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8641A - 전력 캡슐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온도제어 방법 및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캡슐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온도제어 방법 및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8641A
KR20110068641A KR1020090125695A KR20090125695A KR20110068641A KR 20110068641 A KR20110068641 A KR 20110068641A KR 1020090125695 A KR1020090125695 A KR 1020090125695A KR 20090125695 A KR20090125695 A KR 20090125695A KR 20110068641 A KR20110068641 A KR 20110068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emperature
capsule
section
fix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5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6774B1 (ko
Inventor
김진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5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774B1/ko
Priority to US12/969,768 priority patent/US8781352B2/en
Publication of KR20110068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3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 G03G15/2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specially for the mode of operation, e.g. standby, warming-up, err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3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3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 G03G15/204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specially for the axial heat part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80Details relating to power supplies, circuits boards, electrical connec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978Details relating to power suppl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03Structural features of the fixing device
    • G03G2215/2006Plurality of separate fixing are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온도제어 방법 및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정착기 온도 제어방법은 플리커 개선을 위해 점진적으로 전력공급량을 늘려나가는 소프트 스타트(Soft start)구간, 전력이 최대로 공급되는 풀 턴온(Full turn on) 구간, 플리커 개선을 위해 점진적으로 전력공급량을 줄이는 소프트 엔드(Soft end) 구간으로 구성되고, 전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에 대한 플리커 특성과 하모닉 특성이 소정의 규격을 만족하면서 일정량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프로파일화된 전력캡슐을 생성하는 단계; 정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 및 정착기의 기준온도에 대한 상기 검출된 정착기 온도의 온도변화량에 따라 상기 전력캡슐에 상응하는 전력 제어를 수행하여 정착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착기 온도 제어에 있어서 갈수록 강화되는 플리커 특성과 하모닉 특성에 대한 규격을 만족하면서 정착기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력 캡슐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온도제어 방법 및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the fusing system i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i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에 대한 플리커(filicker) 특성과 하모닉(harmonic) 특성 규격을 만족하면서 정착기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전력캡슐을 이용한 정착기의 온도 제어 방법 및 장치와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제품, 특히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소비전력규제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대기시간(ready 모드)을 단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정착시스템(fuser system)의 히트 파이프(heat pipe)의 열 체적을 적게 하여 승온 성능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제어적 측면에서 보면 히트 파이프의 승온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히터의 온/오프(ON/OFF)의 횟수가 많아져 플리커(flicker) 특성이 악화된다. 