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9272A - 신규한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의 역병 예방용 미생물 제제 - Google Patents

신규한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의 역병 예방용 미생물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9272A
KR20110069272A KR1020090125938A KR20090125938A KR20110069272A KR 20110069272 A KR20110069272 A KR 20110069272A KR 1020090125938 A KR1020090125938 A KR 1020090125938A KR 20090125938 A KR20090125938 A KR 20090125938A KR 20110069272 A KR20110069272 A KR 20110069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enibacillus polymyxa
present
strains
preventing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5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3538B1 (ko
Inventor
이현주
홍순성
김진영
이진구
박경열
김영호
Original Assignee
경기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도 filed Critical 경기도
Priority to KR1020090125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538B1/ko
Priority to PCT/KR2010/008806 priority patent/WO2011074831A2/ko
Publication of KR20110069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9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20Bacteria;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01N63/25Paeni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io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의 역병 예방용 미생물 제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추, 토마토, 오이, 수박 등 다양한 작물에 발생하는 토양병원균인 역병균에 대해 길항반응을 보이는 신규한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이 미생물을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 및 상기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식물의 역병 예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No.72는 고추, 토마토, 오이, 수박 등의 하우스 작물이나 화훼류 재배시 문제가 되고 있는 식물 역병균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우수한 미생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No.72를 미생물로써 또는 미생물 제제로써 이용함으로써 하우스 농가나 화훼 농가에서 안정적으로 작물을 재배하므로써 농가의 소득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노동력도 월등히 절감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역병균, 미생물 제제, Phytophthora속

Description

신규한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의 역병 예방용 미생물 제제{NOVEL PAENIBACILLUS POLYMYXA AND MICROORGANISM AGENT COMPRISING THE STRAINS FOR PREVENTING PHYTOPHTORA CAPSICI OF PLANTS}
본 발명은 신규한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의 역병 예방용 미생물 제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추, 토마토, 오이, 수박 등 다양한 작물에 발생하는 토양병원균인 역병균에 대해 길항반응을 보이는 신규한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이 미생물을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 및 상기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식물의 역병 예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농업은 품종 개량, 토양 비옥도 증진, 병해충 방제 및 잡초 제거 등의 방법으로 식량 증산에 몰두해 왔지만 지속적인 농약의 사용과 남용은 토양과 하천의 심각한 오염을 유발하고 있다. 또한 농작물에 이들 농약이 잔류하므로써 독성, 환경오염 및 사람과 가축에 대한 독성 등의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에 농약 사용은 현재 세계적으로 그에 대한 제제 조치가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농약에 대한 우려와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최근에는 새로운 대안으로서 농작물 병해충 방제에 미생물이나 식물추출물을 이용하는 생물학 적 방제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생물학적 방제는 소비자의 안전한 농산물 요구증대에 부응하여 환경에 유해한 화학적 농약을 사용하는 대신에 미생물 또는 식물추출물을 이용하여 환경, 다른 식물 및 인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면서 대상 병을 선택적으로 방제하는 방법이다.
역병균은 병원성이 강하고 기주 특이성이 높지만, Phytophthora nicotianaePhytophthora cinnamomi 등은 1,000 여종의 기주를 침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96년부터 5년간 수행된 국내발생 역병균의 분류 체계확립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각 도별로 발생되는 역병균의 종류는 8종에서 14종정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 중 P. cactorum, P. capsici, P. drechsleri, P. infestans, P. nicitianae는 해마다 전국적으로 발생되고 있으며 기주별 피해정도와 경제적 피해수준 등을 감안할 때 이들은 국내발생 5대 주요 역병균이라 할 수 있다.
역병 피해가 가장 큰 작물은 가지과와 박과 채소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각 종 과수와 분화류에도 역병이 많이 발생되고 있다. 노지재배 작물에서는 여름철인 6월과 9월 사이에 역병발생이 많지만, 하우스 작물이나 화훼류에는 연중 발생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는 양액재배에서는 역병이 발생되면 거의 전 포장이 감염되어 큰 피해를 입는 경우가 종종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를 이용한 식물의 역병 예방용 미생물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양에서 분리한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Paenibacillus polymyxa) No.72 (KACC 91502P)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서열목록 1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을 가지는 것인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No.72 (KACC 91502P)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No.72 (KACC 91502P)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토양에서 분리한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Paenibacillus polymyxa) No.72 (KACC 91502P)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먼저 다양한 환경에서 채취한 토양으로부터 항진균 반응을 나타내는 미생물을 탐색, 확보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서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의 시설하우스에서 재배중인 상추포장의 근권 토양을 채취하여 얻어진 시료로부터 생물검정에 의해 식물의 역병균에 대해 길항반응을 보이는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균주에 대하여 형태적, 생화학적 특성 및 NCBI blast 검색을 실시한 결과, 새로운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Paenibacillus polymyxa) 균주를 동정하였다.
