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4834A - 차량고착상황 탈출을 위한 차량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고착상황 탈출을 위한 차량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4834A
KR20110064834A KR1020090121581A KR20090121581A KR20110064834A KR 20110064834 A KR20110064834 A KR 20110064834A KR 1020090121581 A KR1020090121581 A KR 1020090121581A KR 20090121581 A KR20090121581 A KR 20090121581A KR 20110064834 A KR20110064834 A KR 20110064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tate
control
control unit
st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7156B1 (ko
Inventor
허진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90121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7156B1/ko
Publication of KR20110064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이 고착상태에 있는 경우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이 TCS 제어 상태에 있더라도 차량이 고착상태에 있다고 판단되면 엔진 출력을 증가시키고 슬립량이 큰 구동 바퀴를 반복적으로 제동 제어함으로써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차량이 고착 상태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고착상황 탈출을 위한 차량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OF VEHICLE FOR ESCAPING STUCK SITUATION}
본 발명은 차량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이 고착상황에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이 고착상태에 있는 경우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자 제어 시스템에서는 차량의 슬립(Slip)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강력하고 안정된 제동력을 얻기 위한 것으로, 제동 시 바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Anti-Lock Brake System; 이하 ABS라 한다.)과, 차량의 급발진 또는 급가동시 구동 바퀴의 슬립을 방지하는 트랙션 제어시스템(Traction Control System; 이하 TCS라 한다)과, ABS와 TCS를 조합하여 브레이크 액압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켜주는 차량 안정성 제어 시스템(Electronic Stability Program; 이하 ESP라 한다.) 등이 있다.
이 중에서 TCS는 눈길, 빗길 따위의 미끄러지기 쉬운 노면에서 차량을 출발하거나 가속할 때 과잉의 구동력이 발생하여 구동 바퀴의 슬립을 방지하는 제어 시스템으로, 구동 바퀴의 슬립을 감지하면 엔진 출력을 떨어뜨리고 구동 바퀴를 제동함으로써 구동 휠의 슬립을 억제한다. 또한, 차량이 코너링을 할 때에는 한 쪽 구동 바퀴의 슬립을 방지함으로써 코너링 성능도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눈길 또는 진흙길과 같은 험로에서 차량이 출발하거나 가속할 때에 구동 바퀴의 과도한 슬립으로 전진하지 못하고 고착(Stuck)되는 상태에서는 TCS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즉, TCS는 구동 바퀴의 슬립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엔진 출력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차량이 고착 상태에서 벗어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차량이 고착 상황에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 제어방법은 차량이 TCS 제어상태에 있는지 판단하고, 차량이 TCS 제어상태에 있다고 판단되면 차량이 고착상태에 있는지 판단하고, 차량이 고착상태에 있다고 판단되면 엔진의 출력을 증가시켜 차량이 고착상태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차량의 속도가 일정시간 이상 기준속도 이하로 유지되는 경우에 차량 이 고착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의 차량 제어방법은 위의 제어에 차량이 고착상태에 있다고 판단되면 슬립이 발생한 구동바퀴의 슬립량을 감소시키도록 슬립이 발생한 구동바퀴를 반복적으로 제동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제어장치는 차량이 고착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차량고착상태판단부, 엔진제어부를 포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에 의해 차량이 TCS 제어상태에서 차량이 고착상태에 있다고 판단되면 엔진제어부는 엔진의 출력을 증가시켜 차량이 고착상태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제어부는 제동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에 의해 차량이 TCS 제어상태에서 차량이 고착상태에 있다고 판단되면 제동제어부는 슬립이 발생한 구동바퀴의 슬립량을 감소시키도록 슬립이 발생한 구동바퀴를 반복적으로 제동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TCS 제어 중에 차량이 고착 상태라고 판단되면 차량의 엔진 출력을 증가시키고 제동 제어 가압량을 증가시켜 좌우 휠을 교번적으로 제동시킴으로써 차량이 고착 상황에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탈출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차량 제어 장치는 차량운행상태 검출부(100)와 제어부(110)와 엔진(116) 및 제동부(11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량운행상태 검출부(100)는 바퀴속도센서(102), 차량속도센서(104), 타이머(106), 차량고착상태 판단부(108)를 포함하며, 제어부(110)는 엔진제어부(112)와 제동제어부(114)를 포함한다.
