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1619A - 자동차 - Google Patents
자동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81619A KR20110081619A KR1020100001874A KR20100001874A KR20110081619A KR 20110081619 A KR20110081619 A KR 20110081619A KR 1020100001874 A KR1020100001874 A KR 1020100001874A KR 20100001874 A KR20100001874 A KR 20100001874A KR 20110081619 A KR20110081619 A KR 201100816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are tire
- vehicle
- straight line
- back panel
- mounting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6—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62D21/03—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transverse members providing body suppor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27—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rea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는,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전륜 및 후륜과, 스페어타이어가 장착되는 스페어타이어 장착부가 형성된 리어 플로어 및, 상기 리어 플로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리어 플로어와 함께 화물실을 형성하는 백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어타이어 장착부의 밑면은, 상기 전륜 및 상기 후륜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백 패널 방향에서 차량의 충돌 시 상기 직선과 더 경사지는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후방에서 다른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에 스페어타이어가 후륜 쪽으로 탈락되어 튕겨지는 스페어타이어로부터 탑승자가 보호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자체 엔진에서 동력을 생산해 바퀴에 전달하여 도로 상에서 승객이나 화물을 운반하는 교통 수단이다. 자동차는 크게 외관을 형성하는 차체(body)와 각종 장치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섀시(chassis)로 나눌 수 있다. 섀시는 주행의 원동력이 되는 자동차 엔진을 비롯하여 동력전달 장치, 조향 장치, 현가 장치, 제동 장치 등 주요 장치를 포함한다.
엔진은 자동차를 달리게 하는 원동력이다. 대부분의 자동차 엔진은 4행정 내연기관이다. 4행정 내연기관은 흡입, 압축, 폭발, 배기의 4행정에 의해 한 주기를 끝내는 내연기관으로 왕복운동 엔진의 가장 일반적인 예이다. 주로 휘발성 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은 연료를 공기 중의 산소와 완전연소가 이루어지도록 잘 혼합된 상태에서 압축을 한 다음 연소를 시킬 때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직접 이용해 운동에너지를 얻는다.
이러한 휘발성 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은 배기 가스로 인한 환경 오염과 석유 자원의 고갈을 일으켜 그 대안으로 전기를 동력으로 움직이는 전기자동차가 대두되었다.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는 주로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AC 또는 DC 모터를 구동하여 동력을 얻는 자동차로서, 크게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로 분류되며,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고 전원이 다 소모되면 재충전하고,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엔진을 가동하여 전기발전을 하여 배터리에 충전을 하고 이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모터를 구동하여 차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직렬 방식과 병렬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직렬 방식은 엔진에서 출력되는 기계적 에너지는 발전기를 통하여 전기적 에너지로 바뀌고 이 전기적 에너지가 배터리나 모터로 공급되어 차량은 항상 모터로 구동되는 자동차로 기존의 전기자동차에 주행거리의 증대를 위하여 엔진과 발전기를 추가시킨 개념이고, 병렬 방식은 배터리 전원으로도 차를 움직이게 할 수 있고 엔진(가솔린 또는 디젤)만으로도 차량을 구동시키는 두 가지 동력원을 사용하고 주행조건에 따라 병렬 방식은 엔진과 모터가 동시에 차량을 구동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전기자동차에도 종래의 차량의 차체를 사용한다. 종래의 차체를 사용하는 전기자동차에서 뒤쪽에서 오는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 리어 플로어 부분이 파손되거나 접히면서, 스페어타이어 장착부에 장착된 스페어타이어가 후방시트 쪽으로 튕겨지는 현상이 있었다. 이 경우 튕겨진 스페어타이어에 의하여 탑승자가 다치는 등의 피해를 입을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후방에서 다른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에 스페어타이어가 후륜 쪽으로 탈락되어 튕겨지는 스페어타이어로부터 탑승자가 보호되는 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는,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전륜 및 후륜; 스페어타이어가 장착되는 스페어타이어 장착부가 형성된 리어 플로어; 및 상기 리어 플로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리어 플로어와 함께 화물실을 형성하는 백 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어타이어 장착부의 밑면은, 상기 전륜 및 상기 후륜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백 패널 방향에서 차량의 충돌 시 상기 직선과 더 경사지는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는,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전륜 및 후륜; 스페어타이어가 장착되는 스페어타이어 장착부가 형성된 리어 플로어; 및 상기 리어 플로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리어 플로어와 함께 화물실을 형성하는 백 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어타이어 장착부는 상기 스페어타이어가 상기 전륜 및 상기 후륜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며 장착되도록 형성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스페어타이어 장착부의 밑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스페어타이어가 후륜을 항햐도록 장착되므로, 백 패널 방향에서 차량의 충돌 시 후방 시트 쪽으로 스페어타이어가 튕기지 않아, 탑승자가 보호된다.