선별된 균주를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No.72로 명명하고, 2009년 11월 10일자로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 기탁하였다(기탁번호 KACC 91502P).
본 발명에 따라 선별된 균주는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와 89%의 상동성을 나타냈으며, β-자일로시다제, β-만노시다제 및 카나마이신에서 다른 생화학적 반응을 보여 새로운 균주로 명명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No.72는 배양 배지로서 TSB(Triptic Soy Broth)배지 상에서 잘 자라며, 15 내지 30 ℃ 범위에서 생육이 가능하고, 20 내지 25 ℃에서 가장 잘 자란다.
본 발명의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No.72의 생육 pH 범위는 6 내지 9로 pH 7.0 내지 8.0에서 가장 잘 자란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No.72는 식물의 역병의 예방에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No.72에 의해 역병균을 예방하는 식물에는 특별히 제한이 없으나, 상기 식물로는 가지과와 박과의 채소, 바람직하게는 고추, 토마토, 오이, 상추 또는 수박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No.72의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Phytophthora capsici 뿐만 아니라 Phytophthora infestans, Phytophthora dreschleri와 Rhizoctonia solani, Sclerotinia homoeocarpa, Sclerotinia sclerotinia, Botyritis cinerea 등에 대해 paper disc법으로 대치배 양한 결과, 고추 역병균 뿐만 아니라 잿빛곰팡이병, 시들음병, 탄저병 등 주요 작물 병원균에 대해서도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의해 단리된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No.72는 항균력 포트 검정에서 고추 역병균에 대한 예방효과가 입증되었으며, 포장 시험에서의 생물검정 결과 무처리군과 대비하여 78%의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또한 고추 역병균 3종류에 대해서도 모두 예방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으로 분리, 동정된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No.72는 미생물 자체로 식물의 역병균 예방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포함하는 식물의 역병균 예방용 미생물 제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No.72와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식물의 역병균 예방방법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No.72는 식물 역병균을 예방할 수 있는 미생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로 농가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No.72는 고추, 토마토, 오이, 수박 등의 하우스 작물이나 화훼류 재배시 문제가 되고 있는 식물 역병균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우수한 미생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No.72를 미생물로써 또는 미생물 제제로써 이용함으로써 하우스 농가나 화훼 농가에서 안정적으로 작물을 재배하므로써 농가의 소득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노동력도 월등히 절감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균주의 분리
2007년 3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의 시설하우스에서 재배중인 상추 포장에서 근권 부위의 토양을 채취하였다.
채취된 토양을 바람이 잘 통하는 실내에서 건조시킨 후 토양 1 g을 정량하여 10 ml의 멸균수에 넣어 잘 현탁한 후 현탁액 1 ml를 채취하여 9 ml의 멸균수가 담긴 시험관에 차례대로 10배씩 희석하였다. 현탁액이 희석된 멸균수를 200 ul 씩 취하여 NA(Nutrient Agar) 고체 평판배지의 중앙에 넣고 멸균된 스프레드로 골고루 밀어준 후 25 ℃ 항온기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각각의 모양으로 형성된 콜로니를 취하여 균주번호를 붙여주고 항진균 반응에 이용하였다.
실시예 2 균주의 동정
토양병해인 고추 역병균, Phytophthora capsici에 대해 길항반응을 보이는 균주를 동정하기 위해 16s rDNA 의 염기서열 분석하여 NCBI blast를 검색하여 Paenibacillus polymyxa와 99% 일치하였다.
균주의 형태적 동정을 위해 전처리 과정을 거친후 주사 전자 현미경(Sanning Electronic microscope,HITACHI S-3000)으로 관찰하였고, 세균검정기 VITEK PRO의 BCH 카드를 이용하여 생화학적 반응검정을 확인하여 균의 종류를 확인하였다. 동정결과 β-자일로시다제, β-만노시다제, 카나마이신에서 다른 생화학적 반응을 보였으며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Paenibacillus polymyxa)와 89%의 상동성을 보였다.
