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2991A - 피사체 인식을 알리는 디지털 촬영 장치,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피사체 인식을 알리는 디지털 촬영 장치,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2991A
KR20110062991A KR1020090119905A KR20090119905A KR20110062991A KR 20110062991 A KR20110062991 A KR 20110062991A KR 1020090119905 A KR1020090119905 A KR 1020090119905A KR 20090119905 A KR20090119905 A KR 20090119905A KR 20110062991 A KR20110062991 A KR 20110062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image
output signal
photographing apparatu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4247B1 (ko
Inventor
김진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9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247B1/ko
Priority to US12/956,163 priority patent/US8970762B2/en
Priority to CN2010105794108A priority patent/CN102088561A/zh
Publication of KR20110062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생성부와,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피사체를 인식하는 피사체 인식부와, 인식한 상기 피사체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를 도출하는 출력 신호 도출부와, 상기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피사체를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피사체가 촬영에 집중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피사체 영상을 캡쳐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사체 인식을 알리는 디지털 촬영 장치,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d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촬영에 집중하지 못하는 아기나 동물을 촬영하는 것은 어려우며, 더욱이 원하는 영상을 캡쳐하는 것은 더욱 어렵다. 일반적으로 아기나 동물을 촬영할 때는 언제 어느 때 어떠한 동장 또는 표정이 나올지 예측할 수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연사 모드를 이용하여 촬영하거나 촬영자가 계속하여 피사체를 주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촬영 횟수에 비하여 원하는 영상을 얻을 확률은 매우 희박하여 촬영의 효율성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많다.
본 발명은 용이하게 피사체의 주위를 환기하여 원하는 영상을 캡쳐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촬영을 확실히 인지하지 못하는 아기나 동물을 촬영하는 모드에서 아기나 동물이 촬영 또는 디지털 촬영 장치에 집중하도록 하여 원하는 영상을 얻을 수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생성부와,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피사체를 인식하는 피사체 인식부와, 인식한 상기 피사체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를 도출하는 출력 신호 도출부와, 상기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 생성부는 상기 피사체를 포함하는 라이브뷰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피사체 인식부는 상기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상기 피사체를 인식하며, 상기 출력부에서 상기 출력 신호를 출력하고 촬영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영상 생성부는 상기 피사체를 포함하는 촬영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는 얼굴일 수 있다.따라서, 상기 피사체 인식부는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신호 도출부는 인식한 상기 얼굴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피사체측의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일면에 배치하며 상기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얼굴은 아기 얼굴이고, 상기 제1 표시부는 인식한 상기 아기 얼굴에 대응하는 만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는 촬영자측의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배면에 배치하고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 표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신호 도출부는 인식한 상기 얼굴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도출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는 인식한 상기 피사체에 대응하는 신호를 설정하는 출력 신호 설정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는 상기 피사체의 인식 회수에 대응하는 신호를 설정하는 출력 신호 설정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피사체를 인식하는 단계와, 인식한 상기 피사체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를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피사체를 포함하는 라이브뷰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부에서 상기 출력 신호를 출력하고 촬영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피사체를 포함하는 촬영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상기 피사체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는 얼굴일 수 있다. 따라서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를 도출하는 단계는, 인식한 상기 얼굴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피사체 측의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일 면에 배치되는 제1 표시부와 촬영자 측의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배 면에 배치되는 제2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영상 신호를 출력함은 상기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상기 제1 표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얼굴은 아기 얼굴이고, 상기 영상 신호를 출력함은 제1 표시부에 인식한 상기 아기 얼굴에 대응 하는 만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하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영상을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인식한 상기 피사체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를 도출하는 단계는, 인식한 상기 얼굴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도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인식한 상기 피사체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피사체의 인식 회수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사체를 인식하고, 인식한 피사체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오디오와 같은 출력 신호를 도출하여, 상기 출력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피사체의 주의를 환기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 중 피사체가 촬영에 집중하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영상을 얻을 수 있다.
