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8541A - 연마장치 - Google Patents

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8541A
KR20110058541A KR1020090115368A KR20090115368A KR20110058541A KR 20110058541 A KR20110058541 A KR 20110058541A KR 1020090115368 A KR1020090115368 A KR 1020090115368A KR 20090115368 A KR20090115368 A KR 20090115368A KR 20110058541 A KR20110058541 A KR 20110058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guide
protrusion
base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5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4903B1 (ko
Inventor
강식성
Original Assignee
윈윈다이아몬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윈윈다이아몬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윈윈다이아몬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5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903B1/ko
Publication of KR20110058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8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9/00Wheels or drums supporting in exchangeable arrangement a layer of flexible abrasive material, e.g. sandpaper
    • B24D9/003Wheels having flaps of flexible abrasive material supported by a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3/00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 B24D3/001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supporting member
    • B24D3/002Flexible supporting members, e.g. paper, woven, plas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3/00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 B24D3/02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bonding agent
    • B24D3/04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bonding agent and being essentially inorganic
    • B24D3/06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bonding agent and being essentially inorganic metallic or mixture of metals with ceramic materials, e.g. hard metals, "cermets", cements
    • B24D3/10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bonding agent and being essentially inorganic metallic or mixture of metals with ceramic materials, e.g. hard metals, "cermets", cements for porous or cellular structure, e.g. for use with diamonds as abra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5/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nly by their periphery;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 B24D5/06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nly by their periphery;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e.g. segme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7/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 B24D7/06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e.g. segmental
    • B24D7/066Grinding blocks; their mountings 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7/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 B24D7/16Bushings;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9/00Wheels or drums supporting in exchangeable arrangement a layer of flexible abrasive material, e.g. sandpaper
    • B24D9/04Rigid drums for carrying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9/00Wheels or drums supporting in exchangeable arrangement a layer of flexible abrasive material, e.g. sandpaper
    • B24D9/08Circular back-plates for carrying flexible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구비되는 연결부 및 연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연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연마장치는 마모가 심한 연마부 만을 선택하여 교체 가능함으로써, 연마 과정에 소요되는 제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연마, 다이아몬드, 디스크, 드럼

Description

연마장치{POLISHING DEVICE}
본 발명은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마 대상물과의 연마 과정에서 마모된 부분을 선별하여 교체함으로써, 연마 공정에서 제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마는 금속, 비철금속 또는 기타 다양한 종류의 소재를 갖는 결합부위나 가공부위 또는 성형부위의 표면, 소재의 표면에서 돌출된 부위, 성형 및 가공시 발생하는 버(Burr)의 제거, 소재의 표면에 부착 또는 마감된 이물질 또는 마모(손상)된 도장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표면 연마에 사용되는 도구가 연마장치이며, 이러한 연마장치는 이용자가 직접 들고 연마를 수행하도록 하는 핸드 타입과, 이용자가 보행하면서 연마를 수행하도록 하는 보행 타입으로 구분된다.
핸드 또는 보행 타입의 연마장치는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연마공구와, 연마공구에 장착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연마 대상물과 연접되어 마찰을 일 으켜 실질적인 연마를 수행하는 연마디스크 또는 연마드럼으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 연마디스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연마디스크(1)는 연마공구와 결합할 수 있도록 중앙에 고정홀(2)을 형성한 금속재질의 베이스(3)를 원판형태로 구비하고, 베이스(3)의 저면 가장자리(연마방향)에는 통상적인 다이아몬드분말로 구성된 많은 수의 연마돌기(4)를 융착시켜 구성하고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 기술에 적용되는 연마디스크는 실질적으로 연마를 수행하는 부분이 베이스의 표면에 융착된 연마돌기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연마돌기가 연마 대상물과 연접 마찰하면서 마모될 경우에는 수명을 다하게 된다.
연마디스크의 경우에는 베이스가 금속재질로 구성됨으로서 충분한 강성을 유지하여 연마 과정에서 발생하는 압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대체적으로 핸드타입의 연마공구에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는 특성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연마디스크에 고르게 압력을 가하지 못하게 되므로 특정 부위에만 연마작동이 일어나게 된다.
