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5251A - 광전송 모듈, 전자 기기, 광전송 모듈의 조립 방법 및 광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광전송 모듈, 전자 기기, 광전송 모듈의 조립 방법 및 광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5251A
KR20110065251A KR1020100012299A KR20100012299A KR20110065251A KR 20110065251 A KR20110065251 A KR 20110065251A KR 1020100012299 A KR1020100012299 A KR 1020100012299A KR 20100012299 A KR20100012299 A KR 20100012299A KR 20110065251 A KR20110065251 A KR 20110065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transmission
optical
circuit board
transmission path
transmiss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2730B1 (ko
Inventor
겐따로오 하마나
나루 야스다
하야미 호소까와
Original Assignee
오무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무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무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65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3Arrangements comprising a plurality of opto-electronic elements and associated optical inter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80Optical aspects relating to the use of optical transmission for specific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10/03 - H04B10/70, e.g. optical power feeding or optical transmission through water
    • H04B10/801Optical aspects relating to the use of optical transmission for specific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10/03 - H04B10/70, e.g. optical power feeding or optical transmission through water using optical interconnects, e.g. light coupled isolators, circuit board interconnections
    • H04B10/803Free space interconnects, e.g. between circuit boards or chi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02B6/421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the intermediate optical element having redirecting reflective means, e.g. mirrors, prisms for deflecting the radiation from horizontal to down- or upward direction toward a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4Optical details, e.g. printed circuits comprising integral optical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Optical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기판간 거리가 광전송로의 굴곡 내성 한계를 하회하는(굴곡 내성을 유지할 수 없는) 거리라도, 이 거리 내에 광전송로를 수용하여, 수용 스페이스의 협스페이스화를 실현한다.
광전송 모듈(1)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 사이에서 광전송을 행하는 광전송로(4)를 구비하고, 광전송로(4)는 굴곡 반경(R)을 갖는 폴드 구조의 굴곡부(4C)를 갖고 있고, 굴곡 반경(R)에 의해 그려지는 원주 부분이,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의 기판면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광전송 모듈, 전자 기기, 광전송 모듈의 조립 방법 및 광전송 방법{OPTICAL TRANSMISSION MODULE,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ASSEMBLING OPTICAL TRANSMISSION MODULE AND OPTICAL TRANSMISSION METHOD}
본 발명은 광전송 모듈, 전자 기기, 광전송 모듈의 조립 방법 및 광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기의 LCD(Liquid Crystal Display)의 고정세화(高精細化)에 수반하여, LCD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사이의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고속화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휴대 전화기의 박형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회로 기판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배선에 대해, 배선수의 삭감이나 고굴곡성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2개의 회로 기판을 평행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기구를 구비한 슬라이드식 휴대 전화기에서는, 회로 기판 사이에 생긴 공간(회로 기판간 거리가 3㎜ 미만) 내에 배선 굴곡을 발생시킬 필요가 있어, 배선의 고굴곡성의 요구는 현저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 슬라이드식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의 회로 기판 사이의 접속에,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 ; Flexible printed circuits)이 사용되고 있었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사용하여 회로 기판 사이를 접속한 기술로서,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및 2에 기재된 기술을 들 수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굴곡 시에 외측이 되는 외측 절연층에 구비된, 외측 수지 필름의 탄성률이 6GP 이상인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내굴곡성이 향상되어, 일방향으로 반복해서 굴곡해도 도체 회로층을 구성하는 도체 회로의 단선이 방지된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을 구성하는 복수층(전기 절연층, 접착제층, 도체층 등) 각각에 대해, 두께, 탄성률, 미끄럼 이동 반경 등을 규정함으로써,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내굴곡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특허 문헌 1 및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에 있어서의 수지 재료층의 탄성률, 두께 등을 제어함으로써, 반복 굴곡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사용한 회로 기판 사이의 접속과는 별도로, LCD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광도파로 등의 광전송로로 접속하여, 데이터 신호를 광신호로서 전송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광도파로는 코어와 그것을 덮는 클래드의 이중 구조로 되어 있고, 클래드보다도 코어의 굴절률이 높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코어에 입사한 광신호는 코어 내부에서 전반사를 반복함으로써 전파된다.
광전송 모듈을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휴대 전화기 내에 탑재되는 주제어 기판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 회로 기판으로의 고속이고 또한 대용량인 데이터 신호의 전송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광전송 모듈은 데이터 전송 모듈로서 매우 우수한 것이다.
이와 같은 광전송 모듈을 휴대 전화기로 적용한 기술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기술을 들 수 있다.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광전송 모듈은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 사이에 광을 대략 90° 편향하는 복수의 미러가 배치되어, 발광 소자와 미러 사이, 복수의 미러 사이 및 수광 소자와 미러 사이를 접속하는 복수의 광전송로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성에 의해, 광전송 모듈은 복수의 회전축에 대해서도 회전 가능해져, 광전송로 그 자체에도 굴곡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광전송로의 굴곡에 의한 광학 손실을 회피하여, 회전 등 다양한 동작에 대응 가능한 휴대 전화기를 실현할 수 있다.
[특허문헌1]일본특허출원공개제2006-310643호공보(2006년11월9일공개) [특허문헌2]일본특허출원공개제2009-194179호공보(2009년8월27일공개) [특허문헌3]일본특허출원공개제2005-252334호공보(2005년9월15일공개)
예를 들어, 슬라이드식 휴대 전화기 등의 슬라이드식 전자 기기에서는, 가일층의 박형화를 목표로 하여, 2개의 회로 기판을 상대적으로 평행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기구의 박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 슬라이드 기구의 박형화에 수반하여, 2개의 회로 기판 사이의 거리가 작아져, 양 기판을 데이터 전송하는 배선의 굴곡성의 요구가 점점 엄격해지고 있다.
특허 문헌 1 및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에 있어서의 수지 재료층의 탄성률, 두께 등을 제어함으로써, 반복 굴곡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굴곡에 특화한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에서는, 기판 사이에서 임피던스 매칭을 취할 필요가 있어, 굴곡성과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송 특성의 양립이 곤란하다. 또한, 특허 문헌 1 및 2에 기재된 기술에 임피던스 매칭을 취할 필요가 없는 광배선을 적용한 경우라도, 이하의 문제가 발생한다.
즉, 특허 문헌 1 및 2에 기재된 기술을 광전송 모듈에 적용한 경우, 광전송로의 굴곡 한계 반경이, 슬라이드식 휴대 전화기의 박형화의 제한으로 되어, 충분한 박형화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도 23은 특허 문헌 1 및 2에 기재된 기술을 광전송 모듈에 적용한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허 문헌 1 및 2에 기재된 기술을 광전송 모듈에 적용한 경우, 광전송로(4')는 송신측 기판(20)으로부터 수신측 기판(30)을 향해 U자 굴곡된 구성으로 된다. 그로 인해, 광전송로(4')의 굴곡 반경은 그 굴곡 반경 × 2[굴곡 직경(a)]이 기판간 거리(d)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정된다. 즉, 도 23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기판간 거리(d)는 광전송로(4')의 굴곡 직경(a)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정할 수 없다. 그로 인해, 박형화를 위해, 광전송로(4')의 굴곡 반경을, 굴곡 내성을 유지하는 하한의 한계 굴곡 반경으로 설정해도, 기판간 거리(d)를, 한계 굴곡 반경 × 2보다도 작게 설정할 수 없다. 따라서, 특허 문헌 1 및 2에 기재된 기술을 광전송 모듈에 적용한 경우, 광전송로(4')의 굴곡 한계 반경이, 휴대 전화기의 박형화의 제한으로 된다.
또한,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광전송로 그 자체에 굴곡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광학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러나, 광전송로의 굴곡을 회피하기 위해, 복수의 미러를 조합하여 광로를 변환하고 있으므로, 비용이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기판간 거리가 광전송로의 굴곡 내성 한계를 하회하는(굴곡 내성을 유지할 수 없는) 거리라도, 이 거리 내에 광전송로를 수용할 수 있어, 수용 스페이스의 협스페이스화가 가능한 광전송 모듈, 전자 기기, 광전송 모듈의 조립 방법 및 광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광전송 모듈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 사이에서 광전송을 행하는 광전송로를 구비한 광전송 모듈이며, 상기 광전송로는 굴곡 반경(R)을 갖는 폴드(fold) 구조를 갖고 있고, 상기 굴곡 반경(R)에 의해 그려지는 원주 부분이,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의 기판면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광전송로는 굴곡 반경(R)을 갖는 폴드 구조를 갖고 있고, 상기 굴곡 반경(R)에 의해 그려지는 원주 부분이,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의 기판면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으므로, 굴곡 반경(R)은 제1 회로 기판과 제2 회로 기판의 기판간 거리에 따라서 설정되지 않고, 임의의 반경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기판간 거리가 광전송로의 굴곡 내성 한계를 하회하는(굴곡 내성을 유지할 수 없는) 거리라도, 이 거리 내에 광전송로를 수용할 수 있어, 수용 스페이스의 협스페이스화를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 전자 기기의 가일층의 박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원주 부분 전체가 대략 수직일 필요는 없고, 원주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서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의 기판면에 대해 수직으로 되는 부분이 있으면 된다.
