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1348A - 변속기의 주차 상태 해제장치 - Google Patents

변속기의 주차 상태 해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1348A
KR20110061348A KR1020090117967A KR20090117967A KR20110061348A KR 20110061348 A KR20110061348 A KR 20110061348A KR 1020090117967 A KR1020090117967 A KR 1020090117967A KR 20090117967 A KR20090117967 A KR 20090117967A KR 20110061348 A KR20110061348 A KR 20110061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cam portion
releasing
lock wheel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7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한길
이창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7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1348A/ko
Publication of KR20110061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3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 F16H63/3416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 F16H63/3425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characterised by pawls or wheels
    • F16H63/3433Details of latch mechanisms, e.g. for keeping pawls out of eng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프트 바이 와이어 타입 변속방식이 적용되는 차량에 채용되어 변속기의 P단 상태를 간단한 구조로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변속기의 주차 상태를 해제하는 변속 케이블이 감겨지고 외주면 일부에 산과 골이 다수개 구성된 라쳇부가 형성되며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록 휠과, 록 휠의 라쳇부에 록킹 결합되어 록 휠의 회전 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록킹수단과, 록킹수단의 록킹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부의 전원 공급이 없이도 간단한 기계식 구조로 변속 케이블을 조작하여 주차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변속기의 주차 상태 해제장치{AN APPARATUS RELEASING A PARKING BRAKE}
본 발명은 변속기의 주차 상태 해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프트 바이 와이어 타입 변속방식이 적용되는 차량에 채용되어 외부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간단한 기계식 구조로 변속기의 P단 상태를 간편하게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변속기를 갖춘 차량(이하 'AT차량'이라 한다)의 변속 레버는 변속기의 출력축을 기계적으로 주차하는 주차 위치(P), 차량을 후퇴시키기 위한 후퇴 위치(R), 출력축에 엔진 출력의 전달을 완전히 차단하는 중립 위치(N), 복수의 전진 변속단 사이에서 자동 변속을 하기 위한 드라이브 위치(D), 전진 변속단을 세컨드 기어 혹은 세컨드 기어와 로오 기어간의 변속만으로 제한하는 세컨드 기어 위치(2), 전진 변속단을 로오 기어만으로 제한하는 로오 기어 위치(L)(또는 1)에 선택적으로 절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통상 변속 레버의 주차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의 절환동작은 변속 레버에 마련된 조작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행해진다.
그리고 셀렉터 레버 형식은 스티어링 칼럼식과 플로어식으로 구분된다. 통상 주차 중, 차량을 확실하게 정지시켜 두기 위해, AT차량의 변속 레버는 주차 위치에 설정된다. 그리고 차량 발진시 변속 레버는 엔진을 시동한 후 주차 위치에서 드라이브 위치 혹은 후퇴 위치로 절환된다. 이 경우 브레이크 페달을 가압한 상태에서 변속 레버 절환 동작을 행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프트 바이 와이어 타입 변속방식이 적용되는 차량에 채용되어 외부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간단한 기계식 구조로 변속기의 P단 상태를 간편하게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 변속기의 주차 상태 해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차 상태의 해제를 위한 변속 케이블이 감겨지고 외주면 일부에 라쳇부가 형성되고 토션 스프링에 의해 복원력을 갖는 록 휠과,
상기 록 휠의 라쳇부에 각각 록킹 결합되어 상기 록 휠의 회전 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고정 캠부와 록 캠부를 갖는 록킹수단과,
상기 록 휠의 회전동작에 따른 변속 케이블을 조작하도록 상기 록킹수단을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제수단은 상기 록 캠부의 록킹 상태를 해제하는 록 해제 버튼을 가지 며, 복원 동작 가능하게 회전 동작되고, 회전 동작시 일부위가 상기 고정 캠부와 접촉되어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록 레버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 캠부와 록 캠부는 스프링부재와 탄성부재를 매개로 탄성 지지되어 각각의 단부가 상기 라쳇부에 록킹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록 레버는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회전 동작시 상기 고정 캠부와 접촉되어 상기 고정 캠부의 록킹 상태를 해제시키는 돌출부를 갖는다.
