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9257U - 차량 탑재용 다용도 리프트 - Google Patents

차량 탑재용 다용도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9257U
KR19990019257U KR2019970032544U KR19970032544U KR19990019257U KR 19990019257 U KR19990019257 U KR 19990019257U KR 2019970032544 U KR2019970032544 U KR 2019970032544U KR 19970032544 U KR19970032544 U KR 19970032544U KR 19990019257 U KR19990019257 U KR 199900192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fixed
working
footing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25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무
Original Assignee
박현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무 filed Critical 박현무
Priority to KR20199700325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9257U/ko
Publication of KR199900192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257U/ko

Links

Landscapes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업물 또는 작업자를 지상에서 작업위치까지 안전하게 리프링시켜 원하는 작업이 이루어 지도록 한 차량 탑재(搭載)용 다용도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하부 지지 플레이트(11)상면에 기증기(40)가 설치된 상부 작업발판(32)이 자바라식의 복수개의 링크(21)로 연결되고 이 링크 사이에 연결된 유압 실린더(22)의 작동으로 작업발판이 수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구조를 갖되, 상기 링크로 금속관을 사용하고, 상기 작업발판(32)의 하부 양측에 형성한 가이드 레일(32a)과, 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삽입 또는 인출되는 보조발판(61)과, 이 보조발판이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보조발판의 내측단에 연결되어 작업발판(32)의 하부면에 고정된 보조발판 이동 실린더(62)를 구비한 발판 연장수단(60)과; 상기 작업발판(32)의 중심에 회전공을 형성하고, 기중기(40)의 하단에 회전축(40a)을 형성하여 이 회전축이 회전공에 끼워져 피니언(71)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피니언에 치합되도록 랙(72)이 연결된 기중기 회전 실린더(73)가 작업발판(32)의 하단에 고정되어 기중기(40)를 소정범위 내에서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켜 주는 기중기 회전각 조절수단(70) 및; 상기 작업발판(32)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발판 연장수단(60)과 기중기 회전각 조절수단(70)을 유압으로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90)를 포함하여, 차량의 적재부에 장착 또는 탈착되는 것으로 이삿짐의 하역은 물론 터널의 천장, 고가나 건물의 외벽 보수 및 청소, 가로수의 정비, 전기·전화공사 등의 작업에 두루 사용할 수 있으며 넓은 작업공간의 확보와 안전성을 높여 작업시간의 단축과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탑재용 다용도 리프트
본 고안은 작업물 또는 작업자를 지상에서 작업위치까지 안전하게 리프링시켜 원하는 작업이 이루어 지도록 한 차량 탑재(搭載)용 다용도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물의 수직 운반을 위하여 사용되는 장비로는 곤도라와 사다리차, 기중기, 리프트 및 호이스트 등이 있다.
그중 곤도라와 사다리차 등은 이사짐의 운반에, 기중기와 리프트 및 호이스트 등은 산업용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 외에 가로수의 정비와 가로등의 교체, 전기 및 전신작업에 이용되는 바스켓 카는 작업자의 작업공간 안전성이 뛰어나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중기 장착 차량이나 바스켓 카와 같은 특수 차량은 기동성과 작업성이 좋은 반면 차량의 가격이 비싸고 특정 용도외에는 사용할 수 없으므로 일반 사업장에서 구입하기 어려워 필요할 때마다 랜트하고 있는 실정이나 랜트 비용도 적지 않은 부담을 주어 왔었다.
또한 작업자와 작업물이 함께 작업위치까지 올려질 수 있는 리프트 차량도 있으나 작업물의 부피가 클 경우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여유공간이 적어 작업에 불편이 따를 뿐만 아니라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예를 들면 간판의 설치시 리프트 차량을 건물의 측벽에 바짝 주차시켜도 차량의 몸체와 리프트의 작업발판 사이의 격차로인해 작업자가 작업발판의 난간에서 불안전한 작업을 하게 된다.
그 외에도 리프트 차량을 이용하여 더 높은 위치의 작업을 위해 작업발판을 올려 주는 구조를 연장할 경우 전체적인 중량이 커져 제어가 어렵게 되는 구조상의 문제점이 있어 사용할 수 있는 높이의 제한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리프트의 상승 높이를 올려 주고, 작업위치에 접근이 용이하며 기중기를 회전시켜 작업물의 이동이 자유로우며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안정된 작업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탑재용 다용도 리프트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 상태도.
도 3a~도 3b는 각각 본 고안이 차량에 탑재된 상태에서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지지플레이트21 : 링크
22 : 유압 실린더32 : 작업발판
40 : 기중기41 : 고정플레이트
43, 45 : 제 1 및 제 2 아암42, 44 : 제 1 및 제 2 각도조절 실린더
46 : 권취부재60 : 발판 연장 수단
61 : 보조발판62 : 보조 발판 이동수단
70 : 기중기 회전각 조절수단71 : 피니언
72 : 랙 기어73 : 실린더
80 : 유압 유닛90 : 컨트롤 박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탑재용 다용도 리프트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 상태도이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 탑재용 다용도 리프트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11)와 중심에 기중기(40)가 설치된 상부 작업발판(32)이 자바라식의 복수개의 링크(21)로 연결되고 이 링크 사이에 연결된 유압 실린더(22)에 상승 또는 하강되는 구조를 갖고, 또한 상기 링크(21)로 금속관을 사용하며, 상기 작업 발판(32)을 소정 길이 연장되도록 한 발판 연장수단(60)과, 상기 기중기를 소정 범위내에서 소정각도 회전시켜 주는 기중기 회전각 조절수단(40) 및, 상기 작업발판(32)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발판 연장수단(60)과 기중기 회전각 조절수단(70)을 유압으로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90)를 포함한다.
상기 발판 연장수단(60)은 상기 작업발판(32)의 하부 양측에 형성한 가이드레일(32a)과, 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삽입 또는 인출되는 보조발판(61)과, 이 보조발판이 삽입 되는 인출되도록 보조발판의 내측단에 연결되어 작업발판(32)의 하부면에 고정된 보조발판 이동 실린더(62)로 구성된다.
