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4823A -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량 증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량 증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4823A
KR20110064823A KR1020090121567A KR20090121567A KR20110064823A KR 20110064823 A KR20110064823 A KR 20110064823A KR 1020090121567 A KR1020090121567 A KR 1020090121567A KR 20090121567 A KR20090121567 A KR 20090121567A KR 20110064823 A KR20110064823 A KR 20110064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olume
sound
sound source
incre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라미
김성철
이남일
양동익
조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1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4823A/ko
Priority to US12/957,834 priority patent/US20110135113A1/en
Priority to CN201010578318.XA priority patent/CN102098607B/zh
Priority to EP10193869A priority patent/EP2352306A1/en
Priority to JP2010274538A priority patent/JP5890093B2/ja
Publication of KR20110064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8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05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using digitally weighted transduc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1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receiver circuit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음량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오디오 하드웨어를 통해 출력될 적어도 하나의 음원 데이터를 포함하는 최종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증가시키는 사운드 부스터와, 상기 사운드 부스터에 의해 음량 증가된 오디오 데이터를 소리 신호로 재생하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휴대용 단말기가 음량 스팩을 만족할 만큼 충분한 스피커 설치 공간을 구비하지 못하더라도, 소프트웨어적인 음량 증가 기능을 통해 음량 스팩을 만족시킬 수 있다.
스피커, 음량, 사운드 부스터(sound booster), 음량 증가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량 증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CREASING VOLUMN IN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편의성과 필요성으로 인해 보급률이 급속히 증가 되어 이제는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 및 단말기 제조자들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활용도를 더 높이기 위해 많은 부가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링톤(ringtone), 음악 재생 등 소리를 이용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스피커를 구비한다.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는 사용자에게 쾌적한 청취감을 제공하기 위해 일정한 음량 스팩을 만족시키도록 설계된다. 하지만,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는 보다 가볍게, 보다 작게, 보다 슬림(slim)한 디자인을 지향한다.
휴대용 단말기의 슬림한 디자인으로 인해, 상기 음량 스팩을 만족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스피커의 설치 공간이 부족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스피커의 설치 공간이 부족한 경우, 작은 크기의 스피커를 설치하거나, 충분한 공명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게 되어, 요구되는 음량이 제공될 수 없다. 따라서, 스피커의 설치 공간이 부족한 휴대용 단말기가 음량 스팩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대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의 음량 스팩을 만족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량 스팩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스피커가 사용되는 경우 소프트웨어적으로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 장치는, 오디오 하드웨어를 통해 출력될 적어도 하나의 음원 데이터를 포함하는 최종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증가시키는 사운드 부스터와, 상기 사운드 부스터에 의해 음량 증가된 오디오 데이터를 소리 신호로 재생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 출력 방법은, 오디오 하드웨어를 통해 출력될 적어도 하나의 음원 데이터를 포함하는 최종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증가시키는 과정과, 음량 증가된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소리 신호로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용 단말기가 음량 스팩을 만족할 만큼 충분한 스피커 설치 공간을 구비하지 못하더라도, 소프트웨어적인 음량 증가 기능을 통해 음량 스팩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스피커의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셀룰러 전화기(Celluar Phone), 개인 휴대 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 무선 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 랩탑(lap-top) 컴퓨터, 넷북(net-book)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 다. 상기 도 1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오디오 출력을 위한 구성만을 도시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블록들 외에 통신을 위한 수단, 사용자의 입력을 인지하기 위한 수단,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수단,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 등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되는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음원발생모듈(110), 음원처리부(120), 드라이버(130), 스피커(140), 사운드부스터(sound booster)(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음원발생모듈(110)은 사용자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실행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음원들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음원발생모듈(110)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기반으로 동작하며, 음원 데이터를 출력하는 웨이브폼 오디오 API(Waveform Audio API) 및 하드웨어 믹싱(hardware mixing)을 제어하는 믹서 API(Mixer API)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원발생모듈(110)로부터 출력되는 음원 데이터는 PCM(Pulse Code Modulation) 오디오 데이터이거나, 또는,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음원처리부(120)는 상기 스피커(140)를 통해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오디오 데이터의 처리를 담당한다. 상기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음원처리부(120)는 웨이브맵퍼(wave mapper)(122), 압축관리기(compression manager)(124), 오디오장치관리기(126), 믹서(mixer)(128)를 포함한다.
상기 웨이브맵퍼(122)는 상기 음원발생모듈(110)로부터 제공되는 압축된 오 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며, 상기 압축관리기(124)를 제어한다. 상기 압축관리기(124)는 오디오 코덱(CODEC : COding-DECoding)을 관리하는 블록으로서,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의 포맷(format)을 결정하고, 포맷에 따른 코덱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압축을 해제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압축관리기(124)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필터링, 포맷 변환 등을 수행한다.
