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8556A - 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8556A
KR20110058556A KR1020090115387A KR20090115387A KR20110058556A KR 20110058556 A KR20110058556 A KR 20110058556A KR 1020090115387 A KR1020090115387 A KR 1020090115387A KR 20090115387 A KR20090115387 A KR 20090115387A KR 20110058556 A KR20110058556 A KR 20110058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ction
diabetic
extract
composition
diabe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5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6677B1 (ko
Inventor
강일준
임순성
강영희
Original Assignee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15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677B1/ko
Publication of KR20110058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8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4Codonop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abet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besit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더덕(Codonopsis lanceolata)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및/또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treating diabetes or diabete-induced complication containing an extract from Codonopsis lanceolata}
본 발명은 더덕(Codonopsis lanceolata)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및/또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대인들의 생활수준의 향상과 인간수명의 증가로 인하여 건강에 대한 인식도가 증가함에 따라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당뇨병은 전 세계적으로 주목 받고 있는 만성질환이다.
당뇨병은 췌장의 베타세포에서 생성되는 인슐린 호르몬 부족 또는 인슐린 저항성의 이상과 나아가 이러한 두 가지 모두의 결함으로 발생하는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장애증후군이다. 이러한 당뇨병은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IDDM; Type I) 과 인슐린 저항 및 인슐린 분비 손상에 의해 발생하는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 병(NIDDM; Type II)으로 나눌 수 있다.
당뇨병은 고혈당이 만성으로 지속되면서 당질대사뿐만 아니라 지질 및 단백질 대사장애도 함께 일으킨다. 그 병태는 다양하며 직접 고혈당에 기인하는 것으로 망막, 신장, 신경, 심혈관계 등에서 당뇨병성 말초신경장해, 당뇨병성 망막증, 당뇨병성 신증, 당뇨병성 백내장, 각막증, 당뇨병성 동맥경화증 등이 있다. 당뇨병 환자수는 과식, 운동부족, 서구화된 식생활, 스트레스, 음주, 흡연 등 생활습관의 변화로 인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제I형과 제II형 당뇨병 모두에서 심장 질환, 장 질환, 안과 질환, 신경 질환, 뇌졸증 등과 같은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장시간 동안 혈당과 인슐린 수준이 상승하여 만성신경질환과 심혈관질환이 발생하게 되고 단시간의 저혈당과 고혈당반응으로 급성 합병증을 야기시키게 되는 것이다.
당뇨의 치료법은 약물요법, 운동요법 및 식이요법이 있으며 환자의 증상에 따라 인슐린 약재와 각종 혈당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당뇨병은 간에서의 당 생성 과다, 인슐린 저항성, 근육과 지방 세포 등에서 당 처리 능력 감소 등의 특징을 나타내는 복합적인 질병이므로 특정 치료법만으로는 여러 가지 부작용의 유발을 막을 수 없다. 이 중 약물요법은 인슐린 및 화학물질을 사용하고 있어 약물 복용에 따란 부작용과 환자의 내성에 끊임없는 문제가 되고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당뇨병 치료에 있어 식이가 가능하며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을 이용하여 당뇨병을 치료하고, 더 나아가 당뇨병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더덕이 항산화 효과와 더불어 당뇨 및 당뇨합병증 치료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례는 더덕의 추출물 및 분획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및/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예는 더덕의 추출물 및 분획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당뇨 및/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또는 개선용 식품을 제공한다.
또 다른 예는 더덕의 추출물 및 분획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더덕 추출물 및/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및/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더덕(Codonopsis lanceolata)은 초롱꽃과에 속하는 식물로써, 한국, 중국, 일본의 산간지방에서 야생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원산지는 아시아 중동부이며 봄, 가을에 뿌리를 채취하여 사용 하는데 기호품으로도 상당한 인기가 있는 식물이다. 더덕은 거담, 진해, 강장, 해열 등의 약효가 있으며 인후염, 임파선염, 종기 등의 치료에 효과적인 약용 식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더덕(Codonopsis lanceolata)을 사용하여 당뇨합병증 예방을 위한 단기검색방법으로 최종당화산물(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의 형성 억제와 알도오스 환원효소(aldose reductase) 억제 활성을 확인하고, 당뇨 치료와 관련있는 알파-글리코시데이즈 억제 활성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더덕은, 그 형태에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생더덕, 또는 약 80 내지 약 100℃의 뜨거운 김으로 5분 내지 1시간, 바람직하게는 5-10분동안 익힌 찐더덕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생더덕과 찐더덕은 그 대로 사용되거나, 건조 및/또는 분쇄하여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더덕으로부터 얻어진 추출물 및/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더덕 추출물은 물, C3 내지 C5의 케톤, 및 C1 내지 C4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이용하여 통상의 식물 추출방법으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획물은 상기와 같은 더덕 추출물을 물, C5 내지 C7의 알칸, C1 내지 C4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C5 내지 C7의 알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분획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있어서, 보다 우수한 항당뇨 및/또는 항당뇨합병증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추출물은 더덕을 60 내지 80%(v/v) 케톤, 바람직하게는 아세톤으로 추출하여 얻어진 케톤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아세톤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분획물은 상기 추출물을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분획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획물은 상기 얻어진 추출물을 상기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비극성 순으로 적용하여 각 적용시마다 얻어지는 분획물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아세톤 추출물을 헥산으로 분획하여 얻어진 헥산 분획물; 상기 헥산 분획물을 분리하고 남은 수성층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분획하여 얻어진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상기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을 분리하고 남은 수성층을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얻어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분리하고 남은 물 분획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더덕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압추출법, 환류추출법, 온침 추출법, 초음파 분쇄 추출법 등에 의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가압추출법에 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된 추출물은 이후 감압 여과과정을 수행하거나 추가로 농축 및/또는 동결건조를 수행하여 농축하거나 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더덕 추출물은 통상적 방법으로 건조된 건조물과 통상적 방법 으로 농축된 농축물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당뇨 치료 활성은 α-글루코시데이즈(α-glucosidase) 활성 억제능을 통하여 입증하였다. α-글루코시데이즈(α-glucosidase)는 소장 상피세포의 brush-border membrane에 존재하는 효소로서 이당류나 다당류를 탄수화물이 소화 흡수되기 위한 상태인 단당류로 가수분해하는 역할을 한다. 당뇨병 환자의 식후 급격한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α-글루코시데이즈 억제제 작용기전은 인슐린 분비를 통하지 않고 이당류 분해효소를 가역적으로 억제하여 장에서의 탄수화물 흡수를 지연시켜 식후 혈당을 감소시키고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의 고혈당으로 인한 인슐린 분비 지연의 개선시킨다. 따라서, α-글루코시데이즈에 대한 저해능은 탄수화물 식이 후 혈당상승을 억제할 수 있어 항당뇨 활성 측정법으로 이용된다.
