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3969A - 중합체 제조를 위한 2-이소프로필-2-알킬-1,3-프로판디올의 용도 - Google Patents

중합체 제조를 위한 2-이소프로필-2-알킬-1,3-프로판디올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3969A
KR20110053969A KR1020117004045A KR20117004045A KR20110053969A KR 20110053969 A KR20110053969 A KR 20110053969A KR 1020117004045 A KR1020117004045 A KR 1020117004045A KR 20117004045 A KR20117004045 A KR 20117004045A KR 20110053969 A KR20110053969 A KR 20110053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according
polymer
coating material
polymers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4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리조 미졸로비크
세바스티앙 가르니에
퀴앙 미아오
마리아 귁사 구아르디아
게르드-디에터 테벤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에스이 filed Critical 바스프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10053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96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00Saturated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1/18Polyhydroxylic acyclic alcohols
    • C07C31/20Di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05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 C08G18/4208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 C08G18/4211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derived from aromatic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 C08G18/4216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derived from aromatic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from mixtures or combinations of aromatic dicarboxylic acids and aliphatic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05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 C08G18/4208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 C08G18/4211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derived from aromatic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 C08G18/4219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derived from aromatic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from aromatic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in combination with polycarboxylic acids and/or polyhydroxy compounds which are at least trifunction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06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C08G63/08Lactones or lac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91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63/914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9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02Aliphatic polycarbonates
    • C08G64/0208Aliphatic polycarbonates satur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08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 C08G69/14Lact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carbonat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7/00Adhesive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7/00Adhesive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9/00Adhesives based on polycarbonat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하기 화학식 I의 2-이소프로필-2-알킬-1,3-프로판디올 또는 이의 알콕실화 유도체를 단량체 화합물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량체 화합물로부터의 중축합 또는 중부가물 형성으로 수득되는 중합체를 개시한다.
<화학식 I>

Description

중합체 제조를 위한 2-이소프로필-2-알킬-1,3-프로판디올의 용도{USE OF 2-ISOPROPYL-2-ALKYL-1,3-PROPANEDIOLS FOR THE MANUFACTURE OF POLYMERS}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2-이소프로필-2-알킬-1,3-프로판디올 또는 이의 알콕실화 유도체를 단량체 화합물로서 동반 사용하는, 단량체 화합물로부터의 중축합 또는 중부가물 형성에 의해 수득가능한 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1
디올은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우레탄의 제조에 필요하다. EP-A 562 578호에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의 제조에서의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또는 1,4-시클로헥산디에탄올과 같은 여러 시클로헥산디올의 용도가 기재되어 있다.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한 2-펜틸-2-프로필-1,3-프로판디올의 용도가 JP HEI 03-161452호에 공지되어 있다.
중합체의 다양한 용도와 관련하여 중합체의 성능 특성을 개선할 근본적인 필요성이 있다.
중합체가 코팅 물질, 접착제 또는 실란트에서 결합제로서 사용되는 경우, 용융 점도 (100% 시스템) 또는 용액 점도 (중합체 용액)이든지 간에 점도가 특히 중요하다. 필름-형성 응용을 위해, 제조되는 코팅은 우수한 기계적 특성, 예컨대 충격 인성 및 탄성, 높은 내스크래치성 및 내충격성, 물, 용매, 기름 및 화학물질 및 환경적 영향에 대한 높은 내성, 및 또한 높은 광택을 나타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하기 화학식 I의 2-이소프로필-2-알킬-1,3-프로판디올 또는 이의 알콕실화 유도체를 단량체 화합물로서 사용하는, 단량체 화합물로부터의 중축합 또는 중부가물 형성에 의해 수득가능한 중합체로 달성된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2
상기 식에서, R은 1 내지 20개의 C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라디칼이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중합체에서, R이 메틸 또는 3-메틸부틸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알콕실화 유도체를 단량체 화합물로서 사용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중합체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3-메틸-2-알킬부타날을 포름알데히드와 알돌-카니자로 (aldol-Cannizzaro) 반응으로 반응시킴으로써 또는 알돌 반응 및 후속 수소화에 의해 수득가능하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중합체에서, 중합체는 폴리에스테르이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중합체에서, 중합체는 디알킬 카르보네이트 또는 환형 카르보네이트를 디올과 반응시킴으로써 알콜의 제거와 함께 수득가능한 폴리카르보네이트디올이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중합체에서, 중합체는 폴리우레탄이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중합체에서, 중합체는 락톤 또는 락탐의 개환 부가 중합에 의해 수득가능한 중부가물이다.
본 발명은 또한 열가소성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중합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중합체 및/또는 본 발명의 중합체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성형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코팅 물질, 실란트 또는 접착제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중합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중합체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코팅 물질, 실란트 또는 접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코팅 물질, 실란트 또는 접착제는 유리하게는 수성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분말 코팅 물질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중합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중합체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분말 코팅 물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방사선 경화성 코팅 물질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중합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중합체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방사선 경화성 코팅 물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중합체는 R이 1 내지 10개의 C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라디칼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알콕실화 유도체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바람직하게는, R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1-메틸부틸, 2-메틸부틸, 3-메틸부틸 및 tert-부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메틸 또는 3-메틸부틸이 특히 바람직하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알콕실화 유도체는 1종의 알킬렌 옥시드 또는 알킬렌 옥시드의 혼합물과의 반응 생성물이다. 알킬렌 옥시드의 예에는 에틸렌 옥시드, 프로필렌 옥시드, n-부틸렌 옥시드, 이소부틸렌 옥시드, 스티렌 옥시드 또는 시클로헥센 옥시드가 있다. 보다 특히, 상기 언급된 디올은 에톡실화되고 프로폭실화된다. 알콕실화 생성물은 상기 알콜과 알킬렌 옥시드, 특별히 에틸렌 옥시드 또는 프로필렌 옥시드의 반응에 의해 공지된 방법으로 수득가능하다. 히드록실기 당 알콕실화도는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 보다 특히 0 내지 10이다. 즉, 1 mol의 히드록실기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20 mol, 보다 특히 10 mol의 알킬렌 옥시드로 알콕실화될 수 있다.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알콕실화되지 않는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상응하는 3-메틸-2-알킬부타날과 포름알데히드의 카니자로 반응에 의해 수득된다. 이러한 1,3-프로판디올 유도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이미 공지되어 있으며 GB 1009915호 또는 US 3975450호에 기재되어 있다. 1,3-프로판디올은 별법으로 상응하는 3-메틸-2-알킬부타날과 포름알데히드를 알돌 반응시켜 상응하는 2-히드록시메틸-3-메틸-2-알킬부타날을 얻고, 이후 이를 후속 수소화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알돌 반응은 예를 들어, WO 01/51438호, WO 97/17313호 또는 WO 98/29374호에 기재되어 있다. 수소화는 EP-A 44412호 또는 EP-A 44444호의 개시 내용과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2-이소프로필-2-(3-메틸부틸)-1,3-프로판디올의 제조를 위해, 상응하는 3-메틸-2-알킬부타날을, EP-A 487035호 (2 내지 5쪽)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소발레르알데히드의 호모-알돌 축합 및 후속적인 이중 결합의 선택적 수소화에 의해 제조한다.
