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7011A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7011A
KR20110057011A KR1020090113540A KR20090113540A KR20110057011A KR 20110057011 A KR20110057011 A KR 20110057011A KR 1020090113540 A KR1020090113540 A KR 1020090113540A KR 20090113540 A KR20090113540 A KR 20090113540A KR 20110057011 A KR20110057011 A KR 20110057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ction
composition
influenza virus
extract
influenz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5063B1 (ko
Inventor
이우송
노문철
박수진
장종선
류영배
권형준
김하현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13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5063B1/ko
Publication of KR20110057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7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5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50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2Alpinia, e.g. red ginger or galang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3Liquid-solid separation, e.g. centrifugation, sedimentation or crystalliz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ir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lmonology (AREA)
  • On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두구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초두구 추출물, 용매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다당류분획물이 H1N1 또는 H9N2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MDCK 세포감염을 억제하여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고 뉴라미니데이즈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초두구, 초두구 추출물, 초두구 용매분획물, 초두구 다당류분획물, 살바이러스, 뉴라미니데이즈,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조류독감, 돼지독감, 염소독감

Description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uenza virus and composition for inhibiting the activity of neuraminidase}
본 발명은 초두구로부터 추출한 추출물, 이의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H1N1 또는 H9N2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MDCK 세포감염을 억제하여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고 뉴라미니데이즈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초두구 추출물, 이의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급성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전염성이 매우 강한 바이러스로 온 세계에 집단감염이나 대 유행을 야기하여 소아, 고령자, 심폐질환 환자에게 심각한 호흡기 증상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중 하나이다(Hien, T. T. et al. N. Eng. J. Med., 350, 1179, 2004).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분류학적으로 오르토믹소바이러스(Orthomyxovirus)에 속하며 A, B, C의 3가지 형이 있으며 특히 유행적으로 확산되는 형은 A, B형이다. 이들 바이러스 표면에는 당단백질인 적혈구 응집 소(hamagglutinin, HA)와 뉴라미니데이즈(neuraminidase, NA)라는 두 종류의 표면 항원이 존재하고 내부에는 8개의 분절되어진 RNA가 존재한다. 헤마글루티닌(hamagglutinin)은 머리와 줄기로 구성되어져 있는 트라이머(trimer) 형태이고, 이중 머리 부분은 대부분의 항원변이와 관련되어 있으며 숙주세포의 표면에 있는 말단 시알산 잔기와 결합하여 바이러스를 부착시키고 순차적으로 바이러스가 숙주세포로 침투가 가능하게 한다(Chandrasekaran, A. et al. Nature biotechnology 26, 107, 2008). 뉴라미니데이즈(neuraminidase)는 머리와 줄기형태를 가지는 버섯모양의 테트라머(tetramer)로 머리상단 표면에 활성자리가 있으며 감염된 세포내에서 복제 및 증식된 바이러스가 세포표면의 올리고사카라이드 부분과 말단 뉴라민산(neuraminic acid) 잔기를 연결해주는 알파-케토사이딕 본드(ketosidic bond)를 절단하여 바이러스를 숙주세포 밖으로 배출하여 호흡기 점막세포로 침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a. Mark, V. I. Nature review 6, 967, 2007. b. Huberman, K. et al. Virology 214, 294, 1995).
