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5624A - 수액장치 - Google Patents

수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5624A
KR20110055624A KR1020117005793A KR20117005793A KR20110055624A KR 20110055624 A KR20110055624 A KR 20110055624A KR 1020117005793 A KR1020117005793 A KR 1020117005793A KR 20117005793 A KR20117005793 A KR 20117005793A KR 20110055624 A KR20110055624 A KR 20110055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play
message
abnormality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5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아키 다케바야시
마사유키 나이토
후토시 사사키
가즈오 마에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ublication of KR20110055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6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31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3/00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 G05B13/02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via infusion or injec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4Detection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tube, a connector or a container in an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12Pumping with an aspiration and an expulsion action
    • A61M5/14228Pumping with an aspiration and an expulsion action with linear peristaltic action, i.e. comprising at least three pressurising members or a helical memb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수액장치(1)는, 표시부(11)와, 수액 중에 이상을 검출하는 이상 검출부(8)와, 이상 검출부(8)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부(11)를 제어하는 제어부(12)를 갖는다. 제어부(12)에는 복수의 이상 각각의 대응방법이 표시된 메시지를 저장하는 표시내용 저장부(12b)와, 이상 내용에 대응하는 대응방법을 나타낸 메시지를 표시내용 저장부(12b)로부터 선택하여, 표시부(11)에 표시시키는 처리부(12a)가 설치된다.

Description

수액장치{INFUSION DEVICE}
본 발명은,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수액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현장에는 수액장치 등을 비롯해 많은 의료기기가 설치되어 있다. 수액장치는 이상을 검출하면 경보나 경고가 울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의료행위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이와 같은 경보 등은 매우 중요한 것이므로, 의사나 간호사 등 의료 종사자는 경보 등이 울린 경우에, 수액장치의 상황을 즉시 판단하여 대응해야 한다. 특히, 복수의 수액장치가 동시에 경보 등을 울린 경우에는, 보다 긴급성이 높은 것은 어느 것인 지의 우선 순위를 정확히 판단하여 이에 대응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대해, 복수의 수액장치가 경보 등을 울린 경우, 이들 수액장치의 동작 상황을 감시하는 수액 제어장치가, 경보 등의 종류에 따라 중요도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를 표시 제어장치로 전달하며, 그 판단 결과를 표시 제어장치로부터 각 수액장치로 송신하여, 각 수액장치 표시부에 경보의 중요도 등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로써, 복수의 수액장치가 동시에 경보 등을 울린 경우에, 의료 종사자가 어느 수액장치에 대해 긴급히 대응해야 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본 특허공개 평성 5-7623호 공보
그런데, 상기와 같이 복수의 수액장치가 동시에 경보 등을 울린 경우에 이들 경보 등의 중요도를 알 수 있다 하더라도, 그 후의 대응은 의료 종사자의 판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수액장치에 발생된 이상의 원인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 등에는, 경험이 부족한 의료 종사자가 수액장치를 오조작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 경보 등이 울린 경우, 긴급하고 긴박한 상황에서는 의료 종사자가 잘못된 방법에 의해 수액장치를 조작할 가능성도 있다.
또, 숙련된 의료 종사자의 경우, 경험에 너무 의존하여 현재 상황을 주시하지 않고 이상의 발생원인을 잘못 예측해 버려, 결과적으로 잘못된 판단에 의한 대응을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수액장치를 이용한 수액 중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 이상에 대해 적절한 대응을 취할 수 있도록 하여, 수액치료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 1 발명에서는 수액용기 내의 액체를 환자에게 투여하도록 구성된 수액장치에 있어서, 표시부와, 복수 종류의 이상을 각각 검출하는 이상 검출부와, 상기 이상 검출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이상 검출부에서 검출하는 복수 이상의 각각의 대응방법을 나타내는, 대응방법에 관한 메시지를 저장하는 표시내용 저장부와, 상기 이상 검출부에서 검출한 이상에 대응하는 상기 메시지를 상기 표시내용 저장부로부터 선택하고, 선택한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처리부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수액 중에 이상이 발생하여 이상 검출부가 이 이상을 검출하면, 처리부가 이 이상의 대응방법을 나타낸 메시지를 표시내용 저장부로부터 선택하여 표시부에 표시시키므로, 의료 종사자는 그 메시지를 보고 이상의 대응방법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경험이 부족한 자의 오(誤)조작이나, 긴급하며 또 긴박한 상황에서의 오조작을 줄이는 것이 가능함과 더불어, 숙련된 의료 종사자의 잘못된 판단에 기인하는 오조작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2 발명에서는, 수액용기 내의 액체를 환자에게 투여하도록 구성된 수액장치에 있어서, 표시부와, 복수 종류의 이상을 각각 검출하는 이상 검출부와, 상기 이상 검출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이상 검출부에서 검출하는 복수 이상의 각각의 대응방법에 대한 주의를 나타내는, 주의에 관한 메시지를 저장하는 표시내용 저장부와, 상기 이상 검출부에서 검출한 이상에 대응하는 상기 메시지를 상기 표시내용 저장부로부터 선택하고, 선택한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처리부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수액 중에 이상이 발생하여 이상 검출부가 이 이상을 검출하면, 처리부가 그 이상의 대응방법에 대한 주의에 관한 메시지를 표시내용 저장부로부터 선택하여 표시부에 표시시키므로, 의료 종사자는 이 메시지를 보고 대응방법의 주의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각종 오조작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3 발명에서는,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액체를 압송하는 펌프부와, 상기 펌프부의 동작조건을 입력하는 조작부를 구비하며, 표시내용 저장부에는 상기 조작부에서 실행되는 조작의 각각에 대응하는 조작 확인용 메시지가 저장되며, 처리부는 상기 조작부에서 실행된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확인용 메시지를 상기 표시내용 저장부로부터 선택하고, 선택한 메시지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동작 조건에 대응하는 조작 확인용 메시지가 표시부에 표시되므로, 의료 종사자는 자기 조작의 정오(正誤)를 확인하면서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제 4 발명에서는, 제 1 내지 제 3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처리부는 메시지를 표시부에 확대 표시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의료 종사자가 메시지 내용을 잘못 보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5 발명에서는 제 1 내지 제 4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처리부는 이상 검출부에서 검출한 이상에 대해 복수의 원인을 추정하여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이상 원인을 추정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므로, 이상 발생 시의 잘못된 판단에 기인하는 오조작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6 발명에서는 제 5 발명에 있어서, 처리부는 추정된 원인의 개수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검출된 이상에 대한 원인이 복수로 추정될 경우, 의료 종사자는 표시부를 보는 것만으로 원인의 개수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7 발명에서는, 제 1 내지 제 6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표시내용 저장부에는 조작자가 설정한 설정값이 저장되고, 이상 검출부가 이상을 검출한 경우, 처리부가 설정값을 상기 표시내용 저장부로부터 선택하여,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이상 발생 시에 그 이상이 의료 종사자의 설정미스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8 발명에서는 제 3 발명에 있어서, 조작부에는 복수의 설정값을 각각 설정하는 설정버튼이 설치되며, 상기 설정버튼의 색과, 이 설정버튼에 의해 설정되어 표시부에 표시되는 설정값의 표시색이 동계색인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설정버튼과, 표시부에 표시되는 설정값이 동계색이므로, 의료 종사자는 자신이 조작해야 할 설정버튼이 판별하기 쉬워진다.
제 9 발명에서는, 제 1 내지 제 8 중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표시내용 저장부에는, 크렌메(수액 속도 조절기)의 개방상태 확인을 촉구하는 크렌메 확인용 메시지가 저장되며, 처리부는 수액의 개시 시에 상기 메시지를 표시내용 저장부로부터 선택하여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의료 종사자가 크렌메를 잠근 상태에서 수액을 개시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 발명에 의하면, 수액장치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상의 대응방법을 표시부에 표시시킬 수 있으므로, 의료 종사자는 이상에 대해 적절한 대응을 취할 수 있으며, 수액치료를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 2 발명에 의하면, 수액장치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상의 대응방법에 대한 주의에 관한 메시지를 표시부에 표시시킬 수 있으므로, 의료 종사자가 대응하기 전에 주의해야 할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이상에 대해 적절한 대응을 취할 수 있으며, 안전한 수액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제 3 발명에 의하면, 입력한 동작조건에 대응하는 조작 확인용 메시지를 표시부에 표시시킴으로써, 의료 종사자는 자기 조작의 정오를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오조작을 줄일 수 있으며, 한층 더 안전한 수액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제 4 발명에 의하면, 메시지를 표시부에 확대 표시하므로, 의료 종사자가 메시지를 잘못 보기 어렵게 할 수 있으며, 한층 더 안전한 수액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제 5 발명에 의하면, 이상 검출부에서 검출된 이상에 대해 복수의 원인을 추정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므로, 의료 종사자의 오조작을 줄여 한층 더 안전한 수액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제 6 발명에 의하면, 이상 검출부에서 검출한 이상에 대한 원인이 복수 추정될 경우, 그 원인의 개수를 표시부에 표시하므로, 의료 종사자는 원인의 개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제 7 발명에 의하면, 이상의 원인이 의료 종사자의 설정미스에 의한 경우 설정값을 표시부에 표시하므로, 의료 종사자가 이상 원인을 바로 파악할 수 있다.
제 8 발명에 의하면, 조작부에 설치된 설정버튼과, 이 설정버튼에 의해 설정되어 표시부에 표시되는 설정값을 동계색으로 하므로, 조작해야 할 버튼이 판별하기 쉬워지며, 오조작을 줄일 수 있다.
