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6103A - 고정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바 타입 led 조명등 - Google Patents

고정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바 타입 led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6103A
KR20110056103A KR1020090112791A KR20090112791A KR20110056103A KR 20110056103 A KR20110056103 A KR 20110056103A KR 1020090112791 A KR1020090112791 A KR 1020090112791A KR 20090112791 A KR20090112791 A KR 20090112791A KR 20110056103 A KR20110056103 A KR 20110056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b
frame
fixing member
pcbs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민
Original Assignee
(주)렌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렌즈 filed Critical (주)렌즈
Priority to KR1020090112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6103A/ko
Publication of KR20110056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1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21S4/2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 F21S4/28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rigid, e.g. LED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21V19/0035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the fastening means being capable of simultaneously attaching of an other part, e.g. a housing portion or an optical compon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21V23/00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the substrate is supporting also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21V29/75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with fins or blades having different shapes, thicknesses or spa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길이방향으로 긴 PCB를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프레임에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바 타입 LED 조명등의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LED, 조명등, PCB, 고정

Description

고정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바 타입 LED 조명등{Fixing member and LED lamp of bar typ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정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바 타입 LED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길이방향으로 긴 PCB를 프레임에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바 타입 LED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으로서 발광다이오드(LED, light-emitting diode)는 종래의 광원에 비하여 소형이고 수명이 길 뿐만 아니라 전기에너지가 빛에너지로 직접 변환되기 때문에 전력 소모가 작고 고속 응답 특성을 지니고 있다.
LED를 사용하는 조명기구 중에서 바 타입(bar type) LED 조명등은 길이 방향으로 긴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LED가 장착된 PCB를 구비한다. 상기 PCB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으로서, 소정간격으로 일렬로 배치된 LED와, 상기 LED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 패턴과, 외부전원과 배선 패턴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와, LED의 점멸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재 등을 구비한다.
상기 PCB를 프레임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방열 접착제 또는 방열 테이프를 이용한다. 도 1a 내지 도 1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방열 접착제(3)를 PCB(4)의 뒷면에 도포하거나 방열 테이프(미도시)를 PCB(4)의 뒷면에 부착한 후 프레임(2)에 접착(부착)시킨다. 그러나, 이 방법은 방열 접착제(3)를 PCB(4)에 도포하거나 방열 테이프를 PCB(4)에 부착시키는 공정이 추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PCB(4)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방열 접착제(3)의 도포와 프레임(2)에의 설치 및, 방열 테이프의 부착과 프레임(2)에의 설치가 더욱 어렵고 생산성이 떨어진다.
또한, 방열 접착제와 방열 테이프가 고가(高價)라는 문제점과, LED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서 방열 접착제(3)와 방열 테이프의 접착력(점착력)이 약해져서 PCB(4)가 프레임(2)으로부터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도 1c의 미설명 참조부호 5는 PCB(4)를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는 납땜을 나타낸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프레임(6)에 한 쌍의 가이드 레일(7)을 형성하고, 한 쌍의 가이드 레일(7) 사이에 PCB(4, 도 2에 미도시)를 삽입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상기 방법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8901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길이가 긴 PCB(4)를 가이드 레일(7) 사이에 슬라이딩시켜서 밀어 넣어야 하는데, 이러한 슬라이딩은 PCB(4)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용이하지 않고 작업능률도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긴 PCB를 프레임에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PCB를 프레임에 고정함으로써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바 타입 LED 조명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는, LED가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PCB를 상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 타입 LED 조명등의 프레임에 고정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본체; 및,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제1 고정수단과 결합하는 제2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제2 고정수단이 제1 고정수단과 결합한 경우에 본체와 프레임 사이에 PCB가 위치하여 PCB가 프레임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제1 고정수단은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요철라인이고, 제2 고정수단은 제1 요철라인과 결합할 수 있는 제2 요철라인이다.
바람직하게, 본체의 아랫면이 PCB에 접촉하거나 근접될 수 있도록 본체에는 LED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제1 고정수단은 프레임의 양측면의 내부쪽에 형성되고, 제2 고정수단은 본체의 양측면의 바깥쪽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바 타입 LED 조명등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프레임;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LED가 설치된 PCB; 및, 프레임에 결합되어 PCB를 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고정부재가 프레임에 설치된 경우에 프레임과 고정부재 사이에 PCB가 위치한다.
