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1975A - 혈압 정보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혈압 정보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1975A
KR20110081975A KR1020117008185A KR20117008185A KR20110081975A KR 20110081975 A KR20110081975 A KR 20110081975A KR 1020117008185 A KR1020117008185 A KR 1020117008185A KR 20117008185 A KR20117008185 A KR 20117008185A KR 20110081975 A KR20110081975 A KR 20110081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gestion
blood pressure
measurement
volum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8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7721B1 (ko
Inventor
유키야 사와노이
요시히데 돗코
Original Assignee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81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1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6Measuring blood flow
    • A61B5/0295Measuring blood flow using plethysmography, i.e. measuring the variations in the volume of a body part as modified by the circulation of blood therethrough, e.g. impedance plethysm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5Impedance plethysmograph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서보 제어의 기간 중, 피측정자의 말초 부위(측정 부위보다도 말초측의 부위)에 배치된 동맥 용적 센서로부터, 말초 부위의 동맥 용적을 검출한다(단계 S204). 말초 부위의 동맥 용적의 변화량 또는 동맥 용적의 값이, 측정 초기 시의 기준값의 정해진 비율 이상이면, 서보 제어 및 혈압의 결정 처리는 계속된다(단계 S210∼S218). 그 후, 말초 부위의 동맥 용적의 변화량 또는 동맥 용적의 값이, 측정 초기 시의 기준값의 정해진 비율 미만이 된 것이 검지되면, 그 시점에서 측정을 정지한다(단계 S220).

Description

혈압 정보 측정 장치{BLOOD PRESSURE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혈압 정보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적 보상법을 이용하여 혈압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혈압 정보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혈압은 순환기 질환을 해석하는 지표의 하나이다. 혈압에 기초하여 리스크 해석을 행하는 것은, 뇌졸중, 심부전, 심근경색 등의 심혈관계의 질환의 예방에 유효하다. 그 중에서도, 이른 아침에 혈압이 상승하는 조조 고혈압은 심장병이나 뇌졸중 등에 관계하고 있다. 또한, 조조 고혈압 중에서도, 모닝 서지라고 불리는 기상 후 1시간에서 1시간 반 정도의 사이에 급격하게 혈압이 상승하는 증상은, 뇌졸중과의 인과 관계가 있는 것이 판명되어 있다.
그래서, 시간(또는 생활 습관)과 혈압 변화의 상호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심혈관계의 질환의 리스크 해석에 유용하다. 따라서, 장기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혈압을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수술중·수술후의 환자의 감시나, 강압약 치료 시의 약효 확인 등에 있어서는, 1 심박마다 연속적으로 혈압을 측정하여, 혈압 변화를 감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1 심박마다의 혈압 파형에는, 동맥 경화의 진전, 심기능의 진단 등, 의학상 매우 이용 범위가 넓은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그 때문에, 혈압 파형의 변동을 연속적으로 기록하는 것도 중요시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소화54-50175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1 심박마다 혈압을 측정하는 기술로서 용적 보상법을 이용한 혈압계가 있다. 용적 보상법이란 다음과 같다. 즉, 생체 밖으로부터 커프에 의해 동맥을 압박하고, 심박에 동기하여 맥동하는 동맥의 용적(단위 길이당의 용적)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한다. 동맥의 용적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측정 부위를 압박하는 압력(커프압)과 측정 부위의 동맥의 내압 즉, 혈압을 평형 상태로 만든다. 그리고, 이 평형 상태를 유지하였을 때의 커프압을 검출함으로써 연속적으로 혈압값을 얻는다.
일본 특허 공개 소화54-50175호 공보
용적 보상법에서는, 커프압과 동맥 내압이 평형한 상태, 즉, 동맥벽이 무부하 상태에서의 동맥의 용적을 서보 제어의 목표값(이하, 「제어 목표값」이라고 함)으로서 검출한다. 그리고, 1 심박마다의 맥동에 의해 변화하는 동맥 용적이 제어 목표값과 일치하도록, 커프압을 제어한다(서보 제어).
이러한 서보 제어의 기간 중, 측정 부위는, 항상, 확장기 혈압 이상의 커프압으로 압박된다. 그 때문에, 혈관 내압이 확장기 혈압보다 낮은 정맥은, 항상, 압박 폐쇄된다(압박되어 찌부러진다). 따라서, 측정 부위로부터 말초측으로 송출된 혈액의 심장에의 환류(還流)가 저해된다. 그 결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측정 부위의 말초측에 혈액이 고이게 된다(울혈 상태).
울혈이 발생하면, 혈압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장시간 울혈 상태가 계속되면, 말초측의 조직이 변성 또는 괴사하는 경우도 있다. 그 때문에, 울혈을 방지하는 것이, 정확한 혈압 측정, 및 피측정자의 안전 확보의 면에서 보아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용적 보상법식의 혈압계(혈압 정보 측정 장치)에서는 울혈의 감시는 특별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측정 부위의 말초측의 울혈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혈압 정보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국면에 따른 혈압 정보 측정 장치는, 용적 보상법에 따라 혈압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혈압 정보 측정 장치로서, 정해진 측정 부위에 휘감기 위한 커프와, 커프 내의 압력을 나타내는 커프압을 검출하기 위한 압력 검출부와, 커프의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며, 측정 부위에 있어서의 제1 동맥의 용적을 검출하기 위한 제1 용적 검출부와, 측정 부위보다도 말초측의 부위인 말초 부위에서의 제2 동맥의 용적을 검출하기 위한 제2 용적 검출부와, 서보 제어의 목표값을 검출하는 처리를 행하기 위한 검출 처리부와, 제1 동맥의 용적과 서보 제어의 목표값의 차가 정해진 값 이하가 되도록 서보 제어하기 위한 서보 제어부와, 서보 제어에 따라 제1 동맥의 용적 변화의 진폭이 정해진 값 이하가 되었을 때의 커프압을 혈압으로서 결정하기 위한 혈압 결정부와, 서보 제어의 기간 동안, 제2 용적 검출부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말초 부위의 울혈을 검지하기 위한 울혈 검지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울혈 검지부는, 측정 초기 시부터의, 제2 동맥의 용적에 대한 시간적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울혈을 검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울혈 검지부는, 현재의 제2 동맥의 용적의 변화량과, 측정 초기 시의 제2 동맥의 용적의 변화량의 비 또는 차에 의해, 울혈을 검지한다.
혹은, 울혈 검지부는, 현재의 제2 동맥의 용적값과, 측정 초기 시의 제2 동맥의 용적값의 비 또는 차에 의해, 울혈을 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측정 초기 시에는, 서보 제어가 시작되고, 처음으로, 제1 동맥의 용적 변화의 진폭이 정해진 값 이하가 된 시점을 나타낸다.
혹은, 측정 초기 시에는, 서보 제어의 목표값이 검출된 시점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측정 초기 시에는, 검출 처리부의 처리의 개시 전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울혈 검지부에 의해 울혈이 검지된 경우에, 측정의 정지 처리를 행하기 위한 정지 처리부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울혈 검지부에 의해 울혈이 검지된 경우에, 울혈 정보의 통지 처리를 행하기 위한 통지 처리부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통지 처리부는, 울혈 정보로서, 울혈이 검지된 취지를 통지한다.