제 9 발명에 의하면, 수액을 개시할 시에 의료 종사자에게 크렌메 개방상태 확인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므로, 크렌메를 잠근 상태로 수액을 개시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한층 더 안전한 수액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수액장치의 정면도,
도 2는 수액장치의 케이스부를 연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수액장치의 블록도,
도 4는 통상 화면이 표시된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펌프부가 미장착인 경우 메시지가 표시된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설정한 유량값이 예정량보다 큰 경우 메시지가 표시된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의료 종사자가 일정시간 조작을 하지 않는 경우 메시지가 표시된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배터리 전원에 의해 수액장치를 운전하는 경우 메시지가 표시된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배터리 전원의 전압이 소정값 이하가 된 경우 메시지가 표시된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이상 발생 시의 대응방법에 대한 주의가 표시된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이상 발생 시의 경보를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음 조작을 실행할 경우의 주의가 표시된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이상 발생 시에 경보음을 정지시킨 경우의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발생한 이상의 원인이 표시된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발생한 이상의 대응방법이 표시된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발생한 이상에 대응한 경우의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점적 수가 많은 경우의 메시지가 표시된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대응방법에 대해 주의가 표시된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다른 대응방법에 대한 주의가 표시된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발생한 이상의 원인이 표시된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볼루스 투여를 실행함으로써 수액의 양이 예정량을 초과하는 경우 메시지가 표시된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 프라이밍(priming)을 위해 액체를 송액하는 경우 메시지가 표시된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키 로크의 조작을 실행한 경우 메시지가 표시된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키 로크를 해제하는 조작을 실행한 경우 메시지가 표시된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대응방법에 대한 주의가 표시된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발생한 이상의 원인과, 대응방법이 표시된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발생한 이상의 다른 원인과, 대응방법이 표시된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수액 개시 시의 주의가 표시된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발생한 이상의 대응방법이 표시된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이며, 본 발명, 그 적용물 또는 그 용도범위의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수액장치(1)를 나타내는 것이다. 수액장치(1)는 케이스부(2)와 드롭 검출기(9)(이상 검출부)를 구비한다. 도 2에 나타내듯이, 케이스부(2) 내부에는 펌프부(4)와, 하측 튜브 클램프부(6)와, 상측 튜브 클램프부(7)와, 기포 검출 센서부(이상 검출부)(8)와, 제어부(12)(도 3에만 기재)가 설치된다. 또, 도 1에 나타내듯이 케이스부(2)의 전면(前面)에는 조작부(10)와, 컬러 액정패널(표시부)(11)이 설치된다.
수액장치(1)는 도 2에 나타내는 수액용기(31)로부터 드립 챔버(32)와 크렌메(34)를 경유하여 환자에게 연장되는 튜브(33)는, 드립 챔버(32)와 크렌메(34)와의 중간부에 배치된다. 튜브(33)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케이스부(2)에 세팅된다.
그리고, 컬러 액정패널(11)에서 설정내용을 확인하면서, 수액장치(1)의 조작부(10)를 조작하여 환자에게 투여할 약액(藥液)(L)의 유량 등을 설정하고, 그 후 펌프부(4)를 작동시키면, 튜브(33)에 펌프부(4)의 펌프작용이 가해지며 수액용기(31)에 저류되어 있는 약액(액체)(L)을, 드립 챔버(32)를 경유하여 환자에게 투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특별히 나타내지 않는 한, 「좌」 및 「우」는 도 2에 나타내듯이 사용상태인 수액장치(1)를 향해 좌측 및 우측을 각각 의미하며, 「전」 및 「후」는 동일 도면에 나타내듯이 사용상태인 수액장치(1)의 전측 및 후측을 각각 의미하고, 「상」 및 「하」는 도 2에 나타내듯이 사용상태인 수액장치(1)의 상측 및 하측을 각각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도 2에 나타내듯이, 케이스부(2)는 본체측 케이스(21)와, 도어측 케이스(22)와, 도어 힌지(23)를 구비한다. 도어 힌지(23)에 의해, 도어측 케이스(22)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체측 케이스(21)의 도어측 케이스 대향면(21a) 거의 중앙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거의 직방체 형상의 펌프부(4)가 설치된다. 이 펌프부(4)는 본체측 케이스(21)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펌프부(4) 둘레 테두리부에는 앞으로 돌출되어 고리형으로 연장되는 돌기부(41)가 형성된다. 이 돌기부(41) 상하에는 절개부(41a)가 형성된다. 이 상하의 절개부(41a)에 튜브(33)가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돌기부(41) 안쪽에는 좌우로 연장되는 핑거(42)가 상하방향으로 복수 나열 배치된다. 핑거(42)는 본체측 케이스(21) 내부에 장착된 캠(cam) 및 캠 구동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상측 핑거(42)에서 하측 핑거(42)로 차례로 전후로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 펌프부(4)는 제어부(12)에 접속되어 제어부(1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 작동 및 정지하도록 구성된다.
도어측 케이스(22)의 본체측 케이스 대향면(22a)에는, 펌프부(4)에 대향하는 위치에 튜브 누름부(43)가 형성된다. 도어측 케이스(22)를 닫으면 튜브 누름부(43)와 핑거(42)에 의해, 튜브(33)가 지름방향으로 끼워진다. 그리고, 핑거(42)를 전술과 같이 하여 전후로 운동시킴으로써, 튜브(33)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차례로 적당하게 눌려져 간다. 이로써, 약액(L)을 환자에게 송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체측 케이스(21)의 펌프부(4) 하측에는, 하측 튜브 클램프부(6)가 형성된다. 본체측 케이스(21)에서 하측 튜브 클램프부(6)가 형성된 부분에는 개구부(61)가 형성된다. 하측 튜브 클램프부(6)는, 앞으로 돌출되는 튜브 받이부(64)와, 개구부(61)에서 앞으로 돌출되는 기계식 클램프 가동부(62)를 갖는다.
기계식 클램프 가동부(62)는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도어측 케이스(22)가 열린 상태에서 기계식 클램프 가동부(62)는, 본체측 케이스(21)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우측으로 밀려 위치한다. 이 기계식 클램프 가동부(62)와 튜브 받이부(64)에 의해 튜브(33)가 지름 방향으로 눌려 찌부러지고, 튜브(33) 내 약액(L)의 흐름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도어측 케이스(22)를 열면, 하측 튜브 클램프부(6)는 클램프 상태가 된다.
기계식 클램프 가동부(62) 전단(前端)에는, 우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63)가 형성된다. 이 볼록부(63)는 선단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된다. 또, 튜브 받이부(64)에는 좌측에 오목부(65)가 형성된다. 기계식 클램프 가동부(62)가 우측에 위치할 경우에는, 볼록부(63) 선단이 오목부(65)에 끼워 결합된다. 이로써, 기계식 클램프 가동부(62)와 튜브 받이부(64)에 의해 끼워진 튜브(33)를 앞으로 당겨도 빠지지 않게 된다.
또, 도어측 케이스(22)에는 본체측 케이스 대향면(22a)에 있어서, 하측 튜브 클램프부(6)에 대향하는 위치에 하측 클램프 간섭 회피부(66)가 형성된다. 하측 클램프 간섭 회피부(66)는, 도어측 케이스(22)를 닫은 경우에 본체측 케이스 대향면(22a)이 하측 튜브 클램프부(6)와 간섭하지 않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하측 클램프 간섭 회피부(66)에는 기계식 클램프 가동부(62)의 볼록부(63)에 대향하도록 돌기(67)가 형성된다. 도어측 케이스(22)를 닫으면, 돌기(67)가 볼록부(63)를 누름으로써, 기계식 클램프 가동부(62)가 좌측에 위치되게 구성된다. 이로써, 기계식 클램프 가동부(62)와 튜브 받이부(64)와의 사이가 넓어지고, 튜브(33)가 개방된다. 즉, 도어측 케이스(22)를 닫으면, 하측 튜브 클램프부(6)는 비클램프 상태가 된다.
본체측 케이스(21)의 펌프부(4) 상측에는, 상측 튜브 클램프부(7)가 형성된다. 상측 튜브 클램프부(7)는, 전측으로 돌출되는 좌측 돌출부(71) 및 우측 돌출부(72)를 갖는다. 좌측 돌출부(71)와 우측 돌출부(72) 사이를 튜브(33)가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좌측 돌출부(71)와 우측 돌출부(72) 사이에는 개구부(73)가 형성된다. 개구부(73)로부터는 튜브(33)와 우측 돌출부(72) 사이로부터 전동식 클램프 가동부(74)가 돌출된다. 이 전동식 클램프 가동부(74)는, 본체측 케이스(21) 내에 장착된 전동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좌우로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된다.
상측 튜브 클램프부(7)는 제어부(12)에 접속된다. 전동식 클램프 가동부(74)는 제어부(1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 클램프 가동부(54)의 이동에 의해, 클램프 상태와 비클램프 상태로 전환된다. 수액 중에 이상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 상측 튜브 클램프부(7)는 비클램프 상태가 된다.
또, 도어측 케이스(22)에는 본체측 케이스 대향면(22a)에, 상측 튜브 클램프부(7)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측 클램프 간섭 회피부(75)가 형성된다. 상측 클램프 간섭 회피부(75)는, 도어측 케이스(22)를 닫았을 때 본체측 케이스 대향면(22a)이 상측 튜브 클램프부(7)와 간섭하지 않도록 패인 형상으로 된다.
상기 기포 검출 센서부(8)는, 상측 튜브 클램프부(7) 상방에 설치된다. 기포 검출 센서부(8)는, 본체측 케이스(21)의 도어측 케이스 대향면(21a)에 설치된 본체측 기포 검출 센서부(81)와, 도어측 케이스(22)의 본체측 케이스 대향면(22a)에 설치된 도어측 기포 검출 센서부(82)를 구비한다.
본체측 기포 검출 센서부(81)는, 본체측 센서(81a)를 구비한다. 또, 도어측 기포 검출 센서부(82)는, 도어측 센서(82a)를 구비한다. 본체측 센서(81a) 및 도어측 센서(82a)는 초음파 센서이다. 도어측 케이스(22)를 닫았을 때, 본체측 센서(81a)와 도어측 센서(82a)가 튜브(33)를 사이에 끼워 튜브(33)에 초음파를 투과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때 튜브(33)를 통과하는 약액(L) 내에 기포가 혼재되어 있으면, 약액(L)과 기포는 초음파의 투과율이 다르기 때문에 이 투과율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약액(L) 내 기포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기포 검출 센서부(81)는 제어부(12)에 접속된다.
또, 컬러 액정패널(11)은 제어부(12)에 접속되며, 제어부(12)에 의해 제어되어 수액장치(1)의 동작상태나 각종 설정정보 등이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수액장치(1)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통상 시에는, 컬러 액정패널(11)에, 도 4에 나타내는 통상 화면이 표시된다. 통상 화면에는, 유량 표시부(11a), 적수(滴數) 표시부(11b), 및 예정량 포시부(11c)가 있다. 유량 표시부(11a)에는, 환자에게 투여할 약액(L)의 설정유량이 표시된다. 적수 표시부(11b)에는 사용할 수액 세트의 종류가 표시된다. 예정량 표시부(11c)에는 환자에게 투여할 약액(L)의 예정량이 표시된다.
도 1에 나타내듯이, 조작부(10)에는 수액장치(1)를 조작하기 위한 각 조작버튼(10a∼10m)이 설치된다. 음소거 버튼(10a)은 벨 마크가 표시된 버튼이며, 이상이 발생한 때에 수액장치(1)로부터 발생되는 경보음을 정지시킬 때 조작하는 버튼이다.