본 발명의 광전송 모듈에서는,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광송신부와,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광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전송로는 광전송 방향을 축으로 하여 비틀려 있고, 상기 광송신부 및 상기 광수신부는 상기 광전송로가 비틀린 상태로,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광전송로는 광전송 방향을 축으로 하여 비틀려 있고, 상기 광송신부 및 상기 광수신부는 상기 광전송로가 비틀린 상태로,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접속하므로, 광전송로가 광전송 방향을 축으로 하여 비틀림으로써, 광전송로의 굴곡부에 비틀림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 비틀림에 의해, 굴곡부의 굴곡 방향이 바뀐다. 결과적으로,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광전송로의 굴곡부는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의 기판면을 따른 방향으로 굴곡한다. 즉, 광전송로가 기판면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세워진 구성으로 된다. 그로 인해, 굴곡부의 굴곡 반경은 제1 회로 기판과 제2 회로 기판의 기판간 거리에 따라서 설정되지 않고, 임의의 반경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기판간 거리가 광전송로의 굴곡 내성 한계를 하회하는(굴곡 내성을 유지할 수 없는) 거리라도, 이 거리 내에 광전송로를 수용할 수 있어, 수용 스페이스의 협스페이스화를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 전자 기기의 가일층의 박형화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광전송 모듈에서는 상기 광전송로에 있어서의 상기 광송신부가 설치된 면과 반대측의 면에, 상기 광수신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광전송 모듈을, 서로 대향하는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에 탑재했을 때, 광전송로에 자연스럽게 비틀림이 발생한다. 그로 인해,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제1 회로 기판과 제2 회로 기판의 기판간 거리를 용이하게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전송 모듈에서는,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은 서로 평행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슬라이드식 휴대 전화기와 같은,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상기 제2 회로 기판이 서로 평행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식 전자 기기에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전송 모듈에서는 적어도 상기 광전송로에 있어서의 굴곡 부분의 폭이,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상기 제2 회로 기판의 거리보다도 작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전송 모듈에 있어서는, 광전송로는 그 비틀림에 의해, 제1 회로 기판으로부터 제2 회로 기판을 향해 U자 굴곡되지 않고,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의 기판면을 따라서 비틀려 굴곡되게 된다. 그 결과, 광전송로의 굴곡 부분은 굴곡면이 기판면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되도록 배치된다. 그로 인해, 기판간 거리는 광전송로의 폭에 따라서 결정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적어도 상기 광전송로에 있어서의 굴곡 부분의 폭이, 제1 회로 기판과 제2 회로 기판의 거리보다도 작게 되어 있으므로, 전자 기기의 박형화에 더욱 유효하다.
본 발명의 광전송 모듈에서는, 상기 광전송로에 있어서의, 광전송 방향에 평행한 복수의 면 중 1개의 면에, 광전송로를 구성하는 부재와는 다른 부재의 기판 필름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반복 굴곡 시의 광전송로의 인장 및 마모에 대한 내성이 향상된 광전송 모듈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전송 모듈에서는, 상기 기판 필름은 상기 광전송로에 있어서의 굴곡 시에 외측이 되는 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판 필름은 광전송로의 인장에 의한 파단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반복 굴곡에 대해 파단되기 쉬운 특성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파단되기 쉬운 기판 필름을 광전송로에 있어서의 굴곡 시에 외측이 되는 면에 설치함으로써, 광전송로의 굴곡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전송 모듈에서는,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광송신부와,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광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송신부는 상기 광전송로로 광을 출사하는 발광 소자를 갖고, 상기 광수신부는 상기 광전송로를 전송하는 광을 수광하는 수광 소자를 갖고, 상기 수광 소자는 상기 광전송로에 있어서의 상기 기판 필름이 설치된 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광전송로에 있어서의 상기 기판 필름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광학 결합 거리에 따라서 광학 결합 손실이 크게 변화되는 발광 소자-광전송로 사이에 기판 필름이 개재되지 않고, 광학 결합 거리에 따른 광학 결합 손실의 변화가 작은 수광 소자-광전송로 사이에 기판 필름이 개재되어 있다. 이에 의해, 광전송 모듈 전체적으로의 광학 손실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광 출력을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발광 소자로 입력되는 전류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광전송 모듈의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전송 모듈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회로 기판과 제2 회로 기판 사이에서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전기 전송로와, 상기 전기 전송로에 탑재된 광송신부와, 상기 광송신부에 광결합한 광전송로와, 상기 전기 전송로의 상기 광송신부와 동일면에 탑재되고, 또한 상기 광전송로에 광결합한 광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전송로가 광전송 방향을 축으로 하여 비틀린 상태로 실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전기 전송로와 일체화된 광전송 모듈에 있어서는, 광전송로가 U자 굴곡되어 있는 경우, 전기 전송로의 굴곡 반경을, 광전송로의 굴곡 한계 반경과 대략 일치하는 반경까지 작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때, 광전송로는 대부분의 면적에서 전기 전송로와 접촉하고 있다. 그로 인해, 광전송로에는 굴곡에 의한 응력에 추가하여, 전기 전송로와의 마찰에 의한 기계적 부하가 발생한다. 굴곡 한계 반경으로 굴곡되어 있는 굴곡부 부근에서 응력이 발생하고 있는 광전송로에서는, 전기 배선과의 마찰에 의해 파손이 발생하면, 그 파손 부분으로부터 파단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상기한 구성과 같이, 광전송로가 광전송 방향을 축으로 하여 비틀려 있는 경우, 광전송로와 전기 전송로의 접촉 면적은 광전송로가 U자 굴곡된 경우와 비교하여 작아진다. 그로 인해, 전기 전송로와의 마찰에 의한 기계적 부하를 작게 할 수 있고, 마찰에 의한 파손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광전송로의 굴곡 반경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굴곡에 의한 응력을 완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술한 광전송 모듈과,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송신측 회로 기판 및 수신측 회로 기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기판간 거리가 광전송로의 굴곡 내성 한계를 하회하는(굴곡 내성을 유지할 수 없는) 거리라도, 이 거리 내에 광전송로를 수용할 수 있어, 수용 스페이스의 협스페이스화를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 또한 박형화된 전자 기기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기기에서는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상기 제2 회로 기판을 서로 평행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기구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슬라이드식 휴대 전화기와 같은,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상기 제2 회로 기판이 서로 평행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식 전자 기기에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 기기에서는 상기 제1 회로 기판 또는 상기 제2 회로 기판의 어느 한쪽의 기판면에, 상기 광전송로의 굴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기판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광전송로의 굴곡 부분을 정해진 위치로 할 수 있고, 광전송로의 굴곡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상기 광전송 모듈은,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광송신부와,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광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송신부 및 상기 광수신부에는, 상기 광전송로의 광전송 방향으로 돌출된 수평 커넥터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에는 상기 수평 커넥터 볼록부에 끼워 맞추어지는 제1 끼워 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상기 광전송 모듈은,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광송신부와,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광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송신부 및 상기 광수신부에는, 상기 광전송로의 광전송 방향으로 수직으로 돌출된 수직 커넥터의 헤더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에는 상기 헤더에 끼워 맞추는 제2 끼워 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상기 광전송 모듈은,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광송신부와,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광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송신부 및 상기 광수신부에는 제1 회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에는 제2 회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회로 패턴은 이방성 도전막(ACF)을 통해 접속하고 있는 구성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전자 기기에서는, 상기 광전송 모듈은,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광송신부와,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광수신부를 구비하고,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에 대해, 상기 슬라이드 기구에 의한 이동 방향의 양단부가 서로 겹쳐서 배치된 위치를 폐쇄 위치로 하고,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상기 제2 회로 기판이 서로 평행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고, 제1 회로 기판에 있어서의 이동 방향의 한쪽의 단부가, 제2 회로 기판에 있어서의 이동 방향의 다른 쪽의 단부에 가장 근접하는 위치를 개방 위치로 하여,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까지의 사이의 위치를 중간 위치로 했을 때, 상기 광송신부 및 상기 광수신부는 상기 폐쇄 위치, 상기 개방 위치 및 상기 중간 위치 중 어느 위치에 있어서도,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볼 때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광송신부 및 상기 광수신부는 상기 폐쇄 위치, 상기 개방 위치 및 상기 중간 위치 중 어느 위치에 있어서도,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볼 때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기판간 거리를 법선 방향에 있어서의 광송신부 및 광수신부의 두께의 합보다도 작게 설정할 수 있어, 더욱 박형화된 전자 기기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전자 기기에서는,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볼 때, 상기 광송신부와 상기 광수신부의 거리는 상기 광전송로의 굴곡 반경의 2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전자 기기에 있어서의 광전송 모듈의 점유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전송 모듈의 조립 방법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광송신부와, 상기 광송신부에 광결합한 광전송로와, 광전송로에 광결합하는 광수신부를 구비한 광전송 모듈의 조립 방법이며, 상기 광송신부 및 상기 광수신부를, 상기 광전송로의 광전송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상기 광전송로를, 비튼 상태로 상기 광송신부 및 상기 광수신부에 실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광전송로의 동일면에 광송신부 및 광수신부가 배치된 통상의 광전송 모듈과 동일한 설비로, 광전송 모듈을 조립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광전송 방법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향하여 배치된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 사이에서 광전송로를 사용하여 광전송을 행하는 광전송 방법이며,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 각각에, 광송신부 및 광수신부를 배치하고, 상기 광전송로를, 비튼 상태로 상기 광송신부 및 상기 광수신부에 실장하고, 상기 광송신부로부터 송신된 광신호를 상기 광수신부에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기판간 거리가 광전송로의 굴곡 내성 한계를 하회하는(굴곡 내성을 유지할 수 없는) 거리라도, 이 거리 내에 광전송로를 수용할 수 있어, 수용 스페이스의 협스페이스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전송 모듈은, 이상과 같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 사이에서 광전송을 행하는 광전송로를 구비한 광전송 모듈이며, 상기 광전송로는 굴곡 반경(R)을 갖는 폴드 구조를 갖고 있고, 상기 굴곡 반경(R)에 의해 그려지는 원주 부분이,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의 기판면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광전송 모듈은, 이상과 같이 제1 회로 기판과 제2 회로 기판 사이에서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전기 전송로와, 상기 전기 전송로에 탑재된 광송신부와, 상기 광송신부에 광결합한 광전송로와, 상기 전기 전송로의 상기 광송신부와 동일면에 탑재되고, 또한 상기 광전송로에 광결합한 광수신부를 구비하여, 상기 광전송로가 광전송 방향을 축으로 하여 비틀린 상태로 실장되어 있는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이상과 같이 상기 광전송 모듈과,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을 구비한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의 광전송 모듈의 조립 방법은, 이상과 같이 광송신부와, 상기 광송신부에 광결합한 광전송로와, 광전송로에 광결합하는 광수신부를 구비한 광전송 모듈의 조립 방법이며, 상기 광송신부 및 상기 광수신부를, 상기 광전송로의 광전송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상기 광전송로를, 비튼 상태로 상기 광송신부 및 상기 광수신부에 실장하는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의 광전송 방법은, 이상과 같이 대향하여 배치된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 사이에서 광전송로를 사용하여 광전송을 행하는 광전송 방법이며,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 각각에, 광송신부 및 광수신부를 배치하고, 상기 광전송로를, 비튼 상태로 상기 광송신부 및 상기 광수신부에 실장하고, 상기 광송신부로부터 송신된 광신호를 상기 광수신부에서 수신하는 구성이다.