둘째, 전면부가 전륜 및 후륜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스페어타이어가 경사지게 장착되도록 한다.
셋째, 전면부와 직선이 이루는 각도는 백 패널 방향에서 차량의 충돌 시, 초기 교각보다 더 작은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므로, 스페어타이어가 후륜 쪽을 향하게 된다.
넷째, 밑면과 직선이 이루는 각도는 백 패널 방향에서 차량의 충돌 시, 교각보다 더 큰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므로, 스페어타이어가 후륜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장착된다.
다섯째, 스페어타이어 장착부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백 패널 방향에서 차량의 충돌 시 파손되어 상기 스페어타이어가 탈락되므로, 후방 시트의 탑승자가 보호된다.
여섯째, 스페어타이어 장착부는 스페어타이어가 전륜 및 후륜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며 장착되도록 형성되므로, 백 패널 방향에서 차량의 충돌 시, 후방 시트 쪽으로 스페어타이어가 튕기지 않아, 탑승자가 보호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차체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를 나타내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후방 차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 차체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나타난 후방 차체가 백 패널 방향에서 충돌한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에 따른 후방 차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를 나타내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후방 차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 차체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나타난 후방 차체가 백 패널 방향에서 충돌한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에 따른 후방 차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자동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차체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를 나타내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는, 모터 및 동력전달 계통의 부품을 탑재하는 전방 차체(100)와, 탑승자가 승차하여 착석할 수 있는 중앙 차체(200), 스페어 타이어 및 기타 물건 등을 보관할 수 있는 후방 차체(300)를 포함한다.
차체(100 내지 300)는 닫힌 공간을 만들어 그 내부에 각종 장치를 배치하고 탑승자나 화물을 수용한다. 일부를 개폐시켜 탑승자나 화물의 출입, 각종 장치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필요도 있다. 외부의 비나 바람, 먼지 등에서 탑승자나 화물, 각종 장치를 보호하는 것도 중요한 작용이다. 또한, 차체(100 내지 300)의 외관 형상은 그대로 자동차의 형상으로 된다.
전방 차체(100)는 우물 정(井)자를 형성하며 모터 및 변속기가 구비된다. 전방 차체(100)에는,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바꾸기 위하여 전륜(101)의 회전축 방향을 조절하는 조향 장치(110)와, 노면의 진동이 직접 차체에 닿지 않도록 하는 전륜 현가 장치(120)가 구비된다.
전방 차체(100)는 모터나 변속기, 각종 보조 기구류 등의 중량물이 집중되어 탑재되는 것을 비롯하여 전륜 현가 장치(120)의 전륜(101)을 지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륜 구동 자동차에서는 구동력도 전방 차체(100)가 담당한다.
전방 차체(100)는 사고 등으로 말미암아 강아 충격을 받을 경우 파손되어 충격을 흡수하여 차실에 강한 힘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전방 차체(100)의 각 부품은 전방 차체에 볼트 또는 너트로 고정되거나 용접되어 있으며, 프론트 펜더, 후드 등 외판 부품만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조향 장치(110)는 자동차를 운전자가 의도하는 방향으로 주행시키기 위하여 전륜(101)의 회전축 방향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전륜 현가 장치(120)는 차체에 대하여 전륜(101)을 상하 이외의 방향에는 적당한 강성에 의하여 지지하고, 상하 방향은 스프링, 감쇠 기구에 의하여 지지하는 것이다.
중앙 차체(200)는, 전방측 바닥을 형성하는 프론트 플로어(210)와, 프론트 플로어 가운데 구비되며 배터리 모듈(410)이 장착되는 터널(230)과, 프론트 플로어의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하부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실 패널(229)을 포함한다.