전자현미경 검경결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단간균형의 균주로 형태가 확인되었다.
이에 분리된 동정균을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Paenibacillus polymyxa) No.72로 명명하였다. 이 균을 2009년 11월 10일자로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 기탁번호 KACC 91502P로 기탁하였다.
[표 1]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No.72의 생화학적 특성
1 β-자일로시다제 - 3 라이신 - 4 아스파테이트 - 5 루이신 + 7 페닐알라닌 + 8 L-프롤린 -
9 β-갈락토시다제 + 10 L-피롤리도닐 - 11 α-갈랄토시다제 + 12 알라닌 - 13 티로신 + 14 β-N-아세틸-글루코사민다제 -
15 알라페프로아릴아미다제 - 18 사이클로덱스트린 - 19 D-갈락토스 + 21 글라이코진 + 22 미오-이노시톨 - 24 메틸-A-D-글루코피라노사이드 +
25 엘만 - 26 메틸-D-자일로사이드 - 27 α-만노시다제 - 29 말토트리오즈 + 30 글라이신 - 31 D-만니톨 +
32 D-만노즈 + 34 D-엘레디토즈 - 36 N-아세틸-D-글루코사민 - 37 팔라티노즈 + 39 L-람노즈 - 41 β-글루코시다제 +
43 β-만노시다제 - 44 포스포릴코린 - 45 피루베이트 - 46 α-글루코시다제 - 47 D-타가토즈 - 48 D-트리할로즈 +
50 이눌린 - 53 D-글루코스 + 54 D-리보즈 + 56 푸트레신 - 58 NaCl6.5% - 59 카나마이신 -
60 올린도마이신 - 61 에스쿨린하이드로라제 + 62 테트라졸리움레드 (-) 63 플로마이신 +
실시예 3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No.72의 생육조건 시험
1) 온도
이 균의 적정배양온도를 확인하기 위해 TSB(Triptic Soy Broth)배지 200 ml에 전배양액 2 ml를 접종하여 온도별로 10, 15, 20, 25, 30, 35 ℃에서 24시간동안 180 rpm으로 배양한 후 배양액을 UV 스펙트로포토메타(BECKMAM DU730) 60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조사하여 균의 생육정도를 비교하여 적정 생육온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20 ℃에서 48시간 배양과 25 ℃에서 24 시간 배양하였을 때 가장 생육이 잘 되었다.
2) pH
이 균의 생육에 적정한 산도를 확인하기 위해 TSB 배지 200 ml를 NaOH와 HCl로 산도를 3,4,5,6,7,8로 조절하여 24시간 동안 180 rpm으로 배양한 후 배양액을 UV 스펙트로포토메타 60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조사하여 균의 생육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4에서 보이는 같이 pH 7 이상에서 균의 생육이 대체로 잘 되었다.
실시예 4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No.72의 항균활성 검정
1) 최적 탄소원에 대한 항균활성 검정
균주의 생육에 필요한 탄소원을 결정하기 위해 최소배지(K2HPO4 0.7%, KH2PO4 0.2%, 글루코스 0.5%, (NH4)2SO4 0.1%, MgSO4· 7H2O 0.01%)를 조제하여 탄소원에서는 글루코스를 제외시키고 각각의 탄소원을 전체 용액에 대하여 1%의 농도로 첨가하여 25 ℃에서 180 rpm으로 24시간 배양한 후 배양정도를 측정하였다.
항균활성을 검정하기 위해 PDA 배지에 각각의 탄소원으로 배양된 배양액을 종이디스크에 100 ul씩 접종하여 역병균(Phytophthora capsici)에 대치배양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검정시험 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분(starch)을 탄소원으로 사용하였을 때 균주의 배양이 가장 잘 되었으나 소르비톨(sorbitol)을 탄소원으로 이용하였을 때 고추 역병균에 대한 항균력은 가장 크게 나타났다.
