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5424A - 자동차 - Google Patents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5424A
KR20110115424A KR1020100034915A KR20100034915A KR20110115424A KR 20110115424 A KR20110115424 A KR 20110115424A KR 1020100034915 A KR1020100034915 A KR 1020100034915A KR 20100034915 A KR20100034915 A KR 20100034915A KR 20110115424 A KR20110115424 A KR 20110115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rear floor
coupled
batter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범
Original Assignee
(주)브이이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이이엔에스 filed Critical (주)브이이엔에스
Priority to KR1020100034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5424A/ko
Priority to US13/505,386 priority patent/US20130126254A1/en
Priority to PCT/KR2010/007575 priority patent/WO2011055936A2/ko
Publication of KR20110115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4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16Arrangement in the rear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가 효율적으로 장착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는, 전방측 바닥을 형성하는 프론트 플로어; 후방측 바닥을 형성하는 리어 플로어; 상기 프론트 플로어와 상기 리어 플로어를 연결하는 리어 플로어 익스텐션; 전류를 공급하는 배터리 모듈; 및 상기 배터리 모듈을 지지하며 상기 리어 플로어 익스텐션과 결합되는 배터리 캐리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가 효율적으로 장착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자체 엔진에서 동력을 생산해 바퀴에 전달하여 도로 상에서 승객이나 화물을 운반하는 교통 수단이다. 자동차는 크게 외관을 형성하는 차체(body)와 각종 장치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섀시(chassis)로 나눌 수 있다. 섀시는 주행의 원동력이 되는 자동차 엔진을 비롯하여 동력전달 장치, 조향 장치, 현가 장치, 제동 장치 등 주요 장치를 포함한다.
엔진은 자동차를 달리게 하는 원동력이다. 대부분의 자동차 엔진은 4행정 내연기관이다. 4행정 내연기관은 흡입, 압축, 폭발, 배기의 4행정에 의해 한 주기를 끝내는 내연기관으로 왕복운동 엔진의 가장 일반적인 예이다. 주로 휘발성 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은 연료를 공기 중의 산소와 완전연소가 이루어지도록 잘 혼합된 상태에서 압축을 한 다음 연소를 시킬 때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직접 이용해 운동에너지를 얻는다.
이러한 휘발성 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은 배기 가스로 인한 환경 오염과 석유 자원의 고갈을 일으켜 그 대안으로 전기를 동력으로 움직이는 전기자동차가 대두되었다. 전기자동차는 배기 가스나 소음이 없는 무공해 자동차이다. 그러나 높은 생산비용, 낮은 운행속도 그리고 짧은 운행거리로 인해 그 동안 실용화되지 못해왔다.
최근 들어 고유가와 배기가스 규제 강화가 전기 자동차 개발의 속도를 빠르게 하고 있으며, 시장 규모도 급성장 중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터리가 후방 차체에 효율적으로 장착되는 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는, 전방측 바닥을 형성하는 프론트 플로어; 후방측 바닥을 형성하는 리어 플로어; 상기 프론트 플로어와 상기 리어 플로어를 연결하는 리어 플로어 익스텐션; 전류를 공급하는 배터리 모듈; 및 상기 배터리 모듈을 지지하며 상기 리어 플로어 익스텐션과 결합되는 배터리 캐리어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리어 플로어 익스텐션에 배터리 캐리어가 결합되는 캐리어 마운트가 형성되어 배터리 모듈이 안정적으로 장착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리어 플로어 익스텐션에 배터리 캐리어가 결합되어 박스 형태의 섹션을 구성하여 측면 충돌에 효과적으로 대비하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차체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를 나타내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후방 차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후방 차체를 아래쪽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자동차의 리어 플로어 익스텐션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자동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차체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를 나타내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는, 모터 및 동력전달 계통의 부품을 탑재하는 전방 차체(100)와, 탑승자가 승차하여 착석할 수 있는 중앙 차체(200), 스페어 타이어 및 기타 물건 등을 보관할 수 있는 후방 차체(300)를 포함한다.
차체는 닫힌 공간을 만들어 그 내부에 각종 장치를 배치하고 탑승자나 화물을 수용한다. 일부를 개폐시켜 탑승자나 화물의 출입, 각종 장치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필요도 있다. 외부의 비나 바람, 먼지 등에서 탑승자나 화물, 각종 장치를 보호하는 것도 중요한 작용이다. 또한, 차체는 외관으로서 차체의 형상은 그대로 자동차의 형상으로 된다.
