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1071A - 천연소재 벽지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소재 벽지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1071A
KR20110061071A KR1020090117600A KR20090117600A KR20110061071A KR 20110061071 A KR20110061071 A KR 20110061071A KR 1020090117600 A KR1020090117600 A KR 1020090117600A KR 20090117600 A KR20090117600 A KR 20090117600A KR 20110061071 A KR20110061071 A KR 20110061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wallpaper
natural material
fabric
cati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7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강현
Original Assignee
(주)렉스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렉스미디어 filed Critical (주)렉스미디어
Priority to KR1020090117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1071A/ko
Publication of KR20110061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0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21H27/38Multi-ply at least one of the sheets having a fibrous composition differing from that of other shee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82Wall paper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 원단층과; 상기 종이 원단층 상에 합지된 천연소재 원단층과; 상기 천연소재 원단층 상에 코팅되는 것으로서, 양이온아크릴수지, 양이온수지, 경탄(CaCO3), 실리카, 분산제, 소포제, 레벨링제를 함유하는 코팅층으로 이루어진 천연소재 벽지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천연소재 벽지와 그 제조방법 {Wallpaper of naturalism sty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wallpaper}
본 발명은 천연소재를 이용한 벽지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벽지는 종이를 유해한 접착제로 접착하고 톨루엔, 벤젠 등의 용매를 사용하여 인쇄하고 PVC 코팅을 하였다. 이에 따라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포름알데히드 및 환경호르몬 등과 같은 유해물질이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벽지는 시공시에 유해성분이 함유된 접착제를 다량 사용하기 때문에, 벽지에서 방출되는 유해물질과 시공시 사용된 다량의 접착제에서 방출되는 유해물질로 인하여 실내공기를 심하게 오염시키고, 이로 인하여 기관지 천식, 두통 및 아토피성 피부염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 벽지는 화재시에 다량의 유독가스를 방출하며, 또한 폐기시에도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의 축적으로 인하여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천연 소재를 사용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포름알데히드 및 환경호르몬 등과 같은 유해물질이 배출되지 않는 천연소재 벽지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관지 천식, 두통 및 아토피성 피부염을 일으키지 않고, 불에 타도 끄름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폐시시에도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이 거의 축적되지 않는 천연소재 벽지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천연소재 벽지는, 종이 원단층과; 상기 종이 원단층 상에 합지된 천연소재 원단층과; 상기 천연소재 원단층 상에 코팅되는 것으로서, 양이온아크릴수지, 양이온수지, 경탄(CaCO3), 실리카, 분산제, 소포제, 레벨링제를 함유하는 코팅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코팅층은 양이온아크릴수지 10~30 중량%, 양이온수지 10~30 중량%, 경탄(CaCO3) 20~40 중량%, 실리카 10~20 중량%, 분산제 0.1~2 중량%, 소포제 0.1~2 중량 %, 레벨링제 0.1~2 중량%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소재 원단층은 종이 원단 또는 목화 원단 또는 마 원단인 것이 바 람직하다.
