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4947A -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독감 바이러스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 - Google Patents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독감 바이러스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4947A
KR20070114947A KR1020060048645A KR20060048645A KR20070114947A KR 20070114947 A KR20070114947 A KR 20070114947A KR 1020060048645 A KR1020060048645 A KR 1020060048645A KR 20060048645 A KR20060048645 A KR 20060048645A KR 20070114947 A KR20070114947 A KR 20070114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atechin
influenza virus
benzyl
derivative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8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2626B1 (ko
Inventor
송재민
박기덕
성백린
Original Assignee
프로테온 주식회사
(주)뉴트렉스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로테온 주식회사, (주)뉴트렉스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프로테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8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2626B1/ko
Priority to PCT/KR2007/002626 priority patent/WO2007139350A1/en
Publication of KR20070114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4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2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2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테킨(catechin)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독감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에 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독감 바이러스의 성장을 저해하고, 독감 바이러스와 세포 간의 결합을 저해하는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독감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방 및 치료제는 상기와 같은 효과를 나타낼 뿐 아니라 여러 종류의 독감 바이러스 아형에 대한 세포와의 결합 작용을 저해함으로 인간독감 바이러스 및 조류독감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카테킨 유도체, 독감 바이러스.

Description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독감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Agent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fectious disease by influenza virus comprising cathechin derivative compounds}
도 1은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에 의해 독감 바이러스의 활성이 저해되는 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A : 카테킨 유도체를 첨가하지 않은 독감바이러스 플라크 사진;
B :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 7번을 10 uM 첨가한 사진;
C :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 7번을 20 uM 첨가한 사진;
D :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 7번을 40 uM 첨가한 사진;
E :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 7번을 80 uM 첨가한 사진; 및
F :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 7번을 160 uM 첨가한 사진.
도 2는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에 의해 여러 아형의 인간독감 바이러스와 세포 수용체 간 결합 능력이 저해되는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카테킨(catechin)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독감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독감 바이러스의 성장을 저해하고, 독감 바이러스와 세포 간의 결합을 저해하는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독감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에 대한 것이다.
독감은 독감 바이러스(Influenza virus)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으로 매년 겨울철 정기적으로 발생하며 노약자를 포함한 고위험군에서 높은 사망률을 나타내고 경제 활동을 하는 건강인에게는 사회경제적 손실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호흡기 감염성 질환으로 국내 3군 전염병으로 분류되어 있다. 특히 10년에서 40년 주기로 발생하는 독감 대유행은 높은 발병률과 사망률을 기록하고 있다. 일례로 1918년 전 세계적으로 유행한 스페인 독감은 약 2000만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러한 독감 대유행은 신종 독감 바이러스의 출현으로 일어나는데 최근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조류독감이 이러한 대유행을 일으킬 원인균으로 지목되고 있어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약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독감 바이러스는 8개의 RNA 조각을 유전자로 지니고 있는 오소믹소바이러스군에 속한다(p605, Fundamental Virology 3판, BN Fields et al Eds, Lippincott-Raven press). 상기 유전자들은 RNA 유전자를 복제하는데 필요한 복제효소인 PA, PB1, PB2 단백질 및 NP 단백질과 상호 결합한 복합체로 존재하며 이러한 RNP 복합 체는 바이러스 외피 항원인 헤마글루티닌(Hemagglutinin ; 이하 “HA”라 칭함)과 뉴라미니다제(Neuraminidase ; 이하 “NA”라 칭함)를 포함하는 표피로 둘러싸여 있다. 독감 바이러스는 이들 HA와 NA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아형으로 분류되는데 현재까지 밝혀진 아형의 수는 15종류의 HA와 9종류의 NA가 있다.
조류독감은 닭, 오리, 칠면조 및 야생조류 등에 감염되는 급성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병원성이 없는 것에서부터 치사율이 100% 고병원성까지 다양하게 있으며, 고병원성 조류독감(가금 독감)은 국내에서 제 1종 법정 간염병으로 OIE(국제 수역 사무국)에서 List A 전염병으로 분류하고 있다. 원인체인 조류독감 바이러스는 인수 공통 바이러스로 병원균에 따라 고병원성, 약 병원성, 비병원성으로 구분한다. 조류독감 바이러스는 비말, 공기, 물 등에 의하여 전파되나 주요 전파 원인은 오염된 분변이다. 즉, 사람의 손, 발, 사료 차, 기구, 장비 등에 분변이 묻어 간접적으로 전파된다. 또한, 조류독감 바이러스가 돼지, 닭 등 중간 숙주를 거쳐 사람에게 감염되는 경우가 있는데, 중간 숙주의 몸속에서 조류독감 바이러스가 유전자 변이를 일으키고, 변이된 바이러스는 호흡기 감염 등을 통해 사람들에게 전파되어 조류독감을 발병시킨다. 이러한 조류독감 바이러스는 혈청형이 다양하고 변이가 심하여 현재까지 효과적인 예방약에 개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고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에 대하여 살처분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기존의 개발된 독감 치료제로는 아만타딘(Amantadine), 리만타딘(Rimantadine), 오셀타미비르(Oseltamivir), 자나미비르(Zanamivir) 등 4 가지 물 질이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항 독감 바이러스 치료제로 승인을 받았다. 