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4172A - 인장 클램프 - Google Patents

인장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4172A
KR20110054172A KR1020090110730A KR20090110730A KR20110054172A KR 20110054172 A KR20110054172 A KR 20110054172A KR 1020090110730 A KR1020090110730 A KR 1020090110730A KR 20090110730 A KR20090110730 A KR 20090110730A KR 20110054172 A KR20110054172 A KR 20110054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grip
fixing
tub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0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3280B1 (ko
Inventor
최진웅
조덕승
Original Assignee
천공전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공전기(주) filed Critical 천공전기(주)
Priority to KR1020090110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280B1/ko
Publication of KR20110054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인장 클램프를 개시한다. 개시된 인장 클램프는, 인장력에 의해 고정되는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고정부;와, 일단부에 상기 케이블 고정부가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그립부가 결합되며 상기 그립부로 상기 케이블 고정을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내장한 본체관부;와,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탄성체에 의해 작용되는 탄성력에 의해 서로 밀착되는 그립 결합체에 의해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는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그립결합체의 일측 단부에 영역에서 상기 그립결합체를 상기 본체관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결합치구를 삽입하는 치구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종래의 호건법을 수행하지 않고 케이블을 고정하는 것에 의해 케이블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그립결합체의 밀착 해제 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상기 그립 결합체의 불의의 밀착 해제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장 클램프, 그립, 꼬임홈부, 치구홈, 전선, 지선

Description

인장 클램프{TENSION CLAMP}
본 발명은 전선, 전신주 지지용 지선 등의 케이블에 인장력을 가하여 고정하는 인장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용전원 공급을 위한 전선은 장력을 가지도록 공중에서 지지되고, 전선을 지지하는 전신주 또한 그 설치 위치에 따라 전신주를 지지하는 지선을 통해 고정 지지된다.
이 경우 상기 전선 또는 상기 전신주 지지용 케이블들은 안정적인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해 적절한 인장력을 유지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인장 클램프가 사용된다.
상기 인장클램브의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3627723호, 제20-229829호, 제20-210124호, 제20-405444호, 제20-152196호, 제20-257876호의 쐐기형 클램프와,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528781호의 콜릿형 클램프 등을 들 수 있다.
도 10은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362772호의 '쐐기형 클램프'(이하, 종래기술1)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종래기술 1의 '쐐기형 클램프'는 길이 방향 으로 탄성수단삽입홈(5)이 형성된 몸체판(2)과 이 몸체판(2)의 양측면에 고정 부착되어 있고 몸체판(2)의 선단부 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한 쌍의 가이드부(3a)(3b)와 연장부(12)와 플랜지(13)와 가이드레일(14a, 14b)와 가이드부(3a, 3b)를 구비하여 쐐기(그립)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그립안착부(4a)가 형성된 클램프본체(4)와, 상기 탄성수단삽입홈(5)에 끼워지는 탄성수단(6)과, 상기 탄성수단(6)의 내측에 삽입되는 휨부(16)를 구비한 핀 형상의 지지대(7)와, 상기 탄성수단(6)에 의해 작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쐐기지지판(8)과, 가이드돌기(15a, 15b)와 손잡이부(25)가 형성되어 상기 쐐기지지판(8)에 의하여 연동되며 상기 가이드부(3a)(3b)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쐐기(그립)(9a)(9b)가 구비된 쐐기부(그립부)(10)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쐐기(9a)(9b)사이에 케이블 또는 전선(11) 등을 끼워 고정 지지한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쐐기부(10)는 서로 대향하는 면에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원형을 이루는 요철(24a)이 나사산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선 또는 지선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요철부(24)가 형성된다.
