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9667A - 설치류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설치류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9667A
KR20110079667A KR1020117009108A KR20117009108A KR20110079667A KR 20110079667 A KR20110079667 A KR 20110079667A KR 1020117009108 A KR1020117009108 A KR 1020117009108A KR 20117009108 A KR20117009108 A KR 20117009108A KR 20110079667 A KR20110079667 A KR 20110079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interior space
trap
station
rodent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9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임스 에이치. 싱크
조나단 디. 버거
브라이언 제이. 만
에드워드 에프. 마샬
웨인 에이치. 모란
제임스 데이빗 폴링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바스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10079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96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5/00Devices for dispensing poison for animals
    • A01M25/002Bait holders, i.e. stationary devices for holding poisonous bait at the disposal of the animal
    • A01M25/004Bait stations, i.e. boxes completely enclosing the bait and provided with animal entran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5/00Devices for dispensing poison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은,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104) 및 덮개(106)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다.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102)를 갖는다.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또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한 트랩 및 미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기부는 플로어 패널(114) 및 설치류가 그 위에서 내부 공간 안을 이동하는 내측 표면을 포함한다. 직립 후방 벽(116)이 플로어 패널의 원주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은 둘레에서 플로어 패널에 대해 상방으로 연장한다.

Description

설치류 관리 시스템 {RODENT MANAGEMENT SYSTEM}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실시양태는 일반적으로 설치류 관리 시스템, 더 구체적으로 설치류를 포획하고/거나 죽이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설치류 베이트 스테이션(rodent bait station)은 전형적으로 내부 챔버, 및 설치류(예컨대, 쥐 또는 생쥐)를 죽이기 위해 챔버 안에 배치되는 독성 미끼 또는 다른 포획 장치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비목표 동물(예컨대, 개, 고양이) 및 인가받지 않은 사람(예컨대, 어린이)이 미끼 또는 장치(예컨대, 스냅 트랩(snap trap), 라이브 캐치 트랩(live catch trap) 또는 덫과 같은, 그러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 포획 기구)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계된다. 종종, 하우징은 대체로 낮은 프로파일을 갖는다. 즉, 하우징의 높이는 엎드린(예컨대, 보통의 이동 - 즉, 앉거나 일어서지 않음) 상태에 있는 평균 크기의 설치류보다 약간 더 클 뿐이다. 하우징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설치류가 접근하게 하고 이에 의해 독소 및/또는 장치에 접근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종종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을 통과할 수 있는 직선 통로를 형성하는 2개의 개구부를 포함한다. 독소 및/또는 트랩을 배치하기 위한 미끼 영역은 한 쌍의 이격된 칸막이 벽에 의해 통로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된다. 설치류는 칸막이 벽들 사이의 개구부를 통해 통로로부터 미끼 영역에 접근할 수 있다. 베이트 스테이션은 설치류가 일반적으로 이동하는 벽 (내부 또는 외부) 및 설치류가 자주 다닐 것 같은 다른 장소를 따라 배치된다.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하우징의 밖으로 부스러기를 깨끗이 비우기 위해, 미끼 공급물을 보충하기 위해, 그리고 트립된(tripped) 트랩을 교체 또는 리셋하기 위해 기술자에 의해 정기적으로 정비된다.
정비 사이에 부스러기가 종종 그러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안에 쌓인다. 그러한 부스러기는 쥐 똥, 사용되지 않은 미끼, 설치류 시체, 곤충, 먼지, 티끌 및 식물 잎과 줄기를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전의 시스템으로부터 부스러기를 제거하는 것은 시스템의 구성, 즉 기부(base) 또는 플로어(floor)와 직립한 주위 벽을 갖는 구성 때문에 지루하고 많은 시간을 요한다. 따라서, 부스러기는 단편적인 방식으로, 또는 기부를 뒤집음으로써, 또는 스테이션으로부터 부스러기를 흡입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을 뿐이다. 게다가 하우징 내의 미끼 또는 트랩의 배치는 종종 고정되며, 이것은 구조 변경을 어렵거나 실현불가능하게 만든다.
따라서, 스테이션의 효율적인 청소, 양호한 내후성(weather resistance), 및 그 안에 수용되는 미끼 및 트랩의 용이한 구조 변경을 제공하는 모듈형 설치류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일 측면에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다.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를 갖는다.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한 트랩 및 미끼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한다. 기부는 원주 및 설치류가 그 위에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을 이동하는 내측 표면을 갖는 플로어 패널을 포함한다. 기부는 플로어 패널의 원주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은 둘레에서 플로어 패널에 대해 상방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직립 벽을 추가로 포함하며, 플로어 패널 원주의 적어도 약 25%의 연속 원주 세그먼트(segment)가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직립 벽에 의해 포위되지 않는다.
다른 측면에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다.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를 갖는다.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한 트랩 및 미끼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한다. 기부는 전방 에지, 후방 에지 및 횡방향 대향 측면 에지를 갖는 플로어 패널을 포함한다. 스테이션의 개방 상태에서 그리고 모든 트랩이 스테이션으로부터 제거된 상태에서, 플로어 패널의 내측 표면은 하나의 플로어 패널 측면 에지로부터 반대쪽 플로어 측면 에지까지 전체 플로어 패널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1 cm 초과의 표면 불연속이 없다.
다른 측면에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다.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를 가지며,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한 트랩 및 미끼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한다. 기부는 설치류가 그 위에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을 이동하는 내측 표면을 갖는 플로어 패널을 포함한다. 덮개 및 기부는,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에서 그리고 모든 트랩이 플로어 패널로부터 제거된 상태에서, 플로어 패널의 내측 표면이 기부를 이동시키는 일 없이 그리고 플로어 패널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부스러기를 집어 올리거나 흡입하는 일 없이 플로어 패널로부터 부스러기의 제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접근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측면에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다.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하우징의 진입 개구부로부터 이격된 입구의 통로(entryway)를 갖는 미끼 챔버와, 격벽 구조물에 의해 적어도 일부 한정되며 적어도 하나의 진입 개구부로부터 미끼 챔버의 입구의 통로까지 연장되는 통로로 구획하도록 구성되는 내부 격벽 구조물을 추가로 갖는다. 격벽 구조물은 상기 미끼 챔버 입구의 통로와는 다른 곳에 상기 통로와 미끼 챔버 사이의 개방 통로를 제공하기 위해 미끼 챔버 입구의 통로와는 다른 곳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을 그 안에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은 설치류가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에서 미끼 챔버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 진입 개구부 및 미끼 챔버 입구의 통로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게 크기설정된다.
다른 측면에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기부는 내측 표면을 갖는 플로어 패널을 포함한다.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다.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를 갖는다. 하우징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하우징의 진입 개구부로부터 이격된 입구의 통로를 갖는 미끼 챔버와, 격벽 구조물에 의해 적어도 일부 한정되며 적어도 하나의 진입 개구부로부터 미끼 챔버의 입구의 통로까지 연장되는 통로로 구획하도록 구성된 내부 격벽 구조물을 추가로 갖는다. 격벽 구조물은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로 덮개가 이동할 때 기부에 대해 덮개와의 공동 이동을 위해 하우징의 덮개에 결합된다.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에서, 격벽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분은 설치류가 격벽 구조물의 상기 일부분 아래를 기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로어 패널의 내측 표면과 근접하게 이격된 관계에 있다.
다른 측면에서, 지지 표면 상에 배치가능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이 제공된다. 스테이션은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기부에 의해 적어도 일부 한정되며 지지 표면 상에 놓이도록 구성된 바닥을 갖는다. 기부는 설치류가 그 위에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을 이동하는 내측 표면을 갖는 플로어 패널을 포함한다.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다.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를 갖는다. 트랩 및 미끼 중 적어도 하나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하다. 플로어 패널의 내측 표면은 적어도 2.54 mm(0.1 인치)만큼 하우징의 바닥 위 어디에나 배치된다.
다른 측면에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기부는 설치류가 그 위에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을 이동하는 내측 표면을 갖는 플로어 패널을 포함하며, 플로어 패널의 내측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을 이동하는 설치류에 촉각 응답을 제공하기 위해 텍스처링(texturing)된다.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다.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를 갖는다.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한 트랩 및 미끼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기부는 설치류가 그 위에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을 이동하는 내측 표면을 갖는 플로어 패널을 포함한다.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다.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를 갖는다.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한 트랩 및 미끼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한다. 하우징은 스테이션을 개방하는 일 없이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검사를 허용하는 검사 부재를 갖는다.
다른 측면에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기부는 원주 및 설치류가 그 위에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을 이동하는 내측 표면을 갖는 플로어 패널을 포함한다. 기부는 플로어 패널의 원주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에서 플로어 패널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직립 벽을 추가로 포함하며, 직립 벽은 상부 에지 및 직립 벽으로부터의 물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직립 벽의 상부 에지의 적어도 일부분 안에 배치되어 상부 에지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거터(gutter)를 갖는다.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다.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를 갖는다.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한 트랩 및 미끼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기부는 원주 및 설치류가 그 위에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을 이동하는 내측 표면을 갖는 플로어 패널을 포함한다. 기부는 원주의 적어도 일부분의 둘레에서 플로어 패널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직립 벽을 추가로 포함하며, 직립 벽은 상부 에지 및 물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멀리 직립 벽의 상부 에지로부터 배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지 않는 상부 에지 안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 구멍을 갖는다.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다.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를 갖는다.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한 트랩 및 미끼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기부는 원주 및 설치류가 그 위에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을 이동하는 내측 표면을 갖는 플로어 패널을 포함한다. 기부는 플로어 패널의 원주의 적어도 일부분의 둘레에서 플로어 패널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직립 벽을 추가로 포함하며, 직립 벽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일부 한정하는 내측 패널, 내측 패널과 대향하여 이격된 관계에 있는 외측 패널, 및 상기 직립 벽의 내측 및 외측 패널에 걸치는 상부 패널을 포함한다.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다. 스테이션의 폐쇄 상태에서, 덮개는 기부의 직립 벽의 상부 패널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는다.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를 갖는다.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한 트랩 및 미끼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전방, 후방, 대향 측면 및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하우징은 함께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한다.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며, 상기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를 갖는다.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한 트랩 및 미끼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한다. 하우징은 설치류 진입 개구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적어도 2개의 장착 포트를 갖는다. 적어도 2개의 장착 포트는 하우징의 전방, 후방, 일 측면 및 반대쪽 측면 중 동일한 한 곳에 장착된다.
다른 측면에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다. 록킹 기구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에서 덮개와 기부를 해제가능하게 맞물리게 하도록 작동가능하다. 록킹 기구는 덮개를 기부로부터 록킹해제(unlock)하기 위해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접근불가능하다. 덮개 및 기부 중 적어도 하나는 덮개를 기부로부터 록킹해제하기 위해 록킹 기구에 접근하기 위한 개구부를 그 안에 갖는다. 덮개 및 기부 중 적어도 하나에 커버가 결합된다. 커버는 하우징 상의 수분이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에서 하우징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분 위에 연장한다.
다른 측면에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다. 록킹 기구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에서 덮개 및 기부를 해제가능하게 맞물리게 하도록 작동가능하다. 록킹 기구는 덮개를 기부로부터 록킹해제하기 위해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접근불가능하다. 덮개 및 기부 중 적어도 하나는 덮개를 기부로부터 록킹해제하기 위해 록킹 기구에 접근하기 위한 개구부를 그 안에 갖는다. 덮개를 기부로부터 록킹해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공구가 삽입가능하다. 하우징은 외측 표면, 및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 안으로의 공구의 안내를 용이하게 하는 외측 표면 내의 안내 채널을 추가로 갖는다.
다른 측면에서, 설치류 관리 시스템은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다. 록킹 기구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에서 덮개 및 기부를 해제가능하게 맞물리게 하도록 작동가능하다. 록킹 기구는 덮개를 기부로부터 록킹해제하기 위해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접근불가능하며, 덮개는 덮개를 기부로부터 록킹해제하기 위해 록킹 기구에 접근하기 위한 개구부를 그 안에 갖는다. 덮개를 기부로부터 록킹해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공구가 삽입가능하다. 공구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도록 구성된 삽입부 및 공구를 파지하기 위해 삽입부에 결합된 기다란 손잡이를 가지며, 공구의 삽입부는 스테이션의 개방 행태를 향해 기부로부터 덮개를 멀리 위치시키는 손잡이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덮개를 기부로부터 록킹해제할 때 덮개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측면에서, 설치류 관리 시스템은 제1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및 제2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제1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다. 록킹 기구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에서 덮개 및 기부를 해제가능하게 맞물리게 하도록 작동가능하다. 록킹 기구는 덮개를 기부로부터 록킹해제하기 위해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접근불가능하다. 덮개 및 기부 중 적어도 하나는 덮개를 기부로부터 록킹해제하기 위해 록킹 기구에 접근하기 위한 개구부를 그 안에 갖는다. 트랩 및 미끼 중 적어도 하나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하다. 제2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다. 록킹 기구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에서 덮개 및 기부를 해제가능하게 맞물리게 하도록 작동가능하다. 록킹 기구는 덮개를 기부로부터 록킹해제하기 위해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접근불가능하다. 덮개 및 기부 중 적어도 하나는 덮개를 기부로부터 록킹해제하기 위해 록킹 기구에 접근하기 위한 개구부를 그 안에 갖는다. 트랩 및 미끼 중 적어도 하나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하다. 제2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제1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다. 덮개를 상기 제1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기부로부터 록킹해제하기 위해 공구가 제1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가능하다. 공구는 또한 덮개를 상기 제2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기부로부터 록킹해제하기 위해 제2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가능하다.
다른 측면에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지지 표면 상에 배치가능하며,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지지 표면 상에 놓이기 위한 바닥을 갖는다.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다.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를 갖는다.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한 트랩 및 미끼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한다. 기부는 둘레(perimeter), 설치류가 그 위에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을 이동하는 내측 표면, 및 하우징의 바닥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외측 표면을 갖는 플로어 패널을 포함한다. 플로어 패널 외측 표면은 플로어 패널의 둘레와 이격된 관계로 그 안에 배치되는 복수의 공동(cavity)을 갖는다.
다른 측면에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장착 표면 상에 장착가능하며,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다. 기부는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은 장착 표면 상에 놓이기 위해 기부의 외측 표면에 의해 적어도 일부 한정되는 대체로 평평한 바닥을 갖는다. 기부는 하우징을 장착 표면 상에 장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보어가 그 위치에서 기부 안에 형성될 하우징의 바닥에 적어도 하나의 사전결정된 보어 위치부(bore location)를 갖는다. 기부는 적어도 하나의 사전결정된 보어 위치부 및 보어 위치부에 인접한 곳 중 적어도 한 곳의 하우징의 바닥에, 기부의 외측 표면 상에 배치되는 안내 구조물을 추가로 갖는다.
다른 측면에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하우징은 기부에 의해 적어도 일부 한정되는 바닥을 갖고, 상기 기부는 설치류가 그 위에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을 이동하는 내측 표면을 갖는 플로어 패널을 포함한다. 덮개는 힌지 축 상에서 기부의 플로어 패널 및 플로어 패널에 인접한 곳 중 한 곳에서 기부에 힌지 결합되어,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상기 힌지 축 상에서 힌지식 운동을 할 수 있다. 힌지 축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보다 더 높이 하우징 상에 위치된다.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를 갖는다.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한 트랩 및 미끼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다.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를 갖는다. 폐쇄 형태에서, 진입 개구부는 바닥, 상부, 높이 및 폭을 가지며, 진입 개구부의 폭은 개구부의 상부에서보다 개구부의 바닥에서 실질적으로 더 크다.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한 트랩 및 미끼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기부는 설치류가 그 위에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을 이동하는 내측 표면을 갖는 플로어 패널을 포함한다.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다. 스테이션의 폐쇄 상태에서, 덮개는 플로어 패널의 내측 표면 상에 놓이고 내측 표면과 근접하게 이격된 관계 중 하나의 상태에 있는 말단 에지를 갖는다. 기부는 기부 상에 배치되며 덮개의 말단 에지에서 기부에 대한 덮개의 횡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플로어 패널의 내측 표면 위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정화 부재를 추가로 포함한다.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를 갖는다.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한 트랩 및 미끼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서, 설치류 관리 시스템은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다.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적어도 하나의 진입 개구부를 갖는다. 하우징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하우징의 진입 개구부로부터 이격된 입구의 통로를 갖는 미끼 챔버와, 적어도 하나의 진입 개구부로부터 미끼 챔버의 입구의 통로에 이르는 통로로 구획하도록 구성된 내부 구조물을 추가로 갖는다. 설치류 트랩은 미끼 챔버 안에 적어도 일부 배치된다. 트랩의 적어도 일부분은 미끼 챔버의 입구의 통로를 통해 바깥쪽으로 미끼 챔버로부터 통로 안으로 연장한다.
다른 측면에서, 설치류 관리 시스템은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다.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적어도 하나의 진입 개구부를 갖는다. 하우징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하우징의 진입 개구부로부터 이격된 입구의 통로를 갖는 미끼 챔버와, 적어도 하나의 진입 개구부로부터 미끼 챔버의 입구의 통로에 이르는 통로로 구획하도록 구성된 내부 구조물을 추가로 갖는다. 설치류 트랩은 미끼 챔버 안에 적어도 일부 배치된다. 설치류 미끼는 설치류 트랩과 떨어져 미끼 챔버 안에 배치된다.
다른 측면에서, 설치류 관리 시스템은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며, 기부는 적어도 하나의 직립 측벽을 갖는다.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적어도 하나의 진입 개구부를 갖는다. 설치류 트랩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하다. 설치류 트랩은 기부의 적어도 하나의 직립 벽과 해제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측면에서, 설치류 관리 시스템은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다. 기부는 직립 벽을 갖는다.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적어도 하나의 진입 개구부를 갖는다. 설치류 트랩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하다. 트랩 배치 부재는 하우징의 직립 벽과 해제가능한 결합으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하다. 트랩 배치 부재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 내의 사전결정된 위치에 설치류 트랩을 정렬시키도록 구성된다.
다른 측면에서, 설치류 관리 시스템은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다.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적어도 하나의 진입 개구부를 갖는다. 기부는 하우징의 내부 플로어를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내측 표면을 갖는다. 미끼 지지체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하며, 미끼를 하우징의 플로어 위에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미끼 지지체는 기부 및 덮개 중 적어도 하나와 해제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다른 측면에서, 설치류 관리 시스템은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다.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적어도 하나의 진입 개구부를 갖는다. 기부는 하우징의 내부 플로어를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내측 표면을 갖는다. 미끼 지지체는 하우징의 플로어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되며, 미끼를 하우징의 플로어 위에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측면에서, 설치류 관리 시스템은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다.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적어도 하나의 진입 개구부를 갖는다. 기부는 하우징의 내부 플로어를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내측 표면을 갖는다. 미끼 지지체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하며, 미끼를 하우징의 플로어 위에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높이 조정 부재는 하우징의 바닥 위의 미끼 지지체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측면에서, 설치류 관리 시스템은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다.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적어도 하나의 진입 개구부를 갖는다. 기부는 하우징의 내부 플로어를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내측 표면을 갖는다. 복수의 미끼 블록(block)이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미끼 지지체가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하며, 미끼 블록들이 대체로 수평선 상에 총체적으로 배열되는 상태로 미끼 블록들을 하우징의 플로어와 이격된 관계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측면에서, 설치류 관리 시스템은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다.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갖는다. 생포용 트랩(live trap)이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생포용 트랩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생포용 트랩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를 갖는다. 생포용 트랩은 생포용 트랩 진입 개구부가 하우징의 폐쇄 형태에서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와 방향 정렬되지 않은 상태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다른 측면에서, 설치류 관리 시스템은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다.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갖는다. 생포용 트랩은 하우징의 폐쇄 형태에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전체적으로 배치가능하다. 생포용 트랩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생포용 트랩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를 갖는다. 제1 트랩 기구가 생포용 트랩 안에 설치류를 포획하기 위해 생포용 트랩 안에 배치가능하다. 제1 트랩 기구와 상이한 제2 트랩 기구가 제공되며, 생포용 트랩 안에 설치류를 포획하기 위해 제1 트랩 기구 대신에 생포용 트랩 안에 배치가능하다. 생포용 트랩 및 트랩 기구는 생포용 트랩 안에서 제1 및 제2 트랩 기구의 교체가능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각각의 제1 및 제2 트랩 기구가 생포용 트랩 안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다른 측면에서, 설치류 관리 시스템은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다.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갖는다. 하우징의 폐쇄 형태에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전체적으로 배치가능한 생포용 트랩이 제공된다. 생포용 트랩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생포용 트랩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를 갖는다. 생포용 트랩은 생포용 트랩 안에 설치류를 포획하기 위해 생포용 트랩 안에 해제가능하게 배치가능한 트랩 기구를 포함한다. 생포용 트랩은 접근 개구부와, 접근 개구부가 폐쇄되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배치가능한 접근 패널을 갖는다. 트랩 기구는 접근 패널의 개방 위치에서 접근 개구부를 통해 정비가능하고, 생포용 트랩 안에 삽입가능하며, 생포용 트랩으로부터 제거가능하다.
다른 측면에서, 설치류 관리 시스템은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다.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갖는다. 하우징의 폐쇄 형태에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전체적으로 배치가능한 생포용 트랩이 제공된다. 생포용 트랩은 설치류가 그 안에서 생포용 트랩 안에 포획되는 트랩 부분과, 생포용 트랩의 트랩 부분과 개방 연통하며 트랩 부분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입구 부분을 포함한다. 입구 부분은 생포용 트랩의 트랩 부분 안에 포획하기 위해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생포용 트랩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를 갖는다. 생포용 트랩의 트랩 부분은 생포용 트랩의 트랩 부분의 내부와 하우징의 내부 공간 사이의 유체 연통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생포용 트랩 진입 개구부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게 크기설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벤트 개구부(vent opening)를 갖는다.
다른 측면에서, 설치류 관리 시스템은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다.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갖는다. 하우징의 폐쇄 형태에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전체적으로 배치가능한 생포용 트랩이 제공된다. 생포용 트랩은 상부 및 바닥을 가지며, 설치류가 그 안에서 생포용 트랩 안에 포획되는 트랩 부분과, 생포용 트랩의 트랩 부분과 개방 연통하며 트랩 부분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입구 부분을 포함한다. 입구 부분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생포용 트랩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와, 생포용 트랩의 진입 개구부와 이격된 관계로 생포용 트랩의 입구 부분 안에 적어도 일부 배치되는 트랩 기구와, 생포용 트랩 안에 포획된 설치류가 트랩 기구를 조작하여 트랩으로부터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입구 부분에서 생포용 트랩의 상부에 매달려 있으며 입구 부분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격된 관계로 배열되는 복수의 차단 부재를 갖는다.
도 1a는 폐쇄 형태에 있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일 실시양태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선 1B-1B의 평면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2는 개방 형태에 있는 도 1의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정면도이다.
도 5a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우측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배면도이다.
도 7은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저면도이다.
도 8은 개방 형태에 있는 도 1의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우측면도이다.
도 9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미끼가 스테이션 안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미끼가 스테이션 안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우측면도이다.
도 12는 미끼가 스테이션 안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좌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0과 유사하지만, 미끼가 스테이션 안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선 15-15의 평면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확대 영역이다.
도 17은 미끼 지지 장치 상에 배치된 미끼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의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에서 사용하기 위한 스냅 트랩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스냅 트랩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스냅 트랩이 그 안에 배치되어 있는, 도 1의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선 21-21의 평면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개방 형태에 있으며 생포용 트랩 및 미끼가 그 안에 배치되어 있는, 도 1의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선 24-24의 평면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3의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장치의 생포용 트랩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생포용 트랩의 평면도이다.
도 27은 생포용 트랩의 정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선 28-28의 평면에서 취한 단면도로서, 램프 게이트(ramp gate) 트랩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스윙 게이트(swinging gate) 트랩 기구를 갖는 도 28과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30은 도 28과 유사하지만, 펀넬(funnel) 트랩 기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1은 도 29의 스윙 게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0의 펀넬의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1의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기부로부터 덮개를 록킹해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키(key)의 사시도이다.
도 34는 도 33의 선 34-34의 평면에서 취한 단면도로서, 도 1의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덮개에 기부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록킹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5는 도 34의 록킹 기구의 확대도이다.
도 36은 도 33의 키의 사시도이다.
도 37은 록킹 기구와 결합하는 키의 사시도로서, 도시의 목적을 위해 스테이션의 일부분이 분리되어 도시되는 도면이다.
도 38은 개방 형태에 있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다른 실시양태의 사시도이다.
도 38a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배면도이다.
도 39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평면도이다.
도 40은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우측면도이다.
도 41은 도 38의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에서 사용하기 위한 미끼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2는 미끼 핀(pin)을 포함하는 미끼 지지 장치의 다른 실시양태의 사시도이다.
도 43은 도 42의 미끼 핀의 우측면도이다.
도 44는 미끼 핀의 정면도이다.
도 45는 대안 미끼 핀을 사용하는 도 42의 미끼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6은 도 45의 미끼 핀의 정면도이다.
도 47은 미끼 블록이 미끼 핀 상에 배치되어 있는, 도 45의 미끼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8은 미끼 핀이 생략된, 도 42 및 도 45의 미끼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9는 미끼 지지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0은 미끼 지지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51은 미끼 지지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52는 도 38의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스페이서(spacer)의 사시도이다.
도 53은 스페이서의 평면도이다.
도 54는 스페이서의 우측면도이다.
도 55는 스페이서의 정면도이다.
도 56은 도 1 및 도 38의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생포용 트랩의 다른 실시양태의 사시도이다.
도 57은 생포용 트랩의 평면도이다.
도 58은 생포용 트랩의 정면도이다.
도 59는 도 58의 선 59-59의 평면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60은 트랩 기구의 다른 실시양태가 그 안에 배치되어 있는, 도 56의 생포용 트랩의 사시도이다.
도 61은 생포용 트랩의 정면도이다.
도 62는 도 61의 선 62-62의 평면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63은 트랩 기구의 다른 실시양태가 그 안에 배치되어 있는 도 56의 생포용 트랩의 사시도이다.
도 64는 생포용 트랩의 정면도이다.
도 65는 도 64의 선 65-65의 평면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66은 도 56의 생포용 트랩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67은 생포용 트랩의 배면도이다.
도 68은 생포용 트랩의 우측면도이다.
도 69는 도 56의 생포용 트랩의 바닥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70은 생포용 트랩의 평면도이다.
도 71은 생포용 트랩의 측면도이다.
도 72는 미끼 블록이 가상으로 도시되어 있는, 도 38의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미끼 지지 장치의 다른 실시양태의 사시도이다.
도 73은 미끼 지지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4는 미끼 지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5는 미끼 블록이 가상으로 도시되어 있는, 도 38의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미끼 지지 장치의 다른 실시양태의 사시도이다.
도 76은 미끼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7은 미끼 지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8은 미끼 지지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9는 폐쇄 형태에 있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제3 실시양태의 평면도이다.
도 80은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정면도이다.
도 81은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저면도이다.
도 82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측면도이다.
도 83은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사시도이다.
도 84는 도 80의 선 84-84의 평면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85는 도 79의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미끼 지지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6은 미끼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7은 도 79의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미끼 지지 장치의 다른 실시양태의 평면도이다.
도 88은 미끼 지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9는 미끼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0은 개방 형태에 있는 도 79의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정면도이다.
도 91은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우측면도이다.
도 92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사시도이다.
도 93은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평면도이다.
도 94는 도 82의 선 94-94의 평면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95는 도 94의 선 95-95의 평면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96은 개방 형태에 있는 도 79의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평면도이다.
도 97은 도 96의 선 97-97의 평면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98은 도 96의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사시도이다.
도 99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제4 실시양태의 단면도이다.
도 100은 도 99의 선 100-100의 평면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01은 개방 형태에 있는 도 99의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평면도이다.
도 102는 도 101의 선 102-102의 평면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03은 도 99의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사시도이다.
도 104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제3 또는 제4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서 미끼 블록을 지지하기 위한 와이어 형태의 미끼 지지체의 우측면도이다.
도 105는 미끼 지지체의 좌측면도이다.
도 106은 미끼 지지체의 배면도이다.
도 107은 미끼 지지체의 사시도이다.
이제 도면을, 특히 도 1을 참조하면, 설치류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양태는 일반적으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을 포함하며,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일반적으로 도면부호 100으로 지시되며, 내부 공간 및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스테이션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그 안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더 적합하게는 2개의 진입 개구부(102)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은 본 명세서에서 나중에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선택적인 미끼 및/또는 트랩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모듈형 디자인을 갖는다.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은 일반적으로 기부(104)와,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와 폐쇄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하기 위해 기부에 해제가능하게 결합가능한 덮개(106)을 포함한다(기부(104) 및 덮개(106)은 함께 스테이션 하우징을 대체적으로 한정함). 폐쇄 형태(도 1)에서, 덮개(106) 및 기부(104)는 함께 실질적으로 폐쇄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진입 개구부(102)는 스테이션(100)의 대향 측면, 더 구체적으로 도 1의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덮개(106)의 대향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적합한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진입 개구부(102)는 스테이션(100) 하우징에 접근하여 일부 들어온 설치류를 안심시켜 설치류가 스테이션으로 더 들어가게 유인하도록 적합하게 크기설정 및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양태(도 5a 및 도 5b 참조)의 각 진입 개구부(102)는 대체로 1/4 원형 형상 또는 1/4 원형 타원 형상이다. 특히, 진입 개구부(102)는 상부(105), 바닥(107), 높이(H) 및 폭(W)을 가지며, 진입 개구부의 폭은 개구부의 상부에서보다 개구부의 바닥에서 실질적으로 더 크다. 특히, 진입 개구부(102)의 폭(W)은 개구부가 개구부의 바닥(107)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함에 따라 감소한다. 추가로, 진입 개구부(102)는 최대 폭(예컨대, 개구부의 폭(W)이 개구부의 높이(H)를 따라 가장 큰 곳) 및 최대 높이(예컨대, 개구부의 높이가 개구부의 폭을 따라 가장 큰 곳)를 가지며, 개구부의 최대 폭은 개구부의 최대 높이보다 더 크다.