바이러스의 표면항원들은 동일한 아형에서 변이를 일으키고, 매년 새로운 항원 변이주가 출현한다. 특히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중 최근까지 문제가 되고 있는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대변이가 일어나 닭, 칠면조, 오리 및 야생조류 등 여러 종류의 조류를 감염시키며 빠른 전파로 인해 닭이 감염되면 80% 이상이 폐사함으로 전 세계적으로 양계산업에 가장 큰 피해와 위협을 주는 바이러스 질환이며, 그 파급효과는 양계산업에만 한정되어 있지 않고 인체에 대한 감염으로 인하여 사람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Gubareva, L. V. et al. Lancet. 355, 2000). 현재까지 이러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사람에게 질환을 일으킨 경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20세기 세 차례의 독감대유행, 즉 스페인독감(H1N1)으로 약 3천만 명, 아시아독감(H2N2)으로 약 백만 명, 홍콩독감(H3N2)으로 백만 명 정도가 사망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21세기에 접어들어 2003년부터 2008년까지는 385명이 감염되어 243명이 사망에 이르렀고, 최근 2009년 4월에 발생한 신종플루는 이미 WHO에서 공식적으로 펜더믹을 선포하였고, 9월 16일 현재 세계적으로는 감염환자가 260,000명을 넘어섰으며, 감염에 의해 죽은 사망자는 20여개국에서 1000명을 넘어섰고, 우리나라에서도 멕시코 자원봉사를 다녀온 수녀가 2009년 5월 2일 첫 확진환자로 판명되었으며, 2009년 9월 16일 발표를 기준으로 약 1만명 이상이 감염되었고, 8명은 중증으로 입원 치료를 받고 있으며, 12명이 지병 합병증 또는 급성 합병증으로 사망하였다.
이러한 바이러스의 감염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피세포로의 흡착 저해, 세포로의 침입 저해, 유전자의 전사 및 복제의 저해, 단백질 합성의 저해, 세포로부터 방출의 억제 등을 생각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항 바이러스의 표적이 되고 있다.
종래부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되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서 아만타딘(Amatadine), 리만타딘(Rimatadine), 자나미비(Zanamivir), 오셀타미비르(Oseltamivir) 등 4가지 물질이 미국식품의약품 안전청(FDA)으로부터 승인받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바이러스 증식에 필수적인 세포막 단백질인 M2 단백질의 이온채널을 차단하여 바이러스의 탈외피(uncoating)를 방해함으로써 항바이러스 작 용을 하는 M2 억제제인 아만타딘(Amatadine), 리만타딘(Rimatadine)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형에만 효과가 있으며 40년 동안 사용되는 동안 내성을 가진 바이러스가 발생되고 신경계 및 위장에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Bantia, S. et al. Antiviral Research 69, 39, 2006). 1999년 이후에는 바이러스의 증식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내성 발생빈도가 적으며, A형 및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모두에 안정적으로 존재하는 뉴라미니데이즈의 저해제인 자나미비르(Zanamivir), 오셀타미비르(Oseltamivir)와 같은 신약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 치료에 대한 보고되고 있다(Zhang, J. et al. Bioorg. Med. Chem. Lett. 16, 3009, 2006).
그러나 자나미비르의 경우에는 높은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고 있지만 낮은 생체이용율과 빠른 신장에서의 배출의 단점(Ryan, D. M. et al. Antimicrob. Agents Chemother., 39, 2583, 1995)을 가지고 있으며, 오셀타미르는 심각한 구토증세가 나타나는 부작용이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항바이러스들은 심한 부작용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 응용에 대한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백신의 개발은 유행하는 바이러스의 형과 백신의 바이러스가 맞지 않으면 효과가 낮은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감염 억제 효과가 뛰어나고 안정성이 우수한 새로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의 개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초두구 추출물 및 이로부터 얻은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이 바이러스에 대한 살바이러스 억제효과 및 뉴라미니데이즈에 대한 억제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초두구 추출물, 이로부터 얻은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예방 및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초두구 추출물, 이로부터 얻은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초두구 추출물, 이로부터 얻은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초두구 추출물, 이로부터 얻은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을 포함하는 다양한 생물 종에 존재하는 뉴라미니데이즈의 활성을 억제하여 그와 관계되는 질환의 치료에 이용할 수 있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억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서, 초두구 추출물, 이의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초두구 추출물, 초두구 용매분획물 또는 초두구 다당류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발병 또는 발병가능성이 있는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초두구 추출물, 초두구 용매분획물 또는 초두구 다당류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을 뉴라미니데이즈를 포함하는 시료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뉴라미니데이즈의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초두구 추출물, 이의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MDCK 세포감염을 억제하여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표면에 존재하면서 바이러스 복제에 필수적인 기능을 하는 뉴라미니데이즈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호흡기관 내 다른 세포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기 때문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이란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 염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란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C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H1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또는 H9N2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독감, 감기, 인후염, 기관지염, 폐렴을 일으킬 수 있으며, 특히 조류독감, 돼지독감 또는 염소독감을 야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초두구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초두구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및 환류추출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세척 및 건조로 이물질이 제거된 초두구를 분쇄하여 얻은 초두구 