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8790A -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 - Google Patents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8790A
KR20110058790A KR1020117005161A KR20117005161A KR20110058790A KR 20110058790 A KR20110058790 A KR 20110058790A KR 1020117005161 A KR1020117005161 A KR 1020117005161A KR 20117005161 A KR20117005161 A KR 20117005161A KR 20110058790 A KR20110058790 A KR 20110058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l end
leaf spring
operation wire
cathete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5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0884B1 (ko
Inventor
가츠히로 마스지마
Original Assignee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58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8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8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283Invas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4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mounted on an invasive device
    • A61B5/6852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6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or implanted in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69He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4Tip steering devices having flexible regions as a result of inner reinforcement means, e.g. struts or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345Vascular system
    • A61B2018/00351He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77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839Bioelectrical parameters, e.g. ECG,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61M2025/015Details of the distal fixation of the movable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스프링의 구성재료 및 조작용 와이어의 구성재료에 관계없이, 판스프링에 대해 조작용 와이어를 강고하게 접속 고정할 수 있어, 사용중에, 판스프링의 표면으로부터 조작용 와이어가 이탈되지 않는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는 카테터 튜브(4)와,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遠位端)에 고정된 선단 칩 전극(10)과,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측의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휨방향으로 변형 가능한 고개 흔들기용 판스프링(20)과, 카테터 튜브(4)의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연재(延在)되도록 배치되어, 그 근위단(近位端)이 인장 조작 가능한 조작용 와이어(30)와, 판스프링(20)의 원위단부(203)의 일면(201) 및/또는 타면(202)에 조작용 와이어(30)의 원위단부(303)를 코킹(caulking) 고정하는 링형상 부재(4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Catheter having deflectable leading end}
본 발명은 선단 편향(偏向) 조작 가능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체외에 배치되는 근위단측(近位端側)의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체강(體腔) 내에 삽입된 카테터의 원위단(遠位端)의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는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동맥 혈관을 통해 심장의 내부까지 삽입되는 전극 카테터 등에서는, 심장 내에 삽입된 카테터의 원위단(선단 칩 전극의 고정단)의 방향을, 체외에 배치되는 카테터의 근위단(후단 또는 바로 옆쪽)에 장착된 조작부를 조작하여 변화(편향)시킬 필요성이 발생한다.
종래, 카테터의 원위단을 바로 옆쪽에서 조작하여 편향시키기 위한 기구로서, 하기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기구가 알려져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기구에서는, 유연성을 갖는 카테터의 원위단부의 내부에, 판스프링(판형상의 리드 스프링)을 배치하고, 그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의 일면 및/또는 타면에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을 접속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조작용 와이어의 근위단을 인장(引張) 조작함으로써, 판스프링을 휘게 하여, 카테터의 원위단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여기에, 판스프링의 일면 및/또는 타면으로의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의 접속 고정에는, 통상 땜납이 사용된다.
그러나, 판스프링의 일면 및/또는 타면으로의 조작용 와이어의 접속 고정에 땜납을 사용하는 경우에, 판스프링의 구성재료(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Ni-Ti 합금) 및 조작용 와이어의 구성재료(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가, 모두 땜납과의 습윤성이 나쁘기 때문에, 판스프링의 일면 및/또는 타면에 대해 조작용 와이어를 충분한 강도로 접속 고정할 수 없어,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전극 카테터의 사용중에, 판스프링의 표면으로부터 조작용 와이어가 이탈되어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전극 카테터에 있어서, 카테터의 원위단에 고정되어 있는 선단 칩 전극은, 카테터 튜브의 원위단과, 판스프링의 원위단의 2개소에서 접속 고정(고착)되어 있을 뿐이다.
여기에, 선단 칩 전극과 카테터 튜브의 원위단의 접속 고정은, 통상, 접착제에 의해 행해지나, 당해 접착제의 경시 열화 등에 의해 접착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선단 칩 전극과 판스프링의 접속 고정에는, 통상, 땜납이 사용되고 있으나, 판스프링의 구성재료(양호한 스프링성을 발현하는 스테인리스, Ni-Ti 합금)는, 땜납과의 습윤성이 나빠, 땜납에 의한 접속 고정이 곤란하다.
이 때문에, 카테터의 원위단에 대해 선단 칩 전극을 충분한 고착력으로 접속 고정할 수 없어, 전극력 카테터의 사용중에, 선단 칩 전극이 생체 내로 탈락될 우려가 있다. 생체 내로 탈락된 선단 칩 전극의 회수는 곤란하여, 선단 칩 전극은, 카테터 튜브의 원위단으로부터 탈락되지 않는 것이 요청된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해, 본 출원인은, 판스프링(고개 흔들기 부재)의 원위단을 선단 칩 전극에 대해 연결하고, 판스프링의 원위단의 연결부와는 독립적으로, 선단 칩 전극에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이 접속 고정되어 있는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를 제안하고 있다(하기 특허문헌 2 참조).
도 10은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카테터의 원위단측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테터 튜브(104)의 원위단 근방의 내부에는, 고개 흔들기 부재로서의 판스프링(120)이 배치되어 있고, 판스프링(120)의 원위단은, 선단 칩 전극(110)의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땜납(150)에 의해, 선단 칩 전극(110)에 접속 고정되어 있다. 판스프링(120)의 원위단에는 노치가 형성되고, 노치의 내부에는 온도센서용 보호관(140)이 배치되어 있다. 판스프링(120)의 근위단은, 카테터 튜브(104)의 내부에서, 코일 튜브(124)의 원위단에 접속 고정되어 있다. 동 도면에 있어서, 112는 카테터 튜브(104)의 원위단부에 장착된 링형상 전극, 122는 판스프링(120)의 편면에 연결되어 있는 보강판이다.