상기 기중기 회전각 조절수단(70)은 상기 작업발판(32)의중심에 회전공을 형성하고, 기중기(40)의 하단에 회전축(40a)을 형성하여 이 회전축이 회전공에 끼워져 피니언(71)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피니언에 치합되도록 랙(72)이 연결된 기중기 회전 실린더(73)가 작업발판(32)의 하단에 고정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기중기(40)는 고정 플레이트(41)에 일측 고정단을 기준으로 연결핀(43a, 45a)으로 링크 결합된 제1 및 제2 아암(43, 45)과, 양 아암이 각각 연결핀을 회전축으로 각각 소정 각도 회전되도록 고정 플레이트(41)와 제1 아암(43) 사이와 제1 아암(43)과 제2 아암(45) 사이에 연결된 제1 및 제2 아암 조절 실린더(42, 44)와, 상기 제1 아암(43)의 끝단부에 고정된 모터·변속기·윈치가 연계된 구조의 권취부재(46)와, 상기 제2 아암(44)에 끝단에 상기 권취부재(46)의 윈치에 권취되는 와이어(47)에 연결된 후크(48)로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 13은 상술한 구조를 갖는 리프트가 지면에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다리이고, 12는 이 지지다리가 끼워져 연결되도록 지지 플레이트(11)의 하부 양단에 고정되는 지지다리 연결관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80은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실린더에 각각 유압라인을 통해 유압이 제공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컨트롤 박스(90)에 의해 각 실린더에 유압의 제공을 제어 받는 유압유닛을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 차량 탑재용 다용도 리프터의 동작과정을 도 3a 도 3b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를 참고하면, 컨트롤 박스(90)을 통한 조작으로 보조발판 이동 실린더(62)를 작동시켜 보조발판(61)이 작업발판(32)의 외부로 인출하거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기중기(70)는 컨트롤 박스(90)의 조작을 통해 일단에 랙(72)이 연결된 실린더(73)을 작동시키게 되면 치합된 피니언(71)에 의해 기중기(40)을 오른 방향 또는 왼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킬 수 있어 인양되는 적재물을 원하는 위치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b는 기중기(40)의 또다른 활용 예를 나타낸 것으로, 마찬가지로 컨트롤 박스(90)의 조작을 통해 제1 및 제2 각도조절 실린더(42, 44)를 동작시켜서 제1 및 제2 아암(43, 45)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위치이동이 까다로운 작업물도 원하는 위치에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은 건물(100)에 간판의 설치 또는 해체시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 건물(100)의 보조 발판(61)을 측벽에 밀착되도록 인출함으로써 작업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안정된 위치에서 작업할 수 있게 된다.
이 모든 작업이 작업발판(32) 위에 설치된 컨트롤 박스(90)에 의해 제어되므로 작업자 혼자서도 2~3명의 작업량을 충분히 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작업발판(32)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주는 링크(21)에 파이프나 사각관을 사용하여 전체적인 중량을 낮추면서 지지강도를 높여 줌으로써 리프팅 높이를 상향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 및 작용으로 본 고안은 이삿짐의 하역은 물론 터널의 천장, 고가나 건물의 외벽 보수 및 청소, 가로수의 정비, 전기·전화공사 등의 작업에 두루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화물 적재부가 설치된 모든 화물차에 장착이 가능하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탈거하여 화물차로 사용할 수 있어 특수차량의 구입에 따른 경비를 절감하고, 랜트시에도 특수차량 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본 고안은 지상작업에서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넓은 작업공간의 확보와 안전성을 높여 작업시간의 단축과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하부 지지 플레이트(11)상면에 기중기(40)가 설치된 상부 작업발판(32)이 자바라식의 복수개의 링크(21)로 연결되고 이 링크 사이에 연결된 유압 실린더(22)의 작동으로 작업발판이 수직으로 상승 또는 하강 하는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21)로 금속관을 사용하고,
    상기 작업발판(32)의 하부 양측에 형성한 가이드 레일(32a)과, 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삽입 또는 인출되는 보조발판(61)과, 이 보조발판이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보조발판의 내측단에 연결되어 작업발판(32)의 하부면에 고정된 보조발판 이동실린더(62)를 구비한 발판 연장수단(60)과;
    상기 작업발판(32)의 중심에 회전공을 형성하고, 기중기(40)의 하단에 회전축(40a)을 형성하여 이 회전축이 회전공에 끼워져 피니언(71)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피니언에 치합되도록 랙(72)이 연결된 기중기 회전 실린더(73)가 작업발판(32)의 하단에 고정되어 기중기(40)를 소정범위 내에서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켜 주는 기중기 회전각 조절수단(70) 및;
    상기 작업발판(32)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발판 연장수단(60)과 기중기 회전각 조절수단(70)을 유압으로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90)를 포함하여, 차량의 적재부에 장착 또는 탈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다용도 리프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중기(40)는 고정 플레이트(41)에 일측 고정단을 기준으로 연결핀(43a, 45a)으로 링크 결합된 제1 및 제2 아암(43, 45)과, 양 아암이 각각 연결핀(43a, 45a)을 회전축으로 각각 소정 각도 회전되도록 고정 플레이트(41)와 제1 아암(43) 사이와 제1 아암(43)과 제2 아암(45) 사이에 연결된 제1 및 제2 아암 각도조절 실린더(42, 44)와, 상기 제1 아암(43)의 끝단부에 고정된 모터·변속기·윈치가 연계된 구조의 권취부재(46)와, 상기 제2 아암(44)에 끝단에 상기 권취부재(46)의 윈치에 권치되는 와이어(47)에 연결된 후크(4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다용도 리프트.
KR2019970032544U 1997-11-18 1997-11-18 차량 탑재용 다용도 리프트 KR1999001925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544U KR19990019257U (ko) 1997-11-18 1997-11-18 차량 탑재용 다용도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544U KR19990019257U (ko) 1997-11-18 1997-11-18 차량 탑재용 다용도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257U true KR19990019257U (ko) 1999-06-15