건조물을 건조 중량의 약 2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5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및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알콜의 극성 용매 또는 이들의 약 1:0.1 내지 1:10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용매로,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약 12시간 내지 4일, 바람직하게는 3일 동안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냉침추출로 1회 내지 5회 연속 추출하여 감압여과하고 그 여과추출물을 진공회전농축기로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감압농축하여 물, 저급 알콜 및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초두구 조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극성 용매 가용 추출물은 상기 조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한 후, 이를 현탁액이 약 1 내지 100배,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5배 부피의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과 같은 비극성 용매를 가하여 1회 내지 10회, 바람직하게는 2회 내지 5회 비극성용매 가용 층을 추출, 분리하여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Harborne J.B. Phytochemical methods: A guide to modern techniques of plant analysis, 3rd Ed. p6-7, 1998).
또한 본 발명의 초두구 분획물 추출은 초두구 분쇄물을 C1~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와 함께 6 시간 내지 24 시간, 바람직하게는 12 시간 교반 추출 후, 바람직하게는 현탁액을 필터 후 약 1 내지 5배 부피의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C1~C4의 저급알콜 및 물을 이용하여 극성에 따른 분획화 과정을 거쳐 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클로로포름 분획물, C1~C4의 저급알콜 분획물 및 물 분획물로서 각각의 초두구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초두구 다당류분획물은 초두구를 8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열수 환류장치를 통하여 2 내지 12시간, 바람직하기로는 6 시간 추출한 후, 상기 열수추출물을 냉침법과 원심분리법을 통하여 상등액을 획득하고 상기 상등액을 바람직하게는 증류수를 이용하여 2 내지 6 브릭스, 바람직하게는 4 브릭스로 희석시킨 후 에탄올 1 내지 4배의 용량을 연속적으로 드롭핑 하면서 교반시킨 다음, 냉침법을 이용하여 다당류를 침지시키고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초두구 다당류분획물을 회수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초두구 다당류분획물은 H1N1 또는 H9N2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MDCK 세포감염을 억제하여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고 뉴라미니데이즈의 활성을 저해하는 활성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인 경우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 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감염된 바이러스 종류,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초두구 추출물, 그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은 1일 0.0001 내지 10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발병 또는 발병가능성이 있는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C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H1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또는 H9N2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은 독감, 감기, 인후염, 기관지염, 폐렴일 수 있으며, 특히 조류독감, 돼지독감 또는 염소독감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체"란 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 이미 감염되었거나 감염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하고 본 발명의 추출물,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함으로써, 상기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성물로 다양한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아형 또는 변이형의 인간 인플루엔자바이러스로 감염된 인간을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로 다양한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아형 또는 변이형의 조류 인플루엔자바이러스로 감염된 인간을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아형 또는 변이형의 조류 인플루엔자바이러스로 감염된 닭 또는 돼지를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기존의 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치료제와 병행하여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초두구 추출물, 이의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초두구 추출물, 이의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초두구 추출물, 이의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추출물,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초두구 추출물, 이의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은 원료 조성물 중 0.01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 1중량%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과육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 ~ 1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들 성분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초두구 추출물, 이의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의약외품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초두구 추출물, 이의 용매분 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을 의약외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추출물,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소독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가습기 충진제, 마스크, 연고제 또는 필터충진제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두구 추출물, 이의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뉴라미니데이즈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C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Clostridium perfringens) 또는 인간에서 유래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H1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또는 H9N2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서 유래한 것일 수 있다.
