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8983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8983A
KR20110068983A KR1020117004065A KR20117004065A KR20110068983A KR 20110068983 A KR20110068983 A KR 20110068983A KR 1020117004065 A KR1020117004065 A KR 1020117004065A KR 20117004065 A KR20117004065 A KR 20117004065A KR 20110068983 A KR20110068983 A KR 20110068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nnector
connector body
ji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4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1338B1 (ko
Inventor
에이이치 사사키
다카히로 요네다
다카요시 호리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110068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2Hand to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치구를 밀어 넣는 일련의 작업으로 커넥터 본체와 프레임을 분리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록 아암을 갖는 프레임과 록 아암에 계지되는 록 받침면을 갖는 커넥터 본체로 이루어지고, 작업치구가 삽입됨으로써, 록 아암과 록 받침면과의 계지가 해제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프레임 및 커넥터 본체는 작업치구가 진퇴되는 이동 경로를 갖고, 커넥터 본체는 치구받침면을 이동 경로의 종단에 갖고 있다. 작업치구가 이동 경로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록 아암과 록 받침면과의 계지를 해제하고, 그 후, 치구받침면을 누름으로써 커넥터 본체를 프레임으로부터 이탈시킨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프레임과 프레임에 수용되는 커넥터 본체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이하, 단지 커넥터라고 한다)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과 신호용 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 본체로 이루어지는 커넥터는 양쪽 부분이 조립된 후에 리페어(repair)를 목적으로 하여 프레임과 커넥터 본체가 분리되는 경우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도 19는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커넥터(200)를 나타내고 있다. 커넥터(200)는 신호용 단자를 수용하는 커넥터 본체(203)와 커넥터 본체(203)를 수용할 수 있는 프레임(201)을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201)의 내부에는 탄성변형 가능한 좌우(도 19에서는 상하) 한 쌍의 록 아암(202; lock arm)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본체(203)의 좌우 양측 벽면에는, 좌우 한 쌍의 록 받침부(204)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203)와 프레임(201)이 정규의 위치에 조립되면, 록 아암(202)과 록 받침부(204)가 서로 계지함으로써, 커넥터 본체(203)는 프레임(201)으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프레임(201)과 커넥터 본체(203)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록 아암(202)과 록 받침부(204)의 사이에 록 해제 치구(210)를 삽입한다. 그러면, 록 아암(202)이 탄성 변형하여, 록 아암(202)과 록 받침부(204)와의 계지가 해제된다. 잠금을 해제한 후에, 프레임(201)으로부터 커넥터 본체(203)를 인발하여, 프레임(201)과 커넥터 본체(203)를 분리한다.
특허 문헌 1 :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2-198121호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종래의 커넥터(200)는 프레임(201)과 커넥터 본체(203)를 분리할 때에, 록 해제 치구(210)를 이용하여 록 아암(202)과 록 받침부(204)와의 계지를 해제하는 작업과, 프레임(201)으로부터 커넥터 본체(203)를 인발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커넥터(200)는 분리하는데 시간이 걸린다. 또한, 좌우의 록 아암(202)의 잠금을 동시에 해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배경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일련의 작업으로 프레임과 커넥터 본체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작업치구를 밀어 넣는 일련의 작업에 의해 잠금을 해제한 후에, 프레임으로부터 커넥터 본체를 이탈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커넥터는 프레임과 프레임 내에 수용되는 커넥터 본체를 구비하고, 프레임 및 커넥터 본체의 어느 일방에 형성되는 록 아암과, 프레임 및 커넥터 본체의 타방에 록 아암과 계지되는 록 받침부를 갖고, 작업치구가 삽입됨으로써 록 아암과 록 받침부와의 잠금이 해제된다. 프레임 및 커넥터 본체는 작업치구가 진퇴되는 이동 경로를 갖고, 또한 커넥터 본체는 상기 이동 경로의 종단에 치구받침면을 갖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커넥터는 작업치구가 이동 경로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작업치구가 록 아암과 록 받침부와의 잠금을 해제하고, 그 후, 작업치구가 치구받침면을 누름으로써 커넥터 본체를 프레임으로부터 이탈시킨다.
