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8436A - 차량용 카울 언더커버 - Google Patents

차량용 카울 언더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8436A
KR20110058436A KR1020090115231A KR20090115231A KR20110058436A KR 20110058436 A KR20110058436 A KR 20110058436A KR 1020090115231 A KR1020090115231 A KR 1020090115231A KR 20090115231 A KR20090115231 A KR 20090115231A KR 20110058436 A KR20110058436 A KR 20110058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wl
panel
undercover
top cover
dash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5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4975B1 (ko
Inventor
양승빈
송대현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5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975B1/ko
Publication of KR20110058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8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1C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카울 언더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프런트 사이드 멤버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후단에 양단이 연결 설치되는 대쉬 패널과,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상방에 위치하여 후단이 상기 대쉬 패널에 연결되는 프런트 에이프런과, 상기 대쉬 패널의 상부에 연결되는 카울 패널로 차체 전방구조를 구성하되, 상기 카울 패널은 상부에 위치하는 카울 탑커버와 상기 대쉬 패널과 카울 탑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는 카울 언더커버로 이루어면서 상기 카울 언더커버는 좌, 우 폭이 축소되면서 양측에 돌출형성되는 힌지부가 제거되고, 양측 끝단은 상기 프런트 에이프런의 내면과 밀착되면서 끼움 결합 또는 용접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룸에 위치하면서 대쉬 패널과 카울 탑커버 사이에 위치하는 카울 언더커버와 상기 카울 언더커버와 카울 탑커버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의 구조를 변경하면서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절연체의 추가 구성없이 실내 승객에게 민감한 150Hz ~ 200Hz 구간에서의 소음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엔진룸의 소음을 막고 진동이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카울 언더커버, 양측 끝단, 카울 탑커버, 사이드 에이프런, 연결브라켓.