개방 형태(도 2)에서, 덮개(106)은 일반적으로 미끼 공급물을 보충하고,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을 검사하며, 트랩을 배치 및/또는 리셋하고,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으로부터 부스러기를 깨끗이 비우는 것 -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음 - 과 같은 스테이션의 정비를 위해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의 내부 공간에의 접근을 제공하도록 기부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떨어져 배치된다. 기부(104) 및 덮개(106)은 임의의 개수의 재료, 가장 적합하게는 플라스틱 또는 다른 내후성 재료로부터 적합하게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기부(104) 및 덮개(106)은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부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사출 성형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기부(104) 및 덮개(106)이 금속 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기부 및 덮개가 서로 다른 재료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덮개(106)은,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의 정비 동안 덮개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덮개와 기부의 결합을 유지하면서 스테이션의 개방 및 폐쇄 형태 사이에서 덮개의 힌지식 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예컨대 (도시된 실시양태에서와 같이) 덮개 및 기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재료의 연속 부분이 힌지를 한정하는 리빙 힌지(108)(또는 복수의 리빙 힌지), 기계적 힌지 또는 다른 적합한 힌지 구성에 의해 기부(104)에 적합하게 힌지 결합된다. 덮개(106)이 힌지에 의한 것과 다르게 기부(104)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것은 본 발명의 범주 안에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덮개(106)이 기부(104)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도 있는 것이 또한 고려된다. 스테이션(100)의 폐쇄 형태에서, 덮개(106) 및 기부(104)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의 인가받지 않거나 의도하지 않은 개방을 방지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나중에 설명되는 적합한 록킹 기구(142)에 의해 추가로 해제가능하게 함께 유지된다. 추가로, 하나 초과의 록킹 기구가 스테이션(100)의 폐쇄 형태에서 덮개(106) 및 기부(104)를 해제가능하게 함께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덮개(106)은 적합하게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의 대향 측면을 대체적으로 한정하는 측방향 대향 측벽(110),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전방을 대체적으로 한정하는 전방 벽(136), 및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상부를 대체적으로 한정하는 상부 벽(137)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상부 벽(137)이 기부(104)에 접근함에 따라 약간 평평해져 있지만, 덮개(106)의 측벽(110), 상부 벽(137) 및 전방 벽(136)은 함께 대체로 1/4 돔 형상을 한정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덮개(106)이 도시된 바와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대안 실시양태에서 기부가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하나 이상의 측면 및/또는 스테이션의 전방을 대신에 또는 추가로 한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덮개의 측벽(110), 상부 벽(137) 및 전방 벽(136)은 예컨대 단일 조각으로 성형됨으로써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벽들 중 하나 이상이 나머지 다른 벽들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되고, 예컨대 용접, 체결, 접착 또는 다른 적합한 결합 기술에 의해 나머지 다른 벽에 결합될 수 있다. 추가로, 덮개(106)은 일부 실시양태에서 (4개 측면의 덮개(106)보다는) 3개의 측면만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대체로 웨지(wedge)형 형상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06)은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의 폐쇄된 내부 공간을 설치류 관리에 적합한 레이아웃(layout)으로 구획하기 위해 덮개에 매달려 있는 내부 패널(112)(광범위하게, 격벽 구조물)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내부 패널(112)들은 다른 덮개 구성 요소(예컨대, 상부 벽(137), 측벽(110) 및/또는 전방 벽(136))와 함께 성형될 수 있거나, 다른 덮개 구성 요소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되고 접착제, 용접, 체결 또는 다른 적합한 부착 기술에 의해 그것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양태의 범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덮개(106) 또는 기부(104) 중 어느 한쪽이 약간 더 큰 또는 더 작은 길이 또는 폭을 가질 수 있지만, 기부(104) 및 덮개(106)은 길이 및 폭의 면에서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도 4의 정면도 및 도 5a의 측면도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의 높이는 적합하게는 그 길이 및/또는 폭에 걸쳐 변할 수 있으며, 덮개(106)이 그 상부 벽으로부터 전방 벽으로 천이하고 그 다음에 덮개가 기부에 힌지 결합되는 곳과 같은 기부(104)로 하향 연장함에 따라 높이는 감소한다. 덮개(106)의 이러한 경사 프로파일은 덮개(106)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물, 얼음 또는 눈이 배출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여, 그러한 요소가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상에 정체하고/거나 물이 스테이션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기부(104)는 원주를 갖는 플로어 패널 또는 바닥 패널(114), 하우징 및 더 구체적으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의 바닥을 대체적으로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외측 표면(120), 및 설치류가 그 위에서 스테이션의 내부 공간 안을 이동하는 내측 표면 또는 플로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 (그리고 따라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의 바닥은 스테이션이 평평한 표면 위에 놓일 때 그러한 평평한 표면과 접촉하는 하우징의 부분 또는 부분들을 말한다. 따라서, 바닥 패널(114)의 외측 표면(120) 전체가 그러한 평평한 표면 위에 놓일 필요는 없음은 물론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기부(104)는 또한 바닥 패널의 전체 원주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은 둘레에서 바닥 패널(114)에 대해 상방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직립 벽(116)(본 명세서에서 직립 측벽 또는 후방 벽으로 다르게 지칭됨)을 갖는다. (내부 트랩 모두가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된 상태에서) 그러한 배열은 예컨대 스테이션 안으로 손을 뻗어 부스러기를 제거하거나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기부(104)를 기울이거나 뒤집어야 하는 일 없이, 덮개(106)이 정비를 위해 개방될 때 부스러기가 하우징의 플로어로부터 용이하게 쓸어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컨대, 일 실시양태에 따른 직립 벽(116)의 원주방향 길이는, 바닥 패널(114)의 적어도 약 25%의 연속 원주 세그먼트가 적어도 하나의 직립 벽에 의해 포위되지 않는 정도이다. 도 8의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직립 벽은 플로어 패널(114)의 후방 범위를 따라서만 연장되는 기부의 직립 후방 벽(116)을 포함한다(이것에 의해 또한 하우징 및 더 구체적으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의 후방을 한정함).
그러나, 플로어 패널(114)의 원주의 더 큰 길이 부분이 플로어 패널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직립 벽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플로어 패널(114)은 1개의 측면이 직립 벽에 의해 포위되지 않은 채로 대체로 3개의 측면 상에서 둘러싸일 수 있거나, 한 쌍의 직립 벽이 플로어 패널의 대향 측(예컨대, 전방 및 후방, 또는 측방향 대향 측)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양태의 플로어 패널(114)과 직립 또는 후방 벽(116)은 이러한 구성 요소들이 분리되어 형성되고 임의의 적합한 결합 기술에 의해 결합될 수 있지만, 적합하게는 예컨대 단일 조각으로 성형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된다.
적합한 일 실시양태에서, 바닥 패널(114)의 내측 표면(118)은 내측 표면(예컨대, 하우징의 플로어)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하우징의 적어도 측방향 대향 측(예컨대, 덮개의 측벽이 일반적으로 바닥 패널과 접하는 곳)을 향해 테이퍼지거나 하방으로 경사진다.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바닥 패널(114)의 내측 표면(118)은 내측 표면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스테이션(100)의 전방으로 연장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평평한 채로 있다. 그러나, 추가로 또는 대신에, 바닥 패널(114)의 내측 표면(118)의 적어도 일부분이 내측 표면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하우징의 전방(예컨대, 덮개의 전방 벽이 바닥 패널과 접하거나 바닥 패널에 힌지 결합되는 곳)을 향해 테이퍼지거나 하방으로 경사질 수 있는 것이 또한 고려된다. 바닥 패널(114)의 내측 표면(118)에 그러한 경사 또는 테이퍼를 제공하는 것은, 물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간 경우 바닥 패널로부터 그리고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으로부터 물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바닥 패널(114)의 내측 표면의 테이퍼는, 바닥 패널의 중심 영역이 가장 큰 두께를 갖고 바닥 패널의 둘레를 향해 두께가 점차 가늘어지는 상태로 바닥 패널의 두께를 변화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내측 표면(118) 테이퍼는 바닥의 두께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는 것과 다르게 달성될 수 있으며, 이것은 본 발명의 범주 안에 있다.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으로부터 물의 배수를 추가로 용이하게 하기 위해, 덮개(106)이 바닥 패널(114)의 둘레와 접하는 곳의 덮개 및/또는 바닥 패널(114)에 작은 갭(gap) 또는 노치(notch)(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내측 표면(118)이 스테이션(100) 하우징의 바닥에 대해 테이퍼지고 따라서 높이가 변하지만, 일 실시양태에서 바닥 패널(114)의 전체 내측 표면은 적합하게는 스테이션 주위의 물이 스테이션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테이션 하우징의 바닥 위의 최소 높이, 예컨대 적어도 약 0.1 인치, 더 적합하게는 적어도 약 0.2 인치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바닥 패널(114)은 스테이션(100) 하우징의 바닥 위의 바닥 패널의 내측 표면(118)의 적합한 최소 높이에 따른 높이를 갖는 둘레 스커트(peripheral skirt)(115)를 갖는다.
도 8 및 도 12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닥 패널(114)은 바닥 패널의 측방향 대향 측 각각에서 바닥 패널의 둘레에 대체로 인접하여 그것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저 프로파일(예컨대, 낮은 높이) 핀(pin) 또는 너브(nub)(122)(광범위하게, 안정화 부재)를 갖는다. 예컨대, 너브(122)는 일부 실시양태에 따라 높이가 0.25 인치 이하일 수 있다. 포스트(post)(125)(도 14)의 일반적인 형태와 같은 대응 위치설정 부재가 덮개(106)의 내측 표면에 부착(더 적합하게는 내측 표면과 일체로 형성)되며, 각 포스트는 덮개를 폐쇄할 때 위치설정 너브(122)의 각각의 하나를 수용하기 위해 포스트의 하부 단부 안으로 연장되는 보어(124)를 갖는다. 따라서, 덮개(106)이 폐쇄될 때, 위치설정 부재(예컨대, 포스트(125))는 너브(122) 위로 하강된다. 너브(122)는 덮개(106)이 완전히 폐쇄되었을 때 각각의 포스트(125)의 보어(124) 안에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너브는 즉 덮개의 측벽(110)(그리고 따라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에 구부림, 굽힘 또는 다른 방식으로 기부(104)의 바닥 패널(114)에 대해 안쪽으로 밀리는 것에 대한 증가된 저항을 제공함으로써 기부 상의 덮개를 안정시킨다.
일 실시양태에서, 너브(122)는 적합하게는 대체로 연속적인 이동으로 - 예컨대, 바닥 패널의 일 측으로부터 시작하여 측방향으로, 바닥 패널의 내측 표면을 가로지르고, 그 다음에 바닥 패널의 대향 측으로 - 비(broom) 또는 다른 적합한 청소 장치에 의한 하우징 플로어(예컨대, 바닥 패널(114)의 내측 표면(118))의 청소를 용이하게 하기에 충분히 낮다. 추가로, 실시양태의 범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너브(122)는 개수가 감소될 수 있거나 완전히 제거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바닥 패널(114)의 내측 표면(118)은 적합하게는 그렇지 않으면 비, 청소 브러시 또는 다른 청소 장치의 운동을 방해할 표면 불연속이 없음을 주의하길 바란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불연속은 약 1 cm를 초과하는 높이만큼 바닥 패널(114)의 내측 표면(118)으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직립 구조물 및/또는 약 1 cm를 초과하는 바닥 패널의 내측 표면의 갑작스런 높이(위 또는 아래) 변화(예컨대, 계단)를 말한다. 이것은 청소 장치가 그러한 불연속에 의해 방해받는 일 없이 그리고 부스러기가 그러한 불연속에 의해 붙잡히거나 걸리는 일 없이 바닥 패널로부터 부스러기를 청소하거나 털어내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바닥 패널(114)의 외측(또는 아래쪽) 표면(120)은 복수의 리브(rib)(126)를 가지며, 복수의 리브는 종방향으로(예컨대, 앞뒤로) 연장되고 리브들 사이에 삽입 홈(groove) 또는 채널(광범위하게, 공동)뿐만 아니라 추가의 삽입 빈 공간을 한정한다.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 및 더 구체적으로 기부(104)를 지면 또는 다른 장착 표면에 고정하기 위해 외측 표면(120)에 접착제를 적용할 때, 접착제가 홈 및 다른 빈 공간 안으로 더 용이하게 퍼져 기부와 장착 표면 사이의 접합을 강화한다. 리브(126)는 접착제를 위한 추가의 표면적을 제공하며 또한 기부(104)의 바닥 패널(114)에 구조적 강성을 제공한다.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공동(즉, 리브(126)들 사이의 홈 및 다른 빈 공간)은 기부(104)의 바닥 패널(114)의 둘레 근처의(그러나 다른 경우라면 바닥 패널(114)의 둘레와 이격된 관계에 있는) 종방향 단부에서, 예컨대 바닥 패널의 전방 및 후방에서 폐쇄되어, 기부의 밖으로 접착제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물 및 먼지가 기부의 바닥 패널 밑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다양한 형태의 리브(126)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리브(126)는 후방 벽(116)으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고 그 다음에 구부러지고 후방 벽(116)으로 복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아치형인 공동을 한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리브(126)는 이산 블록(discrete block)으로 구성되어,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을 지면 또는 장착 표면에 접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의 더 큰 분산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리브(126) 중 적어도 일부가 바닥 패널(114)의 둘레까지 또는 둘레를 통과하여(즉, 리브가 개방 단부를 가짐)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리브(126)에 의해 형성되는 공동의 형상은 다를 수 있다(예컨대, 하나의 공동은 기다랗거나 직사각형일 수 있는 반면, 다른 공동은 반원형 또는 원형임). 리브(126)는 또한 2개 이상의 공동이 상이한 크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하나의 공동 또는 채널은 소정의 크기(예컨대, 길이, 폭 및/또는 단면)를 갖고 다른 공동 또는 채널은 더 큰 크기를 갖는다.
기부(104)의 바닥 패널(114)은 또한 적합하게는, 장착 표면 상에 하우징(예컨대, 따라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을 장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예컨대 드릴, 펀치 공구 또는 다른 적합한 장치에 의해 (만약 필요하다면) 보어가 그 위치에서 바닥 패널에 형성될 사전결정된 보어 위치부(128)를 한정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기부(104)를 장착 표면에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적합한 체결구(도시되지 않음)가 그러한 보어를 통해 바닥 패널(114) 안에 및 밑에 있는 장착 표면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각 보어 위치부를 적어도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더 적합하게는 각 사전결정된 보어 위치부를 포위하기 위해 사전결정된 보어 위치부(128)를 식별하도록 원형 리브(129)(광범위하게, "안내 구조물")가 바닥 패널(114)의 외측 표면(120) 상에 형성된다. 원형 리브(129)는 또한 보어 위치부(128)에서 바닥 패널(114)을 보강하고,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을 장착 표면에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를 보유하는 추가의 빈 공간을 한정한다. 하나 초과의 원형 리브(129)가 각각의 사전결정된 보어 위치부(128)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것은 서로 동심적인 배열이다. 이러한 배열에서, 제1 직경을 갖는 제1 원형 리브가 제1 직경보다 더 큰 제2 직경을 갖는 제2 원형 리브에 의해 포위된다. 제1 원형 리브 및 제2 원형 리브는 추가로 이격된 관계에 있다.
이제 특히 도 7, 도 8 및 도 16을 참조하면, 도시된 기부(104)의 직립 후방 벽(116)은 적합하게는 다중 벽 구조 및 이러한 경우에는 이중 벽 구조를 갖는다. 특히, 후방 벽(116)은 스테이션(100)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일부 한정하는 내측 패널(117)과, 내측 패널과의 사이에 갭 또는 비어 있는 공간(123)을 한정하기 위해 내측 패널과 대체로 대향 이격된 관계에 있는 외측 패널(119)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양태의 상부 패널 및 대향 단부 패널의 형태와 같은 연결 패널(121)이 내측 및 외측 패널 사이의 갭 또는 비어 있는 공간을 실질적으로 폐쇄하기 위해 내측 및 외측 패널(117, 119)에 걸치고 더 적합하게는 내측 및 외측 패널(117, 119)을 연결한다. 내측 및 외측 패널(117, 119) 중 적어도 하나 및 더 적합하게는 내측 및 외측 패널 각각은, 그것의 적어도 일부분이 더 적합하게는 전체적으로 하우징(100)의 바닥에 있는 하부 에지를 갖는다(예컨대, 내측 및 외측 패널은 하우징의 바닥에서 동일 한계 내에 있을 수 있음).
후방 벽(116)의 상부 패널은 적합하게는 후방 벽의 상부를 따라 상대적으로 평평한 또는 평탄한 셸프(shelf)(광범위하게, 상부 에지)를 한정한다. 덮개(106)은 적합하게는 덮개가 후방 벽의 상부를 덮는 에지 가장자리를 따라 (예컨대, 상대적으로 평평하게) 구성되어, 덮개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의 폐쇄 형태에서 셸프와 마주 대하여 평평부를 내려 놓인다. 그러한 배열은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을 부주의하게 밟거나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상에 무거운 물체를 떨어뜨리는 사람에 의해서와 같은 하향력에 의한 덮개(106)의 부서짐에 대한 증가된 저항을 제공한다. 일 예로서, 적합한 실시양태에서 후방 벽(116)의 상부 패널에 의해 형성되는 평평한 셸프는 약 0.5 cm 내지 약 5.0 cm 범위의 최대 폭을 갖는다. 그러나, 상부 패널의, 그리고 따라서 상부 패널에 의해 형성되는 셸프의 폭은 상부 패널의 길이를 따라 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상부 패널의 최대 폭은 위의 범위 내와는 다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 및 도 16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특히 적합한 실시양태에서, 후방 벽(116)의 외측 패널(119)은 (내측 패널(117)의 상부 에지 위에뿐만 아니라) 후방 벽의 상부 패널 약간 위에 배치된 상부 에지를 포함하여,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의 폐쇄 형태에서(도 5 참조), 덮개(106)의 에지는 후방 벽의 상부 패널 위에 연장되는 외측 패널의 부분과 접하거나 적어도 근접하게 이격된 관계에 있어 사람의 손가락 또는 공구가 덮개(106)과 기부(104) 사이에 삽입되어 스테이션(100)을 의도하지 않게 개방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패널(119)은 또한, 덮개(106)이 덮개의 에지가 외측 패널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접하거나 적어도 근접하게 이격된 관계에 있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후방 벽(116)의 단부 패널들 각각의 바깥쪽으로 약간 연장한다.
후방 벽(116)(즉, 기부(104)의 직립 벽) 및 더 적합하게는 후방 벽의 상부 패널, 보다 더 적합하게는 일 실시양태에서 후방 벽의 상부 패널 및 단부 패널은, 그 안에 배치되고 상부 패널에 의해 한정되는 상부 에지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거터(예컨대, 채널)(135)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예컨대 각각의 거터(135)는 상부 패널에 의해 한정되는 상부 에지를 따라 록킹 기구의 대체로 인접한 각 횡방향 측면으로부터 후방 벽의 단부 패널을 따라 아래로, 후방 벽이 바닥 패널(114)과 만나는 곳까지 줄곧 연장한다. 이러한 거터(135) 배열은 록킹 기구를 통해 또는 덮개(106)과 후방 벽(116) 사이를 통해 스테이션으로 들어간 물의 유출을 용이하게 한다. 추가로, 도 10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 후방 벽(116)(그리고 더 적합하게는 후방 벽의 내측 패널)과 바닥 패널(114)의 내측 표면(118)과의 접합부에 있는 모서리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으로 들어간 물이 진입 개구부(102)에서 스테이션을 떠나기 위해 이 모서리를 따라 스테이션의 측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추가로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둥글게 되어 있다.
특히 적합한 일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배수 구멍(127)이 후방 벽(116)의 상부 패널에 그리고 더 적합하게는 서로 이격된 관계로 거터(135)를 따라 배치되어, 후방 벽의 내측 및 외측 패널 사이의 아래로 후방 벽으로부터(즉,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멀리) 물이 배수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이제 도 2,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기부(104)의 직립 후방 벽(116) 그리고 더 적합하게는 도시된 실시양태의 다중 구조에서 후방 벽의 외측 패널(119)은, 설치류 진입 개구부(102)로부터 떨어져 있는 적어도 하나 그리고 더 적합하게는 2개 이상의 장착 포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양태에서 외측 패널(119)은 서로 이격된 관계로 그리고 서로 수평 정렬되어 그 안에 배치된 한 쌍의 장착 포트(130)를 갖는다. 그러나, 한 쌍의 장착 포트(130)가 대안적으로 서로 수직(예컨대, 위 아래) 관계에 있을 수 있으며, 이것은 본 발명의 범주 안에 있음은 물론이다. 적어도 한 쌍의 장착 포트(130)를 제공하는 것은, 스트랩(strap) 또는 케이블 유형의 체결구가 포스트, 슬랫(slat) 또는 체인-연결 펜스와 같은 장착 표면에 기부(104)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적합한 일 실시양태에서, 가동형 클로저(movable closure)(131)가 각 개개의 장착 포트(130)에서 후방 벽(116)의 외측 패널(119)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된다. 예컨대, 가동형 클로저(131)는 장착 포트(130)의 각각의 하나를 노출시키기 위해 외측 패널(119)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더 적합하게는 가동형 클로저(131)는 녹아웃 플레이트(knock-out plate)와 같은 부서지기 쉬운 클로저를 포함한다. 그러나, 장착 포트(130)가 영구적으로 개방되어 있도록 클로저(131)가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기부(104)의 후방 벽(116)은 그 안에 형성된 기다랗고 수직 연장되는 슬롯(132)을 갖는 내측 패널(117) 또는 표면을 포함한다. 슬롯(132)은 후방 벽(116)의 내측 표면을 따라 서로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균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지만 더 적합하게는 일부 슬롯(132)이 다른 것보다 더 긴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슬롯(132) 각각은 후방 벽(116)의 상부에서 개방되어 있으며, 후방 벽의 상부 및 바닥의 대체로 중간의 위치까지(더 짧은 슬롯의 경우) 또는 후방 벽의 바닥에 인접한 곳까지(예컨대, 바닥 패널의 내측 표면 바로 위, 더 긴 슬롯의 경우) 아래로 연장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덮개(106)에 매달려 있는 내부 패널(112)(즉, 내부 격벽 구조물)은 적합하게는 덮개가 폐쇄되었을 때 기부(104)의 바닥 패널(114)의 내측 표면(118)과 접하거나 근접하게 이격된 관계로 매달리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내부 패널(112)들은 예컨대 덮개에 하향력이 가해질 때에 덮개에 추가의 부서짐 저항을 제공한다. 내부 패널(112)은 또한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대체로 중앙의 미끼 챔버(138)(예컨대, 바닥 패널(114)의 내측 표면(118)의 중앙 영역 위)와, 내부 패널에 의해 적어도 일부 한정되는 한 쌍의 대체로 만곡된 통로(103)로 구획한다. 이러한 통로(103)들은 각각 개개의 진입 개구부(102)로부터 연장되어 미끼 챔버(138)에 이른다. 미끼 챔버(138)로의 입구의 통로는 또한 내부 패널(112)에 의해 적어도 일부 한정된다. 더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통로(103)는 내부 패널(112)에 의해 그리고 덮개(106)에 의해 한정된다. 통로(103)들은 함께 하나의 진입 개구부(102)로부터 연장되어, 스테이션(100)의 전방에 인접하게 돌고, 미끼 챔버(138)로의 입구의 통로를 지나서, 다시 반대쪽 진입 개구부로 도는 단일 개방 통로(109)를 형성한다. 구불구불한 통로(109)는 진입 개구부(102)에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으로 들어간 설치류가 하나의 진입 개구부로부터 나머지 다른 개구부까지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을 통과하여 직선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중앙 미끼 챔버(138)는 적합하게는 내부 패널(112)에 의해 일부 그리고 후방 벽(116)의 내측 패널(117)에 의해 일부 한정된다. 적합한 트랩 기구 및/또는 미끼가 중앙 미끼 챔버(138) 안에 배치될 수 있으며, 내부 패널(112)은 미끼 챔버로의 접근을 제한하며, 즉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진입 개구부(102)로부터 미끼 챔버로의 직접 접근로를 생략함으로써 미끼 챔버로의 접근을 제한한다. 따라서, 비목표 동물(예컨대, 개 또는 고양이) 및 인가받지 않은 사람(예컨대, 어린이)은 덮개가 폐쇄되었을 때 진입 개구부(102)를 통해 미끼 챔버 안으로 쉽게 도달할 수 없다.
적합한 일 실시양태에서 내부 패널(112)은 그 안에 형성된, 그리고 더 적합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 개구부(102) 각각과 방향 정렬되어 배치된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141)을 갖는다. 예컨대,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141)은 진입 개구부(102)와 방향 정렬되어 복수의 슬랫 또는 배플(baffle)(140)을 한정하도록 내부 패널(112)에 형성된 기다랗고 수직 연장되는 복수의 슬롯(143)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방향 정렬"은 진입 개구부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과 같이 진입 개구부(102)를 통과하는 이동 또는 관찰의 일반적인 방향을 의미하고자 한다. 슬롯(143)은 적합하게는 설치류가 슬롯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여전히 진입 개구부(102)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게 크기설정되는 것과 동시에, 빛이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으로 들어가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히 크게 크기설정된다.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이 2개의 측방향 대향 진입 개구부(102)를 갖는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슬롯(143)은 또한 빛이 전체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을 통과하게 하여, 설치류는 진입 개구부를 통해 스테이션을 관통하여 일직선으로 볼 수 있다.
이 슬롯(143)들은 또한 통로들과 중앙 미끼 챔버(138) 사이에 개방 연통을 제공하여, 설치류는 스테이션의 외부로부터 그리고 설치류가 통로(103)를 따라 길을 정할 때 스테이션 안으로의 진입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을 통과하는 공기 유동으로 인해) 미끼 챔버(138) 안의 미끼의 냄새를 더 잘 맡을 수 있다. 전체 통로를 따라 제공되는 것을 비롯하여, 진입 개구부(102)로부터 미끼 챔버(138)의 입구의 통로까지 통로(103)의 더 긴 세그먼트를 따라 추가의 관통 개구부가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관통 개구부(141)가 내부 패널(112)의 바닥 에지까지 연장되거나 연장되지 않을 수 있는 천공, 구멍 또는 다른 적합한 개구부와 같이 슬롯의 형태와는 다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내부 패널(112)은 또한 내부 패널(112)이 덮개(106)과 인접하여 덮개에 그리고 내부 패널에 추가의 강도 및 강성을 제공하는 복수의 거싯(gusset)(113)(도 2) 또는 웨브(web)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102)들 중 하나를 통해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으로 진입할 때 그리고 통로(109)를 따라 이동할 때, 설치류는 내부 패널(112)에 의해 한정되는 입구의 통로를 통해 미끼 챔버(138)로 들어갈 수 있다. 특히 적합한 일 실시양태에서, 미끼 챔버(138)의 높이(예컨대, 기부(104)의 바닥 패널(114)의 내측 표면부터 덮개(106)의 상부 벽(137)의 내측 표면까지의 수직 거리)는 설치류가 대체로 직립하여 앉은 자세 - 전형적으로 설치류가 선호하기 때문임 - 로 있는 동안 미끼를 섭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하다. 예컨대, 일 실시양태에서 미끼 챔버(138)의 높이는 덮개(106)의 테이퍼로 인해 비균일할 수 있지만, 미끼 챔버(138)는 적합하게는 약 5.7 인치의 최대 높이를 갖는다.
도면에서는 볼 수 없지만, 일부 실시양태에서 스테이션(100) 하우징의 바닥 패널(114)의 내측 표면(118)의 적어도 일부분(즉, 하우징의 플로어)은 정지 마찰(traction)을 증가시키고 그리고 따라서 그 위에서의 설치류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텍스처링될 수 있다. 텍스처링은 바닥 패널(114)의 내측 표면(118)과 함께 일체로 형성되거나, 내측 표면에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적합한 일 실시양태에서 텍스처링은 기부(104)의 바닥 패널(114)의 내측 표면(118) 안에 또는 내측 표면(118) 상에 형성된 복수의 기다란 홈 및/또는 복수의 기다란 범프(bump)를 포함할 수 있다. 더 적합하게는, 그러한 홈 및/또는 범프는 스테이션(100) 하우징의 진입 개구부(102)와 방향 정렬되어, 예컨대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횡방향으로 또는 좌우로 바닥 패널(114)의 내측 표면(118)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가로질러 연장할 수 있다. 진입 개구부(102)들 중 하나에서 스테이션(100) 하우징으로 들어간 설치류는 대체로 뒤로부터 앞으로 가는 방향으로 통로들 중 하나를 따라 이동할 것이기 때문에, 홈 및/또는 범프를 이러한 방식으로 배열하는 것은 설치류가 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방향에 대해 대체로 가로질러 연장되는 홈 및/또는 범프를 형성하여, 그러한 이동에 추가의 정지 마찰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범주 안에 있기 위해 텍스처링이 바닥 패널(114)의 내측 표면(118) 전체에 걸쳐 존재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된다. 예컨대, 일 실시양태에서 미끼 챔버 안의 바닥 패널 내측 표면(118)은 실질적으로 텍스처링되지 않는 반면, 진입 개구부(102)로부터 미끼 챔버(138)의 입구의 통로에 이르는 통로를 따라서만 텍스처링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홈 및/또는 기다란 범프의 형태와는 다른 텍스처링이 그러한 홈 및/또는 범프에 추가하여 또는 대안으로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널링(knurling), 딤플(dimple) 및/또는 이산 범프, 바닥 패널 안에 성형되거나 바닥 패널의 내측 표면에 부착된 미립자 물질 또는 다른 적합한 텍스처링과 같은 텍스처링이 본 발명의 범주 안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제 특히 도 33 내지 도 37을 참조하면, 록킹 기구(142)는 스테이션(100)의 폐쇄 형태에서 덮개(106) 및 기부(104)를 함께 해제가능하게 고정하고(예컨대, 맞물리게 하고), 이에 의해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의 인가받지 않은 또는 의도하지 않은 개방을 방지한다. 특히 적합한 실시양태에서, 록킹 기구(142), 기부(104) 및 덮개(106)은 비 및 눈이 록킹 기구에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거나 그밖에 록킹 기구에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해 록킹 기구가 스테이션(100)의 외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접근불가능하게 추가로 구성된다. 록킹 기구(142)는 각각의 캐치(catch)(151)(광범위하게, "캐치 부재(catch member)")에서 종료하는 탄성 직립 부재(149)를 갖는 대체로 U 형상의 록 부재(lock member)(148)를 포함한다. 록 부재(148)는 덮개(106)의 일부분 또는 기부(104)의 일부분 중 어느 한 쪽에 결합될 수 있다. 캐치(151)는 직립 부재(149)를 수용하기 위해 그 안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노치를 갖는다. 직립 부재(149)는 또한 바깥쪽으로 편향되어 있다.
록 부재(148)는 기부의 후방 벽(116)에 부착되는 매달린 지지 부재(153)를 가져, 록 부재(148)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 안에서 수직으로 연장한다. 덮개가 폐쇄되었을 때 록 부재의 캐치와 래칭 결합(latching engagement)하여 덮개를 폐쇄 형태로 해제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대응 래치(latch)(150)가 덮개(106)의 밑면 상에 형성되어 그것에 매달려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록 부재(148)는 덮개(106)에 부착될 수 있으며 래치(150)는 후방 벽(116)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록킹 기구(142)는 기부(104)의 후방 벽(116)의 상부 패널 내의 개구부 위에 배치된다. 따라서, 덮개(106)을 통해 록킹 기구(142)에 도달한 물은 개구부 안으로 그리고 록킹 기구로부터 멀리 후방 벽 안에서 아래로 지향된다(그리고 따라서 하우징 안으로 그리고 특히 미끼 챔버(138) 안으로 지향되지 않음).