본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록 아암은 프레임 또는 커넥터 본체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는 아암부와, 아암부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계지 철부(凸部)와 아암부로부터 계지 철부의 헤드부를 향해 작업치구를 안내하는 가이드 돌(突)조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된 작업치구가 가이드 돌조의 표면에 따라 안내되어 진행함으로써 작업치구가 계지 철부에 부딪치는 것을 회피하여, 록 아암과 록 받침부와의 잠금 해제를 원활히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대측의 커넥터와의 감합 방향과 록 아암의 연장 설치 방향이 직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상대측 커넥터와의 감합 시에 잠금을 해제하는 방향의 힘이 록 아암에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된 후에도 프레임과 커넥터 본체와의 잠금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본체가 상기 감합 방향과 직교 하는 측방으로부터 프레임에 삽입되는 경우, 커넥터 본체는 프레임 및 커넥터 본체의 어느 일방에 설치되는 거터(Gutter) 방지 철부와 프레임 및 커넥터 본체의 타방에 거터 방지 철부가 계지되는 거터 방지 받침면을 갖고, 커넥터 본체가 프레임의 정규의 위치에 수용된 상태로, 거터 방지 철부와 거터 방지 받침면을 간섭시켜, 커넥터 본체를 상기 이탈과 역방향으로 누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커넥터 본체를 프레임을 향해 누를 수가 있으므로, 프레임과 커넥터 본체와의 사이에 반동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거터 방지 철부는 록 아암의 계지 철부의 상방에 해당 계지 철부를 향해 돌출하여 설치되고, 커넥터 본체를 록 아암에 가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계지 철부 및 록 받침부의 계지 값이 증대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거터 방지 철부는 프레임 및 커넥터 본체의 어느 일방에 형성되는 양팔 구조의 용수철편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팔 구조의 용수철편은 소성변형 하기 어렵고 나아가 큰 탄성력을 얻는데 유리하므로, 커넥터 본체를 프레임에 공고히 하고 장기간 안정적으로 누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에 의하면, 작업치구를 밀어 넣는 일련의 작업에 의해, 잠금을 해제한 후에 프레임으로부터 커넥터 본체를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도 1]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를 전방으로부터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를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프레임의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이다.
[도 4] 도 3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5]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프레임의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이다.
[도 6] 도 5의 일부를 상하 반전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하우징의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이다.
[도 8] 도 7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9]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의 거터 방지 구조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0]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1] 작업치구가 삽입된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의 단면도이며, (a)가 도 10의 A-A로 자른 단면도, (b)가 도 10의 B-B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 작업치구가 록 아암에 도달한 상태의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의 단면도이며, (a)가 도 10의 A-A로 자른 단면도, (b)가 도 10의 B-B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3] 작업치구가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 본체의 치구받침면에 도달한 상태의 커넥터의 단면도이며, (a)가 도 10의 A-A로 자른 단면도, (b)가 도 10의 B-B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4] 작업치구가 커넥터 본체를 눌러 커넥터 본체가 프레임으로부터 이탈한 상태의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의 단면도이며, (a)가 도 10의 A-A로 자른 단면도, (b)가 도 10의 B-B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5]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의 수단자 도입구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 다른 실시 형태의 커넥터 본체에 록 아암을 설치한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7]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프레임에 거터 방지 요부(凹部)를 설치하여 커넥터 본체에 거터 방지 철부가 형성된 용수철편을 설치한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8] 작업치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9] 종래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 1~도 18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10)는, 프레임(20)과 프레임(20)에 수용되는 커넥터 본체(40)로 구성된다. 커넥터(10)는 도시하지 않은 수커넥터와 감합되는 암커넥터를 구성한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 수커넥터와 감합되는 측을 전측이라고 정의한다.