혹은, 울혈 검지부는, 울혈 레벨을 더 판정하고, 통지 처리부는, 울혈 정보로서, 상기 울혈 레벨을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혈압 결정부에 의한 결정 결과에 따른 혈압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와, 울혈 검지부에 의한 울혈의 검출의 유무를, 혈압 정보와 관련지어 기억부에 기록하는 처리를 행하기 위한 기록 처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보 제어의 기간 중에, 말초 부위의 울혈의 유무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울혈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측정의 정지 처리 및 울혈 정보의 출력 처리 중 어느 한쪽이 행해지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은 혈압 정보만을 의사 등에게 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혈압 정보 측정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측정 부위와 말초 부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혈압 정보 측정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혈압 정보 측정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혈압 측정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제어 목표값 검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의 (A)∼(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제어 목표값 검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측정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의 (A)∼(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측정 제어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혈압 정보 측정 장치에서의 각 측정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B)는 측정 데이터에 포함되는 혈압 정보 필드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변형예에서의 측정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의 (A)∼(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변형예에서의 측정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측정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울혈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측정 데이터에 포함되는 혈압 정보 필드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의 (A), (B)는 울혈 레벨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또는 해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실시형태 1]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혈압 정보 측정 장치는, 용적 보상법에 기초하여 혈압 정보를 측정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혈압 정보」란, 순환기계의 특징을 나타내는 정보이며, 적어도 맥파(맥파 신호)를 포함하고, 맥파에 더하여, 맥파로부터 산출 가능한 지표, 예컨대, 연속적인 혈압값(혈압 파형), 최고 혈압, 최저 혈압, 평균 혈압, 맥박수, AI(Augmentation Index)값 등을 더 포함한다.
상기 혈압 정보의 하나인 맥파에는, 파악하는 대상의 차이로부터 압맥파와 용적 맥파가 존재한다. 압맥파는, 심장의 박동에 따른 혈관내 용적의 변동을 커프의 용적 변화로 변환함으로써, 맥파를 커프의 용적 변화에 따른 커프압의 변동으로서 파악한 것이며, 압력 센서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얻을 수 있다. 용적 맥파는, 맥파를 심장의 박동에 따른 혈관내 용적의 변동으로서 파악한 것이며, 동맥 용적 센서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혈관내 용적의 변동은, 혈관내의 혈액 조직량 변동으로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하는 혈압 정보 측정 장치라고 하는 용어는, 맥파를 취득하는 기능을 적어도 갖는 장치 전반을 가리키는 것이며, 보다 특정적으로는, 용적 보상법에 따르기 위해, 광학적인 방법에 따라 혈액 조직량 변동을 검출하여 용적 맥파를 취득하는 장치를 가리키는 것이다. 그 의미에 있어서, 취득되는 용적 맥파를 그대로 측정 결과로서 출력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취득된 용적 맥파에 기초하여 산출 또는 계측되는 전술한 바와 같은 특정 지표만을 측정 결과로서 출력하는 것이나, 용적 맥파 및 특정 지표의 양방을 측정 결과로서 출력하는 것도 포함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혈압 정보 측정 장치는, 용적 보상법에 따라 연속적으로 혈압을 측정함으로써, 혈압 파형을 취득한다.
<외관 및 구성에 대해서>
(외관에 대해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혈압 정보 측정 장치(1)의 외관 사시도이다. 혈압 정보 측정 장치(1)의 외관은, 일반적인 혈압계와 동일하다.
도 1을 참조하여, 혈압 정보 측정 장치(1)는, 본체부(10)와, 정해진 측정 부위 예컨대 손목에 휘감을 수 있는 커프(20)와, 측정 부위보다도 말초측의 신체 부위(이하 「말초 부위」라고 함)에 장착하기 위한 말초 유닛(26)을 구비한다. 말초 유닛(26)은, 코드(28)에 의해 본체부(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본체부(10)는 커프(20)에 부착되어 있다. 본체부(10)의 표면에는, 예컨대 액정 등에 의해 구성되는 표시부(40)와, 사용자(대표적으로 피측정자)로부터의 지시를 접수하기 위한 조작부(41)가 배치되어 있다. 조작부(41)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측정 부위는 손목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측정 부위는, 손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상완이어도 좋다.
도 2는 측정 부위와 말초 부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커프(20)가 장착되는 측정 부위가 손목(302)인 경우, 말초 유닛(26)이 장착되는 부위(말초 부위)는, 예컨대, 손가락 시작 부분(손가락의 밑동 부분)(304)이다. 단, 측정 부위보다도 말초측이면 한정적이 아니며, 예컨대, 손가락 끝 부분(306) 등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혈압 정보 측정 장치(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0)가 커프(20)에 부착된 형태를 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상완식의 혈압 정보 측정 장치에서 채용되어 있는 것과 같은, 분리된 본체부(10)와 커프(20)가 에어 튜브(도 2에 있어서 에어 튜브(31))에 의해 접속되는 형태의 것이어도 좋다.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혈압 정보 측정 장치(1)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혈압 정보 측정 장치(1)의 커프(20)는, 공기 주머니(21)와, 측정 부위(손목(302))의 동맥의 용적을 검출하기 위한 동맥 용적 센서(70A)를 포함한다. 동맥 용적 센서(70A)는, 발광 소자(71A)와 수광 소자(72A)를 갖는다. 발광 소자(71A)는, 동맥에 대하여 광을 조사하고, 수광 소자(72A)는, 발광 소자(71A)에 의해 조사된 광이 동맥을 투과한 광(투과광) 또는, 동맥에 의해 반사된 광(반사광)을 수광한다. 발광 소자(71A) 및 수광 소자(72A)는, 예컨대, 공기 주머니(21)의 내측에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된다.
말초 유닛(26)은, 말초 부위(손가락 시작 부분(304))의 동맥의 용적을 검출하기 위한 동맥 용적 센서(70B)를 포함한다. 동맥 용적 센서(70B)는, 동맥 용적 센서(70A)와 동일한 구성이어도 좋고, 발광 소자(71B)와 수광 소자(72B)를 갖는다. 발광 소자(71B) 및 수광 소자(72B)의 기능은, 각각, 수광 소자(72A) 및 수광 소자(72B)의 기능과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맥 용적 센서(70B)를, 말초 부위에 휘감기 위한 권취 부재에 미리 배치해 두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동맥 용적 센서(70A, 70B)는, 둘 다, 동맥의 용적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면 좋고, 임피던스 센서(임피던스 혈량 측정법)에 의해 동맥의 용적을 검출하는 것이어도 좋다. 그 경우, 발광 소자(71A, 71B) 및 수광 소자(72A, 72B) 대신에, 동맥을 포함하는 부위의 임피던스를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전극(전류 인가용의 전극쌍, 및 전압 검지용의 전극쌍)이 포함된다.
공기 주머니(21)는, 에어 튜브(31)를 통해, 에어 시스템(30)에 접속된다.
본체부(10)는, 전술한 표시부(40) 및 조작부(41)에 더하여, 에어 시스템(30)과, 각 부를 집중적으로 제어하며, 각종 연산 처리를 행하기 위한 CPU(Central Processing Unit)(100)와, CPU(100)에 정해진 동작을 시키는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부(42)와, 측정된 혈압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비휘발성 메모리(예컨대, 플래시 메모리)(43)와, CPU(10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44)과, 계시 동작을 행하는 계시부(45)와, 착탈 가능한 기록 매체(132)로부터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의 판독 및 기록을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46)를 포함한다.
조작부(41)는, 전원을 ON 또는 OFF하기 위한 지시의 입력을 접수하는 전원 스위치(41A)와, 측정 개시의 지시를 접수하기 위한 측정 스위치(41B)와, 측정 정지의 지시를 접수하기 위한 정지 스위치(41C)와, 플래시 메모리(43)에 기록된 혈압 등의 정보를 판독하는 지시를 접수하기 위한 메모리 스위치(41D)를 갖는다.
에어 시스템(30)은, 공기 주머니(21) 내의 압력(커프압)을 검출하기 위한 압력 센서(32)와, 커프압을 가압하기 위해, 공기 주머니(21)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51)와, 공기 주머니(21)의 공기를 배출하고 또는 봉입하기 위해 개폐되는 밸브(52)를 포함한다.