Description

차량용 카울 언더커버{Cowl under cover panel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카울 언더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룸에 위치하면서 대쉬 패널과 카울 탑커버 사이에 위치하는 카울 언더커버와 상기 카울 언더커버와 카울 탑커버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의 구조를 변경하여 결합구조를 개선한 차량용 카울 언더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내부에는 엔진룸, 실내 및 트렁크룸을 구분하는 화이트 바디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엔진룸의 내부에는 자동차가 주행할 수 있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 및 주행속도를 제어하는 변속기 등 다양한 부품이 부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엔진룸에 부착되는 각종 부품은 중량물로서 이들을 견고히 고정함과 함께 충돌로 인하여 발생하는 충격력을 완충 및 보강하기 위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엔진룸(100)과 실내(200)를 구획하는 부분에는 카울 패널(300)이 설치되고, 상기 카울 패널(300)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 도시된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엔진룸(100)과 실내(200)를 구획하는 부분에는 카울 패널(300)이 설치되고, 상기 카울 패널(300)의 양측면에는 카울 사이드 인너 패널(320)이 설치되며, 상기 카울 사이드 인너 패널(320)의 측면에는 카울 사이드 어퍼 아웃터 패널(310) , 펜더 에이프런 어퍼 아웃터 패널(390) 및 에이프런 패널(38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패널(380)에는 엔진룸(100)의 내부에 위치되게 쇽 업쇼버 하우징 패널(370)이 설치되고, 상기 각 부품의 연결부위에는 결합력 및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후드 힌지 보강패널(330), 필러패널(340), 연장패널(350) 및 거세트(360)가 각각 부착된다.
그러나 종래의 카울 패널(300)과 에이프런 패널(380)의 결합구조는 화이트 바디를 형성하기 위하여 카울 패널의 측면에 에이프런 패널(380)의 결합시 결합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거세트(360), 필러 패널(340), 연장 패널(350) 및 후드 힌지 보강 패널(330) 등과 같은 부품이 추가로 설치되므로 부품수의 증가와 용접 작업시간의 과다로 인한 경비 및 작업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카울 패널(300)의 측면의 일부가 돌출형성되어 에이프런 패널(380)과 용접결합됨으로써 불완전한 실링으로 인한 실내 측의 수밀성 확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화이트 바디의 조립시 카울 패널이 전방으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차체 조립품질의 확보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엔진의 시동이나 고속주행시 진동이나 소음 등이 차체를 따라 내부에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엔진룸의 소음을 막고자 카울 패널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연결브라켓이 오히려 추가적인 진동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엔진룸에 위치하면서 대쉬 패널과 카울 탑커버 사이에 위치하는 카울 언더커버와 상기 카울 언더커버와 카울 탑커버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의 구조를 변경하면서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절연체의 추가 구성없이 실내 승객에게 민감한 150Hz ~ 200Hz 구간에서의 소음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엔진룸의 소음을 막고 진동이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카울 언더커버와 상기 카울 언더커버의 양측과 결합되는 사이드 에이프런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프런트 사이드 멤버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후단에 양단이 연결 설치되는 대쉬 패널과,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상방에 위치하여 후단이 상기 대쉬 패널에 연결되는 프런트 에이프런과, 상기 대쉬 패널의 상부에 연결되는 카울 패널로 차체 전방구조를 구성하되, 상기 카울 패널은 상부에 위치하는 카울 탑커버와 상기 대쉬 패널과 카울 탑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는 카울 언더커버로 이루어지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카울 언더커버는 좌, 우 폭이 축소되면서 양측에 돌출형성되는 힌지부가 제거되고, 양측 끝단은 상기 프런 트 에이프런의 내면과 밀착되면서 끼움 결합 또는 용접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룸에 위치하면서 대쉬 패널과 카울 탑커버 사이에 위치하는 카울 언더커버와 상기 카울 언더커버와 카울 탑커버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의 구조를 변경하면서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절연체의 추가 구성없이 실내 승객에게 민감한 150Hz ~ 200Hz 구간에서의 소음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엔진룸의 소음을 막고 진동이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카울 언더커버와 상기 카울 언더커버의 양측과 결합되는 사이드 에이프런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울 언더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울 언더커버를 구성하는 연결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차량 전방차체의 구조는 프런트 사이드 멤버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후단에 양단이 연결 설치되는 대쉬 패널과,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상방에 위치하여 후단이 상기 대쉬 패널에 연결되는 프런트 에이프런(50)과, 상기 대쉬 패널의 상부에 연결되는 카울 패널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카울 패널(10)은 상부에 위치하는 카울 탑커버(20)와 상기 대쉬 패널(40)과 카울 탑커버(20)의 사이에 위치하는 카울 언더커버(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카울 패널(10)과 프런트 에이프런(50)을 제외한 구성은 기존의 종래 구성과 유사함으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에이프런(50)은 기존과 같이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카울 언더커버(30)의 양측 끝단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즉, 상기 카울 언더커버(30)와 프런트 에이프런(50)은 접촉부분을 수직형성한 후 끼움 결합되거나 또는 용접을 통한 밀착결합구조를 통해 상기 프런트 에이프런(50)에서 전달되는 소음이나 충격이 카울 언더커버(30)의 양측 끝단을 통해서 내부로 전달되는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카울 언더커버(30)는 기존의 카울 언더커버의 좌, 우폭 보다 작게 형성되고 양측 끝단에 돌출형성되는 힌지부가 제거된 상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카울 언더커버(30)는 기존의 형상을 최대로 유지하면서 상기 사이드 에이프런(50)과 접촉하는 부분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이 최소가 되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카울 언더커버(30)와 카울 탑커버(20)의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연결브라켓(60)이 장착되고,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연결브라켓(60)이 장착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브라켓(60)은 강도보강을 위해 금속판의 양측을 절곡하면서 양측 끝단으로 결합공(65)이 구비되는 수직면(61)과 경사면(62)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면(61)과 경사면(62)의 사이에는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경사지지부(63)와 수평결합부(64)가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브라켓(60)은 상기 수직면(61)과 경사면(62)이 상기 카울 탑커버(20)의 전면과 상기 카울 언더커버(30)의 상면에 각각 고정결합되어 차량의 진동에 의한 흔들림을 최소화하면서도 상호 보완을 통한 강성이 증가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카울 언더커버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울 언더커버와 사이드 에이프런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프런트 사이드 멤버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후단에 양단이 연결 설치되는 대쉬 패널과,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상방에 위치하여 후단이 상기 대쉬 패널에 연결되는 프런트 에이프런(50)과, 상기 대쉬 패널의 상부에 연결되는 카울 패널로 구성되는 차량의 전방차체 구조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카울 패널(10)은 상부에 위치하는 카울 탑커버(20)와 상기 대쉬 패널(40)과 카울 탑커버(20)의 사이에 위치하는 카울 언더커버(30)로 구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카울 언더커버(30)와 카울 탑커버(20)에 연결브라켓(60)을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공(65)을 끼움 결합 또는 용접결합하면 카울 언더커버(30)와 프런트 에이프런(50) 및 연결브라켓(6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시된 도 6 및 7은 차량용 카울 언더커버의 장착에 따른 소음 실험치를 나타낸 그래프와 150 ~ 200Hz 사이의 진폭 실험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즉, 도시된 도 6은 상가 카울 언더커버(30)를 통해 DAMP'G SHEET 전구간 적용 방안과 동등 이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어서 DAMP'G SHEET 미적용으로 인한 원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시된 도 7은 상기 카울 언더커버(30)의 양측에 형성되는 힌지부를 제거함으로 통해서 중앙부 변형모드가 없어질 뿐만 아니라 전, 후방향 진폭이 줄어들 수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차량용 카울 언더커버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엔진룸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카울 패널 결합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울 언더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울 언더커버를 구성하는 연결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울 언더커버와 사이드 에이프런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울 언더커버에 따른 소음 실험치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울 언더커버의 장착시 150 ~ 200Hz 사이의 진폭 실험을 나타낸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카울 패널 20 : 카울 탑커버
30 : 카울 언더커버 40 : 대쉬 패널
50 : 프런트 에이프런 60 : 연결브라켓