또한 히트 파이프의 열 용량이 적어지면 전력의 제어능력(controller ability)이 문제 되는데, 정착기(fuser)의 승온 성능은 리플(ripple)을 허용하고 이는 플리커 특성을 악화시키게 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위상제어를 사용하게 되면 하모닉 특성이 악화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상형성장치의 플리커 특성과 하모닉 특성에 대한 규격을 만족시키면서 최적의 전력 제어를 위한, 전력캡슐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온도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화상형성장치의 플리커 특성과 하모닉 특성에 대한 규격을 만족시키면서 최적의 전력 제어를 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력캡슐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온도 제어 방법은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에 대한 플리커 특성과 하모닉 특성이 미리 설정된 규격을 만족하면서 소정 크기의 전력을 갖는 전력캡슐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정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 및 정착기의 기준온도에 대한 상기 검출된 정착기 온도의 온도 차에 따라 상기 전력캡슐 단위로 상기 정착기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정착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력캡슐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온도 제어 방법은 플리커 개선을 위해 점진적으로 전력공급량을 늘려나가는 소프트 스타트(Soft start)구간, 전력이 최대로 공급되는 풀 턴온(Full turn on) 구간, 플리커 개선을 위해 점진적으로 전력공급량을 줄이는 소프트 엔드(Soft end) 구간으로 구성되고, 상기 세 개의 구간 전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에 대한 플리커 특성과 하모닉 특성이 소정의 규격을 만족하면서 일정량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프로파일화된 전력캡슐을 생성하는 단계; 정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 및 정착기의 기준온도에 대한 상기 검출된 정착기 온도의 온도변화량에 따라 상기 전력캡슐에 상응하는 전력 제어를 수행하여 정착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력캡슐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온도 제어 장치는,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정착롤러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 전원공급장치의 전원이 상기 히터로 공급되는 것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및 플리커 개선을 위해 점진적으로 전력공급량을 늘려나가는 소프트 스타트(Soft start)구간, 전력이 최대로 공급되는 풀 턴온(Full turn on) 구간, 플리커 개선을 위해 점진적으로 전력공급량을 줄이는 소프트 엔드(Soft end) 구간으로 구성되고, 상기 세 개의 구간 전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에 대한 플리커 특성과 하모닉 특성이 소정의 규격을 만족하면서 일정량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프로파일화된 전력캡슐을 미리 준비하여, 상기 정착롤러의 온도변화에 따라 상기 전력캡슐에 상응하는 전력이 상기 히터에 공급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정착롤러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 전원공급장치의 전원이 상기 히터로 공급되는 것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및 플리커 개선을 위해 점진적으로 전력공급량을 늘려나가는 소프트 스타트(Soft start)구간, 전력이 최대로 공급되는 풀 턴온(Full turn on) 구간, 플리커 개선을 위해 점진적으로 전력공급량을 줄이는 소프트 엔드(Soft end) 구간으로 구성되고, 상기 세 개의 구간 전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에 대한 플리커 특성과 하모닉 특성이 소정의 규격을 만족하면서 일정량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프로파일화된 전력캡슐을 미리 준비하여, 상기 정착롤러의 온도변화에 따라 상기 전력캡슐에 상응하는 전력이 상기 히터에 공급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화상형성장치의 플리커 특성에 대한 규격을 만족하기 위해, 램프 부하(히터)에서 전력을 soft start하고 soft ending 하면 플리커 특성이 개선된다. 하지만, 이를 위해 위상제어가 많아지면 하모닉(harmonic) 규정을 만족하지 못한다. 파형수 제어는 제어 능력(control ability)이 좋지 못하다. 전력의 온/오프 회수를 적게 하면(파형수 제어) 플리커 특성이 개선된다. 그러나 전력 제어능력(control ability)이 높지 못하면 온도 리플(ripple)을 높게 해야 하는데, 이렇게 되면 정착기의 수명과 성능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한편, 화상형성장치의 하모닉(harmonic) 특성에 대한 규격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규격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위상제어와 파형수 제어의 비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형수 제어는 하모닉, EMI(Conduction)를 만족시키는 가장 좋은 방법이나 전력의 제어능력(control ability)이 낮아 플리커(flicker)를 극복하는 데 한계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력 캡슐을 이용한 정착기 온도제어 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전력 캡슐을 이용한 정착기 온도제어 장치(100), 전원공급장치(120) 및 히터(142)가 내장된 정착롤러(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공급장치(120)는 상기 정착롤러(140)에 내장된 히터(142)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정착롤러(140)는 상기 히터(142)를 내장하고 있으며, 상기 히터(142)는 상기 전원공급장치(120)로부터 전원을 받아 상기 정착롤러(140)를 가열한다.
상기 전력 캡슐을 이용한 정착기 온도제어 장치(100)는 상기 전원공급장치(120)의 전원이 상기 히터(142)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며, 제어부(102), 스위칭부(104) 및 온도센서(1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온도센서(104)는 상기 정착롤러(140)의 온도를 검출한다.
상기 스위칭부(104)는 상기 전원공급장치(120)의 전원이 상기 히터(142)로 공급되는 것을 스위칭한다.
상기 제어부(102)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에 대한 플리커 특성과 하모닉 특성이 소정의 규격을 만족하면서 일정 량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규정된 전력캡슐을 미리 준비하여, 상기 정착롤러(140)의 온도변화에 따라 상기 전력캡슐에 해당하는 전력이 상기 히터(140)에 공급되도록 상기 스위칭부(104)를 제어한다.