상기 구성의 인장 클램프(1)는 전선 또는 지선이 요철부(24)로 삽입되면 쐐기(9a, 9b)가 탄셩수단(6)에 의해 본체(4) 내부의 직경이 작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서로 밀착된다. 이때 요철부(24)에 형성되는 원형 요철(24a)이 전선 또는 지선을 서로 압착하는 것에 의해 전선 또는 케이블이 클램프의 내부에서 미끄러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전선 또는 케이블에 인장력을 제공하며 지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의 쐐기형 클램프(인장 클램프)(1)는 손잡이부(25)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지나는 행인이나 아이들의 호기심 또는 부주의에 의한 조작에 의해 전선 또는 지선을 포함하는 케이블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의 쐐기형 클램프(인장 클램프)(1)는 요철(24)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전선이나 지선의 외측면에 파고들어 전선 또는 지선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의 쐐기형 클램프(인장 클램프)(1)는 전선 또는 지선의 고정시 전선 또는 지선의 외 측면에 형성되는 손상 부위가 커지는 경우 단선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의 부주의한 작용에 의한 전선 또는 지선을 포함하는 케이블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인장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 또는 지선을 포함하는 케이블에 인장력을 제공하며 고정하는 경우 상기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고정함은 물론 외부 표면의 파손을 최소로 하는 인장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블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인장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블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인장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장클램프는, 인장력에 의해 고정되는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고정부;와, 일단부에 상기 케이블 고정부가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그립부가 결합되며 상기 그립부로 상기 케이블 고정을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내장한 본체관부;와,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탄성체에 의해 작용되는 탄성력에 의해 서로 밀착되는 그립 결합체에 의해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는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그립결합체의 일측 단부에 영역에서 상기 그립결합체를 상기 본체관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결합치구를 삽입하는 치구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종래의 호건법을 수행하지 않고 케이블을 고정하는 것에 의해 케이블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그립결합체의 밀착 해제 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상기 그립 결합체의 불의의 밀착 해제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 고정부는, 상기 케이블의 단부를 고정하는 케이블고정관;과,
상기 케이블고정관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블 고정관의 외주면에 삽입 결합된 후 상기 본체관부에 결합 고정되는 결합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고정관은, 상부 영역의 다각외주면부;와, 하부 영역의 원형외주면부;와, 상기 원주형외주면면부의 하단부의 외주연에서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돌출부;와, 중앙부위가 수직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내주면에 암 나사산이 형성된 케이블 결합구멍;이 구비된 너트형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관은, 상기 본체관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과도한 결합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측면의 일 측 단부가 원주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지지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관부는, 축 방향을 따라 관통된 중공부가 형성되고 어 상기 탄성체를 내장하는 본체관;과, 상기 케이블 고정부 측에서 상기 본체관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블 고정관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그립부측에서 상기 본체관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탄성체의 상기 그립부측 단부면을 지지하는 두 개의 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관은, 외주면에 일정 각도 간격으로 관통되어 수평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의 개수에 대응하는 열을 형성하는 스토퍼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고정홈은 상기 스토퍼의 이동 유격을 제공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스토퍼구멍;과, 상기 외주면에서 상기 스토퍼고정홈에 대응하는 위치마다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고정돌기 사이의 중앙 위치에서 상기 스토퍼의 외주연의 접선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며, 상기 스토퍼의 직경은 상기 스토퍼의 상기 본체관 내부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본체관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은, 상기 본체관부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의 면적이 작아지며, 서로 대향하는 면에 요철부가 형성되고, 링스프링에 의해 동시에 동일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적어도 두 개가 결합되어 상기 그립 결합체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내경이 작아지며, 상기 그립결합체의 외경에 대응하는 형상의 그립안착부를 구비하여 상기 그립 결합체가 장착된 상태로 상기 본체관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그립지지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은, 서로 대향하는 면에 다수의 꼬임홈으로 형성되는 꼬임홈부와 상기 링스프링이 삽입되는 링스프링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꼬임홈부는 상기 일정 영역에 톱니홈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 다.
상기 톱니홈부는 상기 본체관부측의 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그립은 쐐기형 또는 콜릿형 중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그립지지관은, 외측면에 양측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상기 치구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치구홈은 서로 평행한 두 쌍으로 형성되는 경우 치구홈 쌍 사이의 이격 간격이 상기 케이블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치구홈은 또한 상기 케이블이 위치되는 위치를 벗어나는 위치에 다수의 쌍이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치구는 단부 방향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것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은 인장력을 가하여 전선 또는 지선 등의 케이블을 고정하는 경우 케이블의 외부면의 파손 또는 케이블의 단선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꼬임선 구조에 의해 케이블과 그립의 밀착 면적이 증가하여 케이블의 원하지 않는 분리를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치구를 이용하여 그립 결합체의 밀착과 밀착해제를 용이하게 수행하는 것에 의해 케이블의 고정을 용이하게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장 클램프의 제 1 실시 예에 따르는 콜릿형 인장 클램프(5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인장 클램프(500)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인장 클램프(500)의 단면도이다.