록킹 기구(142)를 록킹해제하기 위해, 측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프롱(prong)(162)(광범위하게, "삽입부")을 갖는 키(152)(도 36)(광범위하게, "공구")가 덮개(106) 내의 한 쌍의 키 구멍(154)(도 4)(광범위하게, "개구부")을 통해 삽입되어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 부재(148)의 직립 부재(149)와 결합한다. 키 구멍(154)은 대체로 수직 방위(광범위하게, "제1 방위")에 있다. 프롱들의 간격은 측방향으로 이격된 직립 부재(149)에 압력을 가하여, 록 부재(148)의 캐치(151)들을 서로를 향하고 래치(150)로부터 멀어지도록 강요하며, 이에 의해 덮개(106)이 개방되게 한다. 키(152)의 손잡이(164)는 적합하게는 프롱에 대해 비스듬하게 되어 있어, 록킹해제 및 덮개의 개방 동안 손잡이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롱이 키 구멍(154) 안에 삽입될 때 손잡이는 덮개에 기대지 않는다(즉, 손잡이는 덮개으로부터 위로 예컨대 10도 내지 60도 각도에 있음).
도 4 및 도 33을 참조하면, 덮개(106)은 적합하게는 키(152)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 키의 프롱의 키 구멍(154) 안으로의 안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 외측 표면에 형성된 안내 채널(144)을 갖는다. 일 실시양태에서 안내 채널(144)은 키(152)의 프롱 부분이 안내 채널 안에 활주 끼워맞춤되도록 크기설정된 폭을 가지며, 즉 안내 채널(144)은 적합하게는 키(152)의 최대 폭 이하인 그리고 더 적합하게는 최대 폭 미만인 최대 폭을 갖는다. (비스듬한 손잡이와 함께) 안내 채널(144) 및 록킹 기구(142) 내에서의 키(152)의 상대적으로 빡빡한 끼워맞춤은, 키(152)(즉, 공구)가 덮개(106)을 스테이션(100)의 폐쇄 형태로 들어올리기 위한 손잡이로서 사용되게 한다. 안내 채널(144)은 또한 키 구멍(154)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체로 인접한 말단 단부(terminal end)(광범위하게, "기단(proximal end)") 및 말단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진입 단부("말단(distal end)")를 갖는다. 안내 채널(144)은 말단(즉, 기부) 단부에서 제1 깊이와, 진입 단부에서 제1 깊이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은 제2 깊이를 갖는다(예컨대, 안내 채널의 깊이는 키 구멍(154)에 접근함에 따라 증가한다). 사용시, 프롱은 예컨대 안내 채널의 진입 단부에서 또는 진입 단부 근처에서 채널(144) 내의 덮개에 맞대어져 놓여지고, 그 다음에 채널을 따라 활주하여 채널의 측면들이 키 구멍 안으로의 프롱의 적절한 삽입을 위해 프롱과 키 구멍(154)을 적절하게 정렬시킨다.
특히 적합한 실시양태에서, 안내 채널(144)은 덮개에 닿은 물을 키 구멍(154)으로부터 멀리 지향시켜 수분이 키 구멍 안으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일부 수평 배향되도록(예컨대, 반면에 키 구멍(154)은 대체로 수직 배향됨), 그리고 더 적합하게는 키 구멍(154)으로부터 멀리 아래로 경사지도록 덮개(106)에 형성된다. 덮개(106)은, 키 구멍(154) 위에 배치되고 키 구멍들 각각의 적어도 일부 그리고 더 적합하게는 전체 위에 연장되는 커버 패널(146)(광범위하게, 커버)을 갖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커버(146)는 대체로 수평 방위에 있는 것과 같이 안내 채널(144)의 말단 단부에 인접하여 그리고 말단 단부에서 안내 채널(144)과 대체로 대향하여 이격된 관계에 있다. 이러한 방위에서, 커버 패널(146)은 키 구멍의 방위와 상이한 방위로 연장되어, 키 구멍은 떨어지는 비 및 눈에 의한 직접 접촉에 대해 실질적으로 보호되며 커버 패널(146)은 덮개(106) 및 기부(104) 상의 수분이 하우징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양태의 범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커버 패널(146)이 본 명세서에 설명되고 도시된 바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기부(104)에 대한 힌지 결합을 유지하면서 덮개(106)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물(예컨대, 비) 관리를 추가로 용이하게 하기 위해, 힌지는 예컨대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테이션 하우징의 바닥보다 더 높이 스테이션(100) 하우징 상에 위치된 힌지 축을 갖는다. 더 적합하게는, 힌지 축은 기부(104)의 바닥 또는 플로어 패널(114)의 내측 표면(118)보다 더 높이 스테이션(100) 하우징 상에 위치된다. 예컨대, 적합한 일 실시양태에서 힌지 축은 기부(104)의 바닥 또는 플로어 패널(114)의 내측 표면(118) 위 약 2.5 mm 내지 약 25 mm의 스테이션(100) 하우징 상에 위치된다. 도 8에 추가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힌지 축은 높이 면에서 기부의 후방 벽의 상부 에지보다 바닥 또는 플로어 패널(114)의 내측 표면(118)에 더 가까운 것과 같이, 기부(104)의 후방 벽(116)의 상부 에지보다 실질적으로 더 낮게 위치된다.
이제 특히 도 10 및 도 13을 참조하면, 미끼 블록(156)(도 10 및 도 13)과 같은 미끼가 미끼 챔버(138) 안에 그리고 더 적합하게는 기부(104)의 후방 벽에 대체로 인접한 미끼 챔버의 후방을 향해 배치된다. 많은 다른 유형의 미끼가 이용가능하며, 그것의 일반적인 조성 및 효능의 원리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그러한 미끼는 오직 설치류 유인제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것은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설치류를 죽이도록 의도되는 하나 이상의 독소를 포함할 수 있다.
미끼를 미끼 챔버(138) 안에 배치 및 유지하기 위해, 그리고 더 적합하게는 그러한 미끼를 하우징의 플로어 위(예컨대, 바닥 패널(114)의 내측 표면(118) 위)에 이격된 관계로 유지하기 위해 적합한 미끼 지지체(158)가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 안에서 사용된다.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복수의 미끼 블록(156)이 "꼬챙이(skewer)"(160) 또는 와이어 지지체 상에 장착되며, 꼬챙이 또는 와이어 지지체는 이번에는 미끼 지지체에 의해 수평 방위로 지지된다. 꼬챙이(160)는 미끼 블록(156)들 각각의 구멍을 통과한다 - 본 발명의 범주 안에 있기 위해 구멍이 중심에 위치될 필요는 없지만 구멍은 미끼 블록 내 중심에 위치됨 -. 또한,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미끼가 블록 또는 입방체의 형상과는 다를 수 있음은 물론이다. 꼬챙이(160)는 미끼 블록(156)의 열(row)의 대향 단부들을 넘어서 바깥쪽으로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크기설정된다. 특히, 꼬챙이(160)의 일 단부는 루프(loop) 또는 아일릿(eyelet) 방식으로 형성 - 이것의 목적은 명백해질 것임 - 되는 반면, 꼬챙이의 반대쪽 단부는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남아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 그리고 특히 후방 벽(116) 및 미끼 지지체(158)는, 미끼 블록이 블록의 수평 열로 "적층된" 상태로 다수의 꼬챙이가 미끼 지지체에 의해 수평 방위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미끼 블록을 수평 방위로 지지하기 위한 미끼 지지체(158)는 기부(104)의 후방 벽(116)에 형성된 슬롯(132)들 각각의 안에 대체로 수직 배향되도록 구성된 장착 단부를 각각 갖는 한 쌍의 프레임 부재(153, 155)(도 10 내지 도 12)를 포함한다. 더 적합하게는, 슬롯(132) 안에 프레임 부재(153, 155)의 장착 단부를 수용하는 것 그리고 슬롯의 바닥까지 아래로 (프레임 부재의 나머지와 함께) 장착 단부를 활주시키는 것은, 프레임 부재를 기부(104)의 후방 벽(116)에 해제가능하게 결합시킨다. 특히, 미끼 블록을 수평 방위로 지지하는 미끼 지지체(158)로서 사용되는 프레임 부재(153, 155)의 경우, 후방 벽의 더 짧은 슬롯(132)이 사용된다.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사용된 것은 더 짧은 슬롯(132)의 최외측 쌍이지만, 미끼 블록 열의 원하는 길이 및 꼬챙이(160)의 크기에 따라 더 짧은 슬롯(132)의 임의의 조합이 미끼 블록의 수평 지지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프레임 부재(155)(도 11)가, 그 장착 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즉, 기부의 후방 벽으로부터 멀리 그리고 미끼 챔버(138) 안으로) 연장되도록 그리고 꼬챙이(160)의 직선 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그 상부 단부(157)에서 개방된 대체로 U 형상의 크레이들(cradle)을 갖도록 구성된다. 나머지 다른 프레임 부재(153)(도 12)는, 그 장착 단부(159)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꼬챙이(160)의 아일릿을 수용하기 위해 수직 배향된 포스트 형태로 종료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레임 부재(153, 155)는 협력하여 꼬챙이(160) 그리고 따라서 미끼 지지체 상의 미끼 블록(156)을 수평 방위로 위치설정 및 유지한다.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꼬챙이(160)가 그 대신에 미끼 블록(156)의 열의 양 단부로부터 직선적으로 연장할 수 있는 것, 그리고 프레임 부재(153, 155) 둘 모두가 U 형상의 크레이들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특히 적합한 실시양태에서, 프레임 부재(153, 155)는 바닥 패널의 내측 표면을 따라 배수되는 물이 미끼 블록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끼 블록의 최하측 수평 열을 기부(104)의 바닥 패널(114)의 내측 표면 위(즉,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플로어 위)에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미끼 블록(156)은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칼럼(column)으로 수직하게 적층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양태에 적합한 미끼 지지 장치(158)는 미끼 지지체(158)를 후방 벽에 해제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예컨대, 슬롯의 개방 상부 단부를 통해) 기부(104)의 후방 벽(116)의 슬롯(132) 안으로 활주하여 슬롯(132)의 바닥까지 하강하는 장착 단부(159)를 갖는 프레임 부재(153)(예컨대,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와이어 프레임 부재)를 각각 포함한다. 각 프레임 부재(153)는 장착 단부(159)로부터 바깥쪽으로 (예컨대, 기부 패널(104)의 후방 벽(116)으로부터 멀리) 추가로 연장되며, 그 위에서 미끼 블록(156)이 지지되는 수직 배향 포스트로 종료하도록 구성된다. 즉, 이러한 실시양태에서는 꼬챙이(160)(도 10)가 필요하지 않다. 수직 미끼 블록 칼럼이 사용될 때, 각 슬롯(132)은 미끼 블록의 각각의 칼럼을 지지한다. 미끼 블록의 수직 칼럼이 사용되는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사용되는 것은 후방 벽(116)의 더 긴 슬롯(132)이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임의의 개수 및 조합의 더 긴 슬롯(132)이 미끼 블록 칼럼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적합한 실시양태에서, 프레임 부재(153)는 바닥 패널의 내측 표면을 따라 배수되는 물이 미끼 블록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끼 블록(156)의 수직 칼럼을 기부(104)의 바닥 패널(114)의 내측 표면(118) 위(즉,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의 플로어 위)에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기부(104)의 후방 벽을 따라 (더 짧은 그리고 더 긴) 다수의 슬롯(132)을 제공하는 것은 미끼 블록의 수평 열 및 미끼 블록의 수직 칼럼의 다양한 조합을 허용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미끼 블록의 추가의 수직 칼럼이 최외측의 더 긴 슬롯 각각에 장착된 각각의 프레임 부재(153)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수평 미끼 블록 열이 더 짧은 슬롯의 최내측 쌍에 장착된 적합한 프레임 부재(15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제 특히 도 18을 참조하면,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은 적합하게는 스냅 트랩(170)(예컨대, 종래의 쥐 트랩)이 미끼 챔버 안에 배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모듈형이다. 도 18에 도시된 스냅 트랩(170)은 미국 아이오와주 알비아 소재의 네스 메뉴팩처링 컴퍼니, 인크.(Kness Manufacturing Company, Inc.)로부터 구매가능한 것과 디자인이 유사하다.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의 그러한 형태에서, 미끼 블록(156)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부(104)의 후방 벽 상에 지지될 수 있거나, 미끼 블록이 생략된 채로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스냅 트랩(170)에 미끼를 달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미끼 블록(156)은 스냅 트랩(170)의 양 측면 상에 지지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스냅 트랩(170)은 (도 20 및 도 21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스냅 트랩의 트리거(trigger) 기구의 일부분이 미끼 챔버 입구의 통로를 통과하여 미끼 챔버 외측의 통로 안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미끼 챔버(138) 안에 배치 및 배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미끼는 설치류가 내부 패널(112)에 형성된 관통 개구부를 통해 미끼의 냄새를 맡고 일부 경우에 미끼를 보게 하도록 트랩(170) 상에(또는 이전의 실시양태에서와 같이 후방 벽(116)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설치류는 미끼를 찾아 통로를 계속하여 따라가기 때문에, 설치류는 스냅 트랩의 트리거 기구 위를 가로질러가야 한다. 특히, 설치류가 스냅 트랩의 트리거 기구 위를 가로질러가는 일 없이 통로를 따라 반대쪽 진입 개구부(102)까지 계속하여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예시적인 스냅 트랩(170)이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주 안에서 다른 적합한 스냅 트랩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와이어 프레임 또는 다른 적합한 프레임 구조물과 같은 수평 프레임(172)(광범위하게, "트랩 배치 부재")이, 예컨대 도 13 내지 도 17에서 미끼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된 미끼 지지체(158)와 동일한 방식으로 후방 벽(116)에 장착됨으로써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 안에 고정된다. 이것은 스냅 트랩(170)을 포함시키기 위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의 재구성을 용이하게 한다. 수평 프레임(172)은 수평 프레임을 기부에 해제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서로 이격된 관계에 있고 후방 벽(116)의 슬롯(132) 안에 해제가능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결합 부재를 갖는다. 또한, 결합 부재 및 슬롯(132)은 슬롯 안에서 결합 부재가 활주 운동을 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수평 프레임(172)은 일반적으로 스냅 트랩을 프레임 안에 근접하게 이격된 관계로 수용하기 위해 스냅 트랩(170)의 기부(174)의 둘레와 일치하는 중앙 개구부를 갖는 루프를 형성하며, 이에 의해 프레임은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 내에서의 트랩의 활주 또는 다른 운동에 대해 스냅 트랩을 유지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스냅 트랩(170)은 적합한 체결구 또는 접착제에 의해 프레임(172)에 부착되거나 해제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스냅 트랩의 기부(174)는 그 둘레 안에 형성된 오목부(recess)를 가질 수 있다. 그러한 실시양태에서 프레임(172)은 그 다음에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내의 정위치에 스냅 트랩을 유지하기 위해 오목부 안에 놓일 수 있다.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의 모듈형 구성가능성은 추가로 "생포용 트랩"으로 통상적으로 지칭되는 것이 도 20의 스냅 트랩(170) 대신에(예컨대, 그것에 추가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되지만, 그것과 교체가능하게)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안에 배치되게 한다. 생포용 트랩은 설치류를 독살하거나 즉시 죽여야하는 일 없이 설치류, 전형적으로 쥐를 포위부(enclosure) 안에 포획하도록 설계된 트랩이다.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 내에서 사용하도록 구성된 생포용 트랩의 적합한 일 실시양태가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되며 일반적으로 도면부호 200으로 표시된다. 그러나, 다른 생포용 트랩 형태가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안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생포용 트랩(200)은 스테이션의 정비/청소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스테이션이 개방 형태에 있을 때 스테이션(100)으로부터 제거가능하다.
(도 22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시된 생포용 트랩(200)은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의 미끼 챔버(138) 안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확대된 챔버 부분(201)과, 챔버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좁아진 진입 부분(광범위하게, "입구" 또는 "입구 부분")(203)을 갖는다. 도면에서는 볼 수 없지만, 진입 부분(203)은 또한 설치류가 진입 부분을 떠나 생포용 트랩(200)의 챔버 부분(201)의 내부 안에서 더 중앙으로 챔버 부분으로 들어가도록 챔버 부분의 내부로 부분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생포용 트랩(200)은 적합하게는 진입 부분(203)에 대체로 인접하거나 진입 부분을 포함하는 전방, 및 전방의 맞은편의 후방을 갖는다. 따라서, 생포용 트랩(200)이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의 하우징 안에 배치된 상태에서, 생포용 트랩(200)의 진입 부분(203)은 적어도 미끼 챔버(138) 입구의 통로까지, 그리고 일부 실시양태에서 미끼 챔버(138) 입구의 통로를 지나 설치류가 그것을 따라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안에 안내되는 통로(109) 안으로 연장할 수 있다. 스테이션(100)의 진입 개구부(106)와 떨어져 있는(예컨대, 멀리 이격되어 있는) 위치의 트랩 안으로 쥐와 같은 설치류가 진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그리고 더 적합하게는 한 쌍의 진입 개구부(202)가 생포용 트랩(200)의 진입 부분(203) 안에 형성된다. 진입 개구부(202)는 서로 대체로 대향하며 이격된 관계에 있다. 이러한 진입 개구부(202)들은 또한 스테이션(100)의 진입 개구부(102) 각각과 방향 정렬되어 있지 않다. 또한, 하나의 진입 개구부가 (위에서 설명된) 통로(109)의 제1 통로(103) 섹션에 개방되고, 나머지 다른 진입 개구부가 통로의 제2 통로 섹션에 개방되도록 한 쌍의 진입 개구부(202)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생포용 트랩(200)은 대체로 챔버 부분(201)의 측면을 따라 생포용 트랩(200)의 외부에 배치된 그리고 더 적합하게는 생포용 트랩(200)의 외부와 일체로 형성된 안정화 부재(204)에 의해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내의 적소에 위치 및 유지된다. 이러한 안정화 부재(204)들은 덮개가 폐쇄되었을 때 덮개(106)에 매달린 내부 패널(112)과 접하여 하우징 내에서의 이동에 대해 생포용 트랩(200)에 안정성 및 지지를 제공한다. 안정화 부재(204)와 내부 패널(112) 사이의 접촉은 또한 덮개(106)의 그리고 특히 내부 패널의 구조적 강성을 증가시킨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생포용 트랩(200)은 트랩의 측면에 면하는 후방에 부착된 안내 리브(206)(도 25 및 도 26)(광범위하게, "결합 탭")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안내 리브(206)들은 생포용 트랩과 스테이션(100) 하우징의 기부를 해제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그리고 생포용 트랩을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미끼 챔버(138) 안에 정확하게 배치하기 위해 기부(104)의 후방 벽(116)의 슬롯의 개방 상부 단부를 통해 슬롯(132)들 각각의 안으로 활주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안내 리브(206) 및 후방 벽(116)의 슬롯(132)은 각각 생포용 트랩과 스테이션(100) 하우징의 기부를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결합 부재를 대체적으로 한정한다. 따라서, 대안 실시양태에서 적합한 슬롯이 생포용 트랩(200) 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안내 리브(206)(즉, 결합 탭)가 생포용 트랩과 기부를 결합하기 위해 기부(104)의 후방 벽(116)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트랩의 챔버 부분(201) 안에 설치류를 포획하기 위해 여러 가지의 적합한 교체가능 내부 트랩 기구가 생포용 트랩(200) 안에, 그리고 특히 트랩의 진입 부분(203)에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트랩 기구가 교체되고 선택적으로 제거되며 생포용 트랩(200) 안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일 실시양태에서 내부 트랩 기구는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램프 기구(210)를 포함할 수 있다. 램프 기구(210)는, 생포용 트랩(200)의 진입 부분(203) 안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트랩의 진입 개구부(202)에 가장 가까운 진입 단부 및 트랩의 챔버 부분(201)에 가장 가까운 출구 단부를 갖는 램프(212)를 포함한다. 램프는 피벗 운동을 위해 생포용 트랩의 플로어 상에 장착된다. 트랩 도어(214)는 적합한 피벗 핀(216)에 의해 램프의 진입 단부에 대체로 인접한 램프(212)에 피벗식으로 결합된다. 램프의 진입 단부가 생포용 트랩(200)의 플로어에 가까이 아래에 있는 상태에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가 상방으로 비스듬해지는 위치로 램프를 편향시키기 위해 스프링, 중량체(weight) 또는 다른 장치가 사용된다. 이 위치에서, 트랩 도어는 트랩으로 들어간 설치류가 트랩 도어를 넘어 램프로 나아가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램프에 대해 대체로 평평하게 눕는다.
설치류가 트랩 도어(214)를 지나서 나아갈 때, 설치류의 중량은 램프(212)가 하방으로 피벗(즉, 출구 단부가 하방으로 피벗)하게 한다. 이러한 램프(212)의 피벗은 램프의 진입 단부가 상승하게 하며, 이것은 트랩 도어(214)를 밀어 트랩의 진입 부분 내의 직립 위치(도시되지 않음)로 핀(216)을 중심으로 피벗하게 하여, 설치류가 방향을 바꾸어 트랩을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설치류는 계속해서 램프(212)를 지나 생포용 트랩의 챔버 부분(201) 안으로 가야 한다. 일단 설치류가 램프(212)를 떠나면, 램프는 트랩 도어(214)가 다시 램프에 대해 대체로 평평하게 눕는 초기 위치(도 28)로 복귀한다. 특히 적합한 실시양태에서, 일단 설치류가 챔버 부분으로 들어오거나, 또는 적어도 입구로부터 멀리 챔버 부분으로와 같이 챔버 부분 내의 특정 구역으로 이동하면 설치류의 추가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제 판(glue board)의 형태와 같은 접착제가 생포용 트랩(200)의 챔버 부분(201)의 플로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9 및 도 31은 본 명세서에서 스윙 게이트 기구(220)로 지칭되는 대안 트랩 기구를 도시한다. 스윙 게이트 기구(220)는, 피벗 핀(224)에 의해 생포용 트랩(200)의 천장에 피벗식으로 부착되고 트랩의 진입 부분(203) 안으로, 적합하게는 트랩의 진입 개구부(202)에 가까이 천장으로부터 매달린 게이트(222)를 포함한다. 게이트(222)는 적합하게는 트랩(200)의 진입 부분(203)의 내부 높이보다 더 긴 길이로 크기설정되어, 초기 위치에서 게이트(222)의 약간 비스듬한 방위에서 트랩의 플로어와 접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게이트(222)는 한 방향으로만, 즉 트랩의 챔버 부분을 향해 안쪽으로만 스윙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게이트(222)는 또한 그 자유 에지를 따라 배치된 치형부(teeth)(226)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게이트(222)는 그 안에 배치된 슬롯을 가질 수 있어, 빛이 게이트 기구(220)를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스윙 게이트 기구(220)를 갖는 생포용 트랩(200)으로 설치류가 진입할 때, 설치류는 게이트(222)와 접촉하여 게이트가 피벗 핀(224)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하게 한다. 게이트(222)의 아래를 통과하는 동안 설치류가 트랩(200)으로부터 후퇴하려고 시도하는 경우, 게이트의 자유 단부에 있는 치형부(226)가 설치류를 물어 그러한 후방으로의 운동을 단념하게 한다. 설치류가 게이트(222)를 지나간 후, 도어는 다시 초기 상태로 피벗하여, 설치류에 의한 어떠한 후퇴도 차단한다. 치형부(226)가 게이트(222)의 자유 에지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 29 및 도 31에 도시되었지만, 치형부는 스윙 도어의 임의의 부분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게이트(222)의 정면에 배치되는 추가의 스윙 도어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양태에서, 추가의 스윙 도어는 치형부를 갖지 않으며, 스윙 게이트 기구(220) 내에서 양 방향으로의 도어의 스윙을 가능하게 하도록 크기설정된다. 따라서, 설치류는 게이트(222)와 접촉하기 전에 이러한 추가의 도어를 통해 빠져나갈 수 있다. 설치류는 트랩으로부터 후퇴할 수 있는 이러한 추가의 도어에 의해 용기를 얻고 따라서 계속 나아가 게이트(222)인 다음의 도어를 통과한다. 추가의 스윙 도어 및 게이트(222)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한다. 게이트(222)와 마찬가지로, 추가의 스윙 도어는 그 안의 임의의 부분에 배치된 슬롯을 가질 수 있다.
도 31 및 도 32를 참조하면, 다른 생포용 트랩 기구가 본 명세서에서 펀넬 트랩 기구(230)로 지칭되며, 펀넬 트랩 기구(230)는, 생포용 트랩(200)의 진입 부분(203) 안에 위치하며 트랩의 진입 개구부(202)에 가장 가까운 제1 또는 진입 단부(231)와 트랩의 챔버 부분에 가장 가까운 출구 단부(233)를 갖는 펀넬(232)을 포함한다. 펀넬(232)은 더 적합하게는 펀넬의 진입 단부(231)로부터 종방향 하류로 연장되는 단단한 세그먼트(rigid segment)(236)와, 단단한 세그먼트에 부착된 복수의 핑거(finger)(234)를 포함하며 펀넬의 단단한 세그먼트로부터 펀넬의 출구 단부(233)까지 종방향 하류로 연장되는 유연한 세그먼트(flexible segment)를 포함한다. 도시된 펀넬(232)의 단단한 세그먼트(236)는 그 길이를 따라 단면적이 일정한 대체로 원통형이거나 직사각형 형상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단단한 세그먼트(236)가 원통형 또는 직사각형과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단면이 비균일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핑거(234)는 서로를 향해 (펀넬의 중심선에 대해) 안쪽으로 비스듬하도록 구성되어, 펀넬(232)의 출구 단부(233)는 펀넬의 진입 단부(231)보다 실질적으로 더 좁다. 핑거(234)는 적합하게는 유연하고 탄력성이 있어, 설치류가 펀넬의 유연한 세그먼트를 통과하여 펀넬의 출구 단부(233)로 지나갈 때 편향에 대항하여 핑거가 바깥쪽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설치류가 펀넬의 출구 단부(233)를 통과하여 이동할 때, 핑거(234)의 편향은 핑거의 끝이 설치류의 몸과 접촉한 채로 있게 한다. 설치류가 진로를 반대로 하려고 시도하는 경우, 핑거(234)의 끝은 설치류를 찌르거나 다른 방식으로 설치류에 압력을 가하고, 이에 의해 설치류가 트랩의 챔버 부분까지 전방으로 계속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일단 설치류가 펀넬(232)을 떠나면, 핑거(234)는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펀넬의 출구 단부(233)가 설치류의 머리를 끼우기에는 너무 좁게 만들고, 따라서 설치류는 펀넬을 통해 되돌아가려는 시도가 좌절된다.
도 22의 실시양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끼 블록(156)과 같은 미끼가 생포용 트랩의 챔버 부분(201) 위와 같이, 생포용 트랩(200)과 함께 미끼 챔버 안에 배치될 수 있다. 미끼 블록(156)은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안으로 그리고 생포용 트랩 및/또는 미끼 챔버(138)를 향하도록 설치류를 유인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한 실시양태에서, 생포용 트랩(200)은 특히 트랩의 진입 개구부(202)에서 생쥐와 같은 더 작은 설치류만이 생포용 트랩으로 들어가게 하도록 크기설정될 수 있다. 쥐와 같은 더 큰 설치류는 생포용 트랩(200)의 상부를 타고 넘어 미끼 챔버(138) 안으로 들어가, 쥐를 죽이기에 충분히 독성이 있을 미끼를 먹을 것이다. 추가로, 비독성 미끼 (예를 들면, 감시 미끼)가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00)에 사용될 수 있다. 감시 미끼는 시간이 흐르면서 설치류에 의해 소비되는 것에 의해서 설치류의 존재를 나타내는 비독성 물질이다.
도 38 내지 도 78은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100)의 다른 실시양태를 도시한다.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100)은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과 유사하며, 일반적으로 기부(1104) 및 덮개(1106)(함께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하우징 및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대체적으로 한정함), 횡방향 대향 진입 개구부(1102), 및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대체로 중앙의 미끼 챔버(1138)와 진입 개구부(1102)의 각각의 하나로부터 미끼 챔버의 입구의 통로까지 각각 이어지는 한 쌍의 통로(1103)를 포함하는 통로(1109)로 구획하는 내부 패널(1112)(광범위하게, 격벽 구조물)을 포함한다. 덮개(1106)의 폐쇄 형태에서, 덮개 및 기부(1104)는 전술된 록킹 기구(142)와 유사한 적합한 록킹 기구(1142)에 의해 해제가능하게 함께 유지되어,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100)의 인가받지 않거나 의도하지 않은 개방을 방지한다.
기부(1104)의 후방 벽(1116)(광범위하게, 직립 벽)은 그 안에 형성된 기다랗고 수직 연장되는 슬롯(1132)을 갖는 내측 표면을 포함한다. 슬롯(1132)은 후방 벽의 내측 표면을 따라 서로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균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지만 더 바람직하게 슬롯(1132) 중 일부가 다른 것보다 더 긴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슬롯(1132) 각각은 후방 벽의 상부에서 개방되며, 후방 벽의 상부와 바닥의 대체로 중간의 위치까지(더 짧은 슬롯의 경우) 또는 후방 벽의 바닥에 인접한 곳까지(예컨대, 바닥 패널의 내측 표면 바로 위, 더 긴 슬롯의 경우) 아래로 연장한다. 또한, 슬롯(1132)은 그 각각의 길이를 따라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어, 슬롯의 직경은 기부(1104)의 바닥 패널(1114)을 향해 아래로 연장함에 따라 감소되거나 작아진다. 본 명세서에 나중에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슬롯(1132)은 스테이션(1100)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미끼를 지지하기 위해 그 안에 하나 이상의 미끼 지지체를 보유하도록 구성된다.
도 38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양태의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덮개(1106)은 매달린 보호 구조물(1300) - 스테이션(1100)의 폐쇄 형태에서, 보호 구조물이 슬롯(1132)의 개방 상부 단부를 실질적으로 둘러싸거나 다른 방식으로 보호하도록 구성되며 덮개에 위치됨 - 및 그 안에 배치된 미끼 지지체를 추가로 포함하여, 설치류가 미끼 지지체를 조작(예컨대, 구부리거나 잡아당김)하여 그것으로부터 미끼를 떼어내는 것을 방지한다. 도시된 보호 구조물(1300)은 덮개(1106)과 일체로 형성되어 덮개에 매달려 있고 서로 횡방향으로 이격된 관계에 있는 대체로 V 형상의 복수의 리브를 포함한다. 예컨대, 특히 적합한 일 실시양태에서 V 형상 리브(1300)의 개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100)에 사용된 미끼 지지체의 개수(예컨대, 도 38의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4개)에 대응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보호 구조물(1300)이 임의의 적합한 형태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볼 수 없지만, 일부 실시양태에서 스테이션(1100) 하우징의 바닥 패널(1114)의 내측 표면(1118) 중 적어도 일부분(즉, 하우징의 플로어)은, 제1 실시양태의 스테이션(100) 하우징의 바닥 패널(114)의 내측 표면(118)과 동일한 방식으로 텍스처링될 수 있다. 도 38 및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션(1100)의 폐쇄 형태에서 내부 패널(1112)이 위치되는 곳을 나타내기 위해 하나 이상의 경계부(1111)가 바닥 패널(1114)의 내측 표면(1118) 상에 제공될 수 있다. 경계부(1111)는 스테이션(1100) 하우징의 미끼 챔버(1138) 내에서의 미끼 및 트랩의 적절한 정렬을 용이하게 하여, 덮개를 폐쇄할 때 덮개(1106) 그리고 특히 내부 패널(1112)과의 간섭을 피한다. 경계부(1111)는 임의의 적합한 형태, 예컨대 이것으로 한정되는 일 없이 표시, 바닥 패널(1114)의 내측 표면(1118)과 상이한 착색, 라벨, 바닥 패널의 내측 표면의 텍스처와 상이한 텍스처링, 융기 부재, 홈 또는 다른 적합한 경계부일 수 있다.
