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6632A - Ptt/pet/pp계 인공모발섬유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Ptt/pet/pp계 인공모발섬유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6632A
KR20110076632A KR1020090133381A KR20090133381A KR20110076632A KR 20110076632 A KR20110076632 A KR 20110076632A KR 1020090133381 A KR1020090133381 A KR 1020090133381A KR 20090133381 A KR20090133381 A KR 20090133381A KR 20110076632 A KR20110076632 A KR 20110076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weight
parts
pet
pt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3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7064B1 (ko
Inventor
김종천
김환철
김찬영
오승민
박명은
Original Assignee
(주)우노 앤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노 앤 컴퍼니 filed Critical (주)우노 앤 컴퍼니
Priority to KR1020090133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7064B1/ko
Priority to PCT/KR2010/007786 priority patent/WO2011081291A2/ko
Publication of KR20110076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6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0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8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condensation product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9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condensation product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06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olefin as constitu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인공모발섬유는 PET 수지 및 PTT 수지로 이루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PP 수지 5∼30 중량부와 폴리올레핀계 상용화제 3∼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한 구체예에서는 PTT 수지와 PET 수지의 비는 30:70 내지 70:30 범위이고, PP 수지비율은 PTT/PET 100 중량부에 대해 5∼30 중량부이다. PP와 PET 및 PPT 수지 상호간의 상용성 개선을 위하여 폴리올레핀계를 주쇄로 하고 비닐폴리머를 측쇄로 하는 상용화제를 사용한다. 소광제로서 PTT/PET 100 중량부에 대해 무기미립자 0.05∼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PTT, PET, PP, 상용화제, 소광제, 인공모발섬유, 고유점도, 컬 형성성, 경량성

Description

PTT/PET/PP계 인공모발섬유 및 그 제조방법{PTT/PET/PP Type Synthetic Hair Filament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본 발명은 인공모발섬유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폴리프로필렌(PP)를 포함하는 인공모발섬유에 관한 것이다.
위그(wig), 헤어피스(hair piece), 브레이드(braid), 위빙(weaving) 등의 두발장식제품에는 인모, 염화비닐, 모다크릴,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등 합성수지로 제조한 인공모발이 사용되고 있다. 두발장식용 인공모발에 요구되는 특성은 컬 형성성, 경량성, 빗질성, 적당한 강도와 신도 등 가발사로서의 요구되는 섬유물성, 자연스러운 광택, 내열성, 난연성, 부드러운 촉감과 유연성 등이다. 여기서 컬형성성이란 헤어드라이어나 헤어아이언 등 미용도구로 원하는 형태의 컬을 용이하게 부여하는 특성이다. 경량성이란 헤어제품 착용자의 착용감을 좌우하는 성질로 인공모발소재의 비중에 의해 결정된다. 내열성이란 헤어아이언으로 컬형태를 형성 시킬 수 있는 온도에서 수축변형 혹은 열융착에 의한 섬유형태 변형이 없이 견딜 수 있는 특성이다.
종래의 가발용 섬유로는 PVC 섬유와 모다크릴 섬유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섬유는 난연성이 매우 우수하나 연화 온도가 낮아 헤어아이언으로 컬을 형성시킬 수 없어 용도가 제한되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열변형 온도가 비교적 높은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인공 모발이 개발된 바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인공 모발에는 PET, PBT, PTT 등의 수지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의 수지를 얼로이한 수지를 사용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특허 제10-071482호, 제10-0577584호, 제10-074782호, 제10-849517호, 및 제10-0426685호와 국제출원번호 WO 2005/010247에 폴리에스테르계 인공 모발이 개시되어 있다.