중합체
중합체는 1종 이상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동반 사용하는 단량체 화합물로부터의 중축합 또는 중부가물 형성에 의해 수득가능하며, 중합체는 목적하는 경우, 다른 반응 또는 추가의 반응에 의해 화학적으로 개질 (예를 들어, 관능화 또는 가교)될 수 있다.
단량체 화합물이 중축합되는 경우 물 또는 알콜의 제거를 수반하며, 중부가물 형성의 경우 이는 어떠한 제거도 수반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중축합물은 디올 또는 폴리올을 디카르복실산 또는 폴리카르복실산 (또한 반응성 유도체, 예컨대 무수물 또는 에스테르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음)과 반응시킴으로써 수득가능한 폴리에스테르이다.
용어 "폴리에스테르"는 이후 디올, 폴리올, 디카르복실산 및 폴리카르복실산으로부터 선택되는 합성 성분으로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보다 특히 90 중량%를 초과하게 이루어진 중합체를 지칭하는 것을 의도한다.
디알킬 카르보네이트 또는 환형 카르보네이트를 디올과 반응시킴으로써 알콜의 제거와 함께 수득가능한 폴리카르보네이트디올을 또한 언급할 수 있다.
중부가물로서, 특히 폴리우레탄을 언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중합체의 반복 단위를 또한 포함하는 폴리우레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락톤 또는 락탐의 개환 부가 중합에 의해 수득가능한 중부가물이 또한 고려된다.
용어 "폴리우레탄"은 이후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디올 및 폴리올로부터 선택되는 합성 성분으로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보다 특히 90 중량%를 초과하게 이루어진 중합체를 지칭하는 것을 의도한다.
모든 이들 중합체는 이들이 디올 및, 이들 디올과 반응성인 화합물, 예컨대 디카르복실산 및/또는 폴리카르복실산 (폴리에스테르) 또는 디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우레탄)로부터 실질적으로 합성된다는 특징을 공유한다.
바람직한 중합체는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우레탄이며, 폴리에스테르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기재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알콕실화 유도체의 단량체 단위에 대한 함량을 갖는다. 중합체 중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알콕실화 유도체의 양에 대한 하기 중량 값은 이 경우에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알콕실화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중합체 단위를 지칭한다. 중부가물의 경우 이들 단위의 중량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알콕실화 유도체에 직접 상응하며, 중축합물의 경우 이들 단위의 중량 값은 히드록실기의 수소 원자의 중량 값만큼 감소된다.
바람직한 중합체는 0.5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중량% 이상, 매우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상, 보다 특히 10 중량% 이상, 한 특정 실시양태에서는 20 중량% 이상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알콕실화 유도체로 이루어진다. 디올과 반응성인 다른 화합물을 동반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90 중량% 이하, 보다 특히 60 중량% 이하, 또는 50 중량% 이하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알콕실화 유도체로 이루어진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알콕실화 유도체 이외에, 중합체는 또한 합성 성분으로서 다른 디올 또는 폴리올을 포함할 수 있다.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중합체를 이루는 디올 및 폴리올 중 10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이상, 매우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상이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알콕실화 유도체로 구성된다.
보다 특히, 중합체를 이루는 디올 및 폴리올 중 70 중량% 이상 또는 90 중량% 이상이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알콕실화 유도체로 구성될 수 있다.
한 특정 실시양태에서, 중합체를 이루는 모든 디올 및 폴리올 100 중량%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알콕실화 유도체로 구성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의 추가 구성물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알콕실화 유도체 이외에, 폴리에스테르는 합성 성분으로서 추가의 디올 또는 폴리올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디올의 예에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및 이들의 보다 고도로 축합된 대응물, 예컨대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등, 부탄디올, 펜탄디올, 헥산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알콕실화 페놀계 화합물, 예컨대 에톡실화 및/또는 프로폭실화 비스페놀, 및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이 포함된다. 추가의 적합한 폴리올에는 3관능성 및 보다 고도의 다관능성 알콜, 예컨대 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 부탄트리올, 트리메틸올에탄, 펜타에리트리톨, 네오펜틸 글리콜, 디트리메틸올프로판, 디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톨 및 만니톨이 있다.
상기 디올 또는 폴리올은 알콕실화될 수 있으며, 보다 특히 에톡실화 및 프로폭실화될 수 있다. 알콕실화 생성물은 상기 알콜과 알킬렌 옥시드, 특별히 에틸렌 옥시드 또는 프로필렌 옥시드의 반응에 의한 공지된 방법으로 수득가능하다. 히드록실기 당 알콕실화도는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이다. 즉, 1 mol의 히드록실기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20 mol의 알킬렌 옥시드로 알콕실화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는 합성 성분으로서 디카르복실산 또는 폴리카르복실산을 추가로 포함한다.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디카르복실산 또는 폴리카르복실산은 또한 이들의 반응성 유도체 형태, 예를 들어, 무수물 또는 에스테르로 사용할 수 있다. 적합한 디카르복실산에는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이들의 이성질체 및 수소화 생성물, 예컨대 테트라히드로프탈산이 있다.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를 위해 말레산 및 푸마르산이 또한 고려된다.