본 발명은 시프트 바이 와이어 타입 변속방식이 적용되는 차량에 채용되어 변속기의 P단 상태를 간단한 구조로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부의 전원 공급이 없이도 간단한 기계식 구조로 변속 케이블을 조작하여 주차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시프트 바이 와이어 타입 변속방식이 적용되는 차량의 경우 변속단에 대한 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바꾸고 이 신호에 의해 와이어를 통해 변속 구동부가 제어되어 원하는 변속을 하게 되는데, 전원 공급이 어려운 차량 방전시나 사고로 인한 견인시 변속기의 P단 해제가 어렵고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속기의 주차 상태 해제장치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변속기의 주차 상태를 해제하는 변속 케이블(15)이 감겨지고 외주면 일부에 산과 골이 다수개 구성된 라쳇부(12)가 형성되며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록 휠(10)과, 록 휠(10)의 라쳇부(12)에 록킹 결합되어 록 휠(10)의 회전 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록킹수단과, 록킹수단의 록킹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수단을 구비한다.
록 휠(10)은 변속 케이블(15)의 단부가 고정되고, 내부에 감겨진 토션 스프링에 의해 복원력을 갖는다.
록킹수단은 록 휠(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라쳇부(12)에 대해 록킹 결합되고 스프링부재(52)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승강 동작 가능한 록 캠부(50)를 구비한다.
즉, 록 캠부(50)는 단부가 라쳇부(12)의 골 내부로 진입되어 간섭에 의해 록 휠(10)의 회전 동작을 제한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록킹수단은 라쳇부(12)에 록킹 결합되고 탄성부재(32)에 의해 라쳇부(12)측으로 탄성 지지되어 록 휠(10)의 회전을 제한하는 고정 캠부(3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캠부(30)는 탄성부재(32)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록 휠(10)의 라쳇부(12) 측으로 탄성지지된다.
고정 캠부(30)는 탄성부재(32)의 탄성력을 초과하는 힘으로 누르게 되면, 라쳇부(12)와의 록킹 상태가 해제되어 록 휠(1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해제수단은 록 캠부(50)의 록킹 상태를 해제하는 록 해제 버튼(25)을 가지며, 복원 동작 가능하게 회전 동작되고, 회전 동작시 일부위가 상기 고정 캠부(30) 와 접촉되어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록 레버(20)를 구비한다.
또한, 록 레버(20)는 차량의 실내 어느 부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어 내측 또는 변속기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록 레버(20)는 젖힘 동작이 가능하고 복원 동작되도록 인장 스프링(미도시됨)에 의해 지지되며 회전 동작시 일측에 고정 캠부(30)와 접촉되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돌출부는 록 레버(20)의 젖힘 회전시 고정 캠부(30)와 접촉되어 고정 캠부(30)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미설명 부호 "40"은 변속 케이블의 이동을 지지하는 롤러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변속기의 주차 상태 해제장치는, 시프트 바이 와이어 적용차량에 채용되며, 평상시에는 록 휠(10)의 라쳇부(12)에 록 캠부(50)와 고정 캠부(30)의 단부가 간섭되어 록 휠(10)의 회전 동작이 제한된다.
그러나, 록 해제 버튼(25)을 상측으로 당기면, 록 캠부(50)가 스프링부재(52)를 수축시키면서 라쳇부(12)와의 록킹 상태가 해제된다.
이후에, 록 레버(20)를 시계 바늘의 진행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록 레버(20)의 회전에 따라 돌출부가 고정 캠부(30)의 단부와 접촉되어 고정 캠부(30)의 탄성부재(32)를 수축시키면 후진시켜 고정 캠부(30)의 록킹 상태가 해제된다.
즉, 탄성부재(32)가 수축됨에 따라 고정 캠부(30)의 록킹상태가 해제되고, 복원력에 의해 신장될 경우, 고정 캠부(30)의 단부가 라쳇부(12)와 접촉된다.
이에 따라 고정 캠부(30)와 록 캠부(50)의 록킹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록 휠(10)의 내부에 고정된 토션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시계 바늘의 진행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로 인해 록 휠(10)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변속기의 변속단과 연동되도록 연결된 변속 케이블(15)이 당겨지면서 작동되어 변속기의 주차 상태(P단)가 해제된다.
변속기의 주차 상태가 해제된 후에, 록 레버(20)는 인장 스프링에 의해 원래 초기 상태로 복귀동작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와 상세한 설명, 첨부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속기의 주차 상태 해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록 휠 12 : 라쳇부
15 : 변속 케이블 20 : 록 레버
22 : 돌출부 25 : 록 해제 버튼
30 : 고정 캠부 32 : 탄성부재
50 : 록 캠부 52 : 스프링부재