본체부(10)는, 상기 동맥 용적 센서(70A)와 접속된 동맥 용적 검출부(76A)와, 상기 동맥 용적 센서(70B)와 접속된 동맥 용적 검출부(76B)와, 상기 에어 시스템(30)에 관련하여, 발진 회로(33)와, 펌프 구동 회로(53)와, 밸브 구동 회로(54)를 더 포함한다.
동맥 용적 검출부(76A)는, 발광 소자 구동 회로(73A)와, 동맥 용적 검출 회로(74A)로 구성된다. 동맥 용적 검출부(76B)는, 발광 소자 구동 회로(73B)와, 동맥 용적 검출 회로(74B)로 구성된다.
발광 소자 구동 회로(73A, 73B)는, 각각, CPU(100)로부터의 지령 신호에 따라 발광 소자(71A, 71B)를 정해진 타이밍에서 발광시킨다. 동맥 용적 검출 회로(74A, 74B)는, 각각, 수광 소자(72A, 72B)로부터의 출력을 전압값으로 변환함으로써, 측정 부위 및 말초 부위의 동맥 용적을 검지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맥 용적 검출 회로(74A)로부터 얻어지는 측정 부위의 동맥 용적 신호를, "MPGdc"로서 나타낸다. 또한, 상기 신호(MPGdc)로부터 검출되는, 측정 부위의 동맥 용적 변화 신호를 "MPGac"로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동맥 용적 검출 회로(74B)로부터 얻어지는 말초 부위의 동맥 용적 신호를, "PPGdc"로서 나타낸다. 또한, 상기 신호(PPGdc)로부터 검출되는, 말초 부위의 동맥 용적 변화 신호를 "PPGac"로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CPU(100)가, 동맥 용적 변화 신호(MPGac 및 PPGac)를 검출(산출)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지만, 동맥 용적 검출 회로(74A) 및 동맥 용적 검출 회로(74B)에 있어서, 각각, 동맥 용적 변화 신호(MPGac 및 PPGac)가 검출되어도 좋다.
압력 센서(32)는, 예컨대 정전 용량형의 압력 센서이며, 커프압에 의해 용량값이 변화한다. 발진 회로(33)는, 압력 센서(32)의 용량값에 따른 발진 주파수의 신호를 CPU(100)에 출력한다. CPU(100)는, 발진 회로(33)로부터 얻어지는 신호를 압력으로 변환하여 압력을 검지한다. 펌프 구동 회로(53)는, 펌프(51)의 구동을 CPU(100)로부터 주어지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한다. 밸브 구동 회로(54)는 밸브(52)의 개폐 제어를 CPU(100)로부터 주어지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행한다.
펌프(51), 밸브(52), 펌프 구동 회로(53) 및 밸브 구동 회로(54)는, 커프(20) 내의 압력을 가압 및 감압에 의해 조정하기 위한 조정 유닛(50)을 구성한다. 또한, 조정 유닛(50)을 구성하는 장치는, 전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조정 유닛(50)은, 전술 한 것에 더하여, 에어 실린더와, 에어 실린더를 구동하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커프(20)에는 공기 주머니(21)가 포함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커프(20)에 공급되는 유체는 공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액체나 겔이어도 좋다. 혹은, 유체에 한정되지 않으며, 마이크로 비드 등의 균일한 미립자여도 좋다.
(기능 구성에 대해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혈압 정보 측정 장치(1)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CPU(100)는, 커프압 취득부(102)와, 검출 처리부(104)와, 측정 제어부(106)와, 서보 제어부(108)와, 혈압 결정부(110)와, 울혈 검지부(112)와, 특정 처리부(114)를 포함한다. 또한, 도 4에는, 설명의 간단함을 위해, 이들 기능 블록과의 사이에서 직접적으로 신호나 데이터가 전달되는 주변의 하드웨어만을 나타내고 있다.
커프압 취득부(102)는, 발진 회로(33)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커프압을 취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진 회로(33)에 의해 검출된 발진 주파수의 신호를 압력으로 변환함으로써, 커프압을 취득한다. 취득한 커프압은, 검출 처리부(104), 서보 제어부(108) 및 혈압 결정부(110)에 출력된다.
검출 처리부(104)는, 제어 목표값(V0) 및 초기 커프압(PC0)의 검출 처리를 행한다. 검출 처리부(104)에 의한 구체적인 처리는, 공지의 방법에 따라 실현되어도 좋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성1-3137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36004호 공보).
측정 제어부(106)는, 제어 목표값(및 초기 커프압)의 검출이 끝나면, 혈압 정보 측정을 위한 제어를 행한다. 측정 제어부(106)는, 서보 제어부(108), 혈압 결정부(110) 및 울혈 검지부(112)의 동작을 제어한다.
서보 제어부(108)는, 조정 유닛(50) 및 동맥 용적 검출부(76A)와 접속되고, 측정 제어부(106)의 제어의 하, 측정 부위의 동맥 용적(동맥 용적 신호(MPGdc)의 값)이 제어 목표값(V0)과 일치하도록 서보 제어를 행한다. 즉, 동맥 용적 신호의 교류 성분을 나타내는 동맥 용적 변화 신호(MPGac)의 값이 「0」이 되도록, 커프(20) 내의 압력을 피드백 제어한다.
혈압 결정부(110)는, 측정 제어부(106)의 제어 하, 서보 제어의 기간, 혈압을 연속적으로 결정(측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동맥 용적 신호(MPGdc), 및 커프압 취득부(102)로부터의 커프압 신호를 시계열적으로 취득한다. 그리고, 측정 부위의 동맥 용적의 변화량(동맥 용적 변화 신호(MPGac)의 값)이 정해진 값 이하가 되는 시점의 커프압 즉, 동맥벽이 무부하 상태인 커프압을 혈압으로서 결정한다. 또한, 이것은, 측정 부위의 동맥 용적의 값과 제어 목표값(V0)의 차가 정해진 임계값 이하인 시점의 커프압을 혈압으로서 결정하는 것과 동의이다.
울혈 검지부(112)는, 동맥 용적 검출부(76B)와 접속되고, 측정 제어부(106)의 제어 하, 서보 제어의 기간(중 적어도 처음에 동맥벽이 무부하 상태가 된 이후), 말초 부위의 울혈을 검지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울혈 검지부(112)는, 말초 부위의 동맥 용적 변화 신호(PPGac)를 이용하여, 울혈의 유무를 검출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의 울혈의 유무의 검출 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말초 부위에 울혈이 발생하면, 동맥 내압이 확장기 혈압 부근이 되어도 혈액이 환류되지 않게 된다. 그 때문에, 말초 부위에 울혈이 발생하면, 울혈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상태보다 혈액량이 많은 상태, 즉, 동맥 용적이 큰 상태가 된다. 따라서, 확장기 혈압으로부터 수축기 혈압에 동맥 내압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동맥 용적 변화량 즉, 동맥 용적 변화 신호(PPGac)의 값은, 울혈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때보다 작아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맥 용적 변화 신호(PPGac)의 값」이란, 동맥 용적 변화 신호(PPGac)의 진폭을 나타내는 값인 것으로 한다. 「동맥 용적 변화 신호(MPGac)의 값」도 동일한 것으로 한다.
그래서, 말초 부위의 동맥 용적 센서(70B)에 의해, 말초 부위의 동맥 용적 변화량을 검출 및 감시하면, 울혈의 발생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측정 초기 시 및 현재의 동맥 용적 변화 신호(PPGac)의 값을 검출하고, 검출된 값의 비율이 정해진 값(예컨대 1/2) 미만이 되면 울혈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면 좋다.