PET와 함께 PTT를 사용하여 인공모발을 제조하는 기술이 PCT/JP2006/321069 및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8-285771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PET 수지로 제조된 가발사는 컬형성성, 내열성은 우수하나 수지 자체의 비중이 1.38 정도로 인모대비 단위 중량당 10 % 정도 더 무겁기 때문에 두피의 피복능력(covering)이 떨어져 경량성을 요구하는 가발사로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결점은 비중이 1.27인 모다크릴 가발을 착용해온 가발사용자에게는 PET 가발사를 기피하는 원인이 되어 왔다. 다른 문제점으로는 PET 수지 자체의 높은 내열성 때문에 170 ℃ 이상의 고온에서의 헤어아이언 컬형성성은 우수하지만 유연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PTT 수지는 빗질시 저항이 적어서 빗질성이 좋고, 강성이 작기 때문에 유연하고, 유연하기 때문에 착용감이 우수하고, 촉감이 우수하여 두피자극이 적으며 탄성회복성이 우수하여 구김이 생기기 어려운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PTT계 수지는 비중이 1.34로 PET 수지 대비 약간 가볍지만 분자구조적으로 너무 유연하여 인모처럼 버팀성이 요구되는 인공모발로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PTT 가발사는 유리전이온도가 50 ℃로 가발사로서의 내열성이 낮으며 컬형성성이 불량하고 컬유지성도 매우 좋지 않아 가발사로서 사용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PET 및 PTT를 함유하는 인공모발섬유에 PP 수지를 수지를 함유시킨다면, PP 수지의 장점을 살릴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즉 본 발명자들은 인공모발로서의 경량성, 내열성, 빗질성, 촉감, 유연성을 고루 갖는 인공모발을 얻기 위하여 PTT 수지, PET 수지, PP 수지 3성분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인공모발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PP 수지는 비중이 0.9로 가벼워서 가발에 경량감을 부여하며, 섬유가 유연하여 부드러운 촉감을 부여한다. PP 수지는 비중이 0.9 수준으로 인공모발로서 가볍다는 장점이 있지만 용융온도가 160∼170 ℃로 주로 저가의 브레이드(braid) 두발제품에 사용되는 등 용도가 제한되어 왔다.
그런데 PP 수지는 PET 수지나 PTT 수지와 상용성이 없기 때문에 혼합방사가 불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상용성이 없기 때문에 제사공정에서 과도한 사절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PET 수지 및 PET 수지와 PP 수지 간의 상용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상용화제를 첨가하여 제사공정에서 발생하는 사절문제를 개선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모와 유사한 경량성을 갖는 PTT/PET/PP계 인공모발섬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열성이 양호한 PTT/PET/PP계 인공모발섬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강성이 적절하기 때문에 촉감과 볼륨감이 우수한 PTT/PET/PP계 인공모발섬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유연성이 우수한 PTT/PET/PP계 인공모발섬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종래 PET 수지 혹은 PTT 수지와 PP 수지와의 상용성을 개선하여 제사공정성이 불량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PTT/PET/PP계 인공모발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모두 하기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모발섬유는 PET 수지 및 PTT 수지로 이루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PP 수지 5∼30 중량부와 폴리올레핀계 상용화제 3∼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한 구체예에서는 PTT 수지와 PET 수지의 비는 30:70 내지 70:30 범위이고, PP 수지비율은 PTT/PET 100 중량부에 대해 5∼30 중량부이다.
PP와 PET 및 PPT 수지 상호간의 상용성 개선을 위하여 폴리올레핀계를 주쇄로 하고 비닐폴리머를 측쇄로 하는 상용화제를 사용한다.
소광제로서 PTT/PET 100 중량부에 대해 무기미립자 0.05∼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07∼3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1∼2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소광제는 탈크, 실리카, 산화안티몬, 산화칼슘 등 무기미립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PET 수지, PTT 수지, PP 수지, 상용화제 및 소광제를 부가하여 제조된 펠렛으로부터 용융방사하여 미연신사를 제조하고, 이 미연신사를 연신하고, 열처리하는 단계를 거쳐 인공모발섬유를 제조한다.
다른 구체예에서는 PTT 수지 30∼70 중량부와 PET 수지 30∼7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PP수지 5∼30 중량부, 폴리올레핀계 상용화제 3∼10 중량부, 소광제 0.05∼5 중량부를 부가하여 제조된 펠렛으로부터 용융방사하여 스핀드로(spindraw) 방식으로 인공모발섬유를 제조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하기와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엉킴이 적고 파이프(pipe) 컬(curl) 형성성이 양호하며 비중이 작기 때문에 가볍고 파이프 컬 형성성, 140∼180 ℃의 고데기 컬형성성, 빗질성, 자 연스러운 광택과 유연한 PTT/PET/PP계 인공모발섬유를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인공모발섬유에 관한 것으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폴리프로필렌(PP)를 포함하는 인공모발섬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공모발섬유는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PTT 수지는 테레프탈산(TPA)과 1,3-프로판디올(PDO)을 축중합하여 제조된 수지로서,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수지가 모두 이용가능하다. 통상 PTT 수지는 용융온도가 약 230 ℃이고, 유리전이온도가 약 51 ℃이며, 비중은 1.34, 열수축율은 14 %, 강도는 3.5 g/d, 신도는 36 %이다.