프레임(20)은 커넥터 본체(40)를 수용하는 커넥터 수용 캐비티(22)(이하, 캐비티라고 한다)를 갖는 프레임 본체(21)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20)은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하여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프레임 본체(21)는 프레임(20)의 폭방향의 일방측에 개구를 갖고 있으며, 이 개구로부터 커넥터 본체(40)가 캐비티(22) 내에 삽입된다. 즉, 커넥터 본체(40)는 수커넥터와의 감합 방향과 직교하는 측방으로부터 프레임(20)에 삽입된다. 프레임 본체(21)의 전단에는 커넥터 본체(40)의 수단자 도입구(43)에 대응하여 복수의 수단자 도입구(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 본체(21)의 상기 개구와 대향하는 측벽(24)에는 치구 삽입공(25)이 형성되어 있다. 치구 삽입공(25)으로부터 프레임(20)및 커넥터 본체(40) 내에 작업치구(60)가 삽입된다.
작업치구(60)는 잠금을 해제함과 함께, 커넥터 본체(40)를 누름으로써 커넥터 본체(40)를 프레임(20)으로부터 이탈시킨다. 금속판제의 작업치구(60)는 커넥터(10)에 삽입되는 조작부(61)와 작업 시에 작업원이 쥐는 파지부(62)로 구성된다. 파지부(62)는 작업자가 쥐기 쉽도록 폭이 넓어져 있다.
프레임 본체(21)에는 측벽(24)의 캐비티(22)에 임하는 면(이하, 내면이라고 한다)으로부터 캐비티(22)를 향해 탄성 변형이 가능한 록 아암(26)이 형성되어 있다. 록 아암(26)은 측벽(24)의 내면으로부터 폭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는 아암부(27)와 아암부(27)의 선단에 상향으로 형성된 계지 철부(28)와 아암부(27)로부터 계지 철부(28)의 헤드부를 향해 작업치구(60)를 안내하는 가이드돌조(29)를 갖고 있다(도 4 참조). 가이드돌조(29)의 상면이 작업치구(60)의 안내면(29s)이 된다. 록 아암(26)의 계지 철부(28)와 커넥터 본체(40)의 하우징(41)에 형성된 록 받침면(47)이 서로 계지되면, 잠금 상태가 되어 커넥터 본체(40)는 프레임(20)으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록 아암(26)의 연설 방향과 커넥터(10)와 상대측 커넥터와의 감합 방향이 직교한다. 따라서, 상대측 커넥터와의 감합 시에 잠금을 해제하는 방향의 힘이 록 아암(26)에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커넥터(10)는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된 후에도 프레임(20)과 커넥터 본체(40)와의 잠금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프레임 본체(21)에는 록 아암(26)에 인접하여 2차 계지 아암(30)이 형성되어 있다. 잠금 상태가 되면, 암단자(11)가 2차 계지 아암(30)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 암단자(11)는 2차 계지되게 되어 있다.
프레임 본체(21)의 상벽(31)에는 2개의 슬릿(33)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2개의 슬릿(33; slit)에 끼워지는 상벽(31)은 용수철편(32)을 구성한다. 전단측 및 후단측의 쌍방이 상벽(31)에 연결되어 있는 용수철편(32)은 양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용수철편(32)의 내면에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는 거터 방지 철부(34)가 형성되어 있다(도 6, 9 참조).
거터 방지 철부(34)는 후술 하는 커넥터 본체(40)에 형성되는 거터 방지 요부(49)(도 9 참조)에 계지된다.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거터 방지 철부(34)와 거터 방지 요부(49)가 간섭하도록 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40)는 복수의 신호용 암단자(11)가 수용되는 복수의 단자 수용 캐비티(42)(이하, 캐비티(42)라고 한다)가 형성된 하우징(41)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41)은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하여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캐비티(42)는 하우징(41)의 전후방향에 따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41)의 전단에는 각 캐비티(42)에 대응하여 수단자 도입구(4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41)에는 캐비티(42)에 임하여 도시하지 않은 하우징 랭스(housing lance)가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고 있고, 암단자(11)는 하우징 랭스에 의해 1차 계지되게 되어 있다. 암단자(11)는 고강도와 고전전도를 겸비한 금속재료를 꿰타발 가공 및 휨가공하여 제작되어 있다.
