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1402A -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1402A
KR20110081402A KR1020100001545A KR20100001545A KR20110081402A KR 20110081402 A KR20110081402 A KR 20110081402A KR 1020100001545 A KR1020100001545 A KR 1020100001545A KR 20100001545 A KR20100001545 A KR 20100001545A KR 20110081402 A KR20110081402 A KR 20110081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case
hole
flange
case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1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2201B1 (ko
Inventor
김동환
오호종
류성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희산업
(주) 디에이치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희산업, (주) 디에이치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희산업
Priority to KR1020100001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201B1/ko
Priority to CN2010206497458U priority patent/CN201914089U/zh
Priority to CN 201010580503 priority patent/CN102050024B/zh
Publication of KR20110081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1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Landscapes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체에 고정된 마운팅 브라켓(1)에 대한 페달 스위치(40)의 조립작업이 원터치 삽입방식의 체결로서 달성될 수 있어, 상기 마운팅 브라켓(1)에 대한 페달 스위치(40)의 조립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고, 상기 페달 스위치(40)의 조립후 센싱 로드부(41)와 스토퍼부(3a) 사이에 항상 일정한 수준의 스위치 접점간격(X)을 확보할 수 있어, 페달 아암의 동작시 작동상태의 검출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마운팅 브라켓(1)에 결합된 락 케이스(10)의 자유로운 회전을 구속할 수 있게 됨으로써 페달 스위치(40)의 보다 안정적인 설치를 도모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상기 락 케이스(1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 인해 소음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device for fixing pedal switch of automotive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에 고정된 마운팅 브라켓에 대한 페달 스위치의 조립을 간편하게 함과 더불어 페달 아암에 설치된 스토퍼부와 일정한 수준의 유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결합된 락 케이스의 자유로운 회전을 구속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클러치 페달이나 브레이크 페달에 대한 작동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페달 아암과 인접한 부위에 페달 스위치를 설치하고 있는 바, 상기 페달 스위치는 클러치 페달이나 브레이크 페달의 답입시 이를 검출하여 연계된 시스템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를 위해, 종래 페달 스위치의 설치상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고정된 마운팅 브라켓(1)의 관통구멍(1a)에 페달 스위치(5)의 센싱 로드부(5a)를 삽입한 다음, 2개의 너트(7)를 매개로 상기 센싱 로드부(5a)를 마운팅 브라켓(1)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때, 상기 센싱 로드부(5a)는 페달 아암(도시안됨)에 고정된 스토퍼 브라켓(3)의 스토퍼부(3a)와 일정한 수준의 스위치 접점간격(X)을 두고 이격되어야 하므로, 작업자는 상기 2개의 너트(7)에 대한 체결작업의 수정을 통해 상기 마운팅 브라켓(1)에 대한 상기 센싱 로드부(5a)의 체결위치를 재차 조정하면 된다.
이 경우, 상기 센싱 로드부(5a)를 상기 스토퍼부(3a)로부터 일정한 수준의 스위치 접점간격(X)으로 이격시키는 것은 페달 아암의 작동후 리턴시 스토퍼부(3a)와 센싱 로드부(5a) 사이에서 발생하는 충돌을 방지하여 불필요한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을 회피하기 위함인 것이다.