폴리에스테르는 또한 구성물로서 모노알콜 또는 모노카르복실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형의 화합물을 동반 사용하는 것은 분자량을 조정하거나 제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정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폴리에스테르는 특정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는 예를 들어, 물 중에서의 용해성 또는 물 중에서의 분산성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양의 친수성기, 카르복실기 또는 카르복실레이트기를 포함한다. 분말 코팅 물질을 위한 가교가능한 폴리에스테르는 예를 들어, 사용되는 가교제와 가교 반응을 하는 관능기를 포함한다. 히드록실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예를 들어 히드록시알킬아미드를 사용하여 가교하려는 경우, 상기 관능기는 마찬가지로 카르복실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말레산)으로의 폴리에스테르의 개질 또는 (메트)아크릴산과의 반응을 통해 관능기는 또한 에틸렌계 불포화기일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중합체는 방사선 경화성이거나 화학적으로 또는 열적으로 가교가능하다.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는 또한 단일 에틸렌계 불포화 또는 다중 에틸렌계 불포화를 함유하는 자유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예컨대 스티렌, C1-C10 알킬 아크릴레이트, 디알킬 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에탄디올 또는 부탄디올의 디아크릴레이트와 공중합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는 예를 들어, WO 00/23495호 및 EP 1131372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와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에틸렌계 불포화 화합물은 용매 (반응성 희석제)로서 동시에 작용하여, 바람직하게는 혼합물이 이들 화합물 중 폴리에스테르의 용액으로서 존재한다. 혼합물은 예를 들어, 코팅 또는 함침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라미네이트의 제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경화는 열적으로 또는 광화학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또한 임의로 두 경우 모두 개시제의 첨가와 함께 수행될 수 있다.
폴리우레탄의 추가의 구성물
폴리우레탄은 필수적인 합성 성분으로서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한다.
특히 디이소시아네이트 X(NCO)2 (여기서, X는 4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탄화수소 라디칼, 6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 또는 7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르지방족 탄화수소 라디칼임)가 포함된다. 이러한 유형의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예에는 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도데카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디이소시아나토시클로헥산, 1-이소시아나토-3,5,5-트리메틸-5-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IPDI), 2,2-비스(4-이소시아나토시클로헥실)프로판, 트리메틸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1,4-디이소시아나토벤젠, 2,4-디이소시아나토톨루엔, 2,6-디이소시아나토톨루엔, 4,4'-디이소시아나토디페닐메탄, 2,4'-디이소시아나토디페닐메탄, p-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TMXDI), 비스(4-이소시아나토시클로헥실)메탄 (HMDI)의 이성질체, 예컨대 트랜스/트랜스, 시스/시스 및 시스/트랜스 이성질체, 및 이들 화합물의 혼합물이 있다.
상기 유형의 디이소시아네이트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특히 이들 이소시아네이트의 중요 혼합물은 디이소시아나토톨루엔 및 디이소시아나토디페닐메탄의 각각의 구조 이성질체의 혼합물이며, 80 mol%의 2,4-디이소시아나토톨루엔 및 20 mol%의 2,6-디이소시아나토톨루엔의 혼합물이 특히 적합한 혼합물이다. 또한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예컨대 2,4-디이소시아나토톨루엔 및/또는 2,6-디이소시아나토톨루엔과 지방족 또는 시클로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예컨대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IPDI의 혼합물이 특히 유리하며,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대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의 바람직한 혼합비는 4:1 내지 1:4이다.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는 디올 및/또는 폴리올로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순수한 화합물로서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혼합물로서 또는 다른 디올 또는 폴리올과의 혼합물로 사용한다. 디올 및/또는 폴리올로서 보다 특히 본 발명의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폴리우레탄의 경우, 디올 및/또는 폴리올로서 폴리에스테르 디올 및/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들은 이후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롤로서 지칭된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롤은 디올 또는 폴리올과 디카르복실산 또는 폴리카르복실산의 반응 (상기 폴리에스테르의 기재 참조)에 의해 사전에 수득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혼합물은 이러한 폴리에스테롤의 형태로 폴리우레탄 중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디올 및 폴리올은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직접 반응하는 합성 성분으로서 또는 폴리에스테롤의 구성물로서 상기 언급된 것이 고려된다. 폴리에스테롤에 적합한 디카르복실산 또는 폴리카르복실산은 마찬가지로 상기 기재된 것이다.
폴리우레탄은 또한 모노알콜 또는 모노이소시아네이트를 구성물로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화합물을 동반 사용함으로써 분자량을 조정하거나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정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폴리우레탄은 특정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은 물 중에서의 용해성 또는 물 중에서의 분산성을 달성하게 위해 필요한 양의 친수성기 (예를 들어, 카르복실기 또는 카르복실레이트기)를 포함한다. 적합한 합성 성분의 예는 디메틸올프로피온산이다. 가교가능한 폴리우레탄은 사용되는 가교제와 가교 반응을 하는 관능기를 포함한다. 우레탄기 이외에, 보다 특히 폴리우레탄은 또한 다른 관능기, 예를 들어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아미노 화합물의 반응의 통해 형성되는 우레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는 목적하는 경우, 예를 들어, 이들의 사용 과정 동안 또는 특히 사용 시점 이후에, 다른 반응 또는 추가의 반응에 의해 화학적으로 개질 (예를 들어, 관능화 또는 가교)될 수 있다.
특히, 중합체는 필요한 조건이 존재하자마자 가교 반응하는 가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는 또한 특히 필요한 조건 하에 (보다 특히 승온에서) 목적하는 시점에, 중합체와 가교 반응하는 가교제와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가교제의 반응성에 따라, 1-성분 (1K) 시스템과 2-성분 (2K) 시스템으로 구분한다. 2K 시스템의 경우 후속 사용 직전까지 가교제가 첨가되지 않으며, 1K 시스템의 경우 초기 단계에서 가교제가 시스템에 첨가될 수 있고 (잠재적 가교제), 예를 들어, 용매를 제거하고/하거나 온도를 증가시키는 동안과 같이 이후에 일어나는 조건 하에만 가교가 일어난다.
전형적인 가교제에는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 에폭시드, 산 무수물, 또는 자유 라디칼 중합성 에틸렌계 불포화기를 갖는 중합체의 경우,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예컨대 스티렌이 있다.
중합체의 용도
중합체는 열가소성 조성물의 구성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목적을 위해,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우레탄은 바람직하게는 이들에게 열가소성 특성을 부여하기에 충분히 높은 분자량을 갖는다.
열가소성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성형 물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며, 이 경우에 통상적인 방법, 예컨대 사출 성형, 압출 또는 블로우 성형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특히, 중합체는 코팅 물질, 실란트 또는 접착제의 구성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코팅 물질, 실란트 또는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결합제로서 본 발명의 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들은 추가의 결합제 및 다른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에는 산화방지제, 안정화제, 염료, 안료, 유동 조절 보조제, 증점제 또는 습윤 보조제가 있다.
코팅 물질, 실란트 또는 접착제는 수성 또는 용매계 물질일 수 있다. 수성 물질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형의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유기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용액 또는 분산액의 형태로 본 발명의 결합제를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 중합체는 물 또는 유기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중의 용해성 또는 분산성을 제공하는 추가의 관능기를 포함한다 (상기 참조).
