이 구비되며, 상기 주차판(10)에서 제 1링크(20)와 제 2링크(30)가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 1링크(20) 및 제 2링크(30)는 다시 바닥측의 고정판(50)에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2링크(30)에는 승하강 장치부(60)의 일측을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고정판(50)에 결합하며, 작동부(70)에 의해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주차판(10)의 길이방향, 즉, 차량(1)이 주차되는 경우 차량의 측면에 해당하는 주차판(10)의 중도부에 삼각 지지판(40)을 견고히 결합하고, 상기 삼각 지지판(40)의 상측 끝단에는 제 1링크(20)를 힌지(21)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제 1링크(20)와 다소 이격된 위치에 제 2링크(30)를 힌지(31) 결합한다.
삼각 지지판(40)에 일측이 힌지(21)(31) 결합된 제 1링크(20)와 제 2링크(30)의 타측은, 다시 주차장의 바닥에 견고히 고정 결합된 삼각형 형태의 고정판 (50)에 각각 힌지(22)(32) 결합된다. 물론, 상기 고정판(50)의 뒷측에는 회전되는 제 1링크(20)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걸림판(51)이 구비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삼각 지지판(40)의 밑면(41)과 높이(42)와의 사이 각(α)이 90˚보다 는 커야하고 180˚보다는 작아야 작동이 가능하다. 이는 상기 사이 각(α)이 너부 작은 경우에는 제 1링크(20)와 제 2링크(30)가 회전함에 있어 서로 간섭이 되어 수직으로 나란하게 위치하기가 어려우며, 또한, 사이 각(α)이 너무 큰 경우에도 서로 간섭이 되어 수평으로 나란하게 위치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사이 각(α)은 대략 120˚~140˚정도 사이의 각이 작동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링크(20)와 제 2링크(30)는 길이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힌지(21)(22)(31)(32)를 축으로 회전 시 서로 간섭을 받지 않고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 2링크(30)와 고정판(50) 사이에는 상기 제 2링크(30)를 승하강 시킬 수 있는 승하강 장치부(60)를 결합하는 바, 상기 승하강 장치부(60)는 유압/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61) 또는 윈치(63)가 바람직하다.
승하강 장치부(60)를 실린더(61)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실린더(61)의 피스톤(62) 일측을 제 2링크(30)에 힌지 결합하나, 작동의 원활함을 위해 제 2링크(30)의 중도부에 중간 체결판(80)을 견고히 결합하여 구비하고, 상기 중간 체결판(80)에 실린더(61)의 피스톤(62)을 힌지(81)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61)의 타측은 주차장 바닥의 고정판(50)에 힌지(63) 결합하는 바, 상기 주차판(10)이 바닥에 완전히 내려져 닿았을 때, 제 2링크(30)와 결합된 실린더(61)의 힌지(81) 측이 고정판(50)에 결합된 힌지(63)측 보다 다소 높게 위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실린더(61)의 피스톤(62)이 인출 시 제 2링크(30)가 상승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승하강 장치부(60)에 윈치(65)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링크(20)의 중도부에 중간 체결판(80)을 견고히 결합하고, 상기 체결판(80)에 구비된 로프 연결구(82)에 로프(64)의 일측을 견고히 결속한다. 그리고, 로프(64)의 타측을 윈치(65)에 권선하고 작동부(70)에 의해 상기 윈치(65)가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2단 주차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일렬로 주차하는 일렬 주차일 경우에는 전방의 주차라인(2a)과 후방의 주차라인(2b)이 접하는 라인의 내측 끝 바닥에, 그리고, 직각 주차일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주차라인(2c)의 옆과, 이와 접하는 옆 주차라인(2d)이 접하는 라인의 일측 끝단 바닥에 고정판(50)을 견고히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50)에는 제 1링크(20)와 제 2링크(30)의 일측을 각각 힌지(22)(32)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주차 시스템을 최대한 하강시키게 되면, 주차판(10)이 하측의 주차라인을 벗어나 그 외측 주차장의 바닥에 접하여 위치하게 되며, 이를 최초의 상태로 간주하여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먼저, 차량(1)이 상기 주차판(10)의 일측에서 진입하여 주차를 하게 되면, 작동부(70)를 공압 또는 유압 등에 의해 작동을 시킨다.