130은 판스프링(120)을 화살표 A방향 또는 화살표 B방향으로 휨변형시키기 위한 한 쌍의 조작용 와이어로, 조작용 와이어(130)의 원위단에는, 각각 빠짐 방지용 대경부(大徑部)(빠짐 방지부)(130a)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조작용 와이어(130)의 원위단은, 땜납(150)의 내부에서, 판스프링(120)을 끼워 양측 위치에 판스프링(120)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되고, 빠짐 방지용 대경부(130a)에 의해 땜납(150)에 대해 빠짐 방지되어 있다.
조작용 와이어(130)의 근위단측은, 조작용 튜브(132)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이동 자유자재로 삽통되어 있다. 조작용 와이어(130)의 근위단은, 카테터 튜브(104)의 선단부의 편향 이동 조작(고개 흔들기 조작)을 행하기 위한 손잡이에 접속되어 있어, 손잡이를 조작함으로써, 어느 한쪽의 조작용 와이어(130)를 인장해서, 판스프링(120)을 휘게 하여, 카테터의 원위단을 화살표 A 또는 B로 고개 흔들기 편향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카테터에 있어서, 선단 칩 전극(110)은, 카테터 튜브(104)의 원위단 및 판스프링(120)의 원위단에 접속 고정되어 있을 뿐 아니라, 그들과는 별도로, 한 쌍의 조작용 와이어(130)의 원위단에 대해서도 접속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만일, 선단 칩 전극(110)과 카테터 튜브(104)의 원위단의 고정이 떨어진 경우, 또는 선단 칩 전극(110)과 판스프링(120)의 원위단의 연결이 떨어진 경우에 있어서도, 선단 칩 전극(110)은, 한 쌍의 조작용 와이어(130)의 원위단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선단 칩 전극(110)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일본국 특허 제3232308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6-61350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카테터에 있어서는, 판스프링의 원위단의 연결부와는 독립적으로(판스프링의 원위단으로부터 떨어져서), 선단 칩 전극에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이 접속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용 와이어의 인장 조작을 행할 때, 선단 칩 전극의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땜납으로부터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이 빠져버릴(선단 칩 전극과의 접속이 떨어져버릴) 우려가 있다. 즉, 빠짐 방지용 대경부가 형성되어 있다고 해도,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에 있어서의 땜납과의 접촉면적은, 판스프링의 원위단에 있어서의 접촉면적과 비교하여 작아, 조작용 와이어가, 땜납과의 습윤성이 나쁜 재료(예를 들면 스테인리스)로 되는 경우에는, 비교적 낮은 인장력으로 빠져버릴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을 토대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판스프링의 구성재료 및 조작용 와이어의 구성재료에 관계없이, 판스프링에 대해 조작용 와이어를 강고하게 접속 고정할 수 있어, 사용중에, 판스프링의 표면으로부터 조작용 와이어가 이탈되는 경우가 없는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카테터의 원위단에 고정되어 있는 선단 칩 전극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조작용 와이어의 인장 조작을 행할 때, 선단 칩 전극의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땜납으로부터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이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제조 효율이 우수한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선단 편향(偏向) 조작 가능 카테터는,
카테터 튜브와,
상기 카테터 튜브의 원위단(遠位端)에 고정된 선단 칩 전극과,
상기 카테터 튜브의 원위단측(원위단 근방)의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휨방향으로 변형 가능한 고개 흔들기용 판스프링과,
상기 카테터 튜브의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연재(延在)되도록 배치되어, 그 근위단(近位端)이 인장 조작 가능한 조작용 와이어와,
상기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의 일면 및/또는 타면에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를 코킹(caulking) 고정하는 링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에 있어서의 일면 및/또는 타면에,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가 코킹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판스프링의 구성재료 및 조작용 와이어의 구성재료에 관계없이, 판스프링에 대해 조작용 와이어를 강고하게 접속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링형상 부재에 의해 코킹 고정되어 있는 상기 판스프링 및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가, 상기 선단 칩 전극의 내부에 충전된 땜납에 의해, 당해 선단 칩 전극에 접속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와,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와, 이것을 코킹 고정하는 링형상 부재가, 선단 칩 전극의 내부에 충전된 땜납과 접촉하기(매입(埋入)되기) 때문에, 카테터 튜브의 원위단에 고정되어 있는 선단 칩 전극은, 카테터 튜브의 원위단과,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의 2개소에 더하여, 링형상 부재에 의해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에 코킹 고정된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에 대해서도 접속 고정(고착)되어 있는 동시에, 링형상 부재가 매입된 것에 의한 땜납과의 접촉면적의 증가에 의해, 판스프링 및 조작용 와이어의 땜납으로부터의 인발저항력(선단 칩 전극의 고착력)이 증대된다. 따라서, 카테터 튜브로부터의 선단 칩 전극의 탈락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는, 링형상 부재에 의해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의 일면 및/또는 타면에 코킹 고정된 상태(판스프링의 원위단부와,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와, 링형상 부재가 결합된 상태)로 땜납과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용 와이어를 인발하고자 하는 힘에 대해, 판스프링의 원위단부 및 링형상 부재가 빠짐 방지(인발저항)로서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조작용 와이어의 인장 조작을 행할 때, 선단 칩 전극의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땜납으로부터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이 빠져버리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조작용 와이어는, 그 일단 및 타단이 근위단이 되고, 상기 카테터 튜브의 내부를 상기 일단(근위단)으로부터 원위방향으로 늘여, 상기 판스프링의 일면측을 통과하여, 당해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에서 접어 겹치고, 당해 판스프링의 타면측을 통과하여, 근위방향으로 늘여 상기 타단(근위단)에 이르는, 한 가닥의 와이어로 되며, 상기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의 일면 및 타면의 양면에 있어서,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가 코킹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접어 겹침부가 원위단이 되는 한 가닥의 와이어에 의해, 판스프링을 일면측 및 타면측으로 휨변형시켜서, 카테터의 원위단의 방향을 양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어, 제조도 용이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에는,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접어 겹침을 안내하는 노칭 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조작용 와이어는, 그 일단이 근위단이 되고, 상기 카테터 튜브의 내부를 원위방향으로 늘여, 그 타단이 원위단이 되는 와이어로 되며, 상기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의 일면 또는 타면에 있어서,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가 코킹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한 가닥의 조작용 와이어에 의해, 판스프링을 일면측 또는 타면측으로 휨변형시켜서, 카테터의 원위단의 방향을 일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조작용 와이어를 두 가닥 준비하고, 이들의 원위단부를,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의 일면 또는 타면에 각각 코킹 고정함으로써, 두 가닥의 와이어에 의해, 판스프링을 일면측 및 타면측의 양방향으로 휨변형시켜서, 카테터의 원위단의 방향을 양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에는, 빠짐 방지용 