도 1과 같이 상기 콜릿(collet)형 인장 클램프(500)는 케이블 고정부(501)와, 본체관부(502)와, 콜릿형 그립부(503) 및 결합치구(5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블 고정부(501)는 결합관(510)과 케이블고정관(520)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관(510)은 본체관부(502)에 케이블고정관(520)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관형상으로 외측면의 상단부가 원주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지지턱(510a)과 케이블 고정관 결합구멍(511)이 형성되며 외경이 상기 본체관부(502)의 일 구성이 본체관(530)의 내경으로 삽입될 수 있는 지름을 가지는 관 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고정관(520)은 케이블 결합구멍(521)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형 관으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고정관(520)의 상단부는 스패너, 플랜지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다각외주면부(522)로 형성된다. 도 1 내지 3의 경우에는 육각면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케이블고정관(520)의 다각외주면부(522)의 하부 영역은 외주면이 상기 본체관(530)에 형성되는 중공부(531)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중공부(531)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원형외주면부(523)로 형성된다. 이와 달리 상기 원외주면부(523)은 상기 본체관(530)의 외주연에 결합되도록 내경이 상기 본체관(530)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원형외주면부(523)의 하단부의 외 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며 돌출되는 지지돌출부(524)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관부(502)는 본체관(530)과 다수의 스토퍼(540)와 탄성체(55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관(530)은 양단부가 서로 관통되는 원통형 관으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관(530)은 외주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일정 각도 간격을 가지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다수의 상부 스토퍼고정홈(532a)들과 하부 스토퍼고정홈(532b)들을 포함하는 스토퍼고정홈(532)을 구비한다.
상기 스토퍼(540)는 중앙에 관통되어 스토퍼구멍(543)이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상기 스토퍼고정홈(532)에 대응하는 등각도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고정돌기(541)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돌기(541)는 상기 고정돌기(541)의 중앙 영역에 위치되는 본체관(530)의 외주면에 접선(543)을 그은 경우 접선(543)을 벗어나지 않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탄성체(550)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상기 콜릿형 그립부(503)는 콜릿형 그립 결합체(300)와 상기 콜릿형 그립 결합체(300)를 본체관(530)의 하단부의 내측에 상하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콜릿형 그립지지관(5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콜릿형 그립 결합체(300)는 원추(또는 원뿔대)가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 사상으로 120도를 이루며 수직으로 분할 구성되는 3개의 콜릿형 그립(300a, 300b, 300c)으로 구성된다. 상기 3개의 콜릿형 그립(300a, 300b, 300c)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는 도 3과 같이 꼬임홈부(110)와 톱니홈부(12) 및 링스프링홈(310)이 형성된다. 상기 3개의 콜릿형 그립(300a, 300b, 300c)은 서로 밀착되는 경우 꼬임홈부(110)와 톱니홈부(120)가 서로 결합하여 케이블(11)이 고정되는 원통형 중공부를 가지는 원추형(또는 원뿔대)으로 결합한다. 상기 3개의 콜릿형 그립(300a, 300b, 300c)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는 전체 길이 방향으로 꼬임홈부(110)만 형성되거나, 톱니홈부(120)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링스프링홈(310)에는 링스프링(311)이 결합되어 콜릿형 그립(300a, 300b, 300c)의 사이를 이격시키는 힘을 제공한다.
상기 콜릿형 그립지지관(560)은 내부가 중공된 관으로 형성된다. 하부 외측면 영역에는 상기 콜릿형 그립 지지관(560)의 지름을 중심으로 케이블(11)의 고정을 방해하지 않도록 케이블(11)의 직경보다 큰 간격으로 이격되어 전면과 후면을 통해 결합치구(504)가 관통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한쌍의 치구홈(504)을 구비한다. 상기 치구홈(504)은 한 쌍만 형성되거나, 지름에 대하여 양측으로 이격되도록 두 쌍으로 형성되거나,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치구홈(504)이 형성된 하부 영역의 상부 외측면에 원주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걸림턱(562)을 구비한다. 상기 걸림턱(562)의 상부는 내부의 중공부가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추형(또는 원뿔대 형)으로 형성되는 콜릿형 그립안착부(560a)가 형성된 원추내주면부(563)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치구(504)는 상기 치구홈(561)에 삽입되어 콜릿형 그립 결합체(300)를 상 방향으로 이동시켜 콜릿형 그립(300a, 300b, 300c)들 사이를 이격시켜 케이블(11)을 삽입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구성을 가지는 콜릿형 인장 클램프(500)의 결합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콜릿형 인장 클램프(500)을 조립하기 위해 케이블 고정부(501), 본체관부(502) 및 콜릿형 그립부(503)를 조립한다.