본 발명의 더덕 추출물 및 분획물은 α-글루코시데이즈에 대해서 기존의 혈당강하제로 사용되는 아카보오스(acarbose)보다 높은 억제 효과를 보임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6, 도 10, 도 11, 표 4 및 표 5 참조).
또한 본 발명에서는 더덕 추출물 및 분획물의 당뇨합병증 치료 효과를 제공한다. 당뇨합병증은 당뇨병으로 인한 고혈당과 단백질의 반응이 비가역적으로 진행되어 최종당화산물(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AGEs) 이 생성되어 혈중이나 조직의 다른 단백질과 교차결합하여 유발시키는 여러 가지 합병증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더덕 추출물 및/또는 분획물이 치료 효과를 갖는 당뇨합병증은 당뇨병성 혈관장애, 당뇨병성 신경장애 또는 당뇨병성 감염증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당뇨성 망막증(diabetic retinopathy), 당뇨성 백내장(diabetic cataract), 당뇨성 신증(diabetic nephropathy), 당뇨성 신경병증(diabetic neuropathy), 당뇨성 혈관합병증 등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당뇨성 망막증, 당뇨성 백내장 또는 당뇨성 신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당뇨합병증 치료 활성은 최종당화산물(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AGEs)의 형성 억제능 및 알도오스 환원효소(Aldose reductase) 억제능을 통하여 시험하였다.
최종당화산물은 비효소적 당화반응에 의해 당이 단백질과 결합하여 schiff base와 아마도리 산물(amadori product)을 거쳐서 생성된다. 그러나 만성적인 고혈당 상태에서는 아마도리 산물이 가역적으로 최종당화산물을 생성하는 비가역적인 반응으로 가속화되어 조직과 혈청 중에 대량 생성되어 축적된다. 따라서, 최종당화산물의 생성은 심각한 당뇨합병증을 일으키는 주요원인 중 하나로 된다.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액 내 최종당화산물의 농도와 심혈관계질환의 유무 및 중증도와 연관이 뚜렷하고 여러 동물 모델 연구에서도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만성적인 고혈당과 생체 단백질과의 비효소적 당화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최종당화산물은 당뇨합병증의 주요 원인중 하나이다. 당뇨합병증은 혈당이 정상적으로 회복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 최종당화산물은 고혈당의 농도에 비례하여 조직에 축적되는 단백질 당화산물로 특이한 흡광도 및 형광을 나타내고, 특히 단백질의 아미노기가 서로 cross-link 반응을 일으키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최종당화산물은 한번 생성되면 혈당이 정상적으로 조절되어도 분해되지 않고 조직에 축적되어 조직의 구조와 기능을 비정상적으로 변화시키며, atheroma성 동맥경화증, DNA의 돌연변이, 노화, 알츠하이머병, 당뇨합병증등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기존에 최종 당화산물의 억제제로서 알려진 아미노구아니딘(aminogua- nidine)의 독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독성이 없는 안전한 천연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더덕 추출물 및 분획물의 최종당화산물에 대한 억제 활성을 시험한 결과, 최종당화산물 생성 억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 도 6, 도 7 및 표 3 참조).