Family

ID=69676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2544U KR19990019257U (ko) 1997-11-18 1997-11-18 차량 탑재용 다용도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9257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395B1 (ko) * 2011-07-28 2013-04-23 현대제철 주식회사 수상용 펜스 권선장치
CN109704059A (zh) * 2019-03-12 2019-05-03 长春工业大学 一种物流辅助搬运机
KR101971235B1 (ko) * 2018-10-17 2019-08-27 이동호 터널의 풍도슬래브 시공장비 및 이를 이용한 풍도슬래브 시공방법
KR102408771B1 (ko) * 2021-12-06 2022-06-15 양재섭 다기능 고소 작업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395B1 (ko) * 2011-07-28 2013-04-23 현대제철 주식회사 수상용 펜스 권선장치
KR101971235B1 (ko) * 2018-10-17 2019-08-27 이동호 터널의 풍도슬래브 시공장비 및 이를 이용한 풍도슬래브 시공방법
CN109704059A (zh) * 2019-03-12 2019-05-03 长春工业大学 一种物流辅助搬运机
KR102408771B1 (ko) * 2021-12-06 2022-06-15 양재섭 다기능 고소 작업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0203B2 (en) Work platform for an overhead crane
US4546852A (en) Adjustable service platform apparatus for a gantry crane
RU2271330C2 (ru) Кран с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й стрелой
US7862285B1 (en) Compressor trolley
EP2345623B1 (en) A system comprising a movable work platform, as well as an apparatus and a crane device
KR200448240Y1 (ko) 다용도 타워 크레인
KR19990019257U (ko) 차량 탑재용 다용도 리프트
JPH08245174A (ja) 屋上ジブクレーン
US2941685A (en) Fork lift attachment for a crane
JPH0530758B2 (ko)
GB2552222A (en) Mobile suspended platform apparatus
KR100556620B1 (ko) 굴절붐식 고소작업차
JPH0628548Y2 (ja) 自走式高所作業台車の吊り装置
JPH085197Y2 (ja) シヤトルブーム式ジブクレーン
KR200340381Y1 (ko) 굴절붐식 고소작업차
JP3387731B2 (ja) サイドステップを有する建設機械
CN218145517U (zh) 塔式起重机
KR200349056Y1 (ko) 타워 크레인
JP3028028U (ja) 高所作業車
JP2833439B2 (ja) ホイスト型タワークレーン
RU2066673C1 (ru) Передвижной подъемник
JPH10140845A (ja) 水平開口部の落下防止装置
JPS5986594A (ja) 建造用クレ−ン
RU2061648C1 (ru) Подъемник
SU1068376A1 (ru) Консольный кра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