바람직하게, 프레임의 측면 내부쪽에는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제1 요철부가 형성되고, 고정부재의 측면에는 제1 요철부와 결합할 수 있는 제2 요철부가 형성되며, 제1 요철부와 제2 요철부가 결합함으로써 고정부재가 프레임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고정부재가 PCB에 밀착 또는 근접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에는 LED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PCB는 프레임에 두 개 이상이 설치되고, PCB는 PCB가 서로 연결되는 곳에 설치된 연결부재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는, 전기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몸체; 몸체의 측면에 형성되고, 제1 요철부와 결합할 수 있는 제3 요철부; 및, 전기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몸체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양쪽 PC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단자;를 구비하고, 제1 요철부와 제3 요철부가 결합된 경우에 연결단자가 양쪽 PCB와 접촉하여 양쪽 PCB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연결단자의 양쪽 끝단부는 PCB에 각각 접촉되고, 상기 양쪽 끝단부는 몸체의 아랫면보다 아래쪽으로 더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제1,3 요철부가 결합된 경우에 상기 양쪽 끝단부가 위쪽으로 휘어지면서 아래쪽을 향한 탄성회복력이 발생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몸체의 아랫면에 적어도 네 개의 홈이 형성되되, 상기 홈 중에서 두 개의 홈은 양쪽 PCB 중에서 어느 한 쪽의 PCB와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상기 홈 중에서 또 다른 두 개의 홈은 양쪽 PCB 중에서 나머지 한 쪽의 PCB와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홈에 설치되고 전도성 물질로 이 루어진 탄성부재; 및, 전기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탄성부재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양쪽 PC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재;를 구비하고, 제1 요철부와 제3 요철부가 결합된 경우에 탄성부재가 탄성력에 의해서 PCB에 밀착된다.
여기에서, 몸체가 PCB에 밀착 또는 근접될 수 있도록 몸체에는 LED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바 타입 LED 조명등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길이방향으로 긴 PCB를 프레임에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즉, 방열 접착제나 방열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방열 접착제의 도포공정이나 방열 테이프의 부착공정이 필요하지 않고, 이에 따라 LED 조명등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PCB를 슬라이딩시켜서 프레임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PCB의 설치가 용이하고 작업능률도 높아진다.
둘째, 방열 접착제나 방열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 LED에서 발생한 열로 인해서 PCB가 프레임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PCB의 연결을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기존의 납땜 방식이 아니라 연결부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단락을 방지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바 타입 LED 조명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바 타입 LED 조명등의 평면도이며, 도 5는 상기 바 타입 LED 조명등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바 타입(bar type) LED 조명등(100)은 프레임(10)과, LED(1)가 설치된 PCB(4)와, PCB(4)를 프레임(10)에 고정하는 고정부재(30)를 구비한다.
프레임(10)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예를 들어 형광등과 같이 길게 형성된다. 프레임(10)은 고정부재(30)를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수단(11)을 구비한다. 제1 고정수단(11)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제2 고정수단(35)과 결합함으로써 고정부재(30)를 프레임(10)에 결합시킨다.
바람직하게, 제1 고정수단(11)은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1 요 철부이다. 제1 요철부(11)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제2 고정수단(35)(제2 요철부)와 결합하여 고정부재(30)를 프레임(10)에 결합시킨다.
한편, 프레임(10)의 단면은 'U' 형상 또는 'Ц'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에 제1 요철부(11)는 프레임(10)의 양측면 내부쪽에 형성된다. 상기 'U' 형상 또는 'Ц' 형상의 위쪽 즉, 개방된 부분을 통해서 LED(1)의 빛이 외부로 방사되고, 'U' 형상 또는 'Ц' 형상의 아래쪽은 천정 또는 벽체 등에 연결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제1 요철부(11)는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복수 개의 평행한 제1 요철라인이다. 제1 요철라인(11)이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면 고정부재(30)를 프레임(10)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편리해진다. 즉, 고정부재(30)의 관통공(36)에 LED(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요철라인(11)을 따라 고정부재(30)의 설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요철라인(11)이 복수 개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면 프레임(10)에 대한 고정부재(3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프레임(10)에 대한 고정부재(30)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10)은 그 바깥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다수 개의 방열핀(13)을 구비할 수 있다. 방열핀(13)은 LED(1)에서 발생된 열이 공기 중으로 효과적으로 방열되도록 한다.