또한, 당뇨합병증의 유발기전 중 하나인 폴리올 경로(polyol pathway- y)의 증가는 세포손상을 일으키는 기전이다. 알도오스 환원효소(Aldose
reductase)는 폴리올 경로에서 글루코오스를 소르비톨에서 프룩토오스로 전환하는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이다. 고혈당 상태가 되면 세포내 포도당 대사의 변화가 일어나는데, 과잉의 포도당이 세포내로 들어오면 알도오스 환원효소에 의해 소르비톨로 전환되며, 소르비톨 탈수소효소(sorbitol dehydrogenase)에 의해 프룩토오스(fructose)로 전환된다. 정상혈당 상태에서는 포도당에 대한 알도오스 환원효소의 Km값(70 mM)이 높아 세포 내 소르비톨 농도는 매우 낮다. 그러나 고혈당에 의해 세포 내 포도당 농도가 올라가면 세포 내 소르비톨 농도가 증가될 뿐만 아니라 소르비톨 탈수소효소의 반응속도가 느려 소르비톨이 세포내에 축적하게 된다. 결국 세포내에 축적된 소르비톨의 높은 삼투압으로 세포가 팽창하게 되고 세포가 손상을 입게 되며 결국 백내장, 당뇨성 신경증, 망막증 등의 합병증을 야기하게 된 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부작용이 없으며 효과적으로 당뇨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는 새로운 천연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더덕 추출물 및 분획물의 알도오스 환원효소 활성 억제능을 시험하였다. 그 결과 더덕 추출물 및 분획물이 알도오스 환원효소 활성 억제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5, 도 8 및 도 9 참조).
본 발명에 따른 더덕의 추출물 및/또는 분획물은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항산화 효과를 시험하기 위하여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소거효과를 시험하였다. DPPH는 화학적으로 안정한 자유 가디칼을 지니고 있는 화합물로 항산화 활성을 가진 물질을 만나면 환원되어 항산화 능력을 확인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물질이다. DPPH를 이용한 전자공여작용은 자유 라디칼에 전자를 공여하여 식품 중의 지방 산화를 억제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인체 내에서는 자유 라디칼에 의한 노화를 억제시키는 작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더덕의 추출물 및/또는 분획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시험하여 항산화능을 평가한 결과, 더덕의 추출물 및/또는 분획물은 우수한 항산화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실시예 3, 도 3, 도 4, 도 5, 표 1 및 표 2 참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더덕의 추출물 및/또는 분획물 외에,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중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추가성분의 함량은 바람직하 게는 상기 더덕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20 중량부 범위 또는 리코리시딘 100 중량부 당 100 내지 10,000,000 중량부 범위에서 추가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 내의 상기 더덕의 추출물 및/또는 분획물의 함량은 질환의 증상, 증상의 진행 정도, 환자의 상태 등에 따라서 적절히 조절 가능하며, 예컨대, 전체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99.9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0중량%인 것이 좋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함량비는 용매를 제거한 건조량을 기준으로 한 값이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 등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부형제 및/또는 윤활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 이 포함된다. 
상기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1일 0.1 mg/kg 내지 20 mg/kg으로 하는 것이 좋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동물,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정맥, 근육, 피하주사 등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유효성분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더덕 추출물 및/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당뇨 및/또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또는 개선용 식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식품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각종 식품, 건강기능 식품, 음료, 식품 첨가제 및 음료 첨가제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식품의 예로서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기능성 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 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아이스크림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 스프 등), 비타민 복합제, 알코올 음료, 주류 및 그 밖의 건강보조식품류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음료, 식품첨가제 또는 음료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에 있어서, 상기 더덕 추출물 및/또는 분획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0001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식품이 음료인 경우에는 식품 전체의 부피 100 ml 를 기준으로 0.001 g 내지 50 g, 바람직하게는 0.01 g 내지 10 g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더덕 추출물 및/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당뇨 및/또는 당뇨합병증 치료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독성과 부작용이 없는 천연물 유래의 조성물이므로, 당뇨 및/또는 당뇨합병증의 치료에 보다 안전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대표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준비
더덕(Codonopsis lanceolata)은 강원도 정선군 약업사에서 구입하였으며, 그냥 사용하거나 (생더덕), 약 100℃의 뜨거운 김으로 5-10분동안 익힌 후 식혀서 사용하였다 (찐더덕).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DMSO(dimethyl sulfoxide), BSA(Albumin from bovin serum), 메틸글리옥살(Methylglyoxal), 아미노구아니딘(Aminoguanidine), NADPH, DL-글리세르알데하이드(DL-glyceraldehyde), 퀘르세틴(Quercetin), NaN3, 알파-글루코시데이즈(α-glucosidase), 4-니트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4-nitrophenyl-α-D-glucopyranoside), 및 NaCO3은 Sigma(USA)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그 외 분석에 사용된 모든 시약은 특급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더덕 추출물 및 분획물 제조
생더덕 1.48kg과 찐더덕 1.40kg에 각각 70%(v/v) 아세톤을 첨가한 후, 2시간씩 reflux시켜 약 50 내지 80℃에서 온침 추출 (3회 반복)하고, Whatman filter paper(Watman, Engl and)로 여과하였다.
얻어진 여과액을 감압농축기 (rotary vacuum evaporator, Buchi Rotavapor R-220, Swiss)로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동결건조하여, 생더덕 아세톤 추출물(150.5g, 수득률: 10.17%) 및 찐더덕 아세톤 추출물(157.98g, 수득률: 10.67%)을 얻었다. 얻은 추출물들은 산화방지를 위하여 사용시까지 -70℃에서 냉동보관 하였다.