하우징(41)에는, 록 아암(26)의 아암부(27)를 따라, 치구삽입구(44)가 형성되어 있다(도 7, 도 8 참조). 치구삽입구(44)의 일단은 하우징(41)의 측벽(48)에 개구하고, 치구삽입구(44)의 타단은 계지 요부(45)에 개구하고 있다. 측벽(48)에 형성된 개구와 프레임(20)에 형성된 치구 삽입공(25)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계지 요부(45)에 임하여 치구삽입구(44)의 연장선상에 치구받침면(46)이 형성되고 치구받침면(46)에 대향하여 록 받침면(47)이 형성되어 있다.
치구받침면(46)에는 프레임(20)과 커넥터 본체(40)를 분리할 때에 삽입되는 작업치구(60)의 선단이 충돌한다.
치구삽입구(44)는 프레임(20)과 커넥터 본체(40)를 분리하는 작업 시에, 작업치구(60)가 진퇴되는 이동 경로의 일부를 구성한다. 또한 계지 요부(45) 내의 작업치구(60)가 진퇴되는 부분도 이동 경로의 일부를 구성한다. 치구받침면(46)에 작업치구(60)가 부딪치면 작업치구(60)는 커넥터 본체(40)의 내부에 있어서, 이동 경로를 그 이상 진행할 수 없다. 따라서 치구받침면(46)은 이동 경로의 종단에 위치하게 된다.
계지 요부(45)의 록 받침면(47)과 록 아암(26)의 계지 철부(28)가 서로 계지됨으로써, 커넥터 본체(40)는 프레임(20)에 잠궈진다. 커넥터 본체(40)가 프레임(20)으로부터 용이하게 빠지지 않도록 계지 요부(45)의 록 받침면(47)과 록 아암(26)의 계지 철부(28)의 록 받침면(47)에 대향하는 면은 함께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고 있다. 따라서, 계지 철부(28)를 계지 요부(45)에 삽입시키기 위해 록 받침면(47)과 계지 철부(28)와의 사이에는 소정 치수의 클리어랜스(clearance)가 설치된다. 이 클리어랜스가 있기 때문에 프레임(20)과 커넥터 본체(40)가 잠금 상태가 되어 있어도 프레임(20)과 커넥터 본체(40)와의 사이에 반동이 생겨 버린다. 이 커넥터(10)를 예를 들어, 자동차에 탑재하면, 진동을 받은 커넥터(10)로부터 소음이 발생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10)는 이하 설명되는 거터(반동) 방지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41)의 표면에는 거터 방지 철부(49)가 형성되어 있다. 거터 방지 요부(49)는 거터 방지 철부(34)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커넥터 본체(40)가 프레임(20)의 정규의 위치에 수용되면, 거터 방지 철부(34)는 거터 방지 요부(49) 내로 들어간다.
여기서, 거터 방지 철부(34)의 계지면(34s)과 거터 방지 요부(49)의 계지면 (49s)과는 설계상 서로 간섭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9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거터 방지 철부(34)는 용수철편(32)에 하향으로, 즉, 록 아암(26)의 계지 철부(28)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기(도 11 참조) 때문에, 계지면(49s)은 용수철편(32)으로부터 도 9에 화살표(C)로 나타내는 방향(오른쪽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즉, 용수철편(32)은 거터 방지 철부(34)를 통해, 커넥터 본체(40)를 커넥터 본체(40)가 프레임(20)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과 역 방향으로 누른다. 이에 의해, 프레임(20)과 커넥터 본체(40)와의 사이에 반동이 방지된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커넥터(10)와 도시하지 않는 수커넥터의 감합 방향과 커넥터 본체(40)를 누르는 방향이 직교한다. 따라서 커넥터(10)와 수커넥터를 감합해도 커넥터 본체(40)를 상기 이탈 방향과 역방향으로 누르는 힘이 약해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거터 방지 구조는 수커넥터와의 감합 후에 있어서도 유효하게 기능한다.