상기 전력캡슐은 정착기의 플리커 특성 및 하모닉 특성의 규격을 만족하면서 일정량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규정된다. 도 2는 상기 전력캡슐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소프트 스타트(soft start) 구간(A), 풀 턴온(full turn on) 구간(B), 소프트 엔드(soft end) 구간(C)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소프트 스타트 구간(A)은 히터(142)로의 전력공급을 점진적으로 늘려나가는 구간으로, 플리커 특성을 개선하며, 위상제어 또는 파형수 제어를 이용하여 전력공급이 이루어진다. 도 3은 상기 소프트 스타트 구간에서 사용되는 위상제어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소프트 스타트 구간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전력공급량이 점진적으로 많아지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상기 위상제어에서의 플리커 특성은 상기 소프트 스타트 시간을 증가시키면 더욱 낮아진다. 또한 상기 위상제어는 하모닉 특성을 악화시키는 단점이 있으나 제어능력(control ability)이 파형수 제어보다 우수하여 고속 프린터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그리고 파형수 제어는 상기 소프트 스타트 구간(A)에서 점진적으로 파형수를 많게 하여 전력 공급을 점진적으로 늘려나가는 방식으로, 제어능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나 하모닉 특성이 우수하고, 저속용 프린터에 적합하다.
상기 풀턴온 구간(B)은 최대전력이 공급되는 구간으로, 위상제어 방식으로 상기 소프트 스타트 구간(A)을 제어할 때 발생되는 하모닉 특성을 개선한다.
상기 소프트 엔드 구간(C)은 상기 소프트 스타트 구간(A)의 역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며, 통상 상기 소프트 스타트 구간의 30% 정도의 전력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력캡슐은 공급되는 전력 량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로 존재할 수 있으 며, 각각의 프로파일은 플리커/하모닉 특성에 대한 규격을 만족하도록 최적으로 구성된다. 최적의 프로파일은 소프트스타트 구간(A), 풀턴온 구간(B) 및 소프트 엔드 구간(C) 간의 시간 비율이 일정하게 되도록 프로파일화 되어 있고, A, C의 프로파일 설정은 부하(load) 특성에 따른 시간변화량에 대한 전력변화량의 비가 일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도록 위상을 테이블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가 복수 개일 경우에는, 히터 마다 공급되는 전력캡슐에 대한 프로파일(D, C' D' A, B, A')을 별도로 할 수 있으며, 제1 히터와 제2 히터가 동시에 온(ON)되지 않도록 히터가 온(ON)되는 시간에 대한 최소 간격(C)을 둘 수 있다. 상기 전력 캡슐은 프린팅 모드에 따라 정착온도 대비 온도 차에 따라 여러 개의 프로파일로 제어하며 정착제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정착기의 온도를 검출하여 그 온도 변화에 따라 상술한 전력캡슐에 상응하도록 스위칭을 수행하여 정착기의 온도를 제어하는데, 초기 warm up 구간과 연속프린팅 구간, 인쇄를 하지 않고 대기상태인 ready 구간을 나누어서 상기 캡슐의 크기와 캡슐의 개수를 달리하여 정착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초기 worm up구간에는 worm up 모드 프로파일에 해당하는 전력캡슐 을 보내고, 연속 프린팅 구간에서는 단위시간 당 많은 개수의 캡슐을 보내고, 대기구간에서는 ready 모드 프로파일에 해당하는 전력캡슐을 보낼 수도 있다. 