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3310A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3310A
KR20110063310A KR1020100118616A KR20100118616A KR20110063310A KR 20110063310 A KR20110063310 A KR 20110063310A KR 1020100118616 A KR1020100118616 A KR 1020100118616A KR 20100118616 A KR20100118616 A KR 20100118616A KR 20110063310 A KR20110063310 A KR 20110063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substrate
amount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시키 모리와키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63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33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09G3/03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for flexible display su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45/00Computer graphics processing and selective visual display systems
    • Y10S345/903Modular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가요성 기판과; 상기 기판에 배열된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영상 신호에 따른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기판의 표면 또는 이면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며, 상기 기판의 만곡 상태를 검지하는 변위 센서; 및 상기 변위 센서에 의해 상기 기판의 만곡이 검지된 경우에, 화상을 상기 표시부에 분할하여 표시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소자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은 상당히 중요한 과제로 되어 있다. 특히, 구조적인 메커니컬한 신뢰성이나 표시 성능에 관한 신뢰성의 확보는, 종래와 같이 여전히 중요한 문제이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 제2005-173193호 공보에는, 전류량의 온도 상승에 의한 소자의 수명 열화를 억제하기 위해, 영상 데이터 등의 디바이스의 표시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데이터로부터 화상의 상황을 판단하고, 과전류를 억제하도록 수평 주사선의 점등을 제어하는 수법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일본 특개 제2007-240617호 공보에는, 표시 장치에 대한 미소한 응력에 의한 변형을, 입사하는 빛의 편광 상태의 변화로서, 편광 검출 수단의 광검출기에 의해, 정량적으로 변화량을 검출하는 것으로, 굴절율 등의 광학 특성 제어를 행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렇지만, 일본특개 제2005-173193호 공보에 기재된 수법은, 게이트 신호와 소스 신호의 양쪽을 조합시키는 복잡한 제어이고, 또한, 점등 기간을 제어하는 등, 다양한 피드백 제어를 필요로 하고, 많은 알고리즘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신뢰성 확보를 위해 제조 비용이 증대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복잡한 알고리즘 제어는, 드라이버 IC의 소비 전력 증대에도 연결되고, 전력 성능의 저하도 발생한다.
또한, 일본 특개 제2007-240617호 공보에 기재된 수법에서는, 다른 광원, 예를 들면 태양광이나, 실내의 형광등 등, 비교적 강한 외광에 대한 광산란이나 외광 반사에 의한 노이즈 등이 있을 때, 변형에 의한 미소한 굴절율의 검출은 곤란하다.
그러면,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요성을 갖는 표시 장치에서, 만곡시의 만곡량에 따른 표시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만곡시의 표시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고, 신규이면서 개량된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가요성 기판과; 상기 기판에 배열된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영상 신호에 따른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기판의 표면 또는 이면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며, 상기 기판의 만곡 상태를 검지하는 변위 센서; 및 상기 변위 센서에 의해 상기 기판의 만곡이 검지된 경우에, 화상을 상기 표시부에 분할하여 표시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판의 만곡량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의 분할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판의 만곡량 및 상기 기판의 만곡 위치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의 분할을 제어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변위 센서의 출력과 화상분할 제어량의 관계를 규정하는 룩업 테이블에 근거하여 화상 영역의 분할량 및 축소율을 연산하는 화상 영역 연산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 영역 연산부가 연산한 상기 화상 영역의 분할량 및 축소율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의 분할을 제어한다.
상기 기판이 만곡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판이 원래대로 돌아온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의 분할을 완만하게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위 센서에 의한 만곡 모양의 검지 결과, 상기 표시부의 표시면이 볼록한 부분이 되도록 만곡하고 있는 경우, 상기 표시부의 표시면이 오목부가 되도록 만곡하고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의 분할을 완만하게 제어한다.