또한 계지면(49s)이 경사면이기 때문에 계지면(49s)은 도 9에 화살표(D)로 나타내는 방향(하향)으로 힘을 받는다. 따라서 커넥터 본체(40)가 하향으로 가세 되므로, 록 아암(26)과 계지 요부(45)와의 계지 값이 증대하고, 그러한 잠금 상태가 보다 확실하게 된다. 또한 용수철편(32)을 외팔 구조로 할 수도 있지만, 양팔 구조의 용수철편(32)은 외팔 구조보다 소성변형 하기 어렵다. 또한 양팔 구조의 용수철편(32)은 외팔 구조의 용수철편보다 큰 힘을 얻는데 유리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는 양팔 구조의 용수철편(32)을 이용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10)는 잠금 상태에 있는 프레임(20)과 커넥터 본체(40)를 일련의 작업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하, 도 11~도 14를 참조하면서 이 일련의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프레임(20)과 커넥터 본체(40)가 잠금 상태에 있을 때, 작업치구(60)를 프레임(20)의 측벽(24)에 형성된 치구 삽입공(25)으로부터 삽입한다. 작업치구(60)를 밀어 넣으면, 작업치구(60)의 조작부(61)는 커넥터 본체(40)의 치구삽입구(44)에 안내되면서 록 아암(26)의 아암부(27)위를 진행한다(도 11).
조작부(61)의 선단이 록 아암(26)의 계지 철부(28)에 직접 부딪치면, 작업치구(60)의 진행이 방해된다. 그러나 계지 철부(28)보다 앞에 가이드 돌조(29)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작부(61)는 안내면(29s)을 따라 계지 철부(28)의 헤드면으로 안내된다(도 12(a)). 따라서 작업치구(60)를 부드럽게 밀어 넣을 수 있는 것과 동시에 록 아암(26)은 무리없이 탄성변형된다.
작업치구(60)는 강성이 높은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치구삽입구(44) 내에서는 상방으로의 변위가 구속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치구(60)가 계지 철부(28)의 헤드면까지 도달하면, 록 아암(26)의 선단 부분은 하향으로 탄성변형하고, 록 아암(26)의 계지 철부(28)와 계지 요부(45)의 록 받침면(47)의 계지가 해제된다(도 13(b)).
잠금이 해제된 후에, 한층 더 작업치구(60)을 밀어 넣으면, 작업치구(60)의 조작부(61)의 선단은 이동 경로를 구성하는 계지 요부(45)를 통해 치구받침면(46)에 부딪친다(도 13(a)). 록 아암(26)은 작업치구(60)의 조작부(61)에 의해 눌러 내려지므로 잠금이 해제된 상태이다.
조작부(61)의 선단이 치구받침면(46)에 부딪친 후에, 한층 더 작업치구(60)을 밀어 넣으면, 커넥터 본체(40)는 이탈 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조작부(61)의 베이스까지 작업치구(60)를 밀어 넣음으로써, 커넥터 본체(40)를 프레임(20)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도 14). 커넥터 본체(40)를 프레임(20)으로부터 이탈시킨 후에, 작업치구(60)를 프레임(20)으로부터 인발함으로써, 커넥터 본체(40)와 프레임(20)과의 분리 작업이 종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커넥터(10)는 작업치구(60)가 치구 삽입공(25) 및 치구삽입구(44)를 포함하는 이동 경로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록 아암(26)으로 록 받침면(47)과의 계지를 해제한다. 이 이동 경로의 종단에 치구받침면(46)을 갖고 있으므로, 작업치구(60)를 한층 더 밀어 넣음으로써, 잠금이 해제된 커넥터 본체(40)를 이탈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10)는 작업치구(60)를 밀어 넣는 일련의 작업만으로, 커넥터 본체(40)와 프레임(2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단일 록 아암(26)만을 구동하면 되기 때문에, 2개의 록 아암의 잠금을 동시에 해제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록 해제 치구(210)를 이용하여 잠금을 해제하는 작업에 추가하여, 커넥터 본체(203)를 인발하는 작업이 필요한 종래의 커넥터(200)에 비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10)는 분리에 걸리는 시간과 수고가 적다.
