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6529A - 고점결성을 갖는 태양전지 백시트 필름 및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고점결성을 갖는 태양전지 백시트 필름 및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6529A
KR20110056529A KR1020117006814A KR20117006814A KR20110056529A KR 20110056529 A KR20110056529 A KR 20110056529A KR 1020117006814 A KR1020117006814 A KR 1020117006814A KR 20117006814 A KR20117006814 A KR 20117006814A KR 20110056529 A KR20110056529 A KR 20110056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base
fluorine
solar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6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7260B1 (ko
Inventor
지안웨이 린
지후앙 페이
유젱 쟝
Original Assignee
졸리우드 (수조우) 솔라 머트리얼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졸리우드 (수조우) 솔라 머트리얼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졸리우드 (수조우) 솔라 머트리얼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56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8Forming gas barrier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08J7/0423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with at least one layer of inorganic material and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4Forming conductive coatings; Forming coatings having anti-static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9Protective back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4Inert, i.e. inert to chemical degradation, corro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2Temperature
    • B32B2309/025Temperature vs time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8Dimensions, e.g. volume
    • B32B2309/10Dimensions, e.g. volume linear, e.g. length, distance, width
    • B32B2309/105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8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32B2310/0875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7/00Polyvinylhalogenides
    • B32B2327/12Polyvinylhalogenides containing fluor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31/00Polyvinylesters
    • B32B2331/04Polymers of vinyl acetate, e.g. PV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2Photovoltaic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4Of fluorinate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4Of fluorinate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544Addition polymer is perhalogen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고점결성을 갖는 태양전지 백시트 필름은 베이스층과 플루오린 기저막층을 포함하는데, 상기 플루오린 기저막층과 상기 베이스층사이에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 또는 실리콘 티타나이징 성막층을 구비하고,상기 플루오린 기저막층의 외면에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 또는 실리콘 티타나이징 성막층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플루오린 기저막층과/또는 베이스층에 대해 플루오로 실록산화 또는 실리콘 티타나이징처리를 진행하여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 또는 실리콘 티타나이징 성막층을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점결성능은 더욱 우월하게 되고 막층은 밀집되어 차단성능을 제고시킨다. 특히 수증기에 대해 더욱 우수한 차단성능을 갖고 있고 방습성능이 좋으며 전기적 성능과 내후성능이 더욱 우월하다.

Description

고점결성을 갖는 태양전지 백시트 필름 및 가공방법{BACK SHEET OF COLAR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태양전지에 사용되는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점결성을 갖는 태양전지 백시트 필름(back sheet film)과 상기 백시트 필름을 가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태양전지판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적층구조이고 주요하게 유리표층, EVA밀봉층, 태양전지, EVA밀봉층 및 태양전지 백시트 필름을 포함하는데, 그 중 태양전지는 두층의 EVA밀봉층에 밀봉되어 포장되었다. 태양전지 백시트 필름의 주요작용은 태양전지판의 전체 기계적 강도를 높이고, 이밖에 수증기가 밀봉층 안으로 침투되어 태양전지의 사용수명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백시트 필름의 전체적 성능을 제고시키기 위하여, 종래기술 중에는 백시트 필름을 개선하는 수많은 방안들이 출현되었다. 예를 들면, 중국특허출원번호 CN200710185202.8호, 공개일자 2008년 5월 14일, 공개번호가 CN101177514인 특허출원에서 태양전지 백시트 및 그 제조방법을 공개한 것과 같이, 상기 백시트는 기재와 플루오린-함유중합체를 포함하고, 플루오린을 함유하는 중합체의 각 성분은 중량부에 따라 계산할 때 플루오로수지 25-45 중량부, 변성수지 1.5-3 중량부, 중합체 충전재 0.5-3 중량부, 무기충전재 0.1-1 중량부, 용매 50-70 중량부이다. 상기 방안의 생산원가는 낮고 성능이 우수하며 그 박리강도가 높고 방수성능이 우수하며 내후성이 좋다. 또 예를 들면, EP1938967호 유럽특허출원으로서 공개일자는 2008년 7월 2이고, 국제출원번호가 PCT/JP2006/312501이며, 국제공개번호가 WO2007/010706이고 공고일자는 2007년 1월 25일이며, 위 특허출원은 내수판을 구비하는 태양전지 백시트를 공개한 것으로, 상기 태양전지 백시트 모듈은 적어도 방수판의 한개 표면에 경화성 코팅재막을 구비하고 상기 경화성 코팅재막은 작용기를 경화시킬 수 있는 플루오린-함유 중합체를 함유하는 코팅재를 포함한다. 상기 방안은 플루오린을 함유하는 코팅재를 제조하고 상기 플루오린을 함유하는 코팅재를 기재 위에 코팅함으로써 백시트의 전체적 성능을 제고시킨다. 비록 플루오린 재료가 백시트의 전체적 성능을 제고시킬 수는 있지만, 플루오린 재료자체의 특성 때문에 표면 에너지가 높아지고 표면은 소수성을 가지며 점결성능이 낮아진다. 이러한 백시트와 EVA의 점결성능이 낮아져 백시트와 EVA의 점결가공방법이 복잡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부족한 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고점결성을 갖고 있으며 또한 고내후성, 내화학성, 높은 전기절연성능 및 높은 방수성을 갖는 태양전지 백시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부족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고점결성을 갖고 있으며 전체적 성능이 우수한 태양전지 백시트 필름을 가공할 수 있는 가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고점결성을 갖고 있는 태양전지 백시트 필름은 베이스층과 플루오린 기저막층을 포함하는데, 상기 플루오린 기저막층과 상기 베이스층사이에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 또는 실리콘 티타나이징 성막층을 구비하고, 상기 플루오린 기저막층의 외면에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 또는 실리콘 티타나이징 성막층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고점결성을 갖고 있는 태양전지 백시트 필름은 다음과 같은 종속적인 기술특징도 갖고 있다.