전방 차체(100)는 우물 정(井)자를 형성하며 모터 및 변속기가 구비된다. 전방 차체(100)에는,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바꾸기 위하여 앞바퀴의 회전축 방향을 조절하는 조향 장치(110)와, 노면의 진동이 직접 차체에 닿지 않도록 하는 전륜 현가 장치(120)가 구비된다.
전방 차체(100)는 모터나 변속기, 각종 보조 기구류 등의 중량물이 집중되어 탑재되는 것을 비롯하여 전륜 현가 장치(120)의 앞바퀴를 지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륜 구동 자동차에서는 구동력도 전방 차체(100)가 담당한다.
전방 차체(100)는 사고 등으로 말미암아 강아 충격을 받을 경우 파손되어 충격을 흡수하여 차실에 강한 힘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전방 차체(100)의 각 부품은 전방 차체에 볼트 또는 너트로 고정되거나 용접되어 있으며, 프론트 펜더, 후드 등 외판 부품만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조향 장치(110)는 자동차를 운전자가 의도하는 방향으로 주행시키기 위하여 앞바퀴의 회전축 방향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전륜 현가 장치(120)는 차체에 대하여 앞바퀴를 상하 이외의 방향에는 적당한 강성에 의하여 지지하고, 상하 방향은 스프링, 감쇠 기구에 의하여 지지하는 것이다.
중앙 차체(200)는, 전방측 바닥을 형성하는 프론트 플로어(210)와, 프론트 플로어 가운데 구비되며 배터리 모듈(410)이 장착되는 터널(230)과, 프론트 플로어의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하부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실 패널(229)을 포함한다.
중앙 차체(200)는 대부분 차실, 즉 탑승자 등이 탑승하는 장소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 공간은 될수록 크게 한다.
프론트 플로어(210)는 차실 내의 바닥으로서 강도가 높고 면적이 넓은 패널이다. 프론트 플로어(210)의 좌우에는 각 필러의 베이스가 되는 사이드 실 패널(229)이 앞에서 뒤까지 연결되어 있다. 프론트 플로어(210)의 가운데에는 터널(230)이 구비된다.
터널(230)은 배터리 모듈(410)이 장착되도록 상방으로 인입되어 형성된다. 터널(230)의 양측은 프론트 플로어(210)와 결합된다. 터널(230)과 프론트 플로어(210)는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널(230)의 양측 가장자리 하측에는 배터리 모듈(410)을 지지하는 배터리 캐리어(420)가 결합된다. 배터리 캐리어(420)는 볼트 또는 너트로 터널(230)에 결합된다.
사이드 실 패널(229)은 사각 단면 구조로서 프론트 필러(미도시), 센터 필러(미도시) 또는 리어 휠 하우스(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 실 패널(229)은 프론트 플로어(210)의 양측 가장자리에 결합된다.
후방 차체(300)는 후방측 바닥을 형성하는 리어 플로어(310)를 포함한다. 후방 차체(300)에는 노면의 진동이 직접 차체에 닿지 않도록 하는 후륜 현가 장치(330)가 구비된다.
후방 차체(300)는 후륜 현가 장치(330)의 뒷바퀴를 지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후륜 구동 자동차에서는 구동력도 후방 차체(300)가 담당한다.
후륜 현가 장치(330)는 차체에 대하여 뒷바퀴를 상하 이외의 방향에는 적당한 강성에 의하여 지지하고, 상하 방향은 스프링, 감쇠 기구에 의하여 지지하는 것이다.
배터리 모듈(410)은 전류를 공급한다. 배터리 모듈(410)은 리튬/이온 셀이 복수로 연결된 것이다. 배터리 모듈(410)은 T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 차체(200)의 터널(230) 및 후방 차체(300)의 리어 플로어(310)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터리 캐리어(420)는 배터리를 지지한다. 배터리 캐리어(420)는 중앙 차체(200) 및 후방 차체(300)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후방 차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후방 차체를 아래쪽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는, 배터리 모듈(410)이 장착되며 바닥을 형성하는 리어 플로어(310)와, 리어 플로어의 측면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의 충격을 흡수하는 리어 사이드 멤버(323)와, 배터리 모듈을 지지하며 리어 사이드 멤버와 결합되는 배터리 캐리어(420)를 포함한다.