상기 코팅층은 방부제를 더 함유하여도 되며, 이 경우 코팅층의 배합비율은 양이온아크릴수지 10~30 중량%, 양이온수지 10~30 중량%, 경탄(CaCO3) 20~40 중량%, 실리카 10~20 중량%, 분산제 0.1~2 중량%, 소포제 0.1~2 중량 %, 방부제 0.1~2 중량%, 레벨링제 0.1~2 중량%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층은 펄(백색)을 더 함유하여도 되며, 이 경우 코팅층의 배합비율은 양이온아크릴수지 10~30 중량%, 양이온수지 10~30 중량%, 경탄(CaCO3) 20~40 중량%, 실리카 10~20 중량%, 분산제 0.1~2 중량%, 소포제 0.1~2 중량 %, 레벨링제 0.1~2 중량%, 펄(백색) 5~1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천연소재 벽지의 제조방법은, 종이 원단에 천연소재 원단을 합지하는 제1공정과; 양이온아크릴수지, 양이온수지, 경탄(CaCO3), 실리카, 분산제, 소포제, 레벨링제를 함유하는 코팅 조성물을 혼합하고, 상기 혼합된 코팅 조성물 50~70 중량%과 용제 30~50%의 비율로 희석한 후에 상기 합지의 천연소재 원단 상에 도포하는 제2공정과; 상기 코팅 조성물이 도포된 합지를 건조하는 제3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코팅 조성물의 비율은 양이온아크릴수지 10~30 중량%, 양이온수지 10~30 중량%, 경탄(CaCO3) 20~40 중량%, 실리카 10~20 중량%, 분산제 0.1~2 중량%, 소포제 0.1~2 중량 %, 레벨링제 0.1~2 중량%이고, 상기 용제는 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소재 원단은 종이 원단 또는 목화 원단 또는 마 원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층은 방부제를 더 함유하여도 되며, 이 경우 코팅층의 배합비율은 양이온아크릴수지 10~30 중량%, 양이온수지 10~30 중량%, 경탄(CaCO3) 20~40 중량%, 실리카 10~20 중량%, 분산제 0.1~2 중량%, 소포제 0.1~2 중량 %, 방부제 0.1~2 중량%, 레벨링제 0.1~2 중량%이고, 상기 용제는 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층은 펄(백색)을 더 함유하여도 되며, 이 경우 코팅층의 배합비율은 양이온아크릴수지 10~30 중량%, 양이온수지 10~30 중량%, 경탄(CaCO3) 20~40 중량%, 실리카 10~20 중량%, 분산제 0.1~2 중량%, 소포제 0.1~2 중량 %, 레벨링제 0.1~2 중량%, 펄(백색) 5~15 중량%이고, 상기 용제는 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천연 소재를 사용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포름알데히드 및 환경호르몬 등과 같은 유해물질이 배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기관지 천식, 두통 및 아토피성 피부염을 일으키지 않고, 불에 타도 끄름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폐시시에도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이 거의 축적되지 않게 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연소재 벽지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소재 벽지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연소재 벽지는, 종이 원단층(10)과 천연소재 원단층(20) 및 코팅층(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종이 원단층(10)은 벽지의 후면지를 구성하는 것으로, 통상의 벽지에 사용하는 종이 원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천연소재 원단층(20)은 벽지의 전면지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종이 원단에 합지된 것이며, 종이 원단 또는 목화 원단 또는 마 원단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30)은 벽지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양이온아크릴수지, 양이온수지, 경탄(CaCO3), 실리카, 분산제, 소포제, 방부제, 레벨링제 및 펄(백색)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조성 비율은 양이온아크릴수지 10~30 중량%, 양이온수지 10~30 중량%, 경탄(CaCO3) 20~40 중량%, 실리카 10~20 중량%, 분산제 0.1~2 중량%, 소포제 0.1~2 중량 %, 방부제 0.1~2 중량%, 레벨링제 0.1~2 중량%, 펄(백색) 5~15 중량%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천연소재 벽지에 의하면, 천연 소재를 사용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포름알데히드 및 환경호르몬 등과 같은 유해물질이 배출되지 않게 되며, 기관지 천식, 두통 및 아토피성 피부염을 일으키지 않고, 불에 타도 끄름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폐시시에도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이 거의 축적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천연소재 벽지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후면지를 구성하는 종이 원단(10)과 전면지를 구성하는 천연소재 원단(20)을 준비한다(단계 S10, S20). 여기서, 천연소재 원단(20)은 종이 원단 또는 목화 원단 또는 마 원단일 수 있다.
그후, 상기 종이 원단(10)이 후면지가 되고 천연소재 원단(20)이 전면지가 되도록 이들을 합지한다(단계 S30).