상기 변위 센서는, ITO 또는 IZO로 된 한 쌍의 투명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투명 전극간의 저항치의 변화에 근거하여, 상기 기판의 만곡 모양을 검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표시 장치 제어 방법이 제공되는데, 상기 제어 방법은: 영상 신호에 따른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설치되며, 가요성 기판의 만곡 모양을 검지하는 검지 단계; 및 상기 검지 단계에서 상기 기판의 만곡이 검지된 경우, 화상을 분할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가요성을 갖는 표시 장치에서, 화상이 굴곡되는 것에 의해 시인성이 저하되고, 유저 측에 제공하는 화상 정보량이 감소될 때, 만곡시의 만곡량에 따른 표시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만곡시의 표시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신규이면서 개량된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계된 표시 장치의 바깥쪽의 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표시 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변위 센서를 표시부의 이면측에 설치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표시 장치의 이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변위 센서를 표시부의 이면측에 설치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표시 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표시 장치가 만곡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표시부가 설치된 바깥쪽의 면이 오목면으로 되도록 만곡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6은 표시부가 설치된 면이 볼록면으로 되도록 만곡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된 표시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된 제어부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저항 변화량에 따른 표시 영역 제어량을 규정하는 LUT의 일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0은 표시 영역 제어량을 규정하는 LUT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1은 표시 장치가 만곡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2는 표시 장치의 만곡량에 따른 표시부의 표시 영역의 분할 제어의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3은 표시 장치의 만곡량에 따른 표시부의 표시 영역의 분할 제어의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4는 표시 장치의 만곡량에 따른 표시부의 표시 영역의 분할 제어의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5는 표시 장치의 만곡량에 따른 표시부의 표시 영역의 분할 제어의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6은 표시 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변위 센서를 표시 장치의 표리면에 설치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7은 도 16에 나타내는 표시 장치가 만곡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8은 룩업 테이블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이 매우 적합한 실시의 형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에 의해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표시 장치의 구성예]
[2. 표시 장치의 기능 블록 구성]
[3. 제어부의 기능 블록 구성]
[4. 변위 센서를 표리면에 설치한 구성예]
[5. 룩업 테이블의 다른 예]
[1. 표시 장치의 구성예]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계된 표시 장치(100)의 대략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표시 장치(100)의 바깥쪽의 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표시 장치(100)는, 후술하는 반도체층에 의해 구성되며, 복수의 픽셀이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열된 표시부(110)를 구비한다. 표시부(110)는, 영상 신호에 따라 각 픽셀을 발광시키는 것에 의해, 정지 화상이나 동화상 등의 화상을 표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렉시블한 특징을 갖기 때문에, 자유롭게 만곡될 수 있다. 동시에, 만곡시에 호응하여 구부러진 상태량에 대하여, 그 변위 검출량에 따라, 표시 장치(100)에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110)에 표시할 화상을 분할하여 표시하는 분할 축소 제어를 행한 것으로, 표시 신뢰성을 확보한다.
도 2는, 표시 장치(100)의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기판(102), 제2 기판(104), 및 변위 센서(106)가 적층되고, 수십㎛ 정도의 두께의 극히 얇은 표시 장치(100)가 구성된다. 제1 기판(102)은, 플렉시블한 기판, 예를 들면 수지제의 플라스틱 기판 상에, 각 픽셀을 구성하는 표시 소자(발광 소자)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이고, 표시 소자는 저온 프로세스로 형성 가능한 유기 반도체 또는 무기물 반도체의 소자를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기판(102)에는, 표시 소자로서 유기 EL(Organic Electro-Luminescence) 소자가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제2 기판(104)은, 역시 수지성의 플라스틱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유기 반도체 또는 무기물 반도체로 된 표시 소자를 구비하는 제1 기판(102)에 대하여 대향하여 배치되고, 표시 소자를 밀봉하는 밀봉 기판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기판(102) 및 제2 기판(104)의 2 종의 기판에 의해 반도체층을 협지하는 것으로 표시 장치(100)가 구성된다. 화상이 표시될 표시부(110)는, 제2 기판(104) 측의 면으로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표시 장치(100)는, 수십㎛ 정도의 두께로 구성되고, 가요성을 가지며, 화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만곡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기판(104)의 표면에는, 투명한 전극 체, 예를 들면, ITO막(Indium Tin Oxide), IZO막(Indium Zinc Oxide) 등으로 이루어진 변위 센서(106)가 배열되어 있다. 변위 센서(106)는, 예를 들면 표시부(110)와 동일한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변위 센서(106)는 투명한 전극체로 이루어지고, 제1 기판(102)의 표시 소자에 각각 대향하여 배열된다.