또한, 측정 초기 시 및 현재의 동맥 용적 변화 신호(PPGac)의 값의 차가, 정해진 값 이상이 된 경우에 울혈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도 좋다. 또는, 동맥 용적 변화 신호(PPGac)의 값의 비 또는 차의 레벨에 의해 울혈의 레벨을 구분하여도 좋다.
특정 처리부(114)는, 울혈 검지부(112)에 의한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특정 처리를 실행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특정 처리부(114)는, 정지 처리부(114A)의 기능만을 실행한다. 정지 처리부(114A)는, 울혈 검지부(112)에 의해 울혈이 검지된 경우에, 특정 처리로서 측정의 정지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특정 처리부(114) 내에는, 후술하는 실시형태 2에서 설명하는 통지 처리부(114B) 및 기록 처리부(114C)의 기능 블록도 편의상 나타내고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들은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CPU(100)는, 일련의 측정 기간(제어 목표값의 검출 기간도 포함함) 중, 발광 소자 구동 회로(73A, 73B)에 지령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일정한 간격으로 발광 소자(71A, 71B)를 발광시키고 있는 것으로 한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는, 발광 소자(71B)의 발광은, 서보 제어의 기간 중에만 행해져도 좋다.
전술한 각 기능 블록의 동작은, 메모리부(42) 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실현되어도 좋고, 이들 기능 블록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서는, 하드웨어에서 실현되어도 좋다.
<동작에 대해서>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혈압 정보 측정 장치(1)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혈압 측정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처리는, 미리 프로그램으로서 메모리부(42)에 저장되어 있고, CPU(100)가 이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혈압 측정 처리의 기능이 실현된다.
도 5를 참조하여, CPU(100)는, 전원 스위치(41A)가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 전원 스위치(41A)가 눌러졌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2에 있어서 YES), 단계 S4로 진행한다.
단계 S4에 있어서, CPU(100)는, 초기화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메모리부(42)의 정해진 영역을 초기화하고, 공기 주머니(21)의 공기를 배기하며, 압력 센서(32)의 0 mmHg 보정을 행한다.
초기화가 끝나면, CPU(100)는, 측정 스위치(41B)가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 측정 스위치(41B)가 눌러질 때까지 대기한다. 측정 스위치(41B)가 눌러졌다고 판단하면(단계 S6에 있어서 YES), 단계 S8로 진행한다.
단계 S8에 있어서, 검출 처리부(104)는, 제어 목표값 검출 처리를 실행한다. 즉, 제어 목표값(V0) 및 초기 커프압(PC0)이 검출된다. 제어 목표값 검출 처리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제어 목표값 검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제어 목표값 검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에는, 시간축을 따른 커프압(PC)이 표시된다. 도 7의 (B)에는, 도 7의 (A)와 동일한 시간축을 따라, 측정 부위의 동맥 용적 신호(MPGdc)가 표시된다. 도 7의 (C)에는, 도 7의 (A)와 동일한 시간축을 따라, 측정 부위의 동맥 용적 변화 신호(MPGac)가 표시된다.
도 6을 참조하여, 검출 처리부(104)는, 메모리부(42)의 정해진 영역에 기억되는, 동맥 용적 변화 신호(MPGac)의 진폭의 최대값 및 커프압값을 초기화한다(단계 S102). 또한, 이하의 처리에 있어서 동맥 용적 변화 신호(MPGac)의 진폭의 최대값은 수시 갱신되는 것이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최대값으로서 확정하기까지의 값을 「용적 임시 최대값」이라고 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에, 펌프 구동 회로(53)를 구동 제어하여, 커프압을 가압한다(단계 S104).
커프압을 가압하는 단계에서, 검출 처리부(104)는, 동맥 용적 검출 회로(74A)로부터의 신호(동맥 용적 신호)(MPGdc)를 검출한다(단계 S106). 검출 처리부(104)는, 더욱, 동맥 용적 신호(MPGdc)로부터 얻어지는 동맥 용적 변화 신호(MPGac)를 검출한다.
검출 처리부(104)는, 동맥 용적 변화 신호(MPGac)의 값(진폭값)이 메모리부(42)에 기억된 용적 임시 최대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8). 동맥 용적 변화 신호(MPGac)의 값이 용적 임시 최대값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단계 S108에 있어서 YES), 단계 S110으로 진행한다. 한편, 동맥 용적 변화 신호(MPGac)의 값이 용적 임시 최대값 미만이라고 판단된 경우(단계 S108에 있어서 NO), 단계 S112로 진행한다.
단계 S110에 있어서, 검출 처리부(104)는, 용적 임시 최대값을 갱신하며, 그 시점에서의 커프압을 오버라이트 기록한다. 이 처리가 끝나면, 처리는 단계 S112로 이동한다.
단계 S112에 있어서, 검출 처리부(104)는, 커프압이 정해진 값(예컨대 200 mmHg)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커프압이 정해진 값에 도달하고 있지 않다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112에 있어서 NO), 단계 S104로 되돌아간다. 한편, 커프압이 정해진 값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112에 있어서 YES), 단계 S114로 진행한다.
단계 S114에 있어서, 검출 처리부(104)는, 단계 S110에 있어서 최종적으로 기록된 용적 임시 최대값을 최대값으로서 확정하며, 최대값이 검출된 시점(도 7에 있어서 "Tmax"로 표시되는 시점)에서의 커프압값을 초기 커프압(PC0)으로서 확정한다. 검출 처리부(104)는, 또한, 시점(Tmax)에서의 동맥 용적 신호(MPGdc)의 평균값을, 제어 목표값(V0)으로서 확정한다.
단계 S114의 처리가 끝나면, 처리는 메인 루틴으로 되돌아간다.
재차 도 5를 참조하여, 제어 목표값(V0) 및 초기 커프압(PC0)이 결정되면, CPU(100)는, 커프압을 초기 커프압(PC0)으로 설정한다(단계 S10).
그 후, 실질적인 측정 제어가 실행된다(단계 S12). 본 실시형태에서는, 측정 제어는, 예컨대 정지 스위치(41C)가 눌려질 때까지 실행된다(단계 S14에 있어서 NO).
본 실시형태에서의 측정 제어에 대해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측정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측정 제어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의 (A)에는, 시간축을 따른 커프압(PC)이 표시된다. 도 9의 (B)에는, 도 9의 (A)와 동일한 시간축을 따라, 측정 부위의 동맥 용적 변화 신호(MPGac)가 표시된다. 도 9의 (C)에는, 도 9의 (A)와 동일한 시간축을 따라, 말초 부위의 동맥 용적 변화 신호(PPGac)가 표시된다.
도 8을 참조하여, 서보 제어부(108)는, 측정 부위의 동맥 용적 신호(MPGdc)가 제어 목표값(V0)과 일치하도록, 동맥 용적 일정(一定) 제어를 실행한다(단계 S202). 즉, 조정 유닛(50)을 제어함으로써, 도 9의 (B)에 나타내는 측정 부위의 동맥 용적 변화 신호(MPGac)의 값이 정해진 값 이하가 되도록(거의 0이 되도록), 커프압을 피드백 제어한다. 동맥 용적 변화 신호(MPGac)는, 예컨대, 동맥 용적 신호(MPGdc)를 필터 처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울혈 검지부(112)는, 말초 부위의 동맥 용적 신호(PPGdc)를 검출하고, 검출한 동맥 용적 신호(PPGdc)로부터, 도 9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1 심박마다의 동맥 용적 변화 신호(PPGac)를 검출(산출)한다(단계 S204). 동맥 용적 변화 신호(PPGac)도, 예컨대, 동맥 용적 신호(PPGdc)를 필터 처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울혈 검지부(112)는, 울혈의 기준값이 결정이 끝났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6). 결정이 끝났으면(단계 S206에 있어서 YES), 단계 S208로 진행한다. 미결정이면(단계 S206에서 NO), 단계 S210으로 진행한다.