먼저 케이블 고정부(501)의 조립은 케이블 고정관(520)을 결합관(510)의 케이블 결합구멍(521)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하여 결합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지지돌출부(524)의 상부면이 결합관(510)의 저면에 지지되어 케이블 고정관(520)이 결합관(510)으로부터 상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케이블 고정관(520)은 케이블 결합구멍(521)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 및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다음으로 본체관부(502)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본체관부(502)의 조립을 위해 먼저 스토퍼(540)를 측면으로 세워 본체관(531)의 중공부(531)로 삽입한다. 이때 스토퍼(540)의 외경이 중공부(531)의 내경과 같거나 작고, 스토퍼돌기(541)가 스토퍼(540)의 외접선(543)을 넘지 않는 높이를 가지므로 스토퍼돌기(541)를 상하로 위치시키면 스토퍼(540)가 용이하게 중공 부(531)로 삽입된다. 스토퍼(540)가 중공부(531)로 삽입되어 스토퍼고정홈(532a, 532b; 532)에 위치되면 스토퍼돌기(541)가 스토퍼고정홈(532)에 삽입되도록 스토퍼(540)를 수평 위치시킨다. 이에 의해 네 개의 스토퍼돌기(541) 각각이 본체관(530)에 형성된 네 개의 상부 또는 하부 스토퍼고정홈(532a, 532b; 532)에 삽입되어 스토퍼(540)가 스토퍼고정홈(532)의 길이 방향의 유격을 가지고 본체관(530)의 내부에 결합된다. 이 후 중공부(531)의 하부에서 탄성체(550)를 본체관(530)의 내부로 삽입한다. 삽입된 탄성체(550)의 상부는 하부 스토퍼고정홈(532b)에 결합된 스토퍼(540)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의해 본체관부(502)의 조립이 종료된다.
상기 콜릿형 그립부(503)는 그립지지관(560)의 그립안착부(560a)에 콜릿형 그립 결합체(300)를 삽입하여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 고정부(501), 본체관부(502), 콜릿형 그립부(503)가 조립된 후 케이블 고정부(501)는 결합관(520)이 본체관(530)에 형성된 중공부(531)의 상부와 결합된 후, 용접, 키를 삽입하거나 볼트와 너트 등에 의한 체결 또는 결합면 측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결합시키는 나사 결합 등의 방식에 의해 결합부가 고정되는 것에 의해 본체관부(502)의 상부에 고정된다. 이때, 다각외주면부(522)가 본체관(530)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콜릿형 그립부(503)는 원추내면부(563)가 본체관(503)에 형성된 중공부(531)의 하부와 결합된 후, 용접, 키를 삽입하거나 볼트와 너트 등에 의한 체결 또는 결합면 측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결합시키는 나사 결합 등의 방식에 의해 결합 부가 고정되는 것에 의해 본체관부(502)의 하부에 고정된다. 이 경우 그립지지관(560)의 내부에 안착된 콜릿형 그립 결합체[(300)는 탄성체(550)에 의해 하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며 원추내면부(563)의 중심에 형성되는 그립안착부(560a)의 원추형 내면에 의해 서로 밀착되는 힘을 받아 서로 긴밀히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 고정부(501)와 콜릿형 그립부(503)가 본체관부(502)에 결합고정되는 것에 의해 전체 콜릿형 인장 클램프(500)의 조립이 완료된다.
도 4는 상기 콜릿형 그립의 변형된 실시 예로서 상기 콜릿형 그립은 도 4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면에 꼬임홈부(110)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의 도면부호 30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콜릿형 그립은 단면이 반원을 가지며, 꼬임홈부, 톱니홈부 또는 꼬임홈부와 톱니홈부를 가지는 두 개의 콜릿형 그립을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한정됨이 없이 상기 콜릿형 그립은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분할 구성된다.
