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588A - 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588A
KR20230001588A KR1020210083923A KR20210083923A KR20230001588A KR 20230001588 A KR20230001588 A KR 20230001588A KR 1020210083923 A KR1020210083923 A KR 1020210083923A KR 20210083923 A KR20210083923 A KR 20210083923A KR 20230001588 A KR20230001588 A KR 20230001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uenza virus
lotus leaf
leaf extract
pres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3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진열
조원경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83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588A/ko
Publication of KR20230001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5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2Nymphaeaceae (Water-lily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Vir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용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연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사료 조성물 및 상기 약학 조성물을 이용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연잎 추출물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항바이러스제 개발에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antivirus comprising lotus leaf extract}
본 발명은 연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연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오르쏘믹소바이러스(orthomyxovirus)에 속하며, 인체에 급성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전염성이 매우 강한 바이러스다. 해마다 전세계적으로 집단감염이나 대유행을 야기하여 면역력이 취약한 영유아, 고령자, 기저질 환자의 경우에는 사망에 이르게 하는 바이러스 중 하나이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B,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C의 세 가지 형이 있다. 이 중 사람 간에 전염되어 대유행을 야기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주로 A형이며, B형도 A형만큼은 아니지만 사람간의 전염력이 강하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표면에는 당단백질인 적혈구 응집소(hemagglutinin, HA)와 "뉴라미니데이즈(neuraminidase, NA)"라는 두 종류의 표면 항원이 존재하며, 내부에는 8개의 분절된 RNA가 존재한다. HA는 숙주세포의 표면에 있는 시알산(sialic acid) 잔기와 결합하여 바이러스를 숙주세포에 부착시켜 바이러스가 숙주세포로 침투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뉴라미니데이즈는 감염된 숙주 세포내에서 증식한 바이러스가 세포 표면의 올리고사카라이드 부분과 뉴라민산(neuraminic acid) 잔기 사이의 알파-케토시딕 결합(α-ketosidic bond)을 끊어서 바이러스가 숙주세포 밖으로 나갈 수 있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 두 가지 표면 항원은 여러가지 아형이 발견되어 있으며, 아형에 따라 분류를 하고 있으며, 이 분류법에 따르면 1918년에 유행했던 스페인독감은 H1N1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 1957년에 유행했던 아시아독감은 H2N2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 1968년에 유행 했던 홍콩독감은 H3N2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에 해당한다. 요즘은 특히 교통이 발달함에 따라 한 곳에서 독감이 발생하여 전세계적으로 퍼지는데 걸리는 시간이 매우 짧아져서 해마다 계절성 독감이 유행하고 있고, 2009년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대변이를 일으켜, 기존에는 없던 새로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인 신종플루가 발생하는 등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큰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바이러스 백신의 접종 또는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 복용이 있다. 바이러스 백신은 바이러스의 감염 자체를 차단한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으나, 유행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아형과 백신에 존재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아형이 맞지 않으면 효과가 매우 낮고, 아형이 맞는 경우에도 감염을 완벽히 억제하지 못하기 때문에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 개발의 필요성이 중요하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대표적인 항바이러스 제제로는 아만타딘(amantadine)과 리만타딘(rimantadine)이 있으나, 이들 두 가지 항바이 러스 제제들은 혈청형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만 효과적이며, M2 단백질 이 없는 혈청형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는 효과가 없는것으로 확인되었 다(Washington, D.C.: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1998). 또한, 아만타딘과 리만타딘은 사용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M2 단백질의 이 온채널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변이 바이러스의 출현이 매우 쉽게 일 어나는 단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16종의 모든 혈청형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혈청형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효과적인 항바이러스 제제로 자나미비르(zanamivir)와 오셀타미비르(oseltamivir)가 개발되었으나, 자나미비르는 흡입 및 정맥 투여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오셀타미비르는 경구투여가 가능하나 최근 내성 바이러스의 출현 보고(세계 보건기구 (WHO), 2010)와 경구투여시 구토와 현기증 등의 부작용이 있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에서는 생약 추출물 및 식물 추출물을 대상으로 항바이러스 효능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기는 하지만, 아직까지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항바이러스 제제의 단점을 극복하여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이 항바이러스 활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 연구한 결과, 연잎 추출물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능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연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연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약학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연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연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로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연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연(Nelumbo nucifera)"은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수련과의 여러해살이 수생 식물로서, 국내에서는 하천, 늪지, 습지에 식재하여 이산화탄소 감소와 함께 수질정화를 꾀할 수 있는 우수 작목이다. 진흙 속을 가로 기는 땅속줄기는 마디가 있고 희고 가늘며, 가을에 비대해져서 연근이 된다. 이 연근에서 잎이 되는 줄기와 꽃이 피는 줄기가 생기며, 꽃은 여름에 피고 열매는 가을에 맺는다. 열매는 벌집 모양으로 생긴 연자방이라고 불리는 씨방 속에 생기며, 씨앗은 연자라 불린다. 연은 버리는 것이 없이 모든 부위를 약용 및 식용으로 사용하는데, 땅속 줄기(연근), 씨앗(연밥, 연자육), 씨앗 내의 배아(연자심), 씨방(연자방), 연잎, 연꽃은 물론 땅속 줄기의 마디 부분인 우절도 약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특히, "연잎"은 연의 잎을 말린 것으로 맛이 쓰고 성질은 유하며, 예로부터 민간 및 한방에서는 부용, 하엽 등으로 불리며, 출혈성 위궤양이나 위염, 치질, 출혈, 설사, 두통과 어지럼증, 토혈, 산후 어혈치료, 야뇨증, 해독 작용 등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식용으로서의 연잎은 연잎밥, 연잎차로 제한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일부 주류 제조에 사용되고 있다(유하나 등, 2011, 한국식품조리학회지 27, 577-587).