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8221A - 고속 응답 특성을 갖는 양방향 dc/dc 컨버터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고속 응답 특성을 갖는 양방향 dc/dc 컨버터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8221A
KR20110078221A KR1020090134972A KR20090134972A KR20110078221A KR 20110078221 A KR20110078221 A KR 20110078221A KR 1020090134972 A KR1020090134972 A KR 1020090134972A KR 20090134972 A KR20090134972 A KR 20090134972A KR 20110078221 A KR20110078221 A KR 20110078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ter
bidirectional
current
inductance
du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4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1985B1 (ko
Inventor
우병옥
조동호
임춘택
정구호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134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985B1/ko
Publication of KR20110078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8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2Buck-boost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양방향 DC/DC 컨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 제어 장치는, A/D 컨버터와 제어기 및 펄스폭 변조기를 포함한다. 제어기는 A/D 컨버터에 의해 변환된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입력전압, 출력전압 및 입력전류 데이터와 목표 전류치를 참조하여 양방향 DC/DC 컨버터의 매 스위칭 주기당 듀티를 산정한다. 펄스폭 변조기는 제어기에 의해 산정된 매 스위칭 주기당 듀티를 입력받아 양방향 DC/DC 컨버터의 각 스위치를 제어한다.
양방향 DC/DC 컨버터의 매 스위칭 주기마다 최적의 스위칭 시간을 계산하여 이를 제어함으로써 오버슈트 없이 최선의 출력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양방향 DC/DC 컨버터, 디지털 제어, 듀티, 최적 제어

Description

고속 응답 특성을 갖는 양방향 DC/DC 컨버터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HAVING FAST RESPONSE TIME}
본 발명은 양방향 DC/DC 컨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디지털 제어를 이용하여 양방향 DC/DC 컨버터를 고속 응답 특성을 갖도록 제어하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양방향 DC/DC 컨버터 시스템(10)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입력 직류링크(12), 전력 스위치(S1, S2), 인덕터(14) 및 커패시터(16)로 이루어진다. 입력 직류링크(12)는 예를 들어 배터리 및 인버터 직류링크와 연결된다.
도 2에는 종래에 이러한 양방향 DC/DC 컨버터(10)를 제어하기 위하여 이용된 제어기가 도시되어 있다. 제어기는 전압제어기와 전류제어기로 이루어지며, 전압제어기의 출력이 전류제어기 입력, 즉 전류 명령치(Io,ref)가 된다. 각 제어기는 PI 제어기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양방향 DC/DC 컨버터(10)의 커패시터(14)에 저장된 에너지는 출력전압(Vo) 크기의 제곱에 비례한다. 출력전압(Vo), 즉 저장 에너지의 크기를 결정하는 전압 명령치(Vo,ref)는 상위 시스템에서 결정되어 양방향 DC/DC 컨버터(10)로 전달된다. 전류 제어기가 내부, 전압 제어기가 외부 궤환을 형성하는데 이 경우 전류 제어기의 응답특성이 전체 시스템의 제어 성능을 좌우한다.
도 3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PI 제어기의 출력특성과 최적 제어기의 출력특성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PI 제어기 이득이 작으면 출력의 상승 기울기가 낮아 정상상태에 도달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제어기 이득을 키우면 정상 출력 상승 속도는 높일 수 있으나 오버슈트(overshoot)가 발생하고 출력이 안정화될 때까지 많은 시간이 걸린다. 시스템 해석과 시험을 통해 PI 제어기 이득을 구해 제어기 성능을 개선할 수 있으나 최적 제어성능에는 미치지 못한다.