도 5는 상기 콜릿형 인장 클램프(500)를 이용하여 전신주(11a)를 지지하는 케이블(11)과 로드(11c)로 이루어지는 지선(11')을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와 같이 전신주(11a)의 상단부를 지지하도록 애자(11d)에 의해 연결되는 케이블(11)의 하단부는 도 3과 같이 볼트(B)를 결합한 후 볼트(B)를 케이블고정관(520)에 삽입하여 나사결합시켜 고정한다. 이때 작업자는 스패너 또는 플랜지 등의 공구를 케이블고정관(520)의 다각외주면부(522)에 결합하여 케이블고정관(520) 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케이블(11)의 단부를 견고히 고정한다.
이 후 도 1의 결합치구(504)를 치구홈(561)에 삽입하면, 결합치구(504)의 경사면(504a)에 의해 콜릿형 그립 결합체(300)가 상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때 내부의 링스프링(311)이 탄성력을 가해 콜릿형 그립(300a, 300b, 300c)들을 이격시켜 케이블(11)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지중에 매설된 근가(11b)에 의해 고정된 로드(11c)에 결합되어 지상면에 위치되는 하부 케이블(11)을 인장시켜 팽팽한 상태로 고정한다. 그리고 지상면에 위치되는 케이블(11)의 상단부를 콜릿형 그립(300a, 300b, 300c)들이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에 삽입한 후 결합치구(504)를 치구홈(561)으로부터 분리하면 탄성체(550)에 의해 콜릿형 그립(300a, 300b, 300c)들이 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밀착되어 하부의 케이블(11)을 고정한다. 이에 의해 지선(11')의 고정이 완료된다.
또한 도면에는 미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콜릿형 인장 클램프(500)가 전선을 지지하는 경우 전선(미 도시)은 도 1의 케이블 결합구멍(521) 스토퍼구멍(542), 탄성체(550)의 내부, 콜릿형 그립 결합체(300)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요철부(320) 또는 톱니홈부(120)를 가지는 꼬임홈부(110)가 형성하는 원통형 중공부를 관통하여 결합되어 콜릿형 인장 클램프(500)에 의해 인장력을 받도록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고정홈(532)는 스토퍼(540)의 고정 이외에 본체관(530)의 내부에 침입된 습기를 제거하는 구멍으로 작용하여 겨울에 본체관(530)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르는 쐐기형 인장 클램프(600)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쐐기형 그립부(603)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쐐기형 인장 클램프(600)는 케이블 고정부(501), 본체관부(502), 쐐기형 그립부(603) 및 결합치구(5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케이블 고정부(501)와 본체관부(502)와 결합치구(504)는 도 1 내지 도 5의 콜릿형 인장 클램프(500)의 각 구성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쐐기형 그립부(603)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쐐기형 그립(100a, 100b)을 수용하는 쐐기형으로 형성되는 점에서 차이를 가진다.
상기 쐐기형 그립부(603)는 쐐기형 그립지지관(660)과 쐐기형 그립 결합체(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쐐기형 그립부(603)는 내부에 쐐기형의 중공부로 형성되는 그립안착부(660a)를 구비한다. 하부영역의 양 측부 각각은 서로 대향하도록 관통된 치구홈(661)을 구비한다. 상부면에는 본체관(530)과의 결합을 위한 연결돌기(662)를 구비한다.