상기 얻어진 생더덕 추출물과 찐더덕 추출물 각각에 대하여 n-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생더덕 아세톤 추출물의 n-헥산층(6.60g, 수득률: 0.45%), 메틸렌클로라이드층(0.75g, 수득률: 0.05%), 에틸아세테이트층(0.45g, 수득률: 0.03%), 및 물층(142.70g, 수득률: 9.64%); 찐더덕 아세톤 추출물의 n-헥산층(8.300g, 수득률: 0.56%), 메틸렌클로라이드층(0.97g, 수득률: 0.07%), 에틸아세테이트층(6.81g, 수득률: 0.46%), 및 물층(141.90g, 수득률: 9.59%)순으로 각각 분획하였다. 얻어진 각 층을 감압농축하고 건조시킨 후, 분말로 만들어 분획물 시료로서 사용하였다.
상기 추출 및 분획 과정을 도 1에 모식적으로 나타내었다
상기 얻어진 물질 확인을 위하여, TLC(Thin layer chromatography, silicagel 60(Merk Co. USA) F254 pre-coated 사용)에 시료를 전개시킨 후 전개용매: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메탄올: 물=15:40:22:9), 전개면에 10%의 황산을 분사시켜 50℃로 가열하면 시료의 유기성분을 발색시켜 모든 유기성분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얻어진 더덕 추출물 및 분획물을 시험하여 얻 어진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황산 발색하는 이유는 물질이 탄화되어 탈수반응이 일어나고, 이 상태에서 열을 가하면 탄소가 탄화되어 까맣게 변하기 때문이다. TLC plate상에서 검게 나타나는 물질은 탄소를 포함하는 물질이며, 이 물질이 분포되어 있는 상태에 따라 분리가 잘 된 단일 물질인지 아니면 분리가 덜 된 혼합 물질인지 알 수 있다. 도 2 중 A-E은 찐더덕 추출물 및 분획물에서 분석한 결과이고 (A: 아세톤 추출물, B: n-헥산 분획물, C: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D: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E: 물 분획물), F-J는 생더덕 추출물 및 분획물에서 분획한 결과이다 (F: 아세톤 추출물, G: n-헥산 분획물, H: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I: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J: 물 분획물).
실시예 2. DPPH 소거 효과 시험
더덕 추출물 및 분획물의 DPPH 소거 효과를 TLC(Thin layer chromatography)법을 이용하여 시험하였다. TLC는 silicagel 60(Merk Co. USA) F254 pre-coated를 사용하였으며, 적당한 용매계(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메탄올:물=15:40:22:9)를 찾아 물질을 완전히 전개시킨 후, DPPH를 메탄올에 녹인 0.2mM DPPH 용액을 분사하였다. 전개 용매로는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메탄올: 물=15:40: 22:9를 사용하였다.
활성(라디칼 소거능)이 나타나는 물질은 농도 및 활성 정도에 따라 노란색 또는 흰색을 나타내는 반면, 비활성(라디칼 소거능이 없는) 물질과 바탕은 DPPH 고 유의 보라색을 나타내므로, 활성물질 유무, 위치, 농도 등의 정보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얻어진 TLC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 중 A-E은 찐더덕 추출물 및 분획물에서의 결과이고 (A: 아세톤 추출물, B: n-헥산 분획물, C: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D: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E: 물 분획물), F-J는 생더덕 추출물 및 분획물에서의 결과이다 (F: 아세톤 추출물, G: n-헥산 분획물, H: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I: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J: 물 분획물). 도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찐더덕과 생더덕 모두에서는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우수한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 DPPH 를 이용한 항산화 효과 시험
DPPH는 화학적으로 안정한 자유 가디칼을 지니고 있는 화합물로 항산화 활성을 가진 물질을 만나면 환원되어 항산화 능력을 확인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물질이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DPPH를 이용하여 더덕 에탄올 추출물과 분획물, 물추출물의 자유 라디칼 소거 효과(DPPH에 대한 수소 공여능)를 평가하여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였다.
더덕 아세톤 추출물과 각 분획물들을 DMSO(dimethyl sulfoxide)을 이용하여 희석하여 준비하였다. 이와 같이 준비된 일정 농도의 시료 1mL에 5Χ 10-4M DPPH용액(dissolved in 99% ethanol) 2mL를 가하고 잘 혼합하여 실온에서 30분간 방치 하였다. 얻어진 반응액을 517nm 흡광도에서 전자 공여능(electron donating ability)으로 측정하였다. 각 분획의 억제능은 양성대조군에 비하여 감소된 흡광도로부터 라디칼 소거율을 계산하였다.
계산식 1(라디칼 소거율(%))={1-(Control/Sample)}*100
(control: 시료를 넣지 않은 상태로, DPPH와 용매만 있는 상태)
이때 활성비교를 위하여 양성대조군으로는 항산화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아스코르브산 (Showa Chemicals Inc., Japan, 재마무역) 를 사용하였고 이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여 DPPH소거능을 측정하여 결과를 기재하였다.
그리고 DPPH 자유 라디칼을 50% 억제하는데 요구되는 함량(IC50)과 비교하였고, 시료를 3회 반복 실험하여 얻은 결과를 평균한 값으로 나타내었다.