최근 디지털 반도체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고성능의 시스템에서는 디지털 제어기가 보편화되고 있다. 양방향 DC/DC 컨버터는 고속 스위칭을 하는데, 디지털 제어 방식은 시스템 상태 검출과 스위칭 타이밍 사이의 시간지연이 근본적으로 존재한다. 이러한 시간지연은 제어기 이득을 높이는데 많은 제한요소가 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과도한 제어기 이득은 시스템을 불안정하게 하며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양방향 DC/DC 컨버터의 매 스위칭 주기마다 최적의 스위칭 시간을 계산하여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오버슈트 없이 최선의 출력특성을 갖는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초기에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인덕턴스값을 실측하여 제어에 이용함으로써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양방향 DC/DC 컨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 제어 장치로서, 양방향 DC/DC 컨버터로부터 측정된 입력전압, 출력전압 및 입력전류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A/D 컨버터; 상기 A/D 컨버터에 의해 변환된 입력전압, 출력전압 및 입력전류 데이터와 목표 전류치를 참조하여 양방향 DC/DC 컨버터의 매 스위칭 주기당 듀티를 산정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에 의해 산정된 매 스위칭 주기당 듀티를 입력받아 양방향 DC/DC 컨버터의 각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펄스를 생성하는 펄스폭 변조기를 포함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술한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양방향 DC/DC 컨버터를 디지털 방식으로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입력전압, 출력전압 및 입력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측정된 입력전압, 출력전압 및 입력전류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와 입력된 목표 전류치를 참조하여 양방향 DC/DC 컨버터의 매 스위칭 주기당 듀티를 산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에서 산정된 듀티에 대응하는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술한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인덕터의 인덕턴스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a) 스위칭 듀티를 최대로 유지하면서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출력전류를 0에서 허용최대치까지 증가시키면서 매 스위칭 주기마다 입력전압, 출력전압 및 전류변화량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에서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각 전류에 해당하는 인덕턴스를 산정하는 단계
을 포함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인덕터의 인덕턴스를 측정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너지양방향 DC/DC 컨버터의 제어특성은 내부의 전류제어기에 의해 시스템의 성능이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PI제어기는 제어기 이득이 작으면 출력응답이 느리고 이득이 오버슈트가 발생하거나 시스템이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어 제어특성 개선에 한계가 있다. 제안된 방식은 매 스위칭의 짧은 시간마다 최적의 스위칭 시간을 계산하여 출력을 제어한다. 따라서 오버슈트 없이 최선의 출력특성을 갖는 장점이 있다.
실제 시스템 구현 시 인덕턴스가 변하여 최적제어기에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 가 있다. 운전 초기에 전류를 증가시키면서 시스템에 인가하여 실측한 인덕턴스 값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5에는 본 발명의 제어 대상인 양방향 DC/DC 컨버터의 기본 동작이 설명되어 있다. 양방향 DC/DC 컨버터(10)는 두 전력 스위치(S1, S2)를 ON/OFF 제어하여 출력을 제어한다. 도 4 및 5에는, 스위치(S1, S2)의 도통 상태, 인버터 출력전압(Vo), 출력전류(Io), 인버터 출력전류(Io)가 나타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은 양방향 DC/DC 컨버터(10)는 입력전압(Vi)이 출력전압(Vo)보다 큰 범위에서 정상동작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가 순방향, 즉, 입력측에서 출력측으로 흘러 수퍼 커패시터을 충전하는 경우에는 위쪽 전력 스위치(S1)와 아래쪽 다이오드(S2)가 번갈아 도통되어 버크(Buck) 컨버터로서 동작한다. 전류가 역방향인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쪽 다이오드(S1)와 아래 전력 스위치(S2)가 번갈아 도통되어 부스트(Boost) 컨버터로서 동작한다.
양방향 DC/DC 컨버터(10)는 전류를 순방향, 즉, 직류 링크(12)에서 수퍼 커패시터(16) 방향으로 제어하여 수퍼 커패시터(16)에 에너지를 저장하며, 전류를 역방향으로 제어하여 저장된 에너지를 직류링크(12)로 되돌리는 역할을 한다.
도 6에는 도 4 및 5에 도시된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스위칭 구간별 출력전류 변화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것은 입력측에서 출력측 방향, 즉, 순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는 경우이다. 여기서 한 주기 스위칭 시간은 Ts로 정의하였다.
전력스위치 S1이 도통하는 동안을 구간 1이라고 하면 그 시간을 DTs (0≤D≤1)로 나타낼 수 있다. 구간 1에서는 입력전압(Vi)과 출력전압(Vo)의 차이(입력전압≥출력전압)가 인덕터(14)에 인가되어 전류가 증가한다. 구간 2는 한 스위칭 구간 중 S1이 차단되고 S2가 도통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전류가 순방향이므로 S2의 다이오드가 도통되며 이를 통해 인덕터 전류가 환류하게 된다. 이 때 인덕터에는 출력전압이 역으로 인가되어 전류가 감소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간 1과 구간 2를 적절히 조합하여 인덕터 전류, 즉, 출력전류(Io)를 제어할 수 있다. 역방향 전류인 경우에도 유사한 방법으로 스위치의 도통구간을 제어하여 출력전류 제어가 가능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구간을 Ts로 정의하면, 전력 스위치가 도통하는 구간 1의 시간은 DTs, 다이오드가 도통하는 구간 2는 (1-D)Ts가 된다. 여기서 D는 스위칭 듀티를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간 1과 구간 2 동안 인덕터에 인가되는 전압은 각각 (Vin-Vo), -Vo이다. Ts가 충분히 작아 한 스위칭 구간 동안 입력 및 출력 전압이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인덕터의 전류를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구간 1의 전류 변화량은
Figure 112009081923477-PAT00001
이며, 구간 2의 전류 변화량은
Figure 112009081923477-PAT00002
이다.