따라서, 종래 페달 스위치의 조립공정에서는 스토퍼부(3a)와 센싱 로드부(5a) 사이의 적정의 스위치 접점간격(X)에 대한 조절작업이 필수적이었고, 그에 따라 조립시 간극조절을 위한 공정이 추가될 뿐만 아니라, 간극의 조절시 작업자가 가지는 숙련도에 따라 스위치 접점간격(X)의 조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과다해 지는 등의 조립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체에 고정된 마운팅 브라켓에 대한 페달 스위치의 조립작업이 원터치 삽입방식의 체결로서 달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페달 스위치의 조립 후 센싱 로드부와 스토퍼 브라켓의 스토퍼부 사이에 항상 일정한 수준의 스위치 접점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페달 아암의 동작시 작동상태의 검출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결합된 락 케이스의 자유로운 회전을 구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상기 락 케이스의 설치상태 유지 및 소음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에 고정된 마운팅 브라켓의 관통구멍으로 삽입되어서 결합되는 락 케이스와, 상기 락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리턴 스프링과, 상기 락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리턴 스프링을 매개로 탄발 지지되어 설치됨과 더불어 페달 스위치의 센싱 로드부가 내부를 관통하면서 체결하는 락 로드링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는 상기 관통구멍과 연결되면서 상기 관통구멍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락 케이스의 외주면에는 상기 락 케이스가 상기 관통구멍으로 삽입될 때에 상기 체결구멍을 덮을 수 있는 크기의 케이스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플랜지의 밑면에는 상기 락 케이스가 상기 관통구멍으로 삽입된 후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밑면과의 접촉으로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상기 락 케이스의 빠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체결구멍과의 접촉으로 상기 락 케이스의 타 방향 회전을 구속하는 플랜지 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것;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체에 고정된 마운팅 브라켓에 대한 페달 스위치의 조립작업이 원터치 삽입방식의 체결로서 달성될 수 있어, 마운팅 브라켓에 대한 페달 스위치의 조립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고, 페달 스위치의 조립후 센싱 로드부와 스토퍼부 사이에 항상 일정한 수준의 스위치 접점간격을 확보할 수 있어, 페달 아암의 동작시 작동상태의 검출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페달 스위치의 센싱 로드부와 스토퍼 브라켓의 스토퍼부 사이에 일정한 수준의 스위치 접점간격이 확보되면, 페달 아암의 작동시 페달 스위치는 보다 정확하게 페달 아암의 작동상태를 검출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페달 스위치와 연계된 차량의 동작상태 검출 시스템에서 보다 안정적인 동작의 구현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운팅 브라켓에 결합된 락 케이스의 자유로운 회전을 구속할 수 있게 됨으로써 페달 스위치의 보다 안정적인 설치를 도모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상기 락 케이스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 인해 소음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페달 스위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를 매개로 페달 스위치가 설치된 상태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락 케이스의 평면도 및 저면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의 측면도와 이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의 일측면을 도시한 도면과 이의 종단면도,
도 8은 마운팅 브라켓에 락 케이스가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는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고정 설치된 마운팅 브라켓(1)과 락 케이스(10)와 리턴 스프링(20) 및 락 로드링(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1)에는 상기 락 케이스(10)가 삽입되어 고정 설치되는 바, 이를 위해 상기 마운팅 브라켓(1)에는 원형으로 된 관통구멍(1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1a)과 연결되면서 상기 관통구멍(1a)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체결구멍(1b)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멍(1b)은 상기 관통구멍(1a)의 원주 방향을 따라 양단이 길게 형성된 원호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관통구멍(1a)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 대하는 위치에서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된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리턴 스프링(20)은 상기 락 케이스(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일단부가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락 로드링(30)은 상기 락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상기 리턴 스프링(20)의 타단부에 의해 탄발지지도록 설치되면서 그 내부에 페달 아암의 작동여부를 검출하는 페달 스위치(40)의 센싱 로드부(41)를 고정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락 케이스(10)와 상기 락 로드링(30)은 모두 중공형상인 실린더형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부연하자면, 상기 락 케이스(10)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1)에 형성된 관통구멍(1a)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리턴 스프링(20)은 이의 하단부가 상기 락 케이스(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락 로드링(30)은 상기 락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상기 리턴 스프링(20)의 상단부에 의해 탄발지지된 상태이면서 상기 락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락 로드링(30)은 내부에 상기 페달 스위치(40)의 센싱 로드부(41)를 수용함과 더불어, 상기 센싱 로드부(41)의 외주면에 형성된 라쳇(41a)과 상호 치합되는 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센싱 로드부(41)는 상기 락 로드링(3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설정된 거리만큼만 이동이 가능하게 구속된다.