생더덕과 찐더덕 추출물 및 분획물의 DPPH 소거능 비교 결과를 도 4 및 도 5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4: 생더덕, 도 5: 찐더덕). 각 추출물 및 분획물의 사용 농도는 200 μg /mL이고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아스코르브산의 사용 농도는 20 μg/mL로 하였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존에 항산화제로 사용되고 있는 아스코르브산은 20 μg/mL에서 약 81%의 억제율을 갖는 반면, 더덕 추출물 및 분획물들은, 200 μg/mL의 농도에서, 생더덕의 경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84.32%로 가장 효과가 높았고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도 58.9% 정도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찐더덕의 경우에는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이 52.92%로 가장 높은 효과가 나타냈고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38.84%로 두 번째로 효과가 좋았 다.
생더덕과 찐더덕의 추출물 및 분획물의 농도별 억제율 및 IC50을 각각 아래의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1. 생더덕 분획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효과
Sample Concentration
(μg/mL)
Inhibition
(%)
IC50
(μg/mL)1)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40
200
400
20.14
58.90
81.07
129.49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20
100
200
14.32
52.49
84.32
105.69
 
아스코르브산2 )
 
2
10
20
2.93
40.71
92.31
11.61
표 2. 찐더덕 분획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효과
 Sample Concentration
(μg/mL)
Inhibition
(%)
IC50
(μg/mL)1)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40
200
400
16.92
52.92
75.22
157.48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40
200
400
9.30
38.84
67.14
285.67
 
아스코르브산2 )
 
2
10
20
2.93
40.71
92.31
11.61
표 1 및 표 2에 있어서,
1)IC50값은 DPPH 라디칼의 50% 억제를 보이는 농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억제율 vs. 3 가지 농도의 로그 곡선에서 최소제곱 회귀 방정식(least-square regression equation)으로 계산된 값.
2) 양성대조 물질(통상적인 DPPH 라디칼 소거제).
표 1 및 표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생더덕의 IC50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과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에서 각각 105.69 ug/mL, 129.49ug/mL로 나타났고, 찐더덕의 IC50은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각각 157.48 ug/mL, 285.67 ug/mL으로 나타났다. 즉, 생더더과 찐더덕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과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이 산화 억제 능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최종당화산물(AGEs)의 억제 효과 시험
본 실시예에서는 당뇨합병증의 치료 효과를 시험하기 위하여, 메틸글리옥살을 이용한 24시간 단기 검색법으로 찐더덕과 생더덕의 추출물 및 분획물의 최종당화산물(AGEs) 억제 효과를 Blank와 대조군을 기준으로 형광의 증가 정도를 측정하였다.
BSA(5mg/mL)와 메틸글리옥살(2mg/mL)에 DMSO(dimethyl sulfoxide)로 녹인 시료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찐더덕과 생더덕의 추출물 및 분획물) (11 mg/mL)를 넣고 50 mM 포스페이트 버퍼(pH 7.4)를 사용하여 총 부피를 5 mL로 맞추었다.  37℃에서 24시간동안 반응시킨 후, spectrofluorometer (Fluoroskan Ascent FL, Thermo Scientific, USA)를 이용하여 반응 전후의 시료의 형광의 발광 정도(Excitation: 355 nm, Emission: 460 nm)를 측정하였다. 흡광도의 억제율은 대 조군의 발광도 증가값을 기준으로 시료의 발광도 증가값을 비교하여 계산하였다.
계산식 2(억제율(%))={1-(S1-S0)/(C1-C0)}*100
(S0: sample 0hr 발광도 반응값, S1: sample 24hr 발광도 반응값, C0: control 0hr 발광도 반응값, C1: control 24hr 발광도 반응값)
(control: 약물을 넣지 않은 상태에서 BSA(5mg/mL)와 메틸글리옥살(2mg/mL)에 DMSO(dimethyl sulfoxide)만 넣은 상태)
또한, 최종당화산물에 억제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양성대조군으로 아미노구아니딘 (aminoguanidine, Sigma Chemical Co.(St Louis, MO, USA))을 사용하여 위와 같은 방법으로 발광도 억제율을 비교하였다.
50% 흡광도의 감소를 나타내는 시료의 농도 (IC50)으로 표시하였고, 각 시료를 3회 반복 실시하여 평균하였다.
상기 얻어진 결과를 도 6(생더덕) 및 도 7(찐더덕)에 나타내었다. Blank와 대조군을 기준으로 형광의 증가 정도를 측정한 결과, 찐더덕의 경우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이 22 ug/mL의 농도에서 57.69%로 분획물 중 가장 형광 억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생더덕의 경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35.78%의 억제율을 나타냈었다.
또한, 찐더덕의 분획물의 농도별 억제율 및 IC50을 각각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찐더덕의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의 AGEs 형성 억제 효과
 Sample Concentration
(μg/mL)
Inhibition
(%)
IC50
(μg/mL)1)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11
22
32
43.77
57.69
65.45
14.98
 아미노구아니딘2 )  2
10
20
42.58
69.34
92.99
7.06
1)IC50값은 AGEs 형성의 50% 억제를 보이는 농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억제율 vs. 3 가지 농도의 로그 곡선에서 최소제곱 회귀 방정식(least-square regression equation)으로 계산된 값.