변위 센서(106)는, 예를 들면 기존의 터치 패널의 전극과 마찬가지로 구성되고, ITO, IZO 등의 투명 전극으로 된 2장의 금속 박막(저항막)이 대향하여 배치되고, 이 한 쌍의 금속 박막이 평면 영역에서 예를 들면 매트릭스 모양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다. 변위 센서(106)의 대향하는 투명 전극은 저항을 갖고, 한편의 전극에는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고, 전극간의 저항치가 모니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표시 장치(100)가 만곡하면, 만곡한 위치에서 2장의 금속 박막간의 저항치가 변화하고, 다른 편의 전극에는 만곡에 따른 전압이 발생하기 때문에, 저항치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치된 복수의 1쌍의 금속 박막 중, 저항치가 변화한 금속 박막을 검지하는 것으로, 변위 센서(106)의 어느 위치가 변위했는지를 검지할 수 있고, 표시부(110)이 어느 위치에서 구부려졌는지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저항치의 변화는, 표시 장치(100)의 곡량이 커지는 정도 증대한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 장치(100)는, 변위 센서(106)에 의해 검출된 저항 변화량을 검출하고, 표시 장치(100)가 구부러진 위치, 및 곡량을 검출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변위 센서(106)를 표시부(110)의 이면측에 설치한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여기에서, 도 3은 표시 장치(100)의 이면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4는 표시 장치(100)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 제1 기판(102)과 제2 기판(104)의 구성은, 도 1 및 도 2의 표시 장치(100)와 마찬가지이다. 이 구성예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위 센서(106)는, 제1 기판(102)의 이면에 마련되어 있다. 변위 센서(106)를 표시부(110)의 이면에 설치한 경우도, 표시부(110)의 표면에 설치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저항치의 변화에 따라 표시 장치(100)의 만곡량, 만곡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련된 표시 장치(100)의 대략 구성에 관하여 설명했다. 도 1∼도 4에 나타낸 표시 장치(100)는, 상술한 것처럼 수십㎛ 정도의 두께를 가지며, 가요성을 갖는다. 따라서, 유저에 의해 표시 장치(100)을 만곡시킬 수 있다. 그러나, 표시 장치(100)가 만곡한 상태에서는, 만곡하고 있지 않은 상태와 동등한 표시 상태를 유지할 가능성이 낮아진다. 표시 장치(100)의 만곡에 의해 표시부(110)의 시인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도 5는, 표시 장치(100)가 만곡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표시부(110)가 설치된 바깥쪽의 면이 오목면이 되도록 만곡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은, 표시부(110)가 설치된 면이 볼록면이 되도록 만곡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0)가 만곡한 상태에서는, 만곡에 의해 표시부(110)의 시인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통상과 동일한 화상의 표시 상태를 유지할 필요성은 낮아진다. 예를 들면, 도 5와 같이, 표시 화면이 오목면이 되도록 만곡한 경우는, 표시 화면상의 화상도 만곡한다. 또한, 표면의 난반사 등의 영향에 의해, 평면의 경우와 비교하여 화질도 저하된다. 이 때문에, 표시 장치(100)는, 유저에 대한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만곡시의 화상을 분할하여, 표시부(110)에 표시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특히, 도 5와 같이, 표시부(110)의 표시 화면이 180°정도의 각도로 굴곡한 경우는, 외측에서 표시부(110)의 화상이 시인할 수 없는 영역이 생기기 때문에, 화상 표시 영역을 축소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것으로, 유저에 대해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6과 같이, 표시부(110)의 표시 화면이 볼록면이 되도록 만곡한 경우, 표시 화면상의 화상도 만곡하고, 화질도 저하되기 때문에, 표시 장치(100)는, 만곡시의 화상을 축소분할하여, 표시부(110)가 만곡하고 있지 않은 부분에 표시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것으로, 유저에 대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부(110)가 만곡한 경우에, 만곡 전의 상태에서의 화상 표시 상태를 유지할 필요성이 적어지는 것을 감안하여, 표시부(110)에 표시할 화상에 대한 제어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것처럼, 유저에 대한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만곡시의 화상을 축소분할하여, 만곡하고 있지 않은 부분에 표시하는 제어를 실행하고, 표시부(110)가 만곡하고 있지 않은 부분에서 화상을 표시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유저에게 위화감을 주는 일 없이, 가요성을 갖는 표시 장치(100)에서 만곡시의 표시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2. 표시 장치의 기능 블록 구성]
이하에, 구체적인 제어 수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된 표시 장치(100)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도 7을 이용하여 표시 장치(100)의 기능 블록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된 표시 장치(100)는, 표시부(110)과, A/D 변환부(122)와, 메모리(124)와,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표시부(110)는, 도 1∼도 4에 나타낸 것처럼, 제1 기판(102), 제2 기판(104) 및 변위 센서(106)에 의한 적층 구조를 갖는다. A/D 변환부(122)는, 변위 센서(106)에 의해 아날로그양으로서 검출된 표시부(110)의 만곡량을 디지털 양으로 변환한다. 메모리(124)는, A/D 변환부(122)가 디지털 양으로 변환한 표시부(110)의 만곡량을 일시적으로 유지해 둔다. 제어부(130)는, 메모리(124)에 격납된 표시부(110)의 만곡량을 이용하여, 표시부(110)에 공급된 화상 신호에 대한 각종 제어를 실행한다.
