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9083A - 유기절연막 조성물, 이를 이용한 유기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절연막 조성물, 이를 이용한 유기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9083A
KR20110059083A KR1020090115703A KR20090115703A KR20110059083A KR 20110059083 A KR20110059083 A KR 20110059083A KR 1020090115703 A KR1020090115703 A KR 1020090115703A KR 20090115703 A KR20090115703 A KR 20090115703A KR 20110059083 A KR20110059083 A KR 20110059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film
organic
weight
crosslinking agent
b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5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진
김병욱
김위용
홍문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Priority to KR1020090115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9083A/ko
Publication of KR20110059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90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10/00Organi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ganic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K10/40Organic transistors
    • H10K10/46Field-effect transistors, e.g. organic thin-film transistors [OTFT]
    • H10K10/462Insulated 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s]
    • H10K10/468Insulated 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s] characterised by the gate dielectrics
    • H10K10/471Insulated 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s] characterised by the gate dielectrics the gate dielectric comprising only organic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Formation Of Insulating Fil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절연막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구조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A)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하이드록시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 (B) 가교제; 및 (C) 용매;를 포함하는 유기 절연막 조성물, 이를 이용한 유기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73137947-PAT00001
상기 화학식 1의 식에서, a, b는 각 모노머간이 몰비(mole ratio)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1 내지 9의 정수이고, b는 1 내지 9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a+b=10이다.
유기절연막, 유기박막 트랜지스터, 폴리하이드록시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

Description

유기절연막 조성물, 이를 이용한 유기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ORGANIC DIELECTRIC COMPOSITION, ORGANIC THIN LAYER TRANSISTOR COMPRISING SAM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기 절연막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게이트 절연막 및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에의 소자 구조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하이드록시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를 도입하여 소자 특성에서 히스테리시스를 감소시킬 뿐 아니라 열경화 공정만으로도 가능하나, 광경화 공정을 추가하여 기존 공정온도 보다 낮은 저온경화용 유기 절연막 조성물로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유기 절연막 및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자 구조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디스플레이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는 대부분 비정질 실리콘 반도체, 산화 실리콘 절연막 및 금속 전극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최근 다양한 유기재료의 개발에 따라, 유기 반도체를 이용한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1980년대 처음 개발한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현재 LCD와 같은 메트릭스 디스플레이장치, 유기전기발광소자(OLED), 전기연동형소자(EPD), 유연성 있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등에 이용되고 있다. 새로운 전자재료인 유기 반도체 및 절연체는 합성방법이 다양하고, 섬유나 필름 형태로의 성형이 용이하며, 유연하고, 생산비가 저렴하기 때문에 기능성 전자소자 및 광소자 등으로 그 응용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유기박막 트랜지스터는 기존의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와 비교하여 제작 공정이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저온 공정이 가능하기에 최근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 요구되는 대형화 및 박형화와 더불어 플랙서블한 특성을 만족시키기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중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절연막은 폴리비닐페놀(폴리하이드록시 스티렌), 폴리이미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페놀 말레이미드), 폴리 아크릴레이트 등이 있으나, 아직까지 무기 절연막을 대체할 정도의 소자 특성을 나타내지는 못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유기 게이트 절연막으로의 성능이 우수하며,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폴리비닐페놀의 경우 절연층으로 박막 형성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잔존하는 하이드록시기로 인해 계면에서의 트랩 차지가 발생하거나 외부의 수분 등에 의한 분극으로 게이트 전압의 스윕 방향에 따라 히스테리시스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게이트 전극에 특정 세기의 전압이 인가될 경우에 항상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사이의 전류의 크기가 그에 해당하는 값이 되어야 하고, 이러한 전류의 크기가 상황에 따라서 변해서는 안 되는데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에서는 히스테리시 스로 인해서 그 특성이 항상 균일하게 유지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정온도에서도 폴리비닐페놀의 경우 가교가 활성화 되기 위해서는 일정 온도 이상이어야 하며, 대체적으로 180℃ 이상의 온도를 요구한다. 그러나 이러한 공정온도는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제작에 있어서 제약이 따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폴리하이드록시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를 도입하여 기존 폴리비닐페놀보다 잔존 하이드록시기를 감소시켜 계면에서의 트랩 차지가 발생하거나 외부의 수분에 영향으로 인한 히스테리시스를 감소시키고 광경화 공정을 추가하여 기존 공정온도보다 낮추어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용 유기 절연막을 형성할 수 있는 유기 절연막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유기절연막 조성물을 이용한 유기박막 트랜지스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기 절연막 조성물에 있어서,