코팅 물질, 실란트 또는 접착제는 또한 물 또는 유기 용매가 거의 없는 물질일 수 있다 (100% 시스템으로 공지됨). 상기 유형의 물질은 일반적으로 물질 100 중량부 당 10 중량부 미만의 물 또는 다른 유기 용매 (1 bar에서 비점이 150℃ 미만임)를 포함한다. 이들은 물질 100 중량부 당 특히 바람직하게는 2 중량부 미만, 매우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미만, 또는 0.5 중량부 미만의 물 또는 다른 유기 용매 (1 bar에서 비점이 150℃ 미만임)를 포함한다.
대상 물질은 실온에서 여전히 유체인 물질일 수 있거나 또는 승온에서만 가공되고 예를 들어, 분말 형태로 존재하는 물질일 수 있다.
물질, 특별히 코팅 물질은 방사선 경화성이거나 방사선 경화성 물질 또는 코팅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방사선 경화성 중합체, 보다 특히 방사선 경화성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상기 참조). 방사선 경화는 고에너지 방사선, 예를 들어 전자빔, 또는 UV선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UV선을 사용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광개시제를 중합체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한 바람직한 용도는 분말 코팅 물질로서 또는 분말 코팅 물질 중에서의 본 발명의 중합체의 용도이다. 분말 코팅 물질로서 가교가능한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분말 코팅 물질은 폴리에스테르, 가교제, 및 추가의 첨가제, 안료 및 유동 조절제를 예를 들어 고온에서 혼합하고 용융시킴으로써 제조된다. 혼합물은 후속적인 압출 및 압출물의 상응하는 가공에 의해 분말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분말 코팅 물질은 목적하는 기재 (예에는 금속, 플라스틱 또는 목재의 표면을 갖는 것이 있음) 상에 예를 들어, 정전기적인 방식을 비롯한 통상적인 방식으로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합체는 낮은 용융 점도 (100% 시스템) 또는 낮은 용액 점도 (중합체 용액) 둘다인 낮은 점도를 나타낸다. 낮은 점도는 취급을 용이하게 하여, 우수한 코팅 특성을 제공하고, 용액 또는 분산액 중의 높은 고체 분율 또는 착색된 물질 중에서 보다 낮은 결합제 분율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중합체는 또한 특히 가수분해에 대해 매우 내성이 있다.
코팅 물질, 실란트 및 접착제 중에 사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중합체는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제공하며, 특히 코팅 물질, 예를 들어 분말 코팅 물질은 높은 충격 인성, 우수한 탄성 및 높은 광택을 나타낸다.
<실시예>
2-이소프로필-2- 메틸 -1,3- 프로판디올의 제조
응축기 및 질소 블랭켓팅 (blanketing)이 있는 4 l 교반 플라스크를 120 g의 메탄올과 함께 조질의 2,3-디메틸부타날 생성물 (250 g, 2.5 mol) (88%의 2,3-디메틸부타날 및 11%의 4-메틸펜타날) 및 포름알데히드 (물 중 30%, 750 g, 7.5 mol)로 충전하였다. 1.5시간에 걸쳐, 염화나트륨 (물 중 25%, 645 g, 4 mol)을 적가하고 배치 (batch)를 50℃에서 가열하였다. 염기를 첨가한 후, 배치를 50℃에서 추가 3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실온에서 포름산으로 pH를 7로 조정하였다. 상을 분리하였다. 수성 상이 디올 (약 12%)을 함유하여 아밀 알콜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에서 감압 하에 메탄올 및 아밀 알콜을 제거하였다. 증류 브릿지 (bridge)를 통해 생성물의 초기 증류를 수행하였다 (4 mbar에서 109 내지 135℃). 패킹된 컬럼에서 최종 증류를 수행하였다 (4 mbar에서 108-106℃). 순도 98%의 고체로서 92%의 수율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GC, GC-MS 및 NMR (1H, 13C)을 사용하여 구조를 결정하였다.
2-이소프로필-5- 메틸 -2- 헥세날의 제조
응축기 및 질소 블랭켓팅이 있는 4 l 교반 플라스크를 RT에서 322 g (15 중량%)의 메탄올과 함께 2150 g (25 mol)의 이소발레르알데히드로 충전하였다. 1시간에 걸쳐, 냉각 (최대 온도 60℃)과 함께 염화나트륨 (물 중 25%, 600 g, 3.75 mol)을 적가하였다. 염기를 첨가한 후, 배치를 50℃에서 추가 3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실온에서 아세트산으로 pH를 7로 조정하였다. 상을 분리하였다. 유기 상 (1993 g, 82% 수율)은 GC 면적%에 따라 다음을 함유하였다: 그 중 5%의 메탄올, 85%의 2-이소프로필-5-메틸-2-헥세날, 5%의 2-이소프로필-5-메틸-1,3-헥산디올.
2-이소프로필-5- 메틸 -2- 헥세날의 2-이소프로필-5- 메틸 -2- 헥사날로의 선택적 수소화
알돌 축합으로부터의 유기 상 (1700 g)을 오토클레이브 중에서 20 bar 및 80℃에서 5시간 동안 1.5% Pd/C (25.5 g, 10% 형태)를 사용하여 수소화하였다. GC 면적%에 따른 생성물의 조성은 다음과 같았다: 그 중 6%의 메탄올, 1.8%의 2-이소프로필-5-메틸-2-헥세날, 70%의 2-이소프로필-5-메틸-2-헥사날, 4%의 2-이소프로필-5-메틸-2-헥세놀, 5%의 2-이소프로필-5-메틸-1,3-헥산디올. (수소화 수율: 81%).
2-이소프로필-2-(3- 메틸부틸 )-1,3- 프로판디올의 제조
응축기 및 질소 블랭켓팅이 있는 4 l 교반 플라스크를 RT에서 583 g의 메탄올과 함께 665 g의 수소화 생성물 (2-이소프로필-5-메틸-2-헥사날 중 70%) 및 포름알데히드 (물 중 30%, 900 g, 9 mol)로 충전하였다. 1.5시간에 걸쳐, 염화나트륨 (물 중 25%, 768 g, 4.8 mol)을 적가하고 배치를 50℃에서 가열하였다. 염기를 첨가한 후, 배치를 50℃에서 추가 3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실온에서 포름산으로 pH를 7로 조정하였다. 상을 분리하였다. 수성 상이 디올 (약 20%)을 함유하여 아밀 알콜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에서 감압 하에 메탄올 및 아밀 알콜을 제거하였다. 증류 브릿지를 통해 생성물의 초기 증류를 수행하였다 (2 mbar에서 124 내지 165℃). 패킹된 컬럼에서 최종 증류를 수행하였다 (2.5 mbar에서 액체상 온도 180 내지 178℃, 상부 온도 126 내지 129℃). 순도 95%의 무색 액체로서 69%의 수율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GC, GC-MS 및 NMR (1H, 13C)을 사용하여 구조를 결정하였다.