또한 worm up 구간과 연속 프린팅 구간 및 대기 구간에 사용하는 캡슐의 크기를 달리하여 정착기 온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4는 전력캡슐을 이용한 정착기의 온도제어 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구현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SMPS(400)은 도 1의 전원공급장치(120)에 해당하고, MPU(410)은 제어부(102)에 해당하고, TRIAC 스위칭 보드(420)는 스위칭부(104)에 해당하며, TH#1(430)과 TH#2(440)는 온도센서(106)에 해당하고, LAMP#1(450)과 LAMP#2(460)은 히터(142)를 내장한 정착롤러(140)에 해당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력 캡슐을 이용한 정착기 온도제어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과 도 5를 참조하여, 전력 캡슐을 이용한 정착기 온도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에 대한 플리커 특성과 하모닉 특성이 소정의 규격을 만족하면서 일정 량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규정된 전력캡슐을 생성한다.(S500단계) 상기 전력캡슐은 전력 량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로 존재할 수 있으며, 각각의 프로파일은 플리커 특성 및 하모닉 특성에 대한 규격을 만족하도록 최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력캡슐에 대한 프로파일은 초기 warm up 구간과 연속프린팅 구간, 인쇄를 하지 않고 대기상태인 ready 구간을 나누어서 상기 캡슐의 크기와 캡슐의 개수를 달리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전력캡슐에 대한 프로파일은 테이블로 구성하여 제어부(102)에 미리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센서(106)에 의해 정착롤러(140)의 온도가 감지되면(S510단계), 정착롤러(140)의 기준온도에 대한 온도변화량을 산출한다.(S520단계)
상기 기준온도에 대한 온도변화량에 따라 상기 전력캡슐에 해당하는 전력이 히터(142)로 공급되도록 제어부(102)는 스위칭부(104)를 스위칭하여 정착기의 온도를 제어한다.(S530단계)
도 7은 전력 캡슐을 이용한 정착기의 온도 제어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제어부(102)는 worm up 모드 프로파일에 대한 전력캡슐을 준비하고, 프린팅 모드에서는 온도 변화량 5℃에 해당하는 프로파일에 대한 전력캡슐(캡슐 #1), 온도변화량 10℃, 15℃ 에 해당하는 프로파일에 대한 전력캡슐(캡슐 #2, 캡슐 #3)을 준비한다. 그리고 ready모드에서는 ready 모드 프로파일에 대한 전력캡슐(캡슐#4)를 준비하여, 상기 캡슐들을 테이블로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02)는 Worm up모드에서는 worm up 모드의 프로파일에 의해 규정된 전력캡슐에 의해 히터(142)에 전력이 가해지도록 온도를 제어한다. 그리고 프린팅 모드에서는 기준 정착온도에 대한 온도변화량을 검출하여 온도변화량이 5℃ 이상일 경우에는 캡슐 #1에 의해 히터(142)에 전력이 가해지도록 온도를 제어한다. 그리고 온도변화량이 10℃ 이상일 경우에는 캡슐 #2에 의해, 온도변화량이 15℃ 이상일 경우에는 캡슐 #3에 의해 히터(142)에 전력이 가해지도록 온도를 제어한다. 그리고 ready모드에서는 캡슐#4 에 의해 히터(142)에 전력이 가해지도록 온도를 제어한다.