중앙 차체(200)는 대부분 차실, 즉 탑승자 등이 탑승하는 장소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 공간은 될수록 크게 한다.
프론트 플로어(210)는 차실 내의 바닥으로서 강도가 높고 면적이 넓은 패널이다. 프론트 플로어(210)의 좌우에는 각 필러의 베이스가 되는 사이드 실 패널(229)이 앞에서 뒤까지 연결되어 있다. 프론트 플로어(210)의 가운데에는 터널(230)이 구비된다.
터널(230)은 배터리 모듈(410)이 장착되도록 상방으로 인입되어 형성된다. 터널(230)의 양측은 프론트 플로어(210)와 결합된다. 터널(230)과 프론트 플로어(210)는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널(230)의 양측 가장자리 하측에는 배터리 모듈(410)을 지지하는 배터리 캐리어(420)가 결합된다. 배터리 캐리어(420)는 볼트 또는 너트로 터널(230)에 결합된다.
사이드 실 패널(229)은 사각 단면 구조로서 프론트 필러(미도시), 센터 필러(미도시) 또는 리어 휠 하우스(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 실 패널(229)은 프론트 플로어(210)의 양측 가장자리에 결합된다.
후방 차체(300)는 후방측 바닥을 형성하는 리어 플로어(310)를 포함한다. 후방 차체(300)에는 노면의 진동이 직접 차체에 닿지 않도록 하는 후륜 현가 장치(330)가 구비된다.
후방 차체(300)는 후륜 현가 장치(330)의 후륜(103)을 지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후륜 구동 자동차에서는 구동력도 후방 차체(300)가 담당한다.
후륜 현가 장치(330)는 차체에 대하여 후륜(103)을 상하 이외의 방향에는 적당한 강성에 의하여 지지하고, 상하 방향은 스프링, 감쇠 기구에 의하여 지지하는 것이다.
배터리 모듈(410)은 전류를 공급한다. 배터리 모듈(410)은 리튬/이온 셀이 복수로 연결된 것이다. 배터리 모듈(410)은 T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 차체(200)의 터널(230) 및 후방 차체(300)의 리어 플로어(310)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터리 캐리어(420)는 배터리를 지지한다. 배터리 캐리어(420)는 볼트 또는 너트로 중앙 차체(200) 및 후방 차체(300)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후방 차체(3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는, 배터리 모듈(410)이 장착되며 바닥을 형성하는 리어 플로어(310)와, 배터리 모듈(410)이 장착되는 공간이 최대한 확보되도록 리어 플로어(3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측면 방향의 충격을 흡수하는 리어 크로스 멤버(도 5의 324)와, 리어 플로어(310) 상부에 결합되며 리어 크로스 멤버(도 5의 324)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보강 크로스 멤버(325)를 포함한다.
리어 플로어(3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후방측 차실 내의 바닥을 형성한다. 리어 플로어(310)는 차실 내의 바닥으로서 강도가 높고 면적이 넓은 패널이다. 리어 플로어(310)의 상측에는 탑승자가 앉는 후방시트(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리어 플로어(310)는 백 패널(327)과 함께 화물실을 형성할 수 있다. 리어 플로어(310)는 물건을 보관하는 화물실의 바닥에 형성하므로 스페어타이어가 구비되는 스페어타이어 장착부(34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어 플로어(310) 하부에는 배터리 모듈(410)이 장착된다. 배터리 모듈(410)의 전방 부분은 터널(230)에 장착되고, 후방 부분은 리어 플로어(310)에 장착된다. 리어 플로어(310)에서 스페어타이어 장착부(340) 전방에 배터리 모듈(410)이 장착된다. 리어 플로어(310)에서 리어 크로스 멤버(도 5의 324) 전방에 배터리 모듈(410)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사이드 멤버(323)는 리어 플로어(310) 양측에 전후 방향으로 결합된다. 리어 사이드 멤버(323)는 전후 방향의 충격을 흡수하고, 뒤틀림과 구부러짐을 방지한다. 리어 사이드 멤버(323) 사이에는 배터리 모듈(410)이 장착된다.