단계 S208에 있어서, 울혈 검지부(112)는, 동맥 용적 변화 신호(PPGac)의 값(말초 부위의 동맥 용적의 변화량)이, 기준값의 정해진 비율(예컨대 1/2)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기준값의 결정 방법은 후술한다. 동맥 용적 변화 신호(PPGac)의 값이 상기 조건을 만족하고 있으면(단계 S208에 있어서 「≥기준값의 정해진 비율」), 단계 S210으로 진행한다.
단계 S210에 있어서, 혈압 결정부(110)는, 측정 부위의 동맥 용적 변화 신호(MPGac)의 값(측정 부위의 동맥 용적의 변화량)이, 전술한 정해진 값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동맥 용적 변화 신호(MPGac)의 값이 상기 조건을 만족하고 있으면(단계 S210에 있어서 「≤정해진 값」), 단계 S212로 진행한다. 한편, 동맥 용적 변화 신호(MPGac)의 값이 상기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으면(단계 S210에 있어서 「>정해진 값」), 동맥벽이 무부하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도 5의 메인 루틴의 단계 S14로 되돌아간다.
단계 S212에 있어서, 울혈 검지부(112)는, 울혈의 기준값의 결정이 끝났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결정이 끝난 경우(단계 S212에 있어서 YES), 단계 S216으로 진행한다. 한편, 미결정의 경우(단계 S212에 있어서 NO)에는, 현재의 말초 부위의 동맥 용적 변화 신호(PPGac)의 값(진폭값)을 기준값으로 설정한다(단계 S214). 즉, 동맥 용적 일정 제어가 개시되고 나서, 처음으로, 측정 부위의 동맥 용적 변화 신호(MPGac)의 값이 정해진 값 이하가 된 경우(즉, 동맥벽이 무부하 상태가 된 것이 검출된 경우)에, 이 시점에서의 동맥 용적 변화 신호(PPGac)의 값을, 울혈의 판단의 기준값으로 설정한다. 또한, 기준값은, 1박분의 동맥 용적의 변화량이 설정되어도 좋고, 복수박(예컨대, 3박)분의 동맥 용적의 변화량의 통계값(예컨대, 평균값)이 설정되어도 좋다.
이 처리가 끝나면, 단계 S216으로 진행한다.
단계 S216에 있어서, 혈압 결정부(110)는, 현재의 커프압을 혈압으로서 결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연속적인 혈압값을 얻을 수 있고, 결과로서, 혈압 파형을 얻을 수 있다. 혈압으로서 결정된 커프압은, 예컨대 메모리부(42)의 정해진 영역에 시계열적으로 기록된다.
그리고, 혈압 결정부(110)는, 예컨대, 1 심박마다의 커프압의 극소값 및 극대값을 각각 최저 혈압 및 최고 혈압으로서, 표시부(40)의 정해진 영역에 표시한다(단계 S218). 또한, 표시부(40)에 표시되는 정보는, 혈압값에 한정되지 않고, 시간축을 따른 혈압 파형이어도 좋다.
단계 S218의 처리가 끝나면, 도 5의 메인 루틴의 단계 S14로 되돌아간다.
전술한 단계 S208에 있어서, 동맥 용적 변화 신호(PPGac)의 값이 상기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으면(단계 S208에 있어서 「<기준값의 정해진 비율」), 정지 처리부(114A)는, 측정 정지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220).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정지 처리부(114A)는, 측정 제어부(106)에 측정을 정지하라는 취지를 통지하며, 밸브 구동 회로(54)(조정 유닛(50))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공기 주머니(21) 내의 공기를 급속 배기한다. 측정 제어부(106)는, 상기 통지를 수취하면, 혈압 정보 측정을 위한 제어를 종료한다. 측정이 정지되면, 도 5의 메인 루틴의 단계 S16으로 이행한다.
재차 도 5를 참조하여, 단계 S14에 있어서, 정지 스위치(41C)가 눌려지면(단계 S14에 있어서 YES), 단계 S16으로 진행한다.
단계 S16에 있어서, CPU(100)는, 측정이 정지될 때까지 메모리부(42)에 시계열적으로 기록된 혈압값(커프압값)을, 측정 결과로서 플래시 메모리(43)에 기록한다.
이상으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혈압 측정 처리는 종료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혈압 정보로서, 연속적으로 얻어진 혈압값을 플래시 메모리(43)에 기록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다른 혈압 정보를 플래시 메모리(43)에 기록하는 것이어도 좋다. 다른 혈압 정보로서는, 예컨대, 1박마다의 최고 혈압 및 최저 혈압이어도 좋다. 또는, 연속적으로 얻어진 혈압값에 기초한 혈압 파형에 정해진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산출 가능한, AI(Augmentation Index)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지 처리부(114A)에 의한 측정 정지(중지)가 없으면, 정지 스위치(41C)가 눌러질 때까지 측정 제어는 계속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동맥 용적 일정 제어가 개시되고 나서 정해진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계속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데이터 구조에 대해서>
다음에, 이상의 혈압 측정 처리에 의해 플래시 메모리(43)에 저장되는 각 측정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혈압 정보 측정 장치(1)에서의 각 측정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A)를 참조하여, 플래시 메모리(43)에 저장되는 측정 데이터(80)의 각각은, 일례로서 「ID 정보」, 「기록 일시」, 「혈압 정보」의 3가지의 필드(81∼83)를 포함한다. 각 필드의 내용에 대해서 개략하면, 「ID 정보」 필드(81)는, 각 측정 데이터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 번호 등을 저장하고, 「기록 일시」 필드(82)는, 계시부(45)에 의해 계시된, 각 측정 데이터의 측정 개시 일시나 측정 기간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혈압 정보」 필드(83)는, 시계열의 혈압 데이터 즉, 혈압 파형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10의 (B)는 측정 데이터에 포함되는 혈압 정보 필드(83)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B)를 참조하여, 혈압 정보 필드(83)는, 「시간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831)과, 「혈압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832)을 갖고 있다.
영역(831)에는, 샘플링 주기에 따른 복수의 시간 데이터(1, 2, 3, ···, N)가 저장된다. 영역(832)에는, 영역(831)의 시간 데이터 각각과 대응지어, 혈압 데이터(BD(1), BD(2), ···, BD(n))가 저장된다. 영역(832) 중, 「-」로 나타내는 영역은, 그 시점에 있어서의 동맥 용적 변화 신호(MPGac)의 값이 정해진 값을 넘고 있어 혈압으로서 기록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저장 형태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시간(시각)과 혈압이 대응지어져 기억되면 좋다.
이와 같이, 플래시 메모리(43)에는, 혈압 정보가 기억된다. 이 혈압 정보는, 최고 혈압, 최저 혈압, 평균 혈압 등의 혈압값의 외에, 맥박, AI 등, 혈압 파형으로부터 산출 가능한 지표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측정 제어 동안, 즉 피드백 제어의 기간 중, 말초 부위의 동맥 용적의 변화량을 검출 및 감시함으로써, 울혈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울혈이 생기고 있다고 판단되면, 측정 처리가 자동적으로 정지(중지)된다. 그 때문에, 신뢰성이 있는 혈압값만을 측정 결과로서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울혈 상태가 장시간 계속됨에 따른, 말초측의 조직의 변성 또는 괴사를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측정할 때마다, 말초 부위의 동맥 용적에 대한 파형을 감시하기 때문에, 피측정자마다, 적절하게, 울혈의 유무를 검지할 수 있다.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 1에서는, 말초 부위의 동맥 용적 변화량 즉, 동맥 용적 변화 신호(PPGac)의 값에 기초하여, 울혈을 검지하였지만,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는, 말초 부위의 동맥 용적 그 자체 즉, 동맥 용적 신호(PPGdc)의 값에 기초하여, 울혈을 검지한다.