그로 인해, 기판간 거리가 광전송로의 굴곡 내성 한계를 하회하는(굴곡 내성을 유지할 수 없는) 거리라도, 이 거리 내에 광전송로를 수용할 수 있어, 수용 스페이스의 협스페이스화를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 가일층의 박형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의 광전송 모듈을 내장한 슬라이드식 휴대 전화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측단면도, (b)는 상면도, (c)는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의 (a)는 도 1의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의, 광전송 모듈의 적용 부분을 도시하는 블록도, (b)는 도 1의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의, 광전송 모듈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의 (a)는 광전송로의 측면도, (b)는 광전송로에 있어서의 광전송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4는 광전송 모듈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광전송 모듈의 구성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a)는 광전송 모듈의 단면도, (b)는 송신측 콘택트부가 커넥터 접속 구조를 갖는 경우의, 광송신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도 1의 (a) 및 (b)에 도시된 광전송 모듈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도시하는 사시도, A-A' 단면도, B-B' 단면도 및 C-C'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광전송 모듈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의 광송신부 및 광수신부의 탑재 위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의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b)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광송신부 및 광수신부의 탑재 위치를 도시하는 상면도, (c)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광송신부 및 광수신부의 탑재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d)는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광송신부 및 광수신부의 탑재 위치를 도시하는 상면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의 광송신부 및 광수신부의 탑재 위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의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b)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광송신부 및 광수신부의 탑재 위치를 도시하는 상면도, (c)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광송신부 및 광수신부의 탑재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d)는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광송신부 및 광수신부의 탑재 위치를 도시하는 상면도.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광전송로(4)를 구비한 광전송 모듈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1은 광전송 모듈의 바람직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측면도, (b)는 송신측 회로 기판 및 수신측 회로 기판에 탑재되었을 때의 광전송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c)는 광전송 모듈 내에 있어서의 광전송로, 발광부 및 수광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12는 광전송로의 치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13은 제1 변형예로서의 광전송 모듈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4는 제1 변형예의 광전송 모듈에 있어서의 보호 필름의 배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상면도.
도 15는 제1 변형예의 광전송 모듈에 있어서의 보호 필름의 배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6은 제2 변형예로서의 광전송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상면도, (b)는 측면도, (c)은 분해 사시도.
도 17은 제3 변형예로서의 광전송 모듈(1)의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도.
도 18은 제4 변형예로서의 광전송 모듈(1)의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도.
도 19는 광전송 모듈을 외부의 배선 기판에 설치하는 설치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a) 내지 (d)는 광전송 모듈, 외부의 배선 기판 및 접속 보유 지지 부재의 배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0의 (a)는 본 실시 형태의 광전송 모듈을 구비한 인쇄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b)는 (a)에 도시한 인쇄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블록도, (c) 및 (d)는 인쇄 장치에 있어서 프린터 헤드가 이동(구동)한 경우의, 광전송로의 만곡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1은 본 실시 형태의 광전송 모듈을 구비한 하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2는 제1 실시예에서 실시한 슬라이드 시험을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슬라이드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표, (b)는 슬라이드 시험의 실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23은 특허 문헌 1 및 2에 기재된 기술을 광전송 모듈에 적용한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 도 1 내지 도 22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키를 구비하는 본체부와, 표시 화면을 구비하는 덮개부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덮개부를 서로 평행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기구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식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덮개부 사이에서의 정보(데이터) 전송을, 광전송 모듈을 통해 행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의 (a)는 본 실시 형태의 광전송 모듈(1)을 내장한 슬라이드식 휴대 전화기(4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의 (b)는 슬라이드식 휴대 전화기(4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1의 (c)는 슬라이드식 휴대 전화기(40)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의 (a) 내지 (c)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기구(41)에 의한 슬라이드 방향을 X방향으로 하고, 슬라이드 기구(41)에 의해 평행 이동하는 송신측 기판(제1 회로 기판)(20) 및 수신측 기판(제2 회로 기판)(30)의 법선 방향을 Y방향으로 하고, X방향 및 Y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Z방향으로 하고 있다.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슬라이드식 휴대 전화기(40)[이하, 단순히 휴대 전화기(40)라고 나타냄]는, 본체부(42)와, 덮개부(43)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덮개부를 서로 평행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기구(41)로 구성되어 있다. 휴대 전화기(40)에서는 슬라이드 기구(41)에 의해, 본체부(42) 및 덮개부(43)가, 도 1의 (c)에 도시하는 화살표의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본체부(42)는 휴대 전화기(40)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키(44)를 구비하는 동시에, 그 내부에 송신측 기판(20)을 구비하고 있다. 송신측 기판(20)에는 기판(20) 자체에 탑재되는 각 소자(도시하지 않음)를 통괄 제어하는 CPU(29)가 탑재되어 있다.
덮개부(43)는 외부에 표시 화면(45) 및 카메라(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는 동시에, 내부에 수신측 기판(30)을 구비하고 있다. 수신측 기판(30)에는 CPU(29)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도시하지 않음), LCD를 구동 제어하는 LCD 드라이버(39), 피사체를 촬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를 구동 제어하는 카메라 구동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도시하지 않음) 등이 탑재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휴대 전화기(40)에 있어서, 광전송 모듈(1)은 송신측 기판(20)과 수신측 기판(30)을 접속하여, 양 기판(20ㆍ30) 사이에서의 신호 전송을 행한다.
(광전송 모듈의 기본 구성)
다음에, 도 2의 (a) 및 (b)를 참조하여 상기 광전송 모듈(1)의 기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2의 (a)는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40)에 있어서의, 광전송 모듈(1)의 적용 부분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의 (b)는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40)에 있어서의, 광전송 모듈(1)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전송 모듈(1)은 CPU(29)를 탑재하는 송신측 기판(20)에 접속되는 광송신부(2)와, LCD 드라이버(39) 등의 어플리케이션 회로를 탑재하는 수신측 기판(30)에 접속되는 광수신부(3)와, 광송신부(2) 및 광수신부(3)끼리를 접속하는 광배선이 되는 광전송로(4)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광전송로(4)는 발광부(23)로부터 출사되는 데이터 신호로서의 광신호를 수광부(31)까지 전송하는 매체이다. 광전송로(4)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송신부(2)는 인터페이스 회로(이하, I/F 회로라고 기재함)(21), 발광 구동부(22) 및 발광부(23)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I/F 회로(21)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회로이다. 이 I/F 회로(21)는 외부로부터 광전송 모듈(1) 내로 입력되는 전기 신호의 전기 배선과 발광 구동부(22)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발광 구동부(22)는 I/F 회로(21)를 통해 외부로부터 광전송 모듈(1) 내로 입력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발광부(23)의 발광을 구동하는 것이다. 이 발광 구동부(22)는, 예를 들어 발광 구동용 IC(Integrated Circuit)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발광부(23)는 발광 구동부(22)에 의한 구동 제어에 기초하여 발광하는 것이다. 이 발광부(23)는, 예를 들어 VCSEL(Vertical Cavity-Surface Emitting Laser) 등의 발광 소자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 발광부(23)로부터 발광된 광은 광신호로서 광전송로(4)의 광입사측 단부에 조사된다.
이와 같이, 광송신부(2)는 상기 광송신부(2)에 입력되는 전기 신호를, 상기 전기 신호에 따른 광신호로 변환하여 광전송로(4)에 출력한다.
다음에, 광수신부(3)는 수광부(31), 검출 회로(32), 증폭부(앰프)(33) 및 I/F 회로(34)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수광부(31)는 광전송로(4)의 광출사측 단부로부터 출사된 광신호로서의 광을 수광하여, 광전 변환에 의해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이 수광부(31)는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PD(Photo-Diode) 등의 수광 소자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검출 회로(32)는 수광부(31)가 광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증폭부(33)는 수광부(31)ㆍ검출 회로(32)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를 원하는 값으로 증폭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것이다. 이 증폭부(33)는, 예를 들어 증폭용 IC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I/F 회로(34)는 증폭부(33)에 의해 증폭된 전기 신호를 광전송 모듈(1)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회로이다. I/F 회로(34)는 외부로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전기 배선과 접속하고 있고, 증폭부(33)와 이 전기 배선 사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광수신부(3)는 광전송로(4)를 통해 광송신부(2)로부터 출력되는 광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광신호에 따른 전기 신호로 변환한 후, 원하는 신호값으로 증폭하여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광전송 모듈(1)에 있어서는, 광송신부(2)에 있어서의 I/F 회로(21) 및 발광 구동부(22) 및 광수신부(3)에 있어서의 검출 회로(32), 증폭부(33) 및 I/F 회로(34)는 1 칩의 IC라도 좋다.
(광전송로의 구성)
다음에, 광전송로(4)의 상세에 대해 도 3의 (a) 및 도 3의 (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의 (a)는 광전송로(4)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전송로(4)는 광전송 방향을 축으로 하는 기둥 형상의 코어부(4α)와, 코어부(4α)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클래드부(4β)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코어부(4α) 및 클래드부(4β)는 투광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코어부(4α)의 굴절률은 클래드부(4β)의 굴절률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코어부(4α)에 입사한 광신호는 코어부(4α) 내부에서 전반사를 반복함으로써 광전송 방향으로 전송된다.
코어부(4α) 및 클래드부(4β)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글래스나 플라스틱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충분한 가요성을 갖는 광전송로(4)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아크릴계, 에폭시계, 우레탄계 및 실리콘계 등의 수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클래드부(4β)를 공기 등의 기체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클래드부(4β)를 코어부(4α)보다도 굴절률이 작은 액체의 분위기 하에 있어서 사용해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다음에, 광전송로(4)에 의한 광전송의 구조에 대해 도 3의 (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의 (b)는 광전송로(4)에 있어서의 광전송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전송로(4)는 가요성을 갖는 기둥 형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광전송로(4)의 광입사측 단부에는 광입사면(4A)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광출사측 단부에는 광출사면(4B)이 설치되어 있다.