따라서 스위칭 구간 전체의 전류 변화량은
Figure 112009081923477-PAT00003
Figure 112009081923477-PAT00004
이 된다.
수학식 3에서 D를 구하면
Figure 112009081923477-PAT00005
이다.
위 수학식 4에서 보듯이 입력전압(Vin), 출력전압(Vo), 인덕턴스(Lo), 전류변화 목표치(△I)로부터 스위칭 시간, 즉, 듀티(D)을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칭 주기마다 계산된 듀티를 적용하면 매 주기 목표로 하는 전류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여러 스위칭 구간에 걸쳐 구간마다 목표하는 전류크기를 계산하여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웃하는 스위칭 구간 사이에 임의로 전류증가 및 전류감소의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각 스위칭 주기마다 목표 출력전류에 이르는 최적 듀티를 계산하여 적용하므로 최적전류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이용하면, 도 2의 최적 제어기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슈트(overshoot)가 생기지 않으면서 응답특성이 빠른 시스템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방식은 디지털 제어기로 경제적인 구현이 가능하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제어기를 이용하여 구현된 양방향 DC/DC 컨버터 제어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DC/DC 컨버터 제어장치(100)는 A/D 컨버터(110), 디지털 제어기(120) 및 펄스폭 변조기(PWM, pulse width modulator)(130)를 포함한다. 또한, 추가로 저장 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A/D 컨버터(110)는 제어 대상인 양방향 DC/DC 컨버터(10)로부터 센서를 이용해 측정된 입력전압(Vi), 출력전압(Vo) 및 출력전류(Io) 신호를 디지털 제어기(120)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디지털 제어기(120)는 A/D 컨버터(110)로부터 입력전압(Vi), 출력전압(Vo) 및 출력전류(Io) 데이터를 받고, 상위 시스템으로부터 목표 전류치(Iref), 즉, 전류 명령치를 입력받는다. 제어기는 상위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된 목표 전류치(Iref)와 측정된 출력전류(Io)의 크기를 비교하여 매 스위칭 주기당 전류변화 목표치(△I)를 결정한다. 산정된 주기당 전류변화 목표치(△I) 및 A/D 컨버터(110)로부터 입 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 수학식 4에서 해당 스위칭 주기의 듀티(D)를 산정한다. 이렇게 산정된 스위칭 주기, 즉, 듀티를 펄스폭 변조기(130)에 제공한다. 제어기로는 일반적인 전력제어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위와 같은 제어 방법이 프로그래밍된 컴퓨터가 이용될 수 있다.
펄스폭 변조기(130)는 디지털 제어기(120)로부터 입력된 듀티(D)에 기초하여 양방향 DC/DC 컨버터(10)의 스위치 S1과 S2를 제어하기 위한 펄스를 생성한다.
제어 대상인 양방향 DC/DC 컨버터(10)의 스위치 S1과 S2는 펄스폭 변조기(130)에 의해 생성된 펄스에 의해 각각 ON/OFF 제어된다. 이로써, 양방향 DC/DC 컨버터(10)는 매 스위칭 주기당 전류변화 목표치(△I)에 도달하게 된다.
한편, 위 수학식 4로부터 스위칭 듀티를 계산하기 위하여 입력전압(Vin), 출력전압(Vo), 인덕턴스(Lo), 전류변화 목표치(△I)등의 정보가 필요하다. 여기서 전압 및 전류정보는 센서로부터 측정한 데이터를 사용하므로 정확한 정보를 얻는데 문제가 없다. 또한, 전류변화 목표치는 목표 전류치(Iref)와 측정된 출력전류(Io)를 비교하여 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제작사의 제작 오차 및 코아 자기포화에 의해 인덕턴스 값이 시스템마다 다르다. 따라서 스위칭 듀티 계산에 오차가 발생하여 최적 출력 구현에 문제가 발생한다.
인덕터의 제작오차는 시스템마다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또한 전류가 커지면 코아에 자기포화가 발생하여 인덕턴스에 변화가 생긴다. 이러한 오차를 해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전류 변화에 따른 인덕턴스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제어기를 사용하여 구현이 가능하다.