2) 양성대조 물질(통상적인 AGEs 형성 억제제).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찐더덕의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이 14.98 μg/mL의 농도에서 50%의 억제율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5. 알도오스 환원효소( Aldose reductase ) 억제 효능 시험
당뇨성합병증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는 글루코오스 대사경로인 폴리올 경로의 촉매 효소인 알도오스 환원효소(aldose reductase) 활성에 대한 생더덕과 찐더덕 추출물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알도오스 환원효소 억제제는 글루코오스를 소르비톨로 변환하는 알도오스 환원효소를 억제하는 효소 억제제이며 소르비톨의 생산을 저하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많은 연구에서 폴리올 대사 이상이 당뇨병성 합병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알도오스 환원효소 억제제는 당뇨병성 합병증의 치료제로서 유용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당뇨합병증 치료 효과를 입증하기 위하여, 더덕 추출물 및 분획물의 알도오스 환원효소 활성 억제능을 시험하였다.
무게가 200g이 넘는 래트(Sprague-Dawly(SD) rats; 수컷, 12주령, 250~280g, 중앙실험동물센터]의 수정체(lens)를 적출하여 그 안의 수정체의 습중량에 따라 0.05M의 소듐 버퍼(pH 6.8)를 수정체 1개당 250 μL을 넣어 얼음 안에서 균질화시켰다. 이를 4℃, 7500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centrifuge UNION 55 R Hanil, Korea) 후, 그 상등액을 취하여 알도오스 환원효소 시험의 효소원으로 사용하였다.
알도오스 환원효소(Aldose reductase) 활성 억제능은 Haymanh와 Kinoshita가 사용한 방법을 변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Hayman S, Kinoshita JH. 1965. Isolation and properties of lens aldose reductase. J. Biol. Chem. 240(2): 877-882). 0.05M 포타슘 포스페이트 버퍼(pH 7.0) 530μL에 상기 준비한 효소원 160μL와 1.6mM NADPH(Applichem, Germany) 100μL, 시료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생더덕 및 찐더덕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 1mg/mL) 10 μL를 넣어주고, 마지막으로 0.1M DL-글리세르알데하이드(DL-Glyceraldehyde, Sigma, USA) 100μL를 넣어주었다. 큐벳내부에서 4.4 분 동안 반응시켜 340nm에서 NADPH 흡광도의 감소율을 측정하였다. 큐벳내부에서 4.4분동안 반응시켜 0s와 280s의 흡광값으로 sample의 흡광도값을 계산하였다.
계산식 3={0s에서의 흡광도 값-280s에서의 흡광도값)/반응시킨 시간}
상기 계산식 3에서 얻어진 흡광도 값을 이용하여 아래의 계산식으로 억제율을 구하였다.
계산식 4={(control-sample)/(control-blank)}*100
(control: 약물을 넣지 않은 상태에서 효소와 기질을 넣은 것,
blank: 기질을 뺀 나머지를 모두 넣은 상태)
또한 알도오스 환원효소 억제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대조 물질로 퀘르세틴 (Quercetin, Sigma Chemical Co.(St Louis, MO, USA))을 사용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여 흡광도의 감소율을 측정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시료들에서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50% 흡광도의 감소를 나타내는 각 시료의 농도 (IC50)으로 표시하였고, 각 시료를 3회 반복 실시하여 평균하였다
상기 얻어진 결과를 도 8 및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8은 생더덕의 추출물 및 분획물의 결과를 보여주며, 도 9는 찐더덕의 추출물 및 분획물의 결과를 보여준다.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생더덕의 경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1 μg/mL에서 79%로 가장 높은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한편, 대조 물질인 퀘르세틴의 억제율은 84%로 나타나서, 생더덕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대조 물질과 유사한 수준의 억제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6. α- 글루코시데이즈 활성 억제능 시험
당뇨병환자의 식후 급격한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α-글루코시데이즈 억제제 작용기전은 인슐린 분비를 통하지 않고 이당류 분해효소를 가역적으로 억제하여 장에서의 탄수화물 흡수를 지연시켜 식후 혈당을 감소시키고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의 고혈당으로 인한 인슐린 분비 지연의 개선시킨다. 따라서, α-글루코시데이즈 억제 활성에 의하여 당뇨병 치료 활성을 시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당류가 단당류로 분해되는 경로의 억제능을 알아볼 수 있는 에세이로 Watanabe 등의 방법(Watanabe H, Kobavashi A, Yamamoto T, Suzuki S, Hayashi H, Yamazaki N. 1990. Alterations of human erythrocyte membrane fluidity by oxygen-derived free radicals and calcium. Free Radic Biol Med. 8(6): 507-514)에 따라 α-글루코시데이즈 활성 억제능을 측정하여, α-글루코시데이즈에 대한 활성 억제능을 시험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시료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생더덕 및 찐더덕의 추출물 및 분획물을 DMSO에 1 mg/mL 농도로 녹여서 사용하였다. PBS에 2 g/L BSA(bovine serum albumin), 0.2 g/L NaN3를 용해시킨 다음, 2.1 Unit의 효모 α-글루코시데이즈(Sigma, USA) 0.024 g/L을 용해시켜 효소 용액을 만들고, 상기 효소용액 2 mL에 시료 400 μL를 첨가한 후, 1.2 mL를 취하여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25℃에서 10분간 water bath incubation하고 4-nitrophenyl-α-D-glucopyranoside(Sigma, USA)를 PBS에 0.55mM 농도로 용해하여 만든 기질용액 1 mL 를 첨가하고 25℃에서 10분간 water bath incubation한 후, 반응 종결을 위해 증류수에 0.1M 농도로 용해하여 만든 반응 정지시약 NaCO3 1.6 mL를 첨가하고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 DMSO를 사용하였고 양성대조군으로 기존에 α-글루코시데이즈 억제제로 알려진 아카보오스(acarbose, Sigma, USA)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하였다.