즉, 연마과정에서 베이스의 가장자리 끝단이 연마 대상물과 가장 많이 접촉하기 때문에, 이곳에 하중이 집중되어 융착된 연마돌기가 쉽게 탈락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와 같이 다른 부위의 연마돌기는 정상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마디스크를 더 이상 사용하지 못하고 교환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베이스에 융착 고정된 연마돌기의 마모로 연마디스크 전체를 교환 장착하여야 하므로, 불필요한 낭비 요인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연마 작업과 관련한 원가 상승의 요인을 가져와 대외적인 경쟁력이 취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베이스에 다수개의 연마돌기가 구획되어 배치되고, 손상된 연마돌기 부분만을 개별적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연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연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마부가 삽입되는 장착부가 형성되는 체인지부; 및 상기 체인지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마부가 삽입되는 장착부가 형성되는 체인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부의 일측은 밀폐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연마부가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제1안내부; 및 상기 제1안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연마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안내부와 상기 제2안내부는 일측은 밀폐되고, 타측은 개구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안내부는 상기 제2안내부 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마부는 상기 제1안내부와 상기 제2안내부에 삽입되어 걸리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연마 대상물과 접촉되는 작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안내부에 삽입되는 제1삽입부; 상기 제1삽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안내부에 삽입되는 제2삽입부; 및 상기 제1삽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작업부와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고무, 우레탄 또는 합성수지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는 회전방향에 대하여 원호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체인지부의 외주면에 걸리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삽입부에서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부는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는 금속재질의 연마판; 및 상기 연마판에 융착되고, 다이아몬드분말로 성형되는 연마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마부에는 탄성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마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마장치는 연마부가 연결부에 탈부착됨으로써, 마모가 심한 연마부만을 선택하여 교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연마 제반비용을 절감하고 연마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마장치는 체인지부의 장착부 일측이 밀폐되고, 원심력에 의해 체인지부에 삽입된 연마부가 장착부의 밀폐된 부분에 걸리므로, 연마 작업 중에 연마부가 체인지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마장치는 돌출부가 원호면을 형성하여, 돌출부와 결합되는 연마판이 연마 대상물과 골고루 접촉되므로, 연마돌기가 골고루 연마 작업에 사용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마장치는 지지부가 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돌출부 또는 연마판에는 탄성슬릿이 형성됨으로써, 연마 대상물에 의해 가압된 후 원활한 원상 회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마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마부의 일 실시예로 탄성슬릿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100,200)에는 베이스부(110,210), 연결부(120,220) 및 연마부(130,230)가 구비된다.
베이스부(110,210)는 연마공구(미도시)와 탈부착되는 것으로서, 연마공구와 결합을 위한 공구홀(111,211)이 형성된다. 이러한 베이스부(110,210)는 디스크 형상을 하며, 연마공구는 베이스부(110,2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연결부(120,220)는 베이스부(110,210)의 일측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이 격되어 구비된다.
연마부(130,230)는 연결부(120,22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연마 대상물을 연마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100)에서 연결부(120)에는 체인지부(121)와 체결부(122)가 구비된다.
체인지부(121)에는 연마부(130)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장착부(20)가 형성되고, 베이스부(110)에 탈부착된다. 체결부(122)는 체인지부(121)가 베이스부(110)에 착탈 가능하도록, 체인지부(121)를 베이스부(110)에 체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122)에는 체인지홀(122a), 베이스홀(122b) 및 고정체(122c)가 구비된다. 볼트 형상의 고정체(122c)는 체인지부(121)에 형성되는 체인지홀(122a)을 관통하고, 베이스부(110)에 형성되는 베이스홀(122b)에 나사 결합되어, 체인지부(121)를 베이스부(110)에 결합시킨다.
따라서, 베이스부(110)에 장착된 체인지부(121)가 손상되는 경우, 체인지부(121)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200)에서 연결부(220)에는 체인지부(221)가 구비된다. 이러한 체인지부(221)는 베이스부(2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체인지부(221)에는 연마부(23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장착부(20)가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100,200)에서 장착부(20)는 일측이 밀폐되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 착부(20)는 일측이 밀폐되고, 타측이 개구되는 형상을 한다.
장착부(20)의 일측은 베이스부(110,210)의 중심에 근접하고, 장착부(20)의 타측은 베이스부(110,210)의 가장자리 부분에 근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20)에는 제1안내부(21)와 제2안내부(22)가 구비된다.