이중 아만타딘과 리만타딘은 40 여년 간 사용되어오는 과정 중 쉽게 내성을 가진 바이러스가 발생되어 치료 효과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오셀타미비르와 자나미비르의 경우 비교적 최근에 개발되어 상대적으로 효과가 좋으나 두 가지 모두 독감 바이러스의 외부 단백질인 NA의 효소 활성을 억제하는 동일한 기작을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약물이 작용하는 부위 아미노산의 수개 이내의 돌연변이 발생으로도 내성을 갖는 균주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실제 이미 자연계에 존재하는 내성 균주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어(Mai Le, Q., et al ., Nature 437:1108, 2005) 새로운 항 독감 바이러스 치료제의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녹차에는 4가지의 주요한 폴리페놀(polyphenol), 즉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이하 “EGCG”라 칭함), 에피카테킨갈레이트(epicathechin gallate: 이하 “ECG”라 칭함),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hechin: 이하 “EGC”라 칭함), 에피카테킨(epicathechin: 이하 “EC”라 칭함)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554372호에서는 기존의 암세포에 대하여 치사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카테킨(catechin)에 작용기를 도입함으로써 세포투과성을 증가시켰다. 이를 통해 카테킨 유도체의 항암 활성이 증대되고 또한, 안정성이 향상시켜 이를 포유류에 투여할 경우 전립선암, 난소암, 뇌암에 대해 항암 활성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상기 화합물들의 항 독감 바이러스 활성에 대한 약리학 및 치료학적 특성에 대해서는 보고되거나 일반적으로 공지된 것은 없다. 미국등록특허 제 5,137,922호에서는 녹차에서 추출한 폴리페놀(카테킨) 화합물이 독감 바이러스를 숙주세포 표면에 응집시켜 바이러스의 감염을 억제한다는 보고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이 구체적인 실험 예를 통해 발명의 기술적 제시가 이뤄진 것은 EGCG에 불과하고 다른 ECG, EGC, EC의 효과에 대한 근거는 제시되어 있지 않다. 뿐만 아니라 상기 HA와 NA의 종류에 따라 존재하는 여러 가지 아형의 독감 바이러스 중 A형(H3형)과 B형 각각 한 종류에 대해서만 그 활성을 확인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관련 연구에 의하면 폴리페놀과 유사한 기작으로 HA 단백질을 타겟으로 개발 중인 항 독감 바이러스 치료제 중 HA의 종류에 따라 H1, H2형에는 효과적으로 작용을 하는 반면 H3형에서는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는 보고가 있다(Guangxiang, L., et al ., Virology 226:66-76, 1996). 따라서 최근 유행하는 독감 바이러스의 아형과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조류독감 아형에 대해 효과가 입증된 항바이러스 치료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을 이용하여 항 독감 바이러스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상기 화합물들이 여러 종류의 인간독감 바이러스 및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을 독감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의 예 방 및 치료에 사용하는 새로운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테킨(catechin) 유도체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독감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카테킨(catechin) 유도체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독감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를 제공한다.
상기 독감 바이러스는 인간독감 바이러스 및/또는 조류독감 바이러스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로는 하기 화학식 1의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이하 “EGC"라 칭함) 유도체 또는 그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6038357411-PAT00001
상기 식에서 R은 비치환된 또는, 독립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C1 ~15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3 ~15의 사이클로알킬, C1 ~15의 할로알킬, C3 ~15의 사이클로할로알킬, C6~15의 아릴, C6 ~15의 아릴알킬, C6 ~15의 알킬아릴, C1 ~15의 알콕시, C6 ~15의 아릴옥시, 할로겐 및 아미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된 C1 ~18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또는, 고리형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이고,
바람직하게는 비치환된 또는, 독립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C1 ~1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3 ~10의 사이클로알킬, C1 ~10의 할로알킬, C3 ~10의 사이클로할로알킬, C6 ~10의 아릴, C6 ~10의 아릴알킬, C6 ~10의 알킬아릴, C1 ~10의 알콕시, C6 ~10의 아릴옥시, 할로겐 및 아미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된 C1 ~15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또는, 고리형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이 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치환된 C1 ~12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할로겐 및 C1 ~15의 알콕시로 치환된 벤질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부틸기, 헵틸기, 데실기, 도데실기, 디플루오르벤질기, 트리플루오르벤질기 및 디메톡시벤질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다.
상기 EGC 유도체 화합물은 하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O-3,4,5-트리프루오르 벤질 에피갈로카테킨(3-O-(3,4,5-trifluoro)benzyl epigllao-catechin)(1); 3-O-3,5-디메톡시 벤질 에피갈로카테킨(3-O-(3,5-dimethoxy)benzyl epigllaocatechin)(2); 3-O-3,5-디플루오르 벤질 에피갈로카테킨(3-O-(3,5-difluoro)benzyl epigllaocatechin)(3); 3-O-부틸 에피갈로카테킨(3-O-butyl epigllaocatechin)(4); 3-O-헵틸 에피갈로카테킨(3-O-heptyl epigllaocatechin)(5); 3-O-데실 에피갈로카테킨(3-O-decyl epigllaocatechin)(6); 및 3-O-도데실 에피갈로카테킨(3-O-dodecyl epigllao-catechin)(7). 또한 상기 에피갈로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은 하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3-O-데실 에피갈로카테킨(3-O-decyl epigllaocatechin)(6); 및 3-O-도데실 에피갈로카테킨(3-O-dodecyl epigllao-catechin)(7).
또한,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로는 하기 화학식 2의 (+)-카테킨(catechin: 이하 “(+)-C"라 칭함) 유도체 또는 그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6038357411-PAT00002
상기 식에서 R은 비치환된 또는, 독립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C1 ~15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3 ~15의 사이클로알킬, C1 ~15의 할로알킬, C3 ~15의 사이클로할로알킬, C6~15의 아릴, C6 ~15의 아릴알킬, C6 ~15의 알킬아릴, C1 ~15의 알콕시, C6 ~15의 아릴옥시, 할로겐 및 아미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된 C1 ~18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또는, 고리형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이고,
바람직하게는 비치환된 또는, 독립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C1 ~1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3 ~10의 사이클로알킬, C1 ~10의 할로알킬, C3 ~10의 사이클로할로알킬, C6 ~10 의 아릴, C6 ~10의 아릴알킬, C6 ~10의 알킬아릴, C1 ~10의 알콕시, C6 ~10의 아릴옥시, 할로겐 및 아미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된 C1 ~15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또는, 고리형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치환된 C1 ~12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할로겐 및 C1 ~15의 알콕시로 치환된 벤질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부틸기, 헵틸기, 데실기, 도데실기, 디플루오르벤질기, 트리플루오르벤질기 및 디메톡시벤질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다.