발광부(23)로부터 출사된 광은 광전송로(4)의 광전송 방향에 대해 직각 또는 대략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부터, 광전송로(4)의 광입사측 단부로 입사된다. 입사된 광은 광입사면(4A)에 있어서 반사됨으로써 광전송로(4) 내로 도입되어 코어부(4α) 내를 진행한다. 광전송로(4) 내를 진행하여 광출사측 단부에 도달한 광은 광출사면(4B)에 있어서 반사됨으로써, 광전송로(4)의 광전송 방향에 대해 직각 또는 대략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출사된다. 출사된 광은 수광부(31)에 조사되어, 수광부(31)에 있어서 광전 변환이 행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광전송로(4)에 있어서의 광전송 방향에 대해 직각 또는 대략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광원으로서의 발광부(23)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예를 들어 기판면에 평행하게 광전송로(4)를 배치하는 것이 필요해지는 경우에, 광전송로(4)와 기판면 사이에, 상기 기판면의 법선 방향으로 광을 출사하도록 발광부(23)를 설치하면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예를 들어 발광부(23)를 기판면에 평행하게 광을 출사하도록 설치하는 구성보다도, 실장이 용이하고, 또한 구성으로서도 보다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이는, 발광부(23)의 일반적인 구성이, 광을 출사하는 방향의 사이즈보다도 광을 출사하는 방향으로 직각인 방향의 사이즈의 쪽이 크게 되어 있는 것에 의한 것이다. 또한, 동일면 내에 전극과 발광부(23)가 있는 평면 실장용 발광 소자를 사용하는 구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도 3의 (b)에 도시하는 광전송로(4)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광입사면(4A) 및 광출사면(4B)이 경사져 있는 구성이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전송로(4)는 양단부면이 광전송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즉, 광전송로(4)의 외형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3의 (b)에 도시하는 광전송로(4)는 YZ 평면에서의 단면 형상이 정사각형인 구성이었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전송로(4)의 단면 형상은 이와 같은 점대칭의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광전송로(4)의 단면 형상은 정사각형 등의 점대칭의 형상이 아니라, 어스펙트비가 1이 아닌 직사각형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광전송로(4)의 단면 형상은 타원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여기서는 광전송로(4)로서, 코어부(4α) 및 클래드부(4β)로 구성된 광도파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광전송로(4)는 그 내부에서 광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한 공지의 전송로이면 된다. 예를 들어, 광전송로(4)는 POF(플라스틱 광파이버)라도 좋다. 광전송로(4)가 POF(플라스틱 광파이버)인 경우, 광전송로(4)가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있지 않으면, 본 실시 형태의 광전송 모듈(1)에 포함된다.
(광전송 모듈의 특징적 구성)
다음에, 도 1의 (a) 및 (b) 및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광전송 모듈(1)의 특징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광전송 모듈(1)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광전송 모듈(1)의 구성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5의 (a)는 광전송 모듈(1)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전송로(4)는 플렉시블한 필름 광배선으로서, 광송신부(2) 및 광수신부(3)에 접속하고 있다. 이와 같이, 광전송로(4)를 플렉시블한 배선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광전송 모듈(1)을 휴대 기기 등의 소형의 전자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송신부(2)는 송신측 콘택트부(2A) 및 송신측 하우징(2B)을 구비하고 있다. 송신측 콘택트부(2A)는 송신측 기판(20)에 설치하여 접속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송신측 하우징(2B)은 광전송로(4)의 광입사측 단부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동시에, 발광 구동부(22) 및 발광부(23) 등의 광송신부(2)를 구성하는 부재를 수용하는 부재이다.
또한, 광수신부(3)는 수신측 콘택트부(3A) 및 수신측 하우징(3B)을 구비하고 있다. 수신측 콘택트부(3A)는 수신측 기판(30)에 설치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수신측 하우징(3B)은 광전송로(4)의 광출사측 단부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동시에, 수광부(31) 및 증폭부(앰프)(33) 등의 광수신부(3)를 구성하는 부재를 수용하는 부재이다.
송신측 콘택트부(2A) 및 수신측 콘택트부(3A)는 송신측 기판(20) 및 수신측 기판(30)에 설치 가능한 구조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송신측 콘택트부(2A) 및 수신측 콘택트부(3A)의 대표적인 구조로서는, 커넥터 접속 구조를 들 수 있다. 도 5의 (b)는 송신측 콘택트부(2A)가 커넥터 접속 구조를 갖는 경우의, 광송신부(2)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수신측 콘택트부(3A)가 커넥터 접속 구조를 갖는 경우의 광수신부(3)의 구성은, 도 5의 (b)에 도시된 구성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구동부(22) 및 발광부(23)는 실장 기판(2C)에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광전송로(4)는 송신측 하우징(2B) 내에 있어서, 그 광입사측 단부가 발광부(23)와 광학 결합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송신측 콘택트부(2A)로서의 송신측 콘택트부(2A')는 실장 기판(2C)에 있어서의 발광부(23) 및 발광 구동부(22)와 반대측의 면에 설치되어 있다. 송신측 콘택트부(2A) 및 수신측 콘택트부(3A)의 설치 방법 및 구조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실시 형태의 광전송 모듈(1)은, 도 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전송로(4)가 그 광전송 방향을 축으로 하여 비틀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광수신부(3)는 광전송로(4)가 비틀렸을 때에, 수신측 기판(30)에 설치하여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대향하여 배치된 송신측 기판(20) 및 수신측 기판(30) 사이에서 광전송로(4)를 사용하여 광전송을 행하는 광전송 방법에 있어서는, 송신측 기판(20) 및 수신측 기판(30) 각각에, 광송신부(2) 및 광수신부(3)를 배치한다. 그리고, 광전송로(4)를, 비튼 상태로 광송신부(2) 및 광수신부(3)에 실장하고, 광송신부(2)로부터 송신된 광신호를 광수신부(3)에서 수신한다.
도 6은 도 1의 (a) 및 (b)에 도시된 광전송 모듈(1)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도시하는 사시도, A-A' 단면도, B-B' 단면도 및 C-C'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전송 모듈(1)에 있어서, 광전송로(4)는 A-A' 단면, B-B' 단면 및 C-C' 단면(광전송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 있어서,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광전송로(4)는 굴곡 반경(R)을 갖는 폴드 구조로 된 굴곡부(4C)를 갖고 있고, 굴곡 반경(R)에 의해 그려지는 원주 부분[굴곡부(4C)]은, 송신측 기판(20) 및 수신측 기판(30)의 기판면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고 있다. 이때, 광입사측 단부 근방의 광전송로(4)에 있어서의 기판면의 법선 방향의 한쪽의 표면(4a)은 광전송로(4)가 굴곡부(4C)에 있어서 제1 방향으로 90° 비틀림으로써, B-B'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법선 방향(기판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다. 그리고, 이 굴곡부(4C)로부터 제1 방향으로 90° 더 비틀림으로써, 광출사측 단부 근방의 광전송로(4)는 되접혀 광입사측 단부 근방의 광전송로(4)와 표리가 반대로 된다. 즉, A-A' 단면도 및 C-C'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입사측 단부 근방의 광전송로(4)의 표면(4a)과, 광출사측 단부 근방의 광전송로(4)의 표면(4a)은 법선 방향에 있어서, 서로 반대측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광전송 모듈(1)의 구성에 따르면, 광전송로(4)가 광전송 방향(길이 방향)을 축으로 하여 180° 비틀림으로써, 광전송로(4)의 굴곡부(4C)에 비틀림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 비틀림에 의해, 굴곡부(4C)의 굴곡 방향이 바뀐다. 결과적으로, 도 1의 (b)의 상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전송로(4)의 굴곡부(4C)는 송신측 기판(20) 및 수신측 기판(30)의 기판면을 따른 방향(Z방향)으로 굴곡된다. 그로 인해, 굴곡부(4C)의 굴곡 반경은 송신측 기판(20)과 수신측 기판(30)의 거리[이하, 단순히 기판간 거리(d)라고 기재함]에 따라서 설정되지 않고, 임의의 반경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광전송 모듈(1)에 따르면, 기판간 거리(d)가 광전송로(4)의 굴곡 내성 한계를 하회하는(굴곡 내성을 유지할 수 없는) 거리라도, 이 거리 내에 광전송로(4)를 수용할 수 있어, 수용 스페이스의 협스페이스화를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 휴대 전화기(40)의 박형화가 가능해진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도 23에 도시된 구성과 비교한 광전송 모듈(1)의 효과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 7은 광전송 모듈(1)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이다.
우선, 도 23에 도시된 구성에 있어서의, 광전송로(4')의 굴곡 반경의 설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3에 도시된 광전송로(4')는 송신측 기판(20)으로부터 수신측 기판(30)을 향해 U자 굴곡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로 인해, 광전송로(4')의 굴곡 반경은 그 굴곡 반경 × 2[이하, 굴곡 직경(a)이라고 기재함]가 기판간 거리(d)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정된다. 즉, 도 23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기판간 거리(d)는 광전송로(4')의 굴곡 직경(a)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정할 수 없다. 그로 인해, 박형화를 위해, 광전송로(4')의 굴곡 반경을, 굴곡 내성을 유지하는 하한의 한계 굴곡 반경으로 설정해도, 기판간 거리(d)를 한계 굴곡 반경 × 2(이하, 굴곡 한계 직경이라고 기재함)보다도 작게 설정할 수 없다. 따라서, 도 23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광전송로(4')의 굴곡 한계 반경이 휴대 전화기의 박형화[슬라이드 기구(41)의 박형화]의 제한으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해, 광전송 모듈(1)에서는 광전송로(4)가 광전송 방향을 축으로 하여 180° 비틀린 상태로, 송신측 콘택트부(2A) 및 수신측 콘택트부(3A)가, 송신측 기판(20) 및 수신측 기판(30)에 접속되어 있다. 광전송로(4)의 비틀림에 의해, 굴곡부(4C)는 송신측 기판(20)으로부터 수신측 기판(30)을 향해 U자 굴곡되지 않고, 송신측 기판(20) 및 수신측 기판(30)의 기판면을 따라서 비틀려 굴곡되게 된다. 이로 인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부(4C)의 굴곡 직경(a)(굴곡 반경 × 2)은 기판간 거리(d)에 의하지 않고, 기판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임의로 설정된다. 따라서, 광전송 모듈(1)에 따르면, 기판간 거리(d)를, 광전송로(4)의 굴곡 한계 직경을 하회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도 22에 도시된 구성과 비교하여, 광전송로(4)의 수용 스페이스를 좁게 할 수 있어, 휴대 전화기의 박형화[슬라이드 기구(41)의 박형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광전송로(4)의 비틀림 각도는 180°가 가장 바람직하지만, 굴곡부(4C)가 송신측 기판(20) 및 수신측 기판(30)의 기판면을 따라서 비틀려 굴곡되는[즉, 굴곡부(4C)의 폭 방향이 기판면에 대해 대략 수직 이상으로 되는] 각도이면 된다. 광전송로(4)의 비틀림 각도가 90° 이상이면, 상기한 효과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송신측 기판(20) 및 수신측 기판(30)에 있어서의 광송신부(2) 및 광수신부(3)의 탑재 위치에 대해]
또한, 도 1의 (b) 및 도 7에 있어서는, 광송신부(2) 및 광수신부(3)는 Z방향에 있어서의 서로의 간격이 굴곡 직경(a)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광송신부(2) 및 광수신부(3)의 배치는 이 배치로 한정되지 않는다.