이 실시양태의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100)의 미끼 시스템 그리고 특히 미끼 지지체(1158)는 또한 이전 스테이션(100)의 미끼 지지체(158)와 상이하다. 이러한 제2 실시양태에 적합한 미끼 지지체 형태, 그리고 특히 미끼 블록(1156) 또는 다른 미끼를 대체로 수직(예컨대, 적층) 형태로 유지하기 위한 그러한 지지체에 관해서 도 38 내지 도 55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이러한 실시양태의 미끼 지지체는 또한 이전의 실시양태에서와 같이 미끼 블록(1156) 또는 다른 미끼를 대체로 수평 정렬로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서, 특히 도 41을 참조하면, 하나의 적합한 미끼 지지체(1158)가 미끼 트레이(tray)(1322)의 수평 바닥(1326)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홈통(trough)(1330)을 형성하는 직립 벽(1324)을 갖는 미끼 트레이(1322)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수직 벽(1328)은 바닥(1326)에 결합되어 그것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한다. 액체 유인제, 미끼 또는 유독 물질이 홈통(1330) 안에 배치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팰릿화된(pelletized) 형태 또는 다른 고체 형태의 유인제, 미끼 또는 유독 물질이 홈통(1326) 안에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션(1100)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서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 하우징의 미끼 챔버 안에서의 사용시, 홈통(1326)은 설치류가 홈통으로부터 먹이를 먹을 수 있도록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개방되어 있다.
이제 도 38a를 참조하면, 기부(1104)의 직립 후방 벽(1116) 그리고 더 적합하게는 도시된 실시양태의 다중 구조에서 후방 벽의 외측 패널(1119)은 설치류 진입 개구부(1102)로부터 떨어져 있는 적어도 하나 그리고 더 적합하게는 2개 이상의 장착 포트(1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양태에서 외측 패널(1119)은 서로 이격된 관계에 있는 그 안에 배치된 두 쌍의 장착 포트(1130)를 갖는다. 한 쌍의 장착 포트(1130)는 서로 수직 정렬되어 있는 반면, 나머지 다른 쌍은 서로 수평 정렬되어 있다. 적어도 한 쌍의 장착 포트(1130)를 제공하는 것은 스트랩 또는 케이블 유형의 체결구가 기부(1104)를 포스트, 슬랫 또는 체인-연결 펜스와 같은 장착 표면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적합한 일 실시양태에서, 가동형 클로저(1131)가 각 개개의 장착 포트(1130)에서 후방 벽(1116)의 외측 패널(1119)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된다. 예컨대, 가동형 클로저(1131)는 장착 포트(1130)의 각각의 하나를 노출시키기 위해 외측 패널(1119)로부터 제거가능하다. 더 적합하게는, 가동형 클로저(1131)는 녹아웃 플레이트와 같은 부서지기 쉬운 클로저를 포함한다. 그러나, 장착 포트(1130)가 영구적으로 개방되어 있도록 클로저(1131)가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미끼 지지체(1158)는 미끼 지지체와 기부(1104)의 후방 벽(1116)을 해제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수직 벽(1328)의 배면에 배치된 장착 핀(1340)을 추가로 포함한다(여전히 도 41을 참조). 장착 핀(1340)은 적합하게는 결합 웨브(1342)에 의해 수직 벽(1328)에 결합된다. 더 적합하게는 장착 핀(1340) 및 결합 웨브(1342)는 미끼 지지체(1158)의 수직 벽(1328)과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장착 핀(1340)이 임의의 적합한 기술에 의해 수직 벽(1328)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것은 본 발명의 범주 안에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된 장착 핀(1340)은 적합하게는 기부(1104)의 후방 벽(1116) 내의 슬롯(1132)의 단면 형상에 일치하여 대체로 원통형이다. 더 적합하게는, 도시된 장착 핀(1340)은 명백해질 이유 때문에 그것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중앙 보어(1344)를 갖는 대체로 관형이다.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100)의 이러한 제2 실시양태에서, 미끼 지지체(1158)에 의해 지지될 때 하우징의 플로어 위의 미끼의 높이는 적합하게 조정가능하다. 예컨대, 도 52 내지 도 55에 도시된 일 실시양태에서, 라이저(riser)(1500)(광범위하게, 높이 조정 부재)가 스테이션(1100)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의 증가된 높이에 미끼 지지체(1158)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시된 라이저는 미끼 트레이(1322)를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100)의 후방 벽(1116)에 결합한다.
도 42 내지 도 51은 이러한 제2 실시양태의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100)에 적합한 미끼 지지체(1400)의 다른 실시양태를 도시한다. 미끼 지지체(1400)는 스테이션(1100)의 후방 벽(1116)과 해제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그리고 기부(1104)의 후방 벽(1116) 내의 슬롯(1132) 안에서 활주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미끼 지지체(1400)는 적합하게는 후방 벽(1116)에 대해 바깥쪽으로 내부 공간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 스테이션(1100) 하우징의 미끼 챔버 안으로 대체로 수평 방위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대체로 수평한 플랫폼(1410)을 포함한다. 수직 벽(1420)은 도 41의 미끼 지지체(1158)의 수직 벽(1328)과 동일한 방식으로 플랫폼(1410)으로부터 위로 연장한다. 수직 벽(1420)으로의 플랫폼(1410)의 천이부는 적합하게는 미끼 조각 또는 다른 부스러기가 미끼 지지체(1158) 상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리고 미끼 지지체(1400)를 청소하기 위해 둥글게 되거나 만곡되어 있다.
미끼 지지체(1400)의 플랫폼(1410)은, 그 안에 배치되고 미끼 지지체의 플랫폼(1410)으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미끼 핀(1450)(또는 본 명세서에서 나중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미끼 로드(rod)(1460))을 해제가능하게 보유하도록 크기설정된 개구부(1430)를 갖는다. 미끼 핀(1450)과 미끼 로드(1460) 둘 모두는 광범위하게 본 명세서에서 "미끼 장착 핀"으로 지칭된다. 도시된 미끼 핀(1450)은 미끼 블록(1156)을 미끼 지지 장치(1400)에 대해 대체로 고정된 배열로 배치 및 위치시키도록 구성된다. 미끼 핀(1450)은 그 안에 형성된 개구부를 갖는 미끼 블록이 미끼 핀 상에 배치되어 미끼 핀이 미끼 블록(1156) 안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적합하게 구성된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미끼 블록은 단단히 배치되며, 설치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100)으로부터 미끼 블록을 가져가 버릴 수 없다.
(도 43 및 도 44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미끼 핀(1450)은 미끼 핀의 하부 세그먼트(1454)에 또는 하부 세그먼트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미끼 핀을 플랫폼 개구부(1430)에 삽입할 때 스톱(stop)으로서 역할을 하는 확대부(1452)를 갖는다. 따라서, 미끼 핀(1450)의 확대부(1452)는 적합하게는 개구부(1430)의 직경보다 큰 적어도 하나의 단면 치수를 갖는다. 따라서, 미끼 핀(1450)의 하부 세그먼트(1454)는 개구부(1430) 안에 끼워질 수 있는 반면, 확대부(1452)는 확대부(1452) 위의 미끼 핀의 세그먼트가 개구부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적합한 일 실시양태에서, 미끼 핀(1450)의 하부 세그먼트(1454)는 적합하게는 개구부(1430) 안에서 하부 세그먼트와 플랫폼(1410)이 일반적인 마찰 또는 가압 끼워맞춤(press fit)하여 미끼 핀과 미끼 지지체(1400)의 해제가능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도록 크기설정 및 구성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미끼 핀(1450)은 접착제, 기계적 체결 또는 다른 적합한 기술에 의해 미끼 지지체(1400)와 해제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대안 실시양태에서 미끼 핀(1450)이 그 대신에 미끼 지지체(1400)에 영구적으로 결합될 수 있음이 또한 고려된다.
미끼 지지체(1400)는 미끼 지지체와 기부(1104)의 후방 벽(1116)의 해제가능한 결합을 위해 수직 벽(1420)의 배면에 배치된 장착 핀(1440)(도 42)을 추가로 포함한다. 장착 핀(1440)은 적합하게는 결합 웨브(1442)에 의해 수직 벽(1420)에 결합된다. 더 적합하게는, 장착 핀(1440) 및 결합 웨브(1442)는 미끼 지지체(1400)의 수직 벽(1420)과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장착 핀(1440)이 임의의 적합한 기술에 의해 수직 벽(14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것은 본 발명의 범주 안에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된 장착 핀(1440)은 적합하게는 장착 핀이 개방 상부 단부를 통과하여 아래로 슬롯(1132)의 각각의 하나 안으로 삽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기부(1104)의 후방 벽(1116)의 슬롯(1132)의 단면 형상에 일치하여 대체로 원통형이다. 더 적합한 실시양태에서, 장착 핀(1440)은 중앙 보어(1444)를 갖는 대체로 관형이다.
도 49 내지 도 51을 참조하면, 환형 돌출부(1470)가 개구부(1430)와 동축 정렬되어 플랫폼(1410)의 밑면에 매달려 있으며, 개구부의 내부 단면 치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내부 단면 치수를 갖는다. 환형 돌출부(1470)는 원형의 외측 단면을 갖지만, 다른 실시양태는 상이하게 형성된 외측 단면(예컨대, 정사각형,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원형 돌출부(1470)의 내부 단면 치수는 개구부(1430)의 내부 단면 치수보다 더 크거나 더 작은 것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환형 돌출부(1470)는 미끼 핀(1450)의 하부 세그먼트(1454) 및 미끼 로드(1460)의 하부 세그먼트(1466)를 적어도 일부 추가로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끼 지지체(1400)의 수직 벽(1420)은 그 후방 표면(1432) 상에 형성된 리브(1478)를 갖는다. 플랫폼(1410)은 각각의 밑면(1411) 상에 유사한 리브(도시되지 않음)를 갖는다. 리브(1478) 및 밑면(1411) 상의 리브는 미끼 지지 장치(1400)의 구조적 강성을 증가시킨다. 미끼 지지체(1400)는 또한 명백해질 목적을 위해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안에 형성된 상부 노치(1480) 및 하부 노치(1482)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노치(1480, 1482)는 각각의 후방 표면(1432) 및 밑면(1411) 안에 형성된 오목부에 의해 적어도 일부 형성된다. 노치(1480, 1482)는 또한 후방 표면(1432) 및/또는 밑면(1411)에 형성된 리브(1478)에 의해 적어도 일부 한정될 수 있다. 도 4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미끼 트레이(1322)는 유사한 노치(1480, 1482)를 포함한다.
도 52 내지 도 55를 참조하면, 미끼 지지체(1400)에 의해 지지될 때 하우징의 플로어 위의 미끼의 높이는 선택적으로 조정가능하다. 예컨대, 일 실시양태에서, 미끼 지지체(1400)를 스테이션(1100)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바닥 패널의 내측 표면 위의 증가된 높이에 지지하기 위해 라이저(1500)(광범위하게, 높이 조정 부재)가 사용된다. 도시된 라이저(1500)는 적합하게는 라이저가 생략된 경우보다 더 높이 장착 핀을 슬롯 안에(그리고 따라서 미끼 지지체를 스테이션(1100)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지지하기 위해 슬롯(1132)들 중 하나 안에 그리고 미끼 지지체(1400)의 장착 핀(1440)의 밑에 적어도 일부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도 52 내지 도 55의 라이저(1500)는 제1 직경을 갖는 하부 세그먼트(1502)와, (예컨대, 하부 세그먼트의)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갖는 상부 세그먼트(1504)를 포함하는 기다란 포스트를 포함한다. 특히, 상부 세그먼트(1504)의 제2 직경은 미끼 지지체(1400)의 장착 핀(1440)의 개구부(1444)(또는, 예컨대 미끼 트레이(1322)의 개구부(1344)) 안에 삽입되어 미끼 지지체를 라이저와 결합하도록 크기설정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라이저 포스트의 상부 세그먼트가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라이저(1500) 포스트의 하부 세그먼트(1502)는 하부 세그먼트로부터 상부 세그먼트(1504)를 분리하는 상부 환형 플랜지(1506)와, 상부 환형 플랜지(1506)로부터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대체로 라이저 포스트의 하부 단부에 또는 그에 인접해 있는 하부 환형 플랜지(1508)를 갖는다. 환형 플랜지(1506, 1508)는 단면이 기부(1104)의 후방 벽(1116) 내의 슬롯(1132)의 단면 치수와 일치하게 크기설정되어, 슬롯 안에서의 라이저의 병진 이동이 거의 없는 상태로 라이저(1500)를 슬롯 안에 확실하게 위치 및 유지시킨다. 특히 적합한 실시양태에서, 하부 환형 플랜지(1508)의 단면 치수(예컨대,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직경)는 (예컨대, 슬롯 치수가 슬롯의 하부 단부를 향해 감소하는 경우) 슬롯의 길이를 따른 특정 깊이에서 슬롯(1132)의 단면 치수에 대응하게 크기설정되어, 라이저를 슬롯 안에 사전결정된 높이로 설치한다.
상부 아암(1510)이 라이저(1500) 포스트로부터, 더 구체적으로는 포스트의 상부 세그먼트(1504)로부터 상부 환형 플랜지(1506)의 바로 위에서 횡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한다. 상부 아암은 라이저의 미끼 지지체를 추가로 지지하기 위해 미끼 지지체(1400)의 상부 노치(1480) 안에 위치되도록 폭의 크기가 설정된다. 하부 아암(1520)이 또한 예컨대 포스트의 하부 단부에서 라이저(1500) 포스트로부터 횡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며, 적합하게는 미끼 지지체(1400)의 하부 노치(1482) 안에 끼워지고/거나 결합되도록 크기설정되고 구성된다. 미끼 지지 장치(1400)와 라이저(1500)의 조립이 도 47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상부 아암(1510)과 하부 아암(1520) 중 어느 하나가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라이저(1500)가 도시된 것과 다르게 구성될 수 있고, 라이저 없이 미끼 지지체가 배치되는 것보다 더 높은 높이에서 라이저가 미끼 지지체(1400)를 스테이션(1100)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서 지지하는 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라이저(1500) 포스트의 하부 세그먼트(1502) 및/또는 상부 세그먼트(1504)의 길이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100) 안에서의 미끼 지지체(1400)(또는 미끼 트레이(1322)) 및 확대하면 그 상에 배치된 미끼 블록(1156)의 수직 위치(즉, 스테이션(1100) 하우징의 플로어 위의 높이)를 결정한다. 따라서, 라이저(1500)는 높이 조정 부재로서 기능하며, 스테이션(1100)의 플로어 위의 미끼 지지체(1400)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미끼 지지체(1400)(또는 미끼 트레이(1322))의 선택적인 높이 조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대안적인 길이 또는 상이한 형상의 상이한 라이저(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될 수 있다. 라이저(1500)는 플라스틱, 금속 또는 재료들의 조합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부터 구성될 수 있다.
슬롯(1132) 중 하나 안에 배치된 라이저(1500)를 사용함으로써, 라이저 구조물이 미끼 지지체와 플로어 사이에 개재되는 일 없이 미끼 지지체(1400)가 스테이션(1100) 하우징의 플로어 위에서 이격된 관계로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생포용 트랩이 미끼 지지체(1400) 아래에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어서, 생포용 트랩 및 미끼 둘 모두가 미끼 챔버 안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생포용 트랩이 미끼 챔버로부터 제거되고 덮개(1106)이 스테이션(1100)의 개방 형태로 있는 상태에서, 미끼 지지체를 스테이션으로부터 제거할 필요 없이, 스테이션의 플로어가 미끼 지지체(1400) 아래를 청소하거나 털어냄으로써 용이하게 깨끗해진다.
도 45는 도 42의 미끼 핀(1450) 대신에 미끼 로드(1460)를 이용하는 미끼 지지체(1400)를 도시한다. 미끼 핀(1450)과 유사하게, 미끼 로드(1460)는 미끼 블록(1156)을 미끼 지지체(1400)의 플랫폼 상에 대체로 고정된 배열로 위치시켜 배치하도록 구성된다. 미끼 로드(1460)는, 미끼 로드가 미끼 블록 안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과하도록, 개구부가 그 안에 형성된 미끼 블록(1156)이 미끼 로드 상에 위치될 수 있게 적합하게 구성된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미끼 블록(1156)은 단단히 위치되며, 설치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100)으로부터 미끼 블록을 가져가 버릴 수 없다. (도 45 및 도 46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미끼 로드(1460)는 미끼 로드의 플랫폼 개구부(1430) 내로의 삽입시 스톱으로서 역할하도록 미끼 로드의 하부 세그먼트(1466)에 또는 그 부근에 위치된 환형 칼라(collar)(1464)를 갖는다. 환형 칼라(1464)는 예를 들어 미끼 로드(1460)의 성형 또는 제조 중에 임의의 적합한 방법에 따라 형성된다. 예컨대, 미끼 로드(1460)가 사출 성형 방법으로 형성되는 경우, 환형 칼라(1464)는 동일한 작업으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환형 칼라(1464)는 별개의 구성 요소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압 끼워맞춤, 접착 또는 다른 적합한 결합에 의해 미끼 로드(1460)에 적합하게 체결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미끼 로드(1460)는 미끼 로드(1460) 상으로의 미끼 블록(1156)의 적재를 용이하게 하도록 테이퍼진 상부 단부(1462)를 갖는다.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상부 단부(1462)는 도시된 것과 다르게 테이퍼질 수 있으며, 또는 미끼 핀(1450)의 방식으로 테이퍼지지 않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7은 미끼 로드(1460)를 사용하여 미끼 지지 장치(1400) 상에 위치된 2개의 미끼 블록(1156)을 도시한다. 미끼 블록은 플랫폼(1410) 상에 적합하게 놓여지며, 미끼 로드(1460)로부터 지지체와 수직 정렬된 상태로 적층된다. 따라서, 플랫폼은 미끼 블록을 지지하며, 미끼가 연화될 수 있는 고온 환경에서 미끼가 녹아서 스테이션(1100) 하우징의 플로어 상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미끼 블록을 위한 실질적인 지지 표면을 제공한다.
도 72 내지 도 74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100)을 위한, 일반적으로 도면 부호 1600으로 지시된 적합한 미끼 지지체의 다른 실시양태를 도시한다. 미끼 지지체(1600)는 미끼 지지체(1156)를 수직으로 적층된 배열로 지지하는 데 사용되며, 미끼가 스테이션(1100) 하우징의 플로어 위에서 이격된 관계로 그 상에 지지되는 형상화된 와이어 시트(shaped-wire seat)(1640)를 갖는다. 이러한 실시양태의 미끼 지지체(160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와이어로부터 형성되며, 도 7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단면을 갖는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미끼 지지체(1600)의 단면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과 같이 원형과 다를 수 있다. 또한, 단면 형상은 미끼 지지체(1600)를 따라 상이한 세그먼트에서 상이할 수 있다.
도시된 미끼 지지체(1600)는 미끼 지지체를 후방 벽에 해제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기부(1104)의 후방 벽(1116)의 슬롯(1132) 안으로 활주하여 슬롯의 바닥까지 하강하는 장착 단부(1610)를 갖는다. 미끼 지지체(1600)는 장착 단부(1610)로부터 바깥쪽 및 상방으로(즉, 기부 패널(1104)의 후방 벽(1116)으로부터 멀리) 연장되어, 미끼 블록(1156)이 그 상에 지지되는 코일형 지지 부분(1640)(즉, 형상화된 와이어 시트)을 형성한다. 수직으로 배향된 포스트(1620)(광범위하게, "와이어 핀")는 코일형 지지 부분(1640)으로부터 위로 연장되어, 미끼 블록(1156)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코일형 지지 부분(1640)은 도 73에서와 같이 위에서 볼 때 대체로 원형이며, 그에 따라 미끼 블록을 지지하기 위한 증가된 표면적을 제공한다.
도 75 내지 도 78은 일반적으로 도면 부호 1700으로 지시된 적합한 미끼 지지체의 또 다른 실시양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미끼 지지체는 역시 미끼 블록(1156)을 수직으로 적층된 배열로 지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미끼 지지체(170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와이어로부터 형성될 수 있으며, 도 7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단면을 갖는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미끼 지지체(1700)의 단면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과 같이 원형과 다를 수 있다. 또한, 단면 형상은 미끼 지지체(1700)를 따라 상이한 세그먼트에서 상이할 수 있다.
미끼 지지체(1700)는 미끼 지지체를 후방 벽에 해제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기부(1104)의 후방 벽(1116)의 슬롯(1132) 안으로 활주하여 슬롯의 바닥까지 하강하는 장착 단부(1710)를 갖는다. 미끼 지지체(1700)는 장착 단부(1710)로부터 바깥쪽 및 상방으로(즉, 기부 패널(1104)의 후방 벽(1116)으로부터 멀리) 연장되어, 미끼 블록(1156)이 그 상에 지지되는 코일형 지지 부분(1740)(즉, 시트)을 형성한다. 수직으로 배향된 포스트(1720)는 코일형 지지 부분(1740)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미끼 블록(1156)을 그 상에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미끼 지지체(1700)는 미끼 블록(1156)을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100)의 바닥 패널(1114)의 내측 표면(1118) 위로 이격된 관계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미끼 지지체(1600)와 비교할 때, 미끼 지지체(1700)는 미끼 블록(1156)을 바닥 패널(1114)의 내측 표면(1118) 위로 더 큰 거리로 수직하게 위치시킨다. 이러한 증가된 거리는 생포용 트랩(1200)이 코일형 지지 부분(1740)과 바닥 패널(1114) 사이에 위치되게 한다. 따라서, 미끼 지지 장치(1700)는 단독으로 또는 생포용 트랩(1200)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양태에서, 생포용 트랩은 생쥐를 포획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한편 미끼는 생포용 트랩으로 진입하기에는 너무 큰 다른 설치류(예컨대, 쥐)를 다루는 데 사용된다. 코일형 지지 부분(1740)은 도 78에서와 같이 위에서 볼 때 대체로 원형이며, 그에 따라 미끼 블록(1156)을 지지하기 위한 증가된 표면적을 갖는다.
도 56 내지 도 69는 이러한 실시양태의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100)을 위한 하나의 적합한 생포용 트랩(1200)을 도시한다. 생포용 트랩(1200)은 제1 실시양태의 생포용 트랩(200)과 대체로 유사하며,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이러한 실시양태의 생포용 트랩이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생포용 트랩(1200)은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100)의 미끼 챔버 안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확대된 트랩 부분(1209)과, 트랩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좁아진 진입 부분(광범위하게, "입구" 또는 "입구 부분")(1208)을 갖는다. 도면에서는 볼 수 없지만, 진입 부분(1208)은 또한 설치류가 진입 부분을 떠나 생포용 트랩(1200)의 트랩 부분의 내부 안에서 더 중앙으로 트랩 부분으로 들어가도록 트랩 부분(1209)의 내부로 부분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생포용 트랩(1200)은 적합하게 진입 부분(1208)에 대체로 인접하거나 진입 부분을 포함하는 전방, 및 전방의 맞은편의 후방을 갖는다. 따라서, 생포용 트랩(1200)이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100)의 하우징 안에 배치된 상태에서, 생포용 트랩의 진입 부분(1208)은 적어도 미끼 챔버 입구의 통로까지, 그리고 일부 실시양태에서 미끼 챔버 입구의 통로를 지나 설치류가 그것을 따라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안에 안내되는 통로 안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 실시양태의 생포용 트랩(1200)은 생포용 트랩의 진입 부분(1208)의 단부에 배치된 진입 개구부(1202)를 갖는다. 또한, 도 56 및 도 5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생포용 트랩(1200)의 측벽은 바깥쪽으로 구부러지고, 진입 부분(1208)이 생포용 트랩(1200)의 잔여부로(즉, 트랩 부분(1209)으로) 천이하거나 그와 만나는 곳에서 실질적으로 둥글다. 이러한 실시양태의 도시된 생포용 트랩(1200)은 또한 생포용 트랩의 상부 표면(1209) 내의 상부 벤트 구멍(1210)(도 63) 및 생포용 트랩(1200)의 후방(1211)을 따른 측면 벤트 구멍(1212)(도 66 및 도 67)의 형태로 벤트 개구부를 포함한다. 상부 벤트 구멍(1210) 및 측면 벤트 구멍(1212)은 더 적합하게는 생포용 트랩(1200)의 트랩 부분(1209)에 배치되며, 이를 통한 설치류의 통과를 방지하도록 크기설정되고, 그러한 것으로서 생포용 트랩(1200)의 진입 개구부(1202)보다 실질적으로 작지만 생포용 트랩의 내부(즉, 트랩 부분)와의 사이에서의 공기, 빛 및 미립자의 통과와 그들 사이의 유체 연통은 여전히 허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벤트 구멍을 제공함으로써, (포획 후에) 설치류를 트랩 부분(1209) 내로 이동하도록 그리고 더 적합하게는 진입 부분(1208)이 개방되어 있는 곳으로부터 멀리 트랩 부분 내로 유인한다. 그러나, 벤트 개구부(1210, 1212)가 도시된 것과 다르게 생포용 트랩(1200) 상에 위치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음은 물론이다.
다양한 적합한 내부 트랩 기구가 생포용 트랩의 트랩 부분(1209) 안에 설치류를 포획하기 위해 생포용 트랩(1200) 안에, 특히 생포용 트랩의 진입 부분(1208) 안에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일 실시양태에서, 내부 트랩 기구는 도 56, 도 58 및 도 5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기구(1214)를 포함할 수 있다. 램프 기구(1214)는, 생포용 트랩(1200)의 터널 부분(1208) 안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트랩의 진입 개구부(1202)에 가장 가까운 진입 단부 및 트랩의 포위부 부분에 가장 가까운 출구 단부를 갖는 램프(1216)를 포함한다. 램프(1216)는 피벗 운동을 위해 생포용 트랩(1200)의 플로어 상에 장착된다. 트랩 도어(1218)는 적합한 피벗 핀(1219)에 의해 램프의 진입 단부에 대체로 인접하여 램프에 피벗식으로 결합된다. 램프의 진입 단부가 생포용 트랩(1200)의 플로어에 가까이 아래에 있는 상태에서 도 5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가 상방으로 비스듬해지는 위치로 램프(1216)를 편향시키기 위해 스프링, 중량체 또는 다른 장치가 사용된다. 이 위치에서, 트랩 도어(1218)는 트랩으로 들어간 설치류가 트랩 도어를 넘어 램프로 나아가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램프(1216)에 맞대어져 대체로 평평하게 눕는다.
설치류가 트랩 도어(1218)를 지나서 나아갈 때, 설치류의 중량은 램프(1216)가 하방으로 피벗(즉, 출구 단부가 하방으로 피벗)하게 한다. 이러한 램프(1216)의 피벗은 램프의 진입 단부가 상승하게 하며, 이것은 트랩 도어가 트랩(1200)의 터널 부분(1208) 내의 직립 위치(도시되지 않음)로 핀(1219)을 중심으로 피벗하게 하여, 설치류가 방향을 바꾸어 트랩을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설치류는 계속해서 램프(1216)를 지나 생포용 트랩(1200)의 포위부 부분 안으로 가야 한다. 일단 설치류가 램프(1216)를 떠나면, 램프는 트랩 도어(1218)가 다시 램프에 맞대어져 대체로 평평하게 눕는 초기 위치(도 59)로 복귀한다. 특히 적합한 실시양태에서, 일단 설치류가 포위부 부분으로 들어오거나, 또는 적어도 터널 부분(1208)의 입구로부터 멀리 포위부 부분 안으로와 같이 포위부 부분 안의 특정 구역으로 이동하면 설치류의 추가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제 판의 형태와 같은 접착제가 생포용 트랩(1200)의 포위부 부분의 플로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램프(1216)가 이용되지 않는다. 이들 실시양태에서, 트랩 도어(광범위하게, "게이트")(1218)는 일반적으로, 게이트가 생포용 트랩(1200)의 진입 개구부(1202)를 트랩의 잔여부로부터 대체로 폐쇄하는 업 위치(up position)와 설치류가 진입 개구부로부터 트랩의 터널 부분(1208)을 통과할 수 있는 다운 위치(down position) 사이에서 피벗가능하다. 도 59 및 도 65는 생포용 트랩(1200)의 상부 표면(1209)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매달린 돌출부(광범위하게, "차단 부재")(1217)를 도시한다. 매달린 돌출부(1217)는 생포용 트랩(1200)의 포위부 부분에 도달한 설치류가 생포용 트랩으로부터 탈출하기 위해 트랩 기구를 억지로 열려고 하거나 조작하는 것을 방지한다. 트랩 도어(1218)를 이용하는 실시양태에서, 매달린 돌출부는 대체로 그의 업 위치에 있는 트랩 도어 위에 배치되며, 진입 개구부(1202)와 업 위치에 있는 트랩 도어(1218) 중간의 위치로부터 이 위치의 트랩 도어를 지난 위치까지 터널 부분(1208)을 따라 종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램프(1216)를 이용하는 실시양태에서, 매달린 돌출부(1217)는, 설치류가 램프에서 내려가서 램프를 그의 본래의 휴지 위치로 복귀하도록 해제시킬 때, 게이트가 폐쇄되지 않을 피벗 지점(1219)을 지난 위치로 설치류가 램프(1216)를 피벗시켜 게이트(1218)를 개방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매달린 돌출부(1217)는 본 명세서에 논의된 임의의 트랩 기구와 함께 적합하게 사용되며, 설치류가 생포용 트랩 기구를 통과한 후에 생포용 트랩 기구를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사한 방식으로 기능한다.