도 6에 스위칭 구간의 전류변화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구간 1이 전체 스위칭 시간이 되도록, 즉, D=1이 되도록 제어하면 전류변화는 도 10과 같이 된다. 이때 수학식 1은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Figure 112009081923477-PAT00006
수학식 5에서 Lo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9081923477-PAT00007
수학식 6을 이용하면 실측 데이터로부터 인덕턴스를 구할 수 있다.
즉, 스위칭 듀티를 최대(D=1)로 유지하면 출력전류를 0에서 허용최대치까지 증가시키도록 제어가 가능하다. 도 11에 보인 바와 같이, 각 전류별로 기울기를 측정하여 인덕턴스를 계산할 수 있다. 이렇게 구한 결과는 인덕턴스를 실제 환경에서 측정한 것이므로 가장 정확한 데이터가 된다.
시스템 동작초기에 상기 방식으로 전류값 변화에 따른 인덕턴스를 측정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해당 스위칭 듀티계산에 적용하면 인덕턴스 변화에 따른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은 명백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어떤 사항도 본 발명의 범위를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보다 좁히려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이와 다른 실시 형태를 갖는 것을 배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대표적인 양방향 DC/DC 컨버터의 회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양방향 DC/DC 컨버터 제어 장치의 블록 선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 장치 및 최적 제어기에 의한 대표적인 출력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양방향 DC/DC 컨버터가 순방향으로 작동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양방향 DC/DC 컨버터가 역방향으로 작동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스위칭 구간별 출력전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스위칭 구간을 조절함에 따라 출력전류가 달라지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스위칭 구간 사이에 임의로 전류증가 및 감소의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함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도시한 블록선도이며,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인덕터의 인덕턴스를 측정하기 위하여 스위칭 듀티를 최대로 유지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저장된 전류-시간 관계로부터 인덕턴스를 구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3)

  1. 양방향 DC/DC 컨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 제어 장치로서,
    양방향 DC/DC 컨버터로부터 측정된 입력전압, 출력전압 및 입력전류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A/D 컨버터;
    상기 A/D 컨버터에 의해 변환된 입력전압, 출력전압 및 입력전류 데이터와 목표 전류치를 참조하여 양방향 DC/DC 컨버터의 매 스위칭 주기당 듀티를 산정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에 의해 산정된 매 스위칭 주기당 듀티를 입력받아 양방향 DC/DC 컨버터의 각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펄스를 생성하는 펄스폭 변조기
    를 포함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서,
    상기 제어기는 아래 식으로부터 매 스위칭 주기당 듀티를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 제어 장치
    Figure 112009081923477-PAT00008
    위 식에서, D는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스위칭 주기당 듀티, Vi는 입력전압, Vo는 출력전압, Ts는 스위칭 주기, Lo는 인덕턴스, 그리고 △I는 스위칭 주기당 전 류변화량.
  3. 청구항 1에서,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입력전압, 출력전압 및 입력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 제어 장치.
  4. 청구항 1에서,
    저장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 제어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저장 장치에는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인덕터의 인덕턴스를 측정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 제어 장치.
  6. 청구항 1에 기재된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양방향 DC/DC 컨버터를 디지털 방식으로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입력전압, 출력전압 및 입력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측정된 입력전압, 출력전압 및 입력전류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와 입력된 목표 전류치를 참조하여 양방향 DC/DC 컨버터의 매 스위칭 주기당 듀티를 산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에서 산정된 듀티에 대응하는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 제어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양방향 DC/DC 컨버터의 매 스위칭 주기당 듀티는 아래 식으로부터 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 제어 방법
    Figure 112009081923477-PAT00009
    위 식에서, D는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스위칭 주기당 듀티, Vi는 입력전압, Vo는 출력전압, Ts는 스위칭 주기, Lo는 인덕턴스, 그리고 △I는 스위칭 주기당 전 류변화량.
  8. 청구항 6에 있어서,
    (e) 상기 단계 (d)에서 생성된 펄스 신호를 이용하여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 제어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이전에,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스위칭 듀티를 최대로 유지하고 출력전류를 0에서 허용최대치까지 증가시키면서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입력전압, 출력전압 및 전류변화량을 측정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 제어 방법.
  10. 청구항 9에서, 상기 단계 (c) 이전에,
    상기 단계 (c)에서 양방향 DC/DC 컨버터의 매 스위칭 주기당 듀티를 계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인덕터의 인덕턴스를 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 제어 방법.