50% 흡광도의 감소를 나타내는 시료의 농도 (IC50)으로 표시하였고, 각 시료를 3회 반복 실시하여 평균하였다.
상기 얻어진 더덕 추출물 및 분획물의 α-글루코시데이즈 에 대한 저해 활성 결과를 도 10 및 11에 나타내었다. 도 10은 생더덕의 추출물 및 분획물의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11은 찐더덕의 추출물 및 분획물의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10 및 도 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0.53 ug/mL 농도에서 생더덕의 n-헥산 분획물은 45.86%,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은 33.16%, 찐더덕의 n-헥산 분획물은 32.76%,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은 57.61%로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억제율은 대조 물질인 아카보오스보다 우수한 억제율이다.
또한, 상기 도 7에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생더덕과 찐더덕의 헥산 분획물과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의 IC50 값을 측정하여 표 4 및 표 5에 각각 나타내었다. IC50은 각각 11.61 ug/mL, 15.95 ug/mL, 16.58 ug /mL, 7.63 ug/mL 로 나타났다(Table 4). 현재 시판 되고 있는 α-glucosidase 억제제로는 Acarbose(23)를 이 실험에서 표준물질로 사용하였다. Acarbose는 42.11 ug/mL농도에서 44.83%로 나 타났고 IC50은 48.14 ug/mL로 나타났다(Table 4). 이는 대조군으로 사용한 아카보오스 56.2 μg/mL보다 우수한 수치이다.
표 4. 생더덕의 헥산 분획물과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의 α-글루코시데이즈 활성 억제 효과
 Sample Concentration
(μg/mL)
Inhibition
(%)
IC50
(μg/mL)1)
n-Hex fraction 1.05
5.26
10.53
7.16
23.43
45.86
11.61
Methylene
chloride fraction
1.05
5.26
10.53
3.33
1.79
33.16
15.95
 
Acarbose2 )
 
10.53
21.06
42.11
14.94
21.84
44.83
48.14
5. 찐더덕의 헥산 분획물과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의 α-글루코시데이즈 활성 억제 효과
 Sample Concentration
(μg/mL)
Inhibition
(%)
IC50
(μg/mL)1)
n-Hex fraction 1.05
5.26
10.53
4.62
14.26
32.76
16.58
Methylene
chloride fraction
1.05
5.26
10.53
12.52
40.85
57.61
7.63
 
Acarbose2 )
 
10.53
21.06
42.11
14.94
21.84
44.83
48.14
기 표 4 및 5에서,
1)IC50값은 α-글루코시데이즈 활성의 50% 억제를 보이는 농도를 나타내는 것 으로, %억제율 vs. 3 가지 농도의 로그곡선에서 최소제곱 회귀 방정식(least-square regression equation)으로 계산된 값이다.
2)대조 물질 (Acarbose, 통상적인 α-글루코시데이즈 저해제).
통계처리
모든 자료의 통계분석은 SAS 통계 프로그램(SAS institute, 1987)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실험군당 평균과 표준오차로 나타냈다.  처리군 간의 유의성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p<0.05 수준에서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도 1은 다양한 용매를 이용하여 더덕으로부터 추출물 및 분획물을 제조하는 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TLC(Thin layer chromatography) 상에서 더덕 분획물의 분리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A-E는 찐더덕의 추출물 및 분획물 결과로서, A는 아세톤 추출물, B는 n-헥산 분획물, C는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D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E는 물 분획물이며, F-H는 생더덕의 추출물 및 분획물 결과로서, A는 아세톤 추출물, B는 n-헥산 분획물, C는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D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E는 물 분획물).
도 3은 더덕 추출물 및 분획물의 DPPH 소거 효과를 보여주는 TLC 결과이다 (A-E는 찐더덕의 추출물 및 분획물 결과로서, A는 아세톤 추출물, B는 n-헥산 분획물, C는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D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E는 물 분획물이며, F-H는 생더덕의 추출물 및 분획물 결과로서, A는 아세톤 추출물, B는 n-헥산 분획물, C는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D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E는 물 분획물).
도 4는 생더덕의 추출물 및 분획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Each bar represents the mean ± SD (n=3); Acetone: 아세톤 추출물; n-Hex: n-헥산 분획물; MC: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EtOAc: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H2O: 물 분획물).
도 5는 찐더덕의 추출물 및 분획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Each bar represents the mean ± SD (n=3); Acetone: 아세톤 추출물; n-Hex: n-헥산 분획물; MC: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EtOAc: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H2O: 물 분획물).
도 6은 생더덕의 추출물 및 분획물의 최종당화산물(AGEs) 생성 억제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Each bar represents the mean ± SD(n=3); 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AG: 아미노구아니딘; Acetone: 아세톤 추출물; n-Hex: n-헥산 분획물; MC: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EtOAc: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H2O: 물 분획물).
도 7은 찐더덕의 추출물 및 분획물의 최종당화산물(AGEs) 생성 억제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Each bar represents the mean ± SD(n=3); 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AG: 아미노구아니딘; Acetone: 아세톤 추출물; n-Hex: n-헥산 분획물; MC: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EtOAc: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H2O: 물 분획물).