상기 쐐기형 그립 결합체(100)는 각각 쐐기형으로 형성되며 서로 대향하는 면에 수직 길이 방향으로 따라 원호 형으로 요입되며 요입면에는 수평으로 나사산 형상의 요철이 형성되고 수평 방향으로 링스프링(311, 도 3 참조)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링스프링홈(310)이 형성된 요철부(320)를 구비한 두 개의 쐐기형 그립(100a, 100b)으로 구성된다. 상기 두 개의 쐐기형 그립(100a, 100b)이 서로 밀착되는 경우 상기 요철부(320)의 원기둥형 중공부를 형성하며 케이블(11)(도 5 참조)을 압착하여 고정한다. 상기 쐐기형 그립(100a, 100b)의 상부면에는 탄성체(550)의 내부로 삽입되어 탄성체(550)를 지지하는 탄성체지지돌기(1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쐐기형 그립부(603)는 쐐기형 그립안착부(660a)에 쐐기형 그립 결합체(100)가 상하 이동 삽입되도록 쐐기형 그립지지관(660)에 결합된다. 이 후 본체관부(502)에 결합된 탄성체(550)의 하부로 탄성체지지돌기(125)가 삽입되도록 쐐기형 그립지지관(660)의 상단부가 본체관(530)의 저면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본체관(530)과 쐐기형 그립지지관(660)은 용접 등에 의해 결합 고정된다. 이와 달리 본체관(530)의 하부 영역과 쐐기형 그립지지관(660)의 상부면에 형성된 연결관(662)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연결하고, 내부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원통형 슬리브(미 도시), 볼트와 너트, 키 등의 공지된 체결구를 이용하여 연결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된 상기 쐐기형 인장 클램프(600)는 도 1의 결합치구(504)를 치구홈(661)에 삽입하면, 링스프링(311)에 의해 동시에 이동되도록 규제되는 쐐기형 그립 결합체(100)가 경사면(504a)를 타고 상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링스프링(311)에 의해 서로 이격된다. 그리고 케이블(11, 도 5 참조)을 서로 이격된 쐐기형 그립(100a, 100b)의 요철부(320)로 삽입한 후 결합치구(504)를 제거하면 탄성체(550)에 의해 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밀착되어 케이블(11, 도 5 참조)을 압착 고정한다.
도 8 및 도 9는 쐐기형 그립의 변형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의 쐐기형 인장 클램프(600)는 도 8과 같이 상기 요철부(320) 대신에 원호형 홈의 내부면에 나선형으로 요입 형성되는 다수의 꼬임홈(110')들과 링스프링(311)이 결합되는 링스프링홈(311)이 형성된 꼬임홈부(100)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쐐기형 그립 결합체는 또한 도 9와 같이 상기 요철부(320)가 꼬임홈부(100)와 링스프링홈(310)과 톱니홈부(120)로 구비한 쐐기형 그립(200a, 200b)을 구비한 쐐기형 그립 결합체(200)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도 8의 쐐기형 그립(100)은 꼬임선 방식의 케이블을 고정하는 경우 각각의 꼬임선이 꼬임홈(110')의 내부로 안착되는 것에 의해 케이블과 쐐기형 그립(100a, 100b) 사이의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케이블의 고정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요철부(320) 달리 케이블의 외측면으로 돌출부가 삽입되지 않게 되어 케이블의 파손 또는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부가하여 인장클램프를 이용하여 전선을 고정하고 고정된 인장클램프를 통해 전기가 통전될 필요가 있는 경우 접촉면의 증가에 따라 전류의 이동이 원활해 지며, 넓은 면적에 걸쳐 전선과 인장클램프가 접촉되므로 국지적인 접촉으로 인한 발열이나 아크의 발생을 최소로 할 수도 있다.
상기 도 9의 쐐기형 그립(200)은 케이블(11)을 고정하는 경우 도 8과 같이 꼬임선이 꼬임홈(110')으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케이블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며, 파손 또는 단선을 방지하며, 이에 부가하여 톱니홈부(120)가 케이블(11)의 이탈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여 케이블(11)을 더욱 견고히 고정시킨다. 상기 톱니홈부(120)는 케이블(11, 도 5 참조)의 파손 또는 단선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관부(502) 측에 형성된다. 이는 케이블(11)이 결합되는 경우 본체관부(502) 측에 위치되는 케이블(11)의 단부에는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톱니홈부(120)는 꼬임홈부(110)의 영역 중 어디에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설명에서 상기 콜릿형 인장 클램프(500) 및 쐐기형 인장 클램프(600)가 본 발명의 인장 클램프의 실시 예들이다.
또한 상기 콜릿형 그립부(503) 및 쐐기형 그립부(603)가 본 발명의 그립부의 실시 예들이다.