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잎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용어, "추출물"은 목적하는 물질을 다양한 용매에 침지한 다음, 상온 또는 가온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한 액상성분, 상기 액상성분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고형분 등의 결과물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과물에 더하여, 상기 결과물의 희석액, 이들의 농축액, 이들의 조정제물, 정제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포괄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연잎 추출물은 이를 추출 처리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잎 추출물에 있어서 이의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추출에 사용되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알코올이 사용될 수 있으며, 주로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잎 추출물은 연잎을 20배의 부피의 증류수를 넣어 하루 동안 침적한 후, 115℃에서 180분간 열수 추출하고, 상기 열수 추출물을 여과함으로써 연잎 열수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지만,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용어, "분획물"은, 여러 다양한 구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성분 그룹을 분리하기 위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분획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획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연잎을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에 소정의 용매를 처리하여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을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데에 사용되는 분획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알코올 등의 극성 용매; 헥산(Hexan),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등의 비극성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 중 알코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구체적으로 C1 내지 C4의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항바이러스"는, 항바이러스 효과 혹은 작용과 같이 사용되며, 식물, 동물, 세균 등의 살아 있는 세포에 기생하고 증식하여 여러 질환을 일으키는 여과성 병원체인 바이러스 감염 및 증식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H1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A; H1N1), H3N2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A; H3N2) 및 PR8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A; PR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H1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인플루엔자 중에서 16개의 HA서브타입 중 HA(Hemagglutinin)단백질이 1형이고(H1), 9개의 NA서브타입 중 NA(Neureminidase)단백질이 1형인(N1)인 바이러스를 의미한다. H3N2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상기 H1N1와 마찬가지로 HA(Hemagglutinin)과 NA(Neureminidase)의 종류에 따라 H3N2의 이름이 붙여진 바이러스를 의미한다. PR8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H1N1 변종인 신종플루를 의미하며, 다양한 타입이 존재하여 해마다 종류가 달라지는 A형 독감 바이러스에 속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연잎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PR8, H1N1 및 H3N2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확인하였다(도 2 내지 도 7).
이는, 상기 연잎 추출물이 상기 바이러스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연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용어, "연잎", "추출물" 및 "분획물"은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질환"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으로 유발되는 질환을 의미한다.
상기 용어, "감염"은 병원성 미생물이 숙주가 되는 생물체의 체내에 침입하여, 발육 증식한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로,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서는 독감, 감기, 인후염, 기관지염, 폐렴, 급성호흡기질환 또는 중증호흡기질환등 일 수 있으며, 동물에서는 조류독감, 돼지독감, 염소독감 등의 급성호흡기질환, 중증호흡기질환, 설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용어,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질환의 발병을 억제시키거나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치료"는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질환의 의심 및 발병 개체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001 내지 80, 구체적으로 0.001 내지 70, 더욱 구체적으로 0.001 내지 6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담체는 비자연적 담체(non-naturally occuring c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경피흡수제, 겔제, 로션제, 연고제, 크림제, 첩부제, 카타플라스마제, 페이스트제, 스프레이, 피부 유화액, 피부 현탁액, 경피 전달성 패치, 약물 함유 붕대 또는 좌제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형화할 경우 통상 사용하는 충진제, 중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고형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 등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첨가하여 조제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를 포함한다. 비수성 용제 및 현탁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오일,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약학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질환이 의심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용어, "연잎",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질환", "예방"및"치료"는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투여"는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입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개체"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질환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쥐, 생쥐, 가축 등의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예로,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상기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잎 추출물은 1일 0.01 내지 5000 mg/kg으로, 구체적으로 10 내지 1000 mg/kg의 용량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상기 투여는 하루에 한 번 또는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연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용어, "연", "추출물", "분획물" 및 "항바이러스"의 정의는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식품"은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 식품 및 건강 식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일상적으로 섭취가능한 연잎로부터 유래되었기 때문에 높은 항바이러스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건강 증진 목적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이란, 특정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과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의 제형은 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천연물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므로, 본 발명의 식품은 항바이러스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상기 건강 식품(health food)은 일반식품에 비해 적극적인 건강유지나 증진 효과를 가지는 식품을 의미하고, 건강보조식품(health supplement food)은 건강보조 목적의 식품을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 건강 기능 식품, 건강식품, 건강보조식품의 용어는 호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강 기능 식품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 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이 없는 장점이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크륨(Cr) 등의 미네랄; 및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방부제(소르빈산 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데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졸(BHA), 부틸히드록시톨류엔(BHT) 등), 착색제(타르색소 등), 발색제(아질산 나트륨,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아황산나트륨), 조미료(MSG 글루타민산나트륨 등), 감미료(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나트륨 등), 향료(바닐린, 락톤류 등), 팽창제(명반,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food additive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일 예로 건강음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0.04 g, 구체적으로 약 0.02 내지 0.03 g이 될 수 있다.