광송신부(2) 및 광수신부(3)는 휴대 전화기(40)에 있어서의 송신측 기판(20) 및 수신측 기판(30)이 폐쇄 위치,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의 중간 위치 중 어느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도, Y방향으로부터 볼 때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다음에, 도 8의 (a) 내지 (d) 및 도 9의 (a) 내지 (d)를 참조하여, 휴대 전화기(40)에 있어서의 광송신부(2) 및 광수신부(3)의 탑재 위치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 8은 휴대 전화기(40)에 있어서의 광송신부(2) 및 광수신부(3)의 탑재 위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8의 (a)는 휴대 전화기(40)에 있어서의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의 (b)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광송신부(2) 및 광수신부(3)의 탑재 위치를 도시하는 상면도이고, 도 8의 (c)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광송신부(2) 및 광수신부(3)의 탑재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8의 (d)는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광송신부(2) 및 광수신부(3)의 탑재 위치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우선, 폐쇄 위치라 함은, 휴대 전화기(40)에 있어서의 본체부(42) 및 덮개부(43)가 도 8의 (a)의 좌측에 도시하는 상태로 되어 있을 때의, 송신측 기판(20) 및 수신측 기판(30)의 상대 위치를 의미한다. 폐쇄 위치의 상태에 있을 때, 도 8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측 기판(20)은 슬라이드 방향(X방향)에 있어서, 한쪽의 단부(20a)가 수신측 기판(30)의 한쪽의 단부(30a)에 겹쳐서 배치된다. 또한, 송신측 기판(20)에 있어서의 다른 쪽의 단부(20b)가, 수신측 기판(30)의 다른 쪽의 단부(30b)에 겹쳐서 배치되어 있다. 즉, 폐쇄 위치의 상태에서는 송신측 기판(20) 및 수신측 기판(30)에 대해, 슬라이드 방향(X방향)의 양단부[(단부(20aㆍ20b) 및 단부(30aㆍ30b)]가 서로 겹쳐서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개방 위치라 함은, 휴대 전화기(40)에 있어서의 본체부(42) 및 덮개부(43)가 도 8의 (a)의 우측에 도시하는 상태로 되어 있을 때의, 송신측 기판(20) 및 수신측 기판(30)의 상대 위치를 의미한다. 개방 위치의 상태에 있을 때, 도 8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측 기판(20)은 슬라이드 방향(X방향)에 있어서, 한쪽의 단부(20a)가, 수신측 기판(30)의 다른 쪽의 단부(30b)에 가장 근접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중간 위치라 함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까지의 사이의 송신측 기판(20) 및 수신측 기판(30)의 상대 위치를 의미한다.
도 8의 (b)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송신부(2) 및 광수신부(3)는 폐쇄 위치, 개방 위치 및 중간 위치 중 어느 위치에 있어서도, Y방향으로부터 볼 때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기판간 거리(d)를 Y방향에 있어서의 광송신부(2) 및 광수신부(3)의 두께의 합보다도 작게 설정할 수 있어, 슬라이드 기구(41)의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광송신부(2) 및 광수신부(3)가, 폐쇄 위치, 개방 위치 및 중간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있어서, Y방향으로부터 볼 때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경우, 슬라이드 기구(41)에 의한 송신측 기판(20) 및 수신측 기판(30)의 평행 이동 시에, 광송신부(2)와 광수신부(3)가 접촉할 우려가 있다. 이로 인해, 기판간 거리(d)는, Y방향에 있어서의 광송신부(2) 및 광수신부(3)의 두께의 합보다도 작게 설정할 수 없어, 슬라이드 기구(41)의 박형화가 제한된다.
또한, 도 8의 (b) 내지 (d)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광송신부(2)와 광수신부(3)의 거리는 광전송로(4)의 굴곡 직경(굴곡 반경 × 2) 이하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휴대 전화기(40)에 있어서의 광전송 모듈(1)의 점유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즉, Z방향의 위치는 광송신부(2)와 광수신부(3)에서 동일한 위치라도 좋다.
도 9는 휴대 전화기(40)에 있어서의 광송신부(2) 및 광수신부(3)의 탑재 위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9의 (a)는 휴대 전화기(40)에 있어서의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9의 (b)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광송신부(2) 및 광수신부(3)의 탑재 위치를 도시하는 상면도이고, 도 9의 (c)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광송신부(2) 및 광수신부(3)의 탑재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9의 (d)는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광송신부(2) 및 광수신부(3)의 탑재 위치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9의 (b) 내지 (d)에 도시된 예에서는, 송신측 기판(20) 및 수신측 기판(30)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광송신부(2) 및 광수신부(3)가 Z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도, 기판간 거리(d)는 Y방향에 있어서의 광송신부(2) 및 광수신부(3)의 두께의 합보다도 작게 설정할 수 있어, 슬라이드 기구(41)의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8의 (b) 내지 (d) 및 도 9의 (b) 내지 (d)에 도시된 예는, 특히 Y방향에 있어서의 광송신부(2) 및 광수신부(3)의 두께의 합이 광전송로(2)의 폭보다도 크게 되어 있는 경우에, 유리하게 슬라이드 기구(41)의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Y방향에 있어서의 광송신부(2) 및 광수신부(3)의 두께에 의한 기판간 거리(d)의 설정 제한을 회피할 수 있어, 광전송로(4)의 폭으로까지 기판간 거리(d)를 작게 할 수 있다.
[광전송 모듈(1)에 있어서의 광송신부(2) 및 광수신부(3)의 접속 위치에 대해]
광전송 모듈(1)은 광전송로(4)를 180° 비틀었을 때, 송신 콘택트부(2A) 및 수신 콘택트부(3A)가 각각, 송신측 기판(20) 및 수신측 기판(30)에 접속하는 구성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광입사면(4A) 및 광출사면(4B)이 서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고, 발광부(23)가 광전송로(4)에 있어서의 수광부(31)측에 배치된 구성이라도, 광전송로(4)를 180° 비튼 상태로, 광전송 모듈(1)을 송신측 기판(20) 및 수신측 기판(30)에 탑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구성에서는, 광전송로(4)를 180° 비틀었을 때, 송신 콘택트부(2A) 및 수신 콘택트부(3A)가 각각 송신측 기판(20) 및 수신측 기판(30)에 접속하도록 양 콘택트부의 커넥터 형식을 설정한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광전송로(4)를 구비한 광전송 모듈(1)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광전송로(4)를 구비한 경우, 광송신부(2) 및 광수신부(3)는 수신측 기판(30)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어 있다. 즉, Y방향에 있어서, 송신측 기판(20), 광송신부(2), 수신측 기판(30), 광수신부(3)가, 이 순서로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구성 외에, Y방향에 있어서, 광송신부(2), 송신측 기판(20), 수신측 기판(30), 광수신부(3)가, 이 순서로 배치된 구성이라도, 광전송로(4)를 180° 비틀어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구성에서는, 광전송로(4)를 송신측 기판(20) 및 수신측 기판(30)을 피해 외측에 배치하거나, 송신측 기판(20) 및 수신측 기판(30)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기 개구부에 광전송로(4)를 통과시킴으로써, 광전송로(4)를 180° 비틀어 배치할 수 있다.
이하에, 광전송 모듈(1)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광송신부(2) 및 광수신부(3)의 접속 위치에 대해, 도 11의 (a) 내지 (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광전송 모듈(1)의 바람직한 구성을 도시하는 것으로, 도 11의 (a)는 측면도이고, 도 11의 (b)는 송신측 기판(20) 및 수신측 기판(30)에 탑재되었을 때의 광전송 모듈(1)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11의 (c)는 광전송 모듈(1) 내에 있어서의 광전송로(4), 발광부(23) 및 수광부(31)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전송 모듈(1)에서는 광전송로(4)에 있어서의 광송신부(2)가 설치된 면과 반대측의 면에, 광수신부(3)가 설치되어 있다. 즉, 광송신부(2) 및 광수신부(3)는 광전송로(4)의 표리 반대의 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광전송 모듈(1)을 도 11의 (a)에 도시된 구성으로 함으로써, 송신측 기판(20) 및 수신측 기판(30)에 광전송 모듈(1)을 탑재했을 때, 광전송로(4)가 광전송 방향을 축으로 하여 180° 비틀려, 도 11의 (b)에 도시되는 구성으로 된다. 이와 같이 광송신부(2) 및 광수신부(3)를 광전송로(4)의 표리 반대의 면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광전송 모듈(1)을 탑재했을 때 광전송로(4)에 자연스럽게 비틀림이 발생한다. 그로 인해, 용이하게 휴대 전화기(40)의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1의 (a)에 도시하는 광전송 모듈(1)에 있어서는, 광전송로(4)에 있어서의 광입사면(4A) 및 광출사면(4B)은 서로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발광부(23)로부터 출사된 광이 광입사면(4A)에서 반사하여, 광전송로(4) 내로 도입되어 코어부(4α) 내를 진행한다. 그리고, 광전송로(4) 내를 진행하여 광출사측 단부에 도달한 광은 광출사면(4B)에 있어서 반사되어, 광전송로(4)에 있어서의 발광부(23)와 반대측의 방향으로 출사하게 된다.