특히,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표시부를 구비하는 듀얼(dual) 표시부 구비 장치를 이용하여 촬영에 대해 인지가 확실하지 않은 아기나 동물 등을 촬영함에 있어서, 피사체와 마주보는 전면의 표시부에 인식한 아기나 동물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피사체가 디지털 촬영 장치를 바라보도 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아기 영상 또는 동물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일 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b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배 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로 콤팩트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비디오 카메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TV, 디지털 액자,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디지털 기기에 적용가능하다.
도 1a에 따르면, 컴팩트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전면에 제1 표시부(41)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전면에는 광학부(11) 중 하나인 렌즈가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전원 버튼(81)과 셔터 릴리즈 버튼(82)이 구비되어 있다. 양 측면 중 일 면에는 마이크(72)와 스피커(73)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표시부(41)는 피사체를 바라보는 전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피사체는 상기 제1 표시부(41)에 배치되는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컴팩트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배면을 나타낸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컴팩트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제2 표시부(43)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2 표시부(42)는 촬영 중 촬영자가 피사체를 확인하기 위한 라이브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컴팩트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대하여, 도 2의 블럭도를 참조하여 더 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콤팩트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광학부(11), 촬상부(21), 화상 입력 컨트롤러(22), AE/AWB/AF 제어부(31), 압축부(32), 상기 콤팩트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전면에 배치하는 제1 표시부(41), 상기 콤팩트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배면에 배치하는 제2 표시부(43), 기록 매체(52), 프로그램 저장부(61), 버퍼 메모리(62), 마이크(72), 스피커(73), 조작부(80), DSP/CPU(90) 등을 구비한다.
상기 광학부(11)는 광학 신호를 집광하는 렌즈, 상기 광학 신호의 양(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 광학 신호의 입력을 제어하는 셔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는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따라 화각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지도록 제어하는 줌 렌즈 및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 렌즈 등을 포함하며, 이들 렌즈들은 각각 하나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복수 렌즈들의 군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셔터로 가리개가 위아래로 움직이는 기계식 셔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셔터 장치 대신 촬상부(21)에 전기 신호의 공급을 제어하여 셔터 역할을 행할 수도 있다.
상기 광학부(11)를 구동하는 광학 구동부(12)는 오토 포커스, 자동 노출 조정, 조리개 조정, 줌, 초점 변경 등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렌즈의 위치, 조리개의 개폐, 셔터의 동작 등을 구동할 수 있다. 상기 광학 구동부(12)는 DSP/CPU(9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제공받아, 이에 따라 상기 광학부(11)의 구동할 수 있다.
촬상부(21)는 광학부(11)를 통해 입력된 광학 신호를 수광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 소자로서 CCD를 구비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촬상 소자로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어레이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 어레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상부(20)는 CDS/AMP, A/D컨버터를 갖는다. CDS/AMP(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correlated double sampling)/증폭기(amplifier))는 CCD에서 출력된 전기 신호에 포함된 저주파 노이즈를 제거함과 동시에 전기 신호를 임의의 레벨까지 증폭시킨다. A/D컨버터는 CDS/AMP에서 출력된 전기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를 생성한다. A/D컨버터는 생성한 디지털 신호를 화상 입력 컨트롤러(22)에 출력한다.