경보내용 버튼(10b)은 느낌표(exclamation mark)가 표시된 버튼이며, 이상이 발생한 시에 그 원인에 대해 확인하는 경우에 조작하는 버튼이다.
적산량 클리어 버튼(10c)은, 환자에게 투여한 수액의 적산량을 제로로 되돌리는 버튼이다.
적산량/예정량 변경 버튼(10d)은, 컬러 액정패널(11)의 예정량 표시부(11c)의 표시를, 환자에게 투여를 예정하고 있는 예정량 표시로부터, 투여하고 있는 약액(L)의 적산량 표시로 변경하기 위한 버튼이다.
수액 세트 버튼(10e)은, 수액 세트의 종류를 설정하는 버튼이다. 예를 들어, 수액 세트를 60적/mL의 세트로부터 20적/mL의 세트로 변경한 경우, 그 설정변경을 실행하기 위해 조작하는 것이다.
유량 설정버튼(10f)은, 환자에게 투여할 약액(L)의 유량 설정값을 변경할 시에 조작하는 버튼이다.
예정량 설정버튼(10g)은, 환자에게 투여할 예정인 약액(L)의 양을 미리 설정해 두기 위한 버튼이다.
L 버튼(10j)은, 조작부(10)의 전원버튼(10l)과 L 버튼(10j) 이외의 버튼 조작을 무효로 할 수 있는 키 로크 버튼이다.
F 버튼(10i)은, 예를 들어 L 버튼(10j)과의 조합으로 환자에 대해 일시적으로 수액을 실행하는 볼루스 투여 설정을 할 수 있는 버튼이다.
빠른 투여 버튼(10k)은, 프라이밍을 위한 액체를 송액하는 경우에 조작하는 버튼이다.
전원 버튼(10l)은, 수액장치(1) 전원의 ON/OFF를 실행하기 위한 버튼이다.
선택 버튼(10m)은, 컬러 액정패널(11)에 표시되는 표시내용을 다른 내용으로 전환할 시에 사용하는 버튼이다.
개시/정지 버튼(10n)은, 수액 개시 또는 종료 시에 사용하는 버튼이다.
수액 세트 버튼(10e)은, 적수 표시부(11b)에 표시되는 설정값의 표시색과 동계색으로 착색된다. 또, 유량 설정버튼(10f)은, 유량 표시부(11a)에 표시되는 설정값의 표시색과 동계색으로 착색된다. 또한, 예정량 설정 버튼(10g)은, 예정량 표시부(11c)에 표시되는 설정값의 표시색과 동계색으로 착색된다.
도 2에 나타내듯이, 드롭 검출기(9)는 거의 직방체를 이룬다. 드롭 검출기(9)의 중앙부에는 드립 챔버(32)를 끼울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형상의 드립 챔버 유지부(91)가 형성된다. 드롭 검출기(9)는, 드립 챔버(32)를 끼우도록 하여 배치되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구비한다. 그리고, 발광소자로부터 수광소자를 향해 조사되는 빛이, 드립 챔버(32) 내에서 낙하되는 방울에 의해 차단되며, 이 때의 수광량 변화에 의해 낙하방울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드롭 검출기(9)는 제어부(12)에 접속되며, 제어부(12)는 드롭 검출기(9)에 의해 낙하방울 수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케이스부(2)에는 경보기(5)(도 3에 나타낸다)가 설치된다. 경보기(5)는 경보음을 발하는 스피커로 구성되며, 제어부(12)에 접속되어 이 제어부(12)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또, 케이스부(2)에는 도어 개폐 검출 센서부(13)(도 3에 나타낸다)가 설치된다. 도어 개폐 검출 센서부(13)는 도어측 케이스(22)가 개방되어 있는 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며, 제어부(12)에 접속된다.
또, 케이스부(2)에는, 수액장치(1)의 전원이 되는 배터리가 내장되며, 또한, 이 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하는 배터리 전압 검출부(14)(도 3에 나타낸다)가 설치된다. 배터리 전압 검출부(14)는 제어부(12)에 접속된다. 그리고, 수액장치(1)는 통상 병원 내의 콘센트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되나, 정전 시 등에는 내장 배터리에 의해 작동된다.
또, 케이스부(2)에는 펌프장착 검출부(15)(도 3에 나타낸다)가 설치된다. 펌프장착 검출부(15)는 펌프부(4)가 케이스부(2)에 장착되어 있는 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며, 제어부(12)에 접속된다.
다음에, 수액장치(1) 제어부(12)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제어부(12)는 처리부(12a)와 표시내용 저장부(12b)를 구비한다. 제어부(12)는 기포 검출 센서부(8)와, 드롭 검출기(9)와, 도어 개폐 검출 센서부(13)(이상 검출부)와, 배터리 전압 검출부(14)(이상 검출부)와, 펌프장착 검출부(15)(이상 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감시한다.
제어부(12)는, 소정 시간 내에 계측되는 낙하방울 수가 제 1 소정값을 초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하며, 또 제 1 소정값보다 큰 제 2 소정값을 초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또, 처리부(12a)는 조작부(10)에서 버튼(10a∼10m)의 조작이 실행되면, 그 조작내용을 검출한다. 또, 처리부(12a)는 표시내용 저장부(12b)에 접속된다. 이 표시내용 저장부(12b)에는 컬러 액정패널(11)에 표시시키는 표시내용이 복수 종류 저장된다. 처리부(12a)는 소정조건에 따라 표시내용 저장부(12b)로부터 원하는 표시내용을 선택하고, 이 선택한 표시내용을 컬러 액정패널(11)에 표시시킨다.
표시내용 저장부(12b)에 저장되어 있는 표시내용은 이하에 기재하는 메시지이다.
도 5에 나타내듯이, 펌프부(4)를 본체측 케이스(21)에 미장착 상태로 수액장치(1)의 전원을 투입한 경우에 표시되는 메시지인 "핑거세트 미장착".
도 6에 나타내듯이, 설정된 유량이 예정량보다 많은 경우에 표시되는 메시지 "유량값이 예정량보다 큽니다만 수액을 개시하겠습니까?". 이것이 조작 확인용 메시지이다.
도 7에 나타내듯이, 의료 종사자가 다음 조작을 소정 시간 내에 실행하지 않은 경우에 표시되는 메시지 "조작 잊음".
도 8에 나타내듯이, 배터리 전원에 의해 수액장치(1)를 운전하는 경우에 표시되는 메시지 "배터리 운전".
도 9에 나타내듯이, 배터리 전원의 전압이 제 1 소정값 이하로 된 경우에 표시되는 메시지 "전지전압".
도 10에 나타내듯이, 기포 검출 센서부(8)로부터 수취한 신호를 이상으로 판단한 경우에 표시하는 메시지 "기포경보"와 "대응 시 프리 플로우 주의". "대응 시 프리 플로우 주의"가 주의에 관한 메시지이다.
도 11에 나타내듯이, 이상 시 경보를 정지시키기 전에 펌프부(4)를 작동시키고자 한 경우에 표시되는 메시지 "기포경보"와 "경보가 해제되지 않아 운전을 개시할 수 없습니다. (음소거 버튼(10a)의 아이콘 표시)를 눌러 경보를 해제해 주십시오.".
도 12에 나타내듯이, 경보기(5)에 대해 경보음을 정지하도록 지령된 경우에 표시되는 메시지 "기포경보(음소거 중)".
도 13에 나타내듯이, 발생한 이상의 원인에 대해 설명하는 메시지 "튜브가 정확하게 세팅되어 있지 않음".
도 14에 나타내듯이, 발생한 원인에 대해 그 대응방법을 설명하는 메시지 "1. 수액 세트의 크렌메를 잠금. 2. 도어를 열어, 튜브 클램프를 개방한다". 이들 대응방법에 관한 메시지이다.
도 15에 나타내듯이, 이상에 대응한 후에 표시되는 메시지 "(개시/정지 버튼(10n)의 아이콘 표시)를 누르면 수액을 개시합니다".
도 16에 나타내듯이, 소정 시간 내에 계측되는 낙하방울 수가 제 1 소정값을 초과한 경우에 표시되는 메시지 "점적 주의" 및 "점적 수가 많음".
도 17에 나타내듯이, 낙하방울 수 이상이 발생한 경우 표시되는 메시지 "점적경보" 및 "대응 시 프리 플로우 주의". "대응 시 프리 플로우 주의"가 주의에 관한 메시지이다.
도 18에 나타내듯이, 도어측 케이스(22)가 열려 있을 시(이상 시)에 표시되는 메시지 "도어 경보"와, "프리 플로우 주의"와, "크렌메를 폐쇄하고 대응". "프리 플로우 주의"가 주의에 관한 메시지이다. "크렌메를 폐쇄하고 대응"이 대응방법에 관한 메시지이다.
도 19에 나타내듯이, 도어측 케이스(22)에 관한 경보가 발생한 경우 원인을 설명하는 메시지 "운전 중에 도어가 열림".
도 20에 나타내듯이, 볼루스 투여를 실행함으로써, 수액의 양이 예정량의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표시되는 메시지 "볼루스 중에 KOR이 됩니다만 괜찮습니까?". 이것이 조작 확인용 메시지이다.
도 21에 나타내듯이, 튜브(33) 내의 프라이밍을 위해 액체를 보내는 경우에 표시되는 메시지 "빠른 투여를 실행합니까?"와 "<주의>빠른 투여 중은, 기포·적하는 검지하지 않음". 이것이 조작 확인용 메시지이다.
도 22에 나타내듯이, 키 로크를 실행할 시에 표시되는 메시지 "키 로크 중" 및 "3초간 계속 누르면 전원버튼, 키 로크 버튼 이외의 버튼 조작은 무효가 됩니다".
도 23에 나타내듯이, 키 로크를 해제할 시에 표시되는 메시지 "키 로크를 해제합니다" 및 "3초간 계속 누르면 모든 버튼 조작이 유효가 됩니다".
도 24에 나타내듯이, 낙하방울 수 이상이 발생한 경우 표시되는 메시지 "점적경보"와 "적수가 많음"과 "프리 플로우 주의"와, "크렌메를 폐쇄하고 대응". "프리 플로우 주의"가 주의에 관한 메시지이다. "크렌메를 폐쇄하고 대응"이 대응방법에 관한 메시지이다.
도 25에 나타내듯이, 낙하방울 수 이상의 제 1 원인과 그 대응방법을 표시하는 메시지 "드롭 검출기의 위치 어긋남" 및 "확인, 수정해 주십시오".