상기 외에 건강음료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펙트산의 염, 알긴산, 알긴산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또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또는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연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용어, "연잎", "추출물", "분획물" 및 "항바이러스"는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연잎 추출물은 우수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므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사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사료 조성물은 동물이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에 대하여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사료"는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한다.
상기 사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곡물류, 근과류, 식품 가공 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제약 부산물류, 유지류, 전분류, 박 류 또는 곡물 부산물류 등과 같은 식물성 사료;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 성류, 유지류, 단세포 단백질류, 동물성 플랑크톤류 또는 음식물 등과 같은 동물성 사료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독성이나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감염 억제 효과를 나타내므로, 상기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항바이러스제 개발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연잎 추출물의 마우스 대식 세포 RAW 264.7 세포에 대한 농도별 독성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2 A)는 연잎 추출물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PR8-GFP)와 동시 처리하고, 24시간 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억제 효능을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Mock; 음성 대조군, PR8-GFP;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군). B)는 A)에서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한 각 세포를 유세포 분석기를 사용하여 GFP 발현을 확인한 히스토그램 비교 결과이다. C)는 B)의 유세포 분석기를 통해 발현된 GFP 단백질의 형광값을 수치화하여 PR8-GFP 바이러스에 의한 형광값을 1로 기준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 A)는 연잎 추출물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PR8-GFP)와 동시 처리하고, 24시간 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억제 효능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B)는 450 nm 파장에서 A)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그래프화한 그래프이다.
도 4는 RAW 264.7 세포에 연잎 추출물 100 μg/ml과 PR8-GFP 바이러스를 동시 처리한 후, 바이러스 단백질 M2 발현을 면역형광 염색법으로 확인 결과이다. DAPI는 세포의 핵을 염색하며, Merge는 핵과 바이러스 단백질의 위치를 동시에 표시한 결과이다. (Medium; 음성 대조군, M2; Matrix protein 2)
도 5 A) H1N1 야생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및 B) H3N2 타입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연잎 추출물을 동시 처리하고, 24시간 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억제 효능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연잎 열수 추출물의 제조
50 g의 연잎을 20배 부피의 증류수를 넣어 하루 동안 침적한 후, 115℃에서 180분간 열수 추출하고, 0.45 μm로 1차 여과한 후, 0.22 μm로 2차 여과 하여 침전물을 제거하여 수득하였다. 상기 추출액은 -20℃에 저장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연잎 추출물의 세포 독성 분석
연잎 추출물이 세포에 미치는 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추출물을 생쥐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주에 처리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CCK-8 assay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잎 추출물의 1, 10, 50, 100, 200 및 500 μg/ml의 모든 농도에서 90% 이상 생존율을 보임으로써,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연잎 추출물의 PR8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 분석
실시예 3-1. PR8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감염도 확인
감염 24시간 후의 GFP(green fluorescent protein) 형광 이미지를 이용한 연잎 추출물의 PR8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잎 추출물과 PR8-GFP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동시 처리한 결과, 연잎 추출물 100 μg/ml 이상의 농도에서 바이러스의 감염률이 현저히 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도 2A), 이는 유세포 분석기를 사용하여 GFP 발현을 확인한 히스토그램 비교(도 2B) 및 GFP 단백질의 형광값을 수치화하여 PR8-GFP 바이러스에 의한 형광값을 1로 기준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비교한 그래프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C).