리어 플로어(3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후방측 차실 내의 바닥을 형성한다. 리어 플로어(310)는 차실 내의 바닥으로서 강도가 높고 면적이 넓은 패널이다. 리어 플로어(310)의 상측에는 탑승자가 앉는 후방시트(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리어 플로어(310)는 백 패널(327)과 함께 화물실을 형성할 수 있다. 리어 플로어(310)는 물건을 보관하는 화물실의 바닥에 형성하므로 스페어타이어가 구비되는 스페어타이어 장착부(34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어 플로어(310) 하부에는 배터리 모듈(410)이 장착된다. 배터리 모듈(410)의 전방 부분은 터널(230)에 장착되고, 후방 부분은 리어 플로어(310)에 장착된다. 리어 플로어(310)에서 스페어타이어 장착부(340) 전방에 배터리 모듈(410)이 장착된다. 리어 플로어(310)에서 리어 크로스 멤버(324) 전방에 배터리 모듈(410)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사이드 멤버(323)는 리어 플로어(310) 양측에 전후 방향으로 결합된다. 리어 사이드 멤버(323)는 전후 방향의 충격을 흡수하고, 뒤틀림과 구부러짐을 방지한다. 리어 사이드 멤버(323) 사이에는 배터리 모듈(410)이 장착된다.
리어 사이드 멤버(323)는 브라켓 등의 추가 부품없이 배터리 캐리어(420)와 직접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어 사이드 멤버(323)는 하단이 배터리 캐리어(420)와 용접 또는 볼트 및 너트로 결합된다. 배터리 캐리어(420)는 터널(230)의 양측 가장자리 하측과 볼트 또는 너트로 결합할 수 있다.
리어 크로스 멤버(324)는 리어 플로어(310)의 하부에 배치된다. 리어 크로스 멤버(324)는 리어 사이드 멤버(323) 사이에 결합된다. 리어 크로스 멤버(324)는 리어 사이드 멤버(323)의 충격을 분산하고, 뒤틀림과 구부러짐을 방지한다. 리어 크로스 멤버(324)는 배터리 모듈(410)이 장착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최대한 후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 크로스 멤버(325)는 리어 플로어(310)의 상부에 배치된다. 보강 크로스 멤버(325)는 리어 사이드 멤버(323) 사이에와 결합된다. 보강 크로스 멤버(325)는 리어 크로스 멤버(324)와 함께 리어 사이드 멤버(323)의 충격을 분산하고, 뒤틀림과 구부러짐을 방지한다. 보강 크로스 멤버(325)는 리어 크로스 멤버(324)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어 사이드 실 패널(329)은 사이드 실 패널(229)이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별도로 구비되어, 보강 크로스 멤버(325) 및 사이드 실 패널(229)과 연결된다. 리어 사이드 실 패널(329)는 하부 측면을 형성하며 각종 필러가 결합될 수 있다.
백 패널(327)은 리어 플로어(310)의 후방에 결합된다. 백 패널(327)은 화물실의 후방을 형성하며 자체의 비틀림을 방지한다.
보강판(328)은 리어 사이드 멤버(323)와 결합되며, 후륜 현가 장치(330)가 결합된다. 보강판(328)은 후륜 현가 장치(3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견고한 재질로 형성되며 리어 사이드 멤버(323)와 단단히 결합된다.
리어 플로어 익스텐션(321)은 높이가 다른 리어 플로어(310)와 프론트 플로어(210)를 연결하는 것이다. 리어 플로어(310)는 프론트 플로어(210)보다 높게 배치되므로 높이 방향으로 평평한 리어 플로어 익스텐션(321)이 리어 플로어(310)와 프론트 플로어(210)를 연결한다.