변위 센서(106)는, 상술한 것처럼 투명의 ITO막, IZO막 등으로 이루어지고, ITO막, IZO막은 저항을 갖고 있다. 대향하는 2장의 저항막 중, 1장의 저항막에 대하여 전압을 인가해 두면, 유저가 표시부(110)에 대하여 조작하는 위치에 따른 전압이 대향하는 다른 1장의 저항막에도 발생한다. 이 전압을 검지하는 것에 의해, 변위 센서(106)는, 아날로그 양으로서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지다. 따라서, 표시부(110)의 만곡량을 변위 센서(106)에 의해 아날로그 양으로서 검출하는 것으로, 제어부(130)에서, 표시부(110)가 만곡하고 있는지의 판단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A/D 변환부(122)가 디지털 양으로 변환한 표시부(110)의 만곡량을 메모리(124)에 일시적으로 격납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A/D 변환부(122)가 디지털 양으로 변환한 표시부(110)의 만곡량을 제어부(130)에 직접 공급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3. 제어부의 기능 블록 구성]
이상, 도 7을 이용하여 표시 장치(100)의 기능 블록 구성에 관하여 설명했다. 다음에, 도 7에 나타낸 제어부(130)의 기능 블록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제어부(130)의 기능 블록 구성에 관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에 나타낸 제어부(130)의 기능 블록은, 센서, 회로 등의 하드웨어, 또는 중앙 연산 처리 장치(CPU)와 이것을 기능 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프로그램)에 의해 구성된다.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제어부(130)는, 저항 검출부(132)와, 저항 비교부(134)와, 화상 축소/분할 연산부(136)과, 화상 축소/분할 제어부(138)를 구비한다.
저항 검출부(132)는, 변위 센서(106)로부터 출력된 저항치를 검출한다. 저항 검출부(132)가 검출한 저항치는 저항 비교부(134)에 보내진다.
저항 비교부(134)는, 표시 장치(100)가 만곡하고 있지 않은 평면의 상태에서의 기준 저항치와, 저항 검출부(132)에 검출된 저항치를 비교한다. 저항 비교부(134)에서 저항치를 비교하고, 저항치의 변화량을 산출하는 것으로, 표시 장치(100)가 어느 정도 만곡하고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저항 비교부(134)에서 산출한 저항치의 변화량의 정보는, 화상 축소/분할 연산부(136)에 보내진다.
화상 축소/분할 연산부(136)는, 저항 비교부(134)에서 산출한 저항치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후단의 화상 축소/분할 제어부(138)에서 화상분할 제어 처리에 이용할 화상분할 제어량을 결정하여 출력한다. 화상분할 제어 처리에 이용할 화상분할 제어량에는, 화상의 분할량과, 화상의 축소율의 정보가 포함된다. 저항 비교부(134)가 일정한 검출 전압을 검지하면, 화상 축소/분할 연산부(136)는, 표시부(110)가 본래의 상태에서 정상적으로 화상 표시할 수 있는 상태에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만곡시의 화상을 어떻게 분할하고 표시부(110)에 표시할지를 연산하여 결정한다. 화상 축소/분할 제어부(138)는, 화상 축소/분할 연산부(136)가 결정한 화상분할 제어량을 이용하여, 표시부(110)에 화상을 표시할 때의 분할의 패턴이나 축소량을 제어하는 화상분할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화상 축소/분할 연산부(136)는,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치된 복수의 변위 센서(106) 중, 저항 변화가 검지된 만곡부에 상당하는 영역에서 화상분할 제어량을 결정해도 좋다. 그리고, 화상 축소/분할 제어부(138)는, 저항 비교부(134)로부터 입력된, 저항 변화가 생긴 변위 센서(106)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만곡부에 상당한 영역에서 화상분할 제어 처리를 실행해도 좋다.
화상 축소/분할 연산부(136)에 있어서는, 저항 변화량에 따라 제어해야 할 화상분할 제어량이 미리 룩업 테이블(LUT)로서 격납되어 있다. 도 9는, 룩업 테이블로서 격납된, 저항 변화량과 화상분할 제어량과의 관계의 일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에 나타낸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서는, 미리 격납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상분할 제어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항 변화량이 작은 경우는, 화상분할 제어량이 작게, 즉 화상을 분할하지 않고 표시부(110)에 표시하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저항 변화량이 커지는 만큼, 화상분할 제어량이 커지도록, 즉 화상을 분할하여 표시부(110)에 표시하도록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표시부(110)의 굽은 부분이 큰 경우는, 화상분할 제어량을 크게, 즉 분할량이나 축소량을 크게 하는 것으로, 표시부(110)가 만곡하고 있지 않은 영역에 화상을 분할하여 표시하고, 표시부(110)의 시인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표시 성능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110)의 만곡량이 적은 경우는, 화상의 분할을 하지 않든지 또는 화상분할 제어량을 적게, 즉 분할량이나 축소량을 적게 하는 것으로, 표시부(110)의 화상을 폭넓게 표시하거나, 화상분할 제어가 유저에게 인식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0은, 화상분할 제어량을 규정하는 LUT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변위 센서(106)에 의해 검출된 전압치(저항치에 상당하는 값)와 화상분할 제어량과의 관계를 규정하고 있다. 변위 센서(106)의 한편의 투명 전극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에, 표시 장치(100)가 만곡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다른 편의 전극의 전압치를 기준 전압이라고 하면, 만곡량이 커지는 만큼, 변위 센서(106)의 다른 방향의 전극의 기준 전압에 대한 전압치는 증가한다. 