(A)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하이드록시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
(B) 가교제; 및
(C) 용매;
를 포함하는 유기 절연막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73137947-PAT00002
상기 화학식 1의 식에서, a, b는 각 모노머간이 몰비(mole ratio)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1 내지 9의 정수이고, b는 1 내지 9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a+b=10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기 절연막 조성물을 이용한 유기박막 트랜지스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리하이드록시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를 적용한 유기절연막 조성물은 절연성, 내열성, 평탄성,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절연막 재료로 적합하고,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작시 상기의 절연막 조성물을 게이트 절연막으로 적용하여 열경화 공정만으로도 가능하나, 추가적인 광경화 공정으로 공정온도를 낮추며, 이후 소자 특성에서 히스테리시스를 감소시키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히스테리시스의 변화가 없는 특징을 보여 소자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 절연막 조성물은 (A)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하이드록시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 (B) 가교제; 및 (C) 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73137947-PAT00003
상기 화학식 1의 식에서, a, b는 각 모노머간이 몰비(mole ratio)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1 내지 9의 정수이고, b는 1 내지 9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a+b=10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A)의 폴리하이드록시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는 가교 결합체의 존재하에서 가교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폴리하이드록시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는 라디칼 중합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외에도 음이온 중합 등 통상의 방법에 의한 공중합체 제조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라디칼중합 방법에 의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하이드 록시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의 제조는 아세톡시 스티렌과 스티렌을 용매와 중합개시제 존재하에서 라디칼 중합시키는 단계; 상기 반응결과물을 침전 및 여과시켜, 진공 건조(vacuum drying)하여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하는 단계; 전기 단계의 반응결과물을 메탄올에 용해시켜 레진 용액을 만들고, 암모니아수와 아세트산 존재하에서 가수분해시키는 단계; 및 전기 단계의 반응결과물을 침전 및 여과시킨 후, 진공 건조하여 최종 폴리하이드록시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어질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하이드록시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는 폴리스티렌 환산중량평균분자량(Mw)이 3,000 내지 30,000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20,000인 것이다. 상기 폴리스티렌 환산중량평균분자량이 3,000 미만일 경우에는 절연막 조성물의 두께 조절 및 내열성, 패턴 현상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30,000을 초과할 경우에는 절연막 조성물의 두께 조절, 코팅성및 패턴 현상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폴리하이드록시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4 중량% 미만인 경우, 절연막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낮아 원하는 두께를 갖는 절연막을 형성하기 어렵고, 30 중량% 초과인 경우, 절연막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높아져 기판 상에 절연막 조성물을 코팅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노볼락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총 중량의 4 중량% 내지 3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B)의 가교제는 (A)의 폴리하이드록시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와 가교구조를 형성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가교제로는 폴리하이드록시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와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가교제이면 모두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멜라민계 가교제, 우레탄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실란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멜라민계 가교제이다.
멜라민계 가교제는 요소와 포름알데히드의 축합생성물,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의 축합생성물, 또는 알코올로부터 얻어진 메틸올요소알킬에테르류나 메틸올멜라민알킬에테르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요소와 포름알데히드의 축합생성물로는 모노메틸올요소, 디메틸올요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의 축합생성물로는 헥사메틸올멜라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밖에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의 부분적인 축합생성물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틸올요소알킬에테르류로는 요소와 포름알데히드의 축합생성물에 메틸올기의 부분 또는 전부에 알코올류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예로는 모노메틸요소메틸에테르, 디메틸요소메틸에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틸올멜라민알킬에테르류로는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의 축합생성물에 메틸올기의 부분 또는 전부에 알코올류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예로는 