이를 위해, 상기 락 케이스(10)의 외주면에는 상기 락 케이스(10)가 상기 관통구멍(1a)으로 삽입될 때에 상기 체결구멍(1b)을 덮을 수 있는 크기의 케이스 플랜지(11)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 플랜지(11)는 상기 락 케이스(10)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락 케이스(1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원형 플랜지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 플랜지(11)의 밑면에는 상기 락 케이스(10)가 상기 관통구멍(1a)으로 삽입된 후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마운팅 브라켓(1)의 밑면과의 접촉으로 상기 관통구멍(1a)으로부터 상기 락 케이스(10)의 빠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체결구멍(1b)과의 접촉으로 상기 락 케이스(10)의 타 방향 회전을 구속하는 플랜지 돌기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 돌기는, 상기 락 케이스(10)가 상기 관통구멍(1a)으로 삽입될 때에는 상기 체결구멍(1b)으로 삽입되고 상기 관통구멍(1a)에 삽입된 상기 락 케이스(1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함께 회전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1)의 밑면과의 접촉으로 상기 관통구멍(1a)으로부터 상기 락 케이스(10)의 빠짐을 방지하는 니은(ㄴ)자 모양의 제1플랜지 돌기(12)와, 상기 제1플랜지 돌기(12)와 이격된 부위에 형성되어서 상기 제1플랜지 돌기(12)가 상기 체결구멍(1b)으로 삽입될 때에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1)의 윗면과 접촉하고 있다가 상기 관통구멍(1a)에 삽입된 상기 락 케이스(1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함께 회전해서 상기 체결구멍(1b)과의 접촉으로 상기 락 케이스(10)의 타 방향 회전을 구속하는 제2플랜지 돌기(13)로 구성된다.
상기 제1,2플랜지 돌기(12,13)는 각각 두 개씩 구비되어서 180도(°) 간격으로 배치된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1플랜지 돌기(12)의 선단부 윗면은 상기 관통구멍(1a)에 삽입된 상기 락 케이스(1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마운팅 브라켓(1)이 상기 케이스 플랜지(11)와 상기 제1플랜지 돌기(12) 사이로 원활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하강하는 경사면(12a)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플랜지(11)에는 상기 케이스 플랜지(11)의 외측에서 상기 락 케이스(10)의 외주면까지 절개된 후 계속해서 상기 락 케이스(1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구간 절개된 절개홈(14)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탄력적인 움직임을 갖는 탄성구간(15)이 서로 마주 대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탄성구간(15)의 밑면에 상기 제2플랜지 돌기(13)가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탄성구간(15)은 상기 제1플랜지 돌기(12)가 상기 체결구멍(1b)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2플랜지 돌기(13)가 상기 마운팅 브라켓(1)의 윗면과 접촉할 때에는 절개홈(14)에 의해 상측으로 탄력적으로 휘어진 상태가 되고, 상기 관통구멍(1a)에 삽입된 상기 락 케이스(1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플랜지 돌기(13)가 상기 체결구멍(1b)으로 삽입된 상태가 된 때에는 탄력적으로 휘어진 상태가 복원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플랜지 돌기(13)는 상기 체결구멍(1b)에 걸려져서 상기 락 케이스(10)의 타 방향으로 회전을 구속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락 케이스(10)에는 상기 락 케이스(10)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 플랜지(11)의 윗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회전용 돌기(1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상기 회전용 돌기(16)는 상기 락 케이스(10)의 회전을 위해 형성된 구조물이다.
또한, 상기 락 케이스(10)는 상기 락 로드링(30)의 하한 스트로크를 제한하도록 상부에 형성된 상부홈(17)과, 상기 락 로드링(30)의 상한 스트로크를 제한하도록 하부 내주면에 형성된 제1내측 걸림돌기(18) 및, 상기 리턴 스프링(20)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대략 길이방향의 중앙부위에 위치한 내주면에 형성된 안착지지돌기(19)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상부홈(17)과 상기 제1내측 걸림돌기(18)는 상기 락 케이스(10)의 전 둘레에 걸쳐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등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다수로 형성되는 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홈(17)과 상기 제1내측 걸림돌기(18)는 상기 락 케이스(10)의 전 둘레에 걸쳐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홈형상의 불연속된 트임부의 형태와 돌기형상의 불연속된 돌출단면부의 형태로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지지돌기(19)는 상기 락 케이스(10)의 내주면 전 둘레에 걸쳐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등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다수로 형성되는 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착지지돌기(19)는 상기 락 케이스(10)의 내주면 전 둘레에 걸쳐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불연속된 