따라서, 변위 센서(106)의 다른 방향의 전극의 기준 전압에 대한 전압치를 도 10의 LUT에 적용시키는 것으로, 화상분할 제어량을 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변위 센서(106)가 있는 임의의 포인트(위치)에서, 변위 센서(106)의 투명 전극의 전압 검출치가, 만곡하고 있지 않은 때의 기준 전압에 대하여, 저항 비교부(134)에서 0.3V의 차분이 검출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화상 축소/분할 연산부(136)는, 차분 검출량에 따라 화상분할 제어량을 연산하고, 도 10에 나타낸 예에서는 화상분할 제어량이 60%축소, 2분할로 된다. 그리고, 화상 축소/분할 제어부(138)는, 화상 영역을 10%축소하는 화상분할 제어를 실행한다. 화상 축소/분할 제어부(138)로 화상분할 제어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표시부(110)의 만곡에 의한 메커니컬한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하는 결함이, 고전류 밀도 영역에 인가되는 일정한 출력으로 인해 증가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표시 특성 품위를 보장함과 동시에, 화상을 분할 및 축소하고 표시부(110)가 만곡하고 있지 않은 부분에 표시하는 것으로 만곡시의 시인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저항 변화량이 작은 소정의 범위에서는 화상분할 제어를 실행하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항 변화량이 작은 소정의 범위에서는, 화상분할 제어량은 0으로 되고, 저항 변화량이 있는 소정의 임계치(Th)를 초과한 경우로부터 화상분할 제어를 시작하도록 룩업 테이블을 규정해도 좋다. 이와 같이, 화상분할 제어가 실제로 시작되기까지의 사이에 불감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표시 장치(100)가 미소하게 만곡한 경우는, 화상분할 제어가 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표시 장치(100)의 미소 변형에서는 화상분할 제어가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유저에게 위화감이 생겨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저항 비교부(134)에서의 비교의 결과 검출된 전압과 화상분할 제어량과의 관계를 규정하는 LUT의 각 패러미터는 임의의 값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도 11은, 표시 장치가 만곡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또한, 도 12 및 도 13은, 화상 축소/분할 제어부(138)에 의해, 표시 장치(100)의 만곡량에 따른 화상분할 제어의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표시 장치(100)를 약간의 만곡시킨 경우에,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화상의 변화의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13은, 표시 장치(100)를 크게 만곡시킨 경우에,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화상의 변화의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3과 같이, 표시 장치(100)를 약간의 만곡시킨 경우에는, 표시 장치(100)가 만곡하고 있지 않은 부분이 크기 때문에, 표시 장치(100)가 만곡하고 있지 않은 부분에서 화상을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100)의 만곡량에 따라 화상분할 제어를 실행하고, 표시부(110)의 표시 영역의 크기를 제어부(130)로 제어한다.
한편, 도 13과 같이, 표시 장치(100)를 크게 만곡시킨 경우에는, 표시 장치(100)가 만곡하고 있지 않은 부분이 작기 때문에, 표시 장치(100)가 만곡하고 있지 않은 부분에서 화상을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100)의 만곡량에 따라,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화상에 대한 화상분할 제어를 제어부(130)로 제어한다.
이처럼, 표시 장치(100)의 만곡량에 따른 화상분할 제어를 제어부(130)로 실행하는 것으로, 표시 장치(100)가 만곡한 상태라도, 화상을 분할하고, 표시 장치(100)가 만곡하고 있지 않은 부분을 사용하여 표시부(110)에 표시해야 할 화상의 전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표시 장치(100)의 만곡 위치에 따라 화상분할 제어를 제어부(130)로 실행해도 좋다. 도 14 및 도 15는, 화상 축소/분할 제어부(138)에 의한, 표시 장치(100)의 만곡량에 따른 표시부(110)의 표시 영역의 크기의 제어의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도 12와는 달리, 표시 장치(100)의 긴 변을 따라 만곡시킨 경우에,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화상의 분할 패턴의 차이의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냈던 것이고, 도 15는, 표시 장치(100)의 1개의 구석에서 만곡시킨 경우에,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화상의 분할 패턴의 차이의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처럼, 동일한 만곡량이라도, 만곡하고 있는 부분의 차이에 의해 화상분할 제어를 제어부(130)로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술한 것처럼, 변위 센서(106)는 표시 장치(100)에 매트릭스 모양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만곡양뿐만 아니라 만곡 위치도 변위 센서(106)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4. 변위 센서를 표리면에 설치한 구성예]
도 16은, 표시 장치(100)의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변위 센서를 표시 장치(100)의 표리면에 설치한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7은, 도 16에 나타내는 표시 장치(100)가 만곡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7의 경우, 만곡부에서, 표시부(110)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이면측의 변위 센서(106)의 곡률 반경은, 표시부(110)가 마련되어 있는 표면측의 변위 센서(106)의 곡률 반경보다도 커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면측의 변위 센서(106)의 곡률 반경은, 제1 기판(102) 및 제2 기판(104)의 두께만큼 커진다. 이 때문에, 표면측의 변위 센서(106)의 만곡량은 이면측의 변위 센서(106)의 만곡량과 비교하여 커지고, 보다 만곡량이 큰 표면측의 변위 센서(106)의 저항 변화량은, 이면측의 변위 센서(106)의 저항 변화량보다도 커진다.