커넥터(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40)를 커넥터 본체(40)가 프레임(20)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눌러, 반동을 멈추게 한다. 이 거터 방지 기능에 의해, 커넥터(10)는 수단자와 암단자(11)와의 감합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수단자와 암단자(11)을 감합시킬 때, 프레임(20)의 수단자 도입구(23)를 통한 수단자는 커넥터 본체(40)의 수단자 도입구(43)의 테이퍼면을 따라 안내된다(도 15 참조). 그러나 프레임(20)과 커넥터 본체(40)와의 사이의 반동이 크고, 수단자 도입구(23) 및 수단자 도입구(43)의 쌍방의 축이 크게 어긋나 있으면, 수단자 도입구(23)를 통과한 수단자가 수단자 도입구(43)의 테이퍼면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가 있다. 그러면 수단자는 테이퍼면 이외의 하우징(41)에 부딪쳐 휘어지거나 혹은, 부딪친 부분을 파손시키는 등, 수단자와 암단자(11)가 감합되지 않는 의사(擬似) 접촉의 문제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이상에 대해, 커넥터(10)는 도 15에 화살표(E)로 나타내듯이, 커넥터 본체(40)를 프레임(20)으로부터 커넥터 본체(40)가 이탈되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눌러, 프레임(20)과 커넥터 본체(40)와의 사이의 반동의 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그 때문에, 수단자 도입구(23) 및 수단자 도입구(43)의 쌍방의 축을 용이하게 정돈할 수 있다. 따라서 수단자와 암단자(11)와의 감합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임(20)이 록 아암(26)을 갖는 커넥터(10)에 대해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내듯이, 커넥터 본체(140)가 록 아암(141)을 갖는 커넥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커넥터는 프레임(120)에 치구삽입공(1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120)에는 록 아암(141)과 계지되는 록 받침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록 받침부(122)에는 작업치구(60)가 진퇴되는 치구삽입구(123)가 형성되어 있다.
치구삽입공(121)으로부터 삽입된 작업치구(60)가 록 아암(141)의 계지 철부(142)에 부딪친 후에, 한층 더 작업치구(60)를 밀어 넣는다. 그러면, 록 아암(141)은 상방으로 밀어 올려 지고, 록 아암(141)과 록 받침부(122)와의 사이의 계지가 해제된다. 한층 더 작업치구(60)를 밀어 넣으면, 작업치구(60)가 치구삽입구(123)를 통해 커넥터 본체(140)의 치구받침면(143)에 부딪친다. 록 아암(141)과 록 받침부(122)와의 사이의 계지가 해제되어 있으므로, 작업치구(60)를 한층 더 밀어 넣으면, 커넥터 본체(140)를 프레임(120)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커넥터(10)는 거터 방지를 위해, 프레임(20)에 거터 방지 철부(34)를 설치하고 또한 커넥터 본체(40)에 거터 방지 요부(49)를 설치했지만, 이와 반대로 할 수도 있다. 즉, 도 17에 나타내듯이, 프레임(160)에 거터 방지 요부(161)를 설치하여 커넥터 본체(180)에 한 쌍의 슬릿(182)의 사이에 형성된 용수철편(181)에 거터 방지 철부(183)를 마련한다. 그리고 거터 방지 요부(161)와 거터 방지 철부(183)를 간섭하면서 감합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커넥터(10)와 마찬가지로 반동을 멈추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이상 설명한 두께가 일정한 작업치구(60)는 그 선단이 록 아암(26)을 눌러 내리고, 게다가 해당 선단이 커넥터 본체(40)의 치구 받침면(46)에 부딪친다. 그러나 도 18에 나타내듯이, 작업치구(70)는 록 아암(26)을 눌러 내리는 잠금 해제면(71)과 치구받침면(46)에 부딪치는 커넥터 풀면(72)을 다른 위치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것은 록 아암(26)과 록 받침면(47)이 서로 계지되는 잠금 부분과, 치구받침면(47)이 동일 직선상에 없어도, 작업치구(70)를 밀어 넣는 일련의 작업에 의해, 프레임(20)과 커넥터 본체(40)를 분리할 수 있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도 포함하고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 형태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주된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 예로 든 구성을 취사 선택하거나 또는 다른 구성으로 적당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10…커넥터,
11…암단자,
20, 120, 160…프레임,
22…커넥터 수용 캐비티,
23…수단자 도입구,
24…측벽,
25, 121…치구삽입공,
26, 141…록 아암,
27…아암부,
28, 142…계지 철부,
29…가이드돌조,
29s…안내면,
30…2차 계지 아암,
31…상벽,
32, 181…용수철편,
33, 182…슬릿,
34, 183…거터 방지 철부,
34s…계지면
40, 140, 180…커넥터 본체,
41…하우징,
42…단자 수용 캐비티,
43…수단자 도입구,
44, 123…치구삽입구,
45…계지 요부,
46, 143…치구받침면,
47…록 받침면,
48…측벽,
49, 161…거터 방지 요부,
49s…계지면,
122…록 받침부
60…작업치구

Claims (12)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에 수용되는 커넥터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커넥터 본체의 어느 일방에 형성되는 록 아암과,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커넥터 본체의 타방에 상기 록 아암과 계지되는 록 받침부를 갖고, 작업치구가 삽입되어 상기 록 아암과 상기 록 받침부의 계지가 해제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작업치구가 진퇴되는 이동 경로를 갖고,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이동 경로의 종단에 치구받침면을 갖고,