차량운행상태 검출부(100)는 후술되는 센서들에 의해 검출된 바퀴속도와 차량 속도 및 차량고착상태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바퀴속도센서(102)는 차량의 각 구동 바퀴의 속도를 검출하며, 차량속도센서(104)는 차량의 운행 속도를 검출한다. 타이머(106)는 차량속도센서(104)에서 검출된 차량속도를 제1기준속도와 비교하여 차량속도가 제1기준속도보다 작은 경우 그 시간을 계속 카운트한다.
차량고착상태 판단부(108)는 차량속도센서(104)로부터 검출된 차량속도와 타이머(106)로부터 검출된 시간을 이용하여 차량이 고착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즉, 차량속도센서(104)로부터 검출된 차량속도가 제1기준속도보다 작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차량이 제대로 전진하지 못하는 고착상태로 진입하는 경우라고 판단하는 것이다. 이때, 제1기준속도는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통상 5Km/h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차량이 고착상태에 진입한 경우라고 판단되면 타이머(106)에 의해서 검출된 시간이 기준시간 이상인 경우에 차량이 고착상태에 있다고 최종적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때, 기준시간은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차량운행상태 검출부(100)로부터 바퀴속도와 차량속도 및 차량고착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각종 장치들을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차량 이 TCS 제어상태인지를 검출하고, 차량운행검출부(100)로부터 수신된 바퀴속도와 차량속도를 이용하여 바퀴 슬립량을 검출하고, 차량고착상태 판단부(108)에서 차량이 고착상태에 있다는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110) 내의 엔진제어부(112)와 제동제어부(114)는 각각 엔진(116)과 제동부(118)을 제어하여 차량이 고착상태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구체적인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다.
엔진제어부(112)는 차량이 고착상태에서 탈출하기 위해서는 큰 엔진 출력이 필요하므로 목표 바퀴 슬립량을 증가시켜 엔진 토크량을 증가시키는 제어명령을 송신하여 엔진(116)을 제어한다.
제동제어부(114)는 차량이 고착상태에서 탈출하기 위해서는 각 구동 바퀴의 슬립량을 감소시켜야 하므로 슬립량이 큰 구동 바퀴의 제동 토크량을 증가시켜 제동시킨다. 전륜 또는 후륜 구동 시스템에서 슬립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좌측 및 우측 구동 바퀴의 한 쪽을 제동시키는 경우 차동 구조에 의하여 다른 한 쪽이 다시 슬립량이 증가되므로, 반복적으로 슬립량이 커지는 바퀴를 제동 제어하게 된다. 4륜 구동 시스템에서는 4개의 각 구동 바퀴의 슬립량을 감소시키도록 독립적으로 각 구동바퀴를 제동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는 차량을 고착상태에서 탈출시키기 위하여 엔진(116) 및 제동부(118)를 모두 제어하였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엔진(116)을 제어하여 엔진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만으로도 차량을 고착상태에서 탈출시킬 수 있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제어 장치의 설계시에 차량이 고착상태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엔진제어부(112)를 통하여 엔진(116)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제어만 수행하도록 할 수 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먼저, 제어부(110)는 차량이 TCS 제어 상태인가를 판단한다.(200) 차량이 TCS 제어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후술되는 차량의 고착상태 탈출을 위한 제어가 행해지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구동 바퀴의 슬립량이 증가함에 따른 TCS 제어에 의한 엔진 출력량의 감소 현상이 없기 때문이다. 물론, TCS 제어상태가 아니라도 별도로 엔진 출력을 제어하거나 구동 바퀴의 제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차량이 TCS 제어 상태라고 판단되면 차량속도센서(104)에서 측정된 차량속도가 제1기준속도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202) 차량속도가 제1기준속도보다 큰 경우에는 차량이 고착상태에 진입하지 않은 경우이므로 차량의 고착상태 탈출을 위한 제어가 행해지지 않는다. 차량속도가 제1기준속도보다 작은 경우에는 차량이 고착상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타이머(106)는 차량속도가 제1기준속도보다 작은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을 카운트하게 된다.(204)
차량고착상태 판단부(108)는 이 카운트된 시간이 기준시간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206) 카운트된 시간이 기준시간보다 작은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차량이 전진하지 못하는 경우로 차량이 고착상태에 빠진 것이 아닌 경우이므로 차량의 고착상태 탈출을 위한 제어가 행해지지 않는다.