뉴라미니데이즈(neuraminidase: 시알리데이즈, 아실뉴라미닐 하이드롤레이즈 라고도 알려져 있음)는 동물과 몇몇 미생물에 존재하는 효소로, 뉴라미니데니즈를 함유하는 많은 미생물이 인간과 가금류, 말, 돼지, 및 바다표범을 비롯한 다른 동물에게 병을 일으킨다. 따라서,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을 억제하는 본 발명의 조성 물은 뉴라미니데니즈의 활성과 관련된 많은 질환들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뉴라미니데이즈를 포함하는 시료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뉴라미니데이즈의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접촉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뉴라미니데이즈를 포함하는 시료는 살아있는 유기체, 조직 또는 세포 배양체, 생물학적 물질 시료(혈액, 혈청, 뇨, 뇌척수액, 눈물, 가래, 타액, 조직 시료 등) 등이 포함되며, 뉴라미니데이즈를 생성시키는 유기체, 대개 바이러스와 같은 병인성 유기체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시료들은 물, 또는 유기 용매/물 혼합물 등을 포함하는 어떠한 배지 내에 담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한 후에 뉴라미니데이즈의 활성은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을 진단하는 직접 또는 간접 방법을 포함한 어떠한 방법에 의해서도 관찰될 수 있다.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을 진단하는 정량적인, 정성적인 또는 세미-정량적인 방법들 모두가 사용가능하며, 살아있는 유기체의 생리학적인 특성을 관찰하는 등의 다른 어떠한 방법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초두구 추출물, 이의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들은 H1N1 또는 H9N2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MDCK 세포감염을 억제하여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고 뉴라미니데이즈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초두구의 추출물 제조
초두구 건량 600g을 추출용기에 넣고 94% 에탄올 1,500 ml을 가하여 12 시간 상온에서 추출과정을 거쳤다. 추출과정을 거친 초두구 추출액을 여과지에 여과과정을 거처 감압농축 또는 동결건조하여 초두구 에탄올 추출물 46 g을 얻었다. 도 1에 초두구 알코올 추출물 제조과정을 도시하였다.
실시예 2: 초두구의 용매분획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초두구 알코올 추출물 46 g에 대하여 먼저 에틸아세테이트 500 ml을 첨가하여 녹인 후, 물 500 ml을 첨가하여 충분하게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된 초두구 알코올 추출물 용액을 다시 분별깔대기(separator funnel)에 담고 에틸아세테이트층과 물층을 완벽하게 분리하였다. 분리된 각 층에 대하여 상기 방법과 동일한 실험방법을 세 번 반복하여 얻어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수분을 제거하고 감압농축하여 초두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28.2 g을 획득하였다. 또한, 물 분획물은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시켜 초두구 물 분획물 17 g을 얻었다. 도 1에 초두구 분획물 제조과정을 도시하였다.
실시예 3: 초두구의 다당류분획물 제조
초두구 다당류분획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Tang J., et al (Carbohydr. Polym., 2008) 방법을 참고하여 수행하였다.
먼저, 초두구 600 g을 추출용기에 담고 1차 증류수 1,500 ml를 환류 추출기에 넣고 80℃ 열수를 환류 시키면서 6 시간 추출하였다. 추출 완료 후, 여과지에 초두구를 걸러내고 열수추출물을 상온에서 냉각하여 냉각된 열수추출물을 원심분리기용 용기에 각각 250 ml씩 4개로 나뉘어서 3,0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시켜 초두구 열수 추출물의 찌꺼기(debris) 및 침전물을 걸러내었다. 걸러진 초두구 열수 추출물 1,000 ml을 교반기 위의 반응용기에 담고 300 rpm으로 교반시킨 후 94% 공업용 에탄올을 천천히 연속적으로 떨어뜨려 초두구 열수 추출물 용량의 4배가 될 때까지 진행하였다. 혼탁액 5,000 ml을 냉장실에서 6 시간 냉침시킨 후, 상기의 동일한 원심분리 방법을 이용하여 여과 및 동결건조를 통하여 초두구 다당류분획물 56 g을 얻었다. 도 2에 초두구 다당류분획물의 제조과정을 도시하였다.