PET 수지도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수지가 모두 이용가능하며, 통상 용융온도가 약 254 ℃이고, 유리전이온도가 약 69 ℃이며, 비중은 1.38, 열수축율은 7 %, 강도는 4.0 g/d, 신도는 30 %이다.
상기 PTT 수지는 고유점도(intrinsic viscosity: IV)가 0.8∼1.5 범위인 것인 바람직하고, PET 수지는 고유점도가 0.6∼1.2 범위인 것인 바람직하다. 고유점도가 이 범위를 벗어나면 가발원사로서의 원하는 물성을 얻을 수 없다.
상기 PP수지는 용융점도는 230 ℃, 2.15 kg 시험조건에서 5∼20 g/10min의 용융지수를 갖는 직쇄형 제품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인공모발섬유 수지의 혼합비율은 PTT/PET 100 중량부에 대하여 PP 수지 5∼30 중량부가 적합하다. PTT/PET 혼합비율은 특별히 정하지는 않지만 중량비율로 PTT/PET = 70/30∼30/70 중량비이다. 두 수지의 배합비율은 두발제품의 용도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다. PP 수지의 혼합비율은 PTT/PET 100중량부에 대해 5∼30 중량부가 적당하다. 5 중량부 이하이면 본 발명의 효과가 적어 경량성이 없으며 30 중량부 이상이면 내열성이 낮아져 헤어아이언 사용시 가발사 수축변형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10∼20 중량부이다.
본 발명에서 PTT/PET 수지와 PP 수지의 상용성을 향상시켜 방사공정성을 개선할 목적으로 폴리올레핀계 상용화제가 필요하다. 상용화제로는 폴리올레핀을 분자 주쇄에 배치하고 측쇄에 비닐모노머가 그라프트된 수지가 적합하다. 이 수지의 첨가량은 PTT/PET 100 중량부에 대하여 3∼10 중량부이다. 3 중량부 이하이면 상용성 개선효과가 적고 10 중량부 이상이면 내열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무기미립자 소광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광제를 첨가함으로서, PTT/PET/PP계 가발원사의 광택을 인모의 광택 수준으로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소광제는 0.01∼1.0 ㎛ 범위의 평균입경을 갖는 것이 적합하다. 입경이 0.01 ㎛ 미만일 경우, 컴파운딩 공정에서 응집을 일으켜 방사, 연신공정에서 사절발생이 증가할 수 있다. 반면, 입경이 1.0 ㎛을 초과할 경우, 섬유 표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므로 인공모발로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상기 소광제는 PTT/PET 혼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소광제를 0.05∼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2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소광제를 0.05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 소광효과가 부족하고,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착색된 인공모발의 색상을 탁하게 하여 선명하고 아름다운 색상의 사를 얻을 수 없다. 또한 방사 연신과정에서 단사 발생이 증가하며 표면에 돌기가 발생되며, 빗질시 엉킴 현상이 증가하여 인조모발용 섬유로서는 부적합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소광제는 무기 소광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예로는 탈크, 실리카, 산화안티몬, 산화칼슘 및 무기미립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초수지로 사용되는 PTT/PET/PP 수지는 소광제와 용융 혼합하기 전 및 용융 방사 전에 충분하게 건조해주어서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PTT/PET/PP 수지, 소광제를 혼합한 조성물을 압출하여 펠렛 상으로 제조하고, 상기 펠렛을 수분율 500 ppm 이하가 되도록 건조시키고 그리고 상기 건조된 펠렛을 용융방사하는 단계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PTT/PET/PP계 인공모발섬유는 용융방사하여 미연신사를 제조한 후, 이를 연신하고, 열처리함으로써 제조한다. 또는 스핀드로 방식에 의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압출된 펠렛은 용융 방사 전에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 단계는 질소분위기 하에서 80∼180 ℃, 바람직하게는 95∼150 ℃에서 3 내지 10 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 시간 건조하여 수분율 500 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수분율이 0∼100 ppm이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건조단계를 거친 펠렛은 통상의 방법으로 용융방사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는 압출기 선단부에 노즐이 장착된 압출기에 투입하여 미연신사를 제조한다. 방사 구금의 형태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땅콩형, 별형, 타원형, 중공타원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방사온도는 압출기 실린더 온도를 250∼300 ℃로 한다.