상기 PCB(4)는 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PCB(4)는 LED(1)와, LED(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패턴(미도시)과, 배선패턴과 외부전원(미도시)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미도시)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PCB(4)는 LED(1)의 점멸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재(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LED(1)는 소정간격으로 다수 개가 일직선으로 배치된다. LED(1)에서 발생한 광(光)은 프레임(10)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서 방출된다. 상기 배선패턴과 커넥터와 제어부재는 통상적인 것으로서, 바 타입 LED 조명등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8901호 등에도 개시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도면의 도시와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고정부재(30)는 PCB(4)를 프레임(10)에 고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위쪽(개방된 부분)은 조명이 필요한 부분을 향하고 프레임(10)의 아랫면은 천정이나 벽체 등에 연결되기 때문에 PCB(4)가 프레임(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존에는 방열 접착제(3)와 방열 테이프를 이용하여 PCB(4)를 프레임(10)에 고정했는데, 방열 접착제(3)와 방열 테이프는 상술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고정을 위해서 고정부재(30)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100)에서는 고정부재(30)와 프레임(10)의 사이에 PCB(4)가 위치된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정부재(30)는 본체(31)와, 본체(31)에 형성된 제2 고정수단(35)을 구비한다.
본체(31)는 프레임(10)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서 프레임(10)에 삽입될 수 있는 폭(W1)을 가진다. 본체(31)를 눌러서 프레임(10)에 삽입하면 본체(31)가 아래로 이동하면서 제2 고정수단(35)이 제1 고정수단(11)과 결합된다. 본체(31)는 플라스틱 등과 같이 전기적으로 부도체인 물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고정부재(30)가 프레임(10)에 설치된 경우에 본체(31)의 아랫면이 PCB(4)와 접촉될 수 있도록 본체(31)에는 LED(1)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36)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36)은 LED(1)의 빛이 외부로 방사될 수 있도록 하고, 본체(31)의 아랫면이 PCB(4)와 접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PCB(4)가 본체(31)에 의해서 고정 또는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고정수단(35)은 제1 고정수단(11)과 결합하여 고정부재(30)를 프레임(11)에 결합되도록 한다. 제2 고정수단(35)은 본체(31)의 양측면의 바깥쪽에 형성된다. 제2 고정수단(35)은 본체(31)의 아랫면이 PCB(4)에 근접 또는 접촉되도록 본체(31)가 설치된 경우에 제1 고정수단(11)과 대응되는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제2 고정수단(35)은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2 요철부이고,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요철부(35)는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복수개의 제2 요철라인이다. 제2 요철부(35)(제2 요철라인)는 제1 요철부(11)(제1 요철라인)과 결합함으로써 고정부재(30)가 프레임(10)에 결합되도록 한다. 제2 요철라인(35)이 복수 개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면 프레임(10)에 대한 본체(31)의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PCB(4)를 고정할 수 있는 높이에 본체(31)가 위치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제2 요철라인(35)을 이용해서 본체(31)의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요철라인(35)은 상측을 향해서 경사진 상향경사면(35a)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본체(31)가 프레임(10)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서이 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100)은 프레임(10)의 길이가 PCB(4)의 길이보다 긴 경우에 PCB(4)를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4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 도 8 및,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결부재(40)는 PCB(4)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4a)(4b)에 설치된다. 연결부재(40)는 몸체(41)와, 몸체(41)의 측면에 형성된 제3 고정수단(42)과, 몸체(41)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연결단자(44)를 구비한다. 연결부재(40)가 프레임(10)에 설치되면 PCB(4)는 연결부재(40)와 프레임(10)의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연결부재(40)는 PCB(4)를 프레임(10)에 고정하는 역할도 한다.
기존에는 양쪽의 PCB(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납땜을 이용했으나, 납땜은 생산성이 떨어지고 단락(short)이 발생될 가능성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100)은 연결부재(40)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했다.
상기 몸체(41)는 프레임(10)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서 프레임(10)에 삽입될 수 있는 폭(W2)을 가진다. 몸체(41)는 플라스틱 등과 같이 전기적으로 부도체인 물질로 이루어진다.