그러면, 상기 주차판(10)을 승하강 시키기 위한 승하강 장치부(60)가 작동을 하게 되며, 상기 승하강 장치부(60)로 실린더(61)를 적용한 경우에는 상기 실린더(61)의 피스톤(62)이 점차 인출되고, 인출되는 피스톤(62)의 힘의 방향이 바닥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다소 상측으로 향하게 됨에 따라, 제 2링크(30)가 상측방향으로 밀림과 동시에 실린더(61)는 고정판(50)의 힌지(63)를 중심으로, 제 2링크(30)는 고정판(50)의 힌지(32)를 중심으로 도면상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차량(1)이 주차되어 있는 주차판(10)은 차량의 무게에 의해 제 2링크(30)의 힌지(31)를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려고 하게 되나, 제 2링크(30)와 나란하고 동일한 길이로 위치한 제 1링크(20)에 의해 지지되어 당겨지므로 회전이 제어되며, 주차판(10)은 거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링크(20)도 마찬가지로 고정판(50)의 힌지(22)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61)의 피스톤(62)이 최대로 인출된 경우에는 제 2링크(20)와 제 2링크(30)는 거의 수직으로 위치하게 되며, 고정판(50)의 걸림판(51)에 의해 상기 제 1링크(20)가 걸려 더 이상 회전을 하지 못함에 따라, 제 2링크(30)의 회전도 정지하게 되고, 제어부(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작동부(70)도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주차판(10)에 주차되는 차량은 하측에 주차된 차량에 상관없는 괘적으로 상승을 하므로 차량의 주차 및 출차에 불편함이 없다.
또한, 상기와 같이 주차된 차량(1)을 출차하고자 하면, 주차판(10)을 하강시켜야 되는 바, 마찬가지로 작동부(70)를 작동시켜 실린더(61)의 피스톤(62)을 몰입시키게 되면, 동시에 제 2링크(30)가 당겨지면서 고정판(50)의 힌지(32)를 중심으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점차 하강하게 된다.
그러면, 제 1링크(20)도 고정판(50)의 힌지(22)를 중심으로 제 2링크(30)와 나란하게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나, 주차판(10)은 제 1링크(20) 및 제 2링크(30) 시계 반대방향 회전에도 불구하고 계속 수평을 이루게 되는 바, 이는 동일한 길이의 제 1링크(20)와 제 2링크(30)가 서로 축을 달리하는 삼각 지지판(40)의 힌지(21)(31) 및 고정판(50)의 힌지(22)(32)를 중심으로 나란하게 회전을 함에 따라, 주차판(10)이 기울어지지 않고 항상 수평을 이루면서 점차 하강하여 주차장의 바닥에 닿게 된다.
아울러, 상기 승하강 장치부(60)를 윈치(65)로 적용하여 주차를 하는 경우에는, 주차판(10)에 차량(1)이 주차된 후 작동부(70)에 의해 윈치(65)를 회전시키게 되면, 도 8에서와 같이 연결구(82)에 결속된 로프(64)가 점차 당겨지면서 제 1링크 (20)가 고정판(50)의 힌지(22)를 중심으로 도면상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제 2링크(30)도 동시에 힌지(32)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고, 주차판(10)도 시계방향으로 상승을 하면서 차량(1)의 무게에 의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려고 하나, 제 1링크(20)와 나란하고 동일한 길이로 위치한 제 2링크(30)에 의해 지지되므로 회전이 제어되며, 주차판(10)은 항상 수평을 유지하면서 상승을 하게된다.
그리고, 주차된 차량(1)을 출차하고자 하면, 상기 윈치(65)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따라서, 로프(64)가 점차 풀리면서 주차판(10)에 주차된 차량(1)의 무게에 의해 주차판(10)이 하강하게 되며, 제 1링크(20)와 제 2링크(30)는 나란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판(50)의 힌지(22)(32)와 삼각 지지판(40)의 힌지(21)(31)를 축으로 회전하면서 주차판(10)을 수평으로 유지한 채 점차 하강하여 출차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 1링크(20) 및 제 2링크(30)는 주차판(10)은 하측에 주차되어 있는 차량(1)과 차량 사이의 공간으로 하강함에 따라 차량에 영향을 주지 않고 하강을 함은 물론, 상기 주차판(10)도 하단에 주차되어 있는 차량과 상관없는 괘적으로 회전하면서 하강함에 따라 하측의 차량의 주차 유무에 상관없이 주차 및 출차가 가능하다.
한편, 하측에 주차되는 차량(1)이 직각 주차를 하도록 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주차라인(2c)과, 이와 접하는 옆의 주차라인(2d)의 사이 중도부보다 다소 전측에 본 발명의 주차 시스템을 설치하여야 하측 차량에 영향을 받지 않는 괘적으로 승하강하면서 주차 및 출차가 가능함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공간이 협소한 장소에 차량을 2단으로 주차하여 공간의 활용을 높이는 것은 물론, 하단에 차량의 유무에 상관없이 상단의 주차판에 차량을 주차 또는 출차할 수 있으므로 활용도가 높아 매우 경제적인 2단 주차 시스템이다.