슬리브가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에는, 상기 슬리브의 내경(內徑)보다도 지름이 큰 대경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의 근위단면이 상기 링형상 부재의 원위단면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판스프링의 일면 또는 타면을 따라, 상기 슬리브가 근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며,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의 대경부가 상기 슬리브의 원위단면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조작용 와이어가 상기 슬리브의 내부를 근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판스프링의 일면 또는 타면을 따라 조작용 와이어가 근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코킹 고정되어 있는 조작용 와이어가 빠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링형상 부재가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되는 링형상 부재에 의하면,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의 일면 및/또는 타면에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를 코킹 고정할 때, 용이하게 고정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구리 및 구리 합금은 땜납과의 습윤성이 양호하여,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되는 링형상 부재에 의해 코킹 고정함으로써, 링형상 부재와 선단 칩 전극의 접속 강도가 높아져, 선단 칩 전극의 탈락을 더욱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청구항 1)의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에 의하면,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의 일면 및/또는 타면에,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가, 링형상 부재에 의해 코킹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판스프링의 구성재료 및 조작용 와이어의 구성재료에 관계없이, 판스프링에 대해 조작용 와이어를 강고하게 접속 고정할 수 있어, 사용중에, 판스프링의 표면으로부터 조작용 와이어가 이탈되는 경우는 없다.
또한, 본 발명(청구항 2)의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에 의하면, 선단 칩 전극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조작용 와이어의 인장 조작을 행할 때, 선단 칩 전극의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땜납으로부터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이 빠져버리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테터 튜브의 내부를 일단(근위단)으로부터 원위방향으로 늘여, 판스프링의 일면측을 통과하여, 당해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에서 접어 겹치고, 당해 판스프링의 타면측을 통과하여, 근위방향으로 늘여 타단(근위단)에 이르는, 한 가닥의 와이어로 되는 조작용 와이어를 구비하고,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의 일면 및 타면에 있어서,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가 코킹 고정되어 있는 본 발명(청구항 3)의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에 의하면, 한 가닥의 조작용 와이어에 의해, 판스프링을 일면측 및 타면측의 양방향으로 휨변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고,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제조효율도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의 일 실시형태인 전극 카테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전극 카테터의 원위단측의 일부 파단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전극 카테터의 원위단측의 일부 파단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I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전극 카테터를 구성하는 판스프링의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인 전극 카테터의 원위단측의 일부 파단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인 전극 카테터의 원위단측의 일부 파단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인 전극 카테터의 원위단측의 일부 파단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인 전극 카테터의 원위단측의 일부 파단 평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전극 카테터의 원위단측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를 토대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2)는, 예를 들면, 심장에 있어서의 부정맥의 진단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것이다.
도 1에 있어서, 4는 카테터 튜브, 10은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에 고정된 선단 칩 전극, 12는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부에 장착된 링형상 전극, 6은 카테터 튜브(4)의 근위단에 장착된 커넥터(핸들), 7은 커넥터(6)에 장착되어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부의 편향 이동 조작(고개 흔들기 조작)을 행하기 위한 손잡이이다. 커넥터(6)로부터는, 선단 칩 전극(10) 및 링형상 전극(12)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선(導線)(도시 생략)이 꺼내진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2)는, 카테터 튜브(4)와,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에 고정된 선단 칩 전극(10)과,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부에 장착된 복수(2개)의 링형상 전극(12)과,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측(원위단 근방)의 내부에 배치된 판스프링(20)과, 카테터 튜브(4)의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연재되도록 배치된 조작용 와이어(30)와, 판스프링(20)의 원위단부(203)에 있어서의 일면(201) 및 타면(202)에, 조작용 와이어(30)의 원위단부(303)를 코킹 고정하는 링형상 부재(40)를 구비하고 있다.
카테터 튜브(4)는, 중공(中空)의 튜브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카테터 튜브(4)는, 축방향을 따라 동일한 특성의 튜브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나, 비교적 가요성이 우수한 원위단 부분과, 원위단 부분에 대해 축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원위단 부분보다도 비교적으로 강성이 있는 근위단 부분을 갖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카테터 튜브(4)의 구성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수지를 들 수 있다.
카테터 튜브(4)의 외경은, 일반적으로 0.6~3 ㎜ 정도이고, 그 내경은 0.5~2.5 ㎜ 정도이다. 카테터 튜브(4)의 축방향 루멘에는, 선단 칩 전극(10) 및 링형상 전극(12)의 각각에 접속되는 도선(도시 생략)이, 각각 절연되어 통과되어 있다.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에 고정된 선단 칩 전극(10)은, 포탄형의 선단 부분(101)과, 이것에 연속하는 원통형상 부분(102)이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되고, 이 원통형상 부분(102)이,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으로부터 그 안쪽 구멍에 삽입되어, 접착제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선단 칩 전극(10)의 구성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구리, 스테인리스, 금, 백금 등, 열전도성이 양호한 금속을 들 수 있다. 또한, X선에 대한 조영성을 양호하게 부여하기 위해, 선단 칩 전극(10)은, 백금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단 칩 전극(10)의 외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카테터 튜브(4)의 외경과 동일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통상 0.6~3 ㎜ 정도이다.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부에 장착된 링형상 전극(12)의 구성재료로서는, 선단 칩 전극(10)의 구성재료로서 예시한 것과 동일한 금속을 들 수 있다.
링형상 전극(12)의 외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카테터 튜브(4)의 외경과 동일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통상 0.6~3 ㎜ 정도이다.