헥사메틸올멜라민헥사메틸에테르, 헥사메틸올멜라민헥사부틸에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멜라민의 아미노기의 수소원자가 히드록시 메틸기 및 메톡시 메틸기로 치환된 구조의 화합물, 멜라민의 아미노기의 수소원자가 부톡시 메틸기 및 메톡시 메틸기로 치환된 구조의 화합물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교제는 단분자, 올리고머 뿐만 아니라 고분자의 형태까지도 적용가능하며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교제는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총 중량의 5 내지 5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 함량이 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가교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5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두께 조절과 저장안정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C) 용매는 상기 (A) 와 (B) 성분을 제외한 잔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용매의 예로는 상기 용매는 벤질 알코올, 헥실 알코올,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틸에티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메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에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메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켈 메틸에틸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부틸에테르아 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틸프로피오네이트, 프로필렌글리콜 에틸에테르프로피오네이트, 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에테르프로피오네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부틸에테르프로피오네이트, 톨루엔, 크실렌,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헥사논, 4-히드록시 4-메틸 2-펜타논, 초산메틸, 초산에틸, 초산프로필, 추산부틸, 2-히드록시 프로피온산에틸, 2-히드록시 메틸프로피온산메틸, 2-히드록시 2-메틸 프로피온산에틸, 히드록시 초산메틸, 히드록시 초산에틸, 히드록시 초산부틸, 유산메틸, 유산에틸, 유산프로필, 유산부틸, 3-히드록시 프로피온산메틸, 3-히드록시 프로피온산에틸, 3-히드록시 프로피온산 프로필, 3-히드록시 프로피온산 부틸, 2-히드록시 3-메틸부탄산메틸, 메톡시초산메틸, 메톡시초산에틸, 메톡시 초산프로필, 메톡시 초산부틸, 에톡시 초산메틸, 에톡시초산에틸, 에톡시초산프로필, 에톡시초산부틸, 프로폭시초산메틸, 프로폭시초산에틸, 프로폭시초산프로필, 프로폭시초산부틸, 부톡시초산메틸, 부톡시초산에틸, 부톡시초산프로필, 부톡시초신부틸, 2-메톡시프로피온산메틸, 2-메톡시프로피온산에틸, 2-메톡시프로피온산프로필, 2-메톡시프로피온산부틸, 2-에톡시프로피온산메틸, 2-에톡시프로피온산에틸, 2-에톡시프로피온산프로필, 2-에톡시프로피온산부틸, 2-부톡시프로피온산메틸, 2-부톡시프로피온산에틸, 2-부톡시프로피온산프로필, 2-부톡시프로피온산부틸, 3-메톡시프로피온산메틸, 2-메톡시플피온산에틸, 3-메톡시프로피온산프로필, 3-메톡시프로피온산부틸, 3-에톡시프로피온산메틸, 3-에톡시프로피온산에틸, 3-에톡시프로피온산프로필, 3-에톡시프로피온산부틸, 3-프로폭시프로피온산메틸, 3-프로폭시프로피온산에틸, 3-프로폭시프로피온산프로필, 3-프로폭시프로피온산부틸, 3-부톡시프로피온산메틸, 3-부톡시프로피온산에틸, 3-부톡시프로피온산프로필, 3-부톡시프로피온산부틸 등의 에테르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의 첨가량은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총 중량의 10 내지 9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1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코팅두께가 두꺼워지고 코팅시 코팅장비에 무리를 줄 수 있으며, 9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코팅두께가 얇게 되고, 코팅평탄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절연막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광개시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노광 또는 노광 후 베이크를 통해 산을 형성 및 확산시켜 (A)의 폴리하이드록시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와 (B)의 멜라민계 가교제의 가교반응을 더욱 활성화 시키는 작용을 하여 저온경화를 필요로 할 때 낮은 공정 온도에서도 가교반응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광개시제는 빛에 의해 산을 발생하거나 라디칼을 발생하여 가교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화합물이면 무엇이든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바람직하게 설포늄염, 요오드늄염, 설포니디아조메탄계, N-설포닐옥시이미드계, 벤조인설포네이트계, 니트로벤질설포네이트계, 설폰계, 글리옥심계, 아세토페논계, 벤조페논계, 티오크산톤계, 또는 트리아진계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포늄염은 설포늄 양이온과 설포네이트(설포산 음이온)의 염으로, 상기 설포늄 양이온으로는 트리페놀설포늄, (4-tert-부톡시페닐)디페닐설포늄, 비스(4-tert-부톡시페닐)페닐설포늄, 4-메틸페닐디페닐설포늄, 트리스(4-메틸페닐설포늄), 4-tert-부틸페닐디페닐설포늄, 트리스(4-tert-부틸페닐)설포늄, 트리스(4-tert-부톡시페닐)설포늄, (3-tert-부톡시페닐)디페닐설포늄, 비스(3-tert-부톡시페닐)페닐설포늄, 트리스(3-tert-부톡시페닐)설포늄, (3,4-디tert-부톡시페닐)디페닐설포늄, 비스(3,4-디tert-부톡시페닐)페닐설포늄, 트리스(3,4-디tert-부톡시페닐)설포늄, 디페닐(4-티오페녹시페닐)설포늄, (4-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페닐)디페닐설포늄, 트리스(4-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페닐)설포늄, (4-tert-부톡시페닐)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설포늄, 트리스(4-디메틸아미노페닐)설포늄, 2-나프틸디페닐설포늄, 디메틸-2-나프틸설포늄, 4-히드록시페닐디메틸설포늄, 40메톡시페닐디메틸설포늄, 트리메틸설포늄, 디페닐메틸설포늄, 메틸-2옥소프로필페닐설포늄, 2-옥소시클로헥실시클로헥실메틸설포늄, 트리나프틸설포늄, 또는 트리벤질설포늄 등이 있고, 상기 설포네이트로는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노나플루오로부탄설포네이트, 헵타데카플루오로옥탄설포네이트, 2,2,2-트리플루오로에탄설포네이트, 펜다플루오로벤젠설포네이트, 4-트리풀루오로메틸벤젠설포네이트, 4-플루오로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벤젠설포네이트, 나프탈렌설포네이트, 캄포설포네이트, 옥탄설포네이트, 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부탄설포네이트, 또는 메탄설포네이트 등이 있다.
상기 요오드늄염은 요오드늄 양이온과 설포네이트(설포산 음이온)의 염으로, 상기 요오드늄 양이온으로는 디페닐요오드늄, 비스(4-tert-부틸페닐)요오드늄, 4- tert-부톡시페닐페닐요오드늄, 또는 4-메톡시페닐페닐요오드늄 등이 있고, 상기 설포네이트로는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노나플루오로부타설포네이트 헵타데카플루오로옥탄설포네이트, 2,2,2-트리플루오로에탄설포네이트, 펜타플루오로벤젠설포네이트, 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설포네이트, 4-플루오로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벤젠설포네이트, 나프탈렌설포네이트, 캄포설포네이트, 옥탄설포네이트, 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부탄설포네이트, 또는 메탄설포네이트 등이 있다.