도 26에 나타내듯이, 낙하방울 수 이상의 제 2 원인과 그 대응방법을 표시하는 메시지 "수액 세트, 수액 설정 틀림" 및 "수액 세트, 수액 설정을 확인해 주십시오".
도 27에 나타내듯이, 펌프부(4)의 운전개시 시에 표시되는 메시지 "크렌메를 확인해 주십시오". 이것이 크렌메 확인용 메시지이다.
도 28에 나타내듯이, 발생한 이상에 대해 그 대응방법을 설명하는 메시지 "수액 세트의 장착상태를 확인하고, 도어를 확실히 닫아 주십시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표시내용이 표시내용 저장부(12b)에 저장되어 있으나, 이들 이외의 표시내용을 표시내용 저장부(12b)에 저장하도록 해도 된다. 또, 조작부(10)에서 설정된 각종 설정값은, 표시내용 저장부(12b)에 일시적으로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이 각종 설정값도, 처리부(12a)에 의해 선택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에 제어부(12)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펌프부(4)를 본체측 케이스(21)에 미장착 상태로, 의료 종사자에 의해 조작부(10)의 전원버튼(10)이 조작되면, 처리부(12a)는 펌프장착 검출부(15)로부터 펌프부(4)가 미장착이라는 신호를 수취하고, 표시내용 저장부(12b)로부터 메시지 "핑거세트 미장착"을 선택한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내듯이, 처리부(12a)는 컬러 액정패널(11)에 대해 주의사항 표시부(11d)를 표시시키며, 이 주의사항 표시부(11d)에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지령을 보낸다. 이 지령에 기초하여, 컬러 액정패널(11)은 화면 상부에 주의사항 표시부(11d)를 표시하며, 이 주의사항 표시부(11d)에 상기 메시지를 크게 표시한다.
또, 의료 종사자에 의해 조작부(10)에 입력되는 설정값은, 제어부(12)의 처리부(12a)로 보내진다. 처리부(12a)는 컬러 액정패널(11)에, 입력된 설정값을 표시하도록 지령을 보낸다. 그러면, 도 4에 나타내듯이, 컬러 액정패널(11)은, 처리부(12a)로부터 보내지는 신호에 기초하여 화면 중앙의 유량 표시부(11a)에 유량값을 표시하고, 화면 상부의 적수 표시부(11b)에 사용할 수액 세트의 종류를 표시하며, 화면 하부의 예정량 표시부(11c)에 환자에게 투여할 약액(L)의 예정량을 표시한다. 이들 설정값은 표시내용 저장부(12b)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또, 의료 종사자가 개시/정지 버튼(10n)을 조작하여 수액개시 신호가 제어부(12)에 입력되면, 이 신호를 수취한 처리부(12a)는 입력된 설정값에 기초하여, 펌프부(4)에 동작지령을 보내고, 펌프부(4)를 작동시킨다.
처리부(12a)는 소정의 조작 이외의 조작 신호를 수취하면, 표시내용 저장부(12b)에 저장되어 있는 각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확인용 메시지를 선택하며, 컬러 액정패널(11)에 대해, 이 선택한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지령을 보낸다.
예를 들어, 의료 종사자가 조작부(10)에서 환자에게 투여할 약액(L)의 유량을 예정량보다 크게 설정한 경우, 도 6에 나타내듯이 처리부(12a)는, 이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확인용 메시지 "유량값이 예정량보다 큽니다만 수액을 개시하겠습니까?"를 표시내용 저장부(12b)로부터 선택한다. 그리고, 처리부(12a)는 컬러 액정패널(11)에 대해 주의사항 표시부(11d)를 표시시키며, 이 주의사항 표시부(11d)에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지령을 보낸다. 이 지령에 기초하여, 컬러 액정패널(11)은 화면 상부에 주의사항 표시부(11d)를 표시하고, 그 때까지 표시하고 있던 유량 표시부(11a)와, 적수 표시부(11b)와, 예정량 표시부(11c)를 화면 하부에 축소 표시한다. 그리고, 주의사항 표시부(11d)에 상기 메시지를 크게 표시한다.
또, 의료 종사자가 조작부(10)에서 설정값을 입력하고 그 후, 의료 종사자가 다음 조작을 소정 시간 내에 실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도 7에 나타내듯이, 처리부(12a)는 메시지 "조작 잊음"을 표시내용 저장부(12b)로부터 선택한다. 그리고, 처리부(12a)는 컬러 액정패널(11)에 대해, 주의사항 표시부(11d)를 표시시키고, 이 주의사항 표시부(11d)에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지령을 보낸다. 이 지령에 기초하여, 컬러 액정패널(11)은 화면 상부에 주의사항 표시부(11d)를 표시하고, 그 때까지 표시하고 있던 유량 표시부(11a)와, 적수 표시부(11b)와, 예정량 표시부(11c)를 화면 하부에 축소 표시한다. 그리고, 주의사항 표시부(11d)에 상기 메시지를 크게 표시한다.
수액장치(1)를 배터리 전원으로 운전하는 경우, 도 8에 나타내듯이 처리부(12a)는, 메시지 "배터리 운전"을 표시내용 저장부(12b)로부터 선택한다. 그리고, 처리부(12a)는 컬러 액정패널(11)에 대해 화면 상부에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지령한다. 그 지령에 기초하여, 컬러 액정패널(11)은 화면 상부에 상기 메시지를 표시한다.
배터리 전원의 전압이 제 1 소정값 이하가 되면, 도 9에 나타내듯이 처리부(12a)는 메시지 "전지전압"을 표시내용 저장부(12b)로부터 선택한다. 그리고, 처리부(12a)는 컬러 액정패널(11)에 대해, 화면 상부의 메시지 "배터리 운전"을 메시지 "전지전압"으로 치환하고, 메시지 "전지전압"을 점멸 표시하도록 지령을 보낸다. 이 지령에 기초하여, 컬러 액정패널(11)은 화면 상부의 메시지를 "전지전압"으로 치환하고, 점멸 표시시킨다. 또한, 처리부(12a)는 경보기(5)에 경보음이 단속적으로 울리도록 지령을 보낸다. 이로써, 경보기(5)는 경보음을 단속적으로 울린다. 이 때 경고등 등을 점등시켜도 된다.
배터리 전원의 전압이 제 1 소정값보다 낮은 제 2 소정값 이하가 되면, 처리부(12a)는 경보기(5)에 경보음을 연속 울림으로 변경하도록 지령을 보낸다. 그 지령에 기초하여, 경보기(5)는 경보음을 연속으로 울린다.
또, 처리부(12a)는 기포 검출 센서부(8)와, 드롭 검출기(9)와, 도어 개폐 검출 센서부(13)로부터 보내지는 신호에 기초하여 수액이 정상적으로 실행되는지 이상이 있는지를 판단하며, 이상인 경우는 표시내용 저장부(12b)에 저장되어 있는 이 이상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선택한다. 그리고, 처리부(12a)는 컬러 액정패널(11)에 대해, 이 선택한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지령을 보낸다. 컬러 액정패널(11)은 이 지령에 기초하여, 주의사항 표시부(11d) 또는 경고 표시부(11e)를 표시하고, 상기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 때, 이미 표시되어 있던 유량 표시부(11a)와, 적수 표시부(11b)와, 예정량 표시부(11c)와는 컬러 액정패널(11)의 화면 하부에 축소 표시되거나 또는 컬러 액정패널(11)에 표시되지 않게 된다.
예를 들어, 처리부(12a)가 기포 검출 센서부(8)로부터 수취한 신호를 이상으로 판단한 경우, 즉, 튜브(33)에 기포가 혼입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 처리부(12a)는 펌프부(4)에 대해 동작정지 지령을 보냄과 동시에, 경보기(5)에 대해 경보음을 울리도록 지령을 보낸다.
처리부(12a)는 메시지 "기포경보"와, 이 이상 대응방법에 대한 주의를 나타내는 메시지 "대응 시 프리 플로우 주의"를 표시내용 저장부(12b)로부터 선택한다. 여기서, 프리 플로우란, 낙차압에 의해 약액(L)이 튜브(33) 내를 흘러 버리는 현상을 말한다.
또, 도 10에 나타내듯이, 처리부(12a)는 컬러 액정패널(11)에 대해, 경고 표시부(11e)를 화면에 표시하고, 이 경고 표시부(11e)에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지령을 보낸다. 그 지령에 기초하여, 컬러 액정패널(11)은, 화면 상부에 경고 표시부(11e)를 표시하고, 유량 표시부(11a)와, 적수 표시부(11b)와, 예정량 표시부(11c)를 화면 하부에 축소 표시한다. 그리고, 경고 표시부(11e)에 상기 메시지를 크게 표시한다. 동시에, 경고 표시부(11e) 상부에는 기포를 검출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기포 마크(11f)를 표시하고, 경고 표시부(11e) 하부에는 음소거 버튼(10a) 및 경보 내용 버튼(10b)의 아이콘 표시를 표시한다.
이 경보상태에 있어서, 처리부(12a)는 펌프부(4)를 작동시키고자 하는 신호를 수취하면, 이 조작에 대응하는 메시지 "기포경보" 및 "경보가 해제되지 않아 운전을 개시할 수 없습니다. (음소거 버튼(10a)의 아이콘 표시)를 눌러 경보를 해제해 주십시오."를 표시내용 저장부(12b)로부터 선택한다. 그리고, 도 11에 나타내듯이, 처리부(12a)는 컬러 액정패널(11)에 대해, 경고 표시부(11e)에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지령한다. 이 지령에 기초하여, 컬러 액정패널(11)은, 경고 표시부(11e)에 상기 메시지를 표시한다.
처리부(12a)는, 경보 중에 음소거 버튼(10a)의 조작신호를 수취하면, 경보기(5)에 대해 경보음을 정지하도록 지령을 보내며, 상기 조작에 대응하는 메시지 "기포경보(음소거 중)"를 표시내용 저장부(12b)로부터 선택한다. 그리고, 도 12에 나타내듯이, 처리부(12a)는 컬러 액정패널(11)에 대해 경고 표시부(11e)에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지령을 보낸다. 이 지령에 기초하여, 컬러 액정패널(11)은 경고 표시부(11e)에 상기 메시지를 크게 표시한다.
처리부(12a)는, 경보내용 버튼(10b)의 조작 신호를 수취하면, 발생한 이상 원인에 대해 설명하는 메시지를 표시내용 저장부(12b)로부터 선택하고, 컬러 액정패널(11)에 대해 경고 표시부(11e)에 이 선택한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지령을 보낸다. 기포 검출 센서부(8)에 의해 검출되는 이상 원인에는, 튜브(33)가 정확히 세팅되지 않은 경우나, 장착되어 있는 펌프부(4)에서는 사용 불가능한 튜브(33)가 세팅된 경우 등이 있으며, 이들 처리부(12a)가 추정하여 메시지로서 표시시킨다.