이하에,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 실시형태 1과 다른 부분만 설명한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실시형태 1의 울혈 검지부(112)의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울혈 검지부(112)를, 울혈 검지부(112A)라고 기재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의 울혈의 유무의 검출 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말초 부위에 울혈이 발생하면, 동맥 내압이 확장기 혈압 부근이 되어도 혈액이 환류하지 않게 된다. 그 때문에, 말초 부위에 울혈이 발생하면, 울혈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상태보다 혈액량이 많은 상태, 즉, 동맥 용적이 큰 상태가 된다. 따라서, 말초 부위의 동맥 용적이 울혈의 정도와 상관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래서, 말초 부위의 동맥 용적 센서(70B)에 의해, 말초 부위의 동맥 용적을 검출 및 감시하면, 울혈의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측정 초기 시 및 현재의 동맥 용적을 검출하고, 검출된 값의 비율이 정해진 값(예컨대, 0.8) 미만이 되면 울혈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면 좋다.
또한, 측정 초기 시 및 현재의 동맥 용적의 차가, 정해진 값 이상이 된 경우에 울혈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도 좋다. 또는, 동맥 용적의 값의 비 또는 차의 레벨에 의해 울혈의 레벨을 구분하여도 좋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변형예에서의 측정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에 있어서, 도 8에 나타내는 처리와 동일한 처리에 대해서는, 동일한 단계 번호를 붙이고 있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변형예에서의 측정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의 (A)에는, 시간축을 따른 커프압(PC)이 표시된다. 도 12의 (B)에는, 도 12의 (A)와 동일한 시간축을 따라, 측정 부위의 동맥 용적 변화 신호(MPGac)가 표시된다. 도 12의 (C)에는, 도 12의 (A)와 동일한 시간축을 따라, 말초 부위의 동맥 용적 신호(PPGdc)가 표시된다. 도 12의 (D)에는, 도 12의 (A)와 동일한 시간축을 따라, 평탄화된(필터링 후의) 말초 부위의 동맥 용적 신호(F_PPGdc)가 표시된다.
도 11을 참조하여, 도 8과 비교하면, 단계 S204, S208, S214 대신에, 각각, 단계 S204A, S208A, S214A가 실행된다. 또한, 단계 S204A와 단계 S206의 사이에, 단계 S205가 삽입된다.
단계 S204A에 있어서, 말초 부위의 동맥 용적 신호(PPGdc)만을 검출한다. 여기서 검출된 동맥 용적 신호(PPGdc)에는, 도 12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혈압 변화에 따른 용적 변화가 중첩되고 있다. 그래서, 이후의 비교 처리를 쉽게 하기 위해, 단계 S205에 있어서, 울혈 검지부(112A)는, 검출한 동맥 용적 신호(PPGdc)로부터 혈압 변화에 따른 용적 변화분을 제거한 신호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동맥 용적 신호(PPGdc)에 저주파 통과 필터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용적 변화분을 제거한다. 그 결과 얻어진 신호를, 동맥 용적 신호 "F_PPGdc"로서, 도 12의 (D)에 나타내고 있다.
단계 S208A에서는, 동맥 용적 신호(F_PPGdc)의 값이 기준값의 정해진 비율(예컨대 0.8)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기준값의 결정 방법은, 후술한다.
동맥 용적 신호(F_PPGdc)의 값이 상기 조건을 만족하고 있으면(단계 S208A에 있어서 「≥기준값의 정해진 비율」), 단계 S210으로 진행하여, 측정 처리를 계속한다. 이에 대하여, 상기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으면(단계 S208A에 있어서 「<기준값의 정해진 비율」), 단계 S220으로 진행하여, 측정 처리를 정지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말초 부위의 동맥의 용적이 커짐에 따라, 동맥 용적 신호(PPGdc, F_PPGdc)의 값이 작아지는 센서를 채용하였기 때문에, 동맥 용적 신호(F_PPGdc)의 값이, 기준값의 정해진 비율 미만이 된 경우에 측정을 정지하였다. 그러나, 말초 부위의 동맥의 용적이 커짐에 따라, 동맥 용적 신호(PPGdc, F_PPGdc)의 값이 커지는 센서이면, 동맥 용적 신호(F_PPGdc)의 값이, 기준값의 정해진 비율(예컨대 120%) 이상이 된 경우에 측정을 정지하면 좋다.
단계 S214A에서, 울혈 검지부(112A)는, 현재의 말초 부위의 동맥 용적 신호(F_PPGdc)의 값을 기준값으로 설정한다. 즉, 이 경우도, 동맥 용적 일정 제어가 개시되고 나서, 처음으로, 측정 부위의 동맥 용적 변화 신호(MPGac)의 값이 정해진 값 이하가 된 경우(즉, 동맥벽이 무부하 상태가 된 것이 검출된 경우)에, 이 시점의 동맥 용적 신호(F_PPGdc)의 값이 울혈의 판단의 기준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기준값은, 단일의 동맥 용적 신호(F_PPGdc)의 값이 설정되어도 좋고, 복수개(예컨대, 3개)의 동맥 용적 신호(PPGdc)의 값의 통계값(예컨대, 평균값)이 설정되어도 좋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단계 S208A에 있어서, 한번이라도 동맥 용적 신호(F_PPGdc)가 기준값의 정해진 비율 미만이 되면, 측정 처리를 정지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복수회(예컨대, 3회) 연속하여 동맥 용적 신호(F_PPGdc)가 기준값의 정해진 비율 미만이 된 것이 검출된 경우에만, 정지 처리로 이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흡에 의해 동맥 용적이 변화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도 12의 (D)에서는, 3회 연속하여 상기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 혈압 측정이 정지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1에서도 동일한 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말초 부위의 동맥 용적 신호(PPGdc)를 평탄화함으로써 말초 부위의 동맥 용적의 시간적인 변화를 판단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러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동맥 용적 신호(PPGdc)의 극대점을 연결한 포락선에 의해, 동맥 용적의 시간적인 변화를 판단하여도 좋다.
[실시형태 2]
상기 실시형태 1 및 그 변형예에서는, 울혈이 검지되면 측정의 정지 처리를 하는 것이었지만, 실시형태 2에서는, 울혈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울혈 정보를 출력 처리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혈압 정보 측정 장치의 구성 및 기본적인 동작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 실시형태 1과 다른 부분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CPU(100)는, 도 4에 나타내는 정지 처리부(114A) 대신에, 통지 처리부(114B) 및/또는 기록 처리부(114C)의 기능을 갖는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CPU(100)의 특정 처리부(114)가, 통지 처리부(114B) 및 기록 처리부(114C)의 양기능을 갖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측정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에 있어서, 도 8에 나타내는 처리와 동일한 처리에 대해서는, 동일한 단계 번호를 붙이고 있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13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 1의 단계 S220 대신에, 단계 S320 및 S322의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S320에 있어서, 통지 처리부(114B)는, 울혈이 있었던 취지를 표시부(40)의 정해진 영역에 표시한다. 도 14는 울혈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여, 표시부(40)의 영역(401)에는, 현재의 일시가 표시된다. 표시부(40)의 영역(402, 403)에는, 각각, 단계 S216에서의 결정 결과에 기초하는 현재의 최고 혈압 및 최저 혈압이 표시된다. 또한, 표시부(40)의 영역(404)에는, 공지의 방법으로 산출된 맥박수가 표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시부(40)의 영역(405)에는, 예컨대 「울혈이 확인되었습니다. 측정을 종료하여 주십시오.」라고 하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또한, 여기서는 메시지가 표시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울혈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으면, 정해진 마크를 표시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혹은, 여기서는, 표시에 의해 울혈을 통지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예컨대, 도시하지 않는 음성 출력부나 LED에 의해 음성이나 광으로 울혈을 통지하여도 좋다.