상기 설포닐디아조메탄계 화합물로는 비스(에틸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1-메틸프로필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2-메틸프포필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1,1-디메틸에틸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시클로헥실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퍼플루로로이소프로필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페닐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4-메틸페닐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2,4-디메틸페닐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2-나프틸설포닐)디아조메탄, 4-메틸페닐설포닐벤조일디아조메탄, tert-부틸카르보닐-4-메틸페닐설포닐디아조메탄, 2-나프틸설포닐벤조일디아조메탄, 4-메틸페닐설포닐-2-나프토일디아조메탄, 메틸설포닐벤조일디아조메탄, 또는 tert-부톡시카르보닐-4-메틸페닐설포닐디아조메탄 등의 비스설포닐디아조메탄과 설포닐카르보닐디아조메탄이 있다.
상기 N-설포닐옥시이미드계 화합물로는 숙신산 이미드,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이미드, 프탈산 이미드, 시클로헥실디카르복실산 이미드, 5-노르보르넨-2,3-디카르복실산 이미드, 또는 7-옥사비시클로[2,2,1]-5-헵텐-2,3-디카르복실산 이미드 등의 이미드 골격과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노나플루오로부탄설포네이트, 헵타데카플루오로옥탄설포네이트, 2,2,2-트리플루오로에탄설포네이트, 펜타플루오로 벤젠설포네이트, 4-트리풀루오로메틸벤젠설포네이트, 4-플루오로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벤젠설포네이트, 나프탈렌설포네이트, 캄포설포네이트, 옥탄설포네이트, 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부탄설포네이트, 또는 메탄설포네이트 등의 화합물이 있다.
상기 벤조인설포네이트계 화합물로는 벤조인토실레이트, 벤조인메실레이트, 또는 벤조인부탄설포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니트로벤질설포네이트계 광산발생제로는 2,4-디니트로벤질설포네이트, 2-니트로벤질설포네이트, 또는 2,6-디니트로벤질설포네이트 등이 있으며, 상기 설포네이트로는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노나플루오로부탄설포네이트, 헵타데카플루오로옥탄설포네이트, 2,2,2-트리플루오로에탄설포네이트, 펜타플루오로벤젠설포네이트, 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설포네이트, 4-플루오로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벤젠설포네이트, 나프탈렌설포네이트, 캄포설포네이트, 옥탄설포네이트, 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부탄설포네이트, 또는 메탄설포네이트 등이 있다. 또한, 벤질측의 니트로기를 트리플루오로메틸기로 치환한 화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설폰계 화합물로는 비스(페닐설포닐)메탄, 비스(4-메틸페닐설포닐)메탄, 비스(2-나프틸설포닐)메탄, 2,2-비스(페닐설포닐)프로판, 2,2-비스(4-메틸페닐설포닐)프로판, 2,2-비스(2-나프틸설포닐)프로판, 2-메틸-2-(p-톨루엔설포닐)프로피오네논, 2-(시클로헥실카르보닐)-2-(p-톨루엔설포닐)프로판, 또는 2,4-디메틸-2-(p-톨루엔설포닐)펜탄-3-온 등이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시바 스페셜 케미컬(ciba specialty chemicals)사 제품인 IRGACURE PAG 103, IRGACURE PAG 108, IRGACURE PAG 121, IRGACURE PAG 203, CGI725, CGI 1380, CGI 1906, CGI 1907, CGI 1397, CGI NIT, CGI MDT, CGI BBIC1, CGI TPS C1 등이 있다.
상기 글리옥심계 화합물로는 비스-o-(p-톨루엔설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o-(p-톨루엔설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o-(p-톨루엔설포닐)-α-디시틀로헥실글리옥심, 비스-o-(p-톨루엔설포닐)-2,3-펜탄디온글리옥심, 비스-o-(p-톨루엔설포닐)-2-메틸-3,4-펜탄디온글리옥심, 비스-o-(n-부탄설포닐)-α-디메틸글리옥심,비스-o-(n-부탄설포닐)-α-디메틸글리옥심,비스-o-(n-부탄설포닐)-α-디시클로헥실글리옥심, 비스-o-(n-부탄설포닐)-2,3-펜탄디온글리옥심, 비스-o-(n-부탄설포닐)-2-메틸-3,4-펜탄디온글리옥심, 비스-o-(메탄설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o-(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o-(1,1,1-트리플루오로에탄설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o-(tert-부탄설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o-(퍼플루오로옥탄설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o-(시클로헥실설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o-(벤젠설포닐)-α-디메틸글리옥심,비스-o-(p-플루오로벤젠설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o-(p-tert-부틸벤젠설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o-(크실렌설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또는 비스-o-(캄보설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등이 있다.