이렇게 본 발명에 의하면, 캡슐단위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온도를 제어한다. 이 때 worm up 구간, 연속인쇄구간, ready구간 별로 캡슐의 크기를 달리하여 제어할 수 있으며, 캡슐의 개수를 달리하여 제어할 수도 있다. 이렇게 캡슐 단위로 제어할 경우, 캡슐 자체가 하모닉 특성과 플리커 특성에 대한 규격을 만족하도록 생성되어 있으므로, 갈수록 강화되는 하모닉 특성과 플리커 특성에 대한 규격을 만족하며 정착기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두 개의 프로파일 제어에 대한 효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파형수(Zero Voltage Crossing Firing, ZCVF) trickle 프로파일 시퀀스와 위상(phase) 프로파일 시퀀스에 대한 Plt 값과 Pst 값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설명하면, 기준 프린터에서, 하나의 램프(800W)에 대해, 대기모드에서의 플리커 값을 나타내는Plt는, ZCVF Duty profile sequence에서는 0.62을 나타내고, Phase Profile Sequence는 0.332를 나타내고, 인쇄모드에서의 플리커 값을 나타내는Pst는, ZCVF Duty profile sequence에서는 0.63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플리커 규격에서 1 이하로 되어야 하는데, 모두 플리커 규격을 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지그 프로파일 테스트에서, 두개의 램프(1600W)에 대해, 대기모드에서의 플리커 값을 나타내는Plt는, ZCVF Duty profile sequence에서는 0.62을 나타내고, Phase Profile Sequence는 0.332를 나타내고, 인쇄모드에서의 플리커 값을 나타내는Pst는, ZCVF Non Soft Start ON/OFF profile sequence에서는 1.895로서 플리커 규격을 벗어났지만, ZCVF Duty profile sequence에서는 0.75을 나타내고, Phase Profile Sequence는 0.635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플리커 규격에서 1 이하로 되어야 하는데, 모두 플리커 규격을 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력 캡슐을 이용한 정착기 온도제어 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전력캡슐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소프트 스타트 구간에서 사용되는 위상제어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전력캡슐을 이용한 정착기의 온도제어 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력 캡슐을 이용한 정착기 온도제어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히터가 복수 개일 경우에는, 히터 마다 공급되는 전력캡슐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전력 캡슐을 이용한 정착기의 온도 제어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두 개의 프로파일 제어에 대한 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21)

  1.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에 대한 플리커 특성과 하모닉 특성이 미리 설정된 규격을 만족하면서 소정 크기의 전력을 갖는 전력캡슐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정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 및
    정착기의 기준온도에 대한 상기 검출된 정착기 온도의 온도 차에 따라 상기 전력캡슐 단위로 상기 정착기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정착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기의 온도제어방법.
  2. 플리커 개선을 위해 점진적으로 전력공급량을 늘려나가는 소프트 스타트(Soft start)구간, 전력이 최대로 공급되는 풀 턴온(Full turn on) 구간, 플리커 개선을 위해 점진적으로 전력공급량을 줄이는 소프트 엔드(Soft end) 구간으로 구성되고, 상기 세 개의 구간 전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에 대한 플리커 특성과 하모닉 특성이 소정의 규격을 만족하면서 일정량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프로파일화된 전력캡슐을 생성하는 단계;
    정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 및
    정착기의 기준온도에 대한 상기 검출된 정착기 온도의 온도변화량에 따라 상기 전력캡슐에 상응하는 전력 제어를 수행하여 정착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기의 온도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스타트 구간 및 소프트 엔드 구간은
    위상제어 방식 또는 파형 수 제어 방식에 의해 전력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기의 온도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캡슐은
    상기 소프트 스타트 구간, 풀 턴온 구간 및 소프트 엔드 구간 간의 시간 비율이 일정하게 되도록 프로파일화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기의 온도제어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스타트 구간 및 소프트 엔드 구간은
    부하의 특성에 따라 시간변화량에 대한 전력변화량이 일정한 값을 갖도록 각각 프로파일화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기의 온도제어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변화량의 범위를 복수 개로 규정하고, 상기 복수 개의 온도변화량 범위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전력캡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기의 온도제어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캡슐은
    웜업(Worm up) 모드, 프린팅모드 및 대기(ready) 모드에 따라 달리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기의 온도제어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기 히터가 복수 개일 때, 상기 히터 중 하나가 풀 턴 온 구간에 도달하면, 소정 시간이 지난 후에 다른 히터가 소프트 스타트 구간에 진입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기의 온도제어방법.