단계 S320의 처리가 끝나면, 단계 S322에 있어서, 울혈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예컨대 시간 데이터와 대응지어 메모리부(42)에 기록한다. 이러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메인 루틴(도 5)의 단계 S16에 있어서, 혈압과 대응지어, 울혈의 검출 유무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예컨대, 울혈 플래그)를 플래시 메모리(43)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320와 S322의 처리 순서는 반대여도 좋고, 병행하여 실행되어도 좋다.
실시형태 2에서의 측정 데이터에 포함되는 혈압 정보 필드(83A)의 데이터 구조예를 도 15에 나타낸다.
도 15를 참조하여, 혈압 정보 필드(83A)는, 「시간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831)과, 「혈압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832)에 더하여, 「울혈 플래그」를 저장하는 영역(833)을 갖고 있다.
영역(833)에는, 영역(831)의 시간 데이터 및 영역(822)의 혈압 데이터의 각 쌍과 대응지어, 울혈이 검출되고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0", 또는, 울혈이 검출된 것을 나타내는 "1"이 저장된다. 이에 따라, 각 혈압 데이터와 울혈의 유무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대응지어져 기억된다.
또한, 플래시 메모리(43)에 1박마다의 최고 혈압, 최저 혈압이 기억되는 경우에는, 1박마다, 울혈의 유무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가 기억되어도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울혈이 검지되어도 자동적으로 측정을 정지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에게 측정의 정지를 재촉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돌연적인 측정 중단에 당황하는 경우가 없어진다. 그러나, 사용자로부터의 측정 정지의 지시가 늦으면, 울혈이 발생한 상태로 측정이 계속되어 버린다. 그 결과, 신뢰성이 낮은 혈압이 기록되어 버리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울혈의 발생의 유무의 정보도 혈압값와 대응지어 기록되기 때문에, 이후에 측정 결과를 표시할 때 등에, 울혈이 생기고 있지 않은 부분과 울혈이 생기고 있던 부분을 식별 가능하게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 결과를 본 의사는, 표시 중인 데이터가, 신뢰성이 높은 값인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지 처리와 기록 처리의 양방을 행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한쪽만 행하여도 좋다. 통지 처리만 행하는 경우, 울혈이 검지되면, 혈압 결정 처리가 실행되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 1의 처리와 조합하여 다음과 같은 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즉, 울혈이 검지되면 그 취지를 통지하고, 정해진 시간 경과한 후에, 측정을 정지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는, 울혈 검지부(112)가 울혈 레벨을 더 판정하고, 울혈 레벨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 및 기록하여도 좋다. 그 경우의 표시예를 도 16의 (A), (B)에 나타낸다.
도 16의 (A)를 참조하여, 울혈 레벨에 따라, 표시부(40)에 묘화하는 선의 종류를 다르게 하여도 좋다. 또는, 도 16의 (B)을 참조하여, 표시 중의 혈압 파형의 울혈 레벨이 다른 부분에 대응지어, 울혈 레벨을 막대 그래프로 표시하여도 좋다.
울혈 레벨의 판정은, 예컨대, 현재의 말초 부위의 동맥 용적 변화 신호(PPGac)의 값이, 측정 초기 시의 값의 1/4∼1/3이면 레벨 1, 1/3∼1/2이면 레벨 2, 1/2 미만이면 레벨 3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예컨대, 울혈 레벨이 1 이상이 되면 그 취지를 표시하고, 울혈 레벨이 3이 된 시점에서 측정을 정지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1의 변형예와 실시형태 2를 조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1, 그 변형예, 및 실시형태 2에 있어서는, 서보 제어가 개시되고 나서, 처음으로 무부하 상태가 검출된 시점을, 울혈의 판단의 기준값을 설정할 때(즉, 측정 초기 시)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측정 초기 시는, 이러한 시점(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서보 제어의 목표값이 검출된 시점(도 7의 시점(Tmax))이어도 좋다. 이 경우, CPU(100)(울혈 검지부(112, 112A))는, 검출 처리부(104)에 의한 처리가 행해지고 있는 기간 동안에도, 발광 소자(71B)의 발광 및 수광 소자(72B)로부터의 신호의 검출을 실행하는 것으로 한다.
혹은, 측정 초기 시는, 검출 처리부(104)에 의한 처리의 개시 전이어도 좋다. 즉, 예컨대 도 9의 (A)를 참조하면, 측정 초기 시는, 제어 목표값을 검출하기 위해 커프압을 상승시키기 전의 시점(커프압이 0 mmHg인 기간(Tbfr))이어도 좋다. 이 경우, CPU(100)(울혈 검지부(112, 112A))는, 측정 스위치(41B)가 눌러지고 나서 검출 처리부(104)에 의한 처리가 행해지기까지의 기간 동안에도, 발광 소자(71B)의 발광 및 수광 소자(72B)로부터의 신호의 검출을 실행하는 것으로 한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며, 청구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 혈압 정보 측정 장치, 10 본체부, 20 커프, 21 공기 주머니, 26 말초 유닛, 28 코드, 30 에어 시스템, 31 에어 튜브, 32 압력 센서, 33 발진 회로, 40 표시부, 41 조작부, 41A 전원 스위치, 41B 측정 스위치, 41C 정지 스위치, 41D 메모리 스위치, 42 메모리부, 43 플래시 메모리, 44 전원, 45 계시부, 46 인터페이스부, 50 조정 유닛, 51 펌프, 52 밸브, 53 펌프 구동 회로, 54 밸브 구동 회로, 70A, 70B 동맥 용적 센서, 71A, 71B 발광 소자, 72A, 72B 수광 소자, 73A, 73B 발광 소자 구동 회로, 74A, 74B 동맥 용적 검출 회로, 76A, 76B 동맥 용적 검출부, 80 측정 데이터, 100 CPU, 102 커프압 취득부, 104 검출 처리부, 106 측정 제어부, 108 서보 제어부, 110 혈압 결정부, 112, 112A 울혈 검지부, 114 특정 처리부, 114A 정지 처리부, 114B 통지 처리부, 114C 기록 처리부, 132 기록 매체, 302 손목, 304 손가락 시작 부분, 306 손가락 끝 부분, F_PPGdc 필터 후의 말초 부위의 동맥 용적 신호, MPGac 측정 부위의 동맥 용적 변화 신호, MPGdc 측정 부위의 동맥 용적 신호, PC 커프압, PC0 초기 커프압, PPGac 말초 부위의 동맥 용적 변화 신호, PPGdc 말초 부위의 동맥 용적 신호, V0 제어 목표값.