따라서 도 16에 나타내는 구성에 의하면, 표리면의 변위 센서(106)에 의해 저항 변화량을 검출하는 경우에, 표리면의 저항 변화량을 비교하는 것으로, 표리면의 어느 한쪽 한편이 오목면이고, 다른 편이 볼록면인 것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표면이 오목면으로 된 경우는, 표면이 볼록면으로 된 경우와 비교하여 표시부(110)가 외측으로부터 숨어 버리고, 표시부(110)가 더 인식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표시부(110)에 표시하는 화상의 시인성을 높이기 때문에, 화상분할 제어량을 보다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표면이 볼록면으로 된 경우는, 화상에 만곡이 생기지만, 표면이 오목면인 경우와 비교하여 화상 자체의 시인성은 높아지기 때문에, 표면이 오목면인 경우와 비교하여 화상분할 제어량을 적게 하는 것으로, 동일한 만곡량이라도, 표면이 볼록면으로 된 경우와 오목면으로 된 경우에, 화상의 분할량 및 축소율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5. 룩업 테이블의 다른 예]
도 18은, 룩업 테이블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표시 장치(100)가 구부려지는 과정과, 절곡이 원래대로 돌아오는 과정에서, 저항 변화량에 대한 화상분할 제어량이 다르도록 하고 있다.
도 18에 나타내는 룩업 테이블에 있어서, 표시 장치(100)가 구부려지는 과정에서 특성 곡선(도 18에서 실선으로 나타냄)은, 도 9와 마찬가지이다. 한편, 절곡이 원래대로 돌아오는 과정에서는, 도 18에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특성 곡선으로 되어, 저항 변화량이 큰 영역에서는 저항 변화량에 대한 화상분할 제어량의 변화량을 보다 크게 하고, 저항 변화량이 작은 영역에서는 저항 변화량에 대한 화상분할 제어량의 변화량을 보다 작게 한다. 이것에 의해, 구부려진 상태에서 평면으로 복귀한 때에, 보다 빠른 단계로 화상분할 제어에 의한 화상을 원래의 상태에 되돌릴 수 있다. 따라서, 만곡한 표시 장치(100)가 평면으로 복귀할 때에, 화상분할 제어에 의한 위화감을 유저가 느끼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2009년 12월 4일자로 일본특허청에 특허출원된 일본특허원 제2009-276944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한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이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의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내에서, 각종의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 할 수 있는 것은 분명하고, 이것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 것이라고 이해하여야 한다.
100 : 표시 장치
102 : 제1 기판
104 : 제2 기판
106 : 변위 센서
110 : 표시부
122A/D : 변환부
124 : 메모리
130 : 제어부
132 : 저항 검출부
134 : 저항 비교부
136 : 화상 축소/분할 연산부
138 : 화상 축소/분할 제어부

Claims (8)

  1. 가요성 기판과;
    상기 기판에 배열된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영상 신호에 따른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기판의 표면 또는 이면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며, 상기 기판의 만곡 상태를 검지하는 변위 센서; 및
    상기 변위 센서에 의해 상기 기판의 만곡이 검지된 경우에, 화상을 상기 표시부에 분할하여 표시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판의 만곡량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의 분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판의 만곡량 및 상기 기판의 만곡 위치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의 분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센서의 출력과 화상분할 제어량의 관계를 규정하는 룩업 테이블에 근거하여 화상 영역의 분할량 및 축소율을 연산하는 화상 영역 연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 영역 연산부가 연산한 상기 화상 영역의 분할량 및 축소율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의 분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이 만곡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판이 원래대로 돌아온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의 분할을 완만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위 센서에 의한 만곡 모양의 검지 결과, 상기 표시부의 표시면이 볼록한 부분이 되도록 만곡하고 있는 경우, 상기 표시부의 표시면이 오목부가 되도록 만곡하고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의 분할을 완만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센서는, ITO 또는 IZO로 된 한 쌍의 투명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투명 전극간의 저항치의 변화에 근거하여, 상기 기판의 만곡 모양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영상 신호에 따른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설치되며, 가요성 기판의 만곡 모양을 검지하는 검지 단계; 및
    상기 검지 단계에서 상기 기판의 만곡이 검지된 경우, 화상을 분할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00118616A 2009-12-04 2010-11-26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100633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76944A JP5440136B2 (ja) 2009-12-04 2009-12-04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JP-P-2009-276944 2009-12-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310A true KR20110063310A (ko) 2011-06-10

Family

ID=43333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616A KR20110063310A (ko) 2009-12-04 2010-11-26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890911B2 (ko)
EP (1) EP2333762A1 (ko)
JP (1) JP5440136B2 (ko)
KR (1) KR20110063310A (ko)
CN (1) CN102097048B (ko)
TW (1) TWI4423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385B1 (ko) 2011-06-30 2013-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9176530B2 (en) * 2011-08-17 2015-11-03 Apple Inc. Bi-stable spring with flexible display
KR20130040547A (ko) * 2011-10-14 2013-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화면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30043526A (ko) * 2011-10-20 2013-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표시장치
AU2015252106B2 (en) * 2011-11-22 2017-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by using the same
KR20130056674A (ko) * 2011-11-22 2013-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저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CN102522049B (zh) * 2011-11-22 2013-10-30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可挠显示装置