또한,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부에 장착되는 링형상 전극의 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측의 내부에 배치된 판스프링(20)은, 휨방향으로 변형 가능한 고개 흔들기 부재이다.
도 5(1)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스프링(20)의 원위단부(203)에는, 조작용 와이어의 접어 겹침을 안내하기 위한 노치(20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치 대신에 관통공(20P)이 형성되어 있는 판스프링(20')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판스프링(20)의 축방향 길이(L)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40~300 ㎜이다. 판스프링(20)의 폭(W)은, 카테터 튜브(4)의 내부에 수납되는 정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판스프링(2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Ni-Ti 합금, Co-Ni 합금 등의 금속재료, 불소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등의 고분자재료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2)에서는, 판스프링(20)으로의 조작용 와이어(30)의 접속 고정수단으로서 코킹을 채용하고, 종래와 같이 땜납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판스프링(20)의 구성재료로서, 땜납과의 습윤성이 떨어지는 금속재료(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Ni-Ti 합금)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금속재료와 비교하여 내열성이 떨어지는 고분자재료라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판스프링(20)의 근위단부는, 카테터 튜브(4)에 접속 고정되거나, 또는 조작용 와이어(30)에 작용하는 인장력의 반력(反力)을 받는 코일 튜브(도시 생략)의 원위단에 접속 고정되어 있다.
카테터 튜브(4)의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연재되는 조작용 와이어(30)는, 그 근위단이 인장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조작용 와이어(30)는, 그 일단 및 타단이 근위단이 되고, 카테터 튜브(4)의 내부를 일단(근위단)으로부터 원위방향(도 2 및 도 3에 있어서 상방)으로 늘여, 판스프링(20)의 일면(201)측을 통과하여, 판스프링(20)의 원위단부(203)에 형성된 노치에 안내되어 접어 겹치고(따라서, 접어 겹침 부분이 조작용 와이어(30)의 원위단이 된다), 판스프링(20)의 타면(202)측을 통과하여, 근위방향(하방)으로 늘여 타단(근위단)에 이르는 한 가닥의 와이어로 된다.
조작용 와이어(30)의 근위단인 일단 및 타단은,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부의 편향 이동 조작(고개 흔들기 조작)을 행하기 위한 손잡이(7)에 접속되어 있다.
조작용 와이어(30)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나 Ni-Ti계 초탄성 합금제 등의 금속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반드시 금속으로 구성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고강도의 비도전성 와이어 등으로 구성해도 된다. 조작용 와이어를 비도전성 와이어로 구성함으로써, 고주파 노이즈의 원인을 저감할 수 있다.
링형상 부재(40)는, 판스프링(20)의 원위단부(203)에 있어서의 일면(201) 및 타면(202)에, 조작용 와이어(30)의 원위단부(303)를 코킹 고정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판스프링(20)의 원위단부(203)에 있어서의 일면(201) 및 타면(202)에 대해, 조작용 와이어(30)의 원위단부(303)(접어 겹침 전후의 부분)를 강고하게 접속 고정할 수 있다.
판스프링(20)(일면(201) 및 타면(202))으로의 조작용 와이어(30)의 접속 고정수단으로서 코킹을 채용하고 땜납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조작용 와이어(30)의 구성재료로서, 땜납과의 습윤성이 낮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링형상 부재(40)의 구성재료로서는, 코킹가공(판스프링(20)에 대한 조작용 와이어(30)의 접속 고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금속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링형상 부재(40)에 의해 코킹 고정된 판스프링(20)의 원위단부(203) 및 조작용 와이어(30)의 원위단부(303)를, 선단 칩 전극(10)의 내부(내측 오목부)에 충전된 땜납(50)에 의해, 당해 선단 칩 전극(10)에 접속 고정하기 위해, 링형상 부재(40)의 구성재료는, 땜납에 대한 습윤성이 양호한 금속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링형상 부재(40)의 바람직한 구성재료로서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을 들 수 있다. 링형상 부재(40)의 구성재료로서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을 사용함으로써, 판스프링(20)의 구성재료 및 조작용 와이어(30)의 구성재료로서, 땜납과의 습윤성이 낮은 것(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Ni-Ti 합금)을 사용해도, 판스프링(20) 및 조작용 와이어(30)의 원위단부를 선단 칩 전극(10)에 대해 강고하게 접속 고정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2)에서는, 링형상 부재(40)에 의해 코킹 고정되어 있는 판스프링(20)의 원위단부(203) 및 조작용 와이어(30)의 원위단부(303)가, 선단 칩 전극(10)의 내부에 충전된 땜납(50)에 의해, 선단 칩 전극(10)에 대해 접속 고정되어 있다.
즉, 판스프링(20)의 원위단부(203)와, 조작용 와이어(30)의 원위단부(303)와, 링형상 부재(40)가, 선단 칩 전극(10)의 내부에 충전된 땜납(50)에 매입되어 있다.
선단 칩 전극(10)의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땜납(5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Sn-Pb, Sn-Pb-Ag, Sn-Pb-Cu를 예시할 수 있으며, 또한, Pb 프리의 땜납인 Sn-Ag-Cu, Sn-Cu, Sn-Ag, Sn-Ag-Cu-Bi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2)에 있어서, 커넥터(6)의 손잡이(7)를 조작함으로써, 조작용 와이어(30)의 일단 또는 타단의 어느 하나가 근위방향으로 인장되어 판스프링(20)이 휘고, 이것에 의해, 전극 카테터(2)의 원위단은, 화살표 A 또는 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고개 흔들기 편향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손잡이(7)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림으로써, 조작용 와이어(30)의 일단이 근위방향으로 인장되어, 판스프링(20)이 일면(201)측으로 휨으로써, 전극 카테터(2)의 원위단이,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고개 흔들기 편향된다. 또한, 손잡이(7)를 시계방향으로 돌림으로써, 조작용 와이어(30)의 타단이 근위방향으로 인장되어, 판스프링(20)이 타면(202)측으로 휨으로써, 전극 카테터(2)의 원위단이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고개 흔들기 편향된다.