상기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 또는 실리콘 티타나이징 성막층의 두께는 0.01μm-5μm이다.
상기 베이스층은 PET베이스층이다.
상기 베이스층은 PET와 PBT 또는 PEN으로 열용융 블렌딩처리를 거쳐 형성된 고분자 합금재료 베이스층이고 그중 PBT 또는 PEN의 함량은 중량으로 계산할 때 1-50중량부이다.
상기 베이스층은 PET중에 이산화규소, 산화티타늄, 산화알루미늄 또는 산화지르코늄에서 선택된 무기산화물을 첨가하여 형성되고, 그중 무기산화물의 함량은 중량으로 계산할 때 1-35중량부이다.
상기 베이스층은 초미세 클로즈 홀식 발포층이다.
상기 베이스층의 두께는 0.1밀리리터-10밀리리터이다.
상기 플루오린 기저막층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기저막층이거나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과,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의 터폴리머로 형성된 막층이거나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기저막층이다.
상기 플루오린 기저막층 중의 플루오로수지의 함량은 중량으로 계산할 때 30-95중량부이다.
상기 베이스층 또는 상기 플루오린 기저막층의 표면은 플라즈마 플루오로 실록산화처리를 거쳐 상기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을 형성시킨다.
상기 플루오린 기저막층 또는 상기 베이스층은 플라즈마 실리콘 티타나이징처리를 거쳐 상기 실리콘 티타나이징 성막층을 형성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고점결성을 갖는 태양전지 백시트 필름의 가공방법은 주요하게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1)베이스층의 표면에 플라즈마처리를 진행하여 베이스층의 표면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2)활성화된 베이스층에 플루오로 실록산화합물 또는 실리콘 티타나이징 화합물을 용사하거나 롤러코팅 또는 침지시키고, 20-200℃에서 1-600초 동안 가열함으로써 베이스층 표면에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 또는 실리콘 티타나이징 성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3)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 또는 실리콘 티타나이징 성막층을 포함하는 베이스층을 50-200℃까지 가열한 후, 양면 또는 일면에 두께가 5-200μm인 플루오린 기저막층을 적층하여 기재를 형성시키는 단계.
(4)플루오린 기저막층을 포함하는 기재의 표면에 플라즈마처리를 진행하여 기재표면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5)활성화된 기재에 플루오로 실록산화합물 또는 실리콘 티타나이징화합물을 용사하거나 롤러코팅 또는 침지시키고, 20-200℃에서 1-600초 동안 가열함으로써 기재 표면에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 또는 실리콘 티타나이징 성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고점결성을 갖는 태양전지 백시트 필름의 가공방법은 주요하게 다음과 같은 단계를 부가하여 포함할 수 있다.
(1)플루오린 기저막층의 양쪽 표면에 대해 플라즈마처리를 진행하여 플루오린 기저막층의 표면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2)활성화된 플루오린 기저막층의 양면에 플루오로 실록산화합물 또는 실리콘 티타나이징화합물을 용사하거나 롤러코팅 또는 침지시키고, 20-200℃에서 1-600초 동안 가열함으로써 플루오린 기저막층의 양쪽 표면에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 또는 실리콘 티타나이징 성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3)베이스층을 50-200℃까지 가열한 후, 양면 또는 일면에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 또는 실리콘 티타나이징 성막층을 포함하는 플루오린 기저막층을 적층시키는 단계.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고점결성을 갖는 태양전지 백시트 필름은 종래기술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고 있다. 우선, 본 발명은 플루오린 기저막층과/또는 베이스층에 대해 플루오로 실록산화 또는 실리콘 티타나이징처리를 진행하여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 또는 실리콘 티타나이징 성막층을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점결성능을 더욱 우월하게 하고 막층을 밀집되게 하여 차단성능을 제고시켰으며, 특히 수증기에 대해 더욱 우월한 차단성능을 가지고 방습성능도 우수하며 전기적 성능과 내후성도 더욱 우월해졌다. 다음, 상기 처리를 거친 후의 백시트 필름의 양쪽 표면은 구별점이 없기에 부동한 유형의 접착제의 점결요구에 적용할 수 있어 태양전지모듈을 적층할 때, 정면과 이면을 분별할 필요가 없으므로 편리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고점결성을 갖는 태양전지 백시트 필름의 가공방법은 아래와 같은 장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가공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태양전지 백시트 필름의 점결성은 더욱 우월하고, 막층이 밀집되었기에 차단성능을 제고시켰고 또한 이러한 가공방법은 연속적인 생산을 실현할 수 있기에 생산효율을 제고시킨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조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조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작동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종래기술중의 백시트 필름은 일반적으로 PET 베이스층의 양면에 DuPont회사의 Tedlar박막을 코팅한 것이고, Tedlar박막은 테이프 캐스팅 방법을 거쳐 성막된 다음 인장처리를 거친 것이다. 상기 막은 비열용융된 막에 속하고, 팽융된 입자 사이에는 공극이 있으며, 막의 기계적 강도는 낮고 이 막은 용매형 접착제로 PET 베이스층과 접착되는데, 이러한 가공방법은 복잡하고 용매는 충분히 휘발되기 어려우며, 복합막의 취약점을 초래하기 쉽다. 또한 박막의 수증기 투과율을 4.2g/ m2d에 달하게 하여 태양전지의 광전변환효율이 빨리 감퇴됨으로써 태양전지의 사용수명이 단축된다.