Claims (4)

  1. 주차 상태의 해제를 위한 변속 케이블이 감겨지고 외주면 일부에 라쳇부가 형성되고 토션 스프링에 의해 복원력을 갖는 록 휠과,
    상기 록 휠의 라쳇부에 각각 록킹 결합되어 상기 록 휠의 회전 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고정 캠부와 록 캠부를 갖는 록킹수단과,
    상기 록 휠의 회전동작에 따른 변속 케이블을 조작하도록 상기 록킹수단을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의 주차 상태 해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캠부와 록 캠부는 스프링부재와 탄성부재를 매개로 탄성 지지되어 각각의 단부가 상기 라쳇부에 록킹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의 주차 상태 해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제수단은 상기 록 캠부의 록킹 상태를 해제하는 록 해제 버튼을 가지며, 복원 동작 가능하게 회전 동작되고, 회전 동작시 일부위가 상기 고정 캠부와 접촉되어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록 레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의 주차 상태 해제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록 레버는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회전 동작시 상기 고정 캠부와 접촉되어 상기 고정 캠부의 록킹 상태를 해제시키는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의 주차 상태 해제장치.
KR1020090117967A 2009-12-01 2009-12-01 변속기의 주차 상태 해제장치 KR201100613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967A KR20110061348A (ko) 2009-12-01 2009-12-01 변속기의 주차 상태 해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967A KR20110061348A (ko) 2009-12-01 2009-12-01 변속기의 주차 상태 해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348A true KR20110061348A (ko) 2011-06-09

Family

ID=44395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7967A KR20110061348A (ko) 2009-12-01 2009-12-01 변속기의 주차 상태 해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13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151B1 (ko) * 2013-04-11 2014-04-08 경창산업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주차모드 수동 해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151B1 (ko) * 2013-04-11 2014-04-08 경창산업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주차모드 수동 해제 장치
US9140360B2 (en) 2013-04-11 2015-09-22 Kyung Chang Industrial Co., Ltd. Parking mode manually releasing device for shift-by-wire type automatic transmiss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42285B2 (ja) 自動変速機付き車両の変速レバーロック装置
JP5976304B2 (ja) 駐車ブレーキのロック装置
JP5965630B2 (ja) 駐車ブレーキのロック装置
KR20110061348A (ko) 변속기의 주차 상태 해제장치
JP5958265B2 (ja) 車両用パーキング装置
JP3925922B2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ロッキング装置
CN110094494B (zh) 换挡器的操作策略和换挡器
KR100747038B1 (ko) 자동변속기 차량용 파킹 장치
JP2006281906A (ja) パーキング装置
KR20190001310A (ko) 로드캠 일체형 시프트 바이 와이어 액츄에이터를 이용한 파킹 시스템
KR20050098518A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KR101370529B1 (ko) 차량용 변속 조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변속 시스템
JP2004243927A (ja) 車両のシフト装置
KR100387804B1 (ko) 자동 변속기용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20080081379A (ko) 전동식 자동차용 사이드 브레이크의 구동장치
JP2008002555A (ja) 自動変速機のレンジ切換制御装置
KR100968649B1 (ko) 차량용 핸드 브레이크
JP4788514B2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切換装置
KR102440594B1 (ko) 중립 유지 잠금/해제 장치를 구비하는 변속기 파킹 시스템
KR100911527B1 (ko) 자동차의 자동 변속기용 파킹장치
CN111609126B (zh) 换挡及驻车制动系统、车辆和控制方法
KR20090089113A (ko) 자동차의 변속기용 파킹장치
CN110259933B (zh) 换挡系统和方法
KR20080019317A (ko) 자동변속기의 파킹장치
KR100326385B1 (ko)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용 레버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