또한 상기 꼬임홈부(110) 및 톱니홈부(120)는 상기 요철부(320)의 변형된 실시 예들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르는 인장 클램프(500)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인장 클램프(500)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인장 클램프(500)의 단면도,
도 4는 콜릿형 그립의 변형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2의 인장 클램프(500)가 케이블(11)을 고정하기 위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르는 인장 클램프(500)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쐐기형 그립부(603)의 분해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쐐기형 그립의 변형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362772호의 '쐐기형 클램프'(이하, 종래기술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500: 콜릿형 인장 클램프 501: 케이블고정부
510: 결합관 511: 케이블고정관결합구멍
520: 케이블고정관 521: 상부 케이블 결합구멍
522: 다각외주면부 523: 원형외주면부
524: 지지돌출부 502: 본체관부
530: 본체관 531: 중공부
532: 스토퍼고정홈 540: 스토퍼
541: 고정돌기 550: 탄성체
503: 그립부 560: 콜릿형 그립지지관
560a: 그립안착부 561: 치구홈
562: 걸림턱 563: 원추내면부
564: 하부 케이블 결합구멍 300: 콜릿형 그립 결합체
300a, 300b, 300c: 콜릿형 그립 110: 꼬임홈부
110': 꼬임홈 120: 톱니홈부
310: 링스프링홈 11: 케이블
600: 쐐기형 인장 클램프 660: 쐐기형 그립지지관
100, 200: 쐐기형 그립 결합체 100a, 100b: 쐐기형 그립

Claims (16)

  1. 인장력에 의해 고정되는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고정부;와,
    일단부에 상기 케이블 고정부가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그립부가 결합되며 상기 그립부로 상기 케이블 고정을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내장한 본체관부;와,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탄성체에 의해 작용되는 탄성력에 의해 서로 밀착되는 그립들로 이루어지는 그립 결합체를 내장하여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는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그립결합체의 일측 단부에 영역에서 상기 그립결합체를 상기 본체관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결합치구를 삽입하는 치구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클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부는,
    상기 케이블의 단부를 고정하는 케이블고정관;과,
    상기 케이블고정관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블 고정관의 외주면에 삽입 결합된 후 상기 본체관부에 결합 고정되는 결합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클램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고정관은,
    상부 영역의 다각외주면부;와,
    하부 영역의 원형외주면부;와,
    상기 원주형외주면면부의 하단부의 외주연에서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돌출부;와,
    중앙부위가 수직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내주면에 암 나사산이 형성된 케이블 결합구멍;이 구비된 너트형 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클램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관부는,
    축 방향을 따라 관통된 중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를 내장하는 본체관;과,
    상기 케이블 고정부 측에서 상기 본체관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블 고정관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그립부측에서 상기 본체관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탄성체의 상기 그립부측 단부면을 지지하도록 각각 장착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클램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관은,
    외주면에 일정 각도 간격으로 관통되어 수평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의 개수에 대응하는 열을 형성하는 스토퍼고정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클램프.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고정홈은,
    상기 스토퍼의 이동 유격을 제공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클램프.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스토퍼구멍;과,
    상기 외주면에서 상기 스토퍼고정홈에 대응하는 위치마다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고정돌기 사이의 중앙 위치에서 상기 스토퍼의 외주연의 접선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클램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은, 상기 본체관부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의 면적이 작아지며, 서로 대향하는 면에 요철부가 형성되고, 링스프링에 의해 동시에 동일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적어도 두 개가 결합되어 상기 그립 결합체를 형성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내경이 작아지며, 상기 그립결합체의 외경에 대응하는 형상의 그립안착부를 구비하여 상기 그립 결합체가 장착된 상태로 상기 본체관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그립지지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클램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은,
    서로 대향하는 면에 다수의 꼬임홈으로 형성되는 꼬임홈부와 상기 링스프링이 삽입되는 링스프링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클램프.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꼬임홈부는,
    상기 일정 영역에 톱니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클램프.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홈부는,
    상기 본체관부측의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클램프.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은,
    쐐기형 또는 콜릿형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클램프.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지지관은,
    외측면에 양측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치구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클램프.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치구홈은,
    서로 평행을 이루며 이격된 두 쌍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치구홈 쌍 사이의 간격이 상기 케이블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클램프.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치구홈은 상기 케이블이 위치되는 위치를 벗어나는 적어도 두 쌍 이상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클램프.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치구는,
    단부 방향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것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클램프.