실험예 1: 초두구 추출물, 이의 용매분획물 및 다당류분획물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저해 효과 측정
초두구 추출물, 이의 용매분획물 및 다당류분획물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1N1 (A/PR/8/34) 및 H9N2 (A/Chicken/Korea/MS96/96)]에 대한 살바이러스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개의 신장세포주인 MDCK (Madin-Darby canine kidney, ATCC: CCL-34)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in vitro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96 well microplate에 MDCK세포를 각 well 당 1 X 105/ well 이 되도록 넣고 배지 EMEM (penicillin 100 units, streptomycin 100 mg, 10% FBS)으로 배양하였다. MDCK 세포가 monolayer가 되면 항생제만 포함된 EMEM 배지로 2회 세척하였다. H1N1 및 H9N2주를 각각 100 TCID50이 되도록 희석하여 EP 튜브에 담아 두었다. 여기에 DMSO (dimethylsulfoxide)로 희석한 초두구 추출물, 초두구 용매분획물 및 초두구 다당류분획물을 각각 최종 농도가 50 mg/mL 및 10 mg/mL가 되도록 각 튜브에 넣은 후 4℃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1시간 후 미리 세척한 MDCK 세포에 한 농도 당 3 well에 각각 접종하였다. 한편, “비감염+비투여” 대조군(Control, H1N1 및 H9N2주로 감염시키지 않고, 초두구 추출물, 이의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을 투여하지 않은 세포군) 및 “감염+비투여” 대조군(Virus control, H1N1 및 H9N2주로 감염시킨 후, 초두구 추출물, 이의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을 투여하지 않은 세포군)을 동일한 조건에서 1시간 반응 후 MDCK 세포에 접종하여 35℃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1시간 후 plate의 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PBS로 1회 세척 후, 항생제와 10 mg/ml trypsin이 첨가된 EMEM 배지를 각 well에 100 ml씩 분한 후, 35℃에서 48-72시간 배양하였다.
감염+비투여 대조군과 본 발명의 초두구 추출물, 이의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 류분획물이 나타내는 살바이러스 효과(저해도(%))를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비교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71911912-PAT00001
상기 식에서, O.D 값은 450 nm에서 측정한 흡광도 값을 의미한다.
시 료 명 투여량(Dose)
(㎍/ml)
 
저해율 (%)
H1N1a  H9N2a
초두구 에탄올 추출물 10 41.9 26.8
초두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0 72.6 74.0
초두구 물 분획물 10 77.0 66.5
초두구 열수 추출물 10 107.2 73.4
초두구 다당류분획물 10 94.8 106.8
a, 분획물과 바이러스를 섞어 4℃에서 1시간 동안 반응 시키고 MDCK 세포에 감염시킨 1시간 후 PBS로 1회 세척 후 trypsin 10 mg/ml이 첨가된 EMEM 배지로 교환하여 35℃에서 48-72시간 배양함. 분획물 + 바이러스 ==> 4℃에서 1시간 동안 반응==> MDCK 세포에 1시간 처리==> PBS로 1회 세척 ==> trypsin 10 mg/ml이 첨가된 EMEM 배지로 교환==> 35℃에서 48-72시간 배양함.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초두구의 알코올 추출물은 저조한 살바이러스 효과를 보여주었고, 각 용매분획물, 열수추출물 및 다당류분획물에서는 H1N1과 H9N2 모두 우수한 살바이러스 효과를 보여주었다. 특히 열수 추출물 및 다당류분획물의 살바이러스 효과가 뛰어남을 알수 있었다.