Claims (2)

  1. 프런트 사이드 멤버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후단에 양단이 연결 설치되는 대쉬 패널과,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상방에 위치하여 후단이 상기 대쉬 패널에 연결되는 프런트 에이프런(50)과, 상기 대쉬 패널의 상부에 연결되는 카울 패널로 차체 전방구조를 구성하되, 상기 카울 패널(10)은 상부에 위치하는 카울 탑커버(20)와 상기 대쉬 패널(40)과 카울 탑커버(20)의 사이에 위치하는 카울 언더커버(30)로 이루어지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카울 언더커버(30)는 좌, 우 폭이 축소되면서 양측에 돌출형성되는 힌지부가 제거되고, 양측 끝단(32)은 상기 프런트 에이프런(50)의 내면과 밀착되면서 끼움 결합 또는 용접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울 언더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울 탑커버(20)과 상기 카울 언더커버(30)에는 양측 끝단으로 결합공(65)이 구비되는 수직면(61)과 경사면(62)이 형성되어 상기 카울 탑커버(20)의 전면과 상기 카울 언더커버(30)의 상면에 각각 고정결합되고, 상기 수직면(61)과 경사면(62)의 사이에는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경사지지부(63)와 수평결합부(64)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연결브라켓(60)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울 언더커버.
KR1020090115231A 2009-11-26 2009-11-26 차량용 카울 언더커버 KR101124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231A KR101124975B1 (ko) 2009-11-26 2009-11-26 차량용 카울 언더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231A KR101124975B1 (ko) 2009-11-26 2009-11-26 차량용 카울 언더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436A true KR20110058436A (ko) 2011-06-01
KR101124975B1 KR101124975B1 (ko) 2012-03-22

Family

ID=44393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5231A KR101124975B1 (ko) 2009-11-26 2009-11-26 차량용 카울 언더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9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09707A (zh) * 2014-10-28 2015-01-28 天津博信汽车零部件有限公司 汽车及其机舱隔板和通风窗盖板安装结构
CN104349969A (zh) * 2012-05-29 2015-02-11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减震器外壳结构体及减震器外壳结构体的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420U (ko) * 1998-08-28 2000-03-25 정몽규 차량용 카울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49969A (zh) * 2012-05-29 2015-02-11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减震器外壳结构体及减震器外壳结构体的制造方法
CN104309707A (zh) * 2014-10-28 2015-01-28 天津博信汽车零部件有限公司 汽车及其机舱隔板和通风窗盖板安装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4975B1 (ko) 201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0714B1 (ko) 차량용 휠하우스 기구
KR101339253B1 (ko) 자동차용 쇽업소버 하우징 지지장치
KR100918329B1 (ko) 캐빈을 갖는 주행 차량
KR101755711B1 (ko) 차량의 쇽업소버 장착부 구조
JP3864154B2 (ja) 車両のマウンティング構造
KR101188469B1 (ko) 자동차의 프론트사이드멤버와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
KR101488326B1 (ko) 엔진룸의 구조
JP6541614B2 (ja) 作業車
JP2013082245A (ja) 車両のカウル部構造
WO2011142281A1 (ja) 自動車の車体構造
KR101124975B1 (ko) 차량용 카울 언더커버
JP2019038301A (ja) 車体構造
JP5622045B2 (ja) パワートレインの支持装置
JP6816630B2 (ja) 車両用インサイドミラー取付構造
KR101610081B1 (ko) 자동차의 트랜스밋션 마운팅 구조
KR100836690B1 (ko) 배터리의 비틀림 회전 방지를 위한 배터리의 장착 구조
KR101974823B1 (ko) 자동차용 서브프레임 구조
CN219257464U (zh) 转向管柱的安装总成和车辆
JP2012061958A (ja) 車両用エンジンマウントの支持装置
KR101567099B1 (ko) 차량의 좌우 방향 차체 결합 지지 구조
KR101305194B1 (ko) 차량 도어용 소음 저감 유닛
KR100534399B1 (ko) 자동차의 카울사이드부의 보강구조
JP2013136283A (ja) 自動車のウインドシールドガラス支持構造
KR100569993B1 (ko) 자동차용 프론트사이드멤버의 엔진 마운팅구조
KR20050028770A (ko) 자동차용 패키지 트레이 보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