리어 사이드 멤버(323)는 브라켓 등의 추가 부품 없이 배터리 캐리어(420)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어 사이드 멤버(323)는 하단이 배터리 캐리어(420)와 볼트 또는 너트로 결합된다. 배터리 캐리어(420)는 터널(230)의 양측 가장자리 하측과 볼트 또는 너트로 결합할 수 있다.
리어 크로스 멤버(도 5의 324)는 리어 플로어(310)의 하부에 결합된다. 리어 크로스 멤버(도 5의 324)는 리어 사이드 멤버(323)와 결합된다. 리어 크로스 멤버(도 5의 324)는 측면 방향의 충격을 흡수하고, 뒤틀림과 구부러짐을 방지한다. 리어 크로스 멤버(도 5의 324)는 배터리 모듈(410)이 장착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최대한 후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 크로스 멤버(325)는 리어 플로어(310)의 상부에 결합된다. 보강 크로스 멤버(325)는 리어 사이드 멤버(323)와 결합된다. 보강 크로스 멤버(325)는 리어 크로스 멤버(도 5의 324)와 함께 측면 방향의 충격을 흡수하고, 뒤틀림과 구부러짐을 방지한다. 리어 크로스 멤버(도 5의 324)가 배터리 모듈(410)이 장착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최대한 후방으로 배치되므로, 차체 전체의 비틀림을 방지하고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보강 크로스 멤버(325)는 리어 크로스 멤버(도 5의 324)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 크로스 멤버(325)는 리어 플로어(310)의 후방시트(미도시)가 장착되는 부분(S)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차실 공간이 최대한 확보되도록 한다. 보강 크로스 멤버(325)는 후방시트(미도시)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의 일부가 구비될 수 있다.
리어 사이드 실 패널(329)은 사이드 실 패널(229)이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별도로 구비되어, 보강 크로스 멤버(325) 및 사이드 실 패널(229)과 연결된다. 리어 사이드 실 패널(329)는 각종 필러가 결합될 수 있다.
백 패널(327)은 리어 플로어(310)의 후방에 결합된다. 백 패널(327)은 화물실의 후방을 형성하며 자체의 비틀림을 방지한다.
보강판(328)은 리어 사이드 멤버(323)와 결합되며, 후륜 현가 장치(330)가 결합된다. 보강판(328)은 후륜 현가 장치(3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견고한 재질로 형성되며 리어 사이드 멤버(323)와 단단히 결합된다.
리어 플로어 익스텐션(321)은 높이가 다른 리어 플로어(310)와 프론트 플로어(210)를 연결하는 것이다. 리어 플로어 익스텐션(321)의 가운데 부분은 배터리 모듈(410)이 장착되도록 만입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 차체(300)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나타난 후방 차체(300)가 백 패널(327) 방향에서 충돌한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는,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전륜(101) 및 후륜(103)과, 스페어타이어(343)가 장착되는 스페어타이어 장착부(340)가 형성된 리어 플로어(310) 및, 리어 플로어(310)의 일측에 구비되고 리어 플로어(310)와 함께 화물실을 형성하는 백 패널(327)을 포함하고, 스페어타이어 장착부(340)의 밑면(342)은 전륜(101) 및 상기 후륜(103)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직선(L)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백 패널(327) 방향에서 차량의 충돌 시 상기 직선(L)과 더 경사지는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전륜(101)과 후륜(103)은 회전축을 일축의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전륜(101)과 후륜(103)의 회전에 의하여 자동차가 움직인다.
리어 플로어(310)는 스페어타이어(343)가 장착되도록 하는 스페어타이어 장착부(340)가 형성된다. 스페어타이어 장착부(340)는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함몰된 부분에 스페어타이어(343)가 장착된다.
리어 플로어(310)의 일측에는 상술한 백 패널(327)이 구비된다. 백 패널(327)은 차체의 후방을 이루며, 리어 플로어(310)와 함께 화물실을 형성한다.