실험예 2: 초두구 추출물, 이의 용매분획물 및 다당류분획물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뉴라미니데이즈(rvH1N1 influenza A virus neuraminidase)에 대한 저해 효과 측정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의 초두구 추출물, 이의 용매분획물 및 다당류분획물의 뉴라미니데이즈에 대한 저해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1918년 스페인 독감으로부터 분리된 바이러스(A/Bervig_Mission/1/18)의 재조합 뉴라미니데이즈인 rvH1N1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의 뉴라미니데이즈(R&D SYSTEM, 4858-NM)를 사용하였다. 기질은 2′-(4-트리메틸움벨리페릴)-α-D-N-아세틸-뉴라미닌산 나트륨염 [2′-(4-trimethylumbelliferyl)-α-D-N-acetyl-neuraminic acid sodium salt]을 Sigm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의 초두구 추출물, 이의 용매분획물 및 다당류분획물을 각각 용매에 녹여 각각 20 μL씩 첨가하고 기질은 2′-(4-트리메틸움벨리페릴)-α-D-N-아세틸-뉴라미닌산 나트륨염 (최종농도, 200 μM)을 50 ml 넣고, 5 mM CaCl2와 200 mM NaCl이 첨가된 트리스 완충용액(pH 7.5) 80 ml와 혼합하였으며, 효소원인 뉴라미니데이즈(효소 최종농도, 0.05 ng/ml) 50 ml을 첨가하여 25 ℃ 상온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키고 형광 분광기로 365 ㎚에서 흡광과 445 nm에서의 발광을 측정함으로서 뉴라미니데이즈의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 료 명 뉴라미니데이즈 억제활성(IC50)1)
A/Bervig-Mission/1/18 (rvH1N1)
초두구 에탄올 추출물 153.1 mg/ml
초두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3.2 mg/ml
초두구 물 분획물 25.0 mg/ml
초두구 열수 추출물 20.4 mg/ml
초두구 다당류분획물 62.6 mg/ml
[주] 1) : 두 번 실험의 평균값으로 결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두구 추출물, 이의 용매분획물 및 다당류분획물은 각각의 뉴라미니데이즈에 대한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초두구 에탄올 추출물은 153.1 mg/ml, 에틸아세테이드 분획물은 13.2 mg/ml, 물 분획물은 25.0 mg/ml, 열수 추출물은 20.4 mg/ml, 다당류분획물은 62.6 mg/ml의 IC50값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살바이러스에 대한 우수한 효과 뿐만 아니라 뉴라미니데이즈에 대한 높은 저해활성 효과도 나타내므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3: 본 발명의 초두구 추출물, 용매분획물 다당류분획물의 급성 독성 실험
본 발명의 초두구 추출물, 용매분획물 및 다당류분획물에 대한 급성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6주령의 특정 병원체 부재(SPF, specific pathogens free) C57BL/6J 마우스를 암수 각각 12 마리씩 4군(암수 각각 3마리/실험군)으로 나누어, 온도 22±3℃, 습도 55±10%, 조명 12L/12D의 동물실내에서 사육하였다. 마우스는 실험에 사용되기 전 1주일 정도 순화시켰다. 실험동물용 사료(마우스 및 랫트용, (주)제일제당, 서울, 대한민국) 및 음수는 멸균한 후 공급하였으며 자유 섭취시켰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초두구 추출물, 용매분획물 및 다당류분획물을 0.5% 트윈 80(tween 80)에 50 mg/mL 농도로 조제한 후, 마우스 체중 20 g 당 0.04 mL(100 mg/kg), 0.2 mL(500 mg/kg) 및 0.4 mL(1,000 mg/kg)씩 경구 투여하였다. 시료는 단회 경구 투여하였으며, 투여 후 7일 동안 다음과 같이 부작용 또는 치사 여부를 관찰하였다. 즉, 투여당일은 투여 후 1시간, 4시간, 8시간, 12시간 뒤에, 그리고 투여 익일부터 7일째 까지는 매일 오전, 오후 1회 이상씩 일반증상의 변화 및 사망동물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상기와 같은 급성 독성실험 결과, 시료를 투여한 모든 마우스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 나타나지 않았고 폐사된 마우스도 없었으며, 또한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부검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초두구 추출물, 용매분획물 및 다당류분획물은 모든 마우스에서 1,000 mg/kg까지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경구투여 최소치사량(LD50)이 1,000 mg/kg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이하, 초두구 추출물, 용매분획물 및 다당류분획물을 함유한 약학적 제제 또는 건강식품의 예를 설명한다.