용도 실시예
약어
ADA: 아디프산
D: 다분산도 (Mw/Mn)
DPG: 디프로필렌 글리콜
DBTO: 디부틸틴 옥시드
DSC: 시차 주사 열량계
GPC: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IPA: 이소프탈산
IMBPD: 2-이소프로필-2-(3-메틸부틸)프로판-1,3-디올
IMPD: 2-이소프로필-2-메틸프로판-1,3-디올
Mn: 수 평균 분자량 [g/mol]
Mw: 중량 평균 분자량 [g/mol]
NVC: 비휘발성 함량
NPG: 네오펜틸 글리콜
OHN: OH가
AN: 산가
Tg: 유리 전이 온도
TMP: 트리메틸올프로판
TMA: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TPA: 테레프탈산
η1: 용융 점도
η2: 용액 점도
중합체 특성화 방법
GPC로 분자량 측정을 수행하였다. 정지상: 폴리머 래보라토리스 (Polymer Laboratories)로부터 PL-GEL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고도로 가교된 다공성 폴리스티렌-디비닐벤젠. 이동상: THF. 유속: 0.3 ml/분. PSS로부터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28700 내지 194 달톤 (dalton)으로 검정함.
폴리에스테르의 산가는 DIN 표준 방법 53169에 따라 측정하였다.
폴리에스테르의 용융 점도 η1는 콘/플레이트 (cone/plate) 점도계를 사용하여 160℃에서 진동 모드에서 측정하였으며 0.1 rad/초의 각속도에서 수행하였다. 폴리에스테르의 용액 점도 η2는 콘/플레이트 점도계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회전 모드에서 측정하였다. 용액은 70%의 폴리에스테르 및 30%의 용매 (솔베소 (Solvesso) 100TM/솔베논 (Solvenon) PMTM의 5/1 혼합물)로 이루어졌다.
폴리에스테르의 Tg는 ASTM D3418에 따라 DSC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COOH 기를 갖는 분말 폴리에스테르의 제조
폴리에스테르 P1
단계 I - OH -함유 올리고머의 제조
150.4 g의 IMBPD (0.80 mol), 266.3 g의 NPG (2.56 mol), 53.6 g의 TMP (0.40 mol), 531.3 g의 TPS (3.20 mol) 및 0.7 g의 촉매 DBTO를 온도계, 비활성 기체 주입구, 교반기 및 환류 응축기가 장착된 2 l 4구 플라스크에 충전하였다. 질소 스트림을 통과시키면서, 환류 하에, 반응물의 혼합물을 180℃로 빠르게 가열하였다. 물을 지속적으로 증류하여 제거하였다. 후속적으로 질소를 흘려주고 교반하면서 반응 혼합물을 230℃로 3 내지 5시간에 걸쳐 단계적으로 가열하고, 올리고머의 AN이 10 내지 15 mg KOH/g이 될 때까지 230℃에서 추가로 교반하였다. 올리고머의 AN은 11 mg KOH/g이었다.
단계 II - COOH -함유 중합체 P1 의 제조
상기 합성된 올리고머를 180℃로 냉각시키고 이어서 132.8 g의 IPA (0.80 mol)를 첨가하였다. 온도를 230℃로 올리고, 중합체의 AN이 30 내지 40 mg KOH/g이 될 때까지 이들 조건 하에 축합을 지속하였다. 목적하는 AN을 얻기 위해, 중합으로부터 생성된 물을 온화한 진공으로 반응의 마지막에 제거할 수 있었다. 이는 AN이 31 mg KOH/g인 분지형 COOH-함유 분말 폴리에스테르 P1을 제공하였다. P1의 유리 전이 온도 Tg는 72℃이었고 용융 점도 η1은 160℃에서 194 Pa·s이었다. GPC 분석으로 다음 값: Mn = 2700 g/mol; D = 16 (표 1 참조)을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P2 내지 P7
공정을 표 1에 요약된 조성으로 P1의 제조를 위한 공정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이는 그의 특징적인 데이터 AN, Mn, D, Tg 및 η1가 표 1에 열거된 바와 같은 분지형 COOH-함유 분말 폴리에스테르를 제공하였다.
P2 비교예 2
P3 실시예 3
P4 실시예 4
P5 비교예 5
P6 실시예 6
P7 비교예 7
Figure pct00003
본 발명의 중합체 P1, P3, P4 및 P6는 필적할만한 AN 및 Mn을 갖는 상응하는 비교 중합체 P2, P5 및 P7보다 용융 점도가 현저하게 낮았다.
OH 기를 갖는 비정질 폴리에스테르의 제조
폴리에스테르 P8
155.73 g의 IMPD (1.18 mol), 194.68 g의 NPG (1.87 mol), 158.09 g의 TMP (1.18 mol), 456.97 g의 IPA (2.75 mol), 172.25 g의 ADA (1.18 mol) 및 0.5 g의 촉매 DBTO를 온도계, 비활성 기체 주입구, 교반기 및 환류 응축기가 장착된 2 l 4구 플라스크에 충전하였다. 질소 스트림을 통과시키면서, 환류 하에, 반응물의 혼합물을 160℃로 빠르게 가열하였다. 물을 지속적으로 증류하여 제거하였다. 후속적으로 질소를 흘려주고 교반하면서 반응 혼합물을 230℃로 3 내지 5시간에 걸쳐 단계적으로 가열하고, 폴리에스테르 P8의 AN이 10 내지 15 mg KOH/g이 될 때까지 230℃에서 추가로 교반하였다. 이는 AN이 12 mg KOH/g인 분지형 비정질 OH-함유 폴리에스테르 P8을 제공하였다. P8은 OHN이 100 mg KOH/g이었고 유리 전이 온도 Tg가 26℃이었다. GPC 분석으로 다음 값: Mn = 2000 g/mol; D = 7.4를 얻었다. P8은 용융 점도 η1가 160℃에서 2.9 Pa·s이었다. 실온에서 폴리에스테르 P8 (NVC가 70%이고, 용매로서의 솔베소 100TM/솔베논 PMTM의 5/1 혼합물이 있는 P8 용액)의 용액 점도 η2는 29.8 Pa·s이었다 (표 2 참조).