또, 도 13에 나타내듯이, 컬러 액정패널(11)은 처리부(12a) 지령에 기초하여 화면 전체를 경고 표시부(11e)로 변경하고, 화면 중앙에 선택한 메시지를 크게 표시한다. 또, 경고 표시부(11e)의 화면 하부 중앙에는 표시내용 버튼(10b)의 아이콘을 표시하고, 화면 하부 우측에는 선택 버튼(10m)의 아이콘을 표시한다. 이 화면에는, 처리부(12a)에서 추정한 원인의 개수가 숫자로 표시된다.
처리부(12a)는, 경보내용 버튼(10b)의 조작신호를 수취하면, 발생한 이상의 다른 원인에 대해 설명하는 메시지를 표시내용 저장부(12b)로부터 선택하고, 컬러 액정패널(11)에 대해, 이 선택한 메시지를 경고 표시부(11e)에 표시하도록 지령을 보낸다. 이 때, 처리부(12a)는 선택 버튼(10m)의 조작신호를 수취하면, 대응방법을 설명하는 메시지를 표시내용 저장부(12b)로부터 선택한다. 그리고, 처리부(12a)는 컬러 액정패널(11)에 대해, 이 선택한 메시지를 경고 표시부(11e)에 표시하도록 지령을 보낸다. 도 14에 나타내듯이, 컬러 액정패널(11)은 처리부(12a) 지령에 기초하여, 경고 표시부(11e) 중앙에, 상기 메시지를 크게 표시한다. 예를 들어, "1. 수액 세트의 크렌메를 잠근다. 2. 도어를 열고 튜브 클램프를 개방한다"는 메시지가 있다.
이와 같이, 컬러 액정패널(11)에 대응방법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시키도록 하므로, 경험이 부족한 사용자에 의한 장치 오(誤)조작이나, 의사나 간호사 등이 긴급하며 또 긴박한 상황에서 수액장치(1)의 오조작을 줄이는 것이 가능함과 더불어, 숙련된 의사 등에 의한 잘못된 판단에 기인하는 수액장치(1)의 오조작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의료 종사자에 의해, 기포 발생에 대한 처치가 이루어진 후, 처리부(12a)는 음소거 버튼(10a)의 조작신호를 수취하면, 메시지 "(개시/정지 버튼(10n)의 아이콘 표시)를 누르면 수액을 개시합니다"를 표시내용 저장부(12b)로부터 선택한다. 그리고, 도 15에 나타내듯이, 처리부(12a)는 컬러 액정패널(11)에 대해, 경고 표시부(11e)에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지령을 보낸다. 이 지령에 기초하여, 컬러 액정패널(11)은 경고 표시부(11e)에 상기 메시지를 크게 표시한다.
그 후, 처리부(12a)는 개시/정지 버튼(10n)의 조작신호를 수취하면, 도 27에 나타내듯이, 메시지 "크렌메를 확인해 주십시오"를 표시내용 저장부(12b)로부터 선택한다. 그리고, 처리부(12a)는 컬러 액정패널(11)에 대해, 주의사항 표시부(11d)에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지령을 보낸다. 이 지령에 기초하여, 컬러 액정패널(11)은, 주의사항 표시부(11d)에 상기 메시지를 크게 표시한다. 그 후, 처리부(12a)는 도 4에 나타내는 통상 화면으로 되돌리는 지령을 컬러 액정패널(11)로 보낸다. 이 신호를 수취한 컬러 액정패널(11)은 통상 화면을 표시한다. 그리고, 처리부(12a)는 펌프부(4)에 대해 동작지령을 보낸다.
또, 처리부(12a)가 드롭 검출기(9)로부터 신호를 수취하여, 드립 챔버(32) 내에서 소정 시간 내에 계측되는 낙하방울 수가 제 1 소정값을 초과했다고 판단되면 이상이 발생했다는 것이며, 이 신호에 대응하는 메시지 "점적 주의" 및 "점적 수가 많음"을 표시내용 저장부(12b)로부터 선택한다. 그리고, 도 16에 나타내듯이 처리부(12a)는 컬러 액정패널(11)에 대해, 주의사항 표시부(11d)를 표시시키며, 상기 메시지를 주의사항 표시부(11d)에 표시하도록 지령을 보낸다. 그 신호를 수취한 컬러 액정패널(11)은, 지령에 기초하여 화면 상부를 주의사항 표시부(11d)로 하며, 상기 메시지를 주의사항 표시부(11d)에 크게 표시한다.
처리부(12a)는, 드립 챔버(32) 내에서 소정 시간 내에 계측되는 낙하방울 수가 제 2 소정값을 초과했다고 판단하면, 펌프부(4)에 대해 동작정지 지령을 보내고, 경보기(5)에 경보음을 울리도록 지령을 보낸다. 또한, 처리부(12a)는, 상측 튜브 클램프부(7)에 대해 튜브(33)를 폐색하도록 지령을 보낸다.
그리고, 메시지 "점적경보"와, 이 이상 대응방법에 대한 주의를 나타내는 메시지인 "대응 시 프리 플로우 주의"를 표시내용 저장부(12b)로부터 선택한다. 또한, 컬러 액정패널(11)에 대해, 경고 표시부(11e)를 표시시키고, 상기 메시지를 경고 표시부(11e)에 표시하도록 지령을 보낸다. 도 17에 나타내듯이, 컬러 액정패널(11)은 지령에 기초하여 경고 표시부(11e)를 화면 상부에 표시하며, 그 중에 상기 메시지를 크게 표시한다. 동시에, 경고 표시부(11e) 하부에는, 음소거 버튼(10a) 및 경보내용 버튼(10b)의 아이콘을 표시한다.
그 후, 처리부(12a)는 음소거 버튼(10a)의 조작신호를 수취하면, 경보기(5)에 대해 경보음을 정지하도록 지령을 보내고, 이 신호에 기초하여 경보기(5)는 경보를 정지시킨다. 처리부(12a)는 경보내용 버튼(10b)의 조작신호를 수취하면, 발생한 이상 원인에 대해 설명하는 메시지를 표시내용 저장부(12b)로부터 선택하며, 컬러 액정패널(11)에 대해 경고 표시부(11e)에 이 선택한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지령을 보낸다. 드롭 검출기(9)로부터 검출되는 이상 원인으로는, 다른 수액 세트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나 약액(L)에 대해 설정값이 다른 경우 등이 있으며, 도시하지 않으나 이들이 그 수와 함께, 메시지로서 표시된다. 컬러 액정패널(11)은, 처리부(12a) 지령에 기초하여 화면 전체를 경고 표시부(11e)로 변경하고, 화면 중앙에 선택한 메시지를 크게 표시한다.
처리부(12a)는 경보내용 버튼(10b)의 조작신호를 수취하면, 발생한 이상에 대응한 그 밖의 원인에 대해 설명하는 메시지를 표시내용 저장부(12b)로부터 선택한다. 그리고, 처리부(12a)는 컬러 액정패널(11)에 대해, 이 선택한 메시지를 경고 표시부(11e)에 표시하도록 지령을 보낸다. 이 때, 처리부(12a)는, 선택버튼(10m)의 조작신호를 수취하면, 컬러 액정패널(11)에 이 때 표시되는 이상 원인을 나타낸 메시지에 대해, 그 대응방법을 설명하는 메시지를 표시내용 저장부(12b)로부터 선택한다. 그리고, 처리부(12a)는 컬러 액정패널(11)에 대해, 그 선택한 메시지를 경고 표시부(11e)에 표시하도록 지령을 보낸다. 컬러 액정패널(11)은 처리부(12a) 지령에 기초하여, 경고 표시부(11e) 중앙에 선택한 메시지를 크게 표시한다. 예를 들어, "1. 수액 세트의 크렌메를 잠근다. 2. 도어를 열고, 튜브 클램프를 개방한다"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의료 종사자가 낙하방울 수의 이상 대응을 실행한 후, 처리부(12a)는, 음소거 버튼(10a)의 조작신호를 수취하면, 메시지 "(개시/정지 버튼(10n)의 아이콘 표시)를 누르면 수액을 개시합니다"를 표시내용 저장부(12b)로부터 선택한다. 그리고, 처리부(12a)는 컬러 액정패널(11)에 대해, 이 메시지를 경고 표시부(11e)에 표시하도록 지령을 보낸다. 도 15에 나타내듯이, 컬러 액정패널(11)은,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를 경고 표시부(11e)에 크게 표시한다. 동시에, 처리부(12a)는 상측 튜브 클램프부(7)에 대해 튜브(33)의 폐색을 해제하도록 지령을 보낸다. 그리고, 처리부(12a)는 일정시간 후에 화면을 도 4에 나타내는 통상 화면으로 되돌리는 지령을 컬러 액정패널(11)로 보내고, 개시/정지 버튼(10n)의 조작신호를 수취하면, 펌프부(4)에 대해 동작지령을 보낸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도어 개폐 검출 센서부(13)로부터 보내져오는 신호를 처리부(12a)에서 이상으로 판단한 경우, 즉, 도어측 케이스(22)가 개방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도, 처리부(12a)는, 예를 들어 도 18에 나타내듯이, 이상 대응방법에 대한 주의를 나타내는 "프리 플로우 주의, 크렌메를 폐쇄하고 대응"의 메시지를 표시내용 저장부(12b)로부터 선택한다.
그리고, 처리부(12a)는 컬러 액정패널(11)에 이 메시지를 표시시키도록 지령을 보낸다. 또, 이상 원인이 기재된 메시지를 표시내용 저장부(12b)로부터 선택하고, 컬러 액정패널(11)에 이 메시지를 표시시키도록 지령을 보내며, 이 지령에 기초하여 컬러 액정패널(11)이 상기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19에 나타내듯이 "운전 중에 도어가 열림"의 메시지가 표시된다. 이 때, 처리부(12a)는, 선택버튼(10m)의 조작신호를 수취하면, 컬러 액정패널(11)에 이 때 표시되는 이상 원인을 나타낸 메시지에 대해, 그 대응방법을 설명하는 메시지를 표시내용 저장부(12b)로부터 선택하며, 컬러 액정패널(11)에 대해 이 선택한 메시지를 경고 표시부(11e)에 표시하도록 지령을 보낸다. 도 28에 나타내듯이, 컬러 액정패널(11)은 처리부(12a) 지령에 기초하여, 경고 표시부(11e) 중앙에 선택한 메시지를 크게 표시한다. 예를 들어, "수액 세트의 장착상태를 확인하고, 도어를 확실히 닫아 주십시오"의 메시지를 표시한다.