리어 플로어 익스텐션(321)의 양측에는 리어 사이드 실 패널(329)이 구비된다. 리어 플로어 익스텐션(321)의 가운데 부분은 배터리 모듈(410)이 장착되도록 만입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자동차의 리어 플로어 익스텐션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리어 플로어 익스텐션(321)은 배터리 캐리어(420)와 결합된다. 리어 플로어 익스텐션(321)의 만입된 부분의 가장자리에 배터리 캐리어(420)가 결합되어 박스 형태의 섹션을 구성한다. 리어 플로어 익스텐션(321)과 배터리 캐리어(420)이 결합되어 박스 형태의 섹션을 구성함으로써 측면 충돌에 효과적으로 대비한다. 즉, 측면 충돌시 충격 에너지가 리어 플로어 익스텐션(321)의 만입된 부분의 상부 및 배터리 캐리어로 분산되어 충격이 효과적으로 분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터리 캐리어(420)가 리어 플로어 익스텐션(321)의 만입된 부분과 박스 형태의 섹션을 구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별도의 부재가 리어 플로어 익스텐션(321)의 만입된 부분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박스 형태의 섹션을 구성할 수도 있다.
리어 플로어 익스텐션(321)에는 캐리어 마운트(322)가 구비되어 캐리어 마운트(322)에 배터리 캐리어(42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리어 마운트(322)에 배터리 캐리어(420)는 볼트로 결합될 수 있다. 캐리어 마운트(322)는 리어 플로어 익스텐션(321)의 만입된 부분의 가장자리에 결합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전방 차체 110: 조향 장치
120: 전륜 현가 장치 200: 중앙 차체
210: 프론트 플로어 229: 사이드 실 패널
230: 터널 300: 후방 차체
310: 리어 플로어 321: 리어 플로어 익스텐션
322: 캐리어 마운트 323: 리어 사이드 멤버
324: 리어 크로스 멤버 325: 보강 크로스 멤버
327: 백 패널 328: 보강판
329: 리어 사이드 실 패널 330: 후륜 현가 장치
340: 스페어타이어 장착부 410: 배터리 모듈
420: 배터리 캐리어

Claims (4)

  1. 전방측 바닥을 형성하는 프론트 플로어;
    후방측 바닥을 형성하는 리어 플로어;
    상기 프론트 플로어와 상기 리어 플로어를 연결하는 리어 플로어 익스텐션;
    전류를 공급하는 배터리 모듈; 및
    상기 배터리 모듈을 지지하며 상기 리어 플로어 익스텐션과 결합되는 배터리 캐리어를 포함하는 자동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어 익스텐션은 높이 방향으로 평평한 자동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어 익스텐션은 만입된 부분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 캐리어가 결합되는 캐리어 마운트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어 익스텐션의 양측에 구비되며 하부 측면을 형상하는 리어 사이드 실 패널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100034915A 2009-11-03 2010-04-15 자동차 KR2011011542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915A KR20110115424A (ko) 2010-04-15 2010-04-15 자동차
US13/505,386 US20130126254A1 (en) 2009-11-03 2010-11-01 Motor vehicle
PCT/KR2010/007575 WO2011055936A2 (ko) 2009-11-03 2010-11-01 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915A KR20110115424A (ko) 2010-04-15 2010-04-15 자동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424A true KR20110115424A (ko) 2011-10-21

Family

ID=45030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915A KR20110115424A (ko) 2009-11-03 2010-04-15 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542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55936A2 (ko) 자동차
KR20120012655A (ko) 전기자동차
JP2011111124A (ja) 車両の後部構造
KR101786263B1 (ko) 배터리 장착 위치를 개선한 하이브리드 자동차
KR20110059354A (ko) 자동차
KR20130025239A (ko) 전기자동차
KR20120057674A (ko) 전기자동차
KR20110059351A (ko) 자동차
KR20130068985A (ko) 전기자동차
KR20130040558A (ko) 전기자동차
KR20120012656A (ko) 전기자동차
KR20110115424A (ko) 자동차
KR20110115422A (ko) 자동차
KR101901299B1 (ko) 전기자동차
KR20130068961A (ko) 전기자동차
KR20120005721A (ko) 전기자동차
KR20110081619A (ko) 자동차
KR20110048852A (ko) 전기 자동차
KR20110115420A (ko) 자동차
KR20110115425A (ko) 자동차
KR20130068976A (ko) 자동차
KR20130101890A (ko) 전기자동차
KR20130072639A (ko) 전기자동차
KR20130025249A (ko) 전기자동차
KR20120012658A (ko) 전기자동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