상기 (+)-C 유도체 화합물은 하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O-3,4,5-트리프루오르 벤질 카테킨(3-O-(3,4,5-trifluoro)benzyl catechin)(8); 3-O-3,5-디플루오르 벤질 카테킨(3-O-(3,5-difluoro)benzyl catechin)(9); 3-O-3,5-디메톡시 벤질 카테킨(3-O-(3,5-dimethoxy)benzyl catechin)(10); 3-O-(4-트리프루오르 메톡시)벤질 카테킨(3-O-(4-trifluoromethoxy)benzyl catechin)(11); 3-O-벤질 카테킨(3-O-benzyl catechin)(12): 3-O-부틸 카테킨(3-O-butyl catechin)(13); 3-O-헵틸 카테킨(3-O-heptyl catechin)(14); 3-O-데실 카테킨(3-O-decyl catechin)(15); 및 3-O-도데실 카테킨(3-O-dodecyl catechin)(16). 또한 상기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은 하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3-O-데실 카테킨 (3-O-decyl catechin)(15); 및 3-O-도데실 카테킨(3-O-dodecyl catechin)(16).
상기 화학식 1 및/또는 2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EGC 및/또는 (+)-C 유도체 화합물을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유리산으로는 무기산과 유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무기산으로는 염산, 브롬산, 황산, 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구연산, 초산, 젖산, 주석산, 말레인산, 푸마린산, 글루콘산, 메탄술폰산, 글리콘산, 숙신산, 4-톨루엔술폰산, 글루투론산, 엠본산, 글루탐산, 또는 아스파르트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화학식 1 및 2의 EGC 및/또는 (+)-C 유도체 화합물은 염기로 인해 형성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 특히 알칼리 금속염일 수도 있다. 이들의 예로는 나트륨염 및 칼륨염 등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화학식 1의 EGC 및 화학식 2의 (+)-C 유도체 화합물의 독감 바이러스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554372호에 기재된 방법으로 표 1에 기재된 카테킨 유도체를 제작하였다(표 1 참조). 상기에서 제작한 카테킨 유도체를 이용하여 독감 바이러스[A/Chile/1/83(H1N1), A/Sydeny/5/97(H3N2)]를 감염시킨 MDCK 세포주에서 플라크 형성 저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플라크는 활성을 가진 바이러스가 세포에 감염된 후 복제된 바이러스가 세포 밖으로 유출되고, 바로 인접한 세포에 다시 연속적으로 감염됨으로 인해 생성되는 특이적으로 사멸된 세포의 군집이다. 플라크는 육안 및 현미경 상에서 관찰이 가능하며 적합한 염색시약을 사용할 경우 그 관찰이 더욱 용이하다. 플라크 형성 실험은 바이러스의 활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이 바이러스의 활성을 저해하여 바이러스의 플라크를 형성하는 능력을 감소시키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실험이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은 그들의 전구체(EGC, (+)-C)가 가지고 있지 않은 높은 항 독감 바이러스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표 2 및 도 1 참조).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의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성장 저해 효과를 조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을 조류독감 바이러스(A/Chicken/Korea/MS96/96(H9N2))와 동량으로 혼합한 후 수정란에 주입하여 배양하였다. 이후 배양된 바이러스를 측정하기 위하여 헤마글루티네이션 어세이(Hemaggutination assay: 이하 “HA 어세이”라 칭함)를 수행하였다. HA 어세이는 독감 바이러스와 닭 적혈구 간의 결합력을 이용하여 바이러스의 양을 정량하는 방법이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들은 5.1 ~ 10.1 μM 만으로도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저해함이 확인되었다(표 3 참조). 그에 비하여 대조군으로 사용한 녹차 주요성분(EGCG, ECG, EGC, (+)-C) 및 기존의 독감 바이러스 치료제인 오셀타미비르와 아만타딘의 MIC(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최소저해농도)는 500 μM 이상으로 높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의 독감 바이러스와 세포 간 의 결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독감 바이러스의 표면 단백질의 하나인 헤마글루티닌(Hemagglutinin: 이하 “HA"라 칭함)은 감염 초기 세포의 수용체와 바이러스를 결합시켜 바이러스를 세포 내로 도입시키게 된다. 닭 적혈구는 용액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응집이 일어나는데 바이러스와 결합할 경우 응집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에 의해 바이러스와 적혈구의 결합이 저해될 경우 적혈구는 응집이 일어나며 이는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을 조류독감 바이러스(A/Chicken/Korea/MS96/96(H9N2)) 용액과 혼합하고 닭 적혈구 용액과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바이러스-카테킨 유도체 혼합물 용액이 독감 바이러스와 적혈구 간의 상호 작용을 저해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각각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들이 바이러스와 적혈구 간의 상호 작용을 저해하는 최소 농도를 구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들은 이들의 전구체인 EGC 또는 (+)-C보다 낮은 농도에서 바이러스의 세포수용체 결합을 저해함을 확인하였다(표 4 참조). 이 중 EGC 유도체 화합물인 6, 7 번 화합물과 (+)-C 유도체 화합물인 15, 16번 화합물이 가장 낮은 저해농도를 보였으며 상기 농도의 범위는 15.6 ~ 62.5 μM 이었다. 또한, 상기 화합물들은 기존의 독감 치료제로 알려진 오셀타미비르 및 아만타딘보다 낮은 저해최소농도를 보여주었다. 이는 각각의 치료제의 작용 기작과 목적 위치가 서로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즉, 아만타딘은 독감 바이러스의 M2 단백질의 역할을 저해하며, 오셀타미비르의 경우 뉴라미니다제(Neuraminidase: 이하 “NA”라 칭함)의 효소 활성을 저해하므로 세포 수용체와의 결합과는 전혀 무관함으로 효과를 나타내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은 바이러스가 세포 수용체와 결합하는 HA 단백질과의 반응을 통한 기존의 저해제들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작용으로 독감 바이러스의 활성을 저해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들이 여러 종류의 독감 바이러스 아형에 대한 독감 바이러스와 세포 간의 결합 저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5 종류의 인간독감 바이러스를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과 혼합한 후 닭 적혈구 용액에 첨가하였다. 이후 각각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의 농도에서 결합 저해 여부를 확인하고 독감 바이러스 아형별로 저해 효과를 나타내는 최소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독감 바이러스의 아형 간의 다소간의 차이는 있으나 4 종류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이 세포와 인간독감 바이러스와 세포수용체 간의 결합을 효과적으로 저해함을 확인하였다(도 2 참조). 특히 EGC를 전구체로 한 유도체 화합물인 3-O-데실 에피갈로카테킨(3-O-decyl epigllaocatechin)(6)은 테스트한 모든 5종의 독감 바이러스 아형에 대하여 50 μM 이하의 농도에서 바이러스의 결합을 저해하는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을 사용하여 랫트에 비경구 투여하여 급성 독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이 안전함을 확인하였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은 독감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를 포함하는 독감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독감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활택제, 향미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정제, 캅셀제, 산제, 과립제, 형탁제, 유제, 시럽제, 기타 액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예방 및 치료제는 경구 투여용 제형, 예를 들어 정제, 트로치제(troches), 로젠지(lozenge), 수용성 또는 유성현탁액, 조제분말 또는 과립, 에멀전 하드 또는 소프트 캡슐, 시럽 또는 엘릭시르제(elixirs)로 제제화된다. 정제 및 캡슐 등의 제형으로 제제하기 위해 락토오스, 사카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밀로펙틴, 셀룰로오스 또는 젤라틴과 같은 결합제, 디칼슘 포스페이트와 같은 부형제, 옥수수 전분 또는 고구마 전분과 같은 붕해제,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릴푸마르산 나트륨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왁스와 같은 윤활유가 함유된다. 