제1안내부(21)는 체인지부(121,221)의 상측면을 개구하는 형상을 하며, 연마부(130,230)는 제1안내부(21)에 슬라이딩 삽입된다. 제2안내부(22)는 제1안내부(21)와 연통되고, 연마부(130,230)의 이탈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2안내부(22)는 제1안내부(21)의 하측으로 연통되는 홈 형상을 하며, 제1안내부(21)는 제2안내부(22) 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100,200)의 연마부(130,230)에는 지지부(30)와 작업부(40)가 구비된다.
지지부(30)는 제1안내부(21)와 제2안내부(22)에 삽입되어 걸린다. 그리고, 작업부(40)는 지지부(30)와 결합되고, 연마 대상물과 접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30)에는 제1삽입부(31), 제2삽입부(32) 및 돌출부(33)가 구비된다.
제1삽입부(31)는 제1안내부(21)에 삽입된다. 제2삽입부(32)는 제1삽입부(31)와 연결되고, 제2안내부(22)에 삽입된다. 그리고, 돌출부(33)는 제1삽입부(31)와 연결되고, 외부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33)에는 작업부(40)가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부(30)인 제1삽입부(31)와 제2삽입부(32) 및 돌출부(33) 가 일체로 성형되며, 고무, 우레탄 또는 합성수지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재질에 의해 성형되는 지지부(30)는 연마 수행 과정에서 연마 대상물에 의한 가압력을 충분하게 견디면서, 재질 자체의 탄성에 의해 원형을 유지한다.
돌출부(33)는 베이스(110,210)의 회전방향에 대응되는 원호면 형상을 한다. 이러한 형상은 연마 수행 과정에서 연마 대상물의 가압력에 따라 굴절률이 가변되어, 연마 대상물과의 접촉 면적이 조절된다.
돌출부(33)에는 체인지부(121,221)의 외주면에 근접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35)이 구비된다. 이러한 걸림턱(35)은 체인지부(121,221)의 외주면에 걸리고, 제2삽입부(32)는 체인지부(121,221)의 내부에 걸린다. 따라서, 외력에 의해 연마부(130,230)가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돌출부(33)는 제1삽입부(31)에서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진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돌출부(33)는 연마 수행 과정에서 탄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부(40)에는 연마판(41)과 연마돌기(42)가 구비된다. 연마판(41)은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돌출부(33)에 결합된다. 그리고, 연마돌기(42)는 연마판(41)에 융착되고, 다이아몬드분말로 성형된다.
연마돌기(42)는 연마 대상물과 직접 접촉되어 연마 가공을 수행하며, 직선, 사선, 원호형, 마름모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마부(130,230)의 일 실시예로, 탄성슬릿(50)이 형성된다. 탄성슬릿(50)은 돌출부(33) 또는 연마판(41)에 가공되는 홀 또 는 홈 형상을 한다.
탄성슬릿(50)은 다수개가 돌출부(33) 또는 연마판(41)의 폭방향(도 6a 참조) 또는 길이방향(도 6b 참조)으로 형성되며, 일직선상에서 분할(도 6c 참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마부(130,230)는 연마 대상물에 따라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길이와 폭 및 높이가 다양하도록 제조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300)에 관한 것으로서, 드럼 형상의 베이스(310)에 연결부(320)가 구비되고, 이러한 연결부(320)에 는 연마부(330)가 장착된다.
연결부(320)에는 베이스(310)의 원주 방향으로 장착부(20)가 형성되고, 연마부(330)는 장착부(20)를 통해 삽입되어 연결부(320)에 결합된다.
이하, 연결부(320)와 연마부(330)의 구성은 디스크 방식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100,200)의 연결부(120,220)와 연마부(130,23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400)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410)에 연결부(420)가 구비되고, 이러한 연결부(420)에는 연마부(430)가 장착된다.
그리고, 베이스(410)에는 이탈방지부(440)가 설치되어 연마부(430)의 이탈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이탈방지부(440)에는 연마부(430)의 인출부분에 고정되어 연마부(430)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지체(441)와, 베이스(410)에 형성되고 방지체(441)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방지홀(442)이 형성된다.
즉, 연마부(430)가 연결부(420)에 형성되는 장착부(20)에 삽입된 후, 방지체(441)가 방지홀(442)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고정된 방지체(441)의 돌출된 부분이 연마부(430)의 이탈을 방지한다.