스페어타이어 장착부(340)의 밑면(342)은, 전륜(101) 및 후륜(103)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직선(L)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전륜(101)과 후륜(103)이 회전하는 회전축의 중심을 연결한 가상의 직선(L)에 대하여, 스페어타이어 장착부(340)의 밑면(342)은 상술한 직선(L)과 교각(θ1)을 이루도록 경상지게 형성된다. 상술한 직선(L)은 지면과 평행한 직선(L)일 수 있다. 이 경우 스페어타이어 장착부(340)의 밑면(342)은 지면과 교각(θ1)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스페어타이어 장착부(340)의 밑면(342)은, 백 패널(327) 방향에서 차량의 충돌 시, 상술한 직선(L)과 더 경사지는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차량의 후방인 백 패널(327) 방향에서 차량이 충돌되는 경우에, 스페어타이어 장착부(340)에 장착된 스페어타이어(343)가 후방 시트(미도시)방향으로 튕겨지므로, 후방 시트의 탑승자가 다치게 될 위험이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어타이어 장착부(340)의 밑면(342)은 스페어타이어(343)가 장착된 상태로 스페어타이어 장착부(340)의 밑면(342)에 상술한 직선(L)과 더 경사지는 각도를 이루게 되어, 스페어타이어(343)가 후륜(103)을 향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스페어타이어(343)는 후방 시트 방향으로 튕겨져 나가지 않으므로, 백 패널(327) 방향에서 차량의 충돌 시 스페어타이어(343)에 의한 피해를 입지 않게 된다.
스페어타이어 장착부(340)는 스페어타이어 장착부(340)의 밑면(342)의 전방에 형성되고 상술한 직선(L)에 대하여 교각(θ2)을 이루어 형성되는 전면부(344)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전면부(344)는 상술한 직선(L)과 교각(θ2)을 이루어 형성되므로, 앞으로 기울어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스페어타이어 장착부(340)의 앞쪽에 해당하는 전면부(344)가 백 패널(327) 방향의 후면부보다 더 지면과 가까이 형성되며, 스페어타이어 장착부(340)에 장착된 스페어타이어(343)는 스페어타이어 장착부(340)의 밑면(342)과 같은 각도로 장착된다.
이 때, 전면부(344)와 상술한 직선(L)이 이루는 각도는, 백 패널(327) 방향에서 차량의 충돌 시, 교각보다 더 작은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도 6에 개시된 것과 같이, 백 패널(327) 방향에서 차량이 충돌하면, 백 패널(327)은 지면과 더 멀어지는 방향에 해당하는 수직방향 쪽으로 올라가게 되고, 전면부(344)는 스페어타이어 장착부(340)가 도 6에 개시된 것과 같이 회전되면서 초기의 교각보다 더 작은 각도를 이루게 된다. 전면부(344)가 초기 교각보다 더 작은 각도를 이루게 되면 쪽으로 더 향하게 되므로, 스페어타이어(343)는 그 튕겨지는 방향이 후륜(103)쪽으로 향하게 되어, 후방 시트의 탑승자가 스페어타이어(343)에 의한 피해를 입지 않게 된다.
스페어타이어 장착부(340)의 밑면(342)은 상술한 직선(L)과 교각을 이루어 형성된다. 밑면(342)이 상술한 직선(L)과 교각을 이루게 되므로, 스페어타이어 장착부(340)에 장착된 스페어타이어(343)가 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장착된다.
이 때, 밑면(342)과 상술한 직선(L)이 이루는 각도는, 백 패널(327) 방향에서 차량의 충돌 시, 초기의 교각(θ1)보다 더 큰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도 6에 개시된 것과 같이, 백 패널(327) 방향에서 차량이 충돌하면, 백 패널(327)은 지면과 더 멀어지는 방향에 해당하는 수직방향 쪽으로 올라가게 되고, 밑면(342)은 백 패널(327)을 따라 수직방향 쪽으로 이동된다. 밑면(342)은 이와 함께 도 6에 개시된 것과 같이 회전되어, 밑면(342)과 상술한 직선(L)이 이루는 각도가 초기의 교각(θ1)보다 더 큰 각도를 이루게 된다. 밑면(342)이 초기 교각(θ1)보다 더 큰 각도를 이루게 되어 스페어타이어(343)가 지면 쪽으로 더 향하게 되므로, 스페어타이어(343)는 그 튕겨지는 방향이 후륜(103)쪽으로 향하게 되어, 후방 시트의 탑승자가 스페어타이어(343)에 의한 피해를 입지 않게 된다.