촬상부(21)는 DSP/CPU(90)로부터 공급되는 타이밍 신호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타이밍 제너레이터(TG)는 촬상부(21)에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여 CCD를 구성하고 있는 각 화소의 노광 기간을 제어하거나 전하의 독출을 제어한다. 따라서 촬상부(21)는 TG로부터 제공되는 타이밍 신호에 따라 일 프레임의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AE/AWB/AF 제어부(31)는 컴팩트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입력된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AE(auto exposure:자동 노광) 평가값을 산출하고, 상기 AE 평가값에 대응하여 조리개의 조리개량이나 셔터 속도를 산출한다. 또는 노광 시간, 게인, 촬상 소자(21)의 독출 모드에 의해 노광을 제어할 수 있다. 게인은 콘트라스트값의 산출에 사용된다. 촬상 소자(21)의 독출 모드란, 예를 들면 촬상부(21)에서 화상 데이터를 독출할 때의 신호 처리 모드로서, 피사체상이 어두울 때에는 화소를 가산하고, 피사체상이 밝을 때에는 화소 전부를 그대로 독출하는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AWB 제어는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AWB(auto white balance:자동 화이트 밸런스)평가값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3원색 색신호의 게인을 산출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F 제어는 AF(auto focus:자동 초점)평가값에 대응하여 포커스 렌즈의 합초 위치를 산출한다. AF 평가값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휘도값에 기초하여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트라스트 검출 방식에 따르면 AF 평가값은 화상 신호의 콘트라스트값으로서, 콘트라스트값이 피크가 되었을 때 피사체상이 촬상 소자(21)의 촬상면에서 합초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포커스 제어 개시 조작 신호를 받으면 포커스 렌즈를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포커스 렌즈 드라이버에 출력한다. AF 제어는 주피사체상을 결정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1 구동, 및 상기 제1 구동에서 결정된 주피사체상에 대응하는 콘트라스트값의 피크값을 포함하는 일 범위만 구동하여 합초 위치를 검출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2 구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F 제어는 산출 결과 얻어진 합초 위치를 제어 신호로서 포커스 렌즈 드라이버에 출력한다. 포커스 렌즈 드라이버는 AF 제어부(31)에서 받은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포커스 렌즈를 구동할 수 있다.
압축부(32)는 압축 처리 전의 화상 신호를 받아 예를 들면 JPEG압축 형식 또는 LZW압축 형식 등의 압축 형식으로 화상 신호를 압축 처리한다. 압축부(32)는 압 축 처리로 생성한 압축 영상 데이터를 예를 들면 기록 매체(52)로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1 표시 구동부(42)는 제1 표시부(41)에서 각종 설정 화면 또는 촬영으로 생성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동한다. 또한, 제2 표시 구동부(52)는 제2 표시부(51)에 각종 설정 화면 또는 촬영으로 생성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동한다. 상기 영상 데이터는 기록 매체(62)에 기록된 화상을 구현하는 것이나, 또는 버퍼 메모리(62)로부터 실시간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부(41) 및 제2 표시부(42)로 LCD, OLED, PDP, ED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부(41)는 컴팩트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전면에 매립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2 표시부(43)는 상기 전면에 대항하는 배면에 매립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표시부(41)는 피사체와 마주보는 전면에 배치되므로, 촬영 중 상기 제1 표시부(41)에 피사체의 주의를 환기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피사체가 상기 컴팩트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집중할 수 있다. 특히, 피사체가 동물 또는 아기인 경우 이러한 기능으로 인해 피사체가 상기 컴팩트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바라보며, 원하는 피사체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이후 DSP/CPU(90)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반면, 상기 제2 표시부(43)는 촬영자와 마주보는 배면에 배치되므로, 촬영 중 상기 제2 표시부(42)에 라이브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촬영자가 피사체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원하는 장면일 경우, 촬영자는 셔터 릴리즈 버튼(82)을 눌러 원하는 피사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기록 매체 제어부(52)는 기록 매체(52)로의 영상 데이터의 기입, 또는 기록 매체(52)에 기록된 영상 데이터나 설정 정보 등의 독출을 제어한다. 기록 매체(52)는, 예를 들면 광디스크(CD, DVD, 블루레이디스크 등), 광자기 디스크, 자기 디스크, 반도체 기억매체 등으로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기록한다. 기록 매체 제어부(51), 기록 매체(52)는 상기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서 착탈 가능한 것일 수 있다.
프로그램 저장부(61)는 상기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작동하는 필요한 OS,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저장부(71)로서 E2PROM, 플래쉬 메모리, ROM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버퍼 메모리(62)는 촬영한 영상의 영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여러 개 영상들의 영상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으며, 포커스 제어시의 영상 신호를 차례대로 유지하여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화상 입력 컨트롤러(30)에 영상을 읽고 쓰는 것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 메모리(62)는 여러 개의 채널을 갖는 영상 표시용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영상 표시용 영상 데이터의 입력과, 제1 표시 구동부(42) 및 제2 표시 구동부(52)로의 영상 데이터 출력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표시부(52)의 해상도나 최대 발색수는 표시용 메모리의 용량에 의존한다.