차량고착상태 판단부(108)는 카운트된 시간이 기준시간보다 큰 경우에는 차량이 고착상태에 있는 경우로 판단하고 다시 차량속도가 제2기준속도보다 큰지 판 단한다.(208) 차량속도가 제2기준속도보다 큰 경우에는 차량이 전진하는 경우로 차량이 고착상태에 빠진 것이 아닌 경우이므로 차량의 고착상태 탈출을 위한 제어가 행해지지 않는다.
차량속도가 제2기준속도보다 작은 경우라고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차량이 고착상태에 있다고 최종적으로 판단하여 차량고착상태 탈출을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즉, 제어부(110)는 엔진제어부(112)와 제동제어부(114)를 통하여 엔진(116) 및 제동부(118)를 제어하게 된다.
엔진제어부(112)는 차량이 고착상태에서 탈출하기 위해서는 큰 엔진 출력이 필요하므로 목표 바퀴 슬립량을 증가시켜 엔진 토크량을 증가시키는 제어명령을 송신하여 엔진(116)을 제어한다.
제동제어부(114)는 차량이 고착상태에서 탈출하기 위해서는 각 구동 바퀴의 슬립량을 감소시켜야 하므로 슬립 상태에 있는 구동 바퀴의 제동 토크량을 증가시켜 제동시킨다. 전륜 또는 후륜 구동 시스템에서 슬립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좌측 및 우측 구동 바퀴의 한 쪽을 제동시키는 경우 차동 구조에 의하여 다른 한 쪽이 다시 슬립량이 증가되므로, 이 경우에는 반복적으로 슬립량이 커지는 바퀴를 제동제어하게 된다. 4륜 구동 시스템에서는 4개의 각 구동바퀴의 슬립량을 감소시키도록 독립적으로 각 구동바퀴를 제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 및 장치에 의하여, 차량이 TCS 제어 상태에 있는 중이라도 차량이 고착상태에 있다고 판단되면, 엔진 출력을 증가시키고 슬립량이 큰 구동 바퀴를 반복적으로 제동제어함으로써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차량을 고착상태에서 탈출 시킬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차량운행상태 검출부 102: 바퀴속도센서
104: 차량속도센서 106: 타이머
108: 차량고착상태 판단부 110: 제어부
112: 엔진제어부 114: 제동제어부
116: 엔진 118: 제동부

Claims (5)

  1. 차량이 TCS 제어상태에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차량이 TCS 제어상태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차량이 고착상태에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차량이 고착상태에 있다고 판단되면 엔진의 출력을 증가시켜 차량이 고착상태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고착상태에 있는지 판단하는 것은,
    상기 차량의 속도가 일정시간 이상 기준속도 이하로 유지되는 경우에 차량이 고착상태에 있다고 판단하는 것인 차량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고착상태에 있다고 판단되면 슬립이 발생한 구동바퀴의 슬립량을 감소시키도록 슬립이 발생한 상기 구동바퀴를 반복적으로 제동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4. 차량이 고착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차량고착상태 판단부; 및
    엔진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고착상태 판단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 받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차량이 TCS 제어상태에서 차량이 고착상태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엔진제어부는 엔진의 출력을 증가시켜 차량이 고착상태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제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동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고착상태 판단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 받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차량이 TCS 제어상태에서 차량이 고착상태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동제어부는 슬립이 발생한 구동바퀴의 슬립량을 감소시키도록 슬립이 발생한 상기 구동바퀴를 반복적으로 제동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장치.