스페어타이어 장착부(340)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라스틱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으로, 공업재료 및/또는 구조재료로 사용되는 강도 높은 플라스틱이다. 강철보다도 강하고 알루미늄보다도 전성(展性)이 풍부하며, 금 및/또는 은보다도 내약품성이 강한 고분자 구조의 고기능 수지이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성능과 특징은 그 화학구조에 따라 다른데, 주로 폴리아마이드(Polyamides), 폴리아세틸(Polyacetal),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s), 폴리에스터수지(Polybutylene terephthalate), 폴리페닐렌옥사이드(Polyphenylene oxide)의 5종류로 분리된다. 이하에서 플라스틱은 상술한 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설명하나, 일반적인 플라스틱이라도 스페어타이어(343)를 장착하면서 높은 강도를 지니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백 패널(327) 방향에서 차량의 충돌 시, 스페어타이어 장착부(340)가 파손되어 스페어타이어(343)가 탈락된다. 백 패널(327) 방향에서 차량이 충돌하면, 스페어타이어 장착부(340)는 상술한 플라스틱으로 구성됨으로 인하여, 깨지는 등의 파손이 일어난다. 스페어타이어 장착부(340)가 파손되면, 스페어타이어 장착부(340)의 밑면(342) 또는 전체가 깨지게 될 수 있다. 스페어타이어(343)는 스페어타이어 장착부(340)에 경사지게 장착되는 상태에서 스페어타이어 장착부(340)가 깨지므로, 탑승자가 위치한 후방 시트 방향으로 튕겨지지 않고, 후륜(103) 또는 지면 쪽으로 탈락된다. 따라서 탑승자가 스페어타이어(343)에 의한 피해를 입지 않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에 따른 후방 차체(3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에 따른 자동차는,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전륜(101) 및 후륜(103)과, 스페어타이어(343)가 장착되는 스페어타이어 장착부(340)가 형성된 리어 플로어(310) 및, 리어 플로어(310)의 일측에 구비되고 리어 플로어(310)와 함께 화물실을 형성하는 백 패널(327)을 포함하고, 스페어타이어 장착부(340)는 스페어타이어(343)가 전륜(101) 및 후륜(103)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직선(L)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며 장착되도록 형성된다.
전륜(101)과 후륜(103)은 회전축을 일축의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전륜(101)과 후륜(103)의 회전에 의하여 자동차가 움직인다.
리어 플로어(310)는 스페어타이어(343)가 장착되도록 하는 스페어타이어 장착부(340)가 형성된다. 스페어타이어 장착부(340)는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함몰된 부분에 스페어타이어(343)가 장착된다.
리어 플로어(310)의 일측에는 상술한 백 패널(327)이 구비된다. 백 패널(327)은 차체(100 내지 300)의 후방을 이루며, 리어 플로어(310)와 함께 화물실을 형성한다.
스페어타이어 장착부(340)는 스페어타이어(343)가 전륜(101) 및 후륜(103)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직선(L)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며 장착되도록 형성된다. 전륜(101)과 후륜(103)이 회전하는 회전축의 중심을 연결한 가상의 직선(L)에 대하여, 스페어타이어(343)가 경사지게 장착되도록 경사단(345)이 스페어타이어 장착부(34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직선(L)은 지면과 평행한 직선(L)일 수 있다. 이 때의 밑면(342')은 상술한 직선(L)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사단(345)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상술한 직선(L)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스페어타이어(343)가 경사지게 장착되므로, 백 패널(327) 방향에서 차량의 충돌 시, 백 패널(327)은 지면과 더 멀어지는 방향에 해당하는 수직방향 쪽으로 올라가게 되고, 스페어타이어 장착부(340) 백 패널(327)을 따라 위쪽으로 회전한다. 스페어타이어(343)는 스페어타이어 장착부(340)에 장착된 채로 회전하면서, 그 튕겨지는 방향이 후륜(103)쪽으로 향하게 되어, 후방 시트의 탑승자가 스페어타이어(343)에 의한 피해를 입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전방 차체 110: 조향 장치
120: 전륜 현가 장치 200: 중앙 차체
210: 프론트 플로어 229: 사이드 실 패널
230: 터널 300: 후방 차체
310: 리어 플로어 321: 리어 플로어 익스텐션
323: 리어 사이드 멤버 324: 리어 크로스 멤버
325: 보강 크로스 멤버 327: 백 패널
328: 보강판 329: 리어 사이드 실 패널
330: 후륜 현가 장치 340: 스페어타이어 장착부
410: 배터리 모듈 420: 배터리 캐리어
120: 전륜 현가 장치 200: 중앙 차체
210: 프론트 플로어 229: 사이드 실 패널
230: 터널 300: 후방 차체
310: 리어 플로어 321: 리어 플로어 익스텐션
323: 리어 사이드 멤버 324: 리어 크로스 멤버
325: 보강 크로스 멤버 327: 백 패널
328: 보강판 329: 리어 사이드 실 패널
330: 후륜 현가 장치 340: 스페어타이어 장착부
410: 배터리 모듈 420: 배터리 캐리어
Claims (8)
-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전륜 및 후륜;
스페어타이어가 장착되는 스페어타이어 장착부가 형성된 리어 플로어; 및