캡슐 제형의 경우 상기에서 언급한 물질 이외에도 지방유와 같은 액체 담체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독감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는 비경구 또는 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는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 내 주사 또는 흉부 내 주사 주입방식에 의한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을 안정제 또는 완충체와 함께 물에서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의 단위 투여 양으로 제제한다.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에 따른 유효성분의 투여량은 체내에서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화율 및 배설 속도,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상태, 치료할 질병의 중증 정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나, 일반적으로 성인에게 1일 체중 1 kg 당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유도체 화합물을 0.1 ~ 500 mg의 양으로 1회 내지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 100 mg 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건강식품 형태의 독감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으로는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차, 젤리, 즙, 엑기스, 음료 등의 독감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민간요법제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가공된 본 발명의 독감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건강식품은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해독 작용이 우수할 뿐 아니라 복용이 용이하고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므로 독감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은 인간독감 및/또는 조류독감 치료를 목적으로 건강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유도체 화합물을 그대로 참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는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 합물이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80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무제가 없으므로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컬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하는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슈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 100 ㎖당 일반적으로 0.01 내지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내지 0.03 g이다.
상기 외의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 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화학식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제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 및 제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 제작
본 발명자들은 표 1과 같은 화합물을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554,372호의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상기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 중 1 내지 7번 화합물은 화학식 1의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이하 “EGC”라 창함)을 전구체로 한 유도체이고, 8 내지 16번 화합물은 화학식 2의 (+)-카테킨(catechin: 이하 “(+)-C"라 칭함)을 전구체로 한 유도체이다.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
화합물 번호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
1 3-O-3,4,5-트리프루오르 벤질 에피갈로카테킨(3-O-(3,4,5-trifluoro)benzyl epigllaocatechin)
2 3-O-3,5-디메톡시 벤질 에피갈로카테킨(3-O-(3,5-dimethoxy)benzyl epigllaocatechin)
3 3-O-3,5-디플루오르 벤질 에피갈로카테킨(3-O-(3,5-difluoro)benzyl epigllaocatechin)
4 3-O-부틸 에피갈로카테킨(3-O-butyl epigllaocatechin)
5 3-O-헵틸 에피갈로카테킨(3-O-heptyl epigllaocatechin)
6 3-O-데실 에피갈로카테킨(3-O-decyl epigllaocatechin)
7 3-O-도데실 에피갈로카테킨(3-O-dodecyl epigllaocatechin)
8 3-O-3,4,5-트리프루오르 벤질 카테킨(3-O-(3,4,5-trifluoro)benzyl catechin)
9 3-O-3,5-디플루오르 벤질 카테킨(3-O-(3,5-difluoro)benzyl catechin)
10 3-O-3,5-디메톡시 벤질 카테킨(3-O-(3,5-dimethoxy)benzyl catechin)
11 3-O-(4-트리프루오르 메톡시)벤질 카테킨(3-O-(4-trifluoromethoxy)benzyl catechin)
12 3-O-벤질 카테킨(3-O-benzyl catechin)
13 3-O-부틸 카테킨(3-O-butyl catechin)
14 3-O-헵틸 카테킨(3-O-heptyl catechin)
15 3-O-데실 카테킨(3-O-decyl catechin)
16 3-O-도데실 카테킨(3-O-dodecyl catechin)
< 실시예 2>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의 독감 바이러스 플라크 형성 저해효과 조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작한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이 독감 바이러스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플라크 형성 저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하루 전 FBS(Fetal Bovine Serum : GIBCO Invitrogen Coporation, USA)을 함유하는 MEM(Menimum Essencial Medium: GIBCO Invitrogen Coporation, USA) 배지에 MDCK(Mardine Darbine Canine Kidney) 세포주(ATCC, USA)를 1.5× 105 세포/㎖의 농도로 접종한 후 6-웰 플레이트(well plate)에서 37℃, 5% CO2 농도의 배양기로 배양하였다. 24시간이 지나 배양 접시 바닥에 가득 자란 MDCK 세포주에 두 가지 아형의 독감 바이러스 즉, A/Chile/1/83(H1N1)와 A/Sydney/5/97(H3N2)(National Institute for Medical Research, London, UK)을 500 PFU(Plaque Forming Unit)/㎖의 농도로 감염시켰다. 한 시간 후 세포에 처리한 바이러스 용액을 제거하였고, 세포주를 PBS(Photasium Phosphate Bufferd Saline) 완충용액 1 ㎖/웰을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상기 표 1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을 최종농도가 800 μM부터 12.5 μM까지가 되도록 2배 연속 희석한 후 이것을 오버레이 배지[overlay media: 1% 아가로즈, 10 ㎍/㎖ 농도로 트립신효소가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 Invitrogen Coporation, USA) 배지로 플라크 형성을 위해 세포 위에 도말하는 배지]에 첨가하였고 대조군으로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 대신 카테킨 유도체의 골격인 카테킨(EGC과 (+)-C)이 첨가된 군과 녹차에서 추출한 EGCG, ECG 그리고 아무것도 첨가되지 않은 오버레이 배지를 사용하였다. 오버레이 배지를 독감 바이러스가 감염된 세포에 3 ㎖/웰씩 도말하고 15분 뒤 오버레이 배지가 굳은 후 37℃ 5% CO2 농도를 유지하는 배양기에서 72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결과, 상기 72 시간 동안 독감 바이러스가 플라크를 형성하였으며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표 1)이 첨가된 실험군의 경우 플라크의 형성이 저해되었다. 대표적으로 A/sydney/5/97 독감 바이러스의 플라크 형성 과정에서 7번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을 160 μM에서 10 μM 농도로 처리하거나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실험 결과를 도면 1에 나타내었다. 각각의 플라크 수를 개수한 후 대조군의 플라크 수와 실험군의 플라크 수의 비로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표 1)에 의한 독감 바이러스의 플라크 형성 저해 능력을 정량하였다.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표 1)의 여러 농도에서의 저해 능력을 3회 반복 실험한 후,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독감 바이러스 활성의 50% 저해 능력을 갖는 농도(EC50 : effective concentration)를 구하였다(표 2).