이와 같이, 한 가닥의 조작용 와이어(30)에 의해, 판스프링(20)을 일면(201)측(화살표 A방향) 및 타면(202)측(화살표 B방향)의 양방향으로 휨변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삭감하는 것(종래 두 가닥을 필요로 했던 와이어를 한 가닥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조도 용이해진다.
또한, 커넥터(6)를 축회전으로 회전시키면, 체강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극 카테터(2)에 대한 A 또는 B방향의 방향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2)에 의하면, 판스프링(20)의 원위단부(203)에 있어서의 일면(201) 및 타면(202)의 각 면에 대해, 조작용 와이어(30)의 원위단부(303)(접어 겹침 전후의 부분)가 링형상 부재(40)에 의해 코킹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판스프링(20)의 구성재료 및 조작용 와이어(30)의 구성재료에 관계없이, 판스프링(20)에 대해 조작용 와이어(30)를 강고하게 접속 고정할 수 있어, 카테터의 사용중(손기술중)에, 판스프링(20)의 일면(201) 또는 타면(202)으로부터 조작용 와이어(30)가 이탈되는 경우는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2)에 의하면, 판스프링(20)의 원위단부(203)와, 조작용 와이어(30)의 원위단부(303)와, 이들을 코킹 고정하는 링형상 부재(40)가, 선단 칩 전극(10)의 내부에 충전된 땜납(50)과 접촉하고(매입되고), 선단 칩 전극(10)은,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과, 판스프링(20)의 원위단부(203)의 2개소에 더하여, 판스프링(20)의 원위단부에 코킹 고정된 조작용 와이어(30)의 원위단부(303)에 대해서도 접속 고정(고착)되어 있는 동시에, 링형상 부재(40)가 매입되어 있는 것에 의한 땜납(50)과의 접촉 면적의 증가와, 링형상 부재(40)가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되는 것에 의한 땜납(50)에 대한 습윤성의 향상효과에 의해, 판스프링(20) 및 조작용 와이어(30)의 땜납(50)에 대한 인발저항력(선단 칩 전극(10)의 고착력)이 증대된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 튜브(4)로부터의 선단 칩 전극(10)의 탈락을 확실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조작용 와이어(30)의 원위단부(303)는, 링형상 부재(40)에 의해 판스프링(20)의 원위단부(203)에 있어서의 일면(201) 및 타면(202)에 코킹 고정된 상태(판스프링(20)의 원위단부(203)와, 조작용 와이어(30)의 원위단부(303)와, 링형상 부재(40)가 결합된 상태)로 땜납(50)과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용 와이어(30)를 땜납(50)으로부터 인발하고자 하는 힘에 대해, 판스프링(20)의 원위단부(203) 및 링형상 부재(40)가 빠짐 방지(인발저항)로서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조작용 와이어(30)의 인장 조작을 행할 때, 선단 칩 전극(10)의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땜납(50)으로부터 조작용 와이어(30)의 원위단이 빠져버리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인 전극 카테터의 원위단측의 일부 파단 정면도 및 일부 파단 평면도이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의 외관 형상은, 도 1에 나타낸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는, 카테터 튜브(4)와,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에 고정된 선단 칩 전극(10)과,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부에 장착된 복수(2개)의 링형상 전극(12)과,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측(원위단 근방)의 내부에 배치된 판스프링(25)과, 카테터 튜브(4)의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연재되도록 배치된 조작용 와이어(35)와, 판스프링(25)의 원위단부에 있어서의 면(252)에, 조작용 와이어(35)의 원위단부를 코킹 고정하는 링형상 부재(40)와, 조작용 와이어(35)의 원위단부에 장착된 빠짐 방지용 슬리브(6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를 구성하는 판스프링(25)은, 그 원위단부에 노치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 이외에는, 제1 실시형태를 구성하는 판스프링(20)과 동일한 구성이다.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를 구성하는 조작용 와이어(35)는, 그 일단이 근위단이 되고, 카테터 튜브(4)의 내부(판스프링(25)의 면(252)측)를 원위방향(도 6 및 도 7에 있어서 상방)으로 늘여, 그 타단이 원위단이 되는 와이어이다.
조작용 와이어(35)는, 그 근위단이 인장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즉, 조작용 와이어(35)의 근위단은,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부의 편향 이동 조작을 행하기 위한 손잡이(도 1에 나타내는 손잡이(7))에 접속되어 있다.
조작용 와이어(35)의 원위단에는, 빠짐 방지용 대경부(빠짐 방지부)(35a)가 형성되어 있다. 빠짐 방지부(35a)의 형성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TIG 용접에 의해 형성하는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조작용 와이어(35)의 원위단부는, 링형상 부재(40)에 의해, 판스프링(25)의 원위단부의 면(252)에 코킹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의 손잡이를 조작하여 조작용 와이어(35)를 인장함으로써, 판스프링(25)이 면(252)측으로 휘어, 전극 카테터의 원위단이 일방향(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고개 흔들기 편향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를 구성하는 빠짐 방지용 슬리브(60)는, 조작용 와이어(35)의 원위단부(링형상 부재(40)에 의한 고정위치보다 원위단측)에 장착(외삽(外揷))되어 있다.
슬리브(60)의 외경은, 링형상 부재(40)의 내주면과, 판스프링(25)의 면(252)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 슬리브(60)가 삽입되지 않는 크기로 된다. 이것에 의해, 슬리브(60)의 근위단면이, 링형상 부재(40)의 원위단면과 맞닿기 때문에, 슬리브(60)가 근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또한, 슬리브(60)의 내경은, 조작용 와이어(35)의 외경보다도 약간 크나, 조작용 와이어(35)의 빠짐 방지부(35)의 지름보다 작다. 이것에 의해, 조작용 와이어(35)의 빠짐 방지부(35a)가 슬리브(60)의 원위단면에 맞닿아, 조작용 와이어(35)가 슬리브(60)의 내부를 근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이와 같은 슬리브(60)를 조작용 와이어(35)의 원위단부에 장착함으로써, 조작용 와이어(35)를 인장했을 때, 조작용 와이어(35)가 카테터 튜브(4)의 내부를 근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코킹 고정되어 있는 조작용 와이어(35)가, 링형상 부재(40)로부터 떨어져 빠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슬리브(60)의 구성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땜납(50)과의 습윤성이 양호한 금속재료(예를 들면 인청동)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에서는, 링형상 부재(40)에 의해 코킹 고정되어 있는 판스프링(25)의 원위단부 및 조작용 와이어(35)의 원위단부가, 선단 칩 전극(10)의 내부에 충전된 땜납(50)에 의해, 선단 칩 전극(10)에 대해 접속 고정되어 있다.