도 60, 도 61 및 도 62를 참조하면, 다른 생포용 트랩 기구가 본 명세서에서 펀넬(1232)을 포함하는 펀넬 트랩 기구(1230)로 지칭된다. 펀넬(1232)은, 생포용 트랩(1200)의 터널 부분(1208) 안에 위치하며 트랩의 진입 개구부(1202)에 가장 가까운 제1 또는 진입 단부(1231)와 트랩의 포위부 부분에 가장 가까운 출구 단부(1233)를 갖는다. 펀넬(1232)은 더 적합하게 펀넬의 진입 단부(1231)로부터 종방향 하류로 연장되는 단단한 세그먼트(1236)와, 단단한 세그먼트에 부착된 복수의 핑거(1234)를 포함하며 펀넬의 단단한 세그먼트로부터 펀넬의 출구 단부(1233)까지 종방향 하류로 연장되는 유연한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도시된 펀넬(1232)의 단단한 세그먼트(1236)는 그 길이를 따라 단면적이 일정한 대체로 원통형이거나 직사각형 형상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단단한 세그먼트(1236)가 원통형 또는 직사각형과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고, 단면이 비균일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핑거(1234)는 서로를 향해 (펀넬(1232)의 중심선에 대해) 안쪽으로 비스듬하도록 구성되어, 펀넬의 출구 단부(1233)는 펀넬의 진입 단부(1231)보다 실질적으로 더 좁다. 핑거(1234)는 적합하게 유연하고 탄력성이 있어, 설치류가 펀넬의 유연한 세그먼트를 통과하여 펀넬의 출구 단부(1233)로 지나갈 때 편향에 대항하여 핑거가 바깥쪽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설치류가 펀넬의 출구 단부(1233)를 통과하여 이동할 때, 핑거(1234)의 편향은 핑거의 끝이 설치류의 몸과 접촉한 채로 있게 한다. 설치류가 진로를 반대로 하려고 시도하는 경우, 핑거(1234)의 끝은 설치류를 찌르거나 다른 방식으로 설치류에 압력을 가하고, 이에 의해 설치류가 트랩의 포위부 부분까지 전방으로 계속 이동하는 것을 촉진한다. 일단 설치류가 펀넬(1232)을 떠나면, 핑거(1234)는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펀넬의 출구 단부(1233)가 설치류의 머리를 끼우기에는 너무 좁게 만들고, 따라서 설치류는 펀넬을 통해 되돌아 이동할 수 없다. 또한, 펀넬 트랩 기구(1230)는 설치류가 펀넬 트랩 기구(1230) 위로 통과함으로써 생포용 트랩(1200)을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매달린 돌출부(1217)를 이용한다.
도 63, 도 64 및 도 65는 스윙 도어 기구(1220)로 지칭되는 대안적인 트랩 기구를 도시한다. 스윙 도어 기구(1220)는, 트랩의 터널 부분(1208) 안에서, 적합하게는 트랩의 진입 개구부(1202) 부근에서 생포용 트랩(1200)의 기부 연장부(1221)에 피벗 핀(1224)에 의해 피벗가능하게 부착된 스윙 도어(1222)를 포함한다. 기부 연장부(1221)는 생포용 트랩(1200)의 바닥 표면(1223)에 결합된다.
스윙 도어(1222)는 적합하게는 트랩(1200)의 터널 부분(1208)의 내부 높이보다 긴 길이로 크기설정되어, 그의 초기 위치에서 도어의 약간 비스듬한 배향에서 트랩의 플로어와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어(1222)는 단지 일 방향으로, 즉 트랩(1200)의 포위부 부분을 향해 안쪽으로 스윙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스윙 도어(1222)는 또한 포위부 부분을 향해 안쪽으로 향한 그의 평평한 표면 및 그의 자유 에지를 따라 위치된 치형부(1226)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스윙 도어(1222)는 그 안에 배치된 슬롯 또는 개구부(1223)(도 64)를 가져서, 빛이 스윙 도어를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스윙 도어 기구(1220)를 갖는 생포용 트랩(1200)으로 설치류가 진입할 때, 설치류는 스윙 도어(1222)와 접촉하여 스윙 도어가 피벗 핀(1224)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하게 한다. 스윙 도어(1222)의 아래를 통과하는 동안 설치류가 트랩(1200)으로부터 후퇴하려고 시도하는 경우, 스윙 도어의 안쪽을 향한 평평한 표면 및 자유 단부에 있는 치형부(1226)가 설치류를 물어서 그러한 후방으로의 이동을 단념하게 한다. 설치류가 스윙 도어(1222)를 지나간 후, 도어는 다시 그의 초기 상태로 피벗하여, 설치류에 의한 어떠한 후퇴도 차단한다. 치형부(1226)가 포위부 부분을 향해 안쪽으로 향한 평평한 표면 및 스윙 도어(1222)의 자유 에지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 65에 도시되었지만, 치형부는 스윙 도어의 임의의 부분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윙 도어 기구(1220)는 설치류가 스윙 도어 기구(1220) 위로 통과함으로써 생포용 트랩(1200)을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매달린 돌출부(1217)를 이용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추가의 스윙 도어(도시되지 않음)가 스윙 도어(1222)의 전방에(즉, 생포용 트랩(1200) 안에서의 설치류의 이동의 방향으로 스윙 도어(1222) 앞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양태에서, 추가의 스윙 도어는 치형부를 갖지 않으며, 스윙 도어 트랩(1220) 안에서 양 방향으로의 도어의 스윙을 가능하게 하도록 크기설정된다. 따라서, 설치류는 스윙 도어(1222)와 접촉하기 전에 이러한 추가의 도어를 통해 빠져나갈 수 있다. 설치류는 트랩으로부터 후퇴할 수 있는 이러한 추가의 도어에 의해 용기를 얻고 따라서 계속 나아가 스윙 도어(1222)인 다음의 도어를 통과한다. 추가의 스윙 도어 및 스윙 도어(1222)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한다. 스윙 도어(1222)와 마찬가지로, 추가의 스윙 도어는 그 안의 임의의 부분에 위치된 슬롯을 가질 수 있다. 기부 연장부(1221)는 바닥 표면(1223)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그 안에 형성된 오목부(1225)를 갖는다. 기부 연장부(1221)는 바닥 표면(1223)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은 별도로 형성되어 적합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오목부(1225)는 적합하게는 그 안에 배치된 트랩 기구의 부분을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된다. 예컨대, 오목부(1225)는 도 6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윙 도어 기구(1220)의 피벗 핀(1224)을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되고 위치된다. 오목부(1225)는 또한 도 5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램프 기구(1214)의 피벗 핀(1219) 및 도 6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펀넬 트랩 기구(1230)의 펀넬(1232) 또는 단단한 세그먼트(1236)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되고 위치된다.
도 69, 도 70 및 도 71은 생포용 트랩(1200)의 바닥 표면(1223)의 사시도, 평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다. 생포용 트랩(1200)의 바닥 표면(1223)은 작동될 때 스테이션(1100)의 바닥 패널(1118)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바닥 표면(1223)은 생포용 트랩의 정비(예컨대, 트랩으로부터의 설치류 및 부스러기의 제거와 트랩 기구의 변경)를 가능하게 하도록 생포용 트랩의 잔여부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양태에 따르면, 트랩 기구의 정비 및/또는 교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접근 개구부(1235)를 노출시키도록, 리빙 힌지(1227)가 생포용 트랩(1200)의 잔여부로부터 멀리 터널 부분(1208)에 대체로 인접하게 배치된 바닥 표면(1223)의 부분(1229)(광범위하게, "접근 패널")의 변형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접근 패널(1229)은 접근 개구부(1235)가 폐쇄된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개방 위치에서, 접착제 판과 같은 트랩 기구는 접근 개구부(1235)를 통해 삽입가능하고 제거가능하며 정비가능하다. 추가의 트랩 부분 개구부(도시되지 않음)가 접근 개구부와 별개로 제공되어 트랩 기구 부근의 생포용 트랩(1200)의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클로저 패널(도시되지 않음)이 트랩 부분 개구부를 덮도록 적합하게 제공되며, 트랩 부분 개구부가 폐쇄된 폐쇄 위치와 생포용 트랩(1200)의 트랩 부분의 내부가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개방 위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79 내지 도 107은 도 1 내지 도 37과 관련하여 전술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 및 도 38 내지 도 78과 관련하여 기술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100)과 기하학적 형상 및 전반적인 구성이 유사한 (일반적으로 도면 부호 300으로 지시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제3 실시양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제2 실시양태에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300)은 제1 및 제2 실시양태의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 1100)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다(예컨대, 축소됨). 예컨대, 도 79 내지 도 85에 도시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300)은 전술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 1100)의 대략 3/8의 크기이다.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 1100)과 유사하게,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300)은 적어도 하나, 더 적합하게는 2개의 대향하는 진입 개구부(302)가 내부에 형성된 다면(multi-sided) 구조이다.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300)은 모듈형 디자인의 것이어서, 본 명세서에서 이하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이한 미끼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300)은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과 많은 동일한 특징, 예컨대 제한 없이 1/4 돔 형상을 한정하는 스테이션(300)의 전체 기하학적 형상 및 스테이션(300)이 폐쇄 형태에 있을 때 기부(304)를 덮개(306)에 고정하는 록킹 기구를 가진다.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300)은 일반적으로 기부(304), 및 개방 형태와 폐쇄 형태 사이의 형태를 위해 기부에 해제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덮개(306)을 포함한다. 폐쇄 형태에서, 덮개(306) 및 기부(304)는 함께 개구부(302)를 제외한 실질적으로 폐쇄된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을 대체적으로 한정한다. 이들 진입 개구부(302)는 적합하게는 스테이션(300)의 대향 측면들에, 더 구체적으로는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덮개(306)의 대향 측면들에 배치된다. 스테이션(300)의 개방 형태(도 91, 도 92)에서, 덮개(306)은 일반적으로 스테이션의 정비, 예컨대 제한 없이 미끼 공급물을 보충하고,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300)을 검사하며,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300)으로부터 부스러기를 깨끗이 비우는 것을 위해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300)의 내부 공간에의 접근을 제공하도록 기부(304)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기부(304) 및 덮개(306)은 임의의 다수의 재료, 가장 적합하게 플라스틱 또는 다른 적합한 내후성 재료로부터 적합하게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기부(304) 및 덮개(306)은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부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사출 성형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기부 및 덮개가 금속 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기부 및 덮개가 서로 다른 재료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적합한 일 실시양태에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300)은 스테이션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검사를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검사 부재를 갖는다. 예컨대,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스테이션(300)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분이 반투명하거나 더 적합하게는 투명하다. 더 구체적으로는, 후방 벽(330) 및 바닥 패널(322)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분이 반투명하거나 투명하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도시된 실시양태의 후방 벽(330) 및 바닥 패널(322)은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반투명하고 더 적합하게는 투명하도록 구성되어, 전체 기부(304)가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300)의 검사 부재를 추가로 형성하게 된다. 그러한 실시양태에서, 덮개(306)은 적합하게는 불투명하여, 후방 벽이 (예컨대, 빌딩 등의) 구조물 벽에 맞대어져 있고 바닥 패널이 지지 표면에 아래로 맞대어져 있는 상태에서 스테이션(300)이 코너와 같은 사전결정된 위치에 놓여 있을 때, 사람이 지나갈 때 스테이션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볼 수 없게 된다. 오히려, 스테이션(300)은 검사하기 위해서는 사용중 위치로부터 의도적으로 멀리 이동되어야 한다.
후방 벽(330)과 바닥 패널(322) 중 단지 하나가 반투명 또는 투명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전체 후방 벽(330) 및/또는 바닥 패널(322)보다 작은 부분이 반투명하거나 투명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하나 이상의 반투명 또는 투명 윈도우가 다르게 불투명한 후방 벽(330) 및/또는 바닥 패널(32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관찰 개구부 또는 슬롯이 스테이션(300)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보기 위해 후방 벽(330) 및/또는 바닥 패널(322)에 제공될 수 있다. 검사 부재가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300)의 이러한 제3의 보다 작은 실시양태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기술되지만, 하나 이상의 검사 부재가 이전 실시양태의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 1100) 중 어느 하나, 더 구체적으로는 그 각각의 후방 벽(116, 1116) 및/또는 바닥 패널(114, 1114) 상에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거가능한 커버 또는 커버들이 스테이션(300)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의도하지 않은 관찰을 추가로 방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검사 부재를 덮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거가능한 커버는 제거가능한 필름, 스티커, 패널 또는 다른 적합한 구조물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덮개(306)은 적합하게는 기부(304)로부터 완전하게 분리가능하다(예컨대, 제1 실시양태의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에서와 같이 기부에 힌지 결합되지 않음). 그러나, 덮개(306)이 전술된 제1 실시양태에서와 같이 (예컨대, 리빙 힌지 또는 적합한 기계식 힌지에 의해서와 같이) 힌지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스테이션(300)의 폐쇄 형태에서, 덮개(306) 및 기부(304)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300)의 인가받지 않은 또는 의도하지 않은 개방을 방지하도록 (전술된 록킹 기구(142)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적합한 록킹 기구(342)에 의해 조립체 내에 해제가능하게 유지된다. 또한, 하나 초과의 록킹 기구가 다른 실시양태에 따라 덮개(306) 및 기부(304)를 함께 해제가능하게 유지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기부(304)의 후방 벽(330)(광범위하게, 직립 벽)은 또한,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적합한 상부 패널 및 단부 패널에 의해 연결된 내측 패널 및 외측 패널을 갖는 이중 벽 구조를 갖는다. 덮개(306)은 덮개가 후방 벽(330)의 상부 패널을 덮는 에지 가장자리를 따라 상대적으로 평평하여, 덮개는 후방 벽의 상부 패널과 맞대어져 평평하게 놓인다. 그러한 배열은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300)을 부주의하게 밟거나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상에 무거운 물체를 떨어뜨리는 사람에 의해서와 같은 하향력에 의한 덮개(306)의 부서짐에 대한 증가된 저항을 제공한다. 이전 실시양태에서와 같이, 후방 벽(330)의 외측 패널은 상부 패널 위로 그리고 단부 패널의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덮개가 폐쇄된 때 덮개가 들어올려져 개방될 수 없도록 덮개의 에지가 외측 패널과 맞닿거나 근접하게 이격된 관계에 있다. 또한, 이전 실시양태에서 덮개(106)의 바닥 에지가 바닥 패널의 둘레에서 바닥 패널(114)의 내측 표면(118)과 맞닿거나 근접하게 이격된 관계로 아래로 연장되지만,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덮개는 바닥 패널(322)의 둘레 스커트(318) 주위에서와 같이 (후방 벽(116)을 제외하고는) 바닥 패널의 외측 주위에서 아래로 연장되고, 더 적합하게는 덮개가 들어올려져 개방되는 것을 추가로 방지하기 위해 스테이션(300)의 바닥과 대체로 동일 평면으로 종료한다.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그러한 배열은 또한 이전 실시양태의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 1100) 상에 제공될 수 있고, 또는 이전 실시양태의 덮개 배열이 이러한 실시양태의 스테이션(300)을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1 및 도 98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레인 거터(rain gutter)(예컨대, 홈)(335)가 후방 벽(330) 내에 형성되어 록킹 기구(342)의 각각의 측면으로부터 패널을 따라 그리고 단부 패널을 따라 아래로 후방 벽이 바닥 패널(322)과 만나는 곳까지 연장한다. 이러한 거터(335) 배열은 록킹 기구(342)를 통해 또는 덮개(306)과 후방 벽(330) 사이에서 스테이션(300)으로 들어오는 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도 9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양태의 스테이션(300)의 덮개(306)은 덮개의 각각의 에지로부터 안쪽으로 대체로 덮개의 측면을 따라 그리고 덮개의 상부의 일부분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플랜지 부재(337)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들 플랜지 부재(337)는 후방 벽(330) 상에서 아래로 그리고 기부(304)의 잔여부 위로의 덮개(306) 상의 정렬 및 덮개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도록 덮개가 기부(304) 상으로 하강함에 따라 홈(335) 내에 (예컨대, 텅-인-그루브(tongue-in-groove) 배열의 방식으로) 활주 수용되도록 크기설정된다.
스테이션(300)의 덮개(306)은 (스테이션(100)의 덮개(106)과 유사한 방식으로) 광범위하게 스테이션(300)의 대향 측면들을 형성하는 측방향 대향 벽(310)들, 광범위하게 스테이션(300)의 전방을 형성하는 전방 벽, 및 광범위하게 스테이션(300)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벽을 포함한다. 도 82 및 도 8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306)은 스테이션(300)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설치류 관리를 위해 요구되는 레이아웃으로 구획하기 위해 덮개에 매달려 있는 내부 패널(312)(광범위하게, 격벽 구조물)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내부 패널(312)들은 다른 덮개 구성 요소와 함께 성형될 수 있거나, 다른 덮개 구성 요소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되고 접착제, 용접, 체결 또는 다른 적합한 부착 기술에 의해 그것에 결합될 수 있다.
도 81 및 도 9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부(304)의 바닥 패널(322)의 외측 표면(314)은 그에 매달려 있는 복수의 돌출부(316)를 갖는다. 이들 돌출부(316)는 도 7의 실시양태에 도시되고 상기 논의된 복수의 리브(126)와 유사한 방식으로 기능한다. 돌출부(316)는 각각 대체로 스커트(318)의 하부 에지와 동일한 수평 평면(예컨대, 스테이션(300)의 바닥)에 놓이는 돌출부(316)의 말단 단부가 되는 길이를 갖는다. 접착제가 (스테이션이 장착되는) 장착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거나, 돌출부(316)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장착 표면 상으로 아래로의 스테이션(300)의 장착시, 접착제는 기부와 장착 표면 사이의 접합을 향상시키기 위해 돌출부(316) 내로 보다 용이하게 퍼진다. 즉, 돌출부(316)는 접착제와의 접촉을 위한 증가된 표면적을 제공하여, 접착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300) 및 장착 표면 간의 접합을 강화한다.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돌출부(316)는 기부(304)의 바닥 표면(314) 상의 중앙 위치에서 함께 그룹지어진다. 그러나, 다른 실시양태에서, 돌출부(316)의 다양한 형상이 이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실시양태에 존재하는 리브 및 홈 패턴이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이러한 제2 실시양태의 스테이션(30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도 92 내지 도 94 및 도 98을 참조하면, 덮개(306)에 매달려 있는 내부 패널(312)은, 덮개가 폐쇄된 때 스테이션(300)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대체로 중앙의 미끼 챔버(338)와, 진입 개구부(302) 중 대향하는 개구부로부터 덮개를 따라 역시 내부 패널에 의해 형성되는 입구의 통로로 미끼 스테이션까지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통로(303)로 구획하기 위해, 기부(304)의 바닥 패널(322)의 내측 표면(320)과 맞닿거나 근접하게 이격된 관계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통로(303)들은 함께 미끼 챔버(338) 둘레로 하나의 진입 개구부(302)로부터 반대쪽 진입 개구부까지 연장되는 단일 통로(309)를 형성한다. 통로(309)는 개구부(302)에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300)으로 들어간 설치류가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을 통해 직선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대신에 설치류가 통로(309)를 따라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전방 및 미끼 챔버(338)로의 입구의 통로를 향해 안내한다. 따라서, 내부 패널(312)은 미끼 챔버(338)(및 그에 따라 그 안에 배치된 미끼)로의 접근을 제한하는데, 즉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300) 안에서 개구부(302)로부터 미끼 챔버로의 접근로를 생략함으로써 미끼 챔버로의 접근을 제한한다는 것을 알 것이다. 따라서, 비목표 동물(예컨대, 개 또는 고양이) 및 인가받지 않은 사람(예컨대, 어린이)은 덮개(306)이 폐쇄되었을 때 미끼 챔버 안의 미끼로 도달할 수 없다.
적합한 일 실시양태에서 내부 패널(312)은 그 안에 형성된, 그리고 더 적합하게는 진입 개구부(302) 각각과 방향 정렬되어 배치된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341)을 갖는다. 예컨대,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341)은 진입 개구부(302)와 방향 정렬되어 복수의 슬랫 또는 배플(340)을 한정하기 위해 내부 패널(312)에 형성된 기다랗고 수직 연장되는 복수의 슬롯을 포함한다. 슬롯은 적합하게 설치류가 슬롯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여전히 진입 개구부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게 크기설정되는 것과 동시에, 빛이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300)으로 들어가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히 크게 크기설정된다.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300)이 2개의 측방향 대향 진입 개구부(302)를 갖는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슬롯은 또한 빛이 전체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300)을 통과하게 하여, 설치류는 진입 개구부를 통해 스테이션을 관통하여 일직선으로 볼 수 있다.
이 슬롯들은 또한 통로들과 중앙 미끼 챔버(338) 사이에 개방 연통을 제공하여, 설치류는 스테이션(300)의 외부로부터 그리고 설치류가 통로를 따라 길을 정할 때 스테이션 안으로의 진입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을 통과하는 공기 유동으로 인해) 미끼 챔버 안의 미끼의 냄새를 더 잘 맡을 수 있다. 전체 통로를 따라 제공되는 것을 비롯하여, 진입 개구부(302)로부터 미끼 챔버(338)의 입구의 통로까지 통로의 더 긴 세그먼트를 따라 추가의 관통 개구부(341)가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관통 개구부가 내부 패널(312)의 바닥 에지까지 연장되거나 연장되지 않을 수 있는 천공, 구멍 또는 다른 적합한 개구부와 같이 슬롯의 형태와는 다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내부 패널(312)은 또한, 그곳에서 내부 패널(312)이 덮개(306)과 인접하여 덮개에 그리고 내부 패널에 추가의 강도 및 강성을 제공하는 복수의 거싯 또는 웨브(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기부(304)를 덮개(306)에 해제가능하게 고정하는 록킹 기구(342)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 1100)들 각각과 관련하여 전술된 록킹 기구(142, 1142)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따라서, 록킹 기구(342)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300)의 인가받지 않은 또는 의도하지 않은 개방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록킹 기구(342)는 전술된 키(152)와 유사하고 더 적합하게는 동일한 키에 의해 록킹 해제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설치류 관리 시스템은 하나의 키(152)가 스테이션들 둘 모두에 사용되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100) 및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300)과 같이 상이한 크기의 2개의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션(100, 300)들 간의 전체 치수의 차이에 더하여,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300)은, 미끼가 스테이션(300) 안에 상이하게 위치된다는 점에서, 전술된 실시양태와 하나의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 예컨대, 이러한 제3 실시양태에서, 미끼는 대신에 미끼 챔버(338) 위에서 덮개(306)에 매달려 있는 미끼 지지 구조체에 의해 지지된다.
하나 이상의 미끼 지지체(358)가 미끼 챔버(338) 안에 미끼를 위치시키고 유지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도 85 내지 도 89는 2가지 상이한 유형의 예시적인 미끼 지지체(358)를 도시한다. 미끼 지지체(358)는 동일한 전반적인 방식으로 기능하며, 그들의 단부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서 덮개(306)에 결합된다. 미끼 지지체는 이어서 각각의 미끼 블록 안의 구멍(또는 단일 미끼 블록 안의 구멍) - 본 발명의 범위 안에 있도록 구멍이 중앙에 위치될 필요는 없지만, 이러한 구멍은 미끼 블록 안에 중앙에 위치됨 - 을 통과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미끼가 블록 또는 입방체의 형상과 다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미끼 지지체(358)는 미끼 블록(356)의 열의 대향 단부들을 넘어서 바깥쪽으로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크기설정된다.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300)의 정비를 위해 기부(304)로부터의 덮개(306)의 분리 시에, 미끼 블록(356)은 미끼 지지체(358) 상에 유지되고, 미끼 지지체는 이어서 덮개(306)에 결합된다. 따라서, 기부(304)에는 돌출부 또는 다른 방해물이 없으며, 부스러기를 깨끗이 청소하기가 용이하다.