화합물 번호 1번부터 7번까지는 EGC를 전구체로 한 EGC 유도체 화합물이고 8번부터 16번은 (+)-C를 전구체로 한 (+)-C 유도체 화합물이다.
하기 표 2로부터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은 그들의 전구체들(EGC, (+)-C)이 가지고 있지 않은 높은 항 독감 바이러스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화학식 1의 EGC를 전구체로 가지는 유도체 화합물 중 특히 5, 6, 7번이 서로 다른 아형의 독감 바이러스에 대해 모두 활성이 좋았으며 화학식 2의 (+)-C를 전구체로 가지는 유도체 화합물 중에는 14, 15, 16번이 활성이 좋았다. 이들은 전구체만 다를 뿐 추가한 작용기는 동일한 것이 있어 본 발명의 항 독감 바이러스 활성은 유도체가 가지는 특이적인 작용기에 의해 결정됨을 알 수 있다.
화합물 번호 EC50(μM) (평균 ± 표준편차, 3회 반복)
A/Sydney/5/97 A/Chile/1/83
1 .9 ± 1.2 .4 ± 3.6
2 51.1 ± 1.1 87.2 ± 14.1
3 61.1 ± 1.2 79.4 ± 7.3
4 552 ± 1.5 304 ± 1.3
5 32.1 ± 1.1 45.0 ± 1.5
6 33.3 ± 1.4 25.1 ± 1.2
7 28.1 ± 1.1 60.2 ± 1.8
8 38.6 ± 1.2 57.3 ± 1.8
9 30.2 ± 1.1 40.0 ± 1.7
10 91.4 ± 5.0 71.2 ± 2.6
11 26.9 ± 1.1 56.6 ± 2.4
12 53.2 ± 1.2 79.7 ± 3.0
13 72.3 ± 1.2 95.9 ± 1.3
14 25.6 ± 1.1 57.9 ± 1.3
15 18.7 ± 1.1 18.6 ± 1.1
16 31.2 ± 1.2 19.5 ± 1.0
EGCG* 22.8 ± 1.1 28.4 ± 1.4
ECG* 22.2 ± 1.1 26.4 ± 2.0
EGC* 309 ± 1.2 318 ± 3.0
(+)-C* > 600 > 600
* EGCG: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eipgallocatechin gallate)(녹차잎 추출);
ECG :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epicathcin gallate)(녹차잎 추출);
EGC : 에피갈로카테킨(eipgallocatechin)(Sigma, USA); 및
(+)-C(Sigma, USA) : (+)-카테킨.
< 실시예 3>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에 의한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성장 저해 효과 조사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이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닭의 수정란을 이용한 조류독감 바이러스 성장 저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플라크 저해 실험에서 효과가 좋았던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 4 종(6, 7, 15, 및 16번)에 대해 먼저 500 μM 농도부터 1 μM 농도까지 2배 연속 희석시킨 다양한 농도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을 250 HAU(Hemagglutination unit) 농도의 조류독감 바이러스(A/Chicken/Korea/MS96/96(H9N2))(국립수의과학검역원, 대한민국)와 혼합한 후 상온에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용액을 수정란의 요낭액에 접종하고 37℃ 부란기에 4일간 수정란을 키워 바이러스를 배양하였다. 요낭액을 수득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저속(1,200 rpm, 10분)에서 일 회 분리한 후 상층액을 필터(Minisart-plus, Satorius, Germany)를 이용하여 1 회 여과한 후 헤마글루티네이션 어세이(Hemagglutination assay)를 이용하여 성장한 바이러스를 정량하였다. 대조군으로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조류독감 바이러스를 배양하여 정량하였다. 또한, 기존에 항 독감 바이러스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오셀타미비르(Roche, Swiss) 및 아만타딘(Sigma, USA), 그리고 유도체 화합물의 전구체인 EGC와 (+)-C 및 녹차에서 추출한 EGCG와 ECG를 이용하여 테스트하였다.