[표 2]
Figure 112009078047942-PAT00001
2) 최적 질소원에 대한 항균활성 검정
균주의 생육에 필요한 질소원을 결정하기 위해 최소배지에서 (NH4)2SO4 0.1% 대신 각각의 질소원을 0.5%씩 첨가하여 25 ℃에서 180 rpm 으로 24시간 배양한 후 배양정도를 측정하였다. 항균활성은 PDA배지에서 각각의 질소원으로 배양된 배양액을 종이디스크 위에 100 ul씩 접종하고 고추 역병균에 대치배양 함으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검정결과 효모추출물(yeast extracts)을 질소원으로 이용하였을 때 균주의 배양이 가장 잘 되었고 항균물질 생성도 가장 양호하였다.
[표 3]
Figure 112009078047942-PAT00002
실시예 5 최적 무기염류와 항균활성 검정
균주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무기염류를 확인하기 위해 최소배지에서 무기염류인 K2HPO4 0.7%, KH2PO4 0.2%, MgSO4· 7H2O 0.01% 대신 각각의 무기염류를 5 mM씩 첨가하여 25 ℃에서 180 rpm으로 24시간 배양한 후 배양정도를 측정하였다. 항균활성은 PDA배지에서 각각의 무기염류를 첨가하여 배양된 배양액을 종이디스크 위에 20 ul 씩 접종하고 역병균에 대치 배양함으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검정결과를 하기 표 4에 기재하였으며, 표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MgCl2를 무기염류로 이용하였을 때 균주의 배양과 항균력이 크게 나타났다.
[표 4]
Figure 112009078047942-PAT00003
실시예 6 길항미생물의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진균 검정
분리한 길항 미생물의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1주일 정도 배양된 활력이 우수한 병원균을 코르크보아로 8 mm 떼어낸 후 PDA 한천배지의 가장자리에 치상하고, 반대편에 25 ℃에서 24시간 배양된 미생물 배양액을 페이퍼 디스크에 20 ul 접종하여 25 ℃ 항온기에서 7일 이상 배양하여 균사가 더 이상 자라지 못하는 억제대를 조사하였다.
병원균으로 Phytophthora capsici 뿐만 아니라 Phytophthora infestans, Phytophthora dreschleri와 Rhizoctonia solani, Sclerotinia homoeocarpa, Sclerotinia sclerotinia, Botyritis cinerea 등에 대해 paper disc법으로 대치배양하고, 그 배양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 따른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No.72는 고추, 토마토 및 상추의 역병균에 대해 항균반응을 나타내었으며, 고추 역병균 뿐만 아니라 잿빛곰팡이병, 시들음병, 탄저병 등 주요 작물 병원균에 대해서 도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5]
Figure 112009078047942-PAT00004
실시예 7 길항미생물의 항균력 포트 검정
온실의 포트에 재식된 고추의 지제부에 25 ℃, 180 rpm으로 24시간 배양된 길항균을 10 ml 씩 처리하고, 3일 후 병원성이 다른 역병균들의 유주자 5 x 103 개/ml를 5 ml씩 고추에 접종하고, 3주후 역병균의 발병 유무를 확인한 결과, 3종류의 고추 역병균에 대해 No. 72 미생물 배양액을 처리 한 후 역병균을 접종한 경우는 발병이 되지 않아 무처리와 비교하여 수집한 고추 역병균 3종류에 대해 모두 예방 효과가 있었다.
[표 6]
Figure 112009078047942-PAT00005
실시예 8 길항미생물의 포장 검정
180rpm으로 TSB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한 길항미생물을 1 x 108 cfu/ml 농도로 조절한 후 육묘상에서 재배된 고추 유묘를 30분간 침지한 후 직경 30 cm 의 대형 화분에 정식하였다. 고추 역병균을 페트리디쉬에 5일간 배양한 후 기중 균사를 유리봉으로 제거하고 실온에서 50 cm 높이에서 형광등 빛을 3일간 조사한 후 유주자낭 형성을 유도하였다. 멸균수 30ml를 페트리디쉬에 넣어 붓으로 유주자낭을 수거한 후 유주자 5 x 103 개/ml를 5 ml씩 정식된 고추에 접종하였다. 3주일 이후부터 역병의 발병정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미생물을 처리한 고추에서는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78%의 예방효과가 있었다.
3주일 이후 역병의 발병정도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기재하였다.