도 85 및 도 86의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미끼 지지체(358)는 제1 미끼 핀(360)의 형태이다. 제1 미끼 핀(360)은 그의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대체로 둥근 샤프트(362)를 갖는다. 샤프트(362)의 일 단부에서, 그 직경은 감소되어, 테이퍼진 단부(364)가 된다. 테이퍼진 단부(364)의 감소된 직경은 미끼 핀(360) 상의 미끼 블록(356)의 보다 용이한 장착을 제공한다. 샤프트(362)의 대향 단부에서, 본체의 직경이 증가되어, 확장된 또는 확대된 단부(366)가 된다. 확대된 단부(366)는 덮개(306)의 (도 94 및 도 96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내부 표면(368) 내에 형성된(또는 적합하게는 그에 부착된) 오목부(370) 내에 수용가능하다. 확대된 단부(366) 및 오목부(370)의 외경은 바람직하게는 그들 사이의 스냅 또는 마찰 끼워맞춤을 제공하도록 서로에 대해 크기설정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적합한 고정 기구가 덮개(306) 또는 오목부(370) 중 어느 하나에 제1 미끼 핀(360)을 결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제2 미끼 지지체(358)(즉, 제2 미끼 핀(380))가 도 87 내지 도 8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된다. 제2 미끼 핀(380)은 그의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대체로 둥근 샤프트(382)를 갖는다. 샤프트(382)의 일 단부에서, 샤프트의 직경은 감소되어, 테이퍼진 단부(384)가 된다. 테이퍼진 단부(384)의 감소된 직경은 제2 미끼 핀(380) 상의 미끼 블록(356)의 보다 용이한 장착을 제공한다. 타원 형상의 부재(386)가 샤프트(382)의 대향 단부에 배치된다. 타원 형상의 부재(386)는 그 안에 배치된 중앙 개구부(388)를 갖는다. 포스트(도시되지 않음) 또는 다른 적합한 구조물이 덮개(306)의 내부 표면(368) 내에 형성된다(또는 적합하게는 그에 부착됨). 중앙 개구부(388) 및 포스트는 바람직하게는 그들 사이의 스냅 또는 마찰 끼워맞춤을 가능하게 하도록 서로에 대해 크기설정된다. 타원 형상의 부재(386)는 또한 덮개(306)의 내부 표면(368) 내에 형성된(또는 적합하게는 그에 부착된) (도 98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대응 채널(394) 내에 끼워지도록 크기설정된 연장부(392)를 포함한다. 연장부(392) 및 채널(394)은 바람직하게는 그들 사이의 스냅 또는 마찰 끼워맞춤을 가능하게 하도록 서로에 대해 크기설정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적합한 고정 기구가 덮개(306) 또는 포스트 중 어느 하나에 제2 미끼 핀(380)을 결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99 내지 도 107은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제4 실시양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양태는 상이한 유형의 미끼 지지체(358)가 이용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과 상이하다. 특히, 미끼 지지 와이어(396) 형태의 미끼 지지체가 미끼 블록(356)을 지지하는 데 이용된다. 미끼 지지 와이어(396)는 그의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단면이) 대체로 둥근 샤프트를 갖는다. 샤프트의 일 단부는 덮개(306)의 내부 표면(368) 내에 형성된 시트 내에 형성된(또는 적합하게는 그에 부착된) 오목부(370) 내에 수용가능하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적합한 고정 기구가 덮개(306) 또는 오목부(370) 중 어느 하나에 미끼 지지 와이어(396)를 결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미끼 지지 와이어(396)는 그 안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굽힘부를 가지며, 오목부 내에 수용되는 단부로부터 미끼 챔버(338) 내로 하강한다. 도 104 내지 도 107은 미끼 지지 와이어(396)의 다양한 도면을 도시한다. 미끼 지지 와이어(396)의 형상은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되며, 다양한 다른 형상이 본 발명의 실시양태의 범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 또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들)의 요소를 도입할 때, 단수 표현은 하나 이상의 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포함하는", "구비하는" 및 "갖는"이라는 용어는 포괄적인 것으로 의도되며, 나열된 요소 외의 추가의 요소가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양한 변경이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상기 제품 및 방법에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설명에 포함되고 첨부 도면에 도시된 모든 사항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그리고 제한의 의미가 아닌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36)

  1.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rodent management station)으로서,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base)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entry opening)를 가지며,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한 트랩(trap) 및 미끼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며, 기부는 원주 및 설치류가 그 위에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을 이동하는 내측 표면을 갖는 플로어 패널(floor panel)을 포함하고, 기부는 플로어 패널의 원주보다 실질적으로 작은 둘레에서 플로어 패널에 대해 상방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직립 벽을 추가로 포함하며, 플로어 패널 원주의 적어도 약 25%의 연속 원주 세그먼트(segment)가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직립 벽에 의해 포위되지 않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2. 제1항에 있어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전방, 후방 및 횡방향 대향 측면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직립 벽은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에서 하우징의 전방 이외의 곳을 따라 플로어 패널에 대해 상방으로 연장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3.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직립 벽은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에서 하우징의 후방을 따라서만 플로어 패널에 대해 상방으로 연장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4. 제1항에 있어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전방, 후방 및 횡방향 대향 측면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직립 벽은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에서 하우징의 횡방향 대향 측면 중 하나 이외의 곳을 따라 플로어 패널에 대해 상방으로 연장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5. 제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직립 벽은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에서 하우징의 측면 양쪽 이외의 곳을 따라 바닥 패널에 대해 상방으로 연장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6. 제1항에 있어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에서 그리고 모든 트랩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제거된 상태에서, 플로어 패널의 내측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직립 벽 이외의 곳에서 1 cm를 초과하는 높이의 직립 구조물이 없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7. 제1항에 있어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에서 그리고 모든 트랩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제거된 상태에서, 플로어 패널의 내측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직립 벽 이외의 곳에서 1 cm를 초과하는 길이의 직립 구조물이 없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8.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으로서,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를 가지며,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한 트랩 및 미끼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며, 기부는 전방 에지, 후방 에지 및 횡방향 대향 측면 에지를 갖는 플로어 패널을 포함하며,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에서 그리고 모든 트랩이 스테이션으로부터 제거된 상태에서, 플로어 패널의 내측 표면은 하나의 플로어 패널 측면 에지로부터 반대쪽 플로어 측면 에지까지 전체 플로어 패널을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1 cm를 초과하는 표면 불연속이 없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9.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으로서,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를 가지며,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한 트랩 및 미끼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며, 기부는 설치류가 그 위에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을 이동하는 내측 표면을 갖는 플로어 패널을 포함하고, 덮개 및 기부는,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에서 그리고 모든 트랩이 플로어 패널로부터 제거된 상태에서, 기부를 이동시키는 일 없이 그리고 플로어 패널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부스러기를 집어 올리거나 흡입하는 일 없이 플로어 패널의 내측 표면으로부터의 부스러기 제거를 가능하게 하도록 플로어 패널의 내측 표면이 접근가능하게 구성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0. 제9항에 있어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에서, 기부는 부스러기가 플로어 패널의 내측 표면을 활주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1. 제10항에 있어서, 스테이션은 브러시 및 비(broom) 중 하나에 의해 청소가능하며, 기부는 전방, 후방 및 횡방향 대향 측면을 갖고, 기부는 브러시 및 비 중 상기 하나를 들어 올리는 일 없이, 플로어 패널의 내측 표면을 가로질러 플로어 패널의 일 에지로부터 횡방향으로 멀리 있는 위치로부터, 플로어 패널의 반대쪽 에지로부터 횡방향으로 멀리 있는 위치까지, 브러시 및 비 중 상기 하나가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2.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으로서,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하우징의 진입 개구부로부터 이격된 입구의 통로(entryway)를 갖는 미끼 챔버와, 격벽 구조물에 의해 적어도 일부 한정되며 적어도 하나의 진입 개구부로부터 미끼 챔버의 입구의 통로까지 연장되는 통로로 구획하도록 구성되는 내부 격벽 구조물을 추가로 갖고, 격벽 구조물은 상기 미끼 챔버 입구의 통로 이외의 곳에서 통로와 미끼 챔버 사이의 개방 연통을 제공하기 위해 미끼 챔버 입구의 통로 이외의 곳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부를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부는 설치류가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부에서 미끼 챔버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 진입 개구부 및 미끼 챔버 입구의 통로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게 크기설정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3. 제1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부는 하우징의 진입 개구부와 대체로 방향 정렬되어 배치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4. 제1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부는 격벽 구조물 안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기다란 슬롯을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5. 제1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기다란 슬롯은 격벽 구조물 안에 배치된 기다랗고 수직 연장되는 복수의 슬롯을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6. 제12항에 있어서, 기부는 내측 표면을 갖는 플로어 패널을 포함하며, 격벽 구조물은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로 덮개가 이동할 때 기부에 대해 덮개와의 공동 이동을 위해 하우징의 덮개에 결합되고,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에서, 격벽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분은 설치류가 격벽 구조물의 상기 일부분 아래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로어 패널의 내측 표면과 근접하게 이격된 관계에 있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7. 제13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한 쌍의 진입 개구부를 가지며, 내부 격벽 구조물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하우징의 진입 개구부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입구의 통로를 갖는 미끼 챔버와, 격벽 구조물에 의해 적어도 일부 한정되며 진입 개구부 중 하나로부터 미끼 챔버의 입구의 통로까지 연장되는 제1 통로와, 제1 통로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진입 개구부 중 나머지 다른 하나로부터 미끼 챔버의 입구의 통로까지 연장되는 제2 통로로 구획하도록 구성되며, 격벽 구조물은 하나의 하우징 진입 개구부와 대체로 대향 관계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부 및 나머지 다른 하우징 진입 개구부와 대체로 대향 관계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관통 개구부를 갖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8. 제17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진입 개구부는 하나의 진입 개구부로부터 나머지 다른 진입 개구부까지 직선을 따라 서로 이격된 관계에 있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9.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으로서,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기부는 내측 표면을 갖는 플로어 패널을 포함하고,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며, 상기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하우징의 진입 개구부로부터 이격된 입구의 통로를 갖는 미끼 챔버와, 격벽 구조물에 의해 적어도 일부 한정되며 적어도 하나의 진입 개구부로부터 미끼 챔버의 입구의 통로까지 연장되는 통로로 구획하도록 구성되는 내부 격벽 구조물을 추가로 갖고, 격벽 구조물은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로 덮개가 이동할 때 기부에 대해 덮개와의 공동 이동을 위해 하우징의 덮개에 결합되며,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에서, 격벽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분은 설치류가 격벽 구조물의 상기 일부분 아래를 기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로어 패널의 내측 표면과 근접하게 이격된 관계에 있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20. 제19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전방, 후방 및 대향 측면을 가지며, 격벽 구조물은 하우징의 전방, 후방 및 대향 측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격벽 구조물과 하우징 사이에 상기 통로를 한정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21. 제20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전방, 후방 및 대향 측면 중 상기 적어도 하나는 통로가 격벽 구조물과 덮개 사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덮개에 의해 한정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22. 제19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한 쌍의 진입 개구부를 가지며, 내부 격벽 구조물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하우징의 진입 개구부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입구의 통로를 갖는 미끼 챔버와, 격벽 구조물에 의해 적어도 일부 한정되며 진입 개구부 중 하나로부터 미끼 챔버의 입구의 통로까지 연장되는 제1 통로와, 제1 통로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진입 개구부 중 나머지 다른 하나로부터 미끼 챔버의 입구의 통로까지 연장되는 제2 통로로 구획하도록 구성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23. 제22항에 있어서, 진입 개구부는 상기 진입 개구부 중 하나로부터 나머지 다른 진입 개구부까지 직선을 따라 서로 방향 정렬되어 있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24. 제19항에 있어서, 격벽 구조물은 덮개와 일체로 형성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25. 제19항에 있어서, 격벽 구조물은 통로의 길이를 따라 대체로 만곡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26. 지지 표면 상에 배치가능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으로서,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한 트랩 및 미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하우징은 기부에 의해 적어도 일부 한정되며 지지 표면 상에 놓이도록 구성된 바닥을 갖고, 상기 기부는 설치류가 그 위에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을 이동하는 내측 표면을 갖는 플로어 패널을 포함하며,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를 가지며, 플로어 패널의 내측 표면은 어느 곳에서나 적어도 2.54 mm(0.1 인치)만큼 하우징의 바닥 위에 배치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27. 제26항에 있어서, 플로어 패널의 내측 표면은 어느 곳에서나 적어도 5.08 mm(0.2 인치)만큼 하우징의 바닥 위에 배치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28. 제26항에 있어서, 플로어 패널은 플로어 패널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하우징의 바닥까지 연장되는 둘레 스커트(peripheral skirt)를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덮개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에서 플로어 패널의 내측 표면과 근접하게 이격된 관계에 있도록 구성되는 말단 에지를 갖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30. 제28항에 있어서, 덮개는 덮개의 폐쇄 형태에서 플로어 패널의 스커트 위에 아래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31. 제30항에 있어서, 덮개는 말단 에지를 가지며, 덮개의 말단 에지가 하우징의 바닥과 대체로 동일 평면으로 정렬된 상태로 플로어 패널의 스커트 위에 아래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32.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으로서,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기부는 설치류가 그 위에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을 이동하는 내측 표면을 갖는 플로어 패널을 포함하고, 플로어 패널의 내측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을 이동하는 설치류에게 촉각 응답을 제공하도록 텍스처링(texturing)되며,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를 가지며,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한 트랩 및 미끼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33. 제32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하우징의 진입 개구부로부터 이격된 입구의 통로를 갖는 미끼 챔버와, 격벽 구조물에 의해 적어도 일부 한정되며 적어도 하나의 진입 개구부로부터 미끼 챔버의 입구의 통로까지 연장되는 통로로 구획하도록 구성되는 내부 격벽 구조물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통로를 따라 플로어 패널의 내측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텍스처링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34. 제33항에 있어서, 격벽 구조물은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로 덮개가 이동할 때 기부에 대해 덮개와의 공동 이동을 위해 하우징의 덮개에 결합되며, 실질적으로 플로어 패널의 전체 내측 표면이 텍스처링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35. 제32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한 쌍의 진입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는 하나의 개구부로부터 나머지 다른 개구부까지 연장되는 직선을 따라 서로 방향 정렬되어 있고, 플로어 패널의 내측 표면의 텍스처링된 부분은 진입 개구부의 방향 정렬선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홈(groove) 및 복수의 기다란 범프(bum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36. 제33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한 쌍의 진입 개구부를 가지며, 내부 격벽 구조물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하우징의 진입 개구부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입구의 통로를 갖는 미끼 챔버와, 진입 개구부 중 하나로부터 미끼 챔버의 입구의 통로까지 연장되는 제1 통로와, 제1 통로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진입 개구부 중 나머지 다른 하나로부터 미끼 챔버의 입구의 통로까지 연장되는 제2 통로로 구획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통로의 각각을 따라 플로어 패널의 내측 표면이 텍스처링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각각은 설치류가 그것을 따라 하우징의 진입 개구부 중 하나로부터 미끼 챔버 입구의 통로까지 이동하는 대응 이동 경로를 한정하며, 상기 통로 각각을 따라 내측 표면의 텍스처링된 부분은 상기 통로의 이동 경로에 대해 적어도 일부 가로질러 연장되는 복수의 홈 및 복수의 기다란 범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38. 제33항에 있어서, 바닥 패널은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에서 격벽 구조물의 위치를 나타내는 경계부(demarcation)를 그 내측 표면 상에 추가로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39.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으로서,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기부는 설치류가 그 위에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을 이동하는 내측 표면을 갖는 플로어 패널을 포함하고,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를 가지며,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한 트랩 및 미끼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며, 하우징은 스테이션을 개방하는 일 없이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검사를 허용하는 검사 부재를 갖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40. 제39항에 있어서, 검사 부재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것 중 하나인 하우징의 일부분을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41. 제40항에 있어서, 검사 부재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것 중 하나인 기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42. 제41항에 있어서, 검사 부재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것 중 하나인 플로어 패널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43. 제39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전방, 후방 및 횡방향 대향 측면을 가지며, 기부는 플로어 패널의 내측 표면에 대해 적어도 일부 상방으로 연장되는 직립 후방 벽을 추가로 포함하고, 검사 부재는 기부의 직립 후방 벽 상에 배치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44. 제43항에 있어서, 검사 부재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것 중 하나인 기부의 직립 후방 벽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45. 제43항에 있어서, 검사 부재는 제1 검사 부재를 포함하며, 스테이션은 기부의 플로어 패널 상에 배치되는 제2 검사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46. 제39항에 있어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및 검사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하우징을 이동시키는 일 없이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관찰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47.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으로서,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기부는 원주 및 설치류가 그 위에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을 이동하는 내측 표면을 갖는 플로어 패널을 포함하고, 기부는 그 원주의 적어도 일부분의 둘레에서 플로어 패널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직립 벽을 추가로 포함하며, 직립 벽은 상부 에지 및 직립 벽으로부터 물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직립 벽의 상부 에지의 적어도 일부분 안에 배치되어 그것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거터(gutter)를 갖고,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를 가지며,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한 트랩 및 미끼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48. 제47항에 있어서, 직립 벽은 상기 플로어 패널의 전체 원주보다 작은 둘레에서 플로어 패널로부터 위로 연장되어 직립 벽은 상부 에지 및 한 쌍의 단부 에지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거터는 직립 벽의 단부 에지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하방으로 추가로 연장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49. 제47항에 있어서, 덮개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에서 덮개가 직립 벽의 상부 에지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도록 구성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50. 제49항에 있어서, 덮개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에서 덮개가 직립 벽의 단부 에지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을 추가로 덮도록 구성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51. 제47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전방, 후방 및 횡방향 대향 측면을 가지며, 직립 벽은 하우징의 후방을 따라서만 연장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52. 제47항에 있어서, 직립 벽의 상부 에지 안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 구멍을 추가로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53. 제5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배수 구멍은 직립 벽의 상부 에지의 적어도 하나의 거터 안에 배치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54.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으로서,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기부는 원주 및 설치류가 그 위에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을 이동하는 내측 표면을 갖는 플로어 패널을 포함하고, 기부는 원주의 적어도 일부분의 둘레에서 플로어 패널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직립 벽을 추가로 포함하며, 직립 벽은 상부 에지 및 물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멀리 직립 벽의 상부 에지로부터 배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지 않는 상부 에지 안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 구멍을 갖고,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며, 상기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를 갖고,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한 트랩 및 미끼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55. 제54항에 있어서, 직립 벽은 상기 상부 에지를 따라 서로 이격된 관계로 그 상부 에지 안에 배치되는 복수의 배수 구멍을 갖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56. 제54항에 있어서, 직립 벽은 상기 플로어 패널의 전체 원주보다 작은 둘레에서 연장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57. 제54항에 있어서, 덮개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에서 덮개가 직립 벽의 상부 에지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도록 구성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58. 제54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전방, 후방 및 횡방향 대향 측면을 가지며, 직립 벽은 기부의 후방을 따라서만 연장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59. 제54항에 있어서, 직립 측벽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일부 한정하는 내측 패널, 내측 패널과 대향하고 이격된 관계에 있는 외측 패널, 및 내측 및 외측 패널에 걸치고 직립 벽의 상부 에지를 한정하는 상부 패널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배수 구멍은 물이 직립 벽의 상부 패널로부터 직립 벽의 내측 및 외측 패널 사이로 배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우징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지 않는 상부 패널 안에 배치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60.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으로서,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기부는, 원주 및 설치류가 그 위에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을 이동하는 내측 표면을 갖는 플로어 패널을 포함하고, 기부는 그 원주의 적어도 일부분의 둘레에서 플로어 패널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직립 벽을 추가로 포함하며, 직립 벽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일부 한정하는 내측 패널, 내측 패널과 대향하고 이격된 관계에 있는 외측 패널, 및 상기 직립 벽의 내측 및 외측 패널에 걸치는 상부 패널을 포함하고,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며, 스테이션의 폐쇄 상태에서 덮개는 기부의 직립 벽의 상부 패널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고, 상기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를 가지며,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한 트랩 및 미끼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61. 제60항에 있어서, 직립 벽은 상기 플로어 패널의 전체 원주보다 작은 둘레에서 연장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62. 제60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전방, 후방 및 횡방향 대향 측벽을 가지며, 직립 벽은 기부의 후방을 따라서만 연장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63. 제60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바닥을 갖고, 외측 패널은 그것의 적어도 일부분이 대체로 하우징의 바닥에 있는 하부 에지를 갖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64. 제63항에 있어서, 직립 벽의 내측 패널은 직립 벽의 외측 패널의 하부 에지와 대체로 동일 한계 내에 있는 하부 에지를 갖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65. 제60항에 있어서, 상부 패널은 약 0.5 cm 내지 약 5.0 cm 범위의 최대 폭을 갖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66. 제60항에 있어서, 직립 벽은 내측 및 외측 패널에 걸치는 한 쌍의 단부 패널을 추가로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67. 제66항에 있어서,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에서 덮개는 직립 벽의 상기 단부 패널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을 추가로 덮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68. 제60항에 있어서, 내측 패널 및 외측 패널은 대응 상부 에지를 가지며, 외측 패널 상부 에지는 내측 패널 상부 에지보다 더 높이 배치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69. 제68항에 있어서, 외측 패널 상부 에지는 상부 패널보다 더 높이 배치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70.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으로서,
    전방, 후방, 대향 측면 및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를 가지며,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한 트랩 및 미끼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며, 하우징은 설치류 진입 개구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적어도 2개의 장착 포트를 갖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장착 포트는 하우징의 전방, 후방, 일 측면 및 반대쪽 측면 중 동일한 한 곳에 장착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71. 제70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장착 포트는 하우징 상에서 수평 정렬 및 수직 정렬 중 하나의 상태로 서로 이격된 관계에 있는 한 쌍의 장착 포트를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72. 제70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장착 포트는 하우징의 전방, 후방, 일 측면 및 반대쪽 측면 중 동일한 한 곳에 적어도 3개의 장착 포트를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73. 제70항에 있어서, 대응 가동형 클로저(closure)를 포트로부터 멀리 이동시킴으로써 각 포트의 선택적인 개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각 장착 포트를 위한 각각의 가동형 클로저를 추가로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74. 제74항에 있어서, 가동형 클로저는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제거가능한 클로저를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75. 제75항에 있어서, 제거가능한 클로저는 부서지기 쉬운 클로저인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76. 제70항에 있어서, 기부는 설치류가 그 위에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을 이동하는 내측 표면 및 플로어 패널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직립 벽을 갖는 플로어 패널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장착 포트는 기부의 직립 벽 상에 배치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77. 제76항에 있어서, 직립 벽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일부 한정하는 내측 패널, 내측 패널과 대향하고 이격된 관계에 있는 외측 패널, 및 직립 벽의 내측 및 외측 패널에 걸치는 연결 패널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장착 포트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포트가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개방되지 않도록 직립 벽의 외측 패널 상에 배치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78. 제76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전방, 후방 및 대향 측면을 가지며, 직립 벽은 하우징의 후방을 따라서만 연장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79.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으로서,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으로서, 또한 함께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 -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함 -;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에서 덮개 및 기부를 해제가능하게 맞물리게 하도록 작동가능하며, 기부로부터 덮개를 록킹해제하기 위해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접근불가능한 록킹 기구(locking mechanism) - 덮개 및 기부 중 적어도 하나는 기부로부터 덮개를 록킹해제하기 위해 록킹 기구에 접근하기 위한 개구부를 그 안에 가짐 -; 및
    덮개 및 기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며, 하우징 상의 수분이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에서 하우징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분 위에 연장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80. 제7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는 덮개 안에 배치되며, 커버는 덮개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분 위에 연장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81. 제8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는 제1 평면 방위로 배향되며, 커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의 제1 평면 방위와 상이한 제2 평면 방위로 배향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82. 제8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의 제1 평면 방위는 대체로 수직 방위이며, 커버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 위의 덮개 상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 위에 적어도 일부 수평하게 연장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83. 제79항에 있어서, 기부로부터 덮개를 록킹해제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가능한 공구를 추가로 포함하며, 하우징은 외측 표면, 및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 안으로의 공구의 안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에 대체로 인접한 상기 외측 표면 내의 안내 채널을 갖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84. 제83항에 있어서, 커버는 안내 채널과 대체로 대향하고 이격된 관계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분 위에 연장되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는 안내 채널과 커버의 중간에 있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85. 제8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는 덮개 안에 배치되며, 안내 채널은 덮개 안에 형성되고 커버는 안내 채널과 대체로 대향하고 이격된 관계로 덮개에 결합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86. 제8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는 대체로 수직 방위로 배향되며, 안내 채널은 적어도 일부 수평하게 배향되고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 아래에 배치되며, 커버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 위에 배치되고 안내 채널과 대체로 대향하고 이격된 관계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 위에 적어도 일부 수평하게 연장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87. 제83항에 있어서, 공구는 최대 폭을 가지며, 안내 채널은 공구의 최대 폭 이하의 폭을 갖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88. 제87항에 있어서, 안내 채널은 공구의 최대 폭 미만의 폭을 갖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89. 제79항에 있어서, 덮개는 스테이션의 개방 및 폐쇄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한 덮개의 힌지식 운동을 위해 기부에 힌지 결합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90.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으로서,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으로서, 또한 함께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 -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함 -;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에서 덮개 및 기부를 해제가능하게 맞물리게 하도록 작동가능하며, 기부로부터 덮개를 록킹해제하기 위해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접근불가능한 록킹 기구 - 덮개 및 기부 중 적어도 하나는 기부로부터 덮개를 록킹해제하기 위해 록킹 기구에 접근하기 위한 개구부를 그 안에 가짐 -; 및
    기부로부터 덮개를 록킹해제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가능한 공구 - 하우징은 외측 표면, 및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 안으로의 공구의 안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외측 표면 내의 안내 채널을 추가로 가짐 - 를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91. 제9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는 덮개 안에 배치되며, 안내 채널은 또한 덮개의 외측 표면 안에 배치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92. 제9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는 하우징 상에 대체로 수직 방위로 배향되며, 안내 채널은 적어도 일부 수평하게 배향되고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 아래에 배치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93. 제92항에 있어서, 안내 채널은 안내 채널 내의 수분이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향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로부터 멀리 적어도 일부 하방으로 경사져 있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94. 제90항에 있어서,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에 대체로 인접한 말단 단부(terminal end)를 갖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95. 제90항에 있어서, 공구는 최대 폭을 가지며, 안내 채널은 공구의 최대 폭 이하인 상기 안내 채널의 폭을 한정하는 한 쌍의 측벽을 갖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96. 제95항에 있어서, 안내 채널은 공구의 최대 폭 미만인 폭을 갖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97. 제90항에 있어서, 안내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에 대체로 인접한 기단(proximal end) 및 기단으로부터의 원위 말단을 가지며, 안내 채널은 그 기단에서 제1 깊이 및 그 말단에서 제2 깊이를 갖고, 제2 깊이는 제1 깊이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은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98. 제90항에 있어서, 안내 채널은 안내 채널 내의 수분을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로부터 멀리 지향시키도록 구성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99. 설치류 관리 시스템으로서,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으로서, 또한 함께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 -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함 -;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에서 덮개 및 기부를 해제가능하게 맞물리게 하도록 작동가능하며, 기부로부터 덮개를 록킹해제하기 위해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접근불가능한 록킹 기구 - 덮개는 기부로부터 덮개를 록킹해제하기 위해 록킹 기구에 접근하기 위한 개구부를 그 안에 가짐 -; 및
    기부로부터 덮개를 록킹해제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가능한 공구로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도록 구성된 삽입부 및 공구를 파지하기 위해 삽입부에 결합된 기다란 손잡이를 갖는 공구 - 공구의 삽입부는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를 향해 덮개를 기부로부터 멀리 위치시키는 손잡이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부로부터 덮개를 록킹해제할 때 덮개와 결합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00. 제99항에 있어서, 덮개는 외측 표면, 및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 안으로의 공구의 삽입부의 안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외측 표면 내에 배치된 안내 채널을 갖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01. 제99항에 있어서, 공구의 기다란 손잡이는 공구의 삽입부에 대해 비스듬한 설치류 관리 시스템.
  102. 제99항에 있어서, 록킹 기구는,
    기부의 일부분에 결합되며 바깥쪽으로 편향되는 적어도 하나의 록킹 부재; 및
    덮개의 일부분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록킹 부재를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되는 그 안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노치(notch)를 갖는 캐치 부재(catch member)를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03. 제102항에 있어서, 공구는 록킹 기구 안으로 삽입되고 바깥쪽으로 편향된 록킹 부재가 캐치 부재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04. 제99항에 있어서, 록킹 기구는,
    덮개의 일부분에 결합되며 바깥쪽으로 편향되는 적어도 하나의 록킹 부재; 및
    기부의 일부분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록킹 부재를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되는 그 안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노치를 갖는 캐치 부재를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05. 제104항에 있어서, 공구는 록킹 기구 안으로 삽입되고 바깥쪽으로 편향된 록킹 부재가 캐치 부재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06. 제1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으로서, 하우징 - 하우징은 내부 공간을 갖고, 함께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며,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함 -,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에서 덮개 및 기부를 해제가능하게 맞물리게 하도록 작동가능하며, 기부로부터 덮개를 록킹해제하기 위해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접근불가능한 록킹 기구 - 덮개 및 기부 중 적어도 하나는 기부로부터 덮개를 록킹해제하기 위해 록킹 기구에 접근하기 위한 개구부를 그 안에 가짐 -, 및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한 트랩 및 미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제2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으로서, 하우징 - 하우징은 내부 공간을 갖고, 함께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며,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함 -,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에서 덮개 및 기부를 해제가능하게 맞물리게 하도록 작동가능하며, 기부로부터 덮개를 록킹해제하기 위해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접근불가능한 록킹 기구 - 덮개 및 기부 중 적어도 하나는 기부로부터 덮개를 록킹해제하기 위해 록킹 기구에 접근하기 위한 개구부를 그 안에 가짐 -, 및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한 트랩 및 미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1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은 제2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및
    상기 제1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기부로부터 덮개를 록킹해제하기 위해 제1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가능하고, 또한 상기 제2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의 기부로부터 덮개를 록킹해제하기 위해 제2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가능한 공구를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07. 지지 표면 상에 배치가능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으로서,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하우징은 지지 표면 상에 놓이기 위한 바닥을 갖고,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를 가지며,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한 트랩 및 미끼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고, 기부는 둘레, 설치류가 그 위에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을 이동하는 내측 표면, 및 하우징의 바닥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외측 표면을 갖는 플로어 패널을 포함하며, 플로어 패널 외측 표면은 플로어 패널의 둘레와 이격된 관계로 그 안에 배치되는 복수의 공동(cavity)을 갖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08. 제107항에 있어서, 공동은 플로어 패널의 외측 표면 안에 배치되는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며, 채널은 플로어 패널의 둘레와 이격된 관계로 종료하여 채널은 하우징의 바닥이 지지 표면 상에 놓일 때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대체로 폐쇄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09. 제108항에 있어서, 채널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아치형인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10. 제108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전방 및 후방을 가지며, 채널 중 적어도 하나는 하우징의 전방에 인접한 곳으로부터 하우징의 후방에 인접한 곳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11. 제107항에 있어서, 공동 중 적어도 하나는 공동 중 적어도 다른 하나의 단면 형상과 상이한 단면 형상을 갖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12. 제107항에 있어서, 공동 중 적어도 하나는 단면이 대체로 원형인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13. 제107항에 있어서, 플로어 패널의 외측 표면은 그 안에 형성된 복수의 공동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 및 상기 공동 영역으로부터 이격되고 공동을 포함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영역을 갖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14. 제108항에 있어서, 기부는 하우징의 바닥에 복수의 리브(rib)를 포함하며, 리브는 서로 대체로 평행하고 이격된 관계로 배치되어 리브의 각각의 쌍 사이에 채널을 한정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15. 제107항에 있어서, 복수의 공동은 플로어 패널 외측 표면 상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며, 채널 각각은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단부를 갖고 각 채널의 단부는 하우징의 바닥이 장착 표면 상에 놓일 때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폐쇄되며, 채널 각각은 폭을 갖고,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폭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채널의 폭보다 실질적으로 더 큰 설치류 관리 시스템.
  116. 제108항에 있어서, 채널은 플로어 패널의 외측 표면 상에 배치되는 이격 리브에 의해 한정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17. 장착 표면 상에 장착가능한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으로서,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고, 기부는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은 장착 표면 상에 놓이기 위해 기부의 외측 표면에 의해 적어도 일부 한정되는 대체로 평평한 바닥을 갖고, 기부는 하우징을 장착 표면 상에 장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보어(bore)가 그 위치에서 기부 안에 형성될 하우징의 바닥에 적어도 하나의 사전결정된 보어 위치부를 가지며, 상기 기부는 적어도 하나의 사전결정된 보어 위치부 그리고 사전결정된 보어 위치부에 인접한 곳 중 적어도 한 곳의 하우징의 바닥에 그 외측 표면 상에 배치되는 안내 구조물을 추가로 갖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18. 제117항에 있어서, 안내 구조물은 사전결정된 보어 위치부를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19. 제118항에 있어서, 안내 구조물은 사전결정된 보어 위치부를 포위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20. 제117항에 있어서, 안내 구조물은 하우징의 바닥에서 하우징의 기부에 매달려 있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21. 제120항에 있어서, 안내 구조물은 대체로 원통형이며 사전결정된 보어 위치부를 포위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22. 제121항에 있어서, 안내 구조물은 제1 안내 구조물이며, 스테이션은 제2 안내 구조물을 추가로 포함하고, 제2 안내 구조물은 대체로 원통형이며 제1 안내 구조물과 이격된 관계로 제1 안내 구조물을 포위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23.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으로서,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하우징은 기부에 의해 적어도 일부 한정되는 바닥을 갖고, 상기 기부는 설치류가 그 위에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을 이동하는 내측 표면을 갖는 플로어 패널을 포함하며, 덮개는 힌지 축 상에서 기부의 플로어 패널 그리고 플로어 패널에 인접한 곳 중 한 곳에서 기부에 힌지 결합되어,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상기 힌지 축 상에서 힌지식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상기 힌지 축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보다 더 높이 하우징 상에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를 가지며,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한 트랩 및 미끼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24. 제123항에 있어서, 힌지 축은 플로어 패널의 내측 표면보다 더 높이 하우징 상에 위치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25. 제124항에 있어서, 힌지 축은 플로어 패널의 내측 표면 위 약 2.5 mm 내지 약 25 mm 범위로 하우징 상에 위치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26. 제123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전방, 후방 및 횡방향 대향 측면을 가지며, 기부는 플로어 패널의 내측 표면에 대해 상방으로 대체로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부 에지를 갖는 직립 후방 벽을 추가로 포함하며, 덮개는 힌지 축이 직립 후방 벽의 상부 에지보다 실질적으로 더 낮게 기부에 힌지 결합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27. 제126항에 있어서, 덮개는 힌지 축이 높이 면에서 직립 후방 벽의 상부 에지보다 플로어 패널의 내측 표면에 실질적으로 더 가깝게 기부에 힌지 결합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28. 제126항에 있어서, 덮개는 대체로 하우징의 전방에서 기부에 힌지 결합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29. 제126항에 있어서, 덮개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에서 직립 후방 벽의 상부 에지를 실질적으로 덮도록 구성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30.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으로서,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를 가지며, 폐쇄 형태에서 진입 개구부는 바닥, 상부, 높이 및 폭을 갖고, 진입 개구부의 폭은 개구부의 상부에서보다 개구부의 바닥에서 실질적으로 더 크며,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한 트랩 및 미끼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31. 제130항에 있어서, 진입 개구부의 폭은 개구부가 진입 개구부의 바닥으로부터 진입 개구부의 상부로 상방으로 연장함에 따라 감소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32. 제130항에 있어서,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에서, 진입 개구부는 1/4 원 및 1/4 타원 중 하나의 일반적인 형상을 갖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33. 제130항에 있어서, 진입 개구부는 최대 폭 및 최대 높이를 가지며,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에서 진입 개구부의 최대 폭은 진입 개구부의 최대 높이보다 더 큰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34. 제130항에 있어서, 진입 개구부는 하우징의 덮개 안에 전체적으로 배치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35. 제130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서로 이격된 관계에 있고 대체로 직선을 따라 정렬된 한 쌍의 진입 개구부를 포함하며, 진입 개구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36. 제131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최대 높이는 약 10 cm 내지 약 25 cm의 범위에 있으며, 하우징의 최대 폭은 약 15 cm 내지 약 35 cm의 범위에 있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37. 제131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최대 높이는 약 2.5 cm 내지 약 10 cm의 범위에 있으며, 하우징의 최대 폭은 약 5 cm 내지 약 15 cm의 범위에 있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38.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으로서,
    내부 공간을 갖고 또한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기부는 설치류가 그 위에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을 이동하는 내측 표면을 갖는 플로어 패널을 포함하고,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며, 스테이션의 폐쇄 상태에서 덮개는 플로어 패널의 내측 표면 상에 놓이거나 내측 표면과 근접하게 이격된 관계 중 하나의 상태에 있는 말단 에지를 갖고, 기부는 덮개의 말단 에지에서 기부에 대한 덮개의 횡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기부 상에 배치되고 플로어 패널의 내측 표면 위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정화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를 갖고,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한 트랩 및 미끼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39. 제13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안정화 부재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향해 안쪽으로 덮개가 횡방향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서 덮개에 대체로 인접한 플로어 패널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너브(nub)를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40. 제139항에 있어서, 덮개는 덮개의 폐쇄 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너브와 해제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설정 부재를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41. 제14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위치설정 부재는, 덮개에 결합되고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에서 너브를 그 안에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보어를 그 안에 포함하는 말단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post)를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42. 제14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는 덮개와 일체로 형성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43. 제138항에 있어서, 덮개는 덮개의 폐쇄 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안정화 부재와 해제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설정 부재를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스테이션.
  144. 설치류 관리 시스템으로서,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으로서, 또한 함께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 -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함 - 를 포함하며,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적어도 하나의 진입 개구부를 갖고,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하우징의 진입 개구부로부터 이격된 입구의 통로를 갖는 미끼 챔버와, 적어도 하나의 진입 개구부로부터 미끼 챔버의 입구의 통로에 이르는 통로로 구획하도록 구성된 내부 구조물을 추가로 갖는 하우징; 및
    미끼 챔버 안에 적어도 일부 배치되는 설치류 트랩 - 트랩의 적어도 일부분은 미끼 챔버의 입구의 통로를 통해 바깥쪽으로 미끼 챔버로부터 통로 안으로 연장함 - 을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45. 제144항에 있어서, 설치류 트랩은 생포용 트랩(live trap)을 포함하며, 생포용 트랩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생포용 트랩으로 들어가는 입구를 갖고, 생포용 트랩은 생포용 트랩의 입구가 통로 안에 배치되거나 통로로부터 접근가능한 것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가 되도록 하우징의 미끼 챔버 및 통로 안에 배치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46. 제144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서로 이격된 관계에 있는 한 쌍의 진입 개구부를 가지며, 통로는 하나의 진입 개구부로부터 미끼 챔버 입구의 통로까지 연장되는 제1 통로 세그먼트 및 나머지 다른 진입 개구부로부터 미끼 챔버까지 연장되는 제2 통로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47. 제146항에 있어서, 설치류 트랩은 생포용 트랩을 포함하며, 생포용 트랩은 하우징의 미끼 챔버 안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트랩 부분, 및 트랩 부분에 개방되어 있고 트랩 부분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입구 부분을 갖고, 입구 부분은 미끼 챔버 입구의 통로를 통과하여 통로 안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입구 부분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생포용 트랩으로 들어가는 한 쌍의 입구를 갖고, 상기 입구 중 하나는 제1 통로 세그먼트에 개방되어 있고 상기 입구 중 나머지 다른 하나는 제2 통로 세그먼트에 개방되어 있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48. 제144항에 있어서, 설치류 트랩은 하우징의 개방 형태에서 하우징으로부터 제거가능한 설치류 관리 시스템.