한편, 코팅 조성물인 양이온아크릴수지, 양이온수지, 경탄(CaCO3), 실리카, 분산제, 소포제, 방부제, 레벨링제 및 펄(백색)을 혼합하고 희석한다(단계 S40). 이들 조성 비율은 양이온아크릴수지 10~30 중량%, 양이온수지 10~30 중량%, 경탄(CaCO3) 20~40 중량%, 실리카 10~20 중량%, 분산제 0.1~2 중량%, 소포제 0.1~2 중량 %, 방부제 0.1~2 중량%, 레벨링제 0.1~2 중량%, 펄(백색) 5~1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희석은 열중합기에 용제 50~70 중량%와 상기 코팅 조성물 30~50%의 비율로 넣고 상온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희석은 열중합기에 용제를 60 중량%와 상기 코팅 조성물 40%의 비율로 넣고 상온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용제는 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합지된 종이원단(10)과 천연소재 원단(20)의 천연소재 원단(20) 면 측에 상기 코팅 조성물을 균일하게 분사하여 도포한다(단계 S50).
그후, 상기 코팅 조성물이 도포된 합지를 열풍으로 건조한다(단계 S60).
이상과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연소재 벽지의 제조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천연소재 벽지에 의하면, 천연 소재를 사용하 여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포름알데히드 및 환경호르몬 등과 같은 유해물질이 배출되지 않게 되며, 기관지 천식, 두통 및 아토피성 피부염을 일으키지 않고, 불에 타도 끄름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폐시시에도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이 거의 축적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이 첨부하는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라면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소재 벽지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소재 벽지의 제조 공정도이다.

Claims (14)

  1. 종이 원단층과;
    상기 종이 원단층 상에 합지된 천연소재 원단층과;
    상기 천연소재 원단층 상에 코팅되는 것으로서, 양이온아크릴수지, 양이온수지, 경탄(CaCO3), 실리카, 분산제, 소포제, 레벨링제를 함유하는 코팅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소재 벽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소재 원단층은 종이 원단 또는 목화 원단 또는 마 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소재 벽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방부제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소재 벽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펄(백색)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소재 벽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양이온아크릴수지 10~30 중량%, 양이온수지 10~30 중량%, 경탄(CaCO3) 20~40 중량%, 실리카 10~20 중량%, 분산제 0.1~2 중량%, 소포제 0.1~2 중량 %, 레벨링제 0.1~2 중량%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소재 벽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양이온아크릴수지 10~30 중량%, 양이온수지 10~30 중량%, 경탄(CaCO3) 20~40 중량%, 실리카 10~20 중량%, 분산제 0.1~2 중량%, 소포제 0.1~2 중량 %, 방부제 0.1~2 중량%, 레벨링제 0.1~2 중량%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소재 벽지.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양이온아크릴수지 10~30 중량%, 양이온수지 10~30 중량%, 경탄(CaCO3) 20~40 중량%, 실리카 10~20 중량%, 분산제 0.1~2 중량%, 소포제 0.1~2 중량 %, 레벨링제 0.1~2 중량%, 펄(백색) 5~15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소재 벽지.
  8. 종이 원단에 천연소재 원단을 합지하는 제1공정과;
    양이온아크릴수지, 양이온수지, 경탄(CaCO3), 실리카, 분산제, 소포제, 레벨링제를 함유하는 코팅 조성물을 혼합하고, 상기 혼합된 코팅 조성물 50~70 중량%과 용제 30~50%의 비율로 희석한 후에 상기 합지의 천연소재 원단 상에 도포하는 제2공정과;
    상기 코팅 조성물이 도포된 합지를 건조하는 제3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소재 벽지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소재 원단은 종이 원단 또는 목화 원단 또는 마 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소재 벽지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은 방부제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소재 벽지의 제조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은 펄(백색)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소재 벽지의 제조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의 조성비율은 양이온아크릴수지 10~30 중량%, 양이온수지 10~30 중량%, 경탄(CaCO3) 20~40 중량%, 실리카 10~20 중량%, 분산제 0.1~2 중량%, 소포제 0.1~2 중량 %, 레벨링제 0.1~2 중량%이고, 상기 용제는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소재 벽지의 제조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의 조성비율은 양이온아크릴수지 10~30 중량%, 양이온수지 10~30 중량%, 경탄(CaCO3) 20~40 중량%, 실리카 10~20 중량%, 분산제 0.1~2 중량%, 소포제 0.1~2 중량 %, 방부제 0.1~2 중량%, 레벨링제 0.1~2 중량%이고, 상기 용제는 물인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소재 벽지.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은 양이온아크릴수지 10~30 중량%, 양이온수지 10~30 중량%, 경탄(CaCO3) 20~40 중량%, 실리카 10~20 중량%, 분산제 0.1~2 중량%, 소포제 0.1~2 중량 %, 레벨링제 0.1~2 중량%, 펄(백색) 5~15 중량%이고, 상기 용제는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소재 벽지.