상기 아세토페논계 화합물로는 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부톡시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프로리오페논, p-t-부틸트리클로로아세토페논, p-t-부틸디클로로아세토페논, 벤조페논, 4-클로로아세토페논, 4,4'-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4,4'-디클로로벤조페논, 3,3'-디메틸-2-메톡시벤조페논, 2,2'-디클로로-4-페녹시아 세토페논,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리노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폴리노페닐)-부탄-1-온 등이 있다.
상기 벤조페논계 화합물로는 벤조페논, 벤조일 안식향산, 벤조일 안식향산 메틸, 4-페닐 벤조페논, 히드록시 벤조페논, 아크릴화 벤조페논, 4,4'-비스(디메틸 아미노)벤조페논, 4,4'-비스(디에틸 아미노) 벤조페논 등이 있다. 상기 티오크산톤계 화합물로는 티오크산톤, 2-크롤티오크산톤, 2-메틸티오크산톤, 이소프로필 티오크산톤, 2,4-디에틸 티오크산톤, 2,4-디이소프로필 티오크산톤, 2-클로로 티오크산톤 등이 있으며, 상기 벤조인계 화합물로는 티오크산톤계 화합물 벤조인, 벤조인 메틸 에테르, 벤조인 에틸 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 에테르, 벤조 인 이소부틸 에테르, 벤질디메틸케탈 등이 있다.
상기 트리아진계 화합물로는 2,4,6,-트리클로로 s-트리아진, 2-페닐 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 2-(3',4'-디메톡시 스티릴)-4,6-비스(트리 클로로 메틸)-s-트리아진, 2-(4'-메톡시 나프틸)-4,6-비스(트리클로로 메틸)-s-트리아진, 2-(p-메톡시 페닐)-4,6-비스(트리클로로 메틸)-s-트리아진, 2-(p-트릴)-4,6-비스(트리클로로 메틸)-s-트리아진, 2-페닐 4,6-비스(트리클로로 메틸)-s-트리아진, 비스(트리클로로 메틸)-6-스티릴 s-트리아진, 2-(나프토 1-일)-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4-메톡시 나프토 1-일)-4,6-비스(트리클로로 메틸)-s-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 메틸(피페로닐)-6-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 메틸(4'-메톡시 스티릴)-6-트리아진 등이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삼화케미컬사의 제품으로 PDM-Triazine, WS-Triazine, PDM-Triazine, Dimethoxy-Triazine, MP-Triazine, TFE- Triazine, 또는 TME-Triazine 등이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광개시제는 상기 절연막 조성물 전체 중량의 0.1 내지 10 중량% 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광에 의한 경화도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아웃게싱(outgassing)과 저장안정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유기절연막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불소계 또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데, 상기 계면활성제는 절연막 조성물의 코팅성이나 평탄성, 패턴 현상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계면활성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F171, F172, F173(상품명: 대일본잉크사), FC430, FC431(상품명: 수미또모트리엠사), 또는 KP341(상품명: 신월화학공업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A)의 폴리하이드록시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5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계면활성제의 사용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다.
상기와 같은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본 발명의 유기절연막 조성물은 10 내지 50 중량%의 고형분 농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혼합한 후 0.1 내지 0.2 ㎛ 의 밀리포아필터 등으로 여과한 다음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기절연막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고 프리베이크(prebake)한 후 열경화를 하거나 필요에 따라 광조사를 통해 광경화시킨 다음 열처리함으로써 유기박막 트랜지스터용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유기절연막 조성물을 스프레이법, 롤코터법, 회전도포법 등으로 기재 표면에 도포하고, 프리베이크에 의해 용매를 제거하여 도포막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프리베이크는 80-120 ℃의 온도에서 1-15 분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필요에 따라 가시광선, 자외선, 원자외선, 전자선, 엑스선 등의 광을 상기 형성된 도포막에 조사하여 도포막을 광경화시키는데, 이때 필요에 따라 미리 준비된 패턴을 이용하여 광조사한 후 현상액으로 현상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소정의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현상액은 알칼리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구체적으로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등의 무기 알칼리류; 에틸아민, n-프로필아민 등의 1급 아민류; 디에틸아민, n-프로필아민 등의 2급 아민류; 트리메틸아민, 메틸디에틸아민, 디메틸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등의 3급 아민류; 디메틸에탄올아민, 메틸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알콜아민류; 또는 테트라메틸암모늄히드록시드, 테트라에틸암모늄히드록시드 등의 4급 암모늄염의 수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현상액은 알칼리성 화합물을 0.1-10 중량%의 농도로 용해시켜 사 용할 수 있으며, 메탄올, 에탄올 등과 같은 수용성 유기용매 및 계면활성제를 적정량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현상액으로 현상한 후 초순수로 30-90 초간 세정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고 건조하여 원하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오븐 등의 가열장치에 의해 80-250 ℃의 온도에서 30-90 분간 열처리하여 목적하는 최종 게이트 절연막을 얻을 수 있다. 특히 광조사 과정을 거칠 경우 170 ℃ 미만의 온도에서 열처리를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저온처리가 요청되는 분야에서 저온처리로 절연막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을 포함하는 유기박막 트랜지스터를 제공한다. 상기 유기박막 트랜지스터는 하부 게이트의 상부 접촉 또는 하부 접촉 구조, 및 상부 게이트의 상부 접촉 또는 하부 접촉 구조 등 어떠한 구조의 것일 수 있다.