KR102148717B1 (ko) * 2011-12-05 2020-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864185B1 (ko) * 2011-12-15 2018-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모드 변경 방법
US9411423B2 (en) * 2012-02-08 2016-08-09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ptic flex gesturing
US9672796B2 (en) * 2012-02-17 2017-06-06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KR101240724B1 (ko) * 2012-02-29 2013-03-11 주식회사 팬택 플렉서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연속된 화면 제공 방법
CN102629446B (zh) 2012-03-22 2015-08-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操作控制方法和显示装置
JP2013225052A (ja) * 2012-04-23 2013-10-31 Sony Corp 表示装置
KR101993333B1 (ko) * 2012-05-08 2019-06-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이용한 휨 감지 방법
KR101420330B1 (ko) * 2012-06-22 2014-07-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표시 장치
JP2014035496A (ja) * 2012-08-09 2014-02-24 Canon Inc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04409B1 (ko) * 2012-08-23 2019-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40104B1 (ko) * 2012-08-24 2019-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96652B1 (ko) * 2012-11-01 2019-07-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107134B1 (ko) * 2012-11-14 2020-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서 목록을 배열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40095711A (ko) * 2013-01-25 2014-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97361B1 (ko) * 2013-02-01 2020-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14129565A1 (ja) * 2013-02-21 2014-08-28 京セラ株式会社 装置
US9019170B2 (en) * 2013-03-14 2015-04-28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4076873B (zh) * 2013-03-29 2019-01-1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US9354742B2 (en) 2013-04-10 2016-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visible regions thereof
KR102061684B1 (ko) * 2013-04-29 2020-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CN104427038A (zh) * 2013-09-09 2015-03-1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TWI556204B (zh) * 2013-09-30 2016-11-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可撓式顯示器
KR102109479B1 (ko) * 2013-10-28 2020-05-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315659B1 (ko) * 2013-11-27 2021-10-20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US9274506B2 (en) * 2014-01-29 2016-03-01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613585B2 (en) * 2014-06-19 2020-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group play system using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performance methods thereof
KR20160001602A (ko) * 2014-06-26 2016-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의 인터페이싱 방법 및 그 폴더블 전자 장치
WO2016027999A1 (en) * 2014-08-20 2016-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90140B1 (ko) * 2014-09-15 2020-12-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트레쳐블 표시 장치 및 이의 휘도 보상 방법
CN104318861B (zh) 2014-09-24 2017-05-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屏及其弯曲识别方法、柔性显示装置
KR102338003B1 (ko) * 2014-10-07 2021-1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4392981B (zh) * 2014-11-19 2017-06-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弯曲动作识别装置和柔性显示装置
KR20160064978A (ko) 2014-11-28 2016-06-08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모듈, 표시 시스템, 및 전자 기기
CN106325371A (zh) * 2015-06-30 2017-01-11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和模式切换方法
CN106325372A (zh) * 2015-06-30 2017-01-11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和模式切换方法
CN106325369A (zh) * 2015-06-30 2017-01-11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及模式切换方法
CN106325728B (zh) * 2015-06-30 2024-05-28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N106325374A (zh) * 2015-06-30 2017-01-11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和显示处理方法
KR102358641B1 (ko) * 2015-07-20 2022-0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 표시 장치
USD804443S1 (en) 2015-10-02 2017-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USD820801S1 (en) 2015-11-04 2018-06-19 Lenovo (Beijing) Co., Ltd. Flexible electronic device
USD822633S1 (en) 2015-11-04 2018-07-10 Lenovo (Beijing) Co., Ltd. Flexible electronic device
KR102410748B1 (ko) * 2015-11-27 2022-06-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장치, 터치 스크린 장치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및 터치 스크린 장치의 구동 방법
CN105405365A (zh) * 2015-12-02 2016-03-16 龙川耀宇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屏
KR102475589B1 (ko) 2016-04-29 2022-1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발광 표시장치
JP2018081503A (ja) * 2016-11-16 2018-05-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6686423B (zh) * 2016-12-30 2018-03-20 惠科股份有限公司 一种多画面显示方法及显示装置