도 8은 생더덕의 추출물 및 분획물의 알도오스 환원효소 활성 억제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Each bar represents the mean ± SD(n=3); 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Quercetin: 퀘르세틴; Acetone: 아세톤 추출물; n-Hex: n-헥산 분획물; MC: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EtOAc: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H2O: 물 분획물).
도 9는 찐더덕의 추출물 및 분획물의 알도오스 환원효소 활성 억제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Each bar represents the mean±SD(n=3); 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Quercetin: 퀘르세틴; Acetone: 아세톤 추출물; n-Hex: n-헥산 분획물; MC: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EtOAc: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H2O: 물 분획물).
도 10은 생더덕의 추출물 및 분획물의 알파-글루코시데이즈 활성 억제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Each bar represents the mean ± SD (n=3); 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Acarbose: 아카보오스; Acetone: 아세톤 추출물; n-Hex: n-헥산 분획물; MC: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EtOAc: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H2O: 물 분획물). 
도 11은 찐더덕의 추출물 및 분획물의 알파-글루코시데이즈 활성 억제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Each bar represents the mean ± SD (n=3); 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Acarbose: 아카보오스; Acetone: 아세톤 추출물; n-Hex: n-헥산 분획물; MC: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EtOAc: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H2O: 물 분획물).

Claims (7)

  1. 더덕을 물, C3 내지 C5의 케톤, C1 내지 C4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을 물, C5 내지 C7의 알칸,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및 C1 내지 C4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또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더덕을 60 내지 80%(v/v) 아세톤으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을 C5 내지 C7의 알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또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더덕을 60 내지 80%(v/v) 아세톤으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
    상기 추출물을 헥산으로 분획하여 얻어진 헥산 분획물;
    상기 헥산 분획물을 분리하고 남은 수성층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분획하여 얻어진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상기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을 분리하고 남은 수성층을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얻어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분리하고 남은 물 분획물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또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더덕은 생더덕 또는 찐더덕인, 당뇨 또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합병증은 당뇨병성 혈관장애, 당뇨병성 신경장애 또는 당뇨병성 감염증인, 당뇨 또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합병증은 당뇨성 망막증(diabetic retinopathy), 당뇨성 백내장(diabetic cataract), 당뇨성 신증(diabetic nephropathy), 당뇨성 신경병 증(diabetic neuropathy), 당뇨성 혈관합병증인, 당뇨 또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당뇨 또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KR1020090115387A 2009-11-26 2009-11-26 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26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387A KR101126677B1 (ko) 2009-11-26 2009-11-26 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387A KR101126677B1 (ko) 2009-11-26 2009-11-26 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556A true KR20110058556A (ko) 2011-06-01
KR101126677B1 KR101126677B1 (ko) 2012-03-29

Family

ID=44394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5387A KR101126677B1 (ko) 2009-11-26 2009-11-26 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6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0522A1 (ko) * 2018-08-20 2020-02-27 정우재 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3616687A (zh) * 2021-09-10 2021-11-09 中国科学院西北高原生物研究所 一种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960B1 (ko) 2015-08-04 2018-05-0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발아 벼 왕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당뇨용 조성물
KR101710276B1 (ko) 2015-08-19 2017-02-2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참치 심장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당뇨용 조성물
KR102099559B1 (ko) 2019-01-29 2020-04-10 김두성 당뇨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43138B1 (ko) * 2021-11-03 2021-12-24 이용기 쇠비름 추출물 등을 이용한 항당뇨 조성물
KR102622081B1 (ko) 2023-03-02 2024-01-09 농업회사법인 맑을청웰빙 주식회사 당뇨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0522A1 (ko) * 2018-08-20 2020-02-27 정우재 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3616687A (zh) * 2021-09-10 2021-11-09 中国科学院西北高原生物研究所 一种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6677B1 (ko) 201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6677B1 (ko) 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7959956B2 (en) Method for treating diabetic complications
KR101193085B1 (ko) 민들레 유산균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또는 당뇨합병증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37854B1 (ko) 오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및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427784B1 (ko) 인삼 및 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KR101616811B1 (ko) 짚신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및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0926454B1 (ko) 옻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에서 분리한화합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110300246A1 (en) Herbal Extracts for Treatment of Diabetic Complications and Oxidative Stress
KR20110055771A (ko) 엉겅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성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481114B1 (ko) 바나바, 호로파 및 여주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혈당강하용 약학적 조성물
KR101142154B1 (ko) 노팔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97726B1 (ko) 곰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681980B1 (ko) Colona auricaulata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49670B1 (ko) 흰진달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병성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84663B1 (ko) 계혈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최종당화산물 억제 효능을 갖는 조성물
KR102172872B1 (ko) 머루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최종당화산물 억제 효능을 갖는 조성물
KR100671793B1 (ko) 참소리쟁이 추출물, 소리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20150115973A (ko) 해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및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N110404029B (zh) 一种具有降血糖功效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276293B1 (ko) 현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88743B1 (ko) 신규한 아마도리 화합물 및 그 용도
KR100887234B1 (ko)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합병증 치료 또는예방용 조성물
KR102003354B1 (ko) 꼬리겨우살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당뇨용 조성물
KR101437647B1 (ko) 까치박달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20110090584A (ko) 금불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 또는 당뇨합병증 저해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