도1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고점결성을 갖는 태양전지 백시트 필름은 베이스층(3)과 플루오린 기저막층(2)을 포함하는데, 상기 플루오린 기저막층(2)과 상기 베이스층(3)사이에는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1)을 구비하고, 상기 플루오린 기저막층(2)의 외면에는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1)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상기 플루오린 기저막층(2)과 상기 베이스층(3) 및 플루오린 기저막층(2)의 외면에 모두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1)을 설치하였기에, 플루오린 기저막층(2)과 베이스층(3)사이의 점결을 더욱 견고하게 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백시트 필름을 기타 태양전지 모듈과 쉽게 점결되게 한다. 본 실시예 중의 플루오린 기저막층(2)은 2층구조로 되어 있고, 각각 상기 베이스층(3)의 양면에 위치하였기에, 본 실시예의 구조는 7층구조인데, 즉 순차적으로 적층된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1), 플루오린 기저막층(2),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1), 베이스층(3),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1), 플루오린 기저막층(2)과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1)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러한 7층구조는 본 발명의 백시트 필름을 사용할 때, 정면과 이면을 분별할 필요가 없기에 더욱 편리하게 사용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차단성을 더욱 좋게 하고, 전체적인 방습성능, 전기적 성능과 내후성능을 더욱 우월하게 한다.
물론 본 발명은 4층구조, 즉 순차적으로 적층된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 플루오린 기저막층,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과 베이스층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해도 좋은데, 이러한 구조는 사용시 정면과 이면을 분별해야 한다.
도2를 참조해 보면, 본 발명의 백시트 필름구조는 5층구조, 즉 순차적으로 적층된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1), 플루오린 기저막층(2),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1), 베이스층(3),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1)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 제공한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1)의 두께는 0.01μm 내지 5μm이고, 바람직한 두께는 0.1μm 내지 2μm이다. 구체적인 수치는 베이스층과 플루오린 기저막층의 두께에 따라 0.05μm, 0.1μm, 0.3μm, 0.8μm, 1.2μm, 1.8μm, 2μm, 2.5μm, 3μm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두께의 선택은 각층사이 점결의 요구에 부합되어야 하고 또한 백시트 필름의 전체적 성능을 제고시켜야 한다.
본 발명중의 상기 베이스층(3)은 PET베이스층이어도 좋으며, 그중 PET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다.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층(3)은 PET와 PBT로 열용융 블렌딩처리를 거쳐 형성된 고분자 합금재료 베이스층이어도 좋으며, 그중 PBT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며, PBT를 첨가하여 PET에 대해 변성처리를 진행함으로써 상기 베이스층의 전체적 성능을 제고시킨다. 그중 PBT의 함량은 중량으로 계산할 때 1-50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8-20중량부이다. 구체적인 수치는 1중량부, 4중량부, 8중량부, 12중량부, 15중량부, 18중량부, 20중량부, 25중량부, 30중량부, 40중량부 또는 50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층(3)은 PET와 PEN로 열용융 블렌딩처리를 거쳐 형성된 고분자 합금재료 베이스층이어도 좋으며, 그중 PEN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며, PEN를 첨가하여 PET에 대해 변성처리를 진행함으로써 상기 베이스층의 전체적 성능을 제고시킨다. 그중 PEN의 함량은 중량으로 계산할 때 1-50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8-20중량부이다. 구체적인 수치는 1중량부, 4중량부, 8중량부, 12중량부, 15중량부, 18중량부, 20중량부, 25중량부, 30중량부, 40중량부 또는 50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베이스층(3)은 PET와 PBT 또는 PEN 합금화를 거친후, 결정화, 가공성 및 평탄성을 개선하여 베이스층 표면플라즈마 균일성을 제고시키며 활성기를 균일하게 분산되게 하여, 후속의 실리콘 티타나이징 및 플루오로 실록산화처리함에 있어 대면적인 균일하고 견고한 적층을 확보한다.
본 발명중의 상기 베이스층(3)은 PET중에 무기산화물을 첨가하여 형성되었고, 그중 무기산화물의 함량은 중량으로 계산할 때 1-35중량분이며, 바람직하게는 10-20중량분이다. 구체적인 수치는 1중량부, 5중량부, 10중량부, 12중량부, 16중량부, 20중량부, 25중량부, 30중량부 또는 35중량부이어도 좋다. 그중, 상기 무기산화물은 이산화규소, 산화티타늄, 산화알루미늄, 산화지르코늄이어도 좋다.