KR1020090110730A 2009-11-17 2009-11-17 인장 클램프 KR101113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730A KR101113280B1 (ko) 2009-11-17 2009-11-17 인장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730A KR101113280B1 (ko) 2009-11-17 2009-11-17 인장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172A true KR20110054172A (ko) 2011-05-25
KR101113280B1 KR101113280B1 (ko) 2012-03-14

Family

ID=44363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0730A KR101113280B1 (ko) 2009-11-17 2009-11-17 인장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28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9421A1 (zh) * 2014-01-23 2015-07-30 宁波市鄞州五乡伟有机电配件厂 一种用于线缆的快速连接器
US9328407B2 (en) 2012-07-09 2016-05-03 Samsung Display Co., Ltd. Clamp
KR102065675B1 (ko) * 2018-07-04 2020-02-11 주식회사 이디엔씨 연결금구 결합형 폴리머 현수애자 장치
KR20200103041A (ko) 2017-12-21 2020-09-01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오미데네팍의 조합
KR20200103719A (ko) 2017-12-28 2020-09-02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피리딜아미노아세트산 화합물을 함유하는 의약 제제
WO2021141236A1 (ko) 2020-01-09 2021-07-15 주식회사 안코바이오플라스틱스 기계적 물성, 성형성 및 내후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17098A (ko) 2020-03-18 2021-09-28 주식회사 안코바이오플라스틱스 기계적 물성, 성형성 및 내후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6231515A (zh) * 2022-11-15 2023-06-06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舟山供电公司 一种线缆断股临时加固夹持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0999B1 (ko) 1996-03-13 1999-06-15 이계철 케이블 가설용 완충클램프
JP2004251396A (ja) 2003-02-20 2004-09-09 Yasuo Matsuda ボールチャック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8407B2 (en) 2012-07-09 2016-05-03 Samsung Display Co., Ltd. Clamp
WO2015109421A1 (zh) * 2014-01-23 2015-07-30 宁波市鄞州五乡伟有机电配件厂 一种用于线缆的快速连接器
KR20200103041A (ko) 2017-12-21 2020-09-01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오미데네팍의 조합
KR20200103719A (ko) 2017-12-28 2020-09-02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피리딜아미노아세트산 화합물을 함유하는 의약 제제
KR102065675B1 (ko) * 2018-07-04 2020-02-11 주식회사 이디엔씨 연결금구 결합형 폴리머 현수애자 장치
WO2021141236A1 (ko) 2020-01-09 2021-07-15 주식회사 안코바이오플라스틱스 기계적 물성, 성형성 및 내후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17098A (ko) 2020-03-18 2021-09-28 주식회사 안코바이오플라스틱스 기계적 물성, 성형성 및 내후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6231515A (zh) * 2022-11-15 2023-06-06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舟山供电公司 一种线缆断股临时加固夹持器
CN116231515B (zh) * 2022-11-15 2023-12-12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舟山供电公司 一种线缆断股临时加固夹持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3280B1 (ko) 201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3280B1 (ko) 인장 클램프
KR101887232B1 (ko) 방진용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와 헹거
JP6508748B2 (ja) 磁器碍子への架空導線の固定装置
KR102333251B1 (ko)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KR101049437B1 (ko) 당김구가 설치되는 도로용 안전구조물
CN111641167B (zh) 一种电力输电线路连接金具
KR102040544B1 (ko) 송배전 및 변전용 케이블 클램핑 장치
JP2009022101A (ja) 送電線用ボルトレススペーサ
KR101113281B1 (ko) 인장 클램프 그립
KR102280470B1 (ko) 배전선로의 전신주 변압기 고정 장치
CN107046195A (zh) 电力系统专用多功能连接器
KR102089508B1 (ko) 가공 배전선로의 보호기능을 갖춘 배전선 연결대
KR100934151B1 (ko) 배전용 전주 지지대
KR100931978B1 (ko) 송·배전용 전선케이블 연결장치
KR101572946B1 (ko) 통신 케이블용 다중 클램프
KR101113282B1 (ko) 수직설치물의 지지를 위한 지선 또는 전선을 고정하는 인장 클램프 조립체 및 상기 인장클램프 조립체를 이용한 지선 설치 방법
KR20130058198A (ko) 압축인류클램프
JP6310675B2 (ja) 電車線工事用接地金具
KR101230255B1 (ko) 드롭퍼 클램프
KR101009506B1 (ko) 전주용 완금밴드장치
KR100557750B1 (ko) 가요전선관의 커넥터
KR20090027098A (ko) 조립식 가로등주
KR100658696B1 (ko) 공동주택의 케이블트레이용 고정구
CN114865568B (zh) 一种支柱绝缘子金具
CN218351741U (zh) 一种高压电缆终端接地线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