즉, 판스프링(25)의 원위단부와, 조작용 와이어(35)의 원위단부와, 링형상 부재(40)와, 슬리브(60)가, 선단 칩 전극(10)의 내부에 충전된 땜납(50)으로 매입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에 있어서, 커넥터의 손잡이를 조작함으로써, 조작용 와이어(35)의 일단(근위단)이 근위방향으로 인장되어 판스프링(25)이 휘고, 이것에 의해, 전극 카테터의 원위단은 일방향으로 고개 흔들기 편향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손잡이(7)를 시계방향으로 돌림으로써, 조작용 와이어(35)의 일단(근위단)이 근위방향으로 인장되어, 판스프링(25)이 면(252)측으로 휨으로써, 전극 카테터의 원위단이,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고개 흔들기 편향된다.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에 의하면, 판스프링(25)의 원위단부에 있어서의 면(252)에 대해, 조작용 와이어(35)의 원위단부가 링형상 부재(40)에 의해 코킹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판스프링(25)의 구성재료 및 조작용 와이어(35)의 구성재료에 관계없이, 판스프링(25)에 대해 조작용 와이어(35)를 강고하게 접속 고정할 수 있어, 카테터의 사용중(손기술중)에, 판스프링(25)의 면(252)으로부터 조작용 와이어(35)가 이탈되는 경우는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에 의하면, 판스프링(25)의 원위단부와, 조작용 와이어(35)의 원위단부와, 이들을 코킹 고정하는 링형상 부재(40)와, 조작용 와이어(35)의 원위단부에 장착된 슬리브(60)가, 선단 칩 전극(10)의 내부에 충전된 땜납(50)과 접촉하고(매입되고), 선단 칩 전극(10)은,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과, 판스프링(25)의 원위단부의 2개소에 더하여, 판스프링(25)의 원위단부에 코킹 고정된 조작용 와이어(35)의 원위단부에 대해서도 접속 고정(고착)되어 있는 동시에, 링형상 부재(40) 및 슬리브(60)가 매입되어 있는 것에 의한 땜납(50)과의 접촉 면적의 증가와, 링형상 부재(40)가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되며, 슬리브(60)가 인청동으로 되는 것에 의한 땜납(50)에 대한 습윤성의 향상효과에 의해, 판스프링(25) 및 조작용 와이어(35)의 땜납(50)에 대한 인발저항력(선단 칩 전극(10)의 고착력)이 증대된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 튜브(4)로부터의 선단 칩 전극(10)의 탈락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용 와이어(35)의 원위단부는, 링형상 부재(40)에 의해 판스프링(25)의 원위단부에 있어서의 면(252)에 코킹 고정된 상태(판스프링(20)의 원위단부와, 조작용 와이어(35)의 원위단부와, 링형상 부재(40)와, 슬리브(60)가 결합된 상태)로 땜납(50)과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용 와이어(35)를 땜납(50)으로부터 인발하고자 하는 힘에 대해, 판스프링(25)의 원위단부, 링형상 부재(40) 및 슬리브(60)가 빠짐 방지(인발저항)로서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조작용 와이어(35)의 인장 조작을 행할 때, 선단 칩 전극(10)의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땜납(50)으로부터 조작용 와이어(35)의 원위단이 빠져버리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인 전극 카테터의 원위단측의 일부 파단 정면도 및 일부 파단 평면도이다.
또한, 제2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의 외관 형상은, 도 1에 나타낸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는,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또한, 카테터 튜브(4)의 내부에 있어서 판스프링(25)의 면(251)측에 연재되도록 배치된 조작용 와이어(36)와, 조작용 와이어(36)의 원위단부에 장착된 빠짐 방지용 슬리브(61)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를 구성하는 조작용 와이어(36)는, 그 일단이 근위단이 되고, 카테터 튜브(4)의 내부를 판스프링(25)의 면(251)측에 있어서 원위방향(도 8 및 도 9에 있어서 상방)으로 늘여, 그 타단이 원위단이 되는 와이어이고, 판스프링(25)의 면(252)측에 연재되는 조작용 와이어(35)와 동일한 구성으로, 조작용 와이어(36)의 원위단에도, 빠짐 방지부(36a)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용 와이어(36)는, 그 근위단이 인장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즉, 조작용 와이어(36)의 근위단은,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부의 편향 이동 조작을 행하기 위한 손잡이(도 1에 나타내는 손잡이(7))에 접속되어 있다.
조작용 와이어(36)의 원위단부는, 링형상 부재(40)에 의해, 판스프링(25)의 원위단부의 면(251)에 코킹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를 구성하는 슬리브(61)는, 조작용 와이어(36)의 원위단부에 장착(외삽)되어 있다.