본 발명중의 베이스층(3)은 PE를 사용해도 좋으며, 초미세 클로즈 홀식 발포방법을 통하여 초미세 클로즈 홀식 발포층을 형성하는데, 이 발포층 중의 발포공은 폐쇄식구조이고 또한 발포공은 극세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의 베이스층은 우수한 지지력을 갖고 있고 또한 가벼우며 쉽게 절곡될수 있기에 절곡식 태양전지판에 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한 상기 베이스층(3)에서, 상기 베이스층(3)의 두께는 0.1mm-10mm이고, 그중 비발포베이스층의 바람직한 두께는 0.2-0.3mm이며, 구체적인 수치는 0.2mm, 0.22mm, 0.25mm, 0.28mm, 0.3mm이다. 발포베이스층의 두께는 1-3mm이고, 구체적인 수치는 1mm, 2mm, 3mm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한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플루오린 기저막층(2)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기저막층으로서, 이러한 막층은 JOLYWOOD FFC막을 선택사용할 수 있고, 이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 단일중합체막층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플루오린 기저막층(2)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과,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의 터폴리머로 형성된 막층, 즉 THV막층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플루오린 기저막층(2)은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기저막층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상기 플루오린 기저막층(2)중 플루오로수지의 함량은 중량으로 계산할 때 30-95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50-80중량부이다. 구체적인 수치는 30중량부, 40중량부, 50중량부, 60중량부, 70중량부, 80중량부, 95중량부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한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1)은 상기 베이스층(3)과/또는 상기 플루오린 기저막층(2)의 표면에 플라즈마 플루오로 실록산화처리를 진행하여 형성된 한층의 성막층, 즉 본 발명에서 일컫는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1)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한 고점결성을 갖는 태양전지 백시트 필름의 가공방법은 주요하게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1)베이스층(3)의 표면에 플라즈마처리를 진행하여 베이스층(3)의 표면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여기서 사용된 플라즈마처리방법은 종래기술 중 비교적 숙달된 플라즈마방법이어도 좋다.
(2)활성화된 베이스층(3)에 플루오로 실록산화합물을 용사하고, 100℃에서 20초 동안 가열함으로써 베이스층 표면에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여기서, 플루오로 실록산화합물은 롤러코팅 또는 침지하는 방식을 통하여 베이스층의 표면에 코팅될 수도 있음으로써 베이스층의 표면에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을 형성시킨다.
(3)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을 포함하는 베이스층을 90℃까지 가열한 후, 양면에 두께가 20μm인 플루오린 기저막층을 적층하여 기재를 만드는 단계. 물론 한쪽면에 플루오린 기저막층을 적층하여도 좋다.
(4)플루오린 기저막층을 포함하는 기재의 표면에 플라즈마처리를 진행하여 기재표면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여기서 사용된 플라즈마처리방법은 제1단계중의 플라즈마처리방법과 동일하다.
(5)활성화된 기재에 플루오로 실록산화합물을 용사하고, 100℃에서 20초 동안 가열함으로써 기재표면에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여기서, 플루오로 실록산화합물은 롤러코팅 또는 침지하는 방식을 통하여 베이스층의 표면에 코팅될 수도 있음으로써 베이스층의 표면에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을 형성시킨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플루오로 실록산화합물의 분자식: Rf-Si(OR)3, 이러한 화합물은 시장에서 그 완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 이러한 플루오로 실록산화합물은 유기화합물이고 고체 또는 액체일 수 있으며 다른 액체와 배합된다. 그의 특성은 한쪽이 유기물과 친하고 다른 한쪽이 무기물과 친함으로써 유효하게 각층사이의 점결력을 제고시켰다.
상기 가공방법을 거쳐 백시트 필름의 가공을 완성하는데, 이러한 백시트 필름은 완제품으로 판매될 수 있고, 태양전지판에 사용되어 태양전지판중의 다른 모듈과 점결된다.
본 발명의 단계(2)와 단계(5)에서 사용된 가열온도는 20-200℃이어도 좋고, 가열하여 굽는 시간은 1-600초이어도 좋으며, 바람직한 범위로서 가열온도는 80-130℃이고, 가열시간은 10-60초이다. 그중, 수치선택은 각층의 재료가 부동함에 따라 부동한 가열온도와 시간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이밖에, 가열온도가 높을수록 사용된 가열시간은 짧아진다. 구체적인 수치는 아래와 같을 수 있다. 가열온도는 20℃이고 가열시간은 600초이며, 가열온도는 40℃이고 가열시간은 300초이며, 가열온도는 60℃이고 가열시간은 100초이며, 가열온도는 80℃이고 가열시간은 40초이며, 가열온도는 120℃이고 가열시간은 15초이며, 가열온도는 150℃이고 가열시간은 10초이며, 가열온도는 200℃이고 가열시간은 1초이다.
본 발명의 단계(3)에서, 베이스층을 50-200℃까지 가열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80-150℃이며 구체적인 수치는 50℃, 60℃, 80℃, 100℃, 120℃, 150℃, 180℃, 200℃이어도 좋다. 플루오린 기저막층의 두께는 5-200μm인데, 바람직하게는 10-40μm이다. 구체적인 수치는 5μm, 10μm, 15μm, 25μm, 35μm, 40μm, 60μm, 100μm, 150μm, 200μm이어도 좋다.
본 실시예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가공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주요하게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1)플루오린 기저막층(2)의 양쪽 표면에 대해 플라즈마처리를 진행하여 플루오린 기저막층의 표면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여기서 사용된 플라즈마처리방법은 종래기술 중 비교적 숙달된 플라즈마처리방법이어도 좋다.