다음에, 환자에 대해 볼루스 투여(환자에 대해 일시적으로 일정량의 약액(L)을 투여하는 방법)에 의한 약액(L)이 투여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처리부(12a)는 F 버튼(10i)과 L 버튼(10j)의 조작신호를 수취하면, 컬러 액정패널(11)에 대해, 표시화면을 볼루스 투여 설정화면으로 변경하도록 지령을 보낸다. 컬러 화면패널(11)은 이 지령에 기초하여 볼루스 투여 설정화면을 표시한다. 처리부(12a)는 볼루스 투여 설정값의 입력신호를 수취하며, 또, F 버튼(10i)과 빠른 투여 버튼(10k)의 조작신호를 동시에 수취하면 펌프부(4)에 동작지령을 보내고, 펌프부(4)는 이 신호에 따라 펌프를 작동시킨다. 이 때, 처리부(12a)는 메시지 "볼루스 투여"를 표시내용 저장부(12b)로부터 선택한다. 그리고, 처리부(12a)는 컬러 액정패널(11)에 대해, 이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지령을 보낸다. 컬러 액정패널(11)은 이 지령에 기초하여, 이 메시지를 화면에 크게 표시한다.
볼루스 투여에 의한 수액을 실행함으로써, 수액의 양이 예정량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처리부(12a)는 "볼루스 투여 중에 KOR이 됩니다만 괜찮습니까?"의 메시지를 표시내용 저장부(12b)로부터 선택한다. 그리고, 컬러 액정패널(11)에 대해 주의사항 표시부(11d)를 표시하며, 상기 메시지를 주의사항 표시부(11d)에 표시하도록 지령을 보낸다. 도 20에 나타내듯이, 컬러 액정패널(11)은 이 지령에 기초하여, 메시지를 화면 상부에 크게 표시한다. 여기서 KOR이란 환자에 대해 약액(L)을 미소하게 계속 주입하는 기능을 말한다.
또, 처리부(12a)는 빠른 투여 버튼(10k)의 조작신호를 수취하면, 빠른 투여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확인용 메시지 "볼루스 투여 중에 KOR이 됩니다만 괜찮습니까?"를 표시내용 저장부(12b)로부터 선택한다. 그리고, 컬러 액정패널(11)에 대해 주의사항 표시부(11d)를 표시하고, 상기 메시지를 주의사항 표시부(11d)에 표시하도록 지령을 보낸다. 도 21에 나타내듯이, 컬러 액정패널(11)은, 이 지령에 기초하여 주의사항 표시부(11d)로 화면을 변경하고, 화면 상부에 "빠른 투여를 실행하겠습니까?"의 메시지를 크게 표시하며, 화면 중앙에 "<주의>빠른 투여 중에는 기포·적하는 검지하지 않습니다"의 메시지를 크게 표시하며, 화면 하부에 "빠른 투여 개시(선택버튼 (10m)의 아이콘 표시)"를 표시한다.
또, 처리부(12a)는 L 버튼(10j)의 길게 누름 조작신호를 수취하면, 전원버튼(10l) 및 L 버튼(10j)의 조작신호 이외는 접수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처리부(12a)는 도 22에 나타내듯이 "키 로크 중" 및 "3초간 계속 누르면 전원 버튼, 키 로크 버튼 이외의 버튼 조작은 무효가 됩니다"라는 메시지를 표시내용 저장부(12b)로부터 선택한다. 처리부(12a)는 컬러 액정패널(11)에 대해, 주의사항 표시부(11d)를 표시하며, 상기 메시지를 주의사항 표시부(11d)에 표시하도록 지령을 보낸다. 컬러 액정패널(11)은, 지령에 기초하여 주의사항 표시부(11d)로 화면을 변경하고, 상기 메시지를 표시한다.
처리부(12a)는, 키 로크 중에 L 버튼(10j)의 길게 누름 조작신호를 수취하면, 키 로크 상태를 해제한다. 그리고, 처리부(12a)는 도 23에 나타내듯이, "키 로크를 해제합니다" 및 "3초간 계속 누르면 모든 버튼조작이 유효가 됩니다"의 메시지를 표시내용 저장부(12b)로부터 선택한다. 그리고, 처리부(12a)는 컬러 액정패널(11)에 대해 주의사항 표시부(11d)에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지령을 보낸다. 컬러 액정패널(11)은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를 표시한다.
또, 처리부(13a)는 전원이 투입되어 기동 중인 경우에는, 컬러 액정패널(11)에 "기동 중"의 메시지와, 수액장치(1)의 제어방식과 경보기(5)의 경보음량 레벨을 표시시킨다. 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정기점검 기간이 지난 경우에는 "정기점검 기간이 지났습니다. 배터리를 재충전 해 주십시오"를 표시시킨다.
다음에, 수액장치(1) 사용 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의료 종사자는 수액용기(31)와, 드립 챔버(32)와, 튜브(33)와, 크렌메(34)를 준비한다. 크렌메(34)를 잠그고 수액장치(1) 도어측 케이스(22)를 열어, 튜브(33)를 본체측 케이스(21)에 세팅한다. 이 때, 드립 챔버(32)에서 크렌메(34)까지 연장되는 튜브(33)의 일부를, 기포 검출 센서부(8)의 본체측 센서(81a) 전면(前面)을 지나, 상측 튜브 클램프부(7)의 좌측 돌출부(71)와 전동식 클램프 가동부(74)와의 사이를 통과시킨다.
그리고, 튜브(33)를, 펌프부(4)의 절개부(41a)에 끼워 넣음과 더불어, 하측 튜브 클램프부(6)의 기계식 클램프 가동부(62)와 튜브 받이부(64) 사이를 통과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튜브(33)를 세팅한 후, 도어측 케이스(22)를 닫고, 크렌메(34)를 연다. 또, 드롭 검출기(9)의 드립 챔버 유지부(91)에 드립 챔버(32)를 세팅한다.
다음에, 의료 종사자는 조작부(10)의 전원버튼(10l)을 조작하여 전원을 투입한다. 수액장치(1) 기동 시에는, 컬러 액정패널(1)에 "기동 중"의 메시지와, 수액장치(1)의 제어방식과, 경보기(5)의 경보음량 레벨이 표시된다. 전원투입 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정기점검 기간이 지난 경우에는 "정기점검 기간이 지났습니다. 배터리를 재충전 해 주십시오"의 표시가 되고, 의료 종사자에 대해 주의가 촉구된다.
전원이 투입되어 제어부(12)가 기동되면, 컬러 액정패널(11)은 도 4에 나타내는 통상화면이 된다. 의료 종사자는 사용할 수액 세트의 종류와, 유량과, 예정 투여량을 컬러 액정패널(11)을 보면서 조작부(10)를 조작하여 입력한다.
즉, 먼저 수액 세트 버튼(10e) 및 선택버튼(10m)을 조작하고, 사용할 수액 세트의 종류를 설정한다. 다음에, 유량 설정버튼(10f) 및 선택버튼(10m)을 조작하여 유량의 수치를 설정한다. 그 후, 예정량 설정버튼(10g) 및 선택버튼(10m)을 조작하여 예정 투여량의 수치를 설정한다.
컬러 액정패널(11)의 유량 표시부(11a)에는, 설정된 유량값이 표시된다. 또, 적수 표시부(11b)에는 사용할 수액 세트의 종류가 표시된다. 또, 예정량 표시부(11c)에는 환자에게 투여할 수액 예정량이 표시된다.
그 후, 의료 종사자가 개시/정지 버튼(10n)을 조작하면, 입력된 설정값에 기초하여, 펌프부(4)가 작동한다. 이 때, 도 27에 나타내듯이 컬러 액정패널(11)의 화면 상부가 주의사항 표시부(11d)로 되며, "크렌메를 확인해 주십시오"라는 메시지가 크게 표시되어, 의료 종사자가 크렌메(34)를 폐색하고 있지 않는지 주의를 촉구한다. 즉, "크렌메를 확인해 주십시오"의 메시지는 크렌메(34) 개방상태의 확인을 촉구하는 메시지이다.
또, 예를 들어 의료 종사자가 조작부(10)에서 유량을 예정량보다 크게 설정한 경우, 도 6에 나타내듯이 컬러 액정패널(11)의 화면 상부가 주의사항 표시부(11d)가 되며, "유량값이 예정량보다 큽니다만 수액을 개시하겠습니까?"의 메시지가 크게 표시되어, 의료 종사자가 펌프부(4)를 작동시키기 전에 주의를 촉구한다. 이 때, 유량 표시부(11a)와, 적수 표시부(11b)와, 예정량 표시부(11c)는 화면 하부에 축소 표시된다.
의료 종사자가 조작부(10)에서 설정값을 입력하고, 그 후 다음 조작을 소정 시간 실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도 7에 나타내듯이, 컬러 액정패널(11)의 화면 상부가 주의사항 표시부(11d)가 되어, "조작 잊음" 및 "개시되지 않음"이란 메시지가 크게 표시되고, 의료 종사자에게 다음 조작을 실행하도록 주의를 촉구한다.
또, 기포 검출 센서부(8)와, 드롭 검출기(9)와, 도어 개폐 검출 센서부(13)로부터 보내져오는 신호에 기초하여 이상이 검출되면, 경보기(5)에 의해 경보가 울리며, 컬러 액정패널(11)에는 표시 상부에 주의사항 표시부(11d) 또는 경고 표시부(11e)가 표시되어, 의료 종사자에게 이상이 발생한 것이 알려진다. 이 때, 유량 표시부(11a)와, 적수 표시부(11b)와, 예정량 표시부(11c)는 컬러 액정패널(11)의 화면 하부에 축소 표시되거나 또는 컬러 액정패널(11)에 표시되지 않게 된다.
수액 중에, 예를 들어, 기포 검출 센서부(8)에서 검출한 신호에 기초하여 이상으로 판정되면, 경보기(5)로부터 경보가 울리며 도 10에 나타내듯이 컬러 액정패널(11)의 경고 표시부(11e)에 메시지 "기포경보" 및 이 이상의 대응방법에 대해 주의를 나타내는 메시지 "대응 시 프리 플로우 주의"가 크게 표시된다. 또, 경고 표시부(11e) 상부에는 기포를 검출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기포 마크(11f)를 표시하며, 경고 표시부(11e) 하부에는 음소거 버튼(10a) 및 경보 내용 버튼(10b)의 아이콘이 표시된다.