제조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초두구 추출물,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2. 정제의 제조
초두구 추출물,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 100 ㎎
옥수수 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캡슐제의 제조
초두구 추출물,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 100 ㎎
옥수수 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4. 주사액제의 제조
초두구 추출물,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 10 ㎍/㎖
묽은 염산 BP pH 3.5로 될 때까지
주사용 염화나트륨 BP 최대 1 ㎖
적당한 용적의 주사용 염화나트륨 BP 중에 초두구 추출물,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을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의 pH를 묽은 염산 BP를 사용하여 pH 3.5로 조절하고, 주사용 염화나트륨 BP를 사용하여 용적을 조절하고 충분히 혼합하였다. 용액을 투명 유리로 된 5 ㎖ 타입 I 앰플 중에 충전시키고, 유리를 용해시킴으로써 공기의 상부 격자하에 봉입시키고, 120 ℃에서 15분 이상 오토클래이브시켜 살균하여 주사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건강식품의 제조
2-1. 조리용 양념의 제조
초두구 추출물,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 0.2 ~ 10 중량%로 건강 증진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2-2. 토마토 케찹 및 소스의 제조
초두구 추출물,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 0.2 ~ 1.0 중량%를 토마토 케찹 또는 소스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토마토 케찹 또는 소스를 제조하였다.
2-3. 밀가루 식품의 제조
초두구 추출물,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 0.1 ~ 5.0 중량%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2-4.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초두구 추출물,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 0.1 ~ 1.0 중량%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2-5.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초두구 추출물,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 10 중량%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2-6.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초두구 추출물,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 0.1 ~ 1.0 중량%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2-7.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초두구 추출물,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초두구 추출물,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의 건조분말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5중량%, 율무 15중량%, 보리 25중량%) 75중량%
종실류(들깨 7중량%, 검정콩 9중량%, 검정깨 7중량%) 23중량%
초두구 추출물,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 1중량%
영지 0.5중량%
지황 0.5중량%
2-8. 탄산음료의 제조
초두구 추출물,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 1중량%, 설탕 5~10중량%, 구연산 0.05~0.3중량%, 카라멜 0.005~0.02중량%, 비타민 C 0.1~1중량%의 첨가물을 혼합하고, 여기에 정제수를 전체 조성물이 100중량%가 되도록 섞어서 시럽을 만들고, 상기 시럽을 85~98 ℃에서 20~180 초간 살균한 후 냉각수와 1:4의 부피 비율로 혼합하여 음료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탄산가스를 상기 음료 조성물의 0.5~0.82부피% 정도로 주입하여 본 발명 초두구 추출물,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을 함유하는 탄산음료를 제조하였다.
2-9.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중량%), 올리고당(2중량%), 설탕(2중량%), 식염(0.5중량%), 물(94중량%)과 같은 부재료와 본 발명 초두구 추출물,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1중량%)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2-10. 야채쥬스의 제조
초두구 추출물,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 0.5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쥬스 1,000 ㎖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쥬스를 제조하였다.