  9.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정착롤러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
    전원공급장치의 전원이 상기 히터로 공급되는 것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및
    플리커 개선을 위해 점진적으로 전력공급량을 늘려나가는 소프트 스타트(Soft start)구간, 전력이 최대로 공급되는 풀 턴온(Full turn on) 구간, 플리커 개선을 위해 점진적으로 전력공급량을 줄이는 소프트 엔드(Soft end) 구간으로 구성되고, 상기 세 개의 구간 전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에 대한 플리커 특성과 하모닉 특성이 소정의 규격을 만족하면서 일정량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프로파일화된 전력캡슐을 미리 준비하여, 상기 정착롤러의 온도변화에 따라 상기 전력캡슐에 상응하는 전력이 상기 히터에 공급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기의 온도제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캡슐의 소프트 스타트 구간 및 소프트 엔드 구간은
    위상제어 방식 또는 파형 수 제어 방식에 의해 전력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기의 온도제어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캡슐은
    소프트 스타트 구간, 풀 턴온 구간 및 소프트 엔드 구간 간의 시간 비율이 일정하게 되도록 프로파일화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기의 온도제어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캡슐의 소프트 스타트 구간 및 소프트 엔드 구간은
    시간변화량에 대한 전력변화량이 일정한 값을 갖도록 프로파일화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기의 온도제어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변화량의 범위를 복수 개로 규정하고, 상기 복수 개의 온도변화량 범위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전력캡슐을 마련하고,
    상기 정착롤러의 온도가 감지되면, 상기 온도변화량에 상응하는 전력캡슐에 해당하는 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기의 온도제어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캡슐은
    웜업(Worm up) 모드, 프린팅모드 및 대기(ready) 모드에 따라 달리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기의 온도제어장치.
  15. 전원공급장치;
    적어도 하나의 히터를 내장하고,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정착롤러;
    상기 정착롤러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전원이 상기 히터로 공급되는 것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및
    플리커 개선을 위해 점진적으로 전력공급량을 늘려나가는 소프트 스타트(Soft start)구간, 전력이 최대로 공급되는 풀 턴온(Full turn on) 구간, 플리커 개선을 위해 점진적으로 전력공급량을 줄이는 소프트 엔드(Soft end) 구간으로 구성되고, 상기 세 개의 구간 전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에 대한 플리커 특성과 하모닉 특성이 소정의 규격을 만족하면서 일정량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프로파일화된 전력캡슐을 미리 준비하여, 상기 정착롤러의 온도변화에 따라 상기 전력캡슐에 상응하는 전력이 상기 히터에 공급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캡슐은
    소프트 스타트 구간, 풀 턴온 구간 및 소프트 엔드 구간 간의 시간 비율이 일정하게 되도록 프로파일화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스타트 구간 및 소프트 엔드 구간은
    위상제어 방식 또는 파형 수 제어 방식에 의해 전력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스타트 구간 및 소프트 엔드 구간은
    시간변화량에 대한 전력변화량이 일정한 값을 갖도록 프로파일화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정착기 히터의 기준온도에 대한 온도변화량에 따라 공급해야 할 전력량이 다를 때, 상기 온도 변화량을 복수 개의 온도범위로 규정하고, 상기 복수 개의 온도범위 각각에 대응되도록 상기 전력캡슐을 복수 개 마련하고,
    상기 정착기 히터의 온도가 감지되면, 상기 온도변화량에 상응하는 전력캡슐에 해당하는 전력이 히터로 공급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캡슐은
    웜업(Worm up) 모드, 프린팅모드 및 대기(ready) 모드에 따라 달리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기의 히터가 복수 개일 때, 상기 히터 중 하나가 풀 턴 온 구간에 도달하면, 소정 시간이 지난 후에 다른 히터가 소프트 스타트 구간에 진입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기의 온도제어방법.