상기 미연신사는 연신장치에서 2∼5 배의 연신비로 연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신장치는 통상 가열드럼 연신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신된 연신사는 150∼220 ℃ 범위로 가열된 열처리 장치에서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방법 및 열처리 장치는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열처리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인공모발섬유는 40∼70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인공모발섬유는 140∼180 ℃의 미용 열기구(헤어 아이론)에서도 변형이 거의 없어 내열성이 우수하고 인모와 유사한 광택을 가지며, 또한 색상이 선명하여 가발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가발의 종류는 형태적으로 착용자의 머리위에 둘러쓰는 위그(wig)류, 자신의 머리카락에 접착제나 바느질로 단단히 연결하여 연속적으로 사용하는 형태의 익스텐션류, 자신의 머리카락에 가발사를 꼬아 연결하는 브레이드류, 자신의 머리카락 에 핀으로 간단히 부착하여 부착과 탈착이 용한 헤어피스류 등 매우 다양하다. 본 발명은 상기 가발용에 사용되는 가발사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본인의 모발과 연결한 상태로 사용하는 가발용도에 적합한 가발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발용 원사는 선명한 색상, 자연스러운 광택, 가벼움, 내열성, 부드러운 촉감과 유연성, 컬 형성성 및 컬 유지성과 더불어 내열성이 양호하고, 모발이 짧고 빈약한 흑인여성들처럼 자신의 모발에 가발사를 부착한 상태로 생활을 하게 되는 경우 눌리거나 접혀지거나 비벼지는 등 물리적인 힘을 받게 되는 경우에 원래의 컬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빗질시에 엉키지 않고 원래의 헤어스타일을 손쉽게 정리하기에 편리하다. 또한 부착한 상태로 일상생활을 하는 특성상 착용감이 좋고 유연하여 착용에 따르는 이질감을 느끼지 않는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사용된 각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PTT
듀폰(Dupont)사 상품명 Sorona Bright(산화티탄 함량 0 %)을 사용하였다.
(B) PET
(주)휴비스의 IV 0.64인 SB칩을 사용하였다.
(C) PP
(주)엘지화학의 SEETEC H7400을 사용하였다.
(D) 상용화제
일유주식회사의 모디퍼 3400을 사용하였다.
(E) 소광제
일본탈크(주)의 ACE 탈크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6 및 비교실시예 1∼4
PTT 수지, PET 수지, PP 수지를 수분율 100 ppm 이하로 건조하여 표 1의 배합처방에 의해서 2축 컴파운더에서 혼합하여 펠렛을 제조하고 건조시킨 후 50 mm 압출기에서 이 펠렛과 탈크가 첨가된 마스터배치 칩을 혼합하여 용융방사하였다. 방사조건은 실린더 부온도를 260∼280 ℃로, 다이 부온도를 280 ℃로 하여 노즐 150홀에서 미연신사 섬도 240 데니어를 권취속도 150 m/min 속도로 권취하였다. 여기서 제조된 미연신사를 연신배율 4배, 연신온도 90 ℃에서 연신하고, 온도 180 ℃에서 열처리하였다.
Figure 112009081402233-PAT00001
물성평가방법
(1) 경량성
섬유의 비중으로 평가하였다. 섬유의 비중은 수지원료 제조회사에서 제공한 물성 자료를 기준으로 하여 계산하였다.
* PTT 수지 1.34 * PET 수지 1.38 * PP수지 0.9
(2) 강도, 신도 및 영율
LLOYD 인스트로먼트사제 인장강력 측정설비 모델 LRX plus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필라멘트 160 가닥을 집속하여 측정시료로 만들었다. 1KN인 로드셀을 장착하였고, 시료의 파지거리는 200 mm, 인장속도 200 mm/분으로 인장하면서 강도, 신도를 측정하였다. 동일한 시험을 5회 반복하여 평균치를 구하였다. 강도의 단위는 g/d, 신도의 단위는 %로 하였다.