제3 고정수단(42)은 제1 고정수단(11)과 결합하여 몸체(41)를 프레임(10)에 결합시킨다. 몸체(41)를 눌러서 프레임(10)에 삽입하면 몸체(41)가 아래로 이동하면서 제3 고정수단(42)이 제1 고정수단(11)과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제3 고정수단(42)은 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 3 요철부이고, 더욱 바람직하게, 제3 요철부(42)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제3 요철라인이다. 제3 요철라인(42)이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면 연결부재(40)를 프레임(10)의 임의의 위치에 결합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3 요철라인(42)이 서로 평행하게 복수 개로 형성되면 프레임(10)에 대한 연결부재(40)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연결단자(44)의 양단부(45)가 PCB(4)에 탄력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높이에 연결부재(40)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제3 요철라인(42)은 상측을 향해서 경사진 상향 경사면(42a)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몸체(41)를 프레임(10)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바람직하게, 몸체(41)에는 LED(1)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46)가 형성된다. 삽입부(46)에 LED(1)가 삽입되면 몸체(41)가 PCB(4)와 밀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연결단자(44)의 양쪽 끝단부(45)가 PCB(4)와 탄력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연결단자(44)는 전기적으로 도체인 물질로 이루어진다. 연결단자(44)는 한 쌍이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몸체(41)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연결단자(44)의 양쪽 끝단부(45)는 외부로 노출되어 양쪽의 PCB(4)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즉, 제1,3 고정수단(11)(42)이 결합한 경우에 양쪽 끝단부(45)는 양쪽 PCB()의 배선패턴(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양쪽 PCB()를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양쪽 끝단부(45)는 몸체(41)의 아랫면 보다 아래쪽으로 더 연장된다. 이것은 몸체(41)가 PCB(4)와 접촉되도록 설치된 경우에 양쪽 끝단부(45) 가 위쪽으로 휘어지면서 아래쪽을 향한 탄성회복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PCB(4)와 탄력적으로 접촉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연장된 부분은 상측으로 휘어진 구조를 가진다. 상기 연장된 부분이 상측으로 휘어진 구조를 가지면 PCB(4)를 손상하지 않으면서도 PCB(4)에 신뢰성 있게 접촉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에 사용될 수 있는 또 다른 연결부재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상기 연결부재의 연결단자가 몸체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연결부재(50)는 PCB(4)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4a)(4b)에 설치된다. 연결부재(50)는 몸체(51)와, 몸체(51)의 측면에 형성된 제3 고정수단(52)과, 몸체(51)의 내부에 설치된 연결단자를 구비한다. 제3 고정수단(52)은 전술한 연결부재(40)의 제3 고정수단(42)과 동일한 구조와 역할을 가지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미설명 참조부호 52a는 상측을 향해서 경사진 상향 경사면이다. 상향 경사면(52a)은 전술한 상향 경사면(42a)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가진다.
연결부재(50)가 프레임(10)에 설치되면 PCB(4)는 연결부재(50)와 프레임(10)의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연결부재(50)는 PCB(4)를 프레임(10)에 고정하는 역할도 한다.
몸체(51)는 프레임(10)에 삽입된 경우에 제1,3 고정수단(11)(52)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폭(W3)을 가진다.
몸체(51)는 아랫면에 형성된 적어도 네 개의 홈(54)을 구비한다. 상기 홈(54) 중에서 적어도 두 개의 홈(54)은 양쪽 PCB(4) 중에서 어느 한 쪽의 PCB(4) 와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또 다른 적어도 두 개의 홈(54)은 양쪽 PCB(4) 중에서 나머지 한 쪽의 PCB(4)와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몸체(51)에는 LED(1)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59)가 형성된다. 삽입부(59)에 LED(1)가 삽입되면 몸체(51)가 PCB(4)에 밀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탄성부재(56) 또는 평판(57)이 PCB(4)에 탄력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연결단자는 각각의 홈(54)에 설치된 탄성부재(56)와, 탄성부재(56)를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는 연결재(55)를 구비한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탄성부재(56)의 하단은 몸체(51)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는데, 이것은 탄성부재(56)의 탄성력에 의해서 탄성부재(56) 또는 평판(57)이 PCB(4)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바람직하게, 탄성부재(56)의 하단에는 평판(57)이 설치된다. 연결부재(50)가 프레임(10)에 결합된 경우에 평판(57)은 탄성부재(56)의 탄성력에 의해서 PCB(4)에 밀착된다. 탄성부재(56)와 평판(57)은 전기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연결재(55)는 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몸체(51)의 내부에 설치되어 양쪽 PCB(4)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연결재(55)의 양끝단부는 탄성부재(56)의 상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결재(55)는 전기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30)와 연결부재(40)를 이용하여 PCB(4)를 프레임(10)에 고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PCB(4)를 프레임(10)에 삽입한다. 프레임(10)의 길이는 통상 형광등의 길이정도이기 때문에 프레임(10)에는 대부분 복수 개의 PCB(4)가 삽입된다.