  149. 제148항에 있어서, 설치류 트랩은 생포용 트랩을 포함하며, 설치류 관리 시스템은 스냅 트랩(snap trap)을 추가로 포함하고, 생포용 트랩 및 스냅 트랩은 하우징의 개방 형태에서 하우징 안에서 교체가능한 설치류 관리 시스템.
  150. 제144항에 있어서, 설치류 트랩으로부터 떨어져 미끼 챔버 안에 배치되는 설치류 미끼를 추가로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51. 설치류 관리 시스템으로서,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으로서, 또한 함께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 -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함 - 를 포함하며,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적어도 하나의 진입 개구부를 갖고,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하우징의 진입 개구부로부터 이격된 입구의 통로를 갖는 미끼 챔버와, 적어도 하나의 진입 개구부로부터 미끼 챔버의 입구의 통로에 이르는 통로로 구획하도록 구성된 내부 구조물을 추가로 갖는 하우징;
    미끼 챔버 안에 적어도 일부 배치되는 설치류 트랩; 및
    설치류 트랩으로부터 떨어져 미끼 챔버 안에 배치되는 설치류 미끼를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52. 제151항에 있어서, 설치류 미끼는 독성 미끼, 설치류 유인제 및 감시 미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53. 제151항에 있어서, 트랩은 설치류가 그 안에 포획되는 내부를 갖는 생포용 트랩을 포함하며, 미끼는 생포용 트랩의 외부의 미끼 챔버 안에 배치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54. 제151항에 있어서, 기부는 미끼 챔버의 플로어를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내측 표면을 가지며, 트랩은 상기 미끼 챔버 플로어 위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미끼는 미끼 챔버 플로어와 이격된 관계로 대체로 트랩 위에 배치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55. 제154항에 있어서, 미끼를 미끼 챔버 안에 지지하기 위해 하우징 안에 배치되는 미끼 지지체를 추가로 포함하고, 미끼 지지체는 미끼 챔버 플로어와 이격된 관계로 미끼를 트랩 위에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56. 제151항에 있어서, 설치류 트랩은 하우징의 개방 형태에서 하우징으로부터 제거가능한 설치류 관리 시스템.
  157. 제156항에 있어서, 설치류 트랩은 생포용 트랩을 포함하며, 설치류 관리 시스템은 스냅 트랩을 추가로 포함하고, 생포용 트랩 및 스냅 트랩은 하우징의 개방 형태에서 하우징 안에서 교체가능한 설치류 관리 시스템.
  158. 설치류 관리 시스템으로서,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으로서, 또한 함께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 -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고, 기부는 적어도 하나의 직립 측벽을 가짐 - 를 포함하며,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적어도 하나의 진입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 및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하며, 기부의 적어도 하나의 직립 벽과 해제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설치류 트랩을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59. 제158항에 있어서, 직립 측벽은 그 안에 배치된 슬롯을 가지며, 설치류 트랩은 설치류 트랩과 측벽을 해제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슬롯 안에 해제가능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결합 탭(tab)을 갖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60. 제158항에 있어서, 직립 측벽은 그 안에 배치된 복수의 슬롯을 가지며, 설치류 트랩은 서로 이격된 관계에 있고 설치류 트랩과 측벽을 해제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슬롯의 각각의 하나 안에 해제가능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결합 탭을 갖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61. 제159항에 있어서, 결합 탭 및 슬롯은 결합 탭이 슬롯 안에서 활주 운동하도록 구성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62. 제161항에 있어서, 슬롯은 결합 탭을 슬롯 안에 수용하기 위한 개방 상부 단부를 갖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63. 제159항에 있어서, 설치류 트랩은 생포용 트랩을 포함하며, 생포용 트랩은 외부 및 설치류가 그 안에 포획되는 내부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생포용 트랩은 생포용 트랩 하우징의 외부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며, 설치류 관리 시스템 하우징은 생포용 트랩 결합 부재와 설치류 관리 시스템 결합 부재를 해제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설치류 관리 시스템 하우징의 개방 형태에서 접근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대응 제2 결합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64. 제163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결합 부재 중 하나는 결합 탭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결합 부재 중 나머지 다른 하나는 생포용 트랩 하우징 및 설치류 관리 시스템 하우징의 각각의 하나 안에 형성된 슬롯을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65. 제158항에 있어서, 보호 구조물을 추가로 포함하며,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에서 보호 구조물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의 설치류에 의해 직립 벽으로부터 설치류 트랩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66. 제165항에 있어서, 보호 구조물은 덮개 상에 배치되며,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에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의 설치류에 의해 직립 벽으로부터 설치류 트랩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직립 벽에 대해 배치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67. 설치류 관리 시스템으로서,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으로서, 또한 함께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 -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고, 기부는 직립 벽을 가짐 - 를 포함하며,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적어도 하나의 진입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한 설치류 트랩; 및
    하우징의 직립 벽과 해제가능한 결합으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하며,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의 사전졀정된 위치에 설치류 트랩을 정렬시키도록 구성되는 트랩 배치 부재를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68. 제167항에 있어서,
    설치류 트랩은 둘레(perimeter)를 가지며, 트랩 배치 부재는 중앙 개구부를 갖는 프레임 구조물을 포함하고, 중앙 개구부는 설치류 트랩이 프레임의 중앙 개구부 안에 근접하게 이격된 관계로 위치하도록 대체로 설치류 트랩 둘레에 일치하여 형성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69. 제168항에 있어서, 프레임 구조물은 와이어 프레임 구조물을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70. 제168항에 있어서, 직립 벽은 그 안에 슬롯을 가지며, 프레임 구조물은 프레임 구조물과 벽을 해제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슬롯 안에 해제가능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결합 부재를 갖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71. 제170항에 있어서, 직립 벽은 그 안에 배치된 복수의 슬롯을 가지며, 배치 부재는 서로 이격된 관계에 있고 배치 부재와 벽을 해제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슬롯의 각각의 하나 안에 해제가능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결합 부재를 갖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72. 제170항에 있어서, 결합 부재 및 슬롯은 결합 부재가 슬롯 안에서 활주 운동하도록 구성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73. 제167항에 있어서, 설치류 트랩은 스냅 트랩을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74. 제168항에 있어서, 프레임 구조물은 플라스틱 프레임 구조물을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75. 설치류 관리 시스템으로서,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으로서, 또한 함께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 -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고, 기부는 하우징의 내부 플로어를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내측 표면을 가짐 - 를 포함하며,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적어도 하나의 진입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 및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하고, 미끼를 하우징의 플로어 위에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기부 및 덮개 중 적어도 하나와 해제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미끼 지지체를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76. 제175항에 있어서, 기부는 직립 벽을 포함하며, 미끼 지지체는 상기 직립 벽과 해제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77. 제176항에 있어서, 직립 벽은 그 안에 슬롯을 가지며, 미끼 지지체는 미끼 지지체와 직립 벽을 해제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슬롯 안에 해제가능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결합 부재를 갖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78. 제177항에 있어서, 직립 벽은 그 안에 복수의 미끼 지지체 슬롯을 가지며, 미끼 지지체는 미끼 지지체 슬롯 중 임의의 하나 안에 해제가능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79. 제178항에 있어서, 설치류 관리 시스템은 미끼를 하우징의 플로어 위에 지지하도록 각각 구성되는 복수의 미끼 지지체를 포함하며, 미끼 지지체는 직립 벽 내의 미끼 지지체 슬롯의 각각의 하나 안에 해제가능하게 배치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80. 제177항에 있어서, 미끼 지지체 및 슬롯은 미끼 지지체가 슬롯 안에서 활주 운동하도록 구성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81. 제177항에 있어서, 슬롯은 미끼 지지체를 슬롯 안에 수용하기 위한 개방 상부 단부를 갖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82. 제175항에 있어서, 미끼 지지체는 미끼 지지체와 상기 하우징이 결합할 때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대체로 수평하게 배향되는 플랫폼을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83. 제182항에 있어서, 미끼 지지체는, 플랫폼에 결합되고 미끼를 플랫폼 상에 유지하기 위해 미끼 지지체와 하우징이 결합할 때 상기 플랫폼으로부터 대체로 수직하게 위로 연장되는 미끼 장착 핀을 추가로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84. 제183항에 있어서, 미끼 장착 핀은 미끼 지지체 플랫폼에 해제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85. 제175항에 있어서, 미끼 지지체는 미끼가 그 위에서 하우징의 플로어 위의 미끼 지지체 상에 지지되는 형상화된 와이어 시트(shaped-wire seat)를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86. 제185항에 있어서, 미끼 지지체는 미끼를 상기 형상화된 와이어 시트 상에 유지하기 위해 형상화된 와이어 시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형상화된 와이어 시트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와이어 핀(wire pin)을 추가로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87. 제175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플로어 위의 미끼 지지체의 높이는 선택적으로 조정가능한 설치류 관리 시스템.
  188. 제175항에 있어서, 미끼 지지체는 상기 하우징의 플로어와 이격된 관계로 하우징의 덮개에 해제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89. 제175항에 있어서, 미끼 지지체는 액체 미끼를 하우징의 플로어 위에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90. 제175항에 있어서, 복수의 미끼 블록(bait block)을 추가로 포함하며, 미끼 지지체는 미끼 블록이 대체로 적층 수직 배치로 배열되는 상태로 상기 복수의 미끼 블록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미끼 지지체를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91. 제190항에 있어서, 제1 미끼 지지체로부터 떨어져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하며 미끼를 하우징의 플로어 위에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미끼 지지체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2 미끼 지지체는 기부 및 덮개 중 적어도 하나와 해제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제2 미끼 지지체는 상기 복수의 미끼 블록을 대체로 수평선 상에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92. 제177항에 있어서, 보호 구조물을 추가로 포함하며,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에서 보호 구조물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의 설치류에 의해 미끼 지지체가 슬롯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93. 제192항에 있어서, 보호 구조물은 덮개 상에 배치되며,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에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의 설치류에 의해 미끼 지지체가 슬롯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슬롯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도록 배치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94. 설치류 관리 시스템으로서,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으로서, 또한 함께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 -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고, 기부는 하우징의 내부 플로어를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내측 표면을 가짐 - 를 포함하며,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적어도 하나의 진입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 및
    하우징의 플로어와 접촉하지 않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되며, 미끼를 하우징의 플로어 위에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미끼 지지체를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95. 제194항에 있어서, 미끼 지지체는 하우징의 플로어 위에 대체로 수평하게 배향되어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서 하우징의 플로어와의 사이에 갭(gap)을 한정하는 플랫폼을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96. 제195항에 있어서, 미끼 지지체는, 플랫폼에 연결되며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서 상기 플랫폼으로부터 대체로 수직하게 위로 연장되는 미끼 장착 핀을 추가로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97. 제196항에 있어서, 미끼 장착 핀은 미끼 지지체 플랫폼에 해제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98. 제194항에 있어서, 미끼 지지체는 미끼가 그 위에서 하우징의 플로어 위의 미끼 지지체 상에 지지되는 형상화된 와이어 시트를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199. 제198항에 있어서, 미끼 지지체는 미끼를 상기 형상화된 와이어 시트 상에 유지하기 위해 형상화된 와이어 시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형상화된 와이어 시트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와이어 핀을 추가로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200. 제194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플로어 위의 미끼 지지체의 높이는 선택적으로 조정가능한 설치류 관리 시스템.
  201. 제194항에 있어서, 기부는 직립 벽을 포함하며, 미끼 지지체는 직립 벽 상에 장착되고 하우징의 플로어 위의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으로 적어도 일부 연장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202. 설치류 관리 시스템으로서,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으로서, 또한 함께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 -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고, 기부는 하우징의 내부 플로어를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내측 표면을 가짐 - 를 포함하며,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적어도 하나의 진입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하며, 미끼를 하우징의 플로어 위에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미끼 지지체; 및
    하우징의 플로어 위의 미끼 지지체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높이 조정 부재를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203. 설치류 관리 시스템으로서,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으로서, 또한 함께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 -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하고, 기부는 하우징의 내부 플로어를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내측 표면을 가짐 - 를 포함하며,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적어도 하나의 진입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
    복수의 미끼 블록; 및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하며, 미끼 블록이 대체로 수평선 상에 총체적으로 배열되는 상태로 상기 미끼 블록을 하우징의 플로어와 이격된 관계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끼 지지체를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204. 설치류 관리 시스템으로서,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으로서, 또한 함께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 -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함 - 를 포함하며,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 및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전체적으로 배치가능한 생포용 트랩으로서,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생포용 트랩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를 갖고, 생포용 트랩 진입 개구부가 하우징의 폐쇄 형태에서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와 방향 정렬되지 않은 상태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생포용 트랩을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205. 제204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적어도 2개의 개구부를 가지며, 하우징 개구부는 서로 대체로 대향하고 이격된 관계에 있으며, 생포용 트랩은 생포용 트랩 진입 개구부가 하우징의 폐쇄 형태에서 하우징의 상기 개구부 각각과 방향 정렬되지 않은 상태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206. 제204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미끼 챔버와,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개구부로부터 미끼 챔버에 이르는 통로로 구획하도록 구성되는 내부 구조물을 추가로 포함하며, 생포용 트랩은 생포용 트랩 진입 개구부가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개구부와 이격된 관계로 통로와 개방 연통하는 상태로 미끼 챔버 안에 적어도 일부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207. 제206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전방 및 전방의 반대쪽의 후방을 가지며,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는 하우징의 전방 및 후방 중 하나에 대체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생포용 트랩은 생포용 트랩 진입 개구부가 하우징의 전방 및 후방 중 반대쪽의 하나에 대체로 인접한 통로와 개방 연통하는 상태로 미끼 챔버 안에 적어도 일부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208. 제20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개구부는 하우징의 덮개 안에 배치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209. 제206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서로 이격된 관계에 있는 한 쌍의 개구부를 가지며, 통로는 상기 개구부 중 하나로부터 미끼 챔버까지 연장되는 제1 통로 섹션 및 상기 진입 개구부 중 나머지 하나로부터 미끼 챔버까지 연장되는 제2 통로 섹션을 포함하고, 생포용 트랩은 생포용 트랩 진입 개구부가 하우징 개구부 각각과 이격된 관계로 통로와 개방 연통하는 상태로 미끼 챔버 안에 적어도 일부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210. 제204항에 있어서, 생포용 트랩은 하우징의 개방 형태에서 하우징으로부터 제거가능한 설치류 관리 시스템.
  211. 설치류 관리 시스템으로서,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으로서, 또한 함께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 -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함 - 를 포함하며,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 및
    하우징의 폐쇄 형태에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전체적으로 배치가능한 생포용 트랩으로서,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생포용 트랩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 생포용 트랩 안에 설치류를 포획하기 위해 생포용 트랩 안에 배치가능한 제1 트랩 기구, 및 제1 트랩 기구와 상이하며 생포용 트랩 안에 설치류를 포획하기 위해 제1 트랩 기구 대신에 생포용 트랩 안에 배치가능한 제2 트랩 기구를 갖는 생포용 트랩 - 생포용 트랩 및 트랩 기구는 생포용 트랩 안에서의 제1 및 제2 트랩 기구의 교체가능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각각의 제1 및 제2 트랩 기구가 생포용 트랩 안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됨 - 을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212. 제211항에 있어서, 제1 트랩 기구는 펀넬(funnel) 트랩 기구, 스윙 게이트(swinging gate) 기구 및 램프(ramp) 기구 중 하나를 포함하며, 제2 트랩 기구는 펀넬 트랩 기구, 스윙 게이트 기구 및 램프 기구 중 상이한 하나를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213. 제211항에 있어서, 생포용 트랩은 접근 개구부 및 접근 개구부가 폐쇄되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배치가능한 접근 패널을 추가로 가지며, 제1 및 제2 트랩 기구는 접근 패널의 개방 위치에서 접근 개구부를 통해 생포용 트랩 안에 삽입가능하고 생포용 트랩으로부터 제거가능한 설치류 관리 시스템.
  214. 제211항에 있어서, 생포용 트랩은 설치류가 그 안에서 생포용 트랩 안에 포획되는 트랩 부분, 및 생포용 트랩의 트랩 부분과 개방 연통하고 트랩 부분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입구 부분을 가지며, 생포용 트랩의 진입 개구부는 생포용 트랩의 입구 부분 안에 배치되고, 접근 개구부 및 접근 패널은 또한 생포용 트랩의 입구 부분에 배치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215. 제213항에 있어서,
    접근 패널은 생포용 트랩에 힌지 결합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216. 제213항에 있어서, 생포용 트랩은 상부 및 바닥을 가지며, 생포용 트랩은 생포용 트랩의 바닥이 하우징의 기부 상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치류 관리 시스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하고, 접근 패널은 생포용 트랩의 바닥 상에 배치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217. 제214항에 있어서, 생포용 트랩은 접근 개구부로부터 떨어져 있고 생포용 트랩의 트랩 부분 안에 배치되는 트랩 부분 개구부, 및 트랩 부분 개구부가 폐쇄되는 폐쇄 위치와 트랩 부분이 정비를 위해 트랩 부분의 내부에 접근하도록 개방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배치가능한 클로저 패널(closure panel)을 추가로 갖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218. 설치류 관리 시스템으로서,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으로서, 또한 함께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 -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함 - 를 포함하며,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 및
    하우징의 폐쇄 형태에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전체적으로 배치가능한 생포용 트랩으로서,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생포용 트랩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를 갖고, 설치류를 생포용 트랩 안에 포획하기 위해 생포용 트랩 안에 해제가능하게 배치가능한 트랩 기구를 포함하며, 접근 개구부 및 접근 개구부가 폐쇄되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배치가능한 접근 패널 - 트랩 기구는 접근 패널의 개방 위치에서 접근 개구부를 통해 정비가능하고, 생포용 트랩 안에 삽입가능하며, 생포용 트랩으로부터 제거가능함 - 을 갖는 생포용 트랩을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219. 제218항에 있어서, 생포용 트랩은 설치류가 그 안에서 생포용 트랩 안에 포획되는 트랩 부분, 및 생포용 트랩의 트랩 부분과 개방 연통하고 트랩 부분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입구 부분을 가지며, 생포용 트랩의 진입 개구부는 생포용 트랩의 입구 부분 안에 배치되고, 트랩 기구, 접근 개구부 및 접근 패널은 또한 생포용 트랩의 입구 부분에 배치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220. 제218항에 있어서, 접근 패널은 생포용 트랩에 힌지 결합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221. 제218항에 있어서, 생포용 트랩은 상부 및 바닥을 가지며, 생포용 트랩은 생포용 트랩의 바닥이 하우징의 기부 상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치류 관리 시스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가능하고, 접근 패널은 생포용 트랩의 바닥 상에 배치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222. 제219항에 있어서, 생포용 트랩은 접근 개구부로부터 떨어져 있고 생포용 트랩의 트랩 부분 안에 배치되는 트랩 부분 개구부, 및 트랩 부분 개구부가 폐쇄되는 폐쇄 위치와 트랩 부분이 정비를 위해 트랩 부분의 내부에 접근하도록 개방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배치가능한 클로저 패널을 추가로 갖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223. 설치류 관리 시스템으로서,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으로서, 또한 함께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 -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함 - 를 포함하며,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 및
    하우징의 폐쇄 형태에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전체적으로 배치가능한 생포용 트랩으로서, 설치류가 그 안에서 생포용 트랩 안에 포획되는 트랩 부분, 및 생포용 트랩의 트랩 부분과 개방 연통하고 트랩 부분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입구 부분 - 입구 부분은 생포용 트랩의 트랩 부분 안에 포획하기 위해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생포용 트랩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를 갖고, 생포용 트랩의 트랩 부분은 생포용 트랩의 트랩 부분의 내부와 하우징의 내부 공간 사이의 유체 연통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생포용 트랩 진입 개구부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게 크기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벤트 개구부(vent opening)를 가짐 - 을 포함하는 생포용 트랩을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224. 제223항에 있어서, 생포용 트랩은 상부 및 바닥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벤트 개구부는 생포용 트랩의 트랩 부분에서 생포용 트랩의 상부에 배치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225. 제223항에 있어서, 생포용 트랩은 입구 부분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생포용 트랩의 트랩 부분을 일부 한정하는 후방 벽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는 생포용 트랩의 후방 벽에 배치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226. 제225항에 있어서, 생포용 트랩은 상부 및 바닥을 추가로 가지며, 생포용 트랩의 상부는 또한 생포용 트랩의 트랩 부분에서 그 안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벤트 개구부를 갖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227. 제224항에 있어서, 상부는 생포용 트랩의 트랩 부분에서 복수의 벤트 개구부를 그 안에 가지며, 벤트 개구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생포용 트랩의 입구 부분과 트랩 부분의 연결부에 대체로 인접한 설치류 관리 시스템.
  228. 제223항에 있어서, 생포용 트랩의 입구 부분은 트랩 부분보다 실질적으로 더 좁으며, 생포용 트랩은 상부, 바닥, 후방 벽, 및 생포용 트랩의 입구 부분과 트랩 부분 둘 모두에서 함께 생포용 트랩의 내부를 한정하는 측방향 대향 측벽을 추가로 포함하고, 측벽은 입구 부분이 트랩 부분으로 천이되는 곳에서 대체로 만곡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229. 제228항에 있어서, 측벽은 후방 벽에 결합되며, 후방 벽으로의 측벽의 천이부는 실질적으로 둥글게 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230. 설치류 관리 시스템으로서,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으로서, 또한 함께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적어도 일부 한정하는 기부 및 덮개 - 덮개는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스테이션의 폐쇄 형태와, 내부 공간이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한 스테이션의 개방 형태 사이에서 기부에 대해 배치가능함 - 를 포함하며,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 및
    하우징의 폐쇄 형태에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 전체적으로 배치가능한 생포용 트랩으로서, 상부 및 바닥을 갖고, 설치류가 그 안에서 생포용 트랩 안에 포획되는 트랩 부분, 생포용 트랩의 트랩 부분과 개방 연통하고 트랩 부분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입구 부분 - 입구 부분은 설치류가 그것을 통해 생포용 트랩으로 들어가는 진입 개구부를 가짐 -, 생포용 트랩의 진입 개구부와 이격된 관계로 생포용 트랩의 입구 부분 안에 적어도 일부 배치되는 트랩 기구, 및 생포용 트랩 안에 포획된 설치류가 트랩 기구를 조작하여 트랩으로부터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입구 부분에서 생포용 트랩의 상부에 매달려 있고 입구 부분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격된 관계로 배열되는 복수의 차단 부재를 포함하는 생포용 트랩을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231. 제230항에 있어서, 트랩 기구는 펀넬 트랩 기구, 스윙 게이트 기구 및 램프 기구 중 하나를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232. 제231항에 있어서, 트랩 기구는 게이트를 포함하며, 게이트는 게이트가 트랩의 내부의 잔여부로부터 생포용 트랩의 진입 개구부를 대체로 폐쇄하는 대체로 업 위치(up position)와, 설치류가 입구 부분을 통과하여 진입 개구부로부터 트랩의 트랩 부분까지 지나갈 수 있는 다운 위치(down position) 사이에서 생포용 트랩의 상부 및 바닥에 대해 피벗 운동할 수 있으며, 차단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업 위치에 있는 게이트의 대체로 위에 배치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233. 제232항에 있어서, 차단 부재는, 진입 개구부와 업 위치에 있는 게이트의 중간의 위치로부터, 업 위치에 있는 게이트를 지난 위치까지, 입구 부분을 따라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234. 제233항에 있어서, 게이트는 업 위치를 향해 편향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235. 제233항에 있어서, 트랩 기구는 게이트를 포함하는 램프 기구를 포함하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236. 제233항에 있어서, 생포용 트랩의 입구 부분에서 게이트의 내부는 내부 높이를 가지며, 게이트는 상기 내부 높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가져 게이트의 업 위치에서 게이트는 대체로 비스듬한 방위에 있는 설치류 관리 시스템.
KR1020117009108A 2008-09-22 2009-09-21 설치류 관리 시스템 KR201100796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911108P 2008-09-22 2008-09-22
US61/099,111 2008-09-22
US16233609P 2009-03-23 2009-03-23
US61/162,336 2009-03-23
US23155209P 2009-08-05 2009-08-05
US61/231,552 2009-08-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667A true KR20110079667A (ko) 2011-07-07

Family

ID=41528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9108A KR20110079667A (ko) 2008-09-22 2009-09-21 설치류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4) US20110041383A1 (ko)
EP (1) EP2337448A1 (ko)
JP (2) JP5356524B2 (ko)
KR (1) KR20110079667A (ko)
CN (1) CN102223787B (ko)
AR (1) AR075083A1 (ko)
AU (1) AU2009292955B2 (ko)
BR (1) BRPI0919276A2 (ko)
CA (1) CA2737760A1 (ko)
CR (1) CR20110147A (ko)
EA (1) EA201100530A1 (ko)
IL (1) IL211787A0 (ko)
MX (1) MX2011002959A (ko)
NZ (1) NZ591816A (ko)
TW (1) TW201029565A (ko)
WO (1) WO201003390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875B1 (ko) * 2013-03-29 2014-12-12 주식회사 세스코 유해동물 포획장치
KR20210023371A (ko) * 2019-08-23 2021-03-04 (주)월드그린 쥐 포획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4745B1 (en) * 1998-11-25 2002-02-05 Medrad, Inc. Tapered birdcage resonator for improved homogeneity in MRI
US7735258B2 (en) * 2003-03-22 2010-06-15 Vm Products, Inc. Tamper resistant weighted rodent and insect bait station
US20060032110A1 (en) * 2004-08-16 2006-02-16 Keng-Ming Yang Trapping device
CA2661125C (en) * 2006-09-22 2015-07-21 Ecolab Inc. Versatile pest station with interchangeable inserts
ITRE20080028A1 (it) * 2008-03-11 2009-09-12 O S D Gruppo Ecotech S R L '' erogatore d'esca per disinfestazione da roditori ''
US7874098B2 (en) 2008-08-05 2011-01-25 Vm Products, Inc. Weighted rodent bait stations and related methods
US20100319238A1 (en) * 2008-09-22 2010-12-23 Basf Corporation Rodent management system
KR20110032869A (ko) * 2009-09-24 2011-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8701336B2 (en) 2010-08-12 2014-04-22 Daniel J. Kay Pest control device
US8839550B2 (en) 2011-01-07 2014-09-23 Ecolab Usa Inc. Rodent station
JP2014504883A (ja) * 2011-02-02 2014-02-27 ニック スティーラワニット, ベイトステーション{baitstation}
US8578649B1 (en) * 2011-02-10 2013-11-12 Bell Laboratories, Inc. Weighted base with front wall attachment rodent bait station
US8793929B1 (en) * 2011-03-21 2014-08-05 Bell Laboratories, Inc. Internal ballasted rodent bait station
WO2013124769A1 (en) * 2012-02-23 2013-08-29 Basf Se Method of monitoring and controlling rodents with heat-treated wood
US9210924B1 (en) * 2012-03-27 2015-12-15 Ty Terrell Ecofriendly maritime pest management kit
US8959829B2 (en) 2012-04-06 2015-02-24 Daniel Kay Rodent trap mounting member and method
US20150173345A1 (en) * 2012-06-20 2015-06-25 Wayne R. Morris Rodent bait station and related methods
US20140059919A1 (en) * 2012-09-04 2014-03-06 Joseph C. Pupello Rodent bait station
EP2732704B1 (en) * 2012-11-14 2020-04-29 Plastdiversity, Lda Bait station
WO2015077567A1 (en) 2013-11-22 2015-05-28 Vm Products, Inc. Pest-management apparatuses with separator to direct rodent movement and/or improve rodent contact with adhesive
GB2521399B (en) * 2013-12-18 2016-11-16 Rentokil Initial Plc Bait station for pest control
US9930880B2 (en) 2014-04-16 2018-04-03 Bell Laboratories, Inc. Bait station with package retention
US20160015021A1 (en) * 2014-07-20 2016-01-21 Andre Green Snake bait trap
CN104186456A (zh) * 2014-09-26 2014-12-10 常熟建工建设集团有限公司苏州分公司 一种新型建筑内嵌式灭鼠洞
US10531653B2 (en) * 2016-02-03 2020-01-14 Iot Sense, Llc Pest trap monitor
GB2551697B (en) * 2016-06-17 2020-10-28 Smam Ltd A rodent box
US10925276B2 (en) * 2016-11-29 2021-02-23 Bret Christopher Reilly Telltail rodent trap
USD828484S1 (en) 2017-05-10 2018-09-11 Vm Products, Inc. Pest trap
US11800863B2 (en) 2017-05-10 2023-10-31 Vm Products, Inc. Rodent trap with presence indicator mechanism
USD829846S1 (en) 2017-05-10 2018-10-02 Vm Products, Inc. Pest trap
US11317619B2 (en) 2018-05-15 2022-05-03 Ecolab Usa Inc. Pest control device mounting system
US10264780B1 (en) * 2018-08-24 2019-04-23 Forest Geesey Mousey dump
US20200146274A1 (en) * 2018-11-09 2020-05-14 Daniel ALGER Rodent trap bait
US20200337293A1 (en) * 2019-04-23 2020-10-29 Ecolab Usa Inc. Bait box with locking bait bar
US20210015090A1 (en) * 2019-07-17 2021-01-21 Liphatech, Inc. Bait station and insert
USD921829S1 (en) * 2019-10-11 2021-06-08 Goodnature Limited Trap enclosure
DE102020106163B4 (de) 2020-03-06 2023-03-16 Gruß Hygiene GmbH Vorrichtung zur Halterung von Ködern für Nagetiere

Family Cites Families (2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044A (en) * 1894-10-09 Animal-trap
US1321360A (en) * 1919-11-11 Poison-distributer
US147899A (en) * 1874-02-24 Improvement in animal-traps
US202971A (en) * 1878-04-30 Improvement in animal-traps
US224960A (en) * 1880-02-24 Animal-trap
US218175A (en) * 1879-08-05 Improvement in animal-traps
US641356A (en) * 1899-11-13 1900-01-16 Adam W Ager Mouse-trap.
US741935A (en) * 1903-07-02 1903-10-20 Alfred Schickerling Trap for catching mice or rats.
US874654A (en) * 1907-07-08 1907-12-24 Frederick Beaudry Mouse-trap.
US1016405A (en) * 1909-04-13 1912-02-06 Morris S Hall Trap.
US942069A (en) * 1909-05-28 1909-12-07 George W Hess Trap.