돌출단면부의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락 로드링(30)은 상기 상부홈(17)에 끼워지는 상측 돌출단(31)과, 상기 제1내측 걸림돌기(18)에 걸려 지지되는 하부의 제2외측 걸림돌기(32) 및, 상기 센싱 로드부(41)와 결합되어 이를 고정되게 지지하는 제2내측 걸림돌기(33)를 구비하는 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측 돌출단(31)과 상기 제2외측 걸림돌기(32) 및 상기 제2내측 걸림돌기(33)는 각각 상기 락 로드링(30)의 전 둘레에 걸쳐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불연속된 돌출단면부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2내측 걸림돌기(33)의 선단부는 상기 센싱 로드부(41)의 외주면에 전장을 따라 소정의 구간에 걸쳐 연속되어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라쳇(41a)과 치합되도록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내측 걸림돌기(33)는 상기 락 로드링(30)의 내주면 전 둘레에 걸쳐 상하로 대칭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되는 바,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내측 걸림돌기(33)는 상기 락 로드링(30)의 내주면에서 180°의 위상각을 두고 상,하측 부위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페달 스위치(40)의 센싱 로드부(41)에 대한 위치의 고정 기능과, 상기 락 로드링(30)의 내부에서 상기 센싱 로드부(41)의 좌우 유격을 방지하는 기능을 각각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락 케이스(1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내측 걸림돌기(18)의 양단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18a)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락 로드링(30)의 하부에는 상기 제2외측 걸림돌기(32)의 양단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18a)에 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 가이드 슬롯(32a)이 형성되어, 상기 락 케이스(10)의 내부에 상기 락 로드링(30)의 조립시 상기 가이드 돌기(18a)와 상기 가이드 슬롯(32a) 사이의 상호 끼움방식으로의 결합을 통해 상기 락 로드링(30)은 상기 락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정위치로 조립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의 조립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차체에 고정된 마운팅 브라켓(1)의 관통구멍(1a)으로 도 8의 (A)의 화살표 M1과 같이 락 케이스(10)를 끼워서 삽입시키되, 도 8의 (B)와 같이 제1플랜지 돌기(12)가 체결구멍(1b)으로 끼워지도록 삽입시킨다.
그리고, 락 케이스(10)의 회전용 돌기(16)를 이용하여 상기 락 케이스(10)를 도 8 (B)의 화살표 R1과 같이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케이스 플랜지(11)와 제1플랜지 돌기(12) 사이로 마운팅 브라켓(1)이 삽입됨에 따라 상기 락 케이스(10)는 상기 관통구멍(1a)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락 케이스(10)가 일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제2플랜지 돌기(12)는 도 8의 (C)와 같이 체결구멍(1b)으로 삽입된 상태가 되고, 동시에 상기 제2플랜지 돌기(12)의 후면이 상기 체결구멍(1b)의 일측에 지지된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락 케이스(10)는 타 방향으로 회전을 하지 못하게 구속된 상태가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락 케이스(10)는 케이스 플랜지(11)와 제1플랜지 돌기(12) 사이로 마운팅 브라켓(1)이 삽입되어 끼워진 상태가 됨으로 인해 상기 락 케이스(10)는 상기 관통구멍(1a)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플랜지 돌기(12)와 체결구멍(1b)의 접촉으로 인해 일 방향으로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가 되면서, 동시에 제2플랜지 돌기(13)와 체결구멍(1b)의 접촉으로 인해 타 방향으로의 회전도 구속된 상태로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1)에 고정 설치된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락 케이스(10)가 고정 설치되면 상기 락 케이스(10)는 유동이 발생하지 않는 완전한 결합상태가 되므로, 이후 상기 락 케이스(10)에 리턴 스프링(20)과 락 로드링(30)을 매개로 설치된 페달 스위치(40)는 보다 안정적인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유동에 의한 소음 발생도 미리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마운팅 브라켓(1)에 락 케이스(10)를 고정 설치한 다음, 상기 락 케이스(10)의 내부에 리턴 스프링(20)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리턴 스프링(20)의 하단부는 상기 락 케이스(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안착지지돌기(18)에 의해 지지된다.
이어, 상기 락 케이스(10)의 내부에 락 로드링(30)을 삽입하게 되면, 제1내측 걸림돌기(18)와 제2외측 걸림돌기(32)의 걸림작용을 매개로 상기 락 로드링(30)은 락 케이스(10)의 내부에서 리턴 스프링(20)의 탄발 지지력을 받은 상태에서 이탈이 억제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리턴 스프링(20)의 상단부는 상기 락 로드링(30)의 상측 돌출단(31)의 저면부에 맞닿은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락 로드링(30)의 내부로 페달 스위치(40)의 센싱 로드부(41)를 삽입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센싱 로드부(41)의 하단부는 페달 아암(도시안됨)에 고정되는 스토퍼 브라켓(3)의 스토퍼부(3a)의 표면에 닿을 때까지 가압하면 된다.