유기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게이트 절연막에 더하여 유기 반도체층 및 전극층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 반도체층은 유기박막 트랜지스터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펜타센, 테트라센, 안트라센, 나프탈렌, 알파-6-티오펜, 알파-4-티오펜, 페릴렌 및 그 유도체, 루브렌, 코로렌 또는 그 유도체, 페릴렌테트라카복실릭디이미드, 페릴렌테트라카복실릭디안하이드라이드 또는 그 유도체, 폴리티오펜, 폴리-3-헥실티오펜, 폴리파라페닐렌비닐렌, 폴리파라페닐렌, 폴 리플로렌, 폴리티오펜비닐렌, 폴리티오펜-헤테로고리방향족 공중합체, 나프탈렌의 올리고아센 또는 그 유도체, 알파-5-티오펜의 올리고티오펜 또는 그 유도체, 프탈로시아닌, 파이로멜리틱 디안하이드라이드, 파이로멜리틱 디이미드, 퍼릴렌테트라카복실산 디안하이드라이드, 퍼릴렌테트라카복실산 디이미드 또는 그 유도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기 반도체층은 전극 형성 후 그 상부층에, 또는 전극 형성 이전인 게이트 절연막의 상부층에 도포하여 형성되는데, 화학기상증착법에서부터 용액 공정이 가능한 스핀코팅, 디핑 방법, 드랍 캐스팅, 잉크젯 방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법으로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전극층은 소스/드레인 전극으로서 단일층 또는 다중층일 수 있고, 유기박막 트랜지스터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금속 전극으로 Al, Ag, Mo, Au, Pt, Pd, Ni, Nd, Ir, Cr, Ti, MoW,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투명한 재료도 가능하여 ITO, IZO, ZnO, In2O3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기절연막 조성물은 절연성, 내열성, 평탄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절연막 재료로 적합하고, 유기박막 트랜지스터 제작시 저온경화까지도 가능하며, 유기박막 트랜지스터 구동시 히스테리시스를 감소시키고 일정 시간 경과 후에도 히스테리시스의 변화를 가져오지 않음으로써 다양한 구조의 유기박막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현저히 개선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모노머의 비율이 하이드록시 스티렌: 스티렌= 7:3의 폴리하이드록시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폴리스티렌 환산중량평균분자량 19000) 10 중량%, 헥사메틸올멜라민 1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이서아세테이트 80 중량%를 상온에서 6시간 이상 균일하게 혼합하여 유기절연막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모노머의 비율이 하이드록시 스티렌: 스티렌= 7:3의 폴리하이드록시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 10 중량% 대신 모노머의 비율이 하이드록시 스티렌: 스티렌= 8:2의 폴리하이드록시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폴리스티렌 환산중량평균분자량 19500) 1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유기절연막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모노머의 비율이 하이드록시 스티렌: 스티렌= 7:3의 폴리 하이드록시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 10 중량% 대신 모노머의 비율이 하이드록시 스티렌: 스티렌= 6:4의 폴리하이드록시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폴리스티렌 환산중량평균분자량 18000) 1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유기절연막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헥사메틸올멜라민 10 중량% 대신 15 중량%를 사용하고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이서아세테이트 79.5 중량% 대신 74.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유기절연막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모노머의 비율이 하이드록시 스티렌: 스티렌= 7:3의 폴리하이드록시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폴리스티렌 환산중량평균분자량 19000) 10 중량%, 헥사메틸올멜라민 10 중량%, CGI-725 (시바 스페셜 케미컬 제품) 0.5 중량%,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이서아세테이트 79.5 중량%를 상온에서 6시간 이상 균일하게 혼합하여 유기절연막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5에서 모노머의 비율이 하이드록시 스티렌: 스티렌= 7:3의 폴리 하이드록시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 10 중량% 대신 모노머의 비율이 하이드록시 스티렌: 스티렌= 8:2의 폴리하이드록시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폴리스티렌 환산중량평균분자량 19500) 1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5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유기절연막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5에서 CGI-725 0.5 중량% 대신 0.8 중량%를 사용하고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아세테이트 79.5 중량% 대신 79.2 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5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유기절연막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폴리비닐페놀 (Mw=20,000) 10 중량%, 헥사메틸올멜라민 10 중량%,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이서아세테이트 80 중량%를 상온에서 6시간 이상 균일하게 혼합하여 유기절연막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i) 경화막의 형성 및 물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각각에서 제조된 절연막 조성물을 유리기판 상에 약 6000-7000 Å의 두께로 균일하게 도포한 후, 약 90 ℃ 정도의 소프트베이크 과정을 거쳐서 용매를 제거하고 200 ℃에서 경화시켜 경화막을 형성하였 다.