(3) pipe curl 형성성
40,000 데니어 필라멘트 토우상태의 인공모발(모노섬도 50 데니어인 인공모발 800 필라멘트)을 집속시켜 40 cm 길이로 절단하여 pipe curl 형성성 평가시료로 하였다. 이 시료를 직경 38 mm 알루미늄 파이프에 수평방향으로 펴서 촘촘히 감은 후 75 ℃로 가열한 열품건조기속에서 60 분간 curl set 처리하였다. 열풍건조기에서 꺼낸 후 자연 상태에서 25 ℃까지 냉각시킨 후 편평한 곳에 놓고 컬직경을 측정하여 pipe curl 형성성으로 평가하였다.
(◎: 컬직경이 38 mm와 같은 경우, ○: 컬직경이 39∼40 mm인 경우, △: 컬직경이 41∼42 mm, ×: 컬직경이 43 mm 이상인 경우)
(4) 촉감
40,000 데니어 필라멘트 토우상태의 인공모발(모노섬도 50 데니어인 인공모발 800 필라멘트)을 집속시켜 30 cm 길이로 절단하여 열풍건조기 60 ℃에서 2 시간 건조한 후 엄지와 검지 및 중지로 비벼가면서 평가하였다. 평기기준은 인모를 기준 으로 하여 4 단계로 평가하였다.
(◎: 평활감이 매우 우수하다, ○: 평활감이 약간 있다, △: 평활감이 부족하다, ×: 평활감이 매우 부족하다.)
(5) 빗질성
총섬도 800,000 데니어의 필라멘트 토우를 학클장치를 통과시켜 빗질성을 평가하였다.
(◎: 전혀 저항이 없다, ○: 약간 저항이 있다, △: 상당히 저항이 있다, ×: 빗질 도중에 걸려서 절단된다.)
(6) 유연성
40,000 데니어 필라멘트 토우상태의 인공모발(모노섬도 50 데니어인 인공모발 800 필라멘트) 30 cm 길이로 절단하여 집속시켜 손으로 180 °굽히는 걸리는 힘을 4 단계로 평가하였다.
(◎: 전혀 저항감이 없다(PTT 100 % 인공모발을 굽혔을 때 걸리는 힘을 기준으로 함), ○: 약간의 저항감이 있다, △: 상당한 저항감이 있다, ×: 저항감이 크다(PET 100 % 인공모발을 굽혔을 때 걸리는 힘을 기준으로 함))
(7) 제사공정성
방사공정에서 하나의 노즐에 토출되는 160 홀(hole) 가닥의 섬유를 36 시간 용융방사할 때 사절되는 횟수에 의해 평가하였다.
(◎: 사절이 0 회, ○: 사절이 1∼2 회, △: 사절이 3∼5 회, ×: 사절이 6회 이상)
(8) 광택
집속된 사 다발 80,000 데니어(160 hole×50 데니어×10 가닥)인 인공모발을 10 cm 길이로 잘라서 태양광 아래서 육안으로 광택을 평가하였다(◎: 인모와 유사한 광택, ○: 인모보다 강한 광택, △: 인모보다 적은 광택, ×: 광택이 인모보다 적고 탁색임).
상기 실시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PP 수지를 함유함으로써 엉킴이 적고 파이프(pipe) 컬(curl) 형성성이 양호하며 비중이 작기 때문에 가볍고 파이프 컬 형성성, 140∼180 ℃의 고데기 컬형성성, 빗질성, 자연스러운 광택과 유연한 PTT/PET/PP계 인공모발섬유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보다 구체화될 것이지만,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PET 수지 및 PTT 수지로 이루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PP 수지 5∼30 중량부와 폴리올레핀계 상용화제 3∼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모발 섬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TT 수지와 PET 수지의 비는 30:70 내지 70:30 범위이고, PP 수지비율은 PTT/PET 100 중량부에 대해 5∼3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모발 섬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화제는 PP와 PET 및 PPT 수지 상호간의 상용성 개선을 위하여 폴리올레핀계를 주쇄로 하고 비닐폴리머를 측쇄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모발 섬유.
  4. 제1항에 있어서, 소광제로서 PTT/PET 100 중량부에 대해 무기미립자 0.05∼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모발 섬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광제는 탈크, 실리카, 산화안티몬, 및 산화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모발 섬유.
  6. PET 수지, PTT 수지, PP 수지, 상용화제 및 소광제를 부가하여 펠렛을 제조하고;
    상기 제조된 펠렛으로부터 용융방사하여 미연신사를 제조하고;
    상기 미연신사를 연신하고; 그리고
    상기 연신사를 열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모발섬유의 제조방법.