KR1020090125695A 2009-12-16 2009-12-16 전력 캡슐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온도제어 방법 및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656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695A KR101656774B1 (ko) 2009-12-16 2009-12-16 전력 캡슐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온도제어 방법 및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12/969,768 US8781352B2 (en) 2009-12-16 2010-12-16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temperature of fuser in image forming apparatus by using power caps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695A KR101656774B1 (ko) 2009-12-16 2009-12-16 전력 캡슐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온도제어 방법 및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641A true KR20110068641A (ko) 2011-06-22
KR101656774B1 KR101656774B1 (ko) 2016-09-12

Family

ID=44143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5695A KR101656774B1 (ko) 2009-12-16 2009-12-16 전력 캡슐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온도제어 방법 및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81352B2 (ko)
KR (1) KR1016567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40750B2 (ja) * 2011-01-07 2014-12-17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定着制御方法
KR101873033B1 (ko) * 2011-12-01 2018-07-03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전압 공용화 화상 형성 장치 및 이의 정착 온도 제어 방법
CN104253605A (zh) * 2013-06-27 2014-12-3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调整电路及具有调整电路的电子设备
US9377730B1 (en) * 2014-12-19 2016-06-28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6288031B2 (ja) * 2015-10-01 2018-03-0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801403B2 (ja) * 2016-11-29 2020-12-16 株式会社リコー ヒータ制御装置、ヒータ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00014067A (ko) 2018-07-31 2020-02-10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정착기의 구동 제어 방법
JP7456158B2 (ja) 2019-12-27 2024-03-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243489B2 (en) * 2019-12-27 2022-02-0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Fix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ixing device
JP2023016473A (ja) 2021-07-21 2023-02-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3016474A (ja) * 2021-07-21 2023-02-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1037A (ja) * 1996-09-19 1998-04-10 Ricoh Co Ltd 電子写真装置
US5747774A (en) * 1994-02-22 1998-05-05 Canon Kabushiki Kaisha Heat fixing apparatus with temperature control based on AC power waves
JP2004191710A (ja) * 2002-12-12 2004-07-08 Kyocera Mita Corp 定着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20070116485A1 (en) * 2003-12-26 2007-05-24 Canon Finetech Inc. Fixation heater control method and image form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4254A (ja) * 1998-06-10 1999-12-24 Canon Inc 加熱装置、定着装置及びこの加熱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03345171A (ja) 2002-05-28 2003-12-03 Ricoh Co Ltd 定着温度制御方法,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1632822B1 (en) * 2004-09-06 2017-04-0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2010066376A (ja) * 2008-09-09 2010-03-25 Ricoh Co Ltd 定着制御装置、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002724A (ja) * 2009-06-19 2011-01-06 Canon Inc 定着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7774A (en) * 1994-02-22 1998-05-05 Canon Kabushiki Kaisha Heat fixing apparatus with temperature control based on AC power waves
JPH1091037A (ja) * 1996-09-19 1998-04-10 Ricoh Co Ltd 電子写真装置
JP2004191710A (ja) * 2002-12-12 2004-07-08 Kyocera Mita Corp 定着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20070116485A1 (en) * 2003-12-26 2007-05-24 Canon Finetech Inc. Fixation heater control method and image form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6774B1 (ko) 2016-09-12
US8781352B2 (en) 2014-07-15
US20110142475A1 (en)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8641A (ko) 전력 캡슐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온도제어 방법 및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4637694B2 (ja) 力率補正回路及びその出力電圧制御方法
JP3750690B1 (ja) 電源装置
JP6619489B2 (ja) デジタル電源
US851627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ied to fixing unit
JP6452105B2 (ja) 画像形成装置
JP3138667U (ja) 段階的起動シーケンス制御回路
JP2008165769A (ja) 電気ヒータ用の温度調節装置
US20140375229A1 (en) Switched-mode power supply device and use of such a switched mode power supply device
JP6213087B2 (ja) 絶縁型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6730886B2 (en)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heating time instant heating roller
JP2009295392A (ja) 電磁誘導加熱装置
JP2012252405A (ja) 電源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375872B2 (ja) 誘導加熱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313053A (ja) 電気式床暖房制御装置
JP6091178B2 (ja) 光源装置、電子機器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JP5720457B2 (ja) 点灯制御回路及び点灯装置
JP2009043700A (ja) 誘導加熱装置
JP5906454B2 (ja) 誘導加熱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2019140714A (ja) パルス電源装置
JP2009268167A (ja) 位相制御装置
JP2016170403A (ja) 加熱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018224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電力変換方法
JP2004200179A (ja) 電気ヒータ制御装置
KR100887177B1 (ko) 전기 난로용 전력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