슬리브(61)는, 조작용 와이어(35)의 원위단부에 장착된 슬리브(60)와 동일한 구성으로, 슬리브(61)의 근위단면이 링형상 부재(40)의 원위단면과 맞닿음으로써, 슬리브(61)가 근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또한, 조작용 와이어(36)의 빠짐 방지부(36a)가 슬리브(61)의 원위단면에 맞닿음으로써, 조작용 와이어(36)가 슬리브(61)의 내부를 근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이와 같은 슬리브(61)를 조작용 와이어(36)의 원위단부에 장착함으로써, 조작용 와이어(36)를 인장했을 때, 조작용 와이어(36)가 카테터 튜브(4)의 내부를 근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코킹 고정되어 있는 조작용 와이어(36)가, 링형상 부재(40)로부터 떨어져 빠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에서는, 판스프링(25)의 원위단부와, 조작용 와이어(35)의 원위단부 및 이것에 장착된 슬리브(60)와, 조작용 와이어(36)의 원위단부 및 이것에 장착된 슬리브(61)와, 링형상 부재(40)가, 선단 칩 전극(10)의 내부에 충전된 땜납(50)에 매입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에 있어서, 커넥터의 손잡이를 조작함으로써, 카테터의 원위단을, 화살표 A 또는 B로 고개 흔들기 편향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손잡이(7)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림으로써, 조작용 와이어(36)의 일단(근위단)이 근위방향으로 인장되어, 판스프링(25)이 면(251)측으로 휨으로써, 전극 카테터의 원위단이,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고개 흔들기 편향된다. 또한, 손잡이(7)를 시계방향으로 돌림으로써, 조작용 와이어(35)의 일단(근위단)이 근위방향으로 인장되어, 판스프링(25)이 면(252)측으로 휨으로써, 전극 카테터의 원위단을,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고개 흔들기 편향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에 의하면, 링형상 부재(40)에 의해, 판스프링(25)의 원위단부에 있어서의 면(252)에 대해 조작용 와이어(35)의 원위단부가 코킹 고정되고, 판스프링(25)의 원위단부에 있어서의 면(251)에 대해 조작용 와이어(36)의 원위단부가 코킹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판스프링(25)의 구성재료 및 조작용 와이어(35, 36)의 구성재료에 관계없이, 판스프링(25)에 대해 조작용 와이어(35, 36)를 강고하게 접속 고정할 수 있어, 카테터의 사용중(손기술중)에, 판스프링(25)의 면(251, 252)으로부터 조작용 와이어(36, 35)가 이탈되는 경우가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에 의하면, 판스프링(25)의 원위단부와, 조작용 와이어(35)와, 슬리브(60)와, 조작용 와이어(36)와, 슬리브(61)와, 링형상 부재(40)가, 선단 칩 전극(10)의 내부에 충전된 땜납(50)과 접속하고(매입되고), 선단 칩 전극(10)은,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과, 판스프링(25)의 원위단부의 2개소에 더하여, 판스프링(25)의 원위단부에 코킹 고정된 조작용 와이어(35) 및 조작용 와이어(36)의 원위단부에 대해서도 접속 고정(고착)되어 있는 동시에, 링형상 부재(40), 슬리브(60) 및 슬리브(61)가 매입되어 있는 것에 의한 땜납(50)과의 접촉 면적의 증가와, 링형상 부재(40)가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되며, 슬리브(60) 및 슬리브(61)가 인청동으로 되는 것에 의한 땜납(50)에 대한 습윤성의 향상효과에 의해, 판스프링(25), 조작용 와이어(35), 조작용 와이어(36)의 땜납(50)에 대한 인발저항력(선단 칩 전극(10)의 고착력)이 증대된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 튜브(4)로부터의 선단 칩 전극(10)의 탈락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용 와이어(35, 36)의 원위단부는, 링형상 부재(40)에 의해 판스프링(25)의 원위단부에 있어서의 면(252, 251)에 코킹 고정된 상태(판스프링(20)의 원위단부와, 조작용 와이어(35)의 원위단부와, 슬리브(60)와, 조작용 와이어(36)의 원위단부와, 슬리브(61)와, 링형상 부재(40)가 결합된 상태)로 땜납(50)과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용 와이어(35) 또는 조작용 와이어(36)를 땜납(50)으로부터 인발하고자 하는 힘에 대해, 판스프링(25)의 원위단부, 링형상 부재(40), 및 슬리브(60 또는 61)가 빠짐 방지(인발저항)로서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조작용 와이어(35) 또는 조작용 와이어(36)의 인장 조작을 행할 때, 선단 칩 전극(10)의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땜납(50)으로부터 조작용 와이어(35) 또는 조작용 와이어(36)의 원위단이 빠져버리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링형상 부재에 의해 코킹 고정되어 있는 판스프링의 원위단부 및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를 땜납 이외의 수단에 의해 선단 칩 전극에 접속 고정해도 된다.