이 경우, 상기 센싱 로드부(41)의 이동 스트로크는 상기 락 케이스(10)의 상부홈(17)과 상기 락 로드링(30)의 상측 돌출단(31) 사이의 이격거리에 의해서도 규제될 수 있다.
즉, 상기 마운팅 브라켓(1)에 대한 상기 페달 스위치(40)의 조립이 상기 스토퍼 브라켓(3)의 설치전 공정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센싱 로드부(41)의 외주면에 형성된 라쳇(41a)은 상기 락 로드링(3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내측 걸림돌기(33)와의 걸림작용에 의해 이탈이 억제된 상태로 구속된다.
이때, 상기 리턴 스프링(20)은 상기 락 케이스(10)의 안착지지돌기(19)와 상기 락 로드링(30)의 상측 돌출단(31) 사이의 공간에서 수축된 상태가 된다.
이어, 상기 페달 스위치(40)에 가해졌던 작용력을 해제하면, 상기 락 로드링(30)은 상기 리턴 스프링(20)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락 로드링(30)의 상한 스트로크는 상기 제1내측 걸림돌기(18)와 제2외측 걸림돌기(32) 사이의 접촉시점까지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마운팅 브라켓(1)에 페달 스위치(40)의 조립이 이루어지면, 상기 센싱 로드부(41)의 하단부와 상기 스토퍼부(3a)의 상단부 사이의 유격은 항상 일정한 수준의 스위치 접점간격(X)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1 - 마운팅 브라켓 1a - 관통구멍
1b - 체결구멍 10 - 락 케이스
11 - 케이스 플랜지 12 - 제1플랜지 돌기
13 - 제2플랜지 돌기 14 - 절개홈
15 - 탄성구간 16 - 회전용 돌기
20 - 리턴 스프링 30 - 락 로드링
40 - 페달 스위치 41 - 센싱 로드부

Claims (7)

  1. 차체에 고정된 마운팅 브라켓(1)의 관통구멍(1a)으로 삽입되어서 결합되는 락 케이스(10)와, 상기 락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리턴 스프링(20)과, 상기 락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상기 리턴 스프링(20)을 매개로 탄발 지지되어 설치됨과 더불어 페달 스위치(40)의 센싱 로드부(41)가 내부를 관통하면서 체결하는 락 로드링(30)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1)에는 상기 관통구멍(1a)과 연결되면서 상기 관통구멍(1a)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체결구멍(1b)이 형성되고;
    상기 락 케이스(10)의 외주면에는 상기 락 케이스(10)가 상기 관통구멍(1a)으로 삽입될 때에 상기 체결구멍(1b)을 덮을 수 있는 크기의 케이스 플랜지(11)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플랜지(11)의 밑면에는 상기 락 케이스(10)가 상기 관통구멍(1a)으로 삽입된 후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마운팅 브라켓(1)의 밑면과의 접촉으로 상기 관통구멍(1a)으로부터 상기 락 케이스(10)의 빠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체결구멍(1b)과의 접촉으로 상기 락 케이스(10)의 타 방향 회전을 구속하는 플랜지 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것;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멍(1b)은 상기 관통구멍(1a)의 원주 방향을 따라 양단이 길게 형성된 원호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관통구멍(1a)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 대하는 위치에서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된 한 쌍으로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플랜지(11)는 상기 락 케이스(10)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락 케이스(1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원형 플랜지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돌기는,
    상기 락 케이스(10)가 상기 관통구멍(1a)으로 삽입될 때에는 상기 체결구멍(1b)으로 삽입되고 상기 관통구멍(1a)에 삽입된 상기 락 케이스(1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함께 회전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1)의 밑면과의 접촉으로 상기 관통구멍(1a)으로부터 상기 락 케이스(10)의 빠짐을 방지하는 니은(ㄴ)자 모양의 제1플랜지 돌기(12)와;
    상기 제1플랜지 돌기(12)와 이격된 부위에 형성되어서 상기 제1플랜지 돌기(12)가 상기 체결구멍(1b)으로 삽입될 때에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1)의 윗면과 접촉하고 있다가 상기 관통구멍(1a)에 삽입된 상기 락 케이스(1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함께 회전해서 상기 체결구멍(1b)과의 접촉으로 상기 락 케이스(10)의 타 방향 회전을 구속하는 제2플랜지 돌기(13);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플랜지(11)에는 상기 케이스 플랜지(11)의 외측에서 상기 락 케이스(10)의 외주면까지 절개된 후 계속해서 상기 락 케이스(1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구간 절개된 절개홈(14)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탄력적인 움직임을 갖는 탄성구간(15)이 서로 마주 대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탄성구간(15)의 밑면에 상기 제2플랜지 돌기(13)가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 돌기(12)의 선단부 윗면은 상기 관통구멍(1a)에 삽입된 상기 락 케이스(1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마운팅 브라켓(1)이 상기 케이스 플랜지(11)와 상기 제1플랜지 돌기(12) 사이로 원활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하강하는 경사면(12a)으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락 케이스(10)의 회전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락 케이스(10)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 플랜지(11)의 윗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회전용 돌기(16);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KR1020100001545A 2010-01-08 2010-01-08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KR101132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545A KR101132201B1 (ko) 2010-01-08 2010-01-08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CN2010206497458U CN201914089U (zh) 2010-01-08 2010-12-09 汽车踏板开关固定装置