폴리에스테르 P9 P10
표 2에 요약된 조성으로 P8의 제조를 위한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였다. 폴리에스테르 P9 및 P10의 특징적인 데이터를 표 2에 열거하였다.
P9 IMBPD가 있는 실시예
P10 NPG만 있는 비교예
Figure pct00004
본 발명의 중합체 P8 및 P9은 비교 중합체 P10보다 용융 점도가 현저하게 낮았고 용액 점도가 현저하게 낮았다.
물로 희석가능한 폴리에스테르의 제조
폴리에스테르 P11
단계 I - OH -함유 올리고머의 제조
170.5 g의 IMPD (1.29 mol), 302.2 g의 NPG (2.91 mol), 401.9 g의 IPA (2.42 mol) 및 0.5 g의 촉매 DBTO를 온도계, 비활성 기체 주입구, 교반기 및 환류 응축기가 장착된 2 l 4구 플라스크에 충전하였다. 질소 스트림을 통과시키면서, 환류 하에, 반응물의 혼합물을 160℃로 빠르게 가열하였다. 물을 지속적으로 증류하여 제거하였다. 후속적으로 질소를 흘려주고 교반하면서 반응 혼합물을 220℃로 3 내지 5시간에 걸쳐 단계적으로 가열하고, 반응 혼합물의 AN이 10 내지 15 mg KOH/g이 될 때까지 220℃에서 추가로 교반하였다. 올리고머의 AN은 14 mg KOH/g이었다.
단계 II - 중합체 P11 의 제조
상기 합성된 올리고머를 160℃로 냉각시키고 이어서 155.0 g의 TMSA (0.81 mol)를 첨가하였다. 온도를 230℃로 올리고, 중합체의 AN이 42 내지 48 mg KOH/g이 될 때까지 이들 조건 하에 축합을 지속하였다. 목적하는 AN을 얻기 위해, 중합으로부터 생성된 물을 온화한 진공으로 반응의 마지막에 제거할 수 있었다. 이는 AN이 45 mg KOH/g인 물로 희석가능한 선형 폴리에스테르 P11를 제공하였다. P11의 유리 전이 온도 Tg는 48℃이었고 용융 점도 η1은 160℃에서 3.0 Pa·s이었다. GPC 분석으로 다음 값: Mn = 1180 g/mol; D = 2.1 (표 3 참조)를 얻었다.
P11 내가수분해성 평가
P11의 20% 농도 수성 콜로이드 용액을 제조하고, N,N-디메틸에탄올아민을 사용하여 pH를 8로 조정하고, 45℃에서 저장하였다. 콜로이드 용액이 침전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폴리에스테르의 내가수분해성의 척도로 삼았다 (표 4 참조).
폴리에스테르 P12 P13
공정을 표 3에 요약된 조성으로 P11의 제조를 위한 공정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폴리에스테르 P12 및 P13의 특징적인 데이터를 표 3에 열거하였다.
P12 IMBPD가 있는 실시예
P13 NPG만 있는 비교예
Figure pct00005
본 발명의 중합체 P11 및 P12는 비교 중합체 P13보다 용융 점도가 현저하게 낮았다.
Figure pct00006
본 발명의 중합체 P11 및 P12는 비교 중합체 P13보다 가수분해에 대해 더 내성이 있었다.
분말 코팅 물질의 제조
기준 결합제 (REF)는 디에스엠 레진스 비. 브이.(DSM Resins B.V.)로부터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우랄락 (Uralac) P-862 (Tg 58.0℃, AN 35 mg KOH/g)이었다. 분말 코팅 물질 PL3, PL4, PL5, PL6, PL7 및 PLR을 제조하기 위해, 570.0 g의 분말 폴리에스테르 P3, P4, P5, P6, P7 또는 REF를 30.0 g의 시판 경화제 프리미드 (Primid)® XL-552 (EMS로부터의 히드록시알킬아미드), 300.0 g의 이산화티탄 안료 크로노스 (Kronos)® 2160 (크로노스 제품), 9.0 g의 유동 조절제 레지플로우 (Resiflow)® PV5 (월리 케미 게엠베하 (Worlee Chemie GmbH) 제품) 및 2.5 g의 벤조인과 함께 유니버셜 실험 혼합기 (엠아이티 미슈테크닉 게엠베하 (MIT Mischtechnik GmbH) 제품)에서 상응하게 혼합하고, 혼합물을 용융시키고, 이어서 2축 압출기 (MP 19, APV)에서 80 내지 100℃에서 압출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압출물을 조악하게 분쇄하고, 미분하고 체에 걸렀다. 얻어진 분말 코팅 물질 PL3, PL4, PL5, PL6, PL7 및 PLR에 대해 다음 시험을 수행하였다.
Figure pct00007
후속적으로 분말 코팅 물질을 강철 시험 패널 (Q-패널 R-36)에 정전기적으로 도포하고 160℃에서 15분 동안 구웠다. 목표 필름 두께는 60 μm 내지 80 μm이었다. 얻어진 코팅에 대해 다음 시험을 수행하였다.
Figure pct00008
코팅 시험의 결과를 표 5 및 표 6에 요약하였다.
Figure pct00009
본 발명의 분말 코팅 물질은 매우 우수한 사용 특성을 나타내었다. PL3은 PL5보다 덜 황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PL4는 PL5보다 더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었고 높은 광택을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10
본 발명의 분말 코팅 물질 PL6은 유리하게는 PL7과 비교하여 황변 및 외관에 있어서 우수한 사용 특성을 나타내었다.
고도 고형분 1-성분 (1K) 코팅 물질의 제조
고도 고형분 1K 코팅 물질 1K-PL8, 1K-PL9 및 1K-PL10을 제조하기 위해, 부틸 아세테이트 중 폴리에스테르 P8, P9 및 P10의 70% 농도 용액을 상응하게 제조하였다. 80 g의 각각의 70% 농도 폴리에스테르 용액을 14 g의 시판 경화제 루비팔 (Luwipal)® 066 (바스프 (BASF)로부터의 멜라민 축합물), 4 g의 n-부탄올 및 2 g의 p-톨루엔 술폰산 촉매와 혼합하였다. 얻어진 용액 (NVC 70%)을 바 (bar) 코팅기를 사용하여 유리 플레이트 및 강철 시험 패널에 도포하였다. 목표 필름 두께는 40 μm 내지 50 μm이었다. 이후 코팅된 시험 패널을 140℃에서 30분 동안 구웠다. 얻어진 코팅에 대해 다음 시험을 수행하였다.