    상기 작업치구가 상기 이동 경로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작업치구가 상기 록 아암과 상기 록 받침부와의 계지를 해제하고, 그 후 상기 작업치구가 상기 치구받침면을 눌러 상기 커넥터 본체를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 아암은,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커넥터 본체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는 아암부와, 아암부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계지 철부와, 상기 아암부로부터 상기 계지 철부의 헤드부를 향해 상기 작업치구를 안내하는 가이드 돌조를 갖고,
    상기 작업치구가 상기 가이드 돌조의 표면에 따라 안내되어 진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작업치구가 상기 계지 철부에 부딪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와의 감합 방향과 상기 록 아암의 연장 설치 방향이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감합 방향과 직교 하는 측방으로부터 프레임에 삽입되고,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커넥터 본체의 어느 일방에 설치되는 거터 방지 철부와,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커넥터 본체의 타방에 상기 거터 방지 철부가 계지되는 거터 방지 받침면을 갖고,
    상기 커넥터 본체가 상기 프레임의 정규의 위치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거터 방지 철부와 상기 거터 방지 받침면을 간섭시켜, 상기 커넥터 본체를 상기 이탈방향과 역방향으로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터 방지 철부는 상기 록 아암의 상기 계지 철부의 상방에 해당 계지 철부를 향해 돌출하여 설치되고, 상기 커넥터 본체를 상기 록 아암에 가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터 방지 철부는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커넥터 본체의 어느 일방에 형성되는 양팔 구조의 용수철편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터 방지 철부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커넥터 본체를 수용하는 캐비티를 갖는 프레임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본체는 상시 프레임의 폭방향의 일방측에 개구를 갖고,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커넥터 본체가 상기 커넥터 수용캐비티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기 개구와 대향하는 측벽에는 치구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치구는 상기 치구삽입공으로부터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커넥터 본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복수의 단자수용 캐비티가 형성된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 상기 아암부를 따라 치구삽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치구삽입구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커넥터 본체를 분리하는 작업 시에 상기 작업치구가 진퇴되는 상기 이동경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117004065A 2008-09-19 2009-09-07 전기 커넥터 KR1016313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40512 2008-09-19
JP2008240512A JP4823285B2 (ja) 2008-09-19 2008-09-19 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983A true KR20110068983A (ko) 2011-06-22
KR101631338B1 KR101631338B1 (ko) 2016-06-16

Family

ID=42039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065A KR101631338B1 (ko) 2008-09-19 2009-09-07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10881B2 (ko)
EP (1) EP2328237B1 (ko)
JP (1) JP4823285B2 (ko)
KR (1) KR101631338B1 (ko)
CN (1) CN102160243B (ko)
WO (1) WO20100323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23284B2 (ja) * 2008-09-19 2011-11-2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
US8721374B2 (en) 2011-07-22 2014-05-13 Lea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US8951066B2 (en) 2011-07-22 2015-02-10 Lea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DE102011088950A1 (de) * 2011-12-19 2013-06-20 Robert Bosch Gmbh Differenzwegsensor für ein Bremssystem eines Fahrzeugs und Verfahren zum Ermitteln eines Differenzwegs
DE102012221115A1 (de) 2012-11-19 2014-05-22 Tyco Electronics Amp Gmbh Steckerelement mit Kontaktmodulverrastung