상기 실시예 5내지 7에서 제조된 절연막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용매를 제거하고, 50 mJ/cm2의 노광량으로 광을 조사한 다음 120 ℃에서 저온경화시켜 경화막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형성된 경화막에 대해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절연성, 내열성, 평탄성및 내화학성을 평가하고, 그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ii) 유기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작 및 물성 측정
먼저, 유리기판에 Cr을 이용하여 스퍼터링 공정과 리소그래피 공정으로 500 Å 두께의 패턴화된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였다. 그 위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각각에서 제조된 절연막 조성물을 유리기판 상에 약 6000-7000 Å의 두께로 균일하게 도포한 후, 약 90 ℃ 정도의 소프트베이크 과정을 거쳐서 용매를 제거하고 200 ℃에서 경화시켜 경화막을 형성하며, 상기 실시예 5 내지 7에서 제조된 절연막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용매를 제거하고, 50 mJ/cm2의 노광량으로 광을 조사한 다음 120 ℃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최종적으로 4000 Å 두께의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였다.
소스/드레인 전극은 Au를 이용하여 열증착법과 리소그래피 공정으로 채널 길이가 20 ㎛ 이고 채널 폭이 200 ㎛ 이며 두께가 500 Å인 전극을 형성하였다. 이후에 유기 반도체층으로서 펜타센을 쉐도우 마스크를 이용하여 진공증착법으로 400 Å 두께의 박막을 형성하여, 하부 게이트 및 하부 접촉 구조의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제작하였다. 이때, 펜타센 박막은 1ⅹ10-7 torr의 저진공도에서 0.2 Å/s 조건으로 형성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유기박막 트랜지스터에 대해 Agilent사의 반도체 특성 분석 시스템(Semiconductor Characterization System 4650C)을 이용하여 전류전달곡선을 측정하고 이로부터 전하이동도(field effect mobility)와 히스테리시스(hysteresis)를 산출하여, 그 산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5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절연막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된 유기박막 트랜지스터의 전류전달곡선 각각을 도 1, 2 및 3에 나타내었다.
ㄱ) 절연성
절연막으로서 1.0 ㎛ 두께 및 1 ㎟ 면적에 해당하는 경화막 시료를 포함하는 TFT 소자를 만들어 I-V Curve를 구하여 절연성을 측정하였다. 방전 전압(breakdown voltage)을 측정하여 2 MV/㎝ 이상인 경우와 누출 전류밀도(leakage current density)를 측정하여 10-10 A/㎠ 미만인 경우를 ○으로 나타내고, 방전 전압을 측정하여 2 MV/㎝미만인 경우와 누출 전류밀도를 측정하여10-10 A/㎠ 이상인 경우를 × 로 나타내었다.
ㄴ) 내열성
형성된 경화막 시료를 채취하여 230 ℃에서 30분 동안 유지하면서 열중량분석기(TGA)로 무게감소를 측정하였다. 무게감소가 2% 미만인 경우를 ○, 무게감소가 2% 이상이면서 5% 미만인 경우를 △, 무게감소가 5% 이상인 경우를 × 로 나타내었다.
ㄷ) 평탄성
형성된 경화막 시료의 약 100 point에 대한 두께를 광학장비 등의 두께 측정기로 측정하여, 그 유의차가 2% 미만이면 ○, 2% 이상이면서 5% 미만이면 △, 5% 이상이면 × 로 나타내었다.
ㄹ) 내화학성
형성된 4000 Å 두께의 경화막 시료를 n-메틸피롤리돈(NMP)에 70 ℃에서 5분 동안 침지(dipping)한 다음 초순수로 세정(rinse)하여 NMP 처리 전후의 막 두께의 변화율을 측정하였다. 이때, 막 두께의 변화율이 0% 이상이면서 10% 미만인 경우를 ○, 10% 이상이면서 20% 미만인 경우를 △, 20% 이상인 경우를 × 로 나타내었다.
ㅁ) 전기이동도
제작된 유기박막 트랜지스터의 전류전달곡선에서 전기이동도를 산출하였다. 이때, 전기이동도가 0.01 이상인 경우를 ○, 0.01 미만이면서 0.0009 이상인 경우 를 △, 0.0009 미만인 경우를 × 로 나타내었다.
ㅂ) 히스테리시스
제작된 유기박막 트랜지스터의 전류전달곡선에서, 게이트 전압(Vg)을 -40V ~ +40V로 가한 후 반대 방향으로 +40V ~ -40V 가했을 경우 게이트 전압에 따른 드레인 전류의 곡선이 두 개로 그려지는데, 두 개의 곡선에서 게이트 전압의 폭이 가장 큰 지점의 게이트 전압의 차이를 히스테리시스로 평가하였다. 이때, 제작한 후에 바로 측정한 것과 공기 중에 노출시켜 일정시간(60시간)이 경과한 후의 것을 각각 측정하였으며, 히스테리시스가 1V 미만인 경우를 ○, 1V 이상이면서 5V 미만인 경우를 △, 5V 이상인 경우를 × 로 나타내었다.