이 경보상태에서, 개시/정지 버튼(10n)를 조작하여, 펌프부(4)를 작동시키고자 하면, 도 11에 나타내듯이 경고 표시부(11e) 중앙에 "기포경보" 및 "경보가 해제되지 않아 운전을 개시할 수 없습니다. (음소거 버튼(10a)의 아이콘 표시)를 눌러 경보를 해제 해 주십시오."라는 메시지가 크게 표시되며, 의료 종사자에게 경보음을 정지시키도록 촉구한다. 의료 종사자가 음소거 버튼(10a)을 조작하면 경보음이 정지되며, 도 12에 나타내듯이 경고 표시부(11e) 중앙에 "기포경보(음소거 중)"로 표시된다.
그리고, 의료 종사자가 경보내용 버튼(10b)을 조작하면, 도 13에 나타내듯이, 컬러 액정패널(11) 전체가 경고 표시부(11e)가 되며, 화면 중앙에 발생한 이상 원인에 대해 설명하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또, 화면 하부 중앙에는, 경보내용 버튼(10b)의 아이콘이 표시되고, 화면 하부 우측에는 선택버튼(10m)의 아이콘이 표시된다. 의료 종사자가 경보내용 버튼(10b)을 조작하면, 발생한 이상에 대응한 다른 원인에 대해 설명하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그리고, 의료 종사자가 선택버튼(10m)을 조작하면, 도 14에 나타내듯이, 경고 표시부(11e)의 중앙에 이상 대응방법을 설명하는 메시지가 크게 표시된다.
의료 종사자가, 기포발생 이상에 대응한 후 음소거 버튼(10a)을 조작하면, 도 15에 나타내듯이 경고 표시부(11e)에는 "(개시/정지 버튼(10n)의 아이콘 표시)를 누르면 수액을 개시합니다"라는 메시지가 크게 표시된다. 그리고, 의료 종사자가 개시/정지 버튼(10n)을 조작하면 펌프부(4)가 작동하고, 환자에 대해 약액(L) 투여가 재개된다.
또, 드롭 검출기(9)에서는, 드립 챔버(32) 내에서 소정 시간 내에 계측되는 낙하방울 수가 제 1 소정값을 초과하면, 도 16에 나타내듯이 컬러 액정패널(11)의 상부가 주의사항 표시부(11d)가 되며, "점적 주의" 및 "점적 수가 많음"의 메시지가 크게 표시되어 의료 종사자에게 주의를 촉구한다.
또, 드립 챔버(32) 내에서 소정 시간 내에 계측되는 낙하방울 수가 제 2 소정값을 초과하면, 경보기(5)에 의해 경보가 울린다. 이와 동시에, 도 17에 나타내듯이 컬러 액정패널(11) 상부가 경고 표시부(11e)가 되며, 경고 표시부(11e) 중앙에 "점적경보"와, 이 이상의 대응방법에 대한 주의를 나타내는 메시지인 "대응 시 프리 플로우 주의"의 메시지가 표시되고, 하부에는 음소거 버튼(10a) 및 경보내용 버튼(10b) 아이콘이 표시된다.
의료 종사자가 음소거 버튼(10a)을 조작하면 경보음이 정지된다. 또, 의료 종사자가 경보내용 버튼(10b)을 조작하면, 발생한 이상 원인을 설명하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그리고 의료 종사자가 선택버튼(10m)을 조작하면, 경고 표시부(11e) 중앙에 이 때 표시되는 이상 원인을 나타낸 메시지에 대해, 그 대응방법을 설명하는 메시지가 크게 표시된다.
의료 종사자가 낙하방울 수의 이상의 대응을 실행한 후, 음소거 버튼(10a)을 조작하면, 도 15에 나타내듯이, 경고 표시부(11e)에는 "(개시/정지 버튼(10n) 아이콘 표시)를 누르면 수액을 개시합니다"라는 메시지가 크게 표시된다. 그리고, 의료 종사자가 개시/정지 버튼(10n)을 조작하면 환자에 대해 약액(L) 투여가 재개된다.
또, 상기와 마찬가지로, 도어 개폐 검출 센서부(13)로부터 보내지는 신호에 기초하여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도, 컬러 액정패널(11)에 이상 원인과 이에 대응하는 대응방법이 기재된 메시지가 표시된다.
다음에, 환자에 대해 볼루스 투여에 의한 약액(L) 투여를 실행할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의료 종사자는, 조작부(10)의 F 버튼(10i)과 L 버튼(10j)을 동시에 길게 누르면, 컬러 액정패널(11)에 볼루스 투여 설정화면이 표시된다. 그리고, 의료 종사자가 설정값을 입력한다. 의료 종사자가, F 버튼(10i) 및 빠른 투여 버튼(10k)을 동시에 조작하면, 펌프부(4)는 설정값에 의해 작동한다. 이 때, 컬러 액정패널(11)에는 화면 상부에 메시지 "볼루스 투여"가 크게 표시된다. 도 20에 나타내듯이, 볼루스 투여에 의한 수액을 실행함으로써, 수액의 양이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컬러 액정패널(11)이 주의사항 표시부(11d)가 되며, 메시지 "볼루스 중에 KOR이 됩니다만 괜찮습니까?"가 표시되며, 의료 종사자에 대해 주의가 촉구된다.
또, 튜브(33) 내의 프라이밍을 실행할 경우, 의료 종사자가 조작부(10)에서 빠른 투여 버튼(10k)을 조작하면, 도 21에 나타내듯이 컬러 액정패널(11) 전체가 주의사항 표시부(11d)가 된다. 그리고, 화면 상부에 "빠른 투여를 실행합니까?"라는 메시지가 크게 표시되고, 화면 중앙에 "<주의>빨리 보내기 중에는 기포·적하는 검지하지 않습니다"라는 메시지가 크게 표시되며, 화면 하부에 "빠른 투여 개시(선택 버튼(10m)의 아이콘 표시)"가 표시되고, 의료 종사자에게 빠른 투여를 실행해도 좋은 지 주의를 촉구하도록 구성된다.
또, 의료 종사자가 조작부(10)의 L 버튼(10j)을 길게 누르면 도 22에 나타내듯이, 컬러 액정패널(11) 전체가 주의사항 표시부(11d)가 되며, 화면 상부에 "키 로크 중"으로 표시되고, 화면 중앙에 "3초간 계속 누르면 전원버튼, 키 로크 버튼 이외의 버튼 조작은 무효가 됩니다"로 표시된다. 그 후, 전원 버튼(10l)과 L 버튼(10j) 이외의 조작을 실행할 수 없게 된다.
키 로크 상태에 있어서, 의료 종사자가 L 버튼(10j)을 길게 누르면 도 23에 나타내듯이, 주의사항 표시부(11d)의 화면 상부에 "키 로크를 해제합니다"의 메시지가 표시되고, 화면 중앙에 "3초간 계속 누르면 모든 버튼 조작이 유효가 됩니다"의 메시지가 표시된다. 이로써 키 로크가 해제된 것을 의료 종사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관한 수액장치(1)에 의하면, 이상이 발생한 경우 처리부(12a)가 이 이상의 대응방법이 표시된 메시지를 표시내용 저장부(12b)로부터 선택하고, 이 메시지를 컬러 액정패널(11)에 표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의료 종사자는 발생한 이상에 대해 적절한 대응을 실행할 수 있으며, 수액치료를 안전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상의 대응방법에 대한 주의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내용 저장부(12b)로부터 선택하고, 이 메시지를 컬러 액정패널(11)에 표시시키므로, 의료 종사자가 이상 대응을 실행하기 전에, 이상 대응 시에 주의해야 할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의료 종사자는 발생한 이상에 대해 적절한 대응을 실행할 수 있으며, 수액치료를 안전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조작부(10)에서 입력된 동작조건에 대응하는 조작 확인용 메시지를 컬러 액정패널(11)에 표시시키도록 하므로, 의료 종사자는 자기 조작의 정오(正誤)를 확인하면서 조작을 할 수 있다. 이로써, 오조작을 줄일 수 있으며, 보다 안전한 수액치료를 실행할 수 있다.
또, 각종 메시지를 확대하여 컬러 액정패널(11)에 표시하므로, 의료 종사자는 메시지를 잘못 보기 어렵게 되며, 안전한 수액치료를 실행할 수 있다.
또, 제어부(12)가, 기포 검출 센서부(8) 등으로부터 보내져오는 신호에 기초하여 이상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복수의 원인을 추정하여 컬러 액정패널(11)에 표시하므로, 의료 종사자의 잘못된 판단에 기인하는 오조작을 줄이고, 안전한 수액치료를 실행할 수 있다.
또, 이상 원인이 의료 종사자의 설정미스에 의한 경우, 설정값을 컬러 액정패널(11)에 표시하므로, 의료 종사자는 이상의 원인을 용이하게 추정할 수 있고, 안전하게 수액치료를 행할 수 있다.
또, 조작부(10) 버튼과, 이 버튼에 의해 설정되어 컬러 액정패널(11)에 표시되는 설정값이 동계색이므로, 의료 종사자는 조작해야 할 버튼을 판별하기 쉽고, 오조작을 줄일 수 있으며 안전한 수액치료를 실행할 수 있다.
또, 수액을 개시할 시에, 의료 종사자에게 크렌메(34)의 개방상태 확인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컬러 액정패널(11)에 표시하므로, 크렌메(34)를 잠근 상태로 수액을 개시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전한 수액치료를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4 내지 도 26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변형예와 같이, 처리부(12a)가 경보내용 버튼(10b)의 조작신호를 수취했을 때 발생한 이상의 원인에 대해 설명하는 메시지와, 그 원인의 대응방법을 설명하는 메시지를 동시에, 컬러 액정패널(11)에 표시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 변형예에서는 도 24에 나타내듯이, 드립 챔버(32) 내의 낙하방울 수가 제 2 소정값을 초과하여 처리부(12a)가 이상으로 판단한 경우, 처리부(12a)는 펌프부(4)에 대해 동작정지 지령을 보냄과 동시에, 경보기(5)에 경보음을 울리도록 지령을 보내고, 상측 튜브 클램프부(7)에는 튜브(33)를 폐색하도록 지령을 보낸다.