또한, 항상 주차판을 평형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주차 시스템이다.
Claims (6)
- 주차판과;상기 주차판의 길이방향 일측면 중도부에 견고히 결합되는 삼각 지지판과;일측은 상기 삼각 지지판의 끝단에 힌지 결합되며, 타측은 바닥의 고정판에 힌지 결합되는 제 1링크와;상기 제 1링크와 나란하게 구비되어 일측은 상기 삼각 지지판의 중도부에 힌지 결합되며, 타측은 바닥의 고정판에 힌지 결합되는 제 2링크와;일측은 상기 링크 중 하나와 결합되고, 타측은 주차장 바닥의 고정판에 결합되어 상기 주차판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장치부와;상기 승하강 장치부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주차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삼각 지지판의 밑변과 높이와의 사이각은 120 ~ 1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주차 시스템.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제 1링크와 제 2링크는 길이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주차 시스템.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승하강 장치부는 유압/공압의 실린더로서, 일측이 상기 제 2링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주차 시스템.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승하강 장치부는 윈치로서, 일측이 상기 제 1링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주차 시스템.
- 제 4한 항에 있어서,상기 주차판이 바닥에 완전히 내려져 닿았을 때, 제 2링크와 결합된 실린더의 끝단이 고정판에 결합된 끝단 보다 다소 높게 위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실린더의 작동 시 제 2링크가 상승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주차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41496A KR20060119000A (ko) | 2005-05-18 | 2005-05-18 | 2단 주차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41496A KR20060119000A (ko) | 2005-05-18 | 2005-05-18 | 2단 주차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19000A true KR20060119000A (ko) | 2006-11-24 |
Family
ID=37705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41496A KR20060119000A (ko) | 2005-05-18 | 2005-05-18 | 2단 주차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60119000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806723A (zh) * | 2014-01-25 | 2014-05-21 | 浙江黄岩冲模有限公司 | 电液伺服无避让双层智能停车装置 |
CN105298180A (zh) * | 2015-10-30 | 2016-02-03 | 刘锦明 | 一种汽车停车转动装置及包含该装置的停车系统 |
-
2005
- 2005-05-18 KR KR1020050041496A patent/KR2006011900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806723A (zh) * | 2014-01-25 | 2014-05-21 | 浙江黄岩冲模有限公司 | 电液伺服无避让双层智能停车装置 |
CN103806723B (zh) * | 2014-01-25 | 2015-12-09 | 浙江黄岩冲模有限公司 | 电液伺服无避让双层智能停车装置 |
CN105298180A (zh) * | 2015-10-30 | 2016-02-03 | 刘锦明 | 一种汽车停车转动装置及包含该装置的停车系统 |
CN105298180B (zh) * | 2015-10-30 | 2018-06-29 | 刘锦明 | 一种汽车停车转动装置及包含该装置的停车系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30213765A1 (en) | Tower crane with raising platform | |
KR20070049968A (ko) | 승강 설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위한 승강 설비 | |
KR20160132178A (ko) | 하부 구동 타워형 주차장치 | |
KR102169399B1 (ko) | 입체형 주차장의 주차시스템 | |
JP3375464B2 (ja) | エレベータ式立体駐車装置及びエレベータ式自走縦重列立体駐車設備 | |
JP2010155529A (ja) | モバイルデッキ支持装置 | |
KR20060119000A (ko) | 2단 주차 시스템 | |
CN205531533U (zh) | 双层立体停车机构 | |
CN105569406A (zh) | 用于停车设备的可升降和回转的载车板 | |
CN205772980U (zh) | 便捷型两用施工电梯 | |
JP3029852U (ja) | 吊り下げ式映像表示装置 | |
JP4316514B2 (ja) | 機械式駐車装置における作業装置とその作業方法 | |
KR20110019806A (ko) | 이동식 고가 사다리차 | |
EP0298924B1 (en) | An apparatus to increase the storage capacity of a room and in particular of a motor car garage | |
JP2002188564A (ja) | 給排水ポンプユニット | |
KR200207412Y1 (ko) | 공사용 곤도라 지지대 | |
KR102590849B1 (ko) | 이중레일구조의 곤돌라장치 | |
RU2301747C2 (ru) |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 |
KR970006525B1 (ko) | 리프트 | |
KR19990019257U (ko) | 차량 탑재용 다용도 리프트 | |
JPH1077198A (ja) | 荷揚機 | |
KR200207410Y1 (ko) | 공사용 곤도라 지지대 | |
JPH0640522A (ja) | パレットの昇降機構 | |
JPS6225517Y2 (ko) | ||
KR20080023506A (ko) | 골조용 크레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