그 결과 아래 표 3과 같이 전구체인 EGC, (+)-C에서는 보이지 않던 항 독감 바이러스 활성이 특이적인 작용기를 도입한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에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하기 표 3으로부터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 중 화학식 1의 EGC를 전구체로 가지는 화합물 번호 6, 7번과 화학식 2의 (+)-C를 전구체로 가지는 15, 16번 화합물은 그들의 전구체는 물론이고 기존에 항 독감 바이러스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에 비해 최소 25배 이상 우수한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녹차에서 추출한 카테킨 화합물인 EGCG 또는 ECG와도 최소 400배 이상의 효과의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화합물 번호 MIC(μM)
6 9.6
7 10.1
15 5.1
16 5.1
EGCG 4360
ECG 4520
EGC 〉 6000
(+)-Catechin 〉 6000
오셀타미비르 500
아만타딘 〉 1000
< 실시예 4>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에 의한 독감 바이러스와 세포간의 결합 저해작용 조사
독감 바이러스의 표면 단백질의 하나인 헤마글루티닌(Hemagglutinin: 이하 “HA"라 칭함)은 감염 초기 세포의 수용체와 바이러스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과정을 통해 바이러스가 세포 내로 도입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이 상기 과정을 저해하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독감 바이러스의 표면 단백질의 하나인 HA는 감염 초기 세포의 수용체와 바이러스를 결합시켜 바이러스를 세포 내로 도입시키게 된다. 닭 적혈구는 용액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응집이 일어나는데 바이러스와 결합할 경우 응집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에 의해 바이러스와 적혈구의 결합이 저해될 경우 적혈구는 응집이 일어나며 이는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조류독감 바이러스(A/Chicken/Korea/MS96/96 H9N2) 용액을 500 HAU(hemagglutination unit/25 ㎕) 농도로 준비를 하고 여기에 1 mM부터 7.8 uM 농도까지 2배 연속 희석한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을 동일 부피로 혼합하였다. 1시간 반응을 시킨 후 닭 적혈구 용액(1%)(Cambrex, USA)을 바이러스와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의 반응 용액에 동일 부피로 첨가하였다. 닭 적혈구를 바이러스-카테킨 유도체 혼합물 용액과 1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화합물이 독감 바이러스와 적혈구 간의 상호작용을 저해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들 각각이 바이러스와 적혈구 간의 상호작용을 저해하는 최소농도를 구하였다.
그 결과,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EGC 유도체 화합물인 6, 7번 화합물과 (+)-C 유도체 화합물인 15, 16번 화합물은 다른 화합물에 비해 더 낮은 농도에서 바이러스의 세포수용체 결합을 저해함을 확인하였으며 그 농도는 15.6 내지 62.5 uM 수준이었다. 이러한 활성은 녹차에서 추출한 카테킨인 EGCG와 ECG에 비해서도 약 2배에서 5배까지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구체(EGC, (+)-C)는 가장 높은 농도에서도 저해 효과가 없는 것으로 보아 본 발명에 의한 특이적인 치환기에 의해 이러한 활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항 독감 바이러스 치료제로 잘 알려진 오셀타미비르(Oseltamivir)와 아만타딘(Amantadine) 역시 전혀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것은 각각의 제제가 작용 기작과 목적 위치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즉 아만타딘은 독감 바이러스의 단백질인 M2 단백질의 역할을 저해하며, 오셀타미비르의 경우 NA의 효소 활성을 저해하므로 세포수용체와의 결합과는 전혀 무관하므로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험을 통해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은 바이러스가 세포수용체와 결합하는 HA 단백질과의 반응을 저해하는, 기존의 저해제들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작용으로 독감 바이러스의 활성을 저해함을 알 수 있다.
화합물 번호 MIC(μM)
1 500
2 500
3 500
4 250
5 250
6 31.2
7 62.5
8 〉 1000
9 500
10 〉 1000
11 500
12 125
13 125
14 500
15 31.2
16 15.6
EGCG 68.5
ECG 1013
EGC 〉 2000
(+)-catechin 〉 2000
오셀타미비르 〉 2000
아만타딘 〉 2000
< 실시예 5> 여러 종류의 독감 바이러스 아형에 대한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의 독감 바이러스 세포 간의 결합 저해작용 조사
5 종류의 인간독감 바이러스 용액[A/Sydney/5/97(H3N2)(National Institute for medical Research, London, UK), A/X31(H3N2)(Evans Biological Ltd.,Liverpool, UK), A/PR/8(H1N1), A/Japan/305/57(H2N2), B/Lee/40(Oxford Univ. UK)]을 동일한 농도(500 HAU/25 ㎕)로 준비하고 여기에 1 mM부터 7.8 μM까지 2배 연속 희석한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을 동일 부피로 혼합하였다. 1시간 반응을 시킨 후 닭 적혈구 용액(1%)을 바이러스와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의 반응용액에 동일 부피로 첨가한다.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 각각의 농도에서 결합 저해 여부를 확인한 후 독감 바이러스 아형별로 저해 효과를 나타내는 최소농도를 나타내었다(도 2).
그 결과, 독감 바이러스의 아형 간에 다소간의 차이는 있으나 4 종류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6, 7, 15, 및 16번)이 세포와 인간독감 바이러스와 세포 수용체 간의 결합을 효과적으로 저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6번 화합물은 테스트한 5 종류의 모든 아형에 대해 50 μM 이하의 농도에서 바이러스의 결합을 저해하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이들의 전구체인 EGC 및 (+)-C는 전혀 저해하는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독감 바이러스 치료제인 오셀타미비르와 아만타딘은 800 μM을 처리하여도 저해하는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 실시예 6> 랫트에 대한 경구투여 급성 독성실험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의 급성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6주령의 특정병원부재(SPF)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급성 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6, 7, 15, 16번)을 각각 0.5% 메틸셀룰로오스 용액에 현탁하여 500 mg/kg/15 ㎖의 용량으로 1 회 경구 투여하였다. 시험물질 투여 후 동물의 폐사 여부, 임상 증상, 체중 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복강 장기와 흉강 장기의 이상 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시험 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산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 변화, 혈액 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부검소견 등에서도 독성 변화를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6, 7, 15, 16번)은 랫트에서 5 g/kg까지 독성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비경구 투여 최소 치사량(LD50)은 5 g/kg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EGC 및/또는 화학식 2의 (+)-C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독감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 및 건강 식품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 제제예 1> 주사액제의 제조
유효성분 10 mg을 함유하는 주사액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 1 g, 염화나트륨 0.6 g, 아스코르브산 0.1 g을 증류수에 융해시켜 100 ㎖을 만들었다. 상기 용액을 병에 넣고 20℃에서 30분간 가열하여 멸균시켰다.