Figure pct00011
코팅 시험의 결과를 표 7에 요약하였다. 1K-PL8 및 1K-PL9는 본 발명이고, 1K-PL10은 비교예이었다.
Figure pct00012
본 발명의 고도 고형분 코팅 물질 1K-PL8 및 1K-PL9는 매우 우수한 특성 프로파일을 나타내었다. 특히, IMPD 및 IMBPD는 필름의 기계적 특성 및 또한 산에 대한 내성에 있어서 NPG와 비교하여 이점을 나타내었다.
고도 고형분 2-성분 (2K) 코팅 물질의 제조
고도 고형분 2K 코팅 물질 2K-PL8, 2K-PL9 및 2K-PL10를 제조하기 위해, 부틸 아세테이트 중 폴리에스테르 P8, P9 및 P10의 70% 농도 용액을 상응하게 제조하였다. 70 g의 각각의 70% 농도 폴리에스테르 용액을 유동 조절제 베이실론 (Baysilon)® OL17 (보르셔스 게엠베하 (Borchers GmbH)로부터의 폴리에테르)의 용액 (부틸 아세테이트 중 10% 농도) 1 g,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용액 촉매 (부틸 아세테이트 중 5% 농도) 1 g, 메톡시프로필 아세테이트 3 g, 시판 경화제 바소나트 (Basonat)® HI 190 BS (90% 형태, 바스프로부터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20 g 및 부틸 아세테이트 5 g과 혼합하였다. 얻어진 용액 (NVC 67%)을 바 코팅기를 사용하여 유리 플레이트 및 강철 시험 패널에 도포하였다. 목표 필름 두께는 40 μm 내지 50 μm이었다. 이후 코팅된 시험 패널을 80℃에서 30분 동안 구웠다. 얻어진 코팅에 대해 다음 시험을 수행하였다.
Figure pct00013
코팅 시험의 결과를 표 8에 요약하였다. 2K-PL8 및 2K-PL9는 본 발명이고, 2K-PL10은 비교예이었다.
Figure pct00014
본 발명의 고도 고형분 코팅 물질 2K-PL8 및 2K-PL9는 매우 우수한 특성 프로파일을 나타내었다. 기계적 특성 및 내가수분해성이 NPG만을 기재로 하는 코팅 물질 2K-PL10의 경우보다 현저하게 우수하였다.

Claims (17)

  1. 하기 화학식 I의 2-이소프로필-2-알킬-1,3-프로판디올 또는 이의 알콕실화 유도체를 단량체 화합물로서 사용하는, 단량체 화합물로부터의 중축합 또는 중부가물 형성에 의해 수득가능한 중합체.
    <화학식 I>
    Figure pct00015

    상기 식에서, R은 1 내지 10개의 C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R이 메틸 및/또는 3-메틸부틸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알콕실화 유도체를 단량체 화합물로서 사용하는 중합체.
  3. 제2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이 3-메틸-2-알킬부타날을 포름알데히드와 알돌-카니자로 (aldol-Cannizzaro) 반응으로 반응시킴으로써 또는 알돌 반응 및 후속 수소화에 의해 수득가능한 것인 중합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인 중합체.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알킬 카르보네이트 또는 환형 카르보네이트를 디올과 반응시킴으로써 알콜의 제거와 함께 수득가능한 폴리카르보네이트디올인 중합체.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인 중합체.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락톤 또는 락탐의 개환 부가 중합에 의해 수득가능한 중부가물인 중합체.
  8. 열가소성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합체의 용도.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합체 및/또는 중합체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10. 성형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9항에 따른 열가소성 조성물의 용도.
  11. 코팅 물질, 실란트 또는 접착제를 제조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합체의 용도.
  12.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합체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코팅 물질, 실란트 또는 접착제.
  13. 제12항에 있어서, 수성 물질인 코팅 물질, 실란트 또는 접착제.
  14. 분말 코팅 물질을 제조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합체의 용도.
  15.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합체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분말 코팅 물질.
  16. 방사선 경화성 코팅 물질을 제조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합체의 용도.
  17.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합체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방사선 경화성 코팅 물질.
KR1020117004045A 2008-07-23 2009-07-21 중합체 제조를 위한 2-이소프로필-2-알킬-1,3-프로판디올의 용도 KR201100539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160996.8 2008-07-23
EP08160996 2008-07-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969A true KR20110053969A (ko) 2011-05-24

Family

ID=40984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045A KR20110053969A (ko) 2008-07-23 2009-07-21 중합체 제조를 위한 2-이소프로필-2-알킬-1,3-프로판디올의 용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8530570B2 (ko)
EP (1) EP2307472A1 (ko)
JP (1) JP2011528745A (ko)
KR (1) KR20110053969A (ko)
CN (1) CN102105503B (ko)
TW (1) TW201012843A (ko)
WO (1) WO20100100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61406B2 (en) 2009-03-06 2015-02-24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access devices and methods providing seal movement in predefined movement regions
US9394212B2 (en) 2010-06-15 2016-07-19 Basf Se Process for the cooligomerization of olefins
DE102011080722A1 (de) 2010-08-12 2012-03-22 Basf Se Verwendung von Methylbernsteinsäure in Pulverlacken
CN102432439A (zh) * 2010-09-29 2012-05-02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二醚型给电子体的制备方法
MX2015013806A (es) 2013-03-28 2016-06-02 Basf Se Polieteraminas a base de 1,3-dialcoholes.
MX2015013672A (es) 2013-03-28 2016-02-16 Procter & Gamble Composiciones de limpieza que contiene una polieteramina, un polimero para el desprendimiento de la suciedad y una carboximetilcelulosa.
MX2016004947A (es) 2013-10-17 2016-07-11 Valspar Sourcing Inc Compuestos de di (amido(alquil) fenol) y polimeros formados a partir de estos.