CN 201010580503 CN102050024B (zh) 2010-01-08 2010-12-09 汽车踏板开关固定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545A KR101132201B1 (ko) 2010-01-08 2010-01-08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1402A true KR20110081402A (ko) 2011-07-14
KR101132201B1 KR101132201B1 (ko) 2012-04-06

Family

ID=43954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1545A KR101132201B1 (ko) 2010-01-08 2010-01-08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32201B1 (ko)
CN (2) CN20191408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436B1 (ko) * 2011-11-10 2013-12-10 (주) 디에이치홀딩스 차량용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US9006594B2 (en) 2012-12-24 2015-04-14 Hyundai Motor Company Combination switch device for clutch pedal of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201B1 (ko) * 2010-01-08 2012-04-06 (주) 디에이치홀딩스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4672A (en) * 1995-02-06 1996-07-09 Emerson Electric Co. Multiple plunger pedal switch assembly
DE10102883C2 (de) * 2001-01-23 2003-06-26 Methode Electronics Malta Ltd Schalter, insbesondere Bremslichtschalter für ein Automobil
JP2006012757A (ja) 2004-06-29 2006-01-12 Hitachi Lighting Ltd 天井用照明器具
KR101068961B1 (ko) * 2004-10-26 2011-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컨트롤장치
KR100811693B1 (ko) * 2007-05-02 2008-03-11 주식회사 동희산업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KR100980936B1 (ko) * 2007-12-15 2010-09-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브레이크페달 스톱램프 스위치
KR101132201B1 (ko) * 2010-01-08 2012-04-06 (주) 디에이치홀딩스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436B1 (ko) * 2011-11-10 2013-12-10 (주) 디에이치홀딩스 차량용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US9006594B2 (en) 2012-12-24 2015-04-14 Hyundai Motor Company Combination switch device for clutch pedal of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50024B (zh) 2013-07-10
KR101132201B1 (ko) 2012-04-06
CN102050024A (zh) 2011-05-11
CN201914089U (zh)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1693B1 (ko)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US8720942B2 (en) Steering wheel
CN102791533B (zh) 气囊装置的安装部结构
JP5372594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公差吸収構造
KR20130040171A (ko) 에어백 장치
EP3594087A1 (en) Damper mechanism of steering wheel and steering wheel device for vehicle
EP3127744A1 (en) Vehicle seat slide device
JP6274852B2 (ja) 車載用機器の取付構造
KR101132201B1 (ko)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JP6454073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11178361A (ja) エアバッグ装置
EP2907700A1 (en) Horn system
CN108698540B (zh) 力传感喇叭系统
KR101904923B1 (ko) 차량의 차벽에 있는 구멍에 어셈블리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
JPWO2019088109A1 (ja) 固定構造
JP6162437B2 (ja) クリップ
KR100811694B1 (ko)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EP2628961B1 (en) Clip and fastening arrangement with a clip
EP2830197B1 (en) Supporting device of brush bracket and motor
CN109890643A (zh) 燃料箱的内置零部件的安装结构
JP6233108B2 (ja) 車両用ドア緩衝構造
JP2017171077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5918027B2 (ja) タイヤバルブユニット
JP5630361B2 (ja) グロメットのインナ部材
JP6777617B2 (ja) 長尺部材アッセンブ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