오디오 신호 처리부(71)는 마이크(72)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DSP/CPU(9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DSP/CPU(90)로부터 제공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하여 스피커(73)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DSP/CPU(90)에서 판단한 특정 조건 하에서 피사체의 주위 환기용 오디오 신호를 공급하며, 상기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73)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이후 DSP/CPU(90)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조작부(80)는 촬영자가 상기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조작하거나 촬영시 각종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 키, 터치 패널, 터치 스크린, 다이얼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원 온/오프, 촬영 개시/정지, 재생 개시/정지/서치, 광학계의 구동, 모드 변환, 메뉴 조작, 선택 조작 등의 촬영자 조작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셔터 버튼은 촬영자에 의한 반누름, 완전누름, 해제가 가능하다. 셔터 버튼은 반누름(S1조작)되었을 때 포커스 제어 개시 조작 신호를 출력하고 반 누름 해제로 포커스 제어가 종료된다. 상기 셔터 버튼은 완전누름(S2조작)되었을 때 촬영 개시 조작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조작 신호는 DSP/CPU(90) 등에 전송되어, 이에 따라 해당 구서 요소를 구동시킬 수 있다.
DSP/CPU(90)는 프로그램에 의해 연산 처리 장치 및 제어 장치로서, 상기 디지털 스틸 카메라 안에 설치된 각 구성 요소의 처리를 제어한다. DSP/CPU(90)는, 예를 들면 포커스 제어나 노출 제어에 기초하여 광학 구동부(12)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광학부(11)를 구동시킨다. 또한, DSP/CPU(90)는 조작부(8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디지털 스킬 카메라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DSP/CPU(90)가 하나로만 이루어진 구성이지만, 신호계의 명령과 조작계의 명령을 각각 CPU에서 수행하는 등 여러 개의 CPU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DSP/CPU(90)는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생성부(91),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피사체를 인식하는 피사체 인식부(92)를 구비한 다. 그리고 인식한 피사체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를 도출하는 출력 신호 도출부(93)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출력 신호는 출력부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출력 신호가 영상인 경우, 제1 표시부(4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출력 신호가 오디오 신호인 경우 스피커(73)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생성부(91)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노이즈를 저감하고, 감마 컬렉션(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피사체를 촬영하여 입력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와 같은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하여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피사체가 얼굴인 경우, 라이브뷰 모드 동안 상기 영상 생성부(91)를 얼굴을 포함하는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피사체 인식부(92)에서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영상으로부터 얼굴을 인식한다. 그리고 출력 신호 도출부(93)에서 인식한 얼굴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를 도출한다. 일 예로서, 인식한 상기 얼굴이 아기 얼굴인 경우 상기 출력 신호는 아기의 주위를 환기할 수 있는 만화 영상, 캐릭터 영상 등일 수 있다. 이는 얼굴에 따른 영상의 데이터 베이스를 미리 저장한 상태에서, 아기 얼굴을 인식한 경우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만화 영상 또는 캐릭터 영상을 상기 출력 신호로서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만화 영상 또는 캐릭터 영상을 피사체인 아기와 마주보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전면에 배치된 제1 표시부(4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표시부(41)에 상기 만화 영상 또는 캐릭터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아기는 상기 영상을 통해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바라보게 되어, 촬영자는 원하는 아기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아기는 상기 영상을 통해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바라보게 되면, 촬영자가 셔터 릴리즈 버튼(82)를 눌러 영상을 캡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 생성부(91)는 캡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 신호 도출부(93)는 인식한 얼굴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신호로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기 얼굴을 인식한 경우, 아기의 주위를 환기할 수 있는 동요 등의 오디오 신호를 도출할 수 있다. 인식한 피사체에 따른 오디오 신호는 데이터베이스화되어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신호는 스피커(73)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DSP/CPU(90)는 출력 신호 설정부(9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출력 신호 설정부(94)는 상기 피사체 인식부(92)에서 인식한 피사체에 대응하는 신호를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할 수 있으며, 또는 인식한 피사체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설정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출력 신호 설정부(94)는 인식한 피사체의 회수에 따라 출력 신호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표 1과 같이 피사체를 인식한 회수를 카운팅하여 카운팅한 회수에 대응하여 출력 신호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자주 촬영하는 피사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피사체를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오디오)를 출력함으로써, 촬영자가 자주 촬영하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임을 인지할 수 있다.