그리고, 이 이상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점적경보"와, 이 이상 대응방법에 대한 메시지인 "대응 시 프리 플로우 주의"를 표시내용 저장부(12b)로부터 선택한다. 처리부(12a)는 컬러 액정패널(11)에 대해, 경고 표시부(11e)를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메시지를 경고 표시부(11e)에 표시하도록 지령한다. 컬러 액정패널(11)은 지령에 기초하여 경고 표시부(11e)를 화면 상부에 표시하고, 그 중에 상기 메시지를 크게 표시한다. 동시에, 경고 표시부(11e) 하부에는 음소거 버튼(10a) 및 경보내용 버튼(10b)의 아이콘이 표시되며, 상기 아이콘 하측에 유량 표시부(11a)와, 적수 표시부(11b)와, 예정량 표시부(11c)를 화면 하부에 축소 표시한다.
그 후, 처리부(12a)는 음소거 버튼(10a)의 조작신호를 수취하면, 경보기(5)에 대해 경보음을 정지시키도록 지령을 보내고, 그 신호에 기초하여 경보기(5)는 경보를 정지한다. 처리부(12a)는 경보내용 버튼(10b)의 조작신호를 수취하면, 발생한 이상의 원인에 대해 설명하는 메시지를 표시내용 저장부(12b)로부터 선택하고, 또한 그 원인의 대응방법을 설명하는 메시지를 표시내용 저장부(12b)로부터 선택한다. 그리고, 처리부(12a)는 컬러 액정패널(11)에 대해, 경고 표시부(11e)에서, 이 선택한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지령을 보낸다.
도 25에 나타내듯이, 컬러 액정패널(11)은 처리부(12a) 지령에 기초하여, 경고 표시부(11e) 중앙에 선택한 메시지를 크게 표시한다. 예를 들어 "드롭 검출기의 위치 어긋남"의 메시지와, "확인, 수정해 주십시오"의 메시지가 표시된다. 동시에, 원인이 복수 존재할 경우, 개수 표시(11g)가 표시된다. 또, 처리부(12a)는 선택버튼(10m)의 조작신호를 수취하면, 그 밖의 원인과, 그 원인의 대응방법을 설명하는 메시지를 표시내용 저장부(12b)로부터 선택하고, 컬러 액정패널(11)에 대해 경고 표시부(11e)에서 이 선택한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지령을 보낸다. 도 26에 나타내듯이, 컬러 액정패널(11)은 처리부(12a)의 지령에 기초하여, 경고 표시부(11e) 중앙에 선택한 메시지를 크게 표시한다. 예를 들어, "수액 세트 설정이 틀림"의 메시지와 "수액 세트, 수액 설정을 확인해 주십시오"의 메시지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발생한 이상에 대해 그 원인과 대응방법을 설명하는 메시지를 동일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의료 종사자의 빠른 이해가 가능해진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수액장치(1)에서는, 대응방법에 관한 메시지와, 주의에 관한 메시지를 표시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대응방법에 관한 메시지만을 표시시키도록 해도 되며, 주의에 관한 메시지만을 표시시키도록 해도 된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수액장치는 예를 들어 의료현장에서 환자에게 약액 투여를 실행하는 데에 적합하다.
1 : 수액장치 10 : 조작부
10e : 수액 세트 버튼(설정버튼) 10f : 유량설정 버튼(설정버튼)
10g : 예정량 설정버튼(설정버튼) 11 : 컬러 액정패널(표시부)
12 : 제어부 12a : 처리부
12b : 표시내용 저장부 2 : 케이스부
31 : 수액용기 34 : 크렌메
4 : 펌프부
8 : 기포 검출 센서부(이상 검출부)
9 : 드롭 검출기(이상 검출부)
13 : 도어 개폐 검출 센서부(이상 검출부)
14 : 배터리 전압 검출부(이상 검출부)
15 : 펌프 장착 검출부(이상 검출부)
L : 액체

Claims (9)

  1. 수액용기 내의 액체를 환자에게 투여하도록 구성된 수액장치에 있어서,
    표시부와,
    복수 종류의 이상을 각각 검출하는 이상 검출부와,
    상기 이상 검출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이상 검출부에서 검출하는 복수의 이상 각각의 대응방법을 나타내는, 대응방법에 관한 메시지를 저장하는 표시내용 저장부와,
    상기 이상 검출부에서 검출한 이상에 대응하는 상기 메시지를 상기 표시내용 저장부로부터 선택하고, 선택한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처리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장치.
  2. 수액장치 내의 액체를 환자에게 투여하도록 구성된 수액장치에 있어서,
    표시부와,
    복수 종류의 이상을 각각 검출하는 이상 검출부와,
    상기 이상 검출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이상 검출부에서 검출하는 복수의 이상 각각의 대응방법에 대한 주의를 나타내는, 주의에 관한 메시지를 저장하는 표시내용 저장부와,
    상기 이상 검출부에서 검출한 이상에 대응하는 상기 메시지를 상기 표시내용 저장부로부터 선택하고, 선택한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처리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액체를 압송하는 펌프부와,
    상기 펌프부의 동작조건을 입력하는 조작부를 구비하며,
    표시내용 저장부에는, 상기 조작부에서 실행되는 조작의 각각에 대응하는 조작 확인용 메시지가 저장되고,
    처리부는, 상기 조작부에서 실행된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확인용 메시지를 상기 표시내용 저장부로부터 선택하고, 선택한 메시지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처리부는 메시지를 표시부에 확대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처리부는 이상 검출부에서 검출한 이상에 대해 복수의 원인을 추정하여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처리부는 추정된 원인의 개수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시내용 저장부에는, 설정값이 저장되며,
    이상 검출부가 이상을 검출했을 때에, 처리부가 설정값을 상기 표시내용 저장부로부터 선택하여,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조작부에는 복수의 설정값을 각각 설정하는 설정버튼이 설치되며,
    상기 설정버튼의 색과, 상기 설정버튼에 의해 설정되어 표시부에 표시되는 설정값의 표시색이 동계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시내용 저장부에는, 크렌메 개방 상태의 확인을 촉구하는 크렌메 확인용 메시지가 저장되며,
    처리부는, 수액 개시 시에, 상기 메시지를 표시내용 저장부로부터 선택하여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장치.
KR1020117005793A 2008-08-29 2009-08-27 수액장치 KR201100556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22542 2008-08-29
JP2008222542A JP2010051720A (ja) 2008-08-29 2008-08-29 輸液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624A true KR20110055624A (ko) 2011-05-25

Family

ID=41721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5793A KR20110055624A (ko) 2008-08-29 2009-08-27 수액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10051720A (ko)
KR (1) KR20110055624A (ko)
CN (1) CN102131535A (ko)
BR (1) BRPI0912931A2 (ko)
WO (1) WO20100239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273B1 (ko) * 2019-10-25 2021-05-03 주식회사 메디유케어 수액 자동 조절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55166B2 (ja) * 2011-01-27 2016-12-27 テルモ株式会社 シート状細胞培養物の製造方法、シート状細胞培養物形成用基材の製造方法、気泡の除去方法および気体の検出システム
CN104606738B (zh) * 2015-01-28 2017-11-14 深圳市科曼医疗设备有限公司 注射泵的信号检测方法和装置
CN106421976A (zh) * 2016-08-08 2017-02-22 上海金怡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挤压摇摆式偏心轮传动机电一体化系统
US11854681B2 (en) 2016-12-23 2023-12-26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Data management unit for supporting health control
US20200043586A1 (en) * 2016-12-23 2020-02-06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Data management unit for supporting health control
JP6908408B2 (ja) * 2017-03-29 2021-07-28 新コスモス電機株式会社 警報器
JP6981341B2 (ja) * 2018-03-30 2021-12-15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流量監視装置、輸液装置及び異常報知方法
CN111317889B (zh) * 2020-02-14 2022-06-24 微泰医疗器械(杭州)股份有限公司 一种胰岛素泵输注控制方法
EP3926641A1 (en) * 2020-06-16 2021-12-22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Time-controlled alarm handling for a medical dialysis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329946C (en) * 1987-12-04 1994-05-31 Paul A. Koenig User interface for medication infusion system
JPH04191796A (ja) * 1990-11-27 1992-07-10 Canon Inc 装置のステータス表示装置
JP2000014650A (ja) * 1998-04-28 2000-01-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在宅健康管理装置
JP2003018958A (ja) * 2001-07-06 2003-01-21 Terada Seisakusho Co Ltd 製茶faシステム
US6985870B2 (en) * 2002-01-11 2006-01-10 Baxter International Inc. Medication delivery system
JP2004105540A (ja) * 2002-09-19 2004-04-08 Atom Medical Corp 医療用ポンプ
WO2004093648A2 (en) * 2003-04-18 2004-11-04 Insulet Corporation User interface for infusion pump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4638694B2 (ja) * 2003-08-21 2011-02-23 テルモ株式会社 輸液装置
JP2006263351A (ja) * 2005-03-25 2006-10-05 Daiken Iki Kk 薬液ポンプ
JP4802737B2 (ja) * 2006-01-31 2011-10-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薬液投与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2007222485A (ja) * 2006-02-24 2007-09-06 Jms Co Ltd 輸液安全装置とこれを用いた輸液ポン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273B1 (ko) * 2019-10-25 2021-05-03 주식회사 메디유케어 수액 자동 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912931A2 (pt) 2019-09-24
JP2010051720A (ja) 2010-03-11
WO2010023914A1 (ja) 2010-03-04
CN102131535A (zh) 201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55624A (ko) 수액장치
JP2010051720A5 (ko)
US5378231A (en) Automated drug infusion system
KR100428607B1 (ko) 의료주입펌프
US9101714B2 (en) Fluid injection system
WO2010070799A1 (ja) 薬剤投与装置
JP2010051721A5 (ko)
JP6914848B2 (ja) 医療用ポンプ及びその制御方法
JP6240620B2 (ja) 点滴プローブと点滴プローブを備える輸液ポンプ
JPWO2014049661A1 (ja) 輸液ポンプ
SG194200A1 (en) Infusion pump
WO2014049656A1 (ja) 輸液ポンプ
JP6069333B2 (ja) 医療用ポンプ
JP2012223341A (ja) 輸液ポンプ
JP2013052284A (ja) 輸液装置
WO2014122739A1 (ja) 輸液ポンプ
JP2019177131A (ja) 流量監視装置、輸液装置及び異常報知方法
JP7459549B2 (ja) 流量監視装置、輸液装置及び異常報知方法
CN111867655B (zh) 药液注入系统、药液注入装置、药液注入方法以及程序
WO2014049657A1 (ja) 医療用ポンプ
WO2014045323A1 (ja) 医療用ポンプ
JPH04164457A (ja) 輸液ポンプの制御装置
WO2014045328A1 (ja) 輸液ポンプ
CN112714651A (zh) 体外血液治疗设备
JPH05277182A (ja) 輸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