(2)활성화된 플루오린 기저막층(2)의 양면에 플루오로 실록산화합물을 용사하고, 100℃에서 20초 동안 가열함으로써 기저막층의 양쪽 표면에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여기서, 플루오로 실록산화합물은 롤러코팅 또는 침지하는 방식을 통하여 기저막층의 표면에 코팅될 수도 있음으로써 기저막층의 양쪽 표면에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을 형성시킨다.
(3)베이스층을 90℃까지 가열한 후, 양면에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을 포함하는 플루오린 기저막층을 적층시키는 단계. 물론 한쪽면에 플루오린 기저막층을 적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단계(2)에서, 사용된 가열온도는 20-200℃일 수 있고, 가열하여 굽는 시간은 1-600초일 수 있으며, 바람직한 범위로서 가열온도는 80-130℃이고, 가열시간은 10-60초이다. 그중, 수치선택은 각층의 재료가 부동함에 따라 부동한 가열온도와 시간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이밖에, 가열온도가 높을수록 사용된 가열시간은 짧아진다. 구체적인 수치는 아래와 같을 수 있다. 가열온도는 20℃이고 가열시간은 600초이며, 가열온도는 40℃이고 가열시간은 300초이며, 가열온도는 60℃이고 가열시간은 100초이며, 가열온도는 80℃이고 가열시간은 40초이며, 가열온도는 120℃이고 가열시간은 15초이며, 가열온도는 150℃이고 가열시간은 10초이며, 가열온도는 200℃이고 가열시간은 1초이다.
본 발명의 단계(3)에서, 베이스층을 50-200℃까지 가열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80-150℃이며 구체적인 수치는 50℃, 60℃, 80℃, 100℃, 120℃, 150℃, 180℃, 200℃이어도 좋다. 플루오린 기저막층의 두께는 5-200μm인데, 바람직하게는 10-40μm이다. 구체적인 수치는 5μm, 10μm, 15μm, 25μm, 35μm, 40μm, 60μm, 100μm, 150μm, 200μm이어도 좋다.
도3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서 제공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층(3)과 플루오린 기저막층(2)을 포함하는데, 상기 플루오린 기저막층(2)과 상기 베이스층(3)사이에 실리콘 티타나이징 성막층(4)을 구비하고 상기 플루오린 기저막층(2)의 외면에 실리콘 티타나이징 성막층(4)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상기 플루오린 기저막층(2)과 상기 베이스층(3) 및 플루오린 기저막층(2)의 외면에 모두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1)을 설치하였기에, 플루오린 기저막층(2)과 베이스층(3)사이의 점결을 더욱 견고하게 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백시트 필름을 기타 태양전지 모듈과 쉽게 점결되게 한다. 본 실시예중의 플루오린 기저막층(2)은 2층구조로 되어있고, 각각 상기 베이스층(3)의 양면에 위치하였기에, 본 실시예의 구조는 7층구조, 즉 순차적으로 적층된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1), 플루오린 기저막층(2),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1), 베이스층(3),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1), 플루오린 기저막층(2)과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1)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러한 7층구조는 본 발명의 백시트 필름을 사용할 때, 정면과 이면을 분별할 필요가 없기에 더욱 편리하게 사용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차단성을 더욱 좋게 하고, 전체적인 방습성능, 전기적 성능과 내후성능을 더욱 우월하게 한다.
물론 본 발명은 4층구조, 즉 순차적으로 적층된 실리콘 티타나이징 성막층, 플루오린 기저막층, 실리콘 티타나이징 성막층과 베이스층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해도 좋은데, 이러한 구조는 사용시 정면과 이면을 분별해야 한다.
도4를 참조해 보면, 본 발명은 5층구조, 즉 순차적으로 적층된 실리콘 티타나이징 성막층(4), 플루오린 기저막층(2), 실리콘 티타나이징 성막층(4), 베이스층(3), 실리콘 티타나이징 성막층(4)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 제공한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실리콘 티타나이징 성막층(4)의 두께는 0.01μm 내지 5μm이고, 바람직한 두께는 0.1μm 내지 2μm이다. 구체적인 수치는 베이스층과 플루오린 기저막층의 두께에 따라 0.05μm, 0.1μm, 0.3μm, 0.8μm, 1.2μm, 1.8μm, 2μm, 2.5μm, 3μm 등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두께의 선택은 각층사이 점결의 요구에 부합되어야 하고 또한 백시트 필름의 전체적 성능을 제고시켜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된 베이스층(3)과 플루오린 기저막층(2)은 상기 실시예중의 베이스층 및 플루오린 기저막층과 동일함으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더는 언급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실시예에서, 상기 실리콘 티타나이징 성막층(4)은 상기 베이스층(3)과/또는 상기 플루오린 기저막층(2)의 표면에 플라즈마 실리콘 티타나이징처리를 진행해서 형성된 한층의 성막층, 즉 본 발명에서 일컫는 실리콘 티타나이징 성막층(4)이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의 가공방법은 주요하게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1)베이스층(3)의 표면에 플라즈마처리를 진행하여 베이스층의 표면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여기서 사용된 플라즈마처리방법은 종래기술 중 비교적 숙달된 플라즈마방법이어도 좋다.
(2)활성화된 베이스층(3)에 실리콘 티타나이징화합물을 용사하고, 110℃에서 18초 동안 가열함으로써 베이스층 표면에 실리콘 티타나이징 성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여기서, 실리콘 티타나이징화합물은 롤러코팅 또는 침지하는 방식을 통하여 베이스층(3)의 표면에 코팅될 수도 있음으로써 베이스층의 표면에 실리콘 티타나이징 성막층(4)을 형성시킨다.