[광전송로(4)의 치수에 대해]
다음에, 광전송 모듈(1)에 있어서의 광전송로(4)의 치수에 대해,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광전송로(4)의 치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광전송 모듈(1)에 있어서는, 광전송로(4)의 비틀림에 의해, 송신측 기판(20)으로부터 수신측 기판(30)을 향해 U자 굴곡되지 않고, 송신측 기판(20) 및 수신측 기판(30)의 기판면을 따라서 비틀림 굴곡되게 된다. 그 결과, 광전송로(4)의 굴곡부(4C)는 굴곡면이 기판면에 대해 대략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다. 그로 인해, 기판간 거리(d)는 광전송로(4)에 있어서의 광전송 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폭(W)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휴대 전화기(40)의 박형화를 위해, 적어도 광전송로(4)에 있어서의 굴곡부(4C)의 폭(W)은 기판간 거리(d)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광전송 모듈(1)에서는, 광전송로(4)에 있어서의 굴곡부(4C) 이외의 부분은 기판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지 않다. 그로 인해, 광전송로(4)에 있어서의 굴곡부(4C) 이외의 부분의 폭(W)은 기판간 거리(d)에 의하지 않고,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광전송로(4)는 굴곡부(4C)를 포함한 전체 길이의 폭(W)이 기판간 거리(d)보다도 작은 구성 외에, 예를 들어 굴곡부(4C)만이 기판간 거리(d)보다도 작고, 굴곡부(4C) 이외의 부분이 기판간 거리(d)보다도 큰 구성이라도 좋다.
(제1 변형예)
본 실시 형태의 광전송 모듈(1)의 구성에 있어서, 도 1의 (a) 및 도 1의 (b)에 도시하는 구성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이 제1 변형예로서의 광전송 모듈(1)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변형예의 광전송 모듈(1)은 광전송로(4)에 있어서의, 광전송 방향에 평행한 복수의 면 중 1개의 면에, 광전송로(4)를 구성하는 부재와는 다른 부재로서, 광전송로(4)를 보호하는 보호 필름(5)이 설치된 구성이다. 이 보호 필름(5)은 신호광이 전송하는 부재[광전송로(4)]와는 다른 재료로 구성된 기판 필름이고, 이 보호 필름(5)에 의해 광전송로(4)의 인장 및 마모에 의한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전송로(4)에 있어서의 광전송 방향에 평행한 복수의 면 중, 보호 필름(5)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면에는, 마모 방지를 위한 코팅이 행해져 있어도 좋다. 또한, 이 코팅은 보호 필름(5) 대신으로서 행해져도 좋다. 보호 필름(5)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PI(폴리이미드),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PP(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반복 굴곡 시의 광전송로(4)의 인장 및 마모에 대한 내성이 향상된 광전송 모듈(1)을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제1 변형예의 광전송 모듈(1)에 있어서의 보호 필름(5)의 배치에 대해, 도 14 및 도 1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제1 변형예의 광전송 모듈(1)에 있어서의 보호 필름(5)의 배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15는 제1 변형예의 광전송 모듈(1)에 있어서의 보호 필름(5)의 배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우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변형예의 광전송 모듈(1)에서는, 보호 필름(5)은 광전송로(4)에 있어서의 굴곡 시에 외측이 되는 면[즉, 굴곡부(4C)에 있어서의 광송신부(2) 및 광수신부(3)와 반대측의 면]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보호 필름(5)은 광전송로(4)의 인장에 의한 파단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반복 굴곡에 대해 파단되기 쉬운 특성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파단되기 쉬운 보호 필름(5)을 광전송로(4)에 있어서의 굴곡 시에 외측이 되는 면에 설치함으로써, 광전송로(4)의 굴곡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변형예의 광전송 모듈(1)은 도 15에 도시된 구성이라도 좋다. 도 15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광전송로(4)에 있어서의 보호 필름(5)이 설치된 측에 발광부(23)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광전송로(4)에 있어서의 보호 필름(5)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측에는 수광부(23)가 배치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된 구성에 따르면, 발광부(23)와 광전송로(4) 사이에 보호 필름(5)이 개재되어 있지 않으므로, 발광부(23)와 광전송로(4)의 광학 결합 거리(h1)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발광부(23)와 광전송로(4) 사이의 광학 결합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수광부(31)와 광전송로(4) 사이에 보호 필름(5)이 개재되므로, 수광부(31)와 광전송로(4)의 광학 결합 거리(h2)는 커진다. 이 경우, 수광부(31)의 구경은 100㎛ 정도까지 작게 할 수 있으므로, 광학 결합 거리(h2)가 커져도 수광부(31)와 광전송로(4) 사이의 광학 결합 손실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5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광학 결합 거리(h1)에 따라서 광학 결합 손실이 크게 변화되는 발광부(23)-광전송로(4) 사이에 보호 필름(5)이 개재되지 않고, 광학 결합 거리(h2)에 따른 광학 결합 손실의 변화가 작은 수광부(31)-광전송로(4) 사이에 보호 필름(5)이 개재되어 있다. 이에 의해, 광전송 모듈(1)의 전체적인 광학 손실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부(23)로부터 출사광 출력을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발광부(23)로 입력하는 전류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도 15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광전송 모듈(1)의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2 변형예)
본 실시 형태의 광전송 모듈(1)의 구성에 있어서, 도 1의 (a) 및 도 1의 (b)에 도시하는 구성의 다른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은 이 제2 변형예로서의 광전송 모듈(1)의 구성을 도시하는 것으로, 도 16의 (a)는 상면도이고, 도 16의 (b)는 측면도이고, 도 16의 (c)는 분해 사시도이다. 제2 변형예의 광전송 모듈(1)은 전기 배선(전기 전송로)(6)과 일체화되어 탑재된 구성이다.
도 16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변형예의 광전송 모듈(1)은 송신측 기판(20)과 수신측 기판(30) 사이에서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전기 배선(6)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광송신부(2) 및 광수신부(3)는 전기 배선(6)에 있어서의 동일면에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광전송로(4)는 광전송 방향을 축으로 하여 180° 비틀린 상태로, 광송신부(2) 및 광수신부(3)에 실장되어 있다.
휴대 전화기(40)에 있어서는, 전원 공급 등의 목적으로 전기 배선(6)이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송신측 기판(20) 및 수신측 기판(30)을 전송하는 신호 중, 데이터 신호는 광전송로(4)에 의해 전송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제2 변형예의 광전송 모듈(1)을 구비한 휴대 전화기(40)에 있어서는, 광송신부(2)와 광수신부(3) 사이에서 임피던스 매칭을 취할 필요가 없다. 또한, 견고한 EMI 대책을 취할 필요가 없다. 그로 인해, 전기 배선(6)으로서는, 굴곡에 특화된 박형의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FPC)을 들 수 있다. 전기 배선(6)으로서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FPC)을 사용함으로써, 휴대 전화기(4)를 크게 박형화할 수 있다.
한편, 제2 변형예의 광전송 모듈(1)에서는 전기 배선(6)의 굴곡 반경(H)에 의해, 기판간 거리(d)가 결정된다. 광전송 모듈(1)에 있어서, 광전송로(4)는 전기 배선(6)의 굴곡 시에 내측이 되는 면에 탑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전송로(4)가, 전기 배선(6)의 굴곡 시에 외측이 되는 면에 탑재되어 있는 경우, 광전송로(4)의 두께분만큼 기판간 거리(d)가 커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제2 변형예의 광전송 모듈(1)에서는 광전송로(4)가 광전송 방향을 축으로 하여 180° 비틀려 있음으로써, 광전송로(4)가 U자 굴곡된 경우와 비교하여,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전기 배선(6)과 일체화된 광전송 모듈에 있어서, 광전송로(4)가 U자 굴곡되어 있는 경우, 전기 배선(6)의 굴곡 반경(H)을, 광전송로(4)의 굴곡 한계 반경과 대략 일치하는 반경까지 작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때, 광전송로(4)는 대부분의 면적에서 전기 배선(6)과 접촉하고 있다. 그로 인해, 광전송로(4)에는 굴곡에 의한 응력에 추가하여, 전기 배선(6)과의 마찰에 의한 기계적 부하가 발생한다. 굴곡 한계 반경에서 굴곡되어 있는 굴곡부 부근에서 응력이 발생하고 있는 광전송로(4)에서는, 전기 배선(6)과의 마찰에 의해 파손이 발생하면, 그 파손 부분으로부터 파단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제2 변형예의 광전송 모듈(1)과 같이, 광전송로(4)가 광전송 방향을 축으로 하여 180° 비틀려 있는 경우, 광전송로(4)와 전기 배선(6)의 접촉 면적은 광전송로(4)가 U자 굴곡된 경우와 비교하여 작아진다. 그로 인해, 전기 배선(6)과의 마찰에 의한 기계적 부하를 작게 할 수 있어, 전기 배선(6)과의 마찰에 의한 파손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광전송로(4)의 굴곡 반경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굴곡에 의한 응력을 완화할 수 있다.
다음에, 제2 변형예의 광전송 모듈(1)의 조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 조립 방법에서는, 우선 광송신부(2) 및 광수신부(3)를, 광전송 방향[전기 배선(6)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한다. 그 후, 광전송로(4)가 광전송 방향을 축으로 하여 180° 비튼 상태로, 광송신부(2) 및 광수신부(3)로 실장한다. 이때,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23)와 광전송로(4)가 광학 결합하고, 또한 수광부(31)와 광전송로(4)가 광학 결합하도록, 광입사면(4A) 및 광출사면(4B)의 위치 조정을 행한다.
이에 의해, 광전송로(4)의 동일면에 광송신부(2) 및 광수신부(3)가 배치된 통상의 광전송 모듈과 동일한 설비로, 광전송 모듈(1)을 조립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2 변형예의 광전송 모듈(1)에 있어서, 광송신부(2) 및 광수신부(3)는 전기 배선(6)에 있어서의 동일면에 탑재되어 있으면 좋다. 송신측 콘택트부(2A) 및 수신측 콘택트부(3A)는 송신측 기판(20) 및 수신측 기판(30)에 접속한 형태라도 좋고, 전기 배선(6)에 있어서의 송신측 기판(20) 및 수신측 기판(30)의 콘택트부에 접속한 형태라도 좋고, 다시 말하면, 전기 배선(6)에 있어서의 송신측 기판(20) 및 수신측 기판(30)의 콘택트부와 공통이라도 좋다.