< 제제예 2> 시럽제의 제조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 2%(중량/부피)로 함유하는 시럽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의 산부가염, 사카린, 당을 온수 80 g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냉각시킨 후 여기에 글리세린, 사카린, 향미료, 에탄올, 소르브산 및 증류수로 이루어진 용액으로 제조하여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100 ㎖이 되게 하였다.
< 제제예 3> 정제의 제조
유효성분 15 mg이 함유된 정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 250 g, 락토오스 175.9 g, 감자전분 180 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 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하여 14 매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 전분 160 g, 활석 50 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 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만들었다.
< 제제예 4>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카테킨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 조리용 양념의 제조
조리용 양념 100 중량부에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 8 ~ 12 중량부로 혼합하여 독감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2.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 8 ~ 12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 100 중량부에 첨가하여 독감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스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3.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 8 ~ 12 중량부를 우유 100 중량부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4.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은콩, 검은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 8 ~ 12 중량부를 다음과 같은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은콩 8 중량부, 검은깨 7 중량부),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10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및
지황(0.5 중량부).
< 제제예 5> 음료의 제조
1. 탄산음료의 제조
설탕 5 ~ 10 중량부, 구연산 0.05 ~ 0.3 중량부, 카라멜 0.005 ~ 0.02 중량부, 비타민 C 0.1 ~ 1 중량부,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 1 중량부의 첨가물을 혼합하고 여기에 79 ~ 94 중량부의 정제수를 섞어서 시럽을 만들고, 상기 시럽을 95 ~ 98℃에서 20 ~ 180초간 살균하여 냉각수와 1:4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탄산가스를 0.5 ~ 0.82 중량부를 주입하여 탄산음료를 제조하였다.
2. 건강 음료의 제조
액상과당 0.5 중량부, 올리고당 2 중량부, 설탕 2 중량부, 식염 0.5 중량부, 물 75 중량부과 같은 부재료와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 10 중량부를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건강 음료를 제조하였다.
3. 야채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 10 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 ℓ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 주스를 제조하였다.
4. 과일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 10 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 ℓ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 주스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독감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는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성장을 저해하고, 독감 바이러스와 세포 간의 결합을 저해하며, 여러 종류의 독감 바이러스 아형과 세포 간의 결합을 저해함으로써 독감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독감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킨 유도체는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유도체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감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
    <화학식 1>
    Figure 112006038357411-PAT00003
    화학식 1의 R은 비치환된 또는, 독립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C1 ~15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3 ~15의 사이클로알킬, C1 ~15의 할로알킬, C3 ~15의 사이클로할로알킬, C6~15의 아릴, C6 ~15의 아릴알킬, C6 ~15의 알킬아릴, C1 ~15의 알콕시, C6 ~15의 아릴옥시, 할로겐 및 아미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된 C1 ~18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또는, 고리형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감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
  3. 제 2항에 있어서, R은 비치환된 또는, 독립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C1 ~1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3 ~10의 사이클로알킬, C1 ~10의 할로알킬, C3 ~10의 사이클로할로알킬, C6 ~10의 아릴, C6 ~10의 아릴알킬, C6 ~10의 알킬아릴, C1 ~10의 알콕시, C6 ~10의 아릴옥시, 할로겐 및 아미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된 C1 ~15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또는, 고리형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감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
  4. 제 2항에 있어서, R은 비치환된 C1 ~12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할로겐 또는 C1~15의 알콕시로 치환된 벤질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독감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
  5. 제 2항에 있어서, R은 부틸기, 헵틸기, 데실기, 도데실기, 디플루오르벤질기, 트리플루오르벤질기 및 디메톡시벤질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감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
  6. 제 2항에 있어서, 에피갈로카테킨(epogallocatechin) 유도체 화합물은 하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1종 이상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감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
    3-O-3,4,5-트리프루오르 벤질 에피갈로카테킨(3-O-(3,4,5-trifluoro)benzyl epigllao -catechin)(1);
    3-O-3,5-디메톡시 벤질 에피갈로카테킨(3-O-(3,5-dimethoxy)benzyl epigllaocatechin)(2);
    3-O-3,5-디플루오르 벤질 에피갈로카테킨(3-O-(3,5-difluoro)benzyl epigllaocatechin)(3);
    3-O-부틸 에피갈로카테킨(3-O-butyl epigllaocatechin)(4);
    3-O-헵틸 에피갈로카테킨(3-O-heptyl epigllaocatechin)(5);
    3-O-데실 에피갈로카테킨(3-O-decyl epigllaocatechin)(6); 및
    3-O-도데실 에피갈로카테킨(3-O-dodecyl epigllao-catechin)(7).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킨 유도체는 화학식 2의 구조를 가지는 (+)-카테킨(catechin) 유도체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감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
    <화학식 2>
    Figure 112006038357411-PAT00004
    화학식 2의 R은 비치환된 또는, 독립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C1 ~15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3 ~15의 사이클로알킬, C1 ~15의 할로알킬, C3 ~15의 사이클로할로알킬, C6~15의 아릴, C6 ~15의 아릴알킬, C6 ~15의 알킬아릴, C1 ~15의 알콕시, C6 ~15의 아릴옥시, 할로겐 및 아미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된 C1 ~18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또는, 고리형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 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감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
  8. 제 7항에 있어서, R은 비치환된 또는, 독립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C1 ~1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3 ~10의 사이클로알킬, C1 ~10의 할로알킬, C3 ~10의 사이클로할로알킬, C6 ~10의 아릴, C6 ~10의 아릴알킬, C6 ~10의 알킬아릴, C1 ~10의 알콕시, C6 ~10의 아릴옥시, 할로겐 및 아미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된 C1 ~15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또는, 고리형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감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
  9. 제 7항에 있어서, R은 비치환된 C1 ~12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할로겐 또는 C1~15의 알콕시로 치환된 벤질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감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
  10. 제 7항에 있어서, R은 부틱기, 헵틸기, 데실기, 도데실기, 디플루오르벤질기, 트리플루오르벤질기 및 디메톡시벤질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감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
  11. 제 7항에 있어서,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은 하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1종 이상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감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
    3-O-3,4,5-트리프루오르 벤질 카테킨(3-O-(3,4,5-trifluoro)benzyl catechin)(8);
    3-O-3,5-디플루오르 벤질 카테킨(3-O-(3,5-difluoro)benzyl catechin)(9);
    3-O-3,5-디메톡시 벤질 카테킨(3-O-(3,5-dimethoxy)benzyl catechin)(10);
    3-O-(4-트리프루오르 메톡시)벤질 카테킨(3-O-(4-trifluoromethoxy)benzyl catechin)(11);
    3-O-벤질 카테킨(3-O-benzyl catechin)(12):
    3-O-부틸 카테킨(3-O-butyl catechin)(13);
    3-O-헵틸 카테킨(3-O-heptyl catechin)(14);
    3-O-데실 카테킨(3-O-decyl catechin)(15); 및
    3-O-도데실 카테킨(3-O-dodecyl catechin)(16).