(3)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을 포함하는 베이스층을 90℃까지 가열한 후, 양면에 두께가 20μm인 플루오린 기저막층을 적층하여 기재를 만드는 단계. 물론 일면에 플루오린 기저막층을 적층할 수도 있다.
(4)플루오린 기저막층을 포함하는 기재의 표면에 플라즈마처리를 진행하여 기재표면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여기서 사용된 플라즈마처리방법은 제1단계중의 플라즈마처리방법과 동일하다.
(5)활성화된 기재에 실리콘 티타나이징화합물을 용사하고, 110℃에서 18초 동안 가열함으로써 기재표면에 실리콘 티타나이징 성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여기서, 실리콘 티타나이징화합물은 롤러코팅 또는 침지하는 방식을 통하여 베이스층의 표면에 코팅될 수도 있음으로써 베이스층의 표면에 실리콘 티타나이징 성막층을 형성시킨다.
본 실시예에 대하여 다른 가공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주요하게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1)플루오린 기저막층(2)의 양쪽 표면에 대해 플라즈마처리를 진행하여 플루오린 기저막층의 표면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여기서 사용된 플라즈마처리방법은 종래기술 중 비교적 숙달된 플라즈마처리방법이어도 좋다.
(2)활성화된 플루오린 기저막층(2)의 양면에 실리콘 티타나이징화합물을 용사하고, 110℃에서 18초 동안 가열함으로써 플루오린 기저막층의 표면에 실리콘 티타나이징 성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여기서, 실리콘 티타나이징화합물은 롤러코팅 또는 침지하는 방식을 통하여 플루오린 기저막층의 표면에 코팅될 수도 있음으로써 플루오린 기저막층의 양쪽 표면에 실리콘 티타나이징 성막층을 형성시킨다.
(3)베이스층을 90℃까지 가열한 후, 양면에 실리콘 티타나이징 성막층을 포함하는 플루오린 기저막층을 적층시키는 단계. 물론 일면에 플루오린 기저막층을 적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실리콘 티타나이징화합물의 분자식: SiOx, 이러한 화합물은 시장에서 그 완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 이러한 실리콘 티타나이징화합물은 유기화합물이고 고체 또는 액체일 수 있으며 다른 액체와 배합된다. 그의 특성은 한쪽이 유기물과 친하고 다른 한쪽이 무기물과 친함으로써 유효하게 각층사이의 점결력을 제고시켰다.
본 발명은 상기 가공방법을 사용하여 백시트 필름가공의 연속적인 생산을 실현할 수 있기에 생산효율을 제고시킨다.
본 발명의 제품을 국외의 동종제품과 비교해 볼 때, 각항의 데이터는 다음 표1과 같다.
특성 단위 일본제품 미국제품 본 발명
표면장력 mN/cm 30-40 40 45이상
EVA에 대한 점결도 N/10mm 20-40 20-40 50-100
수중기 투과율 g/m2.d 1.6 4.3 0.1이하
상기 대조를 통해, 본 발명은 각항 지표에서 국외 동종제품보다 훨씬 우수하다는 것을 알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Claims (13)

  1. 베이스층과 플루오린 기저막층을 포함하는 고점결성을 갖는 태양전지 백시트 필름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린 기저막층과 상기 베이스층사이에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 또는 실리콘 티타나이징 성막층을 구비하며, 상기 플루오린 기저막층의 외면에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 또는 실리콘 티타나이징 성막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점결성을 갖는 태양전지 백시트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 또는 실리콘 티타나이징 성막층의 두께는 0.01μm~5μm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점결성을 갖는 태양전지 백시트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PET베이스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점결성을 갖는 태양전지 백시트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PET와 PBT 또는 PEN로 열용융 블렌딩처리를 거쳐 형성된 고분자 합금재료 베이스층이고, 상기 PBT 또는 PEN의 함량은 중량으로 계산할 때 1~50중량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점결성을 갖는 태양전지 백시트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PET중에 이산화규소, 산화티타늄, 산화알루미늄 또는 산화지르코늄에서 선택된 무기산화물을 첨가하여 형성되고, 상기 무기산화물의 함량은 중량으로 계산할 때 1~5중량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점결성을 갖는 태양전지 백시트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초미세 클로즈 홀식 발포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점결성을 갖는 태양전지 백시트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의 두께는 0.1mm~10mm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점결성을 갖는 태양전지 백시트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린 기저막층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기저막층이거나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과,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의 터폴리머로 형성된 막층 또는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기저막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점결성을 갖는 태양전지 백시트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린 기저막층 중의 플루오로수지의 함량은 중량으로 계산할 때 30~95중량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점결성을 갖는 태양전지 백시트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 또는 상기 플루오린 기저막층의 표면은 플라즈마 플루오로 실록산화처리를 거쳐 상기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점결성을 갖는 태양전지 백시트 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린 기저막층 또는 상기 베이스층은 플라즈마 실리콘 티타나이징처리를 거쳐 상기 실리콘 티타나이징 성막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점결성을 갖는 태양전지 백시트 필름.