(제3 변형예)
본 실시 형태의 광전송 모듈(1)의 구성에 있어서, 도 1의 (a) 및 도 1의 (b)에 도시하는 구성의 또 다른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은 이 제3 변형예로서의 광전송 모듈(1)의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변형예의 광전송 모듈(1)은 광전송로(4)의 굴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7)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가이드부(7)는 송신측 기판(20) 또는 수신측 기판(30)의 어느 한쪽의 기판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7)는 기판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광전송로(4)의 굴곡부(4C)를 정해진 위치로 할 수 있어, 광전송로(4)의 굴곡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제4 변형예)
본 실시 형태의 광전송 모듈(1)의 구성에 있어서, 도 1의 (a) 및 도 1의 (b)에 도시하는 구성의 또 다른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은 이 제4 변형예로서의 광전송 모듈(1)의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제4 변형예의 광전송 모듈(1)에서는 단일의 광전송로(4)에 2개의 코어부(4α)가 형성되어 있다. 제4 변형예의 광전송 모듈(1)은 2개의 코어부(4α)를 전송하는 광신호의 전송 방향(광전송 방향)이 역방향으로 된 쌍방향 통신용 광전송 모듈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코어부(4α)는 각각 발광부(23a) 및 수광부(31a), 발광부(23b) 및 수광부(31b)에 광학 결합되어 있다. 발광부(23a) 및 수광부(31b)는 동일 기판에 탑재되어 있다. 또한, 발광부(23b) 및 수광부(31a)는 동일한 기판에 탑재되어 있다.
발광부(23a) 및 수광부(31b)가 탑재된 기판에는 발광부(23a)의 발광을 구동하는 발광 구동부(22a) 및 수광부(31b)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원하는 값으로 증폭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증폭부(33b)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발광부(23b) 및 수광부(31a)가 탑재된 기판에는 발광부(23b)의 발광을 구동하는 발광 구동부(22b) 및 수광부(31a)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원하는 값으로 증폭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증폭부(33a)가 탑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쌍방향 통신용 광전송 모듈(1)의 구성이라도, 광전송로(4)의 비틀림에 의해, 휴대 전화기의 박형화[슬라이드 기구(41)의 박형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송신측 기판(20) 및 수신측 기판(30)으로의 설치 방법]
다음에, 광전송 모듈(1)을 외부의 송신측 기판(20) 및 수신측 기판(30)[이하, 이들 2개의 기판을 총칭하여 배선 기판(15)이라고 기재함]에 설치하는 설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광전송 모듈(1)을 배선 기판(15)에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도 1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전송 모듈(1)의 단부를 외부의 배선 기판(15)에 설치된 접속 보유 지지 부재(13)에, 외부의 배선 기판(15)의 상부면에 대략 수직이 되도록 끼워 넣어 설치하는, 소위 수직 접속 방식을 들 수 있다. 이 수직 접속 방식의 커넥터 접속 방식에서는, 광전송 모듈(1)의 송신측 콘택트부(2A) 및 수신측 콘택트부(3A)에 각각, 광전송 방향으로 수직으로 돌출된 헤더(1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 기판(15)의 접속 보유 지지 부재(13)에는 헤더(1A)와 끼워 맞추어지는 수직 커넥터 오목부(13A)(제2 끼워 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다. 수직 접속 형식의 커넥터 접속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보드 투 보드(board-to-board) 커넥터 접속을 들 수 있다.
또한, 다른 설치 방법으로서는, 도 2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전송 모듈(1)의 단부면부를 외부의 배선 기판(15)에 설치된 접속 보유 지지 부재(13)에, 외부의 배선 기판(15)의 상부면에 대략 평행해지도록 슬라이드시켜 설치하는, 소위 수평 접속 방식을 들 수 있다. 이 수평 접속 방식의 커넥터 접속 방식에서는, 광전송 모듈(1)의 송신측 콘택트부(2A) 및 수신측 콘택트부(3A)에 각각, 광전송 방향으로 돌출된 수평 커넥터 볼록부(1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 기판(15)의 접속 보유 지지 부재(13)에는 수평 커넥터 볼록부(1B)와 끼워 맞추어지는 수평 커넥터 오목부(13B)(제1 끼워 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다. 수평 접속 형식의 커넥터 접속으로서, 구체적으로는 ZIF 커넥터 접속을 들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설치 방법으로서는, 도 2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전송 모듈(1)의 단부면부를, 이방성 도전막(13D)을 통해 외부의 배선 기판(15)에 설치하는 커넥터 접속 방식을 들 수 있다. 이 접속 방식에서는 광전송 모듈(1)의 단부면부에 회로 패턴(1C)(제1 회로 패턴)이 설치되어 있고, 외부의 배선 기판(15)에 회로 패턴(13C)(제2 회로 패턴)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로 패턴(13C) 상에 이방성 도전막(13D)이 설치되어 있고, 이 이방성 도전막(13D)을 통해, 회로 패턴(1C) 및 회로 패턴(13C)이 전기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커넥터 접속 방식으로서, 구체적으로는 ACF 접속을 들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설치 방법으로서는, 도 20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발광 구동부(22)[또는 증폭부(33)] 및 발광부(23)[또는 수광부(31)]를 외부의 배선 기판(15)에 실장해 두고, 이 실장된 배선 기판(15)에 광전송로(4)를 접속하는 접속 방식을 들 수 있다. 이 접속 방식에서는 전기 접속용 커넥터가 불필요하므로, 휴대 전화기(40)의 가일층의 소형화ㆍ박형화가 가능해진다.
(응용예)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광전송 모듈(1)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응용예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응용예로서 휴대 전화기(40)에 적용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슬라이드식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슬라이드식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슬라이드식 노트북 컴퓨터 등의 슬라이드식 전자 기기의 슬라이드 기구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광전송 모듈(1)을 이들 슬라이드식 전자 기기에 적용함으로써, 한정된 공간에서 고속이고, 대용량인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슬라이드식 액정 표시 장치 등의 고속이고, 대용량인 데이터 통신이 필요하며, 소형화가 요구되는 기기에 특히 적합하다.
또 다른 응용예로서, 광전송 모듈(1)은 인쇄 장치(전자 기기)에 있어서의 프린터 헤드나 하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판독부 등, 구동부를 갖는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20의 (a) 내지 도 20의 (c)는 광전송 모듈(1)을 인쇄 장치(50)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0의 (a)는 인쇄 장치(50)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 장치(50)는 용지(54)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용지(54)에 대해 인쇄를 행하는 프린터 헤드(51)를 구비하고 있고, 이 프린터 헤드(51)에 광전송 모듈(1)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도 20의 (b)는 인쇄 장치(50)에 있어서의, 광전송 모듈(1)이 적용되어 있는 부분의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전송 모듈(1)의 일단부는 프린터 헤드(51)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부는 인쇄 장치(50)에 있어서의 본체측 기판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본체측 기판에는 인쇄 장치(50)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등이 구비된다.
도 20의 (c) 및 도 20의 (d)는 인쇄 장치(50)에 있어서 프린터 헤드(51)가 이동(구동)한 경우의, 광전송로(4)의 만곡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전송로(4)를 프린터 헤드(51)와 같은 구동부에 적용하는 경우, 프린터 헤드(51)의 구동에 의해 광전송로(4)의 만곡 상태가 변화되는 동시에, 광전송로(4)의 각 위치가 반복해서 만곡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광전송 모듈(1)은 이들 구동부에 적합하다. 또한, 광전송 모듈(1)을 이들 구동부에 적용함으로써, 구동부를 사용한 고속이고, 대용량인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도 21은 광전송 모듈(1)을 하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60)에 적용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60)는 디스크(하드 디스크)(61), 헤드(판독, 기입용 헤드)(62), 기판 도입부(63), 구동부(구동 모터)(64), 광전송 모듈(1)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부(64)는 헤드(62)를 디스크(61)의 반경 방향을 따라서 구동시키는 것이다. 헤드(62)는 디스크(61) 상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고, 또한 디스크(61) 상에 정보를 기입하는 것이다. 또한, 헤드(62)는 광전송 모듈(1)을 통해 기판 도입부(63)에 접속되어 있고, 디스크(61)로부터 판독한 정보를 광신호로서 기판 도입부(63)에 전반시키고, 또한 기판 도입부(63)로부터 전반된, 디스크(61)에 기입하는 정보의 광신호를 수취한다.
이와 같이, 광전송 모듈(1)을 하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60)에 있어서의 헤드(62)와 같은 구동부에 적용함으로써, 고속이고, 대용량인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광전송 모듈(1)은 상기한 응용예에 추가하여, 비디오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등의 정보 단말이나 기판 사이의 신호 전송에도 이용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세부에 대해서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제1 실시예]
본 실시 형태의 광전송 모듈(1)에 의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슬라이드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 슬라이드 시험에서는 샘플로서, 송신측 기판(20)과 수신측 기판(30) 사이에서 광전송로(4)가 U자 굴곡된 구성(이하, U자 굴곡 구성이라고 기재함) 및 송신측 기판(20)과 수신측 기판(30) 사이에서 광전송로(4)가 비틀림 굴곡된 구성(이하, 비틀림 굴곡 구성이라고 기재함)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도 2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 굴곡 구성 및 비틀림 굴곡 구성에 대해, 기판간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송신측 기판(20)과 수신측 기판(30)을 평행 방향으로 반복해서 슬라이드했을 때의 광전송로(4)의 외관을 검증하였다.
또한, 이 슬라이드 시험은 규격 번호 JIS_C_5016에 준하여 행해졌다. 구체적으로는 25℃의 환경 하에서, 슬라이딩 스팬을 ±5㎜로 하고, 슬라이딩 속도를 60사이클/min으로 하고, 슬라이드간 갭(기판간 거리)을 1.5㎜로 하여, 슬라이드 시험을 실시하였다. 기판간 거리를 1.5㎜로 설정하고 있으므로, U자 굴곡 구성에서는, 광전송로(4)의 굴곡 반경(외경)은 0.75㎜이다.
도 22의 (a)는 슬라이드 시험을 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22의 (a)의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U자 굴곡 구성에 대해, 슬라이드 횟수를 10,000회로 하여, 5개의 샘플에서 슬라이드 시험을 행한 결과, 5개의 샘플 모두에서 광전송로(WG)의 파단이 관찰되었다. 한편, 비틀림 굴곡 구성에서는, 슬라이드 횟수를 25,000회로 하여, 3개의 샘플에서 슬라이드 시험을 행한 결과, 3개의 샘플 어느 것에서도 외관의 이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각종 기기 사이의 광통신로에도 적용 가능한 동시에, 소형, 박형의 민생 기기 내에 탑재되는 기기 내 배선으로서의 플렉시블한 광배선에도 적용가능하다.