상기 오디오장치관리기(126)는 상기 스피커(140)와 같은 오디오 하드웨어를 제어하기 위한 함수들 및 PCM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드라이버(130)로 제공한다. 상기 오디오장치관리기(126)에 의해 제공되는 함수들은 하드웨어 독립적인 것으로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운영체제(OS : Operationg System)에 종속된다. 상기 믹서(128)는 다수의 음원들에 대한 소프트웨어 믹싱(software mixing)을 수행한다. 즉, 상기 믹서(128)는 상기 음원발생모듈(110)로부터 제공되는 다수의 PCM 오디오 신호들 또는 상기 웨이브맵퍼(122)로부터 제공되는 압축 해제된 PCM 오디오 신호들을 하나의 PCM 오디오 신호로 결합한다.
상기 드라이버(130)는 상기 오디오장치관리기(126)로부터 제공되는 함수들을 하드웨어 종속적인 명령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명령 신호를 상기 스피커(140)로, 상기 PCM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사운드부스터(150)로 제공한다. 상기 스피커(140)는 소리의 출력을 위한 오디오 하드웨어로서, 상기 드라이버(130)로부터 제공되는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사운드부스터(150)로부터 제공되는 PCM 오디오 신호를 소리 신호로 재생한다.
상기 사운드부스터(150)는 상기 드라이버(130)로부터 제공되는 PCM 오디오 신호, 즉, 상기 스피커(140)를 통해 출력되는 최종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증가시킨다. 다시 말해, 상기 사운드부스터(150)는 상기 스피커(140)를 통해 출력되는 모든 PCM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증가시킨다. 상기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사운드부스터(150)는 잡음제거기(redundancy cut filter)(152), 볼륨제어기(volume controller)(154), 명료도강화기(clarity enhancer)(156)를 포함한다.
상기 잡음제거기(152)는 상기 최종 오디오 신호의 저주파 대역, 즉, 상기 스피커(140)를 통해 출력되지 아니하는 대역의 신호를 제거한다. 상기 저주파 대역 신호의 제거로 인해, 저음 신호의 재생으로 인한 상기 스피커(140)의 진동이 감소하며, 저음의 상대적 감소로 인해 고음의 음량이 증가한다. 상기 볼륨제어기(154)는 상기 잡음제거기(152)로부터 제공되는 최종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증가시킨다. 즉, 상기 볼륨제어기(154)는 상기 최종 오디오 신호의 크기를 증가시킴으로써 음량을 증가시킨다. 이때, 상기 볼륨제어기(154)는 원래 크기 대 증가 비율이 선형 또는 비선형이 되도록 신호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상기 명료도강화기(156)는 상기 볼륨제어기(154)로부터 제공되는 최종 오디오 신호의 명료도를 향상시킨다. 상기 명료도의 향상으로 인해, 사용자의 청취감이 향상되며, 중·고대역의 음의 음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 출력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1단계에서 오디오 출력 요청 이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오디오 출력 요청은 사용자의 음원 데이터 재생 명령,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키톤(key tone) 출력, 호(call) 수신에 따른 링톤(ring tone) 출력 등에 의해 발생한다.
상기 오디오 출력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의 음원을 PCM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단, 상기 오디오 출력의 음원이 PCM 오디오 신호의 형태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203단계는 생략된다. 따라서, 상기 오디오 출력의 음원이 압축되어 있거나, 또는, PCM 오디오 신호가 아닌 다른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203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오디오 출력의 음원은 다수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일부 음원에 대하여는 PCM 오디오 신호로의 변환을 수행하고, 나머지 음원에 대하여는 PCM 오디오 신호로 변환을 수행하지 아니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오디오 출력의 음원이 다수인지 확인한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음원에 대한 출력 요청이 발생하였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음원 데이터의 재생 중 키톤의 출력 요청이 발생하거나, 링톤의 출력 중 키톤의 출력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인지 확인한다.
상기 오디오 출력의 음원이 다수이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다수의 음원들을 믹싱한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다수의 PCM 오디오 신호들 또는 압축 해제된 PCM 오디오 신호들을 하나의 PCM 오디오 신호로 결합함으로 써 최종 오디오 신호를 생성한다.
이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최종 오디오 신호의 저주파 대역, 즉,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지 아니하는 대역의 신호를 제거한다. 상기 저주파 대역 신호의 제거로 인해, 저음 신호의 재생으로 인한 상기 스피커의 진동이 감소하며, 저음의 상대적 감소로 인해 고음의 음량이 증가한다.