  7. PTT 수지 30∼70 중량부와 PET 수지 30∼7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PP수지 5∼30 중량부, 폴리올레핀계 상용화제 3∼10 중량부, 및 소광제 0.05∼5 중량부를 부가하여 제조된 펠렛으로부터 용융방사하여 스핀드로(spindraw) 방식으로 인공모발섬유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090133381A 2009-12-29 2009-12-29 Ptt/pet/pp계 인공모발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167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381A KR101167064B1 (ko) 2009-12-29 2009-12-29 Ptt/pet/pp계 인공모발섬유 및 그 제조방법
PCT/KR2010/007786 WO2011081291A2 (ko) 2009-12-29 2010-11-05 Ptt/pet/pp계 인공모발섬유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381A KR101167064B1 (ko) 2009-12-29 2009-12-29 Ptt/pet/pp계 인공모발섬유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632A true KR20110076632A (ko) 2011-07-06
KR101167064B1 KR101167064B1 (ko) 2012-07-27

Family

ID=44226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3381A KR101167064B1 (ko) 2009-12-29 2009-12-29 Ptt/pet/pp계 인공모발섬유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67064B1 (ko)
WO (1) WO201108129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4965A (ko) * 2012-08-31 2015-04-27 후지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인공 모발 및 이를 이용한 가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93422B (zh) * 2020-05-14 2021-06-29 许昌鸿洋生化实业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petg的快速成型假发纤维及其制备工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5677A (ja) 2003-06-27 2005-01-20 Sigma:Kk ポリエステル系樹脂組成物
KR20050011816A (ko) * 2003-07-24 2005-01-31 나상권 열가소성수지의 블렌드 조성물 및 성형품
WO2005089821A1 (ja) * 2004-03-19 2005-09-29 Kaneka Corporation 難燃性ポリエステル系人工毛髪
WO2007032272A1 (ja) * 2005-09-13 2007-03-22 Kaneka Corporation 毛髪用繊維およびそれからなる頭飾製品
KR100849517B1 (ko) 2008-02-21 2008-07-31 (주)우노 앤 컴퍼니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인공모발섬유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4965A (ko) * 2012-08-31 2015-04-27 후지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인공 모발 및 이를 이용한 가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81291A2 (ko) 2011-07-07
KR101167064B1 (ko) 2012-07-27
WO2011081291A3 (ko) 201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70800B (zh) 接发、使用了该接发的头饰制品及接发的制造方法
JP5700048B2 (ja) ポリ塩化ビニル系樹脂繊維の製造方法
KR100849517B1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인공모발섬유 및 그 제조방법
JP4823237B2 (ja) 人工毛髪、人工毛髪を有するかつら並びに人工毛髪の製造方法
WO2017187843A1 (ja) 人工毛髪繊維
JPWO2015056629A1 (ja) 形状記憶及び形状復元機能を持つ人工毛髪用繊維、耐燃焼性に優れた人工毛髪用繊維、低光沢な外観を有する人工毛髪用繊維
KR101243613B1 (ko)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인공모발 섬유 및 그 제조 방법
JP5978306B2 (ja) 人工毛髪及びそれを用いたかつら
JP5122133B2 (ja) 人工頭髪繊維束及びそれからなる頭飾製品
KR101021284B1 (ko)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인공모발 섬유 및 그 제조 방법
KR101167064B1 (ko) Ptt/pet/pp계 인공모발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084492B1 (ko) 인공모발용 폴리아미드계 섬유 및 그 제조 방법
JP2008285772A (ja) 人工毛髪およびそれからなる頭飾製品
JP2005120533A (ja) ポリエステル系人工毛髪用繊維
KR101161161B1 (ko) 인공모발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907049B1 (ko) 인공 모발용 섬유, 및 두발 제품
WO2007049561A1 (ja) ポリエステル系人工毛髪
KR101562284B1 (ko) 인공모발섬유 및 그 제조방법
JP4854272B2 (ja) 人工頭髪用繊維
JP2002227028A (ja) アクリル系人工毛髪繊維およびそれからなる頭飾製品
CN117265693A (zh) 一种假发纤维及其制备方法
WO2007043559A1 (ja) 人工毛髪用繊維束及び頭飾製品
JP2009028342A (ja) 人形用毛髪
CN117256989A (zh) 一种假发
JP2005307409A (ja) ポリエステル系人工頭髪用繊維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