JP6222574B2 (ja) * 2014-11-28 2017-11-0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42357B2 (ja) * 2015-04-24 2018-12-1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9647378B1 (en) * 2016-05-10 2017-05-09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JP6721494B2 (ja) * 2016-11-30 2020-07-15 株式会社Subaru コネクタ
JP7407389B2 (ja) * 2019-08-02 2024-01-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及びそれを備えたコネクタセット並びにコネクタセットの抜去方法
JP7271471B2 (ja) * 2020-05-19 2023-05-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8121A (ja) 2000-12-25 2002-07-12 Sumitomo Wiring Syst Ltd 分割コネクタ
JP2002203631A (ja) * 2000-12-28 2002-07-19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3100376A (ja) * 2001-09-26 2003-04-0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3123891A (ja) * 2001-10-05 2003-04-25 Yazaki Corp コネクタのサイドスペーサ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1639B2 (ja) * 1994-03-07 1999-07-19 矢崎総業株式会社 二重係止コネクタ及びその係止解除構造
US5989072A (en) * 1997-11-18 1999-11-23 General Motors Corporation Connection system with terminal/cavity combination
JP3651251B2 (ja) * 1998-04-08 2005-05-25 住友電装株式会社 圧接コネクタ
JP3651254B2 (ja) * 1998-04-15 2005-05-2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693149B2 (ja) * 1999-01-11 2005-09-0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371842B2 (ja) * 1999-02-23 2003-01-27 住友電装株式会社 圧接型防水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20076995A1 (en) 2000-12-20 2002-06-2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JP3889682B2 (ja) * 2002-07-23 2007-03-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6878018B2 (en) * 2003-01-02 2005-04-12 Yazaki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JP4292803B2 (ja) * 2003-01-09 2009-07-08 住友電装株式会社 係止解除用治具
JP3976689B2 (ja) * 2003-02-07 2007-09-1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SG143088A1 (en) * 2006-11-22 2008-06-27 Mea Technologies Pte Ltd Electrical conn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8121A (ja) 2000-12-25 2002-07-12 Sumitomo Wiring Syst Ltd 分割コネクタ
JP2002203631A (ja) * 2000-12-28 2002-07-19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3100376A (ja) * 2001-09-26 2003-04-0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3123891A (ja) * 2001-10-05 2003-04-25 Yazaki Corp コネクタのサイドスペーサ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23285B2 (ja) 2011-11-24
KR101631338B1 (ko) 2016-06-16
CN102160243A (zh) 2011-08-17
US20110223789A1 (en) 2011-09-15
CN102160243B (zh) 2013-12-11
US8210881B2 (en) 2012-07-03
EP2328237B1 (en) 2015-02-18
EP2328237A1 (en) 2011-06-01
JP2010073532A (ja) 2010-04-02
WO2010032392A1 (ja) 2010-03-25
EP2328237A4 (en) 2012-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8983A (ko) 전기 커넥터
EP2530787B1 (en) Connector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EP0827236B1 (en) A connector
US7140908B2 (en) Connector
US20100162534A1 (en) Fastener
US7238041B2 (en) Connector
KR20140058686A (ko) 커넥터의 단자 분리 구조
KR101449760B1 (ko)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
JP4725500B2 (ja) コネクタ
JP3755431B2 (ja) コネクタ
JP5329339B2 (ja) コネクタ
US20130315662A1 (en) Jig and a connector
JP4661910B2 (ja) 分割コネクタ
JP3791269B2 (ja) コネクタ
JP4826519B2 (ja) コネクタ
JP4730282B2 (ja) コネクタ
JP4228848B2 (ja) リテーナ付き端子収容部材、及び治具
JP6668315B2 (ja) 端子抜き取り治具
JP2008123776A (ja) コネクタ及び端子抜き方法
JP2003068387A (ja) コネクタ
JP3745953B2 (ja) 端子抜き治具
JP2008235050A (ja) コネクタ
JP4258146B2 (ja) コネクタ
JP3123436B2 (ja) コネクタ
JP5711625B2 (ja) 端子嵌合確認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