2-11. 과일쥬스의 제조
초두구 추출물,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 0.1 g을 사과 또는 포도 쥬스 1,000 ㎖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쥬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15)

  1. 초두구 추출물, 이의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분획물은 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클로로포름 분획물, C1~C4의 저급알콜 분획물 또는 물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분획물은, 초두구를 열수추출하여 열수추출물을 얻고, 상기 열수추출물로부터 냉침법과 원심분리법을 통하여 상등액을 획득하고, 상기 상등액을 증류수를 이용하여 희석시킨 후, 에탄올 1 내지 4배의 용량을 연속적으로 드롭핑 하면서 교반시킨 다음, 냉침법을 이용하여 다당류를 침지시키고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초두구 다당류분획물을 회수함으로써 수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또는 C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인 것을 특징으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H1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또는 H9N2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질환은 독감, 감기, 인후염, 기관지염, 폐렴, 조류독감, 돼지독감 또는 염소독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지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껌류, 아이스크림류,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소독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가습기 충진제, 마스크, 연고제 및 필터충진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12. 초두구를 열수추출하여 열수추출물을 얻고, 상기 열수추출물로부터 냉침법과 원심분리법을 통하여 상등액을 획득하고, 상기 상등액을 증류수를 이용하여 희석시킨 후, 에탄올 1 내지 4배의 용량을 연속적으로 드롭핑 하면서 교반시킨 다음, 냉침법을 이용하여 다당류를 침지시키고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초두구 다당류분획물을 회수함으로써 수득되고, H1N1 또는 H9N2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MDCK 세포감염을 억제하여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고 뉴라미니데이즈의 활성을 저해하는 활성을 가지는 초두구 다당류분획물.
  13. 초두구 추출물, 이의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뉴라미니데이즈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C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Clostridium perfringens) 또는 인간에서 유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뉴라미니데이즈는 H1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또는 H9N2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서 유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KR1020090113540A 2009-11-23 2009-11-23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KR101115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540A KR101115063B1 (ko) 2009-11-23 2009-11-23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540A KR101115063B1 (ko) 2009-11-23 2009-11-23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011A true KR20110057011A (ko) 2011-05-31
KR101115063B1 KR101115063B1 (ko) 2012-03-07

Family

ID=44365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540A KR101115063B1 (ko) 2009-11-23 2009-11-23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50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3613A (ko) * 2019-07-02 2021-01-12 한국식품연구원 보리잎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5546A (ko) 2022-09-30 2024-04-08 (주)예스킨 항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3613A (ko) * 2019-07-02 2021-01-12 한국식품연구원 보리잎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5063B1 (ko) 201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920B1 (ko)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JP5340409B2 (ja) 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由来疾病の予防又は治療用組成物
KR100950445B1 (ko) 감초로부터 얻은 조류, 돼지 인플루엔자 및 신종플루에 대한 항바이러스제
KR101534616B1 (ko) 낙지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인플루엔자용 조성물
KR101271601B1 (ko)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유래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87759B1 (ko)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189823B1 (ko) 폴리페놀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KR101115063B1 (ko)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KR101011454B1 (ko) 고삼 추출물, 고삼 분획물, 이로부터 분리한 테로카판계 및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999872B1 (ko) 홍경천 추출물, 홍경천 분획물, 이로부터 분리한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이의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11848B1 (ko)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스테비오사이드 함유 복합체
KR20110068191A (ko)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3cl 프로테아제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KR101000351B1 (ko) 고삼 추출물, 고삼 분획물, 이로부터 분리한 테로카판계 및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21010B1 (ko) 왕호장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10086473A (ko)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3cl 프로테아제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KR101189822B1 (ko) 쿠마린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20428B1 (ko) 대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인플루엔자용 조성물
KR20150086928A (ko)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및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4151226A1 (en) Coronavirus therapeutic agent comprising zanthoxylum piperitum leaf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2226992B1 (ko) 고량강 유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 억제용 조성물
KR102210919B1 (ko) 보리잎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143628A (ko)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및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81296B1 (ko) 홍경천 추출물, 홍경천 분획물, 이로부터 분리한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이의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070114947A (ko)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독감 바이러스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
KR20150099202A (ko) 장수진흙버섯 자실체로부터 분리된 폴리페놀성분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