상기 저주파 대역의 신호를 제거한 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최종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증가시킨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최종 오디오 신호의 크기를 증가시킴으로써 음량을 증가시킨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원래 크기 대 증가 비율이 선형 또는 비선형이 되도록 신호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상기 볼륨을 증가시킨 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최종 오디오 신호의 명료도를 향상시킨다. 상기 명료도의 향상으로 인해, 사용자의 청취감이 향상되며, 중·고대역의 음의 음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저주파 대역 신호 제거, 상기 볼륨 증가, 상기 명료도 강화를 거친 PCM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 출력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Claims (12)

  1. 휴대용 단말기 장치에 있어서,
    오디오 하드웨어를 통해 출력될 적어도 하나의 음원 데이터를 포함하는 최종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증가시키는 사운드 부스터와,
    상기 사운드 부스터에 의해 음량 증가된 오디오 데이터를 소리 신호로 재생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데이터를 하나의 PCM 음원 데이터로 믹싱(mixing)하는 믹서(mix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압축된 음원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축된 음원 데이터에 대해 실시간 압축 해제를 수행하는 압축 관리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부스터는, 상기 최종 오디오 신호의 저주파 대역의 신호를 제거하는 기능, 상기 최종 오디오 신호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기능, 및, 상기 최종 오디오 신호의 명료도를 강화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통해 상기 최종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대역의 신호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지 아니하는 대역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부스터는, 원래 크기 대 증가 비율이 선형 또는 비선형이 되도록 신호의 크기를 증가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 출력 방법에 있어서,
    오디오 하드웨어를 통해 출력될 적어도 하나의 음원 데이터를 포함하는 최종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증가시키는 과정과,
    음량 증가된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소리 신호로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데이터를 하나의 PCM 음원 데이터로 믹싱(mixing)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압축된 음원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축된 음원 데이터에 대해 실시간 압축 해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최종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증가시키는 과정은,
    상기 사운드 부스터는, 상기 최종 오디오 신호의 저주파 대역의 신호를 제거하는 기능, 상기 최종 오디오 신호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기능, 및, 상기 최종 오디오 신호의 명료도를 강화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통해 상기 최종 오디 오 신호의 음량을 증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대역의 신호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지 아니하는 대역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최종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증가시키는 과정은,
    원래 크기 대 증가 비율이 선형 또는 비선형이 되도록 신호의 크기를 증가시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90121567A 2009-12-09 2009-12-09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량 증가 장치 및 방법 KR20110064823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567A KR20110064823A (ko) 2009-12-09 2009-12-09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량 증가 장치 및 방법
US12/957,834 US20110135113A1 (en) 2009-12-09 2010-12-01 Apparatus and method for increasing volumn in portable terminal
CN201010578318.XA CN102098607B (zh) 2009-12-09 2010-12-03 在便携式终端中增大音量的设备和方法
EP10193869A EP2352306A1 (en) 2009-12-09 2010-12-06 Apparatus and Method for Increasing Volume in Portable Terminal
JP2010274538A JP5890093B2 (ja) 2009-12-09 2010-12-09 携帯用端末機における音量増加装置及びその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567A KR20110064823A (ko) 2009-12-09 2009-12-09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량 증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823A true KR20110064823A (ko) 2011-06-15

Family

ID=43743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567A KR20110064823A (ko) 2009-12-09 2009-12-09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량 증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135113A1 (ko)
EP (1) EP2352306A1 (ko)
JP (1) JP5890093B2 (ko)
KR (1) KR20110064823A (ko)
CN (1) CN10209860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37038A1 (ko) * 2013-03-08 2014-09-12 주식회사 라온솔루션 오디오 신호를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및 리모컨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4288A (zh) * 2012-05-02 2013-11-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语音通道自动控制方法及终端
US11579838B2 (en) 2020-11-26 2023-02-14 Verses, Inc. Method for playing audio source using user interaction and a music application using the same
KR102401550B1 (ko) * 2020-11-26 2022-05-24 주식회사 버시스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이용한 오디오 소스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악 어플리케이션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3797A (ja) * 1988-10-24 1990-04-25 Murata Mfg Co Ltd 圧電スピーカ
JPH05122782A (ja) * 1991-10-25 1993-05-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響再生装置