RU2016141981A (ru) 2014-03-27 2018-04-27 Басф Се Простые эфирамины на основе диспиртов
JP6418621B2 (ja) 2014-03-27 2018-11-07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Basf Se ジアルコールをベースとするエーテルアミン
WO2015148361A1 (en) 2014-03-27 2015-10-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compositions containing a polyetheramine
US9719052B2 (en) 2014-03-27 2017-08-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compositions containing a polyetheramine
EP2940116B1 (en) 2014-04-30 2018-10-1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Detergent
EP2940117B1 (en) 2014-04-30 2020-08-1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leaning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etheramine
US9974985B2 (en) 2014-05-15 2018-05-22 Basf Se Etheramines based on 1,2-dialcohols
US10793742B2 (en) 2014-05-19 2020-10-06 Valspar Sourcing, Inc. Polyethers containing non-bisphenolic cyclic groups
US10280237B2 (en) 2014-09-15 2019-05-07 Basf Se Salts of etheramines and polymeric acid
US9617502B2 (en) 2014-09-15 2017-04-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salts of polyetheramines and polymeric acid
JP6430632B2 (ja) 2014-09-25 2018-11-28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ポリエーテルアミンを含有する布地ケア組成物
EP3197988B1 (en) 2014-09-25 2018-08-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compositions containing a polyetheramine
KR20170060079A (ko) 2014-09-25 2017-05-31 바스프 에스이 1,3-디알코올 기재의 폴리에테르아민
US9631163B2 (en) 2014-09-25 2017-04-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EP3162880A1 (en) 2015-10-29 2017-05-0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ES2689048T3 (es) 2015-10-29 2018-11-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ción detergente líquida
US20170275565A1 (en) 2016-03-24 2017-09-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s containing an etheramine
EP3257924A1 (en) 2016-06-17 2017-12-2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EP3279301A1 (en) 2016-08-04 2018-02-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ater-soluble unit dose article comprising a cleaning amine
CN116323535A (zh) * 2020-10-13 2023-06-23 Sabic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制备2-异戊基-2-异丙基-1,3-二甲氧基丙烷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00155A (en) * 1950-03-14 Preparation of esters of cyclic
BE579635A (ko) * 1958-06-16
GB1009915A (en) * 1962-03-10 1965-11-17 Simes 1,3-propanediol dicarbamate derivatives and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US3975450A (en) * 1974-09-03 1976-08-17 Eastman Kodak Company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hydric alcohols
DE2442763C3 (de) * 1974-09-06 1986-05-07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hermoplastischen und elastischen Polyurethanen
DE2653096C2 (de) * 1976-11-23 1985-04-11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2,2-disubstituierten Propan-1,3-diolen
DE2933919C2 (de) * 1979-08-22 1988-12-22 Ruhrchemie Ag, 4200 Oberha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2-Methyl-2-sek.-butyl-1,3-propandiol
DE3027890A1 (de) * 1980-07-23 1982-03-04 Basf Ag, 6700 Ludwigshafen Hydrierkatalysatoren fuer die herstellung von propandiol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ropandiolen mit solchen katalysatoren
DE3027889A1 (de) 1980-07-23 1982-03-11 Basf Ag, 6700 Ludwigshafen Hydrierkatalysatoren fuer die herstellung von propandiol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ropandiolen
US4393251A (en) * 1981-06-17 1983-07-12 Basf Aktiengesellschaft Preparation of propanediols using a copper-and zinc containing hydrogenation catalyst
JPH01136722A (ja) * 1987-11-25 1989-05-30 Toyobo Co Ltd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イルム
JPH0627083B2 (ja) * 1989-11-21 1994-04-13 チッソ株式会社 プロパンジオールおよびその製造法
IT1243924B (it) 1990-11-20 1994-06-28 Himont Inc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dieteri
JP3161452B2 (ja) 1991-02-12 2001-04-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自動原稿搬送装置
CA2092248A1 (en) 1992-03-24 1993-09-25 Kenji Kushi Polyester resin for a dye receptive layer of a recording medium for sublimation type heat-sensitive transfer recording process, and a recording medium using the polyester resin
DE4228514A1 (de) * 1992-08-27 1994-03-03 Hoechst Ag Bindemittel für Pulverlacke
DE19542036A1 (de) 1995-11-10 1997-05-15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alkoholen
FI102474B (fi) 1996-12-30 1998-12-15 Neste Oy Menetelmä moniarvoisten alkoholien valmistamiseksi
US6482501B2 (en) * 1998-05-18 2002-11-19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Optical-use adhesive film
FI982256A (fi) 1998-10-19 2000-04-20 Neste Oyj Tyydyttymättömiä polyesterihartseja
JP2000336140A (ja) * 1999-05-26 2000-12-05 Lion Corp ポリウレタン用ポリカーボネートジオール
DE10001257A1 (de) 2000-01-14 2001-07-19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rimethylolalkanen
US7112693B2 (en) * 2001-06-27 2006-09-26 Bayer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producing aliphatic oligocarbonate diols
DE10138216A1 (de) * 2001-08-03 2003-02-20 Bayer Ag Aliphatische Polycarbonathomo- und -copolymere durch DMC-Katalyse
WO2003064497A1 (fr) * 2002-01-30 2003-08-07 Kyowa Hakko Chemical Co., Ltd. Polyester
JP2006282800A (ja) * 2005-03-31 2006-10-19 Toyobo Co Ltd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53132A1 (en) 2013-09-26
WO2010010075A1 (de) 2010-01-28
TW201012843A (en) 2010-04-01
CN102105503A (zh) 2011-06-22
US8530570B2 (en) 2013-09-10
JP2011528745A (ja) 2011-11-24
CN102105503B (zh) 2014-03-19
EP2307472A1 (de) 2011-04-13
US20110124809A1 (en) 201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0570B2 (en) Use of 2-isopropyl-2-alkyl-1,3-propanediols for preparing polymers
US8519084B2 (en) Use of a C11 diol or C11 diol mixture for producing polymers
US20110178239A1 (en) Use of substituted 2-aryl-2-alkyl-1,3-propanediols or substituted 2-cyclohexyl-2-alkyl-1,3-propanediols for manufacturing polymers
KR20110069026A (ko) 중합체의 제조를 위한 1,1-디메틸올시클로알칸 또는 1,1-디메틸올시클로알켄의 용도
KR20110021880A (ko) 중합체 제조를 위한 시클로헥산 디올 혼합물의 용도
US5587428A (en) Polymeric vehicle effective for providing solventless coating compositions
WO1994014871A1 (en) Polyester coatings containing covalently-bound mesogenic monomers
JPH10501581A (ja) 高固形分被覆物用ポリマービヒクル
JPH10501582A (ja) 無溶剤被覆組成物を得るのに有効なポリマービヒクル
US20020061963A1 (en) Polyester triglycidyl isocyanurate resin powder coatings based on 1,3-propanediol
EP2250208B1 (en) Thermosetting polyester resin modified with semi-crystalline polyester for powder coatings
US5955550A (en) Polymeric vehicle for providing solventless coating compositions
WO2024026334A1 (en) Thermosetting powder coating compositions
MXPA96004246A (en) Polymeric vehicle diluted with water for coating compositions with few amounts of volati organic compou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