한편, 이탈방지부(440)는 방지체(441)와 방지홀(442)로 한정되지 않고, 연마부(430)가 연결부(420)에 장착된 후 연마부(430)의 인출부분에 위치되어 연마부(430)의 이탈을 방지하는 다양한 부품채택이 가능하다.
이하, 연결부(420)와 연마부(430)의 구성은 디스크 방식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100,200)의 연결부(120,220)와 연마부(130,23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부(110,210,310,410)에 연결부(120,220,320,420)가 구비된 상태에서, 연마부(130,230,330,430)를 연결부(120,220,320,420)에 형성되는 장착부(20)에 삽입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100)의 체인지부(121)는 체결부(122)를 통해 베이스부(110)에 탈부착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베이스부(110,210,310,410)를 연마공구에 장착하고, 연마공구를 구동시키면, 베이스부(110,210,310,410)가 회전된다.
베이스부(110,210,310,410)의 회전에 의해 연마부(130,230,330,430)가 회전 되고, 각 연마부(130,230,330,430)의 돌출부(33)에 결합되는 작업부(40)의 연마돌기(42)는 연마 대상물과 접촉된다.
연마돌기(42)는 돌출부(33)와 결합되는 연마판(41)에 융착되고, 다이아몬드분말을 포함하므로, 연마 대상물과 접촉되어 연마 대상물을 연마한다.
장착부(20)는 일측이 밀폐되고 타측이 개구되며, 연마부(130,230,330,430)의 제1삽입부(31)와 제2삽입부(32)는 장착부(20)의 제1안내부(21)와 제2안내부(22)에 각각 슬라이딩 삽입된다.
제1안내부(21)는 제2안내부(22) 보다 폭이 좁으므로, 제2삽입부(32)는 장착부(20)에 걸린 상태를 유지한다.
베이스부(110,210,310,430)가 회전되는 경우, 원심력에 의해 연마부(130,230,330,430)가 장착부(20)의 일측 밀폐된 부분에 걸리게 되므로, 연마 작업 중 연마부(130,230,330,430)는 베이스부(110,210,310,410)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특히, 연결부(420)에 연마부(430)가 장착된 상태에서, 베어스(410)에 이탈방지부(440)가 구비되면, 외력에 의해 연마부(430)가 연결부(4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연마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연마 대상물 방향으로 가압되는 압력에 따라 연마돌기(42)와 연마 대상물이 접촉되는 면이 넓어지거나 좁아지게 되므로 연마 조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마부(130,230,330,430)에는 탄성슬릿(50)이 구비되어 탄성력을 더 부여할 수 있게 되므로, 연마 대상물의 재질이나 상태 등에 따라 압력을 달리하여 연마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돌출부(33)는 탄성을 가지면서 회전방향으로 원호를 가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연마판(41)에 융착 고정된 연마돌기(42)가 서서히 마모되면서 연마판(41)도 함께 마모되기 때문에, 어느 특정부위만 편마모 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은 물론, 연마돌기(42) 전체를 고르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연마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복수개의 연마부(130,230,330,430) 중 어느 하나가 마모되는 경우, 마모된 연마부(130,230,330,430)만을 교체하므로,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하고 연마작업에 소요되는 전체 경비를 절감하면서 연마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연마디스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마부의 일 실시예로 탄성슬릿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장착부 21 : 제1안내부
22 : 제2안내부 30 : 지지부
31 : 제1삽입부 32 : 제2삽입부
33 : 돌출부 35 : 걸림턱
40 : 작업부 41 : 연마판
42 : 연마돌기 50 : 탄성슬릿
110,210,310,410 : 베이스부 120,220,320,420 : 연결부
130,230,330,430 : 연마부 440 : 이탈방지부

Claims (15)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연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마부가 삽입되는 장착부가 형성되는 체인지부; 및
    상기 체인지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마부가 삽입되는 장착부가 형성되는 체인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일측은 밀폐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연마부가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제1안내부; 및
    상기 제1안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연마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내부와 상기 제2안내부는 일측은 밀폐되고, 타측은 개구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안내부는 상기 제2안내부 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는
    상기 제1안내부와 상기 제2안내부에 삽입되어 걸리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연마 대상물과 접촉되는 작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안내부에 삽입되는 제1삽입부;
    상기 제1삽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안내부에 삽입되는 제2삽입부; 및