DK168681B1 (da) * 1992-03-02 1994-05-16 Bang & Olufsen As Højttaler med midler til frekvensafhængig amplituderegulering
JPH08237800A (ja) * 1995-02-27 1996-09-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低音増強回路
JP3334101B2 (ja) * 1997-05-20 2002-10-15 ティーオーエー株式会社 拡声器
JPH11112615A (ja) * 1997-09-30 1999-04-23 Kokusai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
US6947567B1 (en) * 1999-11-12 2005-09-20 Bbe Sound Inc. Audio boost circuit
JP2001258090A (ja) * 2000-03-13 2001-09-21 Sony Corp スピーカ駆動回路
EP1206160A1 (en) * 2000-11-09 2002-05-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igital loudspeaker
KR200226168Y1 (ko) * 2000-12-28 2001-06-01 엘지전자주식회사 이퀄라이저 기능을 구비한 휴대 통신 장치
US7079660B2 (en) * 2001-04-16 2006-07-18 Rohm Co., Ltd. Bass compensation device and a sound system using the device
JP2003092618A (ja) * 2001-09-17 2003-03-28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携帯電話機
ATE356405T1 (de) * 2003-07-07 2007-03-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und verfahren zur signalverarbeitung
JP2005045738A (ja) * 2003-07-25 2005-02-17 Sony Corp 通話装置及び通話方法、並びに通話システム
CN1871874A (zh) * 2003-10-24 2006-11-29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自适应声音再现
ATE396537T1 (de) * 2004-01-19 2008-06-15 Nxp Bv System für die audiosignalverarbeitung
WO2005074129A2 (en) * 2004-01-28 2005-08-1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utomatic audio signal dynamic range adjustment
JP2005318521A (ja) * 2004-03-31 2005-11-10 Denon Ltd 増幅装置
JP2007104407A (ja) * 2005-10-05 2007-04-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響信号処理装置
US20070110256A1 (en) * 2005-11-17 2007-05-17 Odi Audio equalizer headset
US20080013751A1 (en) * 2006-07-17 2008-01-17 Per Hiselius Volume dependent audio frequency gain profile
US8019088B2 (en) * 2007-01-23 2011-09-13 Audyssey Laboratories, Inc. Low-frequency range extension and protection system for loudspeakers
US20080183755A1 (en) * 2007-01-31 2008-07-3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for storing an alert file by converting the alert file to a lower complexity file format and using the converted alert file to generate an alert and related electronic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JP4274254B2 (ja) * 2007-02-07 2009-06-0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ハンズフリー装置
CN101641965A (zh) * 2007-03-20 2010-02-03 日本电气株式会社 电子设备用声音处理系统、方法以及便携电话终端
US7983722B2 (en) * 2007-03-29 2011-07-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Headset with multi-button control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5074115B2 (ja) * 2007-07-12 2012-11-14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音響信号処理装置及び音響信号処理方法
JP2009044268A (ja) * 2007-08-06 2009-02-26 Sharp Corp 音声信号処理装置、音声信号処理方法、音声信号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37038A1 (ko) * 2013-03-08 2014-09-12 주식회사 라온솔루션 오디오 신호를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및 리모컨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35113A1 (en) 2011-06-09
CN102098607A (zh) 2011-06-15
EP2352306A1 (en) 2011-08-03
JP5890093B2 (ja) 2016-03-22
JP2011125018A (ja) 2011-06-23
CN102098607B (zh)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1842B2 (en) Filter adaptation based on volume setting for certification enhancement in a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8265782B2 (en) Mobile device having multi-audio output function
US84986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ixing audio with ringtone data
KR20110064823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량 증가 장치 및 방법
CN1878203A (zh) 一种可以进行语音及背景音合成的移动通信终端
US20100263519A1 (en) Set top box
KR101775439B1 (ko) 휴대 단말기의 에티켓 통화 모드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587425B1 (ko) 독립적인 오디오 경로가 형성되는 멀티미디어 기능 강화 단말기
KR20090027817A (ko) 배경음 출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US20060068835A1 (en) Background sound mixer for mobile audio platform applications and methods thereof
KR20070069551A (ko) 화상 통화와 채팅을 동시에 지원하기 위하여 통합된 이미지채널을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방법
CN111510824B (zh) 音频处理电路、方法和电子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3966510B2 (ja) 音声携帯端末
JP2001343998A (ja) ディジタルオーディオデコーダ
KR100752599B1 (ko) 휴대단말 수신음의 저음대역 복원 방법
US20220406317A1 (en) Conference terminal and embedding method of audio watermarks
KR20110088721A (ko) 휴대용단말기에서 음원 재생시 음량제어 방법 및 장치
Bossart A survey of mobile audio architecture issues
CN115002751A (zh) 加解密方法与加解密耳机
KR100720679B1 (ko) 복수 채널을 처리할 수 있는 오디오 인터페이스 및 음원처리 장치
JPH1013243A (ja) 音声録再方法、ディジタル携帯電話機
CN117714969A (zh) 一种音效处理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16546126A (zh) 一种杂音抑制方法及电子设备
KR100797120B1 (ko) 화상 통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0632092B1 (ko) 스피커폰 음질이 개선된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