[표 1]
구분 절연성 내열성 평탄성 내화학성 전기이동도 히스테리시스(0hr) 히스테리시스
(60hr)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비교예1 × ×
상기 표 1로부터, 실시예 1 내지 7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유기절연막 조성물은,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에 비해, 우수한 절연성, 내열성, 평탄성 및 내화학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유기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여 히스테리시스를 감소시키고 일정 시간 경과 후에도 히스테리시스의 변화를 가져오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류전달특성곡선이다.
도 2는 실시예 5에 의해 제조된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류전달특성곡선이다.
도 3은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류전달특성곡선이다.

Claims (11)

  1. (A)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하이드록시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
    (B) 가교제; 및
    (C) 용매;
    [화학식 1]
    Figure 112009073137947-PAT00004
    상기 화학식 1의 식에서, a, b는 각 모노머간이 몰비(mole ratio)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1 내지 9의 정수이고, b는 1 내지 9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A) 상기 폴리하이드록시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 4 내지 30 중량 %;
    (B) 가교제 5 내지 50 중량 %; 및
    (C) 잔량의 용매;
    를 포함하는 유기 절연막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하이드록시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는 폴리스티렌 환산중량평균분자량(Mw)이 3,000 내지 3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절연막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멜라민계 가교제, 우레탄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또는 실란계 가교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절연막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광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절연막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는 설포늄염, 요오드늄염, 설포니디아조메탄계, N-설포닐옥시이미드계, 벤조인설포네이트계, 니트로벤질설포네이트계, 설폰계, 글리옥심계, 아세토페논계, 벤조페논계, 티오크산톤계, 및 트리아진계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절연막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를 추가적으로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절연막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유기 절연막 조성물을 경화시켜 절연막으로 하여 유기박막 트랜지스터를 제조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게이트 절연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10. 제1항 내지 제7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유기 절연막 조성물의 경화체를 절연막으로 하는 유기박막 트랜지스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게이트 절연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박막 트랜지스터.
KR1020090115703A 2009-11-27 2009-11-27 유기절연막 조성물, 이를 이용한 유기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590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703A KR20110059083A (ko) 2009-11-27 2009-11-27 유기절연막 조성물, 이를 이용한 유기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703A KR20110059083A (ko) 2009-11-27 2009-11-27 유기절연막 조성물, 이를 이용한 유기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083A true KR20110059083A (ko) 2011-06-02

Family

ID=44394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5703A KR20110059083A (ko) 2009-11-27 2009-11-27 유기절연막 조성물, 이를 이용한 유기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908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53927B (zh) 閘極絕緣材料、閘極絕緣膜、及有機場效型電晶體
EP3671345B1 (en)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photosensitive dry film, and pattern forming process
TWI547504B (zh) 有機薄膜電晶體絕緣層材料
US20090206328A1 (en) Silicon-Containing Photosensitive Composition, Method for Forming Thin Film Pattern Using Same, Protective Film for Electronic Device, Gate Insulating Film And Thin Film Transistor
TW201441264A (zh) 含苯乙烯結構之自行組織化膜之下層膜形成組成物
WO2007097212A1 (ja) 有機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絶縁膜形成用組成物
KR20100046641A (ko) 고분자 바인더를 이용한 강유전성 pvdf 박막의 패턴 어레이 형성방법
JP6087898B2 (ja) 電子デバイス絶縁層及び電子デバイス絶縁層の製造方法
KR101882217B1 (ko) 오엘이디용 폴리이미드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101351311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US11345778B2 (en) Organic dielectric materials and devices including them
JP2007504641A (ja) 有機半導体を有する集積回路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20382157A1 (en)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photosensitive dry film, and pattern formation method
KR102242869B1 (ko) 감광성 폴리이미드 수지,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막 형성방법
JP2022517326A (ja) 製剤及び層
KR20110059083A (ko) 유기절연막 조성물, 이를 이용한 유기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JP6405772B2 (ja) 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薄膜トランジスタ
KR20110015266A (ko) 유기절연막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박막 트랜지스터
TWI820521B (zh) 聚醯亞胺樹脂、正型感光性樹脂組成物、絕緣膜及半導體元件
JP2013125902A (ja) 有機薄膜トランジスタ絶縁層材料及び有機薄膜トランジスタ
WO2022215403A1 (ja) 感光性樹脂組成物、感光性樹脂皮膜、感光性ドライフィルム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WO2023068177A1 (ja) 感光性樹脂組成物、感光性樹脂皮膜、感光性ドライフィルム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2019059825A (ja) 高分子化合物、感光性組成物及び有機薄膜トランジス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