    상기 제1삽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작업부와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고무, 우레탄 또는 합성수지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회전방향에 대하여 원호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체인지부의 외주면에 걸리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삽입부에서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는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는 금속재질의 연마판; 및
    상기 연마판에 융착되고, 다이아몬드분말로 성형되는 연마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14.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에는 탄성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마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KR1020090115368A 2009-11-26 2009-11-26 연마장치 KR101144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368A KR101144903B1 (ko) 2009-11-26 2009-11-26 연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368A KR101144903B1 (ko) 2009-11-26 2009-11-26 연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541A true KR20110058541A (ko) 2011-06-01
KR101144903B1 KR101144903B1 (ko) 2012-05-14

Family

ID=44394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5368A KR101144903B1 (ko) 2009-11-26 2009-11-26 연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49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757B1 (ko) * 2013-02-07 2015-05-18 김희수 표면처리용 연마장치
WO2016116452A1 (en) * 2015-01-20 2016-07-28 Htc Sweden Ab Carrier disk, system comprising such carrier disk and floor grinding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565B1 (ko) * 2015-02-02 2015-10-02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그라인딩 공구
KR102216868B1 (ko) * 2017-09-25 2021-02-17 김용권 연마장치
CN111451890B (zh) * 2020-03-17 2021-08-17 广州金谷钻石工具有限公司 一种陶瓷加工用的金属结合剂弹性磨块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869U (ja) * 1992-05-19 1994-02-08 裕一 市口 研磨具
JP2578696Y2 (ja) * 1993-02-26 1998-08-13 晃 室星 回転砥石の着脱構造
JPH11151675A (ja) * 1997-11-18 1999-06-08 Speedfam Co Ltd グラインダ定盤
KR100492854B1 (ko) * 2004-09-15 2005-06-02 세원테크 주식회사 연마 휠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757B1 (ko) * 2013-02-07 2015-05-18 김희수 표면처리용 연마장치
WO2016116452A1 (en) * 2015-01-20 2016-07-28 Htc Sweden Ab Carrier disk, system comprising such carrier disk and floor grinding machine
CN107405751A (zh) * 2015-01-20 2017-11-28 赫特先瑞典股份公司 支座盘、包括这种支座盘的系统和地板研磨机
US9931734B2 (en) 2015-01-20 2018-04-03 Htc Sweden Ab Carrier disk, system comprising such carrier disk and floor grinding machine
CN107405751B (zh) * 2015-01-20 2019-07-05 胡斯华纳有限公司 支座盘、包括这种支座盘的系统和地板研磨机
CN110497272A (zh) * 2015-01-20 2019-11-26 胡斯华纳有限公司 支座盘
CN110497272B (zh) * 2015-01-20 2021-05-07 胡斯华纳有限公司 支座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4903B1 (ko) 2012-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4903B1 (ko) 연마장치
KR100492854B1 (ko) 연마 휠
US10335917B2 (en) Pad for supporting abrasive disc
KR101142480B1 (ko) 탄성 흡진후드를 구비한 핸드 그라인더
JPH11262867A (ja) 砥石アダプター
CN101678531A (zh) 用于分离磨床上的粉尘的装置和方法
KR102216868B1 (ko) 연마장치
US20070275644A1 (en) Rotary finishing wheel
KR101520757B1 (ko) 표면처리용 연마장치
KR102052502B1 (ko) 디스크 교체가 용이한 그라인더
KR102296729B1 (ko) 밀착 효율이 높은 전동연마기 탈부착용 연마디스크
KR20020082756A (ko) 연마지의 고정구
KR101353087B1 (ko) 연마장치
US20040053569A1 (en) Buffing disc for cleaning hubs
KR101110834B1 (ko) 고강도 연마용 휠
KR101004548B1 (ko) 연마 휠
KR20090012814U (ko) 슈우의 착탈이 용이한 콘크리트용 연마 휠
WO2002072313A1 (en) Operating plate with a basically circular shape for portable tools
KR101553991B1 (ko) 연마 장치용 휠 구조체
KR200381846Y1 (ko) 분리형 코어드릴
KR101117092B1 (ko) 연마용 모듈
CA1172854A (en) Backing pad for sanding disc
KR20170022046A (ko) 휴대용 칼갈이 장치
KR20120122169A (ko) 연마장치
KR20090001823U (ko) 연마 휠의 세그먼트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