US1074916A (en) * 1912-03-11 1913-10-07 John G Wiesen Mouse-trap.
US1063347A (en) * 1912-03-29 1913-06-03 Charles Hall Animal-trap.
US1040329A (en) * 1912-04-25 1912-10-08 Benjamin Holt Animal-trap.
US1142781A (en) * 1912-08-22 1915-06-08 George W Infield Animal-trap.
US1085970A (en) * 1912-12-17 1914-02-03 Charles R Street Mouse-trap.
US1138132A (en) * 1913-02-08 1915-05-04 Edwin T Marsh Animal-trap.
US1218406A (en) * 1916-01-15 1917-03-06 William Harris Jackson Mouse and rat trap.
US1213876A (en) * 1916-07-25 1917-01-30 Christopher C Hovis Animal-trap.
US1349177A (en) * 1919-05-13 1920-08-10 Wiemer Albert Cabinet-trap
US1388786A (en) * 1920-07-13 1921-08-23 Nunnally H Albrecht Mousetrap
US1422894A (en) * 1920-07-28 1922-07-18 Skubinski Aleksander Animal trap
US1415801A (en) * 1921-07-07 1922-05-09 George F Corle Animal trap
US1505996A (en) * 1922-01-03 1924-08-26 William H Drought Animal trap
US1461681A (en) * 1922-02-27 1923-07-10 John P Schuckman Animal trap
US1511123A (en) * 1922-06-02 1924-10-07 Charles F Hart Weasel trap
US1488503A (en) * 1922-07-21 1924-04-01 Vacslav C Karda Door construction for traps
US1516312A (en) * 1923-04-05 1924-11-18 Scott Emil Mousetrap
US1525401A (en) * 1924-06-18 1925-02-03 Charles W King Holder
US1638767A (en) * 1925-01-30 1927-08-09 William I Harmon Animal trap
US1586630A (en) * 1925-04-07 1926-06-01 Lee Olavus Thomas Animal trap
US1668726A (en) * 1925-10-09 1928-05-08 John G Mueller Animal trap
US1618513A (en) * 1926-07-10 1927-02-22 Charles H Wells Animal trap
US1723208A (en) * 1927-08-23 1929-08-06 Raj Michael Rat trap
US1860599A (en) * 1930-12-18 1932-05-31 John M Schiltz Animal trap
US1868847A (en) * 1931-07-08 1932-07-26 Pearson Lee Roy Mouse trap
US1911919A (en) * 1932-03-22 1933-05-30 Molls William Trap
US1964611A (en) * 1933-05-04 1934-06-26 Edward L Watson Sanitary combined rodent and insect exterminator
US1982389A (en) 1933-10-12 1934-11-27 Alfred M Johnson Rodent trap
US2009305A (en) * 1934-08-23 1935-07-23 Vinson Guy Protector for insect poison
US2193937A (en) * 1939-01-16 1940-03-19 Pirani Francesco Rat trap
US2231191A (en) * 1939-11-27 1941-02-11 Martino William Animal trap
US2480724A (en) * 1946-01-02 1949-08-30 Feussner Jacob Rat or rodent poison holder
US2532681A (en) * 1946-01-19 1950-12-05 William J Stover Exterminator protecting device
US2490180A (en) * 1946-10-01 1949-12-06 Jr Robert M Varnedoe Trap
US2643480A (en) * 1948-02-27 1953-06-30 Dan H Jones Trap
US2589360A (en) * 1948-08-31 1952-03-18 Bristol Steel & Iron Works Inc Rattrap
US2568168A (en) * 1949-06-08 1951-09-18 Grady W Query Rodent baiting station
US2651138A (en) * 1949-11-25 1953-09-08 William M Malloy Poison bait holder for exterminating rodents
US2664663A (en) * 1952-01-31 1954-01-05 Thomas W Mullen Dispenser of rodenticides
US2683326A (en) * 1952-10-08 1954-07-13 Us Army Rodent exterminating device
US2752722A (en) 1953-09-22 1956-07-03 Gardner Sidney Rat trap
US2710485A (en) * 1954-03-30 1955-06-14 Charles W Starr Poison bait station
US2787082A (en) * 1954-09-02 1957-04-02 Paschen Baldomero Rat trap
US2911756A (en) 1955-12-08 1959-11-10 Robert J Geary Insect combatting device
US2944364A (en) 1956-10-17 1960-07-12 Lewis B Kelly Rodent control feeding stations
US2962836A (en) * 1959-02-25 1960-12-06 Claude L Hanks Rodent capturing device
US3025630A (en) 1959-12-21 1962-03-20 Leonard L Silvey Rodent poison container and feeder
US3008262A (en) * 1960-02-08 1961-11-14 John E Ronicker Rat bait station
US3320692A (en) 1963-11-14 1967-05-23 James S Hellen Lethal trapping device
US3298128A (en) * 1965-03-18 1967-01-17 J J Dill Company Foldable fiberboard rodenticide feeding apparatus
US3517454A (en) * 1967-08-17 1970-06-30 Grady W Query Feeder and package arrangement for fluent dry solids
US3488879A (en) * 1968-04-29 1970-01-13 Timothy E Laughlin Combined poison bait station and garbage can support
US3585750A (en) * 1969-03-27 1971-06-22 Henry Arthur Routt Animal trap
DE2019334A1 (de) 1970-04-22 1971-11-04 Bayer Ag Ratten- und Maeuse-Koederbox
US3733735A (en) 1971-01-19 1973-05-22 C Hirsch Animal trap
US3786591A (en) 1971-06-03 1974-01-22 M Morford Mouse trap
US3699927A (en) 1971-06-04 1972-10-24 Bio Res Consultants Feeder for rodents
US3940876A (en) 1974-11-01 1976-03-02 Michael Frank Zaccaira Mousetrap
US3992803A (en) 1975-03-20 1976-11-23 Robert Dennis Kaiser Mouse trap
US4035946A (en) * 1975-11-24 1977-07-19 Wallace Thomas Rapp Trap for slugs and snails
US4030230A (en) 1976-04-06 1977-06-21 Woodstream Corporation Animal trap and package therefor
US4026064A (en) * 1976-05-17 1977-05-31 J. T. Eaton Company Protective box for rodent bait
US4103448A (en) * 1976-05-20 1978-08-01 Woodstream Corporation Repeating animal trap with side extension
USD246854S (en) 1976-07-15 1978-01-03 J. T. Eaton & Company Rodent bait feeding box or similar article
US4062142A (en) 1976-10-22 1977-12-13 David Lee Marotti Trapping and killing apparatus for mice and other animals
US4138796A (en) * 1977-03-31 1979-02-13 Woodstream Corporation Repeating animal trap assembly
US4132026A (en) 1977-04-25 1979-01-02 J. J. Dill Company Simplified blank forming a rodent poison container
JPS5420866A (en) * 1977-07-14 1979-02-16 Koinuma Shinobu Rattrap apparatus
US4161079A (en) 1977-12-27 1979-07-17 Isaac Hill Instant mouse trap
US4151673A (en) * 1978-02-02 1979-05-01 Campbell Delmer E Automatic reactivating trap
US4157628A (en) * 1978-02-13 1979-06-12 Moe Saslove Rat trap
FR2435199A1 (fr) 1978-06-30 1980-04-04 Arrigoni Alessandro Dispositif pour la deratisation au moyen d'appats empoisonnes destines a permettre la surete maximale pour les animaux domestiques et de la basse-cour
US4216606A (en) 1978-09-21 1980-08-12 Kaiser Dennis G Mousetrap
USD258751S (en) * 1978-10-30 1981-03-31 Farnam Companies, Inc. Insect trap
US4270299A (en) * 1979-04-05 1981-06-02 Loring C. Long Mouse trap
US4238903A (en) 1979-05-29 1980-12-16 Mazzei Louis J Animal trap
US4251946A (en) * 1979-08-07 1981-02-24 Farnam Companies, Inc. Snail and slug trap
US4363184A (en) 1980-08-18 1982-12-14 Gordon D. Holl Disposable rodent trap
US4349982A (en) * 1980-10-31 1982-09-21 Daniel Sherman Refillable rodent bait station container
SE426538B (sv) * 1981-05-12 1983-01-31 Lundkvist Alfred Betesstation for giftbeten
US4403438A (en) * 1981-05-15 1983-09-13 West Harron Aramynta Disposable rodent trap
US4418493A (en) * 1981-11-23 1983-12-06 Jordan Carmel T Modular animal trap
JPS58126731A (ja) * 1982-01-22 1983-07-28 篠崎 幸久 動物捕獲器
US4453337A (en) * 1982-08-12 1984-06-12 Environmentally Safe Products, Corp. Rodent feed station
USD282390S (en) 1983-06-21 1986-01-28 Ace Termite & Pest Control Rodent control device
US4541198A (en) * 1983-06-30 1985-09-17 Sherman Daniel A Tamper-proof rodent bait station
FR2557425B1 (fr) * 1984-01-03 1986-08-01 Assouline David Dispositif de lutte contre les rongeurs
US4550523A (en) 1984-01-09 1985-11-05 Spiller Robert S Disposable or reusable animal trap
US4570377A (en) * 1984-08-06 1986-02-18 Primavera Russell R Tamper-proof baiting device for rodents and the like
US4550525A (en) 1984-08-22 1985-11-05 J. T. Eaton & Company, Inc. Tamper proof rodent bait station
US4607450A (en) * 1984-11-20 1986-08-26 Amcan, Inc. Enclosed mousetrap having improved trap mechanism
US4619071A (en) * 1985-02-08 1986-10-28 Willis Donald W Rodent bait station
US4658536A (en) * 1985-08-15 1987-04-21 Baker Rex O Bait station
US4637162A (en) * 1986-01-31 1987-01-20 Sherman Daniel A Tamper-proof rodent bait station
US4741121A (en) * 1986-03-13 1988-05-03 Andrew J. Pratscher Gas chamber animal trap
US4648201A (en) * 1986-03-17 1987-03-10 Sherman Daniel A Elongated baffled tunnel opening for a rodent tamper-resistant bait station
US4787170A (en) 1986-08-14 1988-11-29 Pied Piper International, Inc. Low oxygen scented mouse trap
US4660320A (en) * 1986-10-14 1987-04-28 J. T. Eaton & Company Bait station for small rodents
US4876823A (en) 1987-03-30 1989-10-31 Anthony Brunetti Insect trap
US4719718A (en) 1987-05-21 1988-01-19 Kon Robert T Electrically operated animal trap
JPH044544Y2 (ko) * 1987-05-27 1992-02-10
US4793093A (en) 1987-06-10 1988-12-27 Chesebrough-Pond's Inc. Feeding station for vermin
US4825581A (en) 1987-11-02 1989-05-02 Dailey Jack H Bait station for rodents and the like
CA1327889C (en) 1988-03-01 1994-03-22 Henning Joergensen Trap
US4765091A (en) * 1988-03-16 1988-08-23 Sherman Daniel A Collapsible rodenticide bait station
US4835902A (en) 1988-06-13 1989-06-06 Daniel Sherman Deflective tamper resistant rodent bait station
US4837969A (en) 1988-09-27 1989-06-13 S. C. Johnson & Son, Inc. Bait station
US4887381A (en) 1989-01-24 1989-12-19 Tieben James B Animal trap
US4905407A (en) 1989-05-22 1990-03-06 Sherman Daniel A Baffled rodenticide box
US5040327A (en) * 1990-02-12 1991-08-20 Bell Laboratories, Inc. Polygonal bait station
GB9007832D0 (en) 1990-04-06 1990-06-06 Sykes Brian M Bait box
US5011018A (en) * 1990-07-24 1991-04-30 Keffeler Paul J Medication dispenser with removable liner
US5148624A (en) 1991-04-10 1992-09-22 Schmidt George A Mousetrap
US5299380A (en) 1991-07-03 1994-04-05 Fornal Sr Robert W Rodent enclosure
US5172512A (en) * 1991-08-19 1992-12-22 Sterling Drug, Inc. Trap for catching mice and rats
US5272832A (en) 1992-08-03 1993-12-28 Lipha, S.A. Tamper-resistant bait station
US5353542A (en) * 1993-02-25 1994-10-11 Alan Vaudry Apparatus and methods for trapping insects
JPH07170896A (ja) * 1993-12-20 1995-07-11 Okuto:Kk 粘着式トラップハウジング
USD362045S (en) 1994-01-10 1995-09-05 S. C. Johnson & Son, Inc. Tunnel bait station
US5446992A (en) 1994-02-03 1995-09-05 Robobs, Inc. Vermin bait station
US5448852A (en) * 1994-04-06 1995-09-12 Bell Laboratories, Inc. Reinforced rodent bait station
US5682705A (en) 1994-05-11 1997-11-04 Stahl; Michael Trap
US5471781A (en) 1994-09-28 1995-12-05 Vine; Henry E. Mouse trap
AU678916B2 (en) * 1995-06-02 1997-06-12 Bell Laboratories, Inc. Bait station with elevated rodenticide support
US5628143A (en) * 1995-06-14 1997-05-13 Doucette; Carl Rodent poison dispenser
AU722749B2 (en) 1996-04-23 2000-08-10 Max H. Marks User-configurable modular trap system
JP3031124U (ja) * 1996-05-13 1996-11-22 シマダ商事株式会社 ネズミ用捕獲箱
US6145242A (en) * 1996-06-05 2000-11-14 Integrated Pest Management Technologies, Inc. Pest management system
US5806237A (en) * 1996-09-11 1998-09-15 Ecolab Inc. Rodent bait station
USD385611S (en) 1996-09-11 1997-10-28 Ecolab Inc. Rodent bait station
EP0834251A1 (en) 1996-10-07 1998-04-08 Terminator Turtle LP Bait holder and pest trap
US5930944A (en) * 1997-02-18 1999-08-03 Kness Mfg. C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pping and monitoring mice and insects
US5953853A (en) 1997-03-31 1999-09-21 Kim; Bok M. Mouse and rat trap
US5943813A (en) 1997-07-15 1999-08-31 Wang; Ching-Long Enclosing mousetrap
GB9715067D0 (en) * 1997-07-16 1997-09-24 Forward Hygiene Services Limit Tamper resistant bait station for rats
AU730886B2 (en) * 1997-08-25 2001-03-15 Earth Chemical Co. Ltd. Method for catching flea and apparatus for catching flea
GB9801163D0 (en) * 1998-01-21 1998-03-18 Morley Richard Bait station
US6041542A (en) 1998-01-23 2000-03-28 A-Pro Pest Control, Inc. Spill-resistant liquid bait station
US5966863A (en) 1998-01-23 1999-10-19 A-Pro Pest Control, Inc. Liquid bait station for ants and combined ant/rodent station
JPH11289958A (ja) * 1998-04-10 1999-10-26 Takeshi Komi ネズミ取り器
US6272791B1 (en) 1998-05-08 2001-08-14 Donald A. Pleasants Device for delivering a poison to a pest
IT1304008B1 (it) * 1998-06-10 2001-03-02 Dulcop Internat S P A Dispositivo per l'eliminazione di ratti e simili.
CA2262826A1 (en) 1998-07-22 2000-01-22 Donald Sutherland Fossorial rodent control compositions and methods
US6085691A (en) * 1998-08-13 2000-07-11 Kaytee Products, Inc. Formed treat support
US6158166A (en) 1998-09-02 2000-12-12 B&G Equipment Company Modular pest control system
US6164010A (en) 1998-09-02 2000-12-26 B&G Equipment Company Pest control system including compartments having areas for receiving pest control materials of differing physical consistencies
US6016623A (en) 1998-10-08 2000-01-25 Celestine; Wallace Rodent trap
US5974727A (en) * 1998-11-06 1999-11-02 Gilbert Industries Decorative flying insect trap
US20010001353A1 (en) 1999-01-19 2001-05-24 Robert Jones Trap for insects and small rodents
US7026942B2 (en) 1999-06-08 2006-04-11 Gilberto Cristofori Method for signalling the presence of prey in traps for vermin and device for carrying out this method
US7348890B2 (en) 1999-07-21 2008-03-25 Dow Agrosciences Llc Pest control techniques
US6202340B1 (en) 1999-08-18 2001-03-20 Joniel Nieves Electronically actuated animal trap
US6212819B1 (en) 1999-08-18 2001-04-10 Richard H. Edwards Reusable, odorless rodent trap
US6263612B1 (en) 1999-11-18 2001-07-24 Donald E. Shultz Rodent trap
US6513283B1 (en) * 1999-12-28 2003-02-04 Clinton D. Crossen Weight for rodent bait stations
US6370813B1 (en) * 2000-01-31 2002-04-16 Ecolab Inc. Insect bait station and reservoir
US6837008B2 (en) 2000-02-09 2005-01-04 University Of Florida Device for impeding a route of travel of crawling arthropods
GB2360437B (en) 2000-02-26 2003-12-10 Peter Leverton A trap
US6732471B2 (en) 2000-03-15 2004-05-11 Ecotrap Pty. Ltd. Trap
US6397517B1 (en) * 2000-04-28 2002-06-04 Bell Laboratories, Inc. Bait station with interior mechanical rodent trap
US6651378B2 (en) 2000-05-16 2003-11-25 Stanley Z. Baker Bait station for insects
US20030089025A1 (en) 2000-05-23 2003-05-15 Joe Maffo Rodent bait
IT1316081B1 (it) 2000-05-23 2003-03-28 Mario Caffagni Trappola per muridi
US6266917B1 (en) 2000-05-26 2001-07-31 Atlantic Paste & Glue Co., Inc. Pest control system
US6272789B1 (en) 2000-06-05 2001-08-14 Jung-Chang Huang Mice-catching cage
GB0019824D0 (en) 2000-08-12 2000-09-27 Brandenburg Uk Ltd Improvements to rodent traps
EP1197146A1 (en) * 2000-10-12 2002-04-17 Rentokil Initial U.K. Limited A pest trap
US6470622B1 (en) 2000-10-13 2002-10-29 Philip W. Sandler Rodenticide dispensing system
US20020043018A1 (en) * 2000-10-18 2002-04-18 Lyle Townsend Rock simulating pest trap
US6874274B2 (en) * 2000-10-18 2005-04-05 Lyle Townsend Rock simulating pest trap
US6618983B1 (en) 2000-10-25 2003-09-16 Rockwell Laboratories, Ltd. Insect baiting and trapping station
IT1319250B1 (it) * 2000-10-27 2003-09-26 Arribox S P A Dispositivo di bloccaggio del coperchio di chiusura di contenitori peresche di animali.
US6622422B2 (en) 2000-12-06 2003-09-23 Woodstream Corporation Escape-proof repeating animal trap
US6766251B2 (en) 2001-02-05 2004-07-20 Isca Technologies, Inc. Method for pest management using pest identification sensors and network accessible database
WO2002067674A1 (en) 2001-02-26 2002-09-06 Natrocell Technologies Limited An animal trap
US6389738B1 (en) * 2001-03-29 2002-05-21 Bell Laboratories, Inc. Alternating rodent insect trap
US6684560B2 (en) 2001-04-18 2004-02-03 David Lafforthun Humane animal trap
US6571509B2 (en) * 2001-06-01 2003-06-03 Kenneth L. Frasier Rodent poison feeder
USD459428S1 (en) 2001-06-05 2002-06-25 Bell Laboratories, Inc. Multi-catch rodent trap
US6481151B1 (en) 2001-06-07 2002-11-19 Bell Laboratories, Inc. Multiple rodent trap with sliding cover
US6775946B2 (en) 2001-06-11 2004-08-17 The Chamberlain Group, Inc. Remote identifying animal trap
GB2384966A (en) * 2002-02-07 2003-08-13 Reckitt Benckiser Inc Rodent bait station
MXPA03011625A (es) * 2001-06-16 2004-07-01 Reckitt Benckiser Inc Estacion de carnada para roedores.
US6493988B1 (en) * 2001-07-13 2002-12-17 Bell Laboratories, Inc. Bait station with internal card holder
AUPR662101A0 (en) 2001-07-26 2001-08-16 Oliver, Kenneth Rees Bait station and trap
US6588139B2 (en) 2001-07-27 2003-07-08 Huan Fu Kao Gravitational animal trap
US6631582B2 (en) 2001-08-28 2003-10-14 Kness Mfg. Co., Inc. Low profile tilt-ramp trap
US6594947B2 (en) 2001-10-17 2003-07-22 Trece, Inc. Multi-component device for capturing or repelling insects or insect pests
US6792713B2 (en) 2001-10-19 2004-09-21 B & G Equipment Company Replenishable pest control apparatus
GB2382515B (en) 2001-11-21 2004-11-10 Killgerm Chemicals Ltd Bait box
DE10159076A1 (de) * 2001-11-25 2003-06-12 Urbanguard Gmbh Köderstation für Nager, insbesondere für Ratten
US6751901B2 (en) 2001-12-20 2004-06-22 Emond Gerard Humane animal trap, and method of use thereof
JP3868289B2 (ja) * 2001-12-25 2007-01-17 アース製薬株式会社 殺鼠剤用容器
US6609328B2 (en) 2002-01-14 2003-08-26 Woodstream Corporation Electronic animal trap
DE10208138A1 (de) * 2002-02-26 2003-09-11 Joachim Rossa Vorrichtung zur Aufnahme von giftigen Fraßködern für Schadnager
US6725597B2 (en) 2002-03-28 2004-04-27 Ecolab Inc. Pest control device
US6671999B1 (en) * 2002-05-30 2004-01-06 Carl Doucette Insect and rodent bait dispenser
GB2391159A (en) * 2002-07-30 2004-02-04 J V Barrett & Co Ltd Bait holder
US6691452B1 (en) * 2002-08-30 2004-02-17 Kness Mfg. Co., Inc. Light weight responsive tilt ramp rodent trap
GB0225485D0 (en) * 2002-11-01 2002-12-11 Killgerm Chemicals Ltd Bait box
US6789352B2 (en) 2002-11-13 2004-09-14 Integrated Pest Management Technologies, Inc. Pest bait station
DE10307024A1 (de) * 2003-02-20 2004-09-09 Uwe Kirchhoff Köderstation
US6886292B2 (en) * 2003-03-19 2005-05-03 Gardner Manufacturing Co., Inc. Insect trap
US6807768B2 (en) 2003-03-20 2004-10-26 Bell Laboratories, Inc. Bait station with screw-off child-resistant lid
US7735258B2 (en) * 2003-03-22 2010-06-15 Vm Products, Inc. Tamper resistant weighted rodent and insect bait station
US6860060B2 (en) * 2003-04-21 2005-03-01 Douglas C. Hayes Dumpster rodent control system
GB0310433D0 (en) * 2003-05-07 2003-06-11 Network Pest Control Systems L Pest control means
GB0316522D0 (en) 2003-07-15 2003-08-20 Killgerm Chemicals Ltd Bait box
US7165353B2 (en) 2003-10-29 2007-01-23 Ecolab Inc. Insect suppression station
US20050102887A1 (en) * 2003-11-17 2005-05-19 Lang Jason G. Rodent trap
US20050198892A1 (en) 2004-03-10 2005-09-15 Lin Jun H. Underwater trap structure
SE527605C2 (sv) 2004-04-14 2006-04-25 Per Danielsson Fälla för djur
US7117631B2 (en) 2004-06-11 2006-10-10 John Peters Microencapsulated animal trap bait and method of luring animals to traps with microencapsulated bait
US20060053682A1 (en) * 2004-09-13 2006-03-16 Michael Goldstein Corner-fitting escape-proof repeating animal trap
US20080302000A1 (en) * 2004-12-30 2008-12-11 Syngenta Crop Protection, Inc. Leak-Resistant Bait Station
WO2006073790A2 (en) * 2004-12-30 2006-07-13 Syngenta Participations Ag Climate-controlled pest control station
US7434351B2 (en) * 2005-01-11 2008-10-14 James Robert Bette No maintenance lethal mosquito breeding trap
US20060156617A1 (en) 2005-01-18 2006-07-20 Brian Hale Snap trap enclosure for trapping and killing rodents
US20060156615A1 (en) 2005-01-18 2006-07-20 Brian Hale Snap trap enclosure for trapping and killing rodents
NZ538276A (en) * 2005-02-20 2006-06-30 Bin Trap Ltd Flying insect trap incorporated in to the lid of a rubbish bin
US7866086B2 (en) 2005-05-16 2011-01-11 Michael Murchis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pping animals
US20060272197A1 (en) 2005-06-06 2006-12-07 Bernd Wiesener Trap for rodents, in particular for mice and rats
US7513367B2 (en) * 2005-07-01 2009-04-07 Dispensing Solutions, Inc. Quick dispense system
USD529571S1 (en) 2005-07-21 2006-10-03 Killgerm Group Limited Animal trap
US7841130B2 (en) 2005-07-22 2010-11-30 Pied Piper International, Inc. Humane animal trap
CN101252833B (zh) * 2005-09-02 2011-01-26 瑞士解决方案有限公司 动物诱捕器
GB0517917D0 (en) 2005-09-03 2005-10-12 Riwa Ltd A bait box
JP2007274919A (ja) * 2006-04-04 2007-10-25 Toshimitsu Hayashi ネズミ捕獲器
WO2008028221A1 (en) * 2006-09-05 2008-03-13 Apc Tri-Star Developments Pty Ltd Bait station
CA2661125C (en) * 2006-09-22 2015-07-21 Ecolab Inc. Versatile pest station with interchangeable inserts
US7363744B2 (en) 2006-09-28 2008-04-29 Kness Mfg. Co., Inc. Insert for multiple mouse trap
US7669363B2 (en) 2006-10-10 2010-03-02 Steven Frisch Rodent bait station
CN200994368Y (zh) * 2006-12-28 2007-12-26 朱颖 高灵敏组合式捕鼠笼
US7892528B2 (en) 2007-01-12 2011-02-22 Siljander Eric D Controlling bedbugs with synthetic pheromones and/or infrared radiation
US20080184613A1 (en) 2007-02-07 2008-08-07 Joseph Emery Finnigan Trap
WO2008096352A2 (en) * 2007-02-07 2008-08-14 Westham Ltd. Methods and devices for attracting and trapping insects
US20080216385A1 (en) 2007-03-09 2008-09-11 John Peters Microencapsulated animal trap bait for escape-proof repeating animal traps
US8407933B2 (en) * 2007-06-28 2013-04-02 Basf Corporation Above-ground termite station
US8387306B2 (en) * 2007-06-28 2013-03-05 Basf Corporation Method of monitoring and controlling termites with heat-treated wood
US7690147B2 (en) * 2007-07-09 2010-04-06 Woodstream Corporation Rearming electronic animal trap with baffle, mechanical switch and multiple-killing-plate configuration
US7634868B2 (en) * 2007-09-24 2009-12-22 Matthew Stephens Ingestible substance dispenser and methods
US7987629B2 (en) * 2007-09-28 2011-08-02 Technicide, Inc. Rodent bait station
JP5212698B2 (ja) * 2007-12-14 2013-06-19 アース製薬株式会社 殺鼠剤収納容器
ITRE20080028A1 (it) * 2008-03-11 2009-09-12 O S D Gruppo Ecotech S R L '' erogatore d'esca per disinfestazione da roditori ''
JP3144159U (ja) * 2008-04-03 2008-08-21 金夫 榎 野生動物の捕獲装置
EP2296460B1 (en) * 2008-05-23 2019-03-27 Ecolab USA Inc. Insect trap
US20090307963A1 (en) * 2008-06-12 2009-12-17 Ben Abbas Exterior rodent bait station and lid-securing tool
US7874098B2 (en) * 2008-08-05 2011-01-25 Vm Products, Inc. Weighted rodent bait stations and related methods
NZ601392A (en) * 2008-09-22 2013-10-25 Basf Corp Live Trap for Trapping Rodents
US8028468B1 (en) * 2009-04-20 2011-10-04 Bell Laboratories, Inc. Bait station and detachable bait station base
GB0911116D0 (en) * 2009-06-26 2009-08-12 Reckitt & Colman Overseas Dispensing device for rodent baits
GB0911114D0 (en) * 2009-06-26 2009-08-12 Reckitt & Colman Overseas Dispensing device for rodent baits
USD619673S1 (en) * 2009-09-22 2010-07-13 Basf Corporation Rodent management system
US8291637B2 (en) * 2009-09-25 2012-10-23 B&G Equipment Company Rodent trap including presence indicator mechanism
US8701336B2 (en) * 2010-08-12 2014-04-22 Daniel J. Kay Pest control device
US20130283671A1 (en) * 2012-04-27 2013-10-31 Darek Czokajlo Device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trapping pes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875B1 (ko) * 2013-03-29 2014-12-12 주식회사 세스코 유해동물 포획장치
KR20210023371A (ko) * 2019-08-23 2021-03-04 (주)월드그린 쥐 포획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56524B2 (ja) 2013-12-04
US20100170140A1 (en) 2010-07-08
US8769865B2 (en) 2014-07-08
CR20110147A (es) 2011-04-27
US20100170141A1 (en) 2010-07-08
CN102223787B (zh) 2014-06-25
EA201100530A1 (ru) 2011-10-31
TW201029565A (en) 2010-08-16
AR075083A1 (es) 2011-03-09
IL211787A0 (en) 2011-06-30
US20100162614A1 (en) 2010-07-01
JP2012502661A (ja) 2012-02-02
BRPI0919276A2 (pt) 2015-12-15
NZ591816A (en) 2012-11-30
US20110041383A1 (en) 2011-02-24
US8387305B2 (en) 2013-03-05
WO2010033908A1 (en) 2010-03-25
AU2009292955B2 (en) 2014-05-29
MX2011002959A (es) 2011-04-26
EP2337448A1 (en) 2011-06-29
CA2737760A1 (en) 2010-03-25
CN102223787A (zh) 2011-10-19
US8387304B2 (en) 2013-03-05
AU2009292955A1 (en) 2010-03-25
JP2014012018A (ja) 201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9667A (ko) 설치류 관리 시스템
CN101516184B (zh) 具有可互换插入件的通用有害动物捕捉站
KR20110079666A (ko) 설치류 포획을 위한 생포용 트랩
US8857102B2 (en) Rodent trap
US6481151B1 (en) Multiple rodent trap with sliding cover
CA2175505A1 (en) Bait station with elevated rodenticide support
KR102092861B1 (ko) 고양이용 화장실
US20100319238A1 (en) Rodent management system
US11166448B2 (en) Animal trap
KR20080100664A (ko) 유해동물 포획 장치
US20200288696A1 (en) Rodent Trap
US20140259873A1 (en) Humane mousetrap with a novel entrance device
KR101201394B1 (ko) 개미 제거용 유인구
US7461478B2 (en) Trap for burrowing animals
KR102312757B1 (ko)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 포획 장치
CN210869588U (zh) 一种带饮水器的连续捕鼠器
KR102513825B1 (ko)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해충 포획 장치
KR200391481Y1 (ko) 동물 포획장치
US20170150708A1 (en) Humane mousetrap with a novel entrance device
KR200292866Y1 (ko) 물고기 포획용 어항
CN110637805A (zh) 一种带饮水器的连续捕鼠器
CZ15938U1 (cs) Zařízení pro odchyt krtk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