상기 리어 플로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리어 플로어와 함께 화물실을 형성하는 백 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어타이어 장착부의 밑면은,
상기 전륜 및 상기 후륜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백 패널 방향에서 차량의 충돌 시 상기 직선과 더 경사지는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자동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어타이어 장착부는 상기 스페어타이어 장착부의 밑면의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직선에 대하여 교각을 이루어 형성되는 전면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자동차.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와 상기 직선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백 패널 방향에서 차량의 충돌 시, 상기 교각보다 더 작은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자동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면은 상기 직선과 교각을 이루어 형성되는 자동차.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밑면과 상기 직선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백 패널 방향에서 차량의 충돌 시, 상기 교각보다 더 큰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자동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어타이어 장착부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상기 백 패널 방향에서 차량의 충돌 시 파손되어 상기 스페어타이어가 탈락되도록 하는 자동차.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어타이어는 상기 후륜 쪽으로 탈락되도록 하는 자동차.
-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전륜 및 후륜;
스페어타이어가 장착되는 스페어타이어 장착부가 형성된 리어 플로어; 및
상기 리어 플로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리어 플로어와 함께 화물실을 형성하는 백 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어타이어 장착부는 상기 스페어타이어가 상기 전륜 및 상기 후륜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며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자동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1874A KR20110081619A (ko) | 2010-01-08 | 2010-01-08 | 자동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1874A KR20110081619A (ko) | 2010-01-08 | 2010-01-08 | 자동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81619A true KR20110081619A (ko) | 2011-07-14 |
Family
ID=44920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01874A KR20110081619A (ko) | 2010-01-08 | 2010-01-08 | 자동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81619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342136A (zh) * | 2013-06-28 | 2013-10-09 |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 地板结构及具有该地板结构的车辆 |
-
2010
- 2010-01-08 KR KR1020100001874A patent/KR2011008161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342136A (zh) * | 2013-06-28 | 2013-10-09 |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 地板结构及具有该地板结构的车辆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1055936A2 (ko) | 자동차 | |
KR20120012655A (ko) | 전기자동차 | |
JP2011111124A (ja) | 車両の後部構造 | |
KR20110059354A (ko) | 자동차 | |
KR20130025239A (ko) | 전기자동차 | |
KR20120057674A (ko) | 전기자동차 | |
KR20110081619A (ko) | 자동차 | |
KR20130068985A (ko) | 전기자동차 | |
KR20110059351A (ko) | 자동차 | |
KR20130040558A (ko) | 전기자동차 | |
KR20120012656A (ko) | 전기자동차 | |
KR20130068961A (ko) | 전기자동차 | |
KR20140020652A (ko) | 자동차 | |
KR20130072639A (ko) | 전기자동차 | |
KR101901299B1 (ko) | 전기자동차 | |
KR20110115422A (ko) | 자동차 | |
KR20110100909A (ko) | 자동차 | |
KR20130068976A (ko) | 자동차 | |
KR20110115424A (ko) | 자동차 | |
KR20110048852A (ko) | 전기 자동차 | |
KR20130025249A (ko) | 전기자동차 | |
KR20110048855A (ko) | 자동차 | |
KR20110081607A (ko) | 자동차 | |
KR20110115425A (ko) | 자동차 | |
KR20110115420A (ko) | 자동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