이어서, 프레임(10)의 개방된 위쪽을 통해서 고정부재(30)를 프레임(10)에 삽입한다. 고정부재(30)를 소정 위치에 위치시킨 후 위에서 가압하여 프레임(10)에 삽입하면, 고정부재(30)가 아래로 이동하여 제1,2 요철라인(11)(35)이 서로 결합한다. 이 때, 제1,2 요철라인(11)(35)은 직선으로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고정부재(30)의 관통공(36)에 LED(1)가 삽입되도록 고정부재(30)의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요철라인(11)이 복수 개가 형성되고 제2 요철라인(35)도 복수 개가 형성되기 때문에 고정부재(30)의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따라서 고정부재(30)의 아랫면이 PCB(4)에 접촉 또는 근접되도록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30)는 PCB(4)의 소정구간마다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30)의 설치가 완료되면 PCB(4)가 서로 연결되는 곳에 연결부재(40)(50)를 설치한다. 한편, 고정부재(30)를 설치하기 전에 연결부재(40)(50)를 먼저 설치할 수도 있다.
PCB(4)가 서로 연결되는 곳에 연결부재(40)(50)를 위치시킨 후 연결부재(40)(50)를 가압하면 연결부재(40)(50)가 아래로 이동하여 제1,3 요철라인(11)(42)(52)이 서로 결합된다. 이 때, 제1,3 요철라인(11)(42)(52)은 직선으로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연결부재(40)(50)의 삽입부(46)(59)에 LED(1)가 삽입되도록 연결부재(40)(50)의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요철라인(11)이 복수 개가 형성되고 제3 요철라인(42)(52)도 복수 개가 형성되기 때문에 연결부재(40)(50)의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따라서 연결부재(40)(50)의 아랫면이 PCB(4)에 접촉 또는 근접되도록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연결부재(40)(50)의 아랫면이 PCB(4)에 접촉 또는 근접되면 연결단자(44)의 양끝단부가 탄성회복력에 의해서 PCB(4)에 밀착되거나, 탄성부재(56)에 의해서 평판(57)이 PCB(4)에 밀착될 수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바 타입(bar type) LED 조명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b는 도 1a의 LED 조명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c는 도 1a의 LED 조명등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또 다른 바 타입(bar type) LED 조명등의 프레임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바 타입(bar type) LED 조명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LED 조명등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도 3의 LED 조명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3의 고정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3의 LED 조명등의 프레임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도 3의 LED 조명등에 구비된 연결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연결부재에 구비된 연결단자가 몸체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도 3의 LED 조명등에 사용될 수 있는 또 다른 연결부재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연결부재에 구비된 연결단자가 몸체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LED 4 : PCB
10 : 프레임 30 : 고정부재
40, 50 : 연결부재
100 : 바 타입(bar type) LED 조명등

Claims (11)

  1. LED가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PCB를 상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 타입 LED 조명등의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로서,
    본체; 및,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제1 고정수단과 결합하는 제2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제2 고정수단이 제1 고정수단과 결합한 경우에 본체와 프레임 사이에 PCB가 위치하여 PCB가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제1 고정수단은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요철라인이고, 제2 고정수단은 제1 요철라인과 결합할 수 있는 제2 요철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본체의 아랫면이 PCB에 접촉하거나 근접될 수 있도록 본체에는 LED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부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고정수단은 프레임의 양측면의 내부쪽에 형성되고, 제2 고정수단은 본체의 양측면의 바깥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부재.
  5.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프레임;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LED가 설치된 PCB; 및,
    프레임에 결합되어 PCB를 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고정부재가 프레임에 설치된 경우에 프레임과 고정부재 사이에 PCB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타입 LED 조명등.