또한, 링형상 부재에 의해 코킹 고정되어 있는 판스프링의 원위단부 및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를 선단 칩 전극에 접속 고정하지 않는 태양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2 전극 카테터
4 카테터 튜브
6 커넥터
7 손잡이
10 선단 칩 전극
101 선단 부분
102 원통형상 부분
12 링형상 전극
20 판스프링
201 일면
202 타면
203 판스프링의 원위단부(遠位端部)
25 판스프링
251 면
252 면
30 조작용 와이어
303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
35,36 조작용 와이어
40 링형상 부재
50 땜납
60,61 빠짐 방지용 슬리브

Claims (8)

  1. 카테터 튜브와,
    상기 카테터 튜브의 원위단(遠位端)에 고정된 선단 칩 전극과,
    상기 카테터 튜브의 원위단측의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휨방향으로 변형 가능한 고개 흔들기용 판스프링과,
    상기 카테터 튜브의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연재(延在)되도록 배치되어, 그 근위단(近位端)이 인장 조작 가능한 조작용 와이어와,
    상기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의 일면 및/또는 타면에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를 코킹 고정하는 링형상 부재,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상 부재에 의해 코킹 고정되어 있는 상기 판스프링 및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가, 상기 선단 칩 전극의 내부에 충전된 땜납에 의해, 당해 선단 칩 전극에 접속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용 와이어는, 그 일단 및 타단이 근위단이 되고, 상기 카테터 튜브의 내부를 상기 일단으로부터 원위방향으로 늘여, 상기 판스프링의 일면측을 통과하여, 당해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에서 접어 겹치고, 당해 판스프링의 타면측을 통과하여, 근위방향으로 늘여 상기 타단에 이르는, 한 가닥의 와이어로 되며, 상기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의 일면 및 타면에 있어서,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가 코킹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에는,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접어 겹침을 안내하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에는,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접어 겹침을 안내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용 와이어는, 그 일단이 근위단이 되고, 상기 카테터 튜브의 내부를 원위방향으로 늘여, 그 타단이 원위단이 되는 와이어로 되며, 상기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의 일면 또는 타면에 있어서,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가 코킹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에는, 빠짐 방지용 슬리브가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에는, 상기 슬리브의 내경보다도 지름이 큰 대경부(大徑部)가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의 근위단면이 상기 링형상 부재의 원위단면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판스프링의 일면 또는 타면을 따라, 상기 슬리브가 근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며,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의 대경부가 상기 슬리브의 원위단면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조작용 와이어가 상기 슬리브의 내부를 근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상 부재가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
KR1020117005161A 2008-09-26 2009-08-24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 KR1013008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48473 2008-09-26
JP2008248473A JP4526585B2 (ja) 2008-09-26 2008-09-26 先端偏向操作可能カテーテル
PCT/JP2009/064692 WO2010035599A1 (ja) 2008-09-26 2009-08-24 先端偏向操作可能カテーテ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790A true KR20110058790A (ko) 2011-06-01
KR101300884B1 KR101300884B1 (ko) 2013-08-27

Family

ID=42059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5161A KR101300884B1 (ko) 2008-09-26 2009-08-24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526585B2 (ko)
KR (1) KR101300884B1 (ko)
CN (1) CN102159278B (ko)
HK (1) HK1155991A1 (ko)
WO (1) WO20100355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1874B (zh) * 2011-10-20 2015-07-22 上海微创电生理医疗科技有限公司 肾动脉射频消融导管
US9694161B2 (en) * 2012-11-14 2017-07-04 Biosense Webster (Israel), Ltd. Catheter with flat beam providing nonsymmetrical curve bi-directional deflection
US9433752B2 (en) 2012-11-14 2016-09-06 Biosense Webster (Israel) Ltd. Catheter with flat beam deflection in tip
US9174023B2 (en) 2013-01-07 2015-11-03 Biosense Webster (Israel) Ltd. Unidirectional catheter control handle with tensioning control
US9849268B2 (en) * 2013-02-06 2017-12-26 Biosense Webster (Israel), Ltd. Catheter having flat beam deflection tip with fiber puller members
JP6338676B2 (ja) 2013-09-30 2018-06-06 セント・ジュード・メディカル,カーディオロジー・ディヴィジョ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能動的直線復帰機構を有するカテーテル
US10737066B2 (en) 2016-09-18 2020-08-11 St. Jude Medical, Cardiology Division, Inc. Loop catheter with activation tether coupled to pre-formed loop structure
JP7118053B2 (ja) * 2016-09-29 2022-08-1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カテーテルアセンブリのためのプルワイヤクラウン及びクラウンスリーブ
EP3375477A1 (en) 2017-03-16 2018-09-19 Basecamp Vascular Flexible elongated structure having a steerable end
WO2019156059A1 (ja) * 2018-02-06 2019-08-15 株式会社カネカ カテーテ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918762B2 (en) 2018-10-03 2024-03-05 St. Jude Medical, Cardiology Division, Inc. Reduced actuation force electrophysiology catheter handle
US11471650B2 (en) 2019-09-20 2022-10-18 Biosense Webster (Israel) Ltd. Mechanism for manipulating a puller wire
CN113491816B (zh) * 2021-07-06 2023-06-27 上海康德莱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电定位可控弯导丝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4523A (ja) * 1992-01-14 1993-07-27 Olympus Optical Co Ltd 可撓管の湾曲操作装置
WO1995003742A1 (en) * 1993-07-30 1995-02-09 Ep Technologies, Inc. Bendable tip assemblies for catheters
JPH0819618A (ja) * 1994-07-07 1996-01-23 Olympus Optical Co Ltd 可撓管
US6183463B1 (en) 1997-12-01 2001-02-06 Cordis Webster, Inc. Bidirectional steerable cathether with bidirectional control handle
CA2273467C (en) 1998-06-04 2009-02-17 Cordis Webster, Inc. Catheter for injecting therapeutic and diagnostic agents
EP1402826B1 (en) * 2002-08-20 2013-06-12 Nipro Corporation Thrombus capture catheter
JP4220339B2 (ja) 2003-09-11 2009-02-04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カテーテル
JP4544457B2 (ja) * 2004-08-26 2010-09-15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先端偏向操作可能カテーテ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59278A (zh) 2011-08-17
JP2010075530A (ja) 2010-04-08
KR101300884B1 (ko) 2013-08-27
WO2010035599A1 (ja) 2010-04-01
JP4526585B2 (ja) 2010-08-18
HK1155991A1 (en) 2012-06-01
CN102159278B (zh) 201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0884B1 (ko)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
JP4940332B2 (ja) カテーテル
JP4362536B2 (ja) カテーテル
KR101213012B1 (ko) 카테터
JP4429401B2 (ja) 可撓性先端電極を有するカテーテル
KR101246970B1 (ko) 카테터
US9326729B2 (en) Electrode cathe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3088840A1 (ja) 先端偏向操作可能カテーテル
JP2004508147A (ja) 捩れ伝達強度を高めたステアリング可能なスタイレット
JP5253535B2 (ja) 電極カテーテル
JP5557393B2 (ja) 先端偏向操作可能カテーテル
JP4993353B2 (ja) 先端偏向操作可能カテーテル
JP4544457B2 (ja) 先端偏向操作可能カテーテル
JP4969289B2 (ja) 先端偏向操作可能カテーテル
JP5174542B2 (ja) カテーテル
JP5787394B2 (ja) 先端偏向操作可能カテーテル
JP5561784B2 (ja) 電極カテーテル
JP2014236787A (ja) 先端偏向操作可能カテーテル
JP2014117399A (ja) 医療用カセーター及び医療用カセーターの製造方法
JP5174487B2 (ja) カテーテル
JP5729778B2 (ja) 電極カテーテ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