Claims (12)

  1. 용적 보상법에 따라 혈압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혈압 정보 측정 장치(1)로서,
    정해진 측정 부위에 휘감기 위한 커프(20)와,
    상기 커프 내의 압력을 나타내는 커프압을 검출하기 위한 압력 검출부(32)와,
    상기 커프의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측정 부위에서의 제1 동맥의 용적을 검출하기 위한 제1 용적 검출부(70A)와,
    상기 측정 부위보다도 말초측의 부위인 말초 부위에서의 제2 동맥의 용적을 검출하기 위한 제2 용적 검출부(70B)와,
    서보 제어의 목표값을 검출하는 처리를 행하기 위한 검출 처리부(104)와,
    상기 제1 동맥의 용적과 상기 서보 제어의 목표값의 차가 정해진 값 이하가 되도록 서보 제어하기 위한 서보 제어부(108)와,
    상기 서보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동맥의 용적 변화의 진폭이 정해진 값 이하가 되었을 때의 커프압을 혈압으로서 결정하기 위한 혈압 결정부(110)와,
    상기 서보 제어의 기간 동안, 상기 제2 용적 검출부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말초 부위의 울혈을 검지하기 위한 울혈 검지부(112)를 구비하는 혈압 정보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울혈 검지부는, 측정 초기 시부터의, 상기 제2 동맥의 용적에 대한 시간적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울혈을 검지하는 것인 혈압 정보 측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울혈 검지부는, 현재의 상기 제2 동맥의 용적의 변화량과, 상기 측정 초기 시의 상기 제2 동맥의 용적의 변화량의 비 또는 차에 의해, 울혈을 검지하는 것인 혈압 정보 측정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울혈 검지부는, 현재의 상기 제2 동맥의 용적값과, 상기 측정 초기 시의 상기 제2 동맥의 용적값의 비 또는 차에 의해, 울혈을 검지하는 것인 혈압 정보 측정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초기 시에는, 상기 서보 제어가 개시되고, 처음으로, 상기 제1 동맥의 용적 변화의 진폭이 상기 정해진 값 이하가 된 시점을 나타내는 혈압 정보 측정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초기 시에는, 상기 서보 제어의 목표값이 검출된 시점을 나타내는 혈압 정보 측정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초기 시에는, 상기 검출 처리부의 처리의 개시 전을 나타내는 혈압 정보 측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울혈 검지부에 의해 울혈이 검지된 경우에, 측정의 정지 처리를 행하기 위한 정지 처리부(114A)를 더 구비하는 혈압 정보 측정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울혈 검지부에 의해 울혈이 검지된 경우에, 울혈 정보의 통지 처리를 행하기 위한 통지 처리부(114B)를 더 구비하는 혈압 정보 측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처리부는, 상기 울혈 정보로서, 울혈이 검지된 취지를 통지하는 것인 혈압 정보 측정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울혈 검지부는, 울혈 레벨을 더 판정하고,
    상기 통지 처리부는, 상기 울혈 정보로서, 상기 울혈 레벨을 통지하는 것인 혈압 정보 측정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압 결정부에 의한 결정 결과에 따른 상기 혈압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43)와,
    상기 울혈 검지부에 의한 울혈의 검출의 유무를, 상기 혈압 정보와 관련지어 상기 기억부에 기록하는 처리를 행하기 위한 기록 처리부(114C)를 더 구비하는 혈압 정보 측정 장치.
KR1020117008185A 2008-11-04 2009-10-21 혈압 정보 측정 장치 KR1016077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83338 2008-11-04
JP2008283338A JP5176880B2 (ja) 2008-11-04 2008-11-04 血圧情報測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1975A true KR20110081975A (ko) 2011-07-15
KR101607721B1 KR101607721B1 (ko) 2016-03-30

Family

ID=42152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8185A KR101607721B1 (ko) 2008-11-04 2009-10-21 혈압 정보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764670B2 (ko)
JP (1) JP5176880B2 (ko)
KR (1) KR101607721B1 (ko)
CN (1) CN102202564B (ko)
DE (1) DE112009002698T5 (ko)
RU (1) RU2516864C2 (ko)
WO (1) WO20100530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76880B2 (ja) * 2008-11-04 2013-04-03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情報測定装置
JP5578100B2 (ja) * 2011-02-08 2014-08-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脈波計測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866776B2 (ja) * 2011-03-01 2016-02-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脈波測定装置、脈波の測定方法
JP5919742B2 (ja) * 2011-11-14 2016-05-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脈波信号処理装置、脈波測定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019592B2 (ja) * 2012-01-23 2016-11-02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測定装置
US9453774B2 (en) 2013-12-17 2016-09-27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Surface area-based pressure sensing
US9625330B2 (en) 2014-08-01 2017-04-18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Methods and apparatus concerning multi-tactile sensitive (E-skin) pressure sensors
US10588577B2 (en) 2015-01-29 2020-03-17 Siemens Healthcare Gmbh Patient signal analysis based on affine template matching
EP3269299B1 (en) * 2015-04-08 2019-05-22 Nipro Corporation Blood pressure measuring device
US20220104710A1 (en) * 2020-10-06 2022-04-07 Smart Meter Corporation Blood pressur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18334A5 (ko) 1977-09-08 1980-07-31 Avl Ag
JPS595296B2 (ja) 1977-09-28 1984-02-03 株式会社植田製作所 間接的連続血圧測定装置
JPS6431370A (en) 1987-07-27 1989-02-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oling fin for semiconductor component
RU2073483C1 (ru) * 1993-03-19 1997-02-20 Николай Николаевич Новико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артериального давления
RU2085111C1 (ru) * 1993-11-15 1997-07-27 Лев Нимаевич Азаргае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пульса
JPH10137204A (ja) * 1996-11-12 1998-05-26 Hioki Ee Corp 非観血式血圧計
JP2000126142A (ja) * 1998-10-29 2000-05-09 Nippon Colin Co Ltd 非観血連続血圧推定装置
US6120459A (en) * 1999-06-09 2000-09-19 Nitzan; Meir Method and device for arterial blood pressure measurement
DE60210939D1 (de) 2001-04-02 2006-06-01 N I Medical Ltd Gerät zur bestimmung des hämodynamischen zustands
RU33696U1 (ru) * 2003-07-21 2003-11-10 Лобанов Андр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Прибор для исследования кровотока в микроциркуляторном русле
JP4785420B2 (ja) 2004-09-21 2011-10-05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血液レオロジー測定装置
JP4702216B2 (ja) * 2006-08-03 2011-06-15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電子血圧計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176880B2 (ja) * 2008-11-04 2013-04-03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情報測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1122593A (ru) 2012-12-20
JP2010110375A (ja) 2010-05-20
CN102202564A (zh) 2011-09-28
KR101607721B1 (ko) 2016-03-30
US8764670B2 (en) 2014-07-01
JP5176880B2 (ja) 2013-04-03
US20110208070A1 (en) 2011-08-25
RU2516864C2 (ru) 2014-05-20
CN102202564B (zh) 2013-10-16
WO2010053009A1 (ja) 2010-05-14
DE112009002698T5 (de) 201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1975A (ko) 혈압 정보 측정 장치
US9149194B2 (en) Electronic sphygmomanometer
JP5589501B2 (ja) 血圧測定装置
JP5098721B2 (ja) 血圧測定装置、血圧導出プログラムおよび血圧導出方法
JP5152153B2 (ja) 電子血圧計
CN109414199A (zh) 用于最大动脉顺应性的无创评估的设备和方法
KR101623615B1 (ko) 혈압 정보 측정 장치
US8715197B2 (en) Blood pressure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JP2014014556A (ja) 電子血圧計および血圧測定方法
JP2009153843A (ja) 血圧測定装置
JP2010131247A (ja) 血圧測定装置
WO2011055717A1 (ja) 血圧測定装置、血圧測定方法、および血圧測定プログラム
JP7024576B2 (ja) 電子血圧計および心不全検出器
JP5540829B2 (ja) 血圧測定装置、および、血圧測定装置の制御方法
JP5353106B2 (ja) 電子血圧計
JP2019187651A5 (ko)
WO2011122126A1 (ja) 測定部位に手動で巻付けられるカフを有する血圧測定装置
JP2011200265A (ja) 動脈硬化指標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