  11. 청구항 9에서,
    상기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인덕터의 인덕턴스는 산정은 아래 식을 이용하여 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 제어 방법
    Figure 112009081923477-PAT00010
    Lo는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인덕터의 인덕턴스, Vi는 입력전압, Vo는 출력전압, Ts는 스위칭 주기, 그리고 △I는 스위칭 주기당 전류변화량.
  12. 청구항 1에 기재된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인덕터의 인덕턴스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a) 스위칭 듀티를 최대로 유지하면서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출력전류를 0에서 허용최대치까지 증가시키면서 매 스위칭 주기마다 입력전압, 출력전압 및 전류변화량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에서 저장된 데이터에 아래 식을 적용하여 각 전류에 해당하는 인덕턴스를 산정하는 단계
    Figure 112009081923477-PAT00011
    을 포함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인덕터의 인덕턴스를 측정하는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산정된 인덕턴스값을 양방향 DC/DC 컨버터 제어 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인덕터의 인덕턴스를 측정하는 방법.
KR1020090134972A 2009-12-30 2009-12-30 고속 응답 특성을 갖는 양방향 dc/dc 컨버터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091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972A KR101091985B1 (ko) 2009-12-30 2009-12-30 고속 응답 특성을 갖는 양방향 dc/dc 컨버터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972A KR101091985B1 (ko) 2009-12-30 2009-12-30 고속 응답 특성을 갖는 양방향 dc/dc 컨버터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8221A true KR20110078221A (ko) 2011-07-07
KR101091985B1 KR101091985B1 (ko) 2011-12-09

Family

ID=44917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4972A KR101091985B1 (ko) 2009-12-30 2009-12-30 고속 응답 특성을 갖는 양방향 dc/dc 컨버터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9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01854A (zh) * 2015-03-05 2015-06-10 东南大学 一种含svg时电网pcc电压超调量的计算方法
KR20200085524A (ko) 2019-01-07 2020-07-1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력 변환 장치 및 이의 dc 링크 커패시터 rms 전류 저감을 위한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0927A (ja) 2003-06-27 2005-01-20 Shindengen Electric Mfg Co Ltd Dc−dcコンバータ
JP4393881B2 (ja) 2004-01-27 2010-01-06 富士電機ハイテック株式会社 電源供給方法および電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01854A (zh) * 2015-03-05 2015-06-10 东南大学 一种含svg时电网pcc电压超调量的计算方法
KR20200085524A (ko) 2019-01-07 2020-07-1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력 변환 장치 및 이의 dc 링크 커패시터 rms 전류 저감을 위한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1985B1 (ko) 201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0412B1 (ko) 벅 스위치 모드 파워 컨버터 큰 신호 천이 응답 최적화기
US8212543B2 (en) Method and systems for conduction mode control
KR101131751B1 (ko) 스위치 모드 전원 및 방법
US9647562B2 (en) Power conversion with switch turn-off delay time compensation
US200502700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load current in a CPU core voltage regulator
KR101920384B1 (ko) 펄스 폭 변조를 갖는 컨버터에서의 상대 효율 측정
US20160143108A1 (en) Led drive method and led drive device
US9641071B2 (en) Cuk based current source
US20210351687A1 (en) Inductor current reconstruction circuit, power converter and inductor current reconstruction method thereof
WO1998054827A1 (en) Method and circuit for operating a transistor as a rectifier
KR20160012189A (ko) 경부하로부터 고부하로의 트랜지션 후의 pwm 교정
US20190305685A1 (en) Voltage converting device
US20190181761A1 (en) Multi-phase dc-dc converter, recording medium and control method for multi-phase dc-dc converter
JP2018057203A (ja) 直流電力変換器
TWI460970B (zh) 適應性斜率補償模組及其方法
KR101091985B1 (ko) 고속 응답 특성을 갖는 양방향 dc/dc 컨버터 제어 장치 및 방법
US11228248B1 (en) Multiphase controller with failure diagnostic mechanism
CN113497556A (zh) 直流-直流转换器
CN113131722B (zh) 开关变换器的检测电路和控制电路
US10103635B2 (en) Buck-boost controller achieving high power factor and valley switching
JP2021027788A (ja) 電力変換装置の制御回路及び電力変換装置
JP5933418B2 (ja) 電力変換装置
US11233456B2 (en) Methods and systems of operating power converters
CN103095107B (zh) 开关变换器双缘脉冲频率调制v2型控制方法及其装置
JP5954256B2 (ja) 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