[표 7]
Figure 112009078047942-PAT00006
상술한 실시예, 시험예 및 도면은 발명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목적이 아니며,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상기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이 아니라 청구범위와 함께 균등범위를 포함하여 판단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단리된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No.72의 염기서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단리된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No.72의 주사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단리된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No.72의 최적 생육온도 검정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단리된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No.72의 최적 생육pH 검정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단리된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No.72로 처리된 길항미생물 처리군과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의 생육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단리된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No.72가 식물의 역병에 대해 항균반응을 나타낸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110> GyeongGi-Do <120> NOVEL PAENIBACILLUS POLYMYXA AND MICROORGANISM AGENT COMPRISING THE STRAINS FOR PREVENTING PHYTOPHTORA CAPSICI OF PLANTS <160> 1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1426 <212> DNA <213> Paenibacillus polymyxa <400> 1 taatacatgc aagtcgagcg gggttagtta gaagcttgct tctaactaac ctagcggcgg 60 acgggtgagt aacacgtagg caacctgccc acaagacagg gataactacc ggaaacggta 120 gctaataccc gatacatcct tttcctgcat gggagaagga ggaaaggcgg agcaatctgt 180 cacttgtgga tgggcctgcg gcgcattagc tagttggtgg ggtaaaggcc taccaaggcg 240 acgatgcgta gccgacctga gagggtgatc ggccacactg ggactgagac acggcccaga 300 ctcctacggg aggcagcagt agggaatctt ccgcaatggg cgaaagcctg acggagcaac 360 gccgcgtgag tgatgaaggt tttcggatcg taaagctctg ttgccaggga agaacgyytk 420 gtagagtaac tgctcttgaa gtgacggtac ctgagaagaa agccccggct aactacgtgc 480 cagcagccgc ggtaatacgt agggggcaag cgttgtccgg aattattggg cgtaaagcgc 540 gcgcaggcgg ctctttaagt ctggtgttta atcccgaggc tcaacttcgg gtcgcactgg 600 aaactgggga gcttgagtgc agaagaggag agtggaattc cacgtgtagc ggtgaaatgc 660 gtagagatgt ggaggaacac cagtggcgaa ggcgactctc tgggctgtaa ctgacgctga 720 ggcgcgaaag cgtggggagc aaacaggatt agataccctg gtagtccacg ccgtaaacga 780 tgaatgctag gtgttagggg tttcgatacc cttggtgccg aagttaacac attaagcatt 840 ccgcctgggg agtacggtcg caagactgaa actcaaagga attgacgggg acccgcacaa 900 gcagtggagt atgtggttta attcgaagca acgcgaagaa ccttaccagg tcttgacatc 960 cctttgaccg gtctagagat agacctttcc ttcgggacag aggagacagg tggtgcatgg 1020 ttgtcgtcag ctcgtgtcgt gagatgttgg gttaagtccc gcaacgagcg caacccttat 1080 gcttagttgc cagcaggtca agctgggcac tctaagcaga ctgccggtga caaaccggag 1140 gaaggtgggg atgacgtcaa atcatcatgc cccttatgac ctgggctaca cacgtactac 1200 aatggccggt acaacgggaa gcgaagsmgc gatgtggagc caatcctaga aaagccggtc 1260 tcagttcgga ttgtaggctg caactcgcct acatgaagtc ggaattgcta gtaatcgcgg 1320 atcagcatgc cgcggtgaat acgttcccgg gtcttgtaca caccgcccgt cacaccacga 1380 gagtttacaa cacccgaagt cggtgaggta accgcaaggr gccagc 1426

Claims (6)

  1. 토양에서 분리한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Paenibacillus polymyxa) No.72 (KACC 91502P).
  2. 제 1항에 있어서, 서열목록 1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을 가지는 것인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Paenibacillus polymyxa) No.72 (KACC 91502P).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따른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Paenibacillus polymyxa) No.72 (KACC 91502P)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제제는 식물의 역병균을 예방하는 것인 미생물 제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의 역병균이 Phytophthora속인 것인 미생물제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이 고추, 토마토, 오이, 수박 또는 상추인 것인 미생물제제.