  12. (1)베이스층의 표면에 플라즈마처리를 진행하여 베이스층의 표면을 활성화시키는 단계와,
    (2)활성화된 베이스층에 플루오로 실록산화합물 또는 실리콘 티타나이징화합물을 용사하거나 롤러코팅 또는 침지시키고, 20~200℃에서 1~600초 동안 가열함으로써 베이스층 표면에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 또는 실리콘 티타나이징 성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3)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 또는 실리콘 티타나이징 성막층을 포함하는 베이스층을 50~200℃까지 가열한 후, 양면 또는 일면에 두께가 5~200μm인 플루오린 기저막층을 적층하여 기재를 형성시키는 단계와,
    (4)플루오린 기저막층을 포함하는 기재의 표면에 플라즈마처리를 진행하여 기재표면을 활성화시키는 단계와,
    (5)활성화된 기재에 플루오로 실록산화합물 또는 실리콘 티타나이징화합물을 용사하거나 롤러코팅 또는 침지시키고, 20~200℃에서 1~600초 동안 가열함으로써 기재표면에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 또는 실리콘 티타나이징 성막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점결성을 갖는 태양전지 백시트 필름의 가공방법.
  13. (1)플루오린 기저막층의 양쪽 표면에 대해 플라즈마처리를 진행하여 플루오린 기저막층의 표면을 활성화시키는 단계와,
    (2)활성화된 플루오린 기저막층의 양면에 플루오로 실록산화합물 또는 실리콘 티타나이징화합물을 용사하거나 롤러코팅 또는 침지시키고, 20~200℃에서 1~600초 동안 가열함으로써 플루오린 기저막층의 양쪽 표면에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 또는 실리콘 티타나이징 성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3)베이스층을 50~200℃까지 가열한 후, 양면 또는 일면에 플루오로 실록산화 성막층 또는 실리콘 티타나이징 성막층을 포함하는 플루오린 기저막층을 적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점결성을 갖는 태양전지 백시트 필름의 가공방법.

KR1020117006814A 2008-08-29 2009-08-21 고점결성을 갖는 태양전지 백시트 필름 및 가공방법 KR1014572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8102101779A CN101661962B (zh) 2008-08-29 2008-08-29 一种具有高粘结性的太阳能电池背膜及加工工艺
CN200810210177.9 2008-08-29
PCT/CN2009/000965 WO2010022585A1 (zh) 2008-08-29 2009-08-21 太阳能电池背膜及其加工工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529A true KR20110056529A (ko) 2011-05-30
KR101457260B1 KR101457260B1 (ko) 2014-11-03

Family

ID=41720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6814A KR101457260B1 (ko) 2008-08-29 2009-08-21 고점결성을 갖는 태양전지 백시트 필름 및 가공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99508B2 (ko)
EP (1) EP2333875A4 (ko)
KR (1) KR101457260B1 (ko)
CN (1) CN101661962B (ko)
WO (1) WO20100225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14542A (zh) * 2010-03-26 2010-08-25 明冠能源(江西)有限公司 高水汽阻隔率太阳能背膜及其制作方法
US20120063952A1 (en) 2010-09-10 2012-03-15 Hong Keith C Uv resistant clear laminates
KR101625420B1 (ko) * 2010-11-12 2016-05-30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태양 전지용 백시트와 그 제조 방법, 및 태양 전지 모듈
CN102555377B (zh) * 2010-12-31 2015-01-07 苏州中来光伏新材股份有限公司 一种eva胶一体化太阳电池背膜及加工工艺
CN102529259B (zh) * 2010-12-31 2014-12-03 苏州中来光伏新材股份有限公司 一种高粘结性太阳电池背膜及加工工艺
CN102555370B (zh) * 2010-12-31 2015-04-22 苏州中来光伏新材股份有限公司 一种非氟高耐候高粘结性太阳电池背膜及加工工艺
TW201307468A (zh) * 2011-07-14 2013-02-16 Fujifilm Corp 太陽電池用聚合物片及太陽電池模組
CN102911613A (zh) * 2011-08-02 2013-02-06 苏州中来光伏新材股份有限公司 一种涂覆型高粘接太阳电池背膜及制备工艺
TW201313848A (zh) * 2011-09-30 2013-04-01 Eternal Chemical Co Ltd 用於太陽能電池模組之封裝材料及其用途
CN103187471B (zh) * 2011-12-30 2016-06-01 苏州中来光伏新材股份有限公司 一种刚性太阳电池背板及其加工工艺
CN103187468B (zh) * 2011-12-30 2015-11-04 苏州中来光伏新材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散热性太阳电池背膜及加工工艺
CN103367490B (zh) * 2012-03-27 2016-04-20 横店集团东磁股份有限公司 一种低温等离子体化处理的太阳能电池背膜及其制备方法
CN102709368B (zh) * 2012-06-21 2015-06-17 宁波长阳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电池背板及其制备方法
CN102931261B (zh) * 2012-10-22 2015-09-23 苏州中来光伏新材股份有限公司 一种光伏组件用太阳电池背膜及其加工工艺
CN102931262B (zh) * 2012-11-01 2016-06-22 乐凯胶片股份有限公司 一种透明太阳能电池背膜
WO2014077133A1 (ja) * 2012-11-15 2014-05-22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フッ素系樹脂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CN104282805A (zh) * 2014-09-29 2015-01-14 常州回天新材料有限公司 提高太阳能电池板背膜表面能的处理方法
CN104393077B (zh) * 2014-10-24 2016-08-24 无锡中洁能源技术有限公司 用于太阳能电池背板的有机硅涂层及其制备方法
CN104985895B (zh) * 2015-06-05 2017-03-08 苏州佳亿达电器有限公司 一种用于太阳能光电板的高寿命背膜
CN106229366A (zh) * 2016-08-24 2016-12-14 苏州中来光伏新材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太阳能电池背板及其组件和制备方法
JP7041916B2 (ja) * 2018-02-07 2022-03-2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表面処理方法及び装置