실시예 3-2. PR8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억제능 확인
연잎 추출물의 PR8-GFP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억제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감염 24시간 후의 GFP 형광 이미지를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96 웰 TC 플레이트에 Raw 264.7 세포(2Х105 cell/웰)를 배양한 후, FBS가 포함되지 않은 RPMI 배지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10, 100, 200 및 400 μg/ml 농도의 연잎 열수 추출물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동시 처리하였다. 그런 다음, 2시간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새 배지로 교환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10 μl의 CCK-8 시약을 처리하고 1시간 후에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PR8-GFP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감염시켜 바이러스에 의해 세포가 70% 이상 죽는 상태에서 연잎 추출물을 10, 100, 200 및 400 μg/ml의 농도로 처리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바이러스에 의한 cytopathic effect가 억제되었으며, 200 μg/ml의 농도에서 음성 대조군 수준으로 세포 생존율이 상승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3. 면역형광염색법
바이러스 단백질 M2의 발현에 대한 연잎 추출물의 효능을 면역형광염색법으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RAW 264.7 세포에 연잎 추출물 100 μg/ml과 PR8-GFP 바이러스를 동시에 처리하고 세포를 고정한 후, M2 단백질에 대한 형광 항체를 사용하여 바이러스 단백질 M2 발현을 확인하였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PR8-GFP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만을 처리하였을 때보다 연잎 추출물과 동시에 처리한 세포에서 M2의 발현이 현저히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연잎 추출물의 H1N1 및 H3N2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억제능 확인
연잎 추출물의 H1N1 및 H3N2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96 웰 TC 플레이트에 Raw 264.7 세포(2Х105 cell/웰)를 배양한 후,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10 및 100 μg/ml 농도의 연잎 열수 추출물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동시 처리하였다. 24시간 후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10 μl의 CCK-8 시약을 처리하고 1시간 동안 배양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5A에 나타난 바와 같이, H1N1 야생형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감염시켜 바이러스에 의해 세포가 60% 이상 죽는 상태에서 연잎 추출물을 10 및 100 ug/ml 농도로 처리한 결과, 10 ug/ml과 100 ug/ml 농도에서 바이러스에 의한 cytopathic effect가 억제되었으며, 특히 100 ug/ml 농도에서 세포 생존율이 현저히 상승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H3N2 야생형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감염시켜 바이러스에 의해 세포가 80% 이상 죽는 상태에서 연잎 추출물을 10 및 100 ug/ml 농도로 처리한 결과, 100 ug/ml 농도에서 바이러스에 의한 cytopathic effect가 억제되어 세포 생존율이 현저히 상승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연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인 것인, 약학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H1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A; H1N1), H3N2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A; H3N2) 및 PR8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A; PR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으로 추출하여 수득한 것인, 약학 조성물.
  5. 연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약학 조성물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질환 증상이 나타나거나 또는 나타날 우려가 있는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7. 연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식품 조성물.
  8. 연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사료 조성물.
KR1020210083923A 2021-06-28 2021-06-28 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202300015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923A KR20230001588A (ko) 2021-06-28 2021-06-28 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923A KR20230001588A (ko) 2021-06-28 2021-06-28 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588A true KR20230001588A (ko) 2023-01-05

Family

ID=84926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923A KR20230001588A (ko) 2021-06-28 2021-06-28 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58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5903B2 (en)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uenza virus infection and composition for suppressing neuraminidase activity comprising turmeric extract
JP5340409B2 (ja) 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由来疾病の予防又は治療用組成物
US20220313764A1 (en) CORONAVIRUS THERAPEUTIC AGENT INCLUDING Elaeocarpus sylvestris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1782532B1 (ko) 백지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퓨라노쿠마린을 함유하는 조류 인플루엔자, 돼지 인플루엔자 또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50445B1 (ko) 감초로부터 얻은 조류, 돼지 인플루엔자 및 신종플루에 대한 항바이러스제
KR101271601B1 (ko)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유래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104652A (ko) 딱지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인플루엔자용 조성물
KR101534616B1 (ko) 낙지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인플루엔자용 조성물
KR20170062421A (ko) 귤나무속 열매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20150055683A (ko)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감기, 조류 인플루엔자 또는 돼지 인플루엔자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13005A (ko) 한약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11848B1 (ko)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스테비오사이드 함유 복합체
KR20230001588A (ko) 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20140106198A (ko) 귤나무속 열매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2071668B1 (ko) 한약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56113A (ko) 브로콜리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1115063B1 (ko)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KR100792626B1 (ko)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독감 바이러스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
KR20150095605A (ko)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감기, 조류 인플루엔자 또는 돼지 인플루엔자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03614A (ko) 감잎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86928A (ko)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및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00289B1 (ko) 자금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조성물
KR101310033B1 (ko) 여우오줌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인플루엔자용 조성물
KR20160143628A (ko)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및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10919B1 (ko) 보리잎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