  12. 제 1항에 있어서, 독감 바이러스는 인간독감 바이러스 또는 조류독감 바이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감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
  13. 제 12항에 있어서, 인간 독감 바이러스는 A/Sydney/5/97(H3N2), A/X31(H3N2), A/PR/8(H1N1), A/Japan/305/57(H2N2), B/Lee/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감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
  14. 제 2항 또는 제 7항의 유도체 화합물 1종 이상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독감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
  15. 제 1항에 있어서, 건강식품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감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
KR1020060048645A 2006-05-30 2006-05-30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독감 바이러스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 KR100792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645A KR100792626B1 (ko) 2006-05-30 2006-05-30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독감 바이러스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
PCT/KR2007/002626 WO2007139350A1 (en) 2006-05-30 2007-05-30 Agent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fectious disease by influenza virus comprising cathechin derivative compoun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645A KR100792626B1 (ko) 2006-05-30 2006-05-30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독감 바이러스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016A Division KR100853442B1 (ko) 2007-08-21 2007-08-21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독감 바이러스감염성 질환 예방용 건강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4947A true KR20070114947A (ko) 2007-12-05
KR100792626B1 KR100792626B1 (ko) 2008-01-09

Family

ID=38778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8645A KR100792626B1 (ko) 2006-05-30 2006-05-30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독감 바이러스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92626B1 (ko)
WO (1) WO20071393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2394377A1 (en) * 2012-11-08 2015-09-17 Cellarouge Pty Ltd Modified polyphenols and modified polyphenol compositions
KR102077833B1 (ko) 2018-12-10 2020-02-14 류형준 기능성 식품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7471B2 (ja) * 1989-09-14 1998-03-11 三井農林株式会社 インフルエンザウィルス感染予防剤
KR100585242B1 (ko) * 1998-06-23 2006-12-05 교와 핫꼬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인플루엔자감염증치료용화합물및조성물
JP2004505046A (ja) * 2000-07-28 2004-02-19 イムファルム・アンパルトセルスカブ 感冒、アレルギー性鼻炎および気道に関連した感染症の症状の処置方法
KR100504119B1 (ko) * 2001-04-23 2005-07-2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간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2005232115A (ja) 2004-02-23 2005-09-02 Mitsui Norin Co Ltd 茶由来の抗体産生誘導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2626B1 (ko) 2008-01-09
WO2007139350A1 (en) 200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0409B2 (ja) 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由来疾病の予防又は治療用組成物
US8545903B2 (en)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uenza virus infection and composition for suppressing neuraminidase activity comprising turmeric extract
KR100962334B1 (ko) 울금으로부터 얻은 조류, 돼지 인플루엔자 및 신종플루에 대한 항바이러스제
KR101317318B1 (ko) 신종인플루엔자, 조류인플루엔자, 일반 및 독감감기, sars 바이러스 억제 효능을 갖는 오배자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TWI787950B (zh) 用於預防、緩解或治療冠狀病毒感染的包括杜英萃取物作為活性成分之藥物組成物以及食品組成物
KR101782532B1 (ko) 백지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퓨라노쿠마린을 함유하는 조류 인플루엔자, 돼지 인플루엔자 또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8470378B2 (en) Anti-influenza viral composition containing bark or stem extract of Alnus japonica
KR100950445B1 (ko) 감초로부터 얻은 조류, 돼지 인플루엔자 및 신종플루에 대한 항바이러스제
US8623426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seases caused by influenza viruses
KR101087759B1 (ko)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0792626B1 (ko)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독감 바이러스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
KR101189823B1 (ko) 폴리페놀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KR102435547B1 (ko) 푸코실락토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KR100853442B1 (ko)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독감 바이러스감염성 질환 예방용 건강식품
KR101115063B1 (ko)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KR20140106198A (ko) 귤나무속 열매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1521010B1 (ko) 왕호장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10033B1 (ko) 여우오줌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인플루엔자용 조성물
US20120046353A1 (en) Cleistocalyx operculatus-derived compounds having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avian and swine influenza viruses or novel influenza virus
KR101189822B1 (ko) 쿠마린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537552B1 (ko) 덴드리머 코어의 표면에 결합된 시알산 또는 이의 유도체와 페닐프로판노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결합체 및 그의 용도
KR102537553B1 (ko) 덴드리머 코어의 표면에 결합된 시알산 또는 이의 유도체와 글리세르알데히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결합체 및 그의 용도
KR102537551B1 (ko) 덴드리머 코어의 표면에 결합된 시알산 또는 이의 유도체와 단당류 또는 이당류를 포함하는 결합체 및 그의 용도
KR20230001588A (ko) 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