CN109411558B (zh) * 2018-10-24 2020-05-12 苏州赛伍应用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太阳能电池背板及其制备方法
CN110527128A (zh) * 2019-08-29 2019-12-03 苏州瀚海新材料有限公司 一种涂覆型太阳能背板的制备方法
CN114621696B (zh) * 2020-12-11 2023-12-01 苏州阿特斯阳光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光伏组件电池串用固定胶带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274897B (zh) * 2022-07-18 2023-06-06 江苏中来新材科技有限公司 一种高反射的光转换光伏背板和双面光伏组件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4243B2 (ja) 1993-12-17 2002-01-07 キヤノン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756082B2 (ja) * 1994-04-28 1998-05-25 キヤノン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3061255B2 (ja) * 1995-08-18 2000-07-10 キヤノン販売株式会社 成膜方法
CN1169228C (zh) * 1995-08-24 2004-09-29 佳能株式会社 太阳能电池组件,其制造方法以及建筑物构件
EP0826633B1 (en) * 1996-08-30 2002-03-13 Showa Denko Kabushiki Kaisha Particles, aqueous dispersion and film of titanium oxide, and preparation thereof
EP1054456A3 (en) * 1999-05-17 2007-01-03 Dai Nippon Printing Co., Ltd. Protective sheet for solar battery module,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nd solar battery module
WO2001096114A1 (en) * 2000-06-13 2001-12-20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en-pet-pen polymeric film
US20060166023A1 (en) * 2002-09-06 2006-07-27 Dai Nippon Printing Co., Ltd. Backside protective sheet for solar battery module and solar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JP4205423B2 (ja) * 2002-12-27 2009-01-07 日新製鋼株式会社 接着性に優れた太陽電池基材
JP4657794B2 (ja) 2005-05-06 2011-03-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JP5127123B2 (ja) * 2005-07-22 2013-01-2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太陽電池のバックシート
US7553540B2 (en) * 2005-12-30 2009-06-3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luoropolymer coated films useful for photovoltaic modules
CN100563043C (zh) 2006-08-08 2009-11-25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一种聚合物太阳能电池及其制备方法
ATE518255T1 (de) * 2006-08-30 2011-08-15 Keiwa Inc Benutzung einer rückplatte für photovoltaikmodule und photovoltaikmodule damit
CN101177514B (zh) * 2007-11-08 2010-06-09 中国乐凯胶片集团公司 一种太阳能电池背板及其制备方法
CN201199526Y (zh) * 2008-08-29 2009-02-25 苏州中来太阳能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太阳能电池背膜
CN201199525Y (zh) * 2008-08-29 2009-02-25 苏州中来太阳能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高粘结性的太阳能电池背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33875A1 (en) 2011-06-15
KR101457260B1 (ko) 2014-11-03
US8999508B2 (en) 2015-04-07
EP2333875A4 (en) 2013-09-04
US20110132454A1 (en) 2011-06-09
CN101661962B (zh) 2012-05-09
WO2010022585A1 (zh) 2010-03-04
CN101661962A (zh) 201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56529A (ko) 고점결성을 갖는 태양전지 백시트 필름 및 가공방법
KR101388381B1 (ko) 광전지 모듈용 이면 시트 및 그 수리 방법
CN101811384B (zh) 一种中等表面能聚四氟乙烯背板及加工工艺
EP2555252B1 (en) Protective sheet for solar cell module, and solar cell module
EP2372782A1 (en) Protective sheet for back surface of solar cell module
EP1750940A1 (en) Multi-layer polymer film
EP2302695A1 (en) Gas barrier composite, back sheet for solar cell module and solar cell module
CN107240617A (zh) 一种复合高水汽阻隔太阳能电池背板膜及其制备方法
CN102529259B (zh) 一种高粘结性太阳电池背膜及加工工艺
WO2014153997A1 (zh) 太阳能电池背板及太阳能电池组件
CN201199524Y (zh) 一种高粘结性太阳能电池背膜
CN102555377B (zh) 一种eva胶一体化太阳电池背膜及加工工艺
CN103187470B (zh) 一种柔性太阳电池前板及其加工工艺
JP2018027689A (ja) 多層フィルム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WO2021128585A1 (zh) 太阳能电池背板
CN201199523Y (zh) 一种用于太阳能电池的背膜
CN201931669U (zh) 一种高耐候性高粘结性的含氟太阳电池背膜
CN201199526Y (zh) 一种太阳能电池背膜
CN102555370B (zh) 一种非氟高耐候高粘结性太阳电池背膜及加工工艺
CN109244166B (zh) 一种封装前板及其制备工艺
JP2020064954A (ja) 太陽電池用モジュール用の裏面保護シート
CN102911613A (zh) 一种涂覆型高粘接太阳电池背膜及制备工艺
JP3232550U (ja) 太陽電池バックシート
CN201383499Y (zh) 一种中等表面能聚四氟乙烯背板
CN106252441A (zh) 一种光伏组件背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