CN106940965A (zh) * 2017-05-12 2017-07-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CN108304033B (zh) * 2017-12-21 2021-05-0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柔性屏终端及其折叠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6951237B2 (ja) * 2017-12-25 2021-10-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08227934A (zh) * 2018-01-31 2018-06-2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显示区域点亮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TWI652529B (zh) * 2018-03-07 2019-03-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可撓式顯示裝置與劃分可撓式顯示器的方法
US10705573B2 (en) * 2018-05-21 2020-07-07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Active-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module operable in bendable states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CN109491506B (zh) * 2018-11-13 2020-06-09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终端以及显示控制方法
JP6688376B2 (ja) * 2018-12-21 2020-04-28 シェンジェン ロイオル テクノロジ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及びこの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を備える電子装置
US11282416B2 (en) * 2019-02-15 2022-03-22 Everdisplay Optronics (Shanghai)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9814793A (zh) * 2019-02-28 2019-05-2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界面控制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20100695A (ko) * 2019-12-03 2022-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TWI723668B (zh) * 2019-12-05 2021-04-01 宏碁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及其偵測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49574B2 (ja) * 1997-08-29 2008-09-10 ゼロ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サポートデバイス、及び情報入力方法
US6340957B1 (en) * 1997-08-29 2002-01-22 Xerox Corporation Dynamically relocatable tileable displays
JPH11112905A (ja) * 1997-10-07 1999-04-23 Sharp Corp 受像装置
US6160540A (en) * 1998-01-12 2000-12-12 Xerox Company Zoomorphic computer user interface
JP4487383B2 (ja) * 2000-05-01 2010-06-2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4560974B2 (ja) * 2001-03-15 2010-10-13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TW579019U (en) 2001-06-13 2004-03-01 Eturbotouch Technology Inc Flexible current type touch film
JP2003015795A (ja) * 2001-07-04 2003-01-17 Minolta Co Ltd 情報表示装置
US6819304B2 (en) * 2001-10-11 2004-11-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justable display device with display adjustment function and method therefor
US20030117382A1 (en) * 2001-12-07 2003-06-26 Pawlowski Stephen S. Configurable panel controller and flexible display interface
KR100769783B1 (ko) * 2002-03-29 2007-10-24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표시 입력 장치 및 표시 입력 시스템
JP4447823B2 (ja) * 2002-06-14 2010-04-07 ソニー株式会社 携帯情報機器
JP4603778B2 (ja) * 2003-06-20 2010-12-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5173193A (ja) 2003-12-11 2005-06-30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有機el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US7346856B2 (en) * 2003-08-21 2008-03-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ing portions of large web images to fit smaller constrained viewing areas
US20070205997A1 (en) * 2004-03-29 2007-09-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ntrolling A Visual Display By Bending
US7369121B2 (en) * 2004-07-21 2008-05-06 Microsoft Corporation Input device with a zoom apparatus
JP4739858B2 (ja) * 2005-08-12 2011-08-03 株式会社リコー 表示装置、制御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4920996B2 (ja) 2006-03-06 2012-04-18 株式会社リコー 光制御素子、表示装置及び応力測定装置
US7782274B2 (en) * 2006-06-09 2010-08-24 Cfph, Llc Folding multimedia display device
WO2008075277A1 (en) 2006-12-21 2008-06-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lexible substrate for display devices
US9423995B2 (en) * 2007-05-23 2016-08-23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izing an active area of a flexible display
JP2009086403A (ja) * 2007-10-01 2009-04-23 Brother Ind Ltd 画像表示装置
JP2009276944A (ja) 2008-05-13 2009-11-26 Oki Electric Ind Co Ltd 自動取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34145A1 (en) 2011-06-09
US9261914B2 (en) 2016-02-16
JP5440136B2 (ja) 2014-03-12
US20150022445A1 (en) 2015-01-22
US8890911B2 (en) 2014-11-18
TW201137827A (en) 2011-11-01
EP2333762A1 (en) 2011-06-15
TWI442369B (zh) 2014-06-21
CN102097048B (zh) 2013-05-22
CN102097048A (zh) 2011-06-15
JP2011118244A (ja)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3310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JP5707694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5640365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5493707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EP232041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JP5329741B2 (ja) タッチ位置検出装置及びタッチ位置検出方法、ならびにタッチスクリーン表示装置
TWI559185B (zh) 兼具指紋辨識與觸控偵測的顯示裝置
TWM498326U (zh) 兼具指紋辨識與觸控偵測的顯示裝置
JP2008117214A (ja) 表示装置
JP2011095577A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20110046282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US20230229257A1 (en)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and touch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