1 : 광전송 모듈
1A : 헤더
1B : 수평 커넥터 볼록부
2 : 광송신부
2A : 송신측 콘택트부
3 : 광수신부
3A : 수신측 콘택트부
4 : 광전송로
4C : 굴곡부(굴곡 부분)
5 : 보호 필름(기판 필름)
6 : 전기 배선(전기 전송로)
7 : 가이드부
13A : 수직 커넥터 오목부(제2 끼워 맞춤부)
13B : 수평 커넥터 오목부(제1 끼워 맞춤부)
20 : 송신측 기판(제1 회로 기판)
30 : 수신측 기판(제2 회로 기판)
40 : 슬라이드식 휴대 전화기(전자 기기)
41 : 슬라이드 기구

Claims (19)

  1.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 사이에서 광전송을 행하는 광전송로를 구비한 광전송 모듈이며,
    상기 광전송로는 굴곡 반경(R)을 갖는 폴드 구조를 갖고 있고,
    상기 굴곡 반경(R)에 의해 그려지는 원주 부분이,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의 기판면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광송신부와,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광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전송로는 광전송 방향을 축으로 하여 비틀려 있고,
    상기 광송신부 및 상기 광수신부는 상기 광전송로가 비틀린 상태로,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송로에 있어서의 상기 광송신부가 설치된 면과 반대측의 면에 상기 광수신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은 서로 평행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광전송로에 있어서의 굴곡 부분의 폭이,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상기 제2 회로 기판의 거리보다도 작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송로에 있어서의, 광전송 방향에 평행한 복수의 면 중 1개의 면에, 광전송로를 구성하는 부재와는 다른 부재의 기판 필름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필름은 상기 광전송로에 있어서의 굴곡 시에 외측이 되는 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 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광송신부와,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광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송신부는 상기 광전송로로 광을 출사하는 발광 소자를 갖고,
    상기 광수신부는 상기 광전송로를 전송하는 광을 수광하는 수광 소자를 갖고,
    상기 수광 소자는 상기 광전송로에 있어서의 상기 기판 필름이 설치된 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광전송로에 있어서의 상기 기판 필름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 모듈.
  9. 제1 회로 기판과 제2 회로 기판 사이에서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전기 전송로와,
    상기 전기 전송로에 탑재된 광송신부와,
    상기 광송신부에 광결합한 광전송로와,
    상기 전기 전송로의 상기 광송신부와 동일면에 탑재되고, 또한 상기 광전송로에 광결합한 광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전송로가 광전송 방향을 축으로 하여 비틀린 상태로 실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 모듈.
  10. 제1항에 기재된 광전송 모듈과,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상기 제2 회로 기판을 서로 평행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 또는 상기 제2 회로 기판의 어느 하나의 기판면에, 상기 광전송로의 굴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기판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송 모듈은,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광송신부와,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광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송신부 및 상기 광수신부에는 상기 광전송로의 광전송 방향으로 돌출된 수평 커넥터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에는 상기 수평 커넥터 볼록부에 끼워 맞추는 제1 끼워 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송 모듈은,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광송신부와,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광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송신부 및 상기 광수신부에는 상기 광전송로의 광전송 방향으로 수직으로 돌출된 수직 커넥터의 헤더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에는 상기 헤더에 끼워 맞추는 제2 끼워 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송 모듈은,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광송신부와,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광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송신부 및 상기 광수신부에는 제1 회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에는 제2 회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회로 패턴은 이방성 도전막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송 모듈은,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광송신부와,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광수신부를 구비하고,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에 대해, 상기 슬라이드 기구에 의한 이동 방향의 양단부가 서로 겹쳐서 배치된 위치를 폐쇄 위치로 하고,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상기 제2 회로 기판이 서로 평행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고, 제1 회로 기판에 있어서의 이동 방향의 한쪽의 단부가, 제2 회로 기판에 있어서의 이동 방향의 다른 쪽의 단부에 가장 근접하는 위치를 개방 위치로 하고,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까지의 사이의 위치를 중간 위치로 했을 때,
    상기 광송신부 및 상기 광수신부는 상기 폐쇄 위치, 상기 개방 위치 및 상기 중간 위치 중 어느 위치에 있어서도,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볼 때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볼 때, 상기 광송신부와 상기 광수신부의 거리는 상기 광전송로의 굴곡 반경의 2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8. 광송신부와,
    상기 광송신부에 광결합한 광전송로와,
    광전송로에 광결합하는 광수신부를 구비한 광전송 모듈의 조립 방법이며,
    상기 광송신부 및 상기 광수신부를, 상기 광전송로의 광전송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상기 광전송로를 비튼 상태로, 상기 광송신부 및 상기 광수신부에 실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 모듈의 조립 방법.
  19. 대향하여 배치된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 사이에서 광전송로를 사용하여 광전송을 행하는 광전송 방법이며,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 각각에 광송신부 및 광수신부를 배치하고,
    상기 광전송로를 비튼 상태로, 상기 광송신부 및 상기 광수신부에 실장하고,
    상기 광송신부로부터 송신된 광신호를 상기 광수신부에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 방법.
KR1020100012299A 2009-12-07 2010-02-10 광전송 모듈, 전자 기기, 광전송 모듈의 조립 방법 및 광전송 방법 KR1010827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77936 2009-12-07
JP2009277936A JP2011118306A (ja) 2009-12-07 2009-12-07 光伝送モジュール、電子機器、光伝送モジュールの組立方法、及び光伝送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251A true KR20110065251A (ko) 2011-06-15
KR101082730B1 KR101082730B1 (ko) 2011-11-10

Family

ID=43662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299A KR101082730B1 (ko) 2009-12-07 2010-02-10 광전송 모듈, 전자 기기, 광전송 모듈의 조립 방법 및 광전송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39068B2 (ko)
EP (1) EP2333598B1 (ko)
JP (1) JP2011118306A (ko)
KR (1) KR101082730B1 (ko)
CN (1) CN10208739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37085B2 (ja) * 2011-09-02 2015-06-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13109108A (ja) * 2011-11-18 2013-06-06 Omron Corp 表示装置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CN105448865B (zh) * 2015-11-16 2018-09-04 固安翌光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屏体、制备莫比乌斯结构或类似莫比乌斯结构的方法及发光显示器件
CN207321622U (zh) * 2017-06-06 2018-05-04 惠科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显示面板的软性电路板和显示装置
CN112788886B (zh) * 2020-06-23 2023-06-02 北京可利尔福科技有限公司 摄像模组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1564A (ja) * 2002-12-10 2004-07-08 Mitsubishi Electric Corp 光路変換コネクタ
KR20050004005A (ko) * 2003-07-01 2005-01-12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실장체, 광 전송로 및 광 전기 회로기판
JP2005252334A (ja) 2004-03-01 2005-09-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伝送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携帯情報機器
JP2006042307A (ja) * 2004-03-12 2006-02-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機器
US7184617B2 (en) * 2004-03-12 2007-02-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ortable device
CN2697669Y (zh) * 2004-04-16 2005-05-04 武汉理工大学 一种可用于传输紫外激光的空芯光纤
CN100489578C (zh) * 2004-06-25 2009-05-20 欧姆龙株式会社 薄膜光波导和其制造方法以及电子设备装置
CN100412581C (zh) * 2004-06-28 2008-08-20 欧姆龙株式会社 光导、光导模块、光传输装置、光导的制造方法
JP2006115144A (ja) * 2004-10-14 2006-04-27 Sanyo Electric Co Ltd スライド式電子機器
JP2006310643A (ja) 2005-04-28 2006-11-09 Sumitomo Electric Ind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US20060291784A1 (en) * 2005-06-27 2006-12-28 Wang William H Electro-optical communication system
JP2007033698A (ja) * 2005-07-25 2007-02-08 Fuji Xerox Co Ltd 光学部品実装用サブマウント、及び光送受信モジュール
WO2007080932A1 (ja) * 2006-01-11 2007-07-19 Omron Corporation 光ケーブル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機器
EP2000833A4 (en) * 2006-03-24 2010-03-31 Ibiden Co Ltd PHOTOELECTRIC WIRING PANEL,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JP4096988B1 (ja) * 2006-12-22 2008-06-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光電複合配線モジュール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5135804B2 (ja) * 2007-01-15 2013-02-06 オムロン株式会社 フィルム光導波路、フィルム光導波路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JP2008210583A (ja) * 2007-02-23 2008-09-11 Junkosha Co Ltd ケーブル
JP2009103915A (ja) * 2007-10-23 2009-05-14 Fuji Xerox Co Ltd 光導波路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光送受信モジュール
CN101932962A (zh) * 2008-02-01 2010-12-29 日立化成工业株式会社 光电混载基板和电子设备
JP2009194179A (ja) 2008-02-14 2009-08-27 Arisawa Mfg Co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及び該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を用いたスライド式携帯電話端末
US7901144B2 (en) * 2008-03-14 2011-03-08 Finisar Corporation Optical interconnect solution
EP2264985A4 (en) * 2008-04-07 2012-02-22 Hitachi Chemical Co Lt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33598A2 (en) 2011-06-15
EP2333598A3 (en) 2013-11-20
US8639068B2 (en) 2014-01-28
JP2011118306A (ja) 2011-06-16
US20110135249A1 (en) 2011-06-09
CN102087391A (zh) 2011-06-08
EP2333598B1 (en) 2015-03-04
KR101082730B1 (ko) 201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8402B2 (en) Optical transmission modu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transmission module
JP5309990B2 (ja) 光伝送モジュール、電子機器
US20050201693A1 (en) Portable device
JP4894917B2 (ja) 光伝送モジュール
JP4322276B2 (ja) 携帯電話機および電子機器
US20070153457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082730B1 (ko) 광전송 모듈, 전자 기기, 광전송 모듈의 조립 방법 및 광전송 방법
KR20090032061A (ko) 광전 복합 배선 모듈 및 정보 처리 장치
JP5170080B2 (ja) 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パッケージ、及び光モジュール
JP4631671B2 (ja) 光ケーブルモジュール、および光ケーブルモジュールを備える電子機器
JP5233990B2 (ja) 光導波路、光導波路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US8364044B2 (en) Transmission system for imag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1077729B1 (ko) 광전송로 패키지, 광전송 모듈, 전자 기기, 및 광전송 모듈의 제조 방법
KR20100039394A (ko) 광 도파로, 광 전송 모듈, 전자 기기 및 광 도파로의 제조 방법
JP5092386B2 (ja) 光電変換モジュール、レセプタ、および、電子機器
JP5135804B2 (ja) フィルム光導波路、フィルム光導波路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