KR1020090121581A 2009-12-09 2009-12-09 차량고착상황 탈출을 위한 차량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KR101317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581A KR101317156B1 (ko) 2009-12-09 2009-12-09 차량고착상황 탈출을 위한 차량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581A KR101317156B1 (ko) 2009-12-09 2009-12-09 차량고착상황 탈출을 위한 차량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834A true KR20110064834A (ko) 2011-06-15
KR101317156B1 KR101317156B1 (ko) 2013-10-11

Family

ID=44398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581A KR101317156B1 (ko) 2009-12-09 2009-12-09 차량고착상황 탈출을 위한 차량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71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780A (ko) * 2016-12-01 2018-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열악 환경에서의 차량 탈출 제어 방법.
KR102051312B1 (ko) 2018-08-17 2019-12-03 현대위아 주식회사 Awd 차량 범프노면 탈출 제어방법
US11880198B2 (en) 2019-08-19 2024-01-23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Vehicle adaptive crawl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3195B2 (ja) * 1989-12-18 1997-09-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トラクションコントロール装置
JP3541821B2 (ja) * 2000-11-14 2004-07-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駆動力制御装置
JP2005147055A (ja) * 2003-11-18 2005-06-09 Nissan Motor Co Ltd 車両の駆動力制御装置
JP5304032B2 (ja) * 2008-06-03 2013-10-02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車両のトラクション制御装置、及び車両のトラクション制御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780A (ko) * 2016-12-01 2018-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열악 환경에서의 차량 탈출 제어 방법.
KR102051312B1 (ko) 2018-08-17 2019-12-03 현대위아 주식회사 Awd 차량 범프노면 탈출 제어방법
US11880198B2 (en) 2019-08-19 2024-01-23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Vehicle adaptive crawl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7156B1 (ko) 2013-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5333B2 (en) Device for controlling vehicle wheel slip using variable slip ratio thresholds
US8676463B2 (en) Travel controlling apparatus of vehicle
CN107848510B (zh) 操控制动器的方法
JP4728550B2 (ja) 自動車のトラクション制御(asr)方法及び装置
GB2390651A (en) Traction control with individual lowering of the slip threshold of the driving wheel on the outside of a bend
JP2001206218A (ja) 車両のブレーキフェード警告装置、a/t車の走行制御装置及び電気自動車の走行制御装置
KR20160040667A (ko)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회생 제동 제어
JP2017030722A (ja) 車両制御方法
CN106114287B (zh) 一种电动汽车防滑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20110125130A (ko) 노면 마찰계수 추정방법
US8398180B2 (en) Method of braking a vehicle
GB2577090A (en) Powertrai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KR101317156B1 (ko) 차량고착상황 탈출을 위한 차량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US5551769A (en) Method and system for split mu control for anti-lock brake systems
JP2970353B2 (ja) 路面状態検出装置
JP4414547B2 (ja) 路面摩擦係数判定装置および方法
JP6036115B2 (ja) 車両のトラクション制御装置及び車両のトラクション制御方法
KR101315023B1 (ko) 차량의 기준 속도 추정 방법
KR20190115961A (ko) 사륜 차량의 발진 제어방법
KR20090100018A (ko) 차량 안정성 제어방법
JP4551039B2 (ja) 制動力制御装置
JP6753534B2 (ja) 車両の制御方法及び車両の制御装置
KR20220026380A (ko) 듀얼모터가 장착된 차량의 구동력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6496769B1 (en) Four wheel drive anti-lock brake control having torque transfer alleviation
KR101316160B1 (ko) 스플리트 노면에서의 abs 감속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