KR1020090117600A 2009-12-01 2009-12-01 천연소재 벽지와 그 제조방법 KR201100610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600A KR20110061071A (ko) 2009-12-01 2009-12-01 천연소재 벽지와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600A KR20110061071A (ko) 2009-12-01 2009-12-01 천연소재 벽지와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071A true KR20110061071A (ko) 2011-06-09

Family

ID=44395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7600A KR20110061071A (ko) 2009-12-01 2009-12-01 천연소재 벽지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10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634B1 (ko) * 2011-08-02 2013-07-30 김기범 칼라샌드 조성물을 이용한 발열벽지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634B1 (ko) * 2011-08-02 2013-07-30 김기범 칼라샌드 조성물을 이용한 발열벽지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70058C1 (ru) Не содержащая растворителей огнестойкая эпоксидная лакокрасочная композиция, обладающая пониженной токсичностью дыма при пожаре
CN104260574B (zh) 一种环保型无卤阻燃喷墨油画布及其制作方法
US20090022644A1 (en) Method for the absorption of harmful substances and odors
KR20170000677A (ko) 무기질 보드에 직접 인테리어 패턴을 인쇄한 불연 보드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인테리어 패턴 불연 보드
RU2711683C2 (ru) Элемент минерального синтетического поверхностного покрытия
CZ20014199A3 (cs) Izolační lepenka s obsahem minerálních vláken a pevnou povrchovou vrstvou, způsob její výroby a způsob jejího pouľití na střechách a fasádách
ITMI941883A1 (it) Metodo per il risanamento di locali inquinati da sostanze nocive
KR20110061071A (ko) 천연소재 벽지와 그 제조방법
JP2013091210A (ja) 防炎段ボール
KR101821258B1 (ko) 접착제층이 최하부에 도포 형성된 전사인쇄필름으로 전사인쇄층을 형성한 보드 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2013253382A (ja) 不燃性断熱パネルの製造方法
JP2017170785A (ja) 不燃シート
KR102260576B1 (ko) 무기질 방수제와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를 적층한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00125201A (ko) 방사물질이 함유된 벽지와 그 제조시스템 및 제조방법
CN106752163A (zh) 新型防火木器涂料及其制备和使用方法
CN104652694B (zh) 覆pvc膜的水泥板制作方法及覆pvc膜的水泥板
CN105604277A (zh) 一种轻质抗冲击环保装饰板
KR20090073412A (ko) 수성 투명 방염 도료, 이의 제조방법 및 방염 처리 도막의형성방법
JP2021107136A (ja) 不燃木材、不燃木材の製造方法、及び木材を含む構造物の不燃化方法
JP2006009231A (ja) 透湿・吸水性を有する壁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218071A (ja) アスベストの飛散防止固化方法
JP2002045811A (ja) 表面の清浄化方法
JP4169262B2 (ja) 壁紙施工法
JP2023027465A (ja) 塗料、及び、当該塗料が塗布された被塗布物
JP4482512B2 (ja) 建築物構成要素の加飾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