  6. 제5항에 있어서,
    프레임의 측면 내부쪽에는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제1 요철부가 형성되고, 고정부재의 측면에는 제1 요철부와 결합할 수 있는 제2 요철부가 형성되며, 제1 요철부와 제2 요철부가 결합함으로써 고정부재가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타입 LED 조명등.
  7. 제5항에 있어서,
    고정부재가 PCB에 밀착 또는 근접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에는 LED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타입 LED 조명등.
  8. 제5항에 있어서,
    PCB는 프레임에 두 개 이상이 설치되고, PCB는 PCB가 서로 연결되는 곳에 설치된 연결부재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며,
    연결부재는,
    전기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몸체;
    몸체의 측면에 형성되고, 제1 요철부와 결합할 수 있는 제3 요철부; 및
    전기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몸체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양쪽 PC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단자;를 구비하고, 제1 요철부와 제3 요철부가 결합된 경우에 연결단자가 양쪽 PCB와 접촉하여 양쪽 PC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타입 LED 조명등.
  9. 제8항에 있어서,
    연결단자의 양쪽 끝단부는 PCB에 각각 접촉되고, 상기 양쪽 끝단부는 몸체의 아랫면보다 아래쪽으로 더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제1,3 요철부가 결합된 경우에 상기 양쪽 끝단부가 위쪽으로 휘어지면서 아래쪽을 향한 탄성회복력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타입 LED 조명등.
  10. 제8항에 있어서,
    몸체의 아랫면에 적어도 네 개의 홈이 형성되되, 상기 홈 중에서 두 개의 홈은 양쪽 PCB 중에서 어느 한 쪽의 PCB와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상기 홈 중에서 또 다른 두 개의 홈은 양쪽 PCB 중에서 나머지 한 쪽의 PCB와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연결단자는,
    상기 홈에 설치되고,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탄성부재; 및
    전기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탄성부재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양쪽 PC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재;를 구비하고, 제1 요철부와 제3 요철부가 결합된 경우에 탄성부재가 탄성력에 의해서 PCB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타입 LED 조명등.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몸체가 PCB에 밀착 또는 근접될 수 있도록 몸체에는 LED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타입 LED 조명등.
KR1020090112791A 2009-11-20 2009-11-20 고정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바 타입 led 조명등 KR201100561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791A KR20110056103A (ko) 2009-11-20 2009-11-20 고정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바 타입 led 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791A KR20110056103A (ko) 2009-11-20 2009-11-20 고정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바 타입 led 조명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103A true KR20110056103A (ko) 2011-05-26

Family

ID=44364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791A KR20110056103A (ko) 2009-11-20 2009-11-20 고정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바 타입 led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61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1171A (ko) * 2017-02-06 2018-08-16 주식회사 젬 Led평판 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1171A (ko) * 2017-02-06 2018-08-16 주식회사 젬 Led평판 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9465A (ko) Led 조명기구
JP5948439B2 (ja) 発光ダイオードランプ組立体
JP3153020U (ja) 発光ダイオードと基板またはランプ本体の嵌込式結合構造
KR20120068711A (ko) Led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CN101334155A (zh) 高散热性发光二极管灯具散热模块
EP3260774B1 (e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KR100666166B1 (ko) 간판용 led 모듈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간판 제작 방법
KR101966179B1 (ko) 리폼용 엘이디 모듈장치
JP2012014841A (ja) Led照明装置
KR101791149B1 (ko) Led 조명 램프
KR20100044632A (ko) 엘이디 조명장치용 회로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엘이디 조명장치
KR20110056103A (ko) 고정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바 타입 led 조명등
JP2017208198A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TWM504363U (zh) 電連接器
JP5835560B2 (ja) 照明装置
KR101032092B1 (ko) 연결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바 타입 led 조명등
KR20180000174U (ko) 엘이디 조명등의 컨버터
KR101544907B1 (ko) Led 조명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커넥팅 구조
JP2010161046A (ja) Led照明装置
JP5896125B2 (ja) 発光装置及び照明装置
KR100831048B1 (ko) 엘이디 회로 기판 서포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엘이디 모듈조립체
CN207034682U (zh) Led灯具的回路组件与光源板连接结构
CN215955306U (zh) 一种发光二极管led芯片
KR200471342Y1 (ko) 엘이디모듈 및 이를 갖춘 전자기기
KR200452118Y1 (ko) 엘이디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