KR1020090125938A 2009-12-17 2009-12-17 신규한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의 역병 예방용 미생물 제제 KR101183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938A KR101183538B1 (ko) 2009-12-17 2009-12-17 신규한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의 역병 예방용 미생물 제제
PCT/KR2010/008806 WO2011074831A2 (ko) 2009-12-17 2010-12-09 신규한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의 역병 예방용 미생물 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938A KR101183538B1 (ko) 2009-12-17 2009-12-17 신규한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의 역병 예방용 미생물 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272A true KR20110069272A (ko) 2011-06-23
KR101183538B1 KR101183538B1 (ko) 2012-09-20

Family

ID=44167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5938A KR101183538B1 (ko) 2009-12-17 2009-12-17 신규한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의 역병 예방용 미생물 제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83538B1 (ko)
WO (1) WO201107483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50815B (zh) * 2011-07-21 2013-02-13 中国热带农业科学院香料饮料研究所 一种内生多粘类芽孢杆菌
CN108559716B (zh) * 2017-10-24 2023-04-14 安徽省农业科学院植物保护与农产品质量安全研究所 一株防治辣椒疫病的高效生防菌株及其应用
CN109097303B (zh) * 2018-08-17 2021-11-16 河南农业大学 多粘类芽孢杆菌及其芽孢悬浮液、微生物育苗基质及其制备方法
CN114058542B (zh) * 2021-11-22 2023-10-24 天津市农业科学院 一种多粘类芽孢杆菌菌剂及其对胡萝卜根腐病的防治作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38289C (en) * 1998-05-20 2013-08-06 The Governors Of The University Of Alberta Biocontrol agent and fungicide for blackleg disease
KR20050040285A (ko) * 2003-10-28 2005-05-0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페니바실러스 폴리믹사 h210 균주 및 식물의 생장촉진방법 및 토양병방제 방법
KR100946633B1 (ko) * 2007-12-20 2010-03-0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 유래 대사물질을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과 식물보호 방법
KR20090105149A (ko) * 2008-04-01 2009-10-07 주식회사 남보 식물 병원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가지는 신규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nb1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74831A3 (ko) 2011-11-10
KR101183538B1 (ko) 2012-09-20
WO2011074831A2 (ko) 201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9044B1 (ko) 판토이아 디스퍼사 wcu35 균주, 이를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식물병 방제방법
KR101569737B1 (ko) 벼 근권에서 분리된 신규 식물 내생세균 바실러스 오리지콜라 및 이를 이용한 천연식물 보호 및 식물 강화제 개발
JP4417998B2 (ja) 拮抗作用を有する枯草菌株を用いた植物病の防除方法
KR101279027B1 (ko)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 lm11 균주, 이를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식물병 방제방법
KR20140127670A (ko) 식물 내생세균 바실러스 메칠로트로피쿠스 yc700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다기능 생물농약 및 미생물비료 개발
KR101667541B1 (ko) 신규미생물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gh1-13과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제제 및 미생물농약
CN103333843B (zh) 一种油菜假单胞菌及其培养方法和应用
KR20170136081A (ko)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 im1 균주, 이를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및 생육촉진 조성물
KR20140071145A (ko) 신균주인 페니바실러스 폴리믹사 ab-15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183538B1 (ko) 신규한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의 역병 예방용 미생물 제제
KR20100078419A (ko)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의균핵병 및 시들음병 예방용 미생물 제제
KR101535893B1 (ko) 신규미생물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펜션스 cc110와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제제 및 미생물농약
KR101279040B1 (ko) 엑사구노박테리움 아세티리시움 wcu292 균주, 이를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식물병 방제방법
KR100746310B1 (ko) 풋마름병 방제 효과를 갖는 페니바실러스 폴리믹사kpb3종
KR101533972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js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토양 병원균 방제용 조성물
KR20130016917A (ko) 세라시아 네마토디필라 wcu338 균주, 이를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식물병 방제방법
KR101905058B1 (ko)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 ak―0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인삼 뿌리썩음병원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
KR101429227B1 (ko) 항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사펜시스 hc42 균주
KR101279026B1 (ko)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 kb3 균주, 이를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식물병 방제방법
KR20110120748A (ko) 신규한 미생물 바실러스 아밀로리큐파션스 씨피 1 및 이를 이용한 딸기 탄저병균의 방제방법
CN114085788A (zh) 一株雅马纳假单胞菌菌株及其应用
KR101953835B1 (ko) 식물의 병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아스페르질루스 테레우스 균주 및 이의 용도
CN117384807B (zh) 一种蕈状芽孢杆菌hdcm2及其应用
KR101406823B1 (ko) 바실러스 속 cs-52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고추 탄저병의 방제
KR102633226B1 (ko) 식물 병원성 진균의 생장을 저해하고 작물의 생장을 돕는 Massilia sp. HB5-7 균주 및 이의 활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