인식한 피사체의 횟수 1 2 3 4
오디오 출력 신호 sound 1 sound 2 sound 3 sound 4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촬영 모드에서 라이브 뷰 영상을 생성한다(S11). 상기 라이브 뷰 영상은 촬영자와 마주보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배면에 매립된 제2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피사체를 인식한다(S12). 상기 피사체가 얼굴인 경우,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인식 가능하다. 특히, 아기 얼굴인 경우에도 아기 얼굴의 특징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인식할 수 있다.
인식한 피사체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가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13).
상기 출력 신호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출력 신호를 설정한다(S15). 상기 출력 신호로 오디오 신호를 설정하는 경우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라이브뷰 영상은 제1 피사체(P1)와 제2 피사체(P2)를 포함한다. 제1 피사체(P1)와 제2 피사체(P2) 모두 사람으로서,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각 피사체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인식한 얼굴에 대하여 대응하는 출력 신호가 설정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출력 신호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출력 신호를 설정할 수 있다. 먼저 제1 피사체(P1)에 대하여 출력 신호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피사체(P1)에 대하여 우측 하단에 출력 신호(오디오)의 종류들을 디스플레이하여 이들 중 선택함으로써 설정할 수 있다. 제1 피사체(P1)에 대응하여 제2 사운드(sound 2)를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인식한 피사체에 대응하여 출력 신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설정 저장되어 있는 출력 신호를 도출한다(S16).
그리고 도출한 상기 출력 신호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S16). 상기 출력 신호가 오디오인 경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출력 신호가 영상인 경우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출력 신호가 영상인 경우 상기 출력 신호는 피사체의 주위를 환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피사체와 마주보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는 제1 표시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사체는 상기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확인함으로써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바라보면서 촬영에 집중할 수 있다.
상기 출력 신호를 출력하고, 촬영 신호가 입력되면 피사체 영상을 캡쳐하여 촬영 영상을 생성한다(S16). 따라서 원하는 피사체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스마일 모드를 실행하는 경우 상기 피사체를 웃게 하는 코믹 영상을 상기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웃는 피사체 모습을 포함하는 영상을 캡쳐할 수도 있다.
도 5는 아동 촬영 모드에서 인식한 피사체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아기 피사체와 마주보는 디지털 카메라의 전면에 제1 표시부(41)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촬영 중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아기 피사체를 인식하고, 인식한 아기 피사체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로 애니메이션 또는 캐릭터 영상을 도출하며, 도출한 애니메이션, 캐릭터 영상을 상기 제1 표시부(41)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함으로써 출력한다. 따라서 아기는 상기 제1 표시부(41)의 영상을 바라보게 되어, 디지털 카메라에 집중할 수 있다. 촬영자는 디지털 카메라를 바라보는 아기 영상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다.
또는 인식한 아기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로 캐릭터의 목소리 등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73)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를 생각해낼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며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일 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b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배 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인식한 피사체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아동 촬영 모드에서 인식한 피사체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피사체가 아기인 경우를 설명한다.

Claims (20)

  1.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생성부;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피사체를 인식하는 피사체 인식부;
    인식한 상기 피사체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를 도출하는 출력 신호 도출부;
    상기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생성부는 상기 피사체를 포함하는 라이브뷰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피사체 인식부는 상기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상기 피사체를 인식하며,
    상기 출력부에서 상기 출력 신호를 출력하고 촬영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영상 생성부는 상기 피사체를 포함하는 촬영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는 얼굴인 것을 특징으로 디지털 촬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신호 도출부는 인식한 상기 얼굴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피사체측의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일면에 배치하며 상기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표시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은 아기 얼굴이고,
    상기 제1 표시부는 인식한 상기 아기 얼굴에 대응하는 만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촬영자측의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배면에 배치하고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 표시부를 더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신호 도출부는 인식한 상기 얼굴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도출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인식한 상기 피사체에 대응하는 신호를 설정하는 출력 신호 설정부를 더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의 인식 회수에 대응하는 신호를 설정하는 출력 신호 설정부를 더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1.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피사체를 인식하는 단계;
    인식한 상기 피사체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피사체를 포함하는 라이브뷰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출력부에서 상기 출력 신호를 출력하고 촬영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피사체를 포함하는 촬영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상기 피사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는 얼굴인 것을 특징으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를 도출하는 단계는,
    인식한 상기 얼굴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피사체 측의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일 면에 배치되는 제1 표시부와 촬영자 측의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배 면에 배치되는 제2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영상 신호를 출력함은 상기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상기 제1 표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은 아기 얼굴이고,
    상기 영상 신호를 출력함은 제1 표시부에 인식한 상기 아기 얼굴에 대응하는 만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인식한 상기 피사체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를 도출하는 단계는,
    인식한 상기 얼굴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인식한 상기 피사체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의 인식 회수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90119905A 2009-12-04 2009-12-04 피사체 인식을 알리는 디지털 촬영 장치,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634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905A KR101634247B1 (ko) 2009-12-04 2009-12-04 피사체 인식을 알리는 디지털 촬영 장치,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US12/956,163 US8970762B2 (en) 2009-12-04 2010-11-30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0105794108A CN102088561A (zh) 2009-12-04 2010-12-06 数字拍摄设备和控制该设备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905A KR101634247B1 (ko) 2009-12-04 2009-12-04 피사체 인식을 알리는 디지털 촬영 장치,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991A true KR20110062991A (ko) 2011-06-10
KR101634247B1 KR101634247B1 (ko) 2016-07-08

Family

ID=44081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905A KR101634247B1 (ko) 2009-12-04 2009-12-04 피사체 인식을 알리는 디지털 촬영 장치,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970762B2 (ko)
KR (1) KR101634247B1 (ko)
CN (1) CN10208856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5089A (ko) * 2015-07-29 2017-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645292B2 (en) 2015-07-29 2020-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284003B2 (en) 2015-07-29 202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6132B2 (en) * 2011-06-24 2017-01-03 Apple Inc. Facilitating image capture and image review by visually impaired users
US9495012B2 (en) * 2011-09-27 2016-11-15 Z124 Secondary single screen mode activation through user interface activation
US9137548B2 (en) 2011-12-15 2015-09-15 Flextronics Ap, Llc Networked image/video processing system and network site therefor
US9197904B2 (en) 2011-12-15 2015-11-24 Flextronics Ap, Llc Networked image/video processing system for enhancing photos and videos
US8948253B2 (en) 2011-12-15 2015-02-03 Flextronics Ap, Llc Networked image/video processing system
US9036069B2 (en) * 2012-02-06 2015-05-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nattended image capture
EP2637398A1 (en) * 2012-03-09 2013-09-11 BlackBerry Limited Managing two or more displays on a device with camera
CN103108124B (zh) * 2012-12-28 2017-07-18 上海鼎为电子科技(集团)有限公司 图像获取方法、装置及移动终端
JP6263740B2 (ja) * 2013-10-08 2018-01-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撮像装置
US9905033B1 (en) * 2013-12-20 2018-02-27 Amazon Technologies, Inc. Adjusting graphical characteristics for recognition interfaces
CN104750236A (zh) * 2013-12-27 2015-07-0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20150189166A1 (en) * 2013-12-30 2015-07-02 Telefonica Digital España, S.L.U.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photographs
JP6481866B2 (ja) * 2014-01-28 2019-03-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撮像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854139B2 (en) * 2014-06-24 2017-12-26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Lifelog camera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ing voice triggers
CN104486587B (zh) * 2014-12-20 2017-12-12 叶丽琴 一种车间未成年人类型识别系统
TWI658315B (zh) * 2015-01-26 2019-05-0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拍照系統及方法
US9936127B2 (en) * 2015-11-02 2018-04-03 Payp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ttention directing functions in an image capturing device
CN107155056A (zh) * 2016-03-04 2017-09-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拍照的方法及装置
CN106131393A (zh) * 2016-06-15 2016-11-1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拍照提示方法及装置
CN107257439B (zh) * 2017-07-26 2019-05-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摄方法及移动终端
US10320962B1 (en) * 2018-04-20 2019-06-11 Zte Corporation Dual screen smartphone and portable devices with a full display scre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2118A (ja) * 2003-01-17 2004-08-05 Omron Corp 撮影装置
KR20050005334A (ko) * 2003-07-01 2005-01-13 정욱진 자동현금인출기를 위한 정면얼굴 자동촬영 카메라 시스템및 방법
US20090059037A1 (en) * 2007-09-04 2009-03-05 Indran Naick Using a display associated with an imaging device to provide instructions to the subjects being recorded
KR20090040758A (ko) * 2007-10-22 2009-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태깅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영상 재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7716B1 (en) * 1997-09-19 2001-11-13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Automatic cueing of speech
US6785650B2 (en) * 2001-03-16 2004-08-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ierarchical transcription and display of input speech
US7076429B2 (en) * 2001-04-27 2006-07-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images representative of an utterance with corresponding decoded speech
TWI278782B (en) * 2001-08-24 2007-04-11 Toshiba Corp Personal recognition apparatus
JP4474885B2 (ja) 2003-09-30 2010-06-0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分類装置及び画像分類プログラム
JP4315148B2 (ja) 2005-11-25 2009-08-19 株式会社ニコン 電子カメラ
EP1962497B1 (en) 2005-11-25 2013-01-16 Nikon Corporation Electronic camera and image processing device
US8218080B2 (en) * 2005-12-05 2012-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ersonal settings, parental control, and energy saving control of television with digital video camera
JP2008269588A (ja) 2007-03-29 2008-11-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認識装置、認識方法及び認識プログラム
CN101383900A (zh) * 2007-09-06 2009-03-1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摄像方法及摄像装置
US8032384B2 (en) * 2008-03-14 2011-10-04 Jay S Rylander Hand held language translation and learning device
US20110066431A1 (en) * 2009-09-15 2011-03-17 Mediatek Inc. Hand-held input apparatus and input method for inputting data to a remote receiv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2118A (ja) * 2003-01-17 2004-08-05 Omron Corp 撮影装置
KR20050005334A (ko) * 2003-07-01 2005-01-13 정욱진 자동현금인출기를 위한 정면얼굴 자동촬영 카메라 시스템및 방법
US20090059037A1 (en) * 2007-09-04 2009-03-05 Indran Naick Using a display associated with an imaging device to provide instructions to the subjects being recorded
KR20090040758A (ko) * 2007-10-22 2009-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태깅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영상 재생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5089A (ko) * 2015-07-29 2017-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645292B2 (en) 2015-07-29 2020-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701273B1 (en) 2015-07-29 2020-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128493A (ko) * 2015-07-29 2020-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284003B2 (en) 2015-07-29 202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88561A (zh) 2011-06-08
US20110134269A1 (en) 2011-06-09
US8970762B2 (en) 2015-03-03
KR101634247B1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4247B1 (ko) 피사체 인식을 알리는 디지털 촬영 장치,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720776B1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0821801B1 (ko) 촬상장치 및 오토포커스 제어방법
KR101700363B1 (ko) 적절한 밝기를 갖는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7961228B2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posure by determining backlight situations and detecting a face
JP5820120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040045638A (ko) 사용자가 쉽게 증명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디지털카메라의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JP2009100448A (ja)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KR101710626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12002951A (ja) 撮像装置、合焦位置検出方法および合焦位置検出プログラム
KR20110015309A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2006203477A (ja) 撮影装置
KR20130071794A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20035042A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8654204B2 (en) Dig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10102694A (ko) 얼굴검출을 이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120011920A (ko)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120019703A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디지털 촬영 장치
KR101630304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JP2